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485596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진로상담


1. 중학생 진로상담의 목표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개인 특성 탐색을 통한 자기이해 증진
     2. 일과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3.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가치관 형성
     4. 전문 직업능력 배양
     5. 진로의사결정 능력 향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다위스(Dawis)와 로프퀴스트(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ㄹ
     2. ㄱ, ㄷ, ㅁ
     3. ㄱ, ㄹ, ㅁ
     4. ㄴ, ㄷ, ㄹ
     5.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홀랜드(Holland)가 개발한 검사만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ㄹ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인간중심 진로상담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진로발달을 위한 내담자의 내적 성장을 촉진한다.
     2. 상담자의 태도를 기법보다 더 중요하게 여긴다.
     3. 개인의 성격, 행동특성 등을 객관적인 심리검사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을 강조한다.
     4. 심리적 진단을 보조적 방법으로 사용한다.
     5. 상담자는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인 존중과 수용, 진실성과 같은 기본적인 태도를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다음에서 진로 동기를 촉진하기 위해 활용되는 인지행동 접근의 '사고 오류'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3월)

   

     1. 점쟁이 예언
     2. 독심술
     3. 낙인찍기
     4. 강박적 부담
     5. 정신적 여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개인의 욕구와 능력을 환경의 요구와 연관지어 평가하고 개인-환경간의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진로상담이론은?(2015년 03월)
     1. 직업적응이론
     2. 생애진로발달이론
     3. 제한-타협이론
     4. 사회학습이론
     5. 진로의사결정이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다음에 제시된 민수의 진로상담에 적절하지 않은 상담기법은?(2015년 03월)

   

     1. 멘토와의 대화를 통한 진로정보 수집
     2. 흥미와 적성에 대한 평가
     3. 동영상을 활용한 면접 연습
     4. 가계도를 통한 삼각관계 분석
     5. 역할연습을 통한 대인관계 기술 훈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진로사고검사(CTI)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성차별, 자신감 부족과 같은 진로선택과 진로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측정한다.
     2.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진로탐색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확신성의 정도를 측정한다.
     3. 사회인지 진로이론에 근거하여 진로선택을 방해하는 생각, 비합리적 신념을 명료화하여 측정한다.
     4. 하위요인에는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이 포함된다.
     5. 하위요인에는 수행불안, 외적 갈등, 의사결정혼란이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사회학습진로상담이론에 따른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학력이 진로장벽이 될 수 있으므로 수지의 내적 요구를 탐색하고 진학 여부를 검토한다.
     2. 수지의 진로목표 설정 과정에서 나타난 환경적 조건인 부모의 영향을 탐색한다.
     3.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재능 때문에 공무원이라는 목표를 설정했다고 가설을 세운다.
     4. 수지의 수행 수준과 수행 지속성을 결과기대로 설명한다.
     5. 수지의 진로목표 설정 과정에 대해 흥미, 능력, 가치의 순서로 탐색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진로상담가와 이론을 바르게 연결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샘슨(J. Sampson), 피터슨(G. Peterson), 렌즈(J. Lenz), 리어든(R. Reardon)의 인지정보처리모델에서 진로의사결정과정의 주기를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2016년 03월)
     1. 분석-평가-의사소통-종합-실행
     2. 분석-의사소통-종합-실행-평가
     3. 평가-분석-의사소통-종합-실행
     4. 의사소통-분석-평가-종합-실행
     5. 의사소통-분석-종합-평가-실행

     정답 : []
     정답률 : 10%

12.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알고 싶은 남자 중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적합한 것은?(2015년 03월)
     1. 양성평등 교육
     2. 부모기대관리 훈련
     3. 지능검사
     4. 직업전환 실습
     5. 직업카드 분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직업 대안들을 배제하는 방식의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제안한 학자는?(2016년 03월)
     1. 브룸(V. Vroom), 미첼(T. Mitchell)
     2. 미첼(T. Mitchell), 하렌(V. Harren)
     3. 티버스키(A. Tversky), 브룸(V. Vroom)
     4. 하렌(V. Harren), 갓프레드슨(L. Gottfredson)
     5. 갓프레드슨(L. Gottfredson), 티버스키(A. Tversky)

     정답 : []
     정답률 : 10%

14. 사회인지진로이론에서 제안한 진로상담 전략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자기효능감 촉진하기
     2. 제외시킨 진로대안 확인하기
     3.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 확인하기
     4. 결과에 대한 비현실적 기대 확인하기
     5. 개인-환경 부조화에 대한 적응양식 평가하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진로상담이론(모델)-주요 학자-개념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진로선택이론 - 홀랜드(Holland) - 계측성
     2. 사회인지진로이론 - 크럼볼츠(Krumboltz) - 계획된 우연
     3. 가치중심진로모델 - 브라운(Brown) - 가치지향성
     4. 진로의사결정유형이론 - 하렌(Harren) - 직관적 의사결정유형
     5. 인지정보처리모델 - 피터슨(Peterson) 외 - 정보처리기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채프먼(Chapman)의 진학의사결정 모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03월)

    

     1. ㄱ - ㄴ - ㄷ - ㄹ - ㅁ
     2. ㄱ - ㄷ - ㄴ - ㄹ - ㅁ
     3. ㄴ - ㄱ - ㄷ - ㅁ - ㄹ
     4. ㄴ - ㄷ - ㄱ - ㅁ - ㄹ
     5. ㄴ - ㄷ - ㅁ - ㄱ -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로우(A. Roe)의 욕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진로상담이론(모델)과 관련 검사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진로발달이론 - 진로성숙도검사
     2. 인지정보처리모델 - 진로사고검사
     3. 직업적응이론 - 직업가치관검사
     4. 사회학습진로이론 - 진로신념검사
     5. 특성요인이론 - 진로결정검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적성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관찰법으로는 적성을 파악할 수 없다.
     2. 워크넷의 청소년적성검사는 중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다.
     3. 적성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표준화된 적성검사를 사용할 수 있다.
     4. 운동조절 적성, 손운동속도 적성과 같은 하위 요인이 일반적성에 해당한다.
     5. 적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성검사와 특수적성검사를 활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10%

20. C-DAC(Career Development Assessment and Counseling)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내담자가 생애역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도울 수 있다.
     2. 이 모형은 겔라트(Gellat) 이론에서 도출되었다.
     3. 내담자가 일상생활의 다양한 역할을 조화롭게 수행하도록 도울 수 있다.
     4. 내담자의 주요한 진로문제, 진로발달과업, 진로의사결정 준비도 등을 평가할 수 있다.
     5. 진로상담을 통해 얻어진 검사 결과의 사용방법에 관심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청소년 진로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2. ㄱ, ㄴ
     3. ㄱ, ㄷ,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수퍼(Super)의 생애기간과 생애공간 이론(life-span theory, life-space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 ㄱ : 아치웨이 상층부 중심에는 '자기'가 있다. '자기' 양 옆에 '자기개념'이 있다.
- ㄹ : 슈퍼는 생애 발달은 5단계로 구분하였다.(성장, 탐색, 확립, 유지, 쇠퇴)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23. 하렌(V. Harren)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라 내담자를 옳게 분류한 것은?(2016년 03월)

    

     1. 의존형
     2. 즉흥형
     3. 합리형
     4. 회피형
     5. 불안형

     정답 : []
     정답률 : 10%

24. 긴즈버그(Ginzberg)의 이론에서 직업목표를 정하고, 자신의 결정에 관한 내적ㆍ외적 요소를 종합할 수 있으며, 타협이 중요한 요인이 되는 단계는?(2015년 03월)
     1. 능력(capacity) 단계
     2. 탐색(exploration) 단계
     3. 결정화(crystallization) 단계
     4. 가치(value) 단계
     5. 전환(transition) 단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수퍼(Super)의 이론에서 정착(stabilizing), 공고화(consolidating), 발전(advancing)의 발달과업이 수행되는 발달단계는?(2015년 03월)
     1. 탐색기
     2. 확립기
     3. 성장기
     4. 유지기
     5. 쇠퇴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갓프레드슨(L. Gottfredson)이론의 진로선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개인의 흥미, 능력, 가치관과 현실세계의 타협과정이다.
     2. 진로선택은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난 학습경험으로 이루어진다.
     3. 진로선택 과정은 축소와 조정을 통해 진로포부가 변화하는 과정이다.
     4. 성격유형과 성역할의 기준으로 직업인지지도를 구성하였다.
     5. 선택모형은 목표선택, 활동선택, 미래직업선택으로 설명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수퍼(Super)의 이론에서 진로성숙(career maturity)의 하위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선호하는 직업의 분야와 수준의 일관성
     2. 선호하는 직업에 대한 정보와 진로계획의 구체화
     3. 진로선택과 직업정보 관련 사항을 다루는 태도
     4. 흥미, 가치 등 개인 특성의 세분화
     5. 직업선택 시 능력, 활동, 흥미와 선호 직업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현실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파슨스(Parsons)의 특성ㆍ요인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요구가 일치할수록 직업적 성공 가능성이 크다.
     2. 사람들은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3. 특성은 특정 직무의 수행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4. 직업선택은 직접적인 인지과정이기 때문에 개인은 자신의 특성과 직업이 요구하는 특성을 연결할 수 있다.
     5. 직업은 개인에게 성공적인 적응에 필요한 매우 구체적인 특성을 갖출 것을 요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윌리암슨(E. Williamson)이 제안한 상담과정의 6단계 중 1, 2, 3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을 고르고, 순서대로 연결한 것은?(2016년 03월)

    

