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151588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타워크레인 구조 및 기능일반


1. 다음 전압의 종류 중 저압에 해당하는 것은?(2008년 03월)
     1. 직류 7000V 초과, 교류 600V 이하
     2. 직류 750V 초과, 교류 600V 이하
     3. 직류 750V 이하 교류 600V 이하
     4. 직류 7000V 이하, 교류 600V 이하

     정답 : []
     정답률 : 87%

2. T형 타워크레인의 메인지브를 이동하며 권상작업을 위한 선회반경을 결정하는 횡행장치는?(2016년 07월)
     1. 트롤리
     2. 훅 블록
     3. 타이 바
     4. 캣 헤드

     정답 : []
     정답률 : 80%

3. 다음 중 타워크레인의 주요 구조부가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설치기초
     2. 지브(jib)
     3. 수직사다리
     4. 원치, 균형추

     정답 : []
     정답률 : 82%

4. 운동하고 있는 물체는 언제까지나 같은 속도로 운동을 계속하려고 한다. 이러한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0년 07월)
     1.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
     2. 관성의 법칙
     3. 가속도의 법칙
     4. 우력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82%

5. 기초 앵커를 설치하는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지내력은 접지압 이상 확보한다.
     2. 버림 콘크리트 타설 또는 지반을 다짐한다.
     3. 구조 계산 후 충분한 수의 파일을 항타한다.
     4. 앵커 셋팅 수평도는 ±5mm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6. 타워크레인 접지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0년 03월)
     1. 접기극의 크기는 동판의 경우 면적이 500cm2 이상이어야 한다.
     2. 접지선은 베이직 마스트 하단에 접속한다.
     3. 접지선은 GV 38mm2 이상을 접속한다.
     4. 접지극은 기초공사 시 매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 타워크레인의 전동기, 제어반, 리미트스위치, 과부하방지장치 등의 외함 구조는 방수 및 방진에 대하여 IP규격이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2008년 07월)
     1. IP10
     2. IP11
     3. IP54
     4. IP67

     정답 : []
     정답률 : 79%

8. 타워크레인의 방호장치 종류가 아닌 것은?(2008년 07월)
     1. 권상 및 권하 방지장치
     2. 풍압 방지장치
     3. 과부하 방지장치
     4. 훅 해지장치

     정답 : []
     정답률 : 60%

9. 타워크레인의 과부하방지장치는 정격하중의 얼마이상 권상 시 동작하여야 하는가?(2016년 07월)
     1. 정격하중의 1배
     2. 정격하중의 1.05배
     3. 정격하중의 1.25배
     4. 정격하중의 1.5배

     정답 : []
     정답률 : 70%

10. 타워 크레인의 선회동작으로 인하여 타워 마스트에 발생하는 모멘트는?(2010년 07월)
     1. 전단 모멘트
     2. 좌굴 모멘트
     3. 비틀림 모멘트
     4. 굽힘 모멘트

     정답 : []
     정답률 : 77%

11. L형(경사지브형) 타워크레인의 운동 중 기복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2009년 07월)
     1.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2. 거더의 레일을 따라 트롤리가 이동하는 것이다.
     3. 크레인의 지브가 수직면에서 지브각의 변화를 말한다.
     4. 달아올릴 화물을 타워크레인의 마스트쪽으로 당기거나 밀어내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12. 다음 중 유압장치의 구성품에서 제어벨브의 3대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7년 09월)
     1. 유압류 제어 벨브 - 오일의 종류 확인 (일의 선택)
     2. 방향 제어 벨브 - 오일의 흐름 바꿈 (일의 방향)
     3. 압력 제어 벨브 - 오일의 압력 제어 (일의 크기)
     4. 유량 제어 벨브 - 오일의 유량 조절 (일의 속도)

     정답 : []
     정답률 : 82%

13. 타워크레인의 지브가 바람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면적을 최소로 하여 타워크레인의 본체를 보호 하는 방호장치는?(2009년 07월)
     1. 충돌방지장치
     2. 와이어로프 이탈방지장치
     3. 선회브레이크 풀림장치
     4. 트롤리정지장치

     정답 : []
     정답률 : 81%

14. 전기 수전반에서 인입 전원을 받을 때의 내용이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기동 전력을 충분히 감안하여 수전 받아야 한다.
     2. 지브의 길이에 따라서 기동 전력이 달라져야 한다.
     3. 변압기를 설치하는 경우 방호망을 설치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4. 타워크레인용으로 단독으로 가설하여 전압강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15. 1g의 물체에 작용하여 1cm/sec2의 가속도를 일으키는 힘의 단위는?(2008년 03월)
     1. 1dyn(다인)
     2. 1Hp(마력)
     3. 1ft(피트)
     4. 1lb(파운드)

     정답 : []
     정답률 : 71%

16. 기복(Luffing)형 타워 크레인에서 양중물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선회반경은?(2010년 07월)
     1. 짧아진다.
     2. 길어진다.
     3. 기울어진다.
     4. 변함없다.

