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안전점검표 항목은 위험성이 높은 순서 또는 긴급을 요하는 순서대로 작성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현대제철 마텐이]
2.
안전교육에 있어서 동기부여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책임감을 느끼게 한다.
2.
관리감독을 철저히 한다.
3.
자기 보존본능을 자극한다.
4.
물질적 이해관계에 관심을 두도록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안전 교육을 함에 있어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여 교육을 제대로 받는지를 감시하는 것이 아닌, 왜 안전교육이 필요하고 안전을 지키는 것이 왜 물질적으로 이익이 되는지, 왜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책임감을 갖게 하는 지, 그 이유에 대해 중점을 두도록 하는 것이 올바른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문초보]
3.
교육과정 중 학습경험조직의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회의 원리
2.
계속성의 원리
3.
계열성의 원리
4.
통합성의 원리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범위 이계통" 1. 계속성의 원리 2. 계열성의 원리-교육 내용의 순서 결정 3. 통합성의 원리 4. 범위 [해설작성자 : 허찬]
타일러의 학습경험 조직원리 1) 계속성의 원리 : 학습 경험의 여러 동일 요소들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 - 누적학습 2) 계열성의 원리 : 교육내용이 확장되며 부분에서 전체를 학습하는 것 3) 통합성의 원리 : 관련 내용을 연결하여 제시하여 학습하는 것 -기회의 원리는 학습경험의 '선정원리'중 하나입니다 4) 기회의 원리 :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충분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해설작성자 : Camila]
<문제 해설> 직계 소규모 100명이하 참모 중규모 100~1000명 직계참모 대규모 1000명이상 [해설작성자 : 짝재]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 중 관계자 외 출입금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관리대상물질 작업장
2.
허가대상물질 작업장
3.
석면취급ㆍ해체 작업장
4.
금지대상물질의 취급 실험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관리자외 출입금지 표시 허가대상물작 작업장- 허가물질명칭 제조 사용 보관중 석면취급 . 해체 작업장 금지대상물질의 취급 실험실 등 - 발암물질 취급 [해설작성자 : 쥬]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명시된 타워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에서 신호업무를 하는 작업 시 특별교육 대상 작업별 교육 내용이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1.
신호방법 및 요령에 관한 사항
2.
걸고리ㆍ와이어로프 점검에 관한 사항
3.
화물의 취급 및 안전작업방법에 관한 사항
4.
인양물이 적재될 지반의 조건, 인양하중, 풍압 등이 인양물과 타워크레인에 미치는 영향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타워크레인의 기계적특성및 방호장치등에 관한 사항 화물의 취급 안전작업방법에 관한 사항 신호방법 및 요령에 관한 사항 인양물건의 위험성 및 낙하 비래 충돌재해 예방에 관한 사항 안양물이 적재될 지반의 조건,인양하중, 풍압등이 인양물과 타워크레인에 미치는 영향 그밖의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4년도부터 위험예지활동 관련 시험 범위 모두 삭제된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레윈(Lewin.K)에 의하여 제시된 인간의 행동에 관한 식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단, B는 인간의 행동, P는 개체, E는 환경, f는 함수관계를 의미한다.)
1.
B=f(PㆍE)
2.
B=f(P+1)E
3.
P=Eㆍf(B)
4.
E=f(PㆍB)
정답 : [
1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레윈 또는 레빈의 법칙> B = f(P*E)--> 비 "퍼"로 암기 / B = f(P*L*s)--> 비 "필스"로 암기 / L = f(m*s*l)---> 엘 "무슬"로 암기(**함수 공통**) <종종 해설로 출제되고 있어 영어 단어 암기 필요> B : Behavior (행동) P : Person (소질,사람)-연령,경험,심신상태,성격,지능 E : Environment (환경)-인간관계,작업환경,작업조건,설비적 결함,감독,직무의 안정 f : function (함수) L : Life Space (생활공간) m : members (인원) s : situation (환경) l : leader (리더) [해설작성자 : 허찬]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에 대한 일반 건강진단의 실시 시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 1년에 1회 이상
2.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 2년에 1회 이상
3.
사무직외의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6월에 1회 이상
4.
사무직외의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2년에 1회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이사 현장일"(사무직-2년/ 현장-1년) [해설작성자 : 허찬]
사무직 건강검진 2년1회 사무직 정기교육 매반기 6시간 이상 [해설작성자 : 헷갈리네용]
14.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 중 안전욕구의 단계는?
1.
제1단계
2.
제2단계
3.
제3단계
4.
제4단계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매슬로우의 욕구단계 이론(인간의욕구 5단계)
제1단계(생리적 욕구) : 기아,갈증,호흡,배설,성욕 등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 제2단계(안전 욕구): 자기 보존 욕구 제3단계(사회적 욕구): 소속감과 애정 욕구 제4단계(존경 욕구): 인정받으려는 욕구 제5단계(자아실현의 욕구): 잠재적인 능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성취 욕구) [해설작성자 : 유태균]
15.
교육계획 수립 시 가장 먼저 실시하여야 하는 것은?
1.
교육내용의 결정
2.
실행교육계획서 작성
3.
교육의 요구사항 파악
4.
교육실행을 위한 순서, 방법, 자료의 검토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안전보건교육계획의 수립 및 추진 순서] 1. 교육의 필요점 및 요구사항 파악 2. 교육의 대상, 방법, 내용 결정 3. 교육 준비 4. 교육 실시 5. 교육의 성과 평가 [해설작성자 : DIGIRAN0]
16.
상황성 누발자의 재해유발원인이 아닌 것은?
1.
심신의 근심
2.
작업의 어려움
3.
도덕성의 결여
4.
기계설비의 결함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도덕성의 결여는 소질성 누발자 [해설작성자 : 다들 합격하쇼]
재해 누발자의 유형
1.미숙성 누발자: 기능 미숙자, 환경에 익숙하지 못한 자
2.상황성 누발자: 작업에 어려움이 많은 자, 기계 설비의 결함이 있을 때, 심신에 근심이 있는 자, 환경상 주의력 집중이 혼란되기 쉬울 때
3.소질성 누발자: 개인 소질 가운데 재해 원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자, 개인의 특수 성격 소유자 * 소질성 누발자의 공통된 성격 * - 주의력 산만 및 주의력 지속 불능 - 저지능 - 도덕성의 결여 - 흥분성 - 비협조성 - 소심한 성격 - 감각운동 부적합 등
4.습관성 누발자: 재해 경험에 의해 겁쟁이가 되거나 신경과민이 된 자, 슬럼프에 빠져있는 자 [해설작성자 : 유태균]
17.
인간의 의식 수준을 5단계로 구분할 때 의식이 몽롱한 상태의 단계는?
1.
Phase Ⅰ
2.
Phase Ⅱ
3.
Phase Ⅲ
4.
Phase Ⅳ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인간 의식레벨의 분류 단계 / 의식의 모드 / 생리적 상태 / 의식의 상태 Phase0: 무의식, 실신 / 수면, 뇌발작 / 주의작용 0 Phase1: 의식흐림 / 피로, 단조로운 일 / 부주의 Phase2: 이완 / 안정기거, 휴식 / 안정기거, 휴식 Phase3: 상쾌 / 적극적 / 적극활동 Phase4: 과긴장 / 일점집중현상, 긴급방위 / 감정흥분 [해설작성자 : 유태균]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에서 산업재해 발생 시 사업주가 기록ㆍ보존하여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산업재해조사표와 요양신청서의 사본은 보존하지 않았다.)
1.
ㄱ, ㄹ
2.
ㄴ,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사업주는 사업장의 개요 및 근로자의 인적사항과 재해 발생의 일시 및 장소,재해 발생의 원인 및 과정과 재해 재발방지 계획을 모두 기록 보존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박명현]
<인간의 실수> "생과실 순시" 생략 에러(부작위 에러)-Omission Error-"안 한 것", "남은 것" 과잉행동 에러-Extraneous Act Error 실행 에러(작위 에러)-Commission Error-"한 것", "바뀐 것" 순서 에러-Sequential Error 시간 에러- Time Error [해설작성자 : 허찬]
22.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발생된 신체 반응의 결과인 스트레인(strain)을 측정하는 척도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인지적 활동 - EEG
2.
육체적 동적 활동 - GSR
3.
정신 운동적 활동 - EOG
4.
국부적 근육 활동 – EMG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스트레인(Strain)-->스트레스로 인해 우리몸에 나타는 현상 육체적 동적 활동-Physical and Dynamic Activities EMG-근전도(국부근육) RPE-운동자각도 EEG-뇌파도(인지도) ECG-심전도 FFF-점멸융합주파수 EOG-안구전위도 3번 항의 EOG 정신적 운동 활동과 연관 여부는 미확인 [해설작성자 : 허찬]
GSR-전기피부반응 [해설작성자 : 참깨]
3. EOG- 안구반응: 망막질환진산 수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답 2번 입니다. GSR은 피부전기반사 이고, 신체반응을 측정하는 척도가 아니라 정신적 부담도를 측정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다빠]
23.
일반적인 시스템의 수명곡선(욕조곡선)에서 고장형태 중 증가형 고장률을 나타내는 기간으로 옳은 것은?
1.
우발 고장기간
2.
마모 고장기간
3.
초기 고장기간
4.
Burn-in 고장기간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초기고장 : 사용개시후 비교적 초기 스트레스에 견디지 못하게 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구간이며 고장률은 감소 하는 경향을 보임 2. 우발고장 :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시스템 또는 제품이 안정화 되면서 사용조건의 우발적인 변화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고장. 고장율 일정. 3. 마모고장 : 일정 기간 경과 후 마모 또는 노후에 기인하여 발생, 설비의 고장률이 증가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청각적 표시장치의 설계 시 적용하는 일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립성이란 긴급용 신호일 때는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2.
검약성이란 조작자에 대한 입력신호는 꼭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다.
3.
근사성이란 복잡한 정보를 나타내고자 할 때 2단계의 신호를 고려하는 것이다.
4.