     1. ㄱ-ㄴ-ㄷ
     2. ㄱ-ㄴ-ㄹ
     3. ㄴ-ㄱ-ㄷ
     4. ㄴ-ㄷ-ㄹ
     5. ㄷ-ㄱ-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A 정보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철호의 직업선호도검사 결과 해석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일관성(consistency)이 높다.
     2. 일치성(congruence)이 높다.
     3. 변별성(differentiation)이 높다.
     4. 직업으로 보험설계사를 추천한다.
     5. 교우관계가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집단상담


31. 다른 집단원들도 자신과 비슷한 환경이나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음으로써 불필요한 방어를 줄이고 상담작업을 촉진하게 하는 치료적 요인은?(2014년 03월)
     1. 보편성
     2. 응집력
     3. 실존적 요인
     4. 희망의 주입
     5. 동일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컨버그(Kernberg)와 코헛(Kohut)이 경계선 성격장애나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의 기틀을 마련한 이론적 접근은?(2015년 03월)
     1. 대상관계
     2. 교류분석
     3. 행동주의
     4. 인본주의
     5. 실존주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2인의 공동상담자가 진행하는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한 상담자가 개입활동에 주력할 때, 다른 상담자는 집단원 관찰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2. 공동상담자의 인간적 성향과 이론적 배경이 상반될수록 집단에 도움이 된다.
     3. 남성 상담자와 여성 상담자일 때 그 역할이 보완적이어서 집단에 도움이 된다.
     4. 정신역동적 집단에서 한 상담자의 역전이 반응을 다른 상담자가 점검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
     5. 상담회기 전후에 공동상담자 간 토의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한 내담자가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동시에 참여하게 되는 상담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 병행 상담 : 한 명의 상담자에게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모두 받는 것
- 연합 상담 : 각각 다른 상담자에게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따로 받는 것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35. 집단상담자의 초기단계 과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집단구조화가 필요할 경우 집단원에게 집단목표와 진행절차를 설명한다.
     2. 집단원이 개인적 목표를 설정하도록 협력하여 돕는다.
     3. 집단 참여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수용하고 공감한다.
     4. 집단원과 갈등하는 사람의 특성에 대해 집단원이 자세히 이야기하도록 한다.
     5. 집단상담자는 집단규범을 명시적 혹은 암시적으로 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36. 집단상담의 종결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0%

37.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적 집단상담에서 집단원이 사용하는 자기 보호성향(safeguarding tendency) 기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사회적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작동한다.
     2. 변명은 집단원의 보호성향 중 하나이다.
     3. 철회는 집단원의 보호성향 중 하나이다.
     4. 공격성은 집단원의 보호성향 중 하나이다.
     5.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 작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해설] 아들러의 자기보호성향은 외부적요구에 대한 보호로서 의식과 무의식을 구별하지 않고 두 수준에서 작용할수 있다.
             프로이드가 무의식적 수준 작동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38. 정신분석적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로저스(C. Rogers)의 인간중심 집단에서 치료적 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잠재력에 대한 신뢰
     2. 수용적 분위기 형성
     3. 주관적 경험세계에 대한 민감성
     4. 자신의 감정이나 태도에 대한 진솔함
     5. 자기비밀에 대한 무조건적 개방

     정답 : []
     정답률 : 46%

40. 자신과 타인에게 모두 알려진 부분을 넓혀 인간관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남이 모르는 나'를 탐구하게 하는 활동은 무엇에 근거한 것인가?(2015년 03월)
     1. 영(Young)의 관계효율
     2. 프리맥(Premack)의 원리
     3. 조하리(Johari)의 창
     4. 펄스(Perls)의 실존교류
     5. 모레노(Moreno)의 공감확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1. 응집력이 높은 집단에서 관찰되는 집단원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다른 집단원들에게 영향을 주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한다.
     2. 더 많은 자기 개방을 한다.
     3. 집단 규범을 잘 지키고, 집단 규범 일탈자에게 압력을 가한다.
     4. 부정적 감정은 거의 표현하지 않는다.
     5. 한 명의 집단원이 중도 탈락했을 때, 집단의 붕괴에 대하여 덜 민감하게 반응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청소년 집단상담에서 집단원의 행동을 제한해야 할 때가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갈등이나 의견의 불일치를 공공연하게 표현할 때
     2. 지나치게 질문만 계속할 때
     3. 제 삼자를 험담할 때
     4. 집단 외부의 이야기를 길게 늘어놓을 때
     5. 다른 집단원의 사적인 비밀을 캐내려고 할 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집단원이 집단상담 중 경험한 아래 현상이 의미하는 개념은?(2014년 03월)

    

     1. 정화
     2. 치료요인으로서 실존적 요인
     3. 교정적 정서 체험
     4. 탈감각화
     5. 집단에서 사회적 강화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성장집단에서 집단규범 형성을 위한 상담자 역할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젠킨스(Jenkins)의 집단에 대한 평가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ㄱ, ㄴ, ㄹ, ㅁ
     4. ㄱ, ㄷ,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초보 집단상담자가 실시하기에 상대적으로 용이한 집단상담의 형태는?(2014년 03월)
     1. 구조적, 폐쇄적, 동질적 집단상담
     2. 구조적, 개방적, 이질적 집단상담
     3. 개방적, 분산적, 이질적 집단상담
     4. 비구조적, 개방적, 이질적 집단상담
     5. 비구조적, 폐쇄적, 분산적 집단상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집단상담자의 기술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40%

4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법은?(2016년 03월)

    

     1. 해석하기
     2. 연결하기
     3. 반영하기
     4. 명료화하기
     5. 재구조화하기

     정답 : []
     정답률 : 40%

49. 집단상담자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비구조적 집단상담에서는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없다.
     2. 집단원의 저항이 있을 경우 저항이 집단에 도움이 되도록 활용할 수 있다.
     3. 집단의 규범은 집단원에 의해서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담자가 관여하지 않아야 한다.
     4. 공동상담자와 함께 진행할 때는 서로 합의하여 매회기 상담자를 정하여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5. 독점하는 집단원이 있을 경우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그의 능력을 적극 장려하고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집단지도자가 집단의 목적, 규정, 한계 등에 관하여 언급하는 것으로 집단의 틀(frame)을 잡아주는 기법은?(2015년 03월)
     1. 조형화
     2. 보편화
     3. 구조화
     4. 반영화
     5. 명료화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1. 집단의 치료적 요인과 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대인관계 입력: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지각되는 지에 대해 알게 되는 것
     2. 정보공유: 삶에 대한 유익한 정보 습득
     3. 정화: 억압된 감정 표현
     4. 실존적 요인: 삶의 안정성에 대한 인식
     5. 일차 가족집단의 교정적 재현: 초기 아동기와 유사한 역동체험을 통한 학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집단의 전환(과도) 단계에서 집단지도자의 역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저항을 감지하고 다루기
     2. 집단 규범형성 증진하기
     3. 집단원의 불안, 방어, 갈등 등을 다루기
     4. 갈등약화를 위해서 해석, 직면 피하기
     5. 집단원의 이해와 책임감 촉진하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집단원의 권리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집단에 참여할 권리
     2. 집단을 이탈할 권리
     3. 솔직하게 개방할 권리
     4. 개인정보를 보호받을 권리
     5. 집단에 관한 정보를 안내 받을 권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집단상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청소년들은 모호한 집단상황에 부담을 느끼므로 회기 내용을 구체화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다.
     2. 청소년은 또래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집단원의 피드백을 적극 활용한다.
     3. 개방적 집단의 경우 응집성 형성과 발달에 유익하다.
     4. 일반적으로 구조적 집단상담은 역동적인 활동을 많이 하므로 활동적인 청소년에게 좋다.
     5. 진로와 학습을 주제로 하는 집단상담에서는 교육이나 지도 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40%

55. 집단상담을 평가하는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0%

56. 아동, 청소년 집단상담의 유의 사항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윤리적 원칙과 법규를 고려하여야 한다.
     2. 종결을 사전에 고지하고 준비시켜야 한다.
     3. 약물남용의 경우는 비밀보장의 원칙을 철회하고 보호자에게 알려야 한다.
     4. 18세 이하의 경우 부모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 법적인 규제임을 명심하여야 한다.
     5. 집단원으로 하여금 참여 동기와 기대, 집단 규칙 등에 대해 언어로 표현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청소년 집단상담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0%

58. 집단상담의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종결단계에서 평가를 계획하여 실시한다.
     2. 평가대상에 따라 집단원 평가, 집단상담자 평가, 집단상담 프로그램 평가, 집단상담 기관 평가 등이 있다.
     3.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일차적 목적은 목표관리를 위한 것이다.
     5. 평가결과는 집단상담의 계획, 유지, 보완, 수정, 폐기 여부에 반영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집단상담자의 지도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집단원의 자율성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집단을 운영한다.
     2. 달성해야 할 과업이 많을 때 일반적으로 집단상담자의 주도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3. 집단의 크기가 클 때 일반적으로 집단상담자의 주도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4. 집단상담 기간이 짧을 때 일반적으로 집단상담자의 주도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5. 집단상담자의 운영 방식에 대한 집단원의 불만은 집단과정 중에 다루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6%

60. 청소년 집단상담에서 지도자 역할을 하려는 집단원의 이해와 이에 대한 상담자 개입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지도자처럼 질문, 정보탐색, 조언함으로써 자신이 집단에서 취약해지는 것을 방어하려는 반응이 될 수 있다.
     2. 그런 역할을 하려는 집단원은 집단에 참여한 자신의 일차적 문제를 다룰 기회를 상실할 수 있다.
     3. 지도자를 돕는 역할이 될 수 있음으로 잘 수용해서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좋다.
     4. 그런 행동은 다른 집단원이 싫어하는 경향이 있고 집단의 진전을 방해할 수 있다.
     5. 그런 행동을 하는 동기를 살펴볼 질문을 하면서 집단에서 자신의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지 결정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가족상담


