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15375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금속조직학


1. 강내의 비금속 개재물 중 그룹 B형 개재물에 해당되는 것은?(2015년 05월)
     1. 황화물 종류
     2. 규산염 종류
     3. 알루민산염 종류
     4. 구형 산화물 종류

     정답 : []
     정답률 : 67%

2. Fe-C 평형상태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공정반응
     2. 포정반응
     3. 재융반응
     4. 공석반응

     정답 : []
     정답률 : 94%

3. 열간 인발한 알루미늄의 횡단면 조직을 관찰한 결과 중심부에는 매우 미세한 결정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가장자리는 현저한 조대입자의 생성이 관찰되었다. 이에 대한 원인과 방지대책으로 적합한 것은?(2011년 06월)
     1. 원인 : 편석
대책 : 재어닐링을 실시한다.
     2. 원인 : 불균일한 변형도
대책 : 인발도를 증가시킨다.
     3. 원인 : 불순물 원소의 확산
대책 : 재어닐링을 실시한다.
     4. 원인 : 공정온도의 불균일
대책 : 공정온도를 상향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4. 금속의 기본 결정구조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조성으로 옳은 것은? (단, ●는 A원자이며, ○는 B원자이며 각 면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2021년 05월)

   

     1. A 25%, B 75%
     2. A 50%, B 50%
     3. A 75%, B 25%
     4. A 67%, B 33%

     정답 : []
     정답률 : 85%

5. 재결정시 변화하는 기계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경도가 커진다.
     2. 연신율이 작아진다.
     3. 인장강도가 커진다.
     4. 탄성한도가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6%

6. 냉간가공된 순수한 구리를 상온에서 고온으로 서서히 연속적으로 가열할 때 가장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은?(2014년 05월)
     1. 회복
     2. 잠복기
     3. 재결정
     4. 결정립 성장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고온으로 서서히 연속 가열하는 경우, 가장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단계는 재결정 단계입니다. 재결정 단계에서는 고온에서 구조적인 재정렬이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내부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이는 결정의 구조 변화로 인해 큰 에너지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입니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7. 다음 중 페라이트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원소의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Fe와 전기음성도 차이가 큰 원소
     2. Fe와 다른 결정 구조의 원소
     3. Fe와 원자직경의 차이가 큰 원소
     4. 탄소의 고용도가 작은 원소

     정답 : []
     정답률 : 58%

8. 다음 그림에서 빗금 친 abc 면의 밀러 지수로 옳은 것은? (단, 모든 원의 간격은 동일하다.)(2021년 05월)

   

     1. (263)
     2. (236)
     3. (312)
     4. (362)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abc = 213
→ (1/2, 1/1, 1/3) x 6
→ 362
[해설작성자 : 한민우]

9. 체심입장정인 단결정에서 슬립(slip)이 잘 일어나는 방향은?(2017년 05월)
     1. [100]
     2. [110]
     3. [111]
     4. [122]

     정답 : []
     정답률 : 67%

10. 0.5% Wt 탄소강이 A1선 직상에서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미세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상 성분의 양은? (단, α의 탄소함유량은 0.025%, 공석점의 탄소함유량은 0.8%이다.)(2014년 05월)
     1. 페라이트 12%, 오스테나이트 88%
     2. 페라이트 18%, 오스테나이트 82%
     3. 페라이트 27%, 오스테나이트 73%
     4. 페라이트 39%, 오스테나이트 61%

     정답 : []
     정답률 : 90%

11. 쇼트키(shottky) 결함은 다음 중 어느 결함에 속하는가?(2018년 04월)
     1. 점결함
     2. 선결함
     3. 면간결함
     4. 체적결함

     정답 : []
     정답률 : 89%

12. 재결정 과정중에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전위가 감소되어 경도는 저하 하나 연신율은 증가한다.
     2. 재결정이 진행할수록 내부축적 에너지가 점차 증가한다.
     3. 핵생성 과핵성장에 의해 변형된 새로운 입자들이 생성, 성장한다.
     4. 재결정 온도이상으로 가열하면 결정입계 면적의 증가로 인해 결정입계 에너지가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13. 금속이 합금이 되었을때 일반적으로 강화되는 것은 무엇때문인가?(2011년 06월)
     1. 공격자점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2. 전위가 생기기 쉽기 때문이다.
     3. 응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4. 원자수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14. 성분 금속 A와 B가 전 농도에 걸쳐 액상과 고상에서 어떠한 비율로도 고용체를 만들 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6년 05월)
     1. 편정형 고용체
     2. 공정형 고용체
     3. 포석형 고용체
     4. 전율 고용체

     정답 : []
     정답률 : 87%

15. 그림과 같은 2성분계 상태도의 m점에서 일어나는 평형 반응은? (단, L1은 융액 Ⅰ , L2는 융액 Ⅱ 및 α는 고용체이다.)(2022년 04월)

    

     1. 공정반응
     2. 편정반응
     3. 공석반응
     4. 편석반응

     정답 : []
     정답률 : 64%

16. 다음 그림은 어떤 형태의 규칙격자를 나타낸 것인가?(2015년 05월)

    

     1. AB
     2. AB2
     3. A2B
     4. AB3

     정답 : []
     정답률 : 75%

17. 열평형 상태하에서 존재 가능한 결함으로서 쇼트키(Shottky) 결함이라고도 하는 것은?(2014년 05월)
     1. 공공(vacancy)
     2. 전위(dislocation)
     3. 적층결함(stackingfault)
     4. 격자간 원자(interstitialatom)

     정답 : []
     정답률 : 87%

18. 다음 중 전율 고용형 상태도를 나타내는 합금은?(2020년 06월)
     1. Ag - Cu
     2. Co - Cu
     3. Cu - Ni
     4. Pb – Zn

     정답 : []
     정답률 : 78%

19. 다음 그림은 어떤 형의 규칙격자 구조를 나타내는가?(2018년 04월)

    

     1. 체심입방격자 AB형
     2. 면심입방격자 AB형
     3. 체심입방격자 AB3
     4. 면심입방격자 AB3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위 결정구조는 Face Centered Cubic 으로 cubic 내에는 여덟 군데 모서리에 원자의 1/8 이 총 8개이므로 1/8*8=1 개의 A원자가 존재하고 여섯 군데 면에 원자의 1/2 이 총 6개이므로 1/2*6=3 개의 B원자가 있다. 고로 AB3 형의 면심입방격자가 된다.
[해설작성자 : 횰크]

20. 포정반응이 공정반응보다 응고속도가 대단히 느린 가장 큰 이유는?(2014년 05월)
     1. 과냉속도가 낮기 때문이다.
     2. 용해온도가 같기 때문이다.
     3. 석출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4. 고체 내 확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포정반응은 용액이나 기체 상태에서의 화학 반응으로서, 용질이 포화 상태로 응고하여 고체로 전환되는 반응입니다. 이러한 반응에서는 고체로의 응고 과정에서 고체 내부에서의 확산이 필요합니다. 고체 내 확산은 분자나 이온 등이 고체 구조 내에서 이동하고 배치를 재조정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확산 과정은 응고 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고체 내 확산은 분자나 이온이 고체 구조 내에서 이동하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응고 속도가 느려집니다.

비교적에 공정반응은 액체나 기체 상태에서 일어나는 반응으로, 고체 내 확산이 필요하지 않거나 고체 구조에 의한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응입니다. 따라서, 포정반응은 고체 내 확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응고 속도가 대단히 느릴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2과목 : 금속재료학


2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입계부식을 방지하는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고온으로부터 급랭한 후 400~700℃에서 장시간 유지하여 공랭한다.
     2. 크롬탄화물이 석출하지 않도록 탄소량을 0.03% 이하로 아주 낮게 유지한다.
     3. 1000~1150℃로 가열하여 크롬탄화물을 고용시킨 다음 급랭한다.
     4. C와 친화력이 Cr보다 큰 Ti, Nb, Ta 등의 안정화원소를 첨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입계부식 방지
- 1000~1150도로 가열 후 Cr탄화물을 오스테나이트 조직 중에 용체화하여 급냉한다.
- 탄소량을 감소시켜 Cr4C탄화물의 발생을 저지시킨다.
- 탄소와 친화력이 Cr보다 큰 Ti, V, Nb, Ta 등을 첨가해 Cr4c 대신에 TiC, NbC, V4C3 등의 탄화물을 발생시켜 Cr의 탄화물을 감소시킨다.
[해설작성자 : 김민지]

22. 탄소강에 Mn을 첨가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펄라이트를 미세화시킨다.
     2. 페라이트의 고용강화를 일으킨다.
     3. 강 중에 존재하는 S와 결합하여 MnS를 형성한다.
     4. 오스테나이트에서 퀜칭할 때 경화 깊이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경화깊이를 증가시킵니다
[해설작성자 : ㅋ]

23. 원소 주기율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할로겐 원소들은 가장 양성적인 비금속들이다.
     2. 제0족을 제외하고 표 우측끝으로 갈수록 금속성이 약해진다.
     3. 제1족의 알칼리금속이 전기화학적으로 가장 음성이다.
     4. 좌측 아래로 갈수록 금속성이 약하고, 우측 위로 갈수록 비금속성이 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24. 탄소강에 합금원소를 첨가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2. 합금원소에 의한 기지를 고용강화한다.
     3. 미려한 표면에 광택이 생기도록 한다.
     4. 변태속도의 변화에 따른 열처리 효과를 향상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81%

25. ASTM 결정립도 번호 n, 100배 배율의 1in2에 존재하는 결정립수를 N 이라고 하면 N = n-1로 주어진다. 만약에 어떠한 재료가 200배 미세조직 사진에서 1in2에 64개의 결정립이 관찰된다면 ASTM 결정립도 번호는?(2011년 06월)
     1. 6
     2. 7
     3. 8
     4. 9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00배 64개 결정립이라면 100배의 경우 256개의 결정립이 관찰됩니다.    따라서 256=2^8이 되고 N=n-1 N=8이면 n=9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1]

