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05610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워드프로세싱 일반


1.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워드 랩(Word Wrap): 단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공백을 없애고 문장의 양쪽 끝을 맞추는 것을 말한다.
     2. 보일러 플레이트(Boiler Plate): 작성 중인 문서 내에 머리말, 꼬리말, 주석 같은 것을 표시하기 위해 따로 설정한 구역이다.
     3. 래그드(Ragged): 문단의 각 행 중에서 오른쪽 끝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이다.
     4. 클립보드(Clipboard): 버퍼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임시 기억 장소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워드랩은 단어가 줄의 끝에서 잘릴 경우    단어 전체를    다음 줄로    이동시키는 기능.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

1번은 워드랩이 아닌 영문 균등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취업하면 고백한다]

워드랩 : 워드(단어를) 랩으로 감싸서 통째로 이동시킨다고 연상 암기해보세요
[해설작성자 : ㅇㅇ]

2. 다음 중 메일머지(Mail Merge)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이름이나 직책, 주소 등만 다르고 나머지 내용은 같은 여러 통의 편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기능이다.
     2. 다단 편집이나 표, 수식 작성 등을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이다.
     3. 반드시 데이터 파일은 워드프로세서 문서 파일이어야 한다.
     4. 반드시 데이터 파일에서 메일머지 기능을 실행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메일머지란 메일 병합기능의 일종으로 내용이 거의 동일하지만 이름, 주소등 특정 부분만 다른 편지같은 내용을 쉽게 만들어 주는 기능입니다.

[추가 해설]

데이터 파일과 내용(본문)을 따로 만들고
내용에서 메일머지 기능 실행.

데이터 파일은, 한글,ms워드,텍스트,엑세스,엑셀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나야나]

3. 다음 중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한자 목록이나 한자 사전에서 해당 한자를 선택 하여 입력한다.
     2. 한자 사전에 없는 단어일 경우 사용자가 등록시킬 수 있다.
     3. 한자의 음을 모를 때에는 문장자동변환으로 입력한다.
     4. 음절단위 변환은 한글로 음을 먼저 입력한 후 한 글자씩 한자로 변환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한자음을 모를때에는 부수, 외자, 2-stroke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양천구 신정동 현대정보컴퓨터학원 이쌤]

한자의 음을 아는 경우: 한글/한자 음절 단위 변환, 단어 단위 변환,문장 자동 변환
한자의 음을 모르는 경우: 부수 입력, 외자 입력, 2Stroke 입력
[해설작성자 : 허경영을 불러봐~]

4. 다음 중 마우스로 영역(블록)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9월)
     1. 한 단어 영역 지정 : 해당 단어 안에 마우스 포인터를 놓고 두 번 클릭한다.
     2. 한 줄 영역 지정 : 해당 줄의 왼쪽 끝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여 포인터가 화살표로 바뀌면 두 번 클릭한다.
     3. 문단 전체 영역 지정 : 해당 문단의 임의의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놓고 세 번 클릭한다.
     4. 문서 전체 영역 지정 : 문단의 왼쪽 끝으로 마우스포인터를 이동하여 포인터가 화살표로 바뀌면 세 번 클릭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줄의 중간에서
한번 클릭 : 위치 지정
두번 클릭 : 단어 지정
세번 클릭 : 문단 지정

줄의 맨처음에서
한번 클릭 : 줄 지정
두번 클릭 : 문단 지정
세번 클릭 : 전체 지정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성컴퓨터학원]

5. 업무 협조요청을 받은 기관이 협조요청 문서에 흠이 있음을 발견한 때에는 접수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보완을 요구하여야 하는가?(사무관리규정 개정으로 제외된 문제입니다.정답은 2번 입니다.)(2006년 11월)
     1. 1일
     2. 3일
     3. 5일
     4. 7일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업무 협조요청을 받은 기관이 협조요청 문서에 흠이 있음을 발견한 때에는 접수한 날부터 3일 이내에 보완을 요구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똑똑이]

6. 다음 중 공문서 항목 구분 시 넷째 항목의 항목 구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호는?(2010년 09월)
     1. 가, 나, 다, …
     2. 가), 나), 다), …
     3. ㉮, ㉯, ㉰, ㉰
     4. (가), (나), (다), …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가 → 1) → 가) → (1) → (가) → ① → ㉮

7.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들여쓰기를 하면 문서의 분량이 증가될 수 있다.
     2. 피치(Pitch)가 클수록 문자 사이의 간격은 넓어진다.
     3. 수식편집기를 이용해 편집한 식들은 철자 검사로 검사하지 못한다.
     4. 각주는 본문의 입력할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피치가 클수록 문자 사이 간격은 좁아진다.

8. 다음 보기의 각 기능과 설명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1년 06월)

   

     1. (가) - (A)
     2. (나) - (B)
     3. (다) - (C)
     4. (라) - (D)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B는 꼬리말,C는 보일러 플레이트,D는 매크로 입니다.
디폴트는 전반적인 규정이나 서식 설정, 메뉴 등 이미 갖고 있는 값으로 기본값 또는
표준 값이라고 합니다.

9.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문자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첨자 문자는 전각 문자의 1/2 축소 문자를 말한다.
     2. 반각 문자는 문자의 폭과 높이의 비율이 1:1인 문자를 말한다.
     3. 종배 문자는 전각 문자를 가로로 2배 확대한 문자를 말한다.
     4. 양배 문자는 전각 문자를 가로·세로로 각각 2배씩 확대한 문자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첨자문자는 전각 문자의1/4 크기의 문자를 말한다
반각문자는 전각 문자를 가로로 1/2축소를 말한다
종배문자는    전각 문자를 세로로 2배확대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히어로]

10.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출력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B4 편집용지로 작성한 문서를 A4 인쇄용지에 축소하여 인쇄할 수 없다.
     2. 하나의 문서를 인쇄하면서 동시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3. 작성한 문서의 내용을 파일로 인쇄할 수 있다.
     4. 프린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면 출력 시간이 길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B4편집 용지로 작성한 문서나 A4나 문서 비율은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A4인쇄 용지에 축소하여 인쇄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심병장]

11. 다음 중 문서저장 시 파일명 및 확장자(Extension)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문서 파일명은 문서의 성격 및 내용이 무엇인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간단하게 지정하는 것이 좋다.
     2. 일반적으로 *.bak 파일은 문서가 변경되어 저장되는 경우 그 이전의 문서 내용을 저장하는 백업 파일이다.
     3.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 따라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확장자는 정해지므로 임의로 사용자가 다른 형식으로 바꾸어 저장할 수 없다.
     4. 특정 워드프로세서에서 작성한 문서 파일의 확장자를 다르게 바꾸더라도 다음에 그 워드프로세서에서 파일을 읽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 따라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확장자는 정해져 있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다른 형식으로 바꾸어 저장할 수 있습니다.(HWP ->TXT)

12. 다음 중 치환(Replace)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한글, 특수 문자, 영어, 한자 등을 바꿀 수 있다.
     2. 문서에서 특정 단어를 검색하여 다른 단어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3. 단어는 바꿀 수 있어도 글꼴의 크기, 모양, 속성은 바꿀 수 없다.
     4. 문서에서 원하는 부분을 블록으로 설정하면 설정된 부분에 대해서만 바꾸기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치환] 기능에서 글꼴의 크기, 모양, 속성 모두 바꾸기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딸기머핀]

13.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용어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옵션(Option) : 어떤 기능에 대한 지시를 부여하거나 지시할 때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말한다.
     2. 캡션(Caption) : 글자를 구부리거나 글자에 외곽선, 그림자, 회전 등의 효과를 주어 글자를 꾸미는 것을 말한다.
     3. 스크롤(Scroll) : 문장 입력중 한글이나 영어 단어가 길어 문장의 끝에 걸쳐질 때 그 단어 자체를 다음 줄로 넘기는 기능이다.
     4. 래그드(Ragged) : 문서의 왼쪽 끝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2.캡션 : 그림,사진에 붙는 짧은 해설문이나 글
3.스크롤 : 문서작성시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기능
4.래그드 : 문서의 한쪽끝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
[해설작성자 : 쑥이]

14. 다음은 문서관리 원칙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8년 03월)

    

     1. 정확성
     2. 신속성
     3. 용이성
     4. 경제성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올바르게 라고 적혀 있으니 정확성이겠죠?
[해설작성자 : 필기 간당]

정확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확성 : 문서를 착오없이 올바르게 처리하는 과정입니다.

신속성 : 문서의 유통 경로 및 처리 과정을 단축하도록 설계합니다.
용이성 : 업무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경제성 : 사무를 처리하는 인원 및 사무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집중 관리 및 집중 처리 방법을 강구하도록 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15.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하드 카피(Hard Copy) : 소프트카피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화면 그대로를 프린터에 인쇄하는 것을 말한다.
     2. 프린터 버퍼(Printer Buffer) : 인쇄한 내용을 임시 보관하는 장소로 용량을 크게 할수록 기억장소를 많이 차지하여 출력 속도가 느리다.
     3. 용지 넘김(Form Feed) : 프린터에서 다음 페이지의 맨 처음위치까지 종이를 밀어 올리는 것을 말한다.
     4. 프린터 드라이버(Printer Driver) : 워드프로세서의 산출된 출력 값을 특정 프린터 모델이 요구하는 형태로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프린터버퍼는 중앙처리장치와 프린터와의 처리속도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를 임시 보관하는 곳. 프린터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입니다. 버퍼가 크면 많은 작업양을 받기때문에 프린터 작업을 빨리 끝낼 수 있습니다.