61. 미누친(Minuchin)의 구조적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주요 개념은 가족구조와 다세대 전수과정이다.
     2. 인과관계의 선형성(linear causality)을 가정한다.
     3. 주요 기법은 합류(joining)와 실연(enactment)이다.
     4. 개별 가족구성원의 행동변화가 주요 상담목표이다.
     5. 문제나 증상에 대해 결정론적 시각을 기초로 발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수민이는 중학교 1학년이다. 어머니는 3년 전 가출하였고 그 이후 전혀 연락이 없으며, 아버지는 잦은 음주로 집안일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 수민이는 어머니 가출 이후부터 집안일뿐 아니라 세 살 아래 남동생과 아버지까지 돌보고 있다. 이 현상을 나타내는 개념은?(2014년 03월)
     1. 충성심(loyalty)
     2. 회전판(revolving slate)
     3. 부모화(parentification)
     4. 동맹(alliance)
     5. 가족유산(family legac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가족규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건강한 규칙에서는 개인보다 가족이 우선시된다.
     2. 가족규칙은 의사소통 방식 등과 연관된다.
     3. 가족의 정체성 구분은 가족을 지배하는 규칙에 근거한다.
     4. 나쁜 규칙은 가족체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방해가 된다.
     5. 인간 외적 요소나 조건이 중심이 되는 규칙은 좋은 규칙이라 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4. 자살을 시도하려는 홍길동에게, 상담자가 “길동아, 자살하고 싶지 않은 행복한 마음이 가장 강할 때를 10점이라고 하면 현재 몇 점 정도니?”라고 질문했을 때, 이 질문과 관련한 가족상담 모델과 관련이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다음 가족상담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가족신화(family myth)
     2. 가족규칙(family rule)
     3. 가족투사과정(family projection process)
     4. 가족전체성(family wholeness)
     5. 가족응집성(family cohes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가족상담 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다음의 가족상담 윤리를 나타내는 개념은?(2016년 03월)

    

     1. 다양성 존중
     2. 고지된 동의
     3. 이중관계 금지
     4. 자기결정권 존중
     5. 치료 종결이나 의뢰에 대한 책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가족체계론적 시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부적(negative) 피드백은 가족체계가 안정지향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2. 가족원간의 디지털 의사소통 양식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의미한다.
     3. 가족체계에서는 정적(positive) 피드백이 부적 피드백보다 더 바람직하다.
     4. 가족체계는 하위체계들로 구성되고, 사회체계는 가족의 상위체계이다.
     5. 가족구성원 개인의 특성보다 가족 상호작용 패턴에 초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초기 가족상담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ㄷ
     2. ㄴ, ㅁ
     3. ㄱ, ㄷ, ㄹ
     4. ㄷ, ㄹ, ㅁ
     5. ㄱ,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사회구성주의 시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1. 밀란(Milan)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0%

72. 카터(Carter)와 맥골드릭(McGoldrick)이 제시한 가족체계에서의 스트레스원(stress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가풍은 수직적 스트레스원이다.
     2. 가족원의 만성적 질병은 수평적 스트레스원이다.
     3. 자녀 출산은 수평적 스트레스원이다.
     4. 가족원의 실직은 수직적 스트레스원이다.
     5. 가족유산은 수직적 스트레스원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초기 가족상담의 발전에 영향을 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ㄱ, ㄴ, ㄷ
     3. ㄴ, ㄷ, ㅁ
     4. ㄷ, ㄹ, ㅁ
     5. ㄱ,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부부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가족상담 중기단계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상담자 역할은?(2015년 03월)
     1.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 절차 실시
     2. 가족구성원들의 저항 극복
     3. 가족체계 내의 특정 변화 강조하기
     4. 필요한 변화에 대한 평가
     5. 장기목표에 대한 토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보웬(Bowen)의 가족상담에서 내담자의 감정을 가라앉히고 정서적 반응에 의해 유발된 불안을 낮추며 사고를 촉진하는 기법으로, 가족들이 맺는 관계유형 방식을 살펴보는 것은?(2015년 03월)
     1. 탈삼각화
     2. 다른 이야기로 대치하기
     3. 자기입장(I-position) 지키기
     4. 관계실험
     5. 과정질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보웬(Bowen)의 자기분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8. 가족상담 모델과 상담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구조적 가족상담: 역기능적 상호작용을 그대로 드러내도록 실연기법을 쓰는데, 폭력 가정의 경우에도 적용한다.
     2. 전략적 가족상담: 경직된 가족규칙과 신화를 반격하거나 과장하는 의식(rituals) 행위를 사용한다.
     3. 맥락적 가족상담: 가족 간의 불공평에 주목하여 충성심을 가시화시킨다.
     4. 보웬(Bowen) 가족상담: 타인에게 수용되지 않아도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5. 밀란(Milan) 가족상담: 가족이 자신을 점검하고 숨겨진 힘겨루기를 드러내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9. 다음의 상황과 관련되는 가족상담자의 윤리는?(2014년 03월)

    

     1. 비밀보장
     2. 다양성 존중
     3. 고지된 동의
     4. 이중관계 금지
     5. 자기결정권 존중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전략적 가족상담의 상담자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0%

81. 각 가족상담 모델에서 제시하는 상담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인지행동 모델 : 부부나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하고 훈련시킨다.
     2. 맥락적 모델 : 가족구조를 나타내는 가족의 상호교류와 그 패턴에 개입한다.
     3. 경험적 모델 : 자신을 개방적이고 솔직하며 자발적인 정서표현의 모델로 활용한다.
     4. 사회구성주의 모델 : 내담자의 견해를 존중하고 '알지 못한다는 자세'로 호기심을 갖고 접근한다.
     5. 정신역동 모델 : 개인이나 가족원 간, 가족과 상담자 간에 심리 내적 역동이나 투사적 동일시를 중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2. 구조적 가족상담의 수퍼비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가족의 구조 변화를 위해 어떻게 효율적으로 접근했는지 본다.
     2. 가계도를 통하여 가족구성원 간 경계 등을 탐색하도록 한다.
     3. 가족구성원이 보여주는 사고와 행동에서 구조 패턴을 보도록 한다.
     4. 가족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행동을 관찰하게 할 필요는 없다.
     5. 가족의 잘못된 구조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 패턴을 탐색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3. 해결중심 가족상담의 목표설정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2015년 03월)
     1. 청소년 자녀와 갈등이 많은 부모가 자녀와 '덜 싸우기'를 목표로 설정한다.
     2. 나비효과처럼 작은 변화가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설정한다.
     3. 목표는 내담자가 성취하고자 하는 도착점이라는 것을 알린다.
     4. 기적질문을 통해 '백만장자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희망을 준다.
     5. 내담자보다는 상담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4. 다음에서 상담자가 시도하고 있는 개입 기법은?(2016년 03월)

    

     1. 대처질문
     2. 척도질문
     3. 예외질문
     4. 기적질문
     5. 상담 전 변화 질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박양(중2)은 가정폭력 피해 문제로 상담을 받게 되었다. 다음의 상담 상황에서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박 양과 문제를 분리시키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2. 박 양의 긍정적 정체성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3. 두 여학생을 외부증인으로 활용하였다.
     4. 박 양의 지배적 이야기를 해체시키고자 하였다.
     5. 박 양에게 대안적 이야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반영팀(reflecting team) 접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협력적 모델(collaborative model)과 관련이 깊다.
     2. 노르웨이의 정신과 의사인 안데르센(Andersen)이 발전시킨 것이다.
     3. 1차 사이버네틱스(simple cybernetics)를 토대로 하여 발전되었다.
     4. 상담자는 관찰자이며 내담자는 관찰대상이라는 고정된 관계를 변화시켰다.
     5. 상담팀(관찰자)이 상담실에서 상담을 받던 내담자 가족(참여자)에게 그들의 생각과 느낌을 전달하고, 또 이에 대한 참여자의 생각과 느낌을 관찰자에게 전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7.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가족상담에서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청소년의 또래집단 행동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
     2. 청소년기 자녀가 부모로부터 분화를 시도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3. 비행청소년의 가족상담에서는 또래의 특성 및 놀이문화, 학교생활, 지지체계 및 생태환경 등도 파악해야 한다.
     4. 청소년들의 진로문제는 다루지 않고 가족문제에 집중해야 한다.
     5. 청소년기 자녀와 부모의 갈등은 다루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8. 각 가족상담모델에서 제시하는 상담목표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다세대 모델 : 제시된 현재 증상을 제거하고 행동을 변화시킨다.
     2. 밀란 모델 : 성장을 추구하며 일치에 의한 개인의 통합력을 증진시킨다.
     3. 전략적 모델 : 현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가족과 함께 구축하고 실천한다.
     4. 해결중심 모델 : 잘못 학습된 행동을 제거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새롭게 학습한다.
     5. 정신역동 모델 : 과거의 무의식적 이미지에 대한 통찰을 통한 인성 변화와 가족원의 무의식적 구속으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 제시된 현재 증상을 제거하고 행동을 변화시킨다 - 전략적모델
2. 성장을 추구하며 일치에 의한 개인의 통합력을 증진시킨다 - 사티어모델
3. 현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가족과 함께 구축하고 실천한다 - 해결중심모델
4. 잘못 학습된 행동을 제거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새롭게 학습한다 - 행동주의모델
[해설작성자 : 청풍]

