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371821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계통분류학


1. 총포가 있는 두상화서를 가지며 5수성 합판화관과 취약웅예로 특징 지을 수 있는 분류군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콩과
     2. 인동과
     3. 용담과
     4. 국화과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화서(꽃차례) : 꽃이 줄기나 가지에 배열되는 모양 또는 자리 관계
* 화서는 크게 유한화서와 무한화서로 나뉜다
● 두상화서
    -. 무한화서이다
    -. 대표적인 것이 국화과이다.(개망초,해바라기,백일홍)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 다음 중 박벽포자낭을 갖는 양치식물은?(2009년 05월)
     1. 물부추
     2. 네가래
     3. 고사리삼
     4. 속새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박벽포자낭(薄壁胞子囊,leptosporangium): 벽이 얇은 포자낭, 생산 포자수 적음
진포자낭: 속새
다포자낭: 물부추
진정포자낭: 고사리삼
[해설작성자 : swim]

3. 다음 식물과 중 대부분의 종이 방사상칭꽃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물푸레나무과(Oleaceae)
     2. 두릅나무과(Araliaceae)
     3. 현삼과(Scrophulariaceae)
     4. 차나무과(Theaceae)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현삼과
    -. 꿀풀과에 속하고, 턱잎이 없다
    -. 꽃 구조 : 좌우대칭의 양성화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 다음 중 피자식물에 있어 소포자낭(microsporangium)에 해당하는 것은?(2009년 05월)
     1. 화사(수술대)
     2. 자방(씨방)
     3. 주두(암술머리)
     4. 약(꽃밥)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대포자낭: 이형포자형 생식에서 반수체의 대포자를 생산하는 생식구조. 배주
[해설작성자 : swim]

●소포자낭
    -. 소포자가 들어 있는 주머니 모양의 생식 기관
         (이형포자를 가진 식물에서 볼 수 있는 생식기관)
    -. 종자식물의 꽃밥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 다음 중 유형동물과 관계 없는 것은?(2006년 05월)
     1. 불완전한 소화계
     2. 문강과 구문
     3. 배설계로 원신관을 소유
     4. 혈관 보유

     정답 : []
     정답률 : 62%

6. 다음 중 유형동물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소화관은 완전한 경로를 가진다.
     2. 문강과 구문을 가진다.
     3. 체절성이며, 신경계가 없다.
     4. 혈관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유형동물(紐形動物): 등과 배가 반대인 좌우대칭 동물. 몸이 길쭉한 끈 모양 ex)끈벌레
[해설작성자 : swim]

●유형동물
    -. 좌우 대칭의 무체강 선구동물로, 후생동물이다
    -. 몸은 편평하고 가늘며 길다.
    -. 체절른 없고, 신경계는 있다
    -. 흔히 끈벌레라 불린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7. 다음 연체동물 중 낙지, 문어, 앵무조개 등을 포함하는 무리로 유영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사새아강, 이새아강으로 나뉘는 것은?(2012년 05월)
     1. 두족강
     2. 복족강
     3. 굴족강
     4. 미공강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두족류 : 두족강(頭足綱)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
    -. 낙지, 문어, 오징어, 앵무조개 등을 지칭하는 생물 분류.
         척추 구조가 없는 무척추동물이며, 뼈도 없는 연체동물의 한 강을 이루고 있는 무리를 이른다
    -. 좌우대칭형이며 몸통이 머리의 위에 붙어있고
    -. 머리의 밑에 바로 다리가 존재하는 것을 공통적인 특징으로 하는 동물들을 부류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 신종을 발표하는 논문을 작성할 때, 가장 가까운 종들과의 중요한 차이에 대한 간략한 기술은 다음 중 어느 항목에서 언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2008년 05월)
     1. 기상(diagnosis)
     2. 고찰(discussion)
     3. 요약(abstract)
     4. 관찰재료(material examined)

     정답 : []
     정답률 : 63%

9. 다음 중 배우자체 세대가 포자체 세대보다 더 우세한 식물군은?(2006년 05월)
     1. 피자식물
     2. 나자식물
     3. 양치식물
     4. 선태식물

     정답 : []
     정답률 : 63%

10. 동물명명규약상 신종을 밝히는데 사용된 모식계열(type series)표본 중 holotype을 제외한 모든 모식표본을 일컫는 것은?(2008년 05월)
     1. syntype
     2. lectotype
     3. neotype
     4. paratype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paratype : 병저표본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1. 다음은 어떤 식물이며 생활사에서 어느 세대에 속하는가?(2012년 05월)

    

     1. 나자식물의 배우체
     2. 양치식물의 배우체
     3. 나자식물의 포자체
     4. 양치식물의 포자체

     정답 : []
     정답률 : 85%

12. 다음 중 피자식물이 나자식물에 비해 보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우점적 위치를 차지하는데 기여한 주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통수요소로 도관절세포가 있어 효율적으로 물을 수송할 수 있다.
     2. 배주가 나출되어 있지 않고 심피에 둘러싸여 있다.
     3. 보다 다양한 매개자를 통해 수분(pollination)이 일어난다.
     4. 중복수정을 하지 않으며, 수정 후 접합자가 방출되지 않고 그대로 배로 발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 피자식물(겉씨식물)
    -. 종자가 씨방에 둘러싸여 있는 특징을 가진다
    -. 종자가 씨방에 보호되어 있으며, 꽃이 피고 수정 후 과실로 발달한다
    -. 잎은 활엽(넓은 잎)이며, 망상맥이다
    -. 쌍자엽식물(예: 사과나무,백합)과 단자엽식물(예: 벼,옥수수)로 나뉜다
    -. 물관(수분 이동)과 체관(탄수화물 이동)을 모두 가진 유관속을 발달시킨다
    -. 꽃과 과실을 통해 번식하며, 대부분의 종자식물이 속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 피자식물은 중복수정을 한다
● 접합자는 배아(씨앗의 일부)로 발달한다(배=배아)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3. 다음 중 환형동물의 질강과 빈모강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06월)
     1. 강모와 환대가 있다.
     2. 자웅동체이며 생식공이 전체에 열려있다.
     3. 큰 체강은 격막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다.
     4. 체절의 수가 종에 따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환형동물(環形動物)
    -. 척추가 없고, 속이 빈 원통 모양으로 생긴 동물을 뜻한다.
    -. 머리와 몸통이 구별되지 않는게 특징이다.
    -. 지렁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바다에 서식한다
    -. 생식 : 유성생식 또는 무성생식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4. 다음 중 잉어목 어류에서 부레와 내이를 연결하여 소리 감지에 관여하는 것은?(2009년 05월)
     1. 웨베르기관(weberian apparatus)
     2. 부레관(air bladder tube)
     3. 인두열(pharyngeal cleft)
     4. 유문낭(pyloric bag)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 웨베르기관
    -. 소리 전달기관이다
    -. 잉어과, 메기과는 웨베르기관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5. 다음 중 생태적 변이(ecological variation)가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사고 및 기형적 변이
     2. 숙주에 따른 변이
     3. 일시적 기후조건에 따른 변이
     4. 서식처에 따른 변이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생태적 변이-서식처에 따른 변이, 일시적 기후조건에 따른 변이, 숙주에 의한 변이, 신경원성 색 변이
                        서식밀도에 따른 변이, 비비례생장에 따른 변이
[해설작성자 : 히어리]

16. 다음 피자식물 아강 중 만생배주나 급만생배주가 아주 흔하고, betalain을 갖고 있으며, 독립중앙태좌 또는 기저태좌를 갖거나 이상 두 가지를 모두 가지는 것은?(2013년 06월)
     1. 조록나무아강
     2. 석죽아강
     3. 국화아강
     4. 생강아강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석죽아강
    -. 목련아강에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분류군으로 독립중앙태좌 또는 기저태좌의 특징을 보인다
    -. 베탈린이라는 화학물질을 함유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7. 형태적으로는 거의 차이를 찾아내기가 어려울 만큼 아주 근사하지만 생식적으로 격리된 종을 의미하는 것은?(2011년 06월)
     1. 동소종(sympatric species)
     2. 이소종(allopatric species)
     3. 생태종(eco species)
     4. 동포종(sibling species)

     정답 : []
     정답률 : 88%

18.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의 일반적인 특징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않은 것은?(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91%

19. 호모플라시(Homoplas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공동조상에서 갈라진 후손들로 구성되나, 몇몇 후손들이 제외된 경우
     2. 둘 이상의 분류군이 공유하는 형질상태가 상동인 파생형질 상태가 아닌 경우
     3. 조상종과 그로부터 파생된 모든 종을 포함하는 경우
     4. 이분지형 분기도에서 그들의 조상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의미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3%

20. 다음 계통분류에 사용되는 용어 중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09년 05월)

    

     1. hyphothesy
     2. ancestosy
     3. homology
     4. homoplasy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 homoplasy : 상사성(ex, 박쥐와 새의 날개)
    박쥐와 새처럼 종 간 거리는 멀어도 공통적으로 날개를 가진다는 유사성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과목 : 환경생태학


21. 생태계의 점이대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05년 09월)
     1. 높은 종풍부도와 밀도가 높다.
     2. 종의 진화에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3. 둘 이상의 서식처를 필요로 하거나 자주 이용하는 종이 서식한다.
     4. 희귀종의 서식확률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69%

22. 육상생태계의 천이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8년 09월)
     1. 음수림-양수림-초본-관목림
     2. 관목림-초본-음수림-양수림
     3. 초본-관목림-양수림-음수림
     4. 음수림-양수림-관목림-초본

     정답 : []
     정답률 : 88%

23. 한정된 자원에 대한 둘 또는 그 이상의 생물들 사이의 경쟁에서 한쪽이 이익을 차지하면 다른 한쪽은 경쟁에서 짐으로써 피해를 입게 되는 경쟁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2006년 05월)
     1. 이용경쟁(exploitative competition)
     2. 간섭경쟁(interference competition)
     3. 일반경쟁(nonspecific competition)
     4. 협동경쟁(cooperative competition)

     정답 : []
     정답률 : 57%

24. 개체군에서의 무서열 경쟁은 승자에 의한 자원의 독점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 중 제한된 자원의 존재하에서 무서열 경쟁의 밀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2009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3%

25. 개체군의 성장이 S자 형일 때 환경저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9년 09월)
     1. 개체군 감소에 따른 배우자 선택이 풍부해진다.
     2. 개체수의 증가로 생활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3. 개체수의 증가로 먹이가 부족하여 개체간의 경쟁이 심하다.
     4. 개체수의 증가에 따른 노폐물의 양도 증가하여 환경오염이 심해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26. 포식자와 피식자 사이의 관계에 있어 포식(predation)을 피하기 위해 몸의 모양이나 빛깔 따위가 주위의 물체와 비슷하게 되는 피식자의 행동으로 볼 수 있는 것은?(2013년 06월)
     1. 경쟁(competition)
     2. 기생(parasitism)
     3. 의태(mimicry)
     4. 편리공생(commensalism)

     정답 : []
     정답률 : 88%

27. 대기오염물질 중 2차 오염물질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9월)
     1. CO
     2. SO2
     3. CH4
     4. H2SO4

