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910213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계열역학


1. 질량 4kg의 액체를 15℃에서 100℃까지 가열하기 위해 714kJ의 열을 공급하였다면 액체의 비열(kJ/kgㆍK)은 얼마인가?(2019년 08월)
     1. 1.1
     2. 2.1
     3. 3.1
     4. 4.1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비열 = 열량/(질량*온도변화)
714kJ/(4kg*85℃)=2.1kJ

2. 풍선에 공기 2kg이 들어 있다. 일정 압력 500kPa 하에서 가열 팽창하여 체적이 1.2배가 되었다. 공기의 초기온도가 20℃일 때 최종 온도(℃)는 얼마인가?(2020년 09월)
     1. 32.4
     2. 53.7
     3. 78.6
     4. 92.3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pV=mRT에서 압력, 질량, 기체상수가 일정하므로 V1/T1=V2/T2 이므로
최종온도 T2=(V2*T1)/V1=1.2*(273+20)=351.6K=78.6℃ 이다.
[해설작성자 : 기원]

3. 카르노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이상적인 2개의 등온과정과 이상적인 2개의 정압과정으로 이루어진다.
     2. 이상적인 2개의 정압과정과 이상적인 2개의 단열과정으로 이루어진다.
     3. 이상적인 2개의 정압과정과 이상적인 2개의 정적과정으로 이루어진다.
     4. 이상적인 2개의 등온과정과 이상적인 2개의 단열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카르노 사이클은 가스동력 이상사이클로 단열압축, 등온가열, 단열팽창, 등온방열의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등온과정은 열량이 모두 일로 변환되는 이상적인 사이클이다.
[해설작성자 : 정태성]

4. 오토 사이클로 작동되는 기관에서 실린더의 간극 체적이 행정 체적의 15%라고 하면 이론 열효율은 약 얼마인가? (안, 비열비 k=1.4이다.)(2017년 03월)
     1. 45.2%
     2. 50.6%
     3. 55.7%
     4. 61.4%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1/ε)^(k-1)
압축비 ε=1.15/0.15=7.67, 비열비 k=1.4
효율=1-(1/7.67)^(1.4-1)=0.557=55.7%
[해설작성자 : 알과카]

압축비 ε= (행정체적 + 간극체적) / 간극체적
                 = (행정체적 + 행정체적*0.15) / 행정체적*0.15
                 = 1 + 1/0.15 = 7.67
[해설작성자 : 이민준]

5. 이론 정적사이클에서 단열압축을 할 때 압축이 시작될 때의 게이지(gage) 압력이 91 kPa이고, 압축이 끝났을 때의 게이지(gage)압력이 1317 kPa라고 하면 이 사이클의 압축비는? (단, k = 1.4 라 한다.)(2003년 05월)
     1. 약 4.16
     2. 약 5.24
     3. 약 5.75
     4. 약 6.74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게이지 압력이 아닌 절대압력으로 계산하므로 +101KPa를 해준다.
P1 = 192kPa, P2=1418kPa
P1V1^K = P2V2^K 에서 유도한다면
단열에서 압축비는 (P2/P1)^(1/k)이다.
따라서 (1418/192)^(1/1.4) = 약 4.17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6. 압력이 일정할 때 공기 5 kg을 0℃에서 100℃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약 몇 KJ인가? (단, 공기비열 Cp(kJ/kg℃) = 1.01+0.000079t(℃) 이다.)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102
     2. 476
     3. 490
     4. 507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주어진 식을 t에대해서 상한은 100 하한은 0으로 두고 적분후 5를 곱하면
약 507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깡군]

5*(1.01*100+(1/2)*0.000079*100^2) = 506.975
[해설작성자 : 천강북두]

7. 초기 압력 100kPa, 초기 체적 0.1m3인 기체를 버너로 가열하여 기체 체적이 정압과정으로 0.5m3이 되었다면 이 과정 동안 시스템이 외부에 한 일(kJ)은?(2020년 06월)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일 W = P x dv = 100kPa x (0.5-0.1)m^3 = 40KJ
[해설작성자 : HJJIN]

8. 실린더 지름이 7.5 cm이고, 피스톤 행정이 10 cm인 압축기의 지압선도로부터 구한 평균유효압력이 200 kPa 일 때, 한 사이클당 압축일은 약 몇 J인가?(2012년 08월)
     1. 12.4
     2. 22.4
     3. 88.4
     4. 128.4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한 사이클당 압축일 = 평균유효압력 * 스트로크체적
스트로크체적 = (pi/4)*D^2*L = pi/4    * 0.075^2 *0.1
평균유효압력 * 스트로크체적 = 200000*0.00041786 = 88.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온도 15℃, 압력 100kPa 상태의 체적이 일정한 용기 안에 어떤 이상 기체 5kg이 들어 있다. 이 기체가 50℃가 될 때까지 가열되는 동안의 엔트로피 증가량은 약 몇 kJ/K 인가? (단, 이 기체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각각 1.001kJ/(kgㆍK), 0.7171 kJ/(kgㆍK)이다.)(2017년 05월)
     1. 0.411
     2. 0.486
     3. 0.575
     4. 0.732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정적과정의 Entropy 변화
ΔS = m·Cv·ln(T2/T1)
= 5[kg] x 0.717[kJ/(kg·K)] x ln{(50+273)/(15+273)}
= 0.411[kJ/K]
[해설작성자 : 나대로]

10. 압력이 187 kPa일 때 1m3의 공기질량이 2kg이었다. 이 때 공기의 온도(℃)는?(단. 공기의 기체상수 R=287 J/kg·K 이다.)(2008년 07월)
     1. 500
     2. 400
     3. 770
     4. 227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그림은 압력-온도선도이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A)는 고체, (B)는 액체, (C)는 기체이다.
     2. (D)는 삼중점으로 물의 경우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다.
     3. (E)는 임계점이다.
     4. 융해곡선으로서 물은 파선 F에, 그 밖의 대부분의 물질은 실선 G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12. 실린더 내부에 기체가 채워져 있고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으며 피스톤 위에는 추가 놓여 있다. 초기 압력 100 kPa, 포기 체적 0.1m3인 기체를 버너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가열하여 기체 체적이 0.5m3이 되었다면 이 과정 동안 시스템이 한 일은?(2010년 07월)
     1. 10 kJ
     2. 20 kJ
     3. 30 kJ
     4. 40 kJ

     정답 : []
     정답률 : 82%

13. 다음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 여기서 u는 내부에너지, h는 엔탈피, P는 압력, v는 비체적, T는 온도이다.)(2008년 05월)
     1. h = u + Pv
     2. h = u - Tv
     3. h = u - Pv
     4. h = u + Tv

     정답 : []
     정답률 : 71%

14. 초기에 300 K, 150 kPa 인 공기 0.5 m3을 등온과정으로 600 kPa까지 천천히 압축하였다. 이 과정동안 일을 계산하면?(2004년 03월)
     1. -104 kJ
     2. -208 kJ
     3. -52 kJ
     4. -312 kJ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50*0.5*ln(600/150)
=103.9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초기의 상태가 300K, 0.5m3인 공기를 등온과정으로 150kPa에서 600kPa까지 천천히 압축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기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일 에너지는 약 몇kJ인가?(2009년 03월)
     1. 104
     2. 208
     3. 304
     4. 612

     정답 : []
     정답률 : 57%

16. 온도가 350 K인 공기의 압력이 0.3 MPa, 체적이 0.3 m3, 엔탈피가 100 kJ 이다. 이 공기의 내부에너지는?(2013년 08월)
     1. 1 kJ
     2. 10 kJ
     3. 15 kJ
     4. 100 kJ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h= u+ Pv
0.3 Mpa = 300kPa
100 = u + 300*0.3
u = 10
[해설작성자 : 지훈이귀여워]

17. -3℃에서 열을 흡수하여 27℃에 방열하는 냉동기의 최대성능계수는?(2005년 05월)
     1. 9.0
     2. 10.0
     3. 11.25
     4. 15.25

     정답 : []
     정답률 : 70%

18. 유체가 20 m/s의 속도로 단열 노즐에 들어가서 400 m/s의 속도로 나온다면 엔탈피의 증가량은 몇 kJ/kg인가?(2003년 03월)
     1. 79.8
     2. -79.8
     3. 79800
     4. -79800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20^2-400^2/2)*10^-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압력 5kPa, 체적이 0.3m3인 기체가 일정한 압력 하에서 압축되어 0.2m3로 되었을 때 이 기체가 한 일은? (단, +는 외부로 기체가 일을 한 경우이고, -는 기체가 외부로부터 일을 받은 경우이다.)(2017년 03월)
     1. -1000J
     2. 1000J
     3. -500J
     4. 500J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정압과정이므로 W = ∫_2~1 PdV 에서
= P·(V2 - V1) = 5 x (0.2 - 0.3) = -0.5[kJ] = -500[J]
[해설작성자 : 나대로]

20. 400 K의 물 1.0 kg/s와 350 K의 물 0.5 kg/s가 정상과정으로 혼합되어 나온다. 이 과정 중에 300 kJ/s의 열손실이 있다. 출구에서 물의 온도는 약 얼마인가? (단,물의 비열은 4.18 kJ/kgㆍK이다.)(2013년 03월)
     1. 369.2 K
     2. 350.1 K
     3. 335.5 K
     4. 320.3 K

