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24618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1. 다음 중 유해ㆍ위험방지사항에 관한 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사업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터널의 건설공사
     2. 깊이가 8m 인 굴착공사
     3. 최대지간 길이가 60m 인 교량 건설공사
     4. 지상 높이가 35m 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깊이가 10m인 굴착공사
[해설작성자 : 흑월]

2. 다음 중 무재해 이념의 기본 3원칙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무의 원칙
     2. 참가의 원칙
     3. 선취 해결의 원칙
     4. 통제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3%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색채와 색도기준의 연결이 옳은 것은? (단, 색도기준은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른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방법에 따른다.)(2021년 03월)
     1. 흰색 : N0.5
     2. 녹색 : 5G 5.5/6
     3. 빨간색 : 5R 4/12
     4. 파란색 : 2.5PB 4/10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안전보건표지는 파란색(2.5PB 4/10)과 흰색(N9.5)로 이루어져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흰색 : N9.5
2. 녹색 : 2.5G4/10
3. 빨간색 : 7.5R4/14
4. 파란색 : 2.5PB4/10
5. 노란색 : 5Y8.5/12
6. 검정 : N0.5
[해설작성자 : 정]

4. 직계식 안전조직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명령과 보고가 간단 명료하다.
     2. 안전정보의 수집이 빠르고 전문적이다.
     3. 각종 지시 및 조치사항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4. 안전업무가 생산현장 라인을 통하여 시행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직계식 : 100명이하 소규모, 명령 및 전달 신속, 안전지식불충분, 라인에 과도한 책임 부여
[해설작성자 : 맑갑]

2번 : 스텝형(참모형)
[해설작성자 : 심씨]

5. 상해의 종류 중 타박, 충돌, 추락 등으로 피부표현보다는 피하조직 또는 근육부를 다친 상해를 무엇이라하는가?(2006년 03월)
     1. 부종
     2. 좌상
     3. 창상
     4. 화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부종 : 국부의 혈액순환의 이상으로 몸이 퉁퉁 부어오르는 상해
자상(찔림) : 칼날 등 날카로운 물건에 찔린 상해
창상(베임) : 창,칼 등에 베인 상해
화상 : 화재 또는 고온물 접촉으로 인한 상해

피하조직 또는 근육부를 다친 상해이므로 2번 자상이 정답임
[해설작성자 : 꾸벅2]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업의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작성하여야 하는가?(2014년 05월)
     1. 15일
     2. 30일
     3. 60일
     4. 90일

     정답 : []
     정답률 : 82%

7.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과방지장치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2. 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4. 이탈 등의 방지장치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 : []
     정답률 : 42%

8. 다음 중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의 진행 방법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1년 03월)
     1. 현상파악 → 목표설정 → 대책수립 → 본질추구
     2.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대책수립 → 목표설정
     3.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목표설정 → 대책수립
     4. 본질추구 → 현상파악 → 목표설정 → 대책수립

     정답 : []
     정답률 : 67%

9. 산업안전보건 개선 계획의 수립 대상 사업장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중대 재해의 가능성이 높은 사업장
     2. 산업재해율이 동종업종의 규모별 평균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3. 작업환경 측정 대상 업무를 수행하는 사업장으로서 작업환경이 현저히 불량한 사업장
     4. 노동부장관이 따로 정하는 사업장

     정답 : []
     정답률 : 39%

10. 연평균 상시근로자 수가 500명인 사업장에서 36건의 재해가 발생한 경우 근로자 한 사람이 사업장에서 평생 근무할 경우 근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재해는 몇 건으로 추정되는가? (단, 근로자는 평생 40년을 근무하며, 평생잔업시간은 4000시간이고, 1일 8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한다.)(2018년 09월)
     1. 2건
     2. 3건
     3. 4건
     4. 5건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빈도율은 100만 인시당 사고율로
FR=재해건수/연간근로시간 X 1000000
근로자 한 사람 기준으로 40년간 8시간씩 300일을 근무하고 평생잔업시간 4000시간이므로
(40년*8시간*300일)+4000시간=100000
36/500*8*300 * 100000 =3건
[해설작성자 : 강은해]

해설 보충요...
36/(500*8*300)*100,000=3
[해설작성자 : 카우보이]

1단계:    
도수율 백만시간에 대한 재해 건 수 = 30(도수율)
2단계 :
    백만시간 자체가 상시 근로자 수에 상관 없이 총 근로시간이므로
    1명이던 2명이던간의 백만시간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알면 건 수 계산이 가능 함
    8시간*300시간 = 2400시간 -> 2400시간 * 40년 = 96,000시간 에다 평생잔업시간4000시간 더하면 100,000시간
    백만시간당 30건 이므로 십만시간당은 3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인당 연간 근무시간 100,000 근로자수 500이면 총연간근무시간 500*100,000은 50,000,000
재해건수 년간 36건 40년간 36*40은 1,440이고 이를 총 근무시간으로 나누면 약 2.88입니다.
[해설작성자 : 라떼는마리아]

11. 다음 중 무재해운동 추진에 있어 특정 목표배수를 달성하여 그 다음 배수 달성을 위한 새로운 목표를 재설정하는 경우의 무재해 목표 설정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업종은 무재해 목표를 달성한 시점에서의 업종을 적용한다.
     2. 건설업의 규모는 재개시 시서점에 해당하는 총공사 금액의 4분의 3을 적용한다.
     3. 무재해 목표를 달성한 시점 이후부터 즉시 다음 배수를 기산하여 업종과 규모에 따라 새로운 무재해 목표시간을 재설정한다.
     4. 창업하거나 통합ㆍ분리한지 12개월 미만인 사업장은 창업일이나 통합ㆍ분리일부터 산정일까지의 매월 말일의 상시 근로자수를 합하여 해당 월수로 나눈값을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명세서는 건설공사 종료 후 얼마간 보존해야 하는가? (단, 공사가 1개월 이내에 종료되는 사업은 제외한다.)(2021년 03월)
     1. 6개월간
     2. 1년간
     3. 2년간
     4. 3년간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명세서는 매월 사용내역을 작성하고 건설공사 종료 후 1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kimschan]

13. 근로자가 20kg의 제품을 운반하던 중에 발에 떨어져 신체장애등급 14등급의 재해를 당하였다. 재해의 발생형태, 기인물, 가해물을 모두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2011년 03월)
     1. 기인물 : 발, 가해물 : 제품, 재해발생형태 : 낙하
     2. 기인물 : 발, 가해물 : 발, 재해발생형태 : 추락
     3. 기인물 : 제품, 가해물 : 제품, 재해발생형태 : 낙하
     4. 기인물 : 제품, 가해물 : 발, 재해발생형태 : 낙하

     정답 : []
     정답률 : 76%

14.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기관이 하는 안전인증 심사의 종류에 해당되는 않는 것은?(2014년 09월)
     1. 서면심사
     2. 예비심사
     3. 제품심사
     4. 완성심사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안전인증기관이 하는 안전인증 심사의 종류
1. 예비심사    2. 서면심사    3.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검사    4. 제품심사
[해설작성자 : 맑갑]

15. 산업안전보건법상 지게차를 사용하는 작업을 하는 때의 작업 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2.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 전조등⋅후미등⋅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유무
     4. 충전장치를 포함한 홀더 등의 결합상태의 이상 유무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지게차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바퀴의 이상 유무
- 전조등,후미등,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해설작성자 : 감쟈쟈]

16.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기준에 따른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리프트(간이리프트 포함)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에 공통적으로 점검해야 하는 사항은?(2018년 04월)
     1. 바퀴의 이상 유무
     2. 전선 및 접속부 상태
     3. 브레이크 및 클러치의 기능
     4. 작업면의 기울기 또는 요철 유무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크레인 작업 전 점검사항
1.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등 운전장치의 기능
2.주행로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이동식 크레인 작업 전 점검사항
1.권과방지장치 및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2.브레이크 및 클러치 등 조정장치의 기능
3.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리프트 작업 전 점검사항
1.방호장치 및 브레이크 클러치 등의 상태
2.브레이크 및 클러치 등 조정장치의 기능
[해설작성자 : 깜상0815]

크레인은 3번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입니다.
작업장소의 지반상태는 이동식 크레인만 해당됩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17. 다음 중 웨버(D.A.Weaver)의 사고 발생 도미노 이론에서 “작전적 에러”를 찾아내기 위한 질문의 유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what
     2. why
     3. where
     4. whether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웨버(D.A.Weaver)의 작전적 에러 질문유형 3가지]
① what : 무엇이 불안전한 상태이며 불안전한 행동인가? (사고의 원인)
② why : 왜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이 용납되는가?
③ whether : 감독과 경영 중에서 어느쪽이 사고방지에 대한 안전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해설작성자 : David.T.Lee]

18.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중 3단계의 분석 평가 내용에 해당되는 것은?(2016년 05월)
     1. 위험 확인
     2. 현장 조사
     3. 사고 및 활동 기록 검토
     4. 기술의 개선 및 인사조정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하인리히의 재해 예방 원리)

1.안전관리조직
2.사실의 발견
3.분석평가
4.시정방법의 선정
5.시정책의 적용
[해설작성자 :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제3단계:분석평가 내용
1️⃣사고 보고서 현장 조사 분석
2️⃣사고 기록 및 관계 자료 분석
3️⃣인적,물적 환경 조건 분석
4️⃣작업 공정 분석
5️⃣교육 및 훈련 분석
6️⃣배치 사항 분석
7️⃣안전수칙 및 작업 표준 분석
8️⃣보호 장비의 적부
[해설작성자 : bom]

19.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제1종 시설물에 명시되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고속철도 교량
     2. 25층인 건축물
     3. 연장 300m인 철도 교량
     4. 연면적이 70000m2인 건축물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제1종시설물: 공중의 이용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거나 구조상 안전 및 유지관리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대규모 시설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물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물
가. 고속철도 교량, 연장 500미터 이상의 도로 및 철도 교량
나.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 터널, 연장 1000미터 이상의 도로 및 철도 터널
다. 갑문시설 및 연장 1000미터 이상의 방파제
라. 다목적댐, 발전용댐, 홍수전용댐 및 총저수용량 1천만톤 이상의 용수전용댐
마. 21층 이상 또는 연면적 5만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
바. 하구둑, 포용저수량 8천만톤 이상의 방조제
사. 광역상수도, 공업용수도, 1일 공급능력 3만톤 이상의 지방상수도
[해설작성자 : minmins]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연삭기
     2. 곤돌라
     3. 컨베이어
     4. 산업용 로봇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곤돌라는 안전인증대상기계ㆍ기구의 종류

2과목 : 산업심리 및 교육


21. 다음 중 주의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변동성이란 주의집중시 주기적으로 부주의의 리듬이 존재함을 말한다.
     2. 선택성이란 인간은 한 번에 여러 종류의 자극을 지각・수용하지 못함을 말한다.
     3. 선택성이란 소수의 특정 자극에 한정해서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기능을 말한다.
     4. 방향성이란 주의는 항상 일정하나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고도의 주의집중이 가능함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주의의 특징
-선택성: 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할때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하여 선택하는 기능
-방향성:주시점만 인지하는 기능
-변동성:주의에는 주기적으로 부주의의 리듬이 적용
[해설작성자 : 미사천]

22. 다음 중 직무수행 준거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3가지 일반적인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3년 06월)
     1. 적절성
     2. 안정성
     3. 실용성
     4. 특이성