16. 결재권자가 휴가, 출장 기타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자가 대결할 수 있되, 그 내용이 중요한 문서에 대하여는 결재권자에게 후에 어떻게 조처하여야 하는가?(2011년 06월)
     1. 사후에 보고한다.
     2. 사후에 반드시 결재를 받는다.
     3. 정규 결재과정을 다시 거친다.
     4. 내부 결재과정을 거친 후 시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결재권자가 휴가, 출장 기타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자가 대결할 수 있되, 그 내용이 중요한 문서에 대하여는 결재권자에게 사후에 보고를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사악소녀★]

선결 : 먼저 결재
전결 : 위임받은자
대결 : 대신결재
후결 : 나중에 결재

17.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전자통신 출판의 종류는 무엇인가?(2014년 06월)

    

     1. 온라인 데이터베이스형
     2. 패키지형
     3. 컴퓨터 통신형
     4. DTP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문제에서 "온라인"이라는 단어가 주어 졌으며 과학, 기술, 비즈니등 다량의 "정보를 검색"하는 형태라 하였으므로 데이터베이스 라는 단어를 유추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패키지형: cd-rom 타이틀, dvd 등 종이가 아닌 매체에 기록을 하는 형태로 문자, 사진, 영상,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를 표현
컴퓨터 통신형: 전자 잡지, 전자 회의 시스템, 전자 메일 박스 등에 이용
DTP: 도서 출판 제작용으로 전자출판에 사용
[해설작성자 : 둥가]

18. 다음 중 소트(sor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한번 정렬된 내용을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재배열 할 수 없다.
     2.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을 오름차순 정렬이라고 한다.
     3. 오름차순은 숫자, 영문자, 한글 순으로 정렬된다.
     4. 큰 것부터 작은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은 내림차순 정렬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한번 정렬된 내용을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재배열 할 수있다.
[해설작성자 : 유강컴퓨터학원 ]

19. 다음 중에서 서로 상반되는 의미를 갖는 교정부호로 짝지어진 것은?(201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번문제 넣어주는거랑 빼주는거입니다

20.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캡션(Caption) : 명령이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추가 적인 요소나 선택 항목이다.
     2. 포메터(Formatter) : 메뉴나 서식 설정을 할 때 이미 설정 되어 있는 기본 값이다.
     3. 미주(Endnote) : 문서의 내용을 설명하거나 인용한 원문의 제목을 알려주는 보충 구절로 문서의 맨 마지막에 표시하는 기능을 말한다.
     4. 소프트 카피(Soft Copy) :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그대로 프린터에 인쇄하는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미주 : 각주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며, 본문 페이지와는 상관없이 문서의 맨 뒷부분에 모아서 표시 하는것
[해설작성자 : 컴맹]

캡션은 문서에 포함된 표나 그림에 붙이는 제목 또는 설명입니당
1번은 옵션에 대한 설명입니당
2번은 디폴트에 대한 설명입니당
[해설작성자 : 혹지니]

4번은 하드카피에 대한 설명입니다.
소프트카피 : 비디오 영상이나 소리와 같이 인쇄물이 아닌 다른 형태로 자료를 표시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헿]

1번.
[캡션(Caption)]
워드 프로세서에서 삽입된 그림이나 도표, 사진 등의 이해를 돕기위해 작성하는 간단한 주석(설명)문으로 상,하,좌,우, 등에 위치시킬 수 있습니다.

[옵션(Option)]
명령이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추가적인 선택 항목입니다.

2번.
[포매터(Formatter)]
특정 형식으로 저장, 표시 또는 인쇄하기 위해 데이터를 준비하는 프로그램이나 장치입니다.
형식을 만들거나 설정하는 사람 또는 사물입니다.

[디폴트(Default) : 기본 값]
별도의 사용자 설정이 없는 경우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값이나 조건을 자동으로 적용시켜 놓은 것입니다.
여러 가지 설정 항목들에 기본적으로 주어진 값입니다.

4번.
[소프트 카피(Soft Copy)]
인쇄하지 않고 영상이나 소리처럼 다른 형태로 표시하는 것입니다.
화면에 출력된 내용은 언제든 수정이 가능합니다.

[하드 카피(Hard Copy)]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로 실제 물리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출력된 결과물에 수정이 불가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를 부팅할 때 수행하는 POST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ROM-BIOS에 있는 검사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기능이다.
     2. 부트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기능이다.
     3. 하나의 컴퓨터에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한 경우에 다중부팅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4. 컴퓨터의 최소한의 장치만을 설정하여 부팅하는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POST란 파워 온 셀프 테스트의 약자로 ROM-BIOS에 있는 검사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기능이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되는 [Windows 도움말 및 지원]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도움말은 하이퍼텍스트 방식으로 제공되어 관련 항목의 도움말로 이동이 용이하다.
     2. 제목별로 검색할 수 있으며, 도움말의 내용을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다.
     3. 도움말을 보다가 표시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인터넷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4. 원격 지원이나 온라인 기술지원을 통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도움말의 내용은 사용자가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호주]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문서나 그림 같은 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파일의 확장자에 의해 결정된다.
     2. 특정한 데이터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연결 프로그램]-[프로그램 선택]을 선택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3. 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Windows] 창이 표시되는데, 이는 현재 연결 프로그램이 지정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4. [연결 프로그램] 대화 상자에서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연결된 데이터 파일도 삭제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한다고 해서 데이터 파일까지 삭제되지는 않습니다.
단지 연결되어있던 프로그램과의 연결이 끊기기만 하는거죠.
[해설작성자 : 카스타드~]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4년 06월)
     1. 표준 사용자는 자신이 설치한 소프트웨어만 사용할 수 있다.
     2. 표준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 유형을 관리자로 변경 할 수 없다.
     3. 관리자 계정은 유해한 프로그램이 컴퓨터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을 변경 할 수 있다.
     4. 관리자 계정은 다른 관리자 계정을 포함하여 모든 계정의 암호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표준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고 이미 설치된 프로그램만 실행시킬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사용자 계정]
여러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용으로 사용시에 사용자마다 설정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게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계정에는 관리자 계정, 표준 사용자 계정이 있습니다.
관리자 계정 : 실제 컴퓨터의 관리자로 모든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표준 사용자 계정 : 일반 사용자로 자신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나 설치된 앱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중요 설정 변경 불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파일을 선택한 후 바로 가기 메뉴에서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하여 작성
     2. 바로 가기 아이콘을 작성할 항목을 <Ctrl> + <Alt>키를 누른 채 드래그 앤 드롭하여 작성
     3. 파일을 선택한 후 [파일] 메뉴에서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하여 작성
     4.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나타나는 메뉴에서 [여기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하여 작성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번 파일의 바로가기만들기 단축키는 <Ctrl>+<Alt>+파일드래그가 아닌 <Ctrl>+<Shift>+파일드래그 입니다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도구]의 [시스템 복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4월)
     1. 컴퓨터를 손상시킬 수 있는 변경 내용을 추적하고 복원할 수 있다.
     2. 시스템의 복원 상태나 시스템 복원에 사용 가능한 최소 디스크 공간은 백분비율로 50%이다.
     3. 시스템의 복원을 위한 디스크 공간을 줄이면 사용 가능한 복원 지점수가 줄어들 수도 있다.
     4. [시스템 등록 정보]창의 [시스템 복원]탭에서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 시스템의 복원 상태나 시스템 복원에 사용 가능한 최소 디스크 공간은 백분비율로 50%미만으로도 할수가 있다.
하드디스크 전체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C드라이브의 경우, 통상 12%정도가 기본값임. 수동설정 시 최소 200MB이상 설정해야 함.
[해설작성자 : 인천애드아트 유쌤]

27. 한글 Windows 7에서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USB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면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영구히 삭제된다.
     2.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마다 휴지통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3. 휴지통에 있는 특정 폴더를 더블클릭하면 해당 폴더의 속성 창이 나타난다.
     4.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원본 사진을 미리 보기로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사진 파일의 속성 창이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휴지통에 넣고 해봄]

휴지통에 있는 파일은 열어보지 못하기 때문에 사진을 미리 볼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워드따고싶다..]

[휴지통]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가 임시 보관되는 장소로 복원이 가능하며 각 드라이브마다 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휴지통의 실제 파일이 저당되는 폴더의 위치는 운영체제에서 지정하므로 사용자가 지정할수 없으며 휴지통에 삭제한 파일이나 들어가면 휴지통 아이콘의 모양이 변경됩니다.
휴지통은 드라이브마다 한 개씩 만들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5% ~ 10%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MB단위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휴지통의 용량이 초과하면 가장 과거의 파일이 제거되며 휴지통용량보다 큰파일을 삭제시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즉시 제거 됩니다.
휴지통에 보관된 파일이나 폴더는 휴지통 내에서 실행이 불가하며 사용시 복원(복구)후 실행 가능합니다.
휴지통에 보관없이 바로 삭제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며 삭제할때마다 메시지가 표시되도록도 설정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검색 결과] 창에서 특정한 파일이나 폴더를 찾기 위한 검색 옵션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파일에 들어있는 단어나 문장을 입력하여 파일을 찾을수 있으며 찾을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다.
     2. 검색하려는 파일의 수정된 시작 날짜와 끝 날짜를 지정하거나 수정 횟수를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다.
     3. 검색하고자 하는 파일의 크기 지정을 조건으로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4. 시스템 폴더 검색이나 숨김 파일 및 폴더 검색, 하위 폴더 검색 등과 같은 고급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검색결과창 아래쪽에 언제 수정 되었는지, 어떤크기인지, 또 고급옵션엔 숨긴파일 검색 등이 있는걸 알 수 있다. 검색결과창 문제에선 횟수!를 조심합시다.
[해설작성자 : 때비]

29. 한글 Windows XP에서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연결하고자 할 때 설정하는 유형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인터넷 연결 공유(ICS)의 사용
     2. 컴퓨터와 xDSL이나 케이블 모뎀을 이더넷 허브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
     3. 상설 게이트웨이의 사용
     4. 포털 사이트에 홈페이지를 등록하여 사용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번과 같은 기능은 없습니다.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폴더를 선택하고 바로 가기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면 해당 폴더가 삭제되어 휴지통으로 들어간다.
     2. 휴지통에 있는 폴더를 더블클릭하면 폴더 창이 활성화된다.
     3. 명령 도구 모음에 있는 [휴지통 비우기]를 클릭하면 휴지통에 있는 모든 내용을 영구히 삭제할 수 있다.
     4.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은 미리보기 창에서 볼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휴지통에 있는 폴더나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파일 삭제한 날짜,원래 위치 등이 표시된 창이 뜨지 폴더 창이 뜨는 것이 아닙니다. 폴더 창을 열려면 휴지통에서 복원을 해야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안알랴줌]

휴지통에 있는 폴더를 더블클릭하면 속성 창이 뜹니다.(폴더 창이 활성화되지 않고)
[해설작성자 : 최강용가리맨 블로그 짱짱!!]

