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99498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일반화학


1. 다음 반응에서 1.5몰 Al과 3.0몰 Cl2를 섞어 반응시켰을 때 AlCl3 몇 몰을 생성하는가?(2016년 03월)

   

     1. 2.3몰
     2. 2.0몰
     3. 1.5몰
     4. 1.0몰

     정답 : []
     정답률 : 87%

2. 주기율표에서의 일반적인 경량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원자 반지름은 같은 족에서는 위로 올라갈수록 증가한다.
     2. 원자 반지름은 같은 주기에서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3. 같은 주기에서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금속성은 증가한다.
     4. 0 족에서는 금속성 물질만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3. 어떤 염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섭씨 70도에서 60, 섭씨 30도에서 20이다. 섭씨 70도의 포화 용액 100g을 섭씨 30도로 식힐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섭씨 70도에서 포화 용액 100g에 녹아 있는 염의 양은 60g이다.
     2. 섭씨 30도에서 포화 용액 100g에 녹아 있는 염의 양은 20g이다.
     3. 섭씨 70도에서 포화 용액을 섭씨 30도로 식힐 때 불포화 용액이 형성된다.
     4. 섭씨 70도의 포화용액을 섭씨 30도로 식힐 때 석출되는 염의 양은 25g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용해도는 100g 기준으로 몇g 이 녹는것이기 때문에 섭씨70도에서 60 이라는 것은 100+60 = 160g이 총 용액이라는 뜻이다.
1. 37.5g 이다.
2. 16.67g 이다.
3. 침전생기며 과포화 될것임.
4. 160 : 120 = 100 : *
* = 75 이므로 100 - 75 = 25g
[해설작성자 : 만거]

4. 아연-구리 전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볼타전지(또는 갈바니전지)의 대표적인 예이다.
     2. 구리이온이 산화되고 아연이 환원된다.
     3. 염다리를 사용한다.
     4. 질량이 증가하는 쪽은 구리전극 쪽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칼카나마 알아철 니주납 수구수은 백금
구리이온이 환원, 아연이 산화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5. 다음 물질을 녹이고자 할 때, 물(H2O)과 사염화탄소(CCl4)중에서 물(H2)에 더욱 잘 녹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물질을 모두 나타낸 것은?(2014년 03월)

   

     1. (a), (b)
     2. (b), (c)
     3. (a), (b), (c)
     4. (b), (c), (d)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d)CH3 CH2 CH2 CH2 CH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d)CH3 HCH2 CH2 C2 CH3
[해설작성자 : MIU]

6. 16.0M인 H2SO4 용액 8.00mL를 용액의 최종부피가 0.125L가 될 때까지 묽혔다면 묽힌 후 용액의 몰농도는 약 얼마가 되겠는가?(2015년 09월)
     1. 102M
     2. 10.2M
     3. 1.02M
     4. 0.102M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농도×(처음부피÷나중부피)=16.0M×(0.008L÷0.125L)
=1.024M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7. 다음 물질의 산 해리상수 Ka 값이 다음과 같을 때, 다음 중 산의 세기가 가장 큰 것은?(2011년 03월)

   

     1. HF
     2. HCN
     3. HNO2
     4. CH3COOH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산해리상수(Ka) 값이 클수록 이온화가 잘 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강산이다.
pKa = -logKa이므로 pKa 값은 작아질수록 상대적으로 강산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8. 17Cl의 전자배치를 옳게 나타낸 것은?(2015년 09월)
     1. [Ar]3s23p6
     2. [Ar]3s23p5
     3. [Ne]3s23p6
     4. [Ne]3s23p5

     정답 : []
     정답률 : 86%

9. 다음 표의 (ㄱ), (ㄴ), 그리고 (ㄷ)에 들어갈 숫자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06년 09월)

   

     1. 238, 20, 20
     2. 92, 20, 20
     3. 92, 40, 23
     4. 238, 40, 23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ㄱ. 양성자의 수는 원자 번호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ㄴ. 중성자 수는 질량에서 양성자의 수를 빼시면 됩니다.
ㄷ. 전자의 수는 양성자의 수와 같으니 23이지만 3가 양이온이기에 전자 3개가 빠주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승현]

10. 메타-다이나이트로벤젠의 구조를 옳게 나타낸 것은?(2019년 04월)
     1.
     2.
     3.
     4. .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오쏘는 1,2 메타는 1,3 파라는 1,4 위치(치환기)이므로
메타는 1,3인 3번이다.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11. Ca(HCO3)2에서 탄소의 산화수는 얼마인가?(2009년 05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Ca 산화수 = +1 (1족 알칼리 금속의 산화수는 항상 +1)
H 산화수 = +1
O 산화수 = -2
[해설작성자 : 진코]

하나의 탄소에 대해 산화수를 묻고 있으니까 HCO3- 하나당 C의 산화수를 계산
H:+1 O=-2 전체 이온 전하량 -1
(+1)+x+3(-2)=-1
x=+4
[해설작성자 : 화분기. . . .]

12. 다음 산화환원반응식의 계수 (a), (d), (c) 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n은 점수이다.)(2007년 09월)

    

     1. (a):2, (b):2, (c):2
     2. (a):2, (b):2, (c):3
     3. (a):2, (b):1, (c):2
     4. (a):4, (b):2, (c):2

     정답 : []
     정답률 : 72%

13. 다음 중 실험식이 다른 것은?(2017년 03월)
     1. CH2O
     2. C2H6O2
     3. C6H12O6
     4. C3H6O3

     정답 : []
     정답률 : 93%

14. 수용액에서 약간 용해하는 이온화합물 Ag2CO3(s)의 용해도곱 평형상수(Ksp)식이 맞는 것은?(2014년 09월)
     1. Ksp=[Ag+]2[CO32-]
     2. Ksp=[Ag2+][CO3-]
     3. Ksp=2[Ag+]2[CO32-]/[Ag2CO3]
     4. Ksp=[Ag2+][CO3-]/[Ag2CO3]

     정답 : []
     정답률 : 80%

15. 산소분자(O2) 10.00몰은 산소분자(O2)와 산소원자(O)가 각각 몇 개인가? (단, 아보가드로수는 6.022 × 1023 개 이다.)(2011년 10월)
     1. 산소분자 10.00 개, 산소원자 20.00 개
     2. 산소분자 6.022 × 1024 개, 산소원자 20.00 개
     3. 산소분자 6.022 × 1024 개, 산소원자 10.00 개
     4. 산소분자 6.022 × 1024 개, 산소원자 2 × 6.022 × 1024

     정답 : []
     정답률 : 83%

16. O2-, F, F-를 지름이 작은 것부터 큰 순서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4년 09월)
     1. O2-<F<F-
     2. F<F-<O2-
     3. O2-<F-<F
     4. F-<O2-<F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음이온은 전자를 많이 받을수록 크기가 커진다.
[해설작성자 : 만거]

17. 다음 중 극성 분자인 것은?(2009년 05월)
     1. CI2
     2. CH4
     3. CO2
     4. NH3

     정답 : []
     정답률 : 83%

18. 3.0M AgNO3 200mL를 0.9M CuCl2 350mL에 가해졌을 때, 생성되는 AgCl(분자량=143g)의 양은?(2015년 09월)
     1. 8.58g
     2. 45.1g
     3. 85.8g
     4. 451g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AgNO3 + CuCl2 -> 2AgCl

AgNO3 = 3.0M X 0.2L -> 0.6mol
CuCl2 = 0.9M x 0.35L -> 0.315mol

CuCl2가 과량이므로    AgCl 0.6mol 생성
0.6 x 143 = 85.8
[해설작성자 : 늠름하다]

19. 0.40M NaOH와 0.10M H2SO4를 1 : 1 부피로 섞었을 때, 이 용액의 pH는 얼마인가?(2017년 09월)
     1. 10
     2. 11
     3. 12
     4. 13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0.40M×AL=0.40AmolOH-
2×0.10M×AL=0.20AmolH+
중화반응으로 0.20AmolOH-남고
최종부피는 2AL이므로
0.10MOH-
pOH=1이므로 pH=14-1=13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20. Li, Ba, C, F의ㆍ원자반지름(pm)이 72, 77, 152, 222 중 가각 어느 한가지씩의 값에 대응한다고 할 대 그 값이 옳게 연결된 것은?(2009년 05월)
     1. Ba-72pm
     2. Li-152pm
     3. F-77pm
     4. C-222pm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같은 족에서는 원자번호 커질수록 반지름 증가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 커질수록 반지름 감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분석화학


21. 다음 산화환원 반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Fe3+ 의 전자수가 증가되었다.
     2. Fe3+ 가 환원되었다.
     3. Fe3+ 는 산화제이다.
     4. Fe(s)의 산화수는 3이다.