     정답 : []
     정답률 : 82%

23. 다음 중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안전 교육방법에서의 총 교육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1년 03월)
     1. 10시간
     2. 40시간
     3. 80시간
     4. 120시간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0~15명을 한반으로 2시간씩 20분에 걸쳐 40시간 훈련하고, 관리기능, 조직의 원칙, 조직의 운영, 시간관리, 훈련의 괸리 등을 교육내용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다음 중 학습목적의 3요소가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목표(goal)
     2. 주제(subject)
     3. 학습정도(level of learning)
     4. 학습방법(method of learning)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학습목적 3요소
1. 목표
2. 주제
3. 학습정도
[해설작성자 : joshoh92]

25. 다음 중 착시현상 중에서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는데도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심리적인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5월)
     1. 잔상
     2. 원근 착시
     3. 가현운동
     4. 기하학적 착시

     정답 : []
     정답률 : 83%

26. 다음과 같은 학습의 원칙을 지니고 있는 훈련기법은 무엇인가? [관찰에 학습. 실행에 의한 학습. 피드백에 의한 학습 분석과 개념화를 통한 학습](2004년 05월)
     1. 역할연기법
     2. 사례연구법
     3. 유사실험법
     4. 프로그램 학습법

     정답 : []
     정답률 : 47%

27. 다음 중 산업심리의 5대요소가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동기
     2. 감정
     3. 기질
     4. 지능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산업심리의 5대요소
동기, 감정, 기질, 습관, 습성
[해설작성자 : 마린보이]

28. 학습지도의 원리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22년 04월)
     1. 감각의 원리
     2. 통합의 원리
     3. 자발성의 원리
     4. 사회화의 원리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개별화의 원리
2. 자발성의 원리(자기 활동)
3. 직관의 원리(직접 경험)
4. 사회화의 원리
5. 통합화의 원리
6. 목적의 원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과학성의 원리 : 자연이나 사회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 법칙등을 지도함으로서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을 발달 시킬수 있도록 과학적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이론
[해설작성자 : 자구]

29. 다음 중 리더십과 헤드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헤드십은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이 좁다.
     2. 헤드십에서의 책임은 상사에 있지 않고 부하에 있다.
     3. 리더십의 지휘형태는 권위주의적인 반면, 헤드십의 지휘형태는 민주적이다.
     4. 권한행사 측면에서 보면 헤드십은 임명에 의하여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30. 리더십의 권한 역할 중 “부하를 처벌할 수 있는 권한”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9월)
     1. 위임된 권한
     2. 합법적 권한
     3. 강압적 권한
     4. 보상적 권한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보상적권한 : 지도자가 부하들에게 보상할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부하직원들을 통제할수 있으며 부하들의 행동에 대한 영향을 끼칠수 있는 권한
강압적권한 : 부하직원들을 처벌할수 있는 권한
합법적권한 : 조직의 규정에 의해 지도자의 권한이 공식화 된 것
[해설작성자 : 하늬]

31. 산업안전심리학에서 산업안전심리의 5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감정
     2. 습성
     3. 동기
     4. 피로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5대요소 : 동기, 감정, 습관, 습성, 기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직무평가의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서열법
     2. 분류법
     3. 투사법
     4. 요소비교법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서열법 : 각 직무의 중요도, 곤란도, 책임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일정한 순서로 늘어놓는다.
2.분류법 : 전기한 제반요소로써 직무의 가치를 단계적으로 구분하는 등급표를 만들고 평가직무를 이에 맞는 등급으로 분류한다.
3.요소비교법 : 급여율이 가장 적정하다고 생각되는 직무를 기준직무로 하고 그에 비교해 지식, 숙련도 등 제반 요인별로 서열을 정한 다음 평가직무를 비교함
4.점수법 :책임, 숙련, 피로, 작업환경 등 4항목을 중심으로 각 항목별로 각 평가 점수를 매겨 점수의 합계로써 가치를 정함.
[해설작성자 : KYS]

33. 교육지도의 효율성을 높이는 원리인 훈련전이(transfer of train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훈련생은 훈련 과정에 대해서 사전정보가 없을수록 왜곡된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2. 훈련 상황이 가급적 실제 상황과 유사할수록 전이효과는 높아진다.
     3. 실제 직무수행에서 훈련된 행동이 나타날 때 보상이 따르면 전이 효과는 더 높아진다.
     4. 훈련전이란 훈련 기간에 학습된 내용이 실무 상황으로 옮겨져서 사용되는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34. O.J.T(On the Job Train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2. 대상자의 개인별 능력에 따라 훈련의 진도를 조정하기가 쉽다.
     3. 교육훈련 대상자가 교육훈련에만 몰두 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높다.
     4. 교육을 통한 훈련효과에 의해 상호 신뢰이해도가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O.J.T(On the Job Training) 특징
-개개인에게 적합한 지도훈련이 가능
-직장의 실정에 맞는 실체적 훈련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즉시 업무에 연결되는 관계로 신체와 관련이 있다
-효과가 곧 업무에 나타나며 훈련의 좋고 나쁨에 따라 개선이 용이
-교육을 통한 훈련 효과에 의해 상호 신뢰 이해도가 높아진다
-동기부여가 쉽다

□OFF.J.T(OFF the Job Training) 특징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
-훈련에만 전념하게 된다.
-특별 설비 기구를 이용할수 있다
-전문가를 강사로 초청할수 있다
-각 직장의 근로자가 많은 지식이나 경험을 교류할수 있다
-교육훈련목표에 대해서 집단적 노력이 흐트러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학생]

3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주의의 특성은?(2012년 09월)

    

     1. 선택성
     2. 방향성
     3. 변동성
     4. 일점집중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이 아닌 1번이 정답
선택성이란 한번에 여러 종류의 자극을 지각하거나 수용하지 못하여 소수의 특정한 것으로 한정해서 선택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이다.
방향성이란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 (주시점만 응시한다)

박스안의 내용의 주는 '시선의 주시점만 인지하는 기능으로'라고 되어있으므로 선택성이 맞는 답이다
[해설작성자 : 킴호]

[오류신고 반론]
※인간 주의특성의 종류
1.선택성: 한번에 여러종류의 자극을 지각하지 못하여 소수의 특정한 것으로 선택하여 지각
2.방향성: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주지점만 응시한다)
3.변동성: 주의는 리듬이 있어 이렁한 수순을 지키지 못한다

-2번이 맞는 답인듯 합니다 (2020 산업안전기사 실기-구민사 1-158P/출처)
[해설작성자 : 산안기 실기 떨어지고 건안기로 갈아탄 1인]

[오류신고 반론]
주의의 특성 3가지
1️⃣선택성: 사람은 한 번에 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하거나 수용하지 못하며 소수의 특정한 것으로 한정해서 선택하는 기능을 말한다.
2️⃣방향성: 공간적으로 보면 시선의 초점에 맞았을 때는 쉽게 인지되지만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
3️⃣변동성: 주의는 리듬이 있어 언제나 일정한 수순을 지키지는 못한다.
세화 2022년 건설안전기사 필기책 P234 정답2번 방향성
[해설작성자 : bom]

36. 하버드 학파의 학습지도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지시(Order)
     2. 준비(Preparation)
     3. 교시(Presentation)
     4. 총괄(Generalization)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하버드학파의 5단계 교수법
준비시킨다 -> 교시시킨다 -> 연합한다 -> 총괄한다 -> 응용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하버드 애들은 똑똑한 애들이니 별도의 지시 없이 한다고 외우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다음 중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안전교육 방법에서의 총교육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9년 08월)
     1. 10시간
     2. 40시간
     3. 80시간
     4. 120시간

     정답 : []
     정답률 : 73%

38. 기업이 갖고 있는 교육훈련 특성에 해당되지 않 는 것은?(2003년 03월)
     1. 필요시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2. 같은 교재로 교육훈련이 실시되는 것이 많다.
     3. 교육훈련시 경제적이고 능률적인 것이 필요하다.
     4. 피교육자의 학습능력이 각양각색인데도 집합 강의법 활용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34%

39. 호오손(Hawthorne) 실험에서 작업자의 작업능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은 무엇인가?(2007년 09월)
     1. 작업 조건
     2. 생산 기술
     3. 임금 수준
     4. 인간 관계

     정답 : []
     정답률 : 68%

40. 다음 중 기술 교육(교시법)의 4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4년 03월)
     1. preparation → presentation → performance → follow up
     2. presentation → preparation → performance →follow up
     3. performance → follow up → presentation → preparation
     4. performance → preparation → follow up → presentation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기술교육 교시법의 4단계
1. 도입(Preparation) : 준비단계
2. 실연(Presentation) : 일을 하게 해보는 단계
3. 실습(Performance) : 일을 시켜보는 단계
4. 확인(Follow up) : 보습 지도의 단계
[해설작성자 : 서지훈]

3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다음 설명 중 ( ) 안에 알맞은 용어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7년 05월)

    

     1. ㉠: PHA, ㉡: ETA
     2. ㉠: ETA, ㉡: MORT
     3. ㉠: MORT, ㉡: ETA
     4. ㉠: MORT, ㉡: PHA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MORT : MORT프로그램은 TREE를 중심으로 FTA와 같은 논리기법을 이용하여 관리, 설계, 생산, 보존 등의 광범위하게 안전을 도모하는 것으로서 고도의 안전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ETA : 사상의 안전도를 사용한 시스템의 안전도를 나타내는 시스템 모델의 하나로서 귀납적이고 정량적인 분석방법으로 재해의 확대요인을 분석하는데 적합한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삼송빵집]

42. 다음은 FTA(Fault Tree Analysis)에 사용되는 논리기호이다. 맞지 않는 것은?(2003년 08월)
     1. : 결함사상
     2. : 기본사상
     3. : 통상사상
     4. : 생략사상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기본사상은 동그래미 입니다.
[해설작성자 : 룡룡이]

43. 다음 중 인체계측치 이용시 만족비율 95%의 조절 가능한 범위치수(제 2.5백분위수에서 제 97.5백분위수의 범위)를 적용한 예는?(2003년 08월)
     1. 조종장치까지의 거리
     2. 자동차 운전석 의자의 위치
     3. 전동차의 손잡이 높이
     4. 공구의 손잡이 크기

     정답 : []
     정답률 : 40%

44. FMEA의 표준적 실시절차를 “대상 시스템의 분석 → 고장의 유형과 그 영향의 해석 → 치명도 해석과 개선책의 검토”와 같이 3가지로 구분하였을 때 “대상 시스템의 분석”에 해당되는 것은?(2010년 05월)
     1. 치명도 해석
     2. 고장등급의 평가
     3. 고장형의 예측과 설정
     4. 기능 블록과 신뢰성 블록의 작성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FMEA의 실시절차
대상 시스템의 분석
1. 기기 및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의 전반적 파악    
2. FMEA의 실시를 위한 기본 방침의 설정    
3. 기능 블록과 신뢰성 블록도의 작성
[해설작성자 : 킴호]

45. 다음 중 설명 중 ㉠과 ㉡에 해당하는 내용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4년 05월)

    

     1. ㉠-파국적, ㉡-중대
     2. ㉠-중대, ㉡-파국적
     3. ㉠-한계적, ㉡-중대
     4. ㉠-중대, ㉡-한계적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PHA의 카테고리 분류
1. 파국적 - 사망, 시스템 손상
2. 위기적 (중대) - 심각한 상해, 시스템 중대 손상
3. 한계적 - 경미한 상해, 시스템 성능 저하
4. 무시 - 경미 상해 및 시스템 저하 없음
[해설작성자 : 룡룡이]

46. 어떤 전자기기의 수명은 지수분포를 따르며, 그 평균수명은 1000시간이라고 할 때 500시간 동안 고장없이 작동할 확률은 약 얼마인가?(2008년 09월)
     1. 0.5
     2. e-0.5
     3. 1-e-0.5
     4. e-2

     정답 : []
     정답률 : 44%

47. 다음 중 인간이 현존하는 기계보다 우월한 기능이 아닌 것은?(2012년 03월)
     1.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2. 원칙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한다.
     3.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의사 결정을 한다.
     4. 명시된 절차에 따라 신속하고, 정량적인 정보처리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인간의 장점
1.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2. 원칙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한다.
3.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의사 결정을 한다.