[휴지통]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가 임시 보관되는 장소로 복원이 가능하며 각 드라이브마다 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휴지통의 실제 파일이 저당되는 폴더의 위치는 운영체제에서 지정하므로 사용자가 지정할수 없으며 휴지통에 삭제한 파일이나 들어가면 휴지통 아이콘의 모양이 변경됩니다.
휴지통은 드라이브마다 한 개씩 만들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5% ~ 10%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MB단위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휴지통의 용량이 초과하면 가장 과거의 파일이 제거되며 휴지통용량보다 큰파일을 삭제시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즉시 제거 됩니다.
휴지통에 보관된 파일이나 폴더는 휴지통 내에서 실행이 불가하며 사용시 복원(복구)후 실행 가능합니다.
휴지통에 보관없이 바로 삭제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며 삭제할때마다 메시지가 표시되도록도 설정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의 이름을 바꾸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해당 파일의 아이콘을 선택한 후에 바로가기 메뉴에서 [이름 바꾸기]를 선택하면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2. 해당 파일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파일 이름 부분을 다시 한 번 더 클릭하면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3. 해당 파일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F2] 키를 누르면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4. [탐색기] 창에서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에 [편집] 메뉴의 [이름 바꾸기]를 선택하면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이름 바꾸기] 메뉴는 [파일] 메뉴의 하위에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상원]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폴더의 속성 창 중 [공유] 탭에서 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공유 사용 권한에서 그룹 또는 사용자 이름을 추가 할 수 있다.
     2. 동시 사용자의 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최대 10명까지만 가능하다.
     3. 고급 공유 설정에서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 권한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4.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할 폴더의 이름을 새로 지정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동시 사용자의 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최대 20명까지만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흰우유]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할 네트워크 어댑터의 유형과 장치가 장착된 위치 등을 알 수 있다.
     2. 네트워크 기능의 유형에는 라우터, 게이트웨이, 리피터 등이 있다.
     3. 네트워크가 IP 자동 설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게이트웨이, DNS 서버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4. 기본 게이트웨이와 DNS 서버 주소는 2개 이상 여러 개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라우터, 게이트웨이, 리피터 등은 네트워크 관련 장비들의 기능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네트워크 기능에는 클라이언트, 프로토콜, 서비스, 어댑터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셤대박]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선택된 개체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선택한 개체를 복사한 후에 바탕 화면의 빈 공간에서 바로 가기 메뉴의 [바로 가기 붙여넣기]를 선택한다.
     2.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원하는 위치로 끌어다 놓으면 표시되는 바로가기 메뉴에서 [여기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한다.
     3. <Ctrl> + <Alt> 키를 누른 채 원하는 위치로 끌어다 놓는다.
     4. 폴더 창에 있는 개체는 메뉴 모음에서 [파일]-[바로가기 만들기]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 <Ctrl> + <Alt> 가 아닌, <Ctrl> + <Shift> 이다
[해설작성자 : 알]

[바로가기 아이콘(단축 아이콘)]
자주 사용하는 문서나 앱,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으로 원본 파일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폴더나 파일, 다른 컴퓨터, 프린터 등등, 모든 개체에 대해 작성할 수 있으며 아이콘의 왼쪽 하단에 화살 표시가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확장자는 .LNK이며 컴퓨터에 여러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원본에는 여러개의 바로가기 아이콘이 존재 할 수 있고 하나의 바로가기에는 단 하나의 원본만을 연결 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아이콘은 원본의 위치와 관계없이 만들 수 있고 삭제, 복사, 이동 하더라도 원본파일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만드는 방법으로는 ‘바로가기 메뉴(우클릭)’를 통하여, ‘Ctrl + Shift’ 드래그로 만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드래그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단, 원본파일 삭제시 바로가기 아이콘은 실행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제어판]에 있는 [기본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기본 프로그램 설정
     2. 파일 형식 또는 프로토콜을 프로그램과 연결
     3. 자동 재생 설정 변경
     4. 파일 형식 및 프로토콜 제거 또는 복구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선택 할수 있는 항목으로는,

1.기본 프로그램설정
2.파일 형식 또는 프로토콜을 프로그램과 연결
3.자동 재생 설정 변경
4.이 컴퓨터의 기본 프로그램 설정

제거 또는 복구란 말은 없다.
[해설작성자 : 박상민내이름올라가는기야!?내일시험이다!]

36. 한글 Windows XP에서 작업 표시줄의 오른쪽에 있는 알림 영역의 바로 가기 메뉴에 표시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2006년 08월)
     1. 날짜/시간 조정
     2. 알림 사용자 지정
     3. 열기
     4. 작업 관리자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작업 표시줄의 알림 영역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날짜/시간 조정, 알림 사용자 지정, 창 배역, 작업 관리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이쁜아이♥]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무선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파일 및 프린터 공유
     2. 무선 홈네트워크 설정
     3. Windows 방화벽 설정
     4.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설정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4.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설정은 [무선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로 설정하는게 아니라
Window 탐색기 메뉴모음에서 [도구]→[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로 설정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도서관찌질이남]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보조프로그램 중에서 메모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그림이나 차트 등의 OLE 개체를 삽입할 수 있다.
     2. 편집하는 문서의 특정 영역(블록)에 대한 글꼴의 종류나 속성,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3. 자동 맞춤법과 같은 고급기능을 제공한다.
     4. 서식이 없는 텍스트 형식의 문서만 열거나 저장할 수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메모장: 텍스트 형식의 문서만 열거나 저장 가능
                하이퍼링크, 표 작성, 레이거 기능 지원X, 그림, 차트 등의 OLE개체 삽입X
             간단한 편집도구 사용X
             문서 전체에 대해서만 글꼴의 종류, 속성, 크기 변경 가능
                대/소문자 구분하여 특정 문자, 단어 찾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PYB]

[메모장]
텍스트 형식의 문서만 열거나 작성 저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간단한 문서를 작성할 수 있지만 서식 중 글꼴의 종류, 속성, 크기정도만 변경이 가능합니다.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간단한 편집 도구가 가능하지만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개체나 그림, 표, 하이퍼 링크 등을 삽입할 수 없습니다.
[F5]키를 누르면 커서 위치에 현재 시간, 날짜가 입력되고 .LOG를 입력하면 문서를 열때마다 현재 시간, 날짜가 문서의 맨 마지막 줄에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특정 문자나 단어를 찾기기능이 제공됩니다.
txt : 서식 없는 텍스트 파일로 윈도우에서는 메모장의 기본 파일 형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9.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탐색기]에서 명령어 처리기인 COMMAND.COM 파일이 COMMAND라고만 표시되어 있다.파일의 확장자가 보이게 표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2008년 10월)
     1. 주 메뉴 [도구]의 [폴더 옵션]-[보기] 탭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에 관한 옵션을 해제한다.
     2. 주 메뉴 [보기]의 [폴더 옵션]-[파일 형식] 탭에서 ‘알려진 파일형식 등록하기’를 선택한다.
     3. 해당 폴더의 등록정보 창에서 파일 확장명 보이기를 체크한다.
     4. COMMAND 파일을 찾아서 파일명을 COMMAND.COM으로 바꾼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주 메뉴 [도구]의 [폴더 옵션]-[보기] 탭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에 관한 옵션을 해제를 하면 파일의 확장자가 보인다.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홈 그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한글 Windows 7이 설치된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파일 및 프린터를 쉽게 공유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2. 홈 그룹을 설정하려면 네트워크 위치가 [홈 네트워크]로 설정되어야 한다.
     3. 홈 네트워크상에 하나의 컴퓨터가 홈 그룹을 만들고 나머지 컴퓨터가 참여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4. 홈 그룹에 참여한 컴퓨터의 모든 사용자 계정이 구성원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참여한 컴퓨터의 게스트 계정을 제외한 모든 계정이 구성원이 될 수있다.
[해설작성자 : 나도드뎌내일시험]

윈도우 10 부터는 업데이트를 통해서 '홈 그룹'기능이 사라졌습니다.
홈 그룹 기능이 없다하더라도 윈도우의 기능으로 파일 및 프린터 공유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홈 그룹 및 공유 옵션은 없게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1. 다음 중 하드디스크의 파티션(Parti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6년 11월)
     1.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작업을 파티션이라 한다.
     2. 하드디스크를 새로 구입하였을 때 판매처에서 파티션을 해주지 않았다면 파티션을 하여야 한다.
     3. FDISK 명령을 사용하여 파티션을 할 수 있다.
     4. 한 번 파티션이 되면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주의를 기울여 파티션을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파티션 재지정이 가능하지만 데이터가 모두 지워진다.

42. 다음 중 아날로그 컴퓨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출력 형태: 숫자, 문자
     2. 연산 형식: 미·적분 연산
     3. 구성 회로: 증폭 회로
     4. 적용성: 특수 목적용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날로그 컴퓨터 출력 형태 : 곡선, 그래프
[해설작성자 : 햄버거조아]

디지털 컴퓨터의 출력 형태 : 숫자, 문자
[해설작성자 : 7일 후 시험]

43. 다음 중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계어, 어셈블리어, 컴파일러 언어, 인터프리터 언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어셈블러는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여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3. 컴파일러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여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4. 인터프리터는 저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의 문장을 한 문장씩 읽어 바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인터프리터는 고급언어.

