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600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측량


1. 단곡선 설치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2007년 03월)
     1. 편각설치법
     2. 직각좌표법
     3. 중간점설치법
     4. 집선편거ㆍ현편거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R=100m, L=20m 일때 클로소이드의 파라미터 A의 값은?(2002년 09월)
     1. 34.7m
     2. 44.7m
     3. 54.7m
     4. 64.7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평균 유속 측정법 중 3점법의 계산에 사용되는 유속은? (단, 수심은 H임)(2009년 03월)
     1. 수면에서 0.1H, 0.4H, 0.8H 지점의 유속
     2. 수면에서 0.2H, 0.4H, 0.8H 지점의 유속
     3. 수면에서 0.2H, 0.6H, 0.8H 지점의 유속
     4. 수면에서 0.3H, 0.6H, 0.9H 지점의 유속

     정답 : []
     정답률 : 67%

4. 도형의 면적을 구하는데 있어서 아래 그림과 같은 곡선의 호 AB를 2차 포물선으로 가정할 때 그 면적 ABEF를 구하는 공식은?(2007년 09월)

   

     1. 가.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5. 하천의 지형측량 범위에 따라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9월)
     1. 유제부에 있어서 제내지는 일반적으로 100m 이내까지로 한다.
     2. 무제부에 있어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한다.
     3. 제외지는 크기와 관계없이 전부를 범위로 한다.
     4. 홍수방어가 목적인 하천공사에서는 하구에서부터 상류의 홍수피해가 미치는 지점까지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하천측량에서 수위에 관한 용어 중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를 무엇이라 하는가?(2020년 08월)
     1. 저수위
     2. 갈수위
     3. 최저수위
     4. 평균최저수위

     정답 : []
     정답률 : 70%

7. 하천의 유속측량에서 평균유속을 구하는 방법 중 1점법의 관측 지점으로 옳은 것은? (단, 수면으로부터의 깊이를 기준으로 한다.)(2014년 09월)
     1. 수심의 40% 지점
     2. 수심의 50% 지점
     3. 수심의 60% 지점
     4. 수심의 80% 지점

     정답 : []
     정답률 : 81%

8. 다음 표와 같은 트래버스 계산에서 △ABC의 면적은?(2010년 05월)

   

     1. 756.35m2
     2. 783.53m2
     3. 1449.52m2
     4. 2142.68m2

     정답 : []
     정답률 : 35%

9. 자동차가 곡선구간을 주행할 때에는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곡선의 내측에 치우쳐서 통과하므로 차선폭을 증가시켜 주는 확폭의 크기는(slack)는? (단, R : 차량중심의 회전반지름, L : 전후차륜거리)(2017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5%

10. 갱내 천정 B에 수준점을 측설하기 위하여 갱내 고저측량 을 실시하였다. B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87.216m임)(2004년 09월)

    

     1. 84.196m
     2. 86.702m
     3. 87.730m
     4. 90.23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칸트(cant)의 계산에서 속도 및 반지름을 모두 2배로 할 때 칸트의 크기 변화는?(2011년 10월)
     1. 1/4로 감소
     2. 1/2로 감소
     3. 2배로 증가
     4. 4배로 증가

     정답 : []
     정답률 : 60%

12. 터널내 기준점측량에서 기준점을 보통 천정에 설치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9월)
     1. 운반이나 기타 작업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2. 발견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3. 파손될 염려가 적기 때문에
     4. 설치가 쉽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74%

13. 축척1/10000의 도면상에서 구적기를 사용하여 면적을 측정하였더니 2,801m2이었다. 그런데 이 도면은 종횡 모두 1%씩 수축이 되어 있었다면 실제 면적은?(2004년 05월)
     1. 2,829m2
     2. 2,858m2
     3. 2,745m2
     4. 2,773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지하시설물측량 및 그 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지하시설물측량은 도면 작성 및 검수에 초기 비용이 일반 지상측량에 비해 적게 든다.
     2. 도시의 지하시설물은 주로 상수도, 하수도, 전기선, 전화선, 가스선 등으로 이루어진다.
     3. 지하시설물과 연결되어 지상으로 노출된 각종 맨홀 등의 가공선에 대한 자료 조사 및 관측 작업도 포함된다.
     4. 지중레이더관측법, 음파관측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84%

15. 터널측량 중 A점에 기계를 세우고 천장의 B점에 표척을 거꾸로 세워 1.03,m를 읽었다면 B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10.30m, 기계고는 1.44m)(2008년 03월)
     1. 10.71m
     2. 11.23m
     3. 11.74m
     4. 12.77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곡선설치에서 반지름이 500m일 때 중심말뚝간격 20m에 대한 편각은?(2016년 05월)
     1. 0° 01′ 09″
     2. 0° 02′ 18″
     3. 1° 08′ 45″
     4. 2° 17′ 31″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중심말뚝간격 20m에 대한 편각 = 20/R * 1,718.87’ =20/500 * 1,718.87’
[해설작성자 : 마]

17. 해양측량에서 해저수심, 간출암 높이 등의 기준은?(2013년 09월)
     1. 평균해수면
     2. 약 최고고조면
     3. 약 최저저조면
     4. 평수위면

     정답 : []
     정답률 : 50%

18. 하천측량에서 평면측량의 일반적인 범위는?(2014년 09월)
     1.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
     2.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2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좁게
     3. 유제부에서 제내지 및 제외지 2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
     4. 유제부에서 제내지 및 제외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좁게

     정답 : []
     정답률 : 84%

19. 삼각형법에 의한 면적계산 방법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삼변법
     2. 좌표법
     3. 두 변과 협각에 의한 방법
     4. 삼사법

