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78978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무회계


1. 다음 제시된 거래 중 자산, 부채, 자본의 총액에 변동이 없는 것은?(2018년 09월)
     1. 건물을 취득하고 주식을 발행하였다.
     2. 외상으로 기계장치를 처분하였다. 단, 처분금액과 장부금액은 일치하였다.
     3. 배당금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4. 사채를 발행하여 생물자산을 취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번 보기 : 건물의 취득(자산의 증가), 주식의 발행(자본의 증가)
2번 보기 : 기계장치의 처분(자산의 감소), 미수금의 발생(자산의 증가)
3번 보기 : 배당 지급(자본-이익잉여금-의 감소), 현금의 출금(자산의 감소)
4번 보기 : 생물자산 취득(자산의 증가), 사채의 발행(부채의 증가)
따라서 2번 보기의 내용만 효과가 상쇄되어 자산, 부채, 자본의 총액이 변동이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 다음 분개 중에서 회계연도 말에 행하는 결산수정분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차변) 재고자산감모손실
(대변) 재고자산
     2. (차변) 선수수익
(대변) 임대수익
     3. (차변) 대손충당금
(대변) 매출채권
     4. (차변) 미수이자
(대변) 이자수익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3번 분개는 결산수정분개가 아니라, 기중에 매출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는 경우 대손이 확정되었을 때의 분개이다.
대손충당금 잔액이 남아있는 경우 대손 확정시 충당금 잔액을 먼저 제거하고 매출채권 금액과 상계한다.
대손충당금이 부족하면 대손상각비(미수금, 대여금에서 대손이 확정된 경우라면 기타의대손상각비)를 추가로 계상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 아래 자료를 참고해 직접법으로 현금흐름표를 작성할 경우 이자 수익으로 인한 현금유입액은 얼마인가? (단, 이자수익은 영업활동 으로 분류한다.)(2016년 05월)

   

     1. ₩5,640,000
     2. ₩5,720,000
     3. ₩5,840,000
     4. ₩5,92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07호에 따른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현금성자산은 투자나 다른 목적이 아닌 단기의 현금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유한다.
     2. 투자자산은 일반적으로 만기일이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경우에만 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한다.
     3. 모든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 포함한다.
     4. 현금및현금성자산을 구성하는 항목 간 이동은 현금관리의 일부이므로 이러한 항목간의 변동은 현금흐름에서 제외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이 변경된 경우에는 분류기준에 따라 금융자산을 재분류해야 한다. 다음 중 사업모형 변경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9월)
     1. 회사가 보유중인 특정 금융자산에 대하여 경영목적에 따라 그 보유의도가 변경된 경우
     2. 회사가 보유중인 금융자산이 특정한 시장에서 일시적으로 소멸된 경우
     3. 금융서비스회사가 소매부동산담보부대여업을 중단함에 따라, 신규 부동산담보대출을 중단하고, 기존 부동산담보대출 포트폴리오를 매도하기 위해 노력 중인 경우
     4. 기업 내부에 서로 다른 사업모형을 갖고 있는 부문 간 금융자산을 이전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45%

6. (주)상공은 2016년 1월 1일 내용연수 5년(정액법), 잔존가치 0의 건물을 ₩10,000에 취득하였다. 회사는 재평가모형을 적용하여 유형자산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하며, 각 보고기간 말 현재 건물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다. 회사는 감가상각누계액을 우선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재평가잉여금 중 실현된 부분을 이익잉여금 으로 대체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회사가 2017년 말에 재평가 이익 중 당기손익으로 인식할 금액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2,000
     2. ₩2,250
     3. ₩2,500
     4. ₩3,000

     정답 : []
     정답률 : 18%

7. 회사는 보유 중인 매출채권을 금융기관에 양도하였다. 다음 중 양도한 매출채권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는?(2018년 09월)
     1. 양도자가 양수자에게 발생가능성이 높은 대손의 보상을 보증하면서 단기 수취채권을 매도한 경우
     2. 양도자가 매도한 매출채권을 재매입시점의 공정가치로 재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3. 양도자가 매도한 매출채권에 대한 콜옵션을 보유하고 있지만, 당해 콜옵션이 깊은 외가격 상태이기 때문에 만기 이전에 당해 옵션이 내가격 상태가 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경우
     4. 매출채권의 소유와 관련된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보유하지도 아니하고 이전하지도 아니하였지만, 당해 매출채권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25%

8. 다음 무형자산의 내용연수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취득한 특허권의 법정 잔여연수가 20년인 경우 내용연수를 20년으로 한다.
     2. 취득한 특허권의 법적 내용연수는 20년이나, 특허권으로 인한 관련 제품의 순현금유입이 15년일 것이라는 객관적인 증거가 나타나는 경우 내용연수를 15년으로 한다.
     3. 기업이 통상적인 수준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계속 제공하고 관련 법적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방송라이선스가 매 10년마다 갱신이 가능하다면 방송라이선스의 내용연수는 10년으로 한다.
     4. 방송라이선스 발급기관이 매 10년 마다 갱신이 가능한 방송라이선스를 더 이상 갱신해주지 않고 지금으로부터 3년후 경매에 붙이기로 결정하였다면, 방송라이선스의 내용연수는 3년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내용연수 비한정 무형자산의 대한 이야기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자산이 순현금유입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에 대하여 예측가능한 제한이 없을 경우(연장가능한 내용연수), 무형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것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CPA 준비생]

9. 20X4년 7월 1일 회사는 건물과 관련된 화재보험을 가입하고 보험료 ₩1,200,000을 지급하였다. 동 화재보험의 보험기간은 가입일부터 1년간이다. 회사가 재무상태표 작성일인 20X4년 12월 31일에 위 보험료와 관련하여 수행해야 할 조정분개로 옳은 것은? ( 단, 회사는 보험 가입 당시 지급된 보험료 ₩1,200,000을 전액 비용 처리하였다.)(2019년 09월)
     1. (차) 보험료 600,000 (대) 선급보험료 600,000
     2. (차) 선급보험료 600,000 (대) 보험료 600,000
     3. (차) 가지급보험료 600,000 (대) 보험료 600,000
     4. (차) 보험료 600,000 (대) 가지급보험료 600,000

     정답 : []
     정답률 : 54%

10. K사는 20x1년 1월 1일, 3년 만기의 액면금액 ₩1,000,000, 표시이자율 8%의 전환사채를 ₩951,980에 발행하였다. 결산일은 매년 12월 31일이고, 현재의 시장이자율은 12%이다. 당해 사채의 전환권을 부여하지 않았더라면 전환사채 발행금액과 동일한 금액으로 발행하기 위해서는 연 10%의 이자를 지급하는 조건으로 발행해야만 했을 것이다. 발행시점의 전환권대가는 얼마인가?(2017년 05월)

    

     1. \38,036
     2. \48,036
     3. \58,036
     4. \68,036

     정답 : []
     정답률 : 29%

11. 다음 자료에 근거한 기말 재무상태표상에 기록되는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얼마인가?(2015년 10월)

    

     1. ₩9,000
     2. ₩9,900
     3. ₩10,000
     4. ₩11,000

     정답 : []
     정답률 : 64%

12. (주)대한은 본사 건물을 새로 건설할 목적으로 건물이 있는 토지를 현금 ₩40,000,000에 구입하였다. 토지와 건물의 구입당시 공정가치는 각각 ₩36,000,000과 ₩1,200,000이며, 건물은 취득과 동시에 철거 하였다. 건물의 철거비용은 ₩1,400,000이며 철거과정에서 발생한 폐자재의 처분으로 인한 수입금액은 ₩60,000이었다. 이 경우 (주)대한은 토지와 건물을 장부에 각각 얼마로 기록해야 하는가?(2017년 05월)
     1. 건물: 0원, 토지: 41,340,000원
     2. 건물: 0원, 토지: 41,400,000원
     3. 건물: 1,200,000원, 토지: 40,200,000원
     4. 건물: 4,000,000원, 토지: 37,400,000원

     정답 : []
     정답률 : 73%

13. 상공(주)는 20X1년 1월 1일 기계장치를 ₩21,000,000에 취득하여 잔존가치 없이 내용연수 7년에 걸쳐 정액법으로 감가상각 하고 있다. 기계장치 취득 후 매 회계연도 말에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평가하여 유형자산손상차손을 계상한다. 회수가능액의 변동이 다음과 같을 경우 20X2년 12월 31일 유형자산의 손상에 관한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단, 회수가능액의 하락은 손상의 사유에 해당한다.)(2020년 10월)

    

     1. 분개 없음
     2. (차) 유형자산손상차손 1,000,000 (대) 손상차손누계액 1,000,000
     3. (차) 유형자산손상차손 500,000 (대) 손상차손누계액 500,000
     4. (차) 손상차손누계액 500,000 (대) 손상차손환입 500,000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2xx1년 결산 시
(차)감가상각비 300만    (대)감가상각누계액 300만
이때 장부가가 1800만, 회수가능가가 1850만 이면 이때는 보수주의에 입각해서 아무 회계처리 하지 않습니다.
2. 2xx2년 결산 시
(차)감가상각비 300만    (대)감가상각누계액 300만
장부가가 1500만, 회수가능가가 1450만이므로 50만의 손상차손이 발생합니다.
[해설작성자 : 이미경]

14. 다음은 (주)상공의 20×1년도 수정전시산표와 결산수정사항 이다. (주)상공의 20×1년도 포괄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은 얼마인가? (다만, 토지는 20X0년도에 재평가 하였다.)(2017년 05월)

    

     1. ₩1,150
     2. ₩2,520
     3. ₩3,920
     4. ₩4,57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수정 전 당기순이익 : 25,720 + 2000 - 15,470 - 4,680 - 2,000 - 500 = 5,070
가. 대손상각비 1,000 추가
나. 감가상각비 600 추가 [4/1~12/31 : (4000-0) X 1/5 X 9/12 ]
다. 임대료수익 450 차감 [1/1~3/31 : 1800 X 3/12 ]
라. 보험료 900 차감 [1/1~9/30 : 1200 X 9/12 ]
[해설작성자 : 김군]

15. 다음 자료에 근거한 기말 재무상태표상에 기록되는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얼마인가?(2017년 09월)

    

