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95917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탄성파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탄성파 측량은 굴절법과 반사법이 있다.
     2. 탄성파의 전파속도 관측으로 지반탐사가 있다.
     3. 탄성파에는 전자기파와 내면파 2종류가 있다.
     4. 탄성파는 탄성체에 충격으로 급격한 변형을 주었을 때 생기는 파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2. 중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CGS단위의 ㎝/sec2와 같은 것은?(2012년 09월)
     1. dyne
     2. gal
     3. nano
     4. mil

     정답 : []
     정답률 : 90%

3. 극심입체투영법에 의해 위도 80° 이상 양극지역의 지도좌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2015년 09월)
     1. UPS 좌표
     2. 3차원 극좌표
     3. UTM 좌표
     4. 가우스크뤼거 좌표

     정답 : []
     정답률 : 78%

4. 시구상 한 점과 지구중심을 잇는 방향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으로 표시되는 위도는?(2013년 09월)
     1. 측지위도
     2. 지심위도
     3. 천문위도
     4. 화성위도

     정답 : []
     정답률 : 53%

5.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지구의 자전축을 지축이라 한다.
     2. 자오선은 적도와 직교하며 무수히 많다.
     3. 지구중심을 포함하는 임의의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을 대원이라 한다.
     4. 평행권은 적도에 직교하는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14%

6. 다음 위성 중 위치기반서비스(LBS)의 응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GPS 위성
     2. GLONASS 위성
     3. GALILEO 위성 프로젝트
     4. LANDSAT 위성

     정답 : []
     정답률 : 71%

7. 우리나라의 좌표계(한국측지계)가 세계측지계로 변경된 후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모든 지도를 좌표변환 없이 세계측지계 기준으로 재제작 하여야 한다.
     2. 법령에 의한 지표상의 위치는 해당법령을 개정하여 그 수치를 변경하여야 한다.
     3. 지상목표물의 위치를 수치(좌표)상의 변화(평행이동)만 있고 실제 지형, 지물의 위치 변동은 없다.
     4. GPS 측량성과를 변환 과정 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8. 지구상의 한점과 지구중심을 맺는 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은?(2004년 03월)
     1. 측지위도
     2. 천문위도
     3. 천문경도
     4. 지심위도

     정답 : []
     정답률 : 29%

9. 탄성파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탄성파 측량은 굴정법과 반사법이 있다.
     2. 탄성파의 전파속도 관측으로 지반탐사가 가능하다.
     3. 탄성파에는 전자기파와 내면파 2종류가 있다.
     4. 탄성파는 탄성체에 충격으로 급격한 변형을 주었을 때 생기는 파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탄성파=충격파
[해설작성자 : 이걸 따야하나..]

10. 삼각점측량을 GPS측량에 의하여 작업할 때의 기선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기선해석의 결과는 FLOAT해에 의한다.
     2. GPS위성의 궤도요소는 정밀력 또는 방송력에 의한다.
     3. 기선해석의 방법은 세션(session)마다 단일기선해석에 의한다.
     4. 사이클슬립(cycle slip)의 편집은 원칙적으로 기선해석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편집하나, 수동편집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선해석의 결과는 FIX해(고정해)에 의한다.
(예문사해설집)
[해설작성자 : 거지왕]

11. 메르카토르 투영에서 항정선은 어떤 형태인가?(2003년 05월)
     1. 직선
     2. 포물선
     3. 쌍곡선
     4. 동심원

     정답 : []
     정답률 : 63%

12. GPS 수신기에 의해 구해지는 높이 값은?(2016년 03월)
     1. 지오이드고
     2. 정표고
     3. 역표고
     4. 타원체고

     정답 : []
     정답률 : 65%

13. 동일 자오선 상에 있는 A점과 B점에서 천구 북극의 고도가 각각 α=30° , β=27° 로 측정되었을 때 AB간의 구상 거리가 334km라 하며 지구 반지름은? (단, 지구를 구로 가정한다.)(2014년 09월)
     1. 약 6330km
     2. 약 6359km
     3. 약 6360km
     4. 약 6379km

     정답 : []
     정답률 : 55%

14. GPS 측위의 계통적 오차(정오차) 요인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위성의 시계오차
     2. 위성의 궤도오차
     3. 전리층 지연오차
     4. 관측 잡음오차

     정답 : []
     정답률 : 86%

15. 다음 중 중력이상 보정으로 맞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도플러 이상 보정
     2. 프리-에어 이상 보정
     3. 지각평형 이상 보정
     4. 단순 부게 이상 보정

     정답 : []
     정답률 : 78%

16. 다음 중 해상의 수평위치 결정방식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Echo Sounder
     2. Raydist
     3. Omega
     4. Decca

     정답 : []
     정답률 : 72%

17. 삼각점 성과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해당 삼각점의 위치는 경위도 좌표뿐만 아니라, 표고도 표시되어 있다.
     2. 삼각점 간의 거리는 진수값으로 표시되며, 단위는 m이다.
     3. 해당 삼각점위치의 평면직각좌표값 X, Y는 모두 (+)값으로만 표시된다.
     4. 진북방향각은 방위각에 방향각을 더한 값이다.

     정답 : []
     정답률 : 24%

18. GPS의 주요구성 중 궤도와 시각 결정을 위한 위성 추적을 담당하는 부분은?(2007년 05월)
     1. 우주부분
     2. 제어 부분
     3. 화산폭발
     4. 위성 부분

     정답 : []
     정답률 : 55%

19. 측지선에 대한 정의로서 적합치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지표면상 두 점을 잇는 최단거리가 되는 곡선을 측지선이라 한다.
     2. 평면곡선과 측지선의 길이의 차는 극히 미소하여 무시 할 수 있다.
     3. 측지선은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으나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4. 측지선은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2: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20. 도심지와 같이 장애물이 많은 경우 특히 증대되는 GPS 관측오차는?(2013년 06월)
     1. 궤도 오차
     2. 대기 굴절 오차
     3. 다중경로 오차
     4. 전리층 지연 오차

     정답 : []
     정답률 : 69%

2과목 : 응용측량


21. 도로의 경관 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지역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2. 자연환경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한다.
     3. 내부경관과 외부경관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4. 도로선형의 부드러움을 위해 종단과 횡단에 곡선을 많이 삽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22. 노선측량 작업에서 중심선 설치를 하는 단계의 측량은?(2020년 09월)
     1. 공사측량
     2. 예비측량
     3. 조사측량
     4. 실시설계측량

     정답 : []
     정답률 : 50%

23. 다음 그림과 같은 5각형 토지 ABCDE를 동일 면적의 사각형 토지로 하기 위해 DC의 연장선상에 경계점 F를 설치하고자 한다. = 40m, = 25m, ∠ACB=30˚ , ∠BCF = 80˚ 라 할 때 의 거리는?(2008년 05월)

    

     1. 12.7m
     2. 12.9m
     3. 13.1m
     4. 13.3m

     정답 : []
     정답률 : 31%

24. 하천측량에서 다음의 유량(流量)관측에 관한 설명에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유량관측은 유속계와 같은 기계관측과 부자(浮子)에 의한 관측이 있다.
     2. 같은 단면내에서는 수심이나 위치에는 상관없이 유속의 분포는 일정하다.
     3. 유속계의 방법은 주로 평수위시가 좋고 부자의 방법은 홍수시에 많이 이용된다.
     4. 보통 하천이나 수로의 유속은 구배, 유로의 형태, 크기, 수량, 풍향등에 따라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25. 클로소이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이다.
     2. 클로소이드는 주로 철도의 완화곡선으로 사용된다.
     3. 클로소이드는 나선의 일종이다.
     4.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클로소이드 곡선은 고속도로에 이용되는 완화곡선의 한 종류이다.
[해설작성자 : 앙뿌앙뿌]

26. 클로소이드의 공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R : 곡선반지름, L : 곡선길이, A : 매개변수, τ : 접선각)(202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7%

27. 터널내 중심선 측량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9월)
     1. 중심선 도입측량과 중심말뚝 설치
     2. 터널내 고저측량
     3. 터널변형 측정
     4. 터널내 곡선설치

