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92347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토목제도(CAD)


1.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몇 %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가운데에서 가장 작은 치수의 체눈을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것인가?(2013년 07월)
     1. 80%
     2. 85%
     3. 90%
     4. 95%

     정답 : []
     정답률 : 59%

2. 보의 횡지지 간격은 얼마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2009년 09월)
     1. 압축 플랜지 또는 압축면의 최소 폭의 20배
     2. 압축 플랜지 또는 압축면의 최소 폭의 30배
     3. 압축 플랜지 또는 압축면의 최소 폭의 40배
     4. 압축 플랜지 또는 압축면의 최소 폭의 50배

     정답 : []
     정답률 : 23%

3. 다음중 아래 보기의 ( )에 알맞은 것은?(2014년 01월)

   

     1. 150
     2. 200
     3. 250
     4. 30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사진에 "기본정착릴이" 오타가 나셨습니다

4. 인장 또는 압축을 받는 다발철근중의 각 철근의 정착길이는 다발철근이 아닌 각 철근의 정착길이에 비해 일정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4개로 된 다발철근에 대해서는 몇 %를 증가시켜야 하는가?(2004년 10월)
     1. 25%
     2. 33%
     3. 38%
     4. 42%

     정답 : []
     정답률 : 44%

5. 압축부재에 사용되는 나선철근의 순간격 범위로 옳은 것은?(2010년 10월)
     1. 25㎜ 이상, 55㎜ 이하
     2. 25㎜ 이상, 75㎜ 이하
     3. 55㎜ 이상, 75㎜ 이하
     4. 55㎜ 이상, 90㎜ 이하

     정답 : []
     정답률 : 83%

6.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철근비가 0.025 일 때, 철근량 As 는?(2013년 01월)

   

     1. 10cm2
     2. 15cm2
     3. 20cm2
     4. 25cm2

     정답 : []
     정답률 : 70%

7. 콘크리트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분포 식에서 β1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35MPa 일 경우 β1의 값은?(2012년 02월)
     1. 0.801
     2. 0.822
     3. 0.850
     4. 0.878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DS 14 2020:2022
수치변경되었다고 본거같습니다
40MPA이하 0.8
0.8-0.007(fck-28)
-> 0.8-0.007(35-28)
    =0.751

8. 철근콘크리트 보를 강도 설계법으로 설계할 경우 필요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7월)
     1. 보가 파괴를 일으킬 때 압축 축 콘크리트 표면에서의 최대 변형률은 0.003이다.
     2.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은 완전하며 그 경계면에서 상대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3. 보의 극한상태에서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고려한다.
     4. 보에서 임의의 단면이 휨을 받기 전에 평면이었다면 휨변형을 일으킨 뒤에도 평면을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보의 극한 상태에서의 휨모멘트를 계산할 때에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무시한다.
[해설작성자 : 주*민]

9. 강도설계법의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압축연단에 발생되는 등가 직사각형 응력의 깊이(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9월)
     1. 철근의 단면적(AS)에 비례한다.
     2. 철근의 항복강도(fy)에 반비례한다.
     3.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f?ck)에 비례한다.
     4. 사각형보이 폭(b)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10.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철근비가 0.02일 때, 철근량 As 는 얼마인가?(2011년 07월)

    

     1. 10cm2
     2. 16cm2
     3. 20cm2
     4. 26cm2

     정답 : []
     정답률 : 54%

11. 강섬유 보강콘크리트가 주로 사용되는 용도와 거리가 먼 것은?(2008년 10월)
     1. 도로 및 활주로의 포장
     2. 중성자선의 차폐 재료
     3. 터널 라이닝
     4.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제품

     정답 : []
     정답률 : 36%

12.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골재 씻기 시험에 의하여 손실되는 양은 10% 이하로 한다.
     2. 경량골재는 일반적으로 입경이 작을수록 밀도가 커진다.
     3. 경량골재의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원칙적으로 20mm로 한다.
     4. 경량골재를 써서 만든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이 2500~2700kg/m3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경량콘크리트 : 일반적으로 경량콘크리트라고 하면 경량골재콘크리트를 가리키며, 기포콘크리트와 구별한다. 다 같이 구조용, 칸막이벽 또는 고층건축의 철골 내화피복(耐火被覆) 등으로 사용된다. 비중은 2.0 이하로, 기포콘크리트 중에는 물에 뜨는 것도 있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경량골재 콘크리트: 1,400 ~ 2,000 kg/m3
[해설작성자 : 봉봉드링크]