44. 다음 중 아날로그 컴퓨터와 비교하여 디지털 컴퓨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입력 형태로 전류, 전압, 온도, 속도 등이 가능하다.
     2. 논리 회로를 사용하며, 프로그래밍이 필요하다.
     3. 미분이나 적분에 관한 연산 속도가 빠르다.
     4. 특수 목적용으로 기억기능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디지털 컴퓨터 - 범용,논리회로.속도느림,프로그램필요
    아날로그 컴퓨터 - 특수목적용,증폭회로,속도빠름, 프로그램불필요
[해설작성자 : ㅠㅠ]

45. 다음 중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11월)
     1. 버스 토폴로지는 데이지-체인이라고도 부른다.
     2. 버스 토폴로지는 링 토폴로지보다 네트워크 범위가 넓다.
     3. 스타 토폴로지에서는 허브를 통해서 모든 신호가 입출력 된다.
     4.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해서는 안될 경우 메쉬 토폴로지가 알맞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버스토폴로지는 네트워크 범위가 좁습니다.

46. 다음은 프로그래밍 개발 절차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이 올바른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2016년 06월)

    

     1. 코딩 - 입출력 설계 - 번역과 오류 수정
     2. 입출력 설계 - 번역과 오류 수정 - 코딩
     3. 입출력 설계 - 코딩 - 번역과 오류 수정
     4. 번역과 오류 수정 - 코딩 - 입출력 설계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문제분석: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지 분석하는 과정
입출력 설계: 말 그대로 입출력을 설계하는 것
순서도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 등을 설정하는 과정
코딩: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
테스트: 코딩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
문서화: 문서로 만드는 것

상식적인 문제인 것 같네요. 내용을 넣어보면서 알맞은 순서를 찾으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알파초코우유]

47. 다음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MIDI - 소리를 직접 저장한다.
     2. JPEG - 정지영상 압축의 국제 표준 규격이다.
     3. WAVE - 소리의 원음을 샘플링하여 저장하는 형식이다.
     4. MPEG - 동영상 압축의 국제 표준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MIDI는 소리를 저장하는게 아니고 소리를 표현하는 데 필요한 악보, 특색 등을 저장합니다.
[해설작성자 : 두인정보처리학원 한샘]

48. 다음 중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이중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한다.
     2. 암호화키와 복호화키가 서로 다르다.
     3.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RSA가 있다.
     4. 비밀키 암호화 기법에 비해 암호화와 복호화의 속도가 빠르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암호화와 복호화하는 속도가 빠른 암호화 기법은 대칭키 (단일키, 비밀키)암호화 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이쁜아이♥]

49. 다음 중 컴퓨터 부팅 시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고 ‘삐~’하는 경고음만 여러 번에 걸쳐 나는 경우의 해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시동 디스크로 부팅한 후 시스템 파일을 전송하거나 디스크 검사로 부트 섹터를 검사한다.
     2. RAM이 제대로 꽂혀 있는지 또는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한다.
     3. 그래픽 카드를 제거한 후 부팅하여 그래픽 카드가 원인인지를 확인한다.
     4. CPU가 제대로 꽂혀 있는지 점검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ram, cpu, 그래픽 중에 문제가 있을 때 삐- 경고음이 납니다.
[해설작성자 : 배서진]

50. 다음의 보기가 설명하고 있는 해킹의 종류는 무엇인가?(2013년 06월)

    

     1. DDoS
     2. Syn Flooding
     3. Sniffing
     4. Spoofing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 많은 수의 호스트에 공격 도구를 설치해 놓고 대상 시스템을 공격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패킷을 범람시켜 네트워크 성능 저하 및 시스템 마비를 일으키는 행위이다
스니핑(Sniffing) : 네트워크 주변을 지나다니는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기 위한 행위다.
스푸핑(Spoofing) : 악의적인 목적으로 임의로 웹 사이트를 구축해 일반 사용자의 방문을 유도하여서 사용자의 시스템 권한을 획득한 다음 정보를 빼가거나 사용자가 암호와 기타 정보를 입력하도록 속이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북극곰]

51. 다음 중 주기억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10월)
     1.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주기억 장치는 SSD(Solid State Drive)이다.
     2. EEPROM은 BIOS, 글꼴, POST 등이 저장된 대표적인 펌웨어(Firmware) 장치이다.
     3. SDRAM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4. RDRAM은 가장 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3. 휘발성 메모리이다.
4. 레지스터(가장 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이다)
[해설작성자 : 김반짝김람보]

SSD는 하드디스크를 대신하는 보조기억장치로 많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2014년 기준)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2. 다음 중 아래의 보기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관련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DNS(Domain Name System)
     2.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3.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서브넷 마스크는 전용적으로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래서 32비트의 크기를 갖게 되므로 서브넷 마스크가 정답이 된다
[해설작성자 : 니얼굴 윤겔라]

53.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 사용 시 지켜야 할 예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게시판에 글을 올릴 경우에는 가급적 인터넷 약어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작성한다.
     2. 웹 사이트 운영자는 가능한 많은 정보를 공개하고 웹 접근성을 높인다.
     3. 공개 자료실에는 가급적 압축한 자료를 올린다.
     4. 전자우편을 사용할 경우 제목만 보고도 중요도와 내용을 알 수 있도록 작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약어는 최대한 적게 사용해서 최대한 자세하게 올려야 합니다.
2- 최대한 많은 정보를 공개해야 접근성이 좋아집니다.
3- 용량이 크거나 적거나 관계없이 자료들은 가급적이면 압축해서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4. 실제로 메일을 보낼 때에도 제목을 먼저 쓰는데, 이 경우 제목만 보고도 메일의 전체적인 내용을 알수 있도록 해서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54. 다음 중에서 LAN을 매체접근 제어방식으로 분류하였을 경우,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9년 07월)
     1. 프로토콜(Protocol)
     2. CSMA/CD
     3. 토큰링(Token Ring)
     4. 토큰버스(Token Bus)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프로토콜은 통신 규약입니다.

55. 다음 중 ICT 신기술에서 유비쿼터스(Ubiquitou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를 통해서도 컴퓨팅이 가능한 환경이다.
     2. 기존의 관리나 분석체계로 처리가 어려운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이다.
     3. 모든 사물에 초소형 칩을 내장시켜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물끼리 통신이 가능하다.
     4. 대표적인 관련 기술로는 RFID와 USN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번은 빅 데이터 처리 기술을 의미합니다.

56. 다음 중 그래픽 파일 형식에서 PNG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배경을 투명하게 지정할 수 있다.
     2. 트루 컬러를 지원한다.
     3. 애니메이션 기능을 지원한다.
     4. 웹에서 최상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제정한 그래픽 형식 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애니메이션 기능을 지원하는것은 PNG가 아니라 GIF입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합격을 기원합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APNG 형식(Animated PNG) 형식은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표시가 가능합니다
APNG 형식을 고려하면 3번이 정답이라는 것에 납득이 되질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흠.]

[관리자 입니다.
문제 출제 당시 APNG형식이 대중적이지 못했습니다.
또한 문제에서 PNG라고만 하였으므로
정답이 되지 못하였습니다.
그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트루 컬러(24bit)를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입니다.
웹상의 표준 이미지 파일 포맷인 GIF를 대체하여 웹에서 최상의 비트맵을 구현하기 위해 제정된 파일입니다.
GIF의 단색 투명층과 다르게 8bit 알파 채널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투명층을 제공하지만 gif와는 다르게 애니메이션을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7. 다음 중 전자상거래의 장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이 없다.
     2. 보안의 문제없이 언제나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다.
     3. 유통 비용과 건물 임대료 등의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4. 각 쇼핑몰의 가격을 비교하여 가장 저렴한 상품의 구매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비교적 안전한 편이지만 보안상의 문제는 항상 존재합니다.
해킹과 보안은 창과 방패와 같은 것으로 어떤 시스템도 완벽할수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8. 다음 중 분야별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인터넷 사용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인터넷 서비스는 무엇인가?(2013년 03월)
     1. 고퍼(Gopher)
     2. 텔넷(Telnet)
     3. 유즈넷(USENET)
     4. 아키(Archie)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고퍼(Gopher) : 정보의 내용을 주제별이나 종류별로 구분하여 메뉴로 구성, 메뉴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정보검색 서비스
2.텔넷(Telnet) : 원격접속서비스
4.아키(Archie) : 웹등장 이전의 검색엔진
[해설작성자 : 컴활2급붙은 김정은]

59. 다음 중 전송매체 중 광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건물 내의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할 때 저렴하게 이용한다.
     2. 대역폭이 넓어 데이터의 전송률이 뛰어나므로 데이터 손실이 적다.
     3. 리피터의 설치 간격이 넓어 가입자 회선으로 이용한다.
     4. 다른 전송매체보다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충격이나 잡음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광케이블은 최신 기술로 고가 입니다.

60.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모델은 일반적으로 2계층(2-tier) 모델과 3계층(3-tier) 모델로 분류된다. 다음 중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2계층 모델은 응용 논리의 주요 부분이 클라이언트에 주재하여 서버에게 데이터를 요청한다.
     2. 2계층 모델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할 경우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을 재작성할 필요가 없다.
     3. 3계층 모델은 표현 논리를 클라이언트에 두고, 응용 논리를 중간에, 그리고 자료 논리를 서버에 두어 구성된다.
     4. 3계층 모델은 확장성이 높아 대형화된 조직의 업무처리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계층 모델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추가 할 경우 기존의 응용프로그램을 재작성해야합니다.


