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03110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BC 부재가 받는 힘은 얼마인가?(2015년 03월)

   

     1. 1.8tf
     2. 2.4tf
     3. 3.75tf
     4. 5.0tf

     정답 : []
     정답률 : 55%

2. 다음 부정정보에서 지점B의 수직 반력은 얼마인가?(단, EI는 일정함)(200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길이가 6m인 단순보의 중앙에 3t의 집중하중이 연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때 단순보의 최대 처짐은 몇 cm 인가? (단, 보의 E=2000000kg/cm2, I=15000cm4이다.)(2004년 05월)
     1. 1.5
     2. 0.45
     3. 0.27
     4. 0.09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지름 D인 원형단면 보에 휨모멘트 M이 작용할 때이 보에 작용하는 최대 휨응력은?(2016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5.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B점에 모멘트 하중이 작용할 때 A점과 B점의 처짐각 비(θAθB)는?(2018년 09월)

   

     1. 1 : 2
     2. 2 : 1
     3. 1 : 3
     4. 3 : 1

     정답 : []
     정답률 : 68%

6. 변형에너지(strain energy)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외력의 일 (external work)
     2. 축방향 내력의 일
     3. 휨모멘트 에 의한 내력의 일
     4. 전단력에 의한 내력의 일

     정답 : []
     정답률 : 82%

7. 지름 D인 원형 단면에 전단력 S가 작용할 때 최대 전단응력의 값은?(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7%

8. 탄성 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응력에 반비례하고 탄성계수에 비례한다.
     2. 응력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탄성계수에 비례한다.
     3. 응력에 비례하고 탄성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응력의 제곱에 비례하고 탄성계수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9. 그림과 같은 부정정보에서 지점 B의 휨모멘트 MB는?(2004년 05월)

   

     1. -31.2 t·m
     2. -36 t·m
     3. -41 t·m
     4. -47 t·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그림에 보이는 연속보의 중앙 지점에서의 휨모멘트를 구하면? (단, EI는 일정하다.)(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지름 D인 원형 단면보에 휨모멘트 M이 작용할 때 최대 휨응력은?(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12. 다음 단면에서 y축에 대한 회전반지름은?(2003년 03월)

    

     1. 2.20 cm
     2. 2.53 cm
     3. 2.82 cm
     4. 3.07 cm

     정답 : []
     정답률 : 16%

13. 길이 ℓ , 직경 d인 원형 단면봉이 인장하중 P를 받고 있다. 응력이 단면에 균일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할 때, 이 봉에 저장되는 변형에너지를 구한 값으로 옳은 것은? (단, 봉의 탄성계수는 E이다.)(2002년 05월)
     1. 4P2ℓ / πd2E
     2. 2P2ℓ / πd2E
     3. 4Pℓ2 / πd2E
     4. 2Pℓ2 / πd2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다음과 같은 L형 단면에서 도심의 위치 x와 y는?(2011년 03월)

    

     1. x=1.625cm, y=3.625cm
     2. x=2.325cm, y=3.625cm
     3. x=1.625cm, y=2.325cm
     4. x=2.325cm, y=1.625cm

     정답 : []
     정답률 : 37%

15. 그림과 같은 3-hinge 라멘의 수평반력 HA값은?(2017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6%

16. 아래의 정정보에서 A지점의 수직반력(RA)은?(2018년 03월)

    

     1. P/4
     2. P/3
     3. P/2
     4. 2P/3

     정답 : []
     정답률 : 70%

17. 다음과 같은 단순보에서 A점 반력(RA)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0.5tf(↓)
     2. 2.0tf(↓)
     3. 0.5tf(↑)
     4. 2.0tf(↑)

     정답 : []
     정답률 : 63%

18. 단면이 원형(지름 D)인 보에 휨모멘트 M 이 작용할 때 이 보에 작용하는 최대 휨응력은?(2014년 09월)
     1. 12M/πD3
     2. 16M/πD3
     3. 32M/πD3
     4. 64M/πD3

     정답 : []
     정답률 : 76%

19. 3연 모멘트 방정식의 사용처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03월)

    

     1. 트러스 해석
     2. 연속보 해석
     3. 케이블 해석
     4. 아치 해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그림(A)와 같은 장주가 10tf 의 하중에 견딜 수 있다면 (B)의 장주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 (단, 기둥은 등질, 등단면 이다.)(2016년 10월)

    

     1. 10tf
     2. 20tf
     3. 30tf
     4. 40tf

     정답 : []
     정답률 : 77%

2과목 : 측량학


21. 초점길이가 210mm인 카메라를 사용하여 비고 600m인 지점을 사진축척 1:20000으로 촬영한 수직 사진의 촬영고도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0년 06월)
     1. 1200m
     2. 2400m
     3. 3600m
     4. 4800m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2022년 부터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22. 직접고저측량을 하여 2km 왕복에 오차가 5mm 발생했다면 같은 정확도로 8km를 왕복측량 했을 때 오차는?(2005년 05월)
     1. 5mm
     2. 10mm
     3. 15mm
     4. 20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동일 지점간 거리 관측을 3회, 5회, 7회 실시하여 최확값을 구하고자 할 때 각 관측값에 대한 보정값의 비(3회 : 5회 : 7회)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2.
     3. 3:5:7
     4. 32:52:72

     정답 : []
     정답률 : 72%

24. 다음의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2. 곡선의 반지름은 완화곡선의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으로 된다.
     3. 종점의 칸트는 원곡선의 칸트와 같다.
     4.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경의 감소율은 칸트의 증가율과 같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트래버스 측량에서 시가지나 평탄지의 폐합비 허용 범위는?(2002년 09월)
     1. 1/500 ~ 1/1,000
     2. 1/300 ~ 1/1,000
     3. 1/1,000 ~ 1/2,000
     4. 1/5,000 ~ 1/1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어느 측선의 방위가 S60˚W이고,측선길이가 200m일 때 경거는?(2020년 06월)
     1. 173.2m
     2. 100m
     3. -100m
     4. -173.20m

     정답 : []
     정답률 : 54%

27. 타원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어느 지역의 측량좌표계의 기준이 되는 지구타원체를 준거타원체(또는 기준타원체)라 한다.
     2. 실제 지구와 가장 가까운 회전타원체를 지구타원체라 하며, 실제 지구의 모양과 같이 굴곡이 있는 곡면이다.
     3. 타원의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생긴 지구물리학적 형상을 회전타원체라 한다.
     4. 준거타원체는 지오이드와 일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28. 도로시점에서 교점까지의 추가거리가 546.42m 이고, 교각이 38° 16′ 40″ 일 때 곡선반경 300m인 단곡선에서 시단현의 편각 δ1의 값은?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 이다.)(2003년 08월)
     1. 0° 15′ 38″
     2. 1° 54′ 35″
     3. 1° 35′ 54″
     4. 1° 41′ 2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방대한 지역의 측량에 적합하며 동일 측점 수에 대하여 포괄면적이 가장 넓은 삼각망은?(2009년 05월)
     1. 유심 삼각망
     2. 사변형망
     3. 단열 삼각망
     4. 복합 삼각망

     정답 : []
     정답률 : 79%

30. 그림에서 AC 및 DB간에 곡선을 넣으려고 한다. 그런데 교점에 장애물이 있어 ∠ACD=150° , ∠CDB=90° 및 CD의 거리 400m를 측정하였다. C점으로부터 A(B.C)점까지의 거리는? (단, 곡률반경은 500m로 한다.)(2004년 09월)

    

     1. 461.88m
     2. 453.15m
     3. 425.88m
     4. 404.15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각측량시 방향각에 6“ 의 오차가 발생한다면 3km 떨어진 측점의 거리오차는 얼마인가?(2009년 05월)
     1. 5.6cm
     2. 8.7cm
     3. 10.8cm
     4. 12.6cm

     정답 : []
     정답률 : 46%

32. 다각측량에서 A점의 좌표가 (100, 200)이고 측선 AB의 방위각이 240°, 길이가 100m일 때 B점의 좌표는? (단, 좌표의 단위는 m이다.)(2014년 05월)
     1. (-50, 113.4)
     2. (50, 113.4)
     3. (-50, 13.4)
     4. (50, -113.4)

     정답 : []
     정답률 : 69%

33. 곡선 설치에서 교각이 32°15′이고 곡선반경이 500m일 때 곡선시점의 추가거리가 315.45m이면 곡선종점의 추가거리는 얼마인가?(2005년 05월)
     1. 593.88m
     2. 596.88m
     3. 623.63m
     4. 625.3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지형측량에서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를 잇는 선이 의미하는 것은?(2014년 05월)
     1. 분수선
     2. 등경사선
     3. 최대경사선
     4. 경사변환선

     정답 : []
     정답률 : 68%

35. 삼각형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 변길이를 관측한 결과, 그림과 같을 때 이 삼각형의 면적은?(2019년 04월)

    

     1. 1072.7 m2
     2. 1235.6 m2
     3. 1357.9 m2
     4. 1435.6 m2

     정답 : []
     정답률 : 65%

36.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용중인 투영법과 평면 직각좌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중앙자오선의 축척계수가 0.9996인 UTM투영이다.
     2. 중앙자오선의 축척계수가 1.0000인 UTM투영이다.
     3. 중앙자오선의 축척계수가 0.9996인 TM투영이다.
     4. 중앙자오선의 축척계수가 1.0000인 TM투영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37. 다음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측지학이란 지구 내부의 특성, 지구의 현상, 지구 표면의 상호위치 관계를 정하는 학문이다.
     2. 기하학적 측지학에는 천문측량, 위성측지, 높이결정 등이 있다.
     3. 물리학적 측지학에는 지구의 형상 해석, 중력측정, 지자기측정 등을 포함한다.
     4. 측지측량(대지측량)이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은 측량으로서 20km 이내를 평면으로 취급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8. 그림에서 B점의 지반고는? (단, HA = 39.695m)(2011년 10월)

