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70522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실험계획법


1. 요인 A, B가 각각 4수준인 모수모형 반복 없는 2요인 시험에서 결측지가 1개 발생하였다. 이것을 추정하여 분석했을 때, 오차항의 자유도(νe)는?(2019년 09월)
     1. 4
     2. 8
     3. 9
     4. 11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반복이 없는 실험에서 결측치가 있을경우 예이츠 방법사용
자유도는 (4-1)(4-1)=9, 결측치를 빼면 8

2. L27(313)직교배열표에서 기본표시가 ac인 곳에 P, bc인 곳에 Q를 배치하면 P×Q가 나타나는 열의 기본 표시는?(2013년 03월)
     1. abc2과 ab2인 두열
     2. ab2과 c인 두열
     3. abc과 bc2인 두열
     4. ab2과 bc2인 두열

     정답 : []
     정답률 : 72%

3. 요인배치법에서 인자수나 수준수가 증가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든다.
     2. 실험을 수일간 하여야 하므로 랜덤화가 어렵다.
     3. 실험을 실시함에 있어서 완전 랜덤화가 잘 된다.
     4. 실험을 통계적 관리상태로 실시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인자/수준이 많아질수록 랜덤화가 더 어려워지지 쉽게 되지는 않음. 따라서 "잘 된다"는 말은 일반적인 현상이 아님.
[해설작성자 : 171717]

4. 다음은 A, B 각 수준조건에서 100개의 물건을 만들어 그 중의 불량품수를 표시한 계수형 2요인 실험의 데이터이다. 오차분산(Ve2)는?(2020년 09월)

   

     1. 0.125
     2. 0.128
     3. 0.254
     4. 0.256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계수치 데이터의 2요인실험 분석
Ve2 = Se2/ve2 에서
Se2 = St-Sab, ve2 = lm(r-1) = 2*2*99 = 396
St = T - T^2/lmr = 60 - 60^2/(2*2*100) = 51
Sab = ∑∑Tij.^2/r - T^2/lmr = (20^2 + 15^2 + 10^2 + 15^2)/100 - 60^2/(2*2*100) =    0.5
따라서 Se2 = 50.5 이고, Ve2 = 50.5/396 = 0.128
[해설작성자 : 아벤타도르]

5. 반복이 있는 모수모형 2원 배치에서 다음의 실험데이터를 얻었다. ( )은 결측치이다. 이 결측치를 추정하여 넣은 후에 분산분석을 실시할 때 오차항의 자유도(νe) 는?(2013년 03월)

   

     1. 5
     2. 11
     3. 12
     4. 17

     정답 : []
     정답률 : 62%

6. 교락법에서 블럭반복을 행하는 경우에 각 반복마다 블럭효과와 교락시키는 요인이 다른 경우를 무슨 교락이라 하는가?(2006년 03월)
     1. 완전교락
     2. 단독교락
     3. 이중교락
     4. 부분교락

     정답 : []
     정답률 : 69%

7. 반복이 없는 2요인 실험에서 요인 A의 제곱합 SA의 기대치를 구하는 식은? (단, A와 B는 모두 모수, A의 수준수는 l, B의 수준수는 m이다.)(2020년 06월)
     1. σ2e+mσ2A
     2. (l-1)σ2e+m(l-1)σ2A
     3. (m-1)σ2e+(m-1)σ2A
     4. m(l-1)σ2e+l(m-1)σ2A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E(MS) = σ2e+mσ2A
DF = l-1
제곱합 SA의 기대치
E(MS) * DF = (l-1)σ2e+m(l-1)σ2A
[해설작성자 : 품질경영을흔드록바]

8. 직교배열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10월)
     1. 3수준계의 가장 작은 직교배열표는 L12(34)이다.
     2. 2수준 직교배열표를 이용하여 4수준 요인(인자)도 배치 가능하다.
     3. 실험의 크기를 확대시키지 않고도 실험에 많은 요인(인자)을 짜 넣을 수 있다.
     4. 2수준 요인(인자)과 3수준의 요인(인자)이 존재하는 실험인 경우에는 가수준(dummy level)을 만들어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9. 반복이 없는 2요인실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A의 수준수는 l, B의 수준수는 m이다.)(2017년 05월)
     1. 오차항의 자유도는(l-1)(m-1)이다.
     2. 분리해 낼 수 있는 제곱합의 종류는 SA, SB, SA×B, Se가 있다.
     3. 한 요인은 모수이고, 나머지 요인은 변량인 경우의 실험을 난괴법이라 한다.
     4. 모수모형의 경우 결측치가 발생하면 Yates가 제안한 방법으로 결측치를 추정하여 분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10. 실험계획에서 필요한 요인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2인자 이상의 무의미한 고차의 교호작용의 효과는 희생시켜 실험의 회수를 적게 하도록 고안된 실험계획법은?(2009년 03월)
     1. 교락법
     2. 난괴법
     3. 분할법
     4. 일부실시법

     정답 : []
     정답률 : 70%

11. 인자의 수준과 수준수를 택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자의 수준은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실험자가 생각하고 있는 각 인자의 흥미영역에서만 수준을 잡아준다.
     3. 특성치가 명확히 나쁘게 되리라고 예상되는 인자의 수준은 흥미영역에 포함된다.
     4. 수준수는 보통 2~5수준이 적절하며 많아도 6수준이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12. 다음은 온도(A), 농도(B), 촉매(C)가 각각 2수준인 23형 실험을 한 데이터이다. 교호작용 B×C의 효과는?(2014년 09월)

    

     1. 3.96
     2. 2.64
     3. 1.98
     4. 1.58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8/2)*[(BxC 짝)-(BxC 홀)]
=1/(8/2)*[((1)+a+bc+abc)-(b+ab+c+ac)]
=1/4*(260.56-252.64)
=1.98
[해설작성자 : jennie]

13. Ls(s7)인 직교배열표에서 7이 의미하는 것은?(2018년 09월)
     1. 실험의 회수
     2. 요인의 수준수
     3. 직교배열표 행의 수
     4. 배치 가능한 요인의 수

     정답 : []
     정답률 : 78%

14. 직물 가공 공정에서 처리액의 농도(A) 5수준에서 4회씩 반복 실험하여 직물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농도와 강도의 관련성을 회귀식을 이용하여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분산분석표를 얻었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1차와 2차 회귀는 유의수준 0.05에서 모두 유의하다.
     2. 3차 이상의 고차 회귀 제곱합은 2.71 이다.
     3. 2차 곡선 회귀로써 농도와 강도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4. 두 변수간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는데 3차 이상의 고차 회귀가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나머지_e=18.06-9.71-5.64=2.71
ss_e=27.04-18.06=8.98
Ms_e=8.98/15=0.599
F0_1차=9.710/0.599=16.21
F0_2차=5.640/0.599=9.41
F0_나머지=1.355/2.26

1. 맞음 - 1차, 2차 F0 > 4.54 → 유의
2. 맞음 - 고차 회귀 제곱합 = 2.71
3. 맞음 - 2차까지 유의 → 곡선 관계 설명 가능
4. 틀림 - 3차 이상은 F = 2.26 < 4.54 → 유의하지 않음 → 필요 없음
[해설작성자 : 에몽]

15. Y화학공장에서 제품의 수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반응온도(A)와 원료(B)를 요인으로 2요인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12회 완전 랜덤화 하였고, 2요인 모두 모수이다. 검정 결과로 맞는 것은? (단, F0.99(3, 6)=9.78, F0.95(3, 6)=4.76, F0.99(2, 6)=10.9, F0.95(2, 6)=5.14 이다.)(2020년 09월)

    

     1. A는 위험률 1%로 유의하고, B는 위험률 5%로 유의하다.
     2. A는 위험률 5%로 유의하고, B는 위험률 1%로 유의하다.
     3. A는 위험률 1%로 유의하지 않고, B는 위험률 5%로 유의하다.
     4. A는 위험률 5%로 유의하지 않고, B는 위험률 1%로 유의하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이 2개인거 같아요..2번도 맞고 3번도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확정답안은 2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배극윤 2022 버전에 정답 3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ㅈㅇㅇ]

[오류신고 반론]
양쌤 2020년 제4회에 2번이 답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A는 위험율 5%로 유의하며, 1%로는 유의하지 않음
B는 위험율 5%로 유의하며, 1%로 도 유의함.
따라서 2번이 정답 (3번은 B가 유의 수준이 더 높은 1%로도 유의 한데    5%로 유의 하다고 한 점이 부족한 답이 될 거 같음)
[해설작성자 : 김삿갓]

16. L16(215) 직교배열표에서 4수준 요인 A와 2수준 요인 B, C, D, F와 A×B, B×C, B×D를 배치하는 경우, 오차항의 자유도는?(2019년 03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A와 A*B의 자유도는 3이고 다른 요인의 자유도는 1이 된다.
Ve=15-[(2*3)+6]=3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17. [표1]은 모수요인 A와 블록요인 B에 대해 난괴법 실험을 하는 경우이며 [표2]는 블록요인 B를 반복으로 하는 요인 A의 1요인실험으로 변환시킨 경우이다. 이때 A의 제곱합(SA)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7년 09월)

    

     1. 난괴법에서의 A의 제곱합(SA)보다 1요인실험의 제곱합(SA)이 더 크다.
     2. 난괴법에서의 A의 제곱합(SA) 보다 1요인실험의 제곱합(SA)이 더 작다.
     3. 난괴법에서의 A의 제곱합(SA)과 1요인실험의 제곱합(SA)이 같다.
     4. 난괴법에서의 A의 제곱합(SA)과 B의 제곱합(SA)를 합한 것과 1요인실험의 제곱합(SA)은 값이 같다.