     정답 : []
     정답률 : 64%

20. 노선측량의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클로소이드 곡선은 완화곡선의 일종이다.
     2. 철도의 종단곡선은 주로 원곡선이 사용된다.
     3. 클로소이드 곡선은 고속도로에 적합하다.
     4. 클로소이드 곡선은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2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화면거리 15cm의 사진에서 축척이 1/30,000 이었다. 사진의 주점으로부터 산의 정상까지의 거리가 60mm이고, 비고가 300m일 때 비고에 의한 편위는 얼마인가?(2003년 03월)
     1. 1mm
     2. 2mm
     3. 3mm
     4. 4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항공사진의 축척은?(2002년 05월)
     1. 촬영 카메라의 화면거리에 반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비례한다.
     2. 촬영 카메라의 화면거리에 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반비례한다.
     3. 촬영 카메라의 화면거리와 비행고도에 비례한다.
     4. 촬영 카메라의 화면거리와 비행고도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23. 항공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작업과정이 분업화되고 많은 부분을 실내작업으로 하여 작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전체적으로 균일한 정확도이므로 지도제작에 적합하다.
     3. 고가의 장비와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다.
     4. 도심의 소규모 정밀 세부측량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대규모에 적합하다 (비행기를 써서 촬영하는데 소규모이면 비행기 값이 더 나감)
[해설작성자 : 공무원 합격]

24. 일정한 비행고도에서 보통각, 광각, 초광각 사진기로 각각 찍었을 때에 축척이 가장 큰 것은?(2005년 05월)
     1. 보통각 사진기
     2. 광각 사진기
     3. 초광각 사진기
     4. 고도가 같으므로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화면거리 15cm의 카메라로 찍은 축척 1/10,000의 연직사진을 아메리칸 C-factor가 1200인 도화기로 도화하려고 한다. 등고선의 등간격은 얼마로 하는가?(2002년 03월)
     1. 0.25m
     2. 0.50m
     3. 1.25m
     4. 1.50m

     정답 : []
     정답률 : 40%

26. 위성영상에서 지도와 같은 특성을 갖도록 기본변위와 카메라 자세에 의한 변위를 제거한 정사보정 영상의 활용 분야와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실내지도 제작 분야
     2. 토지피복지도 제작 분야
     3. 도로지도 제작 분야
     4. 환경오염도 제작 분야

     정답 : []
     정답률 : 70%

27. 항공사진에 의한 지형도 작성에 필수적인 자료가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지상기준점 좌표
     2. 지적도
     3. 항공삼각측량 성과
     4. 도화 데이터

     정답 : []
     정답률 : 74%

28. 다음 중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사업을 통해 구축된 표준 수치지형도 축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9월)
     1. 1:600
     2. 1:1,000
     3. 1:5,000
     4. 1:25,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과고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지형의 높이차가 실제보다 작게 일어나는 현상이다.
     2. 사진의 촬영고도와 기선길이에 따라 다르다.
     3. 항공사진의 경우 과고감은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항상 일정하다.
     4. 사진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변위가 커지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30. 항공사진의 기복변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촬영고도에 비례한다.
     2. 표고차가 있는 물체에 대한 사진 중심으로부터의 방사상 변위를 말한다.
     3. 지형지물의 높이에 비례한다.
     4. 연직점으로부터 상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31. 위성영상 센서의 방사해상도에서 8bit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0~255
     2. 0~256
     3. 1~255
     4. 1~256

     정답 : []
     정답률 : 78%

32. 비행고도 6000m로부터 초점거리 15cm의 카메라로 1500m 간격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비고가 172m 일 때 시차차는?(2008년 09월)
     1. 1.505mm
     2. 1.290mm
     3. 1.075mm
     4. 0.788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지상측량에 비해 외업 시간이 짧다.
     2. 사진측량의 영상은 중심투영상이다.
     3. 개인적인 원인에 의한 관측오차가 적게 발생한다.
     4. 측량의 축척이 소축척보다는 대축척일 때 경제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34. 축척 1:20,000의 엄밀 수직사진에서 지상사진주점으로부터 500m 떨어진 곳에 있는 50m 높이의 철탑의 사진상 기복변위량은? (단, 사진은 광학사진으로 초점거리는 150㎜이다.)(2012년 03월)
     1. 2.21㎜
     2. 0.42㎜
     3. 0.84㎜
     4. 1.68㎜

     정답 : []
     정답률 : 29%

35. GIS 구성요소 중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1년 06월)
     1. 전통적인 GIS는 독립형 응용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으나, 오늘날의 GIS는 대개 컴퓨터의 클라이언트/서버모델을 사용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행되고 있다.
     2. 소프트웨어 구조는 객체관계형 모델(Object-Relational Model)에서 지리관계형 모델(Geo-Relational Model)로 바뀌고 있다.
     3. GIS 응용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일반적인 컴퓨터 언어를 사용한 개념과 기술들은 소프트웨어 공학론(Software Engineering Methodology)에 기반을 둔 컴포턴트 소프트웨어를 토대로 하고 있다.
     4. 하드웨어는 GIS가 운영되는 기본 토대로서 크게 자료입력과 자료처리 및 관리, 자료출력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2%

36. DEM(Digital Elevation Model)과 TIN(Triangulated lrregular Nefwork)의 주요 활동 분야가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토공량 산정
     2. 경사도 분석
     3. 가시권 분석
     4. 도로망 분석

     정답 : []
     정답률 : 24%

37. 3차원(3D) GIS에 대한 설명응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3차원 GIS는 3차원의 공간정보와 이를 이용한 공간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2. 3차원 데이터는 지상 표면(Surface)과 지형·지물(feature) 모델로 구분될 수 있다.
     3. 3차원적인 데이터 표현과 분석 작업은 현실 세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킨다.
     4. 3차원 GIS는 높이 값을 갖지 않는 X, Y와 시간의 속성값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38. 대공표지(Air Target Signal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9월)
     1. 사진상에 명확히 나타나고 정확히 측량할 수 있는 자연물로 이루어진 접합점
     2. 스트립을 인접스트립에 연결시켜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
     3. 항공사진에 표정용 기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촬영 전 지상에 설치하는 것
     4. 사진상의 주점이나 표정점 등 지점의 위치를 인접한 사진상에 옳기는 것