     정답 : []
     정답률 : 61%

28.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에 포함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6월)
     1. 군집내 영양단계 등의 기능적 역할
     2. 기후, 온도, pH 등 여러 가지 환경구배에서 그 생물이 차지하는 적정범위(위치)
     3. 시간에 따른 군집의 변화
     4. 그 생물이 차지하는 물리적 공간

     정답 : []
     정답률 : 71%

29. 지구에서 생물이 존재하는 부분을 일컫는 말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9월)
     1. 생물군계(biome)
     2. 생물권(biosphere)
     3. 환경(environment)
     4. 군집(community)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생물권 : 생물권은 지구상의 모든 생태계와 생물체를 포함하는 가장 큰 생물학적 단위로,
                     기권,수권,지권을 포괄합니다. 이는 생태학적 연구에서 가장 넓은 범위로,
                     생명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0. 다음 중 생물적 개체군 조절(biotic population control)의 예가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흑사병
     2. 가뭄
     3. 경쟁
     4. 개체군 밀도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76%

31. 각각의 군집을 섬으로 생각하는 도서생물지리분포이론을 이용하여 생물군집의 형성에 대한 이해를 쉽게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군집형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섬의 크기가 크면 생물학적 니체의 수가 많으므로 이동해 오는 종들의 소멸률이 낮다.
     2. 종들의 이동원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우면 종들의 이입률이 높아지고 반대로 거리가 멀면 낮아진다.
     3. 이동원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군집이 먼 군집보다 많은 수의 종으로 이루어진다.
     4. 종들의 이입률이 높아지면 종 다양성을 이루어 종의 소멸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 종 이입률이 높아지면 종다양성이 증가하여 종간 경쟁이 격화되므로 소멸율이 증가할 수도 있다.
[해설작성자 : 굴뚝새]

32. 총면적 10km2인 어느 지역 중 산지 면적이 4km2이다. 이 산지 내에 100본의 소나무와 50본의 참나무가 있을 때, 소나무의 생태밀도(ecological density)는?(2007년 05월)
     1. 10본/km2
     2. 17본/km2
     3. 25본/km2
     4. 38본/km2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생태밀도는 실질적으로 생물이 서식하는 범위로 계산
100/4
[해설작성자 : 고구마]

33. 생태계에서 에너지는 각 영양단계를 옮겨갈 때마다 일부만 옮겨가고, 나머지는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옮겨가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9월)
     1. 생태 피라미드
     2. 에너지 효율
     3. 에너지 생산
     4. 에너지 피라미드

     정답 : []
     정답률 : 65%

34. 지구 온난화 현상의 영향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6년 05월)
     1. 동 · 식물의 분포에 영향을 줄 것이다.
     2. 이산화탄소 및 메탄의 배출량이 감소하여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킬 것이다.
     3. 해수면이 상승할 것이다.
     4. 여름철 질병발생률을 높일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35. 2종의 짚신벌레(Paramecium)를 동시배양할 때와 따로 배양할 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과정을 설명하는 법칙은?(2018년 09월)

    

     1. 최소량의 법칙
     2. 경쟁 배제의 법칙
     3. 한계 효용의 법칙
     4. 내성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최소량의 법칙: 식물의 성장에서 여러 영양소가 아무리 풍부해도 그 중에 어느 한 가지가 최소량을 충족하지 못할 때 그 식물은 제대로 성장할 수 없다
-경쟁 배제의 법칙: 같은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는 두 종은 분서를 제외하고 공존할 수 없다
-내성의 법칙: 생물이 지니고 있는, 환경 조건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성질(또는 적응의 범위가 좁은 요소)이 그 생물의 생존을 제한한다
[해설작성자 : swim]

36. 다음 중 열대우림의 종다양성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낮은 우점도와 많은 수의 생물종
     2. 높은 우점도와 많은 수의 생물종
     3. 낮은 우점도와 적은 수의 생물종
     4. 높은 우점도와 적은 수의 생물종

     정답 : []
     정답률 : 68%

37. 맹그로브 늪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산호초의 배후면이나 만의 내부, 섬으로 둘러싸여 있음
     2. 조간대의 갯벌 해안에 잘 발달
     3. 낙엽활엽교목 및 수생식물로 구성
     4. 식물의 기근이 발달

     정답 : []
     정답률 : 69%

38. 수질오염의 영향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카드뮴 농축으로 인체의 골격이나 뼈에 영향을 미치면 골연화증이나 골다공증 등을 유발한다.
     2. ABS(알킬벤젠설폰산염)의 거품은 태양광선을 차단하여 수중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하며, 혐기성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시켜 물의 자정능력을 잃게 한다.
     3. 부영양성 호소의 퇴적물에서 자라는 혐기성 세균에 독소가 발생하여 어류가 죽기도 한다.
     4. 부영양성 호소의 용존산소와 영양염류가 풍부하여 빈영양성 호소보다 생물다양성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부영양성 호소는 용존산소가 낮아서 생물다양성이 낮다
    
* 부영양화 현상(꼭 암기 요망)
    -. 질소와 인의 농도가 높아져서 조류(식물 플랑크톤)의 과다 증식으로 녹조현상이 발생한다
    -. 다량으로 생산된 유기물의 미생물에 의한 분해로 인해 용존산소가 고갈되는 현상이다
    -. 부영양화가 진행되면 산소 결핍 때문에 대부분의 어패류가 죽는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9. 생활하수나 공장폐수가 수역에 유입되었을 때 발생하는 현상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부영양화 현상
     2. 분해성 유기물의 증가
     3. DO 및 COD 의 증가
     4. 일반적으로 중금속 농도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do 용존산소량은 감소, bod, cod 는 증가.
[해설작성자 : 굴뚝새]

40. 물에 난용성이므로 수용성 가스와는 달리 강우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물질의 흡착현상도 나타내지 않으며, 유해한 화학반응도 거의 일으키지 않는 오염물질은?(2012년 05월)
     1. SO2
     2. CO
     3. H2S
     4. NH3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CO: 일산화탄소
[해설작성자 : isp]

3과목 : 형태학


41. 척수(Spinal cor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척수는 신경배가 형성될 때 신경관의 전단부, 즉 뇌가 형성될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로부터 발생된다.
     2. 어류의 경우 외측에 섬유성 경질막과 내층에 맥관성인 유막으로 싸여 있다.
     3. 일반적으로 척수의 길이는 척주의 길이보다 짧다.
     4. 고등동물의 척수 끝부분은 원뿔 모양을 이루므로 이 부분을 척수원뿔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외측: 척추골로 둘러싸임
[해설작성자 : swim]

42. 유조직과 후각조직의 가장 큰 차이점은?(2007년 05월)
     1. 세포의 대사활동 가능여부
     2. 2차벽의 존재여부
     3. 세포벽의 비후양상
     4. 세포의 크기

     정답 : []
     정답률 : 82%

43. 일생 중 양성생식은 물론 단위생식도 함께 하는 곤충은?(2005년 09월)
     1. 왕사슴벌레
     2. 배추흰나비
     3. 창매미
     4. 복숭아흑진딧물

     정답 : []
     정답률 : 89%

44. 배(embryo)에서 장차 줄기나 잎으로 발달하게 될 부분은?(2012년 05월)
     1. 하배축(hypocotyl)
     2. 상배축(epicotyl)
     3. 유근(radicle)
     4. 근초(coleorhiza)

     정답 : []
     정답률 : 69%

45. 다음 중 평형곤(halter) 구조는 주로 어떤 곤충에서 볼 수 있는가?(2019년 09월)
     1. 벌목
     2. 파리목
     3. 메뚜기목
     4. 딱정벌레목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평형곤
    -. 파리류의 곤충에서 뒷날개의 퇴화 및 변형산물로 갖게 되는 곤봉모양의 가동체
    -. 파리가 날아갈 때 균형을 유지하고 회전이나 방향 전환 시 몸의 자세를 빠르게 감지해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6. 과피(果皮, pericarp)는 다음 중 어느 부분이 발달된 것인가?(2012년 05월)
     1. 꽃잎(petal)
     2. 꽃받침(sepal)
     3. 씨방벽(ovary wall)
     4. 밑씨(ovule)

     정답 : []
     정답률 : 86%

47. 1기 생장하는 뿌리에서 관다발 등 조직분화가 이루어지고 근모가 발생하는 부분은?(2006년 05월)
     1. 성숙(분화)대
     2. 신장대
     3. 분열대
     4. 근관

     정답 : []
     정답률 : 54%

48. 다음 중 다소 동질적인 조직으로 많은 분량을 차지하며, 주로 수와 피층 또는 섬유세포의 다발 등으로 발달하는 조직은?(2013년 06월)
     1. protoderm
     2. procambium
     3. ground meristem
     4. promeristem

     정답 : []
     정답률 : 57%

49. 진딧물류의 발생과정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05년 09월)
     1. 진딧물은 일반 곤충들과 같이 양성생식에 의해서만 번식된다.
     2. 진딧물은 일반 곤충들과 같이 난생에 의해서만 번식한다.
     3. 진딧물은 일반 곤충들과 같이 태생에 의해서만 번식한다.
     4. 진딧물은 양성생식에 의한 난생, 태생 그리고 단위생식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번식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50. 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외사관상 중심주는 종자식물군에서만 나타난다.
     2. 진화계통상 원생중심주가 관상중심주보다 원시적이다.
     3. 포위유관속은 나자식물과 피자식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유관속이다.
     4. 복병립유관속은 물관부나 체관부의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내측이나 외측에 분화한 유관속이다.

     정답 : []
     정답률 : 43%

51. 지렁이 소화계에서 입에서 항문에 이르는 구조들의 정확한 순서는?(2006년 05월)
     1. 인두 → 장 → 소낭 → 모래주머니
     2. 인두 → 식도 → 소낭 → 모래주머니 → 장
     3. 식도 → 모래주머니 → 장 → 소낭
     4. 식도 → 소낭 → 인두 → 모래주머니 → 장

     정답 : []
     정답률 : 82%

52. 조류의 호흡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공기가 허파 내에서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
     2. 폐를 중심으로 2쌍의 전기낭과 3쌍의 후기낭이 있다.
     3. 조류의 폐는 호흡과정 동안 부피가 별로 변하지 않는다.
     4. 기낭들은 실제적인 가스교환과는 거의 무관하고, 공기저장소로서의 역할과 공기를 폐로 출입시키는 작용을 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폐를 중심으로 3쌍의 전기낭과 2쌍의 후기낭이 있다.
     * 전기낭 : 앞쪽 공기주머니
     * 후기낭 : 뒤쪽 공기주머니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3. 육상지렁이에서 점액질이 고치(cocoon)가 분비되는 곳은?(2008년 05월)
     1. 위구절(peristomium)
     2. 환대(clitellum)
     3. 강모(seta)
     4. 암생식공(female renital pore)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환대 : 지렁이의 환대는 생식에 관여하는 기관으로,
                 성숙한 지렁이의 몸통 약 1/3 지점에 둥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환대는 지렁이가 짝짓기를 통해 알주머니(고치)를 생성하고 번식하는 데 필수적이다
* 고치 : 고치는 곤충이 번데기 단계에서 분비물로 만든 보호 구조물이다
                 주로 나방과 누에 등이 생성한다.(ex, 누에 고치)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4. 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외사관상 중심주는 종자식물군에서만 나타난다.
     2. 진화계통상 관상중심주가 원생중심주보다 원시적이다.
     3. 병립유관속은 나자식물과 피자식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유관속이다.
     4. 복병립유관속은 물관부나 체관부의 어는 한쪽이 다른 한쪽의 내측이나 외측에 분화된 유관속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5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신경계는?(2009년 05월)

    

     1. 체성신경계
     2. 자율신경계
     3. 대뇌번연계
     4. 교감신경

     정답 : []
     정답률 : 75%

56. 다음은 소나무과 식물의 잎 단면이다. 화살표가 지시하는 부분의 명칭은?(2011년 06월)

    

     1. 유관속 조직
     2. 내피
     3. 수지도
     4. 기공

     정답 : []
     정답률 : 85%

57. 대부분의 종자식물(seed plant)의 뿌리는 토양내의 곰팡이류와 공생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뿌리를 일컫는 용어는?(2007년 05월)
     1. 뿌리혹(root nodule)
     2. 균근(mycorrhiza)
     3. 호흡근(pneumatophore)
     4. 기근(aerial root)

     정답 : []
     정답률 : 80%

58. 곤충의 중 말피기기관(Malpighian tube)은 어떤 기관인가?(2005년 09월)
     1. 곤충의 중장과 후장 사이에 있는 배설기관이다.
     2. 곤충의 음식물의 소화흡수가 이루어지는 소화기관이다.
     3. 곤충의 청각기관이다.
     4. 곤충의 후각기관이다.