     정답 : []
     정답률 : 53%

18. 적합품을 0, 부적합품을 1로 표시한 0, 1의 데이터 해석에서 각 조합마다 각각 100회씩 되풀이 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았다. 전 변동 ST는 약 얼마인가?(2013년 03월)

    

     1. 53.37
     2. 16.52
     3. 7.37
     4. 2.97

     정답 : []
     정답률 : 63%

19. 33형의 1/3 반복에서 I=ABC2을 정의대비로 9회 실험을 하였다. 요인 A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A는 자유도 2를 갖는다.
     2. AB2는 요인 A의 별명이다.
     3. BC2는 요인 A의 별명이다.
     4. AB2C는 요인 A의 별명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20. 1요인실험에서 완전 랜덤화 모형과 2요인실험의 난괴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난괴법에서 변량요인 B에 대한 모평균을 추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2. 난괴법은 A요인의 모수요인, B는 변량요인이며 반복이 없는 경우를 지칭한다.
     3. 난괴법에서 변량요인 B를 실험일 또는 실험장소 등인 경우로 선택할 때 집단요인이 된다.
     4. k개의 처리를 r회 반복 실험하는 경우에 오차항의 자유도는 1요인실험이 난괴법 보다 r-1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3. 변량요인 B가 실험일, 실험장소 등인 경우 → 블록요인
[해설작성자 : 뽀뽀후]

2과목 : 통계적품질관리


21. 두 집단으로부터 추출된 n쌍의 자료를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모상관계수가 존재하는지( )를 검정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검정통계량의 자유도는?(2012년 03월)
     1. n-1
     2. n-2
     3. 2n-1
     4. 2n-2

     정답 : []
     정답률 : 64%

22. 500개가 1로트로 취급되고 있는 어떤 제품이 있다. 그 중 490개는 적합품, 10개는 부적합품이다. 부적합품 중 5개는 각각 1개씩의 부적합을 지니고 있으며, 4개는 각각 2개씩의 부적합, 그리고 1개는 3개의 부적합을 지니고 있다. 이 로트의 100 아이템당 부적합 수는 얼마인가?(2018년 03월)
     1. 1.6
     2. 3.2
     3. 4.9
     4. 10.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부적합수 = 5X1+4X2+1X3 = 16
100아이템당 16/500 = 3.2
[해설작성자 : PYH]

23. n = 5인 고-저(H-L) 관리도에서 , 일 때, UCL과 LCL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n = 5 일 때 H2 = 1.363 이다.)(2022년 04월)
     1. UCL = 6.293, LCL = 6.107
     2. UCL = 6.460, LCL = 6.193
     3. UCL = 6.465, LCL = 6.394
     4. UCL = 6.867, LCL = 6.293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m = (Xh + Xl) / 2

r = Xh - Xl
                             ㅡ
Ucl = m + h2 * r
                             ㅡ
Lcl = m - h2 * r
[해설작성자 : 오랜만에 공부하는 사람]

24. 12개의 표본으로부터 두 변수 X, Y에 대하여 데이터를 구하였더니, X의 제곱합 Sxx = 10, Y의 제곱합 Syy = 26, X, Y의 곱의 합 Sxy = 16 이었다. 이 때 회구계수(β1)의 95% 신뢰구간은 추정한 것은? (단, t0.975(10) = 2.228, t0.975(11) = 2.201이다.)(2016년 10월)
     1. 1.6±0.139
     2. 1.6±0.141
     3. 2.6±0.139
     4. 2.6±0.141

     정답 : []
     정답률 : 47%

25. 계수치 샘플링검사 절차-제1부 : 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 검사 방식(KS Q lSO 2859-1 : 2014)의 보통 검사에서 생산자 위험에 대한 1회 샘플링 방식에 대한 값은 100 아이템당 부적합수 검사일 경우 어떤 분포에 기초하고 있는가?(2019년 03월)
     1. 이항분포
     2. 초기하분포
     3. 정규분포
     4. 푸아송분포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100 아이템당 부적합수 : 포아송분포
- 부적합품률 퍼센트 : 이항분포
[해설작성자 : 렁메]

26. 제품의 품질 특성치의 측정치가 3, 4, 2, 5, 1, 4, 3, 2로 주어져 σ2에 관한 95% 신뢰구간을 구했더니 0.75 ≦ σ2 ≦ 7.10이였다. 귀무가설 H0 : σ2 = 9, 대립가설 H1 : σ2 ≠ 9에 관하여 유의수준 a = 0.05로 검정하면 귀무가설(H0)은?(2014년 03월)
     1. 채택한다.
     2. 기각한다.
     3. 보류한다.
     4. 기각해도 되고 채택해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27. 5대의 라디오를 하나의 시료 군으로 구성하여 25개 시료 군을 조사한 결과 195개의 부적합이 발견되었다. 이 때 c관리도와 u관리도의 UCL은 각각 약 얼마인가?(2017년 05월)
     1. 7.8, 1.56
     2. 16.18, 5.31
     3. 16.18, 3.24
     4. 57.73, 5.31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U관리도 = 195/25 + 3*루트(7.8)
C관리도 = 195/125 + 3*루트(1.56/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에분 u랑 c 반대로 쓰심
[해설작성자 : 오류수정맨]

28. 다음은 부분군의 크기와 부적합품수에 대해 9회에 걸쳐 측정한 자료표이다. 이 자료에 적용되는 관리도의 중심선은 약 얼마인가?(2018년 03월)

    

     1. 5.85%
     2. 5.95%
     3. 6.05%
     4. 6.15%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n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p관리도를 쓴다.
np를 모두 더한것을 n으로 나눠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다음 중 관리도의 사용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03월)
     1. 공정해석
     2. 공정관리
     3. 표본 크기의 결정
     4. 공정이상의 유무 판단

     정답 : []
     정답률 : 74%

30. 5대의 라디오를 하나의 시료 군으로 구성하여 25개 시료 군을 조사한 결과 195개의 부적합이 발견되었다. 이 때 c관리도와 u관리도의 UCL은 각각 약 얼마인가?(2020년 09월)
     1. 7.8, 1.56
     2. 16.18, 5.31
     3. 16.18, 3.24
     4. 57.73, 5.31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k=25, n=5
[c관리도]
bar{c}=195/25=7.8
U_CL=bar{c}+3root(bar{c})=16.18

[u관리도]
u0=195/125=1.56
U_CL=u0+3root(u0/n)=3.24
[해설작성자 : 당근]

31. 이항분포에서 n=100, P가 1/2일 때 표준편차는 얼마인가?(2006년 03월)
     1. 5
     2. 10
     3. 15
     4.

     정답 : []
     정답률 : 73%

32. 모수 θ의 모든 값에 대하여 를 만족하는 추정량 을 무슨 추정량이라 하는가?(2012년 05월)
     1. 유효추정량
     2. 충분추정량
     3. 일치추정량
     4. 불편추정량

     정답 : []
     정답률 : 69%

33. 다음 4개의 OC곡선은 각각 샘플링 계획(Sampling Plan) (a) N=1,000, n=75, c=1, (b) N=1,000, n=150, c=2, (c) N=1,000, n=450, c=6, (d) N=1,000, n=750, c=10 을 나타낸 것이다. 이 중 (b)에 해당되는 OC 곡선은 어느 것인가?(2013년 03월)

    

     1. (ㄱ)
     2. (ㄴ)
     3. (ㄷ)
     4. (ㄹ)

     정답 : []
     정답률 : 67%

34. 1회, 2회, 다회의 샘플링 형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검사 단위의 검사비용이 비싼 경우에는 1회의 경우가 제일 유리하다.
     2. 검사의 효율적인 측면에 있어서 2회의 경우가 1회의 경우보다 유리하다.
     3. 실시 및 기록의 번잡도에 있어서는 1회 샘플링 형식의 경우에 제일 간단하다.
     4. 검사로트당의 평균샘플크기는 일반적으로 다회 샘플링 형식의 경우에 제일 적다.

     정답 : []
     정답률 : 43%

35. 10톤씩 적재하는 100대의 화차에서 5대의 화차를 샘플링하여 각 화차로부터 3인크리먼트씩 랜덤하게 시료를 채취하는 샘플링 방법은?(2021년 03월)
     1. 집락 샘플링
     2. 층별 샘플링
     3. 계통 샘플링
     4. 2단계 샘플링

     정답 : []
     정답률 : 58%

36. 계수치 축차 샘플링 검사방식(KS Q ISO 8422 : 2009)에서 PA(PRQ)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3월)
     1. 될 수 있으면 합격으로 하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상한
     2. 될 수 있으면 합격으로 하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하한
     3. 될 수 있으면 불합격으로 하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상한
     4. 될 수 있으면 불합격으로 하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하한

     정답 : []
     정답률 : 51%

37. 원료 A와 원료 B에서 만들어지는 제품의 순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원료 A로부터 만들어지는 제품의 분산을 σA2이라 하고, 원료 B로부터 만들어지는 제품의 분산을 σB2 이라할 때, 유의수준 0.05로 σA2B2 인가를 검정하는데 필요한 F0 의 값은 약 얼마인가?(2019년 03월)

    

     1. 0.280
     2. 1.003
     3. 1.889
     4. 2.571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Fo=VA/VB    또는 VB/VA
0.07 /0.25 = 0.282
0.25 /0.07 =3.571
[해설작성자 : EQM ]

38. 모집단 비율(P)에 대하여 100(1-α)% 양측 신뢰구간의 폭을 2.4이상 되지 않게 추정하기 위한 표본크기(n)를 결정할 때의 식으로 맞는 것은?(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39. 다음 표는 주사위를 60회 던져서 1부터 6까지의 눈이 몇 회 나타나는가를 기록한 것이다. 이 주사위에 관한 적합도 검정을 하고자 할 때, 검정통계량 은 얼마인가?(2018년 03월)

    

     1. 1.9
     2. 2.5
     3. 3.2
     4. 4.5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검정 유형 문제
기대값 E(X)=NP
X0=(시그마(O-E)제곱)/E
즉 ((9-10)제곱+4+9+1+1+16)/10=3.2
H0= 주사위 눈의 발생 확률은 동일하다. H1= 주사위 눈의 발생 확률은 동일하지않다.

1종오류=5% 검정

좀더 나아가면
X0.95(5)=11.07
즉 H0 채택 주사위 눈의 발생 확률은 동일하다.
[해설작성자 : HAM]

40. 2σ의 관리한계선을 갖는 x 관리도에서 공정이 관리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상상태라고 신호할 확률은 약 얼마인가? (단, Z가 표준정규변수일 때, P(Z≤1)=0.8413, P(Z≤2)=0.9772, P(Z≤3)=0.9987 이다.)(2012년 03월)
     1. 0.0013
     2. 0.0027
     3. 0.0228
     4. 0.0456

     정답 : []
     정답률 : 30%

3과목 : 생산시스템


41. 두 대의 기계를 거쳐 수행되는 작업들의 총작업시간을 최소화하는 투입순서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2017년 03월)
     1. 작업의 납기순서
     2. 투입되는 작업자의 수
     3. 공정별ㆍ작업별 소요시간
     4. 시스템 내 평균 작업 수

     정답 : []
     정답률 : 77%

42. 보전작업자가 각 제조부서의 감독자 밑에 있는 보전조직은?(2021년 09월)
     1. 부문보전
     2. 집중보전
     3. 지역보전
     4. 절충보전

     정답 : []
     정답률 : 77%

43. 생산시스템의 운영 시 수행목표가 되는 4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재고
     2. 품질
     3. 원가
     4. 유연성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생산시스템의 수행목표는 품질, 원가, 납기, 유연성이다.
[해설작성자 : 레이니]

44. GT(Group technolog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3월)
     1. 배치시에는 혼합형 배치를 주로 사용한다.
     2. 생산설비를 기계군이나 셀로 분류, 정돈한다.
     3. 설계상, 제조상 유사성으로 구분하여 부품군으로 집단화한다.
     4. 소품종 대량생산시스템에서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45. 설비배치의 형태 중 제품별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다양한 작업으로 작업자의 직무만족이 크다.
     2. 자재의 운반거리가 짧고 공정흐름이 빠르다.
     3. 일단 계획이 수립되면 생산계획 및 통제가 쉽다.
     4. 작업이 단순하여 노무비가 저렴하고, 작업자의 훈련 및 감독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46. 다음은 생산관리에서 휠 라이트에 의해 제시된 생산과업의 우선순위 평가기준이다. 단계별 순서로 맞는 것은?(2018년 09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61%