     정답 : []
     정답률 : 79%

39. 항공사진 판독에서 필요로 하는 중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과고감 및 상호위치관계
     2. 색조
     3. 형상, 크기 및 모양
     4. 촬영용 비행기 종류

     정답 : []
     정답률 : 77%

40. 사선법의 중심과 특수 3점과의 관계를 설명한 내용중 옳지 않는 것은?(2002년 09월)
     1. 사진의 기울기가 3° 이내의 수직사진에는 사선의 중심으로 주점을 써도 좋다.
     2. 사진의 기울기가 3° 이상이고 지표면이 평평하면 등각점을 쓴다.
     3. 사진의 기울기가 3° 이상이고 지표면에 기복이 있으면 연직점을 쓴다.
     4. 기울기가 3° 이내라도 지표면의 기복이 촬영고도의 10~15% 이상일때는 주점을 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GIS 및 GPS


41. GI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기존의 도면으로부터도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2. 특정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특수지도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3. 자료의 통계적 분석이 원활하며 통계지도의 제작에 유리하다.
     4. 자료가 수치적으로 구성되어 축척 변경이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위상관계(Topological Relationship)의 유형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무결성(integrity)
     2. 인접성(proximity)
     3. 포함관계(containment)
     4. 연결성(connectivity)

     정답 : []
     정답률 : 55%

43.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위성과 관련이 없는 것은?(2014년 05월)
     1. GALILEO.
     2. GPS
     3. GLONASS
     4. GMS

     정답 : []
     정답률 : 80%

4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이용목적에 따른 용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UIS-환경정보체계
     2. LIS-토지정보체계
     3. FM-시설물 관리시스템
     4. AM-도면자동화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UIS-도시정보체계
[해설작성자 : sos]

45. 다음의 수준측량 용어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기준면은 지평면이라고도 하며 연직선에 직교하는 평면을 말한다.
     2. 기준면은 수년동안 관측하여 얻은 평균해수면을 사용한다.
     3. 지평면은 연직선에 직교하는 평면을 말한다.
     4. 수준면은 연직선에 직교하는 모든 점을 잇는 곡면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46. 수준측량에서 레벨기기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시준선과 기포관이 평행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차
     2.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3. 기포의 감도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4. 지구곡률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다음 중 이중주파수 수신기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는 GPS 오차는?(2013년 06월)
     1. 사이클 슬립
     2. 전리층 오차
     3. 수신기 시계오차
     4. 다중경로 오차

     정답 : []
     정답률 : 48%

48. TI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TIN 으로부터 규칙적인 격자형태의 수치표고모델 제작이 가능하다.
     2. 불규칙하게 분포된 위치에서 표고를 추출하고 삼각형으로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한다.
     3. 자료의 처리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처리가 신속하다.
     4. 격자 방식보다는 정확하고 효과적인 지형의 표현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49. 삼각측량에 있어서 삼각망을 구성하는 형태로 가장 좋은 것은?(2005년 09월)
     1. 지각 삼각형
     2. 정 삼각형
     3. 2등변 삼각형
     4. 둔각 삼각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위치에너지 E=mgh가 “0”이 되는 면이다.
     2. 평균해수면을 육지내부까지 연장한 면을 말한다.
     3. 지오이드의 법선과 타원체의 법선은 불일치하며 그 양을 연직선 편차라 한다.
     4. 지구타원체를 기준으로 대륙에서는 낮고 해양에서는 높다.

     정답 : []
     정답률 : 57%

51. 현재 GPS(위성측위시스템)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구성요소를 3가지로 구분할 때 이와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9월)
     1. 제어 부분
     2. 우주 부분
     3. 사용자 부분
     4. 프로그램 부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DOP(Dilution of Precis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위성관측에 좋은 조건에서는 나쁜 조건에 비해 DOP값이 작다.
     2. DOP는 시간과는 무관한 위치, 높이의 함수로 표현된다.
     3. DOP값은 수신기들의 위치와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4. DOP는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상태가 정밀도 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추정할 수 있는 척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38%

53. 각이 A, B, C이고 대응변이 a, b, c인 삼각형에서 ∠A=22° 00‘ 56“, ∠C=80° 21' 54", b=310.95m일 때 변 a의 길이는?(2006년 03월)
     1. 119.34m
     2. 310.95m
     3. 313.86m
     4. 526.09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그림과 같은 삼각망에서 CD의 거리는?(2011년 10월)

    

     1. 383.022m
     2. 433.013m
     3. 500.013m
     4. 577.350m

     정답 : []
     정답률 : 38%

55. 편심계산에 필요한 편심요소로 짝지어진 것은?(2010년 05월)
     1. 편심각과 편심거리
     2. 편심각과 편심고도
     3. 편심거리와 편심방위
     4. 편심방위와 편심고도

     정답 : []
     정답률 : 55%

56. 지리정보분야에 대한 표준화를 위해 지리적 위치와 직ㆍ간접으로 관련이 되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표준규격을 수립하는 국제표준화기구는?(2017년 09월)
     1. KSO/TC211
     2. IT389
     3. LBS
     4. ISO/TC211

     정답 : []
     정답률 : 82%

57. GIS의 응용시스템과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토지정보시스템
     2. 환경정보시스템
     3. 토양정보시스템
     4. 회계정보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82%

58. 새주소(도로명)사업 등 GIS 업무에 있어서 경위도 또는 X, Y 등과 같은 지리적인 좌표를 기록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10월)
     1. Geocoding
     2. Metadata
     3. Annotation
     4. Georeferencing

     정답 : []
     정답률 : 63%

59. 제도오차를 0.3mm로 하는 평판측량에서 구심을 3cm까지 허용한다면 축척은?(2004년 05월)
     1. 1/200
     2. 1/300
     3. 1/500
     4. 1/6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객체 사이의 인접성, 연결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은?(2013년 03월)
     1. 위치정보
     2. 속성정보
     3. 위상정보
     4. 영상정보

