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378299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수질오염개론


1. 호소의 부영양화에 대한 일반적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영양염류의 공급으로 농산물 수확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2. 조류나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용해성 유기물질이 불쾌한 맛과 냄새를 유발한다.
     3. 부영양화 평가모델은 인(P)부하모델인 Vollenweider 모델 등이 대표적이다.
     4. 심수층의 용존산소량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지속적x -> 일시적
[해설작성자 : 뽀글머리코알라]

2. Ca(OH)2 200mg.L 용액의 pH는 얼마인가? (단, Ca(OH)2는 완전 해리하는 것으로 한다. Ca(OH)2의 분자량=74)(2005년 08월)
     1. 11.43
     2. 11.63
     3. 11.73
     4. 11.83

     정답 : []
     정답률 : 55%

3. 호수의 성층 중에서 부영양화(Eutrophication)가 주로 발생하는 곳은 ?(2005년 03월)
     1. epilimnion
     2. thermocline
     3. hypolimnion
     4. mesolimnion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표층수(Epilimnion) : 부영양화 발생
수온약층(Thermocline) : 수온변화 급격함
심수층(Hypolimnion) : 수온변화 없음
[해설작성자 : 김뽀니]

4. 수중의 물질이동확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해역에서의 난류확산은 수평방향이 심하고 수직방향은 비교적 완만하다.
     2.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물에 용해하는 기체의 부피는 그 기체의 분압에 비례한다.
     3. 수중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속도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작아지며, 기체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4. 하천, 호수, 해역 등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분자확산, 여과, 전도현상 등에 의해 점점 농도가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물에 용해하는 기체의 부피는 그 기체의 분압에 반비례한다.
3. 수중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속도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작아지며, 기체 밀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4. 하천, 호수, 해역 등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분자확산, 여과, 전도현상 등에 의해 점점 농도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열공합시당]

3. 수중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속도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작아지며, 기체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옳은 내용이나 이는 기체의 이전에 관한 내용이므로 수중의 물질확산이 아닙니다.

4.하천, 호수, 해역 등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분자확산, 여과, 전도현상 등에 의해 점점 농도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다니엘문]

[추가 오류 신고]
2.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물에 용해하는 기체의 무게는 그 기체의 분압에 비례한다
3. 수중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속도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커지며 기체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4. 하천, 호수, 해역 등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분자확학, 여과, 전도현상 등에 의해 점점 농도가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자두가 최고로 귀여워]

[추가 오류 신고]
2.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와 압력은 반비례한다.(보일의법칙)
3. 기체의 확산속도는 무거운 분자일수록 느려지고, 용기 내외의 압력 나누기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그레이엄의 법칙)
4. 분자확산, 여과, 전도현상 등의 물리화학적 자정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의 농도는 낮아진다.
[출판사 : (주)시대고시기획, 책 : 2020 WinQ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필기]
[해설작성자 : 하루남았다어떡함ㅠ]

[오류신고 반론]
물쌤책에
"2,3번은 옳은 문구이나 이는 기체이전과 관련된 내용이지 수중의 물질이동확산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라고 해설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공주]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2. 헨리의 법칙 :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물에 용해하는 기체의 질량은 그 기체의 분압에 비례한다.
3. graham의 법칙 : 일정한 온도와 압력상태에서 기체의 확산속도는 그 기체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4. 하천, 호수, 해역 등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분자확산, 여과, 전도현상 등에 의해 점점 농도가 낮아진다.
2024 에듀윌 해설
[해설작성자 : 공무원시험합격은]

5. BOD5=300mg/ℓ 이고 COD 가 450 mg/ℓ 인 경우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는 얼마인가? (단, 상용대수적용, K1 = 0.2/ day)(2004년 03월)
     1. 105.5 mg/ℓ
     2. 116.7 mg/ℓ
     3. 127.8 mg/ℓ
     4. 134.3 mg/ℓ

     정답 : []
     정답률 : 81%

6. 소수성 콜로이드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물과 반발하는 성질을 가진다.
     2. 물 속에 suspension으로 존재한다.
     3. 다량의 염을 첨가하여야만 응결 침전한다.
     4. 매우 작은 입자로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7. 생물농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4월)
     1. 수생생물체내의 각종 중금속 농도는 환경수중의 농도보다는 높은 경우가 많다.
     2. 생물체중의 농도와 환경수중의 농도비를 농축비 또는 농축계수라고 한다.
     3. 수생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중금속의 농축비가 다른 경우가 많다.
     4. 농축비는 먹이사슬 과정에서 높은 단계의 소비자에 상당하는 생물일수록 낮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생물농축
농축비는 높은 사슬의 생물일수록 높다.
예) 플랑크톤 1마리가 중금속을 1 축적하고 있다고 가정
멸치가 플랑크톤 100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멸치 내에 1000 축적
고등어가 멸치 1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고등어 내에 10000 축적
삼치가 고등어 1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삼치 내에 100000 축적
[해설작성자 : 최강 걸그룹 트와이스]

8. 유량400000 m3/day의 하천에 인구 20만명의 도시로부터 30000 m3/day의 유량으로 하수가 유입되고 있다. 하수가 유입되기 전 하천의 BOD는 0.5mg/ℓ이고, 유입 후 하천의 BOD를 2mg/ℓ 로 하기 위해서 하수처리장을 건설하려고 한다면 이 처리장의 BOD 제거 효율은? (단, 인구 1인당 BOD 배출량은 20g/day라 한다.)(2012년 05월)
     1. 약 84%
     2. 약 87%
     3. 약 89%
     4. 약 92%

     정답 : []
     정답률 : 55%

9. 다음 설명과 가장 관계있는 것은?(2018년 03월)

   

     1. 박테리아
     2. 균류
     3. 조류
     4. 원생동물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유리산소가 존재해야한다는 것은 호기성이라는 뜻.
(혐기성은 결합산소가 존재.)
pH 낮은 곳에서도 자라는 것은 균류
[해설작성자 : minzy]

10. 수온 20℃, 유량 20m3/sec, BODu 5mg/L인 하천에 점오염원으로부터 유량 3m3/sec, 수온 20℃, 부하량 50gBODu/sec의 오염물질이 유입될 때 0.5일 유해 후의 잔류 BOD는? (단, 하천의 20℃의 탈산소 계수는 0.2/day(자연대수)이고, BOD분해에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DO가 하천내에 존재함)(2006년 08월)
     1. 4.3mg/L
     2. 4.8mg/L
     3. 5.9mg/L
     4. 6.2mg/L

     정답 : []
     정답률 : 32%

11. 다음의 유기물 1mole 이 완전 산화될 때 이론적인 산소요구량 (ThOD)이 가장 작은 것은?(2019년 04월)
     1. C6H6
     2. C6H12O6
     3. C2H5OH
     4. CH3COOH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7.5
2 6
3 3
4 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쉽게 생각하자면 C가 CO2가 될때 산소가 X2가 되니
C 탄소수가 작은게 산소도 적게 나온다 라고 생각하면 좋을듯합니다.
해설작성자 : 불굴의 노력가

12. 프로피온산(C2H5COOH) 0 .1M 용액이 4% 이온화 된다면 이온화 정수는?(2011년 08월)
     1. 1.7⨯10-4
     2. 7.6⨯10-4
     3. 8.3⨯10-5
     4. 9.3⨯10-5

     정답 : []
     정답률 : 48%

13. 수온 20℃, 유량 20m3/sec, BOdu 5mg/L인 하천에 점오염원으로부터 유량 3m3/sec, 수온 20℃, 부하량 50g BODu/sec의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완전혼합 될 때 0.5일 유하 후의 잔류 BOD는? (단, 하천의 20℃의 탈산소 계수는 0.2/day(자연대수)이고, BOD 분해에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DO가 하천내에 존재함)(2010년 03월)
     1. 약 7 mg/L
     2. 약 6 mg/L
     3. 약 5 mg/L
     4. 약 4 mg/L

     정답 : []
     정답률 : 42%

14. 다음은 반응조 혼합에 관한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Morrill 지수가 1인 경우, 이상적인 플러그 흐름상태이다.
     2. 분산 수가 무한대가 되면 이상적인 플러그 흐름상태이다.
     3. 분산 1이면 이상적인 완전혼합 흐름 상태이다.
     4. Morrill 지수의 값이 클수록 완전혼합 흐름 상태에 근접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15. 다음 중 경도(Hardness)에 관한 설명에서 틀린 것은?(2004년 03월)
     1. 일반적으로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이 경도의 주원인이 된다.
     2. 경도는 물의 세기정도를 말하며 2가 이상 양이온금속의 함량을 탄산칼슘(CaCO3)의 농도로 환산한값이다.
     3. 표토층이 얇거나 석회암층이 존재하는 곳에서 경도가 높은 물이 생성된다.
     4. 탄산경도 성분은 물을 끊일 때 제거되므로 일시경도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16. 부영양화가 진행되는 단계에서의 지표현상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심수층의 DO 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2. 플랑크톤 및 그 잔재물이 증가되고, 물의 투명도가 점차 낮아진다.
     3. 퇴적된 저니의 용출이 현격하게 늘어나며 COD 농도가 증가한다.
     4. 식물성 플랑크톤이 늘어나고 남조류, 녹조류 등이 규조류로 변화 되어 진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마지막 단계 수화현상 : 남조류
[해설작성자 : lwj]

규조류 : 청정수역 지표종
부영양화 진행 시 남조류·녹조류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분뇨의 특성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분뇨는 다량의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BOD, SS는 COD의 1/3 ∼ 1/2 정도이다.
     2. 분과 뇨의 구성비는 약 1:8∼10 정도이며 고액 분리가 어렵다.
     3. 뇨의 경우 질소화합물는 전체 VS의 75∼80% 정도 함유하고 있다.
     4. 분뇨내 염소이온의 농도는 약 4000mg/L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3 - VS의 80~90%
[해설작성자 : 김뽀니]

18. 경도에 과한 관계식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2,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8월)
     1. 총경도 – 비탄산경도 = 탄산경도
     2. 총경도 – 탄산경도 = 마그네슘경도
     3. 알칼리도 < 총경도 일 때 탄산경도 = 비탄산경도
     4. 알칼리도 ≥ 총경도 일 때 탄산경도 = 총경도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3.알칼리도<총경도 일때 일시경도(탄산경도) = 알칼리도
[해설작성자 : 민초만세]

19. 박테리아를 분류함에 있어 성장을 위한 환경적인 조건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는데, 다음 중 바닷물과 비슷한 염조건하에서 가장 잘 자라는 박테리아(호염균)는?(2004년 05월)
     1. Hyperthermophiles
     2. Microaerophiles
     3. Halophiles
     4. Chemotrophs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차례대로) 고세균 / 미호기성 생물    / 호기성 생물 / 화학합성생물 [번역투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하늘감자]

20. 하천의 길이가 500km이며, 유속은 56m/min이다. A 상류 지점의 BODu가 280ppm이라면, A 상류지점에서부터 378km 되는 하류지점의 BOD는? (단, 상용대수기준, 탈산소계수는 0.1/day, 수온은 20℃, 기타조건은 고려하지 않음)(2011년 08월)
     1. 45mg/L
     2. 68mg/L
     3. 95mg/L
     4. 132mg/L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BOD 유하식 적용 => BOD5=BODu*10^-kt
유속 = 80.64km/day
t = 378/80.64 = 4.6875 day
유하식 대입
BOD5 = 280*10^-(4.6875*0.1) = 95.15 mg/L
[해설작성자 : 목포해양대]

2과목 : 상하수도계획


21. 양정변화에 대하여 수량의 변동이 적고 또 수량변동에 대해 동력의 변화도 적어 우수용펌프등 수위변동이 큰 곳에 적합한 펌프로 가장 알맞는 것은?(2003년 03월)
     1. 원심펌프
     2. 사류펌프
     3. 축류펌프
     4. 수중펌프

     정답 : []
     정답률 : 54%

22. 하수관거 설계시 오수관거의 최소관경에 관한 기준은?(2014년 08월)
     1. 150mm를 표준으로 한다.
     2. 200mm를 표준으로 한다.
     3. 250mm를 표준으로 한다.
     4. 300m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23. 상수의 계획취수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저수용량의 결정에 사용하는 계획기준년은 ?(2005년 05월)
     1. 원칙적으로 7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2. 원칙적으로 10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3. 원칙적으로 15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4. 원칙적으로 20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24. 펌프의 토출량이 1.0m3/sec, 토출구의 유속이 3.55m/sec일 때 펌프의 구경은?(2011년 08월)
     1. 200mm
     2. 400mm
     3. 600mm
     4. 800mm

     정답 : []
     정답률 : 57%

25. 상수처리를 위한 침사지 구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4년 03월)
     1. 표면부하율은 200~500mm/min을 표준으로 한다.
     2. 지내 평균유속은 2~7m/min을 표준으로 한다.
     3.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6~1m의 여유고를 둔다.
     4. 지의 유효수심은 3~4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지내 평균유속은 2~7cm/sec를 표준으로 한다.