47. 기계 M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제품을 생산하는 작업장에서 SPT(Shortest Processing Time) 규칙으로 처리순서를 정했을 때, 평균지체시간(Average Job Tardiness)은?(2019년 03월)

    

     1. 1일
     2. 2일
     3. 3일
     4. 4일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SPT순 : 2, 3, 1
완료시간 : 5, (5+7), (5+7+10) = 5, 12, 22
납기 대비 지체시간 : 0, 0, 6
평균 지체시간 : 6/3 = 2
[해설작성자 : 미루키키]

48. 재고시스템에서 재주문점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재고유지비용
     2. 수요율과 조달기간
     3. 수요율과 조달기간 변동의 정도
     4. 감내할 수 있는 재고부족 위험의 정도

     정답 : []
     정답률 : 42%

49. 고장을 예방하거나 조기 조치를 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급유, 청소, 조정, 부품교환 등을 하는 것은?(2022년 03월)
     1. 설비검사
     2. 보전예방
     3. 개량보전
     4. 일상보전

     정답 : []
     정답률 : 70%

50. 스톱워치에 의한 시간연구에서 관측대상 작업을 여러 개의 요소작업으로 구분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같은 유형의 요소작업 시간자료로부터 표준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2. 요소작업을 명확하게 기술함으로써 작업내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3. 모든 요소작업의 여유율을 동일하게 부여하여 여유시간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4. 작업방법이 변경되면 해당되는 부분만 시간연구를 다시 하여 표준시간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작성특성에 따른 여유시간을 주기가 곤란하므로 부정확할수밖에 없다
[해설작성자 : 벨라]

51. JIT 생산시스템에서 어떤 부품이 언제, 얼마나 필요한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2014년 05월)
     1. MPS
     2. BOM
     3. 경광등
     4. Kanban

     정답 : []
     정답률 : 45%

52. 7월의 판매실적치가 20000개, 판매예측치가 22000개 이었고, 8월 판매실적치가 25000개일 때, 7월과 8월 2개월 실적을 고려하여 지수평활법으로 9월의 판매 예측치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지수평활상수 a는 0.2이다.)(2009년 03월)
     1. 20880개
     2. 22080개
     3. 22280개
     4. 24080개

     정답 : []
     정답률 : 55%

53. 작업분석에 대한 개념의 구분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공정분석 - 단위작업분석 - 요소작업분석 - 동작분석
     2. 공정분석 - 요소작업분석 - 단위작업분석 - 동작분석
     3. 공정분석 - 동작분석 - 요소작업분석 - 단위작업분석
     4. 공정분석 - 단위작업분석 - 동작분석 - 요소작업분석

     정답 : []
     정답률 : 65%

54. A, B, C, D 4개의 작업 모두 공정 1을 먼저 거친 다음에 공정 2를 거친다. 최종작업이 공정 2에서 완료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작업순서는?(2022년 03월)

    

     1. A→C→B→D
     2. A→D→B→C
     3. C→A→B→D
     4. D→A→B→C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Johnson's Rule
각 작업의 최소시간을 구하여 공정1에 존재하면 앞공정으로, 공정2에 존재하면 후공정으로 처리
최소가공시간 1인 작업D의 공정이 공정2이므로 후공정 처리
이후 최소가공시간 5인 작업A의 공정이 공정1이므로 전공정 처리
이후 최소가공시간 6인 작업C의 공정이 공정1이므로 전공정 처리
따라서 A-C-B-D의 순서로 작업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아벤타도르]

55. 한구회사의 Y제품 가격이 1,500원, 한계이익률이 0.75일 때, 생산량은 150개이다. 고정비는 얼마인가?(2017년 09월)
     1. 975원
     2. 1,388원
     3. 18,475원
     4. 168,750원

     정답 : []
     정답률 : 62%

56. 정상시간(정미시간 : Normal Tim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정상적인 작업수행에 필요한 시간
     2. 주어진 작업시간을 목표생산량으로 나눈 시간
     3. PTS(Predetermined Time Standard)법에 의하여 산출된 시간
     4. 스톱워치에 의하여 구한 관측평균시간에 작업수행도평가(Performance Rating)를 반영한 시간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번은 피치타임이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57. 기업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능력으로 핵심부분에 집중하고 조직내부 활동이나 기능의 일부를 외부조직 또는 외부 기업체에 전문용역을 활용하여 처리하는 경영기법을 의미하는 용어는?(2020년 08월)
     1. Loading
     2. Outsourcing
     3. Debugigng
     4. Cross docking

     정답 : []
     정답률 : 79%

58. 다음 작업들을 긴급률법으로 작업순서를 결정하려 한다. 작업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나열된 것은? (단, 현재 날짜는 9월 1일 아침이고 휴일은 없다.)(2012년 05월)

    

     1. B → C → A
     2. C → B → A
     3. A → B → C
     4. C → A → B

     정답 : []
     정답률 : 58%

59. 일정계획의 주요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작업 할당
     2. 제품 조합
     3. 부하 결정
     4. 작업우선순위 결정

     정답 : []
     정답률 : 67%

60. 동작경제의 원칙 중 신체 사용에 관한 원칙으로 맞는 것은?(2021년 03월)
     1. 팔 동작은 곡선보다는 직선으로 움직이도록 설계한다.
     2. 근무시간 중 휴식이 필요한 때에는 한 손만 사용한다.
     3. 모든 공구나 재료는 정위치에 두도록 하여야 한다.
     4. 두 손의 동작은 동시에 시작하고 동시에 끝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4과목 : 신뢰성관리


61. 고장률이 0.001/시간으로 동일한 부품 2개가 둘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면 기능을 발휘하도록 만들어진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의 평균수명 시간은?(2013년 09월)
     1. 500
     2. 1000
     3. 15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43%

62.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시스템이나 제품의 기능이 저하되는 고장은?(2014년 05월)
     1. 초기고장
     2. 우발고장
     3. 열화고장
     4. 파국고장

     정답 : []
     정답률 : 66%

63. 신뢰도가 각각 R1, R2, R3인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병렬시스템의 신뢰도는?(2014년 09월)

    

     1. R1ㆍ R2ㆍ R3
     2. 1-(1-R1)(1-R2)(1-R3)
     3. 1-R1R2R3
     4. (1-R1)(1-R2)(1-R3)

     정답 : []
     정답률 : 61%

64. 부품의 단가는 400원이고, 시험하는 전체 부품의 시간당 시험비는 60원이다. 총시험기간(T)를 200시간으로 수명시험을 할 때, 가장 경제적인 것은?(2020년 06월)
     1. 샘플 5개를 40시간 시험한다.
     2. 샘플 10개를 20시간 시험한다.
     3. 샘플 20개를 10시간 시험한다.
     4. 샘플 40개를 5시간 시험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5*400)+(200*60)=14000
2. (10*400)+(200*60)=16000
3. (20*400)+(200*60)=20000
4. (40*400)+(200*60)=28000
*시험비가 일정한 경우에는 최소의 샘플로 시험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다.
[해설작성자 : 유나쓰]

65. 욕조형 고장률함수에서 우발고장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9년 04월)
     1. 설비의 노후화로 인하여 발생한다.
     2. 불량제조와 불량설치 등에 의해 발생한다.
     3. 고장률이 비교적 크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다.
     4. 고장률이 비교적 낮으며,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우발고장기간(CFR) 에서 형상모수 M=1 이므로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
(베스그래프 참조)
[해설작성자 : 로나코]

66. 수명과 수리시간이 모두 지수분포를 따를 때 고장률(λ) 0.0001/시간, 수리율(μ) 1.5/시간이고 장치에 요구되는 전동작시간(T)이 100시간, 수리제한시간이 30분일 때, 장치의 가용도(Availability)는 약 얼마인가?(2012년 05월)
     1. 0.9913
     2. 0.9933
     3. 0.9953
     4. 0.9973

     정답 : []
     정답률 : 16%

67. 10,000시간당 고장률이 각각 25, 38, 15, 50, 102 인 지수분포를 따르는 부품 5개로 구성된 직렬 시스템의 평균수명은 약 몇 시간인가?(2014년 09월)
     1. 50.05시간
     2. 43.48시간
     3. 40.12시간
     4. 36.29시간

     정답 : []
     정답률 : 57%

68. 기본설계 단계에서 FMEA를 실시한다면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 중 FMEA의 결과로 얻을 수 있는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2013년 06월)
     1. 임무달성에 큰 방해가 되는 고장모드 발견
     2. 인명손실, 건물파손 등 넓은 범위에 걸쳐 피해를 주는 고장모드 발견
     3. 컴포넌트 고장이 발생하는 확률의 발견
     4. 설계상 약점이 무엇인지 파악

     정답 : []
     정답률 : 64%

69. 고장률 곡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고장률 감소기간(DFR) = 마모고장기간
     2. 고장률 일정기간(CFR) = 우발고장기간
     3. 고장률 증가기간(IFR) = 초기고장기간
     4. 고장률 증가기간(IFR) = 우발고장기간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초기고장기간 = 고장률 감소기간 = DFR
우발고장기간 = 고장률 일정기간 = CFR
마모고장기간 = 고장률 증가기간 = IFR
[해설작성자 : 아성]

70. 기계부품이 진동에 의한 피로현상으로 파괴되었다. 이때 고장원인, 고장 메커니즘 및 고장모드를 구분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고장원인-진동, 고장 메커니즘-파괴,고장모드-피로
     2. 고장원인-파괴, 고장 메커니즘-피로, 고장모드-진동
     3. 고장원인-피로, 고장 메커니즘-진동, 고장모드-파괴
     4. 고장원인-진동, 고장 메커니즘-피로, 고장모드-파괴

     정답 : []
     정답률 : 61%

71. 고장률 λ를 가지는 리던던시 시스템을 그림과 같이 병렬로 구성하였을 때 신뢰도 함수R(t)는? (단, 각각의 부품은 동일한 고장률을 갖는 지수분포를 따른다.)(2018년 03월)

    

     1. 2e-λt-e-2λt
     2.
     3.
     4.