     1. ₩9,000
     2. ₩9,900
     3. ₩10,000
     4. ₩11,00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수량×단가 로 결정된다.
수량은 실지재고수량이며 장부재고수량과의 차이는 감모손실이 된다.
단가는 취득원가와 순실현가치 중 작은금액으로 보며, 이 금액의 차이는 평가손실(저가법)이 된다.
따라서 90개 × 100원 = 9,000원이 기말재고자산가액이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6. 재무상태표 자본항목 중 차후에 포괄손익계산서에 영향을 주는 항목은?(2018년 05월)
     1. 주식발행초과금
     2. 자기주식처분손실
     3. 감자차익
     4.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평가이익은 차후 자산 매각시 재분류되는 기타포괄손익 항목이므로 재분류 될 때 손익계산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7. 다음 중 재무제표의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 후 사건으로써 일반적으로 공시하는 사례가 아닌 것은?(2018년 05월)
     1. 영업중단 계획의 발표
     2. 재무제표가 부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부정이나 오류의 발견
     3. 주요한 구조조정 계획의 공표나 이행 착수
     4.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주요사업결합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 수정을 요하는 보고기간후사건의 예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사건의 영향으로 재무제표에 이미 인식한 금액은 수정하고, 재무제표에 인식하지 아니한 항목은 새로 인식하여야 한다.
(1) 보고기간말에 존재하였던 현재의무가 보고기간 후에 소송사건의 확정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 소송사건과 관련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우발자산’에 따라 이전에 인식하였던 충당부채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충당부채를 인식한다. 소송사건의 확정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의 문단 16에 따라 고려하여야 할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하므로 단순히 우발부채로 공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아니하다.
(2) 보고기간말에 이미 자산손상이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고기간 후에 입수하는 경우나 이미 손상차손을 인식한 자산에 대하여 손상차손금액의 수정이 필요한 정보를 보고기간 후에 입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가) 보고기간 후의 매출처 파산은 일반적으로 보고기간말에 고객의 신용이 손상되었음을 확인해준다.
    (나) 보고기간 후의 재고자산 판매는 보고기간말의 순실현가능가치에 대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3) 보고기간말 이전에 구입한 자산의 취득원가나 매각한 자산의 대가를 보고기간 후에 결정하는 경우
(4) 보고기간말 이전 사건의 결과로서 보고기간말에 종업원에게 지급하여야 할 법적 의무나 의제의무가 있는 이익분배나 상여금지급 금액을 보고기간 후에 확정하는 경우(기업회계기준서 제1019호 ‘종업원급여’ 참조)
(5) 재무제표가 부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부정이나 오류를 발견한 경우

*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후사건으로서, 일반적으로 공시하게 되는 예는 다음과 같다.
(1)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주요 사업결합(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에서는 이 경우 특정한 공시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는 주요 종속기업의 처분
(2) 영업 중단 계획의 발표
(3) 자산의 주요 구입, 기업회계기준서 제1105호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중단영업’에 따라 자산을 매각예정으로 분류, 자산의 기타 처분, 정부에 의한 주요 자산의 수용
(4)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화재로 인한 주요 생산 설비의 파손
(5) 주요한 구조조정계획의 공표나 이행착수(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참조)
(6)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주요한 보통주 거래와 잠재적보통주 거래(기업회계기준서 제1033호 ‘주당이익’에서는 그러한 거래에 대한 설명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동 기준서에 따라서 조정되는 자본금전입이나 무상증자, 주식분할, 주식병합 관련 거래는 제외하고 있다.)
(7)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자산 가격이나 환율의 비정상적 변동
(8)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 및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세법이나 세율에 대한 보고기간 후의 변경 또는 변경 예고(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참조)
(9) 유의적인 지급보증 등에 의한 우발부채의 발생이나 유의적인 약정의 체결
(10)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사건에만 관련되어 제기된 주요한 소송의 개시

출처: K-IFRS 기준서 1010 - 보고기간후사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무형자산의 손상에 대한 회계처리를 기술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무형자산의 진부화 및 시장가치의 급격한 하락 등으로 자산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중요하게 미달하게 되는 경우에는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조정하고 그 차액을 손상차손 으로 처리한다.
     2. 회수가능액은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작은 금액을 말한다.
     3. 차기 이후에 감액된 자산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을 초과 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자산이 감액되기 전 장부금액의 상각 후 잔액을 한도로 하여 그 초과액을 손상차손환입으로 처리한다.
     4.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또는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과 영업권의 경우에는 매년 손상검사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회수가능액이란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큰 금액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9. ㈜상공은 20X1년 12월말까지 공단내의 공장을 폐쇄하고 공장의 모든 종업원을 해고하는 것을 20X1년 1월초에 발표하였다. ㈜상공은 진행중인 계약을 마무리하기 위해 폐쇄시점까지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종업원들에게 해고일에 ₩1,500,000을 지급할 예정이며, 여기에는 해고의 대가인 ₩500,000이 포함된다. 공장종업원은 100명이며, 해고계획의 발표시점에 30명이 공장폐쇄전에 퇴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폐쇄일 전에 퇴사하는 종업원들에게도 해고의 대가로 ₩500,000을 지급한다고 예고했다. 해고계획이 발표되는 시점과 공장폐쇄와 관련된 구조조정원가를 인식하는 시점이 동일할 경우 해고계획 발표시점의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2020년 05월)
     1. (차) 해고급여 150,000,000 (대) 미지급비용 150,000,000
     2. (차) 해고급여 120,000,000 (대) 미지급비용 120,000,000
     3. (차) 해고급여 105,000,000 (대) 미지급비용 105,000,000
     4. (차) 해고급여 50,000,000 (대) 미지급비용 50,000,000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해고대가500,000*공장종업원100=50,000,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12월말 결산법인인 K사는 20x1년 1월 1일 기계장치를 ₩200,000에 구입하면서 국가로부터 ₩120,000을 보조받았다. 정부보조금에 부수되는 조건은 이미 충족되었고 국가에 상환할 의무가 없다. 취득한 기계장치의 내용연수는 10년이고 잔존가치는 ₩20,000이며, 감가상각은 정액법으로 월할상각한다. K사가 20x1년도 손익계산서에 인식할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단, 정부보조금은 취득한 자산에서 차감하는 방법으로 처리한다.)(2017년 05월)
     1. \6,000
     2. \8,000
     3. \18,000
     4. \20,00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기계장치 200,000-120,000(정부보조금은 감가상각비 계산 시 첨부터 빼줌)
-20,000/10
[해설작성자 : 나는짱아맘]

2과목 : 원가관리회계


21.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당기제품제조원가와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각각 얼마인가?(2020년 05월)

    

     1. ₩749,000 ₩799,000
     2. ₩750,000 ₩794,000
     3. ₩755,000 ₩800,000
     4. ₩794,000 ₩804,000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원재료
기초+당기-기말
=2,000+100,000-3,000=99,000
당기총제조원가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99,000+300,000+400,000=799,000
당기총제조원가
기초재공품+당기총제조원가-기말재공품
=10,000+799,000-15,000=794,000

당기제품제조원가
기초제품+당기총제조원가-기말제품
25,000+794,0000-15,000=804,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당기총제조원가=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직접재료비=기초재료+당기매입-기말재료=2000+100000-3000=99000
당기총제조원가=99000+300000+400000=799000
당기제품제조원가=기초재공품+당기총제조원가-기말재공품=10000+799000-15000=794000
매출원가=기초제품+당기제품제조원가-기말제품=25000+794000-15000=804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다음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특징을 연결한 것 중 잘못된 것은?(2015년 05월)
     1. (재무회계) 통일된 회계처리기준이 존재
(관리회계) 통일된 기준이 없음
     2. (재무회계) 외부이해관계자가 주로 이용
(관리회계) 내부이해관계자가 이용
     3. (재무회계) 재무제표를 보고수단으로 사용
(관리회계) 특수목적의 보고서를 사용
     4. (재무회계) 객관성, 비교가능성 중시
(관리회계) 경제성, 검증가능성 중시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4. (재무회계) 객관성, 비교가능성 중시
     (관리회계) 경제성, 검증가능성 중시
     →재무제표 설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다음 학습곡선에 의한 원가추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학습효과를 기초로 하는 원가추정은 계약체결, 표준원가의 설정, 차이분석, 생산계획과 재무계획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된다.
     2. 누적생산량이 두 배가 될 때마다 누적평균시간이 감소되는 비율, 즉 학습효과의 정도를 비율로 표시한 것을 학습률이라고 한다.
     3. 학습효과가 나타나는 상황에서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당 노동시간이 체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반영한 선형의 원가함수이다.
     4. 증분단위시간 학습모형은 누적생산량이 두 배가 될 때마다 증분단위시간, 즉 마지막 한 단위를 생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는 학습곡선 모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학습곡선은 비선형원가함수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4. 다음 항목들을 이용하여 당기에 제조경비로 분류될 금액의 합계는 얼마인가?(2015년 05월)

    

     1. ₩30,000
     2. ₩110,000
     3. ₩130,000
     4. ₩180,000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나. 직접노무비
라. 직접재료비
가.다. 제조경비
[해설작성자 : qqq321]

25. 다음 중 재료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원재료 계정은 외부로부터 매입한 재료를 처리하는 계정으로 당기에 원재료를 구입한 경우에는 차변에 기입한다.
     2. 원재료 계정은 제조활동에 사용될 직접재료와 간접재료를 동시에 기록하는 계정이다.
     3. 특정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당기 제조과정에 투입된 원재료 소비액은 기초재고액에서 당기매입액을 차감하고 기말재고 액을 가산하여 계산한다.
     4. 기업에 따라서는 원재료계정을 직접재료는 직접재료계정에 기록하고, 간접재료는 소모품 등 별도의 계정에 각각 기록 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주)상공은 2개의 제조부문과 2개의 보조부문이 있다. 각 부문 에서 당기 중에 발생한 원가와 보조부문이 제공한 용역수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상호배부법에 의할 경우 제조부문의 조립부문비 합계액은 얼마인가?(2016년 05월)

    

     1. ₩1,180,000
     2. ₩1,570,000
     3. ₩1,750,000
     4. ₩1,81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동력부문 원가 x, 수선부문 원가 y
x=380,000+0.3y=500,000 (0.3=90회/300회)
y=300,000+0.2x=400,000 (0.2=4,000kw/20,000kw)
조립=1,500,000+500,000*6,000/20,000+400,000*120/3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다음은 공손품과 재작업품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순 비정상 공손원가를 발생한 기간에 손실로 처리한다.
     2. 공손품의 회계처리는 공손품에 투입된 원가를 정상공손품 또는 비정상 공손품으로 평가한다.
     3. 재작업품이란 정상품이지만 추가가공을 거쳐 판매되는 것을 말한다.
     4. 공손품은 능률적인 생산조건하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비정상 공손품에만 있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공손품: 작업의 부주의나 미숙 등으로 인해 품질 또는 표준 규격에 미달하는 불합격품. 정상적인 공손으로 인한 비용은 제품원가로 처리한다. 생산공정을 아무리 효율저긍로 통제하더라도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비용이다.
비정상적인 공손비는 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함. 공손품 검사시점이 기말재공품 완성도 이전일 경우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각각 안분하여 부담하고, 이후인 경우 기말재공품에는 배분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주)한국은 제품 A와 제품 B를 각각 100개씩 생산하며, 회사 전체의 고정제조간접원가가 ₩50,000이 발생하였다. 고정제조 간접원가의 배부기준은 기계시간으로 한다. 다음 표를 통해 제품 A의 단위당 원가를 계산하라.(2016년 05월)

