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87520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계제작법


1. 실제치수와 표준치수와의 차이를 측정할때 사용하는 것은?(2005년 03월)
     1. 지시 마이크로 미터
     2. 깊이 마이크로 미터
     3. 블록게이지
     4. 한계게이지

     정답 : []
     정답률 : 60%

2. 2차원 절삭의 모델을 창고로 공구의 상면 경사각(α), 전단각(ø)를 알고 있을 때, 전단변형률( shear strain, γ ) 은?(2013년 08월)
     1. γ = tan( ø + α ) + cot ø
     2. γ = tan( ø + α ) - cot ø
     3. γ = tan( ø - α ) + cot ø
     4. γ = tan( ø - α ) - cot ø

     정답 : []
     정답률 : 57%

3. 슈퍼 피니싱(super finish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숫돌을 진동시키면서 가공물을 가공하는 방법이다.
     2. 가공면은 매끈하고 방향성이 있으며 또한 가공에 의한 표면의 변질층이 매우 크다.
     3. 원통형의 외면, 내면, 평면 등의 가공에 쓰이고, 특히 중요한 축의 베어링 접촉부 및 각종 게이지의 가공에 사용된다.
     4. 입도가 작고, 연한 숫돌 입자를 낮은 압력으로 가공물의 표면에 가압하면서 매끈한 표면으로 가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 단조 프레스 용량이 50kN이고, 프레스의 효율이 80%, 단조물의 유효 단면적이 500mm2인 재료를 단조하고자 할 때 단조재료의 변형저항은 몇 MPa인가?(2016년 08월)
     1. 40
     2. 80
     3. 100
     4. 160

     정답 : []
     정답률 : 53%

5. 연강판의 두께 50㎜를 압연 롤러를 통과하여 40㎜가 되었다. 압하율은 얼마인가?(2011년 03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입하율인 경우 세로 변형율로 구하면 됩니다. 치수변형율(나중길이-처음길이)/처음길이X100%입니다.
구하보면 (40-50)/50X100%=|-20%|로 구하면 됨 다 알고 있게지만 심심해서 써봄 열심히해서 부디 취득하세요    
[해설작성자 : 그대들에 합격 위하여]

6. 그림과 같이 접합할 모재의 한쪽에 긴 구멍을 뚫고, 판의 표면까지 가득히 용접하여 다른 모재와 접합하는 용접은(2004년 03월)

   

     1. 맞대기 용접
     2. 겹치기 용접
     3. 덮개판 용접
     4. 플러그 용접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화학반응을 이용한 화학가공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재료의 강도나 경도에 관계없이 가공할 수 있다.
     2. 변형이나 거스러미가 발생하지 않는다.
     3. 가공경화 현상이 적고, 표면변질 층이 크다.
     4. 표면 전체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8. 연성재료를 절삭 깊이가 깊고 저속절삭(low speed cutting)할 때 발생하는 칩의 종류는?(2018년 03월)
     1. 균열형 칩
     2. 유동형 칩
     3. 열단형 칩
     4. 전단형 칩

     정답 : []
     정답률 : 41%

9. 드릴(drill) 가공 후 구멍(hole)의 정확한 진원가 공과 구멍내면의 표면 거칠기를 좋게 하기위한 가공은?(2011년 08월)
     1. 스폿 페이싱(spot facing)
     2. 리밍(reaming)
     3. 카운터 보링(counter boring)
     4. 카운터 싱킹(counter sinking)

     정답 : []
     정답률 : 59%

10. 압연가공에서 가공 전의 두께가 20mm 이던 것이 가공 후의 두께가 15mm로 되었다면 압하율(%)은 얼마인가?(2009년 07월)
     1. 20%
     2. 25%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43%

11. 탭 드릴의 지름을 나사산 높이의 75%로 할 때, 다음 어느 식으로 계산되는가? (단, A : 나사의 바깥지름, h : 나사산의 높이, P : 나사의 피치이다.)(2005년 08월)
     1.
     2.
     3. A - P
     4. A - 2P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절삭가공에서 구성인선(built-up ed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공구 윗면경사각이 작을수록 구성인선은 작아진다.
     2. 고석으로 절삭할 수록 구성인선은 감소한다.
     3. 마찰계수가 큰 절삭공구를 사용하면 칩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칩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구성인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13. 연삭력 P=20Kgf, 연삭 속도 1500m/min일 때 연삭 동력은 약 얼마인가? (단, 연삭 효율은 무시한다.)(2006년 03월)
     1. 4.5 PS
     2. 6.7 PS
     3. 10.1 PS
     4. 15.3 PS

     정답 : []
     정답률 : 46%

14. 단조해머가 자유낙하 할 때, 단조해머의 하중 W = 10kgf, 해머의 속도 10m/s, 단조높이의 변화량 h = 3mm, 해머의 효율 n = 0.9, 중력가속도 g = 9.8 m/s2 일 때, 운동에너지(E)는 약 몇 kgf인가?(2005년 08월)
     1. 36
     2. 41
     3. 46
     4. 51

     정답 : []
     정답률 : 20%

15. 방전가공에서 측전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가공속도가 느리다.
     2. 가공액으로는 변압기유나 휘발유 혹은 모빌유를 사용한다.
     3. 전원전압이 높으면 다듬질면이 거칠어 구명정도(精度)가 나빠진다.
     4. 축전기의 용량이 클수록 가공능률은 높지만, 가공정도(精度)가 저하된다.

     정답 : []
     정답률 : 62%

16. 바이트의 경사각(rake angle)이 작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표면 거칠기가 나빠짐
     2. 구성인선 증대
     3. 공구수명 증가
     4. 연속형 칩의 발생

     정답 : []
     정답률 : 43%

17. 머시닝센터에 사용되는 준비기능(G-code) 중 공구 지름 보정기능과 무관한 것은?(2017년 03월)
     1. G40
     2. G41
     3. G42
     4. G43

     정답 : []
     정답률 : 45%

18. 초음파 가공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구멍을 가공하기 쉽다.
     2. 복잡한 형상도 쉽게 가공할 수 있다.
     3. 부도체의 가공은 할 수 없다.
     4. 가공재료의 제한이 매우 적다.

     정답 : []
     정답률 : 88%

19. 철강의 대기 중 부식방지를 목적으로 표면을 경화하기 위해 세라다이징에 이용되는 원소는?(2014년 08월)
     1. Ni
     2. Si
     3. Cr
     4. Zn

     정답 : []
     정답률 : 56%

20. 게이지블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측정면이 서로 밀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몇 개의 수로 많은 치수의 기준을 얻을 수 있다.
     2. 표시하는 길이의 정도가 아주 높다.
     3. 정밀도가 높아 사용하는데 높은 숙련도가 필요하다.
     4. 광파장으로부터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7%

2과목 : 재료역학


21. 그림과 같은 보의 최대 처짐을 나타내는 식은? (단, 보의 굽힘 강성 EI 는 일정 하고,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201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외팔보
3.단순보

22. 막대의 한 끝이 고정되고 다른 끝에 집중 하중이 작용할 때, 막대의 양단에서 국부변형이 발생하고 양단에서 멀어질수록 그 효과가 감소된다는 사실과 관계있는 것은?(2012년 08월)
     1. 카스틸리아노(Castigliano)의 정리
     2. 상베낭(Saint-Venant)의 원리
     3. 트레스카(Tresca)의 원리
     4. 맥스웰(Maxwell)의 정리

     정답 : []
     정답률 : 58%

23. 길이가 L인 균일단면 막대기에 굽힘 모멘트 M이 그림과 같이 작용하고 있을 때 막대에 저장된 탄성 변형 에너지는? (단, 막대기는 굽힘강성 EI는 일정하고 단면적은 A이다.)(2015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5%

24. 다음과 같이 스팬(span) 중앙에 힌지 (hinge)를 가진 보의 최대 굽힘모멘트는 얼마인가?(2020년 08월)

    

     1. qL2/4
     2. qL2/6
     3. qL2/8
     4. qL2/12

     정답 : []
     정답률 : 35%

25. 코일스프링의 권수를 n, 코일의 지름 D, 소선의 지름 인 코일스프링의 전체처짐 δ는? (단, 이 코일에 작용하는 힘은 P, 가로탄성 계수는 G이다.)(201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0%