     정답 : []
     정답률 : 90%

59. 다음 중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입의 내피
     2. 혈액
     3. 비강의 내피
     4. 분비선을 덮고 있는 조직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혈액은 지지조직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혜동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혈액은 결합조직

60. 줄기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엽액에 위치한 눈을 맥아(axillary bud)라 한다.
     2. 단자엽식물의 줄기는 부제중심주(atactostele)를 갖는다.
     3. 단자엽식물의 기본조직은 피층과 수로 구분된다.
     4. 주축유관속이 독립성이 없고, 횡으로 연결되어 서로 망상을 이루는 유관속계를 폐쇄형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줄기의 기능
    -. 운반작용, 지지작용, 호흡작용, 저장작용을 한다
    -. 체관은 양분을 식물체 전체에 공급하고, 물관은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 단자엽식물
    -. 줄기는 관다발이 흩어져 있고 형성층이 없어 줄기가 굵어지지 않는다
    -. 단자엽식물의 줄기는 피층, 형성층, 중심 실질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년 생장이 없어 연륜이 형성되지 않는다
    -. 단자엽식물은 줄기의 길이 생장이 주된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과목 : 보존 및 자원생물학


61. 훼손된 자연생태계 교정방법 중 “복원(restoration)"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06월)
     1. 원래의 생태계로 회귀가 불가능한 경우 구조적으로 완전히 다르지만 자연 생태계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는 교정에 중점을 두는 행위
     2. 정확한 회귀는 아니지만 기능이나 구조에서 거의 유사한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자연 생태계의 기능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행위
     3. 훼손된 환경에 대한 교정 노력이 적극적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 중 원래 존재하던 상태로 정확히 회귀하는 것
     4. 생태계 스스로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 동안 훼손된 지역을 그대로 두는 것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복원은......『원래 존재하던 상태로 정확히 회귀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2. 최소 생존 개체군(MVP)을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서식지의 크기(면적)를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6월)
     1. 최소요효면적(Minimum Effect Area)
     2. 최소역동면적(Minimum Dynamic Area)
     3. 최소보호면적(Minimum Preservation Area)
     4. 최소생존면적(Minimum Survival Area)

     정답 : []
     정답률 : 77%

63. 다음은 종 다양성 비교를 위한 다양성지수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알파다양성
     2. 베타다양성
     3. 감마다양성
     4. 델타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감마 다양성 : 지역의 종다양성(어떤 종들이 지리적으로 다른 지역에서 같은 종류의 서식처를 만날 확률)
* 알파 다양성 : 한 지역이나 서식처 내에서 단일 군집 내의 종수(한 지역 내의 생물종))
* 베타 다양성 : 지역내에서의 군락 다양성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4. 대부분의 동물원에서 종보전을 위해 역점을 두는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8년 05월)
     1. 인공 증식
     2. 종보전을 위한 교육
     3. 보호를 위한 희귀동물의 채집
     4. 희귀종의 야외 적응 훈련

     정답 : []
     정답률 : 64%

65. 개체군 수준의 효율적 보전을 위한 설계 및 실행에 요구되는 개체생태학적 의문의 범주가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개체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포식자의 제거방법은 무엇인가?
     2. 환경에 영향을 주는 재난에 의한 교란은 얼마나 잦은가?
     3. 서식지 내에서 종이 발견되는 장소는 어디인가?
     4. 과거 및 현재의 개체군의 크기는 어떠한가?

     정답 : []
     정답률 : 77%

66. 다음 중 멸종속도 및 고유종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인류 역사상 멸종은 도서지역에 비해 대륙이 아주 심각하게 발생했다.
     2. 지리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고유종의 비율이 높다.
     3. 마다가스카르 섬은 고유종의 비율이 높다.
     4. 열대 습윤 산림지대에서 고유종의 비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85%

67. 경관수준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특정 군집 종류의 풍부도와 관계가 있다.
     2. 군집 종류의 상대적 밀도에 근거한다.
     3. 지역의 크기, 모양, 연결성 등에 따른다.
     4. 생물다양성이 낮은 지역은 다수의 군락으로 균일하게 덮여 있는 곳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68. 생물다양성 보전은 매우 중요한 환경적 현안으로 대두되었으며 이와 함께 생물다양성 개념은 보다 명확히 정의되었다. 다음 중 생물다양성의 3가지 의미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유전적 다양성
     2. 종 다양성
     3. 군집 및 생태적 다양성
     4. 진화적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83%

69. 야생 동·식물 지정 보호와 관련하여 맞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지자체가 조례로 정하여 야생동식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2. 환경부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종의 개체수 증감의 주요원인에 대한 보전대책을 마련한다.
     3. 다른 법에 의해 보호야생동물이 보호될 경우 별도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수 있다.
     4. 보호야생동식물의 서식지에 대해서는 토지이용방법을 엄격히 규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70. 동물원에서 종을 보존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지식으로는 인위적인 사육이 “무척추동물에서” 불가능한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18년 09월)
     1. 사육에 엄청난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
     2. 생활주기가 복잡하여 생장 단계에 따라 먹이 습성과 생육에 요구되는 환경조건이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
     3. 생식률이 매우 낮기 때문
     4. 체구가 매우 크거나 특수한 환경조건이 필요하기 때문

     정답 : []
     정답률 : 87%

71. 종이 생존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크기의 개체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최소 존속개체군이라 한다.
     2. 종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개체군을 최소로 유지한다.
     3. 서식지 크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4. 보전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72. 절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야생에서 졀멸된 것은 종 내의 개체가 포획된 상태나 인간이 통제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살아있을 때를 말한다.
     2. 생태적으로 절멸된 것은 서식지가 없어져 종이 사라진 것을 언급한다.
     3. 국지적으로 절멸된 것은 한 곳에서는 종이 사라졌지만, 다른 곳에서는 살고 있는 것을 언급한다.
     4. 한 종의 어떤 기체도 지구상에 없을 때 그 종은 절멸한 것으로 간주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생태적으로 절멸된 것은 군집 내 다른종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정도로 적으 수로 감소된 종류(예:호랑이)
[해설작성자 : 방랑자]

73. 다음 생물다양성(Biological diversity) 척도 중 특정 환경에 대한 종들의 진화적, 생태적 적응 범위를 결정하는 지표에 해당하는 것은?(2007년 05월)
     1. 유전적 다양성
     2. 종 다양성
     3. 군집 다양성
     4. 생태계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60%

74.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변화와 멸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해수면의 상승으로 해안습지의 파괴
     2. 소나무 군락의 분포가 현재보다 북쪽으로 이동
     3. 산호초 서식지의 북방한계선 변동
     4. 온도의 상승으로 모든 생물종의 분산능력이 증가

     정답 : []
     정답률 : 90%

75. 자연적 멸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5월)
     1. 대규모의 절멸(mass extinction)은 폐름기(Permian)에 일어났다.
     2. 예상치 못한 급격한 대재앙이 지구상에서 일어났을 때 자연적 멸종은 저속화, 소량화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3. 모든 지질학적 연대기를 통해 나타난 멸종의 정도는 거의 일정하다.
     4. 대절멸과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으면 생물종의 멸종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폐름기 : 폐름기의 대멸종은 약 2억 5천만 년 전에 지구상의 생물의 대부분이 멸종한 역사상 최악의 사건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76. 생물다양성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생물학적 다양성은 고등 동식물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다양성에 한정된다.
     2.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종은 보고된 것과 추정된 종을 합하여 약 100만 종이다.
     3. 생물다양성은 자연의 생산력과도 깊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다.
     4. 군집 내 생물간의 상호작용이 다양하면 서로 경쟁하여 생태계 기능이 저하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77. 희귀종 소개체군에서 동일종의 교배 상대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결국 다른 유사종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이 염색체와 효소 체계의 불화합성 때문에 약하거나 붙임이 될 수 있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5월)
     1. 타식약세
     2. 근친교배
     3. 대립생태
     4. 이형부생

     정답 : []
     정답률 : 70%

78. 어떤 두 종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설명 중 두 개체군이 모두 이익을 얻으며, 서로 상호작용을 하지 않으면 생존하지 못하는 관계를 의미하는 용어는?(2018년 09월)
     1. 편리공생(commensalism)
     2. 항생(antibiosis)
     3. 상리공생(mutualism)
     4. 기생(parasitism)

     정답 : []
     정답률 : 88%

79. 지구 온난화는 기후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동식물 서식지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는데 이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사과 등 작물의 재배기능 한계선은 현재보다 남쪽으로 확장되며, 특히 종자식물들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
     2. 식생대의 단순화로 인해 식물종들 간의 경쟁작용을 높여 열세종의 도태를 증가시키므로, 생물 상호작용으로 인한 다양성 감소현상은 가속화된다.
     3.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질소량의 증가를 유발하여, 식물체에 비료성분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식물체의 질적 상태를 개선시킨다.
     4. 지구온난화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큰 물질은 SO2, CO 등이 대표적이며 이 물질은 성층권에 도달하여 오존층을 파괴하여 식물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정답 : []
     정답률 : 76%

80. 유기염소 살충제가 먹이사슬을 거치며 축적되는 「생물농축」의 과정을 기술한 레이첼 카슨의 책은?(2007년 05월)
     1. 침묵의 봄
     2. 가이아
     3. 훌륭한 신세계
     4. 린네의 생태일기