     정답 : []
     정답률 : 84%

17. 배선용 차단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과전류 동작(차단) 하였을 때 그 원인을 제거하면 즉시 재차 투입할 수 있다.
     2. 접점의 개폐속도가 일정하고 또한 빠르다.
     3. 과전류가 2극 이상 흘러야 트립한다.
     4. 동작 후 복구 시에 퓨즈와 같이 교환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4%

18. 힘의 3요소가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작용점
     2. 방향
     3. 크기
     4. 속도

     정답 : []
     정답률 : 56%

19. 다음 중 과전류 차단에 요구되는 성능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09년 03월)
     1. 과부하 등 적은 과전류가 장시간 계속 흘렀을 때 동작하지 않을 것
     2. 과전류가 작아졌을 때 단시간에 동작 할 것
     3. 큰 단락 전류가 흘렀을 때는 순간적으로 동작 할 것
     4. 전동기의 시동전류와 같이 단시간 동안 약간의 과전류가 흘렀을 때 돌작할 것

     정답 : []
     정답률 : 80%

20. 타워크레인 각 지브 길이에 따라 정격하중의 1.05배 이상 권상시 작동하는 방호장치는?(2009년 07월)
     1. 권상, 권하 방지 장치
     2. 과부하 방지 장치
     3. 트롤리 로프 안전 장치
     4. 훅 해지 장치

     정답 : []
     정답률 : 75%

2과목 : 양중작업 일반


21. 크레인 운전자의 의무사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8년 07월)
     1. 재해방지를 위해 크레인 사용 전 점검
     2. 장비에 특이사항이 있을시 교대자에게 설명
     3. 기어박스의 오일량 및 마모기어의 정비
     4. 안전운전에 영향을 미칠 결함 발견 시 작업중지

     정답 : []
     정답률 : 87%

22. 트롤리 이동 내·외측 제어장치의 제어위치로 맞는 것은?(2009년 07월)
     1. 지브 섹션의 중간
     2. 지브 섹션의 시작과 끝 지점
     3. 카운터 지브 끝 지점
     4. 트롤리 정지 장치

     정답 : []
     정답률 : 74%

23. 트롤리의 기능을 옳게 설명한 것은?(2008년 07월)
     1. 와이어로프에 매달리어 권상작업을 한다
     2. 카운터지브에 설치되어 균형유지를 하여준다
     3. 메인지브에서 전후 이동하며 작업반경을 결정하는 횡행장치이다
     4. 마스트의 높이를 높이는 유압구동장치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24. 타워크레인 안전작업을 위한 신호시의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신호수는 절도있는 동작으로 간단명료하게 한다.
     2. 운전자가 보기 쉽고 안전한 장소에서 실시한다.
     3. 운전자에 대한 신호는 반드시 정해진 한 사람의 신호수가 한다.
     4. 신호수는 항상 운전자에게만 주시하고 줄걸이 작업자의 행동을 별로 중요시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90%

25. 주행(Travelling)타워의 상시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레일 지반의 평탄성
     2. 레일 크램프의 이상유무
     3. 주행 레일의 규격
     4. 주행로의 장애물

     정답 : []
     정답률 : 79%

26. 신호수의 준수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2008년 07월)
     1. 신수호는 지정된 신호방법으로 신호한다.
     2. 두 대의 타워크레인으로 동시 작업시 두 사람의 신호수가 동시에 신호한다.
     3. 신호수는 그 자신이 신호수로 구별될 수 있도록 눈에 잘 띄는 표시를 한다.
     4. 신호장비는 밝은 색상이며 신호수에게만 적용되는 특수색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27. 타워크레인 정격하중의 의미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2008년 07월)
     1. 훅 및 달기기구의 중량을 포함하여 타워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
     2. 훅 및 달기기구의 중량을 제외한 타워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
     3. 평상시 주로 취급하는 하물의 하중
     4. 훅의 중량을 포함한 타워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하중

     정답 : []
     정답률 : 68%

28. 타워크레인 인양작업 시 줄걸이 안전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신호수는 원칙적으로 1인이다.
     2. 신호수는 타워크레인 조종사가 잘 확인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에서 행한다.
     3. 2인 이상이 고리 걸이 작업할 때는 상호간에 복창소리를 주고 받으며 진행한다.
     4. 인양 작업시 지면에 있는 보조자는 와이어로프를 손으로 꼭 잡아 하물이 흔들리지 않게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9. 타워크레인 인양 작업시 금기작업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2007년 09월)
     1. 신호수가 없는 상태에서 하중이 보이지 않는 인양작업
     2. 고층으로 하중을 인양하는 작업
     3. 땅 속에 박힌 하중을 인양하는 작업
     4. 중심이 벗어나 불균형하게 매달린 하중 인양작업

     정답 : []
     정답률 : 81%

30. 선회기어와 베어링 및 축내 급유를 하는 주된 목적이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캐비테이션(공동화)현상을 방지해준다.
     2. 부분 마멸을 방지해 준다.
     3. 동력 손실을 방지해 준다.
     4. 냉각 작용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31. 와이어로프 줄걸이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때 고려 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7월)
     1. 짐의 중량
     2. 짐의 중심
     3. 짐의 부피
     4. 짐을 매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69%