정 답 지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05610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워드프로세싱 일반


1.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워드 랩(Word Wrap): 단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공백을 없애고 문장의 양쪽 끝을 맞추는 것을 말한다.
     2. 보일러 플레이트(Boiler Plate): 작성 중인 문서 내에 머리말, 꼬리말, 주석 같은 것을 표시하기 위해 따로 설정한 구역이다.
     3. 래그드(Ragged): 문단의 각 행 중에서 오른쪽 끝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이다.
     4. 클립보드(Clipboard): 버퍼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임시 기억 장소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워드랩은 단어가 줄의 끝에서 잘릴 경우    단어 전체를    다음 줄로    이동시키는 기능.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

1번은 워드랩이 아닌 영문 균등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취업하면 고백한다]

워드랩 : 워드(단어를) 랩으로 감싸서 통째로 이동시킨다고 연상 암기해보세요
[해설작성자 : ㅇㅇ]

2. 다음 중 메일머지(Mail Merge)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이름이나 직책, 주소 등만 다르고 나머지 내용은 같은 여러 통의 편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기능이다.
     2. 다단 편집이나 표, 수식 작성 등을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이다.
     3. 반드시 데이터 파일은 워드프로세서 문서 파일이어야 한다.
     4. 반드시 데이터 파일에서 메일머지 기능을 실행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메일머지란 메일 병합기능의 일종으로 내용이 거의 동일하지만 이름, 주소등 특정 부분만 다른 편지같은 내용을 쉽게 만들어 주는 기능입니다.

[추가 해설]

데이터 파일과 내용(본문)을 따로 만들고
내용에서 메일머지 기능 실행.

데이터 파일은, 한글,ms워드,텍스트,엑세스,엑셀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나야나]

3. 다음 중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한자 목록이나 한자 사전에서 해당 한자를 선택 하여 입력한다.
     2. 한자 사전에 없는 단어일 경우 사용자가 등록시킬 수 있다.
     3. 한자의 음을 모를 때에는 문장자동변환으로 입력한다.
     4. 음절단위 변환은 한글로 음을 먼저 입력한 후 한 글자씩 한자로 변환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한자음을 모를때에는 부수, 외자, 2-stroke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양천구 신정동 현대정보컴퓨터학원 이쌤]

한자의 음을 아는 경우: 한글/한자 음절 단위 변환, 단어 단위 변환,문장 자동 변환
한자의 음을 모르는 경우: 부수 입력, 외자 입력, 2Stroke 입력
[해설작성자 : 허경영을 불러봐~]

4. 다음 중 마우스로 영역(블록)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9월)
     1. 한 단어 영역 지정 : 해당 단어 안에 마우스 포인터를 놓고 두 번 클릭한다.
     2. 한 줄 영역 지정 : 해당 줄의 왼쪽 끝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여 포인터가 화살표로 바뀌면 두 번 클릭한다.
     3. 문단 전체 영역 지정 : 해당 문단의 임의의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놓고 세 번 클릭한다.
     4. 문서 전체 영역 지정 : 문단의 왼쪽 끝으로 마우스포인터를 이동하여 포인터가 화살표로 바뀌면 세 번 클릭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줄의 중간에서
한번 클릭 : 위치 지정
두번 클릭 : 단어 지정
세번 클릭 : 문단 지정

줄의 맨처음에서
한번 클릭 : 줄 지정
두번 클릭 : 문단 지정
세번 클릭 : 전체 지정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성컴퓨터학원]

5. 업무 협조요청을 받은 기관이 협조요청 문서에 흠이 있음을 발견한 때에는 접수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보완을 요구하여야 하는가?(사무관리규정 개정으로 제외된 문제입니다.정답은 2번 입니다.)(2006년 11월)
     1. 1일
     2. 3일
     3. 5일
     4. 7일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업무 협조요청을 받은 기관이 협조요청 문서에 흠이 있음을 발견한 때에는 접수한 날부터 3일 이내에 보완을 요구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똑똑이]

6. 다음 중 공문서 항목 구분 시 넷째 항목의 항목 구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호는?(2010년 09월)
     1. 가, 나, 다, …
     2. 가), 나), 다), …
     3. ㉮, ㉯, ㉰, ㉰
     4. (가), (나), (다), …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가 → 1) → 가) → (1) → (가) → ① → ㉮

7.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들여쓰기를 하면 문서의 분량이 증가될 수 있다.
     2. 피치(Pitch)가 클수록 문자 사이의 간격은 넓어진다.
     3. 수식편집기를 이용해 편집한 식들은 철자 검사로 검사하지 못한다.
     4. 각주는 본문의 입력할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피치가 클수록 문자 사이 간격은 좁아진다.

8. 다음 보기의 각 기능과 설명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1년 06월)

   

     1. (가) - (A)
     2. (나) - (B)
     3. (다) - (C)
     4. (라) - (D)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B는 꼬리말,C는 보일러 플레이트,D는 매크로 입니다.
디폴트는 전반적인 규정이나 서식 설정, 메뉴 등 이미 갖고 있는 값으로 기본값 또는
표준 값이라고 합니다.

9.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문자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첨자 문자는 전각 문자의 1/2 축소 문자를 말한다.
     2. 반각 문자는 문자의 폭과 높이의 비율이 1:1인 문자를 말한다.
     3. 종배 문자는 전각 문자를 가로로 2배 확대한 문자를 말한다.
     4. 양배 문자는 전각 문자를 가로·세로로 각각 2배씩 확대한 문자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첨자문자는 전각 문자의1/4 크기의 문자를 말한다
반각문자는 전각 문자를 가로로 1/2축소를 말한다
종배문자는    전각 문자를 세로로 2배확대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히어로]

10.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출력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B4 편집용지로 작성한 문서를 A4 인쇄용지에 축소하여 인쇄할 수 없다.
     2. 하나의 문서를 인쇄하면서 동시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3. 작성한 문서의 내용을 파일로 인쇄할 수 있다.
     4. 프린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면 출력 시간이 길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B4편집 용지로 작성한 문서나 A4나 문서 비율은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A4인쇄 용지에 축소하여 인쇄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심병장]

11. 다음 중 문서저장 시 파일명 및 확장자(Extension)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문서 파일명은 문서의 성격 및 내용이 무엇인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간단하게 지정하는 것이 좋다.
     2. 일반적으로 *.bak 파일은 문서가 변경되어 저장되는 경우 그 이전의 문서 내용을 저장하는 백업 파일이다.
     3.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 따라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확장자는 정해지므로 임의로 사용자가 다른 형식으로 바꾸어 저장할 수 없다.
     4. 특정 워드프로세서에서 작성한 문서 파일의 확장자를 다르게 바꾸더라도 다음에 그 워드프로세서에서 파일을 읽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 따라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확장자는 정해져 있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다른 형식으로 바꾸어 저장할 수 있습니다.(HWP ->TXT)

12. 다음 중 치환(Replace)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한글, 특수 문자, 영어, 한자 등을 바꿀 수 있다.
     2. 문서에서 특정 단어를 검색하여 다른 단어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3. 단어는 바꿀 수 있어도 글꼴의 크기, 모양, 속성은 바꿀 수 없다.
     4. 문서에서 원하는 부분을 블록으로 설정하면 설정된 부분에 대해서만 바꾸기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치환] 기능에서 글꼴의 크기, 모양, 속성 모두 바꾸기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딸기머핀]

13.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용어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옵션(Option) : 어떤 기능에 대한 지시를 부여하거나 지시할 때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말한다.
     2. 캡션(Caption) : 글자를 구부리거나 글자에 외곽선, 그림자, 회전 등의 효과를 주어 글자를 꾸미는 것을 말한다.
     3. 스크롤(Scroll) : 문장 입력중 한글이나 영어 단어가 길어 문장의 끝에 걸쳐질 때 그 단어 자체를 다음 줄로 넘기는 기능이다.
     4. 래그드(Ragged) : 문서의 왼쪽 끝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2.캡션 : 그림,사진에 붙는 짧은 해설문이나 글
3.스크롤 : 문서작성시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기능
4.래그드 : 문서의 한쪽끝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
[해설작성자 : 쑥이]

14. 다음은 문서관리 원칙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8년 03월)

    

     1. 정확성
     2. 신속성
     3. 용이성
     4. 경제성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올바르게 라고 적혀 있으니 정확성이겠죠?
[해설작성자 : 필기 간당]

정확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확성 : 문서를 착오없이 올바르게 처리하는 과정입니다.

신속성 : 문서의 유통 경로 및 처리 과정을 단축하도록 설계합니다.
용이성 : 업무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경제성 : 사무를 처리하는 인원 및 사무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집중 관리 및 집중 처리 방법을 강구하도록 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15.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하드 카피(Hard Copy) : 소프트카피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화면 그대로를 프린터에 인쇄하는 것을 말한다.
     2. 프린터 버퍼(Printer Buffer) : 인쇄한 내용을 임시 보관하는 장소로 용량을 크게 할수록 기억장소를 많이 차지하여 출력 속도가 느리다.
     3. 용지 넘김(Form Feed) : 프린터에서 다음 페이지의 맨 처음위치까지 종이를 밀어 올리는 것을 말한다.
     4. 프린터 드라이버(Printer Driver) : 워드프로세서의 산출된 출력 값을 특정 프린터 모델이 요구하는 형태로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프린터버퍼는 중앙처리장치와 프린터와의 처리속도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를 임시 보관하는 곳. 프린터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입니다. 버퍼가 크면 많은 작업양을 받기때문에 프린터 작업을 빨리 끝낼 수 있습니다.