    

     1. 39.405m
     2. 39.985m
     3. 42.985m
     4. 46.305m

     정답 : []
     정답률 : 75%

39. 다각측량에서 거리의 총합이 1250m일 때 폐합오차를 0.26m로 하려고 한다. 위거 또는 경거의 오차를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단, 위거 및 경거오차는 같은 것으로 가정한다.)(2004년 03월)
     1. 0.13m
     2. 0.18m
     3. 0.26m
     4. 0.52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직각좌표 상에서 각 점의 (x, y)좌표가 A(-4, 0), B(-8, 6), C(9, 8), D(4, 0)인 4점으로 둘러싸인 다각형의 면적은? (단, 좌표의 단위는 m이다)(2011년 10월)
     1. 87m2
     2. 100m2
     3. 174m2
     4. 192m2

     정답 : []
     정답률 : 61%

3과목 : 수리학


41. 액체표면에서 150cm 깊이의 점에서 압력강도가 14.25 kN/m2 이면 이 액체의 단위중량은?(2019년 04월)
     1. 9.5 kN/m3
     2. 10 kN/m3
     3. 12 kN/m3
     4. 16 kN/m3

     정답 : []
     정답률 : 64%

42. 밑면이 7.5m×3m이고 깊이가 4m인 빈 상자의 무게가 4×105N이다. 이 상자를 물에 띄웠을 때 수면 아래로 잠기는 깊이는?(2016년 10월)
     1. 3.54m
     2. 2.32m
     3. 1.81m
     4. 0.75m

     정답 : []
     정답률 : 41%

43. 관수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관내의 유체마찰력은 관 벽면에서 가장 크고 관 중심에서는 0이다.
     2. 관내의 유속은 관 벽으로부터 관 중심으로 1/3 떨어진 지점에서 최대가 된다.
     3. 유체마찰력의 크기는 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4. 관의 최대유속은 평균유속의 3배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44. 침투지수법에 의한 침투능 추정방법에 관한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침투지수란 호우기간의 총침투량을 호우지속기간으로 나눈 것이다.
     2. ø-index는 강우주상도에서 유효우량과 손실우량을 구분하는 수평선에 상응하는 강우강도와 크기가 같다.
     3. W-index는 강우강도가 침투능보다 큰 호우기간 동안의 평균침투율이다.
     4. ø-index법은 침투능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한 방법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폭 b = 3.0m, 수심 h = 1.5m 인 구형단면수로에서 수로경사가 0.01 일 때 평균유속은? (단, C = 65 이고 chezy의 유속공식에 의한다)(2002년 05월)
     1. 3.42m/sec
     2. 4.63m/sec
     3. 5.63m/sec
     4. 7.53m/se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지하수에서 Darcy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투수계수는 물의 점성계수와 토사의 공극률 등에 따라 변하는 계수이다.
     2. 지하수의 평균유속은 동수경사에 반비례한다.
     3. Darcy법칙에서 투수계수의 차원은 속도의 차원과 같다.
     4. Darcy법칙은 층류로 취급했으며 실험에 의하면 대략적으로 레이놀즈수(Re)<4에서 주로 성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7. 관수로에서 Reynolds 수가 300 일 때 추정할 수 있는 흐름의 상태는?(2016년 10월)
     1. 상류
     2. 사류
     3. 층류
     4. 난류

     정답 : []
     정답률 : 64%

48. 다음과 같이 수로폭이 3m 인 판으로 물의 흐름을 가로막았을 때 상류수심은 6m, 하류수심은 3m 이였다. 이 때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y)는?(2004년 05월)

    

     1. y = 1.50m
     2. y = 2.33m
     3. y = 3.66m
     4. y = 4.5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면적이 10km2인 유역의 유출계수가 0.54, 강우강도가 100mm/hr일 때 합리식에 의한 첨두유량은?(2005년 09월)
     1. 540m3 /sec
     2. 300m3/sec
     3. 150m3 /sec
     4. 108m3/se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사각형 단면의 개수로에서 비에너지의 최소값이 Emin = 1.5m 이라면 단위 폭당의 유량은?(2011년 03월)
     1. 1.75m3/sec
     2. 2.73m3/sec
     3. 3.13m3/sec
     4. 4.25m3/sec

     정답 : []
     정답률 : 46%

51. 유체의 연속방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뉴튼(Newton)의 제 2법칙을 만족시키는 방정식이다.
     2. 에너지와 일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이다.
     3. 유선 상 두 점간의 단위체적당의 운동량에 관한 방정식이다.
     4. 질량 보존의 법칙을 만족 시키는 방정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52. 오리피스에서의 실제 유속을 구하기 위한 에너지 손실은 어떻게 고려할 수 있는가?(2008년 05월)
     1. 이론 유속에 유속계수를 곱한다.
     2. 이론 유속에 유량계수를 곱한다.
     3. 이론 유속에 수축계수를 곱한다.
     4. 이론 유속에 모형계수를 곱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53. 그림과 같이 폭이 3m인 판으로 물의 흐름을 가로 막았을 때 상류수심은 6m, 하류수심은 3m이었다. 이때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y)는?(2011년 03월)

    

     1. y = 1.50m
     2. y = 2.33m
     3. y = 3.66m
     4. y = 4.56m

     정답 : []
     정답률 : 23%

54. 다음 표에서 Thiessen법으로 유역평균우량을 구한 값은?(2009년 05월)

    

     1. 25.25mm
     2. 26.25mm
     3. 27.25mm
     4. 30.20mm

     정답 : []
     정답률 : 54%

55. Darcy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Reynolds수가 클수록 안심하고 적용할 수 있다.
     2. 평균유속이 손실수두와 비례관계를 가지고 있는 흐름에 적용될 수 있다.
     3. 정상류 흐름에서 적용될 수 있다.
     4. 층류 흐름에서 적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56. 오리피스에서 에너지 손실을 보정한 실제유속을 구하는 방법은?(2018년 04월)
     1. 이론유속에 유량계수를 곱한다.
     2. 이론유속에 유속계수를 곱한다.
     3. 이론유속에 동점성계수를 곱한다.
     4. 이론유속에 항력계수를 곱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57. 수심 4.2m인 오리피스에서 실제유속이 8.801m/sec일 때 유속계수는?(2011년 03월)
     1. 0.95
     2. 0.96
     3. 0.97
     4. 0.98

     정답 : []
     정답률 : 28%

58. 단위시간에 있어서 속도변화가 V1에서 V2로 되며 이 때 질량 m인 유체의 밀도를 ρ라 할 때 운동량 방정식은? (단, Q : 유량, ω : 유체의 단위중량, g : 중력가속도)(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59. 유역의 평균강우량 산정방법에 의한 우량은 실제의 평균우량과 어느 정도의 편차를 가지는데 그 편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자는?(2002년 05월)
     1. 우량계측망의 밀도
     2. 정상연평균강수량
     3. 정상일평균기온
     4. 1일평균기온

     정답 : []
     정답률 : 30%

60. 어느 하천에서 Hm 되는 곳까지 양수하려고 한다. 양수량을 Q(m3/sec), 모든 손실수두의 합을 ∑he, 펌프와 모터의 효율을 각각 η1, η2라 할 때, 펌프의 동력을 구하는 식은?(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1%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이형철근이 인장을 받을 때 기본 정착 길이를 구하는식으로 옳은 것은? (단, db는 철근의공칭지름)(200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프리텐션 부재의 단면적 100,000mm2인 콘크리트의 도심에 PS 강선을 배치하여 초기 프리스트레 Pi=500kN을 가했을 때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손실량은? (단, n = 6 이다.)(2005년 09월)
     1. 25 MPa
     2. 30 MPa
     3. 35 MPa
     4. 40 MPa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직사각형 보에서 계수 전단력 Vu=70KN을 전단철근 없이 지지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최소 유효깊이 d는 약 얼마인가? (단, bω=400mm, fck=20MPa, fy =350MPa)(2017년 03월)
     1. 426mm
     2. 587mm
     3. 627mm
     4. 751mm

     정답 : []
     정답률 : 54%

64. 폭이 400 mm, 유효깊이가 600 mm인 직사각형보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할 수 있는 전단강도 Vc는 얼마인가?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이며 fck는 24 MPa임)(2019년 04월)
     1. 196kN
     2. 248kN
     3. 326kN
     4. 392kN

     정답 : []
     정답률 : 60%

65.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전단철근으로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수직스터럽을 사용하였다. 이때 스터럽의 간격에 대한 기준으로서 옳은 것은? (단, 인 경우)(2017년 05월)
     1. 0.8d 이상이어야 하고, 또한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2. 50mm 이하이어야 한다.
     3. 0.5d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600mm 이하로 하여야한다.
     4.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66. 단철근 직사각형보를 강도설계법으로 균형보로 설계할 때 콘크리트의 압축측 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가 250mm이고,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fck)가 28MPa이라면, 등가응력 직사각형 깊이(a)는 얼마인가?(2011년 10월)
     1. 210.7mm
     2. 212.5mm
     3. 215.3mm
     4. 221.2mm