     정답 : []
     정답률 : 54%

28. 토지의 면적계산에 사용되는 심프슨 제2법칙은 그림과 같은 포물선 AMNB의 면적(빗금친 부분)을 사각형 ABCD 면적의 얼마로 가정해서 유도한 공식인가?(2015년 09월)

    

     1. 3/8
     2. 1/2
     3. 3/4
     4. 7/8

     정답 : []
     정답률 : 45%

29. 터널측량을 지상측량과 비교했을 때의 특징적인 내용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망원경의 십자선은 조명 장치 등으로 구분이 용이 하여야 한다.
     2. 측점은 천정에 설치하기도 한다.
     3. 터널 내의 곡선 설치는 장소가 협소하므로 편각법을 주로 사용한다.
     4. 터널 내는 좁고, 어두우며, 급경사인 경우가 많으므로 특별한 기계장치의 조합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터널 내 곡선설치는 접선 편거 또는 현편거법을 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해설집]

30. 설계속도 70km/h, 곡선반지름 530m인 곡선을 설계할 때, 필요한 편경사는?(2016년 10월)
     1. 5%
     2. 6%
     3. 7%
     4. 8%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70 * 1000/3600)**2 / 530 * 9.8
= 0.07
[해설작성자 : 메롱]

31. 삼각형인 토지의 밑변과 높이를 20.0m의 줄자로 측정하여 면적을 구하였더니 47.15m2 이었다. 그 후에 이 줄자가 20.0m에 10cm가 늘어나 있음을 알았다면 실면적은?(2004년 03월)
     1. 47.62m2
     2. 48.62m2
     3. 49.62m2
     4. 50.62m2

     정답 : []
     정답률 : 58%

32. 토털스테이션(total station)을 이용한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은?(2015년 03월)
     1. 좌표법
     2. 중앙종거법
     3. 지거설치법
     4. 종거에 의한 설치법

     정답 : []
     정답률 : 67%

33. 터널측량을 크게 3부분으로 나눌 때 그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지상측량(갱외측량)
     2. 지하측량(갱내측량)
     3. 지상ㆍ지하 연결측량
     4. 평면측량

     정답 : []
     정답률 : 62%

34. 그림과 같은 이차포물선에 의한 종단곡선에서 점 A로부터 X만큼 떨어진지점의 표고(HC')를 구하는 식은? (단, HA는 A점에서의 표고이다.)(2009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0%

35. 토털스테이션(total station)을 이용한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은?(2021년 05월)
     1. 종거에 의한 설치법
     2. 중앙종거법
     3. 지거설치법
     4. 좌표법

     정답 : []
     정답률 : 62%

36. 노선측량에 곡선을 설치할 떄 가장 먼저 결정하여야 할 것은?(2019년 03월)
     1. T.L.(접선길이)
     2. C.L.(곡선길이)
     3. B.C.(곡선시점)
     4. R(곡선반지름)

     정답 : []
     정답률 : 63%

37. 갱내 A, B의 좌표 A(x=1320.0m, y=810.0m, z=86.30m), B(x=1734.0m, y=589.0m, z=112.40m)되는 두 점을 굴진 하는 경우 A, B점의 경사각은?(2006년 05월)
     1. 약 3°
     2. 약 5°
     3. 약 7°
     4. 약 9°

     정답 : []
     정답률 : 67%

38. 지적측량 중에서 도시계획, 농지개량 등에 의해 토지를 구획하기 위해 실시되는 측량으로 세부측량에서도 정확하게 실시되는 측량은?(2008년 03월)
     1. 지적 확정 측량
     2. 경계 정정 측량
     3. 경계 감정 측량
     4. 분할 측량

     정답 : []
     정답률 : 87%

39. 부자에 의해 유속을 측정할 경우 유하거리에 ±0.1m 오차와 관측시간에 ±0.5초의 오차가 허용된다면 관측유속 1m/sec인 경우 그 오차를 2% 이하로 하기 위한 최소 유하거리는?(2005년 03월)
     1. 10m
     2. 20m
     3. 25.5m
     4. 30m

     정답 : []
     정답률 : 28%

40. 터널의 시점(P)과 종점(Q)의 좌표가 P(1200m, 800m, 75m), Q(1600m, 600m, 100m)일 때 P로부터 Q로 터널을 굴진할 경우 경사각은?(2009년 08월)
     1. 2° 11‘19“
     2. 2° 13‘19“
     3. 3° 11‘59“
     4. 3° 13‘59“

     정답 : []
     정답률 : 39%

3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디지타이징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유형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종이지도 신축에 의한 위치 오차
     2. 세선화(thinning) 과정에서의 형상 오차
     3. 선분 교차점에서의 교차 미달(undershooting) 현상
     4. 인접 다각형 경계선 중복 부분에서의 갭(gap) 발생

     정답 : []
     정답률 : 38%

42. 다음 중 사진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지상측량보다 정확도가 월등히 높다.
     2. 정량적 및 정성적 측정이 가능하다.
     3. 축척이 작을수록 경제적이다.
     4. 분업화에 따라 능률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43. 상호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절대표정과는 독립적인 표정으로 상호 영향이 없다.
     2. 일반적으로 내부표정 후에 작업이 이루어진다.
     3. 인자는 by, bz, k, ø, ω이다.
     4. 종시차를 소거시키는 작업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44. 다음의 사진기준점 측량방법 중 사진을 기본단위로 하여 조정하는 방법은?(2003년 03월)
     1. 광속조정법
     2. 독립모형조정법
     3. 다항식법
     4. 스트립조정법

     정답 : []
     정답률 : 29%

45. 다음의 인공위성 영상자료 중 공간해상도가 가장 좋은 것은?(2008년 05월)
     1. SPOT-3호의 HRV 전정색모드 영상자료
     2. IKONOS-2호의 다중분광모드 영상자료
     3. IRS-1C호의 PAN 영상자료
     4. 아리랑1호의 EOC 영상자료

     정답 : []
     정답률 : 59%

46. 사진측량에서 모델의 의미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편위 수정된 사진이다.
     2. 촬영된 한 장의 사진이다.
     3. 한 쌍의 사진으로 실체시 되는 부분이다.
     4.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47. 다음 중 병충해 조사 및 삼림조사 홍수지역의 판독 등에 가장 적합한 사진은?(2007년 09월)
     1. 펜크로 사진
     2. 적외선 사진
     3. 자외선 사진
     4. 칼라 사진

     정답 : []
     정답률 : 75%

48. 항공사진 측량의 판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사진상의 크기나 형상은 피사체의 내용을 판독하기 위한 주요한 요소이다.
     2. 사진상의 음영은 촬영고도에 의하여 변하기 때문에 판독에 주요한 요소가 될 수 없다.
     3. 사진상의 질감은 사진의 크기, 색조, 형상 등의 제요소가 조합되어 성립한다.
     4. 사진상의 형태(패턴)에는 인위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49. 지형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로 표고점을 취득하여 DEM을 생성하는 방법은?(2020년 08월)
     1. 격자 표고점 추출
     2. 점진적 표고점 추출
     3. 동적 표고점 추출
     4. 무작위 표고점 추출

     정답 : []
     정답률 : 61%

50. 다음 중 GIS의 응용기법 중 하나로서 공간상에 나타난 연속적인 기복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은?(2006년 03월)
     1. DXF
     2. FM
     3. DEM
     4. AM

     정답 : []
     정답률 : 71%

51. 항공사진의 중복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촬영 진행방향으로 40%, 인접 코스간 30%를 표준으로 한다.
     2. 촬영 진행방향으로 40%, 인접 코스간 60%를 표준으로 한다.
     3. 촬영 진행방향으로 60%, 인접 코스간 30%를 표준으로 한다.
     4. 촬영 진행방향으로 60%, 인접 코스간 60%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촬영 진행방향 -> 종중복:60%
인접 코스간 -> 횡중복:30%
[해설작성자 : 기사따보자]

52. 영상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통계값을 얻을 수 있는 수계의 트레이닝 필드로 적합한 것은?(202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5%

53. 벡터 자료와 비교할 때 래스터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자료 구조가 단순하다.
     2. 위상구조로 표현하기 힘들다.
     3. 스캐닝한 자료는 래스터 구조이다.
     4. 객체를 점, 선, 면의 형태로 구분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32%