분리성이란 두 가지 이상의 채널을 듣고 있다면 각 채널의 주파수가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양립성의 종류 (개념, 이동, 공간, 양식 총 네 가지) 1. 개념 양립성(conceptual compatibility) 코드와 기호가 사람들이 가진 개념과 어느정도 연관되는가를 다루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개념 양립성이란 사람들이 사용할 코드와 기호가 얼마나 의미를 가진 것인가에 관한 것입니다. (긴급 신호일 때는 그 개념에 맞게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양립성 신호등이 초록불일때 보행하고 빨간불일땐 멈춰야한다는것 어느 누가 상황에 닥치더라도 이미 학습되 있는것들 핸들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오른쪽으로가는것 등등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양립성: 가능한 한 사용자가 알고 있거나, 자연스러운 신호를 선택 ex) 긴급한 신호일 때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높고 깊게 울리도록~ [해설작성자 : 벤치마킹]
반달 모양 = And 회로, 특징은 버튼 2개 동시에 눌러야만 작동. 1개씩 눌르면 작동안함. 결국 엑스1과 엑스2는 무조건 부등켜 안고 가야함
초생달 모양 - OR 회로, 특징은 버튼 1개만 눌러도 작동, 물론 아무것도 안눌르면 작동안함. 결국 엑스1과 엑스3 중에 아무 놈이나 달고 가면 됨
제일 대가리가 T라는 놈 특성이 And 회로, A1 부서에서 처올라온 부하 두 놈은 사장 아들 딸이라 생각하고 무조건 안고 가야 하는대, A2 부서에서 올라온 두 부하는 한녀석만 쓰면 되므로, 공통으로 들어가는 녀석은 엑스1, 그리고 무조건 써야 하는 엑스2 그래서 결국 까리하게 적는다면 T = X1,X2 [해설작성자 : 영등포 돌참치]
기술개발과정에서 효율성과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분석ㆍ판단할 수 있는 평가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Risk Assessment
2.
Risk Management
3.
Safety Assessment
4.
Technology Assessment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안전성 평가의 종류 ! 1.Risk Assessment 리스크 어세스먼트: 생산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리스크(Risk)를 파악하고 제거하는 활동 2.Risk Management 리스크 메니지먼트(무엇인지 모르겠음) 3.Safety Assessment 세이프티 어세스먼트: 인적,물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전 공정에 걸친 안전성 평가 4.Technology Assessment 테크놀로지 어세스먼트: 기술 개발과정에서의 효율성과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분석 판단하는 프로세스
보기에 없는 안전성 평가의 종류 Human Assessment 휴먼 어세스먼트: 인적오류,인간,사고 상의 평가 [해설작성자 : 문과생임대빵]
35.
자동차를 타이어가 4개인 하나의 시스템으로 볼 때, 타이어 1개가 파열될 확률이 0.01이라면, 이 자동차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오류신고 반론] log 10의 0.5는 -0.3이지만, 보통 공학에서 사용하는 log e의 0.5는 -0.7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추가 오류 신고] log0.5 = -0.3이 맞습니다. 공학의 log e는 자연상수의 log 값으로 해당 문제의 풀에 맞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공학석사 안전관리자]
37.
정보수용을 위한 작업자의 시각 영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판별시야 – 안구운동만으로 정보를 주시하고 순간적으로 특정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
2.
유효시야 – 시력, 색판별 등의 시각 기능이 뛰어나며 정밀도가 높은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
3.
보조시야 – 머리부분의 운동이 안구운동을 돕는 형태로 발생하며 무리 없이 주시가 가능한 범위
4.
유도시야 – 제시된 정보의 존재를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식별능력 밖에 없지만 인간의 공간좌표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유효시야-안구운동만으로정보를 주시하고 순간적으로특정정보를 수용 할 수 있는 범위-->"유효안구만" 판별시야(변별시야)-시력,색판별 등의 시각 기능이 뛰어나며 정밀도가 높은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판별(변별)정밀도 " 보조시야-거의 식별이 곤란하고 고개를 돌려야 가능-->"보조곤란" 유도시야-제시된 정보의 존재를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식별능력 밖에 없지만 인간의 공간좌표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유도공간"(대상이'존재한다' 정도로만 식별 가능한 범위)-->"유도공간" "뭔가 있다" ---공간좌표 [해설작성자 : 허찬]
예시로 쉽게 이해해보기 (운전 중 상황) •앞 유리에 있는 내비게이션 → 유효시야 •정면 교통표지판에 쓰인 숫자 → 판별시야 •조수석 옆에 있는 물병 → 보조시야 •후방에서 누가 다가오는 느낌 → 유도시야 [해설작성자 : 앙기모리]
38.
FMEA 분석 시 고장평점법의 5가지 평가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고장발생의 빈도
2.
신규설계의 가능성
3.
기능적 고장 영향의 중요도
4.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C1 : 기능적 고장 영향의 중요도 C2 :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C3 : 고장발생의 빈도 C4 : 고장방지의 가능성 C5 : 신규설계의 정도 "중요도 범위와 빈도는 고장방지의 가능성과 신규설계의 정도에 있다." [해설작성자 : 허찬]
ⓐ옥스포드 지수의 경우 계산법 (0.85 X 습구온도) + (0.15 X 건구온도) ⓑ습구흑구온도지수 계산하는 법 가. 태양광이 내리쬐는 옥외장소 WBGT = (0.7X습구온도)+(0.2X흑구온도)+(0.1X건구온도) 나. 태양광이 내려쬐지않는 옥외장소 WBGT = (0.7X습구온도)+(0.3X흑구온도) [해설작성자 : 지나가다가..]
40.
설비보전에서 평균수리시간을 나타내는 것은?
1.
MTBF
2.
MTTR
3.
MTTF
4.
MTBP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MTBF:평균고장시간간격 (Mean Time Between Failure) 2.MTTR:평균수리시간 (Mean Time To Repair) 3.MTTF:평균고장시간 (Mean Time To Failure)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내 근로자 작업환경 중 ‘강렬한 소음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0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3.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4.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소음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2. “강렬한 소음작업”이란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가.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나.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다.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라. 10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마. 11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바.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5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데시벨 8시간 확실하게 외우고 5데시벨 증가할때마다 시간은 절반씩 줄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문제 해설> 프렛 작업전 점검사항 1. 브레이크 및 클러치의 정상 작동 여부 2. 크랭크 축, 플라이 휠, 연결봉 등의 체결 나사의 풀림 여부 3. 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 정상작동 여부 4. 위험방지 기구등의 기능 정상 작동 여부 5. 프레스 금형등의 도정 상태 6. 프레스 방호장치 정상 설치 상태 (권과방지 장치 및 그 밖의 경보장치는 크레인 등의 사용전 점검사항 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권과방지장치 = 크레인 압력방출장치 = 보일러 [해설작성자 : 보라매 ]
43.
동력전달부분의 전방 35cm 위치에 일반 평형보호망을 설치하고자 한다. 보호망의 최대 구멍의 크기는 몇 mm인가?
1.
41
2.
45
3.
51
4.
55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Y=6+0.1x [해설작성자 : 댕이아빠]
Y=6+0.1x350 [해설작성자 : 코이루]
가드의 개구간격은 X<160mm일 경우 Y=6+0.15*X (X=안전거리, Y= 최대개구간격) 단. 일반평형보호망, 위험점이 전동체인인경우에는 Y=6+0.1*X 가되며 위 문제는 평형보호망을 설치 하므로 Y=6+0.1*350 = 41mm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초보]
KOSHA Guide M-135-2023 개구부 간격 가드를 설치할 때 일반적인 개구부의 간격은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한다. y = 6 + 0.15 x (x < 160mm) (단: x ≧ 160mm 이면 y=30) 여기서 x : 개구부에서 위험점까지의 최단거리(mm) y : 개구부의 간격(mm) 다만, 위험점이 전동체인 경우 개구부의 간격은 다음식으로 계산한다. y = 6 + x/10 (단, x < 760mm에서 유효) 여기서 x : 개구부에서 전동대차 위험점까지의 최단거리(mm) y : 개구부의 간격(mm)
문제에서 위험점이 전동체라는 문구가 없어 헷갈리는 문제임 [해설작성자 : ㅎㅎ]
44.
다음 연삭숫돌의 파괴원인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2.
플랜지의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이상으로 고정된 경우
3.
숫돌 자체에 균열 및 파손이 있는 경우
4.
숫돌에 과대한 충격을 준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2번 -> 플랜지가 현저히 작을 때 연삭숫돌이 파괴될 수 있음(플랜지의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합격뿌!]
45.
화물중량이 200kgf, 지게차의 중량이 400kgf, 앞바퀴에서 화물의 무게중심까지의 최단거리가 1m일 때 지게차가 안정되기 위하여 앞바퀴에서 지게차의 무게중심까지 최단거리는 최소 몇 m를 초과해야 하는가?
선반에서 일감의 길이가 지름에 비하여 상당히 길 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절삭 시 절삭저항에 의한 일감의 진동을 방지하는 장치는?
1.
칩 브레이커
2.
척 커버
3.
방진구
4.
실드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칩 브레이커 : 칩을 짧게 절단하는 장치 2.척 커버 : 기어 등을 복개하는 장치 3.방진구 : 일감의 길이가 지름에 비하여 상당히 길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절삭 시 절삭저항에 의한 진동을 방지 4.쉴드 : 침 및 절삭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플라스틱 덮개 [해설작성자 : 궁금만땅]
문제의 진동을 방지하는 장치라는 해설을 참조하여 보기의 사전적 의미를 찾으면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음. ㄴ 방진 ... 진동을 방지 ㄴ 방진구 원 기능 ... 공작물이 처지거나 떨리는 현상을 줄여주는 장치 [해설작성자 : Bowlove]
4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를 제외한 사출성형기ㆍ주형조형기 및 형단조기 등에 관한 안전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근로자의 신체 일부가 말려들어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양수조작식 방호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2.
게이트 가드식 방호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연동구조를 적용하여 문을 닫지 않아도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3.
사출성형기의 전면에 작업용 발판을 설치할 경우 근로자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여야 한다.
4.
기계의 히터 등의 가열 부위, 감전 우려가 있는 부위에는 방호덮개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문을 닫지 않고 동작하게 되면 큰일 남. [해설작성자 : 뚝배기 기사]
49.