     정답 : []
     정답률 : 56%

72. 다음 기호를 사용하여 신뢰성의 척도를 구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R(t)=n(t)/N
     2. F(t)=1-R(t)
     3. λ(t)=R(t)/f(t)
     4. f(t)=-dR(t)/dt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번의 분자와 분모의 자리가 바뀌어야 한다.
f(t)/R(t)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73. 신뢰도 배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신뢰도 배분은 설계 초기단계에 이루어진다.
     2. 신뢰도 배분은 과거 고정률 데이터가 있어야 할 수 있다.
     3. 시스템의 신뢰성 목표를 서브시스템으로 배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4. 신뢰도 배분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신뢰도 블록 다이어그램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신뢰도 배분은 과거 고장률이 없어도 된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74. 재료의 강도는 평균 50kg/mm2, 표준편차가 2kg/mm2, 하중은 평균 45kg/mm2, 표준편차가 2kg/mm2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한다. 이 재료가 파괴될 확률은? (단, Z는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변수이다.)(2017년 05월)
     1. Pr(Z>-1.77)
     2. Pr(Z>1.77)
     3. Pr(Z>-2.50)
     4. Pr(Z>2.5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Z > (50-45)/√22+22
[해설작성자 : 마루쉐]

75. 고장해석기법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2012년 09월)
     1. 신뢰성과 안전성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2. 고장이나 안전성의 원인분석은 표준적 상황에 따라 결정한다.
     3. 고장이나 안전성의 예측 방법으로 FMEA, FTA 등이 많이 사용된다.
     4. 고장해석에 따라 제품의 고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고장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것이 안전성 제고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76. Y 부품에 가해지는 부하(Stress)는 평균 3,000 kg/mm2, 표준편차 300 kg/mm2이며, 강도는 평균 4,000 kg/mm2, 표준편차 400 kg/mm2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부품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단, u0.90=1.282, u0.9772=2, u0.9987=3이다.)(2013년 03월)
     1. 90%
     2. 95.46%
     3. 97.72%
     4. 99.87%

     정답 : []
     정답률 : 68%

77. 디버깅(debugging)을 충분히 실시하지 못할 경우 발생하기 쉬운 고장은?(2015년 03월)
     1. 돌발고장
     2. 열화고장
     3. 마모고장
     4. 초기고장

     정답 : []
     정답률 : 64%

78. 체계 전체의 설계목표치를 설정함과 동시에 하위 체계에 대하여 각각 신뢰성 목표치를 배분하는 신뢰성 배분의 일반적인 방침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6월)
     1. 기술적으로 복잡한 구성품에 대해서는 낮은 목표치를 배분한다.
     2. 원리적으로 단순한 구성품에 대해서는 높은 목표치를 배분한다.
     3. 사용경험이 많은 구성품에 대해서는 높은 목표치를 배분한다.
     4. 고성능을 요구하는 구성품에 대해서는 높은 목표치를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79. 고장률 λ=0.001/시간인 지수분포를 따르는 부품이 있다. 이 부품 2개를 신뢰도 100%인 스위치를 사용하여 대기결합 모델로 시스템을 만들었다면, 이 시스템을 100시간 사용하였을 때의 신뢰도는 부품 1개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몇 배로 증가하는가?(2017년 05월)
     1. 1.0
     2. 1.1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40%

80. 어떤 재료에 가해지는 부하의 평균은 20kg/mm2이고, 표준편차는 3kg/mm2이다. 그리고 사용재료의 강도는 평균이 35kg/mm2이고, 표준편차가 4kg/mm2이다. 이 재료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단, 다음의 정규분포표를 이용하여 구한다.)(2020년 06월)

    

     1. 95.45%
     2. 97.73%
     3. 99.73%
     4. 99.87%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u = 35-20/(√32+42) = 3
(1-0.0013)*100% = 99.8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기업의 목적ㆍ경영이념ㆍ경영정책ㆍ중장기 경영계획 등을 토대로 해서 수립된 연도 경영방침(사장 방침)을 달성하기 위해서 계층별로 방침을 전개ㆍ책정 즉 실행계획을 세워서 이를 실시한 다음 그 결과를 검토하여 필요한 조처를 취하는 조직적인 관리활동은?(2014년 05월)
     1. 품질관리
     2. 방침관리
     3. 목표관리
     4. 수율관리

     정답 : []
     정답률 : 46%

82. 계측 목적에 의한 분류 중 관리를 목적으로 측정 ㆍ평가하는 계측활동으로 보기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10월)
     1. 환경조건에 관한 계측
     2. 생산능률에 관한 계측
     3. 시험ㆍ연구를 위한 계측
     4. 자재ㆍ에너지에 관한 계측

     정답 : []
     정답률 : 75%

83. 소정의 품질수준을 유지하고 처음부터 부적합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소요되는 품질비용은?(2016년 10월)
     1. 평가비용
     2. 외부실패비용
     3. 예방비용
     4. 내부실패비용

     정답 : []
     정답률 : 67%

84. 품질시스템이 잘 갖추어진 회사는 끊임없는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장된 것이다. 끊임없는 개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P-D-C-A의 개선과정을 feed-back시키는 것이다.
     2. 기업에서 개선할 점은 언제든지 있다.
     3. 품질개선은 종업원의 창의성을 필요로 한다.
     4. 품질개선은 반드시 표준화된 기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85. 측정시스템에서 안정성(Sta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안정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동일 부품에 대한 측정 결과의 변동 정도를 의미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정된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 안정성이 결여된 것이다.
     2. 안정성 평가를 위한 관리도는 측정시스템의 정확도와 반복성을 동시에 모니터링해야 하므로 매번 동일 시료를 3~5회 정도 반복 측정 하도록 한다.
     3. 안정성 분석방법에서 평균관리도는 측정평균의 이동상황을 나타낸다.
     4. 안정성 분석방법에서 산포관리도가 관리상태가 아니지만 평균관리도가 관리상태이면 측정시스템이 더 이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음을 뜻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86. 고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고객은 내부고객과 외부고객이 있다. 흔히 내부고객은 회사 내 직원을 의미하고, 외부고객은 최종사용자를 의미한다.
     2. 새로운 건물을 짓는 건축회사는 자신의 고객으로 새로운 건물에 입주할 입주대상자와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자들만 외부고객으로 정의하였다.
     3. 제품의 품질을 만드는 것은 내부고객이다. 내부고객을 정확히 알고 내부고객 요구를 만족시켜 주는 것이 좋은 품질을 만드는 지름길이다.
     4. 외부고객은 제품의 최종사용자이다. 기업에선 제품의 사용자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들의 의견을 정확하게 청취하여 대책을 세우는 것이 경쟁력을 갖추는 지름길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87. 6시그마 활동의 추진상에 있어 일반적으로 DMAIC체계를 많이 따르고 있다. 이 중 M 단계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6년 10월)
     1. 문제나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단계이다.
     2. 개선할 대상을 확인하고 정의를 하는 단계이다.
     3. 결함이나 문제가 발생한 장소와 시점, 문제의 형태와 원인을 규명한다.
     4. 개선할 프로세스의 품질수준을 측정하고 문제에 대한 계량적 규명을 시도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단계 정의 D
2단계 측정 M
3단계 분석 A
4단계 개선 I
5단계 관리 C

88. 고객에 대한 불만처리 규정의 내용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대책의 수립방법
     2. 대책의 실시방법
     3. 불만 등의 정보수집방법
     4. 점검이나 정비결과의 기록방법

     정답 : []
     정답률 : 76%

89. 품질관련 소집단활동의 유형으로 볼 수 있는 것은?(2018년 09월)
     1. 품질분임조활동
     2. 경영혁신활동
     3. 품질위원회활동
     4. 품질전략위원회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품질관리 분임조
품질관리 분임조는 90년대 고도산업사회를 개척하기 위한 QM의 실천과 산업기술혁신에 도전하는 소집단.
전원 참여를 통한 자기계발 및 상호개발 이행.
QC수법을 활용해 직장의 관리, 개선을 지속적으로 행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모티베이션 운동은 그 추진 내용면에서 볼 때 동기 부여형과 불량 예방형으로 나눌 수 있다. 동기 부여형의 황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고의적 오류의 억제
     2. 품질 의식을 높이기 위한 모티베이션 양양교육
     3. 관리자책임의 불량이라는 관점에서 작업자의 개선행위의 추구
     4. 우수한 작업자의 기술습득 및 기술개선을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번은 불량 예방형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91. 사내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사내표준은 성문화된 자료로 존재하여야 한다.
     2. 사내표준의 개정은 기간을 정해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3. 사내표준은 조직원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회사의 경영자가 솔선하여 사내규격의 유지와 실시를 촉진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정기x 필요 시 o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품질관리 부서가 해야 하는 업무로 타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공정모니터링
     2. 품질정보의 제공
     3. 품질관련 훈련 및 교육실시
     4. 품질계획 및 보증체계 구축

     정답 : []
     정답률 : 62%

93. 다음 내용 중 ( )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0년 08월)

    

     1. QC, QA
     2. PL, PLP
     3. PL, PLD
     4. PLD, PLP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PLP(Product Liability Prevention) : PL사고 예방대책
PLD(Product Liability Defense) : PL사고 방어대책

94. 품질보증의 주요기능 중 가장 나중에 실시하여야 하는 것은?(2017년 05월)
     1. 설계품질의 확보
     2. 품질방침의 설정
     3. 품질조사의 클레임 처리
     4. 품질정보의 수집·해석·활용

     정답 : []
     정답률 : 47%

95. 품질비용의 하나인 평가비용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9월)
     1. 품질개발 및 계획비용
     2. 품질개선 비용
     3. 시험실 비용
     4. 재검사 비용

     정답 : []
     정답률 : 37%

96. 규정 공차가 똑같은 16개의 부품을 조립할 때 조립품의 규정 공차가 10/300이 된다면 개개부품의 규정 공파는?(2016년 03월)
     1. 1/60
     2. 1/120
     3. 1/600
     4. 1/1200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0/300 = √16 * X2= 1/120

97. 표준의 적용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15년 05월)
     1. 국가규격이나 사내표준은 강제력이 없다.
     2. 사내표준은 사내에 있어서 강제력이 있다.
     3. 국가규격은 국내 제조업체에 대한 강제력이 있다.
     4. 국가규격은 강제력이 있으나 사내표준은 강제력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국가규격은 법적인 강제력이있고
사내표준은 사내에있어 강제력이 있다
[해설작성자 : 벨라]

98. 어떤 업무를 실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상정하여 가장 바람직한 결과에 도달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정하고자 한다. 어떤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2019년 03월)
     1. PDPC
     2. 연관도
     3. PDCA
     4. 매트릭스도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PDPC(Process Decision Program Chart0법이란 신제품, 기술개발이나 PL문제의 예방, 클레임의 절충 및 치명적 문제회피 등과 같이 최초의 시점에서 최종결과까지의 행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하여, 진보과정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차례로 시행되는 계획의 정도를 높여 적절한 판단을 내림으로써 중대사태에 대한 회피, 나아가서는 제품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99. 로버트 클라인(Robert Klein)의 고객욕구의 등급 분류에 관한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2012년 05월)
     1. 기대욕구는 고객이 필수적으로 충족시킬 것을 요구하는 기본적인 욕구로 충족되지 않으면 고객은 매우 실망하나 충족된다고 해서 만족이 증대되지는 않는다.
     2. 저충격욕구란 고객이 이 욕구에 대해 언급을 하나 실제로는 고객의 전체 만족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거의 없는 욕구를 말한다.
     3. 고충격욕구란 규명된 중요도와 약한 상관관계에 있어 웬만큼 충족되어도 고객이 만족하지 않는 욕구를 뜻한다.
     4. 숨겨진 욕구는 고객이 그 중요성을 인지 못하거나 또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욕구이지만 욕구가 충족되면 강한 만족을 느끼는 욕구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100. 기업에서 제조물 책임 방어대책(PLD)의 사전대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7년 09월)
     1. 책임의 한정
     2. 응급체계구축
     3. 손실의 분산
     4. 사용방법의 보급

     정답 : []
     정답률 : 38%


정 답 지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70522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실험계획법