54. 원격탐사의 정보처리 흐름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자료수집 – 자료변환 – 방사보정 – 기하보정 – 판독응용 - 자료보관
     2. 자료수집 – 방사보정 – 기하보정 – 자료변환 – 판독응용 – 자료보관
     3. 자료수집 – 자료변환 – 판독응용 – 기하보정 – 방사보정 – 자료보관
     4. 자료수집 – 방사보정 – 자료변환 – 기하보정 – 판독응용 – 자료보관

     정답 : []
     정답률 : 56%

55. 어떤 위치의 속성을 그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의 값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역을 설정하는 점대면 보간방법으로, 강우량 자료보간에 많이 쓰이는 방법은?(2011년 06월)
     1. 역거리경중법
     2. Kriging
     3. Thiessen polygon
     4. TIN

     정답 : []
     정답률 : 57%

56. 절대표정 (또는 대지표정)이 완전히 끝났을 때 사진모델과 실제지형의 관계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합동
     2. 상사
     3. 상반
     4. 일치

     정답 : []
     정답률 : 66%

57. 수치정사영상(digital ortho image)을 제작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수치지도
     2. 수치표고모델(DEM)
     3. 외부표정요소
     4. 촬영된 원래 영상

     정답 : []
     정답률 : 54%

58. 편위 수정기로 항공 사진을 편위 수정할때 최소한 몇 점의 기준점이 필요한가?(2003년 03월)
     1. 1-2
     2. 3-4
     3. 5-6
     4. 6-7

     정답 : []
     정답률 : 66%

59.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분석기능에 대한 설명 중 관계가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버퍼 분석(Buffering Analysis)-surface 모델링, 유역분석, 경사/향 분석, 가시권 분석, 3차원가시화
     2. 기하학적 분석(Geometrical Analysis)-영향권 분석
     3. 망 분석(Network Analysis)-연결성, 방향성, 최단경로, 최적경로의 분석
     4. 중첩 분석(Overlay Analysis)-거리, 면적, 둘레, 길이, 무게중심 등의 정량적 분석

     정답 : []
     정답률 : 54%

60. GPS/INS 통합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GPS/INS는 가상 기준점을 이용한 GPS 측량 기법이다.
     2. GPS/INS를 이용하면 항공기에서 중력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3. GPS/INS는 항공기에서 직접 수치표고도모델을 생성하는 장비이다.
     4. GPS/INS를 이용하면 항공사진측량에서 지상기준점측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4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61.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도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도로포장 일자, 포장종류, 차로 수, 보수 일자와 같은 정보를 무엇이라 하는가?(2019년 04월)
     1. 위상 정보
     2. 지리적 위치
     3. 공간적 관계
     4. 속성 정보

     정답 : []
     정답률 : 81%

62. 다음 다각측량 결과(위거, 경거)에 의한 5각형의 면적은? (단, A점의 합위거 = 0, 합경거 = 0 이고, 단위는 m)(2008년 05월)

    

     1. 11399.188 m2
     2. 20348.111 m2
     3. 10174.056 m2
     4. 22798.376 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메타데이터(metadata)에 속하는 항목들로 이루어진 것은?(2020년 08월)
     1. 도로명, 건물명
     2. 데이터 품질정보, 데이터 연혁정보
     3. 레이어코드, 지형코드
     4. 지물(地物)의 X, Y 좌표

     정답 : []
     정답률 : 79%

64. 수치지도제작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5년 03월)
     1. 수치지도의 자료취득 방법으로는 작성된 지형도나 항공사진을 이용한다.
     2. 입력체계로는 해석도화기, 스캐너, 디지타이저를 이용한다.
     3. 편집체계에서 도형의 가공, 편집, 수정을 마치면 수치화된 지도정보를 도화기 등을 통하여 출력한다.
     4. 입력시 부호화에 사진은 Vector방식, 지도는 Raster 방식으로 처리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65. 스타디아측량에서 다음과 같은 관측값을 얻었다. B점의 지반고는? (단, 기계점 A의 지반고 100.00m, 연직각 α=-10°, 상시거선 2.78m, 하시거선 1.38m, 기계고 1.50m K=100, C=30cm)(2004년 03월)
     1. 123.41m
     2. 120.41m
     3. 79.59m
     4. 75.43m

     정답 : []
     정답률 : 6%

66. 다음과 같은 데이터에 대한 위상구조 테이블로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3%

67. 직육면체의 저수탱크의 용적을 구하고자 한다. 밑변 a, b와 높이 h에 대한 측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부피오차는?(2007년 05월)

    

     1. ±10m3
     2. ±21m3
     3. ±27m3
     4. ±34m3

     정답 : []
     정답률 : 37%

68. 축척 1:50000 지형도상에서 두 점의 거리가 8.0cm 이었고 축척을 모르는 다른 지형도상에서 동일한 두 점간의 거리가 57.1cm라고 한다면 이 지형도의 축척은?(2009년 08월)
     1. 약 1:5000
     2. 약 1:7000
     3. 약 1:10000
     4. 약 1:14000

     정답 : []
     정답률 : 63%

69. 복합 조건문(composite selection)으로 공간자료를 선택하고자 할 때, 다음 중 어떠한 경우에도 가장 많은 결과가 선택되는 것은? (단, 각 항목은 0이 아님)(2012년 03월)
     1. (Area<400,000 AND (LandUse=80 AND AdminCode=12))
     2. (Area<400,000 OR (LandUse=80 OR AdminCode=12))
     3. (Area<400,000 AND (LandUse=80 OR AdminCode=12))
     4. (Area<400,000 OR (LandUse=80 AND AdminCode=12))

     정답 : []
     정답률 : 59%

70. 내비게이션의 최적경로를 계산하거나, 가스나 상하수도 관망 등과 같은 선형 개체의 부하 예측을 하기위해 필요한 GIS의 분석 기법은?(2012년 03월)
     1. 버퍼링 분석
     2. 네트워크 분석
     3. 공간질의
     4. 입지 분석

     정답 : []
     정답률 : 56%

71. 축척 1/5000 의 수치지도에서 산기슭으로부터 정상까지 직선거리를 재어보니 24㎝이며, 산기슭의 표고는 175m, 산정상의 표고는 480m이었다. 이 사면의 경사는 얼마인가?(2008년 05월)
     1. 약 1/3.9
     2. 약 1/5.8
     3. 약 1/7.4
     4. 약 1/9.3

     정답 : []
     정답률 : 36%

72. 단순한 tree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의 갱신은 쉽지만 검색과정이 폐쇄적인 데이터베이스는?(2021년 05월)
     1.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
     2.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3.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정답 : []
     정답률 : 70%

73. 삼각점의 선정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견고한 지반에 설치하여 이동, 침하 등이 없도록 한다.
     2. 삼각점 상호간에 시준이 잘 되어야 한다.
     3. 삼각형은 가능한 정삼각형에 가깝도록 하는 것이 좋다.
     4. 가능한 측점 수를 많게 하여 후속 측량의 활용도를 높인다.

     정답 : []
     정답률 : 63%

74. 다음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삼각수준측량의 관측값 중에서 굴절오차는 낮게, 곡률 오차는 높게 조정한다.
     2. 방위각은 진북방향과 측선이 이루는 우회각이며, 방향각은 기준선과 측선이 이루는 우회각을 말한다.
     3. 배각법은 방향각법과 비교하여 읽기 오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4. 다각측량에 의하여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가장 정확한 방법은 결합트래버스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75. 다음 중 자료기반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통제의 집중화를 이룰 수 있다.
     2. 자료기반에 관한 소프트웨어와 이와 관련된 처리장비가 저렴하다.
     3. 자료기반의 새로운 응용분야에 적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4. 자료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76. 래스터데이터(격자자료)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컴퓨터에 저장되는 자료의 양은 일정하다.
     2. 셀의 크기는 해상도에 영향을 미친다.
     3. 셀의 크기에 의해 지리정보의 위치정확성이 결정된다.
     4. 연속면에서 위치의 변화에 따라 속성들의 점진적인 현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77. 격자(Raster)구조에서 벡터(Vector)구조로 변환하는 벡터화에 대한 일반적인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6년 03월)

    