13.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험은?(2015년 10월)
     1. 자르 시험
     2. 브리넬 시험
     3. 비비 시험
     4. 로스앤젤레스 시험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브리넬 시험 : 규정된 강구(鋼球)로 규정된 힘을 가하여 금속의 경도(硬度)를 측정하는 시험법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측정하는 시험
1. 비비시험
2. 흐름시험
3. 슬럼프시험
4. 케리 볼 구관입 시험
5. 리몰딩시험
6. 다짐계수시험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14. 다음 중 강도 설계법의 기본 가정이 아닌 것은?(2008년 10월)
     1. 콘크리트 및 철근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반비례한다.
     2.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은 완전하며, 그 경계면에서 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3. 보의 극한 상태에서의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무시한다.
     4. 보의 휨을 받기 전에 생각한 임의의 단면을 휨을 받아 변형을 일으킨 뒤에도 그대로 평면을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콘크리트 및 철근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쏘싸이]

15. 철근기호의 SD 300에서 300의 의미는?(2015년 10월)
     1. 철근의 단면적
     2. 철근의 항복강도
     3. 철근의 연신율
     4. 철근의 공칭지름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철근은 단면의 형태에 따라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으로 구분
(2) 철근의 기호는 SR(Steel Round, 원형)과 SD(STeel Deformed, 이형)의 뒤에 항복강도를 숫자로 표시하여 나타낸다.
(3) 항복강도 400MPa(SD 400) 이상을 고강도 철근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16. 단순보에서의 전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1월)
     1. 전단철근에는 스터럽과 절곡철근이 있다.
     2. 전단균열의 형태는 45°의 경사방향이다.
     3. 휨모멘트에 대하여 먼저 검토한 후 전단을 검토한다.
     4. 보에서 최대 전단응력이 발생하는 부분은 지간의 중앙 부분이다.

     정답 : []
     정답률 : 38%

17. 구조 재료로서 강재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2002년 10월)
     1. 재료의 균질성이 떨어진다.
     2. 부재를 개수하거나 보강하기 어렵다.
     3. 차량 통행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4. 강 구조물을 사전 제작하여 조립이 힘들다.

     정답 : []
     정답률 : 76%

18. 교량의 설계하중에 있어서 주하 중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2003년 07월)
     1. 항상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2. 때에 따라 작용하는 하중
     3. 특별히 고려되어야 하는 하중
     4. 온도의 변화에 따른 하중

     정답 : []
     정답률 : 73%

19. 비례한도 이상의 응력에서도 하중을 제거하면 변형이 거의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의 한도를 칭하는 용어는?(2014년 01월)
     1. 상항복점
     2. 극한강도
     3. 탄성한도
     4. 소성한도

     정답 : []
     정답률 : 77%

20. 보의 주철근을 고정하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부분 보강단면으로서 전단력 및 최대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은?(2013년 10월)
     1. 점철근
     2. 스터럽
     3. 부철근
     4. 배력철근

     정답 : []
     정답률 : 47%

2과목 : 철근콘크리트


21. 토목 구조물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2015년 10월)
     1. 구조의 안전성
     2. 사용의 편리성
     3. 건설의 경제성
     4. 재료의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79%

22.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 철근은?(2011년 02월)
     1. 띠철근
     2. 원형철근
     3. 배력철근
     4. 나선철근

     정답 : []
     정답률 : 69%

23. 강재의 이음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5년 10월)
     1. 용접이음
     2. 고장력 볼트이음
     3. 리벳이음
     4. 록 볼트이음

     정답 : []
     정답률 : 49%

24. 교량의 분류방법과 교량의 연결이 바른 것은?(2008년 02월)
     1. 사용 재료에 따른 분류 - 거더교
     2. 사용 용도에 따른 분류 - 곡선교
     3. 통로의 위치에 따른 분류 - 중로교
     4. 평면 형상에 따른 분류 - 2층교

     정답 : []
     정답률 : 65%

25. 콘크리트 속에 철근을 배치하여 양자가 일체가 되어 외력을 받게 한 구조는?(2010년 01월)
     1. 철근 콘크리트 구조
     2. 무근 콘크리트 구조
     3. 프리스트레스트 구조
     4. 합성구조

     정답 : []
     정답률 : 68%

26. 교량의 구성에 있어서 상부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9월)
     1. 바닥판
     2. 바닥틀
     3. 주트러스
     4. 교대

     정답 : []
     정답률 : 64%

27.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활하중이 교량 위를 달릴 때 교량이 진동하게 된다. 즉, 자동차가 정지하여 있을 때보다 그 하중의 영향이 훨씬 커지는 데 이러한 하중을 무엇이라 하는가?(2008년 07월)
     1. 설 하중
     2. 고정 하중
     3. 충격 하중
     4. 풍 하중