연강의 인장강도가 420MPa이고, 허용응력이 140MPa이라면 안전율은?
1.
1
2.
2
3.
3
4.
4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안전율= 인장강도/허용응력 [해설작성자 : 지식백과114]
50.
밀링 작업 시 안전 수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칩은 기계를 정지시킨 다음에 브러시 등으로 제거한다.
2.
일감 또는 부속장치 등을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는 반드시 기계를 정지시키고 작업한다.
3.
면장갑을 반드시 끼고 작업한다.
4.
강력 절삭을 할 때는 일감을 바이스에 깊게 물린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면장갑이 말려들면 위험함 [해설작성자 : ㅈㅅㅇ 바보]
면장갑의 끼임으로 인해 신체 일부(손)가 빨려들어가는 상황 발생 [해설작성자 : 파워변]
51.
다음 중 프레스기에 사용되는 방호장치에 있어 원칙적으로 급정지 기구가 부착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은?
강도는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2배 값(4톤을 넘는 값에 대해서는 4톤으로 한다)의 등분포정하중(等分布靜荷重)에 견딜 수 있을 것 [해설작성자 : 산안기 합격]
53.
강자성체를 자화하여 표면의 누설자속을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은?
1.
방사선 투과 시험
2.
인장시험
3.
초음파 탐상 시험
4.
자분 탐상 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강자성체의 결함을 찾을 때 사용하는 비파괴시험법 표면 또는 표층에 결함이 있을 경우 누설자속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결함 검출 ! = 자분탐상시험 [해설작성자 : 한번에 붙자 ]
5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일러 방호장치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고저수위 조절장치
2.
아웃트리거
3.
압력방출장치
4.
압력제한스위치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아웃트리거는 사다리의 안전장치 입니다. [해설작성자 : ^^]
추가: 크레인의 전도(넘어짐)방지안전장치 이기도 합니다. [해설작성자 : 아리아린]
5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분기장치
2.
자동발생 확인장치
3.
유수 분리장치
4.
안전기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안전기의 설치 1.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취관마다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주관 및 취관에 가장 가까운 분기관마다 안전기를 부착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가스용기가 발생기와 분리되어 있는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대하여는 발생기와 가스용기 사이에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꿀2]
56.
프레스기의 안전대책 중 손을 금형 사이에 집어넣을 수 없도록 하는 본질적 안전화를 위한 방식(no-hand in die)에 해당하는 것은?
No hand in die 방식 종류 안전울 부착 프레스 안전금형 부착 프레스 전용프레스 자동프레스 [해설작성자 : 합격 가즈아]
57.
회전하는 부분의 접선방향으로 몰려 들어갈 위험이 존재하는 점으로 주로 체인, 풀리, 벨트, 기어와 랙 등에서 형성되는 위험점은?
1.
끼임점
2.
협착점
3.
절단점
4.
접선물림점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산업재해 명칭으로는 끼임, 협착, 절단이 있으나 문제에서는 위험점을 묻고 있으므로 정답은 4번 [해설작성자 : 파워변]
산업재해 명칭으로도 쓰이나 위험점의 6가지중에도 포함 되어있습니다. 기계/기구 및 설비의 6대 위험점 1. 협착점 - 왕복 + 고정 2. 끼임점 - 회전 또는 직선 + 고정 3. 절단점 - 회전 4. 물림점 - 회전 + 회전 5. 접선물림점 - 회전 + 접선 6. 회전말림점 - 돌기회전 [해설작성자 : 기계.기구 및 설비]
5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양중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승강기에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포함되므로 3, 4 모두 정답처리 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59.
다음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1/4
2.
1/3
3.
1/2.5
4.
1/2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30미만 이면 1/3 30이상 이면 1/2.5 [해설작성자 : 잉잉]
6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지게차에서 통상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하나, 마스트의 후방에서 화물이 낙하함으로써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없는 때에는 반드시 갖추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전조등
2.
헤드가드
3.
백레스트
4.
포크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게차는 포크에 적재된 화물이 마스트의 뒤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backrest를 설치 하여야 한다 사업주는 백레스트를 갖추지 아니한 지게차를 사용해서는 아니된다. (단. 마스트의 후방에서 화물이 낙하함으로써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초보]
한국화재안전기준 KFS 정전기 기준 [KFS 440] 20페이지 (최종개정일 2010.03.25) 3.2.1.4 제전기의 설치 (1) 제전기의 설치 전 후에 전위를 측정하여 제전의 목표치를 만족하는 위치 또는 제전효율이 "90%"인 위치 [해설작성자 : 법령 찾는거 재밌네]
절연불량(파괴의 주요원인) 1) 높은 이상전압 등에 의한 전기적 요인 2) 진동, 충격 등에 의한 기계적 요인 3) 산화 등에 의한 화학적 요인 4) 온도상승에 의한 열적 요인 [해설작성자 : 노력원숭이]
정격 전압: 전기 기기가 안전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 전압을 의미합니다. 기기 설계 시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작동시켜야 안정성과 수명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정격 전압보다 낮거나 높으면 작동이 불안정해지거나 심한 경우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툴툴]
<문제 해설> 유압 방폭구조(k)→ 유입 방폭구조(Oil Immersed Type:O) - 점화원을 기름 속에 가두어 인화성 분위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 방폭구조. [해설작성자 : Seeker]
방폭구조의 종류 1.내압 방폭구조 (Ex d) 2.안전증 방폭구조 (Ex e) 3.압력 방폭구조 (Ex p) 4.본질안전 방폭구조 (Ex i) 5.유입 방폭구조 (Ex o) 6.특수 방폭구조 (Ex s)
유압 방폭구조란건 없음. [해설작성자 : 닥터김]
72.
동작 시 아크가 발생하는 고압 및 특고압용 개폐기ㆍ차단기의 이격거리(목재의 벽 또는 천장, 기타 가연성 물체로부터의 거리)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사용전압이 35kV 이하의 특고압용의 기구 등으로서 동작할 때에 생기는 아크의 방향과 길이를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없도록 제한하는 경우가 아니다.)
1.
고압용: 0.8m 이상, 특고압용: 1.0m 이상
2.
고압용: 1.0m 이상, 특고압용: 2.0m 이상
3.
고압용: 2.0m 이상, 특고압용: 3.0m 이상
4.
고압용: 3.5m 이상, 특고압용: 4.0m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아크를 발생 시키는 기구 - 개폐기, 차단기, 피뢰기, 기타 유사한 기구 이격거리 : 고압용은 1m 이상, 특고압용의 것은 2m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3300/220V, 20kVA인 3상 변압기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저압 전선로의 절연 부분의 전선과 대지 간의 절연저항의 최소값은 약 몇 Ω인가? (단, 변압기의 저압 측 중성점에 접지가 되어 있다.)
I = 165 * 10^-3 / 1 [A] I = 0.165[A] W = 0.165^2 * 500 * 1 = 13.6125[J]
78.
내압방폭용기 “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통형 나사 접합부의 체결 나사산 수는 5산 이상이어야 한다.
2.
가스/증기 그룹이 ⅡB일 때 내압 접합면과 장애물과의 최소 이격거리는 20mm이다.
3.
용기 내부의 폭발이 용기 주위의 폭발성 가스 분위기로 화염이 전파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부분은 내압방폭 접합부이다.
4.
가스/증기 그룹이 ⅡC일 때 내압 접합면과 장애물과의 최소 이격거리는 40mm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최소이격거리 II A 10MM II B 30MM II C 40M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KS C IEC 60079-0의 정의에 따라 ‘두 도전부 사이의 고체 절연물 표면을 따른 최단거리’를 나타내는 명칭은?
1.
전기적 간격
2.
절연공간거리
3.
연면거리
4.
충전물 통과거리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연면거리(Creepage Distance) - 두 전도부 사이의 공간을 통한 최단거리 [해설작성자 : 노력원숭이]
위에 원숭이님이 말씀하신거는 절연공간거리입니다. 연면거리:서로 절연된 두 도전부 사이의 절연 표면을 통한 최단거리 문제에서 고체 절연물 표면을 따르는 최단거리라고 해서 연면거리입니다. [해설작성자 : 최재서1]
두 개의 도전성 부분 간의 절연물 표면을 따라 측정한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유빈아빠]
절연공간 ㅡ 공간에 통한 연면공간 ㅡ 표면을 따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접지 목적에 따른 분류에서 병원설비의 의료용 전기전자(MㆍE)기기와 모든 금속부분 또는 도전바닥에도 접지하여 전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한 접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계통 접지
2.
등전위 접지
3.
노이즈방지용 접지
4.
정전기 장해방지 이용 접지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등전위 >>> 병원에서 의료기기 사용 시의 안전 계통 >> 고압전로와 저압전로 혼촉 시 감전이나 화재방지 정전기방지용 >>> 정전기 축적에 의한 폭발재해방지 [해설작성자 : 사쿠라]
접지의 종류 : 계통접지: 고압전로와 저압전로 혼축 시 사고 방지/ 지락검출용 접지 - 차단기의 동작을 확실히 하기 위해 기능용 접지 - 건축물 내 전자기기의 안정적 가동 확보 위해 / 등전위 접지 - 병원에 있어서 의료기기 안전 위해 / 제 3종 접지 - 피뢰기의 기능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지 [해설작성자 : 북삼고노경환]
1. 과산화나트륨 : 1류위험물 2. 황린: 3류위험물 3. 연소산나트륨:1류위험물 4. 아세트알데히드:4류위험물 물과 반응하여 폭발성 수소기체를 발생시키는건 나트륨의 특징으로 "나트륨"과 "염소산나트륨"과의 이름 혼동으로 출제된 보기 같습니다. (위험물 종류는 1~6류로 사실상 위험물기능장 시험에서나 자세히 공부할 내용으로 정답률도 29%인거 보면 사실상 틀리라고 낸 문제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84.
공정안전보고서 중 공정안전자료에 포함하여야 할 세부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비상조치계획에 따른 교육계획
2.
안전운전지침서
3.