     정답 : []
     정답률 : 54%

2과목 : 냉동공학


21. 다음 중 일반적으로 냉방시스템에서 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냉동방식은?(2019년 08월)
     1. 터보식
     2. 흡수식
     3. 전자식
     4. 증기압축식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터보식 : 기계식 압축기를 사용하여 '증기압축식'과 관련 있다.
전자식 : 반도체를 이용한다.
증기압축식 : 프레온 냉매, 암모니아를 사용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22. 역카르노 사이클에서 T-S 선도상 성적계수를 ε구하는 식은 어느 것인가?(단. AW: 외부로부터 받은 일, Q1: 고온으로 배출하는 열량, O2: 저온으로부터 받은 열량, T1: 고온, T2: 저온)(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내부지름이 2cm이고 외부지름이 4cm인 강철관을 3cm 두께의 석면으로 씌웠다면 관의 길이당 열손실은? (단, 관내부 온도 600℃, 석면 바깥면 온도 100℃, 관 열전도도 16.34kcal/mh℃, 석면 열전도도 0.1264kcal/mh℃이다)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430.85 kcal/hㆍm
     2. 439.85 kcal/hㆍm
     3. 410.52 kcal/hㆍm
     4. 510.52 kcal/hㆍm

     정답 : []
     정답률 : 43%

24. 다음의 만액식 냉동사이클 선도에서 냉매순환량을 G라 하면 증발기 냉동능력(Qe)은?(2006년 03월)

    

     1. Qe = G(h7 - h4)
     2. Qe = G(h7 - h5)
     3. Qe = G(h1 - h4)
     4. Qe = G(h1 - h5)

     정답 : []
     정답률 : 43%

25. 핀(fin)이 없는 공기냉각기에 있어서 냉각관 외면에는 서리가 4mm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냉각관의 열통과율(kcal/m2h℃)은 약 얼마인가? (단, 냉각관의 두께, 서리의 두께에 의한 면적증가와 관의 열저항은 무시한다. 또한 공기측 열전달율 aa=8 kcal/m2h℃, 냉매측 열전달율 ar=600 kal/m2h℃, 서리의 열전도율 λ=0.2 kcal/mh℃ 이다.)(2010년 05월)
     1. 6.8
     2. 7.1
     3. 7.5
     4. 8.3

     정답 : []
     정답률 : 52%

26. 냉동장치에서 흡입가스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원인과 관계가 없는 것은?(2003년 03월)
     1. 냉매 유량의 부족
     2. 흡입배관의 마찰손실
     3. 냉각부하의 증가
     4. 모세관의 막힘

     정답 : []
     정답률 : 60%

27. 고압가스 제상장치에서 필요 없는 것은?(2013년 06월)
     1. 압축기
     2. 팽창밸브
     3. 응축기
     4. 열교환기

     정답 : []
     정답률 : 54%

28. 스크류 압축기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동일 용량의 왕복동 압축기에 비하여 소형 경량으로 설치 면적이 작다.
     2. 장시간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3. 부품수가 적고 수명이 길다.
     4. 오일펌프를 설치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스크류냉동기에는 오일회수기, 오일냉각기, 오일펌프가 설치됩니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

29. 다음 P - i 선도와 같은 2단 압축 2단 팽창 사이클로 운전되는 NH3 냉동장치에서 고단측 냉매 순환량은 얼마인가?(단, 냉동능력은 55000㎉/h이다.)(2003년 03월)

    

     1. 210.8 (kgf/h)
     2. 220.7 (kgf/h)
     3. 233.5 (kgf/h)
     4. 242.9 (kgf/h)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433-89/399-128)*(55000/388-89)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여러 대의 증발기를 사용할 경우 증발관 내의 압력이 가장 높은 증발기의 출구에 설치하여 압력을 일정 값 이하로 억제하는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9년 04월)
     1. 전자밸브
     2. 압력개폐기
     3. 증발압력조정밸브
     4. 온도조절밸브

     정답 : []
     정답률 : 83%

31. 냉동용 압축기의 압력이 게이지압력으로 각각 저압이 1 kgf/cm2이고, 고압이 13.5 kgf/cm2일 때 압축비는 약 얼마인가? (단, 대기압은 1.0332 kgf/cm2 이다.)(2010년 05월)
     1. 6.15
     2. 7.15
     3. 12.5
     4. 13.5

     정답 : []
     정답률 : 62%

32. 다음 중 액압축을 방지하고, 압축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2008년 07월)
     1. 유분리기
     2. 액분리기
     3. 수액기
     4. 드라이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흡수식 냉동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자동제어가 어렵고 운전경비가 많이 소요된다.
     2. 초기 운전 시 정격 성능을 발휘할 때까지의 도달 속도가 느리다.
     3. 부분 부하에 대한 대응성이 어렵다.
     4. 증기 압축식보다 소음 및 진동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흡수식냉동기는
가.용량제어가 쉽고, 전기를 사용하는 압축기가 없음므로 운전경비가 적게 소요된다.
다.부분부하에 대한 대응성이 쉽고, 부분부하 효율이 좋다.
라.압축기가 없기 때문에 소음 및 진동이 작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34. 어떤 냉장고의 증발기가 냉매와 공기의 평균온도차가 8℃로 운전되고 있다. 이때 증발기의 열통과율이 20 kcal/m2h℃ 라고 하면 1냉동통당 증발기의 소요 외표면적은 몇 m2 인가?(2013년 06월)
     1. 15.03
     2. 17.83
     3. 20.75
     4. 23.42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Q = K * A * Δt
A = Q / K * Δt
    = 3320 / 20 * 8
    = 20.75
[해설작성자 : 만년공학도]

35. 2단압축 1단팽창 냉동장치에서 고단 압축기의 냉매 순환량을 G2, 저단 압축기의 냉매 순환량을 G1이라고 할 때 G2/G1은 얼마인가?(2020년 08월)

    

     1. 0.8
     2. 1.4
     3. 2.5
     4. 3.1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652.3-427.1) / (622.4-462.6) = 1.4
[해설작성자 : rusehf]

36. 팽창밸브의 역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3월)
     1. 압력강하
     2. 온도강하
     3. 냉매량 제어
     4. 증발기에 오일 흡입 방지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팽창밸브역할
압력강하,온도강하,냉매량제어
[해설작성자 : ㄱㅁㄹ]

37. 다음 응축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4년 03월)
     1. 횡형 응축기의 관내 수속은 5m/s가 적당하다.
     2. 공기의 잠열로 냉각하는 것이 공냉식 응축기 이다.
     3. 입형 암모니아 응축기는 운전중에 냉각관의 청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주로 물의 감열로서 냉각하는 것이 증발식 응축기 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횡형 응축기의 관내 수속은 약 2~3 m/s 정도가 적당하다.
2. 공냉식 응축기는 공기의 현열로 냉각하는 것이다.
3. 입형 암모니아 응축기는 운전 중에 냉각관의 청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증발식 응축기는 물의 증발 잠열로 냉각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38. 다음 중 신재생에너지라고 할 수 없는 것은?(2013년 06월)
     1. 지열에너지
     2. 태양열에너지
     3. 풍력에너지
     4. 원자력에너지

     정답 : []
     정답률 : 83%

39. 제상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살수방식은 저온의 냉장창고용 유니트 쿨러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2. 부동액 살포방식은 공기중의 수분이 부동액에 흡수되므로 일정한 농도 관리가 필요하다.
     3. 핫가스 제상방식은 응축기 출구의 고온의 액냉매를 이용한다.
     4. 전기히터방식은 냉각관 배열의 일부에 핀튜브 형태의 전기히터를 삽입하여 착상부를 가열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핫가스 제상방식은 압축기에서 배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직접 증발기로 보내서 제상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amd64]

40. 증발기 중 가정용 냉장고, 쇼케이스 등과 같이 소형냉동시스템에 주로 사용하는 것은?(2010년 03월)
     1. 만랙식 셸엔드 튜브식 증발기
     2. 건식 셸엔드 튜브식 증발기
     3. 나관 코일식 증발기
     4. 헤링본식 증발기

     정답 : []
     정답률 : 50%

3과목 : 공기조화


41. 다음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하절기 공기조화 과정이다.)(2017년 03월)

    

     1. ③을 감습기에 통과시키면 엔탈피 변화 없이 감습된다.
     2. ④는 냉각기를 통해 엔탈피가 감소되며 ⑤로 변화된다.
     3. 냉각기 출구 공기 ⑤를 취출하면 실내에서 취득열량을 얻어 ②에 이른다.
     4. 실내공기 ①과 외기 ②를 혼합하면 ③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보기를 다시읽어보세요. 1 이 실내공기입니까?
[해설작성자 : 나도틀림괜찮아]

① 외기, ② 실내공기, ③ 혼합공기
[해설작성자 : amd64]

42. 습공기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인 열수분비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절대습도 변화량에 대한 잠열량 변화량의 비율
     2. 절대습도 변화량에 대한 전열량 변화량의 비율
     3. 상대습도 변화량에 대한 현열량 변화량의 비율
     4. 상대습도 변화량에 대한 잠열량 변화량의 비율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열수분비 : 전열량변화량/절대습도 변화량
[해설작성자 : 22]

열수분비 U = di/dx = Qs/L + iL
[해설작성자 : amd64]