26. 배수지의 고수위와 저수위와의 수위차, 즉 배수지의 유효수심의 표준으로 적절한 것은?(2013년 08월)
     1. 1~2m
     2. 2~4m
     3. 3~6m
     4. 5~8m

     정답 : []
     정답률 : 77%

27. 하수 펌프장 시설인 스크류펌프의 일반적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회전수가 낮기 때문에 마모가 적다.
     2. 수중의 협잡물이 물과 함께 떠올라 폐쇄 가능성이 크다.
     3. 기둥에 필요한 물채움장치나 밸브 등 부대시설이 없어 자동운전이 쉽다.
     4. 토출측의 수로를 압력관으로 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스크류펌프는 다른 펌프와 다르게 혐잡물과 물을 함께 처리할 수 있으며, 폐쇄가능성이 적다.
* 스크류펌프는 대체로 점성이 있는 폐수를 양수하기에 적합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회전수가 낮아 마모가 적지만,
악취가 발생하고 펌프의 규모가 크며 토출측 수로를 압력관으로 할 수 없다(양정에 제한이 생긴다)
[해설작성자 : 스크류펌프]

28. 하수관거시설인 오수관거의 유속범위기준으로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최소 0.3m/sec, 최대 3.0m/sec 로 한다.
     2.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최소 0.6m/sec, 최대 3.0m/sec 로 한다.
     3. 계획1일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최소 0.3m/sec, 최대 3.0m/sec 로 한다.
     4. 계획1일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최소 0.6m/sec, 최대 3.0m/sec 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29. 펌프의 토출량은 200m3/min이며 흡입구의 유속이 10m/sec인 경우에 펌프의 흡입구경(mm)은?(2007년 08월)
     1. 463
     2. 523
     3. 653
     4. 713

     정답 : []
     정답률 : 60%

30. 지하수(복류수포함)의 취수 시설 중 집수매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복류수의 유황이 좋으면 안정된 취수가 가능하다.
     2. 하천의 대소에 영향을 받으며 주로 소하천에 이용된다.
     3. 침투된 물을 취수하므로 토사유입은 거의 없고 대개는 수질이 좋다.
     4. 하천바닥의 변동이나 강바닥의 저하가 큰 지점은 노출될 우려가 크므로 적당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하천의 대소에 관계없이 이용됨

31. 상수도 급수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급수관을 공공도로에 부설할 경우에는 도로 관리자가 정한 점용위치와 깊이에 따라 배관해야 하며 다른 매설물과의 간격을 30cm 이상 확보한다.
     2. 급수관을 부설하고 되메우기를 할 때에는 양질토 또는 모래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다짐하여 관을 보호한다.
     3. 급수관이 개거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개거의 위로 부설한다.
     4. 동결이나 결로의 우려가 있는 급수설비의 노출부분에 대해서는 적절한 방한조치나 결로방지조치를 강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급수관이 개거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개거의 아래로 부설한다.
[해설작성자 : 내가 보려고 씀]

32. 상수관로의 길이 800m, 내경 200mm에서 유속 2m/sec로 흐를때 관마찰 손실수두(m)는? (단, Darcy-Weisbach 공식을 이용, 마찰손실계수 = 0.02)(2017년 05월)
     1. 약 16.3
     2. 약 18.4
     3. 약 20.7
     4. 약 22.6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계수 × (길이/내경) × (속도2/(2×9.8)
0.02 × (800÷0.2) × (22÷(2×9.8))
[해설작성자 : lwj]

33. 도수관을 설계할 때 평균유속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1.5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3m/s로 한다.
     2.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1.5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6m/s로 한다.
     3.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3.0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3m/s로 한다.
     4.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3.0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6m/s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34. 하수처리시설의 이차침전지 유출설비 중 월류위어의 부하율(m3/m-day)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4년 05월)
     1. 60
     2. 120
     3. 190
     4. 250

     정답 : []
     정답률 : 28%

35. 정수시 처리대상물질(항목)과 처리방법이 잘못 짝지어진것은?(2015년 05월)
     1. 불용해성성분 - 조류 - 부상분리
     2. 불용해성성분 - 미생물(크립토스포리디움) - 활성탄
     3. 불용해성성분 - 탁도 - 완속여과방식
     4. 용해성성분 - 트리클로로에틸렌 - 폭기(스트리핑)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불용해성 성분—원생동물(크립토스포리디움)—막여과방식

[추가 해설]
불용해성성분 - 크리토스포리디움 : 완속여과방식, 급속여과방식, 막여과방식, 오존으로 처리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36. 하수도계획 수립 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침수방지계획
     2. 슬러지 처리 및 자원화 계획
     3. 물관리 및 재이용계획
     4. 하수도 구축지역 계획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침수방지계획
2. 슬러지 처리 및 자원화 계획
3, 물관리 및 재이용계획
4. 수질보전 계획
[해설작성자 : ㅇㅇ]

37. 계획우수량을 정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하수관거의 확률년수는 원칙적으로 10~30년으로 한다.
     2. 유입시간은 최소단위배수구의 지표면특성을 고려하여 구한다.
     3. 유출계수는 지형도를 기초로 답사를 통하여 충분히 조사하고 장래 개발계획을 고려하여 구한다.
     4. 유하시간은 최상류관거의 끝으로부터 하류관거의 어떤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획유량에 대응한 유속으로 나누어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출계수는 토지이용별 기초유출계수로부터 총괄유출계수를 구하는 것을 원칙
[해설작성자 : 내닝 ]

38.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한 낮추어 가용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2. 펌프의 회전속도를 낮게 하여 펌프의 필요유효흡입수두를 작게 한다.
     3. 흡입측 밸브롤 조금만 개방하고 펌프를 운전한다.
     4. 흡입관의 손실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 가용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흡입측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펌프를 운전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을 기원합니다]

39. 하수처리시설인 일차침전지의 표면부하율 기준으로 맞는 것은?(2009년 05월)
     1.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분류식의 경우 25~50m3/m2.d 로 한다.
     2.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분류식의 경우 15~25m3/m2.d 로 한다.
     3.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합류식의 경우 15~25m3/m2.d 로 한다.
     4.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합류식의 경우 25~50m3/m2.d 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15%

40. 펌프 선정에 대한 고려 사항중 잘못된 것은?(2003년 08월)
     1. 전양정이 6m 이하이고 구경이 200mm 이상의 경우는 사류(斜流)또는 축류(軸流)펌프를 선정함을 표준으로 한다.
     2. 전양정이 20m 이상이고 구경이 200mm 이하의 경우는 원심력 펌프를 선정함을 표준으로 한다.
     3. 침수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횡축(橫軸)펌프를 선정함을 표준으로 한다.
     4. 깊은우물 경우는 수중모우터펌프 혹은 깊은 우물용 펌프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3과목 : 수질오염방지기술


41. 생물막을 이용한 하수처리방식인 접촉산화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분해속도가 낮은 기질제거에 효과적이다.
     2. 난분해성물질 및 유해물질에 대한 내성이 높다.
     3. 고부하시에도 매체의 공극으로 인하여 폐쇄위험이 적다.
     4. 매체에 생성되는 생물량은 부하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고부하시 생물막 비대화로 접촉재가 막힐 수 있음
[해설작성자 : 한겸]

42. 1일 10,000m3의 폐수를 급속혼화지에서 체류시간 100sec, 평균속도경사(G) 400sec-1인 기계식고속 교반장치를 설치하여 교반하고자 한다. 이 장치의 필요한 소요동력은? (단, 수온은 10℃이고, 점성계수(μ)는 1.307×10-3kg/mㆍs)(2008년 07월)
     1. 약 2210W
     2. 약 2340W
     3. 약 2420W
     4. 약 2560W

     정답 : []
     정답률 : 42%

43. 혐기성공법 중 혐기성유동상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짧은 수리학적 체류시간과 높은 부하율로 운전가능
     2. 미생물 체류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저농도 유기성 폐수처리가능
     3. 유출수 재순환으로 유출수의 편류발생 방지
     4. 매질의 첨가나 제거가 용이

     정답 : []
     정답률 : 24%

44. 상향류혐기성 슬러지상(UASB)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B OD 및 SS 농도가 높은 폐수의 처리가 가능하다.
     2. HR T가 작아 반응조 용량을 작게할 수 있다.
     3. 상향류이므로 반응기 하부에 폐수의 분산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4. 기계적인 교반이나 여재가 불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BOD 및 SS농도가 높은 폐수의 처리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서가바보]

45. NO3가 박테리아에 의하여 N2로 환원되는 경우 폐수의 pH는?(2007년 08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화없다.
     4. 감소하다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6. 슬러지 내 고형물 무게의 1/3이 유기물질, 2/3가 무기물질이며, 이 슬러지 함수율은 80%, 유기물질 비중이 1.0, 무기물질 비중은 2.5라면 슬러지 전체의 비중은?(2021년 08월)
     1. 1.072
     2. 1.087
     3. 1.095
     4. 1.112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슬러지 = 건조 슬러지(고형물) + 물
함수율 80% = 나머지 고형물 20%, 전체 슬러지 질량 100 중 80 물, 20 고형물
고형물 중 1/3 유기물, 2/3 무기물, 고형물 전체 질량 = 1/3 + 2/3 = 1
비중 = 특정 물질 밀도/ 표준 물질 밀도, 표준 물질인 물 밀도 = 1
무기 고형물 비중 2.5,    유기 고형물 비중 1 -> 밀도 취급
밀도 = 질량/부피 -> 부피 = 질량/밀도
고형물 부피 1/3 * 1/1 + 2/3 * 1/2.5 = 0.6
고형물 질량/부피 = 1/고형물 부피 = 1/(1/3 * 1/1 + 2/3 * 1/2.5) = 1/0.6 = 1.67 = 고형물 밀도
전체 슬러지 질량/밀도 = 전체 슬러지 부피 = 100/밀도 = 20/1.67 고형물 부피 + 80/1 물 부피 = 91.98
100/91.98 = 전체 슬러지 밀도 = 1.087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47. 인구가 10000명인 마을에서 발생되는 하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는 처리장에 저율혐기성소화조를 설계하려고 한다. 생슬러지(건조고형물기준) 발생량은 0.11kg/인ㆍ일이며, 휘발성고형물은 건조고형물의 70%이다. 가스발생량은 0.94m3/VSSㆍkg이고 휘발성고형물의 65%가 소화된다면 일일 가스발생량(m3/day)은?(2018년 08월)
     1. 약 345
     2. 약 471
     3. 약 563
     4. 약 644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0.11kg/인.일 * 10000인 = 1100kg/일(총 고형물)
1100kg * 0.7 = 770kg (휘발성 고형물)
770kg * 0.65 =500.5 kg * 0.94m^3/VSS.kg = 470.5m^3
[해설작성자 : 햄]