기계의 장점
명신된 절차에 따라 신속하고, 정량적인 정보처리를 한다.

[해설작성자 : 해대 호날두]

48. FT도에서 ①~⑤ 사상의 발생확률이 모두 0.06 일 경우 T 사상의 발생 확률은 약 얼마인가?(2014년 03월)

    

     1. 0.00036
     2. 0.00061
     3. 0.142625
     4. 0.2262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1-(1-0.06)(1-0.06)(1-0.06)=0.169416
T=0.169416×0.06×0.06=0.00061
[해설작성자 : 기쁨베베 ]

49. 다음 중 일반적인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safety assessment) 절차에 있어 안전대책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1. 보전
     2. 설비 대책
     3. 위험도 평가
     4. 관리적 대책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화학설비의 안정성 평가 5단계
1단계 : 관계자료의 작성준비
2단계 : 정성적 평가
3단계 : 정량적 평가
4단계 : 안전대책
- 설비대책 : 안전장치 및 방재장치에 관해서 배려한다.
- 관리적대책 : 인원배치, 교육훈련 및 보전에 관해서 배려한다
5단계 : 재평가
[해설작성자 : 록구]

50. 영상표시단말기(VDT)를 사용하는 작업에 있어 일반적으로 화면과 그 인접 주변과의 광도비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0년 09월)
     1. 1 : 1
     2. 1 : 3
     3. 1 : 7
     4. 1 : 10

     정답 : []
     정답률 : 54%

51. 인간의 오류모형에서 “상황해석을 잘못하거나 목표를 잘못 이해하고 착각하여 행하는 경우”를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9월)
     1. 실수(Slip)
     2. 착오(Mistake)
     3. 건망증(Lapse)
     4. 위반(Violation)

     정답 : []
     정답률 : 78%

52. 심리학자 Rassmusen에 의하면 인간의 거동은 3가지로 분류된다고 보았다. 다음중 휴먼에러와 관련하여 분류되는 인간거동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진단(Diagnosis) 기반 거동
     2. 기술(Skill) 기반 거동
     3. 법칙(Rule) 기반 거동
     4. 지식(Knowledge) 기반 거동

     정답 : []
     정답률 : 36%

53. 휴식 중 에너지소비량은 1.5kcal/min이고, 어떤 작업의 평균 에너지소비량이 6kcal/min이라고 할 때 60분간 총 작업시간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은 약 몇 분 인가? (단, 기초대사를 포함한 작업에 대한 평균 에너지소비량의 상한은 5kcal/min 이다.)(2015년 05월)
     1. 10.3
     2. 11.3
     3. 12.3
     4. 13.3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R=60(E-5)/E-1.5
에너지 소비량의 상한이 5kcal/min 일경우
[해설작성자 : !!]

■ 에너지 소비량의 상한이 5kcal/min인 경우

▪︎(5[kcal]×60[min])-1.5χ-6γ=0
▪︎χ+γ=60[min]
▪︎γ=60-χ

➠ 300-1.5χ-6(60-χ)=0
※ χ=13.3333```
[해설작성자 : 건축물대장]

54.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시각적 표시장치와 청각적 표시장치 중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경우는?(2005년 03월)
     1. 전언이 공간적인 위치를 다룬 경우
     2. 수신자의 청각계통이 과부하 상태일 때
     3. 직무상 수신자가 한 곳에 머무르는 경우
     4. 수신장소가 너무 밝거나 암조응이 요구될 때

     정답 : []
     정답률 : 58%

55. 적절한 온도의 작업 환경에서 추운 환경으로 변할 때, 우리의 신체가 수행하는 조절작용이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피부의 온도가 내려간다.
     2. 혈액의 많은 양이 몸의 중심부를 순환한다.
     3. 직장온도가 약간 올라간다.
     4. 발한이 시작된다.

     정답 : []
     정답률 : 61%

56. 다음 중 위험 및 운전성 경도(HAZOP)에서 “성질상의 감소”를 나타내는 가이드 워드는?(2008년 05월)
     1. MORE LESS
     2. OTHER THAN
     3. AS WELL AS
     4. PART OF

     정답 : []
     정답률 : 44%

57. 기계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 기계의 기능이 계속되어 재해로 발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9년 08월)
     1. fool-proof
     2. fail-safe
     3. safe-life
     4. man-machine system

     정답 : []
     정답률 : 51%

58. 착석식 작업대의 높이 설계를 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의자의 높이
     2. 작업의 성질
     3. 대퇴 여유
     4. 작업대의 형태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작업대의 형태 X -> 작업대의 두께 O
[해설작성자 : 동냄아빠]

59. 적절한 온도의 작업환경에서 추운 환경으로 변할때, 우리의 신체가 수행하는 조절작용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발한(發汗)이 시작된다.
     2. 피부의 온도가 내려간다.
     3. 직장온도가 약간 올라간다.
     4. 혈액의 많은 양이 몸의 중심부를 순환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피부온도가 내려간다
2. 혈액의 많은 양이 몸의 중심부를 순화한다
3. 직장 온도가 약간 올라간다
4. 소름이 돋고 몸이 떨린다
고로 답은 발한이 사작된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성근]

1. 발한 이란 땀을 흘리는것을 말함
[해설작성자 : ㅇㅇ]

오한이 시작됩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60. 다음 중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가 유효한 경우는 ?(2003년 05월)
     1. 일정 고장률을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
     2. 고장 발생을 최소로 하고자 하는 경우
     3. 마멸 고장만 발생하도록 하고 싶은 경우
     4. 시험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4%

4과목 : 건설시공학


61. 석재사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석재중에서 대리석은 열에 강하므로 특히 내화를 필요로 하는 곳에 적당하다.
     2. 석재의 최대치수는 운반상, 가공상 등의 제반조건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3. 석재는 압축력을 받는 곳에 사용함이 좋다.
     4. 석재는 석질이 균질한 것을 쓰도록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62. 다음 중 강재 파이프 구조의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2005년 05월)
     1. 경량이며 외관이 경쾌하다.
     2. 휨강성 및 비틀림 강성이 크다.
     3. 접합부의 절단가공이 간단하다.
     4. 국부좌굴에 대해서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35%

63. 철골구조의 내화피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조적공법은 용접철망을 부착하여 경량모르타르, 퍼라이트 모르타르와 플라스터 등을 바름하는 공법이다.
     2. 뿜칠공법은 철골표면에 접착제를 혼합한 내화피복재를 뿜어서 내화피복을 한다.
     3. 성형판 공법은 내화단열성이 우수한 각종 성형판을 철골 주위에 접착제와 철물 등을 설치하고 그 위에 붙이는 공법으로 주로 기둥과 보의 내화피복에 사용된다.
     4. 타설공법은 아직 굳지 않은 경량콘크리트나 기포모르타르 등을 강재주위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타설한 후 경화시켜 철골을 내화피복하는 공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조적공법: 벽돌 또는 콘크리트블록을 시공
[해설작성자 : 기쁨베베]

1. 미장공법은 용접철망을 부착하여 경량모르타르, 퍼라이트 모르타르와 플라스터 등을 바름하는 공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하여 옳지 않게 서술한 것은 ?(2005년 05월)
     1. 온도가 낮으면 경화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측압은 작아진다.
     2. 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측압은 크다.
     3. 진동기를 사용하면 측압은 커진다.
     4. 거푸집 수평단면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58%

65. 벽돌치장면의 청소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벽돌 치장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등의 오염은 물과 솔을 사용하여 제거하며 필요에 따라 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세제세척은 물 또는 온수에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세정한다.
     3. 산세척은 다른 방법으로 오염물을 제거하기 곤란한 장소에 적용하고, 그 범위는 가능한 작게 한다.
     4. 산세척은 오염물을 제거한 후 물세척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벽돌치장면의 청소방법]
가. 물세척
    벽돌 치장면에 부착된 모르터 등의 오염은 물과 브러시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필요에 따라 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 세제세척
    오염물이 떨어진 것은 물 또는 온수에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세정한다.
다. 산세척
     1) 산세척은 모르터와 매입철물을 부식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수평부재와 부재 수평부 등의 물이 고여 있는 장소에 대해서는 하지 않는다.
     2) 산세척은 다른 방법으로 오염물을 제거하기 곤란한 장소에 채용하고, 그 범위는 가능한 적게 한다.
     3) 부득이 산세척을 실시하는 경우는 담당원 입회하에 매입철물 등의 금속부를 적절히 보양하고, 벽돌을 표면수가 안정하게 잔류하도록 물축임한 후에 3% 이하의 묽은 염산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4) 오염물을 제거한 후에는 즉시 충분히 물세척을 반복한다.

66. 흙에 접하는 내력벽에 쓰이는 D16 이하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는?(2012년 05월)
     1. 30mm
     2. 40mm
     3. 50mm
     4. 60mm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KDS 14 20 50 : 2022 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2022년 01월 11일 개정)
4.3.1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
(1)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의 최소 피복 두께는 다음 규정을 따라야 하며, 또한 4.3.6의 규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① 수중에서 치는 콘크리트 100mm
②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 75mm
③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가. D19 이상의 철근 50mm
    나.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mm 이하의 철선 40mm
④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가. 슬래브, 벽체, 장선
     (가) D35 초과하는 철근 40mm
     (나) D35 이하인 철근 20mm
    나. 보, 기둥 40mm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가 40MPa 이상인 경우 규정된 값에서 10mm 저감시킬 수 있다.
    다. 쉘, 절판부재 20mm
[해설작성자 : paintier]

67. 가장 초보적인 단계의 시스템 거푸집으로서 건물의 평면 형상이 규격화되어 표준형태의 거푸집을 변형시키지 않고 조립함으로써 현장제작에 소요되는 인력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재의 전용횟수를 증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은?(2011년 03월)
     1. 목재패널
     2. 합판패널
     3. 워플폼
     4. 유로폼

     정답 : []
     정답률 : 69%

68. 다음 중 언더피닝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인접건축물 기초의 침하의 우려에 대비한 공법이다.
     2. 터파기 공법의 일종이다.
     3. 용수량이 많은 깊은 기초의 축조에 사용하는 공법이다.
     4. 지하연속벽 공법이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69. 철골작업용 장비 중 절단용 장비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프릭션 프레스(friction press)
     2. 플레이트 스트레이닝 롤(plate straining roll)
     3. 파워 프레스(power press)
     4. 핵 소우(hack saw)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2,3번 : 철골 변형바로잡기 장비
[해설작성자 : 하늬]

70. ALC 블록공사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2003년 05월)
     1. 쌓기 모르타르는 배합 후 1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
     2. 줄눈의 두께는 1∼3mm정도로 한다.
     3. 하루 쌓기 높이는 1.8m를 표준으로 하며, 최대 2.4m 이내로 한다.
     4.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트이게 하여 나중쌓기로 할 경우 그 부분을 켜거름 들여쌓기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71. 철거작업 시 지중장애물 사전조사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주변 공사장에 설치된 모든 계측기 확인
     2. 기존 건축물의 설계도, 시공기록 확인
     3. 가스, 수도, 전기 등 공공매설물 확인
     4. 시험굴착, 탐사 확인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철거작업시 사전조사는 해체대상 구조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moon78]