     정답 : []
     정답률 : 64%

61. 제 4과목: 측량관계법규측량업자로서 경쟁입찰에 있어서 입찰자간에 공모하여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하거나, 다른 사람의 견적의 제출 또는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의 벌칙은?(2002년 03월)
     1. 200만원이하의 과태료
     2. 1년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이하의 벌금
     3. 2년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이하의 벌금
     4. 3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58%

62. 다음 측량표 중 일시표지에 속하는 것은?(2007년 09월)
     1. 측표
     2. 표기
     3. 검조의
     4. 임시측량표지막대

     정답 : []
     정답률 : 82%

63. 각 측량의 오차 중 망원경을 정위, 반위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함으로써 처리할 수 없는 것은?(2013년 09월)
     1. 시준축과 수평축이 직교하지 않는 경우
     2. 수평축이 연직축에 직교하지 않는 경우
     3. 연직축이 정확히 연직선에 있지 않는 경우
     4. 회전축에 대하여 망원경의 위치가 편심되어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1%

64. 지구표면에서 반지름 55km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한다면 거리의 허용정밀도는? (단, 지구 반지름은 6370km 이다.)(2014년 05월)
     1. 약 1/40000
     2. 약 1/50000
     3. 약 1/60000
     4. 약 1/70000

     정답 : []
     정답률 : 65%

65. 각 측량의 기계적 오차 중 망원경의 정ㆍ반 위치에서 측정값을 평균해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2015년 05월)
     1. 연직축 오차
     2. 시준축 오차
     3. 수평축 오차
     4. 편심 오차

     정답 : []
     정답률 : 73%

66. 지형도의 활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저수지의 담수 면적과 저수량의 계산
     2. 절토 및 성토 범위의 결정
     3. 노선의 도상 선정
     4. 지적경계측량

     정답 : []
     정답률 : 55%

67. 다음과 같은 삼각망에서 각 조건방정식의 수는?(2014년 09월)

    

     1. 1개
     2. 3개
     3. 4개
     4. 6개

     정답 : []
     정답률 : 64%

68. 전파거리 측량기의 거리측정 원리는 변조파장으로부터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 때 변조파장(λ)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V:보정된 전파 에너지속도, f:변조 주파수)(2012년 03월)
     1. f/V
     2. v2/f
     3. v/f2
     4. V/f

     정답 : []
     정답률 : 54%

69. 공공측량계획기관은 당해기관이 제작한 수치주제도를 몇 년 주기로 보완하여야 하는가?(2009년 05월)
     1. 1년 마다 1회 이상
     2. 2년 마다 1회 이상
     3. 3년 마다 1회 이상
     4. 4년 마다 1회 이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건설교통부장관이 일반측량의 실시자에게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사본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는 목적이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측량의 정확성 확보
     2. 측량지역 경제분쟁조정
     3. 측량의 중복배제
     4.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 분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1. 다음 중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내에 신고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11년 03월)
     1. 측량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경우
     2. 지점의 소재지가 변경된 경우
     3. 측량업등록증을 분실하여 재발급하는 경우
     4.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63%

72. 직사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거리를 관측한 결과, 가로=50.00±0.01m, 세로=100.00±0.02m이었다면 면적에 대한 오차는?(2017년 05월)
     1. ±0.01m2
     2. ±0.02m2
     3. ±0.98m2
     4. ±1.41m2

     정답 : []
     정답률 : 54%

73. 다음 중 우리나라 측량기준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통합기준점
     2. 공공지자기점
     3. 지적삼각보조점
     4. 지적도근점

     정답 : []
     정답률 : 33%

74. 성능검사기관은 성능검사결과 규정에 의한 성능기준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검사필증을 당해 측량기기에 붙여야 하는데 성능검사필증에 기재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측량기기명 및 측량기기번호
     2. 검사유효기간
     3. 측량기기수명
     4. 측량기기성능

     정답 : []
     정답률 : 50%

75. 기본측량성과의 고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측량의 비용
     2. 측량의 정확도
     3.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4.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

     정답 : []
     정답률 : 61%

76. 공공측량의 정의에 대한 설명 중 아래의 “각 호의 측량”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측량실시지역의 면적이 1제곱킬로미터 이상인 기준점측량, 지형측량 및 평면측량
     2. 촬영지역의 면적이 10제곱킬로미터 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3. 국토교통부장관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같은 축척의 지도 제작
     4. 인공위성 등에서 취득한 영상정보에 좌표를 부여하기 위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좌표측량

     정답 : []
     정답률 : 48%

77. 지명의 고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2007년 05월)
     1. 제정 또는 변경된 지명
     2. 위치(경도 및 위도로 표시한다.)
     3. 소재지(행정구역으로 표시한다.)
     4. 지목과 지번

     정답 : []
     정답률 : 29%

7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을 기본측량이라 한다.
     2.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이 관계 법령에 따른 사업 등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본측량을 기초로 실시하는 측량은 공공측량이라 한다.
     3.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은 기본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다.
     4. 일반측량은 기본측량, 공공측량, 지적측량, 수로측량 외의 측량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79. 측량기술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법에서 정하는 측량은 측량기술자가 아니면 할 수 없다.
     2. 지적, 지도제작, 도화 또는 항공사진 분야의 일정한 학력만을 가진 자는 측량기술자로 볼 수 없다.
     3. 측량기술자는 신의와 성실로써 공정하게 측량을 실시해야 하며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거부하여서는 아니된다.
     4. 측량기술자는 둘 이상의 측량업체에 소속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3%

80. 공공측량업 및 일반측량업의 등록은 다음 중 누구에게 신청하는가?(2008년 09월)
     1. 국토해양부장관
     2. 지방국토관리청장
     3. 특별시장ㆍ광역시장 또는 도지사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600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측량


