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817311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배원론


1. 식물에 대한 옥신의 기능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발근 촉진
     2. 가지의 굴곡 유도
     3. 낙과방지
     4. 개화 지연

     정답 : []
     정답률 : 79%

2. 음지 식물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광보상점이 높다.
     2. 광을 강하게 받을수록 생장이 좋다.
     3. 수목 밑에서는 생장이 좋지 않다.
     4. 광포화점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82%

3. 밭작물 생육에 가장 적합한 토양의 수분항수(水分恒數)는?(2007년 03월)
     1. 최대용수량
     2. 최소용수량
     3. 풍건상태
     4. 건토상태

     정답 : []
     정답률 : 70%

4. C4 작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광 포화점이 높다.
     2. 광 호흡률이 높다.
     3. 광 보상점이 낮다.
     4. 광합성효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56%

5. 녹체 춘화형 식물들로만 나열된 것은?(2007년 03월)
     1. 추파맥류, 봄 올무
     2. 봄 올무, 양배추
     3. 양배추, 히요스
     4. 히요스, 잠두

     정답 : []
     정답률 : 50%

6. 다음 중 식물분류학적 방법에서 작물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벼과 작물
     2. 콩과 작물
     3. 가지과 작물
     4. 공예 작물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계통별 작물의 종류 : 식용작물, 약용작물, 사료작물, 공예작물, 조미작물
[해설작성자 : 돌맹이]

7. 광합성 연구에 활용되는 방사선 동위 원소는?(2021년 03월)
     1. 14C
     2. 32P
     3. 42K
     4. 24Na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방사성 동위원소: 핵이 불안정하여 외부의 자극이 없어도 일정한 확률로 붕괴되어 안정한 원소가 되려고 하는데, 원소들이 붕괴되면서 방사선(⍺선, β선, γ선)을 방출 → 감마선을 이용한 감자, 양파의 맹아 억제
㉠ 광합성 연구: 14C
㉡ 댐의 누수 추적: 24Na
㉢ 살균, 살충 및 맹아억제: 60Co, 137Cs
㉣ 작물의 영양생리 연구: 32P, 45Ca, 42K
[해설작성자 : Johns]

8.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기공의 열림을 촉진하는 광 파장은?(2017년 03월)
     1. 적색광
     2. 청색광
     3. 녹색광
     4. 자외선

     정답 : []
     정답률 : 49%

9. 작물의 생육기간 중 일어나는 가뭄재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7월)
     1. 비닐멀칭
     2. 중경제초
     3. 배수관리
     4. 답압(踏壓)

     정답 : []
     정답률 : 24%

10. 다음 중 벼의 적산온도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500 ~ 1000℃
     2. 1200 ~ 1500℃
     3. 2000 ~ 2500℃
     4. 3500 ~ 4500℃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적산온도 (발아에서 성숙까지 0℃이상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온도)
㉠ 벼: 3500~4500℃
㉡ 담배: 3200~3600℃
㉢ 조: 1800~3000℃
㉣ 메밀: 1000~1200℃
[해설작성자 : Johns]

11. 메밀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2007년 08월)
     1. 이형예현상
     2. 장주화
     3. 적법수분
     4. 교잡불화합성

     정답 : []
     정답률 : 67%

12. 엽록소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파장은?(2021년 03월)
     1. 황색광 영역
     2. 자외선과 자색광 영역
     3. 녹색광 영역
     4. 청색광과 적색광 영역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엽록소 (특정한 파장의 광선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광 에너지를 반응중심에 전달하는 특성)
㉠ 적색대(640~670nm) 부분과 청색대(430~460nm) 부분의 광은 흡수가 잘 됨
㉡ 가장 효율적인 광합성의 작용 스펙트럼은 엽록소가 최대의 흡수를 나타낸 파장의 광선, 즉 적생광과 청색광에서 광합성 최대
[해설작성자 : Johns]

13. 옥신의 사용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국화 삽목 시 발근을 촉진한다.
     2. 앵두나무 접목시 접수와 대목의 활착을 촉진한다.
     3. 파인애플의 화아분화를 촉진한다.
     4. 사과나무의 과경 이층형성을 촉진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발근촉진: 삽목,취목등 영양번식할때 옥신처리로 발근이 촉진
접목의 활착 촉진: 앵두나무나 매화나무에서 접수, 대목의 접착부에 lAA 라놀린 연고를 바르면 유상조직 형성되어 활착이 촉진
개화촉진: 파인애플에 NAA, 2,4-D 등을 살포하면 화아분화 촉진.
낙과방지: 사과나무는 자연 낙화 직전에 NAA,2,4-D 등을 살포하면 과경(열매자루)의 이층형성을 억제하여 낙과를 방지
[해설작성자 : 뚱대갈]

14. 풍해의 기계적 장해에 해당 되는 것은?(2008년 07월)
     1. 벼에서 수분 및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립(不稔粒)이 발생한다.
     2. 상처가 나면 호흡이 증대되어 체내의 양분 소모가 증대 된다.
     3. 증산이 커져서 식물이 건조해진다.
     4. 기공이 닫혀 광합성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15. 수비(이삭거름)는 벼의 일생 중 어느 생육단계에 시용하는 가?(2017년 03월)
     1. 유수분화기
     2. 유수형성기
     3. 감수분열기
     4. 수전기

     정답 : []
     정답률 : 63%

16. 1m2의 현미 무게가 1kg이고 이때 현미의 수분함량이 17%이다. 수분함량이 15%일 때 10a의 현미수량은?(2010년 05월)
     1. 약 293kg
     2. 약 488kg
     3. 약 512kg
     4. 약 976kg

     정답 : []
     정답률 : 43%

17. 벼에서 백화묘(白化苗)의 발생은 어떤 성분의 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인가?(2021년 03월)
     1. BA
     2. 카로티노이드
     3. ABA
     4. NAA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광산화의 발생: 벼 육묘시 발아 후, 약광에서 녹화시키지 않고, 직사광선에 노출시키면 엽록소가 파괴되어 백화묘가 발생 → 저온에서는 엽록소 산화를 방지하는 카로티노이드 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갑자기 강한 광을 받으면 엽록소가 광산화로 파괴)
[해설작성자 : Johns]

18. 겨울이 추운 지방에서 추파맥류를 재배할 때 춘파맥류 종자를 섞어 뿌리는 경우 춘파맥류의 올바른 분류는?(2005년 09월)
     1. 보호작물
     2. 동반작물
     3. 수반작물
     4. 부작물

     정답 : []
     정답률 : 46%

19. 버널리제이션(春化處理)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추파성 정도가 높은 식물일수록 장기 저온처리를 해야 효과가 있다.
     2. 버널리제이션에 감응하는 부위는 잎이다.
     3. 버널리제이션에 산소의 공급은 필요하지 않다.
     4. 최아한 봄밀(春播麥類)을 1~2℃에서 저온처리했을 때 개화촉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말 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20. 육묘 중 상토의 EC가 높아졌을 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상토의 EC가 높아지는 원인은 관수량 부족으로 염분이 배수공을 통하여 용탈되지 못하고 상토에 집적되기 때문이다.
     2. 상토의 EC가 높아지면 지상부와 뿌리의 생육에 너무 왕성하여 도장하기 쉽다.
     3. 상토의 EC가 높아지면 잎이 진한 녹색을 띠면서 잎 가장자리가 괴사한다.
     4. 높아진 상토의 EC를 낮추기 위하여 시비량을 줄이거나 관개수의 양을 증가시켜 용탈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4%

2과목 :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의 소성지수를 산정하는 계산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소성지수 = 소상상한 - 점토활성도
     2. 소성지수 = 점토향량 - 소성상한
     3. 소성지수 = 소상하한 - 소성상한
     4. 소성지수 = 소성상한 – 소성하한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소성지수는 토양이 소성을 나타내는 최소 수분 함량(소성 하한)과 최대 수분 함량(소성 상한)의 차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토양의 전용적밀도(bulk density)가 1.8g/cm3일 때 75cm3용적에 들어 있는 건조토양의 질량은?(2010년 05월)
     1. 135g
     2. 42g
     3. 36g
     4. 0.024g

     정답 : []
     정답률 : 22%

23. 토양을 조사하고 분류할 때 기본적으로 토양의 단면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이 대 조사해야 할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토양층위의 발달
     2. 토성
     3. 토양미생물 구성
     4. 토양 구조

     정답 : []
     정답률 : 72%

24. 식물생장촉진 근권미생물의 기능이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질소고정
     2. 식물생장촉진호르몬 생성
     3. 시데로포아(siderophore) 생성
     4. 타감작용(alleropathy)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타감작용 : 식물에서 일정한 화학물질이 생성되어 다른 식물의 생존을 막거나 성장 저해 때로는 촉진하는 작용
                     우리나라 야산에서는 소나무와 참나무 많이 경쟁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고추의 켑사이신, 마늘의 알리신이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도오트]