43. 난방용 보일러의 요구조건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일상취급 및 보수관리가 용이할 것
     2. 건물로의 반출입이 용이할 것
     3. 높이 및 설치면적이 적을 것
     4. 증기 또는 온수의 발생에 요하는 시동시간이 길 것

     정답 : []
     정답률 : 78%

44. 덕트의 부속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댐퍼는 통과풍량의 조정 또는 개폐에 사용되는 기구이다.
     2. 분기 덕트 내의 풍량제어용으로 주로 익형 댐퍼를 사용한다.
     3. 방화구획관통부에는 방화댐퍼 또는 방연댐퍼를 설치한다.
     4. 가이드 베인은 곡부의 기류를 세분해서 와류의 크기를 적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분기 덕트 내의 풍량제어용으로 스플릿 댐퍼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기봉이]

덕트내의 풍량조절 : 볼륨댐퍼
덕트 분기점에서 풍량조절 : 스플릿댐퍼
화재 발생시 화재를 차단 : 방화댐퍼
굴곡부의 내측에 조밀하게 부착하여 기류를 안정시키는 장치 : 가이드베인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45. 증기난방 방식에 대한 설명 줄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배관방법에 따라 단관식과 복관식이 있다.
     2. 환수 방식에 따라 중력환수식과 진공환수식, 기계환수식으로 구분한다.
     3. 제어성이 온수에 비해 양호하다.
     4. 부하기기에서 증기를 응축시켜 응축수 만을 배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46. 에어 필터의 종류 중 병원의 수술실, 반도체 공장의 청정구역(clean room)등에 이용되는 고성능 에어 필터는?(2017년 08월)
     1. 백 필터
     2. 롤 필터
     3. HEPA 필터
     4. 전기 집진기

     정답 : []
     정답률 : 82%

47. 공조기 냉각코일의 출구공기를 재열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공조기의 풍량이 계산량보다 적을 때
     2. 실내의 잠열취득 잠열취득 비율이 커서 포화선과 교차하지 않을 때
     3. 현열비가 작아 포화선과 교차하지 않을 때
     4. 이중 덕트를 사용할 때

     정답 : []
     정답률 : 38%

48. 콜드 드래프트 현상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인체 주위의 공기온도가 너무 낮을 때
     2. 기류의 속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3. 주위 벽면의 온도가 낮을 때
     4. 겨울에 창문의 극간풍이 많을 때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기류의 속도가 [높]고 습도가 [낮]을 때 콜드 드래프트 현상이 발생합니다.
[해설작성자 : 도우인시스 이기찬]

49. 아래의 특징에 해당하는 보일러는 무엇인가?(2019년 08월)

    

     1. 주철제 보일러
     2. 연관 보일러
     3. 수관 보일러
     4. 관류 보일러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관류보일러 가장 큰 특징은 드럼이 없는 수관보일러입니다.
[해설작성자 : 태양]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수관보일러는 드럼이 있지요
관류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형수요! 형수요!]

50. 온풍난방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예열부하가 거의 없으므로 기동시간이 아주 짧다.
     2. 취급이 간단하고 취급자격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3. 방열기기나 배관 등의 시설이 필요 없어 설비비가 싸다.
     4. 취출온도의 차가 적어 온도분포가 고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온풍난방은 실내의 온도분포가 좋지 않아 쾌감도가 나쁘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51. 원심송풍기 번호가 No2일 때 회전날개(깃)의 직경(mm)은 얼마인가?(2013년 03월)
     1. 150
     2. 200
     3. 250
     4. 300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회전날개 직경 = 송풍기번호*150mm
[해설작성자 : dd]

52.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량이 소비량에 비해 과잉일 경우 액화저장하고 증기량이 부족할 경우 저장 증기를 방출하는 장치는?(2016년 05월)
     1. 절탄기
     2. 과열기
     3. 재열기
     4. 축열기

     정답 : []
     정답률 : 70%

53. 공작기계인 연삭기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작업장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덕트 설계법으로 적당한 것은?(2009년 07월)
     1. 등마찰 손실법
     2. 등속법
     3. 정압 재취득법
     4. 전압법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등속법 : 먼지나 분진을 이송시킬 때 사용

54. 온수의 물을 에어워셔 내에서 분무시킬 때 공기의 상태변화는?(2006년 08월)
     1. 습구온도 강하
     2. 건구온도 상승
     3. 건구온도 강하
     4. 습구온도 상승

     정답 : []
     정답률 : 49%

55. 다음 중 공기조화설비의 계획시 조닝(Zoning)을 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효과적인 실내 환경의 유지
     2. 설비비의 경감
     3. 운전 가동면에서의 에너지 절약
     4. 부하 특성에 대한 대처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조닝을 하는이유로서 설비비의 경감이 아닌 운전비의 경감이 목적이다
[해설작성자 : 미스터론]

56. 다음의 습공기 선도에서 ① - ⑤의 상태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단, 그림에서 ①은 외기, ②는 실내공기, ③은 혼합공기이다.)(2012년 08월)

    

     1. 가습, 냉각과정이다.
     2. 감습, 가열과정이다.
     3. 가습, 가열과정이다.
     4. 감습, 냉각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57. 공조설비의 구성은 열원설비, 열운반장치, 공조기, 자동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에 해당하는 장치로서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펌프
     2. 덕트
     3. 스프링 쿨러
     4. 냉동기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스프링 클러는 소방 설비입니다
[해설작성자 : 천강북두]

58. 주어진 계통도와 같은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기의 상태변화를 습공기 선도상에 나타내었다. 계통도의 '5'점은 습공기선도에서 어느 점인가?(2015년 03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e 2-c 3-d 4-a 5-b
[해설작성자 : 멀티비츠]

59. 잠열 축열장치에서 잠열 축열재가 갖추어야 할필요한 조건으로 맞는 것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융해열이 작을 것
     2. 과냉각이 작고 상분리를 일으키지 않을 것
     3. 단기간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4. 가격이 비쌀 것

     정답 : []
     정답률 : 42%

60. 습공기의 상태변화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습공기를 가열하면 엔탈피가 증가한다.
     2. 습공기를 가열하면 상대습도는 감소한다.
     3. 습공기를 냉각하면 비체적은 감소한다.
     4. 습공기를 냉각하면 절대습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냉각시 절대습도는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전기제어공학


61. 그림의 신호흐름선도에서 X2/ X1를 구하면?(2006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62.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변화시켜서 발진기의 주파수를 1kHz로 하고자 한다. 이 때 발진기는 자동제어 용어 중 어느것에 해당되는가?(2004년 05월)
     1. 목표값
     2. 조작량
     3. 제어량
     4. 제어대상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발진기 = 제어대상
주파수 = 제어량
[해설작성자 : 루루네아빠]

63. 논리식 를 간단히 한 식은?(2014년 03월)
     1. x
     2. z
     3.
     4.

     정답 : []
     정답률 : 69%

64. i=Im1sinωt+Im2(2sinωt+θ)의 실효값은?(2017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1%

65. 운전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자동제어는?(2013년 03월)
     1. 추종제어
     2. 프로그램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정답률 : 83%

66. 다음중 정류기의 평활회로에 이용되는 것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고역필터
     2. 저역필터
     3. 대역통과필터
     4. 대역소거필터

     정답 : []
     정답률 : 60%

67. 전압방정식이 로 주어지는 RL 직렬회로가 있다. 직류전압 E를 인가했을 때, 이 회로의 정상상태 전류는?(2021년 08월)
     1. E/(RL)
     2. E
     3. E/R
     4. (RL)/E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R - L 직렬회로에 직류전압을 인가 했기에
교류전원에만 존재하는 인덕턴스 L 이나 C 성분은
존재하지 않기에 R 만이 적용됩니다.
옴의 법칙 V = R * I
I = E / R 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쥬님]

68. 축전지 용량의 단위는?(2014년 08월)
     1. A
     2. Ah
     3. kW
     4. 0

     정답 : []
     정답률 : 76%

69. 온 오프(on-off)동작의 설명 중 옳은 것은?(2004년 05월)
     1. 간단한 단속적 제어동작이고 사이클링이 생긴다.
     2. 사이클링은 제거할 수 있으나 오프셋이 생긴다.
     3. 오프셋은 없앨 수 있으나 응답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
     4. 응답속도는 빠르나 오프셋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79%

70. 서보기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원격제어의 경우가 많다.
     2. 제어량이 기계적 변위이다.
     3. 추치제어에 해당하는 제어장치가 많다.
     4. 신호는 아날로그에 비해 디지털인 경우가 많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서보기구는 아날로그 신호만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상병4호봉]

71.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로 표시되는 제어계의 전달함수는?(2011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72. AC 서보 전동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AC 서보 전동기의 전달함수는 미분요소이다.
     2. 고정자의 기준 권선에 제어용 전압을 인가한다.
     3. AC 서보 전동기는 큰 회전력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사용된다.
     4. AC 서보 전동기는 두 고정자 권선에 90도 위상차의 2상 전압을 인가하여 회전자계를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적분요소와 2차 요소의 직렬결합이다
2. 고정자 기준 권선에 정전압을 인가
3. AC 서보전동기는 큰 회전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MINGS]

73. 잔류편차와 사이클링이 없고, 간헐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 동작은?(2021년 03월)
     1. I 동작
     2. D 동작
     3. P 동작
     4. PI 동작

     정답 : []
     정답률 : 65%

74. 시퀀스회로의 a 접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수동으로 리셋트 할 수 있는 접점이다.
     2. 누름버튼스위치의 접점이 붙어있는 상태를 말한다.
     3. 두 접점이 상호 인터록이 되는 접점을 말한다.
     4. 전원을 투입하지 않았을 때 떨어져 있는 접점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시퀀스회로의 a 접점은 전원을 투입하지 않았을 때 떨어져 있는 접점이다
[해설작성자 : 내가 돌아왔다.]