89. 가족체계를 사정, 평가하는 도구 중 질적 평가도구에 해당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ㅂ
     2. ㄴ, ㄹ, ㅂ
     3. ㄴ, ㄹ, ㅁ, ㅂ
     4. ㄱ, ㄴ, ㄷ, ㄹ, ㅁ
     5. ㄱ, ㄷ, ㄹ, ㅁ, ㅂ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0. 가족상담 이론가와 주요 개념 혹은 기법의 연결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사티어(Satir) - 증상처방, 자아존중감
     2. 보웬(Bowen) - 핵가족 정서체계, 사회적 정서과정
     3. 미누친(Minuchin) - 경계선, 정서적 단절
     4. 베이트슨(Bateson) - 독특한 결과, 대처질문
     5. 헤일리(Haley) - 체계적 둔감화, 역설적 지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1. 철수가 보이는 시험불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시험불안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설명이다.
     2. 시험에 대한 느낌 혹은 신체적 증상에 대한 설명이다.
     3. 특성불안에 해당하는 시험불안을 경험하고 있다.
     4. 시험불안의 인지적 측면에 관한 설명이다.
     5. 기질적이고 성격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설명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2. 학습동기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중에서 개인지향적 원인과 관련 없는 것은?(2014년 03월)
     1. 귀인이론
     2. 자기결정성
     3. 학습효능감
     4. 정적강화
     5. 인지적평형화 경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주의집중 능력은 크게 주의력과 집중력으로 세분화하는데, 주의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인간이 감각기관을 통하여 받아들이는 수많은 정보 중에서 특정정보만을 선택하여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다.
     2. 정보처리의 관점에서 주의력은 작업기억과 장기기억 사이에서 가장 크게 요구된다.
     3. 주의력은 생물학적 반응 경향성으로 인해 정보가 강하거나 새로운 경우 쉽게 발휘된다.
     4. 주의력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되는 특성이 있다.
     5. 연령과 상관없이 노출된 환경이 지나치게 비구조화되어 있어 주의력 문제를 나타내는 경우도 많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4. 두뇌발달과 학업능력 증진에 좋은 음식과 그 이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달걀노른자에 함유된 레시틴(lecithin)은 기억력 증진에 좋다.
     2. 검은 콩은 다량의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어 피로회복과 해독작용을 한다.
     3. 김치는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풍부해 뇌의 기억력 및 학습능력을 높여준다.
     4. 견과류와 씨앗류는 면역 글로불린(immunoglobulin), 라이소자임(lysozyme), 락토페린(lactoferrin) 등의 성분을 함유하여 면역력을 강화해 준다.
     5. 들깨가루는 요오드(iodine)와 칼륨(kalium)이 다량 포함되어 두뇌발달에 좋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6.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제시한 학자는?(2016년 03월)

    

     1. 콜먼(J. Coleman)
     2. 하이더(F. Heider)
     3. 데시(E. Deci)와 라이언(R. Ryan)
     4. 로크(E. Locke)와 라뎀(G. Lathem)
     5. 마이켄바움(D. Meichenbaum)과 굿맨(K. Goodma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로젠샤인(B. Rosenshine)과 스티븐스(R. Stevens)의 교사 피드백 유형과 관련하여, 다음에 제시된 피드백의 형태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수행
     2. 동기
     3. 귀인
     4. 보상
     5. 전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와이너(Weiner)가 제안한 다음의 귀인 속성 중 통제 불가능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ㄹ
     3. ㄴ, ㄷ, ㅁ
     4. ㄱ,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9. 지적장애(정신지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지적기능이 매우 낮아서 기본적으로 학습이 불가능하다.
     2. 지적장애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인지적 능력은 낮지만 사회성 기술은 차이가 없다.
     3.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사회성 교육을 적절하게 받을 경우 독립적 생활이 가능하다.
     4. 중년기에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5. 지능검사에서 IQ 85이하 일 때, 지적장애로 판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학습과 관련된 뇌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주로 우반구는 시공간과 관련된 지각능력, 운동능력 그리고 정서 기능 등을 담당한다.
     2. 전두엽에는 주의, 계획, 사고 기능과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베르니케 영역이 있다.
     3. 측두엽은 언어 이해를 담당하며, 손상되면 글을 읽거나 말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경험한다.
     4. 두정엽은 감각정보의 통합 및 판단을 담당하며, 다양한 형태의 감각정보를 통해 사물을 인식하게 한다.
     5. 후두엽은 시각정보를 분석하고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베르니케 영역은 측두엽에 있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101. 지적장애(정신지체) 아동의 인지적 특성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2. 시험불안 원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는 이론적 접근은?(2015년 03월)

    

     1. 욕구이론 접근
     2. 인지적 간섭 모델 접근
     3. 행동주의적 접근
     4. 인지적 결핍 모델 접근
     5. 정서적 모델 접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3. 학습부진학생의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병존하는 문제와 상관없이 학습문제만을 목표로 한다.
     2. 상담장면에서 학습과정을 재연할 수 있다.
     3. 성공경험을 통해 효능감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4. 학습방법에 대한 진단 검사 등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심리검사를 활용한다.
     5. 부모와 자녀가 서로에 대한 기대를 구체화하고 합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4. 학습동기가 매우 낮거나 없는 상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주변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겁이 없다.
     2. 실패에 대한 귀인을 노력 때문이라고 본다.
     3. 사회적 보상에 예민하고 인내력이 낮다.
     4. 욕구위계에서 상위 욕구를 먼저 충족시키고자 한다.
     5.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강화 혹은 처벌에 무감각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5. 학습 무동기 내담자와의 상담관계에서 상담목표설정에 관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6. 다음 활동은 어떤 학습전략을 습득하기 위한 것인가?(2015년 03월)

    

     1. 시연전략
     2. 정교화 전략
     3. 노력관리 전략
     4. 협동학습 전략
     5. 공부환경관리 전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7. 학습부진의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8. 학습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필요할 경우 약물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2. 지적장애(정신지체)로 인한 학습결손도 포함된다.
     3. 과제가 같으면 학습장애 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도 같다.
     4. 학습장애의 한 특성인 학습전략 결함은 성인이 되면 대부분 해결된다.
     5. 커크(Kirk)와 챌팡트(Chalfant)는 읽기장애, 글씨쓰기장애, 철자 및 학문장애, 수학장애 등을 발달적 학습장애로 보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9. 논리적으로 조직된 형태가 아닌 자료를 암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0. 학업 지연행동(procrastination)의 극복 전략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1. 질문생성 학습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교과내용의 중요한 부분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2. 자신의 이해능력에 대한 초인지를 강화시킨다.
     3. 학습자 자신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4. 선행 지식을 활성화시킨다.
     5. 학습자보다 교수자가 제시한 질문 유형이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2. 머서(Mercer), 머서(Mercer) 및 풀렌(Pullen)의 학습부진 평가 유형 중 선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 실시
     2. 특정 교과 영역에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는 학생을 가려내기 위해 사용
     3. 학생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실시
     4. 단 시간 안에 여러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
     5. 해당 학년 동안 여러 번 실시하거나 새로운 학생이 전학해올 때 실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3. 학습장애 진단에 사용하는 검사를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4. 학업상담에 온 내담자 어머니의 호소를 듣고 상담자가 가장 먼저 취할 수 있는 접근방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현재 성취 수준에 대한 수용 촉진
     2. 선수학습의 개선
     3. 성공경험 확대하기
     4. 학습전략 습관화하기
     5. 지능검사를 통한 자신감 회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5. 학업상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시험에서는 4, 5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4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5년 03월)
     1. 한국교육개발원 기초학습기능검사: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6학년에 이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능력 정도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2. 기초학습수행평가체제(BASA): 학습부진아동이나 특수교육 대상자의 읽기, 쓰기, 수학 영역에서의 수행수준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검사이다.
     3. K-WISC-Ⅳ: K-WISC-Ⅲ와 비교할 때 차례 맞추기, 모양 맞추기, 미로 등 3개 소검사가 빠지고 새로운 소검사 5개가 추가되었다.
     4. 국립특수교육원 기초학력검사: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여 보정교육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검사이다.
     5. BGT(Bender-Gestalt Test): 투사검사로 8개의 도형을 모사하도록 함으로써 무의식의 정서적, 심리적 측면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6. 발표불안의 원인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7. 학습부진 학생들에게 필요한 목표설정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8. ADH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복합형, 주의력결핍 우세형, 과잉행동-충동 우세형의 세 하위유형으로 구분된다.
     2. 일반아동과 ADHD 아동의 가족에 대한 연구에서 유전적 소인에 관한 근거를 찾지 못했다.
     3. 과잉행동은 별로 나타나지 않지만, 부주의 문제를 주로 보일 때는 주의력결핍 우세형으로 진단된다.
     4. 부주의 행동 특성 9개와 과잉행동 및 충동성 특성 9개로 구성된 총 18개의 행동 증상을 통해 진단한다.
     5.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이 뇌의 특정부위에서 적게 나타나는 것이 ADHD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9. 데시(E. Deci)와 라이언(R. Ryan)의 자기결정성 이론 중 다음의 내담자 호소에 따른 동기 유형은?(2016년 03월)

    

     1. 내적 조절(internal regulation)
     2. 외적 조절(external regulation)
     3. 동일시된 조절(identified regulation)
     4. 통합된 조절(integrated regulation)
     5. 투입된 조절(introjected regula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0. 뇌의 기능분화 이론에 근거하면, 우뇌의 기능으로 적합한 것은?(2014년 03월)
     1. 언어를 구조화 하기
     2. 점 위치 찾기
     3. 계산하기
     4. 낱말을 차례대로 외우기
     5. 낱말의 의미 파악하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485596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진로상담