72. 경량철골공사에서 녹막이도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경량 철골구조물에 이용되는 강재는 판두께가 얇아서 녹막이 조치가 불필요하다.
     2. 강제는 물의 고임에 의해 부식될 수 있기 때문에 부재배치에 충분히 주의하고, 필요에 따라 물구멍을 설치하는 등 부재를 건조상태로 유지한다.
     3. 녹막이도장의 도막은 노화, 타격 등에 의한 화학적, 기계적 열화에 따라 재도장을 할 수 있다.
     4. 재도장이 곤란한 건축물 및 녹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 있는 건축물의 녹막이는 녹막이 용융아연도금을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경량 철골구조물에 이용되는 강재는 판두께가 얇아서 녹에 따른 구조내력의 저하가 현저하기 때문에 반드시 녹막이를 조치해햐 함.
[해설작성자 : 멋진남]

73. 철근공사에 사용하고 있는 철근의 이음방법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기계식 이음
     2. 갈고리 이음
     3. 겹침이음
     4. 용접이음

     정답 : []
     정답률 : 69%

74. 보기의 항목을 시공계획 순서에 맞게 옳게 나열한 것은?(2011년 10월)

    

     1. A - D - C - E - B
     2. A - B - C - D - E
     3. C - A - D - E - B
     4. C - A - B - D - E

     정답 : []
     정답률 : 55%

75. 콘크리트 타설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2004년 03월)
     1. 운반거리가 가까운 곳으로부터 타설을 시작한다.
     2. 타설할 위치와 가까운 곳에서 낙하시킨다.
     3. 자유낙하 높이를 작게 한다.
     4. 콘크리트를 수직으로 낙하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4%

76. 거푸집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콘크리트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2. 단면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3. 슬럼프가 클수록 측압이 크다.
     4. 철근량이 많을수록 측압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철근량이 적을수록 측압이 크다
[해설작성자 : 맑갑]

콘크리트 타설 속도, 슬럼프, 단면 등 대체적인 성질은 거푸집 측압에 비례
* 예외 : 철근량, 온도, 습도는 작을수록 거푸집 측압이 커진다
[해설작성자 : 크림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예외 중에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아야    측압이 증가합니다.. 같은게 아니구요..
[해설작성자 : 똑바로]

[오류신고 반론]
철근량 , 온도 , 습도    가 낮으면 측압은 증가합니다. 반비례
3개 제외 나머지는 비례
[해설작성자 : 프로휴학러]

[오류신고 반론]
온도는 낮을수록 측압이 커지고 습도는 높을수록 측압이 커집니다.
[해설작성자 : ㅎㄷ]

[오류신고 반론]
온도, 벽두께, 철근량은 반비례고 나머지는 비례입니다.
[해설작성자 : ㅎㄷ]

77. 토사를 파내는 형식으로 깊은 흙파기용, 흙막이의 버팀대가 있어 좁은 곳, 케이슨(caisson) 내의 굴착 등에 가장 적합한 기계는?(2004년 09월)
     1. 클램셸(clam shell)
     2. 드래그셔블(drag shovel)
     3. 드래그라인(drag line)
     4. 앵글도저(angle dozer)

     정답 : []
     정답률 : 46%

78. 공동도급방식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각 회사의 상호신뢰와 협조로써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2. 공사의 진행이 수월하며 위험부담이 분산된다.
     3. 기술의 확충, 강화 및 경험의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시공이 우수하고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공동도급은 단골문재입니다.

여러 업체가 같이 참여하기 때문에 공사비는 비쌉니다 외웁시당
[해설작성자 : 나올지도]

79. 공사의 도급계약에 명시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첨부서류가 아닌 계약서 상 내용을 의미)(2020년 09월)
     1. 공사내용
     2. 구조설계에 따른 설계방법의 종류
     3. 공사착수의 시기와 공사완성의 시기
     4. 하자담보책임기간 및 담보방법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계약서 기재내용(건설업법 시행령)
1. 공사내용(규모, 도급금액)
2. 공사착수시기, 완공시기(물가변동에 대한 도급액 변경)
3. 도급액 지불방법, 지불시기
4. 인도, 검사 및 인도시기
5. 설계변경, 공사중지의 경우 도급액 변경, 손해부담에 대한 사항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구조설계에 따른 설계방법의 종류는 시방서등에 넣으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벽돌벽면에 구멍을 내어 쌓는 방식으로 장식적인 효과를 내는 벽돌쌓기는?(2013년 03월)
     1. 영롱쌓기
     2. 엇모쌓기
     3. 세워쌓기
     4. 옆세워쌓기

     정답 : []
     정답률 : 70%

5과목 : 건설재료학


81.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3월)
     1. 수화속도가 빠르다.
     2. 초기강도가 높다.
     3. 컨시스턴시가 크다.
     4. 시멘트 페이스트의 점성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41%

82. 콘크리트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관한 설명 중 틀린것은?(2014년 09월)
     1. 과도하게 비빔시간이 길면 시멘트의 수화를 촉진하여 워커빌리티가 나빠진다.
     2. 단위수량을 너무 증가시키면 재료분리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고 볼 수 없다.
     3. AE제를 혼입하면 워커빌리티가 좋게 된다.
     4. 깬자갈이나 깬모래를 사용할 경우, 잔골재를 작게 하고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면 워커빌리티가 좋아 진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① 워커빌리티(workability ; 시공연료) : 반죽질기(콘시스텐시)에 의한 작업의 난이도 및 재료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콘크리트 성질
[해설작성자 : 미사천]

단위수량 증가시 워커빌리티 증대
슬럼프값 증대 무한은 아님 일정시점까지만.
[해설작성자 : 1]

83. 다음 시멘트의 분류 중 혼합시멘트가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고로시멘트
     2. 팽창시멘트
     3. 실리카시멘트
     4. 플라이애쉬시멘트

     정답 : []
     정답률 : 62%

84. 콘크리트구조물의 크리프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시멘트페이스트가 많을수록 크다.
     2. 물시멘트비가 작을수록 크다.
     3. 재하초기에 현저히 증가한다.
     4. 구조부재 치수가 클수록 적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크리프 현상이 증가하는 요인
① 온도가 높을수록
② 습도가 낮을수록
③ 부재치수가 작을수록
④ 재령이 짧을수록
⑤ w/c비가 클수록
⑥ 단위시멘트 량이 많을수록
⑦ 건조할수록
③ 응력이 클수록(작용하중이 클수록)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고싶다]

85. 다음의 비철금속에 관한 기술 중 부적당한 것은?(2006년 03월)
     1. 동은 습기가 있거나 탄산가스가 있으며 녹이 발생한다.
     2. 알루미늄 전기 전도성이 크고 반사율이 높다.
     3. 주석은 강산, 강알칼리에는 침식하지만 중성에는 내식성을 갖는다.
     4. 납은 용점이 높으며 산에는 약하나 알칼리에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86. 점토 소성 제품 중 보통 벽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1년 03월)
     1. 제조공정은 점도조절-혼합-원료배합-성형-건조-소성의 단계이다.
     2. 소성온도는 1500~2000℃이다.
     3. 적색 또는 적갈색을 띠는 것은 점토 중에 포함된 산화철분에 기인한다.
     4. 압축강도는 1종의 경우 22.54 N/mm2 이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4번입니다. 정답수정 바랍니다.
압축강도는 1종의 경우 24.50N/mm2이상입니다. (KSL, 4201)
[해설작성자 : GIGAJINI]

[추가 오류 신고]
2번은 맞는거 입니다.
4번 24.5의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학생]

[오류신고 반론]
2번이 틀린 게 맞습니다. 소성온도가 1500~2000℃인 것은 보통 벽돌이 아닌 내화 벽돌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

[추가 오류 신고]
2번은 맞는 내용입니다. 보통벽돌의 소성온도는 1500~2000℃입니다.
정답은 4번입니다. 보통벽돌의 압축강도는 1종의 경우 24.50N/mm2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4번]

[추가 오류 신고]
**보통벽돌의 소성온도 900~1000도 이상
    내화벽돌의 소성온도 1500~2000도 이상.

*고시넷 교재 정답 2번.
4번은 24.50으로 표기됨.
[해설작성자 : 고시넷교재]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7. 다음 석재 중 구조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사문암
     2. 화강암
     3. 안산암
     4. 사암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감람암 등의 초염기성암이 열수변질을 받아 만들어 질때가 많고, 대부분 진한 녹색의 무늬가 있어 외관은 아름다우나 강도가 약하고, 풍화해서 흡수, 팽창하는 것이 있으며 터널의 지압이나 옹벽 붕괴의 원인이 될 때가 많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투명도가 높으므로 유기유리라고도 불리며 무색 투명하여 착색이 자유롭고 상온에서도 절단·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는?(2019년 03월)
     1. 폴리에틸렌 수지
     2. 스티롤 수지
     3. 멜라민 수지
     4. 아크릴 수지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유기 글라스
[해설작성자 : 1]

89. 주로 석기질 점토나 상당히 철분이 많은 점토를 원료로 사용하며, 건축물의 패러핏, 주두 등의 장식에 사용되는 공동의 대형 점토제품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4년 05월)
     1. 테라죠
     2. 도관
     3. 타일
     4. 테라코타

     정답 : []
     정답률 : 56%

90. 다음 중 회반죽에 여물을 넣는 가장 주된 이유는?(2009년 05월)
     1.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점성을 높이기 위하여
     3. 경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4. 내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69%

91. 적외선을 반사하는 도막을 코팅하여 방사율을 낮춘 고단열 유리로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로 제조되는 것은?(2016년 05월)
     1. 로이(Low-E)유리
     2. 망입유리
     3. 강화유리
     4. 배강도유리

     정답 : []
     정답률 : 69%

92. 다음 중 중량콘크리트용 골재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2009년 08월)
     1. 석회암
     2. 화강암
     3. 중정석
     4. 슬래그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중량콘크리트용 골재
1. 자철광
2. 중정석
3. 갈철광
[해설작성자 : 민물]

93. 다음 중 강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제강법의 종류가 아 닌 것은?(2009년 03월)
     1. 평로 제강법
     2. 전기로 제강법
     3. 반사로 제강법
     4. 드가니 제강법

     정답 : []
     정답률 : 39%

94.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미장재료의 특성 중 옳은 것은 ?(2004년 05월)
     1. 건조수축이 커서 균열이 생기기 쉽다.
     2. 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 바름벽을 시공할 수 없다.
     3. 킨스시멘트라고도 한다.
     4. 석회보다 보수성, 시공성이 나쁘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2. 재료 반죽시 풀이 필요 없음
3. 킨즈시멘트=경석고 플라스터
4. 반대임
[해설작성자 : 이슬]

95. 석고 플라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경화속도가 느리다.
     2. 내화성을 갖는다.
     3. 경화, 건조시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
     4. 물에 용해되는 성질이 있어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는 부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순수한 석고의 경화시간은 극히 짧아 건축공사에 적합치 않아
경화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혼화재(소석회,돌로마이트플라스터)를 함께사용함.