     정답 : []
     정답률 : 86%

22. 다음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과 관련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1주울의 에너지는 1암페어의 전류가 전위차가 1볼트인 점들 사이를 이동할 때 얻거나 잃는 양이다.
     2. 산화환원 반응(redox reaction)은 전자가 한 화학종에서 다른 화학종으로 옳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3. 전지 전압은 전기화학 반응에 대한 자유 에너지 변화에 비례한다.
     4. 전류는 전기화학 반응의 반응속도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줄의 에너지는 1A의 전류와 1V의 전압이 1초 동안 흘렀을 때 에너지이다.
[해설작성자 : 만거]

23. 다음 표에서 약 염기성 용액을 강산 용액으로 적정할 때 적합한 지시약과 적정이 끝난 후 용액의 색깔을 옳게 나타낸 것은?(2011년 03월)

    

     1. 메틸레드, 빨강
     2. 메틸레드, 노랑
     3. 페놀프탈레인, 빨강
     4. 페놀레드, 빨강

     정답 : []
     정답률 : 80%

24. 그림과 같이 다이싸이올알케인의 전도도는 사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2019년 09월)

    

     1.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2.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에
     3. 전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4. 전압이 감소하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83%

25. 물(H2O)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4년 09월)
     1. 물의 pH가 낮으면 염기성을 나타낸다.
     2. 물의 pH가 낮으면, [H+]가. [OH-]보다 적게 존재한다.
     3. 물 속에서 H+는 H3O+로 존재한다.
     4. 물은 섭씨 4도에서 가장 가볍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 산성
2. 많이 존재
4. 가장 무겁다.(밀도 커서)
[해설작성자 : 만거]

26. S4O62- 이온에서 황(S)의 산화수는 얼마인가?(2019년 09월)
     1. 2
     2. 2.5
     3. 3
     4. 3.5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O의 산화수 -2 / O 갯수 6
-2 x 6 = -12
S의 산화수 모름, S의 갯수 4
S산화수 x 4 -12 = -2
S산화수 = 2.5
[해설작성자 : 23.05.20 공기업 필기시험인데 이제공부하고있음]

27. 0.850g의 미지시료에는 KBr(몰질량 119g)과 KNO3(몰질량 101g)만이 함유되어 있다. 이 시료를 물에 용해한 후 브롬화물을 완전히 적정하는데 0.0500M AgNO3 80.0mL가 필요하였다. 이 때 고체시료에 있는 KBr의 무게 백분율은?(2019년 04월)
     1. 44.0%
     2. 47.55%
     3. 54.1%
     4. 56.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Ag+ + Br- -> AgBr(↓)
0.0500M×0.0800L=0.00400mol
0.00400mol×119g/mol=0.476g
(0.476g/0.850g)×100(%)=56.0%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28. EDTA 적정의 종말점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금속이온 지시약
     2. 유리전극
     3. 이온선택성 전극
     4. 가리움제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EDTA 적정의 종말점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 금속이온 지시약, 유리전극, 이온선택성 전극, 수은 전극, pH전극법이있다.
[해설작성자 : 만거]

29. 전하를 띠지 않는 중성분자들은 이온세기가 0.1M 보다 작을 경우 활동도 계수(activiity coefficient)를 얼마라고 할 수 있는가?(2011년 03월)
     1. 0
     2. 0.1
     3. 0.5
     4. 1

     정답 : []
     정답률 : 83%

30. 다음 염(salt)들 중에서 물에 녹았을 때, 염기성 수용액을 만드는 염을 모두 나타낸 것은?(2014년 09월)

    

     1. CH3COONa, K3PO4
     2. CH3COONa
     3. NaBr, CH3COONa, NH4Cl
     4. NH4Cl, K3PO4, NaCl, NaNO3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물에 녹았을때 약산의 짝염기가 염기성, 약염기의 짝산은 산성이다.
[해설작성자 : 만거]

31. 다음 농도(Concentration)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6년 09월)
     1. 몰랄 농도[m]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2. 몰랄 농도는 용액 1Kg 중 용질의 몰수이다.
     3. 몰 농도[M]는 용액 1Kg 중 용질의 몰수이다.
     4. 몰 농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 몰랄 농도는 용매 1kg당 용질의 몰수임
3. 몰농도는 용액 부피 1L당 용질의 몰수임
4. 몰 농도는 용액의 부피에 따라 정의되므로, 온도가 변하면 용액의 부피가 변할 수 있어 몰 농도도 변함
[해설작성자 : 쥬라기공원]

32. EDTA는 양이온과 다음 중 무엇을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하는가?(2007년 09월)
     1. 킬레이트
     2. 고분자
     3. 이온교환수지
     4. 이온결합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84%

33. 다음의 지시약에 대한 설명에서 옳은 것만으로 나열된 것은?(2019년 04월)

    

     1.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65%

34. 뉴스에서 A제과회사의 과자에서 발암물질로 알려진 아플라톡신이 기준치 10ppb 보다 높은 14ppb가 검출돼 전량 폐기했다고 밝혔다. 이 과자 1kg에서 몇 mg의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었는가?(2017년 09월)
     1. 14g
     2. 1.4mg
     3. 0.14mg
     4. 0.014mg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4ppb = 14 x 10^-9kg = 14 x 10^-6g =    14 x 10^-3mg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4ppb = 14 x 10^-9 = 14 x 10^-6g / 1kg = 14 x10^-3 mg / 1kg
위에 분이 단위를 착각하신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쇼옥쇽쇽]

35. 산/염기 적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약산의 해리상수 Ka의 양은 대수인 pKa는 양의 값을 가지며, pKa가 큰 값일수록 강산이다.
     2. 유기산의 pKa가 큰 값일수록 해리 분율이 크다.
     3. 약산을 강염기로 정정시에 당량점의 pH는 7보다 큰 값으로 산성을 나타낸다.
     4. 0.10M이 양성자산 H2A(Ka1/Ka2>104) 10.0mL를 0.075M KOH로 적정할 때 적정곡선(pH vs. KOH의 적정량)은 2개의 변곡점을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63%

36. 주석이온(Sn2+) 0.1M과 주석이온(Sn4+) 0.01M의 혼합용액에서 백금전극에 의하여 측정되는 전위(E)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E°는 Sn4++2e-→Sn2+에서의 표준환원 전위이다.)(2007년 09월)
     1. E=E°
     2.
     3. E=E°+0.05916
     4.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E = E°- 0.05916/n * log( 산화 / 환원 ) ㅡ> E°-0.05916/2 * log(0.1/0,01)
E = E°-0.05916/2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

37. 다음 중 화학평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화학평형상수는 단위가 없으며, 보통 K로 표시하고 K가 1보다 크면 정반응이 유리하다고 정의하며, 이 때 Gibbs 자유에너지는 양의 값을 가진다.
     2. 평형상수는 표준상태에서의 물질의 평형을 나타내는 값으로 항상 양의 값이며,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3. 평형상수의 크기는 반응속도와는 상관이 없다. 즉 평형상수가 크다고 해서 반응이 빠름을 뜻하지 않는다.
     4. 물질의 용해도곱(solubility product)은 고체염이 용액내에서 녹아 성분 이온으로 나뉘는 반응에 대한 평형상수로 흡열반응은 용해도곱이 작고, 발열반응은 용해도 곱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평형상수는 온도만 영향
[해설작성자 : 만거]

38. 플루오르화칼슘(CaF2)의 용해도곱은 3.9×10-11이다. 이 염의 포화용액에서 칼슘이온의 몰농도는 몇 M인가?(2018년 09월)
     1. 2.1×10-4
     2. 3.4×10-4
     3. 6.2×10-6
     4. 3.9×10-11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CaF2 <=> Ca^2+    +    2F-
[Ca^2+] = *     [F-] = 2*
Ksp = [Ca^2+][F-]^2 = 4*^3 = 3.9x10^-11
[Ca^2+] = * = 2.1x10^-4
[해설작성자 : 만거]

39. 쿼리가 라듐을 발견할 때 염화라듐(RaCl2)에 들어있는 염소의 양을 제어서 라듐의 원자량을 결정했다. 염소의 양을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방법은?(2018년 03월)
     1. 무게분석
     2. 산염기 적정
     3. EDTA 적정
     4. 산화, 환원 적정

     정답 : []
     정답률 : 70%

40. 농도(Concentr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몰랄 농도[m]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2. 몰랄 농도는 용액 1kg 중 용질의 몰수이다.
     3. 몰 농도[M]는 용액 1kg 중 용질의 몰수이다.
     4. 몰 농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몰랄 농도는 용매 1kg 중 용질의 몰수라고 해야 정확합니다
[해설작성자 : 내이름]

3과목 : 기기분석I


41. 적외선흡수스펙트럼에서 흡수 봉우리의 파수는 화학결합에 대한 힘 상수의 세기와 유효질량에 의존한다. 다음 중 흡수 파수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신축 진동은?(2010년 05월)
     1. ≡C-H
     2. =C-H
     3. -C-H
     4. -C≡C-