48. 회전원판법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운전관리상 조작이 간단하고 소비전력량은 소규모 처리시설에서는 표준활성슬러지법에 비하여 적다.
     2. 질산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이로 인하여 처리수의 BOD가 낮아진다.
     3.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이차침전지에서 미세한 SS가 유출되기 쉽고 처리수의 투명도가 나쁘다.
     4. 살수여상과 같이 파리는 발생하지 않으나 하루살이가 발생하는 수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2. 질산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처리수의 BOD가 높은 편이다.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질산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pH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질산화로 인하여 처리수의 BOD가 낮아진다는 틀렸다.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는 주로 유기물 제거의 지표이며, 이는 종속영양미생물에 의해 제거됩니다. 질산화는 독립영양미생물인 질산화균에 의해 수행됩니다. 질산화 과정 자체가 직접적으로 유기물(탄소계 BOD)을 제거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AI한경대생]

49. 하수내 질소 및 인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UCT 공법의 경우 다른 공법과는 달리 침전지에서 반송되는 슬러지를 혐기조로 반송하지 않고 무산소조로 반송하는 데,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03월)
     1. 혐기조에 질산염의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인의 방출을 증대시키기 위해
     2. 호기조에서 질산화된 질소의 일부를 잔류 유기물을 이용하여 탈질시키기 위해
     3. 무산소조에 유입되는 유기물 부하를 감소시켜 탈질을 증대시키기 위해
     4. 후속되는 호기조의 질산화를 증대시키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43%

50. 용수의 소족에 사용할 수 있는 소독제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8월)
     1. 이산화염소는 맛과 냄새를 유발하는 페놀류화합물 제거에 주로 이용되었다.
     2. 이산화염소는 염소화 같이 THM을 생성하나 산화력은 염소보다 2.5배 강하다.
     3. 태양광중의 파장이 커질수록(길어질수록) 살균효과는 감소한다.
     4. 물을 멸균하기 위한 은의 투여량은 1μg - 0.5mg/L 정도로 알려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27%

51. 부상조의 최적 A/S비는 0.04, 처리할 폐수의 부유물질 농도는 250mg/ℓ, 20℃에서 414kPa로 가압할 때 반송율은(%)은?(2006년 05월)
     1. 약 10
     2. 약 13
     3. 약 17
     4. 약 19

     정답 : []
     정답률 : 10%

52. 물속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을 에어스트리핑으로 제거할 때 제거 효율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액체 중의 VOC농도가 클수록 효율이 증가한다.
     2.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주입할 때 제거효율은 증가한다.
     3. KLa가 감소하면 효율이 증가한다.
     4. 온도가 상승하면 효율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기체전달속도는 기체이전계수(K_La)와 비례한다.
dC/dt = K_La(DO_S-DO)

dC/dt : 산소전달속도, mg/L*hr
K_La : 총괄기체이전계수, /hr
DO_S : 포화DO농도, mg/L
DO : DO농도, mg/L
[해설작성자 : 하성]

53. 유량이 250m3/day이고 TOC 농도가 200mg/L인 페놀폐수를 고정상 탄소흡착 칼럼으로 처리하여 유출수의 TOC 농도를 10mg/L로 유지하려고 한다. 파괴점 도달시간은? (단, 수리학적 용적 부하율은 4m3/m3·hr이고, 탄소밀도는 400kg/m3, TOC 농도를 10mg/L로 유지할 수 있는 탄소 단위 질량당 처리수용적은 500L/kg 임)(2009년 03월)
     1. 약 1.2 day
     2. 약 2.1 day
     3. 약 3.4 day
     4. 약 4.2 day

     정답 : []
     정답률 : 18%

54. 슬러지 탈수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원심분리기∶고농도의 부유성 고형물에 적합
     2. 벨트형 여과기∶슬러시 특성에 민감함
     3. 원심분리기∶건조한 슬러지 케익을 생산함
     4. 벨트형 여과기∶유입부에 슬러지 분쇄기 설치가 필요함

     정답 : []
     정답률 : 42%

55. 활성슬러지 처리변법별 F/M 비가 가장 높은 것은?(2016년 03월)
     1. 표준활성슬러지법
     2. 순산소활성슬러지법
     3. 장기포기법
     4. 산화구법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F/M비
표준활성슬러지법: 0.2~0.4kgBOD/kgSS*day
순산소활성슬러지법: 0.3~0.6kgBOD/kgSS*day
장기포기법: 0.03~0.05kgBOD/kgSS*day
산화구법: 0.03~0.05kgBOD/kgSS*day
[해설작성자 : 어거지조]

56. 혐기성 소화시 소화가스 발생량 저하의 원인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저농도 슬러지 유입
     2. 소화슬러지 과잉배출
     3. 소화가스 누적
     4. 조내 온도저하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누적 -> 누출
[해설작성자 : 수질따보자]

57. 300m3/day의 폐수를 배출하는 도금공장이 있다. 이 폐수 중에는 CN-이 150mg/L 함유되어 다음 반응식을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NaClO의 양(kg)은 약 얼마인가?(2019년 03월)

    

     1. 180.4
     2. 300.5
     3. 322.4
     4. 344.8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sol)
2 x (12+14) : 5 x (23+35.5+16)
0.15 x 300    :        X    
X=322.3558
약 322.4
[해설작성자 : SIK]

58. 활성슬러지 포기조 용액을 사용한 실험값으로부터 얻은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최종침전지에서 슬러지의 침강성이 양호하다.
     2. 슬러지 밀도지수(SDI)는 0.5이하이다.
     3. 슬러지 용량지수(SVI)는 200 이상이다.
     4. 실모양의 미생물이 많이 관찰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SVI 200 이상이면 슬러지 팽화가 발생한다고 추측가능, 따라서 슬러지 팽화의 원인인 사상균이 관찰된다고 할 수 있음
100 전후로만 침강성 양호
SVI = 400*1000/1600
SDI = 100/SVI
[해설작성자 : 소표]

59. 함수율이 90%인 슬러지 겉보기 비중이 1.02이었다. 이 슬러지를 탈수하여 함수율이 60%인 슬러지를 얻었다면 탈수된 슬러지가 갖는 비중은? (단, 물의 비중 1.0)(2016년 08월)
     1. 약 1.09
     2. 약 1.19
     3. 약 1.29
     4. 약 1.39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 함수율 90%
         1                         0.1
     ----- =    0.9 + ------    ==> Ts 밀도=1.24
     1.02                        Ts 밀도

2) 함수율 60%
                     1
        ------------- = 0.6 + (0.4/1.24)
        총 슬러지 밀도

따라서 총 슬러지 밀도는 1.08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100/1.02 = 90/1 + 10/x 식으로 물이 아닌 TS의 비중을 구해줍니다.
100/y = 60/1 + 40/1.2439 처럼 TS의 비중을 대입하여 총 슬러지의 비중을 구해줍니다.
y = 1.0851
답은 1번 약 1.09 입니다.
[해설작성자 : 박범룡]

60.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발생되는 반응은?(2021년 03월)
     1. 포도당 → 알코올
     2. 초산 → 메탄
     3. 아질산염 → 질산염
     4. 포도당 → 초산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질산화 과정중 호기성 미생물 니트로박터가 아질산성 질소에서 질산성질소로
[해설작성자 : 아아하나]

4과목 :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61.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클로로필a 측정을 위한 기구 및 기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조직마쇄기
     2. 광정광도계
     3. 마개있는 원심 분리관
     4. 고압증기멸균기

     정답 : []
     정답률 : 25%

62. 수질분석용 시료의 보존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크롬분석용 시료는 C-HN03 1mL/L 를 넣어 보관한다.
     2. 페놀분석용 시료는 인산을 넣어 pH 4 이하로 조정한 후, 황산구리(1g/L)를 첨가하여 4℃에서 보관한다.
     3. 시안 분석용 시료는 수산화나트륨으로 pH 12 이상으로 하여 4℃에서 보관한다.
     4. 화학적산소요구량 분석용 시료는 황산으로 pH 2 이하로 하여 4℃에서 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20%

63. 시료채취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4년 03월)
     1. 유류 또는 부유물질 등이 함유된 시료는 시료의 균일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채취해야 하며 침전물 등이 부상하여 혼입되어서는 안된다.
     2. 퍼클로레이트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할 때 시료의 공기접촉이 없도록 시료병에 가득 채운다.
     3. 시료채취량은 시험항목 및 시험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보통 3~5L 정도이어야 한다.
     4.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용 시료를 채취할 때에는 뚜껑의 격막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 퍼클로레이트 시료를 채취해서 용기에 넣을 때 용기를 가득 채우는 것이 아닌 2/3만 채웁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64.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 시료의 최대보존기간이 다른 측정항목은?(2017년 05월)
     1. 페놀류
     2. 인산염인
     3. 화학적산소요구량
     4. 황산이온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페놀류, 화학적 산소요구량, 황산이온: 28일
인산염인: 48시간
[해설작성자 : ㅍㅅㅍ]

65. 수산화나트륨 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400mL로 하였을 때 이 용액의 pH는?(2019년 08월)
     1. 13.8
     2. 12.8
     3. 11.8
     4. 10.8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NaOH의
M = 1g/400ml * 1000ml/L * eq/40g = 0.0625M
pOH= 1.2
pH = 14 - pOH = 12.8
[해설작성자 : 홍차사랑]

66. 시료의 보존방법에 관한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노말헥산추출물질 측정용 시료는 염산(1+4)를 넣으 pH 4이하로 하여 마개를 한다.
     2. 페놀류 측정용 시료는 인산을 가하여 pH 4로 조절하고 시로 1L당 황산동 0.5g을 가하고 5~10℃의 냉암소에 보관하며 채수 후 24시간 안에 분석하여야 한다.
     3. 비소 측정용 시료는 염산을 가하여 pH 2 이하로 조절한다.
     4. 6가 크롬 측정용 시료는 4℃에서 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노말헥산추출물질 : 섭씨 4도, H2SO4 로 pH 2 이하 보관
페놀류 : 인산을 가하여 pH 4로 조절하고 시료 1L 당 황산동 1g 첨가
비소 : 1L당 HNO3 1.5ml로 pH 2 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NaOH 0.4g 이 물 1ℓ에 포함되어 있을 때의 액의 pH는?(2006년 05월)
     1. 10
     2. 11
     3. 12
     4. 13

     정답 : []
     정답률 : 45%

68.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을 정량분석에 이용할 수 없는 항목은?(2022년 04월)
     1. 염소이온
     2. 아질산성 질소
     3. 질산성 질소
     4. 암모니아성 질소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 음이온 측정
암모니아성 질소: 양이온
[해설작성자 : 법규면]

69. 다음 측정항목 중 시료 보존방법이 다른 것은?(2012년 08월)
     1. 총유기탄소
     2. 색도
     3. 아질산성 질소
     4. 6가크롬

     정답 : []
     정답률 : 30%

70. 다음 pH 표준액 중 pH 값이 0℃에서 가장 높은(큰) 값을 나타내는 표준액은?(2015년 03월)
     1. 프탈산염 표준액
     2. 수산염 표준액
     3. 탄산염 표준액
     4. 붕산염 표준액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온도별 표준용액의 pH값 (0도)
수산염(1.67) 프탈산염(4.01), 인산염(6.98), 붕산염(9.46), 탄산염(10.32), 수산화칼슘(13.43)
[해설작성자 : 김무빙]

71. 최대유량 1m3/분 이상인 경우, 용기에 의한 유량 측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맞는 것은?(2008년 05월)

    

     1. ① 1분, ② 매분 1cm
     2. ① 1분, ② 매분 3cm
     3. ① 5분, ② 매분 1cm
     4. ① 5분, ② 매분 3cm

     정답 : []
     정답률 : 48%

72. 공장폐수 및 하수유량-관(pipe)내의 유량측정 장치인 벤튜리미터의 범위(최대유량 : 최소유량)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2:1
     2. 3:1
     3. 4:1
     4. 5:1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관내 유량측정방법들 중 벤튜리미터, 노즐, 오리피스의 최대유량에 대한 최소유량의 범위가 동일하게 4:1
최소값은 피토우관의 3:1
최대값은 자기식 유량측정기의 10:1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73.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적용한 알킬수은 정량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검출기는 전자포획형 검출기를 사용하고 검출기의 온도는 140~200℃로 한다.
     2. 정량한계는 0.0005 mg/L 이다.
     3. 알킬수은화합물을 사염화탄소로 추출한다.
     4. 정밀도(% RSD)는 ±25% 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벤젠으로 추출한다.
[해설작성자 : 100]