    

     1. ₩400
     2. ₩500
     3. ₩600
     4. ₩70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고정제조간접비 5만원 배부시 제품 A는 40퍼센트 따라서 2만원, 제품 B는 60퍼센트 따라서 3만원임
2만원/100개=200원
100+300+200=600원
[해설작성자 : 하프물범]

29. 다음은 (주)한강의 제조활동과 관련된 자료이다. 변동제조간접비 능률차이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6,000원(불리)
     2. 6,000원(유리)
     3. 4,000원(불리
     4. 4,000원(유리)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직접노무비 능률차이 : (실제노무시간-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노무시간)*2= 4,000
                                             실제노무시간-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노무시간= 4,000/2 = 2,000시간

변동제조간접비 능률차이 : (실제노무시간-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노무시간)*표준배부율
                                                    =2,000*3
                                                    =6,000(불리)
[해설작성자 : 공부중]

30. 다음 중 종합원가계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개별원가계산에 비하여 제조간접원가의 배부문제가 없고 기장절차가 간단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2. 원가관리 및 통제가 제품별이 아닌 공정이나 부문별로 수행되므로 원가에 대한 책임중심점이 명확해진다.
     3.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원가의 배분이 필요하게 되며, 이 경우 정확한 평균원가의 계산이 더욱 어려워진다.
     4. 원가의 집계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개별작업별로 작업지시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31. 다음은 공손 및 공손비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2020년 05월)
     1. 비정상적인 공손비는 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한다.
     2. 비정상적인 공손은 제조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면 방지할 수 있지만, 정상적인 공손은 불가피하게 매 기간 유사한 비율로 발생한다.
     3. 기초재공품이 전기에 이미 품질검사를 받았다면 당기발생 공손은 모두 당기에 착수된 부분에서 발생한 것이다.
     4. 공손의 발생시점이 기말재공품 완성도보다 큰 경우, 정상공손비는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공손의검사시점>기말제공품완성도
→평균법이든 선입선출법이든 공손원가를 통과한 물향은 완성품이므로 정상공손원가를완성품에만 배분

공손의 발생시점이 기말재공품 완성도보다 작은경우, 정상공손비는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배분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다음 (주)해남의 제조간접원가에 관한 자료를 이용하여 변동제조간접원가의 소비차이, 능률차이를 구하면 얼마인가? (단, 예상조업도는 45시간이고 실제노동시간은 44시간이다.)(순서대로 소비차이, 능률차이)(2020년 05월)

    

     1. ₩260 불리, ₩790 불리
     2. ₩260 유리, ₩790 유리
     3. ₩260 불리, ₩790 유리
     4. ₩260 유리, ₩790 불리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5100-4050=1050-790=260(소비차이불리)

4050-4840(44*10)=790(능률차이불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변동제조간접원가 소비차이
= 실제노무시간*실제배부율-실제노무시간*표준배부율
= 5,100-(44*110) = 260(불리)

변동제조간접원가 능률차이
= 실제노무시간*표준배부율-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노무시간*표준배부율
= (44*110)-4,050 = 790(불리)
[해설작성자 : 공부중]

33. 다음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을 비교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2017년 09월)
     1. 개별원가계산은 다품종 소량주문 생산방식에 적당하며, 종합원가계산은 동종 제품의 대량생산방식에 적당하다.
     2. 개별원가계산의 핵심과제는 완성품환산량 계산이다.
     3. 종합원가계산은 제조지시서별 원가계산이 아닌 원가계산기 간별 및 공정별 원가계산방식을 따른다.
     4. 개별원가계산은 제품에 대한 추적가능성을 중시하는 반면, 종합원가계산은 원가의 변형과정을 중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개별원가계산의 핵심과제는 제조간접비의 합리적인 배부이다. 완성품환산량의 계산이 중요한 원가계산방법은 종합원가계산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4. 다음 연산품회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연산품이란 동일한 원재료를 투입하여 생산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품을 말한다.
     2. 분리점 이전에 발생된 원가를 결합원가라 한다.
     3. 결합원가배분의 주된 목적은 내부의사결정을 위함이다.
     4. 순실현가치란 최종판매가치에서 추가가공원가와 판매비를 차감한 금액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결합원가배분의 주된 목적은 내부의사결정 보다는, 올바른 제품별 원가계산으로 재무제표 항목에 적절한 금액을 계산하여 손익을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함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5. (주)대한은 종합원가계산을 수행하고 있는데, 평균법을 사용하고 있다. 다음 중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기말재공품 완성도를 과소평가한 경우, 완성품원가는 과대평가된다.
     2. 기말재공품 완성도를 과소평가한 경우, 완성품원가는 과소평가된다.
     3. 기말재공품 완성도를 과대평가한 경우, 완성품원가는 과대평가된다.
     4. 기말재공품 완성도를 과대평가한 경우, 기말재공품원가는 과소평가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기말재공품의 완성도를 과소평가한 경우 완성품원가는 과대평가되며, 기말재공품원가는 과소평가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6. 여러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주)대한이 한 달 간 사용한 원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제조간접비의 합계로 옳은 것은?(2019년 05월)

    

     1. ₩30,000
     2. ₩35,000
     3. ₩45,000
     4. ₩95,000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생산인력에 대한 상여 : 노무비이다.
공장경비원에 대한 급여 : 제조간접비이다.
공장장에 대한 급여 : 제조간접비이다.
설비수선인력에 대한 상여 : 제조간접비이다.
∴10,000 + 20,000 + 15,000 = 45,000원
[해설작성자 : 다희쌤♡]

37. (주)한강의 기초 및 기말재고자산은 다음과 같다. 당기제품제조원가는 얼마인가?(2020년 05월)

    

     1. 21,000원
     2. 22,600원
     3. 23,600원
     4. 24,400원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당기총제조원가 =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 9,000+6,000+8,000 = 23,000원
    (1) 직접재료비 = 3,600+8,400-3,000 = 9,000
    (2) 직접노무비 = 6,000
    (3) 제조간접비 = 6,000/75(시간) * 100 = 8,000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초재공품+당기총제조원가-기말재공품 = 1,800+23,000-1,200 = 23,600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중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특징이 잘못 연결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8년 09월)
     1. 주문생산 대량생산
     2. 건설업, 조선업 정유업, 화학공업
     3. 기말재공품의 평가중요 완성품원가의 자동계산
     4. 작업원가표 제조원가보고서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좀 보기 좋게 바꿔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개별원가계산방법과 종합원가계산의 특징을 묻는 문제입니다.

개별원가계산 vs 종합원가계산
이종제품 주문생산 vs 동종제품 대량생산
건설업, 조선업 등 vs 정유업, 화학공업, 제분업 등
제조간접비의 합리적 배부가 중요 vs 완성품환산량을 통한 기말재공품과 완성품원가의 계산이 중요
작업원가표, 작업지시서, 제조지시서 등 vs 제조원가보고서
[해설작성자 : 다희쌤♡]

[관리자 입니다.
정확하게 보기를 어떻게 바꾸어 달라는건지 표기 부탁 드립니다.
이해를 잘 못하겠네요..
제가 가진 원본이 잘못된듯 합니다.]

39. 다음은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을 비교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2018년 05월)
     1. 개별원가계산은 제품단위별로 원가를 집계하나, 종합원가 계산은 기간별로 원가를 집계한다.
     2. 개별원가계산은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로 구분하나, 종합원가계산은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로 구분한다.
     3. 개별원가계산은 기말재공품 평가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 종합원가계산은 인위적인 기말재공품 평가를 요구한다.
     4. 두 가지 원가계산을 혼합한 원가계산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번 보기 : 종합원가계산은 재료비와 가공비(노무비+제조경비)로 구분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0. ㈜상공의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250,000이며, 고정비는 ₩50,000 이다.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계산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공헌이익률은 20%이다.
     2. 단위당 변동비가 ₩10이라면 단위당 판매가격은 ₩12.5이다.
     3. 총 30,000단위가 판매(단위당 판매가격 ₩12.5 가정)되었을 때 안전한계는 ₩125,000이다.
     4. 매출액이 ₩400,000일 경우 안전한계율은 40%이다. 【3과목】 세무회계 (20문제)

     정답 : []
     정답률 : 50%

41. 다음 중 가산세와 가산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가산세는 세법에서 정하는 의무의 성실한 이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세법에 따라 산출한 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한다.
     2. 가산세는 실질적으로 각종 의무의 불이행에 가해지는 벌과 금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형식상 해당 세법이 정하는 국세의 세목에 속한다.
     3. 가산금은 국세를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않은 경우에 국세기 본법에 따라 고지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한다.
     4. 가산금은 국세에 속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18%

42. 다음 중 거주자 김갑동씨의 2018년 이자소득금액을 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종합과세나 분리과세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2018년 09월)

    

     1. ₩8,000,000
     2. ₩10,900,000
     3. ₩11,000,000
     4. ₩21,000,000

     정답 : []
     정답률 : 35%

43. 소득세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소득금액에 대한 소득세 납세의무를 지며, 피상속인의 소득세와 상속인의 소득세를 구분하여 세액을 계산한다.
     2. 거주자가 사업을 영위하다가 6월 30일에 폐업한 경우 소득세의 과세기간은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다.
     3. 거주자의 소득세 납세지는 그 주소지로 한다. 다만, 주소지가 없는 경우에는 그 거소지로 한다.
     4. 비거주자가 납세관리인을 둔 경우 그 비거주자의 소득세 납세지는 그 국내사업장의 소재지 또는 그 납세관리인의 주소지나 거소지 중 납세관리인이 그 관할세무서장에게 납세지로서 신고하는 장소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다음의 자료를 토대로 거주자 갑(일년 동안 근무함)의 2016년 귀속되는 근로소득 총급여를 산출하면 얼마인가?(2016년 10월)

    