32. 줄걸이 와이어로프에 짐을 매달았을 때 한줄에 걸리는 장력을 구하는 계산 공식으로 적합한 것은?(2010년 03월)
     1. (짐의 무게/와이어의 수) ÷ (sin 와이어의 각도)
     2. (짐의 무게/와이어의 수) × (sin 와이어의 각도)
     3. (짐의 무게/와이어의 수) ÷ (cos 와이어의 각도)
     4. (짐의 무게/와이어의 수) ÷ (tan 와이어의 각도)

     정답 : []
     정답률 : 57%

33. 줄걸이 체인의 사용 한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안전계수가 5 이상이 것
     2. 지름의 감소가 공칭 직경의 10%를 넘지 않은 것
     3. 변형 및 균열이 없는 것
     4. 연신이 제조당시 길이의 10%를 넘지 않은 것

     정답 : []
     정답률 : 48%

34. 크레인으로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 줄걸이 작업을 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중량물의 중심위치를 고려한다.
     2. 줄걸이 각도를 최대한 크게 해준다.
     3. 줄걸이 와이어로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4. 날카로운 모서리가 있는 중량물은 보호대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35. 안전율을 구하는 공식으로 맞는 것은?(2008년 03월)
     1. 안전율=이동하중/고정하중
     2. 안전율=시험하중/정격하중
     3. 안전율=사용하중/절단하중
     4. 안전율=절단하중/사용하중

     정답 : []
     정답률 : 70%

36. 산업안전보건법 안전기준의 와이어로프에 대한 마모 및 교체기준이다.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한가닥에서 소선의 수가 10% 이상 절단된 것
     2. 소선 및 스트랜드의 돌출이 확인되는 것
     3. 외부마모에 의한 호칭지름 감소가 7% 이상일 때
     4. 킹크나 부식은 없어도 단말고정을 한 것

     정답 : []
     정답률 : 75%

37. 체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고열물이나 수중, 해중 작업에서 사용한다.
     2. 매다는 체인의 종류에는 스터드 체인, 롱링크 체인, 숏링크 체인 등이 있다.
     3. 롤러체인을 고리모양으로 연결할 때 링크의 층수가 짝수라야 편리하며, 링크의 수가 짝수일 때 옵셋링크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4. 체인의 신장은 신품 구입시보다 5%가 늘어나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4%

38. 와이어 손상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와이어는 사용 중 시브 및 드럼 등의 접촉에 의해 마모가 생기는데 이때 직경 감소가 7% 마모 시 교환한다.
     2. 사용 중 소선의 단선이 전체 소선수의 50%가 단선이 되면 교환한다.
     3. 과하중을 들어올릴 경우 내·외층의 소선이 맞부딪치게 되어 피로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4. 열의 영향으로 강도가 저하되는데 이때 심강이 철심일 경우 300℃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39. 줄걸이 작업에 사용하는 Hooking 용 핀 또는 봉의 지름은 줄걸이용 와이어 로프 직경의 얼마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2009년 03월)
     1. 1배 이상
     2. 2배 이상
     3. 4배 이상
     4. 6배 이상

     정답 : []
     정답률 : 67%

40. 가로 10m, 세로 1m, 높이 0.2m인 금속화물이 있다. 이것을 4줄 걸이 30도로 들어올릴 때 한 개의 와이어에 걸리는 하중은? (단, 금속의 비중은 7.8)(2008년 03월)
     1. 3.9톤
     2. 7.8톤
     3. 4.05톤
     4. 15.6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교제에는 이 문제의 답이 4.05톤으로 나와 있습니다
풀이는
10×1×0.2×7.8=15.6
15.6÷4÷cos(15°)=4.037
근사값으로 3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건설과 2학년]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1. 현장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이 두 대 이상으로 중첩되는 경우의 최소 안전 이격거리는 얼마인가?(2009년 07월)
     1. 1m
     2. 2m
     3. 3m
     4. 4m

     정답 : []
     정답률 : 71%

42. 타워크레인을 와이어로프로 지지 및 고정하였을 경우의 효과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설치·해체 공정이 빠르다.
     2. 재사용이 가능하다.
     3. 비틀림에도 효과적이다.
     4. 인장력에만 저항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43.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상 타워크레인을 와이어로프로 지지하는 경우에 있어 사업주의 준수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7월)
     1. 와이어포르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도 이내로 할 것
     2. 와이어로프가 가공전선(架空電線)에 근접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3. 와이어로프는 지상의 이동용 고정장치에 신속히 해체시킬 수 있도록 고정할 것
     4. 와이어로프의 고정부위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갖도록 설치할 것

     정답 : []
     정답률 : 72%

44. 미스트 연장작업(텔레스코핑) 시 양쪽 지브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카운터 지브에 있는 밸러스트(균형추)를 내려놓은 방법
     2. 제작 메이커에서 지정하는 무게를 권상하여 지브위치로 트롤리를 이동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
     3. 자체 마스트를 권상하여 지브위치로 트롤리를 이동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
     4. 지브위치로 트롤리를 이동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60%