75. 조각기기로 사용되는 서보 전동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제어범위가 넓고 특성 변경이 쉬어야 한다.
     2. 시정수와 관성이 클수록 좋다.
     3. 서보 전동기는 그다지 큰 회전력이 요구되지 않아도 된다.
     4. 급 가ㆍ감속 및 정ㆍ역 운전이 쉬워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76. SC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PNPN 소자이다.
     2. 스위칭 소자이다.
     3. 쌍방향성 사이리스터이다.
     4. 직류, 교류의 전력제어용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역저지 사이리스터(순방향, 단방향)
[해설작성자 : 도우인시스 공조과장]

77. 제어계의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모든 초기값을 0으로 한다.
     2. 시간(t)함수에 대한 입력 및 출력신호의 비이다.
     3. 선형 제어계에서만 정의된다.
     4. t<0 에서는 제어계가 정지 상태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78. 그림과 같은 펄스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그 값은?(201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7%

79. 정상 편차를 개선하고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며 오버슈트를 감소시키는 동작은?(2019년 03월)
     1. K
     2. K(1+sT)
     3.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비례제어(P)
2. 비례미분제어(PD) : 속응성 향상
3. 비례적분제어(PI) : 잔류편차 제거
4. 비례적분미분제어(PID) : 속응성 향상, 잔류편차 제거
[해설작성자 : 한기대 화이팅]

80. 자동제어기기의 조작용 기기가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클러치
     2. 전자밸브
     3. 서보전동기
     4. 엠플리다인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앰플리다인은 증폭기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격]

81. 유리섬유 단열재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사용 온도범위는 보통 -25~300℃이다.
     2. 다량의 공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보온단열효과가 양호하다.
     3. 유리를 녹여 섬유화한 것이므로 칼이나 가위 등으로 쉽 게 절단되지 않는다.
     4. 순수한 무기질의 섬유제품으로서 불에 타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2. 체크밸브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리프트형 – 수평, 수직 배관용
     2. 풋형 – 수평 배관용
     3. 스윙형 – 수평, 수직 배관용
     4. 리프트형 – 수직 배관용

     정답 : []
     정답률 : 64%

83. 급탕배관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2004년 03월)
     1. 급수관경보다 큰 관을 사용해야 한다.
     2. 배관구배는 중력순환식의 경우 1/150, 강제순환식의 경우 1/200로 한다.
     3. 급탕관은 급수관에 비하여 부식하기가 쉽다.
     4. 연관은 열에 강하고 부식도 잘되지 않으므로 급탕배관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84. 상수 및 급탕배관에서 상수 이외의 배관 또는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8년 03월)
     1. 크로스 커넥션
     2. 역압 커넥션
     3. 사이펀 커넥션
     4. 에어캡 커넥션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크로스커넥숀: 관이음의 한 종류로서 단주 철제의 십자형으로 된 이음.
[해설작성자 : 육개장에들어있는어묵맛과자]

85. 압력탱크 급수방식에서 압력탱크의 필요 최저 압력을 구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06년 08월)
     1. 급수 펌프의 수압
     2. 수전의 필요 압력
     3. 배관 내에서의 마찰손실압력
     4. 압력 탱크에서 최고층 수전까지에 해당하는 수압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압력탱크 필요 최저 압력 = 압력탱크 최고층 수전 높이에 해당하는 수압 + 가구별 최저 필요 압력+ 관내 마찰손실압력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86. 증기트랩에 관한 설명으로서 맞는 것은?(2013년 08월)
     1. 응축수나 공기가 자동적으로 환수관에 배출되며, 실로폰 트랩, 방열기 트랩이라고도 하는 트랩은 플로트 트랩이다.
     2. 열동식 트랩은 고압, 중압의 증기관에 적합하며, 환수관을 트랩보다 위쪽에 배관할 수도 있고, 형식에 따라 상향식과 하향식이 있다.
     3. 버킷 트랩은 구조상 공기를 함께 배출하지 못하지만 다량의 응축수를 처리하는데 적합하며, 다량트랩이라고 한다.
     4. 고압, 중압, 저압에 사용되며 작동 시 구조상 증기가 약간 새는 결점이 있는 것이 충격식 트랩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 실로폰트랩 : 열동식트랩(벨로즈트랩)으로서 1kgf/cm2 이하의 방열기나 관말트랩에 사용
- 플로트트랩 : 다량트랩으로서 플로터의 부력에 의해 작동
- 버킷트랩 : 버킷의 부력에 의해 작동하며 상향식과 하향식이 있음.
[해설작성자 : 정군]

87. 은 어떤 관의 말단부 표시인가?(2003년 05월)
     1.
     2. 소켓
     3. 플러그
     4.

     정답 : []
     정답률 : 49%

88. 배관의 보온재 선택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대상온도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것
     2. 방수·방습성이 우수할 것
     3. 열 전도율이 클 것
     4. 가볍고 시공성이 좋을 것

     정답 : []
     정답률 : 94%

89. 증기난방의 환수방법중 증기의 순환이 가장 빠르며 방열기 보일러 등의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대규모 난방에 주로 채택되는 방식은?(2003년 08월)
     1. 단관식 상향 증기 난방법
     2. 단관식 하향 증기 난방법
     3. 진공환수식 증기 난방법
     4. 기계환수식 증기 난방법

     정답 : []
     정답률 : 63%

90. 주철관 이음에 해당되는 것은?(2015년 03월)
     1. 납땜 이음
     2. 열간 이음
     3. 타이튼 이음
     4. 플라스탄 이음

     정답 : []
     정답률 : 70%

91. 벤더에 의한 관 굽힘시 주름이 생겼다. 주된 원인은?(2019년 03월)
     1. 재료에 결함이 있다.
     2. 굽힘형의 홈이 관지름 보다 작다.
     3. 클램프 또는 관에 기름이 묻어 있다.
     4. 압력형이 조정이 세고 저항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69%

92. 다음 중 복사난방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방열기의 설치공간이 따로 필요 없다.
     2. 시설비가 비교적 비싸다.
     3. 대류가 적으므로 바닥면의 먼지가 상승이 적다.
     4. 열용량이 크므로 예열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50%

93. 동일 구경의 관을 직선 연결할 때 사용하는 관 이음재료가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소켓
     2. 플러그
     3. 유니온
     4. 플랜지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플러그 - 관 끝을 막는 용도.
[해설작성자 : amd64]

94. 배관의 하중을 위에서 걸어 당겨 지지하는 행거(hanger) 중 상하 방향의 변위가 없는 개소에 사용하는 것은?(2015년 03월)
     1. 콘스타트 행거(constant hanger)
     2. 리지드 행거(rigid hanger)
     3. 베리어블 행거(variable hanger)
     4. 스프링 행거(spring hanger)

     정답 : []
     정답률 : 59%

95. 급탕배관시 주의사항으로 잃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구배는 중력순환식인 경우 1/150, 강제순환식에서는 1/200로 한다.
     2. 배관의 굽힘부분에는 스위블 이음으로 접합한다.
     3. 상향배관인 경우 급탕관은 하향구배로 한다.
     4. 플랜지에 사용되는 패킹은 내열성재료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상향공급식 급탕관은 올림구배하고 반탕관은 내림구배를 한다.
하향공급식의 경우 급탕관과 반탕관 모두 내림구배를 해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6. 벤더(bender)에 의한 작업중에 관이 파손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굽힘형의 홈이 관지름보다 작다.
     2. 굽힘반지름이 너무 작다.
     3. 압력의 조정이 세고 저항이 크다.
     4. 받침쇠가 너무 나와 있다.