     1. ₩34,000,000
     2. ₩35,000,000
     3. ₩35,200,000
     4. ₩36,000,000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급여 200만원*12 = 2400만원
직책수당 월30만원*12 = 360만원
상여 100만*4회 =400만원
식대 : 별도의 식사제공 받을경우 식대는 전액과세 30만*12=360만
2400+360+400+360 = 3520만원
*사보에 기고한 대가는 기타소득으로 원천징수되고 근로소득에 포함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재시험은 없다]

45. 근로소득의 과세표준이 ₩40,000,000인 경우의 산출세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소득세율은 과세표준 기준으로 1,200만원 이하 6%, 4,600만원 이하 15%, 8,800만원 이하 24%이다.)(2016년 05월)
     1. ₩6,000,000
     2. ₩4,920,000
     3. ₩4,200,000
     4. ₩3,48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근로소득의 연말정산을 위한 세액계산 순서가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2017년 05월)

    

     1. a-b-c
     2. a-c-b
     3. b-a-c
     4. c-b-a

     정답 : []
     정답률 : 48%

47. 다음 중 근로소득만 있는 거주자 김기동씨의 2016년 종합소득 과세표준 확정신고와 납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확정신고 기간은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이다.
     2. 근로소득만 있으므로 확정신고를 하지 않을 수 있다.
     3. 연말정산시 계산한 세액에 오류가 있는 경우 확정신고기간에 정정할 수 있다.
     4. 2017년 5월 31일까지 확정신고하고 6월 30일까지 종합소득세액을 납부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다음 연도 5/1-5/31 신고 및 납부

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 ~06/30
거주자 사망 시 상속개시일 속한 달의 말일로 6개월 되는 날까지
국외이전 위해 출국 시 출국일 전날까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다음 중 부가가치세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사업자는 사업장마다 사업개시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사업장 관할세무서장에게 사업자등록을 신청하여야 한다.
     2. 사업자단위과세 사업자는 각 사업장 대신에 그 사업자의 본점 또는 주사무소의 소재지를 납세지로 한다.
     3. 간이과세자의 과세기간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다.
     4. 재화 또는 용역을 수입하는 자는 그 재화 또는 용역의 수입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다음은 거주자 A씨와 배우자 및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의 현황이다. A씨의 2015년도 종합소득공제 중 인적공제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부양가족은 별도의 소득이 없다.)(2015년 10월)

    

     1. ₩8,500,000
     2. ₩9,000,000
     3. ₩9,500,000
     4. ₩10,00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다음 중 소득세법상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대상이 되는 소득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배당소득
     2. 사업소득
     3. 기타소득
     4. 근로소득

     정답 : []
     정답률 : 36%

51. 다음 중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과세표준은 해당 과세기간에 공급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대가(부가가치세 포함)의 합계액으로 한다.
     2.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가를 금전으로 받은 경우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은 자기가 공급한 재화 또는 용역의 시가이다.
     3. 공급받는 자에게 지급하는 장려금은 과세표준에서 공제하지 아니한다.
     4. 대손금은 과세표준에서 공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과세표준은 공급대가(부가세포함)가 아니라 공급가액(부가세별도)임
2.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가를 금전으로 받은경우 그 금전 대가가 곧 과세표준임
    '금전외의 대가를 받은 경우'에 자기가 공급한 재화 또는 용역의 시가로 과세표준산정
4.대손금,장려금,하자보증금은 과세표준에서 공제하지 아니함
[해설작성자 : 재시험은 없다]

52. 부가가치세 과세기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여부와는 무관하게 역법에 의하여 1년을 제1기(1월1일부터 6월30일까지)와 제2기(7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로 나누어 과세기간을 적용한다.
     2. 사업을 폐업하는 경우의 과세기간은 폐업일이 속하는 과세 기간의 개시일로부터 폐업일까지로 하되, 폐업일이 명백하지 않은 경우 폐업신고서의 접수일까지로 한다.
     3. 신규로 사업을 개시하는 자의 최초의 과세기간은 사업개시일 부터 그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종료일까지로 한다.
     4. 간이과세를 포기하여 일반과세자로 전환되는 사업자는 간이 과세포기의 신고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개시일로부터 그 신고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의 기간(간이과세자)과 그 신고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 1일부터 당해 신고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종료일까지의 기간(일반과세자)을 각각 1과세 기간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과세기간
- 원칙적인 소득세 과세기간: 1월 1일~12월 31일
- 예외: 거주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1월 1일부터 사망일까지를 과세기간으로 한다. 거주자가 출국하여 비거주자가 되는 경우에는 1월 1일부터 출국일까지를 과세기간으로 한다.
- 주의: 소득세 과세기간은 사업의 개시나 폐업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과세기간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2. 간이과세
- 간이과세자의 과세기간은 원칙적으로 1년 단위(1.1.~12.31.)이다

2021 전산회계운용사 가이드북, 대한상공회의소, p271, 291
과세기간, 간이과세의 특징
[해설작성자 : 작업치료사 김정구]

53. 우리나라의 보세구역 내에서 부품제조업을 하고 있는 사업자 한상공씨는 외국에서 도착한 물품을 원재료로 하여 생산한 제품을 보세구역 밖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박길동씨에게 ₩20,000,000(부가가치세 제외)에 공급하였다. 그 관세의 과세가격이 ₩3,000,000, 관세가 ₩2,000,000이라고 할 때 세관장이 징수할 부가가치세는 얼마인가?(2018년 05월)
     1. ₩600,000
     2. ₩700,000
     3. ₩500,000
     4. ₩800,00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세관장이 발행하는 수입세금계산서의 공급가액 = 관세의 과세가격 + 관세 + 개별소비세/주세/농특세 등 부가세
(3,000,000 + 2,000,000)×10% = 500,000원이 부가가치세가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4. 부가가치세법상 영세율과 면세를 비교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영세율은 소비지국과세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이나, 면세는 부가가치세의 역진성완화를 위한 제도이다.
     2. 영세율이 적용되는 재화를 공급하는 자는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자이다.
     3. 면세되는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는 자는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자가 아니다.
     4. 영세율 사업자에게는 대리납부의무가 있으나, 면세사업자는 대리납부의무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50%

55. 다음 중 소득세법상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10월)
     1. 법인세법에 따라 상여로 처분된 금액
     2. 퇴직으로 인하여 받는 소득으로서 퇴직소득에 속하지 아니하는 소득
     3. 기밀비 명목으로 받은 것으로서 업무를 위하여 사용된 것이 분명하지 않은 급여
     4. 사용자가 직접 임차하여 임원이 아닌 종업원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주택을 제공받음으로써 얻은 이익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종업원이 사택을 제공받음으로서 얻는 이익은 근로소득에서 제외하는 것임
종업원 등이 사택을 제공받음으로써 얻는 이익은 소득세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 제6호 단서 및 같은법 시행규칙 제15조의 2의 규정에 의한 사택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근로소득에서 제외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거주자 갑은 다음과 같이 수출을 하고 있는 사업자이다. 다음 금액을 통하여 2017년 1기 예정신고 시 납부할 금액은 얼마인가? (단,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다.)(2017년 05월)

    

     1. 납부 ₩1,000
     2. 환급 ₩1,000
     3. 환급 ₩2,000
     4. 납부 ₩2,000

     정답 : []
     정답률 : 53%

57.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자의 납부의무 면제 및 간이 과세 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8년 05월)
     1. 간이과세자의 해당 과세기간에 대한 공급대가가 3,600만 원 미만인 경우에는 납부세액을 납부할 의무를 면제한다.
     2. 납부의무가 면제되는 사업자가 자진납부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에는 관할세무서장은 납부한 금액을 환급하여야 한다.
     3. 간이과세를 포기한 개인사업자는 그 적용받으려는 달의 1일부터 5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까지는 일반과세를 적용받아야 한다.
     4. 일반과세자의 경우도 일반과세 포기제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019년 8월 현재
1번 보기 : 간이과세자의 납부의무면제는 공급대가가 3,000만원 미만인 경우이다.
2번 보기 : 간이과세자의 매입세액공제등이 납부할 세액을 초과하는 경우는 그 금액을 없는것으로 본다. 즉, 환급이 불가하다. 단, 과오납의 경우에는 납부한 금액의 환급이 가능하다.
3번 보기 : 간이과세를 포기한 사업자는 3년간 다시 간이과세를 적용받지 못한다.
4번 보기 : 일반과세의 경우 포기제도가 없다. 면세, 간이과세에 대하여서만 포기제도가 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8. 거주자 갑은 2018년 2기 확정신고 시 과세표준을 과세당국에 신고하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과세당국에 의하여 결정될 매출세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아래 금액은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다.)(2018년 05월)

    

     1. ₩1,000
     2. ₩2,000
     3. ₩3,000
     4. ₩4,00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가 : 쌀은 면세이므로 해당 없음
나 : 물납은 공급으로 보지 않음
다 : 손해배상금은 과세표준에 포함되지 않음
라 : 용역의 간주공급에 해당하므로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임
마 : 향후 반환조건이 아니므로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임(반환조건인 경우 과세대상이 아님)
∴20,000×10% = 2,000
[해설작성자 : 다희쌤♡]

59.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자의 신고와 납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간이과세자는 과세기간의 과세표준과 납부세액을 그 과세기간이 종료 후 25일 이내에 사업장 관할세무서장에게 신고ㆍ납부하여야 한다.
     2. 간이과세자는 해당 과세기간에 대한 공급대가의 합계액이 3,000만원 미만이면 그 과세기간의 납부세액의 납부의무를 면제한다.
     3. 간이과세자는 매입세액이 매출세액보다 많아도 환급이 발생하지 않는다.
     4. 간이과세자는 영수증만을 발급하므로, 발급받은 세금계산서에 대한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할 의무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세금계산서 수취
매입세액*부가율
부가세액에서 공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성세법에 따라 4,800만원으로 개정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회계쟁이 비르]

60. 다음 제시된 자료에서 거주자 홍길동(근로제공기간 : 10개월)의근로소득 총급여의 합계를 구하면 얼마인가? (단,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실업급여 이외에 주어진 금액은 근로제공기간의 총금액이다.)(2018년 05월)

    

     1. ₩22,000,000
     2. ₩22,500,000
     3. ₩25,600,000
     4. ₩26,100,00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급여 20,000,000원 + 상여금 2,000,000원 + (식사대 중 50,000원 ×10개월) = 22,500,000
실업급여는 비과세급여이며, 식사대는 식사를 제공받지 아니하는 경우 월 10만원까지는 비과세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정 답 지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78978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무회계