1. 중학생 진로상담의 목표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개인 특성 탐색을 통한 자기이해 증진
     2. 일과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3.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가치관 형성
     4. 전문 직업능력 배양
     5. 진로의사결정 능력 향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다위스(Dawis)와 로프퀴스트(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ㄹ
     2. ㄱ, ㄷ, ㅁ
     3. ㄱ, ㄹ, ㅁ
     4. ㄴ, ㄷ, ㄹ
     5.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홀랜드(Holland)가 개발한 검사만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ㄹ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인간중심 진로상담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진로발달을 위한 내담자의 내적 성장을 촉진한다.
     2. 상담자의 태도를 기법보다 더 중요하게 여긴다.
     3. 개인의 성격, 행동특성 등을 객관적인 심리검사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을 강조한다.
     4. 심리적 진단을 보조적 방법으로 사용한다.
     5. 상담자는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인 존중과 수용, 진실성과 같은 기본적인 태도를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다음에서 진로 동기를 촉진하기 위해 활용되는 인지행동 접근의 '사고 오류'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3월)

   

     1. 점쟁이 예언
     2. 독심술
     3. 낙인찍기
     4. 강박적 부담
     5. 정신적 여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개인의 욕구와 능력을 환경의 요구와 연관지어 평가하고 개인-환경간의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진로상담이론은?(2015년 03월)
     1. 직업적응이론
     2. 생애진로발달이론
     3. 제한-타협이론
     4. 사회학습이론
     5. 진로의사결정이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다음에 제시된 민수의 진로상담에 적절하지 않은 상담기법은?(2015년 03월)

   

     1. 멘토와의 대화를 통한 진로정보 수집
     2. 흥미와 적성에 대한 평가
     3. 동영상을 활용한 면접 연습
     4. 가계도를 통한 삼각관계 분석
     5. 역할연습을 통한 대인관계 기술 훈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진로사고검사(CTI)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성차별, 자신감 부족과 같은 진로선택과 진로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측정한다.
     2.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진로탐색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확신성의 정도를 측정한다.
     3. 사회인지 진로이론에 근거하여 진로선택을 방해하는 생각, 비합리적 신념을 명료화하여 측정한다.
     4. 하위요인에는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이 포함된다.
     5. 하위요인에는 수행불안, 외적 갈등, 의사결정혼란이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사회학습진로상담이론에 따른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학력이 진로장벽이 될 수 있으므로 수지의 내적 요구를 탐색하고 진학 여부를 검토한다.
     2. 수지의 진로목표 설정 과정에서 나타난 환경적 조건인 부모의 영향을 탐색한다.
     3.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재능 때문에 공무원이라는 목표를 설정했다고 가설을 세운다.
     4. 수지의 수행 수준과 수행 지속성을 결과기대로 설명한다.
     5. 수지의 진로목표 설정 과정에 대해 흥미, 능력, 가치의 순서로 탐색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진로상담가와 이론을 바르게 연결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샘슨(J. Sampson), 피터슨(G. Peterson), 렌즈(J. Lenz), 리어든(R. Reardon)의 인지정보처리모델에서 진로의사결정과정의 주기를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2016년 03월)
     1. 분석-평가-의사소통-종합-실행
     2. 분석-의사소통-종합-실행-평가
     3. 평가-분석-의사소통-종합-실행
     4. 의사소통-분석-평가-종합-실행
     5. 의사소통-분석-종합-평가-실행

     정답 : []
     정답률 : 10%

12.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알고 싶은 남자 중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적합한 것은?(2015년 03월)
     1. 양성평등 교육
     2. 부모기대관리 훈련
     3. 지능검사
     4. 직업전환 실습
     5. 직업카드 분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직업 대안들을 배제하는 방식의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제안한 학자는?(2016년 03월)
     1. 브룸(V. Vroom), 미첼(T. Mitchell)
     2. 미첼(T. Mitchell), 하렌(V. Harren)
     3. 티버스키(A. Tversky), 브룸(V. Vroom)
     4. 하렌(V. Harren), 갓프레드슨(L. Gottfredson)
     5. 갓프레드슨(L. Gottfredson), 티버스키(A. Tversky)

     정답 : []
     정답률 : 10%

14. 사회인지진로이론에서 제안한 진로상담 전략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자기효능감 촉진하기
     2. 제외시킨 진로대안 확인하기
     3.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 확인하기
     4. 결과에 대한 비현실적 기대 확인하기
     5. 개인-환경 부조화에 대한 적응양식 평가하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진로상담이론(모델)-주요 학자-개념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진로선택이론 - 홀랜드(Holland) - 계측성
     2. 사회인지진로이론 - 크럼볼츠(Krumboltz) - 계획된 우연
     3. 가치중심진로모델 - 브라운(Brown) - 가치지향성
     4. 진로의사결정유형이론 - 하렌(Harren) - 직관적 의사결정유형
     5. 인지정보처리모델 - 피터슨(Peterson) 외 - 정보처리기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채프먼(Chapman)의 진학의사결정 모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03월)

    

     1. ㄱ - ㄴ - ㄷ - ㄹ - ㅁ
     2. ㄱ - ㄷ - ㄴ - ㄹ - ㅁ
     3. ㄴ - ㄱ - ㄷ - ㅁ - ㄹ
     4. ㄴ - ㄷ - ㄱ - ㅁ - ㄹ
     5. ㄴ - ㄷ - ㅁ - ㄱ -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로우(A. Roe)의 욕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진로상담이론(모델)과 관련 검사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진로발달이론 - 진로성숙도검사
     2. 인지정보처리모델 - 진로사고검사
     3. 직업적응이론 - 직업가치관검사
     4. 사회학습진로이론 - 진로신념검사
     5. 특성요인이론 - 진로결정검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적성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관찰법으로는 적성을 파악할 수 없다.
     2. 워크넷의 청소년적성검사는 중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다.
     3. 적성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표준화된 적성검사를 사용할 수 있다.
     4. 운동조절 적성, 손운동속도 적성과 같은 하위 요인이 일반적성에 해당한다.
     5. 적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성검사와 특수적성검사를 활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10%

20. C-DAC(Career Development Assessment and Counseling)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내담자가 생애역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도울 수 있다.
     2. 이 모형은 겔라트(Gellat) 이론에서 도출되었다.
     3. 내담자가 일상생활의 다양한 역할을 조화롭게 수행하도록 도울 수 있다.
     4. 내담자의 주요한 진로문제, 진로발달과업, 진로의사결정 준비도 등을 평가할 수 있다.
     5. 진로상담을 통해 얻어진 검사 결과의 사용방법에 관심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청소년 진로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2. ㄱ, ㄴ
     3. ㄱ, ㄷ,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수퍼(Super)의 생애기간과 생애공간 이론(life-span theory, life-space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 ㄱ : 아치웨이 상층부 중심에는 '자기'가 있다. '자기' 양 옆에 '자기개념'이 있다.
- ㄹ : 슈퍼는 생애 발달은 5단계로 구분하였다.(성장, 탐색, 확립, 유지, 쇠퇴)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23. 하렌(V. Harren)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라 내담자를 옳게 분류한 것은?(2016년 03월)

    

     1. 의존형
     2. 즉흥형
     3. 합리형
     4. 회피형
     5. 불안형

     정답 : []
     정답률 : 10%

24. 긴즈버그(Ginzberg)의 이론에서 직업목표를 정하고, 자신의 결정에 관한 내적ㆍ외적 요소를 종합할 수 있으며, 타협이 중요한 요인이 되는 단계는?(2015년 03월)
     1. 능력(capacity) 단계
     2. 탐색(exploration) 단계
     3. 결정화(crystallization) 단계
     4. 가치(value) 단계
     5. 전환(transition) 단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수퍼(Super)의 이론에서 정착(stabilizing), 공고화(consolidating), 발전(advancing)의 발달과업이 수행되는 발달단계는?(2015년 03월)
     1. 탐색기
     2. 확립기
     3. 성장기
     4. 유지기
     5. 쇠퇴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갓프레드슨(L. Gottfredson)이론의 진로선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개인의 흥미, 능력, 가치관과 현실세계의 타협과정이다.
     2. 진로선택은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난 학습경험으로 이루어진다.
     3. 진로선택 과정은 축소와 조정을 통해 진로포부가 변화하는 과정이다.
     4. 성격유형과 성역할의 기준으로 직업인지지도를 구성하였다.
     5. 선택모형은 목표선택, 활동선택, 미래직업선택으로 설명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수퍼(Super)의 이론에서 진로성숙(career maturity)의 하위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선호하는 직업의 분야와 수준의 일관성
     2. 선호하는 직업에 대한 정보와 진로계획의 구체화
     3. 진로선택과 직업정보 관련 사항을 다루는 태도
     4. 흥미, 가치 등 개인 특성의 세분화
     5. 직업선택 시 능력, 활동, 흥미와 선호 직업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현실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파슨스(Parsons)의 특성ㆍ요인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요구가 일치할수록 직업적 성공 가능성이 크다.
     2. 사람들은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3. 특성은 특정 직무의 수행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4. 직업선택은 직접적인 인지과정이기 때문에 개인은 자신의 특성과 직업이 요구하는 특성을 연결할 수 있다.
     5. 직업은 개인에게 성공적인 적응에 필요한 매우 구체적인 특성을 갖출 것을 요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윌리암슨(E. Williamson)이 제안한 상담과정의 6단계 중 1, 2, 3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을 고르고, 순서대로 연결한 것은?(2016년 03월)

    

     1. ㄱ-ㄴ-ㄷ
     2. ㄱ-ㄴ-ㄹ
     3. ㄴ-ㄱ-ㄷ
     4. ㄴ-ㄷ-ㄹ
     5. ㄷ-ㄱ-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A 정보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철호의 직업선호도검사 결과 해석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일관성(consistency)이 높다.
     2. 일치성(congruence)이 높다.
     3. 변별성(differentiation)이 높다.
     4. 직업으로 보험설계사를 추천한다.
     5. 교우관계가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집단상담