1. 요인 A, B가 각각 4수준인 모수모형 반복 없는 2요인 시험에서 결측지가 1개 발생하였다. 이것을 추정하여 분석했을 때, 오차항의 자유도(νe)는?(2019년 09월)
     1. 4
     2. 8
     3. 9
     4. 11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반복이 없는 실험에서 결측치가 있을경우 예이츠 방법사용
자유도는 (4-1)(4-1)=9, 결측치를 빼면 8

2. L27(313)직교배열표에서 기본표시가 ac인 곳에 P, bc인 곳에 Q를 배치하면 P×Q가 나타나는 열의 기본 표시는?(2013년 03월)
     1. abc2과 ab2인 두열
     2. ab2과 c인 두열
     3. abc과 bc2인 두열
     4. ab2과 bc2인 두열

     정답 : []
     정답률 : 72%

3. 요인배치법에서 인자수나 수준수가 증가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든다.
     2. 실험을 수일간 하여야 하므로 랜덤화가 어렵다.
     3. 실험을 실시함에 있어서 완전 랜덤화가 잘 된다.
     4. 실험을 통계적 관리상태로 실시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인자/수준이 많아질수록 랜덤화가 더 어려워지지 쉽게 되지는 않음. 따라서 "잘 된다"는 말은 일반적인 현상이 아님.
[해설작성자 : 171717]

4. 다음은 A, B 각 수준조건에서 100개의 물건을 만들어 그 중의 불량품수를 표시한 계수형 2요인 실험의 데이터이다. 오차분산(Ve2)는?(2020년 09월)

   

     1. 0.125
     2. 0.128
     3. 0.254
     4. 0.256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계수치 데이터의 2요인실험 분석
Ve2 = Se2/ve2 에서
Se2 = St-Sab, ve2 = lm(r-1) = 2*2*99 = 396
St = T - T^2/lmr = 60 - 60^2/(2*2*100) = 51
Sab = ∑∑Tij.^2/r - T^2/lmr = (20^2 + 15^2 + 10^2 + 15^2)/100 - 60^2/(2*2*100) =    0.5
따라서 Se2 = 50.5 이고, Ve2 = 50.5/396 = 0.128
[해설작성자 : 아벤타도르]

5. 반복이 있는 모수모형 2원 배치에서 다음의 실험데이터를 얻었다. ( )은 결측치이다. 이 결측치를 추정하여 넣은 후에 분산분석을 실시할 때 오차항의 자유도(νe) 는?(2013년 03월)

   

     1. 5
     2. 11
     3. 12
     4. 17

     정답 : []
     정답률 : 62%

6. 교락법에서 블럭반복을 행하는 경우에 각 반복마다 블럭효과와 교락시키는 요인이 다른 경우를 무슨 교락이라 하는가?(2006년 03월)
     1. 완전교락
     2. 단독교락
     3. 이중교락
     4. 부분교락

     정답 : []
     정답률 : 69%

7. 반복이 없는 2요인 실험에서 요인 A의 제곱합 SA의 기대치를 구하는 식은? (단, A와 B는 모두 모수, A의 수준수는 l, B의 수준수는 m이다.)(2020년 06월)
     1. σ2e+mσ2A
     2. (l-1)σ2e+m(l-1)σ2A
     3. (m-1)σ2e+(m-1)σ2A
     4. m(l-1)σ2e+l(m-1)σ2A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E(MS) = σ2e+mσ2A
DF = l-1
제곱합 SA의 기대치
E(MS) * DF = (l-1)σ2e+m(l-1)σ2A
[해설작성자 : 품질경영을흔드록바]

8. 직교배열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10월)
     1. 3수준계의 가장 작은 직교배열표는 L12(34)이다.
     2. 2수준 직교배열표를 이용하여 4수준 요인(인자)도 배치 가능하다.
     3. 실험의 크기를 확대시키지 않고도 실험에 많은 요인(인자)을 짜 넣을 수 있다.
     4. 2수준 요인(인자)과 3수준의 요인(인자)이 존재하는 실험인 경우에는 가수준(dummy level)을 만들어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9. 반복이 없는 2요인실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A의 수준수는 l, B의 수준수는 m이다.)(2017년 05월)
     1. 오차항의 자유도는(l-1)(m-1)이다.
     2. 분리해 낼 수 있는 제곱합의 종류는 SA, SB, SA×B, Se가 있다.
     3. 한 요인은 모수이고, 나머지 요인은 변량인 경우의 실험을 난괴법이라 한다.
     4. 모수모형의 경우 결측치가 발생하면 Yates가 제안한 방법으로 결측치를 추정하여 분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10. 실험계획에서 필요한 요인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2인자 이상의 무의미한 고차의 교호작용의 효과는 희생시켜 실험의 회수를 적게 하도록 고안된 실험계획법은?(2009년 03월)
     1. 교락법
     2. 난괴법
     3. 분할법
     4. 일부실시법

     정답 : []
     정답률 : 70%

11. 인자의 수준과 수준수를 택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자의 수준은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실험자가 생각하고 있는 각 인자의 흥미영역에서만 수준을 잡아준다.
     3. 특성치가 명확히 나쁘게 되리라고 예상되는 인자의 수준은 흥미영역에 포함된다.
     4. 수준수는 보통 2~5수준이 적절하며 많아도 6수준이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12. 다음은 온도(A), 농도(B), 촉매(C)가 각각 2수준인 23형 실험을 한 데이터이다. 교호작용 B×C의 효과는?(2014년 09월)

    

     1. 3.96
     2. 2.64
     3. 1.98
     4. 1.58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8/2)*[(BxC 짝)-(BxC 홀)]
=1/(8/2)*[((1)+a+bc+abc)-(b+ab+c+ac)]
=1/4*(260.56-252.64)
=1.98
[해설작성자 : jennie]

13. Ls(s7)인 직교배열표에서 7이 의미하는 것은?(2018년 09월)
     1. 실험의 회수
     2. 요인의 수준수
     3. 직교배열표 행의 수
     4. 배치 가능한 요인의 수

     정답 : []
     정답률 : 78%

14. 직물 가공 공정에서 처리액의 농도(A) 5수준에서 4회씩 반복 실험하여 직물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농도와 강도의 관련성을 회귀식을 이용하여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분산분석표를 얻었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1차와 2차 회귀는 유의수준 0.05에서 모두 유의하다.
     2. 3차 이상의 고차 회귀 제곱합은 2.71 이다.
     3. 2차 곡선 회귀로써 농도와 강도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4. 두 변수간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는데 3차 이상의 고차 회귀가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나머지_e=18.06-9.71-5.64=2.71
ss_e=27.04-18.06=8.98
Ms_e=8.98/15=0.599
F0_1차=9.710/0.599=16.21
F0_2차=5.640/0.599=9.41
F0_나머지=1.355/2.26

1. 맞음 - 1차, 2차 F0 > 4.54 → 유의
2. 맞음 - 고차 회귀 제곱합 = 2.71
3. 맞음 - 2차까지 유의 → 곡선 관계 설명 가능
4. 틀림 - 3차 이상은 F = 2.26 < 4.54 → 유의하지 않음 → 필요 없음
[해설작성자 : 에몽]

15. Y화학공장에서 제품의 수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반응온도(A)와 원료(B)를 요인으로 2요인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12회 완전 랜덤화 하였고, 2요인 모두 모수이다. 검정 결과로 맞는 것은? (단, F0.99(3, 6)=9.78, F0.95(3, 6)=4.76, F0.99(2, 6)=10.9, F0.95(2, 6)=5.14 이다.)(2020년 09월)

    

     1. A는 위험률 1%로 유의하고, B는 위험률 5%로 유의하다.
     2. A는 위험률 5%로 유의하고, B는 위험률 1%로 유의하다.
     3. A는 위험률 1%로 유의하지 않고, B는 위험률 5%로 유의하다.
     4. A는 위험률 5%로 유의하지 않고, B는 위험률 1%로 유의하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이 2개인거 같아요..2번도 맞고 3번도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확정답안은 2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배극윤 2022 버전에 정답 3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ㅈㅇㅇ]

[오류신고 반론]
양쌤 2020년 제4회에 2번이 답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A는 위험율 5%로 유의하며, 1%로는 유의하지 않음
B는 위험율 5%로 유의하며, 1%로 도 유의함.
따라서 2번이 정답 (3번은 B가 유의 수준이 더 높은 1%로도 유의 한데    5%로 유의 하다고 한 점이 부족한 답이 될 거 같음)
[해설작성자 : 김삿갓]

16. L16(215) 직교배열표에서 4수준 요인 A와 2수준 요인 B, C, D, F와 A×B, B×C, B×D를 배치하는 경우, 오차항의 자유도는?(2019년 03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A와 A*B의 자유도는 3이고 다른 요인의 자유도는 1이 된다.
Ve=15-[(2*3)+6]=3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17. [표1]은 모수요인 A와 블록요인 B에 대해 난괴법 실험을 하는 경우이며 [표2]는 블록요인 B를 반복으로 하는 요인 A의 1요인실험으로 변환시킨 경우이다. 이때 A의 제곱합(SA)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7년 09월)

    

     1. 난괴법에서의 A의 제곱합(SA)보다 1요인실험의 제곱합(SA)이 더 크다.
     2. 난괴법에서의 A의 제곱합(SA) 보다 1요인실험의 제곱합(SA)이 더 작다.
     3. 난괴법에서의 A의 제곱합(SA)과 1요인실험의 제곱합(SA)이 같다.
     4. 난괴법에서의 A의 제곱합(SA)과 B의 제곱합(SA)를 합한 것과 1요인실험의 제곱합(SA)은 값이 같다.

