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이후 삼국 불교의 유산을 토대로 하고 중국과의 교류를 더하여 신라 불교는 다양하고 폭넓어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의상은 모든 존재가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화엄사상을 정립하였다.
2.
진표는 법성종 승려로서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이끌었다.
3.
원효는 극락에 가고자 하는 아미타신앙을 자신이 직접 전도하며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
4.
혜초는 자신이 돌아본 인도와 중앙아시아의 풍물을 생생하게 기록한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진표 : 미륵신앙을 중시한 승려. 한반도 미륵신앙의 시조.
의상 : 의상은 화엄종단에서 아미타 신앙 +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이끔.
7.
다음에서 설명하는 고려 정치 세력들을 집권한 순서대로 가장 옳게 나열한 것은?(2012년 08월)
1.
㉠-㉡-㉢-㉣-㉤
2.
㉡-㉢-㉠-㉣-㉤
3.
㉠-㉢-㉡-㉤-㉣
4.
㉢-㉠-㉣-㉤-㉡
정답 : [
3
] 정답률 : 60%
8.
발해의 건국과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또는 고려 국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사실에서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임을 알 수 있다.
2.
수군으로 당의 산둥지방을 공격하는 한편, 요서지역에서 당나라 군대와 격돌하기도 하였다.
3.
선왕대에 지배체제의 정비를 위해서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으로 옮기고, 신라와도 상설 교통로를 개설하여 대립관계를 해소하려 하였다.
4.
전성기를 맞은 발해에 대해서 중국인들은 해동성국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9.
고려시대에 있었던 외적의 침입에 대한 사실이다.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3년 03월)
1.
㉠-㉥-㉣-㉡-㉢-㉦-㉤
2.
㉠-㉥-㉣-㉢-㉡-㉤-㉦
3.
㉥-㉠-㉣-㉢-㉡-㉤-㉦
4.
㉥-㉣-㉠-㉢-㉡-㉦-㉤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ㄱ광군 - 정종 947년 거란 ㅂ강동6주 - 성종 993년 거란 ㄹ귀주대첩 - 현종 1019년 거란 ㄷ별무반 - 1104년 숙종 여진 ㄴ처인성전투 - 1232 고종 몽골 ㅁ삼별초항쟁 - 1273 원종 원 ㅅ홍건적의 난 - 1359~ 공민왕 백련교도
10.
다음 서사시가 간행되어 보급되던 시기에 만들어진 것은 모두 몇 개인가?(2012년 10월)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용비어천가 - 세종
ㄴ.향약구급방이 아닌 향약 집성방 - 향약구급방 : 고려 고종 1236년 강화도 대장도감에서 간행되었다고 추측. ㄹ.상정고금예문 : 고려 고종 왕명으로 고금의 예의를 수집 고증하여 엮은 예서.
11.
다음 조선 영조의 치적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2년 10월)
1.
군역 부담을 줄여주기 위하여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2.
『속대전』을 편찬하여 법전 체계를 정리하였다.
3.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설치하여 왕권을 뒷받침하는 군사적인 기반을 갖추었다.
4.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고 사형수에 대한 삼심제를 엄격하게 시행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12.
다음 중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은 대체로 이이와 성혼의 학맥을 이었다.
2.
㉡이었던 정여립이 모반을 일으켜 기축옥사가 발생하였다.
3.
임진왜란 시기 의병 활동을 ㉡ 출신이 주도하였다.
4.
㉠은 정철의 처벌 문제를 둘러싸고 강경파와 온건파로 분열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ㄱ은 김효원이니 동인이고 ㄴ은 심의겸이니 서인입니다 1번은 이이의 학맥을 이은것은 서인입니다 2번 정여립은 원래 서인이였다가 동인으로 바꾼 인물입니다 4번 정철은 일명 동인백정이라 불리면서 4대사화떄 죽은사람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입니다 그래서 동인들은 정철이 세자 건저의 사건으로 쫓겨나자 정철을 죽일지 말지 두고 강경파와 온건파로 나뉘어 남인과북인으로 쪼개집니다. [해설작성자 : .]
13.
다음 중 조선시대 성리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모두 몇 개인가?(2016년 03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ㄱ.이황 - 성학십도(왕도 성학을 따라라.) <-> 이이 - 성학집요 (왕이 신하들에게 성학을 가르쳐라) ㄴ.이황 - 주자사절요. ㄷ.서경덕 - 기 중심의 주기론, 주기론자 답게 불교 노장사상에 개방적. ㄹ.이언적 - 이 중심의 주리론. ㅁ.조식 - 이황과 동갑내기이자 라이벌. 이황과 사단칠정논변을한건 기대승 이며 조식은 이러한 두사람을 아는척만 하는 헛바람이 든 선비들이라며 비판.
14.
다음 서적이 편찬된 시대에 해당하는 왕의 업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설치하여 왕권을 뒷받침하는 군사적 기반을 갖추었다.
2.
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탕평책을 실시하였다.
3.
비변사를 폐지하였고,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회복시켜 왕권을 강화하였다.
4.