1. 단곡선 설치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2007년 03월)
     1. 편각설치법
     2. 직각좌표법
     3. 중간점설치법
     4. 집선편거ㆍ현편거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R=100m, L=20m 일때 클로소이드의 파라미터 A의 값은?(2002년 09월)
     1. 34.7m
     2. 44.7m
     3. 54.7m
     4. 64.7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평균 유속 측정법 중 3점법의 계산에 사용되는 유속은? (단, 수심은 H임)(2009년 03월)
     1. 수면에서 0.1H, 0.4H, 0.8H 지점의 유속
     2. 수면에서 0.2H, 0.4H, 0.8H 지점의 유속
     3. 수면에서 0.2H, 0.6H, 0.8H 지점의 유속
     4. 수면에서 0.3H, 0.6H, 0.9H 지점의 유속

     정답 : []
     정답률 : 67%

4. 도형의 면적을 구하는데 있어서 아래 그림과 같은 곡선의 호 AB를 2차 포물선으로 가정할 때 그 면적 ABEF를 구하는 공식은?(2007년 09월)

   

     1. 가.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5. 하천의 지형측량 범위에 따라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9월)
     1. 유제부에 있어서 제내지는 일반적으로 100m 이내까지로 한다.
     2. 무제부에 있어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한다.
     3. 제외지는 크기와 관계없이 전부를 범위로 한다.
     4. 홍수방어가 목적인 하천공사에서는 하구에서부터 상류의 홍수피해가 미치는 지점까지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하천측량에서 수위에 관한 용어 중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를 무엇이라 하는가?(2020년 08월)
     1. 저수위
     2. 갈수위
     3. 최저수위
     4. 평균최저수위

     정답 : []
     정답률 : 70%

7. 하천의 유속측량에서 평균유속을 구하는 방법 중 1점법의 관측 지점으로 옳은 것은? (단, 수면으로부터의 깊이를 기준으로 한다.)(2014년 09월)
     1. 수심의 40% 지점
     2. 수심의 50% 지점
     3. 수심의 60% 지점
     4. 수심의 80% 지점

     정답 : []
     정답률 : 81%

8. 다음 표와 같은 트래버스 계산에서 △ABC의 면적은?(2010년 05월)

   

     1. 756.35m2
     2. 783.53m2
     3. 1449.52m2
     4. 2142.68m2

     정답 : []
     정답률 : 35%

9. 자동차가 곡선구간을 주행할 때에는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곡선의 내측에 치우쳐서 통과하므로 차선폭을 증가시켜 주는 확폭의 크기는(slack)는? (단, R : 차량중심의 회전반지름, L : 전후차륜거리)(2017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5%

10. 갱내 천정 B에 수준점을 측설하기 위하여 갱내 고저측량 을 실시하였다. B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87.216m임)(2004년 09월)

    

     1. 84.196m
     2. 86.702m
     3. 87.730m
     4. 90.23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칸트(cant)의 계산에서 속도 및 반지름을 모두 2배로 할 때 칸트의 크기 변화는?(2011년 10월)
     1. 1/4로 감소
     2. 1/2로 감소
     3. 2배로 증가
     4. 4배로 증가

     정답 : []
     정답률 : 60%

12. 터널내 기준점측량에서 기준점을 보통 천정에 설치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9월)
     1. 운반이나 기타 작업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2. 발견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3. 파손될 염려가 적기 때문에
     4. 설치가 쉽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74%

13. 축척1/10000의 도면상에서 구적기를 사용하여 면적을 측정하였더니 2,801m2이었다. 그런데 이 도면은 종횡 모두 1%씩 수축이 되어 있었다면 실제 면적은?(2004년 05월)
     1. 2,829m2
     2. 2,858m2
     3. 2,745m2
     4. 2,773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지하시설물측량 및 그 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지하시설물측량은 도면 작성 및 검수에 초기 비용이 일반 지상측량에 비해 적게 든다.
     2. 도시의 지하시설물은 주로 상수도, 하수도, 전기선, 전화선, 가스선 등으로 이루어진다.
     3. 지하시설물과 연결되어 지상으로 노출된 각종 맨홀 등의 가공선에 대한 자료 조사 및 관측 작업도 포함된다.
     4. 지중레이더관측법, 음파관측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84%

15. 터널측량 중 A점에 기계를 세우고 천장의 B점에 표척을 거꾸로 세워 1.03,m를 읽었다면 B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10.30m, 기계고는 1.44m)(2008년 03월)
     1. 10.71m
     2. 11.23m
     3. 11.74m
     4. 12.77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곡선설치에서 반지름이 500m일 때 중심말뚝간격 20m에 대한 편각은?(2016년 05월)
     1. 0° 01′ 09″
     2. 0° 02′ 18″
     3. 1° 08′ 45″
     4. 2° 17′ 31″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중심말뚝간격 20m에 대한 편각 = 20/R * 1,718.87’ =20/500 * 1,718.87’
[해설작성자 : 마]

17. 해양측량에서 해저수심, 간출암 높이 등의 기준은?(2013년 09월)
     1. 평균해수면
     2. 약 최고고조면
     3. 약 최저저조면
     4. 평수위면

     정답 : []
     정답률 : 50%

18. 하천측량에서 평면측량의 일반적인 범위는?(2014년 09월)
     1.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
     2.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2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좁게
     3. 유제부에서 제내지 및 제외지 2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
     4. 유제부에서 제내지 및 제외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좁게

     정답 : []
     정답률 : 84%

19. 삼각형법에 의한 면적계산 방법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삼변법
     2. 좌표법
     3. 두 변과 협각에 의한 방법
     4. 삼사법