     정답 : []
     정답률 : 65%

28. 교량의 구성을 바닥판, 바닥틀, 교각, 교대, 기초 등으로 구분할 때, 바닥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상부 구조로서 사람이나 차량 등을 직접 받쳐주는 포장 및 슬래브 부분을 뜻한다.
     2. 상부 구조로서 바닥판에 실리는 하중을 받쳐서 주형에 전달해주는 부분을 뜻한다.
     3. 하부 구조로서 상부 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로 전해주는 부분을 뜻한다.
     4. 하부 구조로서 상부 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으로 전해주는 부분을 뜻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교량의 상부구조: 바닥판, 바닥틀, 보, 트러스, 라멘, 슬래브
교량의 하부구조: 교각,교대, 기초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29. 구조물의 파괴 상태 또는 파괴에 가까운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그 구조물의 사용 기간 중에 예상되는 최대 하중에 대하여 구조물의 안전을 적절한 수준으로 확보하려는 설계방법으로 하중 계수와 강도 감소 계수를 적용하는 설계법은?(2013년 07월)
     1. 강도 설계법
     2. 허용 응력 설계법
     3. 한계 상태 설계법
     4. 안전율 설계법

     정답 : []
     정답률 : 57%

30. 서해대교와 같이 교각 위에 주탑을 세우고 주탑과 경사로 배치된 케이블로 주형을 고정시키는 형식의 교량은?(2013년 10월)
     1. 현수교
     2. 라멘교
     3. 연속교
     4. 사장교

     정답 : []
     정답률 : 69%

31. 도면의 작성 방법에서 원도를 그리는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8년 10월)
     1. 도면의 배치 → 선 긋기 → 도면의 구성 → 글자 및 기호쓰기 → 도면의 검토
     2. 도면의 구성 → 도면의 배치 → 선 긋기 → 글자 및 기호쓰기 → 도면의 검토
     3. 도면의 배치 → 도면의 구성 → 도면의 검토 → 선 긋기 → 글자 및 기호쓰기
     4. 도면의 구성 → 도면의 배치 → 도면의 검토 → 선 긋기 → 글자 및 기호쓰기

     정답 : []
     정답률 : 66%

32. 도로교의 표준트럭하중 DB-24 하중에서 후륜하중은?(2013년 07월)
     1. 24kN
     2. 54kN
     3. 72kN
     4. 96kN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DB-24 =24*4000k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정한 힘을 가한 상태에서 힘은 변화하지 않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변형이 증가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2011년 07월)
     1. 탄성
     2. 크랙
     3. 소성
     4. 크리프

     정답 : []
     정답률 : 76%

34. 철근의 항복으로 시작되는 보의 파괴 형태로 철근이 먼저 항복한 후에 콘크리트가 큰 변형을 일으켜 사전에 붕괴의 조짐을 보이면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파괴는?(2016년 07월)
     1. 취성 파괴
     2. 연성 파괴
     3. 경성 파괴
     4. 강성 파괴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취성파괴 : 재료가 외력에 의해 거의 소성 변경을 동반하지 않고 파괴되는 것. 취성 파괴는 불안정적이며, 고속으로 진전한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재료일수록 취성적 파괴를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35. 치수 기입 중 SR40 이 의미하는 것은?(2010년 07월)
     1. 반지름 40㎜인 원
     2. 반지름 40㎜인 구
     3. 한변이 40㎜인 정사각형
     4. 한변이 40㎜인 정삼각형

     정답 : []
     정답률 : 70%

36. 토목제도에서 보기와 같은 이음은 다음 중 어떤 이음을 나타낸 것인가?(2006년 01월)

    

     1. 철근 용접 이음
     2. 철근 갈고리 이음
     3. 철근의 기계적 이음
     4. 철근의 평면 이음

     정답 : []
     정답률 : 86%

37. 윤곽선은 도면의 크기에 따라 몇 ㎜ 이상의 굵기인 실선으로 긋는가?(2002년 10월)
     1. 0.1㎜
     2. 0.3㎜
     3. 0.4㎜
     4. 0.5㎜

     정답 : []
     정답률 : 74%

38. 그림과 같은 모양의 i형강 2개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단, 축방향 길이=2000)(2005년 10월)

    

     1. 2-i 30×60×10×2000
     2. 2-i 60×30×10×2000
     3. i-2 10×60×30×2000
     4. i-2 10×30×60×2000

     정답 : []
     정답률 : 68%

39. 그림은 무엇을 작도하기 위한 것인?(2010년 07월)

    

     1. 사각형에 외접하는 최소 삼각형
     2. 사각형에 외접하는 최대 삼각형
     3.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대 정사각형
     4.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소 직사각형

     정답 : []
     정답률 : 68%

40. 콘크리트 구조물 제도에서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한 도면은?(2015년 10월)
     1. 단면도
     2. 구조도
     3. 상세도
     4. 일반도

     정답 : []
     정답률 : 58%

41. 다음 중 도면에서 가장 굵은 선이 사용되는 것은?(2013년 10월)
     1. 중심선
     2. 절단선
     3. 해칭선
     4. 외형선