31. 다른 집단원들도 자신과 비슷한 환경이나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음으로써 불필요한 방어를 줄이고 상담작업을 촉진하게 하는 치료적 요인은?(2014년 03월)
     1. 보편성
     2. 응집력
     3. 실존적 요인
     4. 희망의 주입
     5. 동일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컨버그(Kernberg)와 코헛(Kohut)이 경계선 성격장애나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의 기틀을 마련한 이론적 접근은?(2015년 03월)
     1. 대상관계
     2. 교류분석
     3. 행동주의
     4. 인본주의
     5. 실존주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2인의 공동상담자가 진행하는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한 상담자가 개입활동에 주력할 때, 다른 상담자는 집단원 관찰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2. 공동상담자의 인간적 성향과 이론적 배경이 상반될수록 집단에 도움이 된다.
     3. 남성 상담자와 여성 상담자일 때 그 역할이 보완적이어서 집단에 도움이 된다.
     4. 정신역동적 집단에서 한 상담자의 역전이 반응을 다른 상담자가 점검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
     5. 상담회기 전후에 공동상담자 간 토의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한 내담자가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동시에 참여하게 되는 상담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 병행 상담 : 한 명의 상담자에게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모두 받는 것
- 연합 상담 : 각각 다른 상담자에게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따로 받는 것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35. 집단상담자의 초기단계 과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집단구조화가 필요할 경우 집단원에게 집단목표와 진행절차를 설명한다.
     2. 집단원이 개인적 목표를 설정하도록 협력하여 돕는다.
     3. 집단 참여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수용하고 공감한다.
     4. 집단원과 갈등하는 사람의 특성에 대해 집단원이 자세히 이야기하도록 한다.
     5. 집단상담자는 집단규범을 명시적 혹은 암시적으로 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36. 집단상담의 종결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0%

37.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적 집단상담에서 집단원이 사용하는 자기 보호성향(safeguarding tendency) 기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사회적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작동한다.
     2. 변명은 집단원의 보호성향 중 하나이다.
     3. 철회는 집단원의 보호성향 중 하나이다.
     4. 공격성은 집단원의 보호성향 중 하나이다.
     5.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 작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해설] 아들러의 자기보호성향은 외부적요구에 대한 보호로서 의식과 무의식을 구별하지 않고 두 수준에서 작용할수 있다.
             프로이드가 무의식적 수준 작동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38. 정신분석적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로저스(C. Rogers)의 인간중심 집단에서 치료적 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잠재력에 대한 신뢰
     2. 수용적 분위기 형성
     3. 주관적 경험세계에 대한 민감성
     4. 자신의 감정이나 태도에 대한 진솔함
     5. 자기비밀에 대한 무조건적 개방

     정답 : []
     정답률 : 46%

40. 자신과 타인에게 모두 알려진 부분을 넓혀 인간관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남이 모르는 나'를 탐구하게 하는 활동은 무엇에 근거한 것인가?(2015년 03월)
     1. 영(Young)의 관계효율
     2. 프리맥(Premack)의 원리
     3. 조하리(Johari)의 창
     4. 펄스(Perls)의 실존교류
     5. 모레노(Moreno)의 공감확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1. 응집력이 높은 집단에서 관찰되는 집단원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다른 집단원들에게 영향을 주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한다.
     2. 더 많은 자기 개방을 한다.
     3. 집단 규범을 잘 지키고, 집단 규범 일탈자에게 압력을 가한다.
     4. 부정적 감정은 거의 표현하지 않는다.
     5. 한 명의 집단원이 중도 탈락했을 때, 집단의 붕괴에 대하여 덜 민감하게 반응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청소년 집단상담에서 집단원의 행동을 제한해야 할 때가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갈등이나 의견의 불일치를 공공연하게 표현할 때
     2. 지나치게 질문만 계속할 때
     3. 제 삼자를 험담할 때
     4. 집단 외부의 이야기를 길게 늘어놓을 때
     5. 다른 집단원의 사적인 비밀을 캐내려고 할 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집단원이 집단상담 중 경험한 아래 현상이 의미하는 개념은?(2014년 03월)

    

     1. 정화
     2. 치료요인으로서 실존적 요인
     3. 교정적 정서 체험
     4. 탈감각화
     5. 집단에서 사회적 강화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성장집단에서 집단규범 형성을 위한 상담자 역할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젠킨스(Jenkins)의 집단에 대한 평가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ㄱ, ㄴ, ㄹ, ㅁ
     4. ㄱ, ㄷ,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초보 집단상담자가 실시하기에 상대적으로 용이한 집단상담의 형태는?(2014년 03월)
     1. 구조적, 폐쇄적, 동질적 집단상담
     2. 구조적, 개방적, 이질적 집단상담
     3. 개방적, 분산적, 이질적 집단상담
     4. 비구조적, 개방적, 이질적 집단상담
     5. 비구조적, 폐쇄적, 분산적 집단상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집단상담자의 기술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40%

4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법은?(2016년 03월)

    

     1. 해석하기
     2. 연결하기
     3. 반영하기
     4. 명료화하기
     5. 재구조화하기

     정답 : []
     정답률 : 40%

49. 집단상담자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비구조적 집단상담에서는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없다.
     2. 집단원의 저항이 있을 경우 저항이 집단에 도움이 되도록 활용할 수 있다.
     3. 집단의 규범은 집단원에 의해서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담자가 관여하지 않아야 한다.
     4. 공동상담자와 함께 진행할 때는 서로 합의하여 매회기 상담자를 정하여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5. 독점하는 집단원이 있을 경우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그의 능력을 적극 장려하고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집단지도자가 집단의 목적, 규정, 한계 등에 관하여 언급하는 것으로 집단의 틀(frame)을 잡아주는 기법은?(2015년 03월)
     1. 조형화
     2. 보편화
     3. 구조화
     4. 반영화
     5. 명료화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1. 집단의 치료적 요인과 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대인관계 입력: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지각되는 지에 대해 알게 되는 것
     2. 정보공유: 삶에 대한 유익한 정보 습득
     3. 정화: 억압된 감정 표현
     4. 실존적 요인: 삶의 안정성에 대한 인식
     5. 일차 가족집단의 교정적 재현: 초기 아동기와 유사한 역동체험을 통한 학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집단의 전환(과도) 단계에서 집단지도자의 역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저항을 감지하고 다루기
     2. 집단 규범형성 증진하기
     3. 집단원의 불안, 방어, 갈등 등을 다루기
     4. 갈등약화를 위해서 해석, 직면 피하기
     5. 집단원의 이해와 책임감 촉진하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집단원의 권리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집단에 참여할 권리
     2. 집단을 이탈할 권리
     3. 솔직하게 개방할 권리
     4. 개인정보를 보호받을 권리
     5. 집단에 관한 정보를 안내 받을 권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집단상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청소년들은 모호한 집단상황에 부담을 느끼므로 회기 내용을 구체화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다.
     2. 청소년은 또래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집단원의 피드백을 적극 활용한다.
     3. 개방적 집단의 경우 응집성 형성과 발달에 유익하다.
     4. 일반적으로 구조적 집단상담은 역동적인 활동을 많이 하므로 활동적인 청소년에게 좋다.
     5. 진로와 학습을 주제로 하는 집단상담에서는 교육이나 지도 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40%

55. 집단상담을 평가하는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0%

56. 아동, 청소년 집단상담의 유의 사항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윤리적 원칙과 법규를 고려하여야 한다.
     2. 종결을 사전에 고지하고 준비시켜야 한다.
     3. 약물남용의 경우는 비밀보장의 원칙을 철회하고 보호자에게 알려야 한다.
     4. 18세 이하의 경우 부모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 법적인 규제임을 명심하여야 한다.
     5. 집단원으로 하여금 참여 동기와 기대, 집단 규칙 등에 대해 언어로 표현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청소년 집단상담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0%

58. 집단상담의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종결단계에서 평가를 계획하여 실시한다.
     2. 평가대상에 따라 집단원 평가, 집단상담자 평가, 집단상담 프로그램 평가, 집단상담 기관 평가 등이 있다.
     3.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일차적 목적은 목표관리를 위한 것이다.
     5. 평가결과는 집단상담의 계획, 유지, 보완, 수정, 폐기 여부에 반영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집단상담자의 지도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집단원의 자율성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집단을 운영한다.
     2. 달성해야 할 과업이 많을 때 일반적으로 집단상담자의 주도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3. 집단의 크기가 클 때 일반적으로 집단상담자의 주도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4. 집단상담 기간이 짧을 때 일반적으로 집단상담자의 주도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5. 집단상담자의 운영 방식에 대한 집단원의 불만은 집단과정 중에 다루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6%

60. 청소년 집단상담에서 지도자 역할을 하려는 집단원의 이해와 이에 대한 상담자 개입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지도자처럼 질문, 정보탐색, 조언함으로써 자신이 집단에서 취약해지는 것을 방어하려는 반응이 될 수 있다.
     2. 그런 역할을 하려는 집단원은 집단에 참여한 자신의 일차적 문제를 다룰 기회를 상실할 수 있다.
     3. 지도자를 돕는 역할이 될 수 있음으로 잘 수용해서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좋다.
     4. 그런 행동은 다른 집단원이 싫어하는 경향이 있고 집단의 진전을 방해할 수 있다.
     5. 그런 행동을 하는 동기를 살펴볼 질문을 하면서 집단에서 자신의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지 결정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가족상담