     1. 가-다-라-나
     2. 가-나-다-라
     3. 라-가-나-다
     4. 라-다-나-가

     정답 : []
     정답률 : 57%

78.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등빈도(quantile) 방법을 이용하여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결과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2, 10}, {11, 12, 16, 16, 17},{22, 25, 26}, {31, 34, 36, 37, 39, 40}
     2. {2, 10 }, {11, 12}, {16, 16}, {17, 22, 25, 26, 31, 34, 36, 37, 39, 40}
     3. {2, 10, 11, 12}, {16, 16, 17, 22}, {25, 26, 31, 34}, {36, 37, 39, 40}
     4. {2, 10}, {11, 12, 16}, {16, 17, 22, 25}, {26, 31, 34, 36, 37, 39, 40}

     정답 : []
     정답률 : 55%

79. 다음 지형표시방법을 지연적 도법과 부호적 도법으로 구분할 때 부호적 도법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단채법
     2. 영선법
     3. 등고선법
     4. 점고법

     정답 : []
     정답률 : 30%

80. 평판측량에서 축척 1/1,000의 도면을 작성할 때 도상의 점위치의 허용오차를 0.2㎜라 하면 측점의 구심오차 허용 한계는?(2003년 05월)
     1. 8㎝
     2. 10㎝
     3. 12㎝
     4. 14㎝

     정답 : []
     정답률 : 39%

81. 기지점 A~B간 트래버스측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X좌표의 폐합차=-0.15m, Y좌표의 폐합차=+0.20m, 폐합비가 1/11000라면 측선길이의 합은?(2018년 03월)
     1. 5500m
     2. 2750m
     3. 1375m
     4. 688m

     정답 : []
     정답률 : 46%

82.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 중 토털스테이션의 성능 검사 주기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05년 05월)
     1. 1개월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2015년 01월 01일 개정된 규정]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시행령
타법개정 2014. 12. 30. [대통령령 제25942호, 시행 2015. 1. 1.] 국토교통부
제97조(성능검사의 대상 및 주기 등)
① 법 제92조제1항에 따라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와 검사주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트랜싯(데오드라이트): 3년
2. 레벨: 3년
3. 거리측정기: 3년
4. 토털 스테이션: 3년
5. 지피에스(GPS) 수신기: 3년
6. 금속관로 탐지기: 3년
② 제1항에 따른 성능검사 주기는 최초의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날의 다음날부터 기산(기산)하고, 이후에는 검사유효기간 만료일 이내에 성능검사를 받아야 한다. <개정 2014.1.17>

83. 교호 수준측량 결과에 따른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100.000m 이고, a1=2.214m, a2=4.324m, b1=1.678m, b2=3.860m, d1=d2)(2012년 03월)

    

     1. 100.450m
     2. 100.500m
     3. 101.000m
     4. 101.500m

     정답 : []
     정답률 : 60%

84.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측량업을 정지시킬수 있는 요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계속하여 6개월이상 측량업의 실적이 없을 때
     2. 측량업 등록기준에 미달하게 된 때
     3. 과실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때
     4. 고의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때

     정답 : []
     정답률 : 70%

85. A점에서 D점에 이르는 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도중에 하천이 있어 P, Q 지점에 레벨을 세우고 교호수준측량을 하였다. D점의 표고는? (단, HA=40.365m 이고, A→B=-0.415m, B→C=-0.435m, C→B=+0.463m, C→D=+0.384m)(2012년 09월)

    

     1. 40.783m
     2. 39.885m
     3. 39.947m
     4. 39.953m

     정답 : []
     정답률 : 60%

86. 그림과 같은 삼각점의 선점도에서 신점(구점)을 ◯ 여점(기지점)을 ◎라 하면, 산점의 위치는 3~4개의 여점에서 평균계산(조정)을 행한다. 평균계산의 방향이 화살표와 같을 때 가장 마지막으로 계산(조정)되는 점은?(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87. 측량협회의 설립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1년 03월)
     1. 측량기술자와 측량업자는 측량에 관한 기술의 향상과 측량제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측량협회를 설립할 수 있다.
     2. 측량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3. 측량협회는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동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4. 측량협회의 정관, 설립 인가 및 감독에 관한 사항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88. 점C와 D의 평면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기지 삼각점 A, B로부터 사변형삼각망에 의한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변조정에 앞서 각조정실시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식이 아닌 것은?(2019년 03월)

    

     1. α1256
     2. α1357=180°
     3. α34 = α7 + αS
     4.

     정답 : []
     정답률 : 58%

89. 교호수준측량의 실시 결과 a1=2.657m, a2=0.472m, b1=3.895m, b2=2.106m를 얻었다. A점의 표고가 100m일 때 B점의 표고는?(2018년 03월)

    

     1. 97.128m
     2. 98.564m
     3. 101.436m
     4. 102.935m

     정답 : []
     정답률 : 55%

90. 측량기기의 성능검사 대상과 주기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레벨 및 거리 측정기 : 4년
     2. GPS 수신기 : 3년
     3. 토털 스테이션 : 2년
     4. 금속관로탐지기 : 1년

     정답 : []
     정답률 : 52%

91. 그림과 같은 평면도의 받침판 표지를 갖고 있는 국가기준점은?(2011년 06월)

    

     1. 위성기준점
     2. 통합기준점
     3. 삼각점
     4. 수준점

     정답 : []
     정답률 : 71%

92. 삼각망의 내각을 같은 정밀도로 측량하여 변의 길이를 계산할 경우 각도의 오차가 변의 길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인 것은?(2018년 09월)
     1. 정삼각형
     2. 직각삼각형
     3. 예각삼각형
     4. 둔각삼각형

     정답 : []
     정답률 : 72%

93. 레벨을 조정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A, B, C, D에 말뚝을 박고 A와 C에 수준척을 세웠다. BC=CD=30m, AB=10m일 때 레벨의 위 치 B에서의 읽음값 (b1=1.262m, b2=1.726m)레벨의 위치 D에서의 읽음값 (d1=1.745m, d2=2.245m)일 때 조정량은?(2012년 05월)

    

     1. 0.0002rad
     2. 0.0004rad
     3. 0.0006rad
     4. 0.0008rad

     정답 : []
     정답률 : 48%

94. 트래버스의 전측선장이 900m일 때 폐합비가 1/5000로 하기 위한 축척 1/500 도면에서의 폐합오차는?(2013년 09월)
     1. 0.36mm
     2. 0.46mm
     3. 0.56mm
     4. 0.66mm

     정답 : []
     정답률 : 50%

95. 공공측량시행자가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해야하는 시기에 대한 기준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3년 09월)
     1. 공공측량을 하기 10일 전
     2. 공공측량을 하기 20일 전
     3. 공공측량을 하기 30일 전
     4. 공공측량을 하기 40일 전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일전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제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30일전-> 3일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며 30일 전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예문사
공공측량 작업계획서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기 3일 전에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한 기준에 따라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작성하여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변경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해설작성자 : 햇살나무]

96. 공공측량에 준하는 측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측량면적이 1㎞2이상인 삼각측량
     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간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3. 인공위성 등에서 취득한 영상정보에 좌표를 부여하기 위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좌표측량
     4. 측량노선의 길이가 1㎞이상인 수준측량

     정답 : []
     정답률 : 59%

97. 국토해양부장관ㆍ국토지리정보원장 또는 시ㆍ도지사는 어떠한 처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청문을 실시하여야 한다. 처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5월)
     1.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성능검사대행자 등록의 취소
     2.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지도판매대행자 지정의 취소
     3.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측량업 등록의 취소
     4.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측량기술자 경력의 취소

     정답 : []
     정답률 : 45%

98.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그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을 제출하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측량의 정확도 확보
     2. 측량의 중복 배제
     3.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ㆍ분석
     4. 공공측량성과의 보안 유지

     정답 : []
     정답률 : 63%

99. 공공측량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공공측량의 사업명
     2. 공공측량의 작업방법
     3. 공공측량의 성과심사 수탁기관
     4. 사용할 측량기기의 종류 및 성능

     정답 : []
     정답률 : 56%

100.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방해한 자
     2. 측량기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측량을 한 자
     3. 측량업 등록사항의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
     4. 거짓으로 측량기술자의 신고를 한 자