1. 다음 제시된 거래 중 자산, 부채, 자본의 총액에 변동이 없는 것은?(2018년 09월)
     1. 건물을 취득하고 주식을 발행하였다.
     2. 외상으로 기계장치를 처분하였다. 단, 처분금액과 장부금액은 일치하였다.
     3. 배당금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4. 사채를 발행하여 생물자산을 취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번 보기 : 건물의 취득(자산의 증가), 주식의 발행(자본의 증가)
2번 보기 : 기계장치의 처분(자산의 감소), 미수금의 발생(자산의 증가)
3번 보기 : 배당 지급(자본-이익잉여금-의 감소), 현금의 출금(자산의 감소)
4번 보기 : 생물자산 취득(자산의 증가), 사채의 발행(부채의 증가)
따라서 2번 보기의 내용만 효과가 상쇄되어 자산, 부채, 자본의 총액이 변동이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 다음 분개 중에서 회계연도 말에 행하는 결산수정분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차변) 재고자산감모손실
(대변) 재고자산
     2. (차변) 선수수익
(대변) 임대수익
     3. (차변) 대손충당금
(대변) 매출채권
     4. (차변) 미수이자
(대변) 이자수익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3번 분개는 결산수정분개가 아니라, 기중에 매출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는 경우 대손이 확정되었을 때의 분개이다.
대손충당금 잔액이 남아있는 경우 대손 확정시 충당금 잔액을 먼저 제거하고 매출채권 금액과 상계한다.
대손충당금이 부족하면 대손상각비(미수금, 대여금에서 대손이 확정된 경우라면 기타의대손상각비)를 추가로 계상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 아래 자료를 참고해 직접법으로 현금흐름표를 작성할 경우 이자 수익으로 인한 현금유입액은 얼마인가? (단, 이자수익은 영업활동 으로 분류한다.)(2016년 05월)

   

     1. ₩5,640,000
     2. ₩5,720,000
     3. ₩5,840,000
     4. ₩5,92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07호에 따른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현금성자산은 투자나 다른 목적이 아닌 단기의 현금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유한다.
     2. 투자자산은 일반적으로 만기일이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경우에만 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한다.
     3. 모든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 포함한다.
     4. 현금및현금성자산을 구성하는 항목 간 이동은 현금관리의 일부이므로 이러한 항목간의 변동은 현금흐름에서 제외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이 변경된 경우에는 분류기준에 따라 금융자산을 재분류해야 한다. 다음 중 사업모형 변경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9월)
     1. 회사가 보유중인 특정 금융자산에 대하여 경영목적에 따라 그 보유의도가 변경된 경우
     2. 회사가 보유중인 금융자산이 특정한 시장에서 일시적으로 소멸된 경우
     3. 금융서비스회사가 소매부동산담보부대여업을 중단함에 따라, 신규 부동산담보대출을 중단하고, 기존 부동산담보대출 포트폴리오를 매도하기 위해 노력 중인 경우
     4. 기업 내부에 서로 다른 사업모형을 갖고 있는 부문 간 금융자산을 이전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45%

6. (주)상공은 2016년 1월 1일 내용연수 5년(정액법), 잔존가치 0의 건물을 ₩10,000에 취득하였다. 회사는 재평가모형을 적용하여 유형자산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하며, 각 보고기간 말 현재 건물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다. 회사는 감가상각누계액을 우선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재평가잉여금 중 실현된 부분을 이익잉여금 으로 대체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회사가 2017년 말에 재평가 이익 중 당기손익으로 인식할 금액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2,000
     2. ₩2,250
     3. ₩2,500
     4. ₩3,000

     정답 : []
     정답률 : 18%

7. 회사는 보유 중인 매출채권을 금융기관에 양도하였다. 다음 중 양도한 매출채권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는?(2018년 09월)
     1. 양도자가 양수자에게 발생가능성이 높은 대손의 보상을 보증하면서 단기 수취채권을 매도한 경우
     2. 양도자가 매도한 매출채권을 재매입시점의 공정가치로 재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3. 양도자가 매도한 매출채권에 대한 콜옵션을 보유하고 있지만, 당해 콜옵션이 깊은 외가격 상태이기 때문에 만기 이전에 당해 옵션이 내가격 상태가 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경우
     4. 매출채권의 소유와 관련된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보유하지도 아니하고 이전하지도 아니하였지만, 당해 매출채권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25%

8. 다음 무형자산의 내용연수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취득한 특허권의 법정 잔여연수가 20년인 경우 내용연수를 20년으로 한다.
     2. 취득한 특허권의 법적 내용연수는 20년이나, 특허권으로 인한 관련 제품의 순현금유입이 15년일 것이라는 객관적인 증거가 나타나는 경우 내용연수를 15년으로 한다.
     3. 기업이 통상적인 수준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계속 제공하고 관련 법적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방송라이선스가 매 10년마다 갱신이 가능하다면 방송라이선스의 내용연수는 10년으로 한다.
     4. 방송라이선스 발급기관이 매 10년 마다 갱신이 가능한 방송라이선스를 더 이상 갱신해주지 않고 지금으로부터 3년후 경매에 붙이기로 결정하였다면, 방송라이선스의 내용연수는 3년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내용연수 비한정 무형자산의 대한 이야기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자산이 순현금유입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에 대하여 예측가능한 제한이 없을 경우(연장가능한 내용연수), 무형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것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CPA 준비생]

9. 20X4년 7월 1일 회사는 건물과 관련된 화재보험을 가입하고 보험료 ₩1,200,000을 지급하였다. 동 화재보험의 보험기간은 가입일부터 1년간이다. 회사가 재무상태표 작성일인 20X4년 12월 31일에 위 보험료와 관련하여 수행해야 할 조정분개로 옳은 것은? ( 단, 회사는 보험 가입 당시 지급된 보험료 ₩1,200,000을 전액 비용 처리하였다.)(2019년 09월)
     1. (차) 보험료 600,000 (대) 선급보험료 600,000
     2. (차) 선급보험료 600,000 (대) 보험료 600,000
     3. (차) 가지급보험료 600,000 (대) 보험료 600,000
     4. (차) 보험료 600,000 (대) 가지급보험료 600,000

     정답 : []
     정답률 : 54%

10. K사는 20x1년 1월 1일, 3년 만기의 액면금액 ₩1,000,000, 표시이자율 8%의 전환사채를 ₩951,980에 발행하였다. 결산일은 매년 12월 31일이고, 현재의 시장이자율은 12%이다. 당해 사채의 전환권을 부여하지 않았더라면 전환사채 발행금액과 동일한 금액으로 발행하기 위해서는 연 10%의 이자를 지급하는 조건으로 발행해야만 했을 것이다. 발행시점의 전환권대가는 얼마인가?(2017년 05월)

    

     1. \38,036
     2. \48,036
     3. \58,036
     4. \68,036

     정답 : []
     정답률 : 29%

11. 다음 자료에 근거한 기말 재무상태표상에 기록되는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얼마인가?(2015년 10월)

    

     1. ₩9,000
     2. ₩9,900
     3. ₩10,000
     4. ₩11,000

     정답 : []
     정답률 : 64%

12. (주)대한은 본사 건물을 새로 건설할 목적으로 건물이 있는 토지를 현금 ₩40,000,000에 구입하였다. 토지와 건물의 구입당시 공정가치는 각각 ₩36,000,000과 ₩1,200,000이며, 건물은 취득과 동시에 철거 하였다. 건물의 철거비용은 ₩1,400,000이며 철거과정에서 발생한 폐자재의 처분으로 인한 수입금액은 ₩60,000이었다. 이 경우 (주)대한은 토지와 건물을 장부에 각각 얼마로 기록해야 하는가?(2017년 05월)
     1. 건물: 0원, 토지: 41,340,000원
     2. 건물: 0원, 토지: 41,400,000원
     3. 건물: 1,200,000원, 토지: 40,200,000원
     4. 건물: 4,000,000원, 토지: 37,400,000원

     정답 : []
     정답률 : 73%

13. 상공(주)는 20X1년 1월 1일 기계장치를 ₩21,000,000에 취득하여 잔존가치 없이 내용연수 7년에 걸쳐 정액법으로 감가상각 하고 있다. 기계장치 취득 후 매 회계연도 말에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평가하여 유형자산손상차손을 계상한다. 회수가능액의 변동이 다음과 같을 경우 20X2년 12월 31일 유형자산의 손상에 관한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단, 회수가능액의 하락은 손상의 사유에 해당한다.)(2020년 10월)

    

     1. 분개 없음
     2. (차) 유형자산손상차손 1,000,000 (대) 손상차손누계액 1,000,000
     3. (차) 유형자산손상차손 500,000 (대) 손상차손누계액 500,000
     4. (차) 손상차손누계액 500,000 (대) 손상차손환입 500,000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2xx1년 결산 시
(차)감가상각비 300만    (대)감가상각누계액 300만
이때 장부가가 1800만, 회수가능가가 1850만 이면 이때는 보수주의에 입각해서 아무 회계처리 하지 않습니다.
2. 2xx2년 결산 시
(차)감가상각비 300만    (대)감가상각누계액 300만
장부가가 1500만, 회수가능가가 1450만이므로 50만의 손상차손이 발생합니다.
[해설작성자 : 이미경]

14. 다음은 (주)상공의 20×1년도 수정전시산표와 결산수정사항 이다. (주)상공의 20×1년도 포괄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은 얼마인가? (다만, 토지는 20X0년도에 재평가 하였다.)(2017년 05월)

    

     1. ₩1,150
     2. ₩2,520
     3. ₩3,920
     4. ₩4,57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수정 전 당기순이익 : 25,720 + 2000 - 15,470 - 4,680 - 2,000 - 500 = 5,070
가. 대손상각비 1,000 추가
나. 감가상각비 600 추가 [4/1~12/31 : (4000-0) X 1/5 X 9/12 ]
다. 임대료수익 450 차감 [1/1~3/31 : 1800 X 3/12 ]
라. 보험료 900 차감 [1/1~9/30 : 1200 X 9/12 ]
[해설작성자 : 김군]

15. 다음 자료에 근거한 기말 재무상태표상에 기록되는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얼마인가?(2017년 09월)

    