96. 운모계 광석을 800∼1,000℃정도로 가열 팽창시켜 체적이 5∼6배로 된 다공질의 경석으로 각종 형상 및 공동품의 경량, 보온, 방음, 결로방지의 목적으로 시멘트와 배합하여 제조, 사용되는 석재는?(2004년 03월)
     1. 암면(rock wool)
     2. 질석(vermiculite)
     3. 트래버틴(travertin)
     4. 석면(asbestos)

     정답 : []
     정답률 : 37%

97. 다음 금속 중 방사선 차폐성이 높아 병원의 방사선실 주변에 채용되는 재료는?(2015년 03월)
     1. 강판
     2.
     3. 주석
     4. 니켈

     정답 : []
     정답률 : 74%

98. ALC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ALC란 포화증기 양생 경량기포콘크리트로 주로 지붕, 바닥, 벽재로 사용된다.
     2. ALC는 압축강도가 작아서 구조재로서는 부적합하며 주로 비내력벽으로 사용된다.
     3. ALC는 큰 팽창수축률로 인하여 균열발생이 용이하므로 사용개소에 유의해야 한다.
     4. ALC는 현장에서 절단 및 가공이 용이하며 인력으로 취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1%

99.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분말도가 클수록 수화반응이 촉진된다.
     2. 분말도가 클수록 초기강도는 작으나 장기강도는 크다.
     3. 분말도가 클수록 시멘트 분말이 미세하다.
     4. 분말도가 너무 크면 풍화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시멘트의 분말도 ]
1. 시멘트의 분말도가 클수록 비표면적이 커서 물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므로 수화작용이 빨라 콘크리트의 초기강도가 높고 그 후의 강도의 증진도 크며 골재와의 접착력도 크므로 내구적인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적당하다.
2. 분말도가 너무 크면 풍화되기 쉽다.
3. 화학성분이 같을 때 조기강도를 증진하려고 하면 분말도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4. 분말도가 너무 큰 시멘트는 블리딩이 적고, 워커빌리티가 좋으나, 수축이 커질 염려가 있으며 발열량이 많아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수밀성, 내구성의 면에서도 좋지 못함.
[해설작성자 : 김온지]

100. 폴리머시멘트란 시멘트에 폴리머를 혼입하여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다음 중 개선되는 성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9월)
     1. 내열성
     2. 방수성
     3. 내약품성
     4. 변형성

     정답 : []
     정답률 : 31%

101. 흙속의 전단응력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굴착에 의한 흙의 일부 제거
     2. 지진, 폭파에 의한 진동
     3. 함수비의 감소에 따른 흙의 단위체적 중량의 감소
     4. 외력의 작용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함수비의 감소에 따른 흙의 단위체적 중량의 감소는 전단응력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해설작성자 : ㅇㅇㅈ]

102. 시스템 동바리를 조립하는 경우 수직재와 받침철물 연결부의 겹침길이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받침철물 전체길이 1/2 이상
     2. 받침철물 전체길이 1/3 이상
     3. 받침철물 전체길이 1/4 이상
     4. 받침철물 전체길이 1/5 이상

     정답 : []
     정답률 : 66%

103.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 제출 시 첨부서류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공사현장의 주변 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2. 공사개요서
     3. 전체공정표
     4. 작업인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서류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 시 첨부서류
- 공사개요서
- 전체공정표
- 안전관리조직표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
- 재해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 건설물, 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 공사현장의 주변 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해설작성자 : ㅎㄷ]

104. 투하설비 설치와 관련된 아래 표의 ( )에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58%

105. 산업안전보건법상 화물취급작업 시 관리감독자의 유해 · 위험방지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관계근로자 외의 자의 출입을 금지시키는 일
     2. 기구 및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3. 대피방법을 미리 교육하는 일
     4. 작업방법 및 순서를 결정하고 작업을 지휘하는 일

     정답 : []
     정답률 : 44%

106. 가설통로 설치에 있어 경사가 최소 얼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여야 하는가?(2021년 05월)
     1. 15도
     2. 20도
     3. 30도
     4. 40도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가설경사로 설치 기준
-. 경사 30도 이하로 설치
-.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조치 실시
[해설작성자 : Pepsi]

107. 사다리식통로 설치시 길이가 10cm 이상인 때에는 몇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해야 하는가?(2007년 05월)
     1. 5m
     2. 7m
     3. 9m
     4. 10m

     정답 : []
     정답률 : 57%

108. 다음 중 부재 좌굴에 대한 억제 대책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부재의 끝을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한다.
     2. 부재의 중간에 사재를 연결한다.
     3.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증대시킨다.
     4. 부재의 중간에 보를 연결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109.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계획서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2021년 03월)
     1. 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성능
     2.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경로
     3. 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방법
     4. 차량계 건설기계 사용 시 유도자 배치 위치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차량계 건설기계 사용시 작업계획서의 내용
            1) 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능력
            2)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경로
            3) 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방법

차량계 건설기계 관련 안전규칙
            1) 전도 등의 방지 : 지반의 부동침하 방지, 유도자 배치, 갓길의 붕괴방지, 도로 폭의 유지
            2) 붐 등의 강하에 의한 위험 방지
            3) 운전위치 이탈 시의 조치
            4) 차량계 건설기계 이송 시의 조치
[해설작성자 : 나도 안전관리자]

110. 히빙(Heaving)현상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소단굴착을 실시하여 소단부 흙의 중량이 바닥을 누르게 한다.
     2. 흙막이 벽체 배면의 지반을 개량하여 흙의 전단강도를 높인다.
     3. 부풀어 솟아오르는 바닥면의 토사를 제거한다.
     4. 흙막이 벽체의 근입깊이를 깊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히빙방지대책
1. 흙막이 근입깊이를 깊게
2. 표토제거 하중감소
3. 지반개량
4. 굴착면 하중증가
5. 어스앵커 설치 등
[해설작성자 : 잉용]

111. 지반의 보일링(boiling)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은 어느 것인가?(2006년 05월)
     1. 굴착부와 배면부의 지하수위의 수두차
     2. 굴착부와 배면부의 흙의 중량차
     3. 굴착부와 배면부의 흙의 함수비차
     4. 굴착부와 배면부의 흙의 토압차

     정답 : []
     정답률 : 57%

112. 추락재해 방지를 위한 방망의 그물코 규격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사각 또는 마름모로서 크기가 5센티미터 이하
     2. 사각 또는 마름모로서 크기가 10센티미터 이하
     3. 사각 또는 마름모로서 크기가 15센티미터 이하
     4. 사각 또는 마름모로서 크기가 20센티미터 이하

     정답 : []
     정답률 : 71%

113. 지름이 10cm이고 높이가. 20cm인 원기둥 콘크리트 공시체가 할렬인장강도 시험에서 10,000kg에서 파괴되었다. 이 때 콘크리트의 할렬인장강도는 몇 kg/cm2 인가?(2007년 05월)
     1. 21.8
     2. 31.8
     3. 41.8
     4. 51.8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콘크리트인장강도    2P/(파이*D*L)
[해설작성자 : lily]

114. 건설공사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시 대상액이 구분 되어 있지 않은 공사는 도급계약 또는 자체사업 계획상의 총공사금액 중 얼마를 대상액으로 하는가?(2011년 06월)
     1. 50%
     2. 60%
     3. 70%
     4. 80%

     정답 : []
     정답률 : 54%

115.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최대 몇 도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9년 03월)
     1. 60도
     2. 75도
     3. 80도
     4. 90도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고정 90도
일반식 75도
[해설작성자 : 한번]

116. 사질지반 굴착 시, 굴착부와 지하수위차가 있을 때 수두차에 의하여 삼투압이 생겨 흙막이벽 근입부분을 침식하는 동시에 모래가 액상화되어 솟아오르는 현상은?(2019년 03월)
     1. 동상현상
     2. 연화현상
     3. 보일링현상
     4. 히빙현상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보일링 사질
히빙     점토
[해설작성자 : 한번]

117. 철골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풍속이 초당 10m 이상인 경우
     2. 지진이 진도 4 이상의 경우
     3. 강우량이 시간당 1mm 이상의 경우
     4.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의 경우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철골작업 중지기준>
ㆍ풍속이 초당 10m (10m/s) 이상
ㆍ강우량이 시간당 1mm (1mm/h) 이상
ㆍ강설량이 시간당 1cm (1cm/h) 이상
[해설작성자 : 열공이영]

118. 양중기에 사용하여서는 안되는 와이어로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08년 03월)
     1. 이음매가 있는 것
     2. 지름의 감속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3.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4.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5%이상인 것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 → 10%이상인 것
[해설작성자 : 인하대 화이팅]

119. 토질시험 중 연약한 점질토 지반의 점착력을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현장시험은?(2004년 05월)
     1. 베인테스트(Vane Test)
     2. 표준관입시험(SPT)
     3. 하중재하시험
     4. 삼축압축시험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베인시험 vane shear test
강철로 만든 +형 날개(vane)를 지중에 관입하고 회전시킬 때의 회전저항치를 측정하여 전단강도를 구하는 일종의 직접전단시험
실내시험과 원위치시험이 있다. 주로 연약한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를 구하는데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양구니]

120. 근로자의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때 상부난간대는 바닥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높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2009년 08월)
     1. 30cm 이상 60cm 이하
     2. 60cm 이상 90cm 이하
     3. 90cm 이상 120cm 이하
     4. 120cm 이상 150cm 이하

     정답 : []
     정답률 : 58%


정 답 지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24618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1. 다음 중 유해ㆍ위험방지사항에 관한 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사업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터널의 건설공사
     2. 깊이가 8m 인 굴착공사
     3. 최대지간 길이가 60m 인 교량 건설공사
     4. 지상 높이가 35m 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깊이가 10m인 굴착공사
[해설작성자 : 흑월]

2. 다음 중 무재해 이념의 기본 3원칙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무의 원칙
     2. 참가의 원칙
     3. 선취 해결의 원칙
     4. 통제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3%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색채와 색도기준의 연결이 옳은 것은? (단, 색도기준은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른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방법에 따른다.)(2021년 03월)
     1. 흰색 : N0.5
     2. 녹색 : 5G 5.5/6
     3. 빨간색 : 5R 4/12
     4. 파란색 : 2.5PB 4/10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안전보건표지는 파란색(2.5PB 4/10)과 흰색(N9.5)로 이루어져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흰색 : N9.5
2. 녹색 : 2.5G4/10
3. 빨간색 : 7.5R4/14
4. 파란색 : 2.5PB4/10
5. 노란색 : 5Y8.5/12
6. 검정 : N0.5
[해설작성자 : 정]

4. 직계식 안전조직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명령과 보고가 간단 명료하다.
     2. 안전정보의 수집이 빠르고 전문적이다.
     3. 각종 지시 및 조치사항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4. 안전업무가 생산현장 라인을 통하여 시행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직계식 : 100명이하 소규모, 명령 및 전달 신속, 안전지식불충분, 라인에 과도한 책임 부여
[해설작성자 : 맑갑]

2번 : 스텝형(참모형)
[해설작성자 : 심씨]

5. 상해의 종류 중 타박, 충돌, 추락 등으로 피부표현보다는 피하조직 또는 근육부를 다친 상해를 무엇이라하는가?(2006년 03월)
     1. 부종
     2. 좌상
     3. 창상
     4. 화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부종 : 국부의 혈액순환의 이상으로 몸이 퉁퉁 부어오르는 상해
자상(찔림) : 칼날 등 날카로운 물건에 찔린 상해
창상(베임) : 창,칼 등에 베인 상해
화상 : 화재 또는 고온물 접촉으로 인한 상해