     정답 : []
     정답률 : 92%

81.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 지정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특이한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
     2. 희귀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지역
     3.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지니고 있는 지역
     4. 가뭄에도 습지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습지보호지역의 지정 기준
*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이 서식하는 지역
* 상태적으로 중요한 물새의 번식지나 서식지
* 독특한 지형이나 지질적 특징을 가진 습지
* 과학적 연구와 교육자료로 활용 가능한 지역
* 홍수방지,수질정화,기후조절 등의 생태적 기능이 뛰어난 지역
* 해당 지역 주민과 환경보호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습지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2.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규상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수달
     2. 고라니
     3. 참수리
     4. 감돌고기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수달(포유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 참수리(조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 감돌고기(어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3. 습지보전법령상 명예습지생태안내인의 위촉기간기준은?(2011년 06월)
     1. 1년으로 한다.
     2. 2년으로 한다.
     3. 3년으로 한다.
     4. 5년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습지보전법 시행령>
[시행 2025. 4. 1.] [대통령령 제35430호, 2025. 4. 1., 일부개정]
②법 제22조의3의 규정에 의한 명예습지생태안내인의 위촉기간은 2년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4. 국토기본법상 국토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1년 06월)
     1. 광역종합계획
     2. 부문별계획
     3. 시ㆍ군종합계획
     4. 지역계획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국토기본법>
제6조(국토계획의 정의 및 구분)
① 이 법에서 “국토계획”이란 국토를 이용ㆍ개발 및 보전할 때
     미래의 경제적ㆍ사회적 변동에 대응하여 국토가 지향하여야 할 발전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말한다.
② 국토계획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국토종합계획, 초광역권계획, 도종합계획, 시ㆍ군 종합계획, 지역계획 및 부문별계획으로 구분한다.
     <개정 2011. 4. 14., 2021. 8. 10., 2022. 2. 3.>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5.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생태계 변화 관찰의 대상 지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2.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 · 도래지
     3. 외래종의 유입이 빈번하여 잦은 방제가 필요한 지역
     4. 자연환경의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

     정답 : []
     정답률 : 74%

86. 야생동·식물 보호법상 벌칙기준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행위는?(2008년 05월)
     1. 멸종위기야생동·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야생동물중 환경부령이 정하는 야생동물을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없이 수출·수입·반출 또는 반입한 자
     2. 국제적멸종위기종 및 그 가공품을 환경부장관의 승인없이 수입 또는 반입 목적외의 용도로 사용한 자
     3.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하여 보호할 가치가 높은 것으로서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지정·고시하는 생물자원을 환경부장관의 승인 없이 국의로 반출한 자
     4. 지정된 수렵장외의 장소에서 수렵한 자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제21조(야생생물의 수출ㆍ수입ㆍ양도ㆍ양수ㆍ보관 등)
①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야생생물 중 생물종을 보호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종을 수출ㆍ수입ㆍ반출 또는 반입하려는 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허가기준에 따라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개정 2014. 3. 24., 2022. 12. 13.>

8. 제21조제1항을 위반하여 허가 없이 야생생물을 수출ㆍ수입ㆍ반출 또는 반입한 자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제70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7.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규상 개발제한구역의 경계선을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석의 규격 및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표석재료는 강화플라스틱(FRP), 표석색채는 녹색으로 한다.
     2. 개발제한구역 글씨는 음각 후 압출마감(흑색)하고 번호(백색)는 도색마감으로 부착한다.
     3. 강화플라스틱과 콘크리트로 된 기초가 일체가 되도록 설치한다.
     4. 서체 : 고딕체, 색상 : 녹색(Pantone 370C)·백색(White 100%)·흑색(Black 100%)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규칙
[시행 2024. 2. 14.] [국토교통부령 제1306호, 2024. 2. 14., 일부개정]
제2조(경계표석의 설치 및 관리)
         ② 경계표석의 규격 및 설치방법은 별표 1과 같다.
                2. "개발제한구역"이라는 글씨는
                        음각 후 도색마감(흰색)을 하고,
                        번호(검은색)는 알루미늄 압출마감으로 붙인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의 용도지역은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구분한다. 이중 자연환경보전지역의 법령상의 건폐율과 용적률 범위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2006년 05월)
     1. 건폐율 : 20퍼센트 이하, 용적률 : 40퍼센트 이하
     2. 건폐율 : 20퍼센트 이하, 용적률 : 80퍼센트 이하
     3. 건폐율 : 10퍼센트 이하, 용적률 : 40퍼센트 이하
     4. 건폐율 : 10퍼센트 이하, 용적률 : 80퍼센트 이하

     정답 : []
     정답률 : 72%

89.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1회에 한하여 3년 이내의 기간동안 개발행위 허가를 제한할 수 있는 지역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6년 05월)
     1. 녹지지역으로 수목이 집단적으로 생육되고 있는 지역
     2. 계획관리지역으로 조류 증이 집단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지역
     3.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지역으로 용도지역변경이 예상되는 지역
     4. 개발행위로 인하여 주변의 환경, 경관, 미관 등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72%

90. 국토기본법상 다음 중 지역계획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시군개발계획
     2. 개발촉진지구개발계획
     3. 광역권개발계획
     4. 수도권발전계획

     정답 : []
     정답률 : 41%

9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건폐율의 특례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2006년 05월)
     1. 도시지역외 지역에 지정된 개발진흥지구 : 60% 이하
     2. 농공단지 : 40% 이하
     3. 수산자원보호구역 : 40% 이하
     4. 공업지역안에 있는 국가산업단지 : 60% 이하

     정답 : []
     정답률 : 49%

92. 농지법상 농업진흥구역안에서 가능한 토지이용행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9년 05월)
     1. 폐수배출시설의 설치
     2. 국방, 군사시설의 설치
     3. 비석이나 기념탑의 설치
     4. 어린이놀이터 설치

     정답 : []
     정답률 : 64%

93.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을 위해 설치할 수 있는 시설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5월)
     1. 습지연구시설
     2. 습지준설복원시설
     3. 습지오염방지시설
     4. 습지생태관찰시설

     정답 : []
     정답률 : 84%

94.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 지정고시 및 지정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08년 05월)

    

     1. ① 국토관리청, ② 환경부령
     2. ① 공원관리청, ② 환경부령
     3. ① 공원관리청, ② 대통령령
     4. ① 국토관리청, ② 대통령령

     정답 : []
     정답률 : 75%

95.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 지정고시 및 지정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 국토관리청, ㉡ 환경부령
     2. ㉠ 공원관리청, ㉡ 환경부령
     3. ㉠ 공원관리청, ㉡ 대통령령
     4. ㉠ 국토관리청, ㉡ 대통령령

     정답 : []
     정답률 : 64%

96.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상 환경부장관이 조사원으로 하여금 무인도서 등의 자연생태계 등에 대한 원활한 조사를 하도록 하기 위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도지사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관할 출입제한구역안의 출입
     2. 도서조사원증의 발급 및 조사권 부여
     3. 조사에 필요한 선박 등 장비 및 인력의 지원
     4. 조사관련자료의 열람 또는 대출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4조(무인도서등의 자연생태계등 조사)
    ①법 제6조의 규정에 의한 무인도서등의 자연생태계등에 대한 조사(이하 이 조에서 “조사”라 한다)의 내용은
        다음 각호와 같다. <개정 2004. 6. 25.>
        1. 동ㆍ식물의 분포 및 현황
        2. 식생현황
        3. 특이한 지형ㆍ지질 및 자연환경의 현황
        4. 해안의 상태 및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현황
        5. 기타 자연생태계등의 보전을 위하여 특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환경부장관이 인정하는 사항

    ④환경부장관은 조사원이 조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에게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을 받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협조하여야 한다. <개정 2004. 6. 25., 2007. 11. 15.>
        1. 관할 출입제한구역안의 출입
        2. 조사관련자료의 열람 또는 대출
        3. 조사에 필요한 선박 등 장비 및 인력의 지원

    ⑤환경부장관은 조사개시일 10일전까지 환경부령이 정하는 사항이 포함된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관계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개정 2007. 11. 15.>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7. 농지법상 농지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6월)
     1. 초지법에 의하여 조성된 토지
     2. 실제 토지현상이 일년성 식물재배지
     3. 배수장 수로 등 농지 개량시설 부지
     4. 농산물유통에 직접 사용되는 부지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농지”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토지를 말한다.
가. 전ㆍ답, 과수원, 그 밖에 법적 지목(地目)을 불문하고 실제로 농작물 경작지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년생식물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 다만, 「초지법」에 따라 조성된 초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는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원큐쟁이]
     <농지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07. 12. 21., 2009. 4. 1., 2009. 5. 27., 2018. 12. 24., 2021. 8. 17., 2024. 1. 2.>

        1. “농지”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토지를 말한다.
             가. 전ㆍ답, 과수원, 그 밖에 법적 지목(地目)을 불문하고 실제로 농작물 경작지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년생식물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
                     다만, 「초지법」에 따라 조성된 초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는 제외한다.
             나. 가목의 토지의 개량시설과 가목의 토지에 설치하는 농축산물 생산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의 부지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8.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생물자원보전시설을 설치ㆍ운영하고자 하는 자가 그 시설을 등록하고자 할 때 갖추어야 할 각 요건(기준)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인력요건 : 생물자원과 관련된 분야의 석사 이상 학위소지자로서 동 분야에서 1년 이상 종사한 자
     2. 인력요건 : 생물자원과 관련된 분야의 학사 이상 학위소지자로서 동 분야에서 2년 이상 종사한 자
     3. 표본보전시설 : 60제곱미터 이상의 수장시설
     4. 열풍건조시설 : 12마력이상의 건조스팀발생시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약칭: 야생생물법 시행규칙 )>
[시행 2025. 1. 24.] [환경부령 제1149호, 2025. 1. 24., 일부개정]

제45조(생물자원 보전시설의 등록)
① 법 제35조제1항 본문에 따라 생물자원 보전시설을 등록하려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갖추어 별지 제41호서식의 생물자원 보전시설 등록신청서를
     환경부장관이나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한다. <개정 2022. 12. 9.>

1. 시설요건
     가. 표본보전시설: 66제곱미터 이상의 수장(收藏)시설
     나. 살아 있는 생물자원 보전시설: 해당 야생생물의 서식에 필요한 일정규모 이상의 시설

2. 인력요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1명 이상의 인력을 갖출 것
     가.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생물분류기사
     나. 생물자원과 관련된 분야의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해당 분야에서 1년 이상 종사한 사람        
     다. 생물자원과 관련된 분야의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해당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9.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환경부장관이 특별대책지역내의 환경개선을 위해 토지이용과 시설설치를 제한할 수 있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환경기준을 초과하게 되어 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2. 자연생태계가 심하게 파괴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3. 식생의 발육을 일정기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4. 수역이 특정유해물질에 의하여 심하게 오염된 경우

     정답 : []
     정답률 : 86%

100.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 기준 중 하천의 사람의 건강보호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단위는 mg/L 이다.)(2011년 06월)
     1. 납(Pb) : 0.02 이하
     2.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 0.04 이하
     3. 사염화탄소 : 0.004 이하
     4. 음이온계면활성제(ABS) : 0.5 이하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비소         : 0.05 이하
* 납             : 0.05 이하
* 6가 크롬 : 0.05 이하
* 벤젠         : 0.01 이하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정 답 지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371821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계통분류학