     정답 : []
     정답률 : 53%

18. 적합품을 0, 부적합품을 1로 표시한 0, 1의 데이터 해석에서 각 조합마다 각각 100회씩 되풀이 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았다. 전 변동 ST는 약 얼마인가?(2013년 03월)

    

     1. 53.37
     2. 16.52
     3. 7.37
     4. 2.97

     정답 : []
     정답률 : 63%

19. 33형의 1/3 반복에서 I=ABC2을 정의대비로 9회 실험을 하였다. 요인 A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A는 자유도 2를 갖는다.
     2. AB2는 요인 A의 별명이다.
     3. BC2는 요인 A의 별명이다.
     4. AB2C는 요인 A의 별명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20. 1요인실험에서 완전 랜덤화 모형과 2요인실험의 난괴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난괴법에서 변량요인 B에 대한 모평균을 추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2. 난괴법은 A요인의 모수요인, B는 변량요인이며 반복이 없는 경우를 지칭한다.
     3. 난괴법에서 변량요인 B를 실험일 또는 실험장소 등인 경우로 선택할 때 집단요인이 된다.
     4. k개의 처리를 r회 반복 실험하는 경우에 오차항의 자유도는 1요인실험이 난괴법 보다 r-1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3. 변량요인 B가 실험일, 실험장소 등인 경우 → 블록요인
[해설작성자 : 뽀뽀후]

2과목 : 통계적품질관리


21. 두 집단으로부터 추출된 n쌍의 자료를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모상관계수가 존재하는지( )를 검정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검정통계량의 자유도는?(2012년 03월)
     1. n-1
     2. n-2
     3. 2n-1
     4. 2n-2

     정답 : []
     정답률 : 64%

22. 500개가 1로트로 취급되고 있는 어떤 제품이 있다. 그 중 490개는 적합품, 10개는 부적합품이다. 부적합품 중 5개는 각각 1개씩의 부적합을 지니고 있으며, 4개는 각각 2개씩의 부적합, 그리고 1개는 3개의 부적합을 지니고 있다. 이 로트의 100 아이템당 부적합 수는 얼마인가?(2018년 03월)
     1. 1.6
     2. 3.2
     3. 4.9
     4. 10.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부적합수 = 5X1+4X2+1X3 = 16
100아이템당 16/500 = 3.2
[해설작성자 : PYH]

23. n = 5인 고-저(H-L) 관리도에서 , 일 때, UCL과 LCL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n = 5 일 때 H2 = 1.363 이다.)(2022년 04월)
     1. UCL = 6.293, LCL = 6.107
     2. UCL = 6.460, LCL = 6.193
     3. UCL = 6.465, LCL = 6.394
     4. UCL = 6.867, LCL = 6.293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m = (Xh + Xl) / 2

r = Xh - Xl
                             ㅡ
Ucl = m + h2 * r
                             ㅡ
Lcl = m - h2 * r
[해설작성자 : 오랜만에 공부하는 사람]

24. 12개의 표본으로부터 두 변수 X, Y에 대하여 데이터를 구하였더니, X의 제곱합 Sxx = 10, Y의 제곱합 Syy = 26, X, Y의 곱의 합 Sxy = 16 이었다. 이 때 회구계수(β1)의 95% 신뢰구간은 추정한 것은? (단, t0.975(10) = 2.228, t0.975(11) = 2.201이다.)(2016년 10월)
     1. 1.6±0.139
     2. 1.6±0.141
     3. 2.6±0.139
     4. 2.6±0.141

     정답 : []
     정답률 : 47%

25. 계수치 샘플링검사 절차-제1부 : 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 검사 방식(KS Q lSO 2859-1 : 2014)의 보통 검사에서 생산자 위험에 대한 1회 샘플링 방식에 대한 값은 100 아이템당 부적합수 검사일 경우 어떤 분포에 기초하고 있는가?(2019년 03월)
     1. 이항분포
     2. 초기하분포
     3. 정규분포
     4. 푸아송분포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100 아이템당 부적합수 : 포아송분포
- 부적합품률 퍼센트 : 이항분포
[해설작성자 : 렁메]

26. 제품의 품질 특성치의 측정치가 3, 4, 2, 5, 1, 4, 3, 2로 주어져 σ2에 관한 95% 신뢰구간을 구했더니 0.75 ≦ σ2 ≦ 7.10이였다. 귀무가설 H0 : σ2 = 9, 대립가설 H1 : σ2 ≠ 9에 관하여 유의수준 a = 0.05로 검정하면 귀무가설(H0)은?(2014년 03월)
     1. 채택한다.
     2. 기각한다.
     3. 보류한다.
     4. 기각해도 되고 채택해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27. 5대의 라디오를 하나의 시료 군으로 구성하여 25개 시료 군을 조사한 결과 195개의 부적합이 발견되었다. 이 때 c관리도와 u관리도의 UCL은 각각 약 얼마인가?(2017년 05월)
     1. 7.8, 1.56
     2. 16.18, 5.31
     3. 16.18, 3.24
     4. 57.73, 5.31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U관리도 = 195/25 + 3*루트(7.8)
C관리도 = 195/125 + 3*루트(1.56/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에분 u랑 c 반대로 쓰심
[해설작성자 : 오류수정맨]

28. 다음은 부분군의 크기와 부적합품수에 대해 9회에 걸쳐 측정한 자료표이다. 이 자료에 적용되는 관리도의 중심선은 약 얼마인가?(2018년 03월)

    

     1. 5.85%
     2. 5.95%
     3. 6.05%
     4. 6.15%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n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p관리도를 쓴다.
np를 모두 더한것을 n으로 나눠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다음 중 관리도의 사용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03월)
     1. 공정해석
     2. 공정관리
     3. 표본 크기의 결정
     4. 공정이상의 유무 판단

     정답 : []
     정답률 : 74%

30. 5대의 라디오를 하나의 시료 군으로 구성하여 25개 시료 군을 조사한 결과 195개의 부적합이 발견되었다. 이 때 c관리도와 u관리도의 UCL은 각각 약 얼마인가?(2020년 09월)
     1. 7.8, 1.56
     2. 16.18, 5.31
     3. 16.18, 3.24
     4. 57.73, 5.31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k=25, n=5
[c관리도]
bar{c}=195/25=7.8
U_CL=bar{c}+3root(bar{c})=16.18

[u관리도]
u0=195/125=1.56
U_CL=u0+3root(u0/n)=3.24
[해설작성자 : 당근]

31. 이항분포에서 n=100, P가 1/2일 때 표준편차는 얼마인가?(2006년 03월)
     1. 5
     2. 10
     3. 15
     4.

     정답 : []
     정답률 : 73%

32. 모수 θ의 모든 값에 대하여 를 만족하는 추정량 을 무슨 추정량이라 하는가?(2012년 05월)
     1. 유효추정량
     2. 충분추정량
     3. 일치추정량
     4. 불편추정량

     정답 : []
     정답률 : 69%

33. 다음 4개의 OC곡선은 각각 샘플링 계획(Sampling Plan) (a) N=1,000, n=75, c=1, (b) N=1,000, n=150, c=2, (c) N=1,000, n=450, c=6, (d) N=1,000, n=750, c=10 을 나타낸 것이다. 이 중 (b)에 해당되는 OC 곡선은 어느 것인가?(2013년 03월)

    

     1. (ㄱ)
     2. (ㄴ)
     3. (ㄷ)
     4. (ㄹ)

     정답 : []
     정답률 : 67%

34. 1회, 2회, 다회의 샘플링 형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검사 단위의 검사비용이 비싼 경우에는 1회의 경우가 제일 유리하다.
     2. 검사의 효율적인 측면에 있어서 2회의 경우가 1회의 경우보다 유리하다.
     3. 실시 및 기록의 번잡도에 있어서는 1회 샘플링 형식의 경우에 제일 간단하다.
     4. 검사로트당의 평균샘플크기는 일반적으로 다회 샘플링 형식의 경우에 제일 적다.

     정답 : []
     정답률 : 43%

35. 10톤씩 적재하는 100대의 화차에서 5대의 화차를 샘플링하여 각 화차로부터 3인크리먼트씩 랜덤하게 시료를 채취하는 샘플링 방법은?(2021년 03월)
     1. 집락 샘플링
     2. 층별 샘플링
     3. 계통 샘플링
     4. 2단계 샘플링

     정답 : []
     정답률 : 58%

36. 계수치 축차 샘플링 검사방식(KS Q ISO 8422 : 2009)에서 PA(PRQ)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3월)
     1. 될 수 있으면 합격으로 하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상한
     2. 될 수 있으면 합격으로 하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하한
     3. 될 수 있으면 불합격으로 하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상한
     4. 될 수 있으면 불합격으로 하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하한

     정답 : []
     정답률 : 51%

37. 원료 A와 원료 B에서 만들어지는 제품의 순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원료 A로부터 만들어지는 제품의 분산을 σA2이라 하고, 원료 B로부터 만들어지는 제품의 분산을 σB2 이라할 때, 유의수준 0.05로 σA2B2 인가를 검정하는데 필요한 F0 의 값은 약 얼마인가?(2019년 03월)

    

     1. 0.280
     2. 1.003
     3. 1.889
     4. 2.571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Fo=VA/VB    또는 VB/VA
0.07 /0.25 = 0.282
0.25 /0.07 =3.571
[해설작성자 : EQM ]

38. 모집단 비율(P)에 대하여 100(1-α)% 양측 신뢰구간의 폭을 2.4이상 되지 않게 추정하기 위한 표본크기(n)를 결정할 때의 식으로 맞는 것은?(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39. 다음 표는 주사위를 60회 던져서 1부터 6까지의 눈이 몇 회 나타나는가를 기록한 것이다. 이 주사위에 관한 적합도 검정을 하고자 할 때, 검정통계량 은 얼마인가?(2018년 03월)

    

     1. 1.9
     2. 2.5
     3. 3.2
     4. 4.5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검정 유형 문제
기대값 E(X)=NP
X0=(시그마(O-E)제곱)/E
즉 ((9-10)제곱+4+9+1+1+16)/10=3.2
H0= 주사위 눈의 발생 확률은 동일하다. H1= 주사위 눈의 발생 확률은 동일하지않다.

1종오류=5% 검정

좀더 나아가면
X0.95(5)=11.07
즉 H0 채택 주사위 눈의 발생 확률은 동일하다.
[해설작성자 : HAM]

40. 2σ의 관리한계선을 갖는 x 관리도에서 공정이 관리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상상태라고 신호할 확률은 약 얼마인가? (단, Z가 표준정규변수일 때, P(Z≤1)=0.8413, P(Z≤2)=0.9772, P(Z≤3)=0.9987 이다.)(2012년 03월)
     1. 0.0013
     2. 0.0027
     3. 0.0228
     4. 0.0456

     정답 : []
     정답률 : 30%

3과목 : 생산시스템


41. 두 대의 기계를 거쳐 수행되는 작업들의 총작업시간을 최소화하는 투입순서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2017년 03월)
     1. 작업의 납기순서
     2. 투입되는 작업자의 수
     3. 공정별ㆍ작업별 소요시간
     4. 시스템 내 평균 작업 수

     정답 : []
     정답률 : 77%

42. 보전작업자가 각 제조부서의 감독자 밑에 있는 보전조직은?(2021년 09월)
     1. 부문보전
     2. 집중보전
     3. 지역보전
     4. 절충보전

     정답 : []
     정답률 : 77%

43. 생산시스템의 운영 시 수행목표가 되는 4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재고
     2. 품질
     3. 원가
     4. 유연성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생산시스템의 수행목표는 품질, 원가, 납기, 유연성이다.
[해설작성자 : 레이니]

44. GT(Group technolog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3월)
     1. 배치시에는 혼합형 배치를 주로 사용한다.
     2. 생산설비를 기계군이나 셀로 분류, 정돈한다.
     3. 설계상, 제조상 유사성으로 구분하여 부품군으로 집단화한다.
     4. 소품종 대량생산시스템에서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45. 설비배치의 형태 중 제품별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다양한 작업으로 작업자의 직무만족이 크다.
     2. 자재의 운반거리가 짧고 공정흐름이 빠르다.
     3. 일단 계획이 수립되면 생산계획 및 통제가 쉽다.
     4. 작업이 단순하여 노무비가 저렴하고, 작업자의 훈련 및 감독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46. 다음은 생산관리에서 휠 라이트에 의해 제시된 생산과업의 우선순위 평가기준이다. 단계별 순서로 맞는 것은?(2018년 09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61%

47. 기계 M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제품을 생산하는 작업장에서 SPT(Shortest Processing Time) 규칙으로 처리순서를 정했을 때, 평균지체시간(Average Job Tardiness)은?(2019년 03월)

    