     정답 : []
     정답률 : 44%


정 답 지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95917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탄성파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탄성파 측량은 굴절법과 반사법이 있다.
     2. 탄성파의 전파속도 관측으로 지반탐사가 있다.
     3. 탄성파에는 전자기파와 내면파 2종류가 있다.
     4. 탄성파는 탄성체에 충격으로 급격한 변형을 주었을 때 생기는 파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2. 중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CGS단위의 ㎝/sec2와 같은 것은?(2012년 09월)
     1. dyne
     2. gal
     3. nano
     4. mil

     정답 : []
     정답률 : 90%

3. 극심입체투영법에 의해 위도 80° 이상 양극지역의 지도좌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2015년 09월)
     1. UPS 좌표
     2. 3차원 극좌표
     3. UTM 좌표
     4. 가우스크뤼거 좌표

     정답 : []
     정답률 : 78%

4. 시구상 한 점과 지구중심을 잇는 방향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으로 표시되는 위도는?(2013년 09월)
     1. 측지위도
     2. 지심위도
     3. 천문위도
     4. 화성위도

     정답 : []
     정답률 : 53%

5.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지구의 자전축을 지축이라 한다.
     2. 자오선은 적도와 직교하며 무수히 많다.
     3. 지구중심을 포함하는 임의의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을 대원이라 한다.
     4. 평행권은 적도에 직교하는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14%

6. 다음 위성 중 위치기반서비스(LBS)의 응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GPS 위성
     2. GLONASS 위성
     3. GALILEO 위성 프로젝트
     4. LANDSAT 위성

     정답 : []
     정답률 : 71%

7. 우리나라의 좌표계(한국측지계)가 세계측지계로 변경된 후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모든 지도를 좌표변환 없이 세계측지계 기준으로 재제작 하여야 한다.
     2. 법령에 의한 지표상의 위치는 해당법령을 개정하여 그 수치를 변경하여야 한다.
     3. 지상목표물의 위치를 수치(좌표)상의 변화(평행이동)만 있고 실제 지형, 지물의 위치 변동은 없다.
     4. GPS 측량성과를 변환 과정 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8. 지구상의 한점과 지구중심을 맺는 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은?(2004년 03월)
     1. 측지위도
     2. 천문위도
     3. 천문경도
     4. 지심위도

     정답 : []
     정답률 : 29%

9. 탄성파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탄성파 측량은 굴정법과 반사법이 있다.
     2. 탄성파의 전파속도 관측으로 지반탐사가 가능하다.
     3. 탄성파에는 전자기파와 내면파 2종류가 있다.
     4. 탄성파는 탄성체에 충격으로 급격한 변형을 주었을 때 생기는 파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탄성파=충격파
[해설작성자 : 이걸 따야하나..]

10. 삼각점측량을 GPS측량에 의하여 작업할 때의 기선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기선해석의 결과는 FLOAT해에 의한다.
     2. GPS위성의 궤도요소는 정밀력 또는 방송력에 의한다.
     3. 기선해석의 방법은 세션(session)마다 단일기선해석에 의한다.
     4. 사이클슬립(cycle slip)의 편집은 원칙적으로 기선해석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편집하나, 수동편집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선해석의 결과는 FIX해(고정해)에 의한다.
(예문사해설집)
[해설작성자 : 거지왕]

11. 메르카토르 투영에서 항정선은 어떤 형태인가?(2003년 05월)
     1. 직선
     2. 포물선
     3. 쌍곡선
     4. 동심원

     정답 : []
     정답률 : 63%

12. GPS 수신기에 의해 구해지는 높이 값은?(2016년 03월)
     1. 지오이드고
     2. 정표고
     3. 역표고
     4. 타원체고

     정답 : []
     정답률 : 65%

13. 동일 자오선 상에 있는 A점과 B점에서 천구 북극의 고도가 각각 α=30° , β=27° 로 측정되었을 때 AB간의 구상 거리가 334km라 하며 지구 반지름은? (단, 지구를 구로 가정한다.)(2014년 09월)
     1. 약 6330km
     2. 약 6359km
     3. 약 6360km
     4. 약 6379km

     정답 : []
     정답률 : 55%

14. GPS 측위의 계통적 오차(정오차) 요인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위성의 시계오차
     2. 위성의 궤도오차
     3. 전리층 지연오차
     4. 관측 잡음오차

     정답 : []
     정답률 : 86%

15. 다음 중 중력이상 보정으로 맞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도플러 이상 보정
     2. 프리-에어 이상 보정
     3. 지각평형 이상 보정
     4. 단순 부게 이상 보정

     정답 : []
     정답률 : 78%

16. 다음 중 해상의 수평위치 결정방식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Echo Sounder
     2. Raydist
     3. Omega
     4. Decca

     정답 : []
     정답률 : 72%

17. 삼각점 성과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해당 삼각점의 위치는 경위도 좌표뿐만 아니라, 표고도 표시되어 있다.
     2. 삼각점 간의 거리는 진수값으로 표시되며, 단위는 m이다.
     3. 해당 삼각점위치의 평면직각좌표값 X, Y는 모두 (+)값으로만 표시된다.
     4. 진북방향각은 방위각에 방향각을 더한 값이다.

     정답 : []
     정답률 : 24%

18. GPS의 주요구성 중 궤도와 시각 결정을 위한 위성 추적을 담당하는 부분은?(2007년 05월)
     1. 우주부분
     2. 제어 부분
     3. 화산폭발
     4. 위성 부분

     정답 : []
     정답률 : 55%

19. 측지선에 대한 정의로서 적합치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지표면상 두 점을 잇는 최단거리가 되는 곡선을 측지선이라 한다.
     2. 평면곡선과 측지선의 길이의 차는 극히 미소하여 무시 할 수 있다.
     3. 측지선은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으나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4. 측지선은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2: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20. 도심지와 같이 장애물이 많은 경우 특히 증대되는 GPS 관측오차는?(2013년 06월)
     1. 궤도 오차
     2. 대기 굴절 오차
     3. 다중경로 오차
     4. 전리층 지연 오차

     정답 : []
     정답률 : 69%

2과목 : 응용측량


21. 도로의 경관 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지역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2. 자연환경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한다.
     3. 내부경관과 외부경관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4. 도로선형의 부드러움을 위해 종단과 횡단에 곡선을 많이 삽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22. 노선측량 작업에서 중심선 설치를 하는 단계의 측량은?(2020년 09월)
     1. 공사측량
     2. 예비측량
     3. 조사측량
     4. 실시설계측량

     정답 : []
     정답률 : 50%

23. 다음 그림과 같은 5각형 토지 ABCDE를 동일 면적의 사각형 토지로 하기 위해 DC의 연장선상에 경계점 F를 설치하고자 한다. = 40m, = 25m, ∠ACB=30˚ , ∠BCF = 80˚ 라 할 때 의 거리는?(2008년 05월)

    

     1. 12.7m
     2. 12.9m
     3. 13.1m
     4. 13.3m

     정답 : []
     정답률 : 31%

24. 하천측량에서 다음의 유량(流量)관측에 관한 설명에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유량관측은 유속계와 같은 기계관측과 부자(浮子)에 의한 관측이 있다.
     2. 같은 단면내에서는 수심이나 위치에는 상관없이 유속의 분포는 일정하다.
     3. 유속계의 방법은 주로 평수위시가 좋고 부자의 방법은 홍수시에 많이 이용된다.
     4. 보통 하천이나 수로의 유속은 구배, 유로의 형태, 크기, 수량, 풍향등에 따라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25. 클로소이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이다.
     2. 클로소이드는 주로 철도의 완화곡선으로 사용된다.
     3. 클로소이드는 나선의 일종이다.
     4.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클로소이드 곡선은 고속도로에 이용되는 완화곡선의 한 종류이다.
[해설작성자 : 앙뿌앙뿌]

26. 클로소이드의 공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R : 곡선반지름, L : 곡선길이, A : 매개변수, τ : 접선각)(202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7%

27. 터널내 중심선 측량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9월)
     1. 중심선 도입측량과 중심말뚝 설치
     2. 터널내 고저측량
     3. 터널변형 측정
     4. 터널내 곡선설치

     정답 : []
     정답률 : 54%

28. 토지의 면적계산에 사용되는 심프슨 제2법칙은 그림과 같은 포물선 AMNB의 면적(빗금친 부분)을 사각형 ABCD 면적의 얼마로 가정해서 유도한 공식인가?(2015년 09월)