     정답 : []
     정답률 : 37%

97. 지중에 매설하는 배수관의 관경은 몇 mm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2009년 07월)
     1. 10 mm
     2. 20 mm
     3. 30 mm
     4. 50 mm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지중 또는 지하층의 바닥 밑에 매설되는 배수관의 관경은 [50]mm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123]

98. 다음 중 온수난방 배관설비에 관계 없는 것은?(2003년 03월)
     1. 리터언 코크
     2. 리버어스 리터언 배관
     3. 스위블 죠인트
     4. 하아트포드 접속법

     정답 : []
     정답률 : 39%

99. 공기조화 설비용 냉,온수배관의 관경에 따른 유속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4년 05월)
     1. 20A - 0.1㎧
     2. 32A - 0.3 ㎧
     3. 50A - 1.5 ㎧
     4. 75A - 3.5 ㎧

     정답 : []
     정답률 : 56%

100. 다음 중 고가수조의 설치높이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2003년 08월)
     1. 최상층 수전의 높이
     2. 고가수조의 용량
     3. 수전의 소요압력
     4. 배관의 마찰저항

     정답 : []
     정답률 : 43%


정 답 지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910213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계열역학


1. 질량 4kg의 액체를 15℃에서 100℃까지 가열하기 위해 714kJ의 열을 공급하였다면 액체의 비열(kJ/kgㆍK)은 얼마인가?(2019년 08월)
     1. 1.1
     2. 2.1
     3. 3.1
     4. 4.1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비열 = 열량/(질량*온도변화)
714kJ/(4kg*85℃)=2.1kJ

2. 풍선에 공기 2kg이 들어 있다. 일정 압력 500kPa 하에서 가열 팽창하여 체적이 1.2배가 되었다. 공기의 초기온도가 20℃일 때 최종 온도(℃)는 얼마인가?(2020년 09월)
     1. 32.4
     2. 53.7
     3. 78.6
     4. 92.3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pV=mRT에서 압력, 질량, 기체상수가 일정하므로 V1/T1=V2/T2 이므로
최종온도 T2=(V2*T1)/V1=1.2*(273+20)=351.6K=78.6℃ 이다.
[해설작성자 : 기원]

3. 카르노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이상적인 2개의 등온과정과 이상적인 2개의 정압과정으로 이루어진다.
     2. 이상적인 2개의 정압과정과 이상적인 2개의 단열과정으로 이루어진다.
     3. 이상적인 2개의 정압과정과 이상적인 2개의 정적과정으로 이루어진다.
     4. 이상적인 2개의 등온과정과 이상적인 2개의 단열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카르노 사이클은 가스동력 이상사이클로 단열압축, 등온가열, 단열팽창, 등온방열의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등온과정은 열량이 모두 일로 변환되는 이상적인 사이클이다.
[해설작성자 : 정태성]

4. 오토 사이클로 작동되는 기관에서 실린더의 간극 체적이 행정 체적의 15%라고 하면 이론 열효율은 약 얼마인가? (안, 비열비 k=1.4이다.)(2017년 03월)
     1. 45.2%
     2. 50.6%
     3. 55.7%
     4. 61.4%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1/ε)^(k-1)
압축비 ε=1.15/0.15=7.67, 비열비 k=1.4
효율=1-(1/7.67)^(1.4-1)=0.557=55.7%
[해설작성자 : 알과카]

압축비 ε= (행정체적 + 간극체적) / 간극체적
                 = (행정체적 + 행정체적*0.15) / 행정체적*0.15
                 = 1 + 1/0.15 = 7.67
[해설작성자 : 이민준]

5. 이론 정적사이클에서 단열압축을 할 때 압축이 시작될 때의 게이지(gage) 압력이 91 kPa이고, 압축이 끝났을 때의 게이지(gage)압력이 1317 kPa라고 하면 이 사이클의 압축비는? (단, k = 1.4 라 한다.)(2003년 05월)
     1. 약 4.16
     2. 약 5.24
     3. 약 5.75
     4. 약 6.74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게이지 압력이 아닌 절대압력으로 계산하므로 +101KPa를 해준다.
P1 = 192kPa, P2=1418kPa
P1V1^K = P2V2^K 에서 유도한다면
단열에서 압축비는 (P2/P1)^(1/k)이다.
따라서 (1418/192)^(1/1.4) = 약 4.17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6. 압력이 일정할 때 공기 5 kg을 0℃에서 100℃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약 몇 KJ인가? (단, 공기비열 Cp(kJ/kg℃) = 1.01+0.000079t(℃) 이다.)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102
     2. 476
     3. 490
     4. 507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주어진 식을 t에대해서 상한은 100 하한은 0으로 두고 적분후 5를 곱하면
약 507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깡군]

5*(1.01*100+(1/2)*0.000079*100^2) = 506.975
[해설작성자 : 천강북두]

7. 초기 압력 100kPa, 초기 체적 0.1m3인 기체를 버너로 가열하여 기체 체적이 정압과정으로 0.5m3이 되었다면 이 과정 동안 시스템이 외부에 한 일(kJ)은?(2020년 06월)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일 W = P x dv = 100kPa x (0.5-0.1)m^3 = 40KJ
[해설작성자 : HJJIN]

8. 실린더 지름이 7.5 cm이고, 피스톤 행정이 10 cm인 압축기의 지압선도로부터 구한 평균유효압력이 200 kPa 일 때, 한 사이클당 압축일은 약 몇 J인가?(2012년 08월)
     1. 12.4
     2. 22.4
     3. 88.4
     4. 128.4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한 사이클당 압축일 = 평균유효압력 * 스트로크체적
스트로크체적 = (pi/4)*D^2*L = pi/4    * 0.075^2 *0.1
평균유효압력 * 스트로크체적 = 200000*0.00041786 = 88.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온도 15℃, 압력 100kPa 상태의 체적이 일정한 용기 안에 어떤 이상 기체 5kg이 들어 있다. 이 기체가 50℃가 될 때까지 가열되는 동안의 엔트로피 증가량은 약 몇 kJ/K 인가? (단, 이 기체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각각 1.001kJ/(kgㆍK), 0.7171 kJ/(kgㆍK)이다.)(2017년 05월)
     1. 0.411
     2. 0.486
     3. 0.575
     4. 0.732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정적과정의 Entropy 변화
ΔS = m·Cv·ln(T2/T1)
= 5[kg] x 0.717[kJ/(kg·K)] x ln{(50+273)/(15+273)}
= 0.411[kJ/K]
[해설작성자 : 나대로]

10. 압력이 187 kPa일 때 1m3의 공기질량이 2kg이었다. 이 때 공기의 온도(℃)는?(단. 공기의 기체상수 R=287 J/kg·K 이다.)(2008년 07월)
     1. 500
     2. 400
     3. 770
     4. 227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그림은 압력-온도선도이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A)는 고체, (B)는 액체, (C)는 기체이다.
     2. (D)는 삼중점으로 물의 경우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다.
     3. (E)는 임계점이다.
     4. 융해곡선으로서 물은 파선 F에, 그 밖의 대부분의 물질은 실선 G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12. 실린더 내부에 기체가 채워져 있고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으며 피스톤 위에는 추가 놓여 있다. 초기 압력 100 kPa, 포기 체적 0.1m3인 기체를 버너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가열하여 기체 체적이 0.5m3이 되었다면 이 과정 동안 시스템이 한 일은?(2010년 07월)
     1. 10 kJ
     2. 20 kJ
     3. 30 kJ
     4. 40 kJ

     정답 : []
     정답률 : 82%

13. 다음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 여기서 u는 내부에너지, h는 엔탈피, P는 압력, v는 비체적, T는 온도이다.)(2008년 05월)
     1. h = u + Pv
     2. h = u - Tv
     3. h = u - Pv
     4. h = u + Tv

     정답 : []
     정답률 : 71%

14. 초기에 300 K, 150 kPa 인 공기 0.5 m3을 등온과정으로 600 kPa까지 천천히 압축하였다. 이 과정동안 일을 계산하면?(2004년 03월)
     1. -104 kJ
     2. -208 kJ
     3. -52 kJ
     4. -312 kJ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50*0.5*ln(600/150)
=103.9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초기의 상태가 300K, 0.5m3인 공기를 등온과정으로 150kPa에서 600kPa까지 천천히 압축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기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일 에너지는 약 몇kJ인가?(2009년 03월)
     1. 104
     2. 208
     3. 304
     4. 612

     정답 : []
     정답률 : 57%

16. 온도가 350 K인 공기의 압력이 0.3 MPa, 체적이 0.3 m3, 엔탈피가 100 kJ 이다. 이 공기의 내부에너지는?(2013년 08월)
     1. 1 kJ
     2. 10 kJ
     3. 15 kJ
     4. 100 kJ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h= u+ Pv
0.3 Mpa = 300kPa
100 = u + 300*0.3
u = 10
[해설작성자 : 지훈이귀여워]

17. -3℃에서 열을 흡수하여 27℃에 방열하는 냉동기의 최대성능계수는?(2005년 05월)
     1. 9.0
     2. 10.0
     3. 11.25
     4. 15.25

     정답 : []
     정답률 : 70%

18. 유체가 20 m/s의 속도로 단열 노즐에 들어가서 400 m/s의 속도로 나온다면 엔탈피의 증가량은 몇 kJ/kg인가?(2003년 03월)
     1. 79.8
     2. -79.8
     3. 79800
     4. -79800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20^2-400^2/2)*10^-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압력 5kPa, 체적이 0.3m3인 기체가 일정한 압력 하에서 압축되어 0.2m3로 되었을 때 이 기체가 한 일은? (단, +는 외부로 기체가 일을 한 경우이고, -는 기체가 외부로부터 일을 받은 경우이다.)(2017년 03월)
     1. -1000J
     2. 1000J
     3. -500J
     4. 500J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정압과정이므로 W = ∫_2~1 PdV 에서
= P·(V2 - V1) = 5 x (0.2 - 0.3) = -0.5[kJ] = -500[J]
[해설작성자 : 나대로]

20. 400 K의 물 1.0 kg/s와 350 K의 물 0.5 kg/s가 정상과정으로 혼합되어 나온다. 이 과정 중에 300 kJ/s의 열손실이 있다. 출구에서 물의 온도는 약 얼마인가? (단,물의 비열은 4.18 kJ/kgㆍK이다.)(2013년 03월)
     1. 369.2 K
     2. 350.1 K
     3. 335.5 K
     4. 320.3 K