     정답 : []
     정답률 : 83%

42. 선의 굵기 비율 중 가는선 : 굵은선 : 아주 굵은선의 비율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2006년 01월)
     1. 1 : 2 : 3
     2. 1 : 2 : 4
     3. 1 : 2 : 5
     4. 1 : 3 : 6

     정답 : []
     정답률 : 74%

43. 다음 중 블록의 단면 표시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블록
2. 인조석
3. 콘크리트
4. 벽돌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은 자연석입니다.
인조석은 실선 두개에 파선 하나예요
[해설작성자 : 진주기공인]

44. 도면을 사용 목적, 내용, 작성 방법 등에 따라 분류할 때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에 속하는 것은?(2014년 01월)
     1. 부품도
     2. 계획도
     3. 공정도
     4. 스케치도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할 때 계획도, 설계도, 제작도, 시공도가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45. 다음 중 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윤곽선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10월)
     1. 0.3mm 굵기의 실선
     2. 0.5mm 굵기의 파선
     3. 0.7mm 굵기의 실선
     4. 0.9mm 굵기의 파선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윤곽선은 최소 0.5mm이상 두께의 실선으로 그려야 한다.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46. 토목설계 도면의 A3 용지 크기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2016년 07월)
     1. 841×594mm
     2. 594×420mm
     3. 420×297mm
     4. 297×210mm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A4 : 210*297
A3 : 297*420
A2 = 420*594
A1 = 594*841
A0 = 841*1,189
제도용지 세로와 가로비는 1 : 루트2
[해설작성자 : 토목과여신]

47. 문자의 선 굵기는 한글자, 숫자 및 영자 문자 크기의 호칭에 대하여 얼마로 하는 것이 좋은가?(2012년 07월)
     1. 1/2
     2. 1/5
     3. 1/7
     4. 1/9

     정답 : []
     정답률 : 74%

48. 철근의 갈고리 측면도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0년 10월)
     1. 원형갈고리
     2. 직각갈고리
     3. 예각갈고리
     4. 경사갈고리

     정답 : []
     정답률 : 58%

49. CAD란 어떤 프로그램인가?(2008년 07월)
     1.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 프로그램
     2.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 프로그램
     3. 컴퓨터를 이용한 소비 프로그램
     4. 컴퓨터를 이용한 설비 프로그램

     정답 : []
     정답률 : 83%

50. 다음 중 CAD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중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6년 10월)
     1. 운영체제
     2. CPU
     3. RAM
     4. 사운드 카드

     정답 : []
     정답률 : 76%

51. CAD 시스템으로 작성된 도면을 출력할 때 주로 쓰이는 장치는?(2005년 10월)
     1. 디지타이저
     2. 플로터
     3. 터치 패드
     4. 스캐너

     정답 : []
     정답률 : 78%

52. 지름 16mm인 이형철근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2014년 07월)
     1. A16
     2. D16
     3. Φ16
     4. @16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지름 16mm인 이형철근
3. 지름 16mm인 원형철근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53. 다음 그림은 어떤 재료의 단면 표시인가?(2014년 07월)

    

     1. 블록
     2. 아스팔트
     3. 벽돌
     4. 사질토

     정답 : []
     정답률 : 73%

54. CAD의 좌표계 종류가 아닌 것은?(2008년 07월)
     1. 절대좌표
     2. 상대직교좌표
     3. 상대극좌표
     4. 상대접합좌표

     정답 : []
     정답률 : 55%

55. 선의 접속 및 교차에 대한 제도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4%

56. 선의 굵기 비율 중 가는선 : 굵은 선 : 아주 굵은 선의 비율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2008년 10월)
     1. 1 : 2 : 3
     2. 1 : 2 : 4
     3. 1 : 2 : 5
     4. 1 : 3 : 6

     정답 : []
     정답률 : 73%

57.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면을 출력할 때 유의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7월)
     1. 주어진 축척에 맞게 출력 한다.
     2. 출력할 용지 사이즈를 확인 한다.
     3. 도면 출력 방향이 가로인지 세로인지를 선택한다.
     4. 주어진 플롯을 사용하여 출력의 오류를 막는다.