     정답 : []
     정답률 : 64%

20. 노선측량의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클로소이드 곡선은 완화곡선의 일종이다.
     2. 철도의 종단곡선은 주로 원곡선이 사용된다.
     3. 클로소이드 곡선은 고속도로에 적합하다.
     4. 클로소이드 곡선은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2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화면거리 15cm의 사진에서 축척이 1/30,000 이었다. 사진의 주점으로부터 산의 정상까지의 거리가 60mm이고, 비고가 300m일 때 비고에 의한 편위는 얼마인가?(2003년 03월)
     1. 1mm
     2. 2mm
     3. 3mm
     4. 4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항공사진의 축척은?(2002년 05월)
     1. 촬영 카메라의 화면거리에 반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비례한다.
     2. 촬영 카메라의 화면거리에 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반비례한다.
     3. 촬영 카메라의 화면거리와 비행고도에 비례한다.
     4. 촬영 카메라의 화면거리와 비행고도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23. 항공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작업과정이 분업화되고 많은 부분을 실내작업으로 하여 작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전체적으로 균일한 정확도이므로 지도제작에 적합하다.
     3. 고가의 장비와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다.
     4. 도심의 소규모 정밀 세부측량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대규모에 적합하다 (비행기를 써서 촬영하는데 소규모이면 비행기 값이 더 나감)
[해설작성자 : 공무원 합격]

24. 일정한 비행고도에서 보통각, 광각, 초광각 사진기로 각각 찍었을 때에 축척이 가장 큰 것은?(2005년 05월)
     1. 보통각 사진기
     2. 광각 사진기
     3. 초광각 사진기
     4. 고도가 같으므로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화면거리 15cm의 카메라로 찍은 축척 1/10,000의 연직사진을 아메리칸 C-factor가 1200인 도화기로 도화하려고 한다. 등고선의 등간격은 얼마로 하는가?(2002년 03월)
     1. 0.25m
     2. 0.50m
     3. 1.25m
     4. 1.50m

     정답 : []
     정답률 : 40%

26. 위성영상에서 지도와 같은 특성을 갖도록 기본변위와 카메라 자세에 의한 변위를 제거한 정사보정 영상의 활용 분야와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실내지도 제작 분야
     2. 토지피복지도 제작 분야
     3. 도로지도 제작 분야
     4. 환경오염도 제작 분야

     정답 : []
     정답률 : 70%

27. 항공사진에 의한 지형도 작성에 필수적인 자료가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지상기준점 좌표
     2. 지적도
     3. 항공삼각측량 성과
     4. 도화 데이터

     정답 : []
     정답률 : 74%

28. 다음 중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사업을 통해 구축된 표준 수치지형도 축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9월)
     1. 1:600
     2. 1:1,000
     3. 1:5,000
     4. 1:25,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과고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지형의 높이차가 실제보다 작게 일어나는 현상이다.
     2. 사진의 촬영고도와 기선길이에 따라 다르다.
     3. 항공사진의 경우 과고감은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항상 일정하다.
     4. 사진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변위가 커지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30. 항공사진의 기복변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촬영고도에 비례한다.
     2. 표고차가 있는 물체에 대한 사진 중심으로부터의 방사상 변위를 말한다.
     3. 지형지물의 높이에 비례한다.
     4. 연직점으로부터 상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31. 위성영상 센서의 방사해상도에서 8bit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0~255
     2. 0~256
     3. 1~255
     4. 1~256

     정답 : []
     정답률 : 78%

32. 비행고도 6000m로부터 초점거리 15cm의 카메라로 1500m 간격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비고가 172m 일 때 시차차는?(2008년 09월)
     1. 1.505mm
     2. 1.290mm
     3. 1.075mm
     4. 0.788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지상측량에 비해 외업 시간이 짧다.
     2. 사진측량의 영상은 중심투영상이다.
     3. 개인적인 원인에 의한 관측오차가 적게 발생한다.
     4. 측량의 축척이 소축척보다는 대축척일 때 경제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34. 축척 1:20,000의 엄밀 수직사진에서 지상사진주점으로부터 500m 떨어진 곳에 있는 50m 높이의 철탑의 사진상 기복변위량은? (단, 사진은 광학사진으로 초점거리는 150㎜이다.)(2012년 03월)
     1. 2.21㎜
     2. 0.42㎜
     3. 0.84㎜
     4. 1.68㎜

     정답 : []
     정답률 : 29%

35. GIS 구성요소 중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1년 06월)
     1. 전통적인 GIS는 독립형 응용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으나, 오늘날의 GIS는 대개 컴퓨터의 클라이언트/서버모델을 사용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행되고 있다.
     2. 소프트웨어 구조는 객체관계형 모델(Object-Relational Model)에서 지리관계형 모델(Geo-Relational Model)로 바뀌고 있다.
     3. GIS 응용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일반적인 컴퓨터 언어를 사용한 개념과 기술들은 소프트웨어 공학론(Software Engineering Methodology)에 기반을 둔 컴포턴트 소프트웨어를 토대로 하고 있다.
     4. 하드웨어는 GIS가 운영되는 기본 토대로서 크게 자료입력과 자료처리 및 관리, 자료출력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2%

36. DEM(Digital Elevation Model)과 TIN(Triangulated lrregular Nefwork)의 주요 활동 분야가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토공량 산정
     2. 경사도 분석
     3. 가시권 분석
     4. 도로망 분석

     정답 : []
     정답률 : 24%

37. 3차원(3D) GIS에 대한 설명응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3차원 GIS는 3차원의 공간정보와 이를 이용한 공간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2. 3차원 데이터는 지상 표면(Surface)과 지형·지물(feature) 모델로 구분될 수 있다.
     3. 3차원적인 데이터 표현과 분석 작업은 현실 세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킨다.
     4. 3차원 GIS는 높이 값을 갖지 않는 X, Y와 시간의 속성값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38. 대공표지(Air Target Signal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9월)
     1. 사진상에 명확히 나타나고 정확히 측량할 수 있는 자연물로 이루어진 접합점
     2. 스트립을 인접스트립에 연결시켜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
     3. 항공사진에 표정용 기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촬영 전 지상에 설치하는 것
     4. 사진상의 주점이나 표정점 등 지점의 위치를 인접한 사진상에 옳기는 것