26. 해드필드(hadfield) 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베이나이트 조직을 가진 강이다.
     2. 고온에서 서냉하면 결정립계에 M3C가 석출한다.
     3. 고온에서 서냉하면 오스테나이트가 마텐자이트로 변태한다.
     4. 열전도성이 나쁘고, 팽창계수도 커서 열변형을 일으킨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해드필드강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임.
[해설작성자 : dd]

망간 13%정도가 함유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헤드필드강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분말야금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절삭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2. 다공질의 금속재료를 만들 수 있다.
     3. 용해법으로 만들 수 없는 합금을 만들 수 있다.
     4. 제조과정에서 융점 이상까지 온도를 올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28. 스털링 실버(sterling silver)는 어떠한 합금인가?(2011년 06월)
     1. Ag-Sn합금
     2. Ag-Pt합금
     3. Ag-Cu합금
     4. Al-Si합금

     정답 : []
     정답률 : 74%

29. 자기부상열차에서 사용되는 초전도재료에 나타나는 현상과 관계있는 것은?(2020년 06월)
     1. 암페르 법칙
     2. 전류제로 효과
     3. 반도체적 특성
     4. 마이스너 효과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마이스너 효과
초전도 덩어리 내부에는 항상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는 성질

조셉슨 효과
두 개의 초전도 물질 사이에 부도체를 끼워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
[해설작성자 : 한민우]

30. 다음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열전대 재료는?(2020년 06월)
     1. 철-콘스탄탄
     2. 크로멜-알루멜
     3. 백금-백금·로듐
     4. 구리-콘스탄탄

     정답 : []
     정답률 : 77%

31. 다음의 강 중 탄소(C)의 양이 가장 많은 것은?(2013년 06월)
     1. 연강
     2. 경강
     3. 공정주철
     4. 탄소공구강

     정답 : []
     정답률 : 73%

32. 다음 중 Mg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융점은 약 1100°C 이다.
     2. 비강도가 커서 항공우주용 재료로 사용된다.
     3. 감쇠능이 주철보다 커서 소음방지 구조재로서 우수하다.
     4. 상온에서 100°C까지는 장시간에 노출되어도 치수의 변화가 거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마그네슘의 녹는점은 약 650℃로,
1100℃는 끓는점입니다.
[해설작성자 : 두랄루민]

33. 금속재료 경도시험방법 중 압입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쇼어경도
     2. 비커스경도
     3. 로크웰경도
     4. 브리넬경도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압입 경도시험 : 브리넬 경도계, 로크웰 경도계, 비커스 경도계, 마이어 경도계
반발 경도시험 : 쇼어 경도계
[해설작성자 : 김민지]

34. 카트리지 황동(cartridge bra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가공용 황동이다.
     2. 70%Cu+30%Zn황동이다.
     3. 판, 봉, 관의 형태로 사용된다.
     4. 금박 대용으로 사용하며, 톰백이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7Cu-30Zn 합금 (카트리지 황동)
가공용 황동의 대표로 판, 봉, 관, 선 등으로 널리 사용
자동차용 방열기 부품, 소켓, 『탄피』, 작싱품 등에 사용

80Cu-20Zn 합금 (톰백)
전연성이 좋고 색깔이 아름다워 장식용 악기 등에 사용
이런 5 ~ 20%Zn의 저아연 합금을 총칭해 톰백이라고 부름
색이 금과 비슷해 모조금으로 사용하며 금박의 대용으로 쓰임
[해설작성자 : 한민우]

35. 분말을 캡슐에 넣어 진공 밀폐한 것을 고압용기에 넣은 후 고온고압의 불활성가스에서 압력을 가하여 압축과 소결을 동시에 실시하는 성형법은?(2018년 04월)
     1. 소결단조법
     2. 사출성형법l
     3. 분무성형법
     4. 열간정수압성형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열간정수압소결법 : 세라믹스 제품을 만드는 제조법의 하나로서 분체의 형성과 소결의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기술
[해설작성자 : 김민지]

36. 표점거리50mm, 직경5mm 인 봉재 시편의 인장 시험 결과, 절단 후 표점거리가 55mm이고, 인장강도가 152.8kgf/mm2으로 나타났다. 이 때 최대하중(kgf)은 약 얼마인가?(2015년 05월)
     1. 2500
     2. 3000
     3. 3500
     4. 4000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최대하중 = 인장강도 x 원주율 x 반지름^2
최대하중 = 152.8 x pie x (5/2)^2 = 955 pie = 3000.2 kgf
답 2번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공부 장인]

37.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대표적인 조성은 18%Cr – 8%Ni 이다.
     2. 자성체이며, FCC의 결정구조를 갖는다.
     3. 오스테나이트조직은 페라이트조직보다 원자밀도가 높아 내식성이 좋다.
     4. 1100℃ 부근에서 급냉하는 고용화처리를 하여 균일한 오스테나이트조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상자성입니다.
[해설작성자 : 힝흥행홍]

38. 다음 중 M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비중은 약 1.74 정도이며, 조밀육방격자를갖는다.
     2. 기계적 절삭성은 나쁘나, 산이나 염류에 대한 내식성은 매우 우수하다.
     3. 감쇠능이 우수하여 소음방지 구조재로 사용가능하다.
     4. 마그네슘의 원료로는 Magnesite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알칼리에는 견디나 안이나 열에 침식되며 Mg은 용융점 온도 이상에서 O2에 대한 친화력이 크므로 공기 중에서 가열, 용해하면 폭발, 발화한다.
[해설작성자 : 김민지]

39. 수소저장 합금에서 열에너지의 저장 및 수송 등에 사용 가능한 합금계가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Cu -Zn계
     2. Fe –Ti계
     3. LaNi5
     4. Mg2Ni계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금속 수소화물을 만들기 쉬운 희토류, Ti, Zr과 Mn, Fe, Co, Ni을 조합한 2성분 또는 다성분계 금속간의 화합물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한민우]

40. 다음 중 불변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Inver
     2. Elinvar
     3. Inconel
     4. Super invar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인바, 초 인바, 엘린바, 플래티나이트 = 불변강 (Fe-Ni계)
인코넬 = Ni-Cr-Fe계 내식성 합금
[해설작성자 : 한민우]

3과목 : 야금공학


41. 탈산제의 구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산소와의 친화력이 Fe보다 낮아야 한다.
     2. 탈산제가 용강 중에 급속히 용해되어야 한다.
     3. 탈산생성물의 부상속도가 커야한다.
     4. 탈산생성물이 강중에 남지 않게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42. 다음의 설명과 관계있는 것은?(2021년 08월)

    

     1. Henry의 법칙
     2. Raoult의 법칙
     3. Darken의 법칙
     4. Freundlich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68%

43. 200K에서 ZnO2 = Zn + O2의 반응에 대한 평형 상수는 얼마인가? (단, 200K에서 △G° = 17330cal 이다.)(2022년 04월)
     1. 1.151×10-19
     2. -1.151×10-19
     3. 9.817×10-9
     4. -9.817×10-9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ΔGo    = - RT ln K     (K는 평형 상수)
17330 * 4.184 = - 8.314 * 200 * lnK
4.184 J = 1 cal 이고,
R = 8.318 J/K 이다.
[해설작성자 : 청포도]

44. 기체 운동론에 의하여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 1몰의 평균 운동에너지 Ek와 PV적(積)사이에 PV=(2/3) Ek의 관계가 성립된다. 임의의 온도 T(K)에서 이상기체 1몰이 갖는 한 방향당 운동에너지는 에너지 등분칙에 의하여 어떠한 값이 되는가?(2011년 06월)
     1. (3/2)KT
     2. (1/2)KT
     3. (2/3)KT
     4. (1/3)KT

     정답 : []
     정답률 : 58%

45. 상온 20°C에서 강 1ton을 1600°C까지 용해하는데 필요한 이론상 총 열량은 몇 kcal인가? (단,강의 비열은 0.16kcal/kgf, 용융잠열은 65kcal/kgf이다.)(2010년 05월)
     1. 320900
     2. 317800
     3. 269300
     4. 252800

     정답 : []
     정답률 : 61%

46. 1몰의 이상기체가 10L에서 100L로 가역등온팽창할 때 △S는 약 몇 cal/degree 인가?(2018년 04월)
     1. 1.575
     2. 2.575
     3. 3.575
     4. 4.575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가역등온팽창 델타S=nRln(Vf/Vi) = 1mol x 1.98cal x ln( 100L / 10L ) = 4.575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공부 장인]

47. 가역반응의 평형점에서 온도가 증가하면 어떻게 되는가?(2015년 05월)
     1. ΔH가 (+)값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
     2. ΔH가 (-)값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
     3. 흡열도 발열도 하지 않는다.
     4. ΔH 값은 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3%

48. 철강제조시 슬래그(Slag)의 염기도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7%

49. 압력P, 온도가 T인 1몰의 이상기체가 진공으로 등온 팽창하여 부피가 2배로 되었을때, ΔH, ΔS, ΔA, ΔG를 구한 것으로 틀린 것은? (단, H : 엔탈피, S : 엔트로피, A : 헬름홀츠 자유에너지, G: 깁스 자유 에너지이다.)(2012년 05월)
     1. ΔH =0
     2. ΔG =-RT∙n2
     3. ΔA =RT∙n2
     4. ΔS = R∙n(V2/V1) =R∙n2