74. 30배 희석한 시료를 15분간 방치한 후와 5일간 배양한 후의 DO가 각각 8.6 mg/L, 3.6 mg/L이었고,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식종액의 배양 전과 후의 DO가 각각 7.5mg/L, 3.7 mg/L이었다면 이 시료의 BOD(mg/L)는? (단, 희석시료 중의 식종액 함유율과 희석한 식종액 중의 식종액 함유율의 비는 0.1임)(2019년 03월)
     1. 139
     2. 143
     3. 147
     4. 150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8.6-3.6)×30-(7.5-3.7)÷10×(30-1)
[해설작성자 : lwj]

BOD(mg/L)=[(D1-D2)-(B1-B2)×f]×p
                 =[(8.6-3.6)-(7.5-3.7)×0.1]×30배
                 =138.6mg/L
[해설작성자 : 서가바보]

75.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신분해가 어려운 시료에 적용하는 전처리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2년 03월)
     1. 질산법
     2. 질산-염산법
     3. 질산-황산법
     4. 질산-과염소산법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질산법: 유기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은 시료의 전처리에 사용한다
질산-염산법: 유기물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고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인산염 및 황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시료에 적용되며 휘발성 또는 난용성 염화물을 생성하는    금속물질의 분석에 주의한다
질산-황산법: 유기물 등을 많이 함유하고있는 대부분의 시료에 적용된다. 그러나 칼슘, 바륨, 납 등을 다량 함유한 시료는 난용성의 황산염을 생성하여 다른 금속성분을 흡착하므로 주의한다

76. 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발광분광법에서 적용하는 정량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3월)
     1. 넓이백분율법
     2. 표준첨가법
     3. 내표준법
     4. 검량선법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넓이백분율법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
[해설작성자 : 김말이튀김]

77. 공장폐수 및 하수유량측정방법인 오리피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설치에 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비교적 유량 측정이 정확하다.
     2. 일직선상으로 관지름에 15∼50배 정도 떨어져 복수로 설치한다.
     3. 얇은 판 오리피스가 널리 이용되며 흐름의 수로 내에 설치한다.
     4. 단면이 축소되는 목부분을 조절함으로써 유량이 조절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2 - 피토우관 설명
[해설작성자 : 김뽀니]

78. 흡광광도 분석 장치의 구성 순서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광원부 - 파장선택부 - 시료부 - 측광부
     2. 시료부 - 광원부 - 파장선택부 - 측광부
     3. 시료부 - 파장선택부 - 광원부 - 측광부
     4. 광원부 - 시료부 - 파장선택부 - 측광부

     정답 : []
     정답률 : 65%

79. 개수로에 의한 유량 측정시 수로의 구성, 재질, 형상, 기울기 등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수로는 될수록 직선적이며, 수면이 물결치지 않는 곳을 고른다.
     2. 10m를 측정구간으로 하여 5m마다 유수의 횡단면적을 측정한다.
     3. 유속의 측정은 부표를 사용하여 10m 구간을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을 스톱워치(Stop Watch)로 잰다.
     4. 수로의 수량은 Q=60V∙A, V = 0.75Ve로 한다. (Q : 유량[m3/분], V : 총평균 유속[m/sec], Ve: 표면 최대 유속[m/sec], A : 평균단면적[m2])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0m를 측정구간으로 하여 2m마다 유수의 횡단면적을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쥬냥]

80. 금속류-불꽃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 일어나는 간섭 중 광학적 간섭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20년 09월)
     1. 표준용액과 시료 또는 시료와 시료 간의 물리적 성질(점도, 밀도, 표면장력 등)의 차이 또는 표준물질과 시료의 매질(matrix)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2. 불꽃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중성원자에서 전자를 빼앗아 이온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3. 분석하고자 하는 원소의 흡수파장과 비슷한 다른 원소의 파장이 서로 겹쳐 비이상적으로 높게 측정되는 경우이다.
     4. 불꽃의 온도가 분자를 들뜬 상태로 만들기에 충분히 높지 않아서, 해당 파장을 흡수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물리적 간섭
2. 이온화 간섭
4. 화학적 간섭
[해설작성자 : 아이씨]

81. 사업자가 환경기술인을 바꾸어 임명하는 경우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며칠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가?(2018년 04월)
     1. 3일
     2. 5일
     3. 7일
     4. 10일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시행령 제59조1항2호.환경기술인을 바꾸어 임명하는 경우: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5일 이내
[해설작성자 : kyb]

82. 다음의 수질오염방지시설중 물리적 처리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1. 유수분리시설
     2. 혼합시설
     3. 침전물 개량시설
     4. 응집시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침전물 개량시설은 화학적 처리시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83. 폐수배출시설에 대한 배출부과금을 부과하는 경우, 배출부과금 부과기준일 전 6개월 이상 방류수 수질 기준을 초과하여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아니한 사업자에 대한 기본배출부과금 감경율로 맞는 것은? (단, 최근 1년 이상 2년내에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아니한 경우 기준)(2009년 03월)
     1. 100분의 20
     2. 100분의 30
     3. 100분의 40
     4. 100분의 50

     정답 : []
     정답률 : 54%

84. 비점오염저감시설 유형 중 장치형 시설이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여과형 시설
     2. 와류형 시설
     3. 침투형 시설
     4. 스크린형 시설

     정답 : []
     정답률 : 52%

85. 발생폐수를 공공폐수처리시설로 유입하고자 하는 배출시설 설치자는 배수관거 등 배수설비를 기준에 맞게 설치하여야 한다. 배수 설비의 설치방법 및 구조기준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배수관의 관경은 내경 150mm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배수관은 우수관과 분리하여 빗물이 혼합되지 아니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배수관 입구에는 유효간격 10mm이하의 스크린을 설치하여야 한다.
     4. 배수관의 기점·종점·합류점·굴곡 점과 관경·관종이 달라지는 지점에는 유출 구를 설치하여야하며, 직선인 부분에는 내경의 200배 이하의 간격으로 맨홀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20배 입니다!
[해설작성자 : 우니우니스]

86. 환경부 장관은 대권역별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대권역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대권역 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권역별 수질오염 저감시설 현황 및 계획
     2.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 수질오염원의 분포현황
     3.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 수질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연물질 발생량
     4.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조치의 추진방향

     정답 : []
     정답률 : 27%

87. 배출시성 설치제한 지역 범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상수원보호구역의 취수시설로부터 상류로 유하거리 10킬로미터 이내인 집수구역
     2. 상수원보호구역의 취수시설로부터 상류로 유하거리 15킬로미터 이내인 집수구역
     3. 상수원보호구역이 아닌 지역의 취수시설로부터 상류로 유하거리 10킬로미터 이내인 집수구역
     4. 상수원보호구역이 아닌 지역의 취수시설로부터 상류로 유하거리 15킬로미터 이내인 집수구역

     정답 : []
     정답률 : 15%

88. 공동방지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때에 사업자가 제출하여야하는 서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배출시설설치허가,신고를 하지 않은 사업자의 경우)(2003년 08월)
     1. 사업장에서 공동방지시설에 이르는 배수관거 설치 도면 및 위치도(축척 2만 5천분의 1 지형도)
     2. 사업장별 원료사용량, 제품생산량에 관한 서류, 공정도와 폐수 배출배관도
     3. 사업장별 배출시설의 설치명세서 및 오염물질 등의 배출량예측서
     4. 사업장별 폐수배출량 및 오염물질농도를 측정할 수 없을 때의 배출부과금, 과태료, 과징금, 벌금등에 대한 분담내역을 포함한 공동방지시설의 운영에 관한 규약

     정답 : []
     정답률 : 13%

89. 공공수역에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누출, 유출시키거나 버린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2006년 03월)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25%

90. 비점오염저감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비점오염원 저감방안
     2. 비점오염원 관리 및 모니터링 방안
     3.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4. 비점오염원 관련 현황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비점오염저감시설 관리 및 모니터링 방안
[해설작성자 : 박범룡]

91. 특정수질유해물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트리클로로메탄
     2. 1,1-디클로로에틸렌
     3. 디클로로메탄
     4. 트리클로로에틸렌

     정답 : []
     정답률 : 26%

92. 청정지역에서 1일 폐수배출량이 1000m3이하로 배출하는 배출시설에 적용되는 배출 허용기준 중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mg/L)은? (단, 2020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기준)(2021년 05월)
     1. 30 이하
     2. 40 이하
     3. 50 이하
     4. 60 이하

     정답 : []
     정답률 : 43%

93. 초과부과금 산정기준으로 적용되는 수질오염 물질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높은(많은) 것은?(2022년 04월)
     1. 카드뮴 및 그 화합물
     2. 6가크롬 화합물
     3. 납 및 그 화합물
     4. 수은 및 그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카드뮴 및 그 화합물: 500,000원
6가크롬 화합물: 300,000원
납 및 그 화합물: 150,000원
수은 및 그 화합물: 1,250,000원(폴리염화비페닐과 함께 부과금액이 제일 높음)
[해설작성자 : 법규]

94. 시장, 군수, 구청장(자치구 구청장을 말한다)이 낚시금지 구역 또는 낚시제한구역을 지정하려는 경우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연도별 낚시 인구의 현황
     2. 수질오염도
     3. 낚시로 인한 쓰레기 추가 발생량 예측
     4. 서식 어류의 종류 및 양 등 수중 생태계의 현황

     정답 : []
     정답률 : 35%

95. 정당한 사유 없이 공공수역에 다량의 토사를 유출하거나 버려 상수원 또는 하천, 호소를 현저히 오염되게 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이를 위반하여 다량의 토사를 유출시키거나 버린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2008년 07월)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 만원 이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 5백만원 이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4. 5백만원 이하 벌금

     정답 : []
     정답률 : 32%

96. 수질오염경보의 종류별, 경보단계별 조치사항에 관한 내용 중 조류경보(조류대발생경보 단계)시 취수장, 정수장 관리자의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정수의 독소 분석 실시
     2.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처리, 오존처리)
     3. 취수구와 조류 우심지역에 대한 방어막 설치
     4. 조류증식 수심 이하로 취수구 이동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3번 방어막 설치는 수면관리자의 조치사항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97. 초과부과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총질소
     2. 불소화물
     3. 트리클로로에틸렌
     4. 망간 및 그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48%

98. 오염물질 희석처리를 인정받을 수 있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3월)
     1. 폐수의 염분이 높아 원래의 상태로는 생물화학적 처리가 어려운 경우
     2. 폐수의 유기물 농도가 높아 원래의 상태로는 생물 화학적 처리가 어려운 경우
     3. 폭발의 위험이 있어 원래의 상태로는 화학적 처리가 어려운 경우
     4. 폐수의 부유물질 농도가 높아 원래의 상태로는 화학적 처리가 어려운 경우

     정답 : []
     정답률 : 39%

99. 발령기준이 “생물감시 측정값이 생물감시 경보기준 농도를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초과하고, 전기전도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페놀, 중금속 (구리, 납, 아연, 카드늄 등)항목 중 1개 이상의 항목이 측정항목별 경보기준을 3배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수질오염 감시경보 단계는?(2011년 06월)
     1. 주의 단계
     2. 경계 단계
     3. 심각 단계
     4. 발생 단계

     정답 : []
     정답률 : 41%

100. 수질환경보전법의 규정에 의하여 폐수배출시설설치허가를 신청하고자 할 경우 첨부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5년 08월)
     1. 폐수배출시설의 위치도
     2. 원료 및 용수의 사용명세
     3. 방지시설의 배치도
     4. 폐수배출공정흐름도

     정답 : []
     정답률 : 12%


정 답 지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378299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수질오염개론


1. 호소의 부영양화에 대한 일반적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영양염류의 공급으로 농산물 수확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2. 조류나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용해성 유기물질이 불쾌한 맛과 냄새를 유발한다.
     3. 부영양화 평가모델은 인(P)부하모델인 Vollenweider 모델 등이 대표적이다.
     4. 심수층의 용존산소량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지속적x -> 일시적
[해설작성자 : 뽀글머리코알라]

2. Ca(OH)2 200mg.L 용액의 pH는 얼마인가? (단, Ca(OH)2는 완전 해리하는 것으로 한다. Ca(OH)2의 분자량=74)(2005년 08월)
     1. 11.43
     2. 11.63
     3. 11.73
     4. 11.83

     정답 : []
     정답률 : 55%

3. 호수의 성층 중에서 부영양화(Eutrophication)가 주로 발생하는 곳은 ?(2005년 03월)
     1. epilimnion
     2. thermocline
     3. hypolimnion
     4. mesolimnion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표층수(Epilimnion) : 부영양화 발생
수온약층(Thermocline) : 수온변화 급격함
심수층(Hypolimnion) : 수온변화 없음
[해설작성자 : 김뽀니]

4. 수중의 물질이동확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해역에서의 난류확산은 수평방향이 심하고 수직방향은 비교적 완만하다.
     2.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물에 용해하는 기체의 부피는 그 기체의 분압에 비례한다.
     3. 수중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속도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작아지며, 기체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4. 하천, 호수, 해역 등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분자확산, 여과, 전도현상 등에 의해 점점 농도가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물에 용해하는 기체의 부피는 그 기체의 분압에 반비례한다.
3. 수중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속도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작아지며, 기체 밀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4. 하천, 호수, 해역 등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분자확산, 여과, 전도현상 등에 의해 점점 농도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열공합시당]

3. 수중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속도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작아지며, 기체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옳은 내용이나 이는 기체의 이전에 관한 내용이므로 수중의 물질확산이 아닙니다.