26. 바깥지름이 300mm인 평 벨트 휘일에 벨트의 유효장력 2000N이 작용되고 있다면 축에 전달되는 비틀림 모멘트는 몇 N·m인가?(2005년 08월)
     1. 600
     2. 500
     3. 400
     4. 3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길이 90 cm, 지름 8 cm의 외팔보의 자유단에 2 kN의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동시에 150 Nㆍm의 비틀림 모멘트도 작용할때 외팔보에 작용하는 최대 전단응력은 몇 MPa 인가?(2004년 08월)
     1. 15
     2. 16
     3. 17
     4. 18

     정답 : []
     정답률 : 22%

28. 비틀림모멘트 1 kN·m가 직경 50 mm인 축에 작용하고 있다면 최대 전단응력은 몇 MPa인가? (단, 축의 전단탄성계수 G = 85 GPa이다.)(2005년 03월)
     1. 34.1
     2. 37.2
     3. 40.7
     4. 43.2

     정답 : []
     정답률 : 46%

29. 속이 찬 원형축을 비틀 때 다음 중 어느 경우가 가장 비틀기 어려운가? (단, G는 재료의 전단탄성개수이며, 비틀림 각도와 축의 길이는 일정하다.)(2016년 08월)
     1. 축 지름이 크고, G의 값이 작을수록 어렵다.
     2. 축 지름이 작고, G의 값이 클수록 어렵다.
     3. 축 지름이 크고, G의 값이 클수록 어렵다.
     4. 축 지름이 작고, G의 값이 작을수록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56%

30. 원형 단면 기둥 A와 정사각형 단면 기둥 B가 동일한 세장비를 가질 때 기둥의 길이 비 은? (단, 각 경우에서 원형 단면의 지름과 정사각형 단면에서 한 변의 길이는 20cm 이다.)(2012년 08월)
     1. √3/2
     2. √5
     3. √3
     4. √5/2

     정답 : []
     정답률 : 40%

31. 그림과 같은 집중하중을 받는 단순 지지보의 최대 굽힘 모멘트는? (단, 보의 굽힘강성 EI는 일정하다.)(2012년 03월)

    

     1. 1/8WL
     2. 1/6WL
     3. 1/24WL
     4. 1/12WL

     정답 : []
     정답률 : 37%

32. 지름 4㎝ 의 둥근봉 펀치다이스에서 두께 t = 1㎝ 의 강판에 펀칭구멍을 뚫을 때, 판의 전단강도가 τu = 400MPa 라면 펀치 해머에 가해져야 하는 펀칭력은 몇 kN 인가?(2003년 08월)
     1. 251.5
     2. 502.6
     3. 754.5
     4. 1006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그림에서 인장력 12kN 이 작용할 때 지름 20mm 인 리벳 단면에 일어나는 전단 응력은 몇 MPa 인가?(2003년 08월)

    

     1. 68.2
     2. 38.2
     3. 23.8
     4. 32.0

     정답 : []
     정답률 : 50%

34.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에서 x, y축이 도심을 통과할 때 극관성 모멘트는 약 몇 cm4 인가? (단, b=6cm, h=12cm 이다.)(2021년 08월)

    

     1. 1080
     2. 3240
     3. 9270
     4. 12960

     정답 : []
     정답률 : 26%

35. 길이가 3 m인 원형 단면축의 지름이 20 mm 일 때 이 축이 비틀림 모멘트 100 Nㆍm를 받는다면 비틀어진 각도는? (단, 전단탄성계수 G = 80 GPa 이다.)(2004년 08월)
     1. 0.24°
     2. 0.52°
     3. 4.56°
     4. 13.7°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지름 2.5cm의 연강봉을 상온에서 30°C 높게 가열하여 양단을 고정하여 상온까지 냉각할 때 고정된 벽에서 일어나는 힘은 몇 kN인가? (단, 열팽창 계수 α = 0.000012/°C, E = 210 GPa 이다.)(2013년 08월)

    

     1. 17
     2. 27
     3. 37
     4. 47

     정답 : []
     정답률 : 56%

37. 단면계수가 0.01m3인 사각형 단면의 양단고정보가 2m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중앙에 최대 몇 kN의 집중하중을 가할 수 있는가? (단, 재료의 허용굽힘응력은 80MPa이다.)(2017년 08월)
     1. 800
     2. 1600
     3. 2400
     4. 3200

     정답 : []
     정답률 : 21%

38. 평면 응력상태에서 σx=100MPa, σy=50MPa일 때 x방향과 y방행의 변형률 Ex, Ey는 약 얼마인가? (단, 이재료의 세로탄성계수는 210GPa, 포와송 비 v=0.3이다.)(2016년 08월)
     1. Ex=200×10-6, Ey=46×10-6
     2. Ex=405×10-6, Ey=95×10-6
     3. Ex=405×10-6, Ey=405×10-6
     4. Ex=808×10-6, Ey=190×10-6

     정답 : []
     정답률 : 56%

39. 폭 20cm, 높이 30cm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길이 300cm의 외팔보는 자유단에서 최대 몇 kN의 하중을 가할 수 있는가? (단, 허용 굽힘응력은 σ = 15MPa 이다.)(2010년 03월)

    

     1. 12
     2. 15
     3. 30
     4. 90

     정답 : []
     정답률 : 44%

40. 연강 1cm3 의 무게는 0.0758N이다. 길이 15m의 둥근봉을 매달 때 봉의 상단 고정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은 몇 kPa 인가?(2010년 03월)
     1. 0.118
     2. 1177.5
     3. 117.8
     4. 11890

     정답 : []
     정답률 : 34%

3과목 : 용접야금


41. 다음 중 탈황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형석을 첨가한다.
     2. 슬래그의 염기도가 높아야 한다.
     3. 슬래그의 유동성이 좋아야 한다.
     4. 슬래그 중의 실리카 함량이 높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탈황 조건
1. 염기도가 높을 것
2. 산화력이 클 것
3. 용강온도가 높을 것
4. 용강 중 황의 활동도가 높을 것
5. 강재량이 많을 것
6. 강재의 유동성이 클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용착금속의 응고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강의 다층용접에서는 앞의 층이 다음 층의 열에 의해 재가열되므로 주조조직이 거칠어진다.
     2. 용융금속 내에서는 냉각할 때 전방측면부터 응고가 시작하여 결정이 측면으로 성장한다.
     3. 최초로 응고하는 것은 비교적 불순물이 많은 강이 된다.
     4. 최후로 응고하는 중앙상부에는 비교적 많은 불순물이 존재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액체가 응고를 시작하게 되면 결정핵 생성- 결정 성장 - 결정 경계를 이루며 응고하게 된다.
이 때 용융점이 높은 원소부터 응고를 하게 되며 용융점이 낮은 불순물은 최후에 응고하는 결정 경계 등에 모여 편석 등이 생길 수 있다. 이를 응용하면 순도 높은 금속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냉간 가공한 강을 저온으로 뜨임하면, 경화 즉, 변형 시효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 변형 시효에는 다음 중 어느 원소의 영향을 크게 받는가?(2003년 03월)
     1. 질소
     2. 산소
     3. 수소
     4. 알루미늄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질소
용접금속내의 질소는 용접금속의 응고후 냉각과정에서 거의 확산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냉각후의 용접금속에 포함되는 질소량은 응고시 포함된 질소량과 같다. 질소용해량을
증가시키는 원소는 Cr, V, Nb, Ta 이며 질소용해량을 감소시키는 원소는 C, Si 등이다.
질소가 강의 용접부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 시효에 의한 취화로서 γ 영역에서 다량의 용해도를 갖고 실온부근에서 α 상의
용해도는 이보다 낮다. 따라서 급냉시 시효에 의한 질화물이 석출하며 석출경화
현상이 발생된다. Quenching 시효 외에 Strain 시효(냉간 가공후 시효), 청열취성,
저온취성, Tempering 취성의 직간접 원인이 된다.