각종 건물ㆍ설비의 배치도
4.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 내용 등) ① 영 제44조에 따라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해야 할 세부내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공정안전자료 가. 취급·저장하고 있거나 취급·저장하려는 유해·위험물질의 종류 및 수량 나. 유해·위험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 다.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의 목록 및 사양 라.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의 운전방법을 알 수 있는 공정도면 마. 각종 건물·설비의 배치도 바.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및 전기단선도 사. 위험설비의 안전설계·제작 및 설치 관련 지침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① 가연성 가스누출감지경보기는 감지대상 가스의 폭발하한계 25퍼센트 이하, 독성가스 누출감지경보기는 해당 독성가스의 허용농도 이하에서 경보가 울리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② 가스누출감지경보의 정밀도는 경보설정치에 대하여 가연성 가스누출감지경보기는 ±25퍼센트 이하, 독성가스누출감지경보기는 ±30퍼센트 이하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89.
폭발을 기상폭발과 응상폭발로 분류할 때 기상폭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분진 폭발
2.
혼합가스폭발
3.
분무폭발
4.
수증기폭발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응상폭발의 종류 - 수증기폭발, 증기폭발, 고상간의 전이에 의한 폭발, 전선폭발 [해설작성자 : 사건의 지평선]
* 응상 폭팔, 기상 폭팔 정의 응상폭팔-물리적 폭팔의 일종으로, 고체와 액체가 폭팔하는 것 기상폭팔-화학적 폭팔의 일종으로, 가연성 가스나 증기가 폭팔하는 것
* 응상폭팔 종류 - 증기폭팔, 수증기폭팔, 전선폭팔, 물질의 혼합에 의한 폭팔, 폭팔성 물질의 폭팔
* 증기폭팔 종류 - 가스폭팔, 분무폭팔, 분진폭팔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1. 응상폭발: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물질이 물리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폭발. 2. 기상폭발: 기체 상태의 물질이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폭발. - 수증기폭발: 응상폭발의 대표적인 예이며, 수증기가 기체 라는점에서 헷갈릴 수 있으나 수증기는 물이 증발해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응상폭발임을 주의 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90.
다음 가스 중 가장 독성이 큰 것은?
1.
CO
2.
COCI2
3.
NH3
4.
H2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고기 먹고 뀌는 방귀가 젤 독한 것처럼 COCI(고기)가 가장 독하다라고 외우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양념돼지주물럭]
COC12 (포스겐) 은 맹독성 가스로 TWA 01.PPM 의 맹독성 물질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개다 위험물질이며(CO:일산화탄소/ NH3:암모니마/ H2:수소) COCl2(포스겐): 극소량으로도 치명적인 가스 입니다. 보기가 한글로 주어지면 포스겐 > 1차세계대전에서 인명살상용 독가스로도 사용된 가스, 폭스바겐>독일>치명적 독가스 이렇게 연상식으로 외워도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91.
처음 온도가 20℃인 공기를 절대압력 1기압에서 3기압으로 단열압축하면 최종온도는 약 몇 도인가? (단, 공기의 비열비 1.4이다.)
1.
68℃
2.
75℃
3.
128℃
4.
164℃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273+20)*(3기압/1기압)^(1.4-1/1.4)=401.04K 401-273=128℃ 온도는 모두 K=273+℃ [해설작성자 : ㅋㅌ]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발끝막이판은 바닥면등으로부터 10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해설작성자 : 루피]
106.
흙 속의 전단응력을 증대시키는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 또는 인공에 의한 지하공동의 형성
2.
함수비의 감소에 따른 흙의 단위체적 중량의 감소
3.
지진, 폭파에 의한 진동 발생
4.
균열내에 작용하는 수압증가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함수비의 감소'에 따른 '흙의 단위체적 중량의 증가' 가 맞는 말입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흙속에서 발생하는 전단응력이 전단강도를 초과하게 되면 토사가 붕괴하겠죠? 문제에서 물어보는 전단응력이 증가한다는것은 토사가 붕괴되는 원인을 물어보는것과 같습니다. 고로 지하공동이 형성되고, 진동 및 충격이 있고, 간극수압이 증가한다면 토사가 붕괴하구요 함수비의 증가로 흙의 중량이 감소한다면 토사 붕괴원인이 맞는말이 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D-1]
107.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권상용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 할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회
2.
2회
3.
4회
4.
6회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12조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길이 등 [해설작성자 : 아자자!]
'2회' 감기고 남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한량]
108.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공사로 볼 수 없는 것은?
1.
지상 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2.
터널 건설공사
3.
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4.
다리의 전체길이가 40m 이상인 건설공사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최대 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교량건설 등 공사 [해설작성자 : 1004빈]
109.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최대 몇 도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60도
2.
75도
3.
80도
4.
90도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고정식 사다리의 통로의 기울기는 90도 이하, 높이 7미터이상인 경우 바닥높이가 2.5 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사다리식 통로 75도, 고정식 사다리 90도, 발판과 벽 사이는 15cm, 폭은 30cm 이상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60cm 이상 올라가도록 할 것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인 경우네는 5m 이내마다 계단참 설치 정식 사다리의 통로의 기울기는 90도 이하, 높이 7미터이상인 경우 바닦높이가 2.5 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 [해설작성자 : 벤치마킹]
단관비계는 수직방향 5M 수평방향 5M 이하 틀비계는 수직방향 6M 수평방향 8M 이하 통나무비계 수직방향 5.5M 수평방향 7.5M 이하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114.
인력으로 화물을 인양할 때의 몸의 자세와 관련하여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쪽 발은 들어올리는 물체를 향하여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다른 발은 그 뒤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것
2.
등은 항상 직립한 상태와 90도 각도를 유지하여 가능한 한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할 것
3.
팔은 몸에 밀착시키고 끌어당기는 자세를 취하며 가능한 한 수평거리를 짧게 할 것
4.
손가락으로만 인양물을 잡아서는 아니 되며 손바닥으로 인양물 전체를 잡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등은 항상 직립한 상태와 90도 각도를 유지하여 가능한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할 것(수평-->수직) [해설작성자 : 허찬]
115.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항목 중 안전시설비로 사용가능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원활한 공사수행을 위한 가설시설 중 비계설치 비용
2.
소음관련 민원예방을 위한 건설현장 소음방지용 방음시설 설치 비용
3.
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CCTV에 사용되는 비용
4.
기계ㆍ기구 등과 일체형 안전장치의 구입비용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안전시설비 등: 법ㆍ영ㆍ규칙 및 고시에서 규정하거나 그에 준하여 필요로 하는 각종 안전표지ㆍ경보 및 유도시설, 감시 시설, 방호장치, 안전ㆍ보건시설 및 그 설치비용(시설의 설치ㆍ보수ㆍ해체 시 발생하는 인건비 등 경비를 포함한다) [해설작성자 : 1004빈]
1. 원활한 공사수행을 하기위한건 산업안전보건 관리비로 사용불가 - 산업안전보건법 외 타 법에서 하게한 경우, 공사내역에 반영된 경우 등 - 위 같은 경우는 공사내역에 반영될 경우이므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불가 2. 1번과 같은 맥락 3. 공사관련 내용 확인 및 안전관리를 위한 다목적 CCTV라고 했으면 안되겠지만, 지문에서는 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한 목적이라고 되어있기 때문에 시설비로 가능 4. 이 부분은 핸드그라인더나 고속절단기 등의 방호장치를 생각하면 편할것입니다. - 기계에 당연히 부착해야하는것은 공사성의 목적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대협]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이 개정됨에 따라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이 삭제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tn]
정답은 3번이 맞으나 산업안전보건법관리비 사용가능내역 고용부 고시에서 2022년 6월 2일에 개정*삭제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을..]
유한사면에서 원형활동면에 의해 발생하는 일반적인 사면파괴는 사면 내부의 흙이 원형 미끄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붕괴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1.사면내파괴 : 사면 내부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형태 2.사면선단파괴 : 사면의 하부(선단)에서 붕괴가 시작되는 형태 3.사면저부파괴 : 사면의 기저부에서 발생하는 붕괴형태 [해설작성자 : 버터]
사면파괴의 종류 = 내선자 ( 사면내,사면선단,사면저부 ) [해설작성자 : 평택카리나]
117.
강관비계를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m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2.
띠장 간격은 2.0m 이하로 할 것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6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산안기 산안산기 동시도전]
118.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승강설비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2m
2.
4m
3.
6m
4.
8m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화물자동차의 경우: 짐 윗면까지의 높이가 2m 이상인 경우 - 설비 설치 화물은 2m [해설작성자 : 산안기요정]
119.
달비계의 최대 적재하중을 정함에 있어서 활용하는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곤돌라의 달비계를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달기 훅: 5 이상
2.
달기 강선: 5 이상
3.
달기 체인: 3 이상
4.
달기 와이어로프: 5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달기 와이어로프,강선 : 10 이상 달기 훅,체인,목재 : 5 이상 달기 강대와 달비계 하부 및 상부의 지점 :2.5 이상 [해설작성자 : 허찬]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제55조(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 사업주는 비계의 구조 및 재료에 따라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고, 이를 초과하여 실어서는 안 된다.[전문개정 2024.6.28.] 기존 달비계 안전계수 항목이 삭제되었음(규정된 답이 없음) [해설작성자 : ㅎㅎ]
120.
발파작업 시 암질변화 구간 및 이상암질의 출현 시 반드시 암질판별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암질판별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R.Q.D(%)
2.
탄성파속도(m/sec)
3.
전단강도(kg/cm2)
4.
R.M.R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암질판별기준> 1. 일축 압축강도 2. RQD 3. RMR 4. 탄성파 속도 ***조선의 달인 블로그 발취**** [해설작성자 : 허찬]
R로 시작하는 것: 해당 전단강도는 암질판별기준과는 무관함 [해설작성자 : 산안기요정]
정답은 3번이 맞으나 굴착공사표준안전지침 고용부고시에서 2023년 7월 1일에 개정되어 삭제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을..]
<문제 해설> 안전점검표 항목은 위험성이 높은 순서 또는 긴급을 요하는 순서대로 작성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현대제철 마텐이]
2.
안전교육에 있어서 동기부여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책임감을 느끼게 한다.
2.
관리감독을 철저히 한다.