25. 다음중 산성 토양에 석회물질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혜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8월)
     1. Ca 성분 공급효과
     2. 토양산도 교정효과
     3. 토양생물의 활성증진 효과
     4. 토양교질물의 변두리 음전하량 증가효과

     정답 : []
     정답률 : 70%

26. 빗물이 모여 작은 골짜기를 만들면서 토양을 침식시키는 작용은?(2021년 05월)
     1. 우곡침식
     2. 계곡침식
     3. 유슈침식
     4. 비옥도침식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계곡침식: 빗물이 큰 골짜기를 형성한 침식이 대단한 상태
유수침식: 골짜기 물이 모여 강물을 이루고 암석을 깎아내는 삭마작용
표면침식(비옥도침식): 분산된 미세토립으로 토양공극이 메워지면 토양 투수력이 경감되어 이때 투수되지못한 물에의해 지표면을 침식시킴
[해설작성자 : 달님]

27. 다음 중 1:1 격자형 정토광물로만 연결된 것은?(2007년 03월)
     1. Vermiculite, Halloysite
     2. Halloysite, Mica
     3. mica, Smectite
     4. Halloysite, Kaolinite

     정답 : []
     정답률 : 63%

28. 풍화산물의 이동과 퇴적 방식에 따라 정적토와 운적토로 구분된다. 정적토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3월)
     1. 이탄토
     2. 붕적토
     3. 선상퇴토
     4. 수적토

     정답 : []
     정답률 : 68%

29. 농약과 같은 유기화학물질이 토양에서 용탈되는데 관여하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3월)
     1. 유기화학물질의 증기압
     2. 점토 양
     3. 토양유기물 양
     4. 유기화학물질의 용해도

     정답 : []
     정답률 : 65%

30. 치환산도 측정을 위해 수소이온 침출용으로 어떤 용액을 주로 사용하는가?(2006년 08월)
     1. KCL
     2. NaCL
     3. H2O
     4. H2O2

     정답 : []
     정답률 : 74%

31. 유기태질소의 무기화가 가장 빨리 일어날 수 있는 C/N비는?(2005년 09월)
     1. 12:1
     2. 120:1
     3. 20:1
     4. 60:1

     정답 : []
     정답률 : 47%

32. 지표면 가까이 까지 수분으로 포화된 토양의 통기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3월)
     1. 토양가열
     2. 유기물 첨가
     3. 지하수위 저하
     4. 플라스틱 멀칭

     정답 : []
     정답률 : 36%

33. 토양에 물을 가하면 이 성질을 나타내는데, 이 상태의 토양에 힘을 가했을 때 파괴되는 일이 없이 모양이 변화되고, 힘이 제거된 후에도 원형으로 돌아가지 않는 토양의 성질은?(2013년 08월)
     1. 강성(견결성)
     2. 이쇄성(취쇄성 또는 송성)
     3. 응집성
     4. 가소성(소성)

     정답 : []
     정답률 : 57%

34. 콩과 식물로서 뿌리혹박테리아 질소고정능력이 다음 중 가장 낮은 작물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3년 06월)
     1. 알팔파
     2. 대두
     3. 완두
     4. 레드클로버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질소고정능력 순서는 알팔파>스위트클로버>대두>완두>땅콩 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토양생성작용 중 일반적으로 한랭습윤지대의 침엽수림 식생환경에서 생성되는 작용은?(2021년 05월)
     1. 포드졸화 작용
     2. 라테라이트화 작용
     3. 회색화 작용
     4. 염류화 작용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포드졸화 : 한랭습윤지역
2. 라테라이트화 : 고온다습지역
3. 회색화 : 습윤한 냉습지대의 저지대
4. 염류화 : 사막, 반건조 지대
[해설작성자 : 미니무니]

36. 다음 중 토양생물 개체수(/m2)가 많은 것부터 적은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토양 15cm 깊이 기준이다.)(2012년 08월)
     1. 사상균 > 세균 > 방선균 > 조류
     2. 세균 > 방선균 > 선충 > 조류
     3. 방선균 > 세균 > 사상균 > 조류
     4. 세균 > 방선균 > 사상균 > 조류

     정답 : []
     정답률 : 61%

37. 질소성분 100kg을 토양에 처리하여 작물에 회수된 질소량이 50kg이었고, 시비하지 않은 토양에서는 작물로 20kg의 질소가 회수되었다. 이때 이 질소비료의 질소이용효율(nitrogen use efficiency)은?(2010년 05월)
     1. 50%
     2. 20%
     3. 30%
     4. 70%

     정답 : []
     정답률 : 72%

38. 토양 중금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비소는 5가 양이온 보다 3가 양이온의 독성이 더 크다.
     2. 크롬은 3가 양이온 보다 6가 양이온의 독성이 더 크다.
     3. 인산시용은 카드뮴의 유효도를 증가시킨다.
     4. 토양 중 납의 천연 함량은 약 10 ppm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39. 토양조사의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2021년 03월)
     1. 토지 가격의 산정
     2. 합리적인 토지 이용
     3. 적합한 재배 작물 선정
     4. 토지 생산성 관리

     정답 : []
     정답률 : 82%

40. 토양의 단면 중 점토 및 양분이 가장 많이 용탈되는 층과 집적되는 층은?(2017년 08월)
     1. O층과 A층
     2. A층과 B층
     3. B층과 C층
     4. C층과 R층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O층은 표토 유기물층이며, A층은 Fe,Al등이 하층으로 용탈하는 용탈층이며, B층은A층으로부터 Al, Fe등이 집적되는 집적층이다.
[해설작성자 : bbongbird]

3과목 : 유기농업개론


41. 일반농가가 유기축산으로 전환하거나 유기가축이 아닌 가축을 유기농장으로 입식하여 유기 축사물을 생산ㆍ판매하려는 경우에는 일정한 전환기간 이상을 유기축산물인증기준에 따라 사육해야 한다. 친환경농업육성법에 규정하고 있는 축종의 생산물별 최소사육기간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한ㆍ육우(식육)-입식 후 출하 시까지 최소 6개월 이상
     2. 돼지(식육)-입식 후 출하 시까지 최소 5개월 이상
     3. 육계(식육)-입식 후 출하 시까지 최소 3주 이상
     4. 산란계(알)-입식 후 3개월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한ㆍ육우(식육) - 입식 후 출하 시까지 최소 12개월 이상
[해설작성자 : 축산학도인내가유기농업기사를?!]

42. 다음 중 ( )에 알맞은 내용은?(2016년 08월)

    

     1. 벡터
     2. 제한효소
     3. 리가아제
     4. 역전사효소

     정답 : []
     정답률 : 75%

43. 유기농업의 종자로 사용할 수 없는 육종방법은?(2020년 06월)
     1. 분리육종
     2. 교배육종
     3. 동질배수체육종
     4. 잡종강세육종

     정답 : []
     정답률 : 66%

44. 다음 중 저위도지대에서 재배해야하는 벼 기상생태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blt형
     2. blT형
     3. bLt형
     4. Blt형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저위도지대는 감온성, 감광성이 작고 기본영양생장성이 큰 기본영양생장형(Blt)을 고위도 지방에서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감온형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제르미최]

45. 유기축산에 관한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유기농 사료에 의한 사양
     2. 가축의 건강과 복지개선
     3. 사료첨가제 사용
     4. 유전자변형(GMO) 사료 금지

     정답 : []
     정답률 : 82%

46. F2~F4세대에는 매세대 모든 개체로부터 1립씩 채종하여 집단재배를 하고, F4 각 개채별로 F5 계통재배를 하는 것은?(2020년 09월)
     1. 여교배육종
     2. 1개체 1계통 육종
     3. 계통육종
     4. 집단육종

     정답 : []
     정답률 : 78%

47. 다음 중 고온장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당분이 감소한다.
     2. 광합성보다 호흡작용이 우세해진다.
     3. 단백질의 합성이 저해된다.
     4. 암모니아의 축적이 적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틀린 선지 정정: 생육적온보다 높은 온도의 환경일 때 식물에서의 아미노산 합성이 저해되어, 아미노산의 재료로 쓰이는 암모니아가 소비되지 않고 축적이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목표는 3기사]

48. 퇴비를 판정하는 검사방법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관능적 판정
     2. 유기물학적 판정
     3. 화학적 판정
     4. 생물학적 판정

     정답 : []
     정답률 : 52%

49. 잡종강세를 이용한 F1종자가 보급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점이 아닌 것은?(2013년 08월)
     1. 1회 교잡으로 많은 종자가 생산 가능할 것
     2. 교잡 과정이 간편할 것
     3. 단위면적당 재배에 요하는 종자량이 많을 것
     4. F1을 재배하는 이익이 F1을 생산하는 경비보다 클 것