44. 탄소당량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주철의 흑연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2. 강재의 망강(Mn)과 규소(Si)의 비를 나타낸다.
     3. 보통 연강재의 탄소당량은 0.1~0.25%정도이다.
     4. 강재의 용접성과 관계가 있으며 이 값이 클수록 용접이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53%

4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체화 및 소분열처리의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3월)
     1. 내 응력부식균열(SCC)을 위래서 요구되는 열처리이다.
     2. 내 입계부식(IGC)을 위해서 요구되는 열처리이다.
     3. Cr2O3산화물의 완전용해를 위해 요구되는 열처리이다.
     4. 고온에서 급냉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46. 가공경화된 구리의 풀림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8년 07월)
     1. 200 ~ 300℃
     2. 450 ~ 600℃
     3. 700 ~ 800℃
     4. 850 ~ 960℃

     정답 : []
     정답률 : 57%

47. 탄소당량이 일반적으로 약 몇 % 이하일 때 용접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는가?(2016년 03월)
     1. 0.4% 이하
     2. 1.0% 이하
     3. 2.1% 이하
     4. 4.3% 이하

     정답 : []
     정답률 : 80%

48.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용접 시 냉각되면서 고온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아크길이가 너무 길 때
     2. 크레이터 처리를 하였을 때
     3. 구속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용접할 때
     4. 모재가 오염되어 있을 때

     정답 : []
     정답률 : 68%

49. 다음 중 Fe-C 상태도에서 가장 온도가 낮은 것은?(2020년 06월)
     1. 공석점
     2. 공정점
     3. 포정점
     4. δ - Fe ↔ γ - Fe

     정답 : []
     정답률 : 50%

50. 금속재료의 강화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8월)
     1. 고용강화
     2. 풀림처리
     3. 가공경화처리
     4. 입자분산강화

     정답 : []
     정답률 : 59%

51. 다음 중 강의 내마멸성과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열처리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3월)
     1. 불림
     2. 연화
     3. 풀림
     4. 담금질

     정답 : []
     정답률 : 61%

52. 용융금속 내 가스의 용해량을 설명한 법칙은?.(2020년 08월)
     1. 깁스의 법칙
     2. 포아송의 법칙
     3. 영의 법칙
     4. 시버트 법칙

     정답 : []
     정답률 : 47%

53. 구리의 성질을 나열한 것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08년 07월)
     1. 열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다.
     2. 전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다.
     3. 화학적 저항력이 작다.
     4. 귀금속적 성질이 우수하다.

     정답 : []
     정답률 : 89%

54. 탄소강에 함유되어 잇는 구리(Cu)의 영향이 아닌 것은?(2016년 08월)
     1.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2. Ar1 변태점을 저하시킨다.
     3. 강도 및 경도를 낮춘다.
     4. 탄성한도를 증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1%

55. 모재의 결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모재 내에 기포가 압연되어 발생되는 유황 밴드와 같이 층상으로 편재해 강재의 내부적 노치를 형성한 것으로 불순물과 수소원을 포함하는 균열을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3월)
     1. 힐 균열
     2. 유황 균열
     3. 크레이터 균열
     4. 라미네이션 균열

     정답 : []
     정답률 : 48%

56. 순철의 Ag(910°C) 변태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2010년 03월)
     1. α- Fe ⇄β- Fe
     2. α- Fe ⇄γ- Fe
     3. γ- Fe ⇄δ- Fe
     4. δ- Fe ⇄α- Fe

     정답 : []
     정답률 : 41%

57. 다음 중 용융점이 가장 낮은 금속은?(2019년 08월)
     1. Cu
     2. Fe
     3. Mg
     4. Ni

     정답 : []
     정답률 : 49%

58. 강을 열처리할 때 어떤 온도에서 냉각을 정지하고 그 온도에서 변태를 시켜 변태 개시온도와 변태 완료온도를 온도-시간 곡선으로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3년 08월)
     1. 항온변태곡선
     2. 항온뜨임곡선
     3. 항온풀림곡선
     4. 항온불림곡선

     정답 : []
     정답률 : 60%

59. Fe-C 평행상태도에서 δ-Fe의 결정구조는?(2015년 08월)
     1. 저심입방격자
     2. 체심입방격자
     3. 면심입방격자
     4. 조밀육방격자

     정답 : []
     정답률 : 47%

60. 강의 뜨임처리(temper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담금질한 강철을 급냉시켜 재질을 경화한다.
     2. 조직이 변화가 오스테나이트에서 펄라이트로 변한다.
     3. 불안정한 마텐자이트조직을 A1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처리한다.
     4. 담금질할 때 생긴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인성을 증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0%

4과목 : 용접구조설계


61. 용접에서 공작물을 조립하는데, 사용하는 도구(tool)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03월)
     1. 지그(jig)
     2. 용구(用具)
     3. 레그(leg)
     4. 보호구(保護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가장 얇은 판에 사용하는 용접홈의 모양은?(2004년 08월)
     1. V형
     2. I형
     3. X형
     4. H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용접전압 20[V], 용접전류 120[A], 용접속도 60[cm/min] 로 용접할 때, 입열(Heat input)량은 얼마인가?(2003년 08월)
     1. 2000[J/cm]
     2. 2200[J/cm]
     3. 2400[J/cm]
     4. 2600[J/cm]

     정답 : []
     정답률 : 82%

64. 용접구조물 설계 시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08월)
     1. 용접선의 집중, 접근 및 교차시키지 말아야 한다.
     2. 이음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구조산 불연속부를 둔다.
     3. 용접순서는 중앙에서 시작하여 밖으로 향하여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4. 단면에 직각방향으로 인장하중이 작용할 경우 판의 압연방향에 주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65. 자분 탐상 검사에서 피검사물의 자화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3월)
     1. 코일법
     2. 관통법
     3. 극간법
     4. 펄스 반사법

     정답 : []
     정답률 : 53%

66. 다음 중 용접변형의 방지법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억제법
     2. 역변형법
     3. 점가열법
     4. 냉각법

     정답 : []
     정답률 : 39%

67. 다리길이(각장)가 같은 필릿용접에서 다리길이가 3배 증가하면 용착량은 어떻게 되나?(2004년 03월)
     1. 2배 증가
     2. 3배 증가
     3. 9배 증가
     4. 6배 증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다음 용접 보조 기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2017년 03월)

    

     1. 서페이싱
     2. 토우를 매끄럽게 함
     3. 영구적인 덮개 판을 사용
     4. 평면(동일평면으로 다듬질)

     정답 : []
     정답률 : 67%

69. 용접성을 이음성능과 사용성능으로 구분할 때 이음 성능에 해당하는 것은?(2009년 03월)
     1. 모재와 용접금속의 기계적 성질
     2. 모재와 용접금속의 노치인성
     3. 용접변형과 잔류응력
     4. 용접금속의 형상

     정답 : []
     정답률 : 32%

70. 열적구속도시험이라고도 하며 열의 흐름을 두 방향이나 세 방향으로 하여 비드에 발생하는 균열을 검사하는 시험은?(2020년 08월)
     1. T형 필릿 균열시험
     2. 리하이(Lehigh) 구속 균열시험
     3. 휘스코 균열시험(Fisco cracking test)
     4. CTS 균열시험(controlled thermal severity test)

     정답 : []
     정답률 : 50%

71. W1 = 용접슬래그 및 스패터 등을 완전히 제거하여 깨끗이 한 시험편의 무게(g), Wo = 용접전의 시험편의 무게(g), ΣT = 용접봉 5개분의 시간의 합계일 때, 용착속도(d)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11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4%

72. 용접부를 연화하기 위하여 풀림(annealing)하는 경우 재료와 냉각조건이 맞는 것은?(2014년 08월)
     1. 탄소강-급냉
     2. 마텐자이트 스테인리스강-급냉
     3.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서냉
     4. 중 크롬 스테인리스강-급냉

     정답 : []
     정답률 : 29%

73. 용착금속의 결함 중 형상 불량이 아닌 것은?(2013년 08월)
     1. 용입 불량
     2. 은점
     3. 언더 컷
     4. 오버랩

     정답 : []
     정답률 : 64%

74. 맞대기 용접 이음의 강판 두께를 12㎜로 하고, 최대 30000N의 인장하중을 작용시킬 때 필요한 용접길이는 얼마인가? (단, 용접부는 완전용입이고, 용접부의 허용인장 응력은 100N/mm2이다.)(2011년 03월)
     1. 20㎜
     2. 25㎜
     3. 30㎜
     4. 35㎜

     정답 : []
     정답률 : 62%

75. 다음 중 그 성분량을 일정 이상으로 첨가하는 경우에 인장강도와 경도를 증가시키는 반면, 용접성을 떨어뜨리는 화학 성분은?(2003년 08월)
     1. 실리콘(Si)
     2. 유황(S)
     3. 탄소(C)
     4. 인(P)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저합금 내열강에 대한 용접후 열처리의 목적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고온강도의 안정화
     2. 조직입계의 조대화
     3. 용접잔류응력의 완화
     4. 내열, 내식성의 향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용접 변형의 교정법 중 판두께 방향으로 수축량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교정하는 방법으로 판의 표면과 이면의 온도차를 크게 하기 위하여 표면에서 가열하는 동시에 이면에서 수냉하는 것은?(2021년 08월)
     1. 선상 가열법
     2. 피닝법
     3. 점 가열법
     4. 롤러에 의한 법