     정답 : []
     정답률 : 61%

58. 인출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7월)
     1. 치수선을 그리기 위해 보조적 역할을 한다.
     2. 치수, 가공법, 주의사항 등을 기입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일점쇄선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원이나 호의 치수는 인출선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59. 그림과 같은 절토면의 경사 표시가 바르게 된 것은?(2011년 02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7%

60. 토목제도의 단면 표시에서 자연석을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2008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정 답 지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92347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토목제도(CAD)


1.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몇 %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가운데에서 가장 작은 치수의 체눈을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것인가?(2013년 07월)
     1. 80%
     2. 85%
     3. 90%
     4. 95%

     정답 : []
     정답률 : 59%

2. 보의 횡지지 간격은 얼마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2009년 09월)
     1. 압축 플랜지 또는 압축면의 최소 폭의 20배
     2. 압축 플랜지 또는 압축면의 최소 폭의 30배
     3. 압축 플랜지 또는 압축면의 최소 폭의 40배
     4. 압축 플랜지 또는 압축면의 최소 폭의 50배

     정답 : []
     정답률 : 23%

3. 다음중 아래 보기의 ( )에 알맞은 것은?(2014년 01월)

   

     1. 150
     2. 200
     3. 250
     4. 30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사진에 "기본정착릴이" 오타가 나셨습니다

4. 인장 또는 압축을 받는 다발철근중의 각 철근의 정착길이는 다발철근이 아닌 각 철근의 정착길이에 비해 일정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4개로 된 다발철근에 대해서는 몇 %를 증가시켜야 하는가?(2004년 10월)
     1. 25%
     2. 33%
     3. 38%
     4. 42%

     정답 : []
     정답률 : 44%

5. 압축부재에 사용되는 나선철근의 순간격 범위로 옳은 것은?(2010년 10월)
     1. 25㎜ 이상, 55㎜ 이하
     2. 25㎜ 이상, 75㎜ 이하
     3. 55㎜ 이상, 75㎜ 이하
     4. 55㎜ 이상, 90㎜ 이하

     정답 : []
     정답률 : 83%

6.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철근비가 0.025 일 때, 철근량 As 는?(2013년 01월)

   

     1. 10cm2
     2. 15cm2
     3. 20cm2
     4. 25cm2

     정답 : []
     정답률 : 70%

7. 콘크리트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분포 식에서 β1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35MPa 일 경우 β1의 값은?(2012년 02월)
     1. 0.801
     2. 0.822
     3. 0.850
     4. 0.878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DS 14 2020:2022
수치변경되었다고 본거같습니다
40MPA이하 0.8
0.8-0.007(fck-28)
-> 0.8-0.007(35-28)
    =0.751

8. 철근콘크리트 보를 강도 설계법으로 설계할 경우 필요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7월)
     1. 보가 파괴를 일으킬 때 압축 축 콘크리트 표면에서의 최대 변형률은 0.003이다.
     2.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은 완전하며 그 경계면에서 상대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3. 보의 극한상태에서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고려한다.
     4. 보에서 임의의 단면이 휨을 받기 전에 평면이었다면 휨변형을 일으킨 뒤에도 평면을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보의 극한 상태에서의 휨모멘트를 계산할 때에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무시한다.
[해설작성자 : 주*민]

9. 강도설계법의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압축연단에 발생되는 등가 직사각형 응력의 깊이(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9월)
     1. 철근의 단면적(AS)에 비례한다.
     2. 철근의 항복강도(fy)에 반비례한다.
     3.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f?ck)에 비례한다.
     4. 사각형보이 폭(b)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10.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철근비가 0.02일 때, 철근량 As 는 얼마인가?(2011년 07월)

    

     1. 10cm2
     2. 16cm2
     3. 20cm2
     4. 26cm2

     정답 : []
     정답률 : 54%

11. 강섬유 보강콘크리트가 주로 사용되는 용도와 거리가 먼 것은?(2008년 10월)
     1. 도로 및 활주로의 포장
     2. 중성자선의 차폐 재료
     3. 터널 라이닝
     4.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제품

     정답 : []
     정답률 : 36%

12.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골재 씻기 시험에 의하여 손실되는 양은 10% 이하로 한다.
     2. 경량골재는 일반적으로 입경이 작을수록 밀도가 커진다.
     3. 경량골재의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원칙적으로 20mm로 한다.
     4. 경량골재를 써서 만든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이 2500~2700kg/m3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경량콘크리트 : 일반적으로 경량콘크리트라고 하면 경량골재콘크리트를 가리키며, 기포콘크리트와 구별한다. 다 같이 구조용, 칸막이벽 또는 고층건축의 철골 내화피복(耐火被覆) 등으로 사용된다. 비중은 2.0 이하로, 기포콘크리트 중에는 물에 뜨는 것도 있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경량골재 콘크리트: 1,400 ~ 2,000 kg/m3
[해설작성자 : 봉봉드링크]