     정답 : []
     정답률 : 63%

50. 25℃에서 1 몰의 물을 등온 상태에서 1atm에서 1000atm으로 압축했다면, 이때 엔트로피 변화는 약 몇 J/K인가? (단, 물의 압축율(β)은 0이고, 25℃에서 물의 열팽창계수는 2×10-4/K이고, 밀도는 1g/cm3으로 가정한다.)(2021년 05월)
     1. -0.364
     2. -0.319
     3. -0.277
     4. -0.252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 맥스웰방정식 활용(편미분을 그냉 d라고 쓸께요)(열챙창계수는 a라고 할께요)
(dS/dP)_T=-(dV/dT)_P    [P1에서p2 적분]
델타S=[p1에서p2까지 적분](ds/dp)_T*dP=-[P1에서p2적분](dv/dt)_p *dP
[열팽창계수(a)=델타v/v ÷델타T = 델타V/v × 1/델타T = 1/v×(델타V/델타T)
a=1/v(델타v/델타T) ]
[식에 대입하기 쉽게 av=(델타v/델타t)_p    , 위 식이 대입]
델타S=-[p2-p1]aV*dP
[문제에서 물의 압축률=0 ,v변화 없음 av를 적분에서 빼줌]
S=-av*dP
이식에    대입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어떠한 비정질 물질이 임계온도에서 비정질(amorphous) → 결정질(crystalline)반응에 의해 결정물질로 된다. 이 반응의 엔탈피 변화량 ΔH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5월)
     1. ΔH는 0이다.
     2. ΔH는 음수이다.
     3. ΔH는 양수이다.
     4. 물질에 따라 ΔH는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71%

52. 보기와 같은 조건에서 금속 A의 융점은 약 몇 K 인가?(2022년 04월)

    

     1. 1211
     2. 885
     3. 796
     4. 102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ΔGo= 0
이항해서 풀면
T=3600/4.521
[해설작성자 : 청포도]

53. 압력P, 온도T인 1몰의 이상기체가 진공으로 등온 팽창하여 부피가 2배로 되었을 때, △H, △S, △G를 구한 것으로 틀린 것은? (단, H: 엔탈피, S: 엔트로피, A: 헬름홀츠 자유에너지, G: 깁스 자유에너지)(2021년 05월)
     1. △H=0
     2. △A=RTln2
     3. △G=-RTln2
     4. △S=Rln2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헬름 홀츠 자유에너지는 온도,부피가 일정할 때
깁스 자유에너지는 온도, 압력 일정할 때
[해설작성자 : 전준형]

54. 298K, 1mol의 이상기체를 1atm에서 400atm으로 압축할 때 발생하는 깁스 자유에너지 변화는 약 몇 J인가? (단, 기체상수는 8.314J/molㆍK이다.)(2021년 08월)
     1. 14844
     2. 15844
     3. 24844
     4. 2584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팽창 시 엔트로피변화 양수니까 깁스 자유에너지 변화는 음의 값
압축 시 엔트로피변화 음수니까 깁스 자유에너지 변화는 양의 값

55. 다음 중 은의 전해 경련법은?(2016년 05월)
     1. Dow법
     2. Mond법
     3. Moebius법
     4. Hybinette법

     정답 : []
     정답률 : 77%

56. 제겔 콘 27의 표준온도는 몇 ℃ 인가?(2020년 06월)
     1. 1580
     2. 1600
     3. 1640
     4. 166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내화물: 내화도 SK26번(1,580℃) 이상인 것 / 제겔콘 27 = 1600℃
[해설작성자 : 한민우]

57. 다음의 식 중에서 Gibbs-Duhem의 변형에 해당되지 않는 식은?(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58. 다음 반응은 500K에서 B(g)와 AB(g)의 분압이 PB(g)=0.2기압, PAB(g)=0.8기압에서 평형을 이룬다. A(s)+B(g)=AB(g), 500K에서 고체A(s) 위에 부피비로, 20%B(g), 20%AB(g), 60%아르곤의 혼합가스를 통과시키면 어느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는가?(2013년 06월)
     1. 정방향
     2. 역방향
     3. 알 수 없다.
     4. 평형상태로 유지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59. 엔트로피(entropy)의 값으로 알 수 없는 사항은?(2014년 05월)
     1. 불규칙 정도(degree of randomness)
     2. 화학적 반응이 일어난 경로(path)
     3. 비가역정도(irreversibility)
     4. 화학적 반응의 자발적 방향(direction Of process)

     정답 : []
     정답률 : 77%

60. 반데르발스 기체는 이상기체 특징의 일부분을 수정한기체이다. 반데르발스 기체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부피와 상호작용력이 없다.
     2. 분자간 상호작용력은 있다.
     3. 압력이 증가하여도 액화가 되지 않는다.
     4. 기체 입자의 부피는 이상기체와 같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76%

4과목 : 금속가공학


61. 분산강화 및 석출강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금속기지 속에 미세하게 분산된 불용성 제2상으로 인하여 생기는 강화를 분산강화라 한다.
     2. 석출강화에서는 석출물이 모상과 비정합 계면을 만들 때 가장 효과가 크다.
     3. 석출입자에 의한 강화에서 석출물의 강도와 그 분포가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4. Orowan 기구는 과시효된 석출 경화형 합금의 강화기구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석출강화에서는 석출물이 모상과 비정합 계면을 만들 때 가장 효과가 크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석출강화는 고체 용체 상변태를 통해 석출물이 형성되고, 이 석출물이 금속 매트릭스 내에서 임의의 위치에 분포하여 강화를 이루는 메커니즘입니다. 석출물과 매트릭스 간의 결정구조적인 일치는 석출강화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석출물이 모상과 비정합 계면을 만드는 것보다는 매트릭스와 결정구조적으로 일치하는 석출물이 더 큰 강화 효과를 가져옵니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62. 냉간 가공된 금속재료를 재가열 시 일어나는 Polygoni zation은 어느 단계에서 일어나는가?(2011년 06월)
     1. 과열(over heating)
     2. 결정성장(graingrowth)
     3. 재결정(recrystallization)
     4. 회복(recovery)

     정답 : []
     정답률 : 58%

63. 다음 중 피로파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반복하중 없이 충격에 의해서만 얻어진다.
     2. 파면이 주 인장응력 방향에 평행하다.
     3. 파면에는 주로 원형자국(beach mark)이 나타난다.
     4. 최대 인장응력이 최소가 되어야 피로파괴가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67%

64. 균질변형에서 경계마찰계수(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부착인 경우는 1 이다.
     2. 완전 미끄러짐은 0 (Zero)이다.
     3. 계면에서의 전단응력은 재료의 전단항복응력을 초과한다.
     4. m은 계면전단강도/전단항복응력으로 표현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65. 재료 내의 3개의 최대전단응력 중 어느 하나의 최대전단응력이 일정한 값에 이르면 항복이 일어난다는 항복 조건설은?(2017년 05월)
     1. Fink 의 항복조건
     2. Tresca 의 항복조건
     3. Ekelund 의 항복조건
     4. Nises – Hencky 의 항복조건

     정답 : []
     정답률 : 85%

66. t = 100MPa이고, 기타의 모든 σij = 0 일 때 최대전단응력은 얼마인가?(2016년 05월)
     1. 50MPa
     2. 100MPa
     3. 150MPa
     4. 200MPa

     정답 : []
     정답률 : 77%

67. 금속재료의 시험에서 비틀림 시험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항복강도와 연신율을 결정
     2. 연신율과 소성변형정도를 결정
     3. 비틀림 강도와 인장강도를 결정
     4. 강성계수 G값의 측정과 비틀림 파단강도를 결정

     정답 : []
     정답률 : 72%

68. 인장시험 시 연신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시편의 단면적이 적을수록 연신율은 감소한다.
     2. 시편의 초기 표점거리가 짧을수록 연신율은 감소한다.
     3. 크기가 다른 시편의 연신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시편의 기하학적 형태가 같도록 해야 한다.
     4. 네킹(necking) 현상의 발생은 연신율과 단면감소율 간의 양적 환산을 어렵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69. 피로 강도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시편 표면의 긁힌 자국이 주 인장응력의 방향과 어떤 각을 이룰 때인가?(2014년 05월)
     1.
     2. 45°
     3. 90°
     4. 강도와 상관없다.

     정답 : []
     정답률 : 57%

70. 280MPa의 응력에서 인장력을 받고 있는 재료의 단위 체적당 탄성변형에너지는 몇 MPa 인가? (단, 탄성률 E=7×104MPa 이다.)(2018년 04월)
     1. 5.6
     2. 0.56
     3. 0.02
     4. 0.002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응력의 제곱/2xE =(280)^2/14x10^4=0.56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맨]

응력=변형률*탄성계수
탄성에너지=응력*변형률/2=응력^2/(2*탄성계수)=280^2/(2*7*10^4)=0.56 [Mpa]
[해설작성자 : 횰크]

71. 금속 재료의 피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지름이 크면 피로 한도는 작아진다.
     2. 노치가 있는 시험편의 피로 한도는 크다.
     3. 표면이 거친 것이 고운 것보다 피로 한도가 작다.
     4. 노치가 없을 때와 있을 때의 피로 한도 비를 노치계수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피로한도란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응력까지의 범위에서 반복해도 재료가 파괴가 되지 않는 한계를 말하며
그 주기는 보통 100만 회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피로한도가 클수록 오랜 반복된 응력에도 잘 견디며
피로한도가 작을수록 반복된 응력에 잘 견디지 못합니다.
피로한도 ( 피로한계) 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1. 노치효과 : 단면의 형상이 변하는 부분에 응력 집중에의 한 피로한도 저하
2. 표면효과 : 표면이 거칠수록 피로한도 저하
3. 부식효과 : 부식으로 인한 피로 한도저하
4. 치수효과 : 부재의 치수가 커질수록 피로한도 저하
5. 온도효과 : 온다가 실온이상으로 증가하며 피로한도 저하
6. 압입효과 : 억지끼어맞춤, 때려박음 등에 의한 변율로 인한 피로한도 저하
7. 속도효과 : 하중이 반복되는 속도가 커질수록 피로한도 저하
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너넨금속전공하지마라]

72. [그림]과 같이 물체 ABCD 에 전단력이 작용하여 원래 90°인 각이 전단응력을 받아 θ만큼 작아졌을 때 전단변형율 γ를 옳게 정의한 식은?(2018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8%