1. 총포가 있는 두상화서를 가지며 5수성 합판화관과 취약웅예로 특징 지을 수 있는 분류군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콩과
     2. 인동과
     3. 용담과
     4. 국화과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화서(꽃차례) : 꽃이 줄기나 가지에 배열되는 모양 또는 자리 관계
* 화서는 크게 유한화서와 무한화서로 나뉜다
● 두상화서
    -. 무한화서이다
    -. 대표적인 것이 국화과이다.(개망초,해바라기,백일홍)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 다음 중 박벽포자낭을 갖는 양치식물은?(2009년 05월)
     1. 물부추
     2. 네가래
     3. 고사리삼
     4. 속새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박벽포자낭(薄壁胞子囊,leptosporangium): 벽이 얇은 포자낭, 생산 포자수 적음
진포자낭: 속새
다포자낭: 물부추
진정포자낭: 고사리삼
[해설작성자 : swim]

3. 다음 식물과 중 대부분의 종이 방사상칭꽃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물푸레나무과(Oleaceae)
     2. 두릅나무과(Araliaceae)
     3. 현삼과(Scrophulariaceae)
     4. 차나무과(Theaceae)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현삼과
    -. 꿀풀과에 속하고, 턱잎이 없다
    -. 꽃 구조 : 좌우대칭의 양성화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 다음 중 피자식물에 있어 소포자낭(microsporangium)에 해당하는 것은?(2009년 05월)
     1. 화사(수술대)
     2. 자방(씨방)
     3. 주두(암술머리)
     4. 약(꽃밥)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대포자낭: 이형포자형 생식에서 반수체의 대포자를 생산하는 생식구조. 배주
[해설작성자 : swim]

●소포자낭
    -. 소포자가 들어 있는 주머니 모양의 생식 기관
         (이형포자를 가진 식물에서 볼 수 있는 생식기관)
    -. 종자식물의 꽃밥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 다음 중 유형동물과 관계 없는 것은?(2006년 05월)
     1. 불완전한 소화계
     2. 문강과 구문
     3. 배설계로 원신관을 소유
     4. 혈관 보유

     정답 : []
     정답률 : 62%

6. 다음 중 유형동물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소화관은 완전한 경로를 가진다.
     2. 문강과 구문을 가진다.
     3. 체절성이며, 신경계가 없다.
     4. 혈관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유형동물(紐形動物): 등과 배가 반대인 좌우대칭 동물. 몸이 길쭉한 끈 모양 ex)끈벌레
[해설작성자 : swim]

●유형동물
    -. 좌우 대칭의 무체강 선구동물로, 후생동물이다
    -. 몸은 편평하고 가늘며 길다.
    -. 체절른 없고, 신경계는 있다
    -. 흔히 끈벌레라 불린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7. 다음 연체동물 중 낙지, 문어, 앵무조개 등을 포함하는 무리로 유영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사새아강, 이새아강으로 나뉘는 것은?(2012년 05월)
     1. 두족강
     2. 복족강
     3. 굴족강
     4. 미공강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두족류 : 두족강(頭足綱)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
    -. 낙지, 문어, 오징어, 앵무조개 등을 지칭하는 생물 분류.
         척추 구조가 없는 무척추동물이며, 뼈도 없는 연체동물의 한 강을 이루고 있는 무리를 이른다
    -. 좌우대칭형이며 몸통이 머리의 위에 붙어있고
    -. 머리의 밑에 바로 다리가 존재하는 것을 공통적인 특징으로 하는 동물들을 부류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 신종을 발표하는 논문을 작성할 때, 가장 가까운 종들과의 중요한 차이에 대한 간략한 기술은 다음 중 어느 항목에서 언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2008년 05월)
     1. 기상(diagnosis)
     2. 고찰(discussion)
     3. 요약(abstract)
     4. 관찰재료(material examined)

     정답 : []
     정답률 : 63%

9. 다음 중 배우자체 세대가 포자체 세대보다 더 우세한 식물군은?(2006년 05월)
     1. 피자식물
     2. 나자식물
     3. 양치식물
     4. 선태식물

     정답 : []
     정답률 : 63%

10. 동물명명규약상 신종을 밝히는데 사용된 모식계열(type series)표본 중 holotype을 제외한 모든 모식표본을 일컫는 것은?(2008년 05월)
     1. syntype
     2. lectotype
     3. neotype
     4. paratype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paratype : 병저표본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1. 다음은 어떤 식물이며 생활사에서 어느 세대에 속하는가?(2012년 05월)

    

     1. 나자식물의 배우체
     2. 양치식물의 배우체
     3. 나자식물의 포자체
     4. 양치식물의 포자체

     정답 : []
     정답률 : 85%

12. 다음 중 피자식물이 나자식물에 비해 보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우점적 위치를 차지하는데 기여한 주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통수요소로 도관절세포가 있어 효율적으로 물을 수송할 수 있다.
     2. 배주가 나출되어 있지 않고 심피에 둘러싸여 있다.
     3. 보다 다양한 매개자를 통해 수분(pollination)이 일어난다.
     4. 중복수정을 하지 않으며, 수정 후 접합자가 방출되지 않고 그대로 배로 발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 피자식물(겉씨식물)
    -. 종자가 씨방에 둘러싸여 있는 특징을 가진다
    -. 종자가 씨방에 보호되어 있으며, 꽃이 피고 수정 후 과실로 발달한다
    -. 잎은 활엽(넓은 잎)이며, 망상맥이다
    -. 쌍자엽식물(예: 사과나무,백합)과 단자엽식물(예: 벼,옥수수)로 나뉜다
    -. 물관(수분 이동)과 체관(탄수화물 이동)을 모두 가진 유관속을 발달시킨다
    -. 꽃과 과실을 통해 번식하며, 대부분의 종자식물이 속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 피자식물은 중복수정을 한다
● 접합자는 배아(씨앗의 일부)로 발달한다(배=배아)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3. 다음 중 환형동물의 질강과 빈모강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06월)
     1. 강모와 환대가 있다.
     2. 자웅동체이며 생식공이 전체에 열려있다.
     3. 큰 체강은 격막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다.
     4. 체절의 수가 종에 따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환형동물(環形動物)
    -. 척추가 없고, 속이 빈 원통 모양으로 생긴 동물을 뜻한다.
    -. 머리와 몸통이 구별되지 않는게 특징이다.
    -. 지렁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바다에 서식한다
    -. 생식 : 유성생식 또는 무성생식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4. 다음 중 잉어목 어류에서 부레와 내이를 연결하여 소리 감지에 관여하는 것은?(2009년 05월)
     1. 웨베르기관(weberian apparatus)
     2. 부레관(air bladder tube)
     3. 인두열(pharyngeal cleft)
     4. 유문낭(pyloric bag)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 웨베르기관
    -. 소리 전달기관이다
    -. 잉어과, 메기과는 웨베르기관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5. 다음 중 생태적 변이(ecological variation)가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사고 및 기형적 변이
     2. 숙주에 따른 변이
     3. 일시적 기후조건에 따른 변이
     4. 서식처에 따른 변이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생태적 변이-서식처에 따른 변이, 일시적 기후조건에 따른 변이, 숙주에 의한 변이, 신경원성 색 변이
                        서식밀도에 따른 변이, 비비례생장에 따른 변이
[해설작성자 : 히어리]

16. 다음 피자식물 아강 중 만생배주나 급만생배주가 아주 흔하고, betalain을 갖고 있으며, 독립중앙태좌 또는 기저태좌를 갖거나 이상 두 가지를 모두 가지는 것은?(2013년 06월)
     1. 조록나무아강
     2. 석죽아강
     3. 국화아강
     4. 생강아강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석죽아강
    -. 목련아강에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분류군으로 독립중앙태좌 또는 기저태좌의 특징을 보인다
    -. 베탈린이라는 화학물질을 함유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7. 형태적으로는 거의 차이를 찾아내기가 어려울 만큼 아주 근사하지만 생식적으로 격리된 종을 의미하는 것은?(2011년 06월)
     1. 동소종(sympatric species)
     2. 이소종(allopatric species)
     3. 생태종(eco species)
     4. 동포종(sibling species)

     정답 : []
     정답률 : 88%

18.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의 일반적인 특징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않은 것은?(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91%

19. 호모플라시(Homoplas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공동조상에서 갈라진 후손들로 구성되나, 몇몇 후손들이 제외된 경우
     2. 둘 이상의 분류군이 공유하는 형질상태가 상동인 파생형질 상태가 아닌 경우
     3. 조상종과 그로부터 파생된 모든 종을 포함하는 경우
     4. 이분지형 분기도에서 그들의 조상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의미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3%

20. 다음 계통분류에 사용되는 용어 중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09년 05월)

    

     1. hyphothesy
     2. ancestosy
     3. homology
     4. homoplasy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 homoplasy : 상사성(ex, 박쥐와 새의 날개)
    박쥐와 새처럼 종 간 거리는 멀어도 공통적으로 날개를 가진다는 유사성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과목 : 환경생태학


21. 생태계의 점이대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05년 09월)
     1. 높은 종풍부도와 밀도가 높다.
     2. 종의 진화에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3. 둘 이상의 서식처를 필요로 하거나 자주 이용하는 종이 서식한다.
     4. 희귀종의 서식확률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69%

22. 육상생태계의 천이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8년 09월)
     1. 음수림-양수림-초본-관목림
     2. 관목림-초본-음수림-양수림
     3. 초본-관목림-양수림-음수림
     4. 음수림-양수림-관목림-초본

     정답 : []
     정답률 : 88%

23. 한정된 자원에 대한 둘 또는 그 이상의 생물들 사이의 경쟁에서 한쪽이 이익을 차지하면 다른 한쪽은 경쟁에서 짐으로써 피해를 입게 되는 경쟁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2006년 05월)
     1. 이용경쟁(exploitative competition)
     2. 간섭경쟁(interference competition)
     3. 일반경쟁(nonspecific competition)
     4. 협동경쟁(cooperative competition)

     정답 : []
     정답률 : 57%

24. 개체군에서의 무서열 경쟁은 승자에 의한 자원의 독점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 중 제한된 자원의 존재하에서 무서열 경쟁의 밀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2009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3%

25. 개체군의 성장이 S자 형일 때 환경저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9년 09월)
     1. 개체군 감소에 따른 배우자 선택이 풍부해진다.
     2. 개체수의 증가로 생활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3. 개체수의 증가로 먹이가 부족하여 개체간의 경쟁이 심하다.
     4. 개체수의 증가에 따른 노폐물의 양도 증가하여 환경오염이 심해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26. 포식자와 피식자 사이의 관계에 있어 포식(predation)을 피하기 위해 몸의 모양이나 빛깔 따위가 주위의 물체와 비슷하게 되는 피식자의 행동으로 볼 수 있는 것은?(2013년 06월)
     1. 경쟁(competition)
     2. 기생(parasitism)
     3. 의태(mimicry)
     4. 편리공생(commensalism)

     정답 : []
     정답률 : 88%

27. 대기오염물질 중 2차 오염물질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9월)
     1. CO
     2. SO2
     3. CH4
     4. H2SO4

     정답 : []
     정답률 : 61%

28.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에 포함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6월)
     1. 군집내 영양단계 등의 기능적 역할
     2. 기후, 온도, pH 등 여러 가지 환경구배에서 그 생물이 차지하는 적정범위(위치)
     3. 시간에 따른 군집의 변화
     4. 그 생물이 차지하는 물리적 공간