     정답 : []
     정답률 : 54%

2과목 : 냉동공학


21. 다음 중 일반적으로 냉방시스템에서 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냉동방식은?(2019년 08월)
     1. 터보식
     2. 흡수식
     3. 전자식
     4. 증기압축식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터보식 : 기계식 압축기를 사용하여 '증기압축식'과 관련 있다.
전자식 : 반도체를 이용한다.
증기압축식 : 프레온 냉매, 암모니아를 사용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22. 역카르노 사이클에서 T-S 선도상 성적계수를 ε구하는 식은 어느 것인가?(단. AW: 외부로부터 받은 일, Q1: 고온으로 배출하는 열량, O2: 저온으로부터 받은 열량, T1: 고온, T2: 저온)(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내부지름이 2cm이고 외부지름이 4cm인 강철관을 3cm 두께의 석면으로 씌웠다면 관의 길이당 열손실은? (단, 관내부 온도 600℃, 석면 바깥면 온도 100℃, 관 열전도도 16.34kcal/mh℃, 석면 열전도도 0.1264kcal/mh℃이다)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430.85 kcal/hㆍm
     2. 439.85 kcal/hㆍm
     3. 410.52 kcal/hㆍm
     4. 510.52 kcal/hㆍm

     정답 : []
     정답률 : 43%

24. 다음의 만액식 냉동사이클 선도에서 냉매순환량을 G라 하면 증발기 냉동능력(Qe)은?(2006년 03월)

    

     1. Qe = G(h7 - h4)
     2. Qe = G(h7 - h5)
     3. Qe = G(h1 - h4)
     4. Qe = G(h1 - h5)

     정답 : []
     정답률 : 43%

25. 핀(fin)이 없는 공기냉각기에 있어서 냉각관 외면에는 서리가 4mm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냉각관의 열통과율(kcal/m2h℃)은 약 얼마인가? (단, 냉각관의 두께, 서리의 두께에 의한 면적증가와 관의 열저항은 무시한다. 또한 공기측 열전달율 aa=8 kcal/m2h℃, 냉매측 열전달율 ar=600 kal/m2h℃, 서리의 열전도율 λ=0.2 kcal/mh℃ 이다.)(2010년 05월)
     1. 6.8
     2. 7.1
     3. 7.5
     4. 8.3

     정답 : []
     정답률 : 52%

26. 냉동장치에서 흡입가스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원인과 관계가 없는 것은?(2003년 03월)
     1. 냉매 유량의 부족
     2. 흡입배관의 마찰손실
     3. 냉각부하의 증가
     4. 모세관의 막힘

     정답 : []
     정답률 : 60%

27. 고압가스 제상장치에서 필요 없는 것은?(2013년 06월)
     1. 압축기
     2. 팽창밸브
     3. 응축기
     4. 열교환기

     정답 : []
     정답률 : 54%

28. 스크류 압축기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동일 용량의 왕복동 압축기에 비하여 소형 경량으로 설치 면적이 작다.
     2. 장시간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3. 부품수가 적고 수명이 길다.
     4. 오일펌프를 설치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스크류냉동기에는 오일회수기, 오일냉각기, 오일펌프가 설치됩니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

29. 다음 P - i 선도와 같은 2단 압축 2단 팽창 사이클로 운전되는 NH3 냉동장치에서 고단측 냉매 순환량은 얼마인가?(단, 냉동능력은 55000㎉/h이다.)(2003년 03월)

    

     1. 210.8 (kgf/h)
     2. 220.7 (kgf/h)
     3. 233.5 (kgf/h)
     4. 242.9 (kgf/h)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433-89/399-128)*(55000/388-89)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여러 대의 증발기를 사용할 경우 증발관 내의 압력이 가장 높은 증발기의 출구에 설치하여 압력을 일정 값 이하로 억제하는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9년 04월)
     1. 전자밸브
     2. 압력개폐기
     3. 증발압력조정밸브
     4. 온도조절밸브

     정답 : []
     정답률 : 83%

31. 냉동용 압축기의 압력이 게이지압력으로 각각 저압이 1 kgf/cm2이고, 고압이 13.5 kgf/cm2일 때 압축비는 약 얼마인가? (단, 대기압은 1.0332 kgf/cm2 이다.)(2010년 05월)
     1. 6.15
     2. 7.15
     3. 12.5
     4. 13.5

     정답 : []
     정답률 : 62%

32. 다음 중 액압축을 방지하고, 압축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2008년 07월)
     1. 유분리기
     2. 액분리기
     3. 수액기
     4. 드라이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흡수식 냉동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자동제어가 어렵고 운전경비가 많이 소요된다.
     2. 초기 운전 시 정격 성능을 발휘할 때까지의 도달 속도가 느리다.
     3. 부분 부하에 대한 대응성이 어렵다.
     4. 증기 압축식보다 소음 및 진동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흡수식냉동기는
가.용량제어가 쉽고, 전기를 사용하는 압축기가 없음므로 운전경비가 적게 소요된다.
다.부분부하에 대한 대응성이 쉽고, 부분부하 효율이 좋다.
라.압축기가 없기 때문에 소음 및 진동이 작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34. 어떤 냉장고의 증발기가 냉매와 공기의 평균온도차가 8℃로 운전되고 있다. 이때 증발기의 열통과율이 20 kcal/m2h℃ 라고 하면 1냉동통당 증발기의 소요 외표면적은 몇 m2 인가?(2013년 06월)
     1. 15.03
     2. 17.83
     3. 20.75
     4. 23.42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Q = K * A * Δt
A = Q / K * Δt
    = 3320 / 20 * 8
    = 20.75
[해설작성자 : 만년공학도]

35. 2단압축 1단팽창 냉동장치에서 고단 압축기의 냉매 순환량을 G2, 저단 압축기의 냉매 순환량을 G1이라고 할 때 G2/G1은 얼마인가?(2020년 08월)

    

     1. 0.8
     2. 1.4
     3. 2.5
     4. 3.1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652.3-427.1) / (622.4-462.6) = 1.4
[해설작성자 : rusehf]

36. 팽창밸브의 역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3월)
     1. 압력강하
     2. 온도강하
     3. 냉매량 제어
     4. 증발기에 오일 흡입 방지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팽창밸브역할
압력강하,온도강하,냉매량제어
[해설작성자 : ㄱㅁㄹ]

37. 다음 응축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4년 03월)
     1. 횡형 응축기의 관내 수속은 5m/s가 적당하다.
     2. 공기의 잠열로 냉각하는 것이 공냉식 응축기 이다.
     3. 입형 암모니아 응축기는 운전중에 냉각관의 청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주로 물의 감열로서 냉각하는 것이 증발식 응축기 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횡형 응축기의 관내 수속은 약 2~3 m/s 정도가 적당하다.
2. 공냉식 응축기는 공기의 현열로 냉각하는 것이다.
3. 입형 암모니아 응축기는 운전 중에 냉각관의 청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증발식 응축기는 물의 증발 잠열로 냉각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38. 다음 중 신재생에너지라고 할 수 없는 것은?(2013년 06월)
     1. 지열에너지
     2. 태양열에너지
     3. 풍력에너지
     4. 원자력에너지

     정답 : []
     정답률 : 83%

39. 제상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살수방식은 저온의 냉장창고용 유니트 쿨러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2. 부동액 살포방식은 공기중의 수분이 부동액에 흡수되므로 일정한 농도 관리가 필요하다.
     3. 핫가스 제상방식은 응축기 출구의 고온의 액냉매를 이용한다.
     4. 전기히터방식은 냉각관 배열의 일부에 핀튜브 형태의 전기히터를 삽입하여 착상부를 가열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핫가스 제상방식은 압축기에서 배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직접 증발기로 보내서 제상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amd64]

40. 증발기 중 가정용 냉장고, 쇼케이스 등과 같이 소형냉동시스템에 주로 사용하는 것은?(2010년 03월)
     1. 만랙식 셸엔드 튜브식 증발기
     2. 건식 셸엔드 튜브식 증발기
     3. 나관 코일식 증발기
     4. 헤링본식 증발기

     정답 : []
     정답률 : 50%

3과목 : 공기조화


41. 다음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하절기 공기조화 과정이다.)(2017년 03월)

    

     1. ③을 감습기에 통과시키면 엔탈피 변화 없이 감습된다.
     2. ④는 냉각기를 통해 엔탈피가 감소되며 ⑤로 변화된다.
     3. 냉각기 출구 공기 ⑤를 취출하면 실내에서 취득열량을 얻어 ②에 이른다.
     4. 실내공기 ①과 외기 ②를 혼합하면 ③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보기를 다시읽어보세요. 1 이 실내공기입니까?
[해설작성자 : 나도틀림괜찮아]

① 외기, ② 실내공기, ③ 혼합공기
[해설작성자 : amd64]

42. 습공기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인 열수분비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절대습도 변화량에 대한 잠열량 변화량의 비율
     2. 절대습도 변화량에 대한 전열량 변화량의 비율
     3. 상대습도 변화량에 대한 현열량 변화량의 비율
     4. 상대습도 변화량에 대한 잠열량 변화량의 비율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열수분비 : 전열량변화량/절대습도 변화량
[해설작성자 : 22]

열수분비 U = di/dx = Qs/L + iL
[해설작성자 : amd64]

43. 난방용 보일러의 요구조건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일상취급 및 보수관리가 용이할 것
     2. 건물로의 반출입이 용이할 것
     3. 높이 및 설치면적이 적을 것
     4. 증기 또는 온수의 발생에 요하는 시동시간이 길 것