73. 전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전위는 선결함에 해당된다.
     2. 각 온도에서 평형 전위농도가 존재한다.
     3. 칼날전위의 경우 Burgers 벡터와 전위선은 수직이다.
     4. 전위가 활주할 수 있는 면은 전위선과 Burgers 벡터가 공존하는 면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74. 훅쿠의 법칙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σ:응력(Stress), ε:변형률(Strain), E:영률(Young’s modulus))(2021년 05월)
     1. σ=E+ε
     2. σ=E-ε
     3. σ=E×ε
     4. σ=E/ε

     정답 : []
     정답률 : 83%

75. HCP 금속결정에서 슬립면이 (0001)이며, 슬립방향이 일 때, 슬립계는 몇 개인가?(2020년 06월)
     1. 2개
     2. 3개
     3. 6개
     4. 10개

     정답 : []
     정답률 : 60%

76. 다음 중 열간가공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가공경화가 쉽게 제거된다.
     2. Ti과 같은 활성금속은 공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가공해야 한다.
     3. 주조상태보다 인성과 연성이 증가한다.
     4. 주조 조직의 화학적 불균일성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주조 조직의 화학적 불균일성은 감소한다.
고온에서 일어나는 작업이므로 어느정도 확산이 일어나 화학적 균일성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청포도(금속 1트)]

77. 가공경화(work hardening)와 관련이 적은 것은?(2017년 05월)
     1. 변형저항의 감소
     2. 경도의 증가
     3. 스테리인 경화
     4. 탄성한계의 상승

     정답 : []
     정답률 : 48%

78. 전단가공에서 랜싱(lanc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판재의 일부분을 남기고 절단하는 가공이다.
     2. 판재를 두 개 또는 그 이상으로 절단하는 가공이다.
     3. 판재의 옆면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잘라내는 가공이다.
     4. 연속 천공이라고도 하며, 판재에 다수의 구멍을 뚫는 가공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79. 다음 중 재료를 가공할 때 변형 저항을 높이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전위밀도
     2. 용매원자
     3. 용질원자
     4. 결정립계

     정답 : []
     정답률 : 72%

80. 전단저항이 450MPa 이고, 두께가 2mm인 판재를 원둘레 길이가 200mm인 원판으로 자르는데 필요한 전단 하중은 약 몇 kN인가?(2020년 06월)
     1. 180
     2. 200
     3. 340
     4. 45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전단해야할 원판 둘레의 면적: 2 * 200 = 400 mm2
전당저항이 450 MPa = 450 N/mm2 이므로,
400 * 450 = 180,000 N = 180 kN
[해설작성자 : 청포도(금속 1트)]

81. 무전해 니켈액의 구성 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니켈염 : 니켈 피막을 부여한다.
     2. 환원제 : 니켈 이온의 모성분의 공급원이다.
     3. 착화제 : 니켈염의 침전을 방지하고 액을 안정화 시킨다.
     4. 안정제 : 자기분해를 촉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84%

82. 질화 열처리에 있어서 Fe-Ni계 평형 상태도에 나타나는 Fe-N 화합물 중에서 면심입방정의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는 상은?(2021년 08월)
     1. Fe16N2
     2. Fe4N
     3. Fe3N
     4. Fe2N

     정답 : []
     정답률 : 56%

83. 물리적 기상도금인 PVD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처리온도가 높다.
     2. 기계적으로 응착이 된다.
     3. 밀착성이 CVD보다 낮다.
     4. 가열할 수 없는 물체에 적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84. 인산염 피막 처리에서 피막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인산철계
     2. 인산니켈계
     3. 인산아연계
     4. 인산망간계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인산염 처리
① 인산아연 피막(철강, 아연, 알루미늄) ② 인산철 피막(철강)
도장 하지, 전기 절연, 소성가공 윤활

③ 인산아연칼슘 피막(철강) ④ 인산망간 피막(철강)
도장 하지, 소성가공용 윤활

도장 하지에는 도료 및 도장 방법의 종류, 소재 금속의 종류에 따라 인산염 피막에 특수한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게 박막형으로 치밀한 인산아연계, 인산아연칼슘계, 인산철계가 사용된다. 철강의 내마모에는 인산염 피막이 서로 접촉하는 철강 부품의 표면 마찰 저항을 줄이고 마모를 감소시킨다. 특히 인산망간계 피막이 가장 적절하며 기어, 캠 샤프트, 피스톤 링 등에 적용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한민우]

85. 구조용 합금강, 고망간강 ,고니켈강 등에서 융강 중의 수소 가스로 인하여 강의 파단면에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생기는 것으로 열처리 후 균열의 원인이 되는 것은?(2011년 06월)
     1. 편석
     2. 수축공
     3. 백점
     4. 비금속개재물

     정답 : []
     정답률 : 75%

86. 공업적으로 쓰이고 있는 양극산화 방법이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황산법
     2. 옥살산법
     3. 크롬산법
     4. 염화칼륨법

     정답 : []
     정답률 : 61%

87. 각종 코팅법에서 열에너지와 화학반응로 금속 및 합금 코팅이 가능하고 입자가 원자 또는 이온 상태로 코팅이 이루어지는 코팅 방법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진공증착
     2. 이온 플레이팅
     3. 화학증착(CVD)
     4. 금속전기도금

     정답 : []
     정답률 : 62%

88. 뜨임 균열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잔류 응력이 남게 하며,가열을 급속히 한다.
     2. Ms점, Mf점이 낮은 고합금강은 2번 뜨임을 실시한다.
     3. 결정입계의 취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을 감소시킨다.
     4.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은 열처리상 알맞게 설계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89. 착염욕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단순염욕에 비하여 균일전착성이 우수하다.
     2. 착염욕은 레벨링이 좋은 전착물을 얻기는 힘들다.
     3. 단순염욕에서 가능했던 합금도금이 착염욕에서는 불가능하다.
     4. 단순염욕보다 높은 과전압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석출물이 미립자이며, 밀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착염욕에서 도금하면 단순염욕에서 불가능했던 합금도금이 가능함
[해설작성자 : 한민우]

90. 다음 중 열처리에서 뜨임 처리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9년 08월)
     1. 경도 부여
     2. 인성 부여
     3. 조직 경화
     4. 재료 표준화

     정답 : []
     정답률 : 76%

91. 열처리한 강재의 후처리 시 발생하는 수소 취성 방지법은?(2018년 04월)
     1. 전기도금을 실시한다.
     2. 염산 및 황산 수용액에서 세척한다.
     3. 180℃에서 약 7시간 정도 유지한다.
     4. 아연을 희생 양극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92.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시료 관찰시 표면이 대전되면 주사전자선이 불균일하게 편향되므로 이상 콘트라스트를 발생시킨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료표면에 금속을 피복하여 관찰하는데 피복용 물질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Pt
     2. Au
     3. Li
     4. Cr

     정답 : []
     정답률 : 81%

93. 고속도 공구강의 표면에 증착처리 방법으로 TiN과 TiC를 적층피복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절한 방법은?(2019년 08월)
     1. 물리적 증착
     2. 크로마이징 증착
     3. 증기 세라다이징 증착
     4. 무전해 니켈 복합 증착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고속도 공구강 : SKH 라 불리며 고속도 공구강도 fe base 공구강이다.
강재를 전해액에 담궈 도금하는 것은 도금시 발생되는 수소에 의해 수소취성이 생길수있다.
또한 CVD로 증착시 CVD는 PECVD가 650도로 낮은온도이지만 다른 CVD는 최소8~1000도 이다.
모두가 알다시피 FE는 온도에따라 상변이를 하여 FCC가 되는 오스테나이트 온도 영역에서 증착뒤
냉각 되면 bcc가 되기에 증착되고 냉각시 격자구조 및 격자길이가 달라져 증착된 박막이 뜯어지거나 부풀어올라 안된다.
고로 물리적인 증착으로 온도를 높이지 않는 것이 제일 좋다 물론 cvd로 할시 표면에 니켈 도금을하여 하는 경우가 있다
[해설작성자 : kau_재료]

94. 진공 중에 금속을 가열하면 금속이 증발한다. 이렇게 증발하는 금속 분자를 증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판에 부착시키면 표면에서 증기가 응축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코팅법을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5월)
     1. 도장법
     2. 음극전해법
     3. 진공증착법
     4. 화학침투법

     정답 : []
     정답률 : 84%

95. PVD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1년 08월)
     1. 진공증착법
     2. 음극스퍼터링
     3. 이온도금
     4. 플라즈마아크

     정답 : []
     정답률 : 67%

96. 금속표면처리에서 전처리 작업은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전처리의 불완전에서 발생하는 도금결함을 나타낸 것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도금제품의 부식과 취성이 발생된다.
     2. 도금두께의 편차가 크게 발생된다.
     3. 도금 층이 거칠게 나타나고, 피트가 발생한다.
     4. 도금 층에 얼룩, 구름낌 등의 광택 불균형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61%

97. 전해처리 의한 양극산화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황산법
     2. 니켈산법
     3. 크롬산법
     4. 옥살산법

     정답 : []
     정답률 : 62%

98. 심냉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냉각제는 액체산소가 이용된다.
     2.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행한다.
     3. 담금질 후 실온에 방치하면 심냉처리 효과가 적어진다.
     4. 고합금강의 경우 뜨임과 심냉처리를 반복 실시하여 균열을 막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99. 양극산화처리법이 아닌 것은?(2021년 08월)
     1. 황산법
     2. 아연산법
     3. 크롬산법
     4. 옥살산법

     정답 : []
     정답률 : 51%

100. 입방결정에 입사되는 X선의 파장이 λ 이고 입방결정의 단위포위 크기가 a 일 때, 회절이 일어날 수 있는 다음의 면 중 Bragg 각이 가장 큰 면은?(2017년 05월)
     1. (331)
     2. (222)
     3. (311)
     4. (400)

     정답 : []
     정답률 : 74%


정 답 지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15375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금속조직학