     정답 : []
     정답률 : 79%

39. 항공사진 판독에서 필요로 하는 중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과고감 및 상호위치관계
     2. 색조
     3. 형상, 크기 및 모양
     4. 촬영용 비행기 종류

     정답 : []
     정답률 : 77%

40. 사선법의 중심과 특수 3점과의 관계를 설명한 내용중 옳지 않는 것은?(2002년 09월)
     1. 사진의 기울기가 3° 이내의 수직사진에는 사선의 중심으로 주점을 써도 좋다.
     2. 사진의 기울기가 3° 이상이고 지표면이 평평하면 등각점을 쓴다.
     3. 사진의 기울기가 3° 이상이고 지표면에 기복이 있으면 연직점을 쓴다.
     4. 기울기가 3° 이내라도 지표면의 기복이 촬영고도의 10~15% 이상일때는 주점을 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GIS 및 GPS


41. GI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기존의 도면으로부터도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2. 특정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특수지도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3. 자료의 통계적 분석이 원활하며 통계지도의 제작에 유리하다.
     4. 자료가 수치적으로 구성되어 축척 변경이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위상관계(Topological Relationship)의 유형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무결성(integrity)
     2. 인접성(proximity)
     3. 포함관계(containment)
     4. 연결성(connectivity)

     정답 : []
     정답률 : 55%

43.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위성과 관련이 없는 것은?(2014년 05월)
     1. GALILEO.
     2. GPS
     3. GLONASS
     4. GMS

     정답 : []
     정답률 : 80%

4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이용목적에 따른 용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UIS-환경정보체계
     2. LIS-토지정보체계
     3. FM-시설물 관리시스템
     4. AM-도면자동화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UIS-도시정보체계
[해설작성자 : sos]

45. 다음의 수준측량 용어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기준면은 지평면이라고도 하며 연직선에 직교하는 평면을 말한다.
     2. 기준면은 수년동안 관측하여 얻은 평균해수면을 사용한다.
     3. 지평면은 연직선에 직교하는 평면을 말한다.
     4. 수준면은 연직선에 직교하는 모든 점을 잇는 곡면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46. 수준측량에서 레벨기기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시준선과 기포관이 평행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차
     2.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3. 기포의 감도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4. 지구곡률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다음 중 이중주파수 수신기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는 GPS 오차는?(2013년 06월)
     1. 사이클 슬립
     2. 전리층 오차
     3. 수신기 시계오차
     4. 다중경로 오차

     정답 : []
     정답률 : 48%

48. TI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TIN 으로부터 규칙적인 격자형태의 수치표고모델 제작이 가능하다.
     2. 불규칙하게 분포된 위치에서 표고를 추출하고 삼각형으로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한다.
     3. 자료의 처리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처리가 신속하다.
     4. 격자 방식보다는 정확하고 효과적인 지형의 표현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49. 삼각측량에 있어서 삼각망을 구성하는 형태로 가장 좋은 것은?(2005년 09월)
     1. 지각 삼각형
     2. 정 삼각형
     3. 2등변 삼각형
     4. 둔각 삼각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위치에너지 E=mgh가 “0”이 되는 면이다.
     2. 평균해수면을 육지내부까지 연장한 면을 말한다.
     3. 지오이드의 법선과 타원체의 법선은 불일치하며 그 양을 연직선 편차라 한다.
     4. 지구타원체를 기준으로 대륙에서는 낮고 해양에서는 높다.

     정답 : []
     정답률 : 57%

51. 현재 GPS(위성측위시스템)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구성요소를 3가지로 구분할 때 이와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9월)
     1. 제어 부분
     2. 우주 부분
     3. 사용자 부분
     4. 프로그램 부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DOP(Dilution of Precis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위성관측에 좋은 조건에서는 나쁜 조건에 비해 DOP값이 작다.
     2. DOP는 시간과는 무관한 위치, 높이의 함수로 표현된다.
     3. DOP값은 수신기들의 위치와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4. DOP는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상태가 정밀도 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추정할 수 있는 척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38%

53. 각이 A, B, C이고 대응변이 a, b, c인 삼각형에서 ∠A=22° 00‘ 56“, ∠C=80° 21' 54", b=310.95m일 때 변 a의 길이는?(2006년 03월)
     1. 119.34m
     2. 310.95m
     3. 313.86m
     4. 526.09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그림과 같은 삼각망에서 CD의 거리는?(2011년 10월)

    

     1. 383.022m
     2. 433.013m
     3. 500.013m
     4. 577.350m

     정답 : []
     정답률 : 38%

55. 편심계산에 필요한 편심요소로 짝지어진 것은?(2010년 05월)
     1. 편심각과 편심거리
     2. 편심각과 편심고도
     3. 편심거리와 편심방위
     4. 편심방위와 편심고도

     정답 : []
     정답률 : 55%

56. 지리정보분야에 대한 표준화를 위해 지리적 위치와 직ㆍ간접으로 관련이 되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표준규격을 수립하는 국제표준화기구는?(2017년 09월)
     1. KSO/TC211
     2. IT389
     3. LBS
     4. ISO/TC211

     정답 : []
     정답률 : 82%

57. GIS의 응용시스템과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토지정보시스템
     2. 환경정보시스템
     3. 토양정보시스템
     4. 회계정보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82%

58. 새주소(도로명)사업 등 GIS 업무에 있어서 경위도 또는 X, Y 등과 같은 지리적인 좌표를 기록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10월)
     1. Geocoding
     2. Metadata
     3. Annotation
     4. Georeferencing

     정답 : []
     정답률 : 63%

59. 제도오차를 0.3mm로 하는 평판측량에서 구심을 3cm까지 허용한다면 축척은?(2004년 05월)
     1. 1/200
     2. 1/300
     3. 1/500
     4. 1/6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객체 사이의 인접성, 연결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은?(2013년 03월)
     1. 위치정보
     2. 속성정보
     3. 위상정보
     4. 영상정보