4.하천, 호수, 해역 등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분자확산, 여과, 전도현상 등에 의해 점점 농도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다니엘문]

[추가 오류 신고]
2.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물에 용해하는 기체의 무게는 그 기체의 분압에 비례한다
3. 수중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속도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커지며 기체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4. 하천, 호수, 해역 등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분자확학, 여과, 전도현상 등에 의해 점점 농도가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자두가 최고로 귀여워]

[추가 오류 신고]
2.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와 압력은 반비례한다.(보일의법칙)
3. 기체의 확산속도는 무거운 분자일수록 느려지고, 용기 내외의 압력 나누기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그레이엄의 법칙)
4. 분자확산, 여과, 전도현상 등의 물리화학적 자정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의 농도는 낮아진다.
[출판사 : (주)시대고시기획, 책 : 2020 WinQ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필기]
[해설작성자 : 하루남았다어떡함ㅠ]

[오류신고 반론]
물쌤책에
"2,3번은 옳은 문구이나 이는 기체이전과 관련된 내용이지 수중의 물질이동확산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라고 해설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공주]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2. 헨리의 법칙 :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물에 용해하는 기체의 질량은 그 기체의 분압에 비례한다.
3. graham의 법칙 : 일정한 온도와 압력상태에서 기체의 확산속도는 그 기체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4. 하천, 호수, 해역 등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분자확산, 여과, 전도현상 등에 의해 점점 농도가 낮아진다.
2024 에듀윌 해설
[해설작성자 : 공무원시험합격은]

5. BOD5=300mg/ℓ 이고 COD 가 450 mg/ℓ 인 경우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는 얼마인가? (단, 상용대수적용, K1 = 0.2/ day)(2004년 03월)
     1. 105.5 mg/ℓ
     2. 116.7 mg/ℓ
     3. 127.8 mg/ℓ
     4. 134.3 mg/ℓ

     정답 : []
     정답률 : 81%

6. 소수성 콜로이드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물과 반발하는 성질을 가진다.
     2. 물 속에 suspension으로 존재한다.
     3. 다량의 염을 첨가하여야만 응결 침전한다.
     4. 매우 작은 입자로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7. 생물농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4월)
     1. 수생생물체내의 각종 중금속 농도는 환경수중의 농도보다는 높은 경우가 많다.
     2. 생물체중의 농도와 환경수중의 농도비를 농축비 또는 농축계수라고 한다.
     3. 수생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중금속의 농축비가 다른 경우가 많다.
     4. 농축비는 먹이사슬 과정에서 높은 단계의 소비자에 상당하는 생물일수록 낮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생물농축
농축비는 높은 사슬의 생물일수록 높다.
예) 플랑크톤 1마리가 중금속을 1 축적하고 있다고 가정
멸치가 플랑크톤 100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멸치 내에 1000 축적
고등어가 멸치 1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고등어 내에 10000 축적
삼치가 고등어 1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삼치 내에 100000 축적
[해설작성자 : 최강 걸그룹 트와이스]

8. 유량400000 m3/day의 하천에 인구 20만명의 도시로부터 30000 m3/day의 유량으로 하수가 유입되고 있다. 하수가 유입되기 전 하천의 BOD는 0.5mg/ℓ이고, 유입 후 하천의 BOD를 2mg/ℓ 로 하기 위해서 하수처리장을 건설하려고 한다면 이 처리장의 BOD 제거 효율은? (단, 인구 1인당 BOD 배출량은 20g/day라 한다.)(2012년 05월)
     1. 약 84%
     2. 약 87%
     3. 약 89%
     4. 약 92%

     정답 : []
     정답률 : 55%

9. 다음 설명과 가장 관계있는 것은?(2018년 03월)

   

     1. 박테리아
     2. 균류
     3. 조류
     4. 원생동물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유리산소가 존재해야한다는 것은 호기성이라는 뜻.
(혐기성은 결합산소가 존재.)
pH 낮은 곳에서도 자라는 것은 균류
[해설작성자 : minzy]

10. 수온 20℃, 유량 20m3/sec, BODu 5mg/L인 하천에 점오염원으로부터 유량 3m3/sec, 수온 20℃, 부하량 50gBODu/sec의 오염물질이 유입될 때 0.5일 유해 후의 잔류 BOD는? (단, 하천의 20℃의 탈산소 계수는 0.2/day(자연대수)이고, BOD분해에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DO가 하천내에 존재함)(2006년 08월)
     1. 4.3mg/L
     2. 4.8mg/L
     3. 5.9mg/L
     4. 6.2mg/L

     정답 : []
     정답률 : 32%

11. 다음의 유기물 1mole 이 완전 산화될 때 이론적인 산소요구량 (ThOD)이 가장 작은 것은?(2019년 04월)
     1. C6H6
     2. C6H12O6
     3. C2H5OH
     4. CH3COOH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7.5
2 6
3 3
4 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쉽게 생각하자면 C가 CO2가 될때 산소가 X2가 되니
C 탄소수가 작은게 산소도 적게 나온다 라고 생각하면 좋을듯합니다.
해설작성자 : 불굴의 노력가

12. 프로피온산(C2H5COOH) 0 .1M 용액이 4% 이온화 된다면 이온화 정수는?(2011년 08월)
     1. 1.7⨯10-4
     2. 7.6⨯10-4
     3. 8.3⨯10-5
     4. 9.3⨯10-5

     정답 : []
     정답률 : 48%

13. 수온 20℃, 유량 20m3/sec, BOdu 5mg/L인 하천에 점오염원으로부터 유량 3m3/sec, 수온 20℃, 부하량 50g BODu/sec의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완전혼합 될 때 0.5일 유하 후의 잔류 BOD는? (단, 하천의 20℃의 탈산소 계수는 0.2/day(자연대수)이고, BOD 분해에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DO가 하천내에 존재함)(2010년 03월)
     1. 약 7 mg/L
     2. 약 6 mg/L
     3. 약 5 mg/L
     4. 약 4 mg/L

     정답 : []
     정답률 : 42%

14. 다음은 반응조 혼합에 관한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Morrill 지수가 1인 경우, 이상적인 플러그 흐름상태이다.
     2. 분산 수가 무한대가 되면 이상적인 플러그 흐름상태이다.
     3. 분산 1이면 이상적인 완전혼합 흐름 상태이다.
     4. Morrill 지수의 값이 클수록 완전혼합 흐름 상태에 근접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15. 다음 중 경도(Hardness)에 관한 설명에서 틀린 것은?(2004년 03월)
     1. 일반적으로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이 경도의 주원인이 된다.
     2. 경도는 물의 세기정도를 말하며 2가 이상 양이온금속의 함량을 탄산칼슘(CaCO3)의 농도로 환산한값이다.
     3. 표토층이 얇거나 석회암층이 존재하는 곳에서 경도가 높은 물이 생성된다.
     4. 탄산경도 성분은 물을 끊일 때 제거되므로 일시경도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16. 부영양화가 진행되는 단계에서의 지표현상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심수층의 DO 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2. 플랑크톤 및 그 잔재물이 증가되고, 물의 투명도가 점차 낮아진다.
     3. 퇴적된 저니의 용출이 현격하게 늘어나며 COD 농도가 증가한다.
     4. 식물성 플랑크톤이 늘어나고 남조류, 녹조류 등이 규조류로 변화 되어 진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마지막 단계 수화현상 : 남조류
[해설작성자 : lwj]

규조류 : 청정수역 지표종
부영양화 진행 시 남조류·녹조류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분뇨의 특성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분뇨는 다량의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BOD, SS는 COD의 1/3 ∼ 1/2 정도이다.
     2. 분과 뇨의 구성비는 약 1:8∼10 정도이며 고액 분리가 어렵다.
     3. 뇨의 경우 질소화합물는 전체 VS의 75∼80% 정도 함유하고 있다.
     4. 분뇨내 염소이온의 농도는 약 4000mg/L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3 - VS의 80~90%
[해설작성자 : 김뽀니]

18. 경도에 과한 관계식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2,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8월)
     1. 총경도 – 비탄산경도 = 탄산경도
     2. 총경도 – 탄산경도 = 마그네슘경도
     3. 알칼리도 < 총경도 일 때 탄산경도 = 비탄산경도
     4. 알칼리도 ≥ 총경도 일 때 탄산경도 = 총경도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3.알칼리도<총경도 일때 일시경도(탄산경도) = 알칼리도
[해설작성자 : 민초만세]

19. 박테리아를 분류함에 있어 성장을 위한 환경적인 조건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는데, 다음 중 바닷물과 비슷한 염조건하에서 가장 잘 자라는 박테리아(호염균)는?(2004년 05월)
     1. Hyperthermophiles
     2. Microaerophiles
     3. Halophiles
     4. Chemotrophs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차례대로) 고세균 / 미호기성 생물    / 호기성 생물 / 화학합성생물 [번역투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하늘감자]

20. 하천의 길이가 500km이며, 유속은 56m/min이다. A 상류 지점의 BODu가 280ppm이라면, A 상류지점에서부터 378km 되는 하류지점의 BOD는? (단, 상용대수기준, 탈산소계수는 0.1/day, 수온은 20℃, 기타조건은 고려하지 않음)(2011년 08월)
     1. 45mg/L
     2. 68mg/L
     3. 95mg/L
     4. 132mg/L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BOD 유하식 적용 => BOD5=BODu*10^-kt
유속 = 80.64km/day
t = 378/80.64 = 4.6875 day
유하식 대입
BOD5 = 280*10^-(4.6875*0.1) = 95.15 mg/L
[해설작성자 : 목포해양대]

2과목 : 상하수도계획


21. 양정변화에 대하여 수량의 변동이 적고 또 수량변동에 대해 동력의 변화도 적어 우수용펌프등 수위변동이 큰 곳에 적합한 펌프로 가장 알맞는 것은?(2003년 03월)
     1. 원심펌프
     2. 사류펌프
     3. 축류펌프
     4. 수중펌프

     정답 : []
     정답률 : 54%

22. 하수관거 설계시 오수관거의 최소관경에 관한 기준은?(2014년 08월)
     1. 150mm를 표준으로 한다.
     2. 200mm를 표준으로 한다.
     3. 250mm를 표준으로 한다.
     4. 300m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23. 상수의 계획취수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저수용량의 결정에 사용하는 계획기준년은 ?(2005년 05월)
     1. 원칙적으로 7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2. 원칙적으로 10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3. 원칙적으로 15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4. 원칙적으로 20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24. 펌프의 토출량이 1.0m3/sec, 토출구의 유속이 3.55m/sec일 때 펌프의 구경은?(2011년 08월)
     1. 200mm
     2. 400mm
     3. 600mm
     4. 800mm

     정답 : []
     정답률 : 57%

25. 상수처리를 위한 침사지 구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4년 03월)
     1. 표면부하율은 200~500mm/min을 표준으로 한다.
     2. 지내 평균유속은 2~7m/min을 표준으로 한다.
     3.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6~1m의 여유고를 둔다.
     4. 지의 유효수심은 3~4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지내 평균유속은 2~7cm/sec를 표준으로 한다.