     정답 : []
     정답률 : 80%

42. 원자분광법에서 원자선 나비가 중요한 주된 이유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9월)
     1. 원자들이 검출기로부터 멀어져 발생되는 복사선 파장의 증폭을 방지할 수 있다.
     2. 다른 원자나 이온과의 충돌로 인한 에너지준위의 변화를 막을 수 있다.
     3. 원자의 전이 시간의 차이로 발생되는 선 좁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4. 스펙트럼선이 겹쳐서 생기게 되는 분석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원자선 너비입니다 나비가아니고

43. 모든 종류의 분석방법은 측정된 분석신호화 분석농도를 연관 짓는 과정으로 검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과 이에 대한 설명을 연결한 것 중 잘못된 것은?(2014년 03월)
     1. 검정곡선-정확한 농도의 분석물을 포함하고 있는 몇 개의 표준용액을 넣고 검정곡선을 얻어 사용한다.
     2. 표준물 첨가법-매트릭스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있는 복잡한 시료분석에 특히 유용하다.
     3. 내부표준물법-모든 시료, 바탕용액과 검정표준물에 일정량의 내부 표준물을 첨가하는 방식이다.
     4. 표준물 첨가법-대부분 형태의 표준물 첨가법에서 시료 매트릭스는 각 표준물을 첨가한 후에 변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4. 형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복잡하거나 단순한 기체, 액체 및 고체 화학계에서 나타난다.
     2. 전자가 복사선을 흡수하여 들뜬 상태가 되었다가 바닥상태로 되돌아가며 흡수파장과 같은 두 개의 복사선을 모든 방향으로 방출한다.
     3. 흡수한 파장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재방출하는 형광을 공명복사선 또는 공명형광이라고 한다.
     4. 분자형광은 공명선보다 짧은 파장이 중심인 복사선 띠로 나타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분자형광은 공명선보다 긴 파장이 중심인 복사선 띠로 나타나는 경우가 훨씬 많다
[해설작성자 : 45과목폐지기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도 형광이란 전자가 에너지를 흡수한 뒤 흡수한 에너지보다 더 작은 에너지(더 긴 파장)를 방출하는 현상입니다.
동일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공명형광도 존재하나, 동일한 에너지를 가지는 복사선 2개를 방출하는 것은
에너지 보존 법칙 측면에서 봐도 위반되지 않나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원자화 방법 중 불꽃 원자화 광원과 비교한 플라스마 원자화 광원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07년 09월)
     1. 원자 및 분자 밀도가 높다.
     2. 원자화 온도가 높아 원자화 효율이 좋다.
     3. 전자 밀도가 낮다.
     4. 시료 원자가 플라스마 관찰 영역에 도달할 때 체류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77%

46. 원자흡수분광법에서 사용하는 칼슘분석에서 인산이온의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과량의 스트론튬이나 란탄을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스트론튬이나 란탄을 무엇이라 하는가?(2011년 03월)
     1. 보호제
     2. 해방제
     3. 이온화 억제제
     4. 흡수제

     정답 : []
     정답률 : 68%

47. UV-B를 차단하기 위한 햇볕차단제의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280nm 부근의 흡광도가 0.38이었다면 투과되는 자외선 분율은?(2017년 09월)
     1. 42%
     2. 58%
     3. 65%
     4. 73%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흡광도=-log투과도
투과도=10^-흡광도
=10^-0.38
=0.42
=42%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A = -logT        
0.38 = -logT
T =0.42 = 42%
[해설작성자 : 만거]

48. 530nm 파장을 갖는 빛의 에너지보다 3배 큰 에너지의 빛의 파장은 약 얼마인가?(2017년 09월)
     1. 177nm
     2. 226nm
     3. 590nm
     4. 1590nm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E = hc/파장
-> 에너지가 3배 커지면 파장은 3배 작아야한다
->530nm/3 = 177nm
[해설작성자 : Neul_]

49. 용액 중에 산소가 용해되어 있는 경우 형광의 세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와 관련이 있는 비활성 과정은?(2011년 03월)
     1. 진동이완
     2. 내부전환
     3. 유발분해
     4. 계간전이

     정답 : []
     정답률 : 72%

50. 다음 중 13C 핵자기공명(NMR) 분광법이 1H NMR 분광법에 비해 가지는 장점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봉우리의 겹침이 적게 일어난다.
     2. 1H NMR 분광법보다 감도가 좋다.
     3. 분자 주위에 대한 것보다 분자 골격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4. 인접한 탄소끼리의 13C-13C 짝지음이나 13C-12C 짝지음이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6%

51. 원자분광법에서의 고체 시료의 도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미세 분말 시료를 슬러리로 만들어 분무하기도 한다.
     2. 원자화장치 속으로 시료를 직접 수동으로 도입할 수 있다.
     3. 시료 분해 및 용해 과정이 없어서 용액시료 도입보다 정확도가 높다.
     4. 보통 연속신호 대신 불연속신호가 얻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시간 단축의 장점은 있지만, 재현성이 적고 오차가 많아서 용액 시료의 도입만큼 많이 사용되진 않음.
[해설작성자 : 만거]

52. 다음 분자 중 적외선 흡수분광법으로 정량분석이 불가능한 것은?(2016년 10월)
     1. CO2
     2. NH3
     3. O2
     4. NO2

     정답 : []
     정답률 : 77%

53. Monochromator의 slit width를 증가하였을 때 발생되는 현상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resolution이 감소한다.
     2. peak width가 좁아진다.
     3. 빛의 세기가 감소한다.
     4. grating 효율도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54. Nuclear Magnetic Resonance(NMR)애서 주로 사용되는 빛의 종류는?(2016년 10월)
     1. UV
     2. VIS
     3. microwave
     4. radio frequency

     정답 : []
     정답률 : 76%

55. X-선 형광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비파괴 분석법이다.
     2. 스펙트럼이 비교적 단순하다.
     3. 가벼운 원소에 대하여 감도가 우수하다.
     4. 수 분 내에 다중 원소의 분석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X-선 형광법은 감도가 안좋음.
- 가벼운 원소 측정에 적절하지 않다.(Auger방출 때문에 형광세기 감소하기 때문)
[해설작성자 : 만거]

56. 분자발광분광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내부전환-들뜬 전자가 복사선을 방출하지 않고 더 낮은 에너지의 전자상태로 전이하는 분자 내부의 과정
     2. 계간전이-다른 다중성의 전자상태 사이에서 교차가 일어나는 과정
     3. 형광-들뜬 전자가 계간전이를 거쳐 삼중항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발광
     4. 외부전환-들뜬 분자와 용매 또는 다른 용질 사이에서의 에너지 전이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번은 인광에 대한 설명. 형광은 들뜬 단일항 상태에서 바닥 단일항 상태로의 전이 입니다.
[해설작성자 : 만거]

57. 자외선 분광법에서 흡수 봉우리의 차장이 가장 짧을 것으로 예측되는 분자는?(2014년 03월)
     1. 1.3-butadiene
     2. 1.4-pentadiene
     3. 1.3.5-hexatriene
     4. 1.3.5.7-octatetraene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이중결합이 많을수록, 특히 인접할수록(파이 콘주게이션 효과)로 들뜨기 쉬워져 최대흡수파장은 장파장으로 이동한다.
에너지가 큰 분자 일수록 짧은 파장 흡수봉우리
[해설작성자 : 만거]

58. 원자분광법에서 액체 시료를 도입하는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기압식 분무기 : 용액 시료를 준비하여 분무기로 원자화 장치 안으로 불어 넣는다.
     2. 초음파 분무기 : 20 kHz ~ 수 MHz로 진동하는 소자를 이용한다. 이 소자의 표면에 액체 시료를 주입하면 균일한 에어로졸을 형성시킨 후 이를 원자화 장치안으로 이동시킨다.
     3. 전열 증기화 장치 : 전기방전이 시료표면에서 상호작용하여 증기화된 입자시료 집합체를 만든 다음 비활성기체의 흐름에 의해 원자화장치로 운반된다.
     4. 수소화물 생성법 : 휘발성 수소화물을 생성시켜 이용하는 방법으로 NaBH4 수용액을 이용한다. 휘발성이 높아진 시료는 바로 도입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3. 비활성 기체가 아닌 고체시료
[해설작성자 : 만거]

전열증기화법에서 시료를 가열하여 전압을 조절하여 온도를 높여 증기화한다. 이를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기체의 흐름을 통해 원자화 장치로 전달 한다. 때문에 "전기방전"하여 증기화 한다는 부분이 틀린부분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어요]

59. 핵자기공명 분광학에서 이용하는 파장은?(2017년 09월)
     1. 적외선
     2. 자외선
     3. 라디오파
     4. microwave(마이크로웨이브)