     1. ₩9,000
     2. ₩9,900
     3. ₩10,000
     4. ₩11,00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수량×단가 로 결정된다.
수량은 실지재고수량이며 장부재고수량과의 차이는 감모손실이 된다.
단가는 취득원가와 순실현가치 중 작은금액으로 보며, 이 금액의 차이는 평가손실(저가법)이 된다.
따라서 90개 × 100원 = 9,000원이 기말재고자산가액이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6. 재무상태표 자본항목 중 차후에 포괄손익계산서에 영향을 주는 항목은?(2018년 05월)
     1. 주식발행초과금
     2. 자기주식처분손실
     3. 감자차익
     4.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평가이익은 차후 자산 매각시 재분류되는 기타포괄손익 항목이므로 재분류 될 때 손익계산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7. 다음 중 재무제표의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 후 사건으로써 일반적으로 공시하는 사례가 아닌 것은?(2018년 05월)
     1. 영업중단 계획의 발표
     2. 재무제표가 부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부정이나 오류의 발견
     3. 주요한 구조조정 계획의 공표나 이행 착수
     4.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주요사업결합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 수정을 요하는 보고기간후사건의 예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사건의 영향으로 재무제표에 이미 인식한 금액은 수정하고, 재무제표에 인식하지 아니한 항목은 새로 인식하여야 한다.
(1) 보고기간말에 존재하였던 현재의무가 보고기간 후에 소송사건의 확정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 소송사건과 관련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우발자산’에 따라 이전에 인식하였던 충당부채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충당부채를 인식한다. 소송사건의 확정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의 문단 16에 따라 고려하여야 할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하므로 단순히 우발부채로 공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아니하다.
(2) 보고기간말에 이미 자산손상이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고기간 후에 입수하는 경우나 이미 손상차손을 인식한 자산에 대하여 손상차손금액의 수정이 필요한 정보를 보고기간 후에 입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가) 보고기간 후의 매출처 파산은 일반적으로 보고기간말에 고객의 신용이 손상되었음을 확인해준다.
    (나) 보고기간 후의 재고자산 판매는 보고기간말의 순실현가능가치에 대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3) 보고기간말 이전에 구입한 자산의 취득원가나 매각한 자산의 대가를 보고기간 후에 결정하는 경우
(4) 보고기간말 이전 사건의 결과로서 보고기간말에 종업원에게 지급하여야 할 법적 의무나 의제의무가 있는 이익분배나 상여금지급 금액을 보고기간 후에 확정하는 경우(기업회계기준서 제1019호 ‘종업원급여’ 참조)
(5) 재무제표가 부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부정이나 오류를 발견한 경우

*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후사건으로서, 일반적으로 공시하게 되는 예는 다음과 같다.
(1)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주요 사업결합(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에서는 이 경우 특정한 공시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는 주요 종속기업의 처분
(2) 영업 중단 계획의 발표
(3) 자산의 주요 구입, 기업회계기준서 제1105호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중단영업’에 따라 자산을 매각예정으로 분류, 자산의 기타 처분, 정부에 의한 주요 자산의 수용
(4)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화재로 인한 주요 생산 설비의 파손
(5) 주요한 구조조정계획의 공표나 이행착수(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참조)
(6)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주요한 보통주 거래와 잠재적보통주 거래(기업회계기준서 제1033호 ‘주당이익’에서는 그러한 거래에 대한 설명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동 기준서에 따라서 조정되는 자본금전입이나 무상증자, 주식분할, 주식병합 관련 거래는 제외하고 있다.)
(7)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자산 가격이나 환율의 비정상적 변동
(8)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 및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세법이나 세율에 대한 보고기간 후의 변경 또는 변경 예고(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참조)
(9) 유의적인 지급보증 등에 의한 우발부채의 발생이나 유의적인 약정의 체결
(10) 보고기간 후에 발생한 사건에만 관련되어 제기된 주요한 소송의 개시

출처: K-IFRS 기준서 1010 - 보고기간후사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무형자산의 손상에 대한 회계처리를 기술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무형자산의 진부화 및 시장가치의 급격한 하락 등으로 자산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중요하게 미달하게 되는 경우에는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조정하고 그 차액을 손상차손 으로 처리한다.
     2. 회수가능액은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작은 금액을 말한다.
     3. 차기 이후에 감액된 자산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을 초과 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자산이 감액되기 전 장부금액의 상각 후 잔액을 한도로 하여 그 초과액을 손상차손환입으로 처리한다.
     4.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또는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과 영업권의 경우에는 매년 손상검사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회수가능액이란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큰 금액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9. ㈜상공은 20X1년 12월말까지 공단내의 공장을 폐쇄하고 공장의 모든 종업원을 해고하는 것을 20X1년 1월초에 발표하였다. ㈜상공은 진행중인 계약을 마무리하기 위해 폐쇄시점까지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종업원들에게 해고일에 ₩1,500,000을 지급할 예정이며, 여기에는 해고의 대가인 ₩500,000이 포함된다. 공장종업원은 100명이며, 해고계획의 발표시점에 30명이 공장폐쇄전에 퇴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폐쇄일 전에 퇴사하는 종업원들에게도 해고의 대가로 ₩500,000을 지급한다고 예고했다. 해고계획이 발표되는 시점과 공장폐쇄와 관련된 구조조정원가를 인식하는 시점이 동일할 경우 해고계획 발표시점의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2020년 05월)
     1. (차) 해고급여 150,000,000 (대) 미지급비용 150,000,000
     2. (차) 해고급여 120,000,000 (대) 미지급비용 120,000,000
     3. (차) 해고급여 105,000,000 (대) 미지급비용 105,000,000
     4. (차) 해고급여 50,000,000 (대) 미지급비용 50,000,000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해고대가500,000*공장종업원100=50,000,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12월말 결산법인인 K사는 20x1년 1월 1일 기계장치를 ₩200,000에 구입하면서 국가로부터 ₩120,000을 보조받았다. 정부보조금에 부수되는 조건은 이미 충족되었고 국가에 상환할 의무가 없다. 취득한 기계장치의 내용연수는 10년이고 잔존가치는 ₩20,000이며, 감가상각은 정액법으로 월할상각한다. K사가 20x1년도 손익계산서에 인식할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단, 정부보조금은 취득한 자산에서 차감하는 방법으로 처리한다.)(2017년 05월)
     1. \6,000
     2. \8,000
     3. \18,000
     4. \20,00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기계장치 200,000-120,000(정부보조금은 감가상각비 계산 시 첨부터 빼줌)
-20,000/10
[해설작성자 : 나는짱아맘]

2과목 : 원가관리회계


21.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당기제품제조원가와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각각 얼마인가?(2020년 05월)

    

     1. ₩749,000 ₩799,000
     2. ₩750,000 ₩794,000
     3. ₩755,000 ₩800,000
     4. ₩794,000 ₩804,000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원재료
기초+당기-기말
=2,000+100,000-3,000=99,000
당기총제조원가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99,000+300,000+400,000=799,000
당기총제조원가
기초재공품+당기총제조원가-기말재공품
=10,000+799,000-15,000=794,000

당기제품제조원가
기초제품+당기총제조원가-기말제품
25,000+794,0000-15,000=804,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당기총제조원가=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직접재료비=기초재료+당기매입-기말재료=2000+100000-3000=99000
당기총제조원가=99000+300000+400000=799000
당기제품제조원가=기초재공품+당기총제조원가-기말재공품=10000+799000-15000=794000
매출원가=기초제품+당기제품제조원가-기말제품=25000+794000-15000=804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다음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특징을 연결한 것 중 잘못된 것은?(2015년 05월)
     1. (재무회계) 통일된 회계처리기준이 존재
(관리회계) 통일된 기준이 없음
     2. (재무회계) 외부이해관계자가 주로 이용
(관리회계) 내부이해관계자가 이용
     3. (재무회계) 재무제표를 보고수단으로 사용
(관리회계) 특수목적의 보고서를 사용
     4. (재무회계) 객관성, 비교가능성 중시
(관리회계) 경제성, 검증가능성 중시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4. (재무회계) 객관성, 비교가능성 중시
     (관리회계) 경제성, 검증가능성 중시
     →재무제표 설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다음 학습곡선에 의한 원가추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학습효과를 기초로 하는 원가추정은 계약체결, 표준원가의 설정, 차이분석, 생산계획과 재무계획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된다.
     2. 누적생산량이 두 배가 될 때마다 누적평균시간이 감소되는 비율, 즉 학습효과의 정도를 비율로 표시한 것을 학습률이라고 한다.
     3. 학습효과가 나타나는 상황에서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당 노동시간이 체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반영한 선형의 원가함수이다.
     4. 증분단위시간 학습모형은 누적생산량이 두 배가 될 때마다 증분단위시간, 즉 마지막 한 단위를 생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는 학습곡선 모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학습곡선은 비선형원가함수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4. 다음 항목들을 이용하여 당기에 제조경비로 분류될 금액의 합계는 얼마인가?(2015년 05월)

    

     1. ₩30,000
     2. ₩110,000
     3. ₩130,000
     4. ₩180,000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나. 직접노무비
라. 직접재료비
가.다. 제조경비
[해설작성자 : qqq321]

25. 다음 중 재료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원재료 계정은 외부로부터 매입한 재료를 처리하는 계정으로 당기에 원재료를 구입한 경우에는 차변에 기입한다.
     2. 원재료 계정은 제조활동에 사용될 직접재료와 간접재료를 동시에 기록하는 계정이다.
     3. 특정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당기 제조과정에 투입된 원재료 소비액은 기초재고액에서 당기매입액을 차감하고 기말재고 액을 가산하여 계산한다.
     4. 기업에 따라서는 원재료계정을 직접재료는 직접재료계정에 기록하고, 간접재료는 소모품 등 별도의 계정에 각각 기록 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주)상공은 2개의 제조부문과 2개의 보조부문이 있다. 각 부문 에서 당기 중에 발생한 원가와 보조부문이 제공한 용역수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상호배부법에 의할 경우 제조부문의 조립부문비 합계액은 얼마인가?(2016년 05월)

    

     1. ₩1,180,000
     2. ₩1,570,000
     3. ₩1,750,000
     4. ₩1,81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동력부문 원가 x, 수선부문 원가 y
x=380,000+0.3y=500,000 (0.3=90회/300회)
y=300,000+0.2x=400,000 (0.2=4,000kw/20,000kw)
조립=1,500,000+500,000*6,000/20,000+400,000*120/3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다음은 공손품과 재작업품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순 비정상 공손원가를 발생한 기간에 손실로 처리한다.
     2. 공손품의 회계처리는 공손품에 투입된 원가를 정상공손품 또는 비정상 공손품으로 평가한다.
     3. 재작업품이란 정상품이지만 추가가공을 거쳐 판매되는 것을 말한다.
     4. 공손품은 능률적인 생산조건하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비정상 공손품에만 있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공손품: 작업의 부주의나 미숙 등으로 인해 품질 또는 표준 규격에 미달하는 불합격품. 정상적인 공손으로 인한 비용은 제품원가로 처리한다. 생산공정을 아무리 효율저긍로 통제하더라도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비용이다.
비정상적인 공손비는 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함. 공손품 검사시점이 기말재공품 완성도 이전일 경우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각각 안분하여 부담하고, 이후인 경우 기말재공품에는 배분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주)한국은 제품 A와 제품 B를 각각 100개씩 생산하며, 회사 전체의 고정제조간접원가가 ₩50,000이 발생하였다. 고정제조 간접원가의 배부기준은 기계시간으로 한다. 다음 표를 통해 제품 A의 단위당 원가를 계산하라.(2016년 05월)