3.
자기 보존본능을 자극한다.
4.
물질적 이해관계에 관심을 두도록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안전 교육을 함에 있어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여 교육을 제대로 받는지를 감시하는 것이 아닌, 왜 안전교육이 필요하고 안전을 지키는 것이 왜 물질적으로 이익이 되는지, 왜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책임감을 갖게 하는 지, 그 이유에 대해 중점을 두도록 하는 것이 올바른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문초보]
3.
교육과정 중 학습경험조직의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회의 원리
2.
계속성의 원리
3.
계열성의 원리
4.
통합성의 원리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범위 이계통" 1. 계속성의 원리 2. 계열성의 원리-교육 내용의 순서 결정 3. 통합성의 원리 4. 범위 [해설작성자 : 허찬]
타일러의 학습경험 조직원리 1) 계속성의 원리 : 학습 경험의 여러 동일 요소들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 - 누적학습 2) 계열성의 원리 : 교육내용이 확장되며 부분에서 전체를 학습하는 것 3) 통합성의 원리 : 관련 내용을 연결하여 제시하여 학습하는 것 -기회의 원리는 학습경험의 '선정원리'중 하나입니다 4) 기회의 원리 :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충분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해설작성자 : Camila]
<문제 해설> 직계 소규모 100명이하 참모 중규모 100~1000명 직계참모 대규모 1000명이상 [해설작성자 : 짝재]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 중 관계자 외 출입금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관리대상물질 작업장
2.
허가대상물질 작업장
3.
석면취급ㆍ해체 작업장
4.
금지대상물질의 취급 실험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관리자외 출입금지 표시 허가대상물작 작업장- 허가물질명칭 제조 사용 보관중 석면취급 . 해체 작업장 금지대상물질의 취급 실험실 등 - 발암물질 취급 [해설작성자 : 쥬]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명시된 타워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에서 신호업무를 하는 작업 시 특별교육 대상 작업별 교육 내용이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1.
신호방법 및 요령에 관한 사항
2.
걸고리ㆍ와이어로프 점검에 관한 사항
3.
화물의 취급 및 안전작업방법에 관한 사항
4.
인양물이 적재될 지반의 조건, 인양하중, 풍압 등이 인양물과 타워크레인에 미치는 영향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타워크레인의 기계적특성및 방호장치등에 관한 사항 화물의 취급 안전작업방법에 관한 사항 신호방법 및 요령에 관한 사항 인양물건의 위험성 및 낙하 비래 충돌재해 예방에 관한 사항 안양물이 적재될 지반의 조건,인양하중, 풍압등이 인양물과 타워크레인에 미치는 영향 그밖의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4년도부터 위험예지활동 관련 시험 범위 모두 삭제된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레윈(Lewin.K)에 의하여 제시된 인간의 행동에 관한 식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단, B는 인간의 행동, P는 개체, E는 환경, f는 함수관계를 의미한다.)
1.
B=f(PㆍE)
2.
B=f(P+1)E
3.
P=Eㆍf(B)
4.
E=f(PㆍB)
정답 : [
1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레윈 또는 레빈의 법칙> B = f(P*E)--> 비 "퍼"로 암기 / B = f(P*L*s)--> 비 "필스"로 암기 / L = f(m*s*l)---> 엘 "무슬"로 암기(**함수 공통**) <종종 해설로 출제되고 있어 영어 단어 암기 필요> B : Behavior (행동) P : Person (소질,사람)-연령,경험,심신상태,성격,지능 E : Environment (환경)-인간관계,작업환경,작업조건,설비적 결함,감독,직무의 안정 f : function (함수) L : Life Space (생활공간) m : members (인원) s : situation (환경) l : leader (리더) [해설작성자 : 허찬]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에 대한 일반 건강진단의 실시 시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 1년에 1회 이상
2.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 2년에 1회 이상
3.
사무직외의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6월에 1회 이상
4.
사무직외의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2년에 1회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이사 현장일"(사무직-2년/ 현장-1년) [해설작성자 : 허찬]
사무직 건강검진 2년1회 사무직 정기교육 매반기 6시간 이상 [해설작성자 : 헷갈리네용]
14.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 중 안전욕구의 단계는?
1.
제1단계
2.
제2단계
3.
제3단계
4.
제4단계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매슬로우의 욕구단계 이론(인간의욕구 5단계)
제1단계(생리적 욕구) : 기아,갈증,호흡,배설,성욕 등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 제2단계(안전 욕구): 자기 보존 욕구 제3단계(사회적 욕구): 소속감과 애정 욕구 제4단계(존경 욕구): 인정받으려는 욕구 제5단계(자아실현의 욕구): 잠재적인 능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성취 욕구) [해설작성자 : 유태균]
15.
교육계획 수립 시 가장 먼저 실시하여야 하는 것은?
1.
교육내용의 결정
2.
실행교육계획서 작성
3.
교육의 요구사항 파악
4.
교육실행을 위한 순서, 방법, 자료의 검토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안전보건교육계획의 수립 및 추진 순서] 1. 교육의 필요점 및 요구사항 파악 2. 교육의 대상, 방법, 내용 결정 3. 교육 준비 4. 교육 실시 5. 교육의 성과 평가 [해설작성자 : DIGIRAN0]
16.
상황성 누발자의 재해유발원인이 아닌 것은?
1.
심신의 근심
2.
작업의 어려움
3.
도덕성의 결여
4.
기계설비의 결함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도덕성의 결여는 소질성 누발자 [해설작성자 : 다들 합격하쇼]
재해 누발자의 유형
1.미숙성 누발자: 기능 미숙자, 환경에 익숙하지 못한 자
2.상황성 누발자: 작업에 어려움이 많은 자, 기계 설비의 결함이 있을 때, 심신에 근심이 있는 자, 환경상 주의력 집중이 혼란되기 쉬울 때
3.소질성 누발자: 개인 소질 가운데 재해 원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자, 개인의 특수 성격 소유자 * 소질성 누발자의 공통된 성격 * - 주의력 산만 및 주의력 지속 불능 - 저지능 - 도덕성의 결여 - 흥분성 - 비협조성 - 소심한 성격 - 감각운동 부적합 등
4.습관성 누발자: 재해 경험에 의해 겁쟁이가 되거나 신경과민이 된 자, 슬럼프에 빠져있는 자 [해설작성자 : 유태균]
17.
인간의 의식 수준을 5단계로 구분할 때 의식이 몽롱한 상태의 단계는?
1.
Phase Ⅰ
2.
Phase Ⅱ
3.
Phase Ⅲ
4.
Phase Ⅳ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인간 의식레벨의 분류 단계 / 의식의 모드 / 생리적 상태 / 의식의 상태 Phase0: 무의식, 실신 / 수면, 뇌발작 / 주의작용 0 Phase1: 의식흐림 / 피로, 단조로운 일 / 부주의 Phase2: 이완 / 안정기거, 휴식 / 안정기거, 휴식 Phase3: 상쾌 / 적극적 / 적극활동 Phase4: 과긴장 / 일점집중현상, 긴급방위 / 감정흥분 [해설작성자 : 유태균]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에서 산업재해 발생 시 사업주가 기록ㆍ보존하여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산업재해조사표와 요양신청서의 사본은 보존하지 않았다.)
1.
ㄱ, ㄹ
2.
ㄴ,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사업주는 사업장의 개요 및 근로자의 인적사항과 재해 발생의 일시 및 장소,재해 발생의 원인 및 과정과 재해 재발방지 계획을 모두 기록 보존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박명현]
<인간의 실수> "생과실 순시" 생략 에러(부작위 에러)-Omission Error-"안 한 것", "남은 것" 과잉행동 에러-Extraneous Act Error 실행 에러(작위 에러)-Commission Error-"한 것", "바뀐 것" 순서 에러-Sequential Error 시간 에러- Time Error [해설작성자 : 허찬]
22.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발생된 신체 반응의 결과인 스트레인(strain)을 측정하는 척도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인지적 활동 - EEG
2.
육체적 동적 활동 - GSR
3.
정신 운동적 활동 - EOG
4.
국부적 근육 활동 – EMG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스트레인(Strain)-->스트레스로 인해 우리몸에 나타는 현상 육체적 동적 활동-Physical and Dynamic Activities EMG-근전도(국부근육) RPE-운동자각도 EEG-뇌파도(인지도) ECG-심전도 FFF-점멸융합주파수 EOG-안구전위도 3번 항의 EOG 정신적 운동 활동과 연관 여부는 미확인 [해설작성자 : 허찬]
GSR-전기피부반응 [해설작성자 : 참깨]
3. EOG- 안구반응: 망막질환진산 수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답 2번 입니다. GSR은 피부전기반사 이고, 신체반응을 측정하는 척도가 아니라 정신적 부담도를 측정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다빠]
23.
일반적인 시스템의 수명곡선(욕조곡선)에서 고장형태 중 증가형 고장률을 나타내는 기간으로 옳은 것은?
1.
우발 고장기간
2.
마모 고장기간
3.
초기 고장기간
4.
Burn-in 고장기간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초기고장 : 사용개시후 비교적 초기 스트레스에 견디지 못하게 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구간이며 고장률은 감소 하는 경향을 보임 2. 우발고장 :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시스템 또는 제품이 안정화 되면서 사용조건의 우발적인 변화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고장. 고장율 일정. 3. 마모고장 : 일정 기간 경과 후 마모 또는 노후에 기인하여 발생, 설비의 고장률이 증가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청각적 표시장치의 설계 시 적용하는 일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립성이란 긴급용 신호일 때는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2.
검약성이란 조작자에 대한 입력신호는 꼭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다.
3.
근사성이란 복잡한 정보를 나타내고자 할 때 2단계의 신호를 고려하는 것이다.
4.