     정답 : []
     정답률 : 75%

60. 아세트산(CH3COOH)의 기준진동방식의 수는?(2012년 03월)
     1. 16개
     2. 17개
     3. 18개
     4. 19개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기준진동방식수
선형: 3N-5
비선형: 3N-6        (N=원자수)
CH3COOH는 원자수가 총 8개고 비선형이기 때문에(C 2개,H 4개,O 2개)
3*8-6=18 입니다.
[해설작성자 : 잼아재]

61. 질량분석법에서 이온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화학온화방법을 사용하면 (M-1)+ 봉우리를 관찰할 수 없다.
     2. 전자충격이온화방법은 약한 이온원으로 분자이온 봉우리 관찰이 용이하다.
     3. 장이온화법은 센 이온원으로 분자이동 봉우리를 관찰하기 힘들다.
     4. 매트릭스-지원레이저탈착/이온화법의 경우 고질량(m/z) >10,000) 고분자를 관찰하는데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M-1, M+1, M+29 3가지 봉우리 관찰 가능
2. 불안정한 분자는 분자이온 봉우리 안생김.
3. 장이온화법은 봉우리 관찰 용이하다.
[해설작성자 : 만거]

62.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컬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용리액 세기가 증가할수록 용질은 컬럼으로부터 더욱 빨리 용리된다.
     2.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열린관 컬럼이 적당하다.
     3. 정지상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충전컬럼의 효율은 증가한다.
     4. 컬럼의 온도를 높이면 머무름 시간이 감소되고, 분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열린관 컬럼이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진니]

1. 대표적인 HPLC 중 하나인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한 설명.
용질은 고정상에 흡착되어 있다. 이때 용매가 용질을 치환하는 정도를 용리액 세기라 표현.
(엄밀히 말하면 용매의 흡착 정도)
치환이 잘 될 수록 용질은 빨리 용리된다.
3. 간단하게 정지상이 크면 용질 간에 빠져나가는 속도 차가 커짐. 바꿔 말하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못 빠져나가는 얘들도 생김. 그래서 효율이 떨어짐.
[해설작성자 : Rivolo]

63.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기울기용리(gradient elution)란 어떤 방법인가?(2019년 03월)
     1. 컬럼을 기울여 분리하는 방법
     2. 단일 용매(이동상)를 사용하는 방법
     3. 2개 이상의 용매(이동상)를 다양한 혼합비로 섞어 사용하는 방법
     4. 단일 용매(이동상)의 흐름량과 흐름속도를 점차 증가시키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단일 용매는 등용매 용리
[해설작성자 : 만거]

64. 다음 전기분석화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물질의 환원 반응은 양극에서 일어난다.
     2. 농도분극은 전극표면의 시료물질 농도와 용액농도의 차이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3. 과접압은 전류가 흐르는 반응용기의 용액이 갖는 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압이다.
     4. 작업전극에서 시료물질의 산화반응이 일어날 때, 기준 전극에서는 시료물질의 환원반응이 수반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 cathode = 음극 (red cat)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 anode = 양극 (an ox)
[해설작성자 : lazynanzy]

65. 막 지시전극에 사용되는 이온선택성 막의 공통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이온선택성 막은 분석물질 용액에서 용해도가 거의 0 이어야 한다.
     2. 막은 작아도 약간의 전기전도도를 가져야 한다.
     3. 막속에 함유된 몇가지 화학종들은 분석물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
     4. 할로겐화은과 같은 낮은 용해도를 갖는 이온성 무기화합물은 막으로 사용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위차법의 막지시전극에서 이온선택성 막 성질 3가지
-최소용해도
-전기전도도
-분석물과 선택적 반응성 : 이온교환, 결정화, 창물 형성
[해설작성자 : 말이마리말이마리]

6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검출기 중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검출기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Refractive index detector(RI)
     2. Flame ionization detector(FID)
     3. Electron capture detector(ECD)
     4.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TCD)

     정답 : []
     정답률 : 70%

67. 시차주사 열량법(DSC)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유리전이 온도
     2. 결정화도
     3. 수분 함량
     4. 시료의 순도

     정답 : []
     정답률 : 63%

68.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리효율을 높이고 분리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기울기용리법(gradient elution)을 사용한다. 이 방법에서는 용매의 어떤 성질을 변화시켜 주는가?(2017년 03월)
     1. 극성
     2. 분자량
     3. 끓는점
     4. 녹는점

     정답 : []
     정답률 : 83%

69. 전도도법을 이용하여 염산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적정하고자 한다. 전도도의 변화를 적정곡선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2014년 03월)
     1. 전도도는 감소하다가 종말점 이후에는 증가한다.
     2. 전도도는 증가하다가 종말좀 이후에는 감소한다.
     3. 전도도는 감소하다가 종말점 이후에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4. 전도도는 증가하다가 종말점 이후에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70. 다음 기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피(GSC)의 가장 기본적인 분리 메커니즘은?(2006년 09월)
     1. 분배
     2. 흡착
     3. 이온쌍
     4. 크기별 배제

     정답 : []
     정답률 : 72%

71. GLC에 사용되는 고체지지 물질(solid support)의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단단해서 쉽게 깨지지 않아야 한다.
     2. 입자 모양과 크기가 불균일하여야 한다.
     3. 단위체적당 큰 비표면적을 가져야 한다.
     4. 액체 정지상을 쉽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고체지지체 물질의 조건
- 작고 균일한 구형 입자
- 우수한 기계적 강도
- 단위체적당 큰 비표면적
- 고온에서 비활성
- 액체 정지상으로 쉽고 균일하게 도포
[해설작성자 : 만거]

72. 다음 중 전위차법에 사용하는 이상적인 기준전극의 조건이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전위를 나타내어야 한다.
     2. 반응이 비가역적이어야 한다.
     3.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해도 과민반응을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4. 작은 전류가 흐른 뒤에도 원래의 전위로 되돌아와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73. 기체크로마토그래피 검출기 중 니켈-63(63Ni)과 같은 β-선 방사체를 사용하며, 할로겐과 같은 전기 음성도가 큰 작용기를 지닌 분자에 특히 감도가 좋고 시료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는 검출기는?(2017년 03월)
     1. 불꽃 이온화 검출기(FID; flame ionization detector)
     2. 전자 포착 검출기(ECD; electron capture detector)
     3. 원자 방출 검출기(AED; atomic emission detector)
     4. 열전도도 검출기(TCD;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전자 포착 검출기(ECD)는 할로겐 원소에 대한 감응선택성이 우수한 검출기이다.
[해설작성자 : 공화]

74. 시차 열법분석으로 벤조산 시료 측정 시 대기압에서 측정할 때와 200psi에서 측정할 때 봉우리가 일치하지 않은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16년 03월)
     1. 높은 압력에서 시료가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2. 높은 압력에서 밀도의 차이가 생겼기 때문이다.
     3. 높은 압력에서 끓는점이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4. 모세관법으로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75. 이동상이 액체인 크로마토그래피가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2. 액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피
     3.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4. 확산 크로마토그래피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4. 확산은 기체
[해설작성자 : 만거]

76.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에서 분리능(resolution)을 증가시키는 일반적 방법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온도를 낮춘다.
     2. 주입시료의 양을 증가시킨다.
     3. 관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4. 충전물 입자 크기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5%

77. 열무게법의 주요 기기 장치가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기체 주입 장치
     2. 자외선 조사기
     3. 분석 저울
     4. 전기로

     정답 : []
     정답률 : 67%

78. 액체막(liquid membrane) 칼슘 이온선택성 전극을 이용하여 용액의 Ca2+ 농도를 결정하고자 한다. 미지시료 25.0mL 에 칼슘이온 선택성 전극을 담가 전위를 측정하였더니 전위가 497.0mV 이었다. 미지시료에0.0500M 농도의 CaCl2 용액 2.00mL를 첨가하여 전위를 측정하였더니 전위가 512.0mV 이었다. 이온선택성전극이 Nernst 식을 따른다면 미지용액에서의 칼슘이온의 농도는?(2019년 09월)
     1. 0.00162M
     2. 0.00428M
     3. 0.0187M
     4. 1.124M

     정답 : []
     정답률 : 31%

79. 다음 질량스펙트럼에서 관찰되는 화합물의 실험식은?(2011년 10월)

    

     1. C4H9Br
     2. C5H12O4
     3. C5H6Cl2
     4. C7H8NO2

     정답 : []
     정답률 : 63%

80. 질량 분석기로 C2H4+(MW=28.0313)과 CO+(MW=27.9949)의 봉우리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분리 능은 약 얼마인가?(2006년 09월)
     1. 770
     2. 1,170
     3. 1,570
     4. 1,97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질량 분석기에서의 분리능
R=m/Δm    28/(28.0313-27.9949)
769.~ 답 770.
[해설작성자 : 화분기. . . .]