피하조직 또는 근육부를 다친 상해이므로 2번 자상이 정답임
[해설작성자 : 꾸벅2]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업의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작성하여야 하는가?(2014년 05월)
     1. 15일
     2. 30일
     3. 60일
     4. 90일

     정답 : []
     정답률 : 82%

7.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과방지장치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2. 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4. 이탈 등의 방지장치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 : []
     정답률 : 42%

8. 다음 중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의 진행 방법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1년 03월)
     1. 현상파악 → 목표설정 → 대책수립 → 본질추구
     2.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대책수립 → 목표설정
     3.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목표설정 → 대책수립
     4. 본질추구 → 현상파악 → 목표설정 → 대책수립

     정답 : []
     정답률 : 67%

9. 산업안전보건 개선 계획의 수립 대상 사업장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중대 재해의 가능성이 높은 사업장
     2. 산업재해율이 동종업종의 규모별 평균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3. 작업환경 측정 대상 업무를 수행하는 사업장으로서 작업환경이 현저히 불량한 사업장
     4. 노동부장관이 따로 정하는 사업장

     정답 : []
     정답률 : 39%

10. 연평균 상시근로자 수가 500명인 사업장에서 36건의 재해가 발생한 경우 근로자 한 사람이 사업장에서 평생 근무할 경우 근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재해는 몇 건으로 추정되는가? (단, 근로자는 평생 40년을 근무하며, 평생잔업시간은 4000시간이고, 1일 8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한다.)(2018년 09월)
     1. 2건
     2. 3건
     3. 4건
     4. 5건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빈도율은 100만 인시당 사고율로
FR=재해건수/연간근로시간 X 1000000
근로자 한 사람 기준으로 40년간 8시간씩 300일을 근무하고 평생잔업시간 4000시간이므로
(40년*8시간*300일)+4000시간=100000
36/500*8*300 * 100000 =3건
[해설작성자 : 강은해]

해설 보충요...
36/(500*8*300)*100,000=3
[해설작성자 : 카우보이]

1단계:    
도수율 백만시간에 대한 재해 건 수 = 30(도수율)
2단계 :
    백만시간 자체가 상시 근로자 수에 상관 없이 총 근로시간이므로
    1명이던 2명이던간의 백만시간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알면 건 수 계산이 가능 함
    8시간*300시간 = 2400시간 -> 2400시간 * 40년 = 96,000시간 에다 평생잔업시간4000시간 더하면 100,000시간
    백만시간당 30건 이므로 십만시간당은 3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인당 연간 근무시간 100,000 근로자수 500이면 총연간근무시간 500*100,000은 50,000,000
재해건수 년간 36건 40년간 36*40은 1,440이고 이를 총 근무시간으로 나누면 약 2.88입니다.
[해설작성자 : 라떼는마리아]

11. 다음 중 무재해운동 추진에 있어 특정 목표배수를 달성하여 그 다음 배수 달성을 위한 새로운 목표를 재설정하는 경우의 무재해 목표 설정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업종은 무재해 목표를 달성한 시점에서의 업종을 적용한다.
     2. 건설업의 규모는 재개시 시서점에 해당하는 총공사 금액의 4분의 3을 적용한다.
     3. 무재해 목표를 달성한 시점 이후부터 즉시 다음 배수를 기산하여 업종과 규모에 따라 새로운 무재해 목표시간을 재설정한다.
     4. 창업하거나 통합ㆍ분리한지 12개월 미만인 사업장은 창업일이나 통합ㆍ분리일부터 산정일까지의 매월 말일의 상시 근로자수를 합하여 해당 월수로 나눈값을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명세서는 건설공사 종료 후 얼마간 보존해야 하는가? (단, 공사가 1개월 이내에 종료되는 사업은 제외한다.)(2021년 03월)
     1. 6개월간
     2. 1년간
     3. 2년간
     4. 3년간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명세서는 매월 사용내역을 작성하고 건설공사 종료 후 1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kimschan]

13. 근로자가 20kg의 제품을 운반하던 중에 발에 떨어져 신체장애등급 14등급의 재해를 당하였다. 재해의 발생형태, 기인물, 가해물을 모두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2011년 03월)
     1. 기인물 : 발, 가해물 : 제품, 재해발생형태 : 낙하
     2. 기인물 : 발, 가해물 : 발, 재해발생형태 : 추락
     3. 기인물 : 제품, 가해물 : 제품, 재해발생형태 : 낙하
     4. 기인물 : 제품, 가해물 : 발, 재해발생형태 : 낙하

     정답 : []
     정답률 : 76%

14.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기관이 하는 안전인증 심사의 종류에 해당되는 않는 것은?(2014년 09월)
     1. 서면심사
     2. 예비심사
     3. 제품심사
     4. 완성심사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안전인증기관이 하는 안전인증 심사의 종류
1. 예비심사    2. 서면심사    3.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검사    4. 제품심사
[해설작성자 : 맑갑]

15. 산업안전보건법상 지게차를 사용하는 작업을 하는 때의 작업 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2.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 전조등⋅후미등⋅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유무
     4. 충전장치를 포함한 홀더 등의 결합상태의 이상 유무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지게차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바퀴의 이상 유무
- 전조등,후미등,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해설작성자 : 감쟈쟈]

16.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기준에 따른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리프트(간이리프트 포함)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에 공통적으로 점검해야 하는 사항은?(2018년 04월)
     1. 바퀴의 이상 유무
     2. 전선 및 접속부 상태
     3. 브레이크 및 클러치의 기능
     4. 작업면의 기울기 또는 요철 유무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크레인 작업 전 점검사항
1.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등 운전장치의 기능
2.주행로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이동식 크레인 작업 전 점검사항
1.권과방지장치 및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2.브레이크 및 클러치 등 조정장치의 기능
3.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리프트 작업 전 점검사항
1.방호장치 및 브레이크 클러치 등의 상태
2.브레이크 및 클러치 등 조정장치의 기능
[해설작성자 : 깜상0815]

크레인은 3번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입니다.
작업장소의 지반상태는 이동식 크레인만 해당됩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17. 다음 중 웨버(D.A.Weaver)의 사고 발생 도미노 이론에서 “작전적 에러”를 찾아내기 위한 질문의 유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what
     2. why
     3. where
     4. whether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웨버(D.A.Weaver)의 작전적 에러 질문유형 3가지]
① what : 무엇이 불안전한 상태이며 불안전한 행동인가? (사고의 원인)
② why : 왜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이 용납되는가?
③ whether : 감독과 경영 중에서 어느쪽이 사고방지에 대한 안전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해설작성자 : David.T.Lee]

18.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중 3단계의 분석 평가 내용에 해당되는 것은?(2016년 05월)
     1. 위험 확인
     2. 현장 조사
     3. 사고 및 활동 기록 검토
     4. 기술의 개선 및 인사조정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하인리히의 재해 예방 원리)

1.안전관리조직
2.사실의 발견
3.분석평가
4.시정방법의 선정
5.시정책의 적용
[해설작성자 :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제3단계:분석평가 내용
1️⃣사고 보고서 현장 조사 분석
2️⃣사고 기록 및 관계 자료 분석
3️⃣인적,물적 환경 조건 분석
4️⃣작업 공정 분석
5️⃣교육 및 훈련 분석
6️⃣배치 사항 분석
7️⃣안전수칙 및 작업 표준 분석
8️⃣보호 장비의 적부
[해설작성자 : bom]

19.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제1종 시설물에 명시되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고속철도 교량
     2. 25층인 건축물
     3. 연장 300m인 철도 교량
     4. 연면적이 70000m2인 건축물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제1종시설물: 공중의 이용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거나 구조상 안전 및 유지관리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대규모 시설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물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물
가. 고속철도 교량, 연장 500미터 이상의 도로 및 철도 교량
나.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 터널, 연장 1000미터 이상의 도로 및 철도 터널
다. 갑문시설 및 연장 1000미터 이상의 방파제
라. 다목적댐, 발전용댐, 홍수전용댐 및 총저수용량 1천만톤 이상의 용수전용댐
마. 21층 이상 또는 연면적 5만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
바. 하구둑, 포용저수량 8천만톤 이상의 방조제
사. 광역상수도, 공업용수도, 1일 공급능력 3만톤 이상의 지방상수도
[해설작성자 : minmins]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연삭기
     2. 곤돌라
     3. 컨베이어
     4. 산업용 로봇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곤돌라는 안전인증대상기계ㆍ기구의 종류

2과목 : 산업심리 및 교육


21. 다음 중 주의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변동성이란 주의집중시 주기적으로 부주의의 리듬이 존재함을 말한다.
     2. 선택성이란 인간은 한 번에 여러 종류의 자극을 지각・수용하지 못함을 말한다.
     3. 선택성이란 소수의 특정 자극에 한정해서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기능을 말한다.
     4. 방향성이란 주의는 항상 일정하나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고도의 주의집중이 가능함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주의의 특징
-선택성: 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할때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하여 선택하는 기능
-방향성:주시점만 인지하는 기능
-변동성:주의에는 주기적으로 부주의의 리듬이 적용
[해설작성자 : 미사천]

22. 다음 중 직무수행 준거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3가지 일반적인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3년 06월)
     1. 적절성
     2. 안정성
     3. 실용성
     4. 특이성

     정답 : []
     정답률 : 82%

23. 다음 중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안전 교육방법에서의 총 교육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1년 03월)
     1. 10시간
     2. 40시간
     3. 80시간
     4. 120시간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0~15명을 한반으로 2시간씩 20분에 걸쳐 40시간 훈련하고, 관리기능, 조직의 원칙, 조직의 운영, 시간관리, 훈련의 괸리 등을 교육내용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다음 중 학습목적의 3요소가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목표(goal)
     2. 주제(subject)
     3. 학습정도(level of learning)
     4. 학습방법(method of learning)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학습목적 3요소
1. 목표
2. 주제
3. 학습정도
[해설작성자 : joshoh92]

25. 다음 중 착시현상 중에서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는데도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심리적인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5월)
     1. 잔상
     2. 원근 착시
     3. 가현운동
     4. 기하학적 착시

     정답 : []
     정답률 : 83%

26. 다음과 같은 학습의 원칙을 지니고 있는 훈련기법은 무엇인가? [관찰에 학습. 실행에 의한 학습. 피드백에 의한 학습 분석과 개념화를 통한 학습](2004년 05월)
     1. 역할연기법
     2. 사례연구법
     3. 유사실험법
     4. 프로그램 학습법

     정답 : []
     정답률 : 47%

27. 다음 중 산업심리의 5대요소가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동기
     2. 감정
     3. 기질
     4. 지능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산업심리의 5대요소
동기, 감정, 기질, 습관, 습성
[해설작성자 : 마린보이]

28. 학습지도의 원리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22년 04월)
     1. 감각의 원리
     2. 통합의 원리
     3. 자발성의 원리
     4. 사회화의 원리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개별화의 원리
2. 자발성의 원리(자기 활동)
3. 직관의 원리(직접 경험)
4. 사회화의 원리
5. 통합화의 원리
6. 목적의 원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과학성의 원리 : 자연이나 사회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 법칙등을 지도함으로서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을 발달 시킬수 있도록 과학적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이론
[해설작성자 : 자구]