분리성이란 두 가지 이상의 채널을 듣고 있다면 각 채널의 주파수가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양립성의 종류 (개념, 이동, 공간, 양식 총 네 가지) 1. 개념 양립성(conceptual compatibility) 코드와 기호가 사람들이 가진 개념과 어느정도 연관되는가를 다루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개념 양립성이란 사람들이 사용할 코드와 기호가 얼마나 의미를 가진 것인가에 관한 것입니다. (긴급 신호일 때는 그 개념에 맞게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양립성 신호등이 초록불일때 보행하고 빨간불일땐 멈춰야한다는것 어느 누가 상황에 닥치더라도 이미 학습되 있는것들 핸들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오른쪽으로가는것 등등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양립성: 가능한 한 사용자가 알고 있거나, 자연스러운 신호를 선택 ex) 긴급한 신호일 때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높고 깊게 울리도록~ [해설작성자 : 벤치마킹]
반달 모양 = And 회로, 특징은 버튼 2개 동시에 눌러야만 작동. 1개씩 눌르면 작동안함. 결국 엑스1과 엑스2는 무조건 부등켜 안고 가야함
초생달 모양 - OR 회로, 특징은 버튼 1개만 눌러도 작동, 물론 아무것도 안눌르면 작동안함. 결국 엑스1과 엑스3 중에 아무 놈이나 달고 가면 됨
제일 대가리가 T라는 놈 특성이 And 회로, A1 부서에서 처올라온 부하 두 놈은 사장 아들 딸이라 생각하고 무조건 안고 가야 하는대, A2 부서에서 올라온 두 부하는 한녀석만 쓰면 되므로, 공통으로 들어가는 녀석은 엑스1, 그리고 무조건 써야 하는 엑스2 그래서 결국 까리하게 적는다면 T = X1,X2 [해설작성자 : 영등포 돌참치]
기술개발과정에서 효율성과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분석ㆍ판단할 수 있는 평가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Risk Assessment
2.
Risk Management
3.
Safety Assessment
4.
Technology Assessment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안전성 평가의 종류 ! 1.Risk Assessment 리스크 어세스먼트: 생산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리스크(Risk)를 파악하고 제거하는 활동 2.Risk Management 리스크 메니지먼트(무엇인지 모르겠음) 3.Safety Assessment 세이프티 어세스먼트: 인적,물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전 공정에 걸친 안전성 평가 4.Technology Assessment 테크놀로지 어세스먼트: 기술 개발과정에서의 효율성과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분석 판단하는 프로세스
보기에 없는 안전성 평가의 종류 Human Assessment 휴먼 어세스먼트: 인적오류,인간,사고 상의 평가 [해설작성자 : 문과생임대빵]
35.
자동차를 타이어가 4개인 하나의 시스템으로 볼 때, 타이어 1개가 파열될 확률이 0.01이라면, 이 자동차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오류신고 반론] log 10의 0.5는 -0.3이지만, 보통 공학에서 사용하는 log e의 0.5는 -0.7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추가 오류 신고] log0.5 = -0.3이 맞습니다. 공학의 log e는 자연상수의 log 값으로 해당 문제의 풀에 맞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공학석사 안전관리자]
37.
정보수용을 위한 작업자의 시각 영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판별시야 – 안구운동만으로 정보를 주시하고 순간적으로 특정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
2.
유효시야 – 시력, 색판별 등의 시각 기능이 뛰어나며 정밀도가 높은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
3.
보조시야 – 머리부분의 운동이 안구운동을 돕는 형태로 발생하며 무리 없이 주시가 가능한 범위
4.
유도시야 – 제시된 정보의 존재를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식별능력 밖에 없지만 인간의 공간좌표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유효시야-안구운동만으로정보를 주시하고 순간적으로특정정보를 수용 할 수 있는 범위-->"유효안구만" 판별시야(변별시야)-시력,색판별 등의 시각 기능이 뛰어나며 정밀도가 높은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판별(변별)정밀도 " 보조시야-거의 식별이 곤란하고 고개를 돌려야 가능-->"보조곤란" 유도시야-제시된 정보의 존재를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식별능력 밖에 없지만 인간의 공간좌표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유도공간"(대상이'존재한다' 정도로만 식별 가능한 범위)-->"유도공간" "뭔가 있다" ---공간좌표 [해설작성자 : 허찬]
예시로 쉽게 이해해보기 (운전 중 상황) •앞 유리에 있는 내비게이션 → 유효시야 •정면 교통표지판에 쓰인 숫자 → 판별시야 •조수석 옆에 있는 물병 → 보조시야 •후방에서 누가 다가오는 느낌 → 유도시야 [해설작성자 : 앙기모리]
38.
FMEA 분석 시 고장평점법의 5가지 평가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고장발생의 빈도
2.
신규설계의 가능성
3.
기능적 고장 영향의 중요도
4.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C1 : 기능적 고장 영향의 중요도 C2 :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C3 : 고장발생의 빈도 C4 : 고장방지의 가능성 C5 : 신규설계의 정도 "중요도 범위와 빈도는 고장방지의 가능성과 신규설계의 정도에 있다." [해설작성자 : 허찬]
ⓐ옥스포드 지수의 경우 계산법 (0.85 X 습구온도) + (0.15 X 건구온도) ⓑ습구흑구온도지수 계산하는 법 가. 태양광이 내리쬐는 옥외장소 WBGT = (0.7X습구온도)+(0.2X흑구온도)+(0.1X건구온도) 나. 태양광이 내려쬐지않는 옥외장소 WBGT = (0.7X습구온도)+(0.3X흑구온도) [해설작성자 : 지나가다가..]
40.
설비보전에서 평균수리시간을 나타내는 것은?
1.
MTBF
2.
MTTR
3.
MTTF
4.
MTBP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MTBF:평균고장시간간격 (Mean Time Between Failure) 2.MTTR:평균수리시간 (Mean Time To Repair) 3.MTTF:평균고장시간 (Mean Time To Failure)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내 근로자 작업환경 중 ‘강렬한 소음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0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3.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4.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소음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2. “강렬한 소음작업”이란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가.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나.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다.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라. 10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마. 11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바.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5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데시벨 8시간 확실하게 외우고 5데시벨 증가할때마다 시간은 절반씩 줄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문제 해설> 프렛 작업전 점검사항 1. 브레이크 및 클러치의 정상 작동 여부 2. 크랭크 축, 플라이 휠, 연결봉 등의 체결 나사의 풀림 여부 3. 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 정상작동 여부 4. 위험방지 기구등의 기능 정상 작동 여부 5. 프레스 금형등의 도정 상태 6. 프레스 방호장치 정상 설치 상태 (권과방지 장치 및 그 밖의 경보장치는 크레인 등의 사용전 점검사항 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권과방지장치 = 크레인 압력방출장치 = 보일러 [해설작성자 : 보라매 ]
43.
동력전달부분의 전방 35cm 위치에 일반 평형보호망을 설치하고자 한다. 보호망의 최대 구멍의 크기는 몇 mm인가?
1.
41
2.
45
3.
51
4.
55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Y=6+0.1x [해설작성자 : 댕이아빠]
Y=6+0.1x350 [해설작성자 : 코이루]
가드의 개구간격은 X<160mm일 경우 Y=6+0.15*X (X=안전거리, Y= 최대개구간격) 단. 일반평형보호망, 위험점이 전동체인인경우에는 Y=6+0.1*X 가되며 위 문제는 평형보호망을 설치 하므로 Y=6+0.1*350 = 41mm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초보]
KOSHA Guide M-135-2023 개구부 간격 가드를 설치할 때 일반적인 개구부의 간격은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한다. y = 6 + 0.15 x (x < 160mm) (단: x ≧ 160mm 이면 y=30) 여기서 x : 개구부에서 위험점까지의 최단거리(mm) y : 개구부의 간격(mm) 다만, 위험점이 전동체인 경우 개구부의 간격은 다음식으로 계산한다. y = 6 + x/10 (단, x < 760mm에서 유효) 여기서 x : 개구부에서 전동대차 위험점까지의 최단거리(mm) y : 개구부의 간격(mm)
문제에서 위험점이 전동체라는 문구가 없어 헷갈리는 문제임 [해설작성자 : ㅎㅎ]
44.
다음 연삭숫돌의 파괴원인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2.
플랜지의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이상으로 고정된 경우
3.
숫돌 자체에 균열 및 파손이 있는 경우
4.
숫돌에 과대한 충격을 준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2번 -> 플랜지가 현저히 작을 때 연삭숫돌이 파괴될 수 있음(플랜지의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합격뿌!]
45.
화물중량이 200kgf, 지게차의 중량이 400kgf, 앞바퀴에서 화물의 무게중심까지의 최단거리가 1m일 때 지게차가 안정되기 위하여 앞바퀴에서 지게차의 무게중심까지 최단거리는 최소 몇 m를 초과해야 하는가?
선반에서 일감의 길이가 지름에 비하여 상당히 길 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절삭 시 절삭저항에 의한 일감의 진동을 방지하는 장치는?
1.
칩 브레이커
2.
척 커버
3.
방진구
4.
실드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칩 브레이커 : 칩을 짧게 절단하는 장치 2.척 커버 : 기어 등을 복개하는 장치 3.방진구 : 일감의 길이가 지름에 비하여 상당히 길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절삭 시 절삭저항에 의한 진동을 방지 4.쉴드 : 침 및 절삭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플라스틱 덮개 [해설작성자 : 궁금만땅]
문제의 진동을 방지하는 장치라는 해설을 참조하여 보기의 사전적 의미를 찾으면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음. ㄴ 방진 ... 진동을 방지 ㄴ 방진구 원 기능 ... 공작물이 처지거나 떨리는 현상을 줄여주는 장치 [해설작성자 : Bowlove]
4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를 제외한 사출성형기ㆍ주형조형기 및 형단조기 등에 관한 안전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근로자의 신체 일부가 말려들어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양수조작식 방호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2.
게이트 가드식 방호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연동구조를 적용하여 문을 닫지 않아도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3.
사출성형기의 전면에 작업용 발판을 설치할 경우 근로자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여야 한다.
4.
기계의 히터 등의 가열 부위, 감전 우려가 있는 부위에는 방호덮개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문을 닫지 않고 동작하게 되면 큰일 남. [해설작성자 : 뚝배기 기사]
49.
연강의 인장강도가 420MPa이고, 허용응력이 140MPa이라면 안전율은?
1.
1
2.
2
3.
3
4.
4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안전율= 인장강도/허용응력 [해설작성자 : 지식백과114]
50.