정 답 지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99498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일반화학


1. 다음 반응에서 1.5몰 Al과 3.0몰 Cl2를 섞어 반응시켰을 때 AlCl3 몇 몰을 생성하는가?(2016년 03월)

   

     1. 2.3몰
     2. 2.0몰
     3. 1.5몰
     4. 1.0몰

     정답 : []
     정답률 : 87%

2. 주기율표에서의 일반적인 경량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원자 반지름은 같은 족에서는 위로 올라갈수록 증가한다.
     2. 원자 반지름은 같은 주기에서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3. 같은 주기에서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금속성은 증가한다.
     4. 0 족에서는 금속성 물질만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3. 어떤 염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섭씨 70도에서 60, 섭씨 30도에서 20이다. 섭씨 70도의 포화 용액 100g을 섭씨 30도로 식힐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섭씨 70도에서 포화 용액 100g에 녹아 있는 염의 양은 60g이다.
     2. 섭씨 30도에서 포화 용액 100g에 녹아 있는 염의 양은 20g이다.
     3. 섭씨 70도에서 포화 용액을 섭씨 30도로 식힐 때 불포화 용액이 형성된다.
     4. 섭씨 70도의 포화용액을 섭씨 30도로 식힐 때 석출되는 염의 양은 25g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용해도는 100g 기준으로 몇g 이 녹는것이기 때문에 섭씨70도에서 60 이라는 것은 100+60 = 160g이 총 용액이라는 뜻이다.
1. 37.5g 이다.
2. 16.67g 이다.
3. 침전생기며 과포화 될것임.
4. 160 : 120 = 100 : *
* = 75 이므로 100 - 75 = 25g
[해설작성자 : 만거]

4. 아연-구리 전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볼타전지(또는 갈바니전지)의 대표적인 예이다.
     2. 구리이온이 산화되고 아연이 환원된다.
     3. 염다리를 사용한다.
     4. 질량이 증가하는 쪽은 구리전극 쪽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칼카나마 알아철 니주납 수구수은 백금
구리이온이 환원, 아연이 산화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5. 다음 물질을 녹이고자 할 때, 물(H2O)과 사염화탄소(CCl4)중에서 물(H2)에 더욱 잘 녹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물질을 모두 나타낸 것은?(2014년 03월)

   

     1. (a), (b)
     2. (b), (c)
     3. (a), (b), (c)
     4. (b), (c), (d)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d)CH3 CH2 CH2 CH2 CH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d)CH3 HCH2 CH2 C2 CH3
[해설작성자 : MIU]

6. 16.0M인 H2SO4 용액 8.00mL를 용액의 최종부피가 0.125L가 될 때까지 묽혔다면 묽힌 후 용액의 몰농도는 약 얼마가 되겠는가?(2015년 09월)
     1. 102M
     2. 10.2M
     3. 1.02M
     4. 0.102M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농도×(처음부피÷나중부피)=16.0M×(0.008L÷0.125L)
=1.024M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7. 다음 물질의 산 해리상수 Ka 값이 다음과 같을 때, 다음 중 산의 세기가 가장 큰 것은?(2011년 03월)

   

     1. HF
     2. HCN
     3. HNO2
     4. CH3COOH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산해리상수(Ka) 값이 클수록 이온화가 잘 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강산이다.
pKa = -logKa이므로 pKa 값은 작아질수록 상대적으로 강산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8. 17Cl의 전자배치를 옳게 나타낸 것은?(2015년 09월)
     1. [Ar]3s23p6
     2. [Ar]3s23p5
     3. [Ne]3s23p6
     4. [Ne]3s23p5

     정답 : []
     정답률 : 86%

9. 다음 표의 (ㄱ), (ㄴ), 그리고 (ㄷ)에 들어갈 숫자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06년 09월)

   

     1. 238, 20, 20
     2. 92, 20, 20
     3. 92, 40, 23
     4. 238, 40, 23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ㄱ. 양성자의 수는 원자 번호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ㄴ. 중성자 수는 질량에서 양성자의 수를 빼시면 됩니다.
ㄷ. 전자의 수는 양성자의 수와 같으니 23이지만 3가 양이온이기에 전자 3개가 빠주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승현]

10. 메타-다이나이트로벤젠의 구조를 옳게 나타낸 것은?(2019년 04월)
     1.
     2.
     3.
     4. .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오쏘는 1,2 메타는 1,3 파라는 1,4 위치(치환기)이므로
메타는 1,3인 3번이다.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11. Ca(HCO3)2에서 탄소의 산화수는 얼마인가?(2009년 05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Ca 산화수 = +1 (1족 알칼리 금속의 산화수는 항상 +1)
H 산화수 = +1
O 산화수 = -2
[해설작성자 : 진코]

하나의 탄소에 대해 산화수를 묻고 있으니까 HCO3- 하나당 C의 산화수를 계산
H:+1 O=-2 전체 이온 전하량 -1
(+1)+x+3(-2)=-1
x=+4
[해설작성자 : 화분기. . . .]

12. 다음 산화환원반응식의 계수 (a), (d), (c) 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n은 점수이다.)(2007년 09월)

    

     1. (a):2, (b):2, (c):2
     2. (a):2, (b):2, (c):3
     3. (a):2, (b):1, (c):2
     4. (a):4, (b):2, (c):2

     정답 : []
     정답률 : 72%

13. 다음 중 실험식이 다른 것은?(2017년 03월)
     1. CH2O
     2. C2H6O2
     3. C6H12O6
     4. C3H6O3

     정답 : []
     정답률 : 93%

14. 수용액에서 약간 용해하는 이온화합물 Ag2CO3(s)의 용해도곱 평형상수(Ksp)식이 맞는 것은?(2014년 09월)
     1. Ksp=[Ag+]2[CO32-]
     2. Ksp=[Ag2+][CO3-]
     3. Ksp=2[Ag+]2[CO32-]/[Ag2CO3]
     4. Ksp=[Ag2+][CO3-]/[Ag2CO3]

     정답 : []
     정답률 : 80%

15. 산소분자(O2) 10.00몰은 산소분자(O2)와 산소원자(O)가 각각 몇 개인가? (단, 아보가드로수는 6.022 × 1023 개 이다.)(2011년 10월)
     1. 산소분자 10.00 개, 산소원자 20.00 개
     2. 산소분자 6.022 × 1024 개, 산소원자 20.00 개
     3. 산소분자 6.022 × 1024 개, 산소원자 10.00 개
     4. 산소분자 6.022 × 1024 개, 산소원자 2 × 6.022 × 1024

     정답 : []
     정답률 : 83%

16. O2-, F, F-를 지름이 작은 것부터 큰 순서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4년 09월)
     1. O2-<F<F-
     2. F<F-<O2-
     3. O2-<F-<F
     4. F-<O2-<F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음이온은 전자를 많이 받을수록 크기가 커진다.
[해설작성자 : 만거]

17. 다음 중 극성 분자인 것은?(2009년 05월)
     1. CI2
     2. CH4
     3. CO2
     4. NH3

     정답 : []
     정답률 : 83%

18. 3.0M AgNO3 200mL를 0.9M CuCl2 350mL에 가해졌을 때, 생성되는 AgCl(분자량=143g)의 양은?(2015년 09월)
     1. 8.58g
     2. 45.1g
     3. 85.8g
     4. 451g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AgNO3 + CuCl2 -> 2AgCl

AgNO3 = 3.0M X 0.2L -> 0.6mol
CuCl2 = 0.9M x 0.35L -> 0.315mol

CuCl2가 과량이므로    AgCl 0.6mol 생성
0.6 x 143 = 85.8
[해설작성자 : 늠름하다]

19. 0.40M NaOH와 0.10M H2SO4를 1 : 1 부피로 섞었을 때, 이 용액의 pH는 얼마인가?(2017년 09월)
     1. 10
     2. 11
     3. 12
     4. 13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0.40M×AL=0.40AmolOH-
2×0.10M×AL=0.20AmolH+
중화반응으로 0.20AmolOH-남고
최종부피는 2AL이므로
0.10MOH-
pOH=1이므로 pH=14-1=13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20. Li, Ba, C, F의ㆍ원자반지름(pm)이 72, 77, 152, 222 중 가각 어느 한가지씩의 값에 대응한다고 할 대 그 값이 옳게 연결된 것은?(2009년 05월)
     1. Ba-72pm
     2. Li-152pm
     3. F-77pm
     4. C-222pm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같은 족에서는 원자번호 커질수록 반지름 증가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 커질수록 반지름 감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분석화학


21. 다음 산화환원 반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Fe3+ 의 전자수가 증가되었다.
     2. Fe3+ 가 환원되었다.
     3. Fe3+ 는 산화제이다.
     4. Fe(s)의 산화수는 3이다.