    

     1. 3/8
     2. 1/2
     3. 3/4
     4. 7/8

     정답 : []
     정답률 : 45%

29. 터널측량을 지상측량과 비교했을 때의 특징적인 내용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망원경의 십자선은 조명 장치 등으로 구분이 용이 하여야 한다.
     2. 측점은 천정에 설치하기도 한다.
     3. 터널 내의 곡선 설치는 장소가 협소하므로 편각법을 주로 사용한다.
     4. 터널 내는 좁고, 어두우며, 급경사인 경우가 많으므로 특별한 기계장치의 조합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터널 내 곡선설치는 접선 편거 또는 현편거법을 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해설집]

30. 설계속도 70km/h, 곡선반지름 530m인 곡선을 설계할 때, 필요한 편경사는?(2016년 10월)
     1. 5%
     2. 6%
     3. 7%
     4. 8%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70 * 1000/3600)**2 / 530 * 9.8
= 0.07
[해설작성자 : 메롱]

31. 삼각형인 토지의 밑변과 높이를 20.0m의 줄자로 측정하여 면적을 구하였더니 47.15m2 이었다. 그 후에 이 줄자가 20.0m에 10cm가 늘어나 있음을 알았다면 실면적은?(2004년 03월)
     1. 47.62m2
     2. 48.62m2
     3. 49.62m2
     4. 50.62m2

     정답 : []
     정답률 : 58%

32. 토털스테이션(total station)을 이용한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은?(2015년 03월)
     1. 좌표법
     2. 중앙종거법
     3. 지거설치법
     4. 종거에 의한 설치법

     정답 : []
     정답률 : 67%

33. 터널측량을 크게 3부분으로 나눌 때 그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지상측량(갱외측량)
     2. 지하측량(갱내측량)
     3. 지상ㆍ지하 연결측량
     4. 평면측량

     정답 : []
     정답률 : 62%

34. 그림과 같은 이차포물선에 의한 종단곡선에서 점 A로부터 X만큼 떨어진지점의 표고(HC')를 구하는 식은? (단, HA는 A점에서의 표고이다.)(2009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0%

35. 토털스테이션(total station)을 이용한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은?(2021년 05월)
     1. 종거에 의한 설치법
     2. 중앙종거법
     3. 지거설치법
     4. 좌표법

     정답 : []
     정답률 : 62%

36. 노선측량에 곡선을 설치할 떄 가장 먼저 결정하여야 할 것은?(2019년 03월)
     1. T.L.(접선길이)
     2. C.L.(곡선길이)
     3. B.C.(곡선시점)
     4. R(곡선반지름)

     정답 : []
     정답률 : 63%

37. 갱내 A, B의 좌표 A(x=1320.0m, y=810.0m, z=86.30m), B(x=1734.0m, y=589.0m, z=112.40m)되는 두 점을 굴진 하는 경우 A, B점의 경사각은?(2006년 05월)
     1. 약 3°
     2. 약 5°
     3. 약 7°
     4. 약 9°

     정답 : []
     정답률 : 67%

38. 지적측량 중에서 도시계획, 농지개량 등에 의해 토지를 구획하기 위해 실시되는 측량으로 세부측량에서도 정확하게 실시되는 측량은?(2008년 03월)
     1. 지적 확정 측량
     2. 경계 정정 측량
     3. 경계 감정 측량
     4. 분할 측량

     정답 : []
     정답률 : 87%

39. 부자에 의해 유속을 측정할 경우 유하거리에 ±0.1m 오차와 관측시간에 ±0.5초의 오차가 허용된다면 관측유속 1m/sec인 경우 그 오차를 2% 이하로 하기 위한 최소 유하거리는?(2005년 03월)
     1. 10m
     2. 20m
     3. 25.5m
     4. 30m

     정답 : []
     정답률 : 28%

40. 터널의 시점(P)과 종점(Q)의 좌표가 P(1200m, 800m, 75m), Q(1600m, 600m, 100m)일 때 P로부터 Q로 터널을 굴진할 경우 경사각은?(2009년 08월)
     1. 2° 11‘19“
     2. 2° 13‘19“
     3. 3° 11‘59“
     4. 3° 13‘59“

     정답 : []
     정답률 : 39%

3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디지타이징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유형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종이지도 신축에 의한 위치 오차
     2. 세선화(thinning) 과정에서의 형상 오차
     3. 선분 교차점에서의 교차 미달(undershooting) 현상
     4. 인접 다각형 경계선 중복 부분에서의 갭(gap) 발생

     정답 : []
     정답률 : 38%

42. 다음 중 사진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지상측량보다 정확도가 월등히 높다.
     2. 정량적 및 정성적 측정이 가능하다.
     3. 축척이 작을수록 경제적이다.
     4. 분업화에 따라 능률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43. 상호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절대표정과는 독립적인 표정으로 상호 영향이 없다.
     2. 일반적으로 내부표정 후에 작업이 이루어진다.
     3. 인자는 by, bz, k, ø, ω이다.
     4. 종시차를 소거시키는 작업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44. 다음의 사진기준점 측량방법 중 사진을 기본단위로 하여 조정하는 방법은?(2003년 03월)
     1. 광속조정법
     2. 독립모형조정법
     3. 다항식법
     4. 스트립조정법

     정답 : []
     정답률 : 29%

45. 다음의 인공위성 영상자료 중 공간해상도가 가장 좋은 것은?(2008년 05월)
     1. SPOT-3호의 HRV 전정색모드 영상자료
     2. IKONOS-2호의 다중분광모드 영상자료
     3. IRS-1C호의 PAN 영상자료
     4. 아리랑1호의 EOC 영상자료

     정답 : []
     정답률 : 59%

46. 사진측량에서 모델의 의미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편위 수정된 사진이다.
     2. 촬영된 한 장의 사진이다.
     3. 한 쌍의 사진으로 실체시 되는 부분이다.
     4.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47. 다음 중 병충해 조사 및 삼림조사 홍수지역의 판독 등에 가장 적합한 사진은?(2007년 09월)
     1. 펜크로 사진
     2. 적외선 사진
     3. 자외선 사진
     4. 칼라 사진

     정답 : []
     정답률 : 75%

48. 항공사진 측량의 판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사진상의 크기나 형상은 피사체의 내용을 판독하기 위한 주요한 요소이다.
     2. 사진상의 음영은 촬영고도에 의하여 변하기 때문에 판독에 주요한 요소가 될 수 없다.
     3. 사진상의 질감은 사진의 크기, 색조, 형상 등의 제요소가 조합되어 성립한다.
     4. 사진상의 형태(패턴)에는 인위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49. 지형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로 표고점을 취득하여 DEM을 생성하는 방법은?(2020년 08월)
     1. 격자 표고점 추출
     2. 점진적 표고점 추출
     3. 동적 표고점 추출
     4. 무작위 표고점 추출

     정답 : []
     정답률 : 61%

50. 다음 중 GIS의 응용기법 중 하나로서 공간상에 나타난 연속적인 기복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은?(2006년 03월)
     1. DXF
     2. FM
     3. DEM
     4. AM

     정답 : []
     정답률 : 71%

51. 항공사진의 중복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촬영 진행방향으로 40%, 인접 코스간 30%를 표준으로 한다.
     2. 촬영 진행방향으로 40%, 인접 코스간 60%를 표준으로 한다.
     3. 촬영 진행방향으로 60%, 인접 코스간 30%를 표준으로 한다.
     4. 촬영 진행방향으로 60%, 인접 코스간 60%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촬영 진행방향 -> 종중복:60%
인접 코스간 -> 횡중복:30%
[해설작성자 : 기사따보자]

52. 영상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통계값을 얻을 수 있는 수계의 트레이닝 필드로 적합한 것은?(202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5%

53. 벡터 자료와 비교할 때 래스터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자료 구조가 단순하다.
     2. 위상구조로 표현하기 힘들다.
     3. 스캐닝한 자료는 래스터 구조이다.
     4. 객체를 점, 선, 면의 형태로 구분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32%