     정답 : []
     정답률 : 47%

78. 용접작업에서 용접봉의 용착효율을 나타내는 식은?(2008년 03월)
     1. 용착효율(%)=용착금속의중량/용접본의 사용중량
     2. 용척효율(%)=용접봉의사용중량/용착금속의 중량
     3. 용착효율(%)=용착금속의중량/용접봉의사용시간
     4. 용착효율(%)=용접봉의사용시간/용착금속의중량

     정답 : []
     정답률 : 74%

79. 용착금속 중에 함유된 수소함유량 측정법으로 사용되는 것은?(2016년 08월)
     1. 글리세린 치환법
     2. 킨젤 시험법
     3. 코메럴 시험법
     4. 피크린산 시험법

     정답 : []
     정답률 : 53%

80. 인장력과 굽힘작용을 받을 경우 가장 신뢰도가 높은 T형 이음은?(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81. 용접입열 중 일반적으로 모재에 흡수되는 열량은 입열의 보통 몇% 정도인가?(2010년 03월)
     1. 25~45%
     2. 50~70%
     3. 90~100%
     4. 75~85%

     정답 : []
     정답률 : 54%

82. 다음 중 탄화불꽃을 이용하여 용접해야 하는 재료로만 짝지어진 것은?(2019년 03월)
     1. 연강, 청동
     2. 모넬메탈, 황동
     3. 니켈크롬강, 구리
     4. 스테인리스강, 모넬메탈

     정답 : []
     정답률 : 40%

83. 피복금속 아크용접보다 강한 전류를 사용하여 연강, 특수강 및 일부 비철금속 등의 두꺼운 판도 단층으로 용접할 수 있는 것은? (단, 아크는 물론 발생하는 가스도 볼 수 없음)(2005년 08월)
     1. TIG용접
     2. MIG용접
     3. 탄산가스아크용접
     4. 서브머지드아크용접

     정답 : []
     정답률 : 39%

84. 일반적인 오버레이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오버레이 층의 두께 제어가 곤란하다.
     2. 용착속도가 높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양호하다.
     3. 오버레이 하고자 하는 제품의 크기에 제한이 없다.
     4. 모재와 완전한 융합을 이루기 때문에 접합강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34%

85.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스패터가 발생하지 않고 조용하다.
     2. 용접 홈의 가공 준비가 간단하고 각 변형이 적다.
     3.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 주로 박판용접에 이용된다.
     4. 용접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능률적이고 경제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86. AW-200A 용접기로 150A를 이용하여 용접한다면 1시간 작업 중 약 몇 분간 아크 발생을 해야 되는가? (단, 정격사용률은 40% 이하이다.)(2009년 07월)
     1. 42.7
     2. 55.8
     3. 37.6
     4. 39.8

     정답 : []
     정답률 : 20%

87. 로울러 전극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강관과 같은 파이프 제조에 쓰이는 용접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5년 08월)
     1. 맞대기 시임(butt seam)용접법
     2. 매시 시임(mash seam)용접법
     3. 플래시(flash)용접법
     4. 돌기(projection)용접법

     정답 : []
     정답률 : 54%

88. 가스용접 작업시 전진법과 후진법의 비교에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열이용률 : 전진법이 나쁘다.
     2. 용접속도 : 전진법이 느리다.
     3. 용접변형 : 후진법이 크다.
     4. 용접가능 판 두께 : 후진법이 두껍다.

     정답 : []
     정답률 : 52%

89. 저항 용접 중 맞대기로 용접하는 용접법은?(2005년 03월)
     1. 플래시 용접
     2. 심 용접
     3. 점 용접
     4. 프로젝션 용접

     정답 : []
     정답률 : 59%

90. 피복 아크 용접에서 용접속도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모재에 대한 용접선 방향의 아크 속도를 용접속도라 한다.
     2. 용접속도는 모재의 재질, 이음모양, 용접봉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진다.
     3. 아크전류와 아크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용접 속도를 증가시키면 비드 폭은 넓어지고 용입은 깊어진다.
     4. 용입의 정도는 용접 전류 값을 용접속도로 나눈 값에 따라 결정되므로 전류가 높을 때 용접 속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91. 가스 용접 시 이상 현상으로 역류가 발생했을 때,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산소를 차단시킨다.
     2. 팁을 깨끗이 청소한다.
     3. 안전기와 발생기를 차단시킨다.
     4. 아세틸가스 분출속도를 높인다.

     정답 : []
     정답률 : 60%

92. 일반적인 플라스마 아크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무부하 전압이 높다.
     2. 용접부의 변형이 적다.
     3.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이 좋다.
     4. 용접속도가 느리고 용입이 얕다.

     정답 : []
     정답률 : 70%

93. 용접안전관리에서 화재 및 폭발의 방지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대기 중에 가연성 가스를 누설 또는 방출할 것
     2. 필요한 곳에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방화 설비를 설치할 것
     3. 배관 또는 기기에서 가연성 증기의 누출 여부를 철저히 점검할 것
     4. 인화성 액체의 반응 또는 취급은 폭발 한계 범위 이외의 농도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49%

94. 황이 층상으로 존재하는 강을 서브머지드 아크용접할 때 일어나며, 고온균열의 일종에 속하는 것은?(2015년 08월)
     1. 설퍼 균열
     2. 라미네이션 균열
     3. 매크로 균열
     4. 비드 밑 균열

     정답 : []
     정답률 : 49%

95. 용접 자동화가 곤란한 용접 방법은?(2005년 03월)
     1. 고주파 용접(High Frequency Resistance Welding)
     2. 시임 용접(Seam Welding)
     3. 스터드 용접(Stud Welding)
     4. 폭발 용접(Explosive Welding)

     정답 : []
     정답률 : 69%

96. 2차 무부하 전압 80V, 아크전압 30V, 아크전류 250A인 교류 용접기를 사용할 때 역률과 효율은 각각 얼마인가? (단, 내부손실은 2.5kW이다)(2010년 07월)
     1. 효율 = 75%, 역률 = 50%
     2. 효율 = 70%, 역률 = 45%
     3. 효율 = 50%, 역률 = 75%
     4. 효율 = 45%, 역률 = 70%

     정답 : []
     정답률 : 48%

97. 18 -8형 스테인리스강의 납땜 시 모재의 적정 가열온도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7년 08월)
     1. 500~700℃
     2. 1000~1300℃
     3. 1360~1500℃
     4. 1500℃ 이상

     정답 : []
     정답률 : 42%

98. 교류 아크 용접기와 직류 아크 용접기의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직류 아크 용접기의 구조는 교류 아크 용접기의 구조보다 복잡하다.
     2. 직류 아크 용접기의 전격위험은 교류 아크 용접기의 전격위험보다 적다.
     3. 교류 아크 용접기의 역률은 직류 아크 용접기의 역률보다 양호하다.
     4. 교류 안크 용접기의 무부하 전압은 직류 아크 용접기의 무부하 전압보다 높다.