     정답 : []
     정답률 : 86%

22. 다음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과 관련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1주울의 에너지는 1암페어의 전류가 전위차가 1볼트인 점들 사이를 이동할 때 얻거나 잃는 양이다.
     2. 산화환원 반응(redox reaction)은 전자가 한 화학종에서 다른 화학종으로 옳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3. 전지 전압은 전기화학 반응에 대한 자유 에너지 변화에 비례한다.
     4. 전류는 전기화학 반응의 반응속도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줄의 에너지는 1A의 전류와 1V의 전압이 1초 동안 흘렀을 때 에너지이다.
[해설작성자 : 만거]

23. 다음 표에서 약 염기성 용액을 강산 용액으로 적정할 때 적합한 지시약과 적정이 끝난 후 용액의 색깔을 옳게 나타낸 것은?(2011년 03월)

    

     1. 메틸레드, 빨강
     2. 메틸레드, 노랑
     3. 페놀프탈레인, 빨강
     4. 페놀레드, 빨강

     정답 : []
     정답률 : 80%

24. 그림과 같이 다이싸이올알케인의 전도도는 사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2019년 09월)

    

     1.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2.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에
     3. 전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4. 전압이 감소하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83%

25. 물(H2O)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4년 09월)
     1. 물의 pH가 낮으면 염기성을 나타낸다.
     2. 물의 pH가 낮으면, [H+]가. [OH-]보다 적게 존재한다.
     3. 물 속에서 H+는 H3O+로 존재한다.
     4. 물은 섭씨 4도에서 가장 가볍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 산성
2. 많이 존재
4. 가장 무겁다.(밀도 커서)
[해설작성자 : 만거]

26. S4O62- 이온에서 황(S)의 산화수는 얼마인가?(2019년 09월)
     1. 2
     2. 2.5
     3. 3
     4. 3.5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O의 산화수 -2 / O 갯수 6
-2 x 6 = -12
S의 산화수 모름, S의 갯수 4
S산화수 x 4 -12 = -2
S산화수 = 2.5
[해설작성자 : 23.05.20 공기업 필기시험인데 이제공부하고있음]

27. 0.850g의 미지시료에는 KBr(몰질량 119g)과 KNO3(몰질량 101g)만이 함유되어 있다. 이 시료를 물에 용해한 후 브롬화물을 완전히 적정하는데 0.0500M AgNO3 80.0mL가 필요하였다. 이 때 고체시료에 있는 KBr의 무게 백분율은?(2019년 04월)
     1. 44.0%
     2. 47.55%
     3. 54.1%
     4. 56.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Ag+ + Br- -> AgBr(↓)
0.0500M×0.0800L=0.00400mol
0.00400mol×119g/mol=0.476g
(0.476g/0.850g)×100(%)=56.0%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28. EDTA 적정의 종말점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금속이온 지시약
     2. 유리전극
     3. 이온선택성 전극
     4. 가리움제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EDTA 적정의 종말점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 금속이온 지시약, 유리전극, 이온선택성 전극, 수은 전극, pH전극법이있다.
[해설작성자 : 만거]

29. 전하를 띠지 않는 중성분자들은 이온세기가 0.1M 보다 작을 경우 활동도 계수(activiity coefficient)를 얼마라고 할 수 있는가?(2011년 03월)
     1. 0
     2. 0.1
     3. 0.5
     4. 1

     정답 : []
     정답률 : 83%

30. 다음 염(salt)들 중에서 물에 녹았을 때, 염기성 수용액을 만드는 염을 모두 나타낸 것은?(2014년 09월)

    

     1. CH3COONa, K3PO4
     2. CH3COONa
     3. NaBr, CH3COONa, NH4Cl
     4. NH4Cl, K3PO4, NaCl, NaNO3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물에 녹았을때 약산의 짝염기가 염기성, 약염기의 짝산은 산성이다.
[해설작성자 : 만거]

31. 다음 농도(Concentration)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6년 09월)
     1. 몰랄 농도[m]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2. 몰랄 농도는 용액 1Kg 중 용질의 몰수이다.
     3. 몰 농도[M]는 용액 1Kg 중 용질의 몰수이다.
     4. 몰 농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 몰랄 농도는 용매 1kg당 용질의 몰수임
3. 몰농도는 용액 부피 1L당 용질의 몰수임
4. 몰 농도는 용액의 부피에 따라 정의되므로, 온도가 변하면 용액의 부피가 변할 수 있어 몰 농도도 변함
[해설작성자 : 쥬라기공원]

32. EDTA는 양이온과 다음 중 무엇을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하는가?(2007년 09월)
     1. 킬레이트
     2. 고분자
     3. 이온교환수지
     4. 이온결합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84%

33. 다음의 지시약에 대한 설명에서 옳은 것만으로 나열된 것은?(2019년 04월)

    

     1.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65%

34. 뉴스에서 A제과회사의 과자에서 발암물질로 알려진 아플라톡신이 기준치 10ppb 보다 높은 14ppb가 검출돼 전량 폐기했다고 밝혔다. 이 과자 1kg에서 몇 mg의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었는가?(2017년 09월)
     1. 14g
     2. 1.4mg
     3. 0.14mg
     4. 0.014mg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4ppb = 14 x 10^-9kg = 14 x 10^-6g =    14 x 10^-3mg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4ppb = 14 x 10^-9 = 14 x 10^-6g / 1kg = 14 x10^-3 mg / 1kg
위에 분이 단위를 착각하신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쇼옥쇽쇽]

35. 산/염기 적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약산의 해리상수 Ka의 양은 대수인 pKa는 양의 값을 가지며, pKa가 큰 값일수록 강산이다.
     2. 유기산의 pKa가 큰 값일수록 해리 분율이 크다.
     3. 약산을 강염기로 정정시에 당량점의 pH는 7보다 큰 값으로 산성을 나타낸다.
     4. 0.10M이 양성자산 H2A(Ka1/Ka2>104) 10.0mL를 0.075M KOH로 적정할 때 적정곡선(pH vs. KOH의 적정량)은 2개의 변곡점을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63%

36. 주석이온(Sn2+) 0.1M과 주석이온(Sn4+) 0.01M의 혼합용액에서 백금전극에 의하여 측정되는 전위(E)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E°는 Sn4++2e-→Sn2+에서의 표준환원 전위이다.)(2007년 09월)
     1. E=E°
     2.
     3. E=E°+0.05916
     4.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E = E°- 0.05916/n * log( 산화 / 환원 ) ㅡ> E°-0.05916/2 * log(0.1/0,01)
E = E°-0.05916/2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

37. 다음 중 화학평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화학평형상수는 단위가 없으며, 보통 K로 표시하고 K가 1보다 크면 정반응이 유리하다고 정의하며, 이 때 Gibbs 자유에너지는 양의 값을 가진다.
     2. 평형상수는 표준상태에서의 물질의 평형을 나타내는 값으로 항상 양의 값이며,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3. 평형상수의 크기는 반응속도와는 상관이 없다. 즉 평형상수가 크다고 해서 반응이 빠름을 뜻하지 않는다.
     4. 물질의 용해도곱(solubility product)은 고체염이 용액내에서 녹아 성분 이온으로 나뉘는 반응에 대한 평형상수로 흡열반응은 용해도곱이 작고, 발열반응은 용해도 곱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평형상수는 온도만 영향
[해설작성자 : 만거]

38. 플루오르화칼슘(CaF2)의 용해도곱은 3.9×10-11이다. 이 염의 포화용액에서 칼슘이온의 몰농도는 몇 M인가?(2018년 09월)
     1. 2.1×10-4
     2. 3.4×10-4
     3. 6.2×10-6
     4. 3.9×10-11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CaF2 <=> Ca^2+    +    2F-
[Ca^2+] = *     [F-] = 2*
Ksp = [Ca^2+][F-]^2 = 4*^3 = 3.9x10^-11
[Ca^2+] = * = 2.1x10^-4
[해설작성자 : 만거]

39. 쿼리가 라듐을 발견할 때 염화라듐(RaCl2)에 들어있는 염소의 양을 제어서 라듐의 원자량을 결정했다. 염소의 양을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방법은?(2018년 03월)
     1. 무게분석
     2. 산염기 적정
     3. EDTA 적정
     4. 산화, 환원 적정

     정답 : []
     정답률 : 70%

40. 농도(Concentr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몰랄 농도[m]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2. 몰랄 농도는 용액 1kg 중 용질의 몰수이다.
     3. 몰 농도[M]는 용액 1kg 중 용질의 몰수이다.
     4. 몰 농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몰랄 농도는 용매 1kg 중 용질의 몰수라고 해야 정확합니다
[해설작성자 : 내이름]

3과목 : 기기분석I


41. 적외선흡수스펙트럼에서 흡수 봉우리의 파수는 화학결합에 대한 힘 상수의 세기와 유효질량에 의존한다. 다음 중 흡수 파수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신축 진동은?(2010년 05월)
     1. ≡C-H
     2. =C-H
     3. -C-H
     4. -C≡C-