1. 강내의 비금속 개재물 중 그룹 B형 개재물에 해당되는 것은?(2015년 05월)
     1. 황화물 종류
     2. 규산염 종류
     3. 알루민산염 종류
     4. 구형 산화물 종류

     정답 : []
     정답률 : 67%

2. Fe-C 평형상태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공정반응
     2. 포정반응
     3. 재융반응
     4. 공석반응

     정답 : []
     정답률 : 94%

3. 열간 인발한 알루미늄의 횡단면 조직을 관찰한 결과 중심부에는 매우 미세한 결정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가장자리는 현저한 조대입자의 생성이 관찰되었다. 이에 대한 원인과 방지대책으로 적합한 것은?(2011년 06월)
     1. 원인 : 편석
대책 : 재어닐링을 실시한다.
     2. 원인 : 불균일한 변형도
대책 : 인발도를 증가시킨다.
     3. 원인 : 불순물 원소의 확산
대책 : 재어닐링을 실시한다.
     4. 원인 : 공정온도의 불균일
대책 : 공정온도를 상향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4. 금속의 기본 결정구조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조성으로 옳은 것은? (단, ●는 A원자이며, ○는 B원자이며 각 면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2021년 05월)

   

     1. A 25%, B 75%
     2. A 50%, B 50%
     3. A 75%, B 25%
     4. A 67%, B 33%

     정답 : []
     정답률 : 85%

5. 재결정시 변화하는 기계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경도가 커진다.
     2. 연신율이 작아진다.
     3. 인장강도가 커진다.
     4. 탄성한도가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6%

6. 냉간가공된 순수한 구리를 상온에서 고온으로 서서히 연속적으로 가열할 때 가장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은?(2014년 05월)
     1. 회복
     2. 잠복기
     3. 재결정
     4. 결정립 성장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고온으로 서서히 연속 가열하는 경우, 가장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단계는 재결정 단계입니다. 재결정 단계에서는 고온에서 구조적인 재정렬이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내부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이는 결정의 구조 변화로 인해 큰 에너지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입니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7. 다음 중 페라이트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원소의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Fe와 전기음성도 차이가 큰 원소
     2. Fe와 다른 결정 구조의 원소
     3. Fe와 원자직경의 차이가 큰 원소
     4. 탄소의 고용도가 작은 원소

     정답 : []
     정답률 : 58%

8. 다음 그림에서 빗금 친 abc 면의 밀러 지수로 옳은 것은? (단, 모든 원의 간격은 동일하다.)(2021년 05월)

   

     1. (263)
     2. (236)
     3. (312)
     4. (362)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abc = 213
→ (1/2, 1/1, 1/3) x 6
→ 362
[해설작성자 : 한민우]

9. 체심입장정인 단결정에서 슬립(slip)이 잘 일어나는 방향은?(2017년 05월)
     1. [100]
     2. [110]
     3. [111]
     4. [122]

     정답 : []
     정답률 : 67%

10. 0.5% Wt 탄소강이 A1선 직상에서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미세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상 성분의 양은? (단, α의 탄소함유량은 0.025%, 공석점의 탄소함유량은 0.8%이다.)(2014년 05월)
     1. 페라이트 12%, 오스테나이트 88%
     2. 페라이트 18%, 오스테나이트 82%
     3. 페라이트 27%, 오스테나이트 73%
     4. 페라이트 39%, 오스테나이트 61%

     정답 : []
     정답률 : 90%

11. 쇼트키(shottky) 결함은 다음 중 어느 결함에 속하는가?(2018년 04월)
     1. 점결함
     2. 선결함
     3. 면간결함
     4. 체적결함

     정답 : []
     정답률 : 89%

12. 재결정 과정중에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전위가 감소되어 경도는 저하 하나 연신율은 증가한다.
     2. 재결정이 진행할수록 내부축적 에너지가 점차 증가한다.
     3. 핵생성 과핵성장에 의해 변형된 새로운 입자들이 생성, 성장한다.
     4. 재결정 온도이상으로 가열하면 결정입계 면적의 증가로 인해 결정입계 에너지가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13. 금속이 합금이 되었을때 일반적으로 강화되는 것은 무엇때문인가?(2011년 06월)
     1. 공격자점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2. 전위가 생기기 쉽기 때문이다.
     3. 응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4. 원자수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14. 성분 금속 A와 B가 전 농도에 걸쳐 액상과 고상에서 어떠한 비율로도 고용체를 만들 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6년 05월)
     1. 편정형 고용체
     2. 공정형 고용체
     3. 포석형 고용체
     4. 전율 고용체

     정답 : []
     정답률 : 87%

15. 그림과 같은 2성분계 상태도의 m점에서 일어나는 평형 반응은? (단, L1은 융액 Ⅰ , L2는 융액 Ⅱ 및 α는 고용체이다.)(2022년 04월)

    

     1. 공정반응
     2. 편정반응
     3. 공석반응
     4. 편석반응

     정답 : []
     정답률 : 64%

16. 다음 그림은 어떤 형태의 규칙격자를 나타낸 것인가?(2015년 05월)

    

     1. AB
     2. AB2
     3. A2B
     4. AB3

     정답 : []
     정답률 : 75%

17. 열평형 상태하에서 존재 가능한 결함으로서 쇼트키(Shottky) 결함이라고도 하는 것은?(2014년 05월)
     1. 공공(vacancy)
     2. 전위(dislocation)
     3. 적층결함(stackingfault)
     4. 격자간 원자(interstitialatom)

     정답 : []
     정답률 : 87%

18. 다음 중 전율 고용형 상태도를 나타내는 합금은?(2020년 06월)
     1. Ag - Cu
     2. Co - Cu
     3. Cu - Ni
     4. Pb – Zn

     정답 : []
     정답률 : 78%

19. 다음 그림은 어떤 형의 규칙격자 구조를 나타내는가?(2018년 04월)

    

     1. 체심입방격자 AB형
     2. 면심입방격자 AB형
     3. 체심입방격자 AB3
     4. 면심입방격자 AB3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위 결정구조는 Face Centered Cubic 으로 cubic 내에는 여덟 군데 모서리에 원자의 1/8 이 총 8개이므로 1/8*8=1 개의 A원자가 존재하고 여섯 군데 면에 원자의 1/2 이 총 6개이므로 1/2*6=3 개의 B원자가 있다. 고로 AB3 형의 면심입방격자가 된다.
[해설작성자 : 횰크]

20. 포정반응이 공정반응보다 응고속도가 대단히 느린 가장 큰 이유는?(2014년 05월)
     1. 과냉속도가 낮기 때문이다.
     2. 용해온도가 같기 때문이다.
     3. 석출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4. 고체 내 확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포정반응은 용액이나 기체 상태에서의 화학 반응으로서, 용질이 포화 상태로 응고하여 고체로 전환되는 반응입니다. 이러한 반응에서는 고체로의 응고 과정에서 고체 내부에서의 확산이 필요합니다. 고체 내 확산은 분자나 이온 등이 고체 구조 내에서 이동하고 배치를 재조정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확산 과정은 응고 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고체 내 확산은 분자나 이온이 고체 구조 내에서 이동하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응고 속도가 느려집니다.

비교적에 공정반응은 액체나 기체 상태에서 일어나는 반응으로, 고체 내 확산이 필요하지 않거나 고체 구조에 의한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응입니다. 따라서, 포정반응은 고체 내 확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응고 속도가 대단히 느릴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2과목 : 금속재료학


2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입계부식을 방지하는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고온으로부터 급랭한 후 400~700℃에서 장시간 유지하여 공랭한다.
     2. 크롬탄화물이 석출하지 않도록 탄소량을 0.03% 이하로 아주 낮게 유지한다.
     3. 1000~1150℃로 가열하여 크롬탄화물을 고용시킨 다음 급랭한다.
     4. C와 친화력이 Cr보다 큰 Ti, Nb, Ta 등의 안정화원소를 첨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입계부식 방지
- 1000~1150도로 가열 후 Cr탄화물을 오스테나이트 조직 중에 용체화하여 급냉한다.
- 탄소량을 감소시켜 Cr4C탄화물의 발생을 저지시킨다.
- 탄소와 친화력이 Cr보다 큰 Ti, V, Nb, Ta 등을 첨가해 Cr4c 대신에 TiC, NbC, V4C3 등의 탄화물을 발생시켜 Cr의 탄화물을 감소시킨다.
[해설작성자 : 김민지]

22. 탄소강에 Mn을 첨가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펄라이트를 미세화시킨다.
     2. 페라이트의 고용강화를 일으킨다.
     3. 강 중에 존재하는 S와 결합하여 MnS를 형성한다.
     4. 오스테나이트에서 퀜칭할 때 경화 깊이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경화깊이를 증가시킵니다
[해설작성자 : ㅋ]

23. 원소 주기율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할로겐 원소들은 가장 양성적인 비금속들이다.
     2. 제0족을 제외하고 표 우측끝으로 갈수록 금속성이 약해진다.
     3. 제1족의 알칼리금속이 전기화학적으로 가장 음성이다.
     4. 좌측 아래로 갈수록 금속성이 약하고, 우측 위로 갈수록 비금속성이 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24. 탄소강에 합금원소를 첨가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2. 합금원소에 의한 기지를 고용강화한다.
     3. 미려한 표면에 광택이 생기도록 한다.
     4. 변태속도의 변화에 따른 열처리 효과를 향상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81%

25. ASTM 결정립도 번호 n, 100배 배율의 1in2에 존재하는 결정립수를 N 이라고 하면 N = n-1로 주어진다. 만약에 어떠한 재료가 200배 미세조직 사진에서 1in2에 64개의 결정립이 관찰된다면 ASTM 결정립도 번호는?(2011년 06월)
     1. 6
     2. 7
     3. 8
     4. 9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00배 64개 결정립이라면 100배의 경우 256개의 결정립이 관찰됩니다.    따라서 256=2^8이 되고 N=n-1 N=8이면 n=9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1]