     정답 : []
     정답률 : 66%

67. 옹벽설계시의 안정 조건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전도에 대한 안정
     2. 지반 지지력에 대한 안정
     3. 활동에 대한 안정
     4. 마찰력에 대한 안정

     정답 : []
     정답률 : 59%

68. 전단철근이 부담하는 전단강도 Vs 가 2.12 √fck bW d를 초과하는 경우의 조치로 가장 합리적인 것은?(단, fck의 단위는 kgf/cm2이다.)(2003년 08월)
     1. 전단철근의 간격을 1/2로 줄인다.
     2. 스트럽과 굽힘철근을 병용한다.
     3. 콘크리트 단면을 증가시킨다.
     4. 최소한의 전단철근을 배근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일반 콘크리트 부재의 해당 지속 하중에 대한 탄성처짐이 30mm이었다면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따른 추가적인 장기처짐을 고려한 최종 총 처짐량은? (단, 하중재하기간은 5년이고, 압축철근비 ρʹ는 0.002이다.)(2018년 03월)
     1. 80.8mm
     2. 84.6mm
     3. 89.4mm
     4. 95.2mm

     정답 : []
     정답률 : 67%

70. 다음 단면의 균열 모멘트 Mcr 의 값은? (단, fck=24MPa,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fr=3.09MPa)(2014년 09월)

    

     1. 16.3kNㆍm
     2. 41.58kNㆍm
     3. 83.43kNㆍm
     4. 110.88kNㆍm

     정답 : []
     정답률 : 58%

71. PSC에서 프리텐션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PS 강재를 곡선으로 배치하기 쉽다.
     2. 정착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3.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4. 대량 제조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2. 그림과 같은 용접길이의 유효길이는 얼마인가?(2003년 03월)

    

     1. 60 cm
     2. 52 cm
     3. 40 cm
     4. 30 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시간과 더불어 진행되는 장기처짐은 탄성처짐에 λ 계수를 곱하여 사용한다. 이 때 λ 의 값으로 옳은 것은? (단, ξ 는 지속하중의 재하기간에 따른 계수이고, ρ '는 압축철근비를 의미한다.)(2003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ld)는 기본 정착길이(lab)에 보정계수를 고려하여 구할 수 있다.
     2.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철근의 항복강도(fy)에 비례한다.
     3.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fck)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4.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ld)는 항상 500mm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75. 전체 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은?(2015년 03월)
     1. 수직스터럽
     2. 표피철근
     3. 배력철근
     4. 옵셋굽힘철근

     정답 : []
     정답률 : 68%

76. 아래 그림과 같은 보에 D13(1본 단면적 127mm2철근으로 수직스터럽을 250mm의 간격으로 설치하였다면,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Vs)는? (단, fck=28MPa, fy=400MPa)(2015년 05월)

    

     1. 164.8kN
     2. 186.3kN
     3. 208.6kN
     4. 223.5kN

     정답 : []
     정답률 : 58%

77. 단면적 1000 cm2 인 콘크리트 단면의 도심에 단면적 19.6cm2 의 PS강선을 배치하고 인장력을 30tonf을 가할 때 콘크리트의 탄성 변형에 의한 인장력의 감소량은? (단, 탄성계수비 n = 7 이다)(2003년 03월)
     1. 4.12 tonf
     2. 3.88 tonf
     3. 6.12 tonf
     4. 5.88 tonf

     정답 : []
     정답률 : 0%

78. PSC 부재의 프리스트레스 감소원인 중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시간의 경과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2015년 09월)
     1. PS강재의 릴랙세이션으로 인한 손실
     2. PS강재와 쉬스의 마찰로 인한 손실
     3. 정착장치의 활동으로 인한 손실
     4.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으로 인한 손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즉시 손실:탄성수축에 의한손실 、마찰에 의한 손실、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
시간적손실 : 크리프에의한손실、 수축에 의한 손실、 릴렉세이션에 의한 손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릴렉세이션 : 시간이 경과함으로서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인장력이 감소하는 현상
쉬스(관): psc에 포스트텐션에 부품으로 긴장제가 들어가는 관
정착장치의 활동으로 인한 손실 : 긴장재가 정착장치에 고정되는 과정에 살짝 미끄러저 긴장력이 손실
콘크리트 탄성변형 손실 : 압축력이 도입될 시 콘크리트가 짧아져 긴장제의 길이가 짧아져 발생하는 손실
[해설작성자 : 합격 하자]

79. 다음 식 중 나선철근 압축부재의 최대 축방향 설계강도 øPn을 나타낸 것은? (단,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부재의 경우)(2004년 09월)
     1. øPn=0.85ø(0.85fckAg+fyAst)
     2. øPn=0.80ø(0.85fckAg+fyAst)
     3. øPn=0.85ø[0.85fck(Ag-Ast)+fyAst]
     4. øPn=0.80ø[0.85fck(Ag-Ast)+fyAs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강도설계법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것은?(2017년 05월)

    

     1. 계수하중
     2. 공칭하중
     3. 고정하중
     4. 강도감소계수

     정답 : []
     정답률 : 60%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다음은 옹벽의 안정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2008년 03월)
     1. 전도에 대한 저항휨모멘트는 횡토압에 의한 전도 휨모멘트의 2.0배 이상이어야 한다.
     2. 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시 허용지지력은 극한 지지력의1/2배를 취한다.
     3. 옹벽이 활동에 대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활동에 대한 저항력이 수평력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4. 침하의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기초지반에 유발되는 최대 지반반력이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82. 다음의 토질 시험 중 투수계수를 구하는 시험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다짐시험
     2. 변수두 투수시험
     3. 압밀시험
     4. 정수두 투수시험

     정답 : []
     정답률 : 60%

83. 두께 6m의 점토층이 있다. 이 점토의 간극비는 eo = 2.0이고 액성한계는 WL = 70%이다. 압밀하중을 2kg/cm2에서 4kg/cm2로 증가시키려고 한다. 예상되는 압밀침하량은? (단, 압축지수 Cc는 skempton의 식 Cc = 0.009(WL - 10)을 이용할 것)(2009년 03월)
     1. 0.27m
     2. 0.33m
     3. 0.49m
     4. 0.65m

     정답 : []
     정답률 : 53%

84. 점토지반을 프리-로딩(pre-loading)공법 등으로 미리 압밀시킨 후에 급격히 재하할 때의 안정을 검토하는 경우에 가장 적당한 전단시험 방법은?(2009년 03월)
     1. 비압밀 비배수(UU)시험
     2. 압밀 비배수(CU)시험
     3. 압밀 배수(CD)시험
     4. 압밀 완속(CS)시험

     정답 : []
     정답률 : 48%

85. 비교적 균질한 토층을 실험한 결과 rt=2.0t/m3, C=2.5t/m2, ø=10° 인 경우에 연직으로 절취할 수 있는 한계고는 얼마인가?(2006년 09월)
     1. Hc=5.96m
     2. Hc=5.11m
     3. Hc=6.48m
     4. Hc=4.71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지표면이 수평이고 옹벽의 뒷면과 흙과의 마찰각이 0°인 연직옹벽에서 Coulomb의 토압과 Rankine의 토압은?(2005년 03월)
     1. Coulomb의 토압은 항상 Rankine의 토압보다 크다.
     2. Coulomb의 토압은 Rankine의 토압보다 클 때도 있고 작을 때도 있다.
     3. Coulomb의 토압과 Rankine의 토압은 같다.
     4. Coulomb의 토압은 항상 Rankine의 토압보다 작다.

     정답 : []
     정답률 : 60%

87. 그림에서 5m깊이에 지하수가 있고 지하수면에서 2m 높이 까지 모관수가 포화되어있다.10m깊이에 있는 X-X면상의 유효연직 응력은? (단, γd=1.6t/m3, γsatt/m3)(2008년 03월)

    

     1. 10.6t/m2
     2. 12.4t/m2
     3. 17.4t/m2
     4. 18.6t/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8. 토질조사 방법 중 Sound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표준관입시험(S.P.T)은 정적인 Sounding방법이다.
     2. Sounding은 Boring이나 시굴보다도 확실하게 지반구성을 알 수 있다.
     3. Sounding은 원위치 시험으로서 의의가 있으며 예비 조사에 많이 사용된다.
     4. 동적인 Sounding 방법은 주로 점성토 지반에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4%

89. 현장에서 채취한 흐트러지지 않은 포화 점토시료에 대해 일축압축강도 qu=0.8kg/cm2의 값을 얻었다. 이 흙의 점착력은?(2015년 03월)
     1. 0.2kg/cm2
     2. 0.25kg/cm2
     3. 0.3kg/cm2
     4. 0.4kg/cm2

     정답 : []
     정답률 : 65%

90. 어떤 흙의 간극비(e)가 0.52 이고, 흙 속에 흐르는 물의 이론 침투속도(v)가 0.214cm/s일 때 실제의 침투유속(vs)은?(2018년 09월)
     1. 0.424cm/s
     2. 0.525cm/s
     3. 0.626cm/s
     4. 0.727cm/s

     정답 : []
     정답률 : 44%

91. 평판재하시험에서 재하판과 실제기초의 크기에 따른 영향, 즉 Scale effcect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모래지반의 지지력은 재하판의 크기에 비례한다.
     2. 점토지반의 지지력은 재하판의 크기와는 무관하다.
     3. 모래지반의 침하량은 재하판의 크기가 커지면 어느 정도 증가하지만 비례적으로 증가하지는 않는다.
     4. 점토지반의 침하량은 재하판의 크기와는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43%