     정답 : []
     정답률 : 53%

50. 수경재배의 분류에서 고형배지경이면서, 무기배지경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2019년 03월)
     1. 모세관수경, 분무수경
     2. 분무경, 훈탄경
     3. 담액수경, 박막수경
     4. 암면경, 사경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고형배지경: 양액을 이용하되 작물의 지지, 산소공급, 토양의 지점 등을 보충하기 위해 모래, 자갈 등의 고형 물질을 배지로 이용
1. 사경: 깨끗한 모래를 배지로 이용
2. 암면경: 암면(현무암과 제철소 폐기물을 섬유화 시킨 무기질 섬유)로 성형한 배지를 이용
3. 훈탄경: 왕겨를 태워만드 훈탄을 배지로 이용
4. 역경: 지름이 4~13mm 정도인 작은 자갈을 배지로 이용
[해설작성자 : Johns]

51. 퇴비의 검사 방법 중 화학적 판정법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탄질률 검사
     2. pH 검사
     3. 질산태 질소 측정
     4. 유식물 재배

     정답 : []
     정답률 : 73%

52. 다음 중 ( )에 알맞은 내용은?(2016년 03월)

    

     1. 신비성, 안정성
     2. 품종체계, 우수성
     3. 지속성, 안정성
     4. 지속성, 특이성

     정답 : []
     정답률 : 77%

53. 시설원예지 토양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과다시비로 인한 염류집적
     2. 토양의 산성화
     3. 토양 병해충 발생
     4. 토양온도의 일정한 유지

     정답 : []
     정답률 : 58%

54. 서로 도움이 되는 특성을 지닌 두 가지 작물을 같이 재배할 경우 이들 작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다년생 초지에서 초기의 산초량을 높이기 위하여 섞어서 덧뿌려 짓는 작물은?(2010년 05월)
     1. 중경작물(中耕作物)
     2. 동반작물(同伴作物)
     3. 윤작작물(輪作作物)
     4. 대파작물(代播作物)

     정답 : []
     정답률 : 80%

55. 다음 중 (1)에 알맞은 내용은?(2016년 03월)

    

     1. 20
     2. 15
     3. 10
     4. 5

     정답 : []
     정답률 : 75%

56. 포도나무의 정지법으로 흔히 이용되는 방법이며, 가지를 2단 정도로 길게 직선으로 친 철사에 유인하여 결속시킨 것은?(2019년 08월)
     1. 절단형 정지
     2. 원추형 정지
     3. 변칙주간형 정지
     4. 울타리형 정지

     정답 : []
     정답률 : 77%

57. 피복재의 역학적 특성 중 “피복재가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는?(2021년 05월)
     1. 방진성
     2. 폐기성
     3. 신장률
     4. 굴절률

     정답 : []
     정답률 : 74%

58. 녹비작물로 이용하는 헤어리베치 생초 2000kg에 함유된 질소 성분량은 얼마인가? (단, 헤어리베치의 수분은 85%, 건초 질소 함량은 4%를 기준으로 한다.)(2022년 04월)
     1. 10kg
     2. 12kg
     3. 15kg
     4. 16kg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헤어리베치 건초 무게 = 2000kg*(1-0.85) = 300kg
(건초 질소 함량을 제시했으므로 건초 무게 구함)
질소 성분량 = 300kg*0.04 = 12kg
[해설작성자 : 도오트]

59. 윤작의 실천 목적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3월)
     1. 병충해 회피
     2. 토양 보호
     3. 토양비옥도의 향상
     4. 인산의 축적

     정답 : []
     정답률 : 59%

60. 유기농산물의 병해충 관리를 위해 사용 가능한 물질인 보르도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보르도액의 유효성분은 황산구리와 생석회이다.
     2. 조제 후 시간이 지나면 살균력이 떨어진다.
     3.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제, 송지합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에스테르제와 같은 알칼리에 의해 분해가 용이한 약제와의 혼합사용은 피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과목 :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MAP 포장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내용물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포장한다.
     2. 포장지 내부의 가스조성이 저산소, 고탄산가스 농도로 변환된다.
     3. 호흡작용, 증산작용은 억제되나 에틸렌 생성은 촉진된다.
     4. 과습으로 인한 부패나 산소부족에 따른 호흡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62. 농산물 표준화의 잠재적 효용가치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마케팅비용의 감소
     2. 중간상의 이윤을 높임
     3. 시장 유통활동의 능률화
     4. 가격형성의 효율화

     정답 : []
     정답률 : 70%

63. 잼 및 젤리제조 시 젤리화에 필요한 요인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20년 08월)
     1. 섬유소, 당, 산
     2. 당, 산, 덱스트린
     3. 산, 덱스트린, 섬유소
     4. 당, 산, 펙틴

     정답 : []
     정답률 : 70%

64. 식품의 동결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으며, 동결속도식(Plank식)에서도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인자는?(2012년 05월)
     1. 식품 의 온도
     2. 식품의 양
     3. 식품 의 밀도
     4. 냉매의 온도

     정답 : []
     정답률 : 61%

65. 농산물의 유통환경 중 거시환경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8월)
     1. 농기업
     2. 원료공급자
     3. 경쟁사
     4. 규제법률

     정답 : []
     정답률 : 72%

66. 식품의 위해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철분의 결핍
     2. 이물질 혼입
     3. 위해 미생물 존재
     4. 농약, 항생제 존재

     정답 : []
     정답률 : 79%

67. 우리나라 유기식품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바람직한 전략이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유기식품의 안전성 강조 및 차별화 전략
     2. 유기식품가격의 고가 통제 전략
     3. 유기식품 도매시장 상장 확대 등 유통경로 다양화 전략
     4. 유기식품의 광고·홍보 확대와 소비촉진 행사 추진

     정답 : []
     정답률 : 71%

68. 식중독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빵이나 음료보다 식육과 어패류가 부패를 잘 일으킨다.
     2. 식중독의 주된 원인으로 냉장 및 냉동 보관온도 미준수가 있다.
     3. 과일이나 채소를 통해서는 식중독이 발생되지 않는다.
     4.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충분히 하지 못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69. 동물. 식물. 미생물의 다양한 분비물에 존재하며. 특히 달걀에서 많이 생산되는 것으로서 그람양성세균의 세포벽을 분해하기 때문에 그람양성세균에 항균력이 있는 것은?(2012년 08월)
     1. 키토산 (chitosan)
     2. 프로타민 (protamin)
     3. 폴리라이신 (polylysine)
     4. 라이소자임 (lysozyme)

     정답 : []
     정답률 : 46%

70. 감의 떫은맛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탈삽 방법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알코올 탈삽법
     2. 온탕 탈삽법
     3. 이산화탄소 탈삽법
     4. 유황 탈삽법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온탕법: 약 40°c의 온수에 일정시간 담가두는 방법
알코올법: 밀폐된 용기에 감을 알코올과 함께 저장
이산화탄소법: 밀폐된 용기에 이산화탄소를 채워넣는 방법
[해설작성자 : lyla64]

71. 친환경농업육성법상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친환경농산물은 생산 방법과 사용 자재 등에 따라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로 분류한다.
     2. 친환경농산물의 생산물의 생산을 위한자재의 사용 등에 대한 구체적 기준은 대통령으로 정한다.
     3.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친환경 농업의 육성과 소비자 보호를 위하여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할 수 있다.
     4.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친환경농산물 인증에 필요한 인력과 시설을 갖춘 자를 인증기관으로 지정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을 하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72. 어떤 유기농산물의 생산자 수취가격이 2000원, 납품업체 공급가격이 2200원, 소비자 지불가격이 2500원일 때 총 유통마진율은?(2014년 03월)
     1. 10%
     2. 11%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50%

73. 방사성 물질의 식품오염과 관련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2년 08월)
     1. 빗물. 수돗물. 우물물 중 방사성 물질의 오염을 받기 쉬운 것은 수돗물이다.
     2. 어패류의 경우 방사성 물질이 먹이 사슬을 통해 생물 농축되지 않는다.
     3. 인체에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것은 반감기가 짧은 물질이다.
     4. 식품오염과 관련된 핵종으로 위생상 문제가 되는 것은 90Sr 137Cs 131I 등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74. 포도상구균 식중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고른 것은?(2009년 05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정답 : []
     정답률 : 56%

75. 세균성 식중독의 예방법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식품과 접촉하는 도구는 세척과 소독을 철저히 한다.
     2. 식품의 종류, 가역 전후 등에 따라 분리 보관한다.
     3. 저온저장하여 균의 증식을 최대한 억제한다.
     4. 2차 감염을 철저하게 예방하기 위해 예방접종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76. 식품 중의 대장균군 검사 결과 MPN 값이 50이 나왔다면, 검체 100mL 중에 존재하는 대장균군의 수는 몇 개 인가?(2008년 03월)
     1. 5
     2. 50
     3. 500
     4. 5000

     정답 : []
     정답률 : 75%

77. 장염 비브리오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호염성의 감염형 식중독균이다.
     2. 열저항성이 매우 크다.
     3. 그램 음석의 무포자 간균이다.
     4. 편모를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64%