     정답 : []
     정답률 : 39%

99. 산소용기의 사용상 주의사항으로 적당한 것은?(2008년 07월)
     1. 통풍이 잘되고 직사광선이 잘드는 곳에 보관한다.
     2. 가연성 물질과 함께 보관한다.
     3. 안전을 위해 용기는 웁혀서 보관한다.
     4. 기름이 묻은 손이나 장갑을 끼고 취급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100. 용접작업에 관한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2004년 03월)
     1. 아연도금 강판의 용접시에는 안전상 외기를 차단시키고 할 것
     2. 용접시에는 반드시 보호장구를 착용할 것
     3. 용접작업장 주위에는 인화물질을 두지말 것
     4. 빈 용기를 용접할때는 속에 위험한 가스나 증기가 있는지 점검할 것

     정답 : []
     정답률 : 82%


정 답 지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87520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계제작법


1. 실제치수와 표준치수와의 차이를 측정할때 사용하는 것은?(2005년 03월)
     1. 지시 마이크로 미터
     2. 깊이 마이크로 미터
     3. 블록게이지
     4. 한계게이지

     정답 : []
     정답률 : 60%

2. 2차원 절삭의 모델을 창고로 공구의 상면 경사각(α), 전단각(ø)를 알고 있을 때, 전단변형률( shear strain, γ ) 은?(2013년 08월)
     1. γ = tan( ø + α ) + cot ø
     2. γ = tan( ø + α ) - cot ø
     3. γ = tan( ø - α ) + cot ø
     4. γ = tan( ø - α ) - cot ø

     정답 : []
     정답률 : 57%

3. 슈퍼 피니싱(super finish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숫돌을 진동시키면서 가공물을 가공하는 방법이다.
     2. 가공면은 매끈하고 방향성이 있으며 또한 가공에 의한 표면의 변질층이 매우 크다.
     3. 원통형의 외면, 내면, 평면 등의 가공에 쓰이고, 특히 중요한 축의 베어링 접촉부 및 각종 게이지의 가공에 사용된다.
     4. 입도가 작고, 연한 숫돌 입자를 낮은 압력으로 가공물의 표면에 가압하면서 매끈한 표면으로 가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 단조 프레스 용량이 50kN이고, 프레스의 효율이 80%, 단조물의 유효 단면적이 500mm2인 재료를 단조하고자 할 때 단조재료의 변형저항은 몇 MPa인가?(2016년 08월)
     1. 40
     2. 80
     3. 100
     4. 160

     정답 : []
     정답률 : 53%

5. 연강판의 두께 50㎜를 압연 롤러를 통과하여 40㎜가 되었다. 압하율은 얼마인가?(2011년 03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입하율인 경우 세로 변형율로 구하면 됩니다. 치수변형율(나중길이-처음길이)/처음길이X100%입니다.
구하보면 (40-50)/50X100%=|-20%|로 구하면 됨 다 알고 있게지만 심심해서 써봄 열심히해서 부디 취득하세요    
[해설작성자 : 그대들에 합격 위하여]

6. 그림과 같이 접합할 모재의 한쪽에 긴 구멍을 뚫고, 판의 표면까지 가득히 용접하여 다른 모재와 접합하는 용접은(2004년 03월)

   

     1. 맞대기 용접
     2. 겹치기 용접
     3. 덮개판 용접
     4. 플러그 용접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화학반응을 이용한 화학가공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재료의 강도나 경도에 관계없이 가공할 수 있다.
     2. 변형이나 거스러미가 발생하지 않는다.
     3. 가공경화 현상이 적고, 표면변질 층이 크다.
     4. 표면 전체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8. 연성재료를 절삭 깊이가 깊고 저속절삭(low speed cutting)할 때 발생하는 칩의 종류는?(2018년 03월)
     1. 균열형 칩
     2. 유동형 칩
     3. 열단형 칩
     4. 전단형 칩

     정답 : []
     정답률 : 41%

9. 드릴(drill) 가공 후 구멍(hole)의 정확한 진원가 공과 구멍내면의 표면 거칠기를 좋게 하기위한 가공은?(2011년 08월)
     1. 스폿 페이싱(spot facing)
     2. 리밍(reaming)
     3. 카운터 보링(counter boring)
     4. 카운터 싱킹(counter sinking)

     정답 : []
     정답률 : 59%

10. 압연가공에서 가공 전의 두께가 20mm 이던 것이 가공 후의 두께가 15mm로 되었다면 압하율(%)은 얼마인가?(2009년 07월)
     1. 20%
     2. 25%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43%

11. 탭 드릴의 지름을 나사산 높이의 75%로 할 때, 다음 어느 식으로 계산되는가? (단, A : 나사의 바깥지름, h : 나사산의 높이, P : 나사의 피치이다.)(2005년 08월)
     1.
     2.
     3. A - P
     4. A - 2P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절삭가공에서 구성인선(built-up ed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공구 윗면경사각이 작을수록 구성인선은 작아진다.
     2. 고석으로 절삭할 수록 구성인선은 감소한다.
     3. 마찰계수가 큰 절삭공구를 사용하면 칩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칩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구성인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13. 연삭력 P=20Kgf, 연삭 속도 1500m/min일 때 연삭 동력은 약 얼마인가? (단, 연삭 효율은 무시한다.)(2006년 03월)
     1. 4.5 PS
     2. 6.7 PS
     3. 10.1 PS
     4. 15.3 PS

     정답 : []
     정답률 : 46%

14. 단조해머가 자유낙하 할 때, 단조해머의 하중 W = 10kgf, 해머의 속도 10m/s, 단조높이의 변화량 h = 3mm, 해머의 효율 n = 0.9, 중력가속도 g = 9.8 m/s2 일 때, 운동에너지(E)는 약 몇 kgf인가?(2005년 08월)
     1. 36
     2. 41
     3. 46
     4. 51

     정답 : []
     정답률 : 20%

15. 방전가공에서 측전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가공속도가 느리다.
     2. 가공액으로는 변압기유나 휘발유 혹은 모빌유를 사용한다.
     3. 전원전압이 높으면 다듬질면이 거칠어 구명정도(精度)가 나빠진다.
     4. 축전기의 용량이 클수록 가공능률은 높지만, 가공정도(精度)가 저하된다.

     정답 : []
     정답률 : 62%

16. 바이트의 경사각(rake angle)이 작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표면 거칠기가 나빠짐
     2. 구성인선 증대
     3. 공구수명 증가
     4. 연속형 칩의 발생

     정답 : []
     정답률 : 43%

17. 머시닝센터에 사용되는 준비기능(G-code) 중 공구 지름 보정기능과 무관한 것은?(2017년 03월)
     1. G40
     2. G41
     3. G42
     4. G43

     정답 : []
     정답률 : 45%

18. 초음파 가공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구멍을 가공하기 쉽다.
     2. 복잡한 형상도 쉽게 가공할 수 있다.
     3. 부도체의 가공은 할 수 없다.
     4. 가공재료의 제한이 매우 적다.

     정답 : []
     정답률 : 88%

19. 철강의 대기 중 부식방지를 목적으로 표면을 경화하기 위해 세라다이징에 이용되는 원소는?(2014년 08월)
     1. Ni
     2. Si
     3. Cr
     4. Zn

     정답 : []
     정답률 : 56%

20. 게이지블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측정면이 서로 밀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몇 개의 수로 많은 치수의 기준을 얻을 수 있다.
     2. 표시하는 길이의 정도가 아주 높다.
     3. 정밀도가 높아 사용하는데 높은 숙련도가 필요하다.
     4. 광파장으로부터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7%

2과목 : 재료역학


21. 그림과 같은 보의 최대 처짐을 나타내는 식은? (단, 보의 굽힘 강성 EI 는 일정 하고,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201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외팔보
3.단순보

22. 막대의 한 끝이 고정되고 다른 끝에 집중 하중이 작용할 때, 막대의 양단에서 국부변형이 발생하고 양단에서 멀어질수록 그 효과가 감소된다는 사실과 관계있는 것은?(2012년 08월)
     1. 카스틸리아노(Castigliano)의 정리
     2. 상베낭(Saint-Venant)의 원리
     3. 트레스카(Tresca)의 원리
     4. 맥스웰(Maxwell)의 정리

     정답 : []
     정답률 : 58%

23. 길이가 L인 균일단면 막대기에 굽힘 모멘트 M이 그림과 같이 작용하고 있을 때 막대에 저장된 탄성 변형 에너지는? (단, 막대기는 굽힘강성 EI는 일정하고 단면적은 A이다.)(2015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5%

24. 다음과 같이 스팬(span) 중앙에 힌지 (hinge)를 가진 보의 최대 굽힘모멘트는 얼마인가?(2020년 08월)

    

     1. qL2/4
     2. qL2/6
     3. qL2/8
     4. qL2/12

     정답 : []
     정답률 : 35%

25. 코일스프링의 권수를 n, 코일의 지름 D, 소선의 지름 인 코일스프링의 전체처짐 δ는? (단, 이 코일에 작용하는 힘은 P, 가로탄성 계수는 G이다.)(201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0%

26. 바깥지름이 300mm인 평 벨트 휘일에 벨트의 유효장력 2000N이 작용되고 있다면 축에 전달되는 비틀림 모멘트는 몇 N·m인가?(2005년 08월)
     1. 600
     2. 500
     3. 400
     4. 3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길이 90 cm, 지름 8 cm의 외팔보의 자유단에 2 kN의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동시에 150 Nㆍm의 비틀림 모멘트도 작용할때 외팔보에 작용하는 최대 전단응력은 몇 MPa 인가?(2004년 08월)
     1. 15
     2. 16
     3. 17
     4. 18