26. 해드필드(hadfield) 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베이나이트 조직을 가진 강이다.
     2. 고온에서 서냉하면 결정립계에 M3C가 석출한다.
     3. 고온에서 서냉하면 오스테나이트가 마텐자이트로 변태한다.
     4. 열전도성이 나쁘고, 팽창계수도 커서 열변형을 일으킨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해드필드강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임.
[해설작성자 : dd]

망간 13%정도가 함유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헤드필드강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분말야금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절삭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2. 다공질의 금속재료를 만들 수 있다.
     3. 용해법으로 만들 수 없는 합금을 만들 수 있다.
     4. 제조과정에서 융점 이상까지 온도를 올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28. 스털링 실버(sterling silver)는 어떠한 합금인가?(2011년 06월)
     1. Ag-Sn합금
     2. Ag-Pt합금
     3. Ag-Cu합금
     4. Al-Si합금

     정답 : []
     정답률 : 74%

29. 자기부상열차에서 사용되는 초전도재료에 나타나는 현상과 관계있는 것은?(2020년 06월)
     1. 암페르 법칙
     2. 전류제로 효과
     3. 반도체적 특성
     4. 마이스너 효과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마이스너 효과
초전도 덩어리 내부에는 항상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는 성질

조셉슨 효과
두 개의 초전도 물질 사이에 부도체를 끼워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
[해설작성자 : 한민우]

30. 다음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열전대 재료는?(2020년 06월)
     1. 철-콘스탄탄
     2. 크로멜-알루멜
     3. 백금-백금·로듐
     4. 구리-콘스탄탄

     정답 : []
     정답률 : 77%

31. 다음의 강 중 탄소(C)의 양이 가장 많은 것은?(2013년 06월)
     1. 연강
     2. 경강
     3. 공정주철
     4. 탄소공구강

     정답 : []
     정답률 : 73%

32. 다음 중 Mg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융점은 약 1100°C 이다.
     2. 비강도가 커서 항공우주용 재료로 사용된다.
     3. 감쇠능이 주철보다 커서 소음방지 구조재로서 우수하다.
     4. 상온에서 100°C까지는 장시간에 노출되어도 치수의 변화가 거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마그네슘의 녹는점은 약 650℃로,
1100℃는 끓는점입니다.
[해설작성자 : 두랄루민]

33. 금속재료 경도시험방법 중 압입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쇼어경도
     2. 비커스경도
     3. 로크웰경도
     4. 브리넬경도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압입 경도시험 : 브리넬 경도계, 로크웰 경도계, 비커스 경도계, 마이어 경도계
반발 경도시험 : 쇼어 경도계
[해설작성자 : 김민지]

34. 카트리지 황동(cartridge bra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가공용 황동이다.
     2. 70%Cu+30%Zn황동이다.
     3. 판, 봉, 관의 형태로 사용된다.
     4. 금박 대용으로 사용하며, 톰백이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7Cu-30Zn 합금 (카트리지 황동)
가공용 황동의 대표로 판, 봉, 관, 선 등으로 널리 사용
자동차용 방열기 부품, 소켓, 『탄피』, 작싱품 등에 사용

80Cu-20Zn 합금 (톰백)
전연성이 좋고 색깔이 아름다워 장식용 악기 등에 사용
이런 5 ~ 20%Zn의 저아연 합금을 총칭해 톰백이라고 부름
색이 금과 비슷해 모조금으로 사용하며 금박의 대용으로 쓰임
[해설작성자 : 한민우]

35. 분말을 캡슐에 넣어 진공 밀폐한 것을 고압용기에 넣은 후 고온고압의 불활성가스에서 압력을 가하여 압축과 소결을 동시에 실시하는 성형법은?(2018년 04월)
     1. 소결단조법
     2. 사출성형법l
     3. 분무성형법
     4. 열간정수압성형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열간정수압소결법 : 세라믹스 제품을 만드는 제조법의 하나로서 분체의 형성과 소결의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기술
[해설작성자 : 김민지]

36. 표점거리50mm, 직경5mm 인 봉재 시편의 인장 시험 결과, 절단 후 표점거리가 55mm이고, 인장강도가 152.8kgf/mm2으로 나타났다. 이 때 최대하중(kgf)은 약 얼마인가?(2015년 05월)
     1. 2500
     2. 3000
     3. 3500
     4. 4000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최대하중 = 인장강도 x 원주율 x 반지름^2
최대하중 = 152.8 x pie x (5/2)^2 = 955 pie = 3000.2 kgf
답 2번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공부 장인]

37.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대표적인 조성은 18%Cr – 8%Ni 이다.
     2. 자성체이며, FCC의 결정구조를 갖는다.
     3. 오스테나이트조직은 페라이트조직보다 원자밀도가 높아 내식성이 좋다.
     4. 1100℃ 부근에서 급냉하는 고용화처리를 하여 균일한 오스테나이트조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상자성입니다.
[해설작성자 : 힝흥행홍]

38. 다음 중 M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비중은 약 1.74 정도이며, 조밀육방격자를갖는다.
     2. 기계적 절삭성은 나쁘나, 산이나 염류에 대한 내식성은 매우 우수하다.
     3. 감쇠능이 우수하여 소음방지 구조재로 사용가능하다.
     4. 마그네슘의 원료로는 Magnesite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알칼리에는 견디나 안이나 열에 침식되며 Mg은 용융점 온도 이상에서 O2에 대한 친화력이 크므로 공기 중에서 가열, 용해하면 폭발, 발화한다.
[해설작성자 : 김민지]

39. 수소저장 합금에서 열에너지의 저장 및 수송 등에 사용 가능한 합금계가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Cu -Zn계
     2. Fe –Ti계
     3. LaNi5
     4. Mg2Ni계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금속 수소화물을 만들기 쉬운 희토류, Ti, Zr과 Mn, Fe, Co, Ni을 조합한 2성분 또는 다성분계 금속간의 화합물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한민우]

40. 다음 중 불변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Inver
     2. Elinvar
     3. Inconel
     4. Super invar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인바, 초 인바, 엘린바, 플래티나이트 = 불변강 (Fe-Ni계)
인코넬 = Ni-Cr-Fe계 내식성 합금
[해설작성자 : 한민우]

3과목 : 야금공학


41. 탈산제의 구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산소와의 친화력이 Fe보다 낮아야 한다.
     2. 탈산제가 용강 중에 급속히 용해되어야 한다.
     3. 탈산생성물의 부상속도가 커야한다.
     4. 탈산생성물이 강중에 남지 않게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42. 다음의 설명과 관계있는 것은?(2021년 08월)

    

     1. Henry의 법칙
     2. Raoult의 법칙
     3. Darken의 법칙
     4. Freundlich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68%

43. 200K에서 ZnO2 = Zn + O2의 반응에 대한 평형 상수는 얼마인가? (단, 200K에서 △G° = 17330cal 이다.)(2022년 04월)
     1. 1.151×10-19
     2. -1.151×10-19
     3. 9.817×10-9
     4. -9.817×10-9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ΔGo    = - RT ln K     (K는 평형 상수)
17330 * 4.184 = - 8.314 * 200 * lnK
4.184 J = 1 cal 이고,
R = 8.318 J/K 이다.
[해설작성자 : 청포도]

44. 기체 운동론에 의하여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 1몰의 평균 운동에너지 Ek와 PV적(積)사이에 PV=(2/3) Ek의 관계가 성립된다. 임의의 온도 T(K)에서 이상기체 1몰이 갖는 한 방향당 운동에너지는 에너지 등분칙에 의하여 어떠한 값이 되는가?(2011년 06월)
     1. (3/2)KT
     2. (1/2)KT
     3. (2/3)KT
     4. (1/3)KT

     정답 : []
     정답률 : 58%

45. 상온 20°C에서 강 1ton을 1600°C까지 용해하는데 필요한 이론상 총 열량은 몇 kcal인가? (단,강의 비열은 0.16kcal/kgf, 용융잠열은 65kcal/kgf이다.)(2010년 05월)
     1. 320900
     2. 317800
     3. 269300
     4. 252800

     정답 : []
     정답률 : 61%

46. 1몰의 이상기체가 10L에서 100L로 가역등온팽창할 때 △S는 약 몇 cal/degree 인가?(2018년 04월)
     1. 1.575
     2. 2.575
     3. 3.575
     4. 4.575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가역등온팽창 델타S=nRln(Vf/Vi) = 1mol x 1.98cal x ln( 100L / 10L ) = 4.575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공부 장인]

47. 가역반응의 평형점에서 온도가 증가하면 어떻게 되는가?(2015년 05월)
     1. ΔH가 (+)값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
     2. ΔH가 (-)값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
     3. 흡열도 발열도 하지 않는다.
     4. ΔH 값은 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3%

48. 철강제조시 슬래그(Slag)의 염기도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7%

49. 압력P, 온도가 T인 1몰의 이상기체가 진공으로 등온 팽창하여 부피가 2배로 되었을때, ΔH, ΔS, ΔA, ΔG를 구한 것으로 틀린 것은? (단, H : 엔탈피, S : 엔트로피, A : 헬름홀츠 자유에너지, G: 깁스 자유 에너지이다.)(2012년 05월)
     1. ΔH =0
     2. ΔG =-RT∙n2
     3. ΔA =RT∙n2
     4. ΔS = R∙n(V2/V1) =R∙n2