78. 샐러드 원료용으로서 호흡작용이 왕성한 농산물을 슬라이스형태로 절단하여 MA 포장할 때 가장 적합한 포장재질은?(2021년 05월)
     1. 폴리에틸렌(PE)
     2. 폴라아미드(PA)
     3. 폴리에스테르(PET)
     4.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정답 : []
     정답률 : 65%

79. 청국장 제조에 사용하는 natto균에 해당하는 것은?(2012년 03월)
     1. Mucor rouxii
     2. Saccharomyces cerevisiae
     3. Lactobacillus casei
     4. Bacillus subtilis

     정답 : []
     정답률 : 50%

80. 고구마를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방에 두어 상처를 아물게 하는 방법은?(2008년 07월)
     1. 가온저장
     2. Curing 저장
     3. CA저장
     4. 습윤저장

     정답 : []
     정답률 : 48%

81. 친환경농업육성법에 의한 친환경농업발전위원회 위원의 임기는?(2008년 07월)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36%

82.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의 유기 생산 원칙 중 번식 방법은 유기 축산 원칙을 따르되 다음을 고려하여 정한다. 해당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현지조건과 유기체계하에 사육하기 적합한 품종과 계통을 고른다.
     2. 종축을 사용한 인공수정이 아닌 자연 교배여야만 한다.
     3. 수정란 이식기법이나 번식호르몬 처리기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4. 유전공학을 사용한 번식기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1%

83. 인증심사원에 관한 내용 중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한 경우 인증심사원이 받는 처벌은?(2018년 03월)
     1. 자격 취소
     2. 3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3. 12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4. 24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정답 : []
     정답률 : 72%

84.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 등의 인증에 관한 세부실시 요령」상 유기축산물에서 가금류의 사육장 및 사육조건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가금은 개방조건에서 사육되어야 한다.
     2. 가금의 케이지 사육은 필요 시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인정한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3. 가금은 기후조건이 허용하는 한 야외 방목장에 접근이 가능하여야 한다.
     4. 물오리류는 기후조건에 따라 가능한 시냇물ㆍ연못 또는 호수에 접근이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케이지에서 사육하지 아니할것
[해설작성자 : kim]

85. 다음은 유기식품등의 인증기준 등에서 유기 축산물 사료 및 영양관리의 구비 요건 중 ( )에 알맞은 내용은?(2017년 03월)

    

     1. 70
     2. 80
     3. 90
     4. 100

     정답 : []
     정답률 : 80%

86.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규정한 유기농산물의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은?(2020년 06월)
     1. 제충국 추출물
     2. 데리스 추출물
     3. 님(Neem) 추출물
     4. 순수 니코틴

     정답 : []
     정답률 : 65%

87.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유기식품 등의 표시기준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표시 도형 내부의 “유기”의 글자는 품목에 따라 “유기식품”, “유기농”, “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유기가공식품”, “유기사료”, “비식용유기가공품”으로 표기할 수 있다.
     2. 도형 표시방법에서 표시 도형의 가로의 길이(사각형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의 폭 : W)를 기준으로 세로의 길이는 0.95×W의 비율로 한다.
     3. 표시 도형의 색상은 녹색을 기본 색상으로 하되, 포장재의 색깔 등을 고려하여 파란색, 빨간색 또는 검은색으로 할 수 있다.
     4. 표시 도형의 국민 및 영문 모두 글자의 활자체는 명조체로 하고, 글자 크기는 표시도형의 크기에 따라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고딕체이다
[해설작성자 : ㅂㅎㅇㅎㅇ]

88.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상 인증심사원에 관한 내용 중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한 경우 인증심사원이 받는 처벌은?(2021년 03월)
     1. 자격 취소
     2. 3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3. 12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4. 24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제26조의2 제3항에 따르면,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한 인증심사원에 대해서는 자격 취소의 처분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솜삼]

89.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유기농업자재의 공시 기준에서 식물에 대한 시험성적서 심사사항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가)와 (나)에 알맞은 내용은?(2021년 03월)

    

     1. (가) : 0, (나) : 1
     2. (가) : 1, (나) : 2
     3. (가) : 2, (나) : 3
     4. (가) : 3, (나) : 2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다섯 종류 이상의 작물에 대해 적합하게 시험한 성적이어야 한다.
2) 농약피해ㆍ비료피해의 정도는 시험성적 모두가 기준량에서 0 이하이거나, 2배량에서 1 이하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뺭뺭]

90.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서 정한 친환경농산물 인증 기준의 구비요건 중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고자 하는 자는 최소 몇 년간의 영농관련 자료를 보관하여야 하는가?(2009년 05월)
     1. 2년 이상
     2. 5년 이상
     3. 10년 이상
     4. 보관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45%

91.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검사/인증시의 최소 검사요건 및 예방조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8년 07월)
     1. 수입국은 수입 유기제품의 검사요건만 정해 놓으면 된다.
     2. 인증기관은 필요에 따라 또는 불시에 생산구역 을 방문해야 한다.
     3. 인증기관은 최소한 2년에 한번씩 생산구역 전체 에 대해 물리적인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4. 사업자는 매년 인증기관이 정한 날짜에 인증기관에 단위농지별로 작물생산 스케줄을 통보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92. 친환경농업육성법령상 친환경농자재의 종류와 사용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8월)
     1. 염화나트륨(소금)은 채굴한 염 또는 천일염이어야 한다.
     2. 사람의 배설물은 1개월 이상 저온발효된 것이어야 한다.
     3. 지렁이 또는 곤충으로부터 온 부식토는 슬러지류를 먹이로 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
     4. 톱밥, 나무껍질 및 목재 부스러기는 폐가구 목재의 톱밥 및 부스러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93. 유기식품등의 인증 신청 및 심사 등에 따른 인증의 유효기간은 인증을 받을 날부터 몇 년으로 하는가?(2019년 03월)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 : []
     정답률 : 72%

94. 유기가공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허용된 취급물질 중 첨가물이 아닌 가공보조제로만 사용되는 물질은?(2011년 03월)
     1. 염화칼슘
     2. 구연산
     3. 수산화나트륨
     4. 카나우바왁스

     정답 : []
     정답률 : 35%

95. 친환경농업육성법의 규정에 의한 유기농산물 표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표시도형 밑에 친환경농산물 종류명칭을 표기한다.
     2. 인증기관의 명칭은 반드시 표시하지 않아도 되며, 활자체는 명조체로 해야 한다.
     3. 유기농산물 표시도형의 크기는 포장재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없다.
     4. 유기농산물로 인증 받는 경우 천연, 자연, 무공해 등 강조표시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5%

96.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른 수입 유기가공식품에 관한 표시기준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당해 수입식품의 원재료 중 친환경농업유성법 제17조 동법 시행규칙 제 9조 규정의 인증기준에 의하여 인증 받았거나 동 인증기준 이상의 유기 농산물이어야 한다.
     2. 동일 원재료에 대하여 유기농산물과 비유기농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제조시 식품첨가물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식품 첨가물이 제조설비에 잔존하여서는 아니 된다.
     4. 해당 수입 유기가공식품이 비록 국제기구의 인증을 받았더라도 국내 친환경농업육성법이 제시하는 인증기준에 의하여 반드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97. 친환경농업육성법령에 근거한 친환경농산물 표시방법 중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을 받은자는 포장ㆍ용기 등에 도형 또는 문자의 표시를 할 수 있다.
     2. 친환경농산물 표시를 하고자 하는 자는 친환경농산물표시와 함께 생산자의 성명 등을 포장 또는 용기 앞면에 표시하여야 한다.
     3. 포장을 하지 아니하고 낱개로 판매하는 경우에는 당해 인증품에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다.
     4. 공신력 있는 외국인증기관에서 인증된 농산물을 수입한자는 친환경농산물 표시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98. 인증기관의 지정기준 중 인력에 대한 내용에서 인증심사원을 몇 명 이상 갖추어야 하는가? (단, “인증기관 지정 이후에는 인증업무량 등에 따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정하는 인증심사원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에 대한 내용은 제외한다.)(2019년 03월)
     1. 2명
     2. 3명
     3. 4명
     4. 5명

     정답 : []
     정답률 : 64%

99.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인증기관 지정기준의 인력에 대한 내용으로 ( )에 알맞은 것은?(2022년 03월)

    

     1. 3명
     2. 5명
     3. 7명
     4. 9명

     정답 : []
     정답률 : 67%

100.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양봉 및 양봉 제품 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여왕벌의 날개 일부를 잘라 주어야 한다.
     2. 기초 벌집은 유기적으로 생산된 밀랍으로 만들어야 한다.
     3. 양봉 제품을 수확하기 위하여 벌집 안에 들어 있는 벌을 죽이는 것은 금지된다.
     4. 양봉으로부터 유래되는 제품을 추출하고 가공할 동안에는 가능한 한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게 좋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여왕벌의 날개를 자르는 것과 같은 절단행위는 금지된다.
[해설작성자 : 제르미최]


정 답 지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817311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배원론


1. 식물에 대한 옥신의 기능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발근 촉진
     2. 가지의 굴곡 유도
     3. 낙과방지
     4. 개화 지연