     정답 : []
     정답률 : 22%

28. 비틀림모멘트 1 kN·m가 직경 50 mm인 축에 작용하고 있다면 최대 전단응력은 몇 MPa인가? (단, 축의 전단탄성계수 G = 85 GPa이다.)(2005년 03월)
     1. 34.1
     2. 37.2
     3. 40.7
     4. 43.2

     정답 : []
     정답률 : 46%

29. 속이 찬 원형축을 비틀 때 다음 중 어느 경우가 가장 비틀기 어려운가? (단, G는 재료의 전단탄성개수이며, 비틀림 각도와 축의 길이는 일정하다.)(2016년 08월)
     1. 축 지름이 크고, G의 값이 작을수록 어렵다.
     2. 축 지름이 작고, G의 값이 클수록 어렵다.
     3. 축 지름이 크고, G의 값이 클수록 어렵다.
     4. 축 지름이 작고, G의 값이 작을수록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56%

30. 원형 단면 기둥 A와 정사각형 단면 기둥 B가 동일한 세장비를 가질 때 기둥의 길이 비 은? (단, 각 경우에서 원형 단면의 지름과 정사각형 단면에서 한 변의 길이는 20cm 이다.)(2012년 08월)
     1. √3/2
     2. √5
     3. √3
     4. √5/2

     정답 : []
     정답률 : 40%

31. 그림과 같은 집중하중을 받는 단순 지지보의 최대 굽힘 모멘트는? (단, 보의 굽힘강성 EI는 일정하다.)(2012년 03월)

    

     1. 1/8WL
     2. 1/6WL
     3. 1/24WL
     4. 1/12WL

     정답 : []
     정답률 : 37%

32. 지름 4㎝ 의 둥근봉 펀치다이스에서 두께 t = 1㎝ 의 강판에 펀칭구멍을 뚫을 때, 판의 전단강도가 τu = 400MPa 라면 펀치 해머에 가해져야 하는 펀칭력은 몇 kN 인가?(2003년 08월)
     1. 251.5
     2. 502.6
     3. 754.5
     4. 1006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그림에서 인장력 12kN 이 작용할 때 지름 20mm 인 리벳 단면에 일어나는 전단 응력은 몇 MPa 인가?(2003년 08월)

    

     1. 68.2
     2. 38.2
     3. 23.8
     4. 32.0

     정답 : []
     정답률 : 50%

34.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에서 x, y축이 도심을 통과할 때 극관성 모멘트는 약 몇 cm4 인가? (단, b=6cm, h=12cm 이다.)(2021년 08월)

    

     1. 1080
     2. 3240
     3. 9270
     4. 12960

     정답 : []
     정답률 : 26%

35. 길이가 3 m인 원형 단면축의 지름이 20 mm 일 때 이 축이 비틀림 모멘트 100 Nㆍm를 받는다면 비틀어진 각도는? (단, 전단탄성계수 G = 80 GPa 이다.)(2004년 08월)
     1. 0.24°
     2. 0.52°
     3. 4.56°
     4. 13.7°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지름 2.5cm의 연강봉을 상온에서 30°C 높게 가열하여 양단을 고정하여 상온까지 냉각할 때 고정된 벽에서 일어나는 힘은 몇 kN인가? (단, 열팽창 계수 α = 0.000012/°C, E = 210 GPa 이다.)(2013년 08월)

    

     1. 17
     2. 27
     3. 37
     4. 47

     정답 : []
     정답률 : 56%

37. 단면계수가 0.01m3인 사각형 단면의 양단고정보가 2m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중앙에 최대 몇 kN의 집중하중을 가할 수 있는가? (단, 재료의 허용굽힘응력은 80MPa이다.)(2017년 08월)
     1. 800
     2. 1600
     3. 2400
     4. 3200

     정답 : []
     정답률 : 21%

38. 평면 응력상태에서 σx=100MPa, σy=50MPa일 때 x방향과 y방행의 변형률 Ex, Ey는 약 얼마인가? (단, 이재료의 세로탄성계수는 210GPa, 포와송 비 v=0.3이다.)(2016년 08월)
     1. Ex=200×10-6, Ey=46×10-6
     2. Ex=405×10-6, Ey=95×10-6
     3. Ex=405×10-6, Ey=405×10-6
     4. Ex=808×10-6, Ey=190×10-6

     정답 : []
     정답률 : 56%

39. 폭 20cm, 높이 30cm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길이 300cm의 외팔보는 자유단에서 최대 몇 kN의 하중을 가할 수 있는가? (단, 허용 굽힘응력은 σ = 15MPa 이다.)(2010년 03월)

    

     1. 12
     2. 15
     3. 30
     4. 90

     정답 : []
     정답률 : 44%

40. 연강 1cm3 의 무게는 0.0758N이다. 길이 15m의 둥근봉을 매달 때 봉의 상단 고정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은 몇 kPa 인가?(2010년 03월)
     1. 0.118
     2. 1177.5
     3. 117.8
     4. 11890

     정답 : []
     정답률 : 34%

3과목 : 용접야금


41. 다음 중 탈황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형석을 첨가한다.
     2. 슬래그의 염기도가 높아야 한다.
     3. 슬래그의 유동성이 좋아야 한다.
     4. 슬래그 중의 실리카 함량이 높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탈황 조건
1. 염기도가 높을 것
2. 산화력이 클 것
3. 용강온도가 높을 것
4. 용강 중 황의 활동도가 높을 것
5. 강재량이 많을 것
6. 강재의 유동성이 클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용착금속의 응고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강의 다층용접에서는 앞의 층이 다음 층의 열에 의해 재가열되므로 주조조직이 거칠어진다.
     2. 용융금속 내에서는 냉각할 때 전방측면부터 응고가 시작하여 결정이 측면으로 성장한다.
     3. 최초로 응고하는 것은 비교적 불순물이 많은 강이 된다.
     4. 최후로 응고하는 중앙상부에는 비교적 많은 불순물이 존재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액체가 응고를 시작하게 되면 결정핵 생성- 결정 성장 - 결정 경계를 이루며 응고하게 된다.
이 때 용융점이 높은 원소부터 응고를 하게 되며 용융점이 낮은 불순물은 최후에 응고하는 결정 경계 등에 모여 편석 등이 생길 수 있다. 이를 응용하면 순도 높은 금속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냉간 가공한 강을 저온으로 뜨임하면, 경화 즉, 변형 시효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 변형 시효에는 다음 중 어느 원소의 영향을 크게 받는가?(2003년 03월)
     1. 질소
     2. 산소
     3. 수소
     4. 알루미늄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질소
용접금속내의 질소는 용접금속의 응고후 냉각과정에서 거의 확산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냉각후의 용접금속에 포함되는 질소량은 응고시 포함된 질소량과 같다. 질소용해량을
증가시키는 원소는 Cr, V, Nb, Ta 이며 질소용해량을 감소시키는 원소는 C, Si 등이다.
질소가 강의 용접부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 시효에 의한 취화로서 γ 영역에서 다량의 용해도를 갖고 실온부근에서 α 상의
용해도는 이보다 낮다. 따라서 급냉시 시효에 의한 질화물이 석출하며 석출경화
현상이 발생된다. Quenching 시효 외에 Strain 시효(냉간 가공후 시효), 청열취성,
저온취성, Tempering 취성의 직간접 원인이 된다.