45. 마스트 상승 및 해체작업을 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에 해당 되는 것은?(2009년 07월)
     1. 크레인의 균형을 유지한다.
     2. 콘트롤러의 성능을 확보한다.
     3. 볼트의 상태를 점검한다.
     4. 관련 작업자와 자주 통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46. 다음 중 마스트 연장작업(텔레스코핑)시 반드시 준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반드시 제조자 및 설치 업체에서 작성한 표준 작업 절차에 의해 작업해야 한다.
     2. 텔레스코핑 작업 시 타워크레인 양쪽 지브의 균형 유지는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3. 텔레스코핑 작업 시 유압실린더 위치는 카운터 지브의 반대방향 이어야 한다.
     4. 텔레스코핑 작업은 반드시 제한 풍속(순간 최대풍속 : 10m/s)을 준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47. 크레인 조립·해체시의 작업 준수사항이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작업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에 의하여 작업 실시
     2. 작업장소는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 확보
     3.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기자재는 균형을 유지하면서 작업
     4. 조립용 볼트는 나란히 한 차례대로 결합하고 분해

     정답 : []
     정답률 : 81%

48. 유해·위험작업의 취업제한에 관한 규칙에 의하여, 타워크레인 조종업무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되는 타워크레인은?(2009년 07월)
     1. 조종석이 설치된 정격하중 1톤인 타워크레인
     2. 조종석이 설치된 정격하중 2톤인 타워크레인
     3. 조종석이 설치된 정격하중 3톤인 타워크레인
     4. 조종석이 설치되지 아니한 정격하중 3톤인 타워크레인

     정답 : []
     정답률 : 84%

49. 마스트 연장 작업에서 메인 지브와 카운터 지브의 균형 유지 방법이 옳은 것은?(2008년 07월)
     1. 작업 전 주행레일을 조정하여 균형을 유지한다.
     2. 작업시 권상작업을 통하여 균형을 유지한다.
     3. 작업시 선회작업을 통하여 균형을 유지한다.
     4. 작업 전 하중을 인양하여 트롤리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균형을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50. 설치작업 시작 전 착안 사항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기상확인
     2. 역할분담 지시
     3. 줄걸이, 공구 안전점검
     4. 타워크레인 기종 선정

     정답 : []
     정답률 : 84%

51. 안전작업은 복장의 착용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에서 권장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땀을 닦기 위한 수건이나 손수건을 허리나 목에 걸고 작업해서는 안된다.
     2. 옷소매 폭이 너무 넓지 않는 것이 좋고, 단추가 달린 것은 되도록 피한다.
     3. 물체 추락의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서는 안전모를 착용해야 한다.
     4. 복장을 단정하게 하기 위해 넥타이는 꼭 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52. 중량물 운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경우 주위사람에게 인지하게 한다.
     2. 무거운 물건을 상승 시킨 채 오랫동안 방치 하지 않는다.
     3. 규정 용량을 초과해서 운반하지 않는다.
     4. 흔들리는 중량물은 사람이 붙잡아서 이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53. 동력 전동장치에서 가장 재해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은?(2009년 03월)
     1. 기어
     2. 커플링
     3. 벨트
     4. 차축

     정답 : []
     정답률 : 86%

54. 소화 작업의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가연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2. 산소를 차단하면 된다.
     3. 점화원을 제거시키면 된다.
     4. 연료를 기화시키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89%

55. 안전한 작업을 위해 보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는 작업은?(2008년 07월)
     1. 엔진 오일 보충 및 냉각수 점검작업
     2. 제동등 작동 점검 시
     3. 장비의 하체 점검작업
     4. 전기저항 측정 및 배선 점검 작업

     정답 : []
     정답률 : 67%

56. 일반 드라이버 사용시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정을 대신할 때는 (-)드라이버를 이용한다.
     2. 드라이버에 충격압력을 가하지 말아야 한다.
     3. 자루가 쪼개졌거나 또한 허술한 드라이버는 사용하지 않는다.
     4. 드라이버의 날 끝은 항상 양호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57. 다음 중 작업표준의 목적에 해당 하는 것은?(2009년 07월)
     1. 위험요인의 제거
     2. 경영자의 이해
     3. 작업방식의 검토
     4. 설비의 적정화 및 정리정돈

     정답 : []
     정답률 : 53%

58. 안전점검의 일상점검표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전기 스위치
     2. 작업자의 복장상태
     3. 가동 중 이상소음
     4. 폭풍 후 기계의 기능상 이상 유무

     정답 : []
     정답률 : 63%

59. 전기 기기에 의한 감전 사고를 막기 위하여 필요한 설비로 가장 중요한 것은?(2016년 07월)
     1. 접지 설비
     2. 방폭등 설비
     3. 고압계 설비
     4. 대지 전위 상승 설비

     정답 : []
     정답률 : 75%

60. 작업장에서 용접 작업의 유해 광선으로 눈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적절한 조치로 맞는 것은?(2007년 09월)
     1. 손으로 비빈 후 과산화수소수로 치료한다.
     2. 냉수로 씻어낸 냉수포를 얹거나 병원에서 치료한다.
     3. 알콜로 씻는다.
     4. 뜨거운 물로 씻는다.