     정답 : []
     정답률 : 63%

50. 25℃에서 1 몰의 물을 등온 상태에서 1atm에서 1000atm으로 압축했다면, 이때 엔트로피 변화는 약 몇 J/K인가? (단, 물의 압축율(β)은 0이고, 25℃에서 물의 열팽창계수는 2×10-4/K이고, 밀도는 1g/cm3으로 가정한다.)(2021년 05월)
     1. -0.364
     2. -0.319
     3. -0.277
     4. -0.252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 맥스웰방정식 활용(편미분을 그냉 d라고 쓸께요)(열챙창계수는 a라고 할께요)
(dS/dP)_T=-(dV/dT)_P    [P1에서p2 적분]
델타S=[p1에서p2까지 적분](ds/dp)_T*dP=-[P1에서p2적분](dv/dt)_p *dP
[열팽창계수(a)=델타v/v ÷델타T = 델타V/v × 1/델타T = 1/v×(델타V/델타T)
a=1/v(델타v/델타T) ]
[식에 대입하기 쉽게 av=(델타v/델타t)_p    , 위 식이 대입]
델타S=-[p2-p1]aV*dP
[문제에서 물의 압축률=0 ,v변화 없음 av를 적분에서 빼줌]
S=-av*dP
이식에    대입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어떠한 비정질 물질이 임계온도에서 비정질(amorphous) → 결정질(crystalline)반응에 의해 결정물질로 된다. 이 반응의 엔탈피 변화량 ΔH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5월)
     1. ΔH는 0이다.
     2. ΔH는 음수이다.
     3. ΔH는 양수이다.
     4. 물질에 따라 ΔH는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71%

52. 보기와 같은 조건에서 금속 A의 융점은 약 몇 K 인가?(2022년 04월)

    

     1. 1211
     2. 885
     3. 796
     4. 102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ΔGo= 0
이항해서 풀면
T=3600/4.521
[해설작성자 : 청포도]

53. 압력P, 온도T인 1몰의 이상기체가 진공으로 등온 팽창하여 부피가 2배로 되었을 때, △H, △S, △G를 구한 것으로 틀린 것은? (단, H: 엔탈피, S: 엔트로피, A: 헬름홀츠 자유에너지, G: 깁스 자유에너지)(2021년 05월)
     1. △H=0
     2. △A=RTln2
     3. △G=-RTln2
     4. △S=Rln2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헬름 홀츠 자유에너지는 온도,부피가 일정할 때
깁스 자유에너지는 온도, 압력 일정할 때
[해설작성자 : 전준형]

54. 298K, 1mol의 이상기체를 1atm에서 400atm으로 압축할 때 발생하는 깁스 자유에너지 변화는 약 몇 J인가? (단, 기체상수는 8.314J/molㆍK이다.)(2021년 08월)
     1. 14844
     2. 15844
     3. 24844
     4. 2584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팽창 시 엔트로피변화 양수니까 깁스 자유에너지 변화는 음의 값
압축 시 엔트로피변화 음수니까 깁스 자유에너지 변화는 양의 값

55. 다음 중 은의 전해 경련법은?(2016년 05월)
     1. Dow법
     2. Mond법
     3. Moebius법
     4. Hybinette법

     정답 : []
     정답률 : 77%

56. 제겔 콘 27의 표준온도는 몇 ℃ 인가?(2020년 06월)
     1. 1580
     2. 1600
     3. 1640
     4. 166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내화물: 내화도 SK26번(1,580℃) 이상인 것 / 제겔콘 27 = 1600℃
[해설작성자 : 한민우]

57. 다음의 식 중에서 Gibbs-Duhem의 변형에 해당되지 않는 식은?(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58. 다음 반응은 500K에서 B(g)와 AB(g)의 분압이 PB(g)=0.2기압, PAB(g)=0.8기압에서 평형을 이룬다. A(s)+B(g)=AB(g), 500K에서 고체A(s) 위에 부피비로, 20%B(g), 20%AB(g), 60%아르곤의 혼합가스를 통과시키면 어느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는가?(2013년 06월)
     1. 정방향
     2. 역방향
     3. 알 수 없다.
     4. 평형상태로 유지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59. 엔트로피(entropy)의 값으로 알 수 없는 사항은?(2014년 05월)
     1. 불규칙 정도(degree of randomness)
     2. 화학적 반응이 일어난 경로(path)
     3. 비가역정도(irreversibility)
     4. 화학적 반응의 자발적 방향(direction Of process)

     정답 : []
     정답률 : 77%

60. 반데르발스 기체는 이상기체 특징의 일부분을 수정한기체이다. 반데르발스 기체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부피와 상호작용력이 없다.
     2. 분자간 상호작용력은 있다.
     3. 압력이 증가하여도 액화가 되지 않는다.
     4. 기체 입자의 부피는 이상기체와 같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76%

4과목 : 금속가공학


61. 분산강화 및 석출강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금속기지 속에 미세하게 분산된 불용성 제2상으로 인하여 생기는 강화를 분산강화라 한다.
     2. 석출강화에서는 석출물이 모상과 비정합 계면을 만들 때 가장 효과가 크다.
     3. 석출입자에 의한 강화에서 석출물의 강도와 그 분포가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4. Orowan 기구는 과시효된 석출 경화형 합금의 강화기구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석출강화에서는 석출물이 모상과 비정합 계면을 만들 때 가장 효과가 크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석출강화는 고체 용체 상변태를 통해 석출물이 형성되고, 이 석출물이 금속 매트릭스 내에서 임의의 위치에 분포하여 강화를 이루는 메커니즘입니다. 석출물과 매트릭스 간의 결정구조적인 일치는 석출강화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석출물이 모상과 비정합 계면을 만드는 것보다는 매트릭스와 결정구조적으로 일치하는 석출물이 더 큰 강화 효과를 가져옵니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62. 냉간 가공된 금속재료를 재가열 시 일어나는 Polygoni zation은 어느 단계에서 일어나는가?(2011년 06월)
     1. 과열(over heating)
     2. 결정성장(graingrowth)
     3. 재결정(recrystallization)
     4. 회복(recovery)

     정답 : []
     정답률 : 58%

63. 다음 중 피로파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반복하중 없이 충격에 의해서만 얻어진다.
     2. 파면이 주 인장응력 방향에 평행하다.
     3. 파면에는 주로 원형자국(beach mark)이 나타난다.
     4. 최대 인장응력이 최소가 되어야 피로파괴가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67%

64. 균질변형에서 경계마찰계수(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부착인 경우는 1 이다.
     2. 완전 미끄러짐은 0 (Zero)이다.
     3. 계면에서의 전단응력은 재료의 전단항복응력을 초과한다.
     4. m은 계면전단강도/전단항복응력으로 표현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65. 재료 내의 3개의 최대전단응력 중 어느 하나의 최대전단응력이 일정한 값에 이르면 항복이 일어난다는 항복 조건설은?(2017년 05월)
     1. Fink 의 항복조건
     2. Tresca 의 항복조건
     3. Ekelund 의 항복조건
     4. Nises – Hencky 의 항복조건

     정답 : []
     정답률 : 85%

66. t = 100MPa이고, 기타의 모든 σij = 0 일 때 최대전단응력은 얼마인가?(2016년 05월)
     1. 50MPa
     2. 100MPa
     3. 150MPa
     4. 200MPa

     정답 : []
     정답률 : 77%

67. 금속재료의 시험에서 비틀림 시험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항복강도와 연신율을 결정
     2. 연신율과 소성변형정도를 결정
     3. 비틀림 강도와 인장강도를 결정
     4. 강성계수 G값의 측정과 비틀림 파단강도를 결정

     정답 : []
     정답률 : 72%

68. 인장시험 시 연신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시편의 단면적이 적을수록 연신율은 감소한다.
     2. 시편의 초기 표점거리가 짧을수록 연신율은 감소한다.
     3. 크기가 다른 시편의 연신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시편의 기하학적 형태가 같도록 해야 한다.
     4. 네킹(necking) 현상의 발생은 연신율과 단면감소율 간의 양적 환산을 어렵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69. 피로 강도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시편 표면의 긁힌 자국이 주 인장응력의 방향과 어떤 각을 이룰 때인가?(2014년 05월)
     1.
     2. 45°
     3. 90°
     4. 강도와 상관없다.

     정답 : []
     정답률 : 57%

70. 280MPa의 응력에서 인장력을 받고 있는 재료의 단위 체적당 탄성변형에너지는 몇 MPa 인가? (단, 탄성률 E=7×104MPa 이다.)(2018년 04월)
     1. 5.6
     2. 0.56
     3. 0.02
     4. 0.002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응력의 제곱/2xE =(280)^2/14x10^4=0.56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맨]

응력=변형률*탄성계수
탄성에너지=응력*변형률/2=응력^2/(2*탄성계수)=280^2/(2*7*10^4)=0.56 [Mpa]
[해설작성자 : 횰크]

71. 금속 재료의 피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지름이 크면 피로 한도는 작아진다.
     2. 노치가 있는 시험편의 피로 한도는 크다.
     3. 표면이 거친 것이 고운 것보다 피로 한도가 작다.
     4. 노치가 없을 때와 있을 때의 피로 한도 비를 노치계수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피로한도란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응력까지의 범위에서 반복해도 재료가 파괴가 되지 않는 한계를 말하며
그 주기는 보통 100만 회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피로한도가 클수록 오랜 반복된 응력에도 잘 견디며
피로한도가 작을수록 반복된 응력에 잘 견디지 못합니다.
피로한도 ( 피로한계) 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1. 노치효과 : 단면의 형상이 변하는 부분에 응력 집중에의 한 피로한도 저하
2. 표면효과 : 표면이 거칠수록 피로한도 저하
3. 부식효과 : 부식으로 인한 피로 한도저하
4. 치수효과 : 부재의 치수가 커질수록 피로한도 저하
5. 온도효과 : 온다가 실온이상으로 증가하며 피로한도 저하
6. 압입효과 : 억지끼어맞춤, 때려박음 등에 의한 변율로 인한 피로한도 저하
7. 속도효과 : 하중이 반복되는 속도가 커질수록 피로한도 저하
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너넨금속전공하지마라]

72. [그림]과 같이 물체 ABCD 에 전단력이 작용하여 원래 90°인 각이 전단응력을 받아 θ만큼 작아졌을 때 전단변형율 γ를 옳게 정의한 식은?(2018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8%