     정답 : []
     정답률 : 71%

29. 지구에서 생물이 존재하는 부분을 일컫는 말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9월)
     1. 생물군계(biome)
     2. 생물권(biosphere)
     3. 환경(environment)
     4. 군집(community)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생물권 : 생물권은 지구상의 모든 생태계와 생물체를 포함하는 가장 큰 생물학적 단위로,
                     기권,수권,지권을 포괄합니다. 이는 생태학적 연구에서 가장 넓은 범위로,
                     생명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0. 다음 중 생물적 개체군 조절(biotic population control)의 예가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흑사병
     2. 가뭄
     3. 경쟁
     4. 개체군 밀도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76%

31. 각각의 군집을 섬으로 생각하는 도서생물지리분포이론을 이용하여 생물군집의 형성에 대한 이해를 쉽게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군집형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섬의 크기가 크면 생물학적 니체의 수가 많으므로 이동해 오는 종들의 소멸률이 낮다.
     2. 종들의 이동원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우면 종들의 이입률이 높아지고 반대로 거리가 멀면 낮아진다.
     3. 이동원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군집이 먼 군집보다 많은 수의 종으로 이루어진다.
     4. 종들의 이입률이 높아지면 종 다양성을 이루어 종의 소멸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 종 이입률이 높아지면 종다양성이 증가하여 종간 경쟁이 격화되므로 소멸율이 증가할 수도 있다.
[해설작성자 : 굴뚝새]

32. 총면적 10km2인 어느 지역 중 산지 면적이 4km2이다. 이 산지 내에 100본의 소나무와 50본의 참나무가 있을 때, 소나무의 생태밀도(ecological density)는?(2007년 05월)
     1. 10본/km2
     2. 17본/km2
     3. 25본/km2
     4. 38본/km2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생태밀도는 실질적으로 생물이 서식하는 범위로 계산
100/4
[해설작성자 : 고구마]

33. 생태계에서 에너지는 각 영양단계를 옮겨갈 때마다 일부만 옮겨가고, 나머지는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옮겨가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9월)
     1. 생태 피라미드
     2. 에너지 효율
     3. 에너지 생산
     4. 에너지 피라미드

     정답 : []
     정답률 : 65%

34. 지구 온난화 현상의 영향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6년 05월)
     1. 동 · 식물의 분포에 영향을 줄 것이다.
     2. 이산화탄소 및 메탄의 배출량이 감소하여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킬 것이다.
     3. 해수면이 상승할 것이다.
     4. 여름철 질병발생률을 높일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35. 2종의 짚신벌레(Paramecium)를 동시배양할 때와 따로 배양할 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과정을 설명하는 법칙은?(2018년 09월)

    

     1. 최소량의 법칙
     2. 경쟁 배제의 법칙
     3. 한계 효용의 법칙
     4. 내성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최소량의 법칙: 식물의 성장에서 여러 영양소가 아무리 풍부해도 그 중에 어느 한 가지가 최소량을 충족하지 못할 때 그 식물은 제대로 성장할 수 없다
-경쟁 배제의 법칙: 같은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는 두 종은 분서를 제외하고 공존할 수 없다
-내성의 법칙: 생물이 지니고 있는, 환경 조건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성질(또는 적응의 범위가 좁은 요소)이 그 생물의 생존을 제한한다
[해설작성자 : swim]

36. 다음 중 열대우림의 종다양성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낮은 우점도와 많은 수의 생물종
     2. 높은 우점도와 많은 수의 생물종
     3. 낮은 우점도와 적은 수의 생물종
     4. 높은 우점도와 적은 수의 생물종

     정답 : []
     정답률 : 68%

37. 맹그로브 늪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산호초의 배후면이나 만의 내부, 섬으로 둘러싸여 있음
     2. 조간대의 갯벌 해안에 잘 발달
     3. 낙엽활엽교목 및 수생식물로 구성
     4. 식물의 기근이 발달

     정답 : []
     정답률 : 69%

38. 수질오염의 영향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카드뮴 농축으로 인체의 골격이나 뼈에 영향을 미치면 골연화증이나 골다공증 등을 유발한다.
     2. ABS(알킬벤젠설폰산염)의 거품은 태양광선을 차단하여 수중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하며, 혐기성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시켜 물의 자정능력을 잃게 한다.
     3. 부영양성 호소의 퇴적물에서 자라는 혐기성 세균에 독소가 발생하여 어류가 죽기도 한다.
     4. 부영양성 호소의 용존산소와 영양염류가 풍부하여 빈영양성 호소보다 생물다양성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부영양성 호소는 용존산소가 낮아서 생물다양성이 낮다
    
* 부영양화 현상(꼭 암기 요망)
    -. 질소와 인의 농도가 높아져서 조류(식물 플랑크톤)의 과다 증식으로 녹조현상이 발생한다
    -. 다량으로 생산된 유기물의 미생물에 의한 분해로 인해 용존산소가 고갈되는 현상이다
    -. 부영양화가 진행되면 산소 결핍 때문에 대부분의 어패류가 죽는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9. 생활하수나 공장폐수가 수역에 유입되었을 때 발생하는 현상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부영양화 현상
     2. 분해성 유기물의 증가
     3. DO 및 COD 의 증가
     4. 일반적으로 중금속 농도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do 용존산소량은 감소, bod, cod 는 증가.
[해설작성자 : 굴뚝새]

40. 물에 난용성이므로 수용성 가스와는 달리 강우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물질의 흡착현상도 나타내지 않으며, 유해한 화학반응도 거의 일으키지 않는 오염물질은?(2012년 05월)
     1. SO2
     2. CO
     3. H2S
     4. NH3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CO: 일산화탄소
[해설작성자 : isp]

3과목 : 형태학


41. 척수(Spinal cor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척수는 신경배가 형성될 때 신경관의 전단부, 즉 뇌가 형성될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로부터 발생된다.
     2. 어류의 경우 외측에 섬유성 경질막과 내층에 맥관성인 유막으로 싸여 있다.
     3. 일반적으로 척수의 길이는 척주의 길이보다 짧다.
     4. 고등동물의 척수 끝부분은 원뿔 모양을 이루므로 이 부분을 척수원뿔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외측: 척추골로 둘러싸임
[해설작성자 : swim]

42. 유조직과 후각조직의 가장 큰 차이점은?(2007년 05월)
     1. 세포의 대사활동 가능여부
     2. 2차벽의 존재여부
     3. 세포벽의 비후양상
     4. 세포의 크기

     정답 : []
     정답률 : 82%

43. 일생 중 양성생식은 물론 단위생식도 함께 하는 곤충은?(2005년 09월)
     1. 왕사슴벌레
     2. 배추흰나비
     3. 창매미
     4. 복숭아흑진딧물

     정답 : []
     정답률 : 89%

44. 배(embryo)에서 장차 줄기나 잎으로 발달하게 될 부분은?(2012년 05월)
     1. 하배축(hypocotyl)
     2. 상배축(epicotyl)
     3. 유근(radicle)
     4. 근초(coleorhiza)

     정답 : []
     정답률 : 69%

45. 다음 중 평형곤(halter) 구조는 주로 어떤 곤충에서 볼 수 있는가?(2019년 09월)
     1. 벌목
     2. 파리목
     3. 메뚜기목
     4. 딱정벌레목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평형곤
    -. 파리류의 곤충에서 뒷날개의 퇴화 및 변형산물로 갖게 되는 곤봉모양의 가동체
    -. 파리가 날아갈 때 균형을 유지하고 회전이나 방향 전환 시 몸의 자세를 빠르게 감지해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6. 과피(果皮, pericarp)는 다음 중 어느 부분이 발달된 것인가?(2012년 05월)
     1. 꽃잎(petal)
     2. 꽃받침(sepal)
     3. 씨방벽(ovary wall)
     4. 밑씨(ovule)

     정답 : []
     정답률 : 86%

47. 1기 생장하는 뿌리에서 관다발 등 조직분화가 이루어지고 근모가 발생하는 부분은?(2006년 05월)
     1. 성숙(분화)대
     2. 신장대
     3. 분열대
     4. 근관

     정답 : []
     정답률 : 54%

48. 다음 중 다소 동질적인 조직으로 많은 분량을 차지하며, 주로 수와 피층 또는 섬유세포의 다발 등으로 발달하는 조직은?(2013년 06월)
     1. protoderm
     2. procambium
     3. ground meristem
     4. promeristem

     정답 : []
     정답률 : 57%

49. 진딧물류의 발생과정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05년 09월)
     1. 진딧물은 일반 곤충들과 같이 양성생식에 의해서만 번식된다.
     2. 진딧물은 일반 곤충들과 같이 난생에 의해서만 번식한다.
     3. 진딧물은 일반 곤충들과 같이 태생에 의해서만 번식한다.
     4. 진딧물은 양성생식에 의한 난생, 태생 그리고 단위생식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번식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50. 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외사관상 중심주는 종자식물군에서만 나타난다.
     2. 진화계통상 원생중심주가 관상중심주보다 원시적이다.
     3. 포위유관속은 나자식물과 피자식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유관속이다.
     4. 복병립유관속은 물관부나 체관부의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내측이나 외측에 분화한 유관속이다.

     정답 : []
     정답률 : 43%

51. 지렁이 소화계에서 입에서 항문에 이르는 구조들의 정확한 순서는?(2006년 05월)
     1. 인두 → 장 → 소낭 → 모래주머니
     2. 인두 → 식도 → 소낭 → 모래주머니 → 장
     3. 식도 → 모래주머니 → 장 → 소낭
     4. 식도 → 소낭 → 인두 → 모래주머니 → 장

     정답 : []
     정답률 : 82%

52. 조류의 호흡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공기가 허파 내에서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
     2. 폐를 중심으로 2쌍의 전기낭과 3쌍의 후기낭이 있다.
     3. 조류의 폐는 호흡과정 동안 부피가 별로 변하지 않는다.
     4. 기낭들은 실제적인 가스교환과는 거의 무관하고, 공기저장소로서의 역할과 공기를 폐로 출입시키는 작용을 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폐를 중심으로 3쌍의 전기낭과 2쌍의 후기낭이 있다.
     * 전기낭 : 앞쪽 공기주머니
     * 후기낭 : 뒤쪽 공기주머니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3. 육상지렁이에서 점액질이 고치(cocoon)가 분비되는 곳은?(2008년 05월)
     1. 위구절(peristomium)
     2. 환대(clitellum)
     3. 강모(seta)
     4. 암생식공(female renital pore)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환대 : 지렁이의 환대는 생식에 관여하는 기관으로,
                 성숙한 지렁이의 몸통 약 1/3 지점에 둥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환대는 지렁이가 짝짓기를 통해 알주머니(고치)를 생성하고 번식하는 데 필수적이다
* 고치 : 고치는 곤충이 번데기 단계에서 분비물로 만든 보호 구조물이다
                 주로 나방과 누에 등이 생성한다.(ex, 누에 고치)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4. 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외사관상 중심주는 종자식물군에서만 나타난다.
     2. 진화계통상 관상중심주가 원생중심주보다 원시적이다.
     3. 병립유관속은 나자식물과 피자식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유관속이다.
     4. 복병립유관속은 물관부나 체관부의 어는 한쪽이 다른 한쪽의 내측이나 외측에 분화된 유관속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5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신경계는?(2009년 05월)

    

     1. 체성신경계
     2. 자율신경계
     3. 대뇌번연계
     4. 교감신경

     정답 : []
     정답률 : 75%

56. 다음은 소나무과 식물의 잎 단면이다. 화살표가 지시하는 부분의 명칭은?(2011년 06월)

    

     1. 유관속 조직
     2. 내피
     3. 수지도
     4. 기공

     정답 : []
     정답률 : 85%

57. 대부분의 종자식물(seed plant)의 뿌리는 토양내의 곰팡이류와 공생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뿌리를 일컫는 용어는?(2007년 05월)
     1. 뿌리혹(root nodule)
     2. 균근(mycorrhiza)
     3. 호흡근(pneumatophore)
     4. 기근(aerial root)

     정답 : []
     정답률 : 80%

58. 곤충의 중 말피기기관(Malpighian tube)은 어떤 기관인가?(2005년 09월)
     1. 곤충의 중장과 후장 사이에 있는 배설기관이다.
     2. 곤충의 음식물의 소화흡수가 이루어지는 소화기관이다.
     3. 곤충의 청각기관이다.
     4. 곤충의 후각기관이다.