13.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험은?(2015년 10월)
     1. 자르 시험
     2. 브리넬 시험
     3. 비비 시험
     4. 로스앤젤레스 시험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브리넬 시험 : 규정된 강구(鋼球)로 규정된 힘을 가하여 금속의 경도(硬度)를 측정하는 시험법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측정하는 시험
1. 비비시험
2. 흐름시험
3. 슬럼프시험
4. 케리 볼 구관입 시험
5. 리몰딩시험
6. 다짐계수시험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14. 다음 중 강도 설계법의 기본 가정이 아닌 것은?(2008년 10월)
     1. 콘크리트 및 철근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반비례한다.
     2.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은 완전하며, 그 경계면에서 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3. 보의 극한 상태에서의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무시한다.
     4. 보의 휨을 받기 전에 생각한 임의의 단면을 휨을 받아 변형을 일으킨 뒤에도 그대로 평면을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콘크리트 및 철근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쏘싸이]

15. 철근기호의 SD 300에서 300의 의미는?(2015년 10월)
     1. 철근의 단면적
     2. 철근의 항복강도
     3. 철근의 연신율
     4. 철근의 공칭지름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철근은 단면의 형태에 따라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으로 구분
(2) 철근의 기호는 SR(Steel Round, 원형)과 SD(STeel Deformed, 이형)의 뒤에 항복강도를 숫자로 표시하여 나타낸다.
(3) 항복강도 400MPa(SD 400) 이상을 고강도 철근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16. 단순보에서의 전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1월)
     1. 전단철근에는 스터럽과 절곡철근이 있다.
     2. 전단균열의 형태는 45°의 경사방향이다.
     3. 휨모멘트에 대하여 먼저 검토한 후 전단을 검토한다.
     4. 보에서 최대 전단응력이 발생하는 부분은 지간의 중앙 부분이다.

     정답 : []
     정답률 : 38%

17. 구조 재료로서 강재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2002년 10월)
     1. 재료의 균질성이 떨어진다.
     2. 부재를 개수하거나 보강하기 어렵다.
     3. 차량 통행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4. 강 구조물을 사전 제작하여 조립이 힘들다.

     정답 : []
     정답률 : 76%

18. 교량의 설계하중에 있어서 주하 중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2003년 07월)
     1. 항상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2. 때에 따라 작용하는 하중
     3. 특별히 고려되어야 하는 하중
     4. 온도의 변화에 따른 하중

     정답 : []
     정답률 : 73%

19. 비례한도 이상의 응력에서도 하중을 제거하면 변형이 거의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의 한도를 칭하는 용어는?(2014년 01월)
     1. 상항복점
     2. 극한강도
     3. 탄성한도
     4. 소성한도

     정답 : []
     정답률 : 77%

20. 보의 주철근을 고정하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부분 보강단면으로서 전단력 및 최대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은?(2013년 10월)
     1. 점철근
     2. 스터럽
     3. 부철근
     4. 배력철근

     정답 : []
     정답률 : 47%

2과목 : 철근콘크리트


21. 토목 구조물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2015년 10월)
     1. 구조의 안전성
     2. 사용의 편리성
     3. 건설의 경제성
     4. 재료의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79%

22.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 철근은?(2011년 02월)
     1. 띠철근
     2. 원형철근
     3. 배력철근
     4. 나선철근

     정답 : []
     정답률 : 69%

23. 강재의 이음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5년 10월)
     1. 용접이음
     2. 고장력 볼트이음
     3. 리벳이음
     4. 록 볼트이음

     정답 : []
     정답률 : 49%

24. 교량의 분류방법과 교량의 연결이 바른 것은?(2008년 02월)
     1. 사용 재료에 따른 분류 - 거더교
     2. 사용 용도에 따른 분류 - 곡선교
     3. 통로의 위치에 따른 분류 - 중로교
     4. 평면 형상에 따른 분류 - 2층교

     정답 : []
     정답률 : 65%

25. 콘크리트 속에 철근을 배치하여 양자가 일체가 되어 외력을 받게 한 구조는?(2010년 01월)
     1. 철근 콘크리트 구조
     2. 무근 콘크리트 구조
     3. 프리스트레스트 구조
     4. 합성구조

     정답 : []
     정답률 : 68%

26. 교량의 구성에 있어서 상부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9월)
     1. 바닥판
     2. 바닥틀
     3. 주트러스
     4. 교대

     정답 : []
     정답률 : 64%

27.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활하중이 교량 위를 달릴 때 교량이 진동하게 된다. 즉, 자동차가 정지하여 있을 때보다 그 하중의 영향이 훨씬 커지는 데 이러한 하중을 무엇이라 하는가?(2008년 07월)
     1. 설 하중
     2. 고정 하중
     3. 충격 하중
     4. 풍 하중