44. 탄소당량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주철의 흑연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2. 강재의 망강(Mn)과 규소(Si)의 비를 나타낸다.
     3. 보통 연강재의 탄소당량은 0.1~0.25%정도이다.
     4. 강재의 용접성과 관계가 있으며 이 값이 클수록 용접이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53%

4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체화 및 소분열처리의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3월)
     1. 내 응력부식균열(SCC)을 위래서 요구되는 열처리이다.
     2. 내 입계부식(IGC)을 위해서 요구되는 열처리이다.
     3. Cr2O3산화물의 완전용해를 위해 요구되는 열처리이다.
     4. 고온에서 급냉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46. 가공경화된 구리의 풀림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8년 07월)
     1. 200 ~ 300℃
     2. 450 ~ 600℃
     3. 700 ~ 800℃
     4. 850 ~ 960℃

     정답 : []
     정답률 : 57%

47. 탄소당량이 일반적으로 약 몇 % 이하일 때 용접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는가?(2016년 03월)
     1. 0.4% 이하
     2. 1.0% 이하
     3. 2.1% 이하
     4. 4.3% 이하

     정답 : []
     정답률 : 80%

48.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용접 시 냉각되면서 고온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아크길이가 너무 길 때
     2. 크레이터 처리를 하였을 때
     3. 구속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용접할 때
     4. 모재가 오염되어 있을 때

     정답 : []
     정답률 : 68%

49. 다음 중 Fe-C 상태도에서 가장 온도가 낮은 것은?(2020년 06월)
     1. 공석점
     2. 공정점
     3. 포정점
     4. δ - Fe ↔ γ - Fe

     정답 : []
     정답률 : 50%

50. 금속재료의 강화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8월)
     1. 고용강화
     2. 풀림처리
     3. 가공경화처리
     4. 입자분산강화

     정답 : []
     정답률 : 59%

51. 다음 중 강의 내마멸성과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열처리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3월)
     1. 불림
     2. 연화
     3. 풀림
     4. 담금질

     정답 : []
     정답률 : 61%

52. 용융금속 내 가스의 용해량을 설명한 법칙은?.(2020년 08월)
     1. 깁스의 법칙
     2. 포아송의 법칙
     3. 영의 법칙
     4. 시버트 법칙

     정답 : []
     정답률 : 47%

53. 구리의 성질을 나열한 것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08년 07월)
     1. 열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다.
     2. 전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다.
     3. 화학적 저항력이 작다.
     4. 귀금속적 성질이 우수하다.

     정답 : []
     정답률 : 89%

54. 탄소강에 함유되어 잇는 구리(Cu)의 영향이 아닌 것은?(2016년 08월)
     1.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2. Ar1 변태점을 저하시킨다.
     3. 강도 및 경도를 낮춘다.
     4. 탄성한도를 증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1%

55. 모재의 결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모재 내에 기포가 압연되어 발생되는 유황 밴드와 같이 층상으로 편재해 강재의 내부적 노치를 형성한 것으로 불순물과 수소원을 포함하는 균열을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3월)
     1. 힐 균열
     2. 유황 균열
     3. 크레이터 균열
     4. 라미네이션 균열

     정답 : []
     정답률 : 48%

56. 순철의 Ag(910°C) 변태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2010년 03월)
     1. α- Fe ⇄β- Fe
     2. α- Fe ⇄γ- Fe
     3. γ- Fe ⇄δ- Fe
     4. δ- Fe ⇄α- Fe

     정답 : []
     정답률 : 41%

57. 다음 중 용융점이 가장 낮은 금속은?(2019년 08월)
     1. Cu
     2. Fe
     3. Mg
     4. Ni

     정답 : []
     정답률 : 49%

58. 강을 열처리할 때 어떤 온도에서 냉각을 정지하고 그 온도에서 변태를 시켜 변태 개시온도와 변태 완료온도를 온도-시간 곡선으로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3년 08월)
     1. 항온변태곡선
     2. 항온뜨임곡선
     3. 항온풀림곡선
     4. 항온불림곡선

     정답 : []
     정답률 : 60%

59. Fe-C 평행상태도에서 δ-Fe의 결정구조는?(2015년 08월)
     1. 저심입방격자
     2. 체심입방격자
     3. 면심입방격자
     4. 조밀육방격자

     정답 : []
     정답률 : 47%

60. 강의 뜨임처리(temper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담금질한 강철을 급냉시켜 재질을 경화한다.
     2. 조직이 변화가 오스테나이트에서 펄라이트로 변한다.
     3. 불안정한 마텐자이트조직을 A1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처리한다.
     4. 담금질할 때 생긴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인성을 증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0%

4과목 : 용접구조설계


61. 용접에서 공작물을 조립하는데, 사용하는 도구(tool)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03월)
     1. 지그(jig)
     2. 용구(用具)
     3. 레그(leg)
     4. 보호구(保護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가장 얇은 판에 사용하는 용접홈의 모양은?(2004년 08월)
     1. V형
     2. I형
     3. X형
     4. H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용접전압 20[V], 용접전류 120[A], 용접속도 60[cm/min] 로 용접할 때, 입열(Heat input)량은 얼마인가?(2003년 08월)
     1. 2000[J/cm]
     2. 2200[J/cm]
     3. 2400[J/cm]
     4. 2600[J/cm]

     정답 : []
     정답률 : 82%

64. 용접구조물 설계 시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08월)
     1. 용접선의 집중, 접근 및 교차시키지 말아야 한다.
     2. 이음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구조산 불연속부를 둔다.
     3. 용접순서는 중앙에서 시작하여 밖으로 향하여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4. 단면에 직각방향으로 인장하중이 작용할 경우 판의 압연방향에 주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65. 자분 탐상 검사에서 피검사물의 자화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3월)
     1. 코일법
     2. 관통법
     3. 극간법
     4. 펄스 반사법

     정답 : []
     정답률 : 53%

66. 다음 중 용접변형의 방지법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억제법
     2. 역변형법
     3. 점가열법
     4. 냉각법

     정답 : []
     정답률 : 39%

67. 다리길이(각장)가 같은 필릿용접에서 다리길이가 3배 증가하면 용착량은 어떻게 되나?(2004년 03월)
     1. 2배 증가
     2. 3배 증가
     3. 9배 증가
     4. 6배 증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다음 용접 보조 기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2017년 03월)

    

     1. 서페이싱
     2. 토우를 매끄럽게 함
     3. 영구적인 덮개 판을 사용
     4. 평면(동일평면으로 다듬질)

     정답 : []
     정답률 : 67%

69. 용접성을 이음성능과 사용성능으로 구분할 때 이음 성능에 해당하는 것은?(2009년 03월)
     1. 모재와 용접금속의 기계적 성질
     2. 모재와 용접금속의 노치인성
     3. 용접변형과 잔류응력
     4. 용접금속의 형상

     정답 : []
     정답률 : 32%

70. 열적구속도시험이라고도 하며 열의 흐름을 두 방향이나 세 방향으로 하여 비드에 발생하는 균열을 검사하는 시험은?(2020년 08월)
     1. T형 필릿 균열시험
     2. 리하이(Lehigh) 구속 균열시험
     3. 휘스코 균열시험(Fisco cracking test)
     4. CTS 균열시험(controlled thermal severity test)

     정답 : []
     정답률 : 50%

71. W1 = 용접슬래그 및 스패터 등을 완전히 제거하여 깨끗이 한 시험편의 무게(g), Wo = 용접전의 시험편의 무게(g), ΣT = 용접봉 5개분의 시간의 합계일 때, 용착속도(d)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11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4%

72. 용접부를 연화하기 위하여 풀림(annealing)하는 경우 재료와 냉각조건이 맞는 것은?(2014년 08월)
     1. 탄소강-급냉
     2. 마텐자이트 스테인리스강-급냉
     3.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서냉
     4. 중 크롬 스테인리스강-급냉

     정답 : []
     정답률 : 29%

73. 용착금속의 결함 중 형상 불량이 아닌 것은?(2013년 08월)
     1. 용입 불량
     2. 은점
     3. 언더 컷
     4. 오버랩

     정답 : []
     정답률 : 64%

74. 맞대기 용접 이음의 강판 두께를 12㎜로 하고, 최대 30000N의 인장하중을 작용시킬 때 필요한 용접길이는 얼마인가? (단, 용접부는 완전용입이고, 용접부의 허용인장 응력은 100N/mm2이다.)(2011년 03월)
     1. 20㎜
     2. 25㎜
     3. 30㎜
     4. 35㎜

     정답 : []
     정답률 : 62%

75. 다음 중 그 성분량을 일정 이상으로 첨가하는 경우에 인장강도와 경도를 증가시키는 반면, 용접성을 떨어뜨리는 화학 성분은?(2003년 08월)
     1. 실리콘(Si)
     2. 유황(S)
     3. 탄소(C)
     4. 인(P)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저합금 내열강에 대한 용접후 열처리의 목적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고온강도의 안정화
     2. 조직입계의 조대화
     3. 용접잔류응력의 완화
     4. 내열, 내식성의 향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용접 변형의 교정법 중 판두께 방향으로 수축량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교정하는 방법으로 판의 표면과 이면의 온도차를 크게 하기 위하여 표면에서 가열하는 동시에 이면에서 수냉하는 것은?(2021년 08월)
     1. 선상 가열법
     2. 피닝법
     3. 점 가열법
     4. 롤러에 의한 법