     정답 : []
     정답률 : 79%

2. 음지 식물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광보상점이 높다.
     2. 광을 강하게 받을수록 생장이 좋다.
     3. 수목 밑에서는 생장이 좋지 않다.
     4. 광포화점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82%

3. 밭작물 생육에 가장 적합한 토양의 수분항수(水分恒數)는?(2007년 03월)
     1. 최대용수량
     2. 최소용수량
     3. 풍건상태
     4. 건토상태

     정답 : []
     정답률 : 70%

4. C4 작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광 포화점이 높다.
     2. 광 호흡률이 높다.
     3. 광 보상점이 낮다.
     4. 광합성효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56%

5. 녹체 춘화형 식물들로만 나열된 것은?(2007년 03월)
     1. 추파맥류, 봄 올무
     2. 봄 올무, 양배추
     3. 양배추, 히요스
     4. 히요스, 잠두

     정답 : []
     정답률 : 50%

6. 다음 중 식물분류학적 방법에서 작물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벼과 작물
     2. 콩과 작물
     3. 가지과 작물
     4. 공예 작물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계통별 작물의 종류 : 식용작물, 약용작물, 사료작물, 공예작물, 조미작물
[해설작성자 : 돌맹이]

7. 광합성 연구에 활용되는 방사선 동위 원소는?(2021년 03월)
     1. 14C
     2. 32P
     3. 42K
     4. 24Na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방사성 동위원소: 핵이 불안정하여 외부의 자극이 없어도 일정한 확률로 붕괴되어 안정한 원소가 되려고 하는데, 원소들이 붕괴되면서 방사선(⍺선, β선, γ선)을 방출 → 감마선을 이용한 감자, 양파의 맹아 억제
㉠ 광합성 연구: 14C
㉡ 댐의 누수 추적: 24Na
㉢ 살균, 살충 및 맹아억제: 60Co, 137Cs
㉣ 작물의 영양생리 연구: 32P, 45Ca, 42K
[해설작성자 : Johns]

8.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기공의 열림을 촉진하는 광 파장은?(2017년 03월)
     1. 적색광
     2. 청색광
     3. 녹색광
     4. 자외선

     정답 : []
     정답률 : 49%

9. 작물의 생육기간 중 일어나는 가뭄재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7월)
     1. 비닐멀칭
     2. 중경제초
     3. 배수관리
     4. 답압(踏壓)

     정답 : []
     정답률 : 24%

10. 다음 중 벼의 적산온도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500 ~ 1000℃
     2. 1200 ~ 1500℃
     3. 2000 ~ 2500℃
     4. 3500 ~ 4500℃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적산온도 (발아에서 성숙까지 0℃이상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온도)
㉠ 벼: 3500~4500℃
㉡ 담배: 3200~3600℃
㉢ 조: 1800~3000℃
㉣ 메밀: 1000~1200℃
[해설작성자 : Johns]

11. 메밀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2007년 08월)
     1. 이형예현상
     2. 장주화
     3. 적법수분
     4. 교잡불화합성

     정답 : []
     정답률 : 67%

12. 엽록소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파장은?(2021년 03월)
     1. 황색광 영역
     2. 자외선과 자색광 영역
     3. 녹색광 영역
     4. 청색광과 적색광 영역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엽록소 (특정한 파장의 광선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광 에너지를 반응중심에 전달하는 특성)
㉠ 적색대(640~670nm) 부분과 청색대(430~460nm) 부분의 광은 흡수가 잘 됨
㉡ 가장 효율적인 광합성의 작용 스펙트럼은 엽록소가 최대의 흡수를 나타낸 파장의 광선, 즉 적생광과 청색광에서 광합성 최대
[해설작성자 : Johns]

13. 옥신의 사용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국화 삽목 시 발근을 촉진한다.
     2. 앵두나무 접목시 접수와 대목의 활착을 촉진한다.
     3. 파인애플의 화아분화를 촉진한다.
     4. 사과나무의 과경 이층형성을 촉진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발근촉진: 삽목,취목등 영양번식할때 옥신처리로 발근이 촉진
접목의 활착 촉진: 앵두나무나 매화나무에서 접수, 대목의 접착부에 lAA 라놀린 연고를 바르면 유상조직 형성되어 활착이 촉진
개화촉진: 파인애플에 NAA, 2,4-D 등을 살포하면 화아분화 촉진.
낙과방지: 사과나무는 자연 낙화 직전에 NAA,2,4-D 등을 살포하면 과경(열매자루)의 이층형성을 억제하여 낙과를 방지
[해설작성자 : 뚱대갈]

14. 풍해의 기계적 장해에 해당 되는 것은?(2008년 07월)
     1. 벼에서 수분 및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립(不稔粒)이 발생한다.
     2. 상처가 나면 호흡이 증대되어 체내의 양분 소모가 증대 된다.
     3. 증산이 커져서 식물이 건조해진다.
     4. 기공이 닫혀 광합성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15. 수비(이삭거름)는 벼의 일생 중 어느 생육단계에 시용하는 가?(2017년 03월)
     1. 유수분화기
     2. 유수형성기
     3. 감수분열기
     4. 수전기

     정답 : []
     정답률 : 63%

16. 1m2의 현미 무게가 1kg이고 이때 현미의 수분함량이 17%이다. 수분함량이 15%일 때 10a의 현미수량은?(2010년 05월)
     1. 약 293kg
     2. 약 488kg
     3. 약 512kg
     4. 약 976kg

     정답 : []
     정답률 : 43%

17. 벼에서 백화묘(白化苗)의 발생은 어떤 성분의 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인가?(2021년 03월)
     1. BA
     2. 카로티노이드
     3. ABA
     4. NAA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광산화의 발생: 벼 육묘시 발아 후, 약광에서 녹화시키지 않고, 직사광선에 노출시키면 엽록소가 파괴되어 백화묘가 발생 → 저온에서는 엽록소 산화를 방지하는 카로티노이드 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갑자기 강한 광을 받으면 엽록소가 광산화로 파괴)
[해설작성자 : Johns]

18. 겨울이 추운 지방에서 추파맥류를 재배할 때 춘파맥류 종자를 섞어 뿌리는 경우 춘파맥류의 올바른 분류는?(2005년 09월)
     1. 보호작물
     2. 동반작물
     3. 수반작물
     4. 부작물

     정답 : []
     정답률 : 46%

19. 버널리제이션(春化處理)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추파성 정도가 높은 식물일수록 장기 저온처리를 해야 효과가 있다.
     2. 버널리제이션에 감응하는 부위는 잎이다.
     3. 버널리제이션에 산소의 공급은 필요하지 않다.
     4. 최아한 봄밀(春播麥類)을 1~2℃에서 저온처리했을 때 개화촉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말 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20. 육묘 중 상토의 EC가 높아졌을 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상토의 EC가 높아지는 원인은 관수량 부족으로 염분이 배수공을 통하여 용탈되지 못하고 상토에 집적되기 때문이다.
     2. 상토의 EC가 높아지면 지상부와 뿌리의 생육에 너무 왕성하여 도장하기 쉽다.
     3. 상토의 EC가 높아지면 잎이 진한 녹색을 띠면서 잎 가장자리가 괴사한다.
     4. 높아진 상토의 EC를 낮추기 위하여 시비량을 줄이거나 관개수의 양을 증가시켜 용탈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4%

2과목 :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의 소성지수를 산정하는 계산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소성지수 = 소상상한 - 점토활성도
     2. 소성지수 = 점토향량 - 소성상한
     3. 소성지수 = 소상하한 - 소성상한
     4. 소성지수 = 소성상한 – 소성하한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소성지수는 토양이 소성을 나타내는 최소 수분 함량(소성 하한)과 최대 수분 함량(소성 상한)의 차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토양의 전용적밀도(bulk density)가 1.8g/cm3일 때 75cm3용적에 들어 있는 건조토양의 질량은?(2010년 05월)
     1. 135g
     2. 42g
     3. 36g
     4. 0.024g

     정답 : []
     정답률 : 22%

23. 토양을 조사하고 분류할 때 기본적으로 토양의 단면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이 대 조사해야 할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토양층위의 발달
     2. 토성
     3. 토양미생물 구성
     4. 토양 구조

     정답 : []
     정답률 : 72%

24. 식물생장촉진 근권미생물의 기능이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질소고정
     2. 식물생장촉진호르몬 생성
     3. 시데로포아(siderophore) 생성
     4. 타감작용(alleropathy)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타감작용 : 식물에서 일정한 화학물질이 생성되어 다른 식물의 생존을 막거나 성장 저해 때로는 촉진하는 작용
                     우리나라 야산에서는 소나무와 참나무 많이 경쟁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고추의 켑사이신, 마늘의 알리신이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도오트]

25. 다음중 산성 토양에 석회물질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혜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8월)
     1. Ca 성분 공급효과
     2. 토양산도 교정효과
     3. 토양생물의 활성증진 효과
     4. 토양교질물의 변두리 음전하량 증가효과