61. 미누친(Minuchin)의 구조적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주요 개념은 가족구조와 다세대 전수과정이다.
     2. 인과관계의 선형성(linear causality)을 가정한다.
     3. 주요 기법은 합류(joining)와 실연(enactment)이다.
     4. 개별 가족구성원의 행동변화가 주요 상담목표이다.
     5. 문제나 증상에 대해 결정론적 시각을 기초로 발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수민이는 중학교 1학년이다. 어머니는 3년 전 가출하였고 그 이후 전혀 연락이 없으며, 아버지는 잦은 음주로 집안일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 수민이는 어머니 가출 이후부터 집안일뿐 아니라 세 살 아래 남동생과 아버지까지 돌보고 있다. 이 현상을 나타내는 개념은?(2014년 03월)
     1. 충성심(loyalty)
     2. 회전판(revolving slate)
     3. 부모화(parentification)
     4. 동맹(alliance)
     5. 가족유산(family legac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가족규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건강한 규칙에서는 개인보다 가족이 우선시된다.
     2. 가족규칙은 의사소통 방식 등과 연관된다.
     3. 가족의 정체성 구분은 가족을 지배하는 규칙에 근거한다.
     4. 나쁜 규칙은 가족체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방해가 된다.
     5. 인간 외적 요소나 조건이 중심이 되는 규칙은 좋은 규칙이라 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4. 자살을 시도하려는 홍길동에게, 상담자가 “길동아, 자살하고 싶지 않은 행복한 마음이 가장 강할 때를 10점이라고 하면 현재 몇 점 정도니?”라고 질문했을 때, 이 질문과 관련한 가족상담 모델과 관련이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다음 가족상담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가족신화(family myth)
     2. 가족규칙(family rule)
     3. 가족투사과정(family projection process)
     4. 가족전체성(family wholeness)
     5. 가족응집성(family cohes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가족상담 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다음의 가족상담 윤리를 나타내는 개념은?(2016년 03월)

    

     1. 다양성 존중
     2. 고지된 동의
     3. 이중관계 금지
     4. 자기결정권 존중
     5. 치료 종결이나 의뢰에 대한 책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가족체계론적 시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부적(negative) 피드백은 가족체계가 안정지향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2. 가족원간의 디지털 의사소통 양식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의미한다.
     3. 가족체계에서는 정적(positive) 피드백이 부적 피드백보다 더 바람직하다.
     4. 가족체계는 하위체계들로 구성되고, 사회체계는 가족의 상위체계이다.
     5. 가족구성원 개인의 특성보다 가족 상호작용 패턴에 초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초기 가족상담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ㄷ
     2. ㄴ, ㅁ
     3. ㄱ, ㄷ, ㄹ
     4. ㄷ, ㄹ, ㅁ
     5. ㄱ,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사회구성주의 시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1. 밀란(Milan)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0%

72. 카터(Carter)와 맥골드릭(McGoldrick)이 제시한 가족체계에서의 스트레스원(stress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가풍은 수직적 스트레스원이다.
     2. 가족원의 만성적 질병은 수평적 스트레스원이다.
     3. 자녀 출산은 수평적 스트레스원이다.
     4. 가족원의 실직은 수직적 스트레스원이다.
     5. 가족유산은 수직적 스트레스원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초기 가족상담의 발전에 영향을 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ㄱ, ㄴ, ㄷ
     3. ㄴ, ㄷ, ㅁ
     4. ㄷ, ㄹ, ㅁ
     5. ㄱ,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부부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가족상담 중기단계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상담자 역할은?(2015년 03월)
     1.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 절차 실시
     2. 가족구성원들의 저항 극복
     3. 가족체계 내의 특정 변화 강조하기
     4. 필요한 변화에 대한 평가
     5. 장기목표에 대한 토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보웬(Bowen)의 가족상담에서 내담자의 감정을 가라앉히고 정서적 반응에 의해 유발된 불안을 낮추며 사고를 촉진하는 기법으로, 가족들이 맺는 관계유형 방식을 살펴보는 것은?(2015년 03월)
     1. 탈삼각화
     2. 다른 이야기로 대치하기
     3. 자기입장(I-position) 지키기
     4. 관계실험
     5. 과정질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보웬(Bowen)의 자기분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8. 가족상담 모델과 상담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구조적 가족상담: 역기능적 상호작용을 그대로 드러내도록 실연기법을 쓰는데, 폭력 가정의 경우에도 적용한다.
     2. 전략적 가족상담: 경직된 가족규칙과 신화를 반격하거나 과장하는 의식(rituals) 행위를 사용한다.
     3. 맥락적 가족상담: 가족 간의 불공평에 주목하여 충성심을 가시화시킨다.
     4. 보웬(Bowen) 가족상담: 타인에게 수용되지 않아도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5. 밀란(Milan) 가족상담: 가족이 자신을 점검하고 숨겨진 힘겨루기를 드러내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9. 다음의 상황과 관련되는 가족상담자의 윤리는?(2014년 03월)

    

     1. 비밀보장
     2. 다양성 존중
     3. 고지된 동의
     4. 이중관계 금지
     5. 자기결정권 존중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전략적 가족상담의 상담자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0%

81. 각 가족상담 모델에서 제시하는 상담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인지행동 모델 : 부부나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하고 훈련시킨다.
     2. 맥락적 모델 : 가족구조를 나타내는 가족의 상호교류와 그 패턴에 개입한다.
     3. 경험적 모델 : 자신을 개방적이고 솔직하며 자발적인 정서표현의 모델로 활용한다.
     4. 사회구성주의 모델 : 내담자의 견해를 존중하고 '알지 못한다는 자세'로 호기심을 갖고 접근한다.
     5. 정신역동 모델 : 개인이나 가족원 간, 가족과 상담자 간에 심리 내적 역동이나 투사적 동일시를 중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2. 구조적 가족상담의 수퍼비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가족의 구조 변화를 위해 어떻게 효율적으로 접근했는지 본다.
     2. 가계도를 통하여 가족구성원 간 경계 등을 탐색하도록 한다.
     3. 가족구성원이 보여주는 사고와 행동에서 구조 패턴을 보도록 한다.
     4. 가족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행동을 관찰하게 할 필요는 없다.
     5. 가족의 잘못된 구조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 패턴을 탐색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3. 해결중심 가족상담의 목표설정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2015년 03월)
     1. 청소년 자녀와 갈등이 많은 부모가 자녀와 '덜 싸우기'를 목표로 설정한다.
     2. 나비효과처럼 작은 변화가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설정한다.
     3. 목표는 내담자가 성취하고자 하는 도착점이라는 것을 알린다.
     4. 기적질문을 통해 '백만장자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희망을 준다.
     5. 내담자보다는 상담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4. 다음에서 상담자가 시도하고 있는 개입 기법은?(2016년 03월)

    

     1. 대처질문
     2. 척도질문
     3. 예외질문
     4. 기적질문
     5. 상담 전 변화 질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박양(중2)은 가정폭력 피해 문제로 상담을 받게 되었다. 다음의 상담 상황에서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박 양과 문제를 분리시키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2. 박 양의 긍정적 정체성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3. 두 여학생을 외부증인으로 활용하였다.
     4. 박 양의 지배적 이야기를 해체시키고자 하였다.
     5. 박 양에게 대안적 이야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반영팀(reflecting team) 접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협력적 모델(collaborative model)과 관련이 깊다.
     2. 노르웨이의 정신과 의사인 안데르센(Andersen)이 발전시킨 것이다.
     3. 1차 사이버네틱스(simple cybernetics)를 토대로 하여 발전되었다.
     4. 상담자는 관찰자이며 내담자는 관찰대상이라는 고정된 관계를 변화시켰다.
     5. 상담팀(관찰자)이 상담실에서 상담을 받던 내담자 가족(참여자)에게 그들의 생각과 느낌을 전달하고, 또 이에 대한 참여자의 생각과 느낌을 관찰자에게 전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7.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가족상담에서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청소년의 또래집단 행동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
     2. 청소년기 자녀가 부모로부터 분화를 시도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3. 비행청소년의 가족상담에서는 또래의 특성 및 놀이문화, 학교생활, 지지체계 및 생태환경 등도 파악해야 한다.
     4. 청소년들의 진로문제는 다루지 않고 가족문제에 집중해야 한다.
     5. 청소년기 자녀와 부모의 갈등은 다루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8. 각 가족상담모델에서 제시하는 상담목표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다세대 모델 : 제시된 현재 증상을 제거하고 행동을 변화시킨다.
     2. 밀란 모델 : 성장을 추구하며 일치에 의한 개인의 통합력을 증진시킨다.
     3. 전략적 모델 : 현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가족과 함께 구축하고 실천한다.
     4. 해결중심 모델 : 잘못 학습된 행동을 제거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새롭게 학습한다.
     5. 정신역동 모델 : 과거의 무의식적 이미지에 대한 통찰을 통한 인성 변화와 가족원의 무의식적 구속으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 제시된 현재 증상을 제거하고 행동을 변화시킨다 - 전략적모델
2. 성장을 추구하며 일치에 의한 개인의 통합력을 증진시킨다 - 사티어모델
3. 현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가족과 함께 구축하고 실천한다 - 해결중심모델
4. 잘못 학습된 행동을 제거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새롭게 학습한다 - 행동주의모델
[해설작성자 : 청풍]