92. 다음 전단 시험법 가운데 간극수압을 측정하여 유효 응력으로 정리하면 압밀배수 시험(CD-test)과 거의 같은 전단상수를 얻을 수 있는 시험법은?(2004년 05월)
     1. 비압밀 비배수시험(UU-test)
     2. 직접전단시험
     3. 압밀 비배수시험(CU-test)
     4. 일축압축시험(qu-tes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수직 응력이 60 kN/m2 이고 흙의 내부 마찰각이 45˚일 때 모래의 전단강도는? (단,점착력 (c)은 0이다.)(2020년 06월)
     1. 24kN/m2
     2. 36kN/m2
     3. 48kN/m2
     4. 60kN/m2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60*tan45도(각도)=60
[해설작성자 : 탄단지]

94. 내부 마찰각 ø = 0° 인 점토에서는 일반적으로 점착력은 일축압축강도의 몇배인가?(2004년 03월)
     1. 같다
     2. 1/2배
     3. 2배
     4. 8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점토층에서 채취한 시료의 양촉지수 C0 = 0.39, 간 극비 e = 1.26 이다. 이 점토층 위에 구조물이 축조되었다. 축조되기 이전의 유효압력은 8.0t/m2, 축조된 후에 증가된 유효압력은 6.0t/m2이다. 점토층의 두께가 3m일때 압밀침하량은 얼마인가?(2007년 03월)
     1. 12.6m
     2. 9.1m
     3. 4.6m
     4. 1.3m

     정답 : []
     정답률 : 34%

96. 유선망의 특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각 유로의 침투수량은 같다.
     2.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직교한다.
     3. 유선망으로 되는 사각형은 이론상으로 정사각형이다.
     4. 침투속도 및 동수경사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97. 흙의 다짐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부착성이 양호해지고 흡수성이 증가한다.
     2. 투수성이 증가한다.
     3. 압축성이 커진다.
     4. 밀도가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흡수성 감소
투수성 감소
압축성 작아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다음 상대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5월)
     1. 주로 점토와 같은 세립토에 사용된다.
     2. 상대밀도가 60%정도이면 느슨한 상태이다.
     3. 보통 진동 다짐에 의하여 θmax, 건조모래를 가만히 유입함으로서 θmin을 측정한다.
     4. 흙의 조밀 또는 느슨한 상태를 알고자 할 때 간극비만으로는 명확하지 못하므로 상대밀도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99. 다음중에서 정지토압 Po, 주동토압 PA, 수동토압 Pp의 크기 순서가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2004년 09월)
     1. Pp < Po < PA
     2. Po < PA < Pp
     3. Po < Pp < PA
     4. PA < Po < Pp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채취된 시료의 교란정도는 면적비를 계산하여 통상 면적비가 몇 % 이하이면 잉여토의 혼입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 불교란 시료로 간주하는가?(2002년 03월)
     1. 5%
     2. 7%
     3. 10%
     4. 15%

     정답 : []
     정답률 : 31%

101. 상수도시설에 설치되는 펌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수량변화가 큰 경우, 대소 두 종류의 펌프를 설치하거나 또는 회전속도제어 등에 의하여 토출량을 제어한다.
     2. 펌프는 예비기를 설치하되 펌프가 정지되더라도 급수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3. 펌프는 용량이 클수록 효율이 낮으므로 가능한 한 소용량으로 한다.
     4. 펌프는 가능한 한 동일용량으로 하여 소모품이나 예비품의 호환성을 갖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02. 첨두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실제 하수량을 평균 하수량으로 나눈 값이다.
     2. 평균 하수량을 최대 하수량으로 나눈 값이다.
     3. 지선 하수관로보다 간선 하수관로가 첨두율이 크다.
     4. 인구가 많은 대도시일수록 첨두율이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계획)첨두율 = (계획)1일 최대 급수량 / (계획)1일 평균 급수량
[해설작성자 : 김빵부]

103. 계획 1일 평균급수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몇 %를 표준으로 해야 하는가?(2003년 08월)
     1. 55 ~ 70%
     2. 70 ~ 85%
     3. 85 ~ 90%
     4. 90 ~ 9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4. 정수장에서 배출수 처리방식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09년 05월)
     1. 탈수 - 조정 - 농축 - 건조
     2. 조정 - 농축 - 탈수 - 건조
     3. 조정 - 탈수 - 농축 - 건조
     4. 탈수 - 조정 - 건조 - 농축

     정답 : []
     정답률 : 57%

105. 스톡스 법칙(Stoke's 법칙)을 이용하여 설계하는 시설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3년 05월)
     1. 혼화지
     2. 응집지
     3. 여과지
     4. 침전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6. 어느 지역에 내린 강수가 하수관거에 유입되는 시간이 7min, 하수관거 길이는 540m, 관내 유속이 0.9m/sec 이라면 하수관거 내의 유달시간은?(2016년 05월)
     1. 607min
     2. 600min
     3. 17min
     4. 10min

     정답 : []
     정답률 : 62%

107. 우수조정지의 설치목적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2018년 03월)
     1. 하수관거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곳
     2. 하수처리장의 처리능력이 부족한 곳
     3. 하류지역의 펌프장 능력이 부족한 곳
     4. 방류수역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곳

     정답 : []
     정답률 : 50%

108. 상수를 처리한 후에 치아의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 주입할 수 있으며 원수 중에 과량으로 존재하면 반상치(반점치) 등을 일으키므로 제거하여야 하는 물질은?(2017년 09월)
     1. 염소
     2. 불소
     3. 산소
     4. 비소

     정답 : []
     정답률 : 77%

109. 하수관거내 침전물에서 방출하는 가스 중 관정부식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은?(2016년 05월)
     1. CH4
     2. H2S
     3. Cl-
     4. CO2

     정답 : []
     정답률 : 62%

110. 침전시설과 여과시설 등을 거친 정수장의 배출수는 최종적으로 적절한 배출수 처리설비를 거쳐 방류된다. 배출수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발생 슬러지는 위해하므로 주로 매립하고, 재활용은 제한한다.
     2. 재순환되는 세척배출수의 목표수질은 평균적인 원수수질과 같거나 더 양호해야 한다.
     3. 슬러지처리시설은 정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처리하고 처분하는데 충분한 기능과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세척배출수에서 발생된 슬러지와 정수공정의 침전슬러지는 배출수처리시설의 농축조에서 농축처리하며 그 상징수는 정수공정으로 반송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111. 합류식 하수관거의 설계시 사용하는 유량은?(2006년 09월)
     1. 계획우수량 + 계획시간 최대오수량
     2. 계획우수량 +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3. 계획1일 최대오수량
     4.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정답 : []
     정답률 : 50%

112. 슬러지 농축조에서 함수율 98%인 생슬러지를 투입하여 함수율 96%의 농축 슬러지를 얻었다면, 농축 슬러지의 부피는 얼마인가?(단, 생슬러지의 부피는 V로 가정한다.)(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00-98/100-96 = 2/4 = 1/2

113. 다음 중 염소소독시 소독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질인자는?(2007년 03월)
     1. 총 경도
     2. 알칼리도
     3. pH
     4. 탁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4. BOD 값이 크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2005년 05월)
     1. 미생물 분해가 가능한 물질이 많다.
     2. 영양염류가 풍부하다.
     3. 용존산소가 풍부하다.
     4. 무기물질이 충분하다.

     정답 : []
     정답률 : 59%

115. 활성슬러지법에서 ML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방류수 중의 부유물질
     2. 폐수 중의 부유물질
     3. 폭기조 중의 부유물질
     4. 반송슬러지 중의 부유물질

     정답 : []
     정답률 : 67%

116. 정수시설의 계획 정수량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여야 하는가?(2002년 09월)
     1. 계획 1일 최대급수량
     2. 계획 1일 평균급수량
     3. 계획 시간 평균급수량
     4. 계획 취수량

     정답 : []
     정답률 : 40%

117. 급수보급율 95%, 계획1인1일 최대급수량 400L/인·일, 인구 15만명의 도시에 급수계획을 하고자 한다. 이 도시의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은?(2005년 05월)
     1. 39900m3/day
     2. 48450m3/day
     3. 57000m3/day
     4. 65550m3/da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8. 계획급수량 산정시 사용되지 않는 항목은?(2002년 09월)
     1. 급수구역 내 계획인구
     2. 계획 1인1일급수량
     3. 계획 급수보급율
     4. 계획년에서의 누수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9. 하수관거의 부속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맨홀(Manhole)은 하수관거의 청소, 점검, 보수 등을 위해 사람의 출입과 통풍 및 환기 등을 목적으로 설치한 시설이다.
     2. 우수받이(Street lnlet)는 우수내의 고형 부유물이 하수관거 내에 침전하여 일어나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이다.
     3. 역사이폰(Inverted Syphon)은 하천, 철도, 지하철 등의 지하매설물을 횡단하기 위해 수두 경사선 이하로 매설된 하수관거 부분이다.
     4. 토구(Outfail)는 하천 또는 바다물이 하수관거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0. “BOD 값이 크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2018년 03월)
     1. 무기물질이 충분하다.
     2. 영양염류가 풍부하다.
     3. 용존산소가 풍부하다.
     4. 미생물 분해가 가능한 물질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62%


정 답 지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03110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BC 부재가 받는 힘은 얼마인가?(2015년 03월)

   