     정답 : []
     정답률 : 90%

59. 다음 중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입의 내피
     2. 혈액
     3. 비강의 내피
     4. 분비선을 덮고 있는 조직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혈액은 지지조직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혜동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혈액은 결합조직

60. 줄기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엽액에 위치한 눈을 맥아(axillary bud)라 한다.
     2. 단자엽식물의 줄기는 부제중심주(atactostele)를 갖는다.
     3. 단자엽식물의 기본조직은 피층과 수로 구분된다.
     4. 주축유관속이 독립성이 없고, 횡으로 연결되어 서로 망상을 이루는 유관속계를 폐쇄형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줄기의 기능
    -. 운반작용, 지지작용, 호흡작용, 저장작용을 한다
    -. 체관은 양분을 식물체 전체에 공급하고, 물관은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 단자엽식물
    -. 줄기는 관다발이 흩어져 있고 형성층이 없어 줄기가 굵어지지 않는다
    -. 단자엽식물의 줄기는 피층, 형성층, 중심 실질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년 생장이 없어 연륜이 형성되지 않는다
    -. 단자엽식물은 줄기의 길이 생장이 주된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과목 : 보존 및 자원생물학


61. 훼손된 자연생태계 교정방법 중 “복원(restoration)"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06월)
     1. 원래의 생태계로 회귀가 불가능한 경우 구조적으로 완전히 다르지만 자연 생태계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는 교정에 중점을 두는 행위
     2. 정확한 회귀는 아니지만 기능이나 구조에서 거의 유사한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자연 생태계의 기능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행위
     3. 훼손된 환경에 대한 교정 노력이 적극적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 중 원래 존재하던 상태로 정확히 회귀하는 것
     4. 생태계 스스로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 동안 훼손된 지역을 그대로 두는 것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복원은......『원래 존재하던 상태로 정확히 회귀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2. 최소 생존 개체군(MVP)을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서식지의 크기(면적)를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6월)
     1. 최소요효면적(Minimum Effect Area)
     2. 최소역동면적(Minimum Dynamic Area)
     3. 최소보호면적(Minimum Preservation Area)
     4. 최소생존면적(Minimum Survival Area)

     정답 : []
     정답률 : 77%

63. 다음은 종 다양성 비교를 위한 다양성지수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알파다양성
     2. 베타다양성
     3. 감마다양성
     4. 델타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감마 다양성 : 지역의 종다양성(어떤 종들이 지리적으로 다른 지역에서 같은 종류의 서식처를 만날 확률)
* 알파 다양성 : 한 지역이나 서식처 내에서 단일 군집 내의 종수(한 지역 내의 생물종))
* 베타 다양성 : 지역내에서의 군락 다양성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4. 대부분의 동물원에서 종보전을 위해 역점을 두는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8년 05월)
     1. 인공 증식
     2. 종보전을 위한 교육
     3. 보호를 위한 희귀동물의 채집
     4. 희귀종의 야외 적응 훈련

     정답 : []
     정답률 : 64%

65. 개체군 수준의 효율적 보전을 위한 설계 및 실행에 요구되는 개체생태학적 의문의 범주가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개체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포식자의 제거방법은 무엇인가?
     2. 환경에 영향을 주는 재난에 의한 교란은 얼마나 잦은가?
     3. 서식지 내에서 종이 발견되는 장소는 어디인가?
     4. 과거 및 현재의 개체군의 크기는 어떠한가?

     정답 : []
     정답률 : 77%

66. 다음 중 멸종속도 및 고유종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인류 역사상 멸종은 도서지역에 비해 대륙이 아주 심각하게 발생했다.
     2. 지리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고유종의 비율이 높다.
     3. 마다가스카르 섬은 고유종의 비율이 높다.
     4. 열대 습윤 산림지대에서 고유종의 비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85%

67. 경관수준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특정 군집 종류의 풍부도와 관계가 있다.
     2. 군집 종류의 상대적 밀도에 근거한다.
     3. 지역의 크기, 모양, 연결성 등에 따른다.
     4. 생물다양성이 낮은 지역은 다수의 군락으로 균일하게 덮여 있는 곳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68. 생물다양성 보전은 매우 중요한 환경적 현안으로 대두되었으며 이와 함께 생물다양성 개념은 보다 명확히 정의되었다. 다음 중 생물다양성의 3가지 의미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유전적 다양성
     2. 종 다양성
     3. 군집 및 생태적 다양성
     4. 진화적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83%

69. 야생 동·식물 지정 보호와 관련하여 맞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지자체가 조례로 정하여 야생동식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2. 환경부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종의 개체수 증감의 주요원인에 대한 보전대책을 마련한다.
     3. 다른 법에 의해 보호야생동물이 보호될 경우 별도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수 있다.
     4. 보호야생동식물의 서식지에 대해서는 토지이용방법을 엄격히 규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70. 동물원에서 종을 보존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지식으로는 인위적인 사육이 “무척추동물에서” 불가능한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18년 09월)
     1. 사육에 엄청난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
     2. 생활주기가 복잡하여 생장 단계에 따라 먹이 습성과 생육에 요구되는 환경조건이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
     3. 생식률이 매우 낮기 때문
     4. 체구가 매우 크거나 특수한 환경조건이 필요하기 때문

     정답 : []
     정답률 : 87%

71. 종이 생존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크기의 개체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최소 존속개체군이라 한다.
     2. 종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개체군을 최소로 유지한다.
     3. 서식지 크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4. 보전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72. 절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야생에서 졀멸된 것은 종 내의 개체가 포획된 상태나 인간이 통제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살아있을 때를 말한다.
     2. 생태적으로 절멸된 것은 서식지가 없어져 종이 사라진 것을 언급한다.
     3. 국지적으로 절멸된 것은 한 곳에서는 종이 사라졌지만, 다른 곳에서는 살고 있는 것을 언급한다.
     4. 한 종의 어떤 기체도 지구상에 없을 때 그 종은 절멸한 것으로 간주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생태적으로 절멸된 것은 군집 내 다른종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정도로 적으 수로 감소된 종류(예:호랑이)
[해설작성자 : 방랑자]

73. 다음 생물다양성(Biological diversity) 척도 중 특정 환경에 대한 종들의 진화적, 생태적 적응 범위를 결정하는 지표에 해당하는 것은?(2007년 05월)
     1. 유전적 다양성
     2. 종 다양성
     3. 군집 다양성
     4. 생태계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60%

74.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변화와 멸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해수면의 상승으로 해안습지의 파괴
     2. 소나무 군락의 분포가 현재보다 북쪽으로 이동
     3. 산호초 서식지의 북방한계선 변동
     4. 온도의 상승으로 모든 생물종의 분산능력이 증가

     정답 : []
     정답률 : 90%

75. 자연적 멸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5월)
     1. 대규모의 절멸(mass extinction)은 폐름기(Permian)에 일어났다.
     2. 예상치 못한 급격한 대재앙이 지구상에서 일어났을 때 자연적 멸종은 저속화, 소량화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3. 모든 지질학적 연대기를 통해 나타난 멸종의 정도는 거의 일정하다.
     4. 대절멸과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으면 생물종의 멸종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폐름기 : 폐름기의 대멸종은 약 2억 5천만 년 전에 지구상의 생물의 대부분이 멸종한 역사상 최악의 사건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76. 생물다양성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생물학적 다양성은 고등 동식물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다양성에 한정된다.
     2.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종은 보고된 것과 추정된 종을 합하여 약 100만 종이다.
     3. 생물다양성은 자연의 생산력과도 깊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다.
     4. 군집 내 생물간의 상호작용이 다양하면 서로 경쟁하여 생태계 기능이 저하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77. 희귀종 소개체군에서 동일종의 교배 상대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결국 다른 유사종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이 염색체와 효소 체계의 불화합성 때문에 약하거나 붙임이 될 수 있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5월)
     1. 타식약세
     2. 근친교배
     3. 대립생태
     4. 이형부생

     정답 : []
     정답률 : 70%

78. 어떤 두 종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설명 중 두 개체군이 모두 이익을 얻으며, 서로 상호작용을 하지 않으면 생존하지 못하는 관계를 의미하는 용어는?(2018년 09월)
     1. 편리공생(commensalism)
     2. 항생(antibiosis)
     3. 상리공생(mutualism)
     4. 기생(parasitism)

     정답 : []
     정답률 : 88%

79. 지구 온난화는 기후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동식물 서식지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는데 이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사과 등 작물의 재배기능 한계선은 현재보다 남쪽으로 확장되며, 특히 종자식물들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
     2. 식생대의 단순화로 인해 식물종들 간의 경쟁작용을 높여 열세종의 도태를 증가시키므로, 생물 상호작용으로 인한 다양성 감소현상은 가속화된다.
     3.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질소량의 증가를 유발하여, 식물체에 비료성분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식물체의 질적 상태를 개선시킨다.
     4. 지구온난화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큰 물질은 SO2, CO 등이 대표적이며 이 물질은 성층권에 도달하여 오존층을 파괴하여 식물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정답 : []
     정답률 : 76%

80. 유기염소 살충제가 먹이사슬을 거치며 축적되는 「생물농축」의 과정을 기술한 레이첼 카슨의 책은?(2007년 05월)
     1. 침묵의 봄
     2. 가이아
     3. 훌륭한 신세계
     4. 린네의 생태일기