16. 결재권자가 휴가, 출장 기타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자가 대결할 수 있되, 그 내용이 중요한 문서에 대하여는 결재권자에게 후에 어떻게 조처하여야 하는가?(2011년 06월)
     1. 사후에 보고한다.
     2. 사후에 반드시 결재를 받는다.
     3. 정규 결재과정을 다시 거친다.
     4. 내부 결재과정을 거친 후 시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결재권자가 휴가, 출장 기타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자가 대결할 수 있되, 그 내용이 중요한 문서에 대하여는 결재권자에게 사후에 보고를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사악소녀★]

선결 : 먼저 결재
전결 : 위임받은자
대결 : 대신결재
후결 : 나중에 결재

17.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전자통신 출판의 종류는 무엇인가?(2014년 06월)

    

     1. 온라인 데이터베이스형
     2. 패키지형
     3. 컴퓨터 통신형
     4. DTP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문제에서 "온라인"이라는 단어가 주어 졌으며 과학, 기술, 비즈니등 다량의 "정보를 검색"하는 형태라 하였으므로 데이터베이스 라는 단어를 유추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패키지형: cd-rom 타이틀, dvd 등 종이가 아닌 매체에 기록을 하는 형태로 문자, 사진, 영상,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를 표현
컴퓨터 통신형: 전자 잡지, 전자 회의 시스템, 전자 메일 박스 등에 이용
DTP: 도서 출판 제작용으로 전자출판에 사용
[해설작성자 : 둥가]

18. 다음 중 소트(sor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한번 정렬된 내용을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재배열 할 수 없다.
     2.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을 오름차순 정렬이라고 한다.
     3. 오름차순은 숫자, 영문자, 한글 순으로 정렬된다.
     4. 큰 것부터 작은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은 내림차순 정렬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한번 정렬된 내용을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재배열 할 수있다.
[해설작성자 : 유강컴퓨터학원 ]

19. 다음 중에서 서로 상반되는 의미를 갖는 교정부호로 짝지어진 것은?(201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번문제 넣어주는거랑 빼주는거입니다

20.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캡션(Caption) : 명령이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추가 적인 요소나 선택 항목이다.
     2. 포메터(Formatter) : 메뉴나 서식 설정을 할 때 이미 설정 되어 있는 기본 값이다.
     3. 미주(Endnote) : 문서의 내용을 설명하거나 인용한 원문의 제목을 알려주는 보충 구절로 문서의 맨 마지막에 표시하는 기능을 말한다.
     4. 소프트 카피(Soft Copy) :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그대로 프린터에 인쇄하는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미주 : 각주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며, 본문 페이지와는 상관없이 문서의 맨 뒷부분에 모아서 표시 하는것
[해설작성자 : 컴맹]

캡션은 문서에 포함된 표나 그림에 붙이는 제목 또는 설명입니당
1번은 옵션에 대한 설명입니당
2번은 디폴트에 대한 설명입니당
[해설작성자 : 혹지니]

4번은 하드카피에 대한 설명입니다.
소프트카피 : 비디오 영상이나 소리와 같이 인쇄물이 아닌 다른 형태로 자료를 표시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헿]

1번.
[캡션(Caption)]
워드 프로세서에서 삽입된 그림이나 도표, 사진 등의 이해를 돕기위해 작성하는 간단한 주석(설명)문으로 상,하,좌,우, 등에 위치시킬 수 있습니다.

[옵션(Option)]
명령이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추가적인 선택 항목입니다.

2번.
[포매터(Formatter)]
특정 형식으로 저장, 표시 또는 인쇄하기 위해 데이터를 준비하는 프로그램이나 장치입니다.
형식을 만들거나 설정하는 사람 또는 사물입니다.

[디폴트(Default) : 기본 값]
별도의 사용자 설정이 없는 경우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값이나 조건을 자동으로 적용시켜 놓은 것입니다.
여러 가지 설정 항목들에 기본적으로 주어진 값입니다.

4번.
[소프트 카피(Soft Copy)]
인쇄하지 않고 영상이나 소리처럼 다른 형태로 표시하는 것입니다.
화면에 출력된 내용은 언제든 수정이 가능합니다.

[하드 카피(Hard Copy)]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로 실제 물리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출력된 결과물에 수정이 불가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를 부팅할 때 수행하는 POST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ROM-BIOS에 있는 검사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기능이다.
     2. 부트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기능이다.
     3. 하나의 컴퓨터에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한 경우에 다중부팅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4. 컴퓨터의 최소한의 장치만을 설정하여 부팅하는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POST란 파워 온 셀프 테스트의 약자로 ROM-BIOS에 있는 검사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기능이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되는 [Windows 도움말 및 지원]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도움말은 하이퍼텍스트 방식으로 제공되어 관련 항목의 도움말로 이동이 용이하다.
     2. 제목별로 검색할 수 있으며, 도움말의 내용을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다.
     3. 도움말을 보다가 표시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인터넷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4. 원격 지원이나 온라인 기술지원을 통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도움말의 내용은 사용자가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호주]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문서나 그림 같은 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파일의 확장자에 의해 결정된다.
     2. 특정한 데이터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연결 프로그램]-[프로그램 선택]을 선택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3. 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Windows] 창이 표시되는데, 이는 현재 연결 프로그램이 지정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4. [연결 프로그램] 대화 상자에서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연결된 데이터 파일도 삭제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한다고 해서 데이터 파일까지 삭제되지는 않습니다.
단지 연결되어있던 프로그램과의 연결이 끊기기만 하는거죠.
[해설작성자 : 카스타드~]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4년 06월)
     1. 표준 사용자는 자신이 설치한 소프트웨어만 사용할 수 있다.
     2. 표준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 유형을 관리자로 변경 할 수 없다.
     3. 관리자 계정은 유해한 프로그램이 컴퓨터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을 변경 할 수 있다.
     4. 관리자 계정은 다른 관리자 계정을 포함하여 모든 계정의 암호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표준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고 이미 설치된 프로그램만 실행시킬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사용자 계정]
여러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용으로 사용시에 사용자마다 설정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게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계정에는 관리자 계정, 표준 사용자 계정이 있습니다.
관리자 계정 : 실제 컴퓨터의 관리자로 모든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표준 사용자 계정 : 일반 사용자로 자신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나 설치된 앱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중요 설정 변경 불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파일을 선택한 후 바로 가기 메뉴에서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하여 작성
     2. 바로 가기 아이콘을 작성할 항목을 <Ctrl> + <Alt>키를 누른 채 드래그 앤 드롭하여 작성
     3. 파일을 선택한 후 [파일] 메뉴에서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하여 작성
     4.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나타나는 메뉴에서 [여기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하여 작성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번 파일의 바로가기만들기 단축키는 <Ctrl>+<Alt>+파일드래그가 아닌 <Ctrl>+<Shift>+파일드래그 입니다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도구]의 [시스템 복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4월)
     1. 컴퓨터를 손상시킬 수 있는 변경 내용을 추적하고 복원할 수 있다.
     2. 시스템의 복원 상태나 시스템 복원에 사용 가능한 최소 디스크 공간은 백분비율로 50%이다.
     3. 시스템의 복원을 위한 디스크 공간을 줄이면 사용 가능한 복원 지점수가 줄어들 수도 있다.
     4. [시스템 등록 정보]창의 [시스템 복원]탭에서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 시스템의 복원 상태나 시스템 복원에 사용 가능한 최소 디스크 공간은 백분비율로 50%미만으로도 할수가 있다.
하드디스크 전체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C드라이브의 경우, 통상 12%정도가 기본값임. 수동설정 시 최소 200MB이상 설정해야 함.
[해설작성자 : 인천애드아트 유쌤]

27. 한글 Windows 7에서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USB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면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영구히 삭제된다.
     2.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마다 휴지통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3. 휴지통에 있는 특정 폴더를 더블클릭하면 해당 폴더의 속성 창이 나타난다.
     4.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원본 사진을 미리 보기로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사진 파일의 속성 창이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휴지통에 넣고 해봄]

휴지통에 있는 파일은 열어보지 못하기 때문에 사진을 미리 볼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워드따고싶다..]

[휴지통]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가 임시 보관되는 장소로 복원이 가능하며 각 드라이브마다 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휴지통의 실제 파일이 저당되는 폴더의 위치는 운영체제에서 지정하므로 사용자가 지정할수 없으며 휴지통에 삭제한 파일이나 들어가면 휴지통 아이콘의 모양이 변경됩니다.
휴지통은 드라이브마다 한 개씩 만들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5% ~ 10%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MB단위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휴지통의 용량이 초과하면 가장 과거의 파일이 제거되며 휴지통용량보다 큰파일을 삭제시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즉시 제거 됩니다.
휴지통에 보관된 파일이나 폴더는 휴지통 내에서 실행이 불가하며 사용시 복원(복구)후 실행 가능합니다.
휴지통에 보관없이 바로 삭제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며 삭제할때마다 메시지가 표시되도록도 설정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검색 결과] 창에서 특정한 파일이나 폴더를 찾기 위한 검색 옵션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파일에 들어있는 단어나 문장을 입력하여 파일을 찾을수 있으며 찾을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다.
     2. 검색하려는 파일의 수정된 시작 날짜와 끝 날짜를 지정하거나 수정 횟수를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다.
     3. 검색하고자 하는 파일의 크기 지정을 조건으로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4. 시스템 폴더 검색이나 숨김 파일 및 폴더 검색, 하위 폴더 검색 등과 같은 고급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검색결과창 아래쪽에 언제 수정 되었는지, 어떤크기인지, 또 고급옵션엔 숨긴파일 검색 등이 있는걸 알 수 있다. 검색결과창 문제에선 횟수!를 조심합시다.
[해설작성자 : 때비]

29. 한글 Windows XP에서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연결하고자 할 때 설정하는 유형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인터넷 연결 공유(ICS)의 사용
     2. 컴퓨터와 xDSL이나 케이블 모뎀을 이더넷 허브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
     3. 상설 게이트웨이의 사용
     4. 포털 사이트에 홈페이지를 등록하여 사용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번과 같은 기능은 없습니다.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폴더를 선택하고 바로 가기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면 해당 폴더가 삭제되어 휴지통으로 들어간다.
     2. 휴지통에 있는 폴더를 더블클릭하면 폴더 창이 활성화된다.
     3. 명령 도구 모음에 있는 [휴지통 비우기]를 클릭하면 휴지통에 있는 모든 내용을 영구히 삭제할 수 있다.
     4.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은 미리보기 창에서 볼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휴지통에 있는 폴더나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파일 삭제한 날짜,원래 위치 등이 표시된 창이 뜨지 폴더 창이 뜨는 것이 아닙니다. 폴더 창을 열려면 휴지통에서 복원을 해야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안알랴줌]

휴지통에 있는 폴더를 더블클릭하면 속성 창이 뜹니다.(폴더 창이 활성화되지 않고)
[해설작성자 : 최강용가리맨 블로그 짱짱!!]