     정답 : []
     정답률 : 64%

61. 제 4과목: 측량관계법규측량업자로서 경쟁입찰에 있어서 입찰자간에 공모하여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하거나, 다른 사람의 견적의 제출 또는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의 벌칙은?(2002년 03월)
     1. 200만원이하의 과태료
     2. 1년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이하의 벌금
     3. 2년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이하의 벌금
     4. 3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58%

62. 다음 측량표 중 일시표지에 속하는 것은?(2007년 09월)
     1. 측표
     2. 표기
     3. 검조의
     4. 임시측량표지막대

     정답 : []
     정답률 : 82%

63. 각 측량의 오차 중 망원경을 정위, 반위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함으로써 처리할 수 없는 것은?(2013년 09월)
     1. 시준축과 수평축이 직교하지 않는 경우
     2. 수평축이 연직축에 직교하지 않는 경우
     3. 연직축이 정확히 연직선에 있지 않는 경우
     4. 회전축에 대하여 망원경의 위치가 편심되어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1%

64. 지구표면에서 반지름 55km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한다면 거리의 허용정밀도는? (단, 지구 반지름은 6370km 이다.)(2014년 05월)
     1. 약 1/40000
     2. 약 1/50000
     3. 약 1/60000
     4. 약 1/70000

     정답 : []
     정답률 : 65%

65. 각 측량의 기계적 오차 중 망원경의 정ㆍ반 위치에서 측정값을 평균해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2015년 05월)
     1. 연직축 오차
     2. 시준축 오차
     3. 수평축 오차
     4. 편심 오차

     정답 : []
     정답률 : 73%

66. 지형도의 활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저수지의 담수 면적과 저수량의 계산
     2. 절토 및 성토 범위의 결정
     3. 노선의 도상 선정
     4. 지적경계측량

     정답 : []
     정답률 : 55%

67. 다음과 같은 삼각망에서 각 조건방정식의 수는?(2014년 09월)

    

     1. 1개
     2. 3개
     3. 4개
     4. 6개

     정답 : []
     정답률 : 64%

68. 전파거리 측량기의 거리측정 원리는 변조파장으로부터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 때 변조파장(λ)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V:보정된 전파 에너지속도, f:변조 주파수)(2012년 03월)
     1. f/V
     2. v2/f
     3. v/f2
     4. V/f

     정답 : []
     정답률 : 54%

69. 공공측량계획기관은 당해기관이 제작한 수치주제도를 몇 년 주기로 보완하여야 하는가?(2009년 05월)
     1. 1년 마다 1회 이상
     2. 2년 마다 1회 이상
     3. 3년 마다 1회 이상
     4. 4년 마다 1회 이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건설교통부장관이 일반측량의 실시자에게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사본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는 목적이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측량의 정확성 확보
     2. 측량지역 경제분쟁조정
     3. 측량의 중복배제
     4.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 분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1. 다음 중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내에 신고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11년 03월)
     1. 측량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경우
     2. 지점의 소재지가 변경된 경우
     3. 측량업등록증을 분실하여 재발급하는 경우
     4.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63%

72. 직사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거리를 관측한 결과, 가로=50.00±0.01m, 세로=100.00±0.02m이었다면 면적에 대한 오차는?(2017년 05월)
     1. ±0.01m2
     2. ±0.02m2
     3. ±0.98m2
     4. ±1.41m2

     정답 : []
     정답률 : 54%

73. 다음 중 우리나라 측량기준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통합기준점
     2. 공공지자기점
     3. 지적삼각보조점
     4. 지적도근점

     정답 : []
     정답률 : 33%

74. 성능검사기관은 성능검사결과 규정에 의한 성능기준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검사필증을 당해 측량기기에 붙여야 하는데 성능검사필증에 기재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측량기기명 및 측량기기번호
     2. 검사유효기간
     3. 측량기기수명
     4. 측량기기성능

     정답 : []
     정답률 : 50%

75. 기본측량성과의 고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측량의 비용
     2. 측량의 정확도
     3.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4.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

     정답 : []
     정답률 : 61%

76. 공공측량의 정의에 대한 설명 중 아래의 “각 호의 측량”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측량실시지역의 면적이 1제곱킬로미터 이상인 기준점측량, 지형측량 및 평면측량
     2. 촬영지역의 면적이 10제곱킬로미터 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3. 국토교통부장관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같은 축척의 지도 제작
     4. 인공위성 등에서 취득한 영상정보에 좌표를 부여하기 위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좌표측량

     정답 : []
     정답률 : 48%

77. 지명의 고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2007년 05월)
     1. 제정 또는 변경된 지명
     2. 위치(경도 및 위도로 표시한다.)
     3. 소재지(행정구역으로 표시한다.)
     4. 지목과 지번

     정답 : []
     정답률 : 29%

7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을 기본측량이라 한다.
     2.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이 관계 법령에 따른 사업 등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본측량을 기초로 실시하는 측량은 공공측량이라 한다.
     3.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은 기본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다.
     4. 일반측량은 기본측량, 공공측량, 지적측량, 수로측량 외의 측량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79. 측량기술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법에서 정하는 측량은 측량기술자가 아니면 할 수 없다.
     2. 지적, 지도제작, 도화 또는 항공사진 분야의 일정한 학력만을 가진 자는 측량기술자로 볼 수 없다.
     3. 측량기술자는 신의와 성실로써 공정하게 측량을 실시해야 하며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거부하여서는 아니된다.
     4. 측량기술자는 둘 이상의 측량업체에 소속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3%

80. 공공측량업 및 일반측량업의 등록은 다음 중 누구에게 신청하는가?(2008년 09월)
     1. 국토해양부장관
     2. 지방국토관리청장
     3. 특별시장ㆍ광역시장 또는 도지사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600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30 T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329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328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327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1월31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326 직업상담사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325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324 전기철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6447414)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32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76007)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321 공인중개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265296)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3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1479737)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319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5129890)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31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31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2316 가맹거래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4677106)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315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314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313 화공기사(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8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312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8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8
2311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262 Next
/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