    

     1. ₩400
     2. ₩500
     3. ₩600
     4. ₩70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고정제조간접비 5만원 배부시 제품 A는 40퍼센트 따라서 2만원, 제품 B는 60퍼센트 따라서 3만원임
2만원/100개=200원
100+300+200=600원
[해설작성자 : 하프물범]

29. 다음은 (주)한강의 제조활동과 관련된 자료이다. 변동제조간접비 능률차이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6,000원(불리)
     2. 6,000원(유리)
     3. 4,000원(불리
     4. 4,000원(유리)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직접노무비 능률차이 : (실제노무시간-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노무시간)*2= 4,000
                                             실제노무시간-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노무시간= 4,000/2 = 2,000시간

변동제조간접비 능률차이 : (실제노무시간-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노무시간)*표준배부율
                                                    =2,000*3
                                                    =6,000(불리)
[해설작성자 : 공부중]

30. 다음 중 종합원가계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개별원가계산에 비하여 제조간접원가의 배부문제가 없고 기장절차가 간단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2. 원가관리 및 통제가 제품별이 아닌 공정이나 부문별로 수행되므로 원가에 대한 책임중심점이 명확해진다.
     3.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원가의 배분이 필요하게 되며, 이 경우 정확한 평균원가의 계산이 더욱 어려워진다.
     4. 원가의 집계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개별작업별로 작업지시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31. 다음은 공손 및 공손비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2020년 05월)
     1. 비정상적인 공손비는 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한다.
     2. 비정상적인 공손은 제조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면 방지할 수 있지만, 정상적인 공손은 불가피하게 매 기간 유사한 비율로 발생한다.
     3. 기초재공품이 전기에 이미 품질검사를 받았다면 당기발생 공손은 모두 당기에 착수된 부분에서 발생한 것이다.
     4. 공손의 발생시점이 기말재공품 완성도보다 큰 경우, 정상공손비는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공손의검사시점>기말제공품완성도
→평균법이든 선입선출법이든 공손원가를 통과한 물향은 완성품이므로 정상공손원가를완성품에만 배분

공손의 발생시점이 기말재공품 완성도보다 작은경우, 정상공손비는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배분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다음 (주)해남의 제조간접원가에 관한 자료를 이용하여 변동제조간접원가의 소비차이, 능률차이를 구하면 얼마인가? (단, 예상조업도는 45시간이고 실제노동시간은 44시간이다.)(순서대로 소비차이, 능률차이)(2020년 05월)

    

     1. ₩260 불리, ₩790 불리
     2. ₩260 유리, ₩790 유리
     3. ₩260 불리, ₩790 유리
     4. ₩260 유리, ₩790 불리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5100-4050=1050-790=260(소비차이불리)

4050-4840(44*10)=790(능률차이불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변동제조간접원가 소비차이
= 실제노무시간*실제배부율-실제노무시간*표준배부율
= 5,100-(44*110) = 260(불리)

변동제조간접원가 능률차이
= 실제노무시간*표준배부율-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노무시간*표준배부율
= (44*110)-4,050 = 790(불리)
[해설작성자 : 공부중]

33. 다음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을 비교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2017년 09월)
     1. 개별원가계산은 다품종 소량주문 생산방식에 적당하며, 종합원가계산은 동종 제품의 대량생산방식에 적당하다.
     2. 개별원가계산의 핵심과제는 완성품환산량 계산이다.
     3. 종합원가계산은 제조지시서별 원가계산이 아닌 원가계산기 간별 및 공정별 원가계산방식을 따른다.
     4. 개별원가계산은 제품에 대한 추적가능성을 중시하는 반면, 종합원가계산은 원가의 변형과정을 중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개별원가계산의 핵심과제는 제조간접비의 합리적인 배부이다. 완성품환산량의 계산이 중요한 원가계산방법은 종합원가계산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4. 다음 연산품회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연산품이란 동일한 원재료를 투입하여 생산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품을 말한다.
     2. 분리점 이전에 발생된 원가를 결합원가라 한다.
     3. 결합원가배분의 주된 목적은 내부의사결정을 위함이다.
     4. 순실현가치란 최종판매가치에서 추가가공원가와 판매비를 차감한 금액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결합원가배분의 주된 목적은 내부의사결정 보다는, 올바른 제품별 원가계산으로 재무제표 항목에 적절한 금액을 계산하여 손익을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함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5. (주)대한은 종합원가계산을 수행하고 있는데, 평균법을 사용하고 있다. 다음 중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기말재공품 완성도를 과소평가한 경우, 완성품원가는 과대평가된다.
     2. 기말재공품 완성도를 과소평가한 경우, 완성품원가는 과소평가된다.
     3. 기말재공품 완성도를 과대평가한 경우, 완성품원가는 과대평가된다.
     4. 기말재공품 완성도를 과대평가한 경우, 기말재공품원가는 과소평가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기말재공품의 완성도를 과소평가한 경우 완성품원가는 과대평가되며, 기말재공품원가는 과소평가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6. 여러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주)대한이 한 달 간 사용한 원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제조간접비의 합계로 옳은 것은?(2019년 05월)

    

     1. ₩30,000
     2. ₩35,000
     3. ₩45,000
     4. ₩95,000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생산인력에 대한 상여 : 노무비이다.
공장경비원에 대한 급여 : 제조간접비이다.
공장장에 대한 급여 : 제조간접비이다.
설비수선인력에 대한 상여 : 제조간접비이다.
∴10,000 + 20,000 + 15,000 = 45,000원
[해설작성자 : 다희쌤♡]

37. (주)한강의 기초 및 기말재고자산은 다음과 같다. 당기제품제조원가는 얼마인가?(2020년 05월)

    

     1. 21,000원
     2. 22,600원
     3. 23,600원
     4. 24,400원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당기총제조원가 =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 9,000+6,000+8,000 = 23,000원
    (1) 직접재료비 = 3,600+8,400-3,000 = 9,000
    (2) 직접노무비 = 6,000
    (3) 제조간접비 = 6,000/75(시간) * 100 = 8,000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초재공품+당기총제조원가-기말재공품 = 1,800+23,000-1,200 = 23,600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중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특징이 잘못 연결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8년 09월)
     1. 주문생산 대량생산
     2. 건설업, 조선업 정유업, 화학공업
     3. 기말재공품의 평가중요 완성품원가의 자동계산
     4. 작업원가표 제조원가보고서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좀 보기 좋게 바꿔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개별원가계산방법과 종합원가계산의 특징을 묻는 문제입니다.

개별원가계산 vs 종합원가계산
이종제품 주문생산 vs 동종제품 대량생산
건설업, 조선업 등 vs 정유업, 화학공업, 제분업 등
제조간접비의 합리적 배부가 중요 vs 완성품환산량을 통한 기말재공품과 완성품원가의 계산이 중요
작업원가표, 작업지시서, 제조지시서 등 vs 제조원가보고서
[해설작성자 : 다희쌤♡]

[관리자 입니다.
정확하게 보기를 어떻게 바꾸어 달라는건지 표기 부탁 드립니다.
이해를 잘 못하겠네요..
제가 가진 원본이 잘못된듯 합니다.]

39. 다음은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을 비교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2018년 05월)
     1. 개별원가계산은 제품단위별로 원가를 집계하나, 종합원가 계산은 기간별로 원가를 집계한다.
     2. 개별원가계산은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로 구분하나, 종합원가계산은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로 구분한다.
     3. 개별원가계산은 기말재공품 평가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 종합원가계산은 인위적인 기말재공품 평가를 요구한다.
     4. 두 가지 원가계산을 혼합한 원가계산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번 보기 : 종합원가계산은 재료비와 가공비(노무비+제조경비)로 구분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0. ㈜상공의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250,000이며, 고정비는 ₩50,000 이다.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계산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공헌이익률은 20%이다.
     2. 단위당 변동비가 ₩10이라면 단위당 판매가격은 ₩12.5이다.
     3. 총 30,000단위가 판매(단위당 판매가격 ₩12.5 가정)되었을 때 안전한계는 ₩125,000이다.
     4. 매출액이 ₩400,000일 경우 안전한계율은 40%이다. 【3과목】 세무회계 (20문제)

     정답 : []
     정답률 : 50%

41. 다음 중 가산세와 가산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가산세는 세법에서 정하는 의무의 성실한 이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세법에 따라 산출한 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한다.
     2. 가산세는 실질적으로 각종 의무의 불이행에 가해지는 벌과 금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형식상 해당 세법이 정하는 국세의 세목에 속한다.
     3. 가산금은 국세를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않은 경우에 국세기 본법에 따라 고지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한다.
     4. 가산금은 국세에 속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18%

42. 다음 중 거주자 김갑동씨의 2018년 이자소득금액을 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종합과세나 분리과세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2018년 09월)

    

     1. ₩8,000,000
     2. ₩10,900,000
     3. ₩11,000,000
     4. ₩21,000,000

     정답 : []
     정답률 : 35%

43. 소득세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소득금액에 대한 소득세 납세의무를 지며, 피상속인의 소득세와 상속인의 소득세를 구분하여 세액을 계산한다.
     2. 거주자가 사업을 영위하다가 6월 30일에 폐업한 경우 소득세의 과세기간은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다.
     3. 거주자의 소득세 납세지는 그 주소지로 한다. 다만, 주소지가 없는 경우에는 그 거소지로 한다.
     4. 비거주자가 납세관리인을 둔 경우 그 비거주자의 소득세 납세지는 그 국내사업장의 소재지 또는 그 납세관리인의 주소지나 거소지 중 납세관리인이 그 관할세무서장에게 납세지로서 신고하는 장소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다음의 자료를 토대로 거주자 갑(일년 동안 근무함)의 2016년 귀속되는 근로소득 총급여를 산출하면 얼마인가?(2016년 10월)

    

     1. ₩34,000,000
     2. ₩35,000,000
     3. ₩35,200,000
     4. ₩36,000,000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급여 200만원*12 = 2400만원
직책수당 월30만원*12 = 360만원
상여 100만*4회 =400만원
식대 : 별도의 식사제공 받을경우 식대는 전액과세 30만*12=360만
2400+360+400+360 = 3520만원
*사보에 기고한 대가는 기타소득으로 원천징수되고 근로소득에 포함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재시험은 없다]