26. 배수지의 고수위와 저수위와의 수위차, 즉 배수지의 유효수심의 표준으로 적절한 것은?(2013년 08월)
     1. 1~2m
     2. 2~4m
     3. 3~6m
     4. 5~8m

     정답 : []
     정답률 : 77%

27. 하수 펌프장 시설인 스크류펌프의 일반적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회전수가 낮기 때문에 마모가 적다.
     2. 수중의 협잡물이 물과 함께 떠올라 폐쇄 가능성이 크다.
     3. 기둥에 필요한 물채움장치나 밸브 등 부대시설이 없어 자동운전이 쉽다.
     4. 토출측의 수로를 압력관으로 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스크류펌프는 다른 펌프와 다르게 혐잡물과 물을 함께 처리할 수 있으며, 폐쇄가능성이 적다.
* 스크류펌프는 대체로 점성이 있는 폐수를 양수하기에 적합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회전수가 낮아 마모가 적지만,
악취가 발생하고 펌프의 규모가 크며 토출측 수로를 압력관으로 할 수 없다(양정에 제한이 생긴다)
[해설작성자 : 스크류펌프]

28. 하수관거시설인 오수관거의 유속범위기준으로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최소 0.3m/sec, 최대 3.0m/sec 로 한다.
     2.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최소 0.6m/sec, 최대 3.0m/sec 로 한다.
     3. 계획1일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최소 0.3m/sec, 최대 3.0m/sec 로 한다.
     4. 계획1일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최소 0.6m/sec, 최대 3.0m/sec 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29. 펌프의 토출량은 200m3/min이며 흡입구의 유속이 10m/sec인 경우에 펌프의 흡입구경(mm)은?(2007년 08월)
     1. 463
     2. 523
     3. 653
     4. 713

     정답 : []
     정답률 : 60%

30. 지하수(복류수포함)의 취수 시설 중 집수매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복류수의 유황이 좋으면 안정된 취수가 가능하다.
     2. 하천의 대소에 영향을 받으며 주로 소하천에 이용된다.
     3. 침투된 물을 취수하므로 토사유입은 거의 없고 대개는 수질이 좋다.
     4. 하천바닥의 변동이나 강바닥의 저하가 큰 지점은 노출될 우려가 크므로 적당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하천의 대소에 관계없이 이용됨

31. 상수도 급수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급수관을 공공도로에 부설할 경우에는 도로 관리자가 정한 점용위치와 깊이에 따라 배관해야 하며 다른 매설물과의 간격을 30cm 이상 확보한다.
     2. 급수관을 부설하고 되메우기를 할 때에는 양질토 또는 모래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다짐하여 관을 보호한다.
     3. 급수관이 개거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개거의 위로 부설한다.
     4. 동결이나 결로의 우려가 있는 급수설비의 노출부분에 대해서는 적절한 방한조치나 결로방지조치를 강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급수관이 개거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개거의 아래로 부설한다.
[해설작성자 : 내가 보려고 씀]

32. 상수관로의 길이 800m, 내경 200mm에서 유속 2m/sec로 흐를때 관마찰 손실수두(m)는? (단, Darcy-Weisbach 공식을 이용, 마찰손실계수 = 0.02)(2017년 05월)
     1. 약 16.3
     2. 약 18.4
     3. 약 20.7
     4. 약 22.6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계수 × (길이/내경) × (속도2/(2×9.8)
0.02 × (800÷0.2) × (22÷(2×9.8))
[해설작성자 : lwj]

33. 도수관을 설계할 때 평균유속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1.5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3m/s로 한다.
     2.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1.5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6m/s로 한다.
     3.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3.0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3m/s로 한다.
     4.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3.0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6m/s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34. 하수처리시설의 이차침전지 유출설비 중 월류위어의 부하율(m3/m-day)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4년 05월)
     1. 60
     2. 120
     3. 190
     4. 250

     정답 : []
     정답률 : 28%

35. 정수시 처리대상물질(항목)과 처리방법이 잘못 짝지어진것은?(2015년 05월)
     1. 불용해성성분 - 조류 - 부상분리
     2. 불용해성성분 - 미생물(크립토스포리디움) - 활성탄
     3. 불용해성성분 - 탁도 - 완속여과방식
     4. 용해성성분 - 트리클로로에틸렌 - 폭기(스트리핑)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불용해성 성분—원생동물(크립토스포리디움)—막여과방식

[추가 해설]
불용해성성분 - 크리토스포리디움 : 완속여과방식, 급속여과방식, 막여과방식, 오존으로 처리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36. 하수도계획 수립 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침수방지계획
     2. 슬러지 처리 및 자원화 계획
     3. 물관리 및 재이용계획
     4. 하수도 구축지역 계획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침수방지계획
2. 슬러지 처리 및 자원화 계획
3, 물관리 및 재이용계획
4. 수질보전 계획
[해설작성자 : ㅇㅇ]

37. 계획우수량을 정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하수관거의 확률년수는 원칙적으로 10~30년으로 한다.
     2. 유입시간은 최소단위배수구의 지표면특성을 고려하여 구한다.
     3. 유출계수는 지형도를 기초로 답사를 통하여 충분히 조사하고 장래 개발계획을 고려하여 구한다.
     4. 유하시간은 최상류관거의 끝으로부터 하류관거의 어떤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획유량에 대응한 유속으로 나누어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출계수는 토지이용별 기초유출계수로부터 총괄유출계수를 구하는 것을 원칙
[해설작성자 : 내닝 ]

38.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한 낮추어 가용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2. 펌프의 회전속도를 낮게 하여 펌프의 필요유효흡입수두를 작게 한다.
     3. 흡입측 밸브롤 조금만 개방하고 펌프를 운전한다.
     4. 흡입관의 손실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 가용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흡입측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펌프를 운전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을 기원합니다]

39. 하수처리시설인 일차침전지의 표면부하율 기준으로 맞는 것은?(2009년 05월)
     1.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분류식의 경우 25~50m3/m2.d 로 한다.
     2.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분류식의 경우 15~25m3/m2.d 로 한다.
     3.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합류식의 경우 15~25m3/m2.d 로 한다.
     4.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합류식의 경우 25~50m3/m2.d 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15%

40. 펌프 선정에 대한 고려 사항중 잘못된 것은?(2003년 08월)
     1. 전양정이 6m 이하이고 구경이 200mm 이상의 경우는 사류(斜流)또는 축류(軸流)펌프를 선정함을 표준으로 한다.
     2. 전양정이 20m 이상이고 구경이 200mm 이하의 경우는 원심력 펌프를 선정함을 표준으로 한다.
     3. 침수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횡축(橫軸)펌프를 선정함을 표준으로 한다.
     4. 깊은우물 경우는 수중모우터펌프 혹은 깊은 우물용 펌프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3과목 : 수질오염방지기술


41. 생물막을 이용한 하수처리방식인 접촉산화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분해속도가 낮은 기질제거에 효과적이다.
     2. 난분해성물질 및 유해물질에 대한 내성이 높다.
     3. 고부하시에도 매체의 공극으로 인하여 폐쇄위험이 적다.
     4. 매체에 생성되는 생물량은 부하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고부하시 생물막 비대화로 접촉재가 막힐 수 있음
[해설작성자 : 한겸]

42. 1일 10,000m3의 폐수를 급속혼화지에서 체류시간 100sec, 평균속도경사(G) 400sec-1인 기계식고속 교반장치를 설치하여 교반하고자 한다. 이 장치의 필요한 소요동력은? (단, 수온은 10℃이고, 점성계수(μ)는 1.307×10-3kg/mㆍs)(2008년 07월)
     1. 약 2210W
     2. 약 2340W
     3. 약 2420W
     4. 약 2560W

     정답 : []
     정답률 : 42%

43. 혐기성공법 중 혐기성유동상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짧은 수리학적 체류시간과 높은 부하율로 운전가능
     2. 미생물 체류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저농도 유기성 폐수처리가능
     3. 유출수 재순환으로 유출수의 편류발생 방지
     4. 매질의 첨가나 제거가 용이

     정답 : []
     정답률 : 24%

44. 상향류혐기성 슬러지상(UASB)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B OD 및 SS 농도가 높은 폐수의 처리가 가능하다.
     2. HR T가 작아 반응조 용량을 작게할 수 있다.
     3. 상향류이므로 반응기 하부에 폐수의 분산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4. 기계적인 교반이나 여재가 불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BOD 및 SS농도가 높은 폐수의 처리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서가바보]

45. NO3가 박테리아에 의하여 N2로 환원되는 경우 폐수의 pH는?(2007년 08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화없다.
     4. 감소하다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6. 슬러지 내 고형물 무게의 1/3이 유기물질, 2/3가 무기물질이며, 이 슬러지 함수율은 80%, 유기물질 비중이 1.0, 무기물질 비중은 2.5라면 슬러지 전체의 비중은?(2021년 08월)
     1. 1.072
     2. 1.087
     3. 1.095
     4. 1.112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슬러지 = 건조 슬러지(고형물) + 물
함수율 80% = 나머지 고형물 20%, 전체 슬러지 질량 100 중 80 물, 20 고형물
고형물 중 1/3 유기물, 2/3 무기물, 고형물 전체 질량 = 1/3 + 2/3 = 1
비중 = 특정 물질 밀도/ 표준 물질 밀도, 표준 물질인 물 밀도 = 1
무기 고형물 비중 2.5,    유기 고형물 비중 1 -> 밀도 취급
밀도 = 질량/부피 -> 부피 = 질량/밀도
고형물 부피 1/3 * 1/1 + 2/3 * 1/2.5 = 0.6
고형물 질량/부피 = 1/고형물 부피 = 1/(1/3 * 1/1 + 2/3 * 1/2.5) = 1/0.6 = 1.67 = 고형물 밀도
전체 슬러지 질량/밀도 = 전체 슬러지 부피 = 100/밀도 = 20/1.67 고형물 부피 + 80/1 물 부피 = 91.98
100/91.98 = 전체 슬러지 밀도 = 1.087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47. 인구가 10000명인 마을에서 발생되는 하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는 처리장에 저율혐기성소화조를 설계하려고 한다. 생슬러지(건조고형물기준) 발생량은 0.11kg/인ㆍ일이며, 휘발성고형물은 건조고형물의 70%이다. 가스발생량은 0.94m3/VSSㆍkg이고 휘발성고형물의 65%가 소화된다면 일일 가스발생량(m3/day)은?(2018년 08월)
     1. 약 345
     2. 약 471
     3. 약 563
     4. 약 644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0.11kg/인.일 * 10000인 = 1100kg/일(총 고형물)
1100kg * 0.7 = 770kg (휘발성 고형물)
770kg * 0.65 =500.5 kg * 0.94m^3/VSS.kg = 470.5m^3
[해설작성자 : 햄]