     정답 : []
     정답률 : 70%

26. 빗물이 모여 작은 골짜기를 만들면서 토양을 침식시키는 작용은?(2021년 05월)
     1. 우곡침식
     2. 계곡침식
     3. 유슈침식
     4. 비옥도침식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계곡침식: 빗물이 큰 골짜기를 형성한 침식이 대단한 상태
유수침식: 골짜기 물이 모여 강물을 이루고 암석을 깎아내는 삭마작용
표면침식(비옥도침식): 분산된 미세토립으로 토양공극이 메워지면 토양 투수력이 경감되어 이때 투수되지못한 물에의해 지표면을 침식시킴
[해설작성자 : 달님]

27. 다음 중 1:1 격자형 정토광물로만 연결된 것은?(2007년 03월)
     1. Vermiculite, Halloysite
     2. Halloysite, Mica
     3. mica, Smectite
     4. Halloysite, Kaolinite

     정답 : []
     정답률 : 63%

28. 풍화산물의 이동과 퇴적 방식에 따라 정적토와 운적토로 구분된다. 정적토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3월)
     1. 이탄토
     2. 붕적토
     3. 선상퇴토
     4. 수적토

     정답 : []
     정답률 : 68%

29. 농약과 같은 유기화학물질이 토양에서 용탈되는데 관여하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3월)
     1. 유기화학물질의 증기압
     2. 점토 양
     3. 토양유기물 양
     4. 유기화학물질의 용해도

     정답 : []
     정답률 : 65%

30. 치환산도 측정을 위해 수소이온 침출용으로 어떤 용액을 주로 사용하는가?(2006년 08월)
     1. KCL
     2. NaCL
     3. H2O
     4. H2O2

     정답 : []
     정답률 : 74%

31. 유기태질소의 무기화가 가장 빨리 일어날 수 있는 C/N비는?(2005년 09월)
     1. 12:1
     2. 120:1
     3. 20:1
     4. 60:1

     정답 : []
     정답률 : 47%

32. 지표면 가까이 까지 수분으로 포화된 토양의 통기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3월)
     1. 토양가열
     2. 유기물 첨가
     3. 지하수위 저하
     4. 플라스틱 멀칭

     정답 : []
     정답률 : 36%

33. 토양에 물을 가하면 이 성질을 나타내는데, 이 상태의 토양에 힘을 가했을 때 파괴되는 일이 없이 모양이 변화되고, 힘이 제거된 후에도 원형으로 돌아가지 않는 토양의 성질은?(2013년 08월)
     1. 강성(견결성)
     2. 이쇄성(취쇄성 또는 송성)
     3. 응집성
     4. 가소성(소성)

     정답 : []
     정답률 : 57%

34. 콩과 식물로서 뿌리혹박테리아 질소고정능력이 다음 중 가장 낮은 작물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3년 06월)
     1. 알팔파
     2. 대두
     3. 완두
     4. 레드클로버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질소고정능력 순서는 알팔파>스위트클로버>대두>완두>땅콩 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토양생성작용 중 일반적으로 한랭습윤지대의 침엽수림 식생환경에서 생성되는 작용은?(2021년 05월)
     1. 포드졸화 작용
     2. 라테라이트화 작용
     3. 회색화 작용
     4. 염류화 작용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포드졸화 : 한랭습윤지역
2. 라테라이트화 : 고온다습지역
3. 회색화 : 습윤한 냉습지대의 저지대
4. 염류화 : 사막, 반건조 지대
[해설작성자 : 미니무니]

36. 다음 중 토양생물 개체수(/m2)가 많은 것부터 적은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토양 15cm 깊이 기준이다.)(2012년 08월)
     1. 사상균 > 세균 > 방선균 > 조류
     2. 세균 > 방선균 > 선충 > 조류
     3. 방선균 > 세균 > 사상균 > 조류
     4. 세균 > 방선균 > 사상균 > 조류

     정답 : []
     정답률 : 61%

37. 질소성분 100kg을 토양에 처리하여 작물에 회수된 질소량이 50kg이었고, 시비하지 않은 토양에서는 작물로 20kg의 질소가 회수되었다. 이때 이 질소비료의 질소이용효율(nitrogen use efficiency)은?(2010년 05월)
     1. 50%
     2. 20%
     3. 30%
     4. 70%

     정답 : []
     정답률 : 72%

38. 토양 중금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비소는 5가 양이온 보다 3가 양이온의 독성이 더 크다.
     2. 크롬은 3가 양이온 보다 6가 양이온의 독성이 더 크다.
     3. 인산시용은 카드뮴의 유효도를 증가시킨다.
     4. 토양 중 납의 천연 함량은 약 10 ppm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39. 토양조사의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2021년 03월)
     1. 토지 가격의 산정
     2. 합리적인 토지 이용
     3. 적합한 재배 작물 선정
     4. 토지 생산성 관리

     정답 : []
     정답률 : 82%

40. 토양의 단면 중 점토 및 양분이 가장 많이 용탈되는 층과 집적되는 층은?(2017년 08월)
     1. O층과 A층
     2. A층과 B층
     3. B층과 C층
     4. C층과 R층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O층은 표토 유기물층이며, A층은 Fe,Al등이 하층으로 용탈하는 용탈층이며, B층은A층으로부터 Al, Fe등이 집적되는 집적층이다.
[해설작성자 : bbongbird]

3과목 : 유기농업개론


41. 일반농가가 유기축산으로 전환하거나 유기가축이 아닌 가축을 유기농장으로 입식하여 유기 축사물을 생산ㆍ판매하려는 경우에는 일정한 전환기간 이상을 유기축산물인증기준에 따라 사육해야 한다. 친환경농업육성법에 규정하고 있는 축종의 생산물별 최소사육기간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한ㆍ육우(식육)-입식 후 출하 시까지 최소 6개월 이상
     2. 돼지(식육)-입식 후 출하 시까지 최소 5개월 이상
     3. 육계(식육)-입식 후 출하 시까지 최소 3주 이상
     4. 산란계(알)-입식 후 3개월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한ㆍ육우(식육) - 입식 후 출하 시까지 최소 12개월 이상
[해설작성자 : 축산학도인내가유기농업기사를?!]

42. 다음 중 ( )에 알맞은 내용은?(2016년 08월)

    

     1. 벡터
     2. 제한효소
     3. 리가아제
     4. 역전사효소

     정답 : []
     정답률 : 75%

43. 유기농업의 종자로 사용할 수 없는 육종방법은?(2020년 06월)
     1. 분리육종
     2. 교배육종
     3. 동질배수체육종
     4. 잡종강세육종

     정답 : []
     정답률 : 66%

44. 다음 중 저위도지대에서 재배해야하는 벼 기상생태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blt형
     2. blT형
     3. bLt형
     4. Blt형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저위도지대는 감온성, 감광성이 작고 기본영양생장성이 큰 기본영양생장형(Blt)을 고위도 지방에서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감온형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제르미최]

45. 유기축산에 관한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유기농 사료에 의한 사양
     2. 가축의 건강과 복지개선
     3. 사료첨가제 사용
     4. 유전자변형(GMO) 사료 금지

     정답 : []
     정답률 : 82%

46. F2~F4세대에는 매세대 모든 개체로부터 1립씩 채종하여 집단재배를 하고, F4 각 개채별로 F5 계통재배를 하는 것은?(2020년 09월)
     1. 여교배육종
     2. 1개체 1계통 육종
     3. 계통육종
     4. 집단육종

     정답 : []
     정답률 : 78%

47. 다음 중 고온장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당분이 감소한다.
     2. 광합성보다 호흡작용이 우세해진다.
     3. 단백질의 합성이 저해된다.
     4. 암모니아의 축적이 적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틀린 선지 정정: 생육적온보다 높은 온도의 환경일 때 식물에서의 아미노산 합성이 저해되어, 아미노산의 재료로 쓰이는 암모니아가 소비되지 않고 축적이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목표는 3기사]

48. 퇴비를 판정하는 검사방법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관능적 판정
     2. 유기물학적 판정
     3. 화학적 판정
     4. 생물학적 판정

     정답 : []
     정답률 : 52%

49. 잡종강세를 이용한 F1종자가 보급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점이 아닌 것은?(2013년 08월)
     1. 1회 교잡으로 많은 종자가 생산 가능할 것
     2. 교잡 과정이 간편할 것
     3. 단위면적당 재배에 요하는 종자량이 많을 것
     4. F1을 재배하는 이익이 F1을 생산하는 경비보다 클 것

     정답 : []
     정답률 : 53%

50. 수경재배의 분류에서 고형배지경이면서, 무기배지경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2019년 03월)
     1. 모세관수경, 분무수경
     2. 분무경, 훈탄경
     3. 담액수경, 박막수경
     4. 암면경, 사경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고형배지경: 양액을 이용하되 작물의 지지, 산소공급, 토양의 지점 등을 보충하기 위해 모래, 자갈 등의 고형 물질을 배지로 이용
1. 사경: 깨끗한 모래를 배지로 이용
2. 암면경: 암면(현무암과 제철소 폐기물을 섬유화 시킨 무기질 섬유)로 성형한 배지를 이용
3. 훈탄경: 왕겨를 태워만드 훈탄을 배지로 이용
4. 역경: 지름이 4~13mm 정도인 작은 자갈을 배지로 이용
[해설작성자 : Johns]