신진인물이나 중·하급 관리 중에서 유능한 인사를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도를 실시하고, 규장각을 강력한 정치기구로 육성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보기는 정조. 비변사폐지는 대원군 고종.
대전통편 - 1785 경국대전 속대전 및 그 뒤 법령들을 통합한 통일 법전 탁지지 - 1788 박일원이 정조이 명을 받아 호조의 옛 사례들을 모아 편찬 동문휘고 - 1784 인조 이후 청나라 일본과의 외교관계에 대한 모든 사항을 모아놓은 국가 외교문서 무예도보통지 - 정조의 명으로 이덕무 박제가 백동수가 편찬한 조선시대 군용 무술 교본.
1.장용영 2.준론탕평 4.초계문신제
15.
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변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비변사는 16세기 중종 초에 여진과 왜구를 대비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기능이 강화되자 의정부와 6조 중심의 행정 체계는 유명무실해졌다.
2.
지방군 방어 체제는 16세기 후반 진관 체제였다가, 임진왜란 이후 제승방략 체제로 복구되고 속오법에 따라 군대가 편제되었다.
3.
훈련도감,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금위영이 설치되면서 17세기 말에는 5군영 체제가 갖추어졌다.
4.
3사의 언론 기능이 변질되었으며 3사는 각 붕당의 이해관계를 대변하기도 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16세기 1510년 중종초 비상대책위원회인 비변사 창설.-> 1555년 명종 을묘왜변으로 인하여 상설기구화. 2. 세조 1455년 15세기 중반 진관체제로 정비. -> 임진왜란 제승방략 -> 오군영+속오군
16.
강화도 조약이 조선의 주권을 침해하는 불평등 조약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8월)
1.
㉡㉤
2.
㉥㉦
3.
㉣㉦
4.
㉠㉢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해안 측량권 ㉦ 영사 재판권(치외법권) [해설작성자 : 3706]
17.
다음 대한제국기의 개혁 내용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황제권 수호와 절대화에 필요한 대한국 국제 제정
2.
입헌 군주제와 의회 정치 추진
3.
다양한 시책을 통한 황실 재정 확충
4.
양전과 지계 발급 사업 실시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대한제국기 대한국 국제.->전제주의적 성격이 강함.
2.입헌 및 의회 인정 안함.
18.
다음은 대한제국과 일본이 체결한 각 조약의 내용을 일부 발췌한 것이다. 이를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6년 03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ㄹ.한일의정서 러일전쟁 직전 러시아 남하정책을 막기위해 동양평화라는 명분으로 한국내 군략상 필요지점을 일본 마음대로 사용 가능.
통일 이후 삼국 불교의 유산을 토대로 하고 중국과의 교류를 더하여 신라 불교는 다양하고 폭넓어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의상은 모든 존재가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화엄사상을 정립하였다.
2.
진표는 법성종 승려로서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이끌었다.
3.
원효는 극락에 가고자 하는 아미타신앙을 자신이 직접 전도하며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
4.
혜초는 자신이 돌아본 인도와 중앙아시아의 풍물을 생생하게 기록한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진표 : 미륵신앙을 중시한 승려. 한반도 미륵신앙의 시조.
의상 : 의상은 화엄종단에서 아미타 신앙 +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이끔.
7.
다음에서 설명하는 고려 정치 세력들을 집권한 순서대로 가장 옳게 나열한 것은?(2012년 08월)
1.
㉠-㉡-㉢-㉣-㉤
2.
㉡-㉢-㉠-㉣-㉤
3.
㉠-㉢-㉡-㉤-㉣
4.
㉢-㉠-㉣-㉤-㉡
정답 : [
3
] 정답률 : 60%
8.
발해의 건국과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또는 고려 국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사실에서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임을 알 수 있다.
2.
수군으로 당의 산둥지방을 공격하는 한편, 요서지역에서 당나라 군대와 격돌하기도 하였다.
3.
선왕대에 지배체제의 정비를 위해서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으로 옮기고, 신라와도 상설 교통로를 개설하여 대립관계를 해소하려 하였다.
4.
전성기를 맞은 발해에 대해서 중국인들은 해동성국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9.
고려시대에 있었던 외적의 침입에 대한 사실이다.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3년 03월)
1.
㉠-㉥-㉣-㉡-㉢-㉦-㉤
2.
㉠-㉥-㉣-㉢-㉡-㉤-㉦
3.
㉥-㉠-㉣-㉢-㉡-㉤-㉦
4.
㉥-㉣-㉠-㉢-㉡-㉦-㉤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ㄱ광군 - 정종 947년 거란 ㅂ강동6주 - 성종 993년 거란 ㄹ귀주대첩 - 현종 1019년 거란 ㄷ별무반 - 1104년 숙종 여진 ㄴ처인성전투 - 1232 고종 몽골 ㅁ삼별초항쟁 - 1273 원종 원 ㅅ홍건적의 난 - 1359~ 공민왕 백련교도
10.