48. 회전원판법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운전관리상 조작이 간단하고 소비전력량은 소규모 처리시설에서는 표준활성슬러지법에 비하여 적다.
     2. 질산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이로 인하여 처리수의 BOD가 낮아진다.
     3.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이차침전지에서 미세한 SS가 유출되기 쉽고 처리수의 투명도가 나쁘다.
     4. 살수여상과 같이 파리는 발생하지 않으나 하루살이가 발생하는 수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2. 질산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처리수의 BOD가 높은 편이다.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질산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pH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질산화로 인하여 처리수의 BOD가 낮아진다는 틀렸다.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는 주로 유기물 제거의 지표이며, 이는 종속영양미생물에 의해 제거됩니다. 질산화는 독립영양미생물인 질산화균에 의해 수행됩니다. 질산화 과정 자체가 직접적으로 유기물(탄소계 BOD)을 제거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AI한경대생]

49. 하수내 질소 및 인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UCT 공법의 경우 다른 공법과는 달리 침전지에서 반송되는 슬러지를 혐기조로 반송하지 않고 무산소조로 반송하는 데,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03월)
     1. 혐기조에 질산염의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인의 방출을 증대시키기 위해
     2. 호기조에서 질산화된 질소의 일부를 잔류 유기물을 이용하여 탈질시키기 위해
     3. 무산소조에 유입되는 유기물 부하를 감소시켜 탈질을 증대시키기 위해
     4. 후속되는 호기조의 질산화를 증대시키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43%

50. 용수의 소족에 사용할 수 있는 소독제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8월)
     1. 이산화염소는 맛과 냄새를 유발하는 페놀류화합물 제거에 주로 이용되었다.
     2. 이산화염소는 염소화 같이 THM을 생성하나 산화력은 염소보다 2.5배 강하다.
     3. 태양광중의 파장이 커질수록(길어질수록) 살균효과는 감소한다.
     4. 물을 멸균하기 위한 은의 투여량은 1μg - 0.5mg/L 정도로 알려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27%

51. 부상조의 최적 A/S비는 0.04, 처리할 폐수의 부유물질 농도는 250mg/ℓ, 20℃에서 414kPa로 가압할 때 반송율은(%)은?(2006년 05월)
     1. 약 10
     2. 약 13
     3. 약 17
     4. 약 19

     정답 : []
     정답률 : 10%

52. 물속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을 에어스트리핑으로 제거할 때 제거 효율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액체 중의 VOC농도가 클수록 효율이 증가한다.
     2.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주입할 때 제거효율은 증가한다.
     3. KLa가 감소하면 효율이 증가한다.
     4. 온도가 상승하면 효율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기체전달속도는 기체이전계수(K_La)와 비례한다.
dC/dt = K_La(DO_S-DO)

dC/dt : 산소전달속도, mg/L*hr
K_La : 총괄기체이전계수, /hr
DO_S : 포화DO농도, mg/L
DO : DO농도, mg/L
[해설작성자 : 하성]

53. 유량이 250m3/day이고 TOC 농도가 200mg/L인 페놀폐수를 고정상 탄소흡착 칼럼으로 처리하여 유출수의 TOC 농도를 10mg/L로 유지하려고 한다. 파괴점 도달시간은? (단, 수리학적 용적 부하율은 4m3/m3·hr이고, 탄소밀도는 400kg/m3, TOC 농도를 10mg/L로 유지할 수 있는 탄소 단위 질량당 처리수용적은 500L/kg 임)(2009년 03월)
     1. 약 1.2 day
     2. 약 2.1 day
     3. 약 3.4 day
     4. 약 4.2 day

     정답 : []
     정답률 : 18%

54. 슬러지 탈수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원심분리기∶고농도의 부유성 고형물에 적합
     2. 벨트형 여과기∶슬러시 특성에 민감함
     3. 원심분리기∶건조한 슬러지 케익을 생산함
     4. 벨트형 여과기∶유입부에 슬러지 분쇄기 설치가 필요함

     정답 : []
     정답률 : 42%

55. 활성슬러지 처리변법별 F/M 비가 가장 높은 것은?(2016년 03월)
     1. 표준활성슬러지법
     2. 순산소활성슬러지법
     3. 장기포기법
     4. 산화구법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F/M비
표준활성슬러지법: 0.2~0.4kgBOD/kgSS*day
순산소활성슬러지법: 0.3~0.6kgBOD/kgSS*day
장기포기법: 0.03~0.05kgBOD/kgSS*day
산화구법: 0.03~0.05kgBOD/kgSS*day
[해설작성자 : 어거지조]

56. 혐기성 소화시 소화가스 발생량 저하의 원인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저농도 슬러지 유입
     2. 소화슬러지 과잉배출
     3. 소화가스 누적
     4. 조내 온도저하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누적 -> 누출
[해설작성자 : 수질따보자]

57. 300m3/day의 폐수를 배출하는 도금공장이 있다. 이 폐수 중에는 CN-이 150mg/L 함유되어 다음 반응식을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NaClO의 양(kg)은 약 얼마인가?(2019년 03월)

    

     1. 180.4
     2. 300.5
     3. 322.4
     4. 344.8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sol)
2 x (12+14) : 5 x (23+35.5+16)
0.15 x 300    :        X    
X=322.3558
약 322.4
[해설작성자 : SIK]

58. 활성슬러지 포기조 용액을 사용한 실험값으로부터 얻은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최종침전지에서 슬러지의 침강성이 양호하다.
     2. 슬러지 밀도지수(SDI)는 0.5이하이다.
     3. 슬러지 용량지수(SVI)는 200 이상이다.
     4. 실모양의 미생물이 많이 관찰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SVI 200 이상이면 슬러지 팽화가 발생한다고 추측가능, 따라서 슬러지 팽화의 원인인 사상균이 관찰된다고 할 수 있음
100 전후로만 침강성 양호
SVI = 400*1000/1600
SDI = 100/SVI
[해설작성자 : 소표]

59. 함수율이 90%인 슬러지 겉보기 비중이 1.02이었다. 이 슬러지를 탈수하여 함수율이 60%인 슬러지를 얻었다면 탈수된 슬러지가 갖는 비중은? (단, 물의 비중 1.0)(2016년 08월)
     1. 약 1.09
     2. 약 1.19
     3. 약 1.29
     4. 약 1.39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 함수율 90%
         1                         0.1
     ----- =    0.9 + ------    ==> Ts 밀도=1.24
     1.02                        Ts 밀도

2) 함수율 60%
                     1
        ------------- = 0.6 + (0.4/1.24)
        총 슬러지 밀도

따라서 총 슬러지 밀도는 1.08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100/1.02 = 90/1 + 10/x 식으로 물이 아닌 TS의 비중을 구해줍니다.
100/y = 60/1 + 40/1.2439 처럼 TS의 비중을 대입하여 총 슬러지의 비중을 구해줍니다.
y = 1.0851
답은 1번 약 1.09 입니다.
[해설작성자 : 박범룡]

60.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발생되는 반응은?(2021년 03월)
     1. 포도당 → 알코올
     2. 초산 → 메탄
     3. 아질산염 → 질산염
     4. 포도당 → 초산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질산화 과정중 호기성 미생물 니트로박터가 아질산성 질소에서 질산성질소로
[해설작성자 : 아아하나]

4과목 :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61.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클로로필a 측정을 위한 기구 및 기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조직마쇄기
     2. 광정광도계
     3. 마개있는 원심 분리관
     4. 고압증기멸균기

     정답 : []
     정답률 : 25%

62. 수질분석용 시료의 보존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크롬분석용 시료는 C-HN03 1mL/L 를 넣어 보관한다.
     2. 페놀분석용 시료는 인산을 넣어 pH 4 이하로 조정한 후, 황산구리(1g/L)를 첨가하여 4℃에서 보관한다.
     3. 시안 분석용 시료는 수산화나트륨으로 pH 12 이상으로 하여 4℃에서 보관한다.
     4. 화학적산소요구량 분석용 시료는 황산으로 pH 2 이하로 하여 4℃에서 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20%

63. 시료채취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4년 03월)
     1. 유류 또는 부유물질 등이 함유된 시료는 시료의 균일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채취해야 하며 침전물 등이 부상하여 혼입되어서는 안된다.
     2. 퍼클로레이트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할 때 시료의 공기접촉이 없도록 시료병에 가득 채운다.
     3. 시료채취량은 시험항목 및 시험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보통 3~5L 정도이어야 한다.
     4.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용 시료를 채취할 때에는 뚜껑의 격막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 퍼클로레이트 시료를 채취해서 용기에 넣을 때 용기를 가득 채우는 것이 아닌 2/3만 채웁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64.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 시료의 최대보존기간이 다른 측정항목은?(2017년 05월)
     1. 페놀류
     2. 인산염인
     3. 화학적산소요구량
     4. 황산이온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페놀류, 화학적 산소요구량, 황산이온: 28일
인산염인: 48시간
[해설작성자 : ㅍㅅㅍ]

65. 수산화나트륨 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400mL로 하였을 때 이 용액의 pH는?(2019년 08월)
     1. 13.8
     2. 12.8
     3. 11.8
     4. 10.8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NaOH의
M = 1g/400ml * 1000ml/L * eq/40g = 0.0625M
pOH= 1.2
pH = 14 - pOH = 12.8
[해설작성자 : 홍차사랑]

66. 시료의 보존방법에 관한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노말헥산추출물질 측정용 시료는 염산(1+4)를 넣으 pH 4이하로 하여 마개를 한다.
     2. 페놀류 측정용 시료는 인산을 가하여 pH 4로 조절하고 시로 1L당 황산동 0.5g을 가하고 5~10℃의 냉암소에 보관하며 채수 후 24시간 안에 분석하여야 한다.
     3. 비소 측정용 시료는 염산을 가하여 pH 2 이하로 조절한다.
     4. 6가 크롬 측정용 시료는 4℃에서 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노말헥산추출물질 : 섭씨 4도, H2SO4 로 pH 2 이하 보관
페놀류 : 인산을 가하여 pH 4로 조절하고 시료 1L 당 황산동 1g 첨가
비소 : 1L당 HNO3 1.5ml로 pH 2 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NaOH 0.4g 이 물 1ℓ에 포함되어 있을 때의 액의 pH는?(2006년 05월)
     1. 10
     2. 11
     3. 12
     4. 13

     정답 : []
     정답률 : 45%

68.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을 정량분석에 이용할 수 없는 항목은?(2022년 04월)
     1. 염소이온
     2. 아질산성 질소
     3. 질산성 질소
     4. 암모니아성 질소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 음이온 측정
암모니아성 질소: 양이온
[해설작성자 : 법규면]

69. 다음 측정항목 중 시료 보존방법이 다른 것은?(2012년 08월)
     1. 총유기탄소
     2. 색도
     3. 아질산성 질소
     4. 6가크롬

     정답 : []
     정답률 : 30%

70. 다음 pH 표준액 중 pH 값이 0℃에서 가장 높은(큰) 값을 나타내는 표준액은?(2015년 03월)
     1. 프탈산염 표준액
     2. 수산염 표준액
     3. 탄산염 표준액
     4. 붕산염 표준액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온도별 표준용액의 pH값 (0도)
수산염(1.67) 프탈산염(4.01), 인산염(6.98), 붕산염(9.46), 탄산염(10.32), 수산화칼슘(13.43)
[해설작성자 : 김무빙]

71. 최대유량 1m3/분 이상인 경우, 용기에 의한 유량 측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맞는 것은?(2008년 05월)

    

     1. ① 1분, ② 매분 1cm
     2. ① 1분, ② 매분 3cm
     3. ① 5분, ② 매분 1cm
     4. ① 5분, ② 매분 3cm

     정답 : []
     정답률 : 48%

72. 공장폐수 및 하수유량-관(pipe)내의 유량측정 장치인 벤튜리미터의 범위(최대유량 : 최소유량)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2:1
     2. 3:1
     3. 4:1
     4. 5:1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관내 유량측정방법들 중 벤튜리미터, 노즐, 오리피스의 최대유량에 대한 최소유량의 범위가 동일하게 4:1
최소값은 피토우관의 3:1
최대값은 자기식 유량측정기의 10:1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73.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적용한 알킬수은 정량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검출기는 전자포획형 검출기를 사용하고 검출기의 온도는 140~200℃로 한다.
     2. 정량한계는 0.0005 mg/L 이다.
     3. 알킬수은화합물을 사염화탄소로 추출한다.
     4. 정밀도(% RSD)는 ±25% 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벤젠으로 추출한다.
[해설작성자 : 100]