51. 퇴비의 검사 방법 중 화학적 판정법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탄질률 검사
     2. pH 검사
     3. 질산태 질소 측정
     4. 유식물 재배

     정답 : []
     정답률 : 73%

52. 다음 중 ( )에 알맞은 내용은?(2016년 03월)

    

     1. 신비성, 안정성
     2. 품종체계, 우수성
     3. 지속성, 안정성
     4. 지속성, 특이성

     정답 : []
     정답률 : 77%

53. 시설원예지 토양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과다시비로 인한 염류집적
     2. 토양의 산성화
     3. 토양 병해충 발생
     4. 토양온도의 일정한 유지

     정답 : []
     정답률 : 58%

54. 서로 도움이 되는 특성을 지닌 두 가지 작물을 같이 재배할 경우 이들 작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다년생 초지에서 초기의 산초량을 높이기 위하여 섞어서 덧뿌려 짓는 작물은?(2010년 05월)
     1. 중경작물(中耕作物)
     2. 동반작물(同伴作物)
     3. 윤작작물(輪作作物)
     4. 대파작물(代播作物)

     정답 : []
     정답률 : 80%

55. 다음 중 (1)에 알맞은 내용은?(2016년 03월)

    

     1. 20
     2. 15
     3. 10
     4. 5

     정답 : []
     정답률 : 75%

56. 포도나무의 정지법으로 흔히 이용되는 방법이며, 가지를 2단 정도로 길게 직선으로 친 철사에 유인하여 결속시킨 것은?(2019년 08월)
     1. 절단형 정지
     2. 원추형 정지
     3. 변칙주간형 정지
     4. 울타리형 정지

     정답 : []
     정답률 : 77%

57. 피복재의 역학적 특성 중 “피복재가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는?(2021년 05월)
     1. 방진성
     2. 폐기성
     3. 신장률
     4. 굴절률

     정답 : []
     정답률 : 74%

58. 녹비작물로 이용하는 헤어리베치 생초 2000kg에 함유된 질소 성분량은 얼마인가? (단, 헤어리베치의 수분은 85%, 건초 질소 함량은 4%를 기준으로 한다.)(2022년 04월)
     1. 10kg
     2. 12kg
     3. 15kg
     4. 16kg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헤어리베치 건초 무게 = 2000kg*(1-0.85) = 300kg
(건초 질소 함량을 제시했으므로 건초 무게 구함)
질소 성분량 = 300kg*0.04 = 12kg
[해설작성자 : 도오트]

59. 윤작의 실천 목적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3월)
     1. 병충해 회피
     2. 토양 보호
     3. 토양비옥도의 향상
     4. 인산의 축적

     정답 : []
     정답률 : 59%

60. 유기농산물의 병해충 관리를 위해 사용 가능한 물질인 보르도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보르도액의 유효성분은 황산구리와 생석회이다.
     2. 조제 후 시간이 지나면 살균력이 떨어진다.
     3.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제, 송지합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에스테르제와 같은 알칼리에 의해 분해가 용이한 약제와의 혼합사용은 피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과목 :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MAP 포장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내용물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포장한다.
     2. 포장지 내부의 가스조성이 저산소, 고탄산가스 농도로 변환된다.
     3. 호흡작용, 증산작용은 억제되나 에틸렌 생성은 촉진된다.
     4. 과습으로 인한 부패나 산소부족에 따른 호흡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62. 농산물 표준화의 잠재적 효용가치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마케팅비용의 감소
     2. 중간상의 이윤을 높임
     3. 시장 유통활동의 능률화
     4. 가격형성의 효율화

     정답 : []
     정답률 : 70%

63. 잼 및 젤리제조 시 젤리화에 필요한 요인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20년 08월)
     1. 섬유소, 당, 산
     2. 당, 산, 덱스트린
     3. 산, 덱스트린, 섬유소
     4. 당, 산, 펙틴

     정답 : []
     정답률 : 70%

64. 식품의 동결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으며, 동결속도식(Plank식)에서도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인자는?(2012년 05월)
     1. 식품 의 온도
     2. 식품의 양
     3. 식품 의 밀도
     4. 냉매의 온도

     정답 : []
     정답률 : 61%

65. 농산물의 유통환경 중 거시환경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8월)
     1. 농기업
     2. 원료공급자
     3. 경쟁사
     4. 규제법률

     정답 : []
     정답률 : 72%

66. 식품의 위해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철분의 결핍
     2. 이물질 혼입
     3. 위해 미생물 존재
     4. 농약, 항생제 존재

     정답 : []
     정답률 : 79%

67. 우리나라 유기식품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바람직한 전략이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유기식품의 안전성 강조 및 차별화 전략
     2. 유기식품가격의 고가 통제 전략
     3. 유기식품 도매시장 상장 확대 등 유통경로 다양화 전략
     4. 유기식품의 광고·홍보 확대와 소비촉진 행사 추진

     정답 : []
     정답률 : 71%

68. 식중독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빵이나 음료보다 식육과 어패류가 부패를 잘 일으킨다.
     2. 식중독의 주된 원인으로 냉장 및 냉동 보관온도 미준수가 있다.
     3. 과일이나 채소를 통해서는 식중독이 발생되지 않는다.
     4.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충분히 하지 못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69. 동물. 식물. 미생물의 다양한 분비물에 존재하며. 특히 달걀에서 많이 생산되는 것으로서 그람양성세균의 세포벽을 분해하기 때문에 그람양성세균에 항균력이 있는 것은?(2012년 08월)
     1. 키토산 (chitosan)
     2. 프로타민 (protamin)
     3. 폴리라이신 (polylysine)
     4. 라이소자임 (lysozyme)

     정답 : []
     정답률 : 46%

70. 감의 떫은맛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탈삽 방법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알코올 탈삽법
     2. 온탕 탈삽법
     3. 이산화탄소 탈삽법
     4. 유황 탈삽법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온탕법: 약 40°c의 온수에 일정시간 담가두는 방법
알코올법: 밀폐된 용기에 감을 알코올과 함께 저장
이산화탄소법: 밀폐된 용기에 이산화탄소를 채워넣는 방법
[해설작성자 : lyla64]

71. 친환경농업육성법상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친환경농산물은 생산 방법과 사용 자재 등에 따라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로 분류한다.
     2. 친환경농산물의 생산물의 생산을 위한자재의 사용 등에 대한 구체적 기준은 대통령으로 정한다.
     3.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친환경 농업의 육성과 소비자 보호를 위하여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할 수 있다.
     4.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친환경농산물 인증에 필요한 인력과 시설을 갖춘 자를 인증기관으로 지정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을 하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72. 어떤 유기농산물의 생산자 수취가격이 2000원, 납품업체 공급가격이 2200원, 소비자 지불가격이 2500원일 때 총 유통마진율은?(2014년 03월)
     1. 10%
     2. 11%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50%

73. 방사성 물질의 식품오염과 관련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2년 08월)
     1. 빗물. 수돗물. 우물물 중 방사성 물질의 오염을 받기 쉬운 것은 수돗물이다.
     2. 어패류의 경우 방사성 물질이 먹이 사슬을 통해 생물 농축되지 않는다.
     3. 인체에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것은 반감기가 짧은 물질이다.
     4. 식품오염과 관련된 핵종으로 위생상 문제가 되는 것은 90Sr 137Cs 131I 등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74. 포도상구균 식중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고른 것은?(2009년 05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정답 : []
     정답률 : 56%

75. 세균성 식중독의 예방법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식품과 접촉하는 도구는 세척과 소독을 철저히 한다.
     2. 식품의 종류, 가역 전후 등에 따라 분리 보관한다.
     3. 저온저장하여 균의 증식을 최대한 억제한다.
     4. 2차 감염을 철저하게 예방하기 위해 예방접종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76. 식품 중의 대장균군 검사 결과 MPN 값이 50이 나왔다면, 검체 100mL 중에 존재하는 대장균군의 수는 몇 개 인가?(2008년 03월)
     1. 5
     2. 50
     3. 500
     4. 5000

     정답 : []
     정답률 : 75%

77. 장염 비브리오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호염성의 감염형 식중독균이다.
     2. 열저항성이 매우 크다.
     3. 그램 음석의 무포자 간균이다.
     4. 편모를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64%

78. 샐러드 원료용으로서 호흡작용이 왕성한 농산물을 슬라이스형태로 절단하여 MA 포장할 때 가장 적합한 포장재질은?(2021년 05월)
     1. 폴리에틸렌(PE)
     2. 폴라아미드(PA)
     3. 폴리에스테르(PET)
     4.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정답 : []
     정답률 : 65%