     1. 1일
     2. 2일
     3. 3일
     4. 4일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SPT순 : 2, 3, 1
완료시간 : 5, (5+7), (5+7+10) = 5, 12, 22
납기 대비 지체시간 : 0, 0, 6
평균 지체시간 : 6/3 = 2
[해설작성자 : 미루키키]

48. 재고시스템에서 재주문점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재고유지비용
     2. 수요율과 조달기간
     3. 수요율과 조달기간 변동의 정도
     4. 감내할 수 있는 재고부족 위험의 정도

     정답 : []
     정답률 : 42%

49. 고장을 예방하거나 조기 조치를 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급유, 청소, 조정, 부품교환 등을 하는 것은?(2022년 03월)
     1. 설비검사
     2. 보전예방
     3. 개량보전
     4. 일상보전

     정답 : []
     정답률 : 70%

50. 스톱워치에 의한 시간연구에서 관측대상 작업을 여러 개의 요소작업으로 구분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같은 유형의 요소작업 시간자료로부터 표준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2. 요소작업을 명확하게 기술함으로써 작업내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3. 모든 요소작업의 여유율을 동일하게 부여하여 여유시간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4. 작업방법이 변경되면 해당되는 부분만 시간연구를 다시 하여 표준시간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작성특성에 따른 여유시간을 주기가 곤란하므로 부정확할수밖에 없다
[해설작성자 : 벨라]

51. JIT 생산시스템에서 어떤 부품이 언제, 얼마나 필요한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2014년 05월)
     1. MPS
     2. BOM
     3. 경광등
     4. Kanban

     정답 : []
     정답률 : 45%

52. 7월의 판매실적치가 20000개, 판매예측치가 22000개 이었고, 8월 판매실적치가 25000개일 때, 7월과 8월 2개월 실적을 고려하여 지수평활법으로 9월의 판매 예측치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지수평활상수 a는 0.2이다.)(2009년 03월)
     1. 20880개
     2. 22080개
     3. 22280개
     4. 24080개

     정답 : []
     정답률 : 55%

53. 작업분석에 대한 개념의 구분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공정분석 - 단위작업분석 - 요소작업분석 - 동작분석
     2. 공정분석 - 요소작업분석 - 단위작업분석 - 동작분석
     3. 공정분석 - 동작분석 - 요소작업분석 - 단위작업분석
     4. 공정분석 - 단위작업분석 - 동작분석 - 요소작업분석

     정답 : []
     정답률 : 65%

54. A, B, C, D 4개의 작업 모두 공정 1을 먼저 거친 다음에 공정 2를 거친다. 최종작업이 공정 2에서 완료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작업순서는?(2022년 03월)

    

     1. A→C→B→D
     2. A→D→B→C
     3. C→A→B→D
     4. D→A→B→C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Johnson's Rule
각 작업의 최소시간을 구하여 공정1에 존재하면 앞공정으로, 공정2에 존재하면 후공정으로 처리
최소가공시간 1인 작업D의 공정이 공정2이므로 후공정 처리
이후 최소가공시간 5인 작업A의 공정이 공정1이므로 전공정 처리
이후 최소가공시간 6인 작업C의 공정이 공정1이므로 전공정 처리
따라서 A-C-B-D의 순서로 작업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아벤타도르]

55. 한구회사의 Y제품 가격이 1,500원, 한계이익률이 0.75일 때, 생산량은 150개이다. 고정비는 얼마인가?(2017년 09월)
     1. 975원
     2. 1,388원
     3. 18,475원
     4. 168,750원

     정답 : []
     정답률 : 62%

56. 정상시간(정미시간 : Normal Tim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정상적인 작업수행에 필요한 시간
     2. 주어진 작업시간을 목표생산량으로 나눈 시간
     3. PTS(Predetermined Time Standard)법에 의하여 산출된 시간
     4. 스톱워치에 의하여 구한 관측평균시간에 작업수행도평가(Performance Rating)를 반영한 시간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번은 피치타임이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57. 기업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능력으로 핵심부분에 집중하고 조직내부 활동이나 기능의 일부를 외부조직 또는 외부 기업체에 전문용역을 활용하여 처리하는 경영기법을 의미하는 용어는?(2020년 08월)
     1. Loading
     2. Outsourcing
     3. Debugigng
     4. Cross docking

     정답 : []
     정답률 : 79%

58. 다음 작업들을 긴급률법으로 작업순서를 결정하려 한다. 작업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나열된 것은? (단, 현재 날짜는 9월 1일 아침이고 휴일은 없다.)(2012년 05월)

    

     1. B → C → A
     2. C → B → A
     3. A → B → C
     4. C → A → B

     정답 : []
     정답률 : 58%

59. 일정계획의 주요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작업 할당
     2. 제품 조합
     3. 부하 결정
     4. 작업우선순위 결정

     정답 : []
     정답률 : 67%

60. 동작경제의 원칙 중 신체 사용에 관한 원칙으로 맞는 것은?(2021년 03월)
     1. 팔 동작은 곡선보다는 직선으로 움직이도록 설계한다.
     2. 근무시간 중 휴식이 필요한 때에는 한 손만 사용한다.
     3. 모든 공구나 재료는 정위치에 두도록 하여야 한다.
     4. 두 손의 동작은 동시에 시작하고 동시에 끝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4과목 : 신뢰성관리


61. 고장률이 0.001/시간으로 동일한 부품 2개가 둘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면 기능을 발휘하도록 만들어진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의 평균수명 시간은?(2013년 09월)
     1. 500
     2. 1000
     3. 15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43%

62.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시스템이나 제품의 기능이 저하되는 고장은?(2014년 05월)
     1. 초기고장
     2. 우발고장
     3. 열화고장
     4. 파국고장

     정답 : []
     정답률 : 66%

63. 신뢰도가 각각 R1, R2, R3인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병렬시스템의 신뢰도는?(2014년 09월)

    

     1. R1ㆍ R2ㆍ R3
     2. 1-(1-R1)(1-R2)(1-R3)
     3. 1-R1R2R3
     4. (1-R1)(1-R2)(1-R3)

     정답 : []
     정답률 : 61%

64. 부품의 단가는 400원이고, 시험하는 전체 부품의 시간당 시험비는 60원이다. 총시험기간(T)를 200시간으로 수명시험을 할 때, 가장 경제적인 것은?(2020년 06월)
     1. 샘플 5개를 40시간 시험한다.
     2. 샘플 10개를 20시간 시험한다.
     3. 샘플 20개를 10시간 시험한다.
     4. 샘플 40개를 5시간 시험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5*400)+(200*60)=14000
2. (10*400)+(200*60)=16000
3. (20*400)+(200*60)=20000
4. (40*400)+(200*60)=28000
*시험비가 일정한 경우에는 최소의 샘플로 시험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다.
[해설작성자 : 유나쓰]

65. 욕조형 고장률함수에서 우발고장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9년 04월)
     1. 설비의 노후화로 인하여 발생한다.
     2. 불량제조와 불량설치 등에 의해 발생한다.
     3. 고장률이 비교적 크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다.
     4. 고장률이 비교적 낮으며,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우발고장기간(CFR) 에서 형상모수 M=1 이므로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
(베스그래프 참조)
[해설작성자 : 로나코]

66. 수명과 수리시간이 모두 지수분포를 따를 때 고장률(λ) 0.0001/시간, 수리율(μ) 1.5/시간이고 장치에 요구되는 전동작시간(T)이 100시간, 수리제한시간이 30분일 때, 장치의 가용도(Availability)는 약 얼마인가?(2012년 05월)
     1. 0.9913
     2. 0.9933
     3. 0.9953
     4. 0.9973

     정답 : []
     정답률 : 16%

67. 10,000시간당 고장률이 각각 25, 38, 15, 50, 102 인 지수분포를 따르는 부품 5개로 구성된 직렬 시스템의 평균수명은 약 몇 시간인가?(2014년 09월)
     1. 50.05시간
     2. 43.48시간
     3. 40.12시간
     4. 36.29시간

     정답 : []
     정답률 : 57%

68. 기본설계 단계에서 FMEA를 실시한다면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 중 FMEA의 결과로 얻을 수 있는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2013년 06월)
     1. 임무달성에 큰 방해가 되는 고장모드 발견
     2. 인명손실, 건물파손 등 넓은 범위에 걸쳐 피해를 주는 고장모드 발견
     3. 컴포넌트 고장이 발생하는 확률의 발견
     4. 설계상 약점이 무엇인지 파악

     정답 : []
     정답률 : 64%

69. 고장률 곡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고장률 감소기간(DFR) = 마모고장기간
     2. 고장률 일정기간(CFR) = 우발고장기간
     3. 고장률 증가기간(IFR) = 초기고장기간
     4. 고장률 증가기간(IFR) = 우발고장기간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초기고장기간 = 고장률 감소기간 = DFR
우발고장기간 = 고장률 일정기간 = CFR
마모고장기간 = 고장률 증가기간 = IFR
[해설작성자 : 아성]

70. 기계부품이 진동에 의한 피로현상으로 파괴되었다. 이때 고장원인, 고장 메커니즘 및 고장모드를 구분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고장원인-진동, 고장 메커니즘-파괴,고장모드-피로
     2. 고장원인-파괴, 고장 메커니즘-피로, 고장모드-진동
     3. 고장원인-피로, 고장 메커니즘-진동, 고장모드-파괴
     4. 고장원인-진동, 고장 메커니즘-피로, 고장모드-파괴

     정답 : []
     정답률 : 61%

71. 고장률 λ를 가지는 리던던시 시스템을 그림과 같이 병렬로 구성하였을 때 신뢰도 함수R(t)는? (단, 각각의 부품은 동일한 고장률을 갖는 지수분포를 따른다.)(2018년 03월)

    

     1. 2e-λt-e-2λt
     2.
     3.
     4.