     정답 : []
     정답률 : 88%


정 답 지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151588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타워크레인 구조 및 기능일반


1. 다음 전압의 종류 중 저압에 해당하는 것은?(2008년 03월)
     1. 직류 7000V 초과, 교류 600V 이하
     2. 직류 750V 초과, 교류 600V 이하
     3. 직류 750V 이하 교류 600V 이하
     4. 직류 7000V 이하, 교류 600V 이하

     정답 : []
     정답률 : 87%

2. T형 타워크레인의 메인지브를 이동하며 권상작업을 위한 선회반경을 결정하는 횡행장치는?(2016년 07월)
     1. 트롤리
     2. 훅 블록
     3. 타이 바
     4. 캣 헤드

     정답 : []
     정답률 : 80%

3. 다음 중 타워크레인의 주요 구조부가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설치기초
     2. 지브(jib)
     3. 수직사다리
     4. 원치, 균형추

     정답 : []
     정답률 : 82%

4. 운동하고 있는 물체는 언제까지나 같은 속도로 운동을 계속하려고 한다. 이러한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0년 07월)
     1.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
     2. 관성의 법칙
     3. 가속도의 법칙
     4. 우력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82%

5. 기초 앵커를 설치하는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지내력은 접지압 이상 확보한다.
     2. 버림 콘크리트 타설 또는 지반을 다짐한다.
     3. 구조 계산 후 충분한 수의 파일을 항타한다.
     4. 앵커 셋팅 수평도는 ±5mm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6. 타워크레인 접지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0년 03월)
     1. 접기극의 크기는 동판의 경우 면적이 500cm2 이상이어야 한다.
     2. 접지선은 베이직 마스트 하단에 접속한다.
     3. 접지선은 GV 38mm2 이상을 접속한다.
     4. 접지극은 기초공사 시 매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 타워크레인의 전동기, 제어반, 리미트스위치, 과부하방지장치 등의 외함 구조는 방수 및 방진에 대하여 IP규격이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2008년 07월)
     1. IP10
     2. IP11
     3. IP54
     4. IP67

     정답 : []
     정답률 : 79%

8. 타워크레인의 방호장치 종류가 아닌 것은?(2008년 07월)
     1. 권상 및 권하 방지장치
     2. 풍압 방지장치
     3. 과부하 방지장치
     4. 훅 해지장치

     정답 : []
     정답률 : 60%

9. 타워크레인의 과부하방지장치는 정격하중의 얼마이상 권상 시 동작하여야 하는가?(2016년 07월)
     1. 정격하중의 1배
     2. 정격하중의 1.05배
     3. 정격하중의 1.25배
     4. 정격하중의 1.5배

     정답 : []
     정답률 : 70%

10. 타워 크레인의 선회동작으로 인하여 타워 마스트에 발생하는 모멘트는?(2010년 07월)
     1. 전단 모멘트
     2. 좌굴 모멘트
     3. 비틀림 모멘트
     4. 굽힘 모멘트

     정답 : []
     정답률 : 77%

11. L형(경사지브형) 타워크레인의 운동 중 기복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2009년 07월)
     1.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2. 거더의 레일을 따라 트롤리가 이동하는 것이다.
     3. 크레인의 지브가 수직면에서 지브각의 변화를 말한다.
     4. 달아올릴 화물을 타워크레인의 마스트쪽으로 당기거나 밀어내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12. 다음 중 유압장치의 구성품에서 제어벨브의 3대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7년 09월)
     1. 유압류 제어 벨브 - 오일의 종류 확인 (일의 선택)
     2. 방향 제어 벨브 - 오일의 흐름 바꿈 (일의 방향)
     3. 압력 제어 벨브 - 오일의 압력 제어 (일의 크기)
     4. 유량 제어 벨브 - 오일의 유량 조절 (일의 속도)

     정답 : []
     정답률 : 82%

13. 타워크레인의 지브가 바람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면적을 최소로 하여 타워크레인의 본체를 보호 하는 방호장치는?(2009년 07월)
     1. 충돌방지장치
     2. 와이어로프 이탈방지장치
     3. 선회브레이크 풀림장치
     4. 트롤리정지장치

     정답 : []
     정답률 : 81%

14. 전기 수전반에서 인입 전원을 받을 때의 내용이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기동 전력을 충분히 감안하여 수전 받아야 한다.
     2. 지브의 길이에 따라서 기동 전력이 달라져야 한다.
     3. 변압기를 설치하는 경우 방호망을 설치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4. 타워크레인용으로 단독으로 가설하여 전압강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15. 1g의 물체에 작용하여 1cm/sec2의 가속도를 일으키는 힘의 단위는?(2008년 03월)
     1. 1dyn(다인)
     2. 1Hp(마력)
     3. 1ft(피트)
     4. 1lb(파운드)

     정답 : []
     정답률 : 71%

16. 기복(Luffing)형 타워 크레인에서 양중물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선회반경은?(2010년 07월)
     1. 짧아진다.
     2. 길어진다.
     3. 기울어진다.
     4. 변함없다.