     정답 : []
     정답률 : 78%

44. 덕트의 부속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댐퍼는 통과풍량의 조정 또는 개폐에 사용되는 기구이다.
     2. 분기 덕트 내의 풍량제어용으로 주로 익형 댐퍼를 사용한다.
     3. 방화구획관통부에는 방화댐퍼 또는 방연댐퍼를 설치한다.
     4. 가이드 베인은 곡부의 기류를 세분해서 와류의 크기를 적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분기 덕트 내의 풍량제어용으로 스플릿 댐퍼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기봉이]

덕트내의 풍량조절 : 볼륨댐퍼
덕트 분기점에서 풍량조절 : 스플릿댐퍼
화재 발생시 화재를 차단 : 방화댐퍼
굴곡부의 내측에 조밀하게 부착하여 기류를 안정시키는 장치 : 가이드베인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45. 증기난방 방식에 대한 설명 줄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배관방법에 따라 단관식과 복관식이 있다.
     2. 환수 방식에 따라 중력환수식과 진공환수식, 기계환수식으로 구분한다.
     3. 제어성이 온수에 비해 양호하다.
     4. 부하기기에서 증기를 응축시켜 응축수 만을 배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46. 에어 필터의 종류 중 병원의 수술실, 반도체 공장의 청정구역(clean room)등에 이용되는 고성능 에어 필터는?(2017년 08월)
     1. 백 필터
     2. 롤 필터
     3. HEPA 필터
     4. 전기 집진기

     정답 : []
     정답률 : 82%

47. 공조기 냉각코일의 출구공기를 재열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공조기의 풍량이 계산량보다 적을 때
     2. 실내의 잠열취득 잠열취득 비율이 커서 포화선과 교차하지 않을 때
     3. 현열비가 작아 포화선과 교차하지 않을 때
     4. 이중 덕트를 사용할 때

     정답 : []
     정답률 : 38%

48. 콜드 드래프트 현상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인체 주위의 공기온도가 너무 낮을 때
     2. 기류의 속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3. 주위 벽면의 온도가 낮을 때
     4. 겨울에 창문의 극간풍이 많을 때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기류의 속도가 [높]고 습도가 [낮]을 때 콜드 드래프트 현상이 발생합니다.
[해설작성자 : 도우인시스 이기찬]

49. 아래의 특징에 해당하는 보일러는 무엇인가?(2019년 08월)

    

     1. 주철제 보일러
     2. 연관 보일러
     3. 수관 보일러
     4. 관류 보일러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관류보일러 가장 큰 특징은 드럼이 없는 수관보일러입니다.
[해설작성자 : 태양]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수관보일러는 드럼이 있지요
관류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형수요! 형수요!]

50. 온풍난방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예열부하가 거의 없으므로 기동시간이 아주 짧다.
     2. 취급이 간단하고 취급자격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3. 방열기기나 배관 등의 시설이 필요 없어 설비비가 싸다.
     4. 취출온도의 차가 적어 온도분포가 고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온풍난방은 실내의 온도분포가 좋지 않아 쾌감도가 나쁘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51. 원심송풍기 번호가 No2일 때 회전날개(깃)의 직경(mm)은 얼마인가?(2013년 03월)
     1. 150
     2. 200
     3. 250
     4. 300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회전날개 직경 = 송풍기번호*150mm
[해설작성자 : dd]

52.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량이 소비량에 비해 과잉일 경우 액화저장하고 증기량이 부족할 경우 저장 증기를 방출하는 장치는?(2016년 05월)
     1. 절탄기
     2. 과열기
     3. 재열기
     4. 축열기

     정답 : []
     정답률 : 70%

53. 공작기계인 연삭기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작업장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덕트 설계법으로 적당한 것은?(2009년 07월)
     1. 등마찰 손실법
     2. 등속법
     3. 정압 재취득법
     4. 전압법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등속법 : 먼지나 분진을 이송시킬 때 사용

54. 온수의 물을 에어워셔 내에서 분무시킬 때 공기의 상태변화는?(2006년 08월)
     1. 습구온도 강하
     2. 건구온도 상승
     3. 건구온도 강하
     4. 습구온도 상승

     정답 : []
     정답률 : 49%

55. 다음 중 공기조화설비의 계획시 조닝(Zoning)을 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효과적인 실내 환경의 유지
     2. 설비비의 경감
     3. 운전 가동면에서의 에너지 절약
     4. 부하 특성에 대한 대처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조닝을 하는이유로서 설비비의 경감이 아닌 운전비의 경감이 목적이다
[해설작성자 : 미스터론]

56. 다음의 습공기 선도에서 ① - ⑤의 상태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단, 그림에서 ①은 외기, ②는 실내공기, ③은 혼합공기이다.)(2012년 08월)

    

     1. 가습, 냉각과정이다.
     2. 감습, 가열과정이다.
     3. 가습, 가열과정이다.
     4. 감습, 냉각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57. 공조설비의 구성은 열원설비, 열운반장치, 공조기, 자동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에 해당하는 장치로서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펌프
     2. 덕트
     3. 스프링 쿨러
     4. 냉동기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스프링 클러는 소방 설비입니다
[해설작성자 : 천강북두]

58. 주어진 계통도와 같은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기의 상태변화를 습공기 선도상에 나타내었다. 계통도의 '5'점은 습공기선도에서 어느 점인가?(2015년 03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e 2-c 3-d 4-a 5-b
[해설작성자 : 멀티비츠]

59. 잠열 축열장치에서 잠열 축열재가 갖추어야 할필요한 조건으로 맞는 것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융해열이 작을 것
     2. 과냉각이 작고 상분리를 일으키지 않을 것
     3. 단기간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4. 가격이 비쌀 것

     정답 : []
     정답률 : 42%

60. 습공기의 상태변화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습공기를 가열하면 엔탈피가 증가한다.
     2. 습공기를 가열하면 상대습도는 감소한다.
     3. 습공기를 냉각하면 비체적은 감소한다.
     4. 습공기를 냉각하면 절대습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냉각시 절대습도는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전기제어공학


61. 그림의 신호흐름선도에서 X2/ X1를 구하면?(2006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62.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변화시켜서 발진기의 주파수를 1kHz로 하고자 한다. 이 때 발진기는 자동제어 용어 중 어느것에 해당되는가?(2004년 05월)
     1. 목표값
     2. 조작량
     3. 제어량
     4. 제어대상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발진기 = 제어대상
주파수 = 제어량
[해설작성자 : 루루네아빠]

63. 논리식 를 간단히 한 식은?(2014년 03월)
     1. x
     2. z
     3.
     4.

     정답 : []
     정답률 : 69%

64. i=Im1sinωt+Im2(2sinωt+θ)의 실효값은?(2017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1%

65. 운전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자동제어는?(2013년 03월)
     1. 추종제어
     2. 프로그램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정답률 : 83%

66. 다음중 정류기의 평활회로에 이용되는 것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고역필터
     2. 저역필터
     3. 대역통과필터
     4. 대역소거필터

     정답 : []
     정답률 : 60%

67. 전압방정식이 로 주어지는 RL 직렬회로가 있다. 직류전압 E를 인가했을 때, 이 회로의 정상상태 전류는?(2021년 08월)
     1. E/(RL)
     2. E
     3. E/R
     4. (RL)/E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R - L 직렬회로에 직류전압을 인가 했기에
교류전원에만 존재하는 인덕턴스 L 이나 C 성분은
존재하지 않기에 R 만이 적용됩니다.
옴의 법칙 V = R * I
I = E / R 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쥬님]

68. 축전지 용량의 단위는?(2014년 08월)
     1. A
     2. Ah
     3. kW
     4. 0

     정답 : []
     정답률 : 76%

69. 온 오프(on-off)동작의 설명 중 옳은 것은?(2004년 05월)
     1. 간단한 단속적 제어동작이고 사이클링이 생긴다.
     2. 사이클링은 제거할 수 있으나 오프셋이 생긴다.
     3. 오프셋은 없앨 수 있으나 응답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
     4. 응답속도는 빠르나 오프셋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79%

70. 서보기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원격제어의 경우가 많다.
     2. 제어량이 기계적 변위이다.
     3. 추치제어에 해당하는 제어장치가 많다.
     4. 신호는 아날로그에 비해 디지털인 경우가 많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서보기구는 아날로그 신호만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상병4호봉]

71.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로 표시되는 제어계의 전달함수는?(2011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72. AC 서보 전동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AC 서보 전동기의 전달함수는 미분요소이다.
     2. 고정자의 기준 권선에 제어용 전압을 인가한다.
     3. AC 서보 전동기는 큰 회전력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사용된다.
     4. AC 서보 전동기는 두 고정자 권선에 90도 위상차의 2상 전압을 인가하여 회전자계를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적분요소와 2차 요소의 직렬결합이다
2. 고정자 기준 권선에 정전압을 인가
3. AC 서보전동기는 큰 회전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MINGS]

73. 잔류편차와 사이클링이 없고, 간헐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 동작은?(2021년 03월)
     1. I 동작
     2. D 동작
     3. P 동작
     4. PI 동작

     정답 : []
     정답률 : 65%

74. 시퀀스회로의 a 접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수동으로 리셋트 할 수 있는 접점이다.
     2. 누름버튼스위치의 접점이 붙어있는 상태를 말한다.
     3. 두 접점이 상호 인터록이 되는 접점을 말한다.
     4. 전원을 투입하지 않았을 때 떨어져 있는 접점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시퀀스회로의 a 접점은 전원을 투입하지 않았을 때 떨어져 있는 접점이다
[해설작성자 : 내가 돌아왔다.]