73. 전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전위는 선결함에 해당된다.
     2. 각 온도에서 평형 전위농도가 존재한다.
     3. 칼날전위의 경우 Burgers 벡터와 전위선은 수직이다.
     4. 전위가 활주할 수 있는 면은 전위선과 Burgers 벡터가 공존하는 면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74. 훅쿠의 법칙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σ:응력(Stress), ε:변형률(Strain), E:영률(Young’s modulus))(2021년 05월)
     1. σ=E+ε
     2. σ=E-ε
     3. σ=E×ε
     4. σ=E/ε

     정답 : []
     정답률 : 83%

75. HCP 금속결정에서 슬립면이 (0001)이며, 슬립방향이 일 때, 슬립계는 몇 개인가?(2020년 06월)
     1. 2개
     2. 3개
     3. 6개
     4. 10개

     정답 : []
     정답률 : 60%

76. 다음 중 열간가공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가공경화가 쉽게 제거된다.
     2. Ti과 같은 활성금속은 공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가공해야 한다.
     3. 주조상태보다 인성과 연성이 증가한다.
     4. 주조 조직의 화학적 불균일성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주조 조직의 화학적 불균일성은 감소한다.
고온에서 일어나는 작업이므로 어느정도 확산이 일어나 화학적 균일성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청포도(금속 1트)]

77. 가공경화(work hardening)와 관련이 적은 것은?(2017년 05월)
     1. 변형저항의 감소
     2. 경도의 증가
     3. 스테리인 경화
     4. 탄성한계의 상승

     정답 : []
     정답률 : 48%

78. 전단가공에서 랜싱(lanc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판재의 일부분을 남기고 절단하는 가공이다.
     2. 판재를 두 개 또는 그 이상으로 절단하는 가공이다.
     3. 판재의 옆면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잘라내는 가공이다.
     4. 연속 천공이라고도 하며, 판재에 다수의 구멍을 뚫는 가공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79. 다음 중 재료를 가공할 때 변형 저항을 높이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전위밀도
     2. 용매원자
     3. 용질원자
     4. 결정립계

     정답 : []
     정답률 : 72%

80. 전단저항이 450MPa 이고, 두께가 2mm인 판재를 원둘레 길이가 200mm인 원판으로 자르는데 필요한 전단 하중은 약 몇 kN인가?(2020년 06월)
     1. 180
     2. 200
     3. 340
     4. 45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전단해야할 원판 둘레의 면적: 2 * 200 = 400 mm2
전당저항이 450 MPa = 450 N/mm2 이므로,
400 * 450 = 180,000 N = 180 kN
[해설작성자 : 청포도(금속 1트)]

81. 무전해 니켈액의 구성 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니켈염 : 니켈 피막을 부여한다.
     2. 환원제 : 니켈 이온의 모성분의 공급원이다.
     3. 착화제 : 니켈염의 침전을 방지하고 액을 안정화 시킨다.
     4. 안정제 : 자기분해를 촉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84%

82. 질화 열처리에 있어서 Fe-Ni계 평형 상태도에 나타나는 Fe-N 화합물 중에서 면심입방정의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는 상은?(2021년 08월)
     1. Fe16N2
     2. Fe4N
     3. Fe3N
     4. Fe2N

     정답 : []
     정답률 : 56%

83. 물리적 기상도금인 PVD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처리온도가 높다.
     2. 기계적으로 응착이 된다.
     3. 밀착성이 CVD보다 낮다.
     4. 가열할 수 없는 물체에 적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84. 인산염 피막 처리에서 피막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인산철계
     2. 인산니켈계
     3. 인산아연계
     4. 인산망간계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인산염 처리
① 인산아연 피막(철강, 아연, 알루미늄) ② 인산철 피막(철강)
도장 하지, 전기 절연, 소성가공 윤활

③ 인산아연칼슘 피막(철강) ④ 인산망간 피막(철강)
도장 하지, 소성가공용 윤활

도장 하지에는 도료 및 도장 방법의 종류, 소재 금속의 종류에 따라 인산염 피막에 특수한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게 박막형으로 치밀한 인산아연계, 인산아연칼슘계, 인산철계가 사용된다. 철강의 내마모에는 인산염 피막이 서로 접촉하는 철강 부품의 표면 마찰 저항을 줄이고 마모를 감소시킨다. 특히 인산망간계 피막이 가장 적절하며 기어, 캠 샤프트, 피스톤 링 등에 적용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한민우]

85. 구조용 합금강, 고망간강 ,고니켈강 등에서 융강 중의 수소 가스로 인하여 강의 파단면에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생기는 것으로 열처리 후 균열의 원인이 되는 것은?(2011년 06월)
     1. 편석
     2. 수축공
     3. 백점
     4. 비금속개재물

     정답 : []
     정답률 : 75%

86. 공업적으로 쓰이고 있는 양극산화 방법이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황산법
     2. 옥살산법
     3. 크롬산법
     4. 염화칼륨법

     정답 : []
     정답률 : 61%

87. 각종 코팅법에서 열에너지와 화학반응로 금속 및 합금 코팅이 가능하고 입자가 원자 또는 이온 상태로 코팅이 이루어지는 코팅 방법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진공증착
     2. 이온 플레이팅
     3. 화학증착(CVD)
     4. 금속전기도금

     정답 : []
     정답률 : 62%

88. 뜨임 균열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잔류 응력이 남게 하며,가열을 급속히 한다.
     2. Ms점, Mf점이 낮은 고합금강은 2번 뜨임을 실시한다.
     3. 결정입계의 취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을 감소시킨다.
     4.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은 열처리상 알맞게 설계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89. 착염욕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단순염욕에 비하여 균일전착성이 우수하다.
     2. 착염욕은 레벨링이 좋은 전착물을 얻기는 힘들다.
     3. 단순염욕에서 가능했던 합금도금이 착염욕에서는 불가능하다.
     4. 단순염욕보다 높은 과전압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석출물이 미립자이며, 밀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착염욕에서 도금하면 단순염욕에서 불가능했던 합금도금이 가능함
[해설작성자 : 한민우]

90. 다음 중 열처리에서 뜨임 처리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9년 08월)
     1. 경도 부여
     2. 인성 부여
     3. 조직 경화
     4. 재료 표준화

     정답 : []
     정답률 : 76%

91. 열처리한 강재의 후처리 시 발생하는 수소 취성 방지법은?(2018년 04월)
     1. 전기도금을 실시한다.
     2. 염산 및 황산 수용액에서 세척한다.
     3. 180℃에서 약 7시간 정도 유지한다.
     4. 아연을 희생 양극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92.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시료 관찰시 표면이 대전되면 주사전자선이 불균일하게 편향되므로 이상 콘트라스트를 발생시킨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료표면에 금속을 피복하여 관찰하는데 피복용 물질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Pt
     2. Au
     3. Li
     4. Cr

     정답 : []
     정답률 : 81%

93. 고속도 공구강의 표면에 증착처리 방법으로 TiN과 TiC를 적층피복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절한 방법은?(2019년 08월)
     1. 물리적 증착
     2. 크로마이징 증착
     3. 증기 세라다이징 증착
     4. 무전해 니켈 복합 증착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고속도 공구강 : SKH 라 불리며 고속도 공구강도 fe base 공구강이다.
강재를 전해액에 담궈 도금하는 것은 도금시 발생되는 수소에 의해 수소취성이 생길수있다.
또한 CVD로 증착시 CVD는 PECVD가 650도로 낮은온도이지만 다른 CVD는 최소8~1000도 이다.
모두가 알다시피 FE는 온도에따라 상변이를 하여 FCC가 되는 오스테나이트 온도 영역에서 증착뒤
냉각 되면 bcc가 되기에 증착되고 냉각시 격자구조 및 격자길이가 달라져 증착된 박막이 뜯어지거나 부풀어올라 안된다.
고로 물리적인 증착으로 온도를 높이지 않는 것이 제일 좋다 물론 cvd로 할시 표면에 니켈 도금을하여 하는 경우가 있다
[해설작성자 : kau_재료]

94. 진공 중에 금속을 가열하면 금속이 증발한다. 이렇게 증발하는 금속 분자를 증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판에 부착시키면 표면에서 증기가 응축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코팅법을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5월)
     1. 도장법
     2. 음극전해법
     3. 진공증착법
     4. 화학침투법

     정답 : []
     정답률 : 84%

95. PVD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1년 08월)
     1. 진공증착법
     2. 음극스퍼터링
     3. 이온도금
     4. 플라즈마아크

     정답 : []
     정답률 : 67%

96. 금속표면처리에서 전처리 작업은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전처리의 불완전에서 발생하는 도금결함을 나타낸 것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도금제품의 부식과 취성이 발생된다.
     2. 도금두께의 편차가 크게 발생된다.
     3. 도금 층이 거칠게 나타나고, 피트가 발생한다.
     4. 도금 층에 얼룩, 구름낌 등의 광택 불균형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61%

97. 전해처리 의한 양극산화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황산법
     2. 니켈산법
     3. 크롬산법
     4. 옥살산법

     정답 : []
     정답률 : 62%

98. 심냉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냉각제는 액체산소가 이용된다.
     2.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행한다.
     3. 담금질 후 실온에 방치하면 심냉처리 효과가 적어진다.
     4. 고합금강의 경우 뜨임과 심냉처리를 반복 실시하여 균열을 막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99. 양극산화처리법이 아닌 것은?(2021년 08월)
     1. 황산법
     2. 아연산법
     3. 크롬산법
     4. 옥살산법

     정답 : []
     정답률 : 51%

100. 입방결정에 입사되는 X선의 파장이 λ 이고 입방결정의 단위포위 크기가 a 일 때, 회절이 일어날 수 있는 다음의 면 중 Bragg 각이 가장 큰 면은?(2017년 05월)
     1. (331)
     2. (222)
     3. (311)
     4. (400)

     정답 : []
     정답률 : 7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15375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05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7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20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8747004)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203 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2202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3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201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153756)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2199 자기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198 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9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196 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95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219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93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192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2191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1139456)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190 워드프로세서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2189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188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2월03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8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186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251 Next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