89. 가족체계를 사정, 평가하는 도구 중 질적 평가도구에 해당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ㅂ
     2. ㄴ, ㄹ, ㅂ
     3. ㄴ, ㄹ, ㅁ, ㅂ
     4. ㄱ, ㄴ, ㄷ, ㄹ, ㅁ
     5. ㄱ, ㄷ, ㄹ, ㅁ, ㅂ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0. 가족상담 이론가와 주요 개념 혹은 기법의 연결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사티어(Satir) - 증상처방, 자아존중감
     2. 보웬(Bowen) - 핵가족 정서체계, 사회적 정서과정
     3. 미누친(Minuchin) - 경계선, 정서적 단절
     4. 베이트슨(Bateson) - 독특한 결과, 대처질문
     5. 헤일리(Haley) - 체계적 둔감화, 역설적 지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1. 철수가 보이는 시험불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시험불안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설명이다.
     2. 시험에 대한 느낌 혹은 신체적 증상에 대한 설명이다.
     3. 특성불안에 해당하는 시험불안을 경험하고 있다.
     4. 시험불안의 인지적 측면에 관한 설명이다.
     5. 기질적이고 성격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설명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2. 학습동기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중에서 개인지향적 원인과 관련 없는 것은?(2014년 03월)
     1. 귀인이론
     2. 자기결정성
     3. 학습효능감
     4. 정적강화
     5. 인지적평형화 경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주의집중 능력은 크게 주의력과 집중력으로 세분화하는데, 주의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인간이 감각기관을 통하여 받아들이는 수많은 정보 중에서 특정정보만을 선택하여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다.
     2. 정보처리의 관점에서 주의력은 작업기억과 장기기억 사이에서 가장 크게 요구된다.
     3. 주의력은 생물학적 반응 경향성으로 인해 정보가 강하거나 새로운 경우 쉽게 발휘된다.
     4. 주의력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되는 특성이 있다.
     5. 연령과 상관없이 노출된 환경이 지나치게 비구조화되어 있어 주의력 문제를 나타내는 경우도 많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4. 두뇌발달과 학업능력 증진에 좋은 음식과 그 이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달걀노른자에 함유된 레시틴(lecithin)은 기억력 증진에 좋다.
     2. 검은 콩은 다량의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어 피로회복과 해독작용을 한다.
     3. 김치는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풍부해 뇌의 기억력 및 학습능력을 높여준다.
     4. 견과류와 씨앗류는 면역 글로불린(immunoglobulin), 라이소자임(lysozyme), 락토페린(lactoferrin) 등의 성분을 함유하여 면역력을 강화해 준다.
     5. 들깨가루는 요오드(iodine)와 칼륨(kalium)이 다량 포함되어 두뇌발달에 좋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6.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제시한 학자는?(2016년 03월)

    

     1. 콜먼(J. Coleman)
     2. 하이더(F. Heider)
     3. 데시(E. Deci)와 라이언(R. Ryan)
     4. 로크(E. Locke)와 라뎀(G. Lathem)
     5. 마이켄바움(D. Meichenbaum)과 굿맨(K. Goodma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로젠샤인(B. Rosenshine)과 스티븐스(R. Stevens)의 교사 피드백 유형과 관련하여, 다음에 제시된 피드백의 형태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수행
     2. 동기
     3. 귀인
     4. 보상
     5. 전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와이너(Weiner)가 제안한 다음의 귀인 속성 중 통제 불가능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ㄹ
     3. ㄴ, ㄷ, ㅁ
     4. ㄱ,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9. 지적장애(정신지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지적기능이 매우 낮아서 기본적으로 학습이 불가능하다.
     2. 지적장애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인지적 능력은 낮지만 사회성 기술은 차이가 없다.
     3.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사회성 교육을 적절하게 받을 경우 독립적 생활이 가능하다.
     4. 중년기에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5. 지능검사에서 IQ 85이하 일 때, 지적장애로 판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학습과 관련된 뇌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주로 우반구는 시공간과 관련된 지각능력, 운동능력 그리고 정서 기능 등을 담당한다.
     2. 전두엽에는 주의, 계획, 사고 기능과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베르니케 영역이 있다.
     3. 측두엽은 언어 이해를 담당하며, 손상되면 글을 읽거나 말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경험한다.
     4. 두정엽은 감각정보의 통합 및 판단을 담당하며, 다양한 형태의 감각정보를 통해 사물을 인식하게 한다.
     5. 후두엽은 시각정보를 분석하고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베르니케 영역은 측두엽에 있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101. 지적장애(정신지체) 아동의 인지적 특성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2. 시험불안 원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는 이론적 접근은?(2015년 03월)

    

     1. 욕구이론 접근
     2. 인지적 간섭 모델 접근
     3. 행동주의적 접근
     4. 인지적 결핍 모델 접근
     5. 정서적 모델 접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3. 학습부진학생의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병존하는 문제와 상관없이 학습문제만을 목표로 한다.
     2. 상담장면에서 학습과정을 재연할 수 있다.
     3. 성공경험을 통해 효능감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4. 학습방법에 대한 진단 검사 등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심리검사를 활용한다.
     5. 부모와 자녀가 서로에 대한 기대를 구체화하고 합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4. 학습동기가 매우 낮거나 없는 상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주변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겁이 없다.
     2. 실패에 대한 귀인을 노력 때문이라고 본다.
     3. 사회적 보상에 예민하고 인내력이 낮다.
     4. 욕구위계에서 상위 욕구를 먼저 충족시키고자 한다.
     5.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강화 혹은 처벌에 무감각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5. 학습 무동기 내담자와의 상담관계에서 상담목표설정에 관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6. 다음 활동은 어떤 학습전략을 습득하기 위한 것인가?(2015년 03월)

    

     1. 시연전략
     2. 정교화 전략
     3. 노력관리 전략
     4. 협동학습 전략
     5. 공부환경관리 전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7. 학습부진의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8. 학습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필요할 경우 약물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2. 지적장애(정신지체)로 인한 학습결손도 포함된다.
     3. 과제가 같으면 학습장애 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도 같다.
     4. 학습장애의 한 특성인 학습전략 결함은 성인이 되면 대부분 해결된다.
     5. 커크(Kirk)와 챌팡트(Chalfant)는 읽기장애, 글씨쓰기장애, 철자 및 학문장애, 수학장애 등을 발달적 학습장애로 보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9. 논리적으로 조직된 형태가 아닌 자료를 암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0. 학업 지연행동(procrastination)의 극복 전략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1. 질문생성 학습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교과내용의 중요한 부분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2. 자신의 이해능력에 대한 초인지를 강화시킨다.
     3. 학습자 자신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4. 선행 지식을 활성화시킨다.
     5. 학습자보다 교수자가 제시한 질문 유형이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2. 머서(Mercer), 머서(Mercer) 및 풀렌(Pullen)의 학습부진 평가 유형 중 선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 실시
     2. 특정 교과 영역에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는 학생을 가려내기 위해 사용
     3. 학생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실시
     4. 단 시간 안에 여러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
     5. 해당 학년 동안 여러 번 실시하거나 새로운 학생이 전학해올 때 실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3. 학습장애 진단에 사용하는 검사를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4. 학업상담에 온 내담자 어머니의 호소를 듣고 상담자가 가장 먼저 취할 수 있는 접근방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현재 성취 수준에 대한 수용 촉진
     2. 선수학습의 개선
     3. 성공경험 확대하기
     4. 학습전략 습관화하기
     5. 지능검사를 통한 자신감 회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5. 학업상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시험에서는 4, 5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4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5년 03월)
     1. 한국교육개발원 기초학습기능검사: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6학년에 이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능력 정도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2. 기초학습수행평가체제(BASA): 학습부진아동이나 특수교육 대상자의 읽기, 쓰기, 수학 영역에서의 수행수준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검사이다.
     3. K-WISC-Ⅳ: K-WISC-Ⅲ와 비교할 때 차례 맞추기, 모양 맞추기, 미로 등 3개 소검사가 빠지고 새로운 소검사 5개가 추가되었다.
     4. 국립특수교육원 기초학력검사: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여 보정교육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검사이다.
     5. BGT(Bender-Gestalt Test): 투사검사로 8개의 도형을 모사하도록 함으로써 무의식의 정서적, 심리적 측면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6. 발표불안의 원인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7. 학습부진 학생들에게 필요한 목표설정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8. ADH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복합형, 주의력결핍 우세형, 과잉행동-충동 우세형의 세 하위유형으로 구분된다.
     2. 일반아동과 ADHD 아동의 가족에 대한 연구에서 유전적 소인에 관한 근거를 찾지 못했다.
     3. 과잉행동은 별로 나타나지 않지만, 부주의 문제를 주로 보일 때는 주의력결핍 우세형으로 진단된다.
     4. 부주의 행동 특성 9개와 과잉행동 및 충동성 특성 9개로 구성된 총 18개의 행동 증상을 통해 진단한다.
     5.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이 뇌의 특정부위에서 적게 나타나는 것이 ADHD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9. 데시(E. Deci)와 라이언(R. Ryan)의 자기결정성 이론 중 다음의 내담자 호소에 따른 동기 유형은?(2016년 03월)

    

     1. 내적 조절(internal regulation)
     2. 외적 조절(external regulation)
     3. 동일시된 조절(identified regulation)
     4. 통합된 조절(integrated regulation)
     5. 투입된 조절(introjected regula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0. 뇌의 기능분화 이론에 근거하면, 우뇌의 기능으로 적합한 것은?(2014년 03월)
     1. 언어를 구조화 하기
     2. 점 위치 찾기
     3. 계산하기
     4. 낱말을 차례대로 외우기
     5. 낱말의 의미 파악하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485596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82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8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3081 PSAT 언어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80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79 경비지도사 2차(경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1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4855960)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77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06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76 PSAT 자료해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7
3075 9급 지방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2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74 시각디자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7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중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191048)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3072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71 9급 지방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70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69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5791951)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68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306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66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920815)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65 9급 지방직 공무원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64 9급 국가직 공무원 네트워크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306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214 Next
/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