     정답 : []
     정답률 : 84%

17. 배선용 차단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과전류 동작(차단) 하였을 때 그 원인을 제거하면 즉시 재차 투입할 수 있다.
     2. 접점의 개폐속도가 일정하고 또한 빠르다.
     3. 과전류가 2극 이상 흘러야 트립한다.
     4. 동작 후 복구 시에 퓨즈와 같이 교환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4%

18. 힘의 3요소가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작용점
     2. 방향
     3. 크기
     4. 속도

     정답 : []
     정답률 : 56%

19. 다음 중 과전류 차단에 요구되는 성능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09년 03월)
     1. 과부하 등 적은 과전류가 장시간 계속 흘렀을 때 동작하지 않을 것
     2. 과전류가 작아졌을 때 단시간에 동작 할 것
     3. 큰 단락 전류가 흘렀을 때는 순간적으로 동작 할 것
     4. 전동기의 시동전류와 같이 단시간 동안 약간의 과전류가 흘렀을 때 돌작할 것

     정답 : []
     정답률 : 80%

20. 타워크레인 각 지브 길이에 따라 정격하중의 1.05배 이상 권상시 작동하는 방호장치는?(2009년 07월)
     1. 권상, 권하 방지 장치
     2. 과부하 방지 장치
     3. 트롤리 로프 안전 장치
     4. 훅 해지 장치

     정답 : []
     정답률 : 75%

2과목 : 양중작업 일반


21. 크레인 운전자의 의무사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8년 07월)
     1. 재해방지를 위해 크레인 사용 전 점검
     2. 장비에 특이사항이 있을시 교대자에게 설명
     3. 기어박스의 오일량 및 마모기어의 정비
     4. 안전운전에 영향을 미칠 결함 발견 시 작업중지

     정답 : []
     정답률 : 87%

22. 트롤리 이동 내·외측 제어장치의 제어위치로 맞는 것은?(2009년 07월)
     1. 지브 섹션의 중간
     2. 지브 섹션의 시작과 끝 지점
     3. 카운터 지브 끝 지점
     4. 트롤리 정지 장치

     정답 : []
     정답률 : 74%

23. 트롤리의 기능을 옳게 설명한 것은?(2008년 07월)
     1. 와이어로프에 매달리어 권상작업을 한다
     2. 카운터지브에 설치되어 균형유지를 하여준다
     3. 메인지브에서 전후 이동하며 작업반경을 결정하는 횡행장치이다
     4. 마스트의 높이를 높이는 유압구동장치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24. 타워크레인 안전작업을 위한 신호시의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신호수는 절도있는 동작으로 간단명료하게 한다.
     2. 운전자가 보기 쉽고 안전한 장소에서 실시한다.
     3. 운전자에 대한 신호는 반드시 정해진 한 사람의 신호수가 한다.
     4. 신호수는 항상 운전자에게만 주시하고 줄걸이 작업자의 행동을 별로 중요시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90%

25. 주행(Travelling)타워의 상시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레일 지반의 평탄성
     2. 레일 크램프의 이상유무
     3. 주행 레일의 규격
     4. 주행로의 장애물

     정답 : []
     정답률 : 79%

26. 신호수의 준수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2008년 07월)
     1. 신수호는 지정된 신호방법으로 신호한다.
     2. 두 대의 타워크레인으로 동시 작업시 두 사람의 신호수가 동시에 신호한다.
     3. 신호수는 그 자신이 신호수로 구별될 수 있도록 눈에 잘 띄는 표시를 한다.
     4. 신호장비는 밝은 색상이며 신호수에게만 적용되는 특수색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27. 타워크레인 정격하중의 의미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2008년 07월)
     1. 훅 및 달기기구의 중량을 포함하여 타워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
     2. 훅 및 달기기구의 중량을 제외한 타워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
     3. 평상시 주로 취급하는 하물의 하중
     4. 훅의 중량을 포함한 타워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하중

     정답 : []
     정답률 : 68%

28. 타워크레인 인양작업 시 줄걸이 안전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신호수는 원칙적으로 1인이다.
     2. 신호수는 타워크레인 조종사가 잘 확인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에서 행한다.
     3. 2인 이상이 고리 걸이 작업할 때는 상호간에 복창소리를 주고 받으며 진행한다.
     4. 인양 작업시 지면에 있는 보조자는 와이어로프를 손으로 꼭 잡아 하물이 흔들리지 않게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9. 타워크레인 인양 작업시 금기작업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2007년 09월)
     1. 신호수가 없는 상태에서 하중이 보이지 않는 인양작업
     2. 고층으로 하중을 인양하는 작업
     3. 땅 속에 박힌 하중을 인양하는 작업
     4. 중심이 벗어나 불균형하게 매달린 하중 인양작업

     정답 : []
     정답률 : 81%

30. 선회기어와 베어링 및 축내 급유를 하는 주된 목적이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캐비테이션(공동화)현상을 방지해준다.
     2. 부분 마멸을 방지해 준다.
     3. 동력 손실을 방지해 준다.
     4. 냉각 작용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31. 와이어로프 줄걸이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때 고려 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7월)
     1. 짐의 중량
     2. 짐의 중심
     3. 짐의 부피
     4. 짐을 매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69%

32. 줄걸이 와이어로프에 짐을 매달았을 때 한줄에 걸리는 장력을 구하는 계산 공식으로 적합한 것은?(2010년 03월)
     1. (짐의 무게/와이어의 수) ÷ (sin 와이어의 각도)
     2. (짐의 무게/와이어의 수) × (sin 와이어의 각도)
     3. (짐의 무게/와이어의 수) ÷ (cos 와이어의 각도)
     4. (짐의 무게/와이어의 수) ÷ (tan 와이어의 각도)