     정답 : []
     정답률 : 65%

28. 교량의 구성을 바닥판, 바닥틀, 교각, 교대, 기초 등으로 구분할 때, 바닥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상부 구조로서 사람이나 차량 등을 직접 받쳐주는 포장 및 슬래브 부분을 뜻한다.
     2. 상부 구조로서 바닥판에 실리는 하중을 받쳐서 주형에 전달해주는 부분을 뜻한다.
     3. 하부 구조로서 상부 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로 전해주는 부분을 뜻한다.
     4. 하부 구조로서 상부 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으로 전해주는 부분을 뜻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교량의 상부구조: 바닥판, 바닥틀, 보, 트러스, 라멘, 슬래브
교량의 하부구조: 교각,교대, 기초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29. 구조물의 파괴 상태 또는 파괴에 가까운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그 구조물의 사용 기간 중에 예상되는 최대 하중에 대하여 구조물의 안전을 적절한 수준으로 확보하려는 설계방법으로 하중 계수와 강도 감소 계수를 적용하는 설계법은?(2013년 07월)
     1. 강도 설계법
     2. 허용 응력 설계법
     3. 한계 상태 설계법
     4. 안전율 설계법

     정답 : []
     정답률 : 57%

30. 서해대교와 같이 교각 위에 주탑을 세우고 주탑과 경사로 배치된 케이블로 주형을 고정시키는 형식의 교량은?(2013년 10월)
     1. 현수교
     2. 라멘교
     3. 연속교
     4. 사장교

     정답 : []
     정답률 : 69%

31. 도면의 작성 방법에서 원도를 그리는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8년 10월)
     1. 도면의 배치 → 선 긋기 → 도면의 구성 → 글자 및 기호쓰기 → 도면의 검토
     2. 도면의 구성 → 도면의 배치 → 선 긋기 → 글자 및 기호쓰기 → 도면의 검토
     3. 도면의 배치 → 도면의 구성 → 도면의 검토 → 선 긋기 → 글자 및 기호쓰기
     4. 도면의 구성 → 도면의 배치 → 도면의 검토 → 선 긋기 → 글자 및 기호쓰기

     정답 : []
     정답률 : 66%

32. 도로교의 표준트럭하중 DB-24 하중에서 후륜하중은?(2013년 07월)
     1. 24kN
     2. 54kN
     3. 72kN
     4. 96kN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DB-24 =24*4000k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정한 힘을 가한 상태에서 힘은 변화하지 않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변형이 증가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2011년 07월)
     1. 탄성
     2. 크랙
     3. 소성
     4. 크리프

     정답 : []
     정답률 : 76%

34. 철근의 항복으로 시작되는 보의 파괴 형태로 철근이 먼저 항복한 후에 콘크리트가 큰 변형을 일으켜 사전에 붕괴의 조짐을 보이면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파괴는?(2016년 07월)
     1. 취성 파괴
     2. 연성 파괴
     3. 경성 파괴
     4. 강성 파괴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취성파괴 : 재료가 외력에 의해 거의 소성 변경을 동반하지 않고 파괴되는 것. 취성 파괴는 불안정적이며, 고속으로 진전한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재료일수록 취성적 파괴를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35. 치수 기입 중 SR40 이 의미하는 것은?(2010년 07월)
     1. 반지름 40㎜인 원
     2. 반지름 40㎜인 구
     3. 한변이 40㎜인 정사각형
     4. 한변이 40㎜인 정삼각형

     정답 : []
     정답률 : 70%

36. 토목제도에서 보기와 같은 이음은 다음 중 어떤 이음을 나타낸 것인가?(2006년 01월)

    

     1. 철근 용접 이음
     2. 철근 갈고리 이음
     3. 철근의 기계적 이음
     4. 철근의 평면 이음

     정답 : []
     정답률 : 86%

37. 윤곽선은 도면의 크기에 따라 몇 ㎜ 이상의 굵기인 실선으로 긋는가?(2002년 10월)
     1. 0.1㎜
     2. 0.3㎜
     3. 0.4㎜
     4. 0.5㎜

     정답 : []
     정답률 : 74%

38. 그림과 같은 모양의 i형강 2개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단, 축방향 길이=2000)(2005년 10월)

    

     1. 2-i 30×60×10×2000
     2. 2-i 60×30×10×2000
     3. i-2 10×60×30×2000
     4. i-2 10×30×60×2000

     정답 : []
     정답률 : 68%

39. 그림은 무엇을 작도하기 위한 것인?(2010년 07월)

    

     1. 사각형에 외접하는 최소 삼각형
     2. 사각형에 외접하는 최대 삼각형
     3.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대 정사각형
     4.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소 직사각형

     정답 : []
     정답률 : 68%

40. 콘크리트 구조물 제도에서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한 도면은?(2015년 10월)
     1. 단면도
     2. 구조도
     3. 상세도
     4. 일반도

     정답 : []
     정답률 : 58%

41. 다음 중 도면에서 가장 굵은 선이 사용되는 것은?(2013년 10월)
     1. 중심선
     2. 절단선
     3. 해칭선
     4. 외형선