     정답 : []
     정답률 : 47%

78. 용접작업에서 용접봉의 용착효율을 나타내는 식은?(2008년 03월)
     1. 용착효율(%)=용착금속의중량/용접본의 사용중량
     2. 용척효율(%)=용접봉의사용중량/용착금속의 중량
     3. 용착효율(%)=용착금속의중량/용접봉의사용시간
     4. 용착효율(%)=용접봉의사용시간/용착금속의중량

     정답 : []
     정답률 : 74%

79. 용착금속 중에 함유된 수소함유량 측정법으로 사용되는 것은?(2016년 08월)
     1. 글리세린 치환법
     2. 킨젤 시험법
     3. 코메럴 시험법
     4. 피크린산 시험법

     정답 : []
     정답률 : 53%

80. 인장력과 굽힘작용을 받을 경우 가장 신뢰도가 높은 T형 이음은?(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81. 용접입열 중 일반적으로 모재에 흡수되는 열량은 입열의 보통 몇% 정도인가?(2010년 03월)
     1. 25~45%
     2. 50~70%
     3. 90~100%
     4. 75~85%

     정답 : []
     정답률 : 54%

82. 다음 중 탄화불꽃을 이용하여 용접해야 하는 재료로만 짝지어진 것은?(2019년 03월)
     1. 연강, 청동
     2. 모넬메탈, 황동
     3. 니켈크롬강, 구리
     4. 스테인리스강, 모넬메탈

     정답 : []
     정답률 : 40%

83. 피복금속 아크용접보다 강한 전류를 사용하여 연강, 특수강 및 일부 비철금속 등의 두꺼운 판도 단층으로 용접할 수 있는 것은? (단, 아크는 물론 발생하는 가스도 볼 수 없음)(2005년 08월)
     1. TIG용접
     2. MIG용접
     3. 탄산가스아크용접
     4. 서브머지드아크용접

     정답 : []
     정답률 : 39%

84. 일반적인 오버레이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오버레이 층의 두께 제어가 곤란하다.
     2. 용착속도가 높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양호하다.
     3. 오버레이 하고자 하는 제품의 크기에 제한이 없다.
     4. 모재와 완전한 융합을 이루기 때문에 접합강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34%

85.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스패터가 발생하지 않고 조용하다.
     2. 용접 홈의 가공 준비가 간단하고 각 변형이 적다.
     3.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 주로 박판용접에 이용된다.
     4. 용접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능률적이고 경제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86. AW-200A 용접기로 150A를 이용하여 용접한다면 1시간 작업 중 약 몇 분간 아크 발생을 해야 되는가? (단, 정격사용률은 40% 이하이다.)(2009년 07월)
     1. 42.7
     2. 55.8
     3. 37.6
     4. 39.8

     정답 : []
     정답률 : 20%

87. 로울러 전극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강관과 같은 파이프 제조에 쓰이는 용접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5년 08월)
     1. 맞대기 시임(butt seam)용접법
     2. 매시 시임(mash seam)용접법
     3. 플래시(flash)용접법
     4. 돌기(projection)용접법

     정답 : []
     정답률 : 54%

88. 가스용접 작업시 전진법과 후진법의 비교에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열이용률 : 전진법이 나쁘다.
     2. 용접속도 : 전진법이 느리다.
     3. 용접변형 : 후진법이 크다.
     4. 용접가능 판 두께 : 후진법이 두껍다.

     정답 : []
     정답률 : 52%

89. 저항 용접 중 맞대기로 용접하는 용접법은?(2005년 03월)
     1. 플래시 용접
     2. 심 용접
     3. 점 용접
     4. 프로젝션 용접

     정답 : []
     정답률 : 59%

90. 피복 아크 용접에서 용접속도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모재에 대한 용접선 방향의 아크 속도를 용접속도라 한다.
     2. 용접속도는 모재의 재질, 이음모양, 용접봉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진다.
     3. 아크전류와 아크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용접 속도를 증가시키면 비드 폭은 넓어지고 용입은 깊어진다.
     4. 용입의 정도는 용접 전류 값을 용접속도로 나눈 값에 따라 결정되므로 전류가 높을 때 용접 속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91. 가스 용접 시 이상 현상으로 역류가 발생했을 때,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산소를 차단시킨다.
     2. 팁을 깨끗이 청소한다.
     3. 안전기와 발생기를 차단시킨다.
     4. 아세틸가스 분출속도를 높인다.

     정답 : []
     정답률 : 60%

92. 일반적인 플라스마 아크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무부하 전압이 높다.
     2. 용접부의 변형이 적다.
     3.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이 좋다.
     4. 용접속도가 느리고 용입이 얕다.

     정답 : []
     정답률 : 70%

93. 용접안전관리에서 화재 및 폭발의 방지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대기 중에 가연성 가스를 누설 또는 방출할 것
     2. 필요한 곳에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방화 설비를 설치할 것
     3. 배관 또는 기기에서 가연성 증기의 누출 여부를 철저히 점검할 것
     4. 인화성 액체의 반응 또는 취급은 폭발 한계 범위 이외의 농도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49%

94. 황이 층상으로 존재하는 강을 서브머지드 아크용접할 때 일어나며, 고온균열의 일종에 속하는 것은?(2015년 08월)
     1. 설퍼 균열
     2. 라미네이션 균열
     3. 매크로 균열
     4. 비드 밑 균열

     정답 : []
     정답률 : 49%

95. 용접 자동화가 곤란한 용접 방법은?(2005년 03월)
     1. 고주파 용접(High Frequency Resistance Welding)
     2. 시임 용접(Seam Welding)
     3. 스터드 용접(Stud Welding)
     4. 폭발 용접(Explosive Welding)

     정답 : []
     정답률 : 69%

96. 2차 무부하 전압 80V, 아크전압 30V, 아크전류 250A인 교류 용접기를 사용할 때 역률과 효율은 각각 얼마인가? (단, 내부손실은 2.5kW이다)(2010년 07월)
     1. 효율 = 75%, 역률 = 50%
     2. 효율 = 70%, 역률 = 45%
     3. 효율 = 50%, 역률 = 75%
     4. 효율 = 45%, 역률 = 70%

     정답 : []
     정답률 : 48%

97. 18 -8형 스테인리스강의 납땜 시 모재의 적정 가열온도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7년 08월)
     1. 500~700℃
     2. 1000~1300℃
     3. 1360~1500℃
     4. 1500℃ 이상

     정답 : []
     정답률 : 42%

98. 교류 아크 용접기와 직류 아크 용접기의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직류 아크 용접기의 구조는 교류 아크 용접기의 구조보다 복잡하다.
     2. 직류 아크 용접기의 전격위험은 교류 아크 용접기의 전격위험보다 적다.
     3. 교류 아크 용접기의 역률은 직류 아크 용접기의 역률보다 양호하다.
     4. 교류 안크 용접기의 무부하 전압은 직류 아크 용접기의 무부하 전압보다 높다.

     정답 : []
     정답률 : 39%

99. 산소용기의 사용상 주의사항으로 적당한 것은?(2008년 07월)
     1. 통풍이 잘되고 직사광선이 잘드는 곳에 보관한다.
     2. 가연성 물질과 함께 보관한다.
     3. 안전을 위해 용기는 웁혀서 보관한다.
     4. 기름이 묻은 손이나 장갑을 끼고 취급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100. 용접작업에 관한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2004년 03월)
     1. 아연도금 강판의 용접시에는 안전상 외기를 차단시키고 할 것
     2. 용접시에는 반드시 보호장구를 착용할 것
     3. 용접작업장 주위에는 인화물질을 두지말 것
     4. 빈 용기를 용접할때는 속에 위험한 가스나 증기가 있는지 점검할 것

     정답 : []
     정답률 : 82%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87520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49 계리직공무원 우편 및 금융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1948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2511287)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1947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2565856)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1946 수능(생명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194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간호관리(8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1944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1943 수능(세계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1942 제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1월28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1941 축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8822185)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1940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1939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1938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1937 설비보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1936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193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3562053)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1934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1933 수능(세계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1932 방송통신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1931 RFID-GL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6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875208)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233 Next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