     정답 : []
     정답률 : 57%

33. 줄걸이 체인의 사용 한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안전계수가 5 이상이 것
     2. 지름의 감소가 공칭 직경의 10%를 넘지 않은 것
     3. 변형 및 균열이 없는 것
     4. 연신이 제조당시 길이의 10%를 넘지 않은 것

     정답 : []
     정답률 : 48%

34. 크레인으로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 줄걸이 작업을 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중량물의 중심위치를 고려한다.
     2. 줄걸이 각도를 최대한 크게 해준다.
     3. 줄걸이 와이어로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4. 날카로운 모서리가 있는 중량물은 보호대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35. 안전율을 구하는 공식으로 맞는 것은?(2008년 03월)
     1. 안전율=이동하중/고정하중
     2. 안전율=시험하중/정격하중
     3. 안전율=사용하중/절단하중
     4. 안전율=절단하중/사용하중

     정답 : []
     정답률 : 70%

36. 산업안전보건법 안전기준의 와이어로프에 대한 마모 및 교체기준이다.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한가닥에서 소선의 수가 10% 이상 절단된 것
     2. 소선 및 스트랜드의 돌출이 확인되는 것
     3. 외부마모에 의한 호칭지름 감소가 7% 이상일 때
     4. 킹크나 부식은 없어도 단말고정을 한 것

     정답 : []
     정답률 : 75%

37. 체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고열물이나 수중, 해중 작업에서 사용한다.
     2. 매다는 체인의 종류에는 스터드 체인, 롱링크 체인, 숏링크 체인 등이 있다.
     3. 롤러체인을 고리모양으로 연결할 때 링크의 층수가 짝수라야 편리하며, 링크의 수가 짝수일 때 옵셋링크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4. 체인의 신장은 신품 구입시보다 5%가 늘어나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4%

38. 와이어 손상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와이어는 사용 중 시브 및 드럼 등의 접촉에 의해 마모가 생기는데 이때 직경 감소가 7% 마모 시 교환한다.
     2. 사용 중 소선의 단선이 전체 소선수의 50%가 단선이 되면 교환한다.
     3. 과하중을 들어올릴 경우 내·외층의 소선이 맞부딪치게 되어 피로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4. 열의 영향으로 강도가 저하되는데 이때 심강이 철심일 경우 300℃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39. 줄걸이 작업에 사용하는 Hooking 용 핀 또는 봉의 지름은 줄걸이용 와이어 로프 직경의 얼마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2009년 03월)
     1. 1배 이상
     2. 2배 이상
     3. 4배 이상
     4. 6배 이상

     정답 : []
     정답률 : 67%

40. 가로 10m, 세로 1m, 높이 0.2m인 금속화물이 있다. 이것을 4줄 걸이 30도로 들어올릴 때 한 개의 와이어에 걸리는 하중은? (단, 금속의 비중은 7.8)(2008년 03월)
     1. 3.9톤
     2. 7.8톤
     3. 4.05톤
     4. 15.6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교제에는 이 문제의 답이 4.05톤으로 나와 있습니다
풀이는
10×1×0.2×7.8=15.6
15.6÷4÷cos(15°)=4.037
근사값으로 3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건설과 2학년]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1. 현장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이 두 대 이상으로 중첩되는 경우의 최소 안전 이격거리는 얼마인가?(2009년 07월)
     1. 1m
     2. 2m
     3. 3m
     4. 4m

     정답 : []
     정답률 : 71%

42. 타워크레인을 와이어로프로 지지 및 고정하였을 경우의 효과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설치·해체 공정이 빠르다.
     2. 재사용이 가능하다.
     3. 비틀림에도 효과적이다.
     4. 인장력에만 저항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43.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상 타워크레인을 와이어로프로 지지하는 경우에 있어 사업주의 준수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7월)
     1. 와이어포르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도 이내로 할 것
     2. 와이어로프가 가공전선(架空電線)에 근접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3. 와이어로프는 지상의 이동용 고정장치에 신속히 해체시킬 수 있도록 고정할 것
     4. 와이어로프의 고정부위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갖도록 설치할 것

     정답 : []
     정답률 : 72%

44. 미스트 연장작업(텔레스코핑) 시 양쪽 지브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카운터 지브에 있는 밸러스트(균형추)를 내려놓은 방법
     2. 제작 메이커에서 지정하는 무게를 권상하여 지브위치로 트롤리를 이동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
     3. 자체 마스트를 권상하여 지브위치로 트롤리를 이동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
     4. 지브위치로 트롤리를 이동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60%