밀링 작업 시 안전 수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칩은 기계를 정지시킨 다음에 브러시 등으로 제거한다.
2.
일감 또는 부속장치 등을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는 반드시 기계를 정지시키고 작업한다.
3.
면장갑을 반드시 끼고 작업한다.
4.
강력 절삭을 할 때는 일감을 바이스에 깊게 물린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면장갑이 말려들면 위험함 [해설작성자 : ㅈㅅㅇ 바보]
면장갑의 끼임으로 인해 신체 일부(손)가 빨려들어가는 상황 발생 [해설작성자 : 파워변]
51.
다음 중 프레스기에 사용되는 방호장치에 있어 원칙적으로 급정지 기구가 부착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은?
강도는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2배 값(4톤을 넘는 값에 대해서는 4톤으로 한다)의 등분포정하중(等分布靜荷重)에 견딜 수 있을 것 [해설작성자 : 산안기 합격]
53.
강자성체를 자화하여 표면의 누설자속을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은?
1.
방사선 투과 시험
2.
인장시험
3.
초음파 탐상 시험
4.
자분 탐상 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강자성체의 결함을 찾을 때 사용하는 비파괴시험법 표면 또는 표층에 결함이 있을 경우 누설자속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결함 검출 ! = 자분탐상시험 [해설작성자 : 한번에 붙자 ]
5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일러 방호장치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고저수위 조절장치
2.
아웃트리거
3.
압력방출장치
4.
압력제한스위치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아웃트리거는 사다리의 안전장치 입니다. [해설작성자 : ^^]
추가: 크레인의 전도(넘어짐)방지안전장치 이기도 합니다. [해설작성자 : 아리아린]
5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분기장치
2.
자동발생 확인장치
3.
유수 분리장치
4.
안전기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안전기의 설치 1.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취관마다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주관 및 취관에 가장 가까운 분기관마다 안전기를 부착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가스용기가 발생기와 분리되어 있는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대하여는 발생기와 가스용기 사이에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꿀2]
56.
프레스기의 안전대책 중 손을 금형 사이에 집어넣을 수 없도록 하는 본질적 안전화를 위한 방식(no-hand in die)에 해당하는 것은?
No hand in die 방식 종류 안전울 부착 프레스 안전금형 부착 프레스 전용프레스 자동프레스 [해설작성자 : 합격 가즈아]
57.
회전하는 부분의 접선방향으로 몰려 들어갈 위험이 존재하는 점으로 주로 체인, 풀리, 벨트, 기어와 랙 등에서 형성되는 위험점은?
1.
끼임점
2.
협착점
3.
절단점
4.
접선물림점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산업재해 명칭으로는 끼임, 협착, 절단이 있으나 문제에서는 위험점을 묻고 있으므로 정답은 4번 [해설작성자 : 파워변]
산업재해 명칭으로도 쓰이나 위험점의 6가지중에도 포함 되어있습니다. 기계/기구 및 설비의 6대 위험점 1. 협착점 - 왕복 + 고정 2. 끼임점 - 회전 또는 직선 + 고정 3. 절단점 - 회전 4. 물림점 - 회전 + 회전 5. 접선물림점 - 회전 + 접선 6. 회전말림점 - 돌기회전 [해설작성자 : 기계.기구 및 설비]
5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양중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승강기에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포함되므로 3, 4 모두 정답처리 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59.
다음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1/4
2.
1/3
3.
1/2.5
4.
1/2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30미만 이면 1/3 30이상 이면 1/2.5 [해설작성자 : 잉잉]
6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지게차에서 통상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하나, 마스트의 후방에서 화물이 낙하함으로써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없는 때에는 반드시 갖추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전조등
2.
헤드가드
3.
백레스트
4.
포크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게차는 포크에 적재된 화물이 마스트의 뒤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backrest를 설치 하여야 한다 사업주는 백레스트를 갖추지 아니한 지게차를 사용해서는 아니된다. (단. 마스트의 후방에서 화물이 낙하함으로써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초보]
한국화재안전기준 KFS 정전기 기준 [KFS 440] 20페이지 (최종개정일 2010.03.25) 3.2.1.4 제전기의 설치 (1) 제전기의 설치 전 후에 전위를 측정하여 제전의 목표치를 만족하는 위치 또는 제전효율이 "90%"인 위치 [해설작성자 : 법령 찾는거 재밌네]
절연불량(파괴의 주요원인) 1) 높은 이상전압 등에 의한 전기적 요인 2) 진동, 충격 등에 의한 기계적 요인 3) 산화 등에 의한 화학적 요인 4) 온도상승에 의한 열적 요인 [해설작성자 : 노력원숭이]
정격 전압: 전기 기기가 안전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 전압을 의미합니다. 기기 설계 시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작동시켜야 안정성과 수명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정격 전압보다 낮거나 높으면 작동이 불안정해지거나 심한 경우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툴툴]
<문제 해설> 유압 방폭구조(k)→ 유입 방폭구조(Oil Immersed Type:O) - 점화원을 기름 속에 가두어 인화성 분위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 방폭구조. [해설작성자 : Seeker]
방폭구조의 종류 1.내압 방폭구조 (Ex d) 2.안전증 방폭구조 (Ex e) 3.압력 방폭구조 (Ex p) 4.본질안전 방폭구조 (Ex i) 5.유입 방폭구조 (Ex o) 6.특수 방폭구조 (Ex s)
유압 방폭구조란건 없음. [해설작성자 : 닥터김]
72.
동작 시 아크가 발생하는 고압 및 특고압용 개폐기ㆍ차단기의 이격거리(목재의 벽 또는 천장, 기타 가연성 물체로부터의 거리)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사용전압이 35kV 이하의 특고압용의 기구 등으로서 동작할 때에 생기는 아크의 방향과 길이를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없도록 제한하는 경우가 아니다.)
1.
고압용: 0.8m 이상, 특고압용: 1.0m 이상
2.
고압용: 1.0m 이상, 특고압용: 2.0m 이상
3.
고압용: 2.0m 이상, 특고압용: 3.0m 이상
4.
고압용: 3.5m 이상, 특고압용: 4.0m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아크를 발생 시키는 기구 - 개폐기, 차단기, 피뢰기, 기타 유사한 기구 이격거리 : 고압용은 1m 이상, 특고압용의 것은 2m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3300/220V, 20kVA인 3상 변압기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저압 전선로의 절연 부분의 전선과 대지 간의 절연저항의 최소값은 약 몇 Ω인가? (단, 변압기의 저압 측 중성점에 접지가 되어 있다.)
I = 165 * 10^-3 / 1 [A] I = 0.165[A] W = 0.165^2 * 500 * 1 = 13.6125[J]
78.
내압방폭용기 “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통형 나사 접합부의 체결 나사산 수는 5산 이상이어야 한다.
2.
가스/증기 그룹이 ⅡB일 때 내압 접합면과 장애물과의 최소 이격거리는 20mm이다.
3.
용기 내부의 폭발이 용기 주위의 폭발성 가스 분위기로 화염이 전파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부분은 내압방폭 접합부이다.
4.
가스/증기 그룹이 ⅡC일 때 내압 접합면과 장애물과의 최소 이격거리는 40mm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최소이격거리 II A 10MM II B 30MM II C 40M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KS C IEC 60079-0의 정의에 따라 ‘두 도전부 사이의 고체 절연물 표면을 따른 최단거리’를 나타내는 명칭은?
1.
전기적 간격
2.
절연공간거리
3.
연면거리
4.
충전물 통과거리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연면거리(Creepage Distance) - 두 전도부 사이의 공간을 통한 최단거리 [해설작성자 : 노력원숭이]
위에 원숭이님이 말씀하신거는 절연공간거리입니다. 연면거리:서로 절연된 두 도전부 사이의 절연 표면을 통한 최단거리 문제에서 고체 절연물 표면을 따르는 최단거리라고 해서 연면거리입니다. [해설작성자 : 최재서1]
두 개의 도전성 부분 간의 절연물 표면을 따라 측정한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유빈아빠]
절연공간 ㅡ 공간에 통한 연면공간 ㅡ 표면을 따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접지 목적에 따른 분류에서 병원설비의 의료용 전기전자(MㆍE)기기와 모든 금속부분 또는 도전바닥에도 접지하여 전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한 접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계통 접지
2.
등전위 접지
3.
노이즈방지용 접지
4.
정전기 장해방지 이용 접지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등전위 >>> 병원에서 의료기기 사용 시의 안전 계통 >> 고압전로와 저압전로 혼촉 시 감전이나 화재방지 정전기방지용 >>> 정전기 축적에 의한 폭발재해방지 [해설작성자 : 사쿠라]
접지의 종류 : 계통접지: 고압전로와 저압전로 혼축 시 사고 방지/ 지락검출용 접지 - 차단기의 동작을 확실히 하기 위해 기능용 접지 - 건축물 내 전자기기의 안정적 가동 확보 위해 / 등전위 접지 - 병원에 있어서 의료기기 안전 위해 / 제 3종 접지 - 피뢰기의 기능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지 [해설작성자 : 북삼고노경환]
1. 과산화나트륨 : 1류위험물 2. 황린: 3류위험물 3. 연소산나트륨:1류위험물 4. 아세트알데히드:4류위험물 물과 반응하여 폭발성 수소기체를 발생시키는건 나트륨의 특징으로 "나트륨"과 "염소산나트륨"과의 이름 혼동으로 출제된 보기 같습니다. (위험물 종류는 1~6류로 사실상 위험물기능장 시험에서나 자세히 공부할 내용으로 정답률도 29%인거 보면 사실상 틀리라고 낸 문제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84.
공정안전보고서 중 공정안전자료에 포함하여야 할 세부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비상조치계획에 따른 교육계획
2.
안전운전지침서
3.