     정답 : []
     정답률 : 56%

72. 다음 기호를 사용하여 신뢰성의 척도를 구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R(t)=n(t)/N
     2. F(t)=1-R(t)
     3. λ(t)=R(t)/f(t)
     4. f(t)=-dR(t)/dt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번의 분자와 분모의 자리가 바뀌어야 한다.
f(t)/R(t)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73. 신뢰도 배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신뢰도 배분은 설계 초기단계에 이루어진다.
     2. 신뢰도 배분은 과거 고정률 데이터가 있어야 할 수 있다.
     3. 시스템의 신뢰성 목표를 서브시스템으로 배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4. 신뢰도 배분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신뢰도 블록 다이어그램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신뢰도 배분은 과거 고장률이 없어도 된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74. 재료의 강도는 평균 50kg/mm2, 표준편차가 2kg/mm2, 하중은 평균 45kg/mm2, 표준편차가 2kg/mm2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한다. 이 재료가 파괴될 확률은? (단, Z는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변수이다.)(2017년 05월)
     1. Pr(Z>-1.77)
     2. Pr(Z>1.77)
     3. Pr(Z>-2.50)
     4. Pr(Z>2.5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Z > (50-45)/√22+22
[해설작성자 : 마루쉐]

75. 고장해석기법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2012년 09월)
     1. 신뢰성과 안전성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2. 고장이나 안전성의 원인분석은 표준적 상황에 따라 결정한다.
     3. 고장이나 안전성의 예측 방법으로 FMEA, FTA 등이 많이 사용된다.
     4. 고장해석에 따라 제품의 고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고장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것이 안전성 제고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76. Y 부품에 가해지는 부하(Stress)는 평균 3,000 kg/mm2, 표준편차 300 kg/mm2이며, 강도는 평균 4,000 kg/mm2, 표준편차 400 kg/mm2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부품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단, u0.90=1.282, u0.9772=2, u0.9987=3이다.)(2013년 03월)
     1. 90%
     2. 95.46%
     3. 97.72%
     4. 99.87%

     정답 : []
     정답률 : 68%

77. 디버깅(debugging)을 충분히 실시하지 못할 경우 발생하기 쉬운 고장은?(2015년 03월)
     1. 돌발고장
     2. 열화고장
     3. 마모고장
     4. 초기고장

     정답 : []
     정답률 : 64%

78. 체계 전체의 설계목표치를 설정함과 동시에 하위 체계에 대하여 각각 신뢰성 목표치를 배분하는 신뢰성 배분의 일반적인 방침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6월)
     1. 기술적으로 복잡한 구성품에 대해서는 낮은 목표치를 배분한다.
     2. 원리적으로 단순한 구성품에 대해서는 높은 목표치를 배분한다.
     3. 사용경험이 많은 구성품에 대해서는 높은 목표치를 배분한다.
     4. 고성능을 요구하는 구성품에 대해서는 높은 목표치를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79. 고장률 λ=0.001/시간인 지수분포를 따르는 부품이 있다. 이 부품 2개를 신뢰도 100%인 스위치를 사용하여 대기결합 모델로 시스템을 만들었다면, 이 시스템을 100시간 사용하였을 때의 신뢰도는 부품 1개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몇 배로 증가하는가?(2017년 05월)
     1. 1.0
     2. 1.1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40%

80. 어떤 재료에 가해지는 부하의 평균은 20kg/mm2이고, 표준편차는 3kg/mm2이다. 그리고 사용재료의 강도는 평균이 35kg/mm2이고, 표준편차가 4kg/mm2이다. 이 재료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단, 다음의 정규분포표를 이용하여 구한다.)(2020년 06월)

    

     1. 95.45%
     2. 97.73%
     3. 99.73%
     4. 99.87%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u = 35-20/(√32+42) = 3
(1-0.0013)*100% = 99.8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기업의 목적ㆍ경영이념ㆍ경영정책ㆍ중장기 경영계획 등을 토대로 해서 수립된 연도 경영방침(사장 방침)을 달성하기 위해서 계층별로 방침을 전개ㆍ책정 즉 실행계획을 세워서 이를 실시한 다음 그 결과를 검토하여 필요한 조처를 취하는 조직적인 관리활동은?(2014년 05월)
     1. 품질관리
     2. 방침관리
     3. 목표관리
     4. 수율관리

     정답 : []
     정답률 : 46%

82. 계측 목적에 의한 분류 중 관리를 목적으로 측정 ㆍ평가하는 계측활동으로 보기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10월)
     1. 환경조건에 관한 계측
     2. 생산능률에 관한 계측
     3. 시험ㆍ연구를 위한 계측
     4. 자재ㆍ에너지에 관한 계측

     정답 : []
     정답률 : 75%

83. 소정의 품질수준을 유지하고 처음부터 부적합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소요되는 품질비용은?(2016년 10월)
     1. 평가비용
     2. 외부실패비용
     3. 예방비용
     4. 내부실패비용

     정답 : []
     정답률 : 67%

84. 품질시스템이 잘 갖추어진 회사는 끊임없는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장된 것이다. 끊임없는 개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P-D-C-A의 개선과정을 feed-back시키는 것이다.
     2. 기업에서 개선할 점은 언제든지 있다.
     3. 품질개선은 종업원의 창의성을 필요로 한다.
     4. 품질개선은 반드시 표준화된 기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85. 측정시스템에서 안정성(Sta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안정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동일 부품에 대한 측정 결과의 변동 정도를 의미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정된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 안정성이 결여된 것이다.
     2. 안정성 평가를 위한 관리도는 측정시스템의 정확도와 반복성을 동시에 모니터링해야 하므로 매번 동일 시료를 3~5회 정도 반복 측정 하도록 한다.
     3. 안정성 분석방법에서 평균관리도는 측정평균의 이동상황을 나타낸다.
     4. 안정성 분석방법에서 산포관리도가 관리상태가 아니지만 평균관리도가 관리상태이면 측정시스템이 더 이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음을 뜻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86. 고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고객은 내부고객과 외부고객이 있다. 흔히 내부고객은 회사 내 직원을 의미하고, 외부고객은 최종사용자를 의미한다.
     2. 새로운 건물을 짓는 건축회사는 자신의 고객으로 새로운 건물에 입주할 입주대상자와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자들만 외부고객으로 정의하였다.
     3. 제품의 품질을 만드는 것은 내부고객이다. 내부고객을 정확히 알고 내부고객 요구를 만족시켜 주는 것이 좋은 품질을 만드는 지름길이다.
     4. 외부고객은 제품의 최종사용자이다. 기업에선 제품의 사용자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들의 의견을 정확하게 청취하여 대책을 세우는 것이 경쟁력을 갖추는 지름길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87. 6시그마 활동의 추진상에 있어 일반적으로 DMAIC체계를 많이 따르고 있다. 이 중 M 단계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6년 10월)
     1. 문제나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단계이다.
     2. 개선할 대상을 확인하고 정의를 하는 단계이다.
     3. 결함이나 문제가 발생한 장소와 시점, 문제의 형태와 원인을 규명한다.
     4. 개선할 프로세스의 품질수준을 측정하고 문제에 대한 계량적 규명을 시도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단계 정의 D
2단계 측정 M
3단계 분석 A
4단계 개선 I
5단계 관리 C

88. 고객에 대한 불만처리 규정의 내용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대책의 수립방법
     2. 대책의 실시방법
     3. 불만 등의 정보수집방법
     4. 점검이나 정비결과의 기록방법

     정답 : []
     정답률 : 76%

89. 품질관련 소집단활동의 유형으로 볼 수 있는 것은?(2018년 09월)
     1. 품질분임조활동
     2. 경영혁신활동
     3. 품질위원회활동
     4. 품질전략위원회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품질관리 분임조
품질관리 분임조는 90년대 고도산업사회를 개척하기 위한 QM의 실천과 산업기술혁신에 도전하는 소집단.
전원 참여를 통한 자기계발 및 상호개발 이행.
QC수법을 활용해 직장의 관리, 개선을 지속적으로 행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모티베이션 운동은 그 추진 내용면에서 볼 때 동기 부여형과 불량 예방형으로 나눌 수 있다. 동기 부여형의 황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고의적 오류의 억제
     2. 품질 의식을 높이기 위한 모티베이션 양양교육
     3. 관리자책임의 불량이라는 관점에서 작업자의 개선행위의 추구
     4. 우수한 작업자의 기술습득 및 기술개선을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번은 불량 예방형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91. 사내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사내표준은 성문화된 자료로 존재하여야 한다.
     2. 사내표준의 개정은 기간을 정해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3. 사내표준은 조직원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회사의 경영자가 솔선하여 사내규격의 유지와 실시를 촉진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정기x 필요 시 o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품질관리 부서가 해야 하는 업무로 타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공정모니터링
     2. 품질정보의 제공
     3. 품질관련 훈련 및 교육실시
     4. 품질계획 및 보증체계 구축

     정답 : []
     정답률 : 62%

93. 다음 내용 중 ( )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0년 08월)

    

     1. QC, QA
     2. PL, PLP
     3. PL, PLD
     4. PLD, PLP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PLP(Product Liability Prevention) : PL사고 예방대책
PLD(Product Liability Defense) : PL사고 방어대책

94. 품질보증의 주요기능 중 가장 나중에 실시하여야 하는 것은?(2017년 05월)
     1. 설계품질의 확보
     2. 품질방침의 설정
     3. 품질조사의 클레임 처리
     4. 품질정보의 수집·해석·활용

     정답 : []
     정답률 : 47%

95. 품질비용의 하나인 평가비용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9월)
     1. 품질개발 및 계획비용
     2. 품질개선 비용
     3. 시험실 비용
     4. 재검사 비용

     정답 : []
     정답률 : 37%

96. 규정 공차가 똑같은 16개의 부품을 조립할 때 조립품의 규정 공차가 10/300이 된다면 개개부품의 규정 공파는?(2016년 03월)
     1. 1/60
     2. 1/120
     3. 1/600
     4. 1/1200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0/300 = √16 * X2= 1/120

97. 표준의 적용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15년 05월)
     1. 국가규격이나 사내표준은 강제력이 없다.
     2. 사내표준은 사내에 있어서 강제력이 있다.
     3. 국가규격은 국내 제조업체에 대한 강제력이 있다.
     4. 국가규격은 강제력이 있으나 사내표준은 강제력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국가규격은 법적인 강제력이있고
사내표준은 사내에있어 강제력이 있다
[해설작성자 : 벨라]

98. 어떤 업무를 실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상정하여 가장 바람직한 결과에 도달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정하고자 한다. 어떤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2019년 03월)
     1. PDPC
     2. 연관도
     3. PDCA
     4. 매트릭스도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PDPC(Process Decision Program Chart0법이란 신제품, 기술개발이나 PL문제의 예방, 클레임의 절충 및 치명적 문제회피 등과 같이 최초의 시점에서 최종결과까지의 행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하여, 진보과정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차례로 시행되는 계획의 정도를 높여 적절한 판단을 내림으로써 중대사태에 대한 회피, 나아가서는 제품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99. 로버트 클라인(Robert Klein)의 고객욕구의 등급 분류에 관한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2012년 05월)
     1. 기대욕구는 고객이 필수적으로 충족시킬 것을 요구하는 기본적인 욕구로 충족되지 않으면 고객은 매우 실망하나 충족된다고 해서 만족이 증대되지는 않는다.
     2. 저충격욕구란 고객이 이 욕구에 대해 언급을 하나 실제로는 고객의 전체 만족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거의 없는 욕구를 말한다.
     3. 고충격욕구란 규명된 중요도와 약한 상관관계에 있어 웬만큼 충족되어도 고객이 만족하지 않는 욕구를 뜻한다.
     4. 숨겨진 욕구는 고객이 그 중요성을 인지 못하거나 또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욕구이지만 욕구가 충족되면 강한 만족을 느끼는 욕구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100. 기업에서 제조물 책임 방어대책(PLD)의 사전대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7년 09월)
     1. 책임의 한정
     2. 응급체계구축
     3. 손실의 분산
     4. 사용방법의 보급

     정답 : []
     정답률 : 3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70522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16942)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568 워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100955)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67 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593532)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566 9급 지방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65 경찰공무원(순경)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788266)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705224)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63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562 소음진동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61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560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7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59 금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11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558 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557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56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555 건설기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8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54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553 <h2>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6년10월01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552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171589)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551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550 9급 지방직 공무원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Board Pagination Prev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192 Next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