     정답 : []
     정답률 : 92%

81.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 지정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특이한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
     2. 희귀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지역
     3.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지니고 있는 지역
     4. 가뭄에도 습지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습지보호지역의 지정 기준
*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이 서식하는 지역
* 상태적으로 중요한 물새의 번식지나 서식지
* 독특한 지형이나 지질적 특징을 가진 습지
* 과학적 연구와 교육자료로 활용 가능한 지역
* 홍수방지,수질정화,기후조절 등의 생태적 기능이 뛰어난 지역
* 해당 지역 주민과 환경보호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습지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2.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규상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수달
     2. 고라니
     3. 참수리
     4. 감돌고기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수달(포유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 참수리(조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 감돌고기(어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3. 습지보전법령상 명예습지생태안내인의 위촉기간기준은?(2011년 06월)
     1. 1년으로 한다.
     2. 2년으로 한다.
     3. 3년으로 한다.
     4. 5년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습지보전법 시행령>
[시행 2025. 4. 1.] [대통령령 제35430호, 2025. 4. 1., 일부개정]
②법 제22조의3의 규정에 의한 명예습지생태안내인의 위촉기간은 2년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4. 국토기본법상 국토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1년 06월)
     1. 광역종합계획
     2. 부문별계획
     3. 시ㆍ군종합계획
     4. 지역계획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국토기본법>
제6조(국토계획의 정의 및 구분)
① 이 법에서 “국토계획”이란 국토를 이용ㆍ개발 및 보전할 때
     미래의 경제적ㆍ사회적 변동에 대응하여 국토가 지향하여야 할 발전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말한다.
② 국토계획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국토종합계획, 초광역권계획, 도종합계획, 시ㆍ군 종합계획, 지역계획 및 부문별계획으로 구분한다.
     <개정 2011. 4. 14., 2021. 8. 10., 2022. 2. 3.>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5.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생태계 변화 관찰의 대상 지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2.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 · 도래지
     3. 외래종의 유입이 빈번하여 잦은 방제가 필요한 지역
     4. 자연환경의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

     정답 : []
     정답률 : 74%

86. 야생동·식물 보호법상 벌칙기준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행위는?(2008년 05월)
     1. 멸종위기야생동·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야생동물중 환경부령이 정하는 야생동물을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없이 수출·수입·반출 또는 반입한 자
     2. 국제적멸종위기종 및 그 가공품을 환경부장관의 승인없이 수입 또는 반입 목적외의 용도로 사용한 자
     3.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하여 보호할 가치가 높은 것으로서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지정·고시하는 생물자원을 환경부장관의 승인 없이 국의로 반출한 자
     4. 지정된 수렵장외의 장소에서 수렵한 자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제21조(야생생물의 수출ㆍ수입ㆍ양도ㆍ양수ㆍ보관 등)
①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야생생물 중 생물종을 보호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종을 수출ㆍ수입ㆍ반출 또는 반입하려는 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허가기준에 따라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개정 2014. 3. 24., 2022. 12. 13.>

8. 제21조제1항을 위반하여 허가 없이 야생생물을 수출ㆍ수입ㆍ반출 또는 반입한 자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제70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7.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규상 개발제한구역의 경계선을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석의 규격 및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표석재료는 강화플라스틱(FRP), 표석색채는 녹색으로 한다.
     2. 개발제한구역 글씨는 음각 후 압출마감(흑색)하고 번호(백색)는 도색마감으로 부착한다.
     3. 강화플라스틱과 콘크리트로 된 기초가 일체가 되도록 설치한다.
     4. 서체 : 고딕체, 색상 : 녹색(Pantone 370C)·백색(White 100%)·흑색(Black 100%)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규칙
[시행 2024. 2. 14.] [국토교통부령 제1306호, 2024. 2. 14., 일부개정]
제2조(경계표석의 설치 및 관리)
         ② 경계표석의 규격 및 설치방법은 별표 1과 같다.
                2. "개발제한구역"이라는 글씨는
                        음각 후 도색마감(흰색)을 하고,
                        번호(검은색)는 알루미늄 압출마감으로 붙인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의 용도지역은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구분한다. 이중 자연환경보전지역의 법령상의 건폐율과 용적률 범위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2006년 05월)
     1. 건폐율 : 20퍼센트 이하, 용적률 : 40퍼센트 이하
     2. 건폐율 : 20퍼센트 이하, 용적률 : 80퍼센트 이하
     3. 건폐율 : 10퍼센트 이하, 용적률 : 40퍼센트 이하
     4. 건폐율 : 10퍼센트 이하, 용적률 : 80퍼센트 이하

     정답 : []
     정답률 : 72%

89.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1회에 한하여 3년 이내의 기간동안 개발행위 허가를 제한할 수 있는 지역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6년 05월)
     1. 녹지지역으로 수목이 집단적으로 생육되고 있는 지역
     2. 계획관리지역으로 조류 증이 집단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지역
     3.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지역으로 용도지역변경이 예상되는 지역
     4. 개발행위로 인하여 주변의 환경, 경관, 미관 등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72%

90. 국토기본법상 다음 중 지역계획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시군개발계획
     2. 개발촉진지구개발계획
     3. 광역권개발계획
     4. 수도권발전계획

     정답 : []
     정답률 : 41%

9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건폐율의 특례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2006년 05월)
     1. 도시지역외 지역에 지정된 개발진흥지구 : 60% 이하
     2. 농공단지 : 40% 이하
     3. 수산자원보호구역 : 40% 이하
     4. 공업지역안에 있는 국가산업단지 : 60% 이하

     정답 : []
     정답률 : 49%

92. 농지법상 농업진흥구역안에서 가능한 토지이용행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9년 05월)
     1. 폐수배출시설의 설치
     2. 국방, 군사시설의 설치
     3. 비석이나 기념탑의 설치
     4. 어린이놀이터 설치

     정답 : []
     정답률 : 64%

93.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을 위해 설치할 수 있는 시설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5월)
     1. 습지연구시설
     2. 습지준설복원시설
     3. 습지오염방지시설
     4. 습지생태관찰시설

     정답 : []
     정답률 : 84%

94.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 지정고시 및 지정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08년 05월)

    

     1. ① 국토관리청, ② 환경부령
     2. ① 공원관리청, ② 환경부령
     3. ① 공원관리청, ② 대통령령
     4. ① 국토관리청, ② 대통령령

     정답 : []
     정답률 : 75%

95.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 지정고시 및 지정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 국토관리청, ㉡ 환경부령
     2. ㉠ 공원관리청, ㉡ 환경부령
     3. ㉠ 공원관리청, ㉡ 대통령령
     4. ㉠ 국토관리청, ㉡ 대통령령

     정답 : []
     정답률 : 64%

96.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상 환경부장관이 조사원으로 하여금 무인도서 등의 자연생태계 등에 대한 원활한 조사를 하도록 하기 위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도지사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관할 출입제한구역안의 출입
     2. 도서조사원증의 발급 및 조사권 부여
     3. 조사에 필요한 선박 등 장비 및 인력의 지원
     4. 조사관련자료의 열람 또는 대출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4조(무인도서등의 자연생태계등 조사)
    ①법 제6조의 규정에 의한 무인도서등의 자연생태계등에 대한 조사(이하 이 조에서 “조사”라 한다)의 내용은
        다음 각호와 같다. <개정 2004. 6. 25.>
        1. 동ㆍ식물의 분포 및 현황
        2. 식생현황
        3. 특이한 지형ㆍ지질 및 자연환경의 현황
        4. 해안의 상태 및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현황
        5. 기타 자연생태계등의 보전을 위하여 특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환경부장관이 인정하는 사항

    ④환경부장관은 조사원이 조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에게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을 받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협조하여야 한다. <개정 2004. 6. 25., 2007. 11. 15.>
        1. 관할 출입제한구역안의 출입
        2. 조사관련자료의 열람 또는 대출
        3. 조사에 필요한 선박 등 장비 및 인력의 지원

    ⑤환경부장관은 조사개시일 10일전까지 환경부령이 정하는 사항이 포함된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관계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개정 2007. 11. 15.>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7. 농지법상 농지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6월)
     1. 초지법에 의하여 조성된 토지
     2. 실제 토지현상이 일년성 식물재배지
     3. 배수장 수로 등 농지 개량시설 부지
     4. 농산물유통에 직접 사용되는 부지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농지”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토지를 말한다.
가. 전ㆍ답, 과수원, 그 밖에 법적 지목(地目)을 불문하고 실제로 농작물 경작지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년생식물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 다만, 「초지법」에 따라 조성된 초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는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원큐쟁이]
     <농지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07. 12. 21., 2009. 4. 1., 2009. 5. 27., 2018. 12. 24., 2021. 8. 17., 2024. 1. 2.>

        1. “농지”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토지를 말한다.
             가. 전ㆍ답, 과수원, 그 밖에 법적 지목(地目)을 불문하고 실제로 농작물 경작지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년생식물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
                     다만, 「초지법」에 따라 조성된 초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는 제외한다.
             나. 가목의 토지의 개량시설과 가목의 토지에 설치하는 농축산물 생산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의 부지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8.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생물자원보전시설을 설치ㆍ운영하고자 하는 자가 그 시설을 등록하고자 할 때 갖추어야 할 각 요건(기준)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인력요건 : 생물자원과 관련된 분야의 석사 이상 학위소지자로서 동 분야에서 1년 이상 종사한 자
     2. 인력요건 : 생물자원과 관련된 분야의 학사 이상 학위소지자로서 동 분야에서 2년 이상 종사한 자
     3. 표본보전시설 : 60제곱미터 이상의 수장시설
     4. 열풍건조시설 : 12마력이상의 건조스팀발생시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약칭: 야생생물법 시행규칙 )>
[시행 2025. 1. 24.] [환경부령 제1149호, 2025. 1. 24., 일부개정]

제45조(생물자원 보전시설의 등록)
① 법 제35조제1항 본문에 따라 생물자원 보전시설을 등록하려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갖추어 별지 제41호서식의 생물자원 보전시설 등록신청서를
     환경부장관이나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한다. <개정 2022. 12. 9.>

1. 시설요건
     가. 표본보전시설: 66제곱미터 이상의 수장(收藏)시설
     나. 살아 있는 생물자원 보전시설: 해당 야생생물의 서식에 필요한 일정규모 이상의 시설

2. 인력요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1명 이상의 인력을 갖출 것
     가.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생물분류기사
     나. 생물자원과 관련된 분야의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해당 분야에서 1년 이상 종사한 사람        
     다. 생물자원과 관련된 분야의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해당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9.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환경부장관이 특별대책지역내의 환경개선을 위해 토지이용과 시설설치를 제한할 수 있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환경기준을 초과하게 되어 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2. 자연생태계가 심하게 파괴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3. 식생의 발육을 일정기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4. 수역이 특정유해물질에 의하여 심하게 오염된 경우

     정답 : []
     정답률 : 86%

100.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 기준 중 하천의 사람의 건강보호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단위는 mg/L 이다.)(2011년 06월)
     1. 납(Pb) : 0.02 이하
     2.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 0.04 이하
     3. 사염화탄소 : 0.004 이하
     4. 음이온계면활성제(ABS) : 0.5 이하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비소         : 0.05 이하
* 납             : 0.05 이하
* 6가 크롬 : 0.05 이하
* 벤젠         : 0.01 이하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371821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0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589 실내건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2월01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88 방송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87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86 에너지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585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84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58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지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3044479)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82 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81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80 9급 국가직 공무원 직업상담심리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79 직업상담사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8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578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577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76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575 수능(법과정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633107)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74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573 에너지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3718215)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571 인터넷보안전문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Board Pagination Prev 1 ...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192 Next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