74. 30배 희석한 시료를 15분간 방치한 후와 5일간 배양한 후의 DO가 각각 8.6 mg/L, 3.6 mg/L이었고,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식종액의 배양 전과 후의 DO가 각각 7.5mg/L, 3.7 mg/L이었다면 이 시료의 BOD(mg/L)는? (단, 희석시료 중의 식종액 함유율과 희석한 식종액 중의 식종액 함유율의 비는 0.1임)(2019년 03월)
     1. 139
     2. 143
     3. 147
     4. 150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8.6-3.6)×30-(7.5-3.7)÷10×(30-1)
[해설작성자 : lwj]

BOD(mg/L)=[(D1-D2)-(B1-B2)×f]×p
                 =[(8.6-3.6)-(7.5-3.7)×0.1]×30배
                 =138.6mg/L
[해설작성자 : 서가바보]

75.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신분해가 어려운 시료에 적용하는 전처리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2년 03월)
     1. 질산법
     2. 질산-염산법
     3. 질산-황산법
     4. 질산-과염소산법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질산법: 유기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은 시료의 전처리에 사용한다
질산-염산법: 유기물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고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인산염 및 황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시료에 적용되며 휘발성 또는 난용성 염화물을 생성하는    금속물질의 분석에 주의한다
질산-황산법: 유기물 등을 많이 함유하고있는 대부분의 시료에 적용된다. 그러나 칼슘, 바륨, 납 등을 다량 함유한 시료는 난용성의 황산염을 생성하여 다른 금속성분을 흡착하므로 주의한다

76. 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발광분광법에서 적용하는 정량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3월)
     1. 넓이백분율법
     2. 표준첨가법
     3. 내표준법
     4. 검량선법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넓이백분율법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
[해설작성자 : 김말이튀김]

77. 공장폐수 및 하수유량측정방법인 오리피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설치에 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비교적 유량 측정이 정확하다.
     2. 일직선상으로 관지름에 15∼50배 정도 떨어져 복수로 설치한다.
     3. 얇은 판 오리피스가 널리 이용되며 흐름의 수로 내에 설치한다.
     4. 단면이 축소되는 목부분을 조절함으로써 유량이 조절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2 - 피토우관 설명
[해설작성자 : 김뽀니]

78. 흡광광도 분석 장치의 구성 순서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광원부 - 파장선택부 - 시료부 - 측광부
     2. 시료부 - 광원부 - 파장선택부 - 측광부
     3. 시료부 - 파장선택부 - 광원부 - 측광부
     4. 광원부 - 시료부 - 파장선택부 - 측광부

     정답 : []
     정답률 : 65%

79. 개수로에 의한 유량 측정시 수로의 구성, 재질, 형상, 기울기 등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수로는 될수록 직선적이며, 수면이 물결치지 않는 곳을 고른다.
     2. 10m를 측정구간으로 하여 5m마다 유수의 횡단면적을 측정한다.
     3. 유속의 측정은 부표를 사용하여 10m 구간을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을 스톱워치(Stop Watch)로 잰다.
     4. 수로의 수량은 Q=60V∙A, V = 0.75Ve로 한다. (Q : 유량[m3/분], V : 총평균 유속[m/sec], Ve: 표면 최대 유속[m/sec], A : 평균단면적[m2])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0m를 측정구간으로 하여 2m마다 유수의 횡단면적을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쥬냥]

80. 금속류-불꽃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 일어나는 간섭 중 광학적 간섭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20년 09월)
     1. 표준용액과 시료 또는 시료와 시료 간의 물리적 성질(점도, 밀도, 표면장력 등)의 차이 또는 표준물질과 시료의 매질(matrix)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2. 불꽃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중성원자에서 전자를 빼앗아 이온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3. 분석하고자 하는 원소의 흡수파장과 비슷한 다른 원소의 파장이 서로 겹쳐 비이상적으로 높게 측정되는 경우이다.
     4. 불꽃의 온도가 분자를 들뜬 상태로 만들기에 충분히 높지 않아서, 해당 파장을 흡수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물리적 간섭
2. 이온화 간섭
4. 화학적 간섭
[해설작성자 : 아이씨]

81. 사업자가 환경기술인을 바꾸어 임명하는 경우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며칠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가?(2018년 04월)
     1. 3일
     2. 5일
     3. 7일
     4. 10일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시행령 제59조1항2호.환경기술인을 바꾸어 임명하는 경우: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5일 이내
[해설작성자 : kyb]

82. 다음의 수질오염방지시설중 물리적 처리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1. 유수분리시설
     2. 혼합시설
     3. 침전물 개량시설
     4. 응집시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침전물 개량시설은 화학적 처리시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83. 폐수배출시설에 대한 배출부과금을 부과하는 경우, 배출부과금 부과기준일 전 6개월 이상 방류수 수질 기준을 초과하여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아니한 사업자에 대한 기본배출부과금 감경율로 맞는 것은? (단, 최근 1년 이상 2년내에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아니한 경우 기준)(2009년 03월)
     1. 100분의 20
     2. 100분의 30
     3. 100분의 40
     4. 100분의 50

     정답 : []
     정답률 : 54%

84. 비점오염저감시설 유형 중 장치형 시설이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여과형 시설
     2. 와류형 시설
     3. 침투형 시설
     4. 스크린형 시설

     정답 : []
     정답률 : 52%

85. 발생폐수를 공공폐수처리시설로 유입하고자 하는 배출시설 설치자는 배수관거 등 배수설비를 기준에 맞게 설치하여야 한다. 배수 설비의 설치방법 및 구조기준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배수관의 관경은 내경 150mm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배수관은 우수관과 분리하여 빗물이 혼합되지 아니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배수관 입구에는 유효간격 10mm이하의 스크린을 설치하여야 한다.
     4. 배수관의 기점·종점·합류점·굴곡 점과 관경·관종이 달라지는 지점에는 유출 구를 설치하여야하며, 직선인 부분에는 내경의 200배 이하의 간격으로 맨홀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20배 입니다!
[해설작성자 : 우니우니스]

86. 환경부 장관은 대권역별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대권역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대권역 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권역별 수질오염 저감시설 현황 및 계획
     2.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 수질오염원의 분포현황
     3.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 수질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연물질 발생량
     4.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조치의 추진방향

     정답 : []
     정답률 : 27%

87. 배출시성 설치제한 지역 범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상수원보호구역의 취수시설로부터 상류로 유하거리 10킬로미터 이내인 집수구역
     2. 상수원보호구역의 취수시설로부터 상류로 유하거리 15킬로미터 이내인 집수구역
     3. 상수원보호구역이 아닌 지역의 취수시설로부터 상류로 유하거리 10킬로미터 이내인 집수구역
     4. 상수원보호구역이 아닌 지역의 취수시설로부터 상류로 유하거리 15킬로미터 이내인 집수구역

     정답 : []
     정답률 : 15%

88. 공동방지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때에 사업자가 제출하여야하는 서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배출시설설치허가,신고를 하지 않은 사업자의 경우)(2003년 08월)
     1. 사업장에서 공동방지시설에 이르는 배수관거 설치 도면 및 위치도(축척 2만 5천분의 1 지형도)
     2. 사업장별 원료사용량, 제품생산량에 관한 서류, 공정도와 폐수 배출배관도
     3. 사업장별 배출시설의 설치명세서 및 오염물질 등의 배출량예측서
     4. 사업장별 폐수배출량 및 오염물질농도를 측정할 수 없을 때의 배출부과금, 과태료, 과징금, 벌금등에 대한 분담내역을 포함한 공동방지시설의 운영에 관한 규약

     정답 : []
     정답률 : 13%

89. 공공수역에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누출, 유출시키거나 버린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2006년 03월)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25%

90. 비점오염저감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비점오염원 저감방안
     2. 비점오염원 관리 및 모니터링 방안
     3.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4. 비점오염원 관련 현황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비점오염저감시설 관리 및 모니터링 방안
[해설작성자 : 박범룡]

91. 특정수질유해물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트리클로로메탄
     2. 1,1-디클로로에틸렌
     3. 디클로로메탄
     4. 트리클로로에틸렌

     정답 : []
     정답률 : 26%

92. 청정지역에서 1일 폐수배출량이 1000m3이하로 배출하는 배출시설에 적용되는 배출 허용기준 중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mg/L)은? (단, 2020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기준)(2021년 05월)
     1. 30 이하
     2. 40 이하
     3. 50 이하
     4. 60 이하

     정답 : []
     정답률 : 43%

93. 초과부과금 산정기준으로 적용되는 수질오염 물질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높은(많은) 것은?(2022년 04월)
     1. 카드뮴 및 그 화합물
     2. 6가크롬 화합물
     3. 납 및 그 화합물
     4. 수은 및 그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카드뮴 및 그 화합물: 500,000원
6가크롬 화합물: 300,000원
납 및 그 화합물: 150,000원
수은 및 그 화합물: 1,250,000원(폴리염화비페닐과 함께 부과금액이 제일 높음)
[해설작성자 : 법규]

94. 시장, 군수, 구청장(자치구 구청장을 말한다)이 낚시금지 구역 또는 낚시제한구역을 지정하려는 경우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연도별 낚시 인구의 현황
     2. 수질오염도
     3. 낚시로 인한 쓰레기 추가 발생량 예측
     4. 서식 어류의 종류 및 양 등 수중 생태계의 현황

     정답 : []
     정답률 : 35%

95. 정당한 사유 없이 공공수역에 다량의 토사를 유출하거나 버려 상수원 또는 하천, 호소를 현저히 오염되게 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이를 위반하여 다량의 토사를 유출시키거나 버린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2008년 07월)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 만원 이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 5백만원 이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4. 5백만원 이하 벌금

     정답 : []
     정답률 : 32%

96. 수질오염경보의 종류별, 경보단계별 조치사항에 관한 내용 중 조류경보(조류대발생경보 단계)시 취수장, 정수장 관리자의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정수의 독소 분석 실시
     2.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처리, 오존처리)
     3. 취수구와 조류 우심지역에 대한 방어막 설치
     4. 조류증식 수심 이하로 취수구 이동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3번 방어막 설치는 수면관리자의 조치사항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97. 초과부과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총질소
     2. 불소화물
     3. 트리클로로에틸렌
     4. 망간 및 그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48%

98. 오염물질 희석처리를 인정받을 수 있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3월)
     1. 폐수의 염분이 높아 원래의 상태로는 생물화학적 처리가 어려운 경우
     2. 폐수의 유기물 농도가 높아 원래의 상태로는 생물 화학적 처리가 어려운 경우
     3. 폭발의 위험이 있어 원래의 상태로는 화학적 처리가 어려운 경우
     4. 폐수의 부유물질 농도가 높아 원래의 상태로는 화학적 처리가 어려운 경우

     정답 : []
     정답률 : 39%

99. 발령기준이 “생물감시 측정값이 생물감시 경보기준 농도를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초과하고, 전기전도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페놀, 중금속 (구리, 납, 아연, 카드늄 등)항목 중 1개 이상의 항목이 측정항목별 경보기준을 3배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수질오염 감시경보 단계는?(2011년 06월)
     1. 주의 단계
     2. 경계 단계
     3. 심각 단계
     4. 발생 단계

     정답 : []
     정답률 : 41%

100. 수질환경보전법의 규정에 의하여 폐수배출시설설치허가를 신청하고자 할 경우 첨부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5년 08월)
     1. 폐수배출시설의 위치도
     2. 원료 및 용수의 사용명세
     3. 방지시설의 배치도
     4. 폐수배출공정흐름도

     정답 : []
     정답률 : 12%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378299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0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389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0년03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388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387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역사회간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386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3782998)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384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8173112)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383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382 9급 지방직 공무원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8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8985870)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380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4204336)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79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8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10
1378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8
1377 컴퓨터그래픽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76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75 직업상담사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8
1374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73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72 방송통신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0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7
1371 9급 국가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Board Pagination Prev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192 Next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