29. 다음 중 리더십과 헤드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헤드십은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이 좁다.
     2. 헤드십에서의 책임은 상사에 있지 않고 부하에 있다.
     3. 리더십의 지휘형태는 권위주의적인 반면, 헤드십의 지휘형태는 민주적이다.
     4. 권한행사 측면에서 보면 헤드십은 임명에 의하여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30. 리더십의 권한 역할 중 “부하를 처벌할 수 있는 권한”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9월)
     1. 위임된 권한
     2. 합법적 권한
     3. 강압적 권한
     4. 보상적 권한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보상적권한 : 지도자가 부하들에게 보상할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부하직원들을 통제할수 있으며 부하들의 행동에 대한 영향을 끼칠수 있는 권한
강압적권한 : 부하직원들을 처벌할수 있는 권한
합법적권한 : 조직의 규정에 의해 지도자의 권한이 공식화 된 것
[해설작성자 : 하늬]

31. 산업안전심리학에서 산업안전심리의 5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감정
     2. 습성
     3. 동기
     4. 피로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5대요소 : 동기, 감정, 습관, 습성, 기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직무평가의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서열법
     2. 분류법
     3. 투사법
     4. 요소비교법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서열법 : 각 직무의 중요도, 곤란도, 책임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일정한 순서로 늘어놓는다.
2.분류법 : 전기한 제반요소로써 직무의 가치를 단계적으로 구분하는 등급표를 만들고 평가직무를 이에 맞는 등급으로 분류한다.
3.요소비교법 : 급여율이 가장 적정하다고 생각되는 직무를 기준직무로 하고 그에 비교해 지식, 숙련도 등 제반 요인별로 서열을 정한 다음 평가직무를 비교함
4.점수법 :책임, 숙련, 피로, 작업환경 등 4항목을 중심으로 각 항목별로 각 평가 점수를 매겨 점수의 합계로써 가치를 정함.
[해설작성자 : KYS]

33. 교육지도의 효율성을 높이는 원리인 훈련전이(transfer of train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훈련생은 훈련 과정에 대해서 사전정보가 없을수록 왜곡된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2. 훈련 상황이 가급적 실제 상황과 유사할수록 전이효과는 높아진다.
     3. 실제 직무수행에서 훈련된 행동이 나타날 때 보상이 따르면 전이 효과는 더 높아진다.
     4. 훈련전이란 훈련 기간에 학습된 내용이 실무 상황으로 옮겨져서 사용되는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34. O.J.T(On the Job Train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2. 대상자의 개인별 능력에 따라 훈련의 진도를 조정하기가 쉽다.
     3. 교육훈련 대상자가 교육훈련에만 몰두 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높다.
     4. 교육을 통한 훈련효과에 의해 상호 신뢰이해도가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O.J.T(On the Job Training) 특징
-개개인에게 적합한 지도훈련이 가능
-직장의 실정에 맞는 실체적 훈련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즉시 업무에 연결되는 관계로 신체와 관련이 있다
-효과가 곧 업무에 나타나며 훈련의 좋고 나쁨에 따라 개선이 용이
-교육을 통한 훈련 효과에 의해 상호 신뢰 이해도가 높아진다
-동기부여가 쉽다

□OFF.J.T(OFF the Job Training) 특징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
-훈련에만 전념하게 된다.
-특별 설비 기구를 이용할수 있다
-전문가를 강사로 초청할수 있다
-각 직장의 근로자가 많은 지식이나 경험을 교류할수 있다
-교육훈련목표에 대해서 집단적 노력이 흐트러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학생]

3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주의의 특성은?(2012년 09월)

    

     1. 선택성
     2. 방향성
     3. 변동성
     4. 일점집중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이 아닌 1번이 정답
선택성이란 한번에 여러 종류의 자극을 지각하거나 수용하지 못하여 소수의 특정한 것으로 한정해서 선택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이다.
방향성이란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 (주시점만 응시한다)

박스안의 내용의 주는 '시선의 주시점만 인지하는 기능으로'라고 되어있으므로 선택성이 맞는 답이다
[해설작성자 : 킴호]

[오류신고 반론]
※인간 주의특성의 종류
1.선택성: 한번에 여러종류의 자극을 지각하지 못하여 소수의 특정한 것으로 선택하여 지각
2.방향성: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주지점만 응시한다)
3.변동성: 주의는 리듬이 있어 이렁한 수순을 지키지 못한다

-2번이 맞는 답인듯 합니다 (2020 산업안전기사 실기-구민사 1-158P/출처)
[해설작성자 : 산안기 실기 떨어지고 건안기로 갈아탄 1인]

[오류신고 반론]
주의의 특성 3가지
1️⃣선택성: 사람은 한 번에 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하거나 수용하지 못하며 소수의 특정한 것으로 한정해서 선택하는 기능을 말한다.
2️⃣방향성: 공간적으로 보면 시선의 초점에 맞았을 때는 쉽게 인지되지만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
3️⃣변동성: 주의는 리듬이 있어 언제나 일정한 수순을 지키지는 못한다.
세화 2022년 건설안전기사 필기책 P234 정답2번 방향성
[해설작성자 : bom]

36. 하버드 학파의 학습지도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지시(Order)
     2. 준비(Preparation)
     3. 교시(Presentation)
     4. 총괄(Generalization)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하버드학파의 5단계 교수법
준비시킨다 -> 교시시킨다 -> 연합한다 -> 총괄한다 -> 응용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하버드 애들은 똑똑한 애들이니 별도의 지시 없이 한다고 외우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다음 중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안전교육 방법에서의 총교육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9년 08월)
     1. 10시간
     2. 40시간
     3. 80시간
     4. 120시간

     정답 : []
     정답률 : 73%

38. 기업이 갖고 있는 교육훈련 특성에 해당되지 않 는 것은?(2003년 03월)
     1. 필요시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2. 같은 교재로 교육훈련이 실시되는 것이 많다.
     3. 교육훈련시 경제적이고 능률적인 것이 필요하다.
     4. 피교육자의 학습능력이 각양각색인데도 집합 강의법 활용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34%

39. 호오손(Hawthorne) 실험에서 작업자의 작업능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은 무엇인가?(2007년 09월)
     1. 작업 조건
     2. 생산 기술
     3. 임금 수준
     4. 인간 관계

     정답 : []
     정답률 : 68%

40. 다음 중 기술 교육(교시법)의 4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4년 03월)
     1. preparation → presentation → performance → follow up
     2. presentation → preparation → performance →follow up
     3. performance → follow up → presentation → preparation
     4. performance → preparation → follow up → presentation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기술교육 교시법의 4단계
1. 도입(Preparation) : 준비단계
2. 실연(Presentation) : 일을 하게 해보는 단계
3. 실습(Performance) : 일을 시켜보는 단계
4. 확인(Follow up) : 보습 지도의 단계
[해설작성자 : 서지훈]

3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다음 설명 중 ( ) 안에 알맞은 용어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7년 05월)

    

     1. ㉠: PHA, ㉡: ETA
     2. ㉠: ETA, ㉡: MORT
     3. ㉠: MORT, ㉡: ETA
     4. ㉠: MORT, ㉡: PHA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MORT : MORT프로그램은 TREE를 중심으로 FTA와 같은 논리기법을 이용하여 관리, 설계, 생산, 보존 등의 광범위하게 안전을 도모하는 것으로서 고도의 안전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ETA : 사상의 안전도를 사용한 시스템의 안전도를 나타내는 시스템 모델의 하나로서 귀납적이고 정량적인 분석방법으로 재해의 확대요인을 분석하는데 적합한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삼송빵집]

42. 다음은 FTA(Fault Tree Analysis)에 사용되는 논리기호이다. 맞지 않는 것은?(2003년 08월)
     1. : 결함사상
     2. : 기본사상
     3. : 통상사상
     4. : 생략사상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기본사상은 동그래미 입니다.
[해설작성자 : 룡룡이]

43. 다음 중 인체계측치 이용시 만족비율 95%의 조절 가능한 범위치수(제 2.5백분위수에서 제 97.5백분위수의 범위)를 적용한 예는?(2003년 08월)
     1. 조종장치까지의 거리
     2. 자동차 운전석 의자의 위치
     3. 전동차의 손잡이 높이
     4. 공구의 손잡이 크기

     정답 : []
     정답률 : 40%

44. FMEA의 표준적 실시절차를 “대상 시스템의 분석 → 고장의 유형과 그 영향의 해석 → 치명도 해석과 개선책의 검토”와 같이 3가지로 구분하였을 때 “대상 시스템의 분석”에 해당되는 것은?(2010년 05월)
     1. 치명도 해석
     2. 고장등급의 평가
     3. 고장형의 예측과 설정
     4. 기능 블록과 신뢰성 블록의 작성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FMEA의 실시절차
대상 시스템의 분석
1. 기기 및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의 전반적 파악    
2. FMEA의 실시를 위한 기본 방침의 설정    
3. 기능 블록과 신뢰성 블록도의 작성
[해설작성자 : 킴호]

45. 다음 중 설명 중 ㉠과 ㉡에 해당하는 내용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4년 05월)

    

     1. ㉠-파국적, ㉡-중대
     2. ㉠-중대, ㉡-파국적
     3. ㉠-한계적, ㉡-중대
     4. ㉠-중대, ㉡-한계적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PHA의 카테고리 분류
1. 파국적 - 사망, 시스템 손상
2. 위기적 (중대) - 심각한 상해, 시스템 중대 손상
3. 한계적 - 경미한 상해, 시스템 성능 저하
4. 무시 - 경미 상해 및 시스템 저하 없음
[해설작성자 : 룡룡이]

46. 어떤 전자기기의 수명은 지수분포를 따르며, 그 평균수명은 1000시간이라고 할 때 500시간 동안 고장없이 작동할 확률은 약 얼마인가?(2008년 09월)
     1. 0.5
     2. e-0.5
     3. 1-e-0.5
     4. e-2

     정답 : []
     정답률 : 44%

47. 다음 중 인간이 현존하는 기계보다 우월한 기능이 아닌 것은?(2012년 03월)
     1.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2. 원칙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한다.
     3.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의사 결정을 한다.
     4. 명시된 절차에 따라 신속하고, 정량적인 정보처리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인간의 장점
1.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2. 원칙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한다.
3.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의사 결정을 한다.

기계의 장점
명신된 절차에 따라 신속하고, 정량적인 정보처리를 한다.

[해설작성자 : 해대 호날두]

48. FT도에서 ①~⑤ 사상의 발생확률이 모두 0.06 일 경우 T 사상의 발생 확률은 약 얼마인가?(2014년 03월)

    

     1. 0.00036
     2. 0.00061
     3. 0.142625
     4. 0.2262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1-(1-0.06)(1-0.06)(1-0.06)=0.169416
T=0.169416×0.06×0.06=0.00061
[해설작성자 : 기쁨베베 ]

49. 다음 중 일반적인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safety assessment) 절차에 있어 안전대책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1. 보전
     2. 설비 대책
     3. 위험도 평가
     4. 관리적 대책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화학설비의 안정성 평가 5단계
1단계 : 관계자료의 작성준비
2단계 : 정성적 평가
3단계 : 정량적 평가
4단계 : 안전대책
- 설비대책 : 안전장치 및 방재장치에 관해서 배려한다.
- 관리적대책 : 인원배치, 교육훈련 및 보전에 관해서 배려한다
5단계 : 재평가
[해설작성자 : 록구]

50. 영상표시단말기(VDT)를 사용하는 작업에 있어 일반적으로 화면과 그 인접 주변과의 광도비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0년 09월)
     1. 1 : 1
     2. 1 : 3
     3. 1 : 7
     4. 1 : 10

     정답 : []
     정답률 : 54%

51. 인간의 오류모형에서 “상황해석을 잘못하거나 목표를 잘못 이해하고 착각하여 행하는 경우”를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9월)
     1. 실수(Slip)
     2. 착오(Mistake)
     3. 건망증(Lapse)
     4. 위반(Violation)

     정답 : []
     정답률 : 78%

52. 심리학자 Rassmusen에 의하면 인간의 거동은 3가지로 분류된다고 보았다. 다음중 휴먼에러와 관련하여 분류되는 인간거동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진단(Diagnosis) 기반 거동
     2. 기술(Skill) 기반 거동
     3. 법칙(Rule) 기반 거동
     4. 지식(Knowledge) 기반 거동

     정답 : []
     정답률 : 36%

53. 휴식 중 에너지소비량은 1.5kcal/min이고, 어떤 작업의 평균 에너지소비량이 6kcal/min이라고 할 때 60분간 총 작업시간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은 약 몇 분 인가? (단, 기초대사를 포함한 작업에 대한 평균 에너지소비량의 상한은 5kcal/min 이다.)(2015년 05월)
     1. 10.3
     2. 11.3
     3. 12.3
     4. 13.3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R=60(E-5)/E-1.5
에너지 소비량의 상한이 5kcal/min 일경우
[해설작성자 : !!]