45. 마스트 상승 및 해체작업을 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에 해당 되는 것은?(2009년 07월)
     1. 크레인의 균형을 유지한다.
     2. 콘트롤러의 성능을 확보한다.
     3. 볼트의 상태를 점검한다.
     4. 관련 작업자와 자주 통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46. 다음 중 마스트 연장작업(텔레스코핑)시 반드시 준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반드시 제조자 및 설치 업체에서 작성한 표준 작업 절차에 의해 작업해야 한다.
     2. 텔레스코핑 작업 시 타워크레인 양쪽 지브의 균형 유지는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3. 텔레스코핑 작업 시 유압실린더 위치는 카운터 지브의 반대방향 이어야 한다.
     4. 텔레스코핑 작업은 반드시 제한 풍속(순간 최대풍속 : 10m/s)을 준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47. 크레인 조립·해체시의 작업 준수사항이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작업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에 의하여 작업 실시
     2. 작업장소는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 확보
     3.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기자재는 균형을 유지하면서 작업
     4. 조립용 볼트는 나란히 한 차례대로 결합하고 분해

     정답 : []
     정답률 : 81%

48. 유해·위험작업의 취업제한에 관한 규칙에 의하여, 타워크레인 조종업무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되는 타워크레인은?(2009년 07월)
     1. 조종석이 설치된 정격하중 1톤인 타워크레인
     2. 조종석이 설치된 정격하중 2톤인 타워크레인
     3. 조종석이 설치된 정격하중 3톤인 타워크레인
     4. 조종석이 설치되지 아니한 정격하중 3톤인 타워크레인

     정답 : []
     정답률 : 84%

49. 마스트 연장 작업에서 메인 지브와 카운터 지브의 균형 유지 방법이 옳은 것은?(2008년 07월)
     1. 작업 전 주행레일을 조정하여 균형을 유지한다.
     2. 작업시 권상작업을 통하여 균형을 유지한다.
     3. 작업시 선회작업을 통하여 균형을 유지한다.
     4. 작업 전 하중을 인양하여 트롤리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균형을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50. 설치작업 시작 전 착안 사항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기상확인
     2. 역할분담 지시
     3. 줄걸이, 공구 안전점검
     4. 타워크레인 기종 선정

     정답 : []
     정답률 : 84%

51. 안전작업은 복장의 착용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에서 권장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땀을 닦기 위한 수건이나 손수건을 허리나 목에 걸고 작업해서는 안된다.
     2. 옷소매 폭이 너무 넓지 않는 것이 좋고, 단추가 달린 것은 되도록 피한다.
     3. 물체 추락의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서는 안전모를 착용해야 한다.
     4. 복장을 단정하게 하기 위해 넥타이는 꼭 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52. 중량물 운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경우 주위사람에게 인지하게 한다.
     2. 무거운 물건을 상승 시킨 채 오랫동안 방치 하지 않는다.
     3. 규정 용량을 초과해서 운반하지 않는다.
     4. 흔들리는 중량물은 사람이 붙잡아서 이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53. 동력 전동장치에서 가장 재해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은?(2009년 03월)
     1. 기어
     2. 커플링
     3. 벨트
     4. 차축

     정답 : []
     정답률 : 86%

54. 소화 작업의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가연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2. 산소를 차단하면 된다.
     3. 점화원을 제거시키면 된다.
     4. 연료를 기화시키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89%

55. 안전한 작업을 위해 보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는 작업은?(2008년 07월)
     1. 엔진 오일 보충 및 냉각수 점검작업
     2. 제동등 작동 점검 시
     3. 장비의 하체 점검작업
     4. 전기저항 측정 및 배선 점검 작업

     정답 : []
     정답률 : 67%

56. 일반 드라이버 사용시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정을 대신할 때는 (-)드라이버를 이용한다.
     2. 드라이버에 충격압력을 가하지 말아야 한다.
     3. 자루가 쪼개졌거나 또한 허술한 드라이버는 사용하지 않는다.
     4. 드라이버의 날 끝은 항상 양호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57. 다음 중 작업표준의 목적에 해당 하는 것은?(2009년 07월)
     1. 위험요인의 제거
     2. 경영자의 이해
     3. 작업방식의 검토
     4. 설비의 적정화 및 정리정돈

     정답 : []
     정답률 : 53%

58. 안전점검의 일상점검표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전기 스위치
     2. 작업자의 복장상태
     3. 가동 중 이상소음
     4. 폭풍 후 기계의 기능상 이상 유무

     정답 : []
     정답률 : 63%

59. 전기 기기에 의한 감전 사고를 막기 위하여 필요한 설비로 가장 중요한 것은?(2016년 07월)
     1. 접지 설비
     2. 방폭등 설비
     3. 고압계 설비
     4. 대지 전위 상승 설비

     정답 : []
     정답률 : 75%

60. 작업장에서 용접 작업의 유해 광선으로 눈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적절한 조치로 맞는 것은?(2007년 09월)
     1. 손으로 비빈 후 과산화수소수로 치료한다.
     2. 냉수로 씻어낸 냉수포를 얹거나 병원에서 치료한다.
     3. 알콜로 씻는다.
     4. 뜨거운 물로 씻는다.

     정답 : []
     정답률 : 8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151588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16 컴퓨터그래픽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11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5 9급 지방직 공무원 간호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4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413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4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2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2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1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0 여성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09 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08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06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07 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06 변리사 1차(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2월1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05 임산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04 가스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151588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02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01 관광통역안내사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00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10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399 실내건축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247973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398 ERP 인사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1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39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78 Next
/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