각종 건물ㆍ설비의 배치도
4.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 내용 등) ① 영 제44조에 따라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해야 할 세부내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공정안전자료 가. 취급·저장하고 있거나 취급·저장하려는 유해·위험물질의 종류 및 수량 나. 유해·위험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 다.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의 목록 및 사양 라.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의 운전방법을 알 수 있는 공정도면 마. 각종 건물·설비의 배치도 바.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및 전기단선도 사. 위험설비의 안전설계·제작 및 설치 관련 지침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① 가연성 가스누출감지경보기는 감지대상 가스의 폭발하한계 25퍼센트 이하, 독성가스 누출감지경보기는 해당 독성가스의 허용농도 이하에서 경보가 울리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② 가스누출감지경보의 정밀도는 경보설정치에 대하여 가연성 가스누출감지경보기는 ±25퍼센트 이하, 독성가스누출감지경보기는 ±30퍼센트 이하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89.
폭발을 기상폭발과 응상폭발로 분류할 때 기상폭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분진 폭발
2.
혼합가스폭발
3.
분무폭발
4.
수증기폭발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응상폭발의 종류 - 수증기폭발, 증기폭발, 고상간의 전이에 의한 폭발, 전선폭발 [해설작성자 : 사건의 지평선]
* 응상 폭팔, 기상 폭팔 정의 응상폭팔-물리적 폭팔의 일종으로, 고체와 액체가 폭팔하는 것 기상폭팔-화학적 폭팔의 일종으로, 가연성 가스나 증기가 폭팔하는 것
* 응상폭팔 종류 - 증기폭팔, 수증기폭팔, 전선폭팔, 물질의 혼합에 의한 폭팔, 폭팔성 물질의 폭팔
* 증기폭팔 종류 - 가스폭팔, 분무폭팔, 분진폭팔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1. 응상폭발: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물질이 물리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폭발. 2. 기상폭발: 기체 상태의 물질이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폭발. - 수증기폭발: 응상폭발의 대표적인 예이며, 수증기가 기체 라는점에서 헷갈릴 수 있으나 수증기는 물이 증발해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응상폭발임을 주의 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90.
다음 가스 중 가장 독성이 큰 것은?
1.
CO
2.
COCI2
3.
NH3
4.
H2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고기 먹고 뀌는 방귀가 젤 독한 것처럼 COCI(고기)가 가장 독하다라고 외우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양념돼지주물럭]
COC12 (포스겐) 은 맹독성 가스로 TWA 01.PPM 의 맹독성 물질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개다 위험물질이며(CO:일산화탄소/ NH3:암모니마/ H2:수소) COCl2(포스겐): 극소량으로도 치명적인 가스 입니다. 보기가 한글로 주어지면 포스겐 > 1차세계대전에서 인명살상용 독가스로도 사용된 가스, 폭스바겐>독일>치명적 독가스 이렇게 연상식으로 외워도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91.
처음 온도가 20℃인 공기를 절대압력 1기압에서 3기압으로 단열압축하면 최종온도는 약 몇 도인가? (단, 공기의 비열비 1.4이다.)
1.
68℃
2.
75℃
3.
128℃
4.
164℃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273+20)*(3기압/1기압)^(1.4-1/1.4)=401.04K 401-273=128℃ 온도는 모두 K=273+℃ [해설작성자 : ㅋㅌ]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발끝막이판은 바닥면등으로부터 10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해설작성자 : 루피]
106.
흙 속의 전단응력을 증대시키는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 또는 인공에 의한 지하공동의 형성
2.
함수비의 감소에 따른 흙의 단위체적 중량의 감소
3.
지진, 폭파에 의한 진동 발생
4.
균열내에 작용하는 수압증가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함수비의 감소'에 따른 '흙의 단위체적 중량의 증가' 가 맞는 말입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흙속에서 발생하는 전단응력이 전단강도를 초과하게 되면 토사가 붕괴하겠죠? 문제에서 물어보는 전단응력이 증가한다는것은 토사가 붕괴되는 원인을 물어보는것과 같습니다. 고로 지하공동이 형성되고, 진동 및 충격이 있고, 간극수압이 증가한다면 토사가 붕괴하구요 함수비의 증가로 흙의 중량이 감소한다면 토사 붕괴원인이 맞는말이 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D-1]
107.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권상용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 할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회
2.
2회
3.
4회
4.
6회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12조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길이 등 [해설작성자 : 아자자!]
'2회' 감기고 남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한량]
108.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공사로 볼 수 없는 것은?
1.
지상 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2.
터널 건설공사
3.
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4.
다리의 전체길이가 40m 이상인 건설공사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최대 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교량건설 등 공사 [해설작성자 : 1004빈]
109.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최대 몇 도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60도
2.
75도
3.
80도
4.
90도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고정식 사다리의 통로의 기울기는 90도 이하, 높이 7미터이상인 경우 바닥높이가 2.5 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사다리식 통로 75도, 고정식 사다리 90도, 발판과 벽 사이는 15cm, 폭은 30cm 이상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60cm 이상 올라가도록 할 것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인 경우네는 5m 이내마다 계단참 설치 정식 사다리의 통로의 기울기는 90도 이하, 높이 7미터이상인 경우 바닦높이가 2.5 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 [해설작성자 : 벤치마킹]
단관비계는 수직방향 5M 수평방향 5M 이하 틀비계는 수직방향 6M 수평방향 8M 이하 통나무비계 수직방향 5.5M 수평방향 7.5M 이하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114.
인력으로 화물을 인양할 때의 몸의 자세와 관련하여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쪽 발은 들어올리는 물체를 향하여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다른 발은 그 뒤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것
2.
등은 항상 직립한 상태와 90도 각도를 유지하여 가능한 한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할 것
3.
팔은 몸에 밀착시키고 끌어당기는 자세를 취하며 가능한 한 수평거리를 짧게 할 것
4.
손가락으로만 인양물을 잡아서는 아니 되며 손바닥으로 인양물 전체를 잡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등은 항상 직립한 상태와 90도 각도를 유지하여 가능한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할 것(수평-->수직) [해설작성자 : 허찬]
115.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항목 중 안전시설비로 사용가능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원활한 공사수행을 위한 가설시설 중 비계설치 비용
2.
소음관련 민원예방을 위한 건설현장 소음방지용 방음시설 설치 비용
3.
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CCTV에 사용되는 비용
4.
기계ㆍ기구 등과 일체형 안전장치의 구입비용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안전시설비 등: 법ㆍ영ㆍ규칙 및 고시에서 규정하거나 그에 준하여 필요로 하는 각종 안전표지ㆍ경보 및 유도시설, 감시 시설, 방호장치, 안전ㆍ보건시설 및 그 설치비용(시설의 설치ㆍ보수ㆍ해체 시 발생하는 인건비 등 경비를 포함한다) [해설작성자 : 1004빈]
1. 원활한 공사수행을 하기위한건 산업안전보건 관리비로 사용불가 - 산업안전보건법 외 타 법에서 하게한 경우, 공사내역에 반영된 경우 등 - 위 같은 경우는 공사내역에 반영될 경우이므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불가 2. 1번과 같은 맥락 3. 공사관련 내용 확인 및 안전관리를 위한 다목적 CCTV라고 했으면 안되겠지만, 지문에서는 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한 목적이라고 되어있기 때문에 시설비로 가능 4. 이 부분은 핸드그라인더나 고속절단기 등의 방호장치를 생각하면 편할것입니다. - 기계에 당연히 부착해야하는것은 공사성의 목적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대협]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이 개정됨에 따라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이 삭제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tn]
정답은 3번이 맞으나 산업안전보건법관리비 사용가능내역 고용부 고시에서 2022년 6월 2일에 개정*삭제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을..]
유한사면에서 원형활동면에 의해 발생하는 일반적인 사면파괴는 사면 내부의 흙이 원형 미끄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붕괴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1.사면내파괴 : 사면 내부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형태 2.사면선단파괴 : 사면의 하부(선단)에서 붕괴가 시작되는 형태 3.사면저부파괴 : 사면의 기저부에서 발생하는 붕괴형태 [해설작성자 : 버터]
사면파괴의 종류 = 내선자 ( 사면내,사면선단,사면저부 ) [해설작성자 : 평택카리나]
117.
강관비계를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m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2.
띠장 간격은 2.0m 이하로 할 것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6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산안기 산안산기 동시도전]
118.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승강설비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2m
2.
4m
3.
6m
4.
8m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화물자동차의 경우: 짐 윗면까지의 높이가 2m 이상인 경우 - 설비 설치 화물은 2m [해설작성자 : 산안기요정]
119.
달비계의 최대 적재하중을 정함에 있어서 활용하는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곤돌라의 달비계를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달기 훅: 5 이상
2.
달기 강선: 5 이상
3.
달기 체인: 3 이상
4.
달기 와이어로프: 5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달기 와이어로프,강선 : 10 이상 달기 훅,체인,목재 : 5 이상 달기 강대와 달비계 하부 및 상부의 지점 :2.5 이상 [해설작성자 : 허찬]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제55조(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 사업주는 비계의 구조 및 재료에 따라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고, 이를 초과하여 실어서는 안 된다.[전문개정 2024.6.28.] 기존 달비계 안전계수 항목이 삭제되었음(규정된 답이 없음) [해설작성자 : ㅎㅎ]
120.
발파작업 시 암질변화 구간 및 이상암질의 출현 시 반드시 암질판별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암질판별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R.Q.D(%)
2.
탄성파속도(m/sec)
3.
전단강도(kg/cm2)
4.
R.M.R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암질판별기준> 1. 일축 압축강도 2. RQD 3. RMR 4. 탄성파 속도 ***조선의 달인 블로그 발취**** [해설작성자 : 허찬]
R로 시작하는 것: 해당 전단강도는 암질판별기준과는 무관함 [해설작성자 : 산안기요정]
정답은 3번이 맞으나 굴착공사표준안전지침 고용부고시에서 2023년 7월 1일에 개정되어 삭제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을..]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②
①
④
①
②
①
②
④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①
②
②
③
③
①
④
③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②
②
①
①
①
①
①
③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①
②
④
③
③
④
②
④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④
①
②
②
①
③
②
③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①
④
②
④
③
④
③
②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④
③
④
④
②
③
④
①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②
④
③
②
②
②
②
③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③
③
③
②
②
①
②
④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③
①
③
②
②
①
①
④
④
②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④
④
②
④
②
②
②
④
④
①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③
②
①
②
③
③
④
①
①
③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1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기사,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