     정답 : []
     정답률 : 80%

42. 원자분광법에서 원자선 나비가 중요한 주된 이유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9월)
     1. 원자들이 검출기로부터 멀어져 발생되는 복사선 파장의 증폭을 방지할 수 있다.
     2. 다른 원자나 이온과의 충돌로 인한 에너지준위의 변화를 막을 수 있다.
     3. 원자의 전이 시간의 차이로 발생되는 선 좁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4. 스펙트럼선이 겹쳐서 생기게 되는 분석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원자선 너비입니다 나비가아니고

43. 모든 종류의 분석방법은 측정된 분석신호화 분석농도를 연관 짓는 과정으로 검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과 이에 대한 설명을 연결한 것 중 잘못된 것은?(2014년 03월)
     1. 검정곡선-정확한 농도의 분석물을 포함하고 있는 몇 개의 표준용액을 넣고 검정곡선을 얻어 사용한다.
     2. 표준물 첨가법-매트릭스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있는 복잡한 시료분석에 특히 유용하다.
     3. 내부표준물법-모든 시료, 바탕용액과 검정표준물에 일정량의 내부 표준물을 첨가하는 방식이다.
     4. 표준물 첨가법-대부분 형태의 표준물 첨가법에서 시료 매트릭스는 각 표준물을 첨가한 후에 변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4. 형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복잡하거나 단순한 기체, 액체 및 고체 화학계에서 나타난다.
     2. 전자가 복사선을 흡수하여 들뜬 상태가 되었다가 바닥상태로 되돌아가며 흡수파장과 같은 두 개의 복사선을 모든 방향으로 방출한다.
     3. 흡수한 파장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재방출하는 형광을 공명복사선 또는 공명형광이라고 한다.
     4. 분자형광은 공명선보다 짧은 파장이 중심인 복사선 띠로 나타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분자형광은 공명선보다 긴 파장이 중심인 복사선 띠로 나타나는 경우가 훨씬 많다
[해설작성자 : 45과목폐지기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도 형광이란 전자가 에너지를 흡수한 뒤 흡수한 에너지보다 더 작은 에너지(더 긴 파장)를 방출하는 현상입니다.
동일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공명형광도 존재하나, 동일한 에너지를 가지는 복사선 2개를 방출하는 것은
에너지 보존 법칙 측면에서 봐도 위반되지 않나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원자화 방법 중 불꽃 원자화 광원과 비교한 플라스마 원자화 광원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07년 09월)
     1. 원자 및 분자 밀도가 높다.
     2. 원자화 온도가 높아 원자화 효율이 좋다.
     3. 전자 밀도가 낮다.
     4. 시료 원자가 플라스마 관찰 영역에 도달할 때 체류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77%

46. 원자흡수분광법에서 사용하는 칼슘분석에서 인산이온의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과량의 스트론튬이나 란탄을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스트론튬이나 란탄을 무엇이라 하는가?(2011년 03월)
     1. 보호제
     2. 해방제
     3. 이온화 억제제
     4. 흡수제

     정답 : []
     정답률 : 68%

47. UV-B를 차단하기 위한 햇볕차단제의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280nm 부근의 흡광도가 0.38이었다면 투과되는 자외선 분율은?(2017년 09월)
     1. 42%
     2. 58%
     3. 65%
     4. 73%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흡광도=-log투과도
투과도=10^-흡광도
=10^-0.38
=0.42
=42%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A = -logT        
0.38 = -logT
T =0.42 = 42%
[해설작성자 : 만거]

48. 530nm 파장을 갖는 빛의 에너지보다 3배 큰 에너지의 빛의 파장은 약 얼마인가?(2017년 09월)
     1. 177nm
     2. 226nm
     3. 590nm
     4. 1590nm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E = hc/파장
-> 에너지가 3배 커지면 파장은 3배 작아야한다
->530nm/3 = 177nm
[해설작성자 : Neul_]

49. 용액 중에 산소가 용해되어 있는 경우 형광의 세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와 관련이 있는 비활성 과정은?(2011년 03월)
     1. 진동이완
     2. 내부전환
     3. 유발분해
     4. 계간전이

     정답 : []
     정답률 : 72%

50. 다음 중 13C 핵자기공명(NMR) 분광법이 1H NMR 분광법에 비해 가지는 장점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봉우리의 겹침이 적게 일어난다.
     2. 1H NMR 분광법보다 감도가 좋다.
     3. 분자 주위에 대한 것보다 분자 골격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4. 인접한 탄소끼리의 13C-13C 짝지음이나 13C-12C 짝지음이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6%

51. 원자분광법에서의 고체 시료의 도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미세 분말 시료를 슬러리로 만들어 분무하기도 한다.
     2. 원자화장치 속으로 시료를 직접 수동으로 도입할 수 있다.
     3. 시료 분해 및 용해 과정이 없어서 용액시료 도입보다 정확도가 높다.
     4. 보통 연속신호 대신 불연속신호가 얻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시간 단축의 장점은 있지만, 재현성이 적고 오차가 많아서 용액 시료의 도입만큼 많이 사용되진 않음.
[해설작성자 : 만거]

52. 다음 분자 중 적외선 흡수분광법으로 정량분석이 불가능한 것은?(2016년 10월)
     1. CO2
     2. NH3
     3. O2
     4. NO2

     정답 : []
     정답률 : 77%

53. Monochromator의 slit width를 증가하였을 때 발생되는 현상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resolution이 감소한다.
     2. peak width가 좁아진다.
     3. 빛의 세기가 감소한다.
     4. grating 효율도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54. Nuclear Magnetic Resonance(NMR)애서 주로 사용되는 빛의 종류는?(2016년 10월)
     1. UV
     2. VIS
     3. microwave
     4. radio frequency

     정답 : []
     정답률 : 76%

55. X-선 형광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비파괴 분석법이다.
     2. 스펙트럼이 비교적 단순하다.
     3. 가벼운 원소에 대하여 감도가 우수하다.
     4. 수 분 내에 다중 원소의 분석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X-선 형광법은 감도가 안좋음.
- 가벼운 원소 측정에 적절하지 않다.(Auger방출 때문에 형광세기 감소하기 때문)
[해설작성자 : 만거]

56. 분자발광분광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내부전환-들뜬 전자가 복사선을 방출하지 않고 더 낮은 에너지의 전자상태로 전이하는 분자 내부의 과정
     2. 계간전이-다른 다중성의 전자상태 사이에서 교차가 일어나는 과정
     3. 형광-들뜬 전자가 계간전이를 거쳐 삼중항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발광
     4. 외부전환-들뜬 분자와 용매 또는 다른 용질 사이에서의 에너지 전이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번은 인광에 대한 설명. 형광은 들뜬 단일항 상태에서 바닥 단일항 상태로의 전이 입니다.
[해설작성자 : 만거]

57. 자외선 분광법에서 흡수 봉우리의 차장이 가장 짧을 것으로 예측되는 분자는?(2014년 03월)
     1. 1.3-butadiene
     2. 1.4-pentadiene
     3. 1.3.5-hexatriene
     4. 1.3.5.7-octatetraene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이중결합이 많을수록, 특히 인접할수록(파이 콘주게이션 효과)로 들뜨기 쉬워져 최대흡수파장은 장파장으로 이동한다.
에너지가 큰 분자 일수록 짧은 파장 흡수봉우리
[해설작성자 : 만거]

58. 원자분광법에서 액체 시료를 도입하는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기압식 분무기 : 용액 시료를 준비하여 분무기로 원자화 장치 안으로 불어 넣는다.
     2. 초음파 분무기 : 20 kHz ~ 수 MHz로 진동하는 소자를 이용한다. 이 소자의 표면에 액체 시료를 주입하면 균일한 에어로졸을 형성시킨 후 이를 원자화 장치안으로 이동시킨다.
     3. 전열 증기화 장치 : 전기방전이 시료표면에서 상호작용하여 증기화된 입자시료 집합체를 만든 다음 비활성기체의 흐름에 의해 원자화장치로 운반된다.
     4. 수소화물 생성법 : 휘발성 수소화물을 생성시켜 이용하는 방법으로 NaBH4 수용액을 이용한다. 휘발성이 높아진 시료는 바로 도입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3. 비활성 기체가 아닌 고체시료
[해설작성자 : 만거]

전열증기화법에서 시료를 가열하여 전압을 조절하여 온도를 높여 증기화한다. 이를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기체의 흐름을 통해 원자화 장치로 전달 한다. 때문에 "전기방전"하여 증기화 한다는 부분이 틀린부분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어요]

59. 핵자기공명 분광학에서 이용하는 파장은?(2017년 09월)
     1. 적외선
     2. 자외선
     3. 라디오파
     4. microwave(마이크로웨이브)

     정답 : []
     정답률 : 75%

60. 아세트산(CH3COOH)의 기준진동방식의 수는?(2012년 03월)
     1. 16개
     2. 17개
     3. 18개
     4. 19개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기준진동방식수
선형: 3N-5
비선형: 3N-6        (N=원자수)
CH3COOH는 원자수가 총 8개고 비선형이기 때문에(C 2개,H 4개,O 2개)
3*8-6=18 입니다.
[해설작성자 : 잼아재]