75. 조각기기로 사용되는 서보 전동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제어범위가 넓고 특성 변경이 쉬어야 한다.
     2. 시정수와 관성이 클수록 좋다.
     3. 서보 전동기는 그다지 큰 회전력이 요구되지 않아도 된다.
     4. 급 가ㆍ감속 및 정ㆍ역 운전이 쉬워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76. SC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PNPN 소자이다.
     2. 스위칭 소자이다.
     3. 쌍방향성 사이리스터이다.
     4. 직류, 교류의 전력제어용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역저지 사이리스터(순방향, 단방향)
[해설작성자 : 도우인시스 공조과장]

77. 제어계의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모든 초기값을 0으로 한다.
     2. 시간(t)함수에 대한 입력 및 출력신호의 비이다.
     3. 선형 제어계에서만 정의된다.
     4. t<0 에서는 제어계가 정지 상태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78. 그림과 같은 펄스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그 값은?(201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7%

79. 정상 편차를 개선하고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며 오버슈트를 감소시키는 동작은?(2019년 03월)
     1. K
     2. K(1+sT)
     3.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비례제어(P)
2. 비례미분제어(PD) : 속응성 향상
3. 비례적분제어(PI) : 잔류편차 제거
4. 비례적분미분제어(PID) : 속응성 향상, 잔류편차 제거
[해설작성자 : 한기대 화이팅]

80. 자동제어기기의 조작용 기기가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클러치
     2. 전자밸브
     3. 서보전동기
     4. 엠플리다인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앰플리다인은 증폭기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격]

81. 유리섬유 단열재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사용 온도범위는 보통 -25~300℃이다.
     2. 다량의 공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보온단열효과가 양호하다.
     3. 유리를 녹여 섬유화한 것이므로 칼이나 가위 등으로 쉽 게 절단되지 않는다.
     4. 순수한 무기질의 섬유제품으로서 불에 타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2. 체크밸브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리프트형 – 수평, 수직 배관용
     2. 풋형 – 수평 배관용
     3. 스윙형 – 수평, 수직 배관용
     4. 리프트형 – 수직 배관용

     정답 : []
     정답률 : 64%

83. 급탕배관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2004년 03월)
     1. 급수관경보다 큰 관을 사용해야 한다.
     2. 배관구배는 중력순환식의 경우 1/150, 강제순환식의 경우 1/200로 한다.
     3. 급탕관은 급수관에 비하여 부식하기가 쉽다.
     4. 연관은 열에 강하고 부식도 잘되지 않으므로 급탕배관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84. 상수 및 급탕배관에서 상수 이외의 배관 또는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8년 03월)
     1. 크로스 커넥션
     2. 역압 커넥션
     3. 사이펀 커넥션
     4. 에어캡 커넥션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크로스커넥숀: 관이음의 한 종류로서 단주 철제의 십자형으로 된 이음.
[해설작성자 : 육개장에들어있는어묵맛과자]

85. 압력탱크 급수방식에서 압력탱크의 필요 최저 압력을 구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06년 08월)
     1. 급수 펌프의 수압
     2. 수전의 필요 압력
     3. 배관 내에서의 마찰손실압력
     4. 압력 탱크에서 최고층 수전까지에 해당하는 수압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압력탱크 필요 최저 압력 = 압력탱크 최고층 수전 높이에 해당하는 수압 + 가구별 최저 필요 압력+ 관내 마찰손실압력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86. 증기트랩에 관한 설명으로서 맞는 것은?(2013년 08월)
     1. 응축수나 공기가 자동적으로 환수관에 배출되며, 실로폰 트랩, 방열기 트랩이라고도 하는 트랩은 플로트 트랩이다.
     2. 열동식 트랩은 고압, 중압의 증기관에 적합하며, 환수관을 트랩보다 위쪽에 배관할 수도 있고, 형식에 따라 상향식과 하향식이 있다.
     3. 버킷 트랩은 구조상 공기를 함께 배출하지 못하지만 다량의 응축수를 처리하는데 적합하며, 다량트랩이라고 한다.
     4. 고압, 중압, 저압에 사용되며 작동 시 구조상 증기가 약간 새는 결점이 있는 것이 충격식 트랩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 실로폰트랩 : 열동식트랩(벨로즈트랩)으로서 1kgf/cm2 이하의 방열기나 관말트랩에 사용
- 플로트트랩 : 다량트랩으로서 플로터의 부력에 의해 작동
- 버킷트랩 : 버킷의 부력에 의해 작동하며 상향식과 하향식이 있음.
[해설작성자 : 정군]

87. 은 어떤 관의 말단부 표시인가?(2003년 05월)
     1.
     2. 소켓
     3. 플러그
     4.

     정답 : []
     정답률 : 49%

88. 배관의 보온재 선택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대상온도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것
     2. 방수·방습성이 우수할 것
     3. 열 전도율이 클 것
     4. 가볍고 시공성이 좋을 것

     정답 : []
     정답률 : 94%

89. 증기난방의 환수방법중 증기의 순환이 가장 빠르며 방열기 보일러 등의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대규모 난방에 주로 채택되는 방식은?(2003년 08월)
     1. 단관식 상향 증기 난방법
     2. 단관식 하향 증기 난방법
     3. 진공환수식 증기 난방법
     4. 기계환수식 증기 난방법

     정답 : []
     정답률 : 63%

90. 주철관 이음에 해당되는 것은?(2015년 03월)
     1. 납땜 이음
     2. 열간 이음
     3. 타이튼 이음
     4. 플라스탄 이음

     정답 : []
     정답률 : 70%

91. 벤더에 의한 관 굽힘시 주름이 생겼다. 주된 원인은?(2019년 03월)
     1. 재료에 결함이 있다.
     2. 굽힘형의 홈이 관지름 보다 작다.
     3. 클램프 또는 관에 기름이 묻어 있다.
     4. 압력형이 조정이 세고 저항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69%

92. 다음 중 복사난방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방열기의 설치공간이 따로 필요 없다.
     2. 시설비가 비교적 비싸다.
     3. 대류가 적으므로 바닥면의 먼지가 상승이 적다.
     4. 열용량이 크므로 예열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50%

93. 동일 구경의 관을 직선 연결할 때 사용하는 관 이음재료가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소켓
     2. 플러그
     3. 유니온
     4. 플랜지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플러그 - 관 끝을 막는 용도.
[해설작성자 : amd64]

94. 배관의 하중을 위에서 걸어 당겨 지지하는 행거(hanger) 중 상하 방향의 변위가 없는 개소에 사용하는 것은?(2015년 03월)
     1. 콘스타트 행거(constant hanger)
     2. 리지드 행거(rigid hanger)
     3. 베리어블 행거(variable hanger)
     4. 스프링 행거(spring hanger)

     정답 : []
     정답률 : 59%

95. 급탕배관시 주의사항으로 잃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구배는 중력순환식인 경우 1/150, 강제순환식에서는 1/200로 한다.
     2. 배관의 굽힘부분에는 스위블 이음으로 접합한다.
     3. 상향배관인 경우 급탕관은 하향구배로 한다.
     4. 플랜지에 사용되는 패킹은 내열성재료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상향공급식 급탕관은 올림구배하고 반탕관은 내림구배를 한다.
하향공급식의 경우 급탕관과 반탕관 모두 내림구배를 해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6. 벤더(bender)에 의한 작업중에 관이 파손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굽힘형의 홈이 관지름보다 작다.
     2. 굽힘반지름이 너무 작다.
     3. 압력의 조정이 세고 저항이 크다.
     4. 받침쇠가 너무 나와 있다.

     정답 : []
     정답률 : 37%

97. 지중에 매설하는 배수관의 관경은 몇 mm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2009년 07월)
     1. 10 mm
     2. 20 mm
     3. 30 mm
     4. 50 mm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지중 또는 지하층의 바닥 밑에 매설되는 배수관의 관경은 [50]mm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123]

98. 다음 중 온수난방 배관설비에 관계 없는 것은?(2003년 03월)
     1. 리터언 코크
     2. 리버어스 리터언 배관
     3. 스위블 죠인트
     4. 하아트포드 접속법

     정답 : []
     정답률 : 39%

99. 공기조화 설비용 냉,온수배관의 관경에 따른 유속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4년 05월)
     1. 20A - 0.1㎧
     2. 32A - 0.3 ㎧
     3. 50A - 1.5 ㎧
     4. 75A - 3.5 ㎧

     정답 : []
     정답률 : 56%

100. 다음 중 고가수조의 설치높이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2003년 08월)
     1. 최상층 수전의 높이
     2. 고가수조의 용량
     3. 수전의 소요압력
     4. 배관의 마찰저항

     정답 : []
     정답률 : 43%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910213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96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11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95 버섯종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7월2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94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93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92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2591 9급 국가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90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89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88 9급 지방직 공무원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87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86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85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84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1479891)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83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82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81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5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8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57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9415256)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257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9102130) 좋은아빠되기 2025.11.12 8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04 Next
/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