[휴지통]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가 임시 보관되는 장소로 복원이 가능하며 각 드라이브마다 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휴지통의 실제 파일이 저당되는 폴더의 위치는 운영체제에서 지정하므로 사용자가 지정할수 없으며 휴지통에 삭제한 파일이나 들어가면 휴지통 아이콘의 모양이 변경됩니다.
휴지통은 드라이브마다 한 개씩 만들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5% ~ 10%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MB단위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휴지통의 용량이 초과하면 가장 과거의 파일이 제거되며 휴지통용량보다 큰파일을 삭제시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즉시 제거 됩니다.
휴지통에 보관된 파일이나 폴더는 휴지통 내에서 실행이 불가하며 사용시 복원(복구)후 실행 가능합니다.
휴지통에 보관없이 바로 삭제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며 삭제할때마다 메시지가 표시되도록도 설정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의 이름을 바꾸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해당 파일의 아이콘을 선택한 후에 바로가기 메뉴에서 [이름 바꾸기]를 선택하면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2. 해당 파일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파일 이름 부분을 다시 한 번 더 클릭하면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3. 해당 파일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F2] 키를 누르면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4. [탐색기] 창에서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에 [편집] 메뉴의 [이름 바꾸기]를 선택하면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이름 바꾸기] 메뉴는 [파일] 메뉴의 하위에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상원]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폴더의 속성 창 중 [공유] 탭에서 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공유 사용 권한에서 그룹 또는 사용자 이름을 추가 할 수 있다.
     2. 동시 사용자의 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최대 10명까지만 가능하다.
     3. 고급 공유 설정에서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 권한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4.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할 폴더의 이름을 새로 지정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동시 사용자의 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최대 20명까지만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흰우유]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할 네트워크 어댑터의 유형과 장치가 장착된 위치 등을 알 수 있다.
     2. 네트워크 기능의 유형에는 라우터, 게이트웨이, 리피터 등이 있다.
     3. 네트워크가 IP 자동 설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게이트웨이, DNS 서버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4. 기본 게이트웨이와 DNS 서버 주소는 2개 이상 여러 개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라우터, 게이트웨이, 리피터 등은 네트워크 관련 장비들의 기능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네트워크 기능에는 클라이언트, 프로토콜, 서비스, 어댑터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셤대박]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선택된 개체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선택한 개체를 복사한 후에 바탕 화면의 빈 공간에서 바로 가기 메뉴의 [바로 가기 붙여넣기]를 선택한다.
     2.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원하는 위치로 끌어다 놓으면 표시되는 바로가기 메뉴에서 [여기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한다.
     3. <Ctrl> + <Alt> 키를 누른 채 원하는 위치로 끌어다 놓는다.
     4. 폴더 창에 있는 개체는 메뉴 모음에서 [파일]-[바로가기 만들기]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 <Ctrl> + <Alt> 가 아닌, <Ctrl> + <Shift> 이다
[해설작성자 : 알]

[바로가기 아이콘(단축 아이콘)]
자주 사용하는 문서나 앱,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으로 원본 파일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폴더나 파일, 다른 컴퓨터, 프린터 등등, 모든 개체에 대해 작성할 수 있으며 아이콘의 왼쪽 하단에 화살 표시가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확장자는 .LNK이며 컴퓨터에 여러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원본에는 여러개의 바로가기 아이콘이 존재 할 수 있고 하나의 바로가기에는 단 하나의 원본만을 연결 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아이콘은 원본의 위치와 관계없이 만들 수 있고 삭제, 복사, 이동 하더라도 원본파일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만드는 방법으로는 ‘바로가기 메뉴(우클릭)’를 통하여, ‘Ctrl + Shift’ 드래그로 만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드래그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단, 원본파일 삭제시 바로가기 아이콘은 실행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제어판]에 있는 [기본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기본 프로그램 설정
     2. 파일 형식 또는 프로토콜을 프로그램과 연결
     3. 자동 재생 설정 변경
     4. 파일 형식 및 프로토콜 제거 또는 복구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선택 할수 있는 항목으로는,

1.기본 프로그램설정
2.파일 형식 또는 프로토콜을 프로그램과 연결
3.자동 재생 설정 변경
4.이 컴퓨터의 기본 프로그램 설정

제거 또는 복구란 말은 없다.
[해설작성자 : 박상민내이름올라가는기야!?내일시험이다!]

36. 한글 Windows XP에서 작업 표시줄의 오른쪽에 있는 알림 영역의 바로 가기 메뉴에 표시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2006년 08월)
     1. 날짜/시간 조정
     2. 알림 사용자 지정
     3. 열기
     4. 작업 관리자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작업 표시줄의 알림 영역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날짜/시간 조정, 알림 사용자 지정, 창 배역, 작업 관리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이쁜아이♥]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무선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파일 및 프린터 공유
     2. 무선 홈네트워크 설정
     3. Windows 방화벽 설정
     4.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설정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4.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설정은 [무선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로 설정하는게 아니라
Window 탐색기 메뉴모음에서 [도구]→[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로 설정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도서관찌질이남]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보조프로그램 중에서 메모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그림이나 차트 등의 OLE 개체를 삽입할 수 있다.
     2. 편집하는 문서의 특정 영역(블록)에 대한 글꼴의 종류나 속성,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3. 자동 맞춤법과 같은 고급기능을 제공한다.
     4. 서식이 없는 텍스트 형식의 문서만 열거나 저장할 수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메모장: 텍스트 형식의 문서만 열거나 저장 가능
                하이퍼링크, 표 작성, 레이거 기능 지원X, 그림, 차트 등의 OLE개체 삽입X
             간단한 편집도구 사용X
             문서 전체에 대해서만 글꼴의 종류, 속성, 크기 변경 가능
                대/소문자 구분하여 특정 문자, 단어 찾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PYB]

[메모장]
텍스트 형식의 문서만 열거나 작성 저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간단한 문서를 작성할 수 있지만 서식 중 글꼴의 종류, 속성, 크기정도만 변경이 가능합니다.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간단한 편집 도구가 가능하지만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개체나 그림, 표, 하이퍼 링크 등을 삽입할 수 없습니다.
[F5]키를 누르면 커서 위치에 현재 시간, 날짜가 입력되고 .LOG를 입력하면 문서를 열때마다 현재 시간, 날짜가 문서의 맨 마지막 줄에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특정 문자나 단어를 찾기기능이 제공됩니다.
txt : 서식 없는 텍스트 파일로 윈도우에서는 메모장의 기본 파일 형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9.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탐색기]에서 명령어 처리기인 COMMAND.COM 파일이 COMMAND라고만 표시되어 있다.파일의 확장자가 보이게 표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2008년 10월)
     1. 주 메뉴 [도구]의 [폴더 옵션]-[보기] 탭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에 관한 옵션을 해제한다.
     2. 주 메뉴 [보기]의 [폴더 옵션]-[파일 형식] 탭에서 ‘알려진 파일형식 등록하기’를 선택한다.
     3. 해당 폴더의 등록정보 창에서 파일 확장명 보이기를 체크한다.
     4. COMMAND 파일을 찾아서 파일명을 COMMAND.COM으로 바꾼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주 메뉴 [도구]의 [폴더 옵션]-[보기] 탭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에 관한 옵션을 해제를 하면 파일의 확장자가 보인다.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홈 그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한글 Windows 7이 설치된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파일 및 프린터를 쉽게 공유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2. 홈 그룹을 설정하려면 네트워크 위치가 [홈 네트워크]로 설정되어야 한다.
     3. 홈 네트워크상에 하나의 컴퓨터가 홈 그룹을 만들고 나머지 컴퓨터가 참여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4. 홈 그룹에 참여한 컴퓨터의 모든 사용자 계정이 구성원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참여한 컴퓨터의 게스트 계정을 제외한 모든 계정이 구성원이 될 수있다.
[해설작성자 : 나도드뎌내일시험]

윈도우 10 부터는 업데이트를 통해서 '홈 그룹'기능이 사라졌습니다.
홈 그룹 기능이 없다하더라도 윈도우의 기능으로 파일 및 프린터 공유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홈 그룹 및 공유 옵션은 없게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1. 다음 중 하드디스크의 파티션(Parti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6년 11월)
     1.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작업을 파티션이라 한다.
     2. 하드디스크를 새로 구입하였을 때 판매처에서 파티션을 해주지 않았다면 파티션을 하여야 한다.
     3. FDISK 명령을 사용하여 파티션을 할 수 있다.
     4. 한 번 파티션이 되면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주의를 기울여 파티션을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파티션 재지정이 가능하지만 데이터가 모두 지워진다.

42. 다음 중 아날로그 컴퓨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출력 형태: 숫자, 문자
     2. 연산 형식: 미·적분 연산
     3. 구성 회로: 증폭 회로
     4. 적용성: 특수 목적용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날로그 컴퓨터 출력 형태 : 곡선, 그래프
[해설작성자 : 햄버거조아]

디지털 컴퓨터의 출력 형태 : 숫자, 문자
[해설작성자 : 7일 후 시험]

43. 다음 중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계어, 어셈블리어, 컴파일러 언어, 인터프리터 언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어셈블러는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여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3. 컴파일러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여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4. 인터프리터는 저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의 문장을 한 문장씩 읽어 바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인터프리터는 고급언어.