61. 질량분석법에서 이온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화학온화방법을 사용하면 (M-1)+ 봉우리를 관찰할 수 없다.
     2. 전자충격이온화방법은 약한 이온원으로 분자이온 봉우리 관찰이 용이하다.
     3. 장이온화법은 센 이온원으로 분자이동 봉우리를 관찰하기 힘들다.
     4. 매트릭스-지원레이저탈착/이온화법의 경우 고질량(m/z) >10,000) 고분자를 관찰하는데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M-1, M+1, M+29 3가지 봉우리 관찰 가능
2. 불안정한 분자는 분자이온 봉우리 안생김.
3. 장이온화법은 봉우리 관찰 용이하다.
[해설작성자 : 만거]

62.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컬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용리액 세기가 증가할수록 용질은 컬럼으로부터 더욱 빨리 용리된다.
     2.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열린관 컬럼이 적당하다.
     3. 정지상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충전컬럼의 효율은 증가한다.
     4. 컬럼의 온도를 높이면 머무름 시간이 감소되고, 분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열린관 컬럼이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진니]

1. 대표적인 HPLC 중 하나인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한 설명.
용질은 고정상에 흡착되어 있다. 이때 용매가 용질을 치환하는 정도를 용리액 세기라 표현.
(엄밀히 말하면 용매의 흡착 정도)
치환이 잘 될 수록 용질은 빨리 용리된다.
3. 간단하게 정지상이 크면 용질 간에 빠져나가는 속도 차가 커짐. 바꿔 말하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못 빠져나가는 얘들도 생김. 그래서 효율이 떨어짐.
[해설작성자 : Rivolo]

63.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기울기용리(gradient elution)란 어떤 방법인가?(2019년 03월)
     1. 컬럼을 기울여 분리하는 방법
     2. 단일 용매(이동상)를 사용하는 방법
     3. 2개 이상의 용매(이동상)를 다양한 혼합비로 섞어 사용하는 방법
     4. 단일 용매(이동상)의 흐름량과 흐름속도를 점차 증가시키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단일 용매는 등용매 용리
[해설작성자 : 만거]

64. 다음 전기분석화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물질의 환원 반응은 양극에서 일어난다.
     2. 농도분극은 전극표면의 시료물질 농도와 용액농도의 차이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3. 과접압은 전류가 흐르는 반응용기의 용액이 갖는 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압이다.
     4. 작업전극에서 시료물질의 산화반응이 일어날 때, 기준 전극에서는 시료물질의 환원반응이 수반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 cathode = 음극 (red cat)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 anode = 양극 (an ox)
[해설작성자 : lazynanzy]

65. 막 지시전극에 사용되는 이온선택성 막의 공통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이온선택성 막은 분석물질 용액에서 용해도가 거의 0 이어야 한다.
     2. 막은 작아도 약간의 전기전도도를 가져야 한다.
     3. 막속에 함유된 몇가지 화학종들은 분석물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
     4. 할로겐화은과 같은 낮은 용해도를 갖는 이온성 무기화합물은 막으로 사용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위차법의 막지시전극에서 이온선택성 막 성질 3가지
-최소용해도
-전기전도도
-분석물과 선택적 반응성 : 이온교환, 결정화, 창물 형성
[해설작성자 : 말이마리말이마리]

6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검출기 중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검출기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Refractive index detector(RI)
     2. Flame ionization detector(FID)
     3. Electron capture detector(ECD)
     4.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TCD)

     정답 : []
     정답률 : 70%

67. 시차주사 열량법(DSC)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유리전이 온도
     2. 결정화도
     3. 수분 함량
     4. 시료의 순도

     정답 : []
     정답률 : 63%

68.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리효율을 높이고 분리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기울기용리법(gradient elution)을 사용한다. 이 방법에서는 용매의 어떤 성질을 변화시켜 주는가?(2017년 03월)
     1. 극성
     2. 분자량
     3. 끓는점
     4. 녹는점

     정답 : []
     정답률 : 83%

69. 전도도법을 이용하여 염산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적정하고자 한다. 전도도의 변화를 적정곡선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2014년 03월)
     1. 전도도는 감소하다가 종말점 이후에는 증가한다.
     2. 전도도는 증가하다가 종말좀 이후에는 감소한다.
     3. 전도도는 감소하다가 종말점 이후에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4. 전도도는 증가하다가 종말점 이후에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70. 다음 기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피(GSC)의 가장 기본적인 분리 메커니즘은?(2006년 09월)
     1. 분배
     2. 흡착
     3. 이온쌍
     4. 크기별 배제

     정답 : []
     정답률 : 72%

71. GLC에 사용되는 고체지지 물질(solid support)의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단단해서 쉽게 깨지지 않아야 한다.
     2. 입자 모양과 크기가 불균일하여야 한다.
     3. 단위체적당 큰 비표면적을 가져야 한다.
     4. 액체 정지상을 쉽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고체지지체 물질의 조건
- 작고 균일한 구형 입자
- 우수한 기계적 강도
- 단위체적당 큰 비표면적
- 고온에서 비활성
- 액체 정지상으로 쉽고 균일하게 도포
[해설작성자 : 만거]

72. 다음 중 전위차법에 사용하는 이상적인 기준전극의 조건이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전위를 나타내어야 한다.
     2. 반응이 비가역적이어야 한다.
     3.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해도 과민반응을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4. 작은 전류가 흐른 뒤에도 원래의 전위로 되돌아와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73. 기체크로마토그래피 검출기 중 니켈-63(63Ni)과 같은 β-선 방사체를 사용하며, 할로겐과 같은 전기 음성도가 큰 작용기를 지닌 분자에 특히 감도가 좋고 시료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는 검출기는?(2017년 03월)
     1. 불꽃 이온화 검출기(FID; flame ionization detector)
     2. 전자 포착 검출기(ECD; electron capture detector)
     3. 원자 방출 검출기(AED; atomic emission detector)
     4. 열전도도 검출기(TCD;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전자 포착 검출기(ECD)는 할로겐 원소에 대한 감응선택성이 우수한 검출기이다.
[해설작성자 : 공화]

74. 시차 열법분석으로 벤조산 시료 측정 시 대기압에서 측정할 때와 200psi에서 측정할 때 봉우리가 일치하지 않은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16년 03월)
     1. 높은 압력에서 시료가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2. 높은 압력에서 밀도의 차이가 생겼기 때문이다.
     3. 높은 압력에서 끓는점이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4. 모세관법으로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75. 이동상이 액체인 크로마토그래피가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2. 액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피
     3.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4. 확산 크로마토그래피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4. 확산은 기체
[해설작성자 : 만거]

76.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에서 분리능(resolution)을 증가시키는 일반적 방법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온도를 낮춘다.
     2. 주입시료의 양을 증가시킨다.
     3. 관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4. 충전물 입자 크기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5%

77. 열무게법의 주요 기기 장치가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기체 주입 장치
     2. 자외선 조사기
     3. 분석 저울
     4. 전기로

     정답 : []
     정답률 : 67%

78. 액체막(liquid membrane) 칼슘 이온선택성 전극을 이용하여 용액의 Ca2+ 농도를 결정하고자 한다. 미지시료 25.0mL 에 칼슘이온 선택성 전극을 담가 전위를 측정하였더니 전위가 497.0mV 이었다. 미지시료에0.0500M 농도의 CaCl2 용액 2.00mL를 첨가하여 전위를 측정하였더니 전위가 512.0mV 이었다. 이온선택성전극이 Nernst 식을 따른다면 미지용액에서의 칼슘이온의 농도는?(2019년 09월)
     1. 0.00162M
     2. 0.00428M
     3. 0.0187M
     4. 1.124M

     정답 : []
     정답률 : 31%

79. 다음 질량스펙트럼에서 관찰되는 화합물의 실험식은?(2011년 10월)

    

     1. C4H9Br
     2. C5H12O4
     3. C5H6Cl2
     4. C7H8NO2

     정답 : []
     정답률 : 63%

80. 질량 분석기로 C2H4+(MW=28.0313)과 CO+(MW=27.9949)의 봉우리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분리 능은 약 얼마인가?(2006년 09월)
     1. 770
     2. 1,170
     3. 1,570
     4. 1,97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질량 분석기에서의 분리능
R=m/Δm    28/(28.0313-27.9949)
769.~ 답 770.
[해설작성자 : 화분기. . . .]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99498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02 직업상담사 1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01 ERP 인사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00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999 도자기공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8677194)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998 경찰공무원(순경) 수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997 9급 국가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4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996 F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995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994 9급 국가직 공무원 직업상담심리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419499)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993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994982)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991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990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989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298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987 경찰공무원(순경)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986 에너지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985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2984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414553)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2983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238 Next
/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