45. 근로소득의 과세표준이 ₩40,000,000인 경우의 산출세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소득세율은 과세표준 기준으로 1,200만원 이하 6%, 4,600만원 이하 15%, 8,800만원 이하 24%이다.)(2016년 05월)
     1. ₩6,000,000
     2. ₩4,920,000
     3. ₩4,200,000
     4. ₩3,48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근로소득의 연말정산을 위한 세액계산 순서가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2017년 05월)

    

     1. a-b-c
     2. a-c-b
     3. b-a-c
     4. c-b-a

     정답 : []
     정답률 : 48%

47. 다음 중 근로소득만 있는 거주자 김기동씨의 2016년 종합소득 과세표준 확정신고와 납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확정신고 기간은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이다.
     2. 근로소득만 있으므로 확정신고를 하지 않을 수 있다.
     3. 연말정산시 계산한 세액에 오류가 있는 경우 확정신고기간에 정정할 수 있다.
     4. 2017년 5월 31일까지 확정신고하고 6월 30일까지 종합소득세액을 납부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다음 연도 5/1-5/31 신고 및 납부

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 ~06/30
거주자 사망 시 상속개시일 속한 달의 말일로 6개월 되는 날까지
국외이전 위해 출국 시 출국일 전날까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다음 중 부가가치세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사업자는 사업장마다 사업개시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사업장 관할세무서장에게 사업자등록을 신청하여야 한다.
     2. 사업자단위과세 사업자는 각 사업장 대신에 그 사업자의 본점 또는 주사무소의 소재지를 납세지로 한다.
     3. 간이과세자의 과세기간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다.
     4. 재화 또는 용역을 수입하는 자는 그 재화 또는 용역의 수입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다음은 거주자 A씨와 배우자 및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의 현황이다. A씨의 2015년도 종합소득공제 중 인적공제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부양가족은 별도의 소득이 없다.)(2015년 10월)

    

     1. ₩8,500,000
     2. ₩9,000,000
     3. ₩9,500,000
     4. ₩10,00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다음 중 소득세법상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대상이 되는 소득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배당소득
     2. 사업소득
     3. 기타소득
     4. 근로소득

     정답 : []
     정답률 : 36%

51. 다음 중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과세표준은 해당 과세기간에 공급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대가(부가가치세 포함)의 합계액으로 한다.
     2.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가를 금전으로 받은 경우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은 자기가 공급한 재화 또는 용역의 시가이다.
     3. 공급받는 자에게 지급하는 장려금은 과세표준에서 공제하지 아니한다.
     4. 대손금은 과세표준에서 공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과세표준은 공급대가(부가세포함)가 아니라 공급가액(부가세별도)임
2.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가를 금전으로 받은경우 그 금전 대가가 곧 과세표준임
    '금전외의 대가를 받은 경우'에 자기가 공급한 재화 또는 용역의 시가로 과세표준산정
4.대손금,장려금,하자보증금은 과세표준에서 공제하지 아니함
[해설작성자 : 재시험은 없다]

52. 부가가치세 과세기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여부와는 무관하게 역법에 의하여 1년을 제1기(1월1일부터 6월30일까지)와 제2기(7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로 나누어 과세기간을 적용한다.
     2. 사업을 폐업하는 경우의 과세기간은 폐업일이 속하는 과세 기간의 개시일로부터 폐업일까지로 하되, 폐업일이 명백하지 않은 경우 폐업신고서의 접수일까지로 한다.
     3. 신규로 사업을 개시하는 자의 최초의 과세기간은 사업개시일 부터 그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종료일까지로 한다.
     4. 간이과세를 포기하여 일반과세자로 전환되는 사업자는 간이 과세포기의 신고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개시일로부터 그 신고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의 기간(간이과세자)과 그 신고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 1일부터 당해 신고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종료일까지의 기간(일반과세자)을 각각 1과세 기간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과세기간
- 원칙적인 소득세 과세기간: 1월 1일~12월 31일
- 예외: 거주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1월 1일부터 사망일까지를 과세기간으로 한다. 거주자가 출국하여 비거주자가 되는 경우에는 1월 1일부터 출국일까지를 과세기간으로 한다.
- 주의: 소득세 과세기간은 사업의 개시나 폐업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과세기간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2. 간이과세
- 간이과세자의 과세기간은 원칙적으로 1년 단위(1.1.~12.31.)이다

2021 전산회계운용사 가이드북, 대한상공회의소, p271, 291
과세기간, 간이과세의 특징
[해설작성자 : 작업치료사 김정구]

53. 우리나라의 보세구역 내에서 부품제조업을 하고 있는 사업자 한상공씨는 외국에서 도착한 물품을 원재료로 하여 생산한 제품을 보세구역 밖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박길동씨에게 ₩20,000,000(부가가치세 제외)에 공급하였다. 그 관세의 과세가격이 ₩3,000,000, 관세가 ₩2,000,000이라고 할 때 세관장이 징수할 부가가치세는 얼마인가?(2018년 05월)
     1. ₩600,000
     2. ₩700,000
     3. ₩500,000
     4. ₩800,00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세관장이 발행하는 수입세금계산서의 공급가액 = 관세의 과세가격 + 관세 + 개별소비세/주세/농특세 등 부가세
(3,000,000 + 2,000,000)×10% = 500,000원이 부가가치세가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4. 부가가치세법상 영세율과 면세를 비교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영세율은 소비지국과세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이나, 면세는 부가가치세의 역진성완화를 위한 제도이다.
     2. 영세율이 적용되는 재화를 공급하는 자는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자이다.
     3. 면세되는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는 자는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자가 아니다.
     4. 영세율 사업자에게는 대리납부의무가 있으나, 면세사업자는 대리납부의무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50%

55. 다음 중 소득세법상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10월)
     1. 법인세법에 따라 상여로 처분된 금액
     2. 퇴직으로 인하여 받는 소득으로서 퇴직소득에 속하지 아니하는 소득
     3. 기밀비 명목으로 받은 것으로서 업무를 위하여 사용된 것이 분명하지 않은 급여
     4. 사용자가 직접 임차하여 임원이 아닌 종업원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주택을 제공받음으로써 얻은 이익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종업원이 사택을 제공받음으로서 얻는 이익은 근로소득에서 제외하는 것임
종업원 등이 사택을 제공받음으로써 얻는 이익은 소득세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 제6호 단서 및 같은법 시행규칙 제15조의 2의 규정에 의한 사택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근로소득에서 제외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거주자 갑은 다음과 같이 수출을 하고 있는 사업자이다. 다음 금액을 통하여 2017년 1기 예정신고 시 납부할 금액은 얼마인가? (단,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다.)(2017년 05월)

    

     1. 납부 ₩1,000
     2. 환급 ₩1,000
     3. 환급 ₩2,000
     4. 납부 ₩2,000

     정답 : []
     정답률 : 53%

57.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자의 납부의무 면제 및 간이 과세 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8년 05월)
     1. 간이과세자의 해당 과세기간에 대한 공급대가가 3,600만 원 미만인 경우에는 납부세액을 납부할 의무를 면제한다.
     2. 납부의무가 면제되는 사업자가 자진납부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에는 관할세무서장은 납부한 금액을 환급하여야 한다.
     3. 간이과세를 포기한 개인사업자는 그 적용받으려는 달의 1일부터 5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까지는 일반과세를 적용받아야 한다.
     4. 일반과세자의 경우도 일반과세 포기제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019년 8월 현재
1번 보기 : 간이과세자의 납부의무면제는 공급대가가 3,000만원 미만인 경우이다.
2번 보기 : 간이과세자의 매입세액공제등이 납부할 세액을 초과하는 경우는 그 금액을 없는것으로 본다. 즉, 환급이 불가하다. 단, 과오납의 경우에는 납부한 금액의 환급이 가능하다.
3번 보기 : 간이과세를 포기한 사업자는 3년간 다시 간이과세를 적용받지 못한다.
4번 보기 : 일반과세의 경우 포기제도가 없다. 면세, 간이과세에 대하여서만 포기제도가 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8. 거주자 갑은 2018년 2기 확정신고 시 과세표준을 과세당국에 신고하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과세당국에 의하여 결정될 매출세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아래 금액은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다.)(2018년 05월)

    

     1. ₩1,000
     2. ₩2,000
     3. ₩3,000
     4. ₩4,00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가 : 쌀은 면세이므로 해당 없음
나 : 물납은 공급으로 보지 않음
다 : 손해배상금은 과세표준에 포함되지 않음
라 : 용역의 간주공급에 해당하므로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임
마 : 향후 반환조건이 아니므로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임(반환조건인 경우 과세대상이 아님)
∴20,000×10% = 2,000
[해설작성자 : 다희쌤♡]

59.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자의 신고와 납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간이과세자는 과세기간의 과세표준과 납부세액을 그 과세기간이 종료 후 25일 이내에 사업장 관할세무서장에게 신고ㆍ납부하여야 한다.
     2. 간이과세자는 해당 과세기간에 대한 공급대가의 합계액이 3,000만원 미만이면 그 과세기간의 납부세액의 납부의무를 면제한다.
     3. 간이과세자는 매입세액이 매출세액보다 많아도 환급이 발생하지 않는다.
     4. 간이과세자는 영수증만을 발급하므로, 발급받은 세금계산서에 대한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할 의무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세금계산서 수취
매입세액*부가율
부가세액에서 공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성세법에 따라 4,800만원으로 개정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회계쟁이 비르]

60. 다음 제시된 자료에서 거주자 홍길동(근로제공기간 : 10개월)의근로소득 총급여의 합계를 구하면 얼마인가? (단,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실업급여 이외에 주어진 금액은 근로제공기간의 총금액이다.)(2018년 05월)

    

     1. ₩22,000,000
     2. ₩22,500,000
     3. ₩25,600,000
     4. ₩26,100,00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급여 20,000,000원 + 상여금 2,000,000원 + (식사대 중 50,000원 ×10개월) = 22,500,000
실업급여는 비과세급여이며, 식사대는 식사를 제공받지 아니하는 경우 월 10만원까지는 비과세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78978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8 지적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987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986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98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984 F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983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982 9급 지방직 공무원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789780)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980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7
979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97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지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823801)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977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976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01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975 소방공무원(공개) 사회(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974 전산회계운용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973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1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5
972 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5
971 DIAT 정보통신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97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522857)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969 유기농업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Board Pagination Prev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 206 Next
/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