     정답 : []
     정답률 : 83%

42. 선의 굵기 비율 중 가는선 : 굵은선 : 아주 굵은선의 비율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2006년 01월)
     1. 1 : 2 : 3
     2. 1 : 2 : 4
     3. 1 : 2 : 5
     4. 1 : 3 : 6

     정답 : []
     정답률 : 74%

43. 다음 중 블록의 단면 표시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블록
2. 인조석
3. 콘크리트
4. 벽돌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은 자연석입니다.
인조석은 실선 두개에 파선 하나예요
[해설작성자 : 진주기공인]

44. 도면을 사용 목적, 내용, 작성 방법 등에 따라 분류할 때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에 속하는 것은?(2014년 01월)
     1. 부품도
     2. 계획도
     3. 공정도
     4. 스케치도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할 때 계획도, 설계도, 제작도, 시공도가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45. 다음 중 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윤곽선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10월)
     1. 0.3mm 굵기의 실선
     2. 0.5mm 굵기의 파선
     3. 0.7mm 굵기의 실선
     4. 0.9mm 굵기의 파선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윤곽선은 최소 0.5mm이상 두께의 실선으로 그려야 한다.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46. 토목설계 도면의 A3 용지 크기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2016년 07월)
     1. 841×594mm
     2. 594×420mm
     3. 420×297mm
     4. 297×210mm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A4 : 210*297
A3 : 297*420
A2 = 420*594
A1 = 594*841
A0 = 841*1,189
제도용지 세로와 가로비는 1 : 루트2
[해설작성자 : 토목과여신]

47. 문자의 선 굵기는 한글자, 숫자 및 영자 문자 크기의 호칭에 대하여 얼마로 하는 것이 좋은가?(2012년 07월)
     1. 1/2
     2. 1/5
     3. 1/7
     4. 1/9

     정답 : []
     정답률 : 74%

48. 철근의 갈고리 측면도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0년 10월)
     1. 원형갈고리
     2. 직각갈고리
     3. 예각갈고리
     4. 경사갈고리

     정답 : []
     정답률 : 58%

49. CAD란 어떤 프로그램인가?(2008년 07월)
     1.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 프로그램
     2.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 프로그램
     3. 컴퓨터를 이용한 소비 프로그램
     4. 컴퓨터를 이용한 설비 프로그램

     정답 : []
     정답률 : 83%

50. 다음 중 CAD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중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6년 10월)
     1. 운영체제
     2. CPU
     3. RAM
     4. 사운드 카드

     정답 : []
     정답률 : 76%

51. CAD 시스템으로 작성된 도면을 출력할 때 주로 쓰이는 장치는?(2005년 10월)
     1. 디지타이저
     2. 플로터
     3. 터치 패드
     4. 스캐너

     정답 : []
     정답률 : 78%

52. 지름 16mm인 이형철근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2014년 07월)
     1. A16
     2. D16
     3. Φ16
     4. @16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지름 16mm인 이형철근
3. 지름 16mm인 원형철근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53. 다음 그림은 어떤 재료의 단면 표시인가?(2014년 07월)

    

     1. 블록
     2. 아스팔트
     3. 벽돌
     4. 사질토

     정답 : []
     정답률 : 73%

54. CAD의 좌표계 종류가 아닌 것은?(2008년 07월)
     1. 절대좌표
     2. 상대직교좌표
     3. 상대극좌표
     4. 상대접합좌표

     정답 : []
     정답률 : 55%

55. 선의 접속 및 교차에 대한 제도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4%

56. 선의 굵기 비율 중 가는선 : 굵은 선 : 아주 굵은 선의 비율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2008년 10월)
     1. 1 : 2 : 3
     2. 1 : 2 : 4
     3. 1 : 2 : 5
     4. 1 : 3 : 6

     정답 : []
     정답률 : 73%

57.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면을 출력할 때 유의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7월)
     1. 주어진 축척에 맞게 출력 한다.
     2. 출력할 용지 사이즈를 확인 한다.
     3. 도면 출력 방향이 가로인지 세로인지를 선택한다.
     4. 주어진 플롯을 사용하여 출력의 오류를 막는다.

     정답 : []
     정답률 : 61%

58. 인출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7월)
     1. 치수선을 그리기 위해 보조적 역할을 한다.
     2. 치수, 가공법, 주의사항 등을 기입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일점쇄선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원이나 호의 치수는 인출선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59. 그림과 같은 절토면의 경사 표시가 바르게 된 것은?(2011년 02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7%

60. 토목제도의 단면 표시에서 자연석을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2008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92347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토목, 제도,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28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72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726 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8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8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923471)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724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2127812)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72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통신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722 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9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721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720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875208)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719 RFID-GL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6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718 방송통신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717 수능(세계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716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71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3562053)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714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713 설비보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2712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711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710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709 축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8822185)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235 Next
/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