44. 다음 중 아날로그 컴퓨터와 비교하여 디지털 컴퓨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입력 형태로 전류, 전압, 온도, 속도 등이 가능하다.
     2. 논리 회로를 사용하며, 프로그래밍이 필요하다.
     3. 미분이나 적분에 관한 연산 속도가 빠르다.
     4. 특수 목적용으로 기억기능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디지털 컴퓨터 - 범용,논리회로.속도느림,프로그램필요
    아날로그 컴퓨터 - 특수목적용,증폭회로,속도빠름, 프로그램불필요
[해설작성자 : ㅠㅠ]

45. 다음 중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11월)
     1. 버스 토폴로지는 데이지-체인이라고도 부른다.
     2. 버스 토폴로지는 링 토폴로지보다 네트워크 범위가 넓다.
     3. 스타 토폴로지에서는 허브를 통해서 모든 신호가 입출력 된다.
     4.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해서는 안될 경우 메쉬 토폴로지가 알맞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버스토폴로지는 네트워크 범위가 좁습니다.

46. 다음은 프로그래밍 개발 절차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이 올바른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2016년 06월)

    

     1. 코딩 - 입출력 설계 - 번역과 오류 수정
     2. 입출력 설계 - 번역과 오류 수정 - 코딩
     3. 입출력 설계 - 코딩 - 번역과 오류 수정
     4. 번역과 오류 수정 - 코딩 - 입출력 설계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문제분석: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지 분석하는 과정
입출력 설계: 말 그대로 입출력을 설계하는 것
순서도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 등을 설정하는 과정
코딩: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
테스트: 코딩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
문서화: 문서로 만드는 것

상식적인 문제인 것 같네요. 내용을 넣어보면서 알맞은 순서를 찾으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알파초코우유]

47. 다음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MIDI - 소리를 직접 저장한다.
     2. JPEG - 정지영상 압축의 국제 표준 규격이다.
     3. WAVE - 소리의 원음을 샘플링하여 저장하는 형식이다.
     4. MPEG - 동영상 압축의 국제 표준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MIDI는 소리를 저장하는게 아니고 소리를 표현하는 데 필요한 악보, 특색 등을 저장합니다.
[해설작성자 : 두인정보처리학원 한샘]

48. 다음 중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이중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한다.
     2. 암호화키와 복호화키가 서로 다르다.
     3.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RSA가 있다.
     4. 비밀키 암호화 기법에 비해 암호화와 복호화의 속도가 빠르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암호화와 복호화하는 속도가 빠른 암호화 기법은 대칭키 (단일키, 비밀키)암호화 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이쁜아이♥]

49. 다음 중 컴퓨터 부팅 시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고 ‘삐~’하는 경고음만 여러 번에 걸쳐 나는 경우의 해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시동 디스크로 부팅한 후 시스템 파일을 전송하거나 디스크 검사로 부트 섹터를 검사한다.
     2. RAM이 제대로 꽂혀 있는지 또는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한다.
     3. 그래픽 카드를 제거한 후 부팅하여 그래픽 카드가 원인인지를 확인한다.
     4. CPU가 제대로 꽂혀 있는지 점검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ram, cpu, 그래픽 중에 문제가 있을 때 삐- 경고음이 납니다.
[해설작성자 : 배서진]

50. 다음의 보기가 설명하고 있는 해킹의 종류는 무엇인가?(2013년 06월)

    

     1. DDoS
     2. Syn Flooding
     3. Sniffing
     4. Spoofing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 많은 수의 호스트에 공격 도구를 설치해 놓고 대상 시스템을 공격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패킷을 범람시켜 네트워크 성능 저하 및 시스템 마비를 일으키는 행위이다
스니핑(Sniffing) : 네트워크 주변을 지나다니는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기 위한 행위다.
스푸핑(Spoofing) : 악의적인 목적으로 임의로 웹 사이트를 구축해 일반 사용자의 방문을 유도하여서 사용자의 시스템 권한을 획득한 다음 정보를 빼가거나 사용자가 암호와 기타 정보를 입력하도록 속이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북극곰]

51. 다음 중 주기억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10월)
     1.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주기억 장치는 SSD(Solid State Drive)이다.
     2. EEPROM은 BIOS, 글꼴, POST 등이 저장된 대표적인 펌웨어(Firmware) 장치이다.
     3. SDRAM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4. RDRAM은 가장 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3. 휘발성 메모리이다.
4. 레지스터(가장 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이다)
[해설작성자 : 김반짝김람보]

SSD는 하드디스크를 대신하는 보조기억장치로 많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2014년 기준)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2. 다음 중 아래의 보기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관련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DNS(Domain Name System)
     2.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3.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서브넷 마스크는 전용적으로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래서 32비트의 크기를 갖게 되므로 서브넷 마스크가 정답이 된다
[해설작성자 : 니얼굴 윤겔라]

53.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 사용 시 지켜야 할 예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게시판에 글을 올릴 경우에는 가급적 인터넷 약어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작성한다.
     2. 웹 사이트 운영자는 가능한 많은 정보를 공개하고 웹 접근성을 높인다.
     3. 공개 자료실에는 가급적 압축한 자료를 올린다.
     4. 전자우편을 사용할 경우 제목만 보고도 중요도와 내용을 알 수 있도록 작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약어는 최대한 적게 사용해서 최대한 자세하게 올려야 합니다.
2- 최대한 많은 정보를 공개해야 접근성이 좋아집니다.
3- 용량이 크거나 적거나 관계없이 자료들은 가급적이면 압축해서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4. 실제로 메일을 보낼 때에도 제목을 먼저 쓰는데, 이 경우 제목만 보고도 메일의 전체적인 내용을 알수 있도록 해서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54. 다음 중에서 LAN을 매체접근 제어방식으로 분류하였을 경우,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9년 07월)
     1. 프로토콜(Protocol)
     2. CSMA/CD
     3. 토큰링(Token Ring)
     4. 토큰버스(Token Bus)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프로토콜은 통신 규약입니다.

55. 다음 중 ICT 신기술에서 유비쿼터스(Ubiquitou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를 통해서도 컴퓨팅이 가능한 환경이다.
     2. 기존의 관리나 분석체계로 처리가 어려운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이다.
     3. 모든 사물에 초소형 칩을 내장시켜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물끼리 통신이 가능하다.
     4. 대표적인 관련 기술로는 RFID와 USN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번은 빅 데이터 처리 기술을 의미합니다.

56. 다음 중 그래픽 파일 형식에서 PNG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배경을 투명하게 지정할 수 있다.
     2. 트루 컬러를 지원한다.
     3. 애니메이션 기능을 지원한다.
     4. 웹에서 최상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제정한 그래픽 형식 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애니메이션 기능을 지원하는것은 PNG가 아니라 GIF입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합격을 기원합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APNG 형식(Animated PNG) 형식은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표시가 가능합니다
APNG 형식을 고려하면 3번이 정답이라는 것에 납득이 되질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흠.]

[관리자 입니다.
문제 출제 당시 APNG형식이 대중적이지 못했습니다.
또한 문제에서 PNG라고만 하였으므로
정답이 되지 못하였습니다.
그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트루 컬러(24bit)를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입니다.
웹상의 표준 이미지 파일 포맷인 GIF를 대체하여 웹에서 최상의 비트맵을 구현하기 위해 제정된 파일입니다.
GIF의 단색 투명층과 다르게 8bit 알파 채널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투명층을 제공하지만 gif와는 다르게 애니메이션을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7. 다음 중 전자상거래의 장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이 없다.
     2. 보안의 문제없이 언제나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다.
     3. 유통 비용과 건물 임대료 등의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4. 각 쇼핑몰의 가격을 비교하여 가장 저렴한 상품의 구매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비교적 안전한 편이지만 보안상의 문제는 항상 존재합니다.
해킹과 보안은 창과 방패와 같은 것으로 어떤 시스템도 완벽할수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8. 다음 중 분야별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인터넷 사용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인터넷 서비스는 무엇인가?(2013년 03월)
     1. 고퍼(Gopher)
     2. 텔넷(Telnet)
     3. 유즈넷(USENET)
     4. 아키(Archie)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고퍼(Gopher) : 정보의 내용을 주제별이나 종류별로 구분하여 메뉴로 구성, 메뉴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정보검색 서비스
2.텔넷(Telnet) : 원격접속서비스
4.아키(Archie) : 웹등장 이전의 검색엔진
[해설작성자 : 컴활2급붙은 김정은]

59. 다음 중 전송매체 중 광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건물 내의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할 때 저렴하게 이용한다.
     2. 대역폭이 넓어 데이터의 전송률이 뛰어나므로 데이터 손실이 적다.
     3. 리피터의 설치 간격이 넓어 가입자 회선으로 이용한다.
     4. 다른 전송매체보다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충격이나 잡음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광케이블은 최신 기술로 고가 입니다.

60.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모델은 일반적으로 2계층(2-tier) 모델과 3계층(3-tier) 모델로 분류된다. 다음 중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2계층 모델은 응용 논리의 주요 부분이 클라이언트에 주재하여 서버에게 데이터를 요청한다.
     2. 2계층 모델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할 경우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을 재작성할 필요가 없다.
     3. 3계층 모델은 표현 논리를 클라이언트에 두고, 응용 논리를 중간에, 그리고 자료 논리를 서버에 두어 구성된다.
     4. 3계층 모델은 확장성이 높아 대형화된 조직의 업무처리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계층 모델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추가 할 경우 기존의 응용프로그램을 재작성해야합니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05610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워드프로세서, 워드(구 1급)필기, 워드1급,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7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6888921)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56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10월14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155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819508)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154 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1월27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53 국내여행안내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1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2152 FAT 1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51 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150 설비보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6544899)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49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3624255)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148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147 실내건축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146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06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45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44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607114)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143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142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8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056105)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140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8
2139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38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245 Next
/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