다음 서사시가 간행되어 보급되던 시기에 만들어진 것은 모두 몇 개인가?(2012년 10월)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용비어천가 - 세종
ㄴ.향약구급방이 아닌 향약 집성방 - 향약구급방 : 고려 고종 1236년 강화도 대장도감에서 간행되었다고 추측. ㄹ.상정고금예문 : 고려 고종 왕명으로 고금의 예의를 수집 고증하여 엮은 예서.
11.
다음 조선 영조의 치적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2년 10월)
1.
군역 부담을 줄여주기 위하여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2.
『속대전』을 편찬하여 법전 체계를 정리하였다.
3.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설치하여 왕권을 뒷받침하는 군사적인 기반을 갖추었다.
4.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고 사형수에 대한 삼심제를 엄격하게 시행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12.
다음 중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은 대체로 이이와 성혼의 학맥을 이었다.
2.
㉡이었던 정여립이 모반을 일으켜 기축옥사가 발생하였다.
3.
임진왜란 시기 의병 활동을 ㉡ 출신이 주도하였다.
4.
㉠은 정철의 처벌 문제를 둘러싸고 강경파와 온건파로 분열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ㄱ은 김효원이니 동인이고 ㄴ은 심의겸이니 서인입니다 1번은 이이의 학맥을 이은것은 서인입니다 2번 정여립은 원래 서인이였다가 동인으로 바꾼 인물입니다 4번 정철은 일명 동인백정이라 불리면서 4대사화떄 죽은사람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입니다 그래서 동인들은 정철이 세자 건저의 사건으로 쫓겨나자 정철을 죽일지 말지 두고 강경파와 온건파로 나뉘어 남인과북인으로 쪼개집니다. [해설작성자 : .]
13.
다음 중 조선시대 성리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모두 몇 개인가?(2016년 03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ㄱ.이황 - 성학십도(왕도 성학을 따라라.) <-> 이이 - 성학집요 (왕이 신하들에게 성학을 가르쳐라) ㄴ.이황 - 주자사절요. ㄷ.서경덕 - 기 중심의 주기론, 주기론자 답게 불교 노장사상에 개방적. ㄹ.이언적 - 이 중심의 주리론. ㅁ.조식 - 이황과 동갑내기이자 라이벌. 이황과 사단칠정논변을한건 기대승 이며 조식은 이러한 두사람을 아는척만 하는 헛바람이 든 선비들이라며 비판.
14.
다음 서적이 편찬된 시대에 해당하는 왕의 업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설치하여 왕권을 뒷받침하는 군사적 기반을 갖추었다.
2.
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탕평책을 실시하였다.
3.
비변사를 폐지하였고,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회복시켜 왕권을 강화하였다.
4.
신진인물이나 중·하급 관리 중에서 유능한 인사를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도를 실시하고, 규장각을 강력한 정치기구로 육성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보기는 정조. 비변사폐지는 대원군 고종.
대전통편 - 1785 경국대전 속대전 및 그 뒤 법령들을 통합한 통일 법전 탁지지 - 1788 박일원이 정조이 명을 받아 호조의 옛 사례들을 모아 편찬 동문휘고 - 1784 인조 이후 청나라 일본과의 외교관계에 대한 모든 사항을 모아놓은 국가 외교문서 무예도보통지 - 정조의 명으로 이덕무 박제가 백동수가 편찬한 조선시대 군용 무술 교본.
1.장용영 2.준론탕평 4.초계문신제
15.
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변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비변사는 16세기 중종 초에 여진과 왜구를 대비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기능이 강화되자 의정부와 6조 중심의 행정 체계는 유명무실해졌다.
2.
지방군 방어 체제는 16세기 후반 진관 체제였다가, 임진왜란 이후 제승방략 체제로 복구되고 속오법에 따라 군대가 편제되었다.
3.
훈련도감,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금위영이 설치되면서 17세기 말에는 5군영 체제가 갖추어졌다.
4.
3사의 언론 기능이 변질되었으며 3사는 각 붕당의 이해관계를 대변하기도 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16세기 1510년 중종초 비상대책위원회인 비변사 창설.-> 1555년 명종 을묘왜변으로 인하여 상설기구화. 2. 세조 1455년 15세기 중반 진관체제로 정비. -> 임진왜란 제승방략 -> 오군영+속오군
16.
강화도 조약이 조선의 주권을 침해하는 불평등 조약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8월)
1.
㉡㉤
2.
㉥㉦
3.
㉣㉦
4.
㉠㉢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해안 측량권 ㉦ 영사 재판권(치외법권) [해설작성자 : 3706]
17.
다음 대한제국기의 개혁 내용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황제권 수호와 절대화에 필요한 대한국 국제 제정
2.
입헌 군주제와 의회 정치 추진
3.
다양한 시책을 통한 황실 재정 확충
4.
양전과 지계 발급 사업 실시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대한제국기 대한국 국제.->전제주의적 성격이 강함.
2.입헌 및 의회 인정 안함.
18.
다음은 대한제국과 일본이 체결한 각 조약의 내용을 일부 발췌한 것이다. 이를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6년 03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ㄹ.한일의정서 러일전쟁 직전 러시아 남하정책을 막기위해 동양평화라는 명분으로 한국내 군략상 필요지점을 일본 마음대로 사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