■ 에너지 소비량의 상한이 5kcal/min인 경우

▪︎(5[kcal]×60[min])-1.5χ-6γ=0
▪︎χ+γ=60[min]
▪︎γ=60-χ

➠ 300-1.5χ-6(60-χ)=0
※ χ=13.3333```
[해설작성자 : 건축물대장]

54.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시각적 표시장치와 청각적 표시장치 중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경우는?(2005년 03월)
     1. 전언이 공간적인 위치를 다룬 경우
     2. 수신자의 청각계통이 과부하 상태일 때
     3. 직무상 수신자가 한 곳에 머무르는 경우
     4. 수신장소가 너무 밝거나 암조응이 요구될 때

     정답 : []
     정답률 : 58%

55. 적절한 온도의 작업 환경에서 추운 환경으로 변할 때, 우리의 신체가 수행하는 조절작용이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피부의 온도가 내려간다.
     2. 혈액의 많은 양이 몸의 중심부를 순환한다.
     3. 직장온도가 약간 올라간다.
     4. 발한이 시작된다.

     정답 : []
     정답률 : 61%

56. 다음 중 위험 및 운전성 경도(HAZOP)에서 “성질상의 감소”를 나타내는 가이드 워드는?(2008년 05월)
     1. MORE LESS
     2. OTHER THAN
     3. AS WELL AS
     4. PART OF

     정답 : []
     정답률 : 44%

57. 기계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 기계의 기능이 계속되어 재해로 발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9년 08월)
     1. fool-proof
     2. fail-safe
     3. safe-life
     4. man-machine system

     정답 : []
     정답률 : 51%

58. 착석식 작업대의 높이 설계를 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의자의 높이
     2. 작업의 성질
     3. 대퇴 여유
     4. 작업대의 형태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작업대의 형태 X -> 작업대의 두께 O
[해설작성자 : 동냄아빠]

59. 적절한 온도의 작업환경에서 추운 환경으로 변할때, 우리의 신체가 수행하는 조절작용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발한(發汗)이 시작된다.
     2. 피부의 온도가 내려간다.
     3. 직장온도가 약간 올라간다.
     4. 혈액의 많은 양이 몸의 중심부를 순환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피부온도가 내려간다
2. 혈액의 많은 양이 몸의 중심부를 순화한다
3. 직장 온도가 약간 올라간다
4. 소름이 돋고 몸이 떨린다
고로 답은 발한이 사작된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성근]

1. 발한 이란 땀을 흘리는것을 말함
[해설작성자 : ㅇㅇ]

오한이 시작됩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60. 다음 중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가 유효한 경우는 ?(2003년 05월)
     1. 일정 고장률을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
     2. 고장 발생을 최소로 하고자 하는 경우
     3. 마멸 고장만 발생하도록 하고 싶은 경우
     4. 시험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4%

4과목 : 건설시공학


61. 석재사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석재중에서 대리석은 열에 강하므로 특히 내화를 필요로 하는 곳에 적당하다.
     2. 석재의 최대치수는 운반상, 가공상 등의 제반조건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3. 석재는 압축력을 받는 곳에 사용함이 좋다.
     4. 석재는 석질이 균질한 것을 쓰도록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62. 다음 중 강재 파이프 구조의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2005년 05월)
     1. 경량이며 외관이 경쾌하다.
     2. 휨강성 및 비틀림 강성이 크다.
     3. 접합부의 절단가공이 간단하다.
     4. 국부좌굴에 대해서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35%

63. 철골구조의 내화피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조적공법은 용접철망을 부착하여 경량모르타르, 퍼라이트 모르타르와 플라스터 등을 바름하는 공법이다.
     2. 뿜칠공법은 철골표면에 접착제를 혼합한 내화피복재를 뿜어서 내화피복을 한다.
     3. 성형판 공법은 내화단열성이 우수한 각종 성형판을 철골 주위에 접착제와 철물 등을 설치하고 그 위에 붙이는 공법으로 주로 기둥과 보의 내화피복에 사용된다.
     4. 타설공법은 아직 굳지 않은 경량콘크리트나 기포모르타르 등을 강재주위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타설한 후 경화시켜 철골을 내화피복하는 공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조적공법: 벽돌 또는 콘크리트블록을 시공
[해설작성자 : 기쁨베베]

1. 미장공법은 용접철망을 부착하여 경량모르타르, 퍼라이트 모르타르와 플라스터 등을 바름하는 공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하여 옳지 않게 서술한 것은 ?(2005년 05월)
     1. 온도가 낮으면 경화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측압은 작아진다.
     2. 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측압은 크다.
     3. 진동기를 사용하면 측압은 커진다.
     4. 거푸집 수평단면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58%

65. 벽돌치장면의 청소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벽돌 치장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등의 오염은 물과 솔을 사용하여 제거하며 필요에 따라 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세제세척은 물 또는 온수에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세정한다.
     3. 산세척은 다른 방법으로 오염물을 제거하기 곤란한 장소에 적용하고, 그 범위는 가능한 작게 한다.
     4. 산세척은 오염물을 제거한 후 물세척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벽돌치장면의 청소방법]
가. 물세척
    벽돌 치장면에 부착된 모르터 등의 오염은 물과 브러시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필요에 따라 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 세제세척
    오염물이 떨어진 것은 물 또는 온수에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세정한다.
다. 산세척
     1) 산세척은 모르터와 매입철물을 부식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수평부재와 부재 수평부 등의 물이 고여 있는 장소에 대해서는 하지 않는다.
     2) 산세척은 다른 방법으로 오염물을 제거하기 곤란한 장소에 채용하고, 그 범위는 가능한 적게 한다.
     3) 부득이 산세척을 실시하는 경우는 담당원 입회하에 매입철물 등의 금속부를 적절히 보양하고, 벽돌을 표면수가 안정하게 잔류하도록 물축임한 후에 3% 이하의 묽은 염산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4) 오염물을 제거한 후에는 즉시 충분히 물세척을 반복한다.

66. 흙에 접하는 내력벽에 쓰이는 D16 이하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는?(2012년 05월)
     1. 30mm
     2. 40mm
     3. 50mm
     4. 60mm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KDS 14 20 50 : 2022 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2022년 01월 11일 개정)
4.3.1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
(1)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의 최소 피복 두께는 다음 규정을 따라야 하며, 또한 4.3.6의 규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① 수중에서 치는 콘크리트 100mm
②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 75mm
③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가. D19 이상의 철근 50mm
    나.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mm 이하의 철선 40mm
④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가. 슬래브, 벽체, 장선
     (가) D35 초과하는 철근 40mm
     (나) D35 이하인 철근 20mm
    나. 보, 기둥 40mm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가 40MPa 이상인 경우 규정된 값에서 10mm 저감시킬 수 있다.
    다. 쉘, 절판부재 20mm
[해설작성자 : paintier]

67. 가장 초보적인 단계의 시스템 거푸집으로서 건물의 평면 형상이 규격화되어 표준형태의 거푸집을 변형시키지 않고 조립함으로써 현장제작에 소요되는 인력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재의 전용횟수를 증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은?(2011년 03월)
     1. 목재패널
     2. 합판패널
     3. 워플폼
     4. 유로폼

     정답 : []
     정답률 : 69%

68. 다음 중 언더피닝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인접건축물 기초의 침하의 우려에 대비한 공법이다.
     2. 터파기 공법의 일종이다.
     3. 용수량이 많은 깊은 기초의 축조에 사용하는 공법이다.
     4. 지하연속벽 공법이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69. 철골작업용 장비 중 절단용 장비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프릭션 프레스(friction press)
     2. 플레이트 스트레이닝 롤(plate straining roll)
     3. 파워 프레스(power press)
     4. 핵 소우(hack saw)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2,3번 : 철골 변형바로잡기 장비
[해설작성자 : 하늬]

70. ALC 블록공사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2003년 05월)
     1. 쌓기 모르타르는 배합 후 1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
     2. 줄눈의 두께는 1∼3mm정도로 한다.
     3. 하루 쌓기 높이는 1.8m를 표준으로 하며, 최대 2.4m 이내로 한다.
     4.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트이게 하여 나중쌓기로 할 경우 그 부분을 켜거름 들여쌓기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71. 철거작업 시 지중장애물 사전조사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주변 공사장에 설치된 모든 계측기 확인
     2. 기존 건축물의 설계도, 시공기록 확인
     3. 가스, 수도, 전기 등 공공매설물 확인
     4. 시험굴착, 탐사 확인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철거작업시 사전조사는 해체대상 구조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moon78]

72. 경량철골공사에서 녹막이도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경량 철골구조물에 이용되는 강재는 판두께가 얇아서 녹막이 조치가 불필요하다.
     2. 강제는 물의 고임에 의해 부식될 수 있기 때문에 부재배치에 충분히 주의하고, 필요에 따라 물구멍을 설치하는 등 부재를 건조상태로 유지한다.
     3. 녹막이도장의 도막은 노화, 타격 등에 의한 화학적, 기계적 열화에 따라 재도장을 할 수 있다.
     4. 재도장이 곤란한 건축물 및 녹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 있는 건축물의 녹막이는 녹막이 용융아연도금을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경량 철골구조물에 이용되는 강재는 판두께가 얇아서 녹에 따른 구조내력의 저하가 현저하기 때문에 반드시 녹막이를 조치해햐 함.
[해설작성자 : 멋진남]

73. 철근공사에 사용하고 있는 철근의 이음방법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기계식 이음
     2. 갈고리 이음
     3. 겹침이음
     4. 용접이음

     정답 : []
     정답률 : 69%

74. 보기의 항목을 시공계획 순서에 맞게 옳게 나열한 것은?(2011년 10월)

    

     1. A - D - C - E - B
     2. A - B - C - D - E
     3. C - A - D - E - B
     4. C - A - B - D - E

     정답 : []
     정답률 : 55%

75. 콘크리트 타설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2004년 03월)
     1. 운반거리가 가까운 곳으로부터 타설을 시작한다.
     2. 타설할 위치와 가까운 곳에서 낙하시킨다.
     3. 자유낙하 높이를 작게 한다.
     4. 콘크리트를 수직으로 낙하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4%

76. 거푸집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콘크리트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2. 단면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3. 슬럼프가 클수록 측압이 크다.
     4. 철근량이 많을수록 측압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철근량이 적을수록 측압이 크다
[해설작성자 : 맑갑]

콘크리트 타설 속도