54. 원격탐사의 정보처리 흐름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자료수집 – 자료변환 – 방사보정 – 기하보정 – 판독응용 - 자료보관
     2. 자료수집 – 방사보정 – 기하보정 – 자료변환 – 판독응용 – 자료보관
     3. 자료수집 – 자료변환 – 판독응용 – 기하보정 – 방사보정 – 자료보관
     4. 자료수집 – 방사보정 – 자료변환 – 기하보정 – 판독응용 – 자료보관

     정답 : []
     정답률 : 56%

55. 어떤 위치의 속성을 그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의 값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역을 설정하는 점대면 보간방법으로, 강우량 자료보간에 많이 쓰이는 방법은?(2011년 06월)
     1. 역거리경중법
     2. Kriging
     3. Thiessen polygon
     4. TIN

     정답 : []
     정답률 : 57%

56. 절대표정 (또는 대지표정)이 완전히 끝났을 때 사진모델과 실제지형의 관계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합동
     2. 상사
     3. 상반
     4. 일치

     정답 : []
     정답률 : 66%

57. 수치정사영상(digital ortho image)을 제작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수치지도
     2. 수치표고모델(DEM)
     3. 외부표정요소
     4. 촬영된 원래 영상

     정답 : []
     정답률 : 54%

58. 편위 수정기로 항공 사진을 편위 수정할때 최소한 몇 점의 기준점이 필요한가?(2003년 03월)
     1. 1-2
     2. 3-4
     3. 5-6
     4. 6-7

     정답 : []
     정답률 : 66%

59.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분석기능에 대한 설명 중 관계가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버퍼 분석(Buffering Analysis)-surface 모델링, 유역분석, 경사/향 분석, 가시권 분석, 3차원가시화
     2. 기하학적 분석(Geometrical Analysis)-영향권 분석
     3. 망 분석(Network Analysis)-연결성, 방향성, 최단경로, 최적경로의 분석
     4. 중첩 분석(Overlay Analysis)-거리, 면적, 둘레, 길이, 무게중심 등의 정량적 분석

     정답 : []
     정답률 : 54%

60. GPS/INS 통합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GPS/INS는 가상 기준점을 이용한 GPS 측량 기법이다.
     2. GPS/INS를 이용하면 항공기에서 중력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3. GPS/INS는 항공기에서 직접 수치표고도모델을 생성하는 장비이다.
     4. GPS/INS를 이용하면 항공사진측량에서 지상기준점측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4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61.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도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도로포장 일자, 포장종류, 차로 수, 보수 일자와 같은 정보를 무엇이라 하는가?(2019년 04월)
     1. 위상 정보
     2. 지리적 위치
     3. 공간적 관계
     4. 속성 정보

     정답 : []
     정답률 : 81%

62. 다음 다각측량 결과(위거, 경거)에 의한 5각형의 면적은? (단, A점의 합위거 = 0, 합경거 = 0 이고, 단위는 m)(2008년 05월)

    

     1. 11399.188 m2
     2. 20348.111 m2
     3. 10174.056 m2
     4. 22798.376 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메타데이터(metadata)에 속하는 항목들로 이루어진 것은?(2020년 08월)
     1. 도로명, 건물명
     2. 데이터 품질정보, 데이터 연혁정보
     3. 레이어코드, 지형코드
     4. 지물(地物)의 X, Y 좌표

     정답 : []
     정답률 : 79%

64. 수치지도제작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5년 03월)
     1. 수치지도의 자료취득 방법으로는 작성된 지형도나 항공사진을 이용한다.
     2. 입력체계로는 해석도화기, 스캐너, 디지타이저를 이용한다.
     3. 편집체계에서 도형의 가공, 편집, 수정을 마치면 수치화된 지도정보를 도화기 등을 통하여 출력한다.
     4. 입력시 부호화에 사진은 Vector방식, 지도는 Raster 방식으로 처리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65. 스타디아측량에서 다음과 같은 관측값을 얻었다. B점의 지반고는? (단, 기계점 A의 지반고 100.00m, 연직각 α=-10°, 상시거선 2.78m, 하시거선 1.38m, 기계고 1.50m K=100, C=30cm)(2004년 03월)
     1. 123.41m
     2. 120.41m
     3. 79.59m
     4. 75.43m

     정답 : []
     정답률 : 6%

66. 다음과 같은 데이터에 대한 위상구조 테이블로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3%

67. 직육면체의 저수탱크의 용적을 구하고자 한다. 밑변 a, b와 높이 h에 대한 측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부피오차는?(2007년 05월)

    

     1. ±10m3
     2. ±21m3
     3. ±27m3
     4. ±34m3

     정답 : []
     정답률 : 37%

68. 축척 1:50000 지형도상에서 두 점의 거리가 8.0cm 이었고 축척을 모르는 다른 지형도상에서 동일한 두 점간의 거리가 57.1cm라고 한다면 이 지형도의 축척은?(2009년 08월)
     1. 약 1:5000
     2. 약 1:7000
     3. 약 1:10000
     4. 약 1:14000

     정답 : []
     정답률 : 63%

69. 복합 조건문(composite selection)으로 공간자료를 선택하고자 할 때, 다음 중 어떠한 경우에도 가장 많은 결과가 선택되는 것은? (단, 각 항목은 0이 아님)(2012년 03월)
     1. (Area<400,000 AND (LandUse=80 AND AdminCode=12))
     2. (Area<400,000 OR (LandUse=80 OR AdminCode=12))
     3. (Area<400,000 AND (LandUse=80 OR AdminCode=12))
     4. (Area<400,000 OR (LandUse=80 AND AdminCode=12))

     정답 : []
     정답률 : 59%

70. 내비게이션의 최적경로를 계산하거나, 가스나 상하수도 관망 등과 같은 선형 개체의 부하 예측을 하기위해 필요한 GIS의 분석 기법은?(2012년 03월)
     1. 버퍼링 분석
     2. 네트워크 분석
     3. 공간질의
     4. 입지 분석

     정답 : []
     정답률 : 56%

71. 축척 1/5000 의 수치지도에서 산기슭으로부터 정상까지 직선거리를 재어보니 24㎝이며, 산기슭의 표고는 175m, 산정상의 표고는 480m이었다. 이 사면의 경사는 얼마인가?(2008년 05월)
     1. 약 1/3.9
     2. 약 1/5.8
     3. 약 1/7.4
     4. 약 1/9.3

     정답 : []
     정답률 : 36%

72. 단순한 tree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의 갱신은 쉽지만 검색과정이 폐쇄적인 데이터베이스는?(2021년 05월)
     1.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
     2.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3.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정답 : []
     정답률 : 70%

73. 삼각점의 선정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견고한 지반에 설치하여 이동, 침하 등이 없도록 한다.
     2. 삼각점 상호간에 시준이 잘 되어야 한다.
     3. 삼각형은 가능한 정삼각형에 가깝도록 하는 것이 좋다.
     4. 가능한 측점 수를 많게 하여 후속 측량의 활용도를 높인다.

     정답 : []
     정답률 : 63%

74. 다음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삼각수준측량의 관측값 중에서 굴절오차는 낮게, 곡률 오차는 높게 조정한다.
     2. 방위각은 진북방향과 측선이 이루는 우회각이며, 방향각은 기준선과 측선이 이루는 우회각을 말한다.
     3. 배각법은 방향각법과 비교하여 읽기 오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4. 다각측량에 의하여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가장 정확한 방법은 결합트래버스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75. 다음 중 자료기반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통제의 집중화를 이룰 수 있다.
     2. 자료기반에 관한 소프트웨어와 이와 관련된 처리장비가 저렴하다.
     3. 자료기반의 새로운 응용분야에 적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4. 자료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76. 래스터데이터(격자자료)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컴퓨터에 저장되는 자료의 양은 일정하다.
     2. 셀의 크기는 해상도에 영향을 미친다.
     3. 셀의 크기에 의해 지리정보의 위치정확성이 결정된다.
     4. 연속면에서 위치의 변화에 따라 속성들의 점진적인 현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77. 격자(Raster)구조에서 벡터(Vector)구조로 변환하는 벡터화에 대한 일반적인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6년 03월)

    