79. 청국장 제조에 사용하는 natto균에 해당하는 것은?(2012년 03월)
     1. Mucor rouxii
     2. Saccharomyces cerevisiae
     3. Lactobacillus casei
     4. Bacillus subtilis

     정답 : []
     정답률 : 50%

80. 고구마를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방에 두어 상처를 아물게 하는 방법은?(2008년 07월)
     1. 가온저장
     2. Curing 저장
     3. CA저장
     4. 습윤저장

     정답 : []
     정답률 : 48%

81. 친환경농업육성법에 의한 친환경농업발전위원회 위원의 임기는?(2008년 07월)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36%

82.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의 유기 생산 원칙 중 번식 방법은 유기 축산 원칙을 따르되 다음을 고려하여 정한다. 해당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현지조건과 유기체계하에 사육하기 적합한 품종과 계통을 고른다.
     2. 종축을 사용한 인공수정이 아닌 자연 교배여야만 한다.
     3. 수정란 이식기법이나 번식호르몬 처리기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4. 유전공학을 사용한 번식기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1%

83. 인증심사원에 관한 내용 중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한 경우 인증심사원이 받는 처벌은?(2018년 03월)
     1. 자격 취소
     2. 3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3. 12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4. 24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정답 : []
     정답률 : 72%

84.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 등의 인증에 관한 세부실시 요령」상 유기축산물에서 가금류의 사육장 및 사육조건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가금은 개방조건에서 사육되어야 한다.
     2. 가금의 케이지 사육은 필요 시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인정한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3. 가금은 기후조건이 허용하는 한 야외 방목장에 접근이 가능하여야 한다.
     4. 물오리류는 기후조건에 따라 가능한 시냇물ㆍ연못 또는 호수에 접근이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케이지에서 사육하지 아니할것
[해설작성자 : kim]

85. 다음은 유기식품등의 인증기준 등에서 유기 축산물 사료 및 영양관리의 구비 요건 중 ( )에 알맞은 내용은?(2017년 03월)

    

     1. 70
     2. 80
     3. 90
     4. 100

     정답 : []
     정답률 : 80%

86.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규정한 유기농산물의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은?(2020년 06월)
     1. 제충국 추출물
     2. 데리스 추출물
     3. 님(Neem) 추출물
     4. 순수 니코틴

     정답 : []
     정답률 : 65%

87.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유기식품 등의 표시기준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표시 도형 내부의 “유기”의 글자는 품목에 따라 “유기식품”, “유기농”, “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유기가공식품”, “유기사료”, “비식용유기가공품”으로 표기할 수 있다.
     2. 도형 표시방법에서 표시 도형의 가로의 길이(사각형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의 폭 : W)를 기준으로 세로의 길이는 0.95×W의 비율로 한다.
     3. 표시 도형의 색상은 녹색을 기본 색상으로 하되, 포장재의 색깔 등을 고려하여 파란색, 빨간색 또는 검은색으로 할 수 있다.
     4. 표시 도형의 국민 및 영문 모두 글자의 활자체는 명조체로 하고, 글자 크기는 표시도형의 크기에 따라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고딕체이다
[해설작성자 : ㅂㅎㅇㅎㅇ]

88.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상 인증심사원에 관한 내용 중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한 경우 인증심사원이 받는 처벌은?(2021년 03월)
     1. 자격 취소
     2. 3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3. 12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4. 24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제26조의2 제3항에 따르면,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한 인증심사원에 대해서는 자격 취소의 처분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솜삼]

89.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유기농업자재의 공시 기준에서 식물에 대한 시험성적서 심사사항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가)와 (나)에 알맞은 내용은?(2021년 03월)

    

     1. (가) : 0, (나) : 1
     2. (가) : 1, (나) : 2
     3. (가) : 2, (나) : 3
     4. (가) : 3, (나) : 2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다섯 종류 이상의 작물에 대해 적합하게 시험한 성적이어야 한다.
2) 농약피해ㆍ비료피해의 정도는 시험성적 모두가 기준량에서 0 이하이거나, 2배량에서 1 이하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뺭뺭]

90.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서 정한 친환경농산물 인증 기준의 구비요건 중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고자 하는 자는 최소 몇 년간의 영농관련 자료를 보관하여야 하는가?(2009년 05월)
     1. 2년 이상
     2. 5년 이상
     3. 10년 이상
     4. 보관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45%

91.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검사/인증시의 최소 검사요건 및 예방조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8년 07월)
     1. 수입국은 수입 유기제품의 검사요건만 정해 놓으면 된다.
     2. 인증기관은 필요에 따라 또는 불시에 생산구역 을 방문해야 한다.
     3. 인증기관은 최소한 2년에 한번씩 생산구역 전체 에 대해 물리적인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4. 사업자는 매년 인증기관이 정한 날짜에 인증기관에 단위농지별로 작물생산 스케줄을 통보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92. 친환경농업육성법령상 친환경농자재의 종류와 사용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8월)
     1. 염화나트륨(소금)은 채굴한 염 또는 천일염이어야 한다.
     2. 사람의 배설물은 1개월 이상 저온발효된 것이어야 한다.
     3. 지렁이 또는 곤충으로부터 온 부식토는 슬러지류를 먹이로 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
     4. 톱밥, 나무껍질 및 목재 부스러기는 폐가구 목재의 톱밥 및 부스러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93. 유기식품등의 인증 신청 및 심사 등에 따른 인증의 유효기간은 인증을 받을 날부터 몇 년으로 하는가?(2019년 03월)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 : []
     정답률 : 72%

94. 유기가공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허용된 취급물질 중 첨가물이 아닌 가공보조제로만 사용되는 물질은?(2011년 03월)
     1. 염화칼슘
     2. 구연산
     3. 수산화나트륨
     4. 카나우바왁스

     정답 : []
     정답률 : 35%

95. 친환경농업육성법의 규정에 의한 유기농산물 표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표시도형 밑에 친환경농산물 종류명칭을 표기한다.
     2. 인증기관의 명칭은 반드시 표시하지 않아도 되며, 활자체는 명조체로 해야 한다.
     3. 유기농산물 표시도형의 크기는 포장재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없다.
     4. 유기농산물로 인증 받는 경우 천연, 자연, 무공해 등 강조표시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5%

96.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른 수입 유기가공식품에 관한 표시기준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당해 수입식품의 원재료 중 친환경농업유성법 제17조 동법 시행규칙 제 9조 규정의 인증기준에 의하여 인증 받았거나 동 인증기준 이상의 유기 농산물이어야 한다.
     2. 동일 원재료에 대하여 유기농산물과 비유기농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제조시 식품첨가물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식품 첨가물이 제조설비에 잔존하여서는 아니 된다.
     4. 해당 수입 유기가공식품이 비록 국제기구의 인증을 받았더라도 국내 친환경농업육성법이 제시하는 인증기준에 의하여 반드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97. 친환경농업육성법령에 근거한 친환경농산물 표시방법 중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을 받은자는 포장ㆍ용기 등에 도형 또는 문자의 표시를 할 수 있다.
     2. 친환경농산물 표시를 하고자 하는 자는 친환경농산물표시와 함께 생산자의 성명 등을 포장 또는 용기 앞면에 표시하여야 한다.
     3. 포장을 하지 아니하고 낱개로 판매하는 경우에는 당해 인증품에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다.
     4. 공신력 있는 외국인증기관에서 인증된 농산물을 수입한자는 친환경농산물 표시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98. 인증기관의 지정기준 중 인력에 대한 내용에서 인증심사원을 몇 명 이상 갖추어야 하는가? (단, “인증기관 지정 이후에는 인증업무량 등에 따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정하는 인증심사원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에 대한 내용은 제외한다.)(2019년 03월)
     1. 2명
     2. 3명
     3. 4명
     4. 5명

     정답 : []
     정답률 : 64%

99.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인증기관 지정기준의 인력에 대한 내용으로 ( )에 알맞은 것은?(2022년 03월)

    

     1. 3명
     2. 5명
     3. 7명
     4. 9명

     정답 : []
     정답률 : 67%

100.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양봉 및 양봉 제품 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여왕벌의 날개 일부를 잘라 주어야 한다.
     2. 기초 벌집은 유기적으로 생산된 밀랍으로 만들어야 한다.
     3. 양봉 제품을 수확하기 위하여 벌집 안에 들어 있는 벌을 죽이는 것은 금지된다.
     4. 양봉으로부터 유래되는 제품을 추출하고 가공할 동안에는 가능한 한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게 좋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여왕벌의 날개를 자르는 것과 같은 절단행위는 금지된다.
[해설작성자 : 제르미최]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817311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0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389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0년03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388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387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역사회간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386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385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3782998)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8173112)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383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382 9급 지방직 공무원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8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8985870)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380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4204336)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79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8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10
1378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8
1377 컴퓨터그래픽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76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75 직업상담사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8
1374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73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372 방송통신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0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7
1371 9급 국가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Board Pagination Prev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192 Next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