     1. 1.8tf
     2. 2.4tf
     3. 3.75tf
     4. 5.0tf

     정답 : []
     정답률 : 55%

2. 다음 부정정보에서 지점B의 수직 반력은 얼마인가?(단, EI는 일정함)(200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길이가 6m인 단순보의 중앙에 3t의 집중하중이 연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때 단순보의 최대 처짐은 몇 cm 인가? (단, 보의 E=2000000kg/cm2, I=15000cm4이다.)(2004년 05월)
     1. 1.5
     2. 0.45
     3. 0.27
     4. 0.09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지름 D인 원형단면 보에 휨모멘트 M이 작용할 때이 보에 작용하는 최대 휨응력은?(2016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5.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B점에 모멘트 하중이 작용할 때 A점과 B점의 처짐각 비(θAθB)는?(2018년 09월)

   

     1. 1 : 2
     2. 2 : 1
     3. 1 : 3
     4. 3 : 1

     정답 : []
     정답률 : 68%

6. 변형에너지(strain energy)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외력의 일 (external work)
     2. 축방향 내력의 일
     3. 휨모멘트 에 의한 내력의 일
     4. 전단력에 의한 내력의 일

     정답 : []
     정답률 : 82%

7. 지름 D인 원형 단면에 전단력 S가 작용할 때 최대 전단응력의 값은?(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7%

8. 탄성 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응력에 반비례하고 탄성계수에 비례한다.
     2. 응력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탄성계수에 비례한다.
     3. 응력에 비례하고 탄성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응력의 제곱에 비례하고 탄성계수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9. 그림과 같은 부정정보에서 지점 B의 휨모멘트 MB는?(2004년 05월)

   

     1. -31.2 t·m
     2. -36 t·m
     3. -41 t·m
     4. -47 t·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그림에 보이는 연속보의 중앙 지점에서의 휨모멘트를 구하면? (단, EI는 일정하다.)(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지름 D인 원형 단면보에 휨모멘트 M이 작용할 때 최대 휨응력은?(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12. 다음 단면에서 y축에 대한 회전반지름은?(2003년 03월)

    

     1. 2.20 cm
     2. 2.53 cm
     3. 2.82 cm
     4. 3.07 cm

     정답 : []
     정답률 : 16%

13. 길이 ℓ , 직경 d인 원형 단면봉이 인장하중 P를 받고 있다. 응력이 단면에 균일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할 때, 이 봉에 저장되는 변형에너지를 구한 값으로 옳은 것은? (단, 봉의 탄성계수는 E이다.)(2002년 05월)
     1. 4P2ℓ / πd2E
     2. 2P2ℓ / πd2E
     3. 4Pℓ2 / πd2E
     4. 2Pℓ2 / πd2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다음과 같은 L형 단면에서 도심의 위치 x와 y는?(2011년 03월)

    

     1. x=1.625cm, y=3.625cm
     2. x=2.325cm, y=3.625cm
     3. x=1.625cm, y=2.325cm
     4. x=2.325cm, y=1.625cm

     정답 : []
     정답률 : 37%

15. 그림과 같은 3-hinge 라멘의 수평반력 HA값은?(2017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6%

16. 아래의 정정보에서 A지점의 수직반력(RA)은?(2018년 03월)

    

     1. P/4
     2. P/3
     3. P/2
     4. 2P/3

     정답 : []
     정답률 : 70%

17. 다음과 같은 단순보에서 A점 반력(RA)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0.5tf(↓)
     2. 2.0tf(↓)
     3. 0.5tf(↑)
     4. 2.0tf(↑)

     정답 : []
     정답률 : 63%

18. 단면이 원형(지름 D)인 보에 휨모멘트 M 이 작용할 때 이 보에 작용하는 최대 휨응력은?(2014년 09월)
     1. 12M/πD3
     2. 16M/πD3
     3. 32M/πD3
     4. 64M/πD3

     정답 : []
     정답률 : 76%

19. 3연 모멘트 방정식의 사용처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03월)

    

     1. 트러스 해석
     2. 연속보 해석
     3. 케이블 해석
     4. 아치 해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그림(A)와 같은 장주가 10tf 의 하중에 견딜 수 있다면 (B)의 장주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 (단, 기둥은 등질, 등단면 이다.)(2016년 10월)

    

     1. 10tf
     2. 20tf
     3. 30tf
     4. 40tf

     정답 : []
     정답률 : 77%

2과목 : 측량학


21. 초점길이가 210mm인 카메라를 사용하여 비고 600m인 지점을 사진축척 1:20000으로 촬영한 수직 사진의 촬영고도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0년 06월)
     1. 1200m
     2. 2400m
     3. 3600m
     4. 4800m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2022년 부터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22. 직접고저측량을 하여 2km 왕복에 오차가 5mm 발생했다면 같은 정확도로 8km를 왕복측량 했을 때 오차는?(2005년 05월)
     1. 5mm
     2. 10mm
     3. 15mm
     4. 20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동일 지점간 거리 관측을 3회, 5회, 7회 실시하여 최확값을 구하고자 할 때 각 관측값에 대한 보정값의 비(3회 : 5회 : 7회)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2.
     3. 3:5:7
     4. 32:52:72

     정답 : []
     정답률 : 72%

24. 다음의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2. 곡선의 반지름은 완화곡선의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으로 된다.
     3. 종점의 칸트는 원곡선의 칸트와 같다.
     4.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경의 감소율은 칸트의 증가율과 같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트래버스 측량에서 시가지나 평탄지의 폐합비 허용 범위는?(2002년 09월)
     1. 1/500 ~ 1/1,000
     2. 1/300 ~ 1/1,000
     3. 1/1,000 ~ 1/2,000
     4. 1/5,000 ~ 1/1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어느 측선의 방위가 S60˚W이고,측선길이가 200m일 때 경거는?(2020년 06월)
     1. 173.2m
     2. 100m
     3. -100m
     4. -173.20m

     정답 : []
     정답률 : 54%

27. 타원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어느 지역의 측량좌표계의 기준이 되는 지구타원체를 준거타원체(또는 기준타원체)라 한다.
     2. 실제 지구와 가장 가까운 회전타원체를 지구타원체라 하며, 실제 지구의 모양과 같이 굴곡이 있는 곡면이다.
     3. 타원의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생긴 지구물리학적 형상을 회전타원체라 한다.
     4. 준거타원체는 지오이드와 일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28. 도로시점에서 교점까지의 추가거리가 546.42m 이고, 교각이 38° 16′ 40″ 일 때 곡선반경 300m인 단곡선에서 시단현의 편각 δ1의 값은?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 이다.)(2003년 08월)
     1. 0° 15′ 38″
     2. 1° 54′ 35″
     3. 1° 35′ 54″
     4. 1° 41′ 2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방대한 지역의 측량에 적합하며 동일 측점 수에 대하여 포괄면적이 가장 넓은 삼각망은?(2009년 05월)
     1. 유심 삼각망
     2. 사변형망
     3. 단열 삼각망
     4. 복합 삼각망

     정답 : []
     정답률 : 79%

30. 그림에서 AC 및 DB간에 곡선을 넣으려고 한다. 그런데 교점에 장애물이 있어 ∠ACD=150° , ∠CDB=90° 및 CD의 거리 400m를 측정하였다. C점으로부터 A(B.C)점까지의 거리는? (단, 곡률반경은 500m로 한다.)(2004년 09월)

    

     1. 461.88m
     2. 453.15m
     3. 425.88m
     4. 404.15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각측량시 방향각에 6“ 의 오차가 발생한다면 3km 떨어진 측점의 거리오차는 얼마인가?(2009년 05월)
     1. 5.6cm
     2. 8.7cm
     3. 10.8cm
     4. 12.6cm

     정답 : []
     정답률 : 46%

32. 다각측량에서 A점의 좌표가 (100, 200)이고 측선 AB의 방위각이 240°, 길이가 100m일 때 B점의 좌표는? (단, 좌표의 단위는 m이다.)(2014년 05월)
     1. (-50, 113.4)
     2. (50, 113.4)
     3. (-50, 13.4)
     4. (50, -113.4)

     정답 : []
     정답률 : 69%

33. 곡선 설치에서 교각이 32°15′이고 곡선반경이 500m일 때 곡선시점의 추가거리가 315.45m이면 곡선종점의 추가거리는 얼마인가?(2005년 05월)
     1. 593.88m
     2. 596.88m
     3. 623.63m
     4. 625.3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지형측량에서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를 잇는 선이 의미하는 것은?(2014년 05월)
     1. 분수선
     2. 등경사선
     3. 최대경사선
     4. 경사변환선

     정답 : []
     정답률 : 68%

35. 삼각형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 변길이를 관측한 결과, 그림과 같을 때 이 삼각형의 면적은?(2019년 04월)

    

     1. 1072.7 m2
     2. 1235.6 m2
     3. 1357.9 m2
     4. 1435.6 m2

     정답 : []
     정답률 : 65%

36.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용중인 투영법과 평면 직각좌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중앙자오선의 축척계수가 0.9996인 UTM투영이다.
     2. 중앙자오선의 축척계수가 1.0000인 UTM투영이다.
     3. 중앙자오선의 축척계수가 0.9996인 TM투영이다.
     4. 중앙자오선의 축척계수가 1.0000인 TM투영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37. 다음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측지학이란 지구 내부의 특성, 지구의 현상, 지구 표면의 상호위치 관계를 정하는 학문이다.
     2. 기하학적 측지학에는 천문측량, 위성측지, 높이결정 등이 있다.
     3. 물리학적 측지학에는 지구의 형상 해석, 중력측정, 지자기측정 등을 포함한다.
     4. 측지측량(대지측량)이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은 측량으로서 20km 이내를 평면으로 취급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8. 그림에서 B점의 지반고는? (단, HA = 39.695m)(2011년 10월)

    

     1. 39.405m
     2. 39.985m
     3. 42.985m
     4. 46.305m

     정답 : []
     정답률 : 75%

39. 다각측량에서 거리의 총합이 1250m일 때 폐합오차를 0.26m로 하려고 한다. 위거 또는 경거의 오차를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단, 위거 및 경거오차는 같은 것으로 가정한다.)(2004년 03월)
     1. 0.13m
     2. 0.18m
     3. 0.26m
     4. 0.52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직각좌표 상에서 각 점의 (x, y)좌표가 A(-4, 0), B(-8, 6), C(9, 8), D(4, 0)인 4점으로 둘러싸인 다각형의 면적은? (단, 좌표의 단위는 m이다)(2011년 10월)
     1. 87m2
     2. 100m2
     3. 174m2
     4. 192m2

     정답 : []
     정답률 : 61%

3과목 : 수리학


41. 액체표면에서 150cm 깊이의 점에서 압력강도가 14.25 kN/m2 이면 이 액체의 단위중량은?(2019년 04월)
     1. 9.5 kN/m3
     2. 10 kN/m3
     3. 12 kN/m3
     4. 16 kN/m3

     정답 : []
     정답률 : 64%

42. 밑면이 7.5m×3m이고 깊이가 4m인 빈 상자의 무게가 4×105N이다. 이 상자를 물에 띄웠을 때 수면 아래로 잠기는 깊이는?(2016년 10월)
     1. 3.54m
     2. 2.32m
     3. 1.81m
     4. 0.75m

     정답 : []
     정답률 : 41%

43. 관수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관내의 유체마찰력은 관 벽면에서 가장 크고 관 중심에서는 0이다.
     2. 관내의 유속은 관 벽으로부터 관 중심으로 1/3 떨어진 지점에서 최대가 된다.
     3. 유체마찰력의 크기는 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4. 관의 최대유속은 평균유속의 3배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44. 침투지수법에 의한 침투능 추정방법에 관한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침투지수란 호우기간의 총침투량을 호우지속기간으로 나눈 것이다.
     2. ø-index는 강우주상도에서 유효우량과 손실우량을 구분하는 수평선에 상응하는 강우강도와 크기가 같다.
     3. W-index는 강우강도가 침투능보다 큰 호우기간 동안의 평균침투율이다.
     4. ø-index법은 침투능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한 방법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폭 b = 3.0m, 수심 h = 1.5m 인 구형단면수로에서 수로경사가 0.01 일 때 평균유속은? (단, C = 65 이고 chezy의 유속공식에 의한다)(2002년 05월)
     1. 3.42m/sec
     2. 4.63m/sec
     3. 5.63m/sec
     4. 7.53m/se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지하수에서 Darcy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투수계수는 물의 점성계수와 토사의 공극률 등에 따라 변하는 계수이다.
     2. 지하수의 평균유속은 동수경사에 반비례한다.
     3. Darcy법칙에서 투수계수의 차원은 속도의 차원과 같다.
     4. Darcy법칙은 층류로 취급했으며 실험에 의하면 대략적으로 레이놀즈수(Re)<4에서 주로 성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7. 관수로에서 Reynolds 수가 300 일 때 추정할 수 있는 흐름의 상태는?(2016년 10월)
     1. 상류
     2. 사류
     3. 층류
     4. 난류

     정답 : []
     정답률 : 64%

48. 다음과 같이 수로폭이 3m 인 판으로 물의 흐름을 가로막았을 때 상류수심은 6m, 하류수심은 3m 이였다. 이 때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y)는?(2004년 05월)

    

     1. y = 1.50m
     2. y = 2.33m
     3. y = 3.66m
     4. y = 4.5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면적이 10km2인 유역의 유출계수가 0.54, 강우강도가 100mm/hr일 때 합리식에 의한 첨두유량은?(2005년 09월)
     1. 540m3 /sec
     2. 300m3/sec
     3. 150m3 /sec
     4. 108m3/se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사각형 단면의 개수로에서 비에너지의 최소값이 Emin = 1.5m 이라면 단위 폭당의 유량은?(2011년 03월)
     1. 1.75m3/sec
     2. 2.73m3/sec
     3. 3.13m3/sec
     4. 4.25m3/sec

     정답 : []
     정답률 : 46%

51. 유체의 연속방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뉴튼(Newton)의 제 2법칙을 만족시키는 방정식이다.
     2. 에너지와 일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이다.
     3. 유선 상 두 점간의 단위체적당의 운동량에 관한 방정식이다.
     4. 질량 보존의 법칙을 만족 시키는 방정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52. 오리피스에서의 실제 유속을 구하기 위한 에너지 손실은 어떻게 고려할 수 있는가?(2008년 05월)
     1. 이론 유속에 유속계수를 곱한다.
     2. 이론 유속에 유량계수를 곱한다.
     3. 이론 유속에 수축계수를 곱한다.
     4. 이론 유속에 모형계수를 곱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53. 그림과 같이 폭이 3m인 판으로 물의 흐름을 가로 막았을 때 상류수심은 6m, 하류수심은 3m이었다. 이때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y)는?(2011년 03월)

    

     1. y = 1.50m
     2. y = 2.33m
     3. y = 3.66m
     4. y = 4.56m

     정답 : []
     정답률 : 23%

54. 다음 표에서 Thiessen법으로 유역평균우량을 구한 값은?(2009년 05월)

    

     1. 25.25mm
     2. 26.25mm
     3. 27.25mm
     4. 30.20mm

     정답 : []
     정답률 : 54%

55. Darcy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Reynolds수가 클수록 안심하고 적용할 수 있다.
     2. 평균유속이 손실수두와 비례관계를 가지고 있는 흐름에 적용될 수 있다.
     3. 정상류 흐름에서 적용될 수 있다.
     4. 층류 흐름에서 적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56. 오리피스에서 에너지 손실을 보정한 실제유속을 구하는 방법은?(2018년 04월)
     1. 이론유속에 유량계수를 곱한다.
     2. 이론유속에 유속계수를 곱한다.
     3. 이론유속에 동점성계수를 곱한다.
     4. 이론유속에 항력계수를 곱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57. 수심 4.2m인 오리피스에서 실제유속이 8.801m/sec일 때 유속계수는?(2011년 03월)
     1. 0.95
     2. 0.96
     3. 0.97
     4. 0.98

     정답 : []
     정답률 : 28%

58. 단위시간에 있어서 속도변화가 V1에서 V2로 되며 이 때 질량 m인 유체의 밀도를 ρ라 할 때 운동량 방정식은? (단, Q : 유량, ω : 유체의 단위중량, g : 중력가속도)(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59. 유역의 평균강우량 산정방법에 의한 우량은 실제의 평균우량과 어느 정도의 편차를 가지는데 그 편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자는?(2002년 05월)
     1. 우량계측망의 밀도
     2. 정상연평균강수량
     3. 정상일평균기온
     4. 1일평균기온

     정답 : []
     정답률 : 30%

60. 어느 하천에서 Hm 되는 곳까지 양수하려고 한다. 양수량을 Q(m3/sec), 모든 손실수두의 합을 ∑he, 펌프와 모터의 효율을 각각 η1, η2라 할 때, 펌프의 동력을 구하는 식은?(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1%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이형철근이 인장을 받을 때 기본 정착 길이를 구하는식으로 옳은 것은? (단, db는 철근의공칭지름)(200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프리텐션 부재의 단면적 100,000mm2인 콘크리트의 도심에 PS 강선을 배치하여 초기 프리스트레 Pi=500kN을 가했을 때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손실량은? (단, n = 6 이다.)(2005년 09월)
     1. 25 MPa
     2. 30 MPa
     3. 35 MPa
     4. 40 MPa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직사각형 보에서 계수 전단력 Vu=70KN을 전단철근 없이 지지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최소 유효깊이 d는 약 얼마인가? (단, bω=400mm, fck=20MPa, fy =350MPa)(2017년 03월)
     1. 426mm
     2. 587mm
     3. 627mm
     4. 751mm

     정답 : []
     정답률 : 54%

64. 폭이 400 mm, 유효깊이가 600 mm인 직사각형보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할 수 있는 전단강도 Vc는 얼마인가?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이며 fck는 24 MPa임)(2019년 04월)
     1. 196kN
     2. 248kN
     3. 326kN
     4. 392kN

     정답 : []
     정답률 : 60%

65.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전단철근으로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수직스터럽을 사용하였다. 이때 스터럽의 간격에 대한 기준으로서 옳은 것은? (단, 인 경우)(2017년 05월)
     1. 0.8d 이상이어야 하고, 또한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2. 50mm 이하이어야 한다.
     3. 0.5d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600mm 이하로 하여야한다.
     4.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66. 단철근 직사각형보를 강도설계법으로 균형보로 설계할 때 콘크리트의 압축측 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가 250mm이고,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fck)가 28MPa이라면, 등가응력 직사각형 깊이(a)는 얼마인가?(2011년 10월)
     1. 210.7mm
     2. 212.5mm
     3. 215.3mm
     4. 221.2mm

     정답 : []
     정답률 : 66%

67. 옹벽설계시의 안정 조건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전도에 대한 안정
     2. 지반 지지력에 대한 안정
     3. 활동에 대한 안정
     4. 마찰력에 대한 안정

     정답 : []
     정답률 : 59%

68. 전단철근이 부담하는 전단강도 Vs 가 2.12 √fck bW d를 초과하는 경우의 조치로 가장 합리적인 것은?(단, fck의 단위는 kgf/cm2이다.)(2003년 08월)
     1. 전단철근의 간격을 1/2로 줄인다.
     2. 스트럽과 굽힘철근을 병용한다.
     3. 콘크리트 단면을 증가시킨다.
     4. 최소한의 전단철근을 배근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일반 콘크리트 부재의 해당 지속 하중에 대한 탄성처짐이 30mm이었다면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따른 추가적인 장기처짐을 고려한 최종 총 처짐량은? (단, 하중재하기간은 5년이고, 압축철근비 ρʹ는 0.002이다.)(2018년 03월)
     1. 80.8mm
     2. 84.6mm
     3. 89.4mm
     4. 95.2mm

     정답 : []
     정답률 : 67%

70. 다음 단면의 균열 모멘트 Mcr 의 값은? (단, fck=24MPa,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fr=3.09MPa)(2014년 09월)

    

     1. 16.3kNㆍm
     2. 41.58kNㆍm
     3. 83.43kNㆍm
     4. 110.88kNㆍm

     정답 : []
     정답률 : 58%

71. PSC에서 프리텐션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PS 강재를 곡선으로 배치하기 쉽다.
     2. 정착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3.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4. 대량 제조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2. 그림과 같은 용접길이의 유효길이는 얼마인가?(2003년 03월)

    

     1. 60 cm
     2. 52 cm
     3. 40 cm
     4. 30 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시간과 더불어 진행되는 장기처짐은 탄성처짐에 λ 계수를 곱하여 사용한다. 이 때 λ 의 값으로 옳은 것은? (단, ξ 는 지속하중의 재하기간에 따른 계수이고, ρ '는 압축철근비를 의미한다.)(2003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ld)는 기본 정착길이(lab)에 보정계수를 고려하여 구할 수 있다.
     2.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철근의 항복강도(fy)에 비례한다.
     3.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fck)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4.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ld)는 항상 500mm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75. 전체 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은?(2015년 03월)
     1. 수직스터럽
     2. 표피철근
     3. 배력철근
     4. 옵셋굽힘철근

     정답 : []
     정답률 : 68%

76. 아래 그림과 같은 보에 D13(1본 단면적 127mm2철근으로 수직스터럽을 250mm의 간격으로 설치하였다면,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Vs)는? (단, fck=28MPa, fy=400MPa)(2015년 05월)

    

     1. 164.8kN
     2. 186.3kN
     3. 208.6kN
     4. 223.5kN

     정답 : []
     정답률 : 58%

77. 단면적 1000 cm2 인 콘크리트 단면의 도심에 단면적 19.6cm2 의 PS강선을 배치하고 인장력을 30tonf을 가할 때 콘크리트의 탄성 변형에 의한 인장력의 감소량은? (단, 탄성계수비 n = 7 이다)(2003년 03월)
     1. 4.12 tonf
     2. 3.88 tonf
     3. 6.12 tonf
     4. 5.88 tonf

     정답 : []
     정답률 : 0%

78. PSC 부재의 프리스트레스 감소원인 중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시간의 경과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2015년 09월)
     1. PS강재의 릴랙세이션으로 인한 손실
     2. PS강재와 쉬스의 마찰로 인한 손실
     3. 정착장치의 활동으로 인한 손실
     4.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으로 인한 손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즉시 손실:탄성수축에 의한손실 、마찰에 의한 손실、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
시간적손실 : 크리프에의한손실、 수축에 의한 손실、 릴렉세이션에 의한 손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릴렉세이션 : 시간이 경과함으로서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인장력이 감소하는 현상
쉬스(관): psc에 포스트텐션에 부품으로 긴장제가 들어가는 관
정착장치의 활동으로 인한 손실 : 긴장재가 정착장치에 고정되는 과정에 살짝 미끄러저 긴장력이 손실
콘크리트 탄성변형 손실 : 압축력이 도입될 시 콘크리트가 짧아져 긴장제의 길이가 짧아져 발생하는 손실
[해설작성자 : 합격 하자]

79. 다음 식 중 나선철근 압축부재의 최대 축방향 설계강도 øPn을 나타낸 것은? (단,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부재의 경우)(2004년 09월)
     1. øPn=0.85ø(0.85fckAg+fyAst)
     2. øPn=0.80ø(0.85fckAg+fyAst)
     3. øPn=0.85ø[0.85fck(Ag-Ast)+fyAst]
     4. øPn=0.80ø[0.85fck(Ag-Ast)+fyAs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강도설계법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것은?(2017년 05월)

    

     1. 계수하중
     2. 공칭하중
     3. 고정하중
     4. 강도감소계수

     정답 : []
     정답률 : 60%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다음은 옹벽의 안정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2008년 03월)
     1. 전도에 대한 저항휨모멘트는 횡토압에 의한 전도 휨모멘트의 2.0배 이상이어야 한다.
     2. 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시 허용지지력은 극한 지지력의1/2배를 취한다.
     3. 옹벽이 활동에 대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활동에 대한 저항력이 수평력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4. 침하의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기초지반에 유발되는 최대 지반반력이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82. 다음의 토질 시험 중 투수계수를 구하는 시험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다짐시험
     2. 변수두 투수시험
     3. 압밀시험
     4. 정수두 투수시험

     정답 : []
     정답률 : 60%

83. 두께 6m의 점토층이 있다. 이 점토의 간극비는 eo = 2.0이고 액성한계는 WL = 70%이다. 압밀하중을 2kg/cm2에서 4kg/cm2로 증가시키려고 한다. 예상되는 압밀침하량은? (단, 압축지수 Cc는 skempton의 식 Cc = 0.009(WL - 10)을 이용할 것)(2009년 03월)
     1. 0.27m
     2. 0.33m
     3. 0.49m
     4. 0.65m

     정답 : []
     정답률 : 53%

84. 점토지반을 프리-로딩(pre-loading)공법 등으로 미리 압밀시킨 후에 급격히 재하할 때의 안정을 검토하는 경우에 가장 적당한 전단시험 방법은?(2009년 03월)
     1. 비압밀 비배수(UU)시험
     2. 압밀 비배수(CU)시험
     3. 압밀 배수(CD)시험
     4. 압밀 완속(CS)시험

     정답 : []
     정답률 : 48%

85. 비교적 균질한 토층을 실험한 결과 rt=2.0t/m3, C=2.5t/m2, ø=10° 인 경우에 연직으로 절취할 수 있는 한계고는 얼마인가?(2006년 09월)
     1. Hc=5.96m
     2. Hc=5.11m
     3. Hc=6.48m
     4. Hc=4.71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지표면이 수평이고 옹벽의 뒷면과 흙과의 마찰각이 0°인 연직옹벽에서 Coulomb의 토압과 Rankine의 토압은?(2005년 03월)
     1. Coulomb의 토압은 항상 Rankine의 토압보다 크다.
     2. Coulomb의 토압은 Rankine의 토압보다 클 때도 있고 작을 때도 있다.
     3. Coulomb의 토압과 Rankine의 토압은 같다.
     4. Coulomb의 토압은 항상 Rankine의 토압보다 작다.

     정답 : []
     정답률 : 60%

87. 그림에서 5m깊이에 지하수가 있고 지하수면에서 2m 높이 까지 모관수가 포화되어있다.10m깊이에 있는 X-X면상의 유효연직 응력은? (단, γd=1.6t/m3, γsatt/m3)(2008년 03월)

    

     1. 10.6t/m2
     2. 12.4t/m2
     3. 17.4t/m2
     4. 18.6t/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8. 토질조사 방법 중 Sound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표준관입시험(S.P.T)은 정적인 Sounding방법이다.
     2. Sounding은 Boring이나 시굴보다도 확실하게 지반구성을 알 수 있다.
     3. Sounding은 원위치 시험으로서 의의가 있으며 예비 조사에 많이 사용된다.
     4. 동적인 Sounding 방법은 주로 점성토 지반에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4%

89. 현장에서 채취한 흐트러지지 않은 포화 점토시료에 대해 일축압축강도 qu=0.8kg/cm2의 값을 얻었다. 이 흙의 점착력은?(2015년 03월)
     1. 0.2kg/cm2
     2. 0.25kg/cm2
     3. 0.3kg/cm2
     4. 0.4kg/cm2

     정답 : []
     정답률 : 65%

90. 어떤 흙의 간극비(e)가 0.52 이고, 흙 속에 흐르는 물의 이론 침투속도(v)가 0.214cm/s일 때 실제의 침투유속(vs)은?(2018년 09월)
     1. 0.424cm/s
     2. 0.525cm/s
     3. 0.626cm/s
     4. 0.727cm/s

     정답 : []
     정답률 : 44%

91. 평판재하시험에서 재하판과 실제기초의 크기에 따른 영향, 즉 Scale effcect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모래지반의 지지력은 재하판의 크기에 비례한다.
     2. 점토지반의 지지력은 재하판의 크기와는 무관하다.
     3. 모래지반의 침하량은 재하판의 크기가 커지면 어느 정도 증가하지만 비례적으로 증가하지는 않는다.
     4. 점토지반의 침하량은 재하판의 크기와는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43%

92. 다음 전단 시험법 가운데 간극수압을 측정하여 유효 응력으로 정리하면 압밀배수 시험(CD-test)과 거의 같은 전단상수를 얻을 수 있는 시험법은?(2004년 05월)
     1. 비압밀 비배수시험(UU-test)
     2. 직접전단시험
     3. 압밀 비배수시험(CU-test)
     4. 일축압축시험(qu-tes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수직 응력이 60 kN/m2 이고 흙의 내부 마찰각이 45˚일 때 모래의 전단강도는? (단,점착력 (c)은 0이다.)(2020년 06월)
     1. 24kN/m2
     2. 36kN/m2
     3. 48kN/m2
     4. 60kN/m2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60*tan45도(각도)=60
[해설작성자 : 탄단지]

94. 내부 마찰각 ø = 0° 인 점토에서는 일반적으로 점착력은 일축압축강도의 몇배인가?(2004년 03월)
     1. 같다
     2. 1/2배
     3. 2배
     4. 8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점토층에서 채취한 시료의 양촉지수 C0 = 0.39, 간 극비 e = 1.26 이다. 이 점토층 위에 구조물이 축조되었다. 축조되기 이전의 유효압력은 8.0t/m2, 축조된 후에 증가된 유효압력은 6.0t/m2이다. 점토층의 두께가 3m일때 압밀침하량은 얼마인가?(2007년 03월)
     1. 12.6m
     2. 9.1m
     3. 4.6m
     4. 1.3m

     정답 : []
     정답률 : 34%

96. 유선망의 특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각 유로의 침투수량은 같다.
     2.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직교한다.
     3. 유선망으로 되는 사각형은 이론상으로 정사각형이다.
     4. 침투속도 및 동수경사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97. 흙의 다짐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부착성이 양호해지고 흡수성이 증가한다.
     2. 투수성이 증가한다.
     3. 압축성이 커진다.
     4. 밀도가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흡수성 감소
투수성 감소
압축성 작아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다음 상대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5월)
     1. 주로 점토와 같은 세립토에 사용된다.
     2. 상대밀도가 60%정도이면 느슨한 상태이다.
     3. 보통 진동 다짐에 의하여 θmax, 건조모래를 가만히 유입함으로서 θmin을 측정한다.
     4. 흙의 조밀 또는 느슨한 상태를 알고자 할 때 간극비만으로는 명확하지 못하므로 상대밀도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99. 다음중에서 정지토압 Po, 주동토압 PA, 수동토압 Pp의 크기 순서가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2004년 09월)
     1. Pp < Po < PA
     2. Po < PA < Pp
     3. Po < Pp < PA
     4. PA < Po < Pp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채취된 시료의 교란정도는 면적비를 계산하여 통상 면적비가 몇 % 이하이면 잉여토의 혼입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 불교란 시료로 간주하는가?(2002년 03월)
     1. 5%
     2. 7%
     3. 10%
     4. 15%

     정답 : []
     정답률 : 31%

101. 상수도시설에 설치되는 펌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수량변화가 큰 경우, 대소 두 종류의 펌프를 설치하거나 또는 회전속도제어 등에 의하여 토출량을 제어한다.
     2. 펌프는 예비기를 설치하되 펌프가 정지되더라도 급수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3. 펌프는 용량이 클수록 효율이 낮으므로 가능한 한 소용량으로 한다.
     4. 펌프는 가능한 한 동일용량으로 하여 소모품이나 예비품의 호환성을 갖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02. 첨두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실제 하수량을 평균 하수량으로 나눈 값이다.
     2. 평균 하수량을 최대 하수량으로 나눈 값이다.
     3. 지선 하수관로보다 간선 하수관로가 첨두율이 크다.
     4. 인구가 많은 대도시일수록 첨두율이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계획)첨두율 = (계획)1일 최대 급수량 / (계획)1일 평균 급수량
[해설작성자 : 김빵부]

103. 계획 1일 평균급수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몇 %를 표준으로 해야 하는가?(2003년 08월)
     1. 55 ~ 70%
     2. 70 ~ 85%
     3. 85 ~ 90%
     4. 90 ~ 9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4. 정수장에서 배출수 처리방식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09년 05월)
     1. 탈수 - 조정 - 농축 - 건조
     2. 조정 - 농축 - 탈수 - 건조
     3. 조정 - 탈수 - 농축 - 건조
     4. 탈수 - 조정 - 건조 - 농축

     정답 : []
     정답률 : 57%

105. 스톡스 법칙(Stoke's 법칙)을 이용하여 설계하는 시설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3년 05월)
     1. 혼화지
     2. 응집지
     3. 여과지
     4. 침전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6. 어느 지역에 내린 강수가 하수관거에 유입되는 시간이 7min, 하수관거 길이는 540m, 관내 유속이 0.9m/sec 이라면 하수관거 내의 유달시간은?(2016년 05월)
     1. 607min
     2. 600min
     3. 17min
     4. 10min

     정답 : []
     정답률 : 62%

107. 우수조정지의 설치목적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2018년 03월)
     1. 하수관거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곳
     2. 하수처리장의 처리능력이 부족한 곳
     3. 하류지역의 펌프장 능력이 부족한 곳
     4. 방류수역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곳

     정답 : []
     정답률 : 50%

108. 상수를 처리한 후에 치아의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 주입할 수 있으며 원수 중에 과량으로 존재하면 반상치(반점치) 등을 일으키므로 제거하여야 하는 물질은?(2017년 09월)
     1. 염소
     2. 불소
     3. 산소
     4. 비소

     정답 : []
     정답률 : 77%

109. 하수관거내 침전물에서 방출하는 가스 중 관정부식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은?(2016년 05월)
     1. CH4
     2. H2S
     3. Cl-
     4. CO2

     정답 : []
     정답률 : 62%

110. 침전시설과 여과시설 등을 거친 정수장의 배출수는 최종적으로 적절한 배출수 처리설비를 거쳐 방류된다. 배출수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발생 슬러지는 위해하므로 주로 매립하고, 재활용은 제한한다.
     2. 재순환되는 세척배출수의 목표수질은 평균적인 원수수질과 같거나 더 양호해야 한다.
     3. 슬러지처리시설은 정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처리하고 처분하는데 충분한 기능과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세척배출수에서 발생된 슬러지와 정수공정의 침전슬러지는 배출수처리시설의 농축조에서 농축처리하며 그 상징수는 정수공정으로 반송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111. 합류식 하수관거의 설계시 사용하는 유량은?(2006년 09월)
     1. 계획우수량 + 계획시간 최대오수량
     2. 계획우수량 +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3. 계획1일 최대오수량
     4.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정답 : []
     정답률 : 50%

112. 슬러지 농축조에서 함수율 98%인 생슬러지를 투입하여 함수율 96%의 농축 슬러지를 얻었다면, 농축 슬러지의 부피는 얼마인가?(단, 생슬러지의 부피는 V로 가정한다.)(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00-98/100-96 = 2/4 = 1/2

113. 다음 중 염소소독시 소독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질인자는?(2007년 03월)
     1. 총 경도
     2. 알칼리도
     3. pH
     4. 탁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4. BOD 값이 크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2005년 05월)
     1. 미생물 분해가 가능한 물질이 많다.
     2. 영양염류가 풍부하다.
     3. 용존산소가 풍부하다.
     4. 무기물질이 충분하다.

     정답 : []
     정답률 : 59%

115. 활성슬러지법에서 ML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방류수 중의 부유물질
     2. 폐수 중의 부유물질
     3. 폭기조 중의 부유물질
     4. 반송슬러지 중의 부유물질

     정답 : []
     정답률 : 67%

116. 정수시설의 계획 정수량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여야 하는가?(2002년 09월)
     1. 계획 1일 최대급수량
     2. 계획 1일 평균급수량
     3. 계획 시간 평균급수량
     4. 계획 취수량

     정답 : []
     정답률 : 40%

117. 급수보급율 95%, 계획1인1일 최대급수량 400L/인·일, 인구 15만명의 도시에 급수계획을 하고자 한다. 이 도시의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은?(2005년 05월)
     1. 39900m3/day
     2. 48450m3/day
     3. 57000m3/day
     4. 65550m3/da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8. 계획급수량 산정시 사용되지 않는 항목은?(2002년 09월)
     1. 급수구역 내 계획인구
     2. 계획 1인1일급수량
     3. 계획 급수보급율
     4. 계획년에서의 누수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9. 하수관거의 부속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맨홀(Manhole)은 하수관거의 청소, 점검, 보수 등을 위해 사람의 출입과 통풍 및 환기 등을 목적으로 설치한 시설이다.
     2. 우수받이(Street lnlet)는 우수내의 고형 부유물이 하수관거 내에 침전하여 일어나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이다.
     3. 역사이폰(Inverted Syphon)은 하천, 철도, 지하철 등의 지하매설물을 횡단하기 위해 수두 경사선 이하로 매설된 하수관거 부분이다.
     4. 토구(Outfail)는 하천 또는 바다물이 하수관거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0. “BOD 값이 크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2018년 03월)
     1. 무기물질이 충분하다.
     2. 영양염류가 풍부하다.
     3. 용존산소가 풍부하다.
     4. 미생물 분해가 가능한 물질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62%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03110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03110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30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29 경비지도사 2차(경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1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28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4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27 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26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25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24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53532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23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7월18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22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21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20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977760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19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44463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18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117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97303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8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15 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14 <h2>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10년01월31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13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02128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112 9급 국가직 공무원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Board Pagination Prev 1 ...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 178 Next
/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