     1. 가-다-라-나
     2. 가-나-다-라
     3. 라-가-나-다
     4. 라-다-나-가

     정답 : []
     정답률 : 57%

78.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등빈도(quantile) 방법을 이용하여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결과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2, 10}, {11, 12, 16, 16, 17},{22, 25, 26}, {31, 34, 36, 37, 39, 40}
     2. {2, 10 }, {11, 12}, {16, 16}, {17, 22, 25, 26, 31, 34, 36, 37, 39, 40}
     3. {2, 10, 11, 12}, {16, 16, 17, 22}, {25, 26, 31, 34}, {36, 37, 39, 40}
     4. {2, 10}, {11, 12, 16}, {16, 17, 22, 25}, {26, 31, 34, 36, 37, 39, 40}

     정답 : []
     정답률 : 55%

79. 다음 지형표시방법을 지연적 도법과 부호적 도법으로 구분할 때 부호적 도법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단채법
     2. 영선법
     3. 등고선법
     4. 점고법

     정답 : []
     정답률 : 30%

80. 평판측량에서 축척 1/1,000의 도면을 작성할 때 도상의 점위치의 허용오차를 0.2㎜라 하면 측점의 구심오차 허용 한계는?(2003년 05월)
     1. 8㎝
     2. 10㎝
     3. 12㎝
     4. 14㎝

     정답 : []
     정답률 : 39%

81. 기지점 A~B간 트래버스측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X좌표의 폐합차=-0.15m, Y좌표의 폐합차=+0.20m, 폐합비가 1/11000라면 측선길이의 합은?(2018년 03월)
     1. 5500m
     2. 2750m
     3. 1375m
     4. 688m

     정답 : []
     정답률 : 46%

82.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 중 토털스테이션의 성능 검사 주기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05년 05월)
     1. 1개월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2015년 01월 01일 개정된 규정]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시행령
타법개정 2014. 12. 30. [대통령령 제25942호, 시행 2015. 1. 1.] 국토교통부
제97조(성능검사의 대상 및 주기 등)
① 법 제92조제1항에 따라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와 검사주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트랜싯(데오드라이트): 3년
2. 레벨: 3년
3. 거리측정기: 3년
4. 토털 스테이션: 3년
5. 지피에스(GPS) 수신기: 3년
6. 금속관로 탐지기: 3년
② 제1항에 따른 성능검사 주기는 최초의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날의 다음날부터 기산(기산)하고, 이후에는 검사유효기간 만료일 이내에 성능검사를 받아야 한다. <개정 2014.1.17>

83. 교호 수준측량 결과에 따른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100.000m 이고, a1=2.214m, a2=4.324m, b1=1.678m, b2=3.860m, d1=d2)(2012년 03월)

    

     1. 100.450m
     2. 100.500m
     3. 101.000m
     4. 101.500m

     정답 : []
     정답률 : 60%

84.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측량업을 정지시킬수 있는 요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계속하여 6개월이상 측량업의 실적이 없을 때
     2. 측량업 등록기준에 미달하게 된 때
     3. 과실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때
     4. 고의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때

     정답 : []
     정답률 : 70%

85. A점에서 D점에 이르는 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도중에 하천이 있어 P, Q 지점에 레벨을 세우고 교호수준측량을 하였다. D점의 표고는? (단, HA=40.365m 이고, A→B=-0.415m, B→C=-0.435m, C→B=+0.463m, C→D=+0.384m)(2012년 09월)

    

     1. 40.783m
     2. 39.885m
     3. 39.947m
     4. 39.953m

     정답 : []
     정답률 : 60%

86. 그림과 같은 삼각점의 선점도에서 신점(구점)을 ◯ 여점(기지점)을 ◎라 하면, 산점의 위치는 3~4개의 여점에서 평균계산(조정)을 행한다. 평균계산의 방향이 화살표와 같을 때 가장 마지막으로 계산(조정)되는 점은?(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87. 측량협회의 설립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1년 03월)
     1. 측량기술자와 측량업자는 측량에 관한 기술의 향상과 측량제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측량협회를 설립할 수 있다.
     2. 측량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3. 측량협회는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동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4. 측량협회의 정관, 설립 인가 및 감독에 관한 사항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88. 점C와 D의 평면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기지 삼각점 A, B로부터 사변형삼각망에 의한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변조정에 앞서 각조정실시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식이 아닌 것은?(2019년 03월)

    

     1. α1256
     2. α1357=180°
     3. α34 = α7 + αS
     4.

     정답 : []
     정답률 : 58%

89. 교호수준측량의 실시 결과 a1=2.657m, a2=0.472m, b1=3.895m, b2=2.106m를 얻었다. A점의 표고가 100m일 때 B점의 표고는?(2018년 03월)

    

     1. 97.128m
     2. 98.564m
     3. 101.436m
     4. 102.935m

     정답 : []
     정답률 : 55%

90. 측량기기의 성능검사 대상과 주기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레벨 및 거리 측정기 : 4년
     2. GPS 수신기 : 3년
     3. 토털 스테이션 : 2년
     4. 금속관로탐지기 : 1년

     정답 : []
     정답률 : 52%

91. 그림과 같은 평면도의 받침판 표지를 갖고 있는 국가기준점은?(2011년 06월)

    

     1. 위성기준점
     2. 통합기준점
     3. 삼각점
     4. 수준점

     정답 : []
     정답률 : 71%

92. 삼각망의 내각을 같은 정밀도로 측량하여 변의 길이를 계산할 경우 각도의 오차가 변의 길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인 것은?(2018년 09월)
     1. 정삼각형
     2. 직각삼각형
     3. 예각삼각형
     4. 둔각삼각형

     정답 : []
     정답률 : 72%

93. 레벨을 조정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A, B, C, D에 말뚝을 박고 A와 C에 수준척을 세웠다. BC=CD=30m, AB=10m일 때 레벨의 위 치 B에서의 읽음값 (b1=1.262m, b2=1.726m)레벨의 위치 D에서의 읽음값 (d1=1.745m, d2=2.245m)일 때 조정량은?(2012년 05월)

    

     1. 0.0002rad
     2. 0.0004rad
     3. 0.0006rad
     4. 0.0008rad

     정답 : []
     정답률 : 48%

94. 트래버스의 전측선장이 900m일 때 폐합비가 1/5000로 하기 위한 축척 1/500 도면에서의 폐합오차는?(2013년 09월)
     1. 0.36mm
     2. 0.46mm
     3. 0.56mm
     4. 0.66mm

     정답 : []
     정답률 : 50%

95. 공공측량시행자가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해야하는 시기에 대한 기준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3년 09월)
     1. 공공측량을 하기 10일 전
     2. 공공측량을 하기 20일 전
     3. 공공측량을 하기 30일 전
     4. 공공측량을 하기 40일 전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일전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제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30일전-> 3일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며 30일 전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예문사
공공측량 작업계획서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기 3일 전에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한 기준에 따라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작성하여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변경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해설작성자 : 햇살나무]

96. 공공측량에 준하는 측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측량면적이 1㎞2이상인 삼각측량
     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간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3. 인공위성 등에서 취득한 영상정보에 좌표를 부여하기 위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좌표측량
     4. 측량노선의 길이가 1㎞이상인 수준측량

     정답 : []
     정답률 : 59%

97. 국토해양부장관ㆍ국토지리정보원장 또는 시ㆍ도지사는 어떠한 처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청문을 실시하여야 한다. 처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5월)
     1.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성능검사대행자 등록의 취소
     2.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지도판매대행자 지정의 취소
     3.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측량업 등록의 취소
     4.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측량기술자 경력의 취소

     정답 : []
     정답률 : 45%

98.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그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을 제출하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측량의 정확도 확보
     2. 측량의 중복 배제
     3.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ㆍ분석
     4. 공공측량성과의 보안 유지

     정답 : []
     정답률 : 63%

99. 공공측량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공공측량의 사업명
     2. 공공측량의 작업방법
     3. 공공측량의 성과심사 수탁기관
     4. 사용할 측량기기의 종류 및 성능

     정답 : []
     정답률 : 56%

100.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방해한 자
     2. 측량기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측량을 한 자
     3. 측량업 등록사항의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
     4. 거짓으로 측량기술자의 신고를 한 자

     정답 : []
     정답률 : 4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95917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4 경비지도사 2차(경비업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1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43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95917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41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2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40 9급 국가직 공무원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439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02128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8 <h2>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10년01월31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7 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8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5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97303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4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433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44463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2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977760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1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0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9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7월18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8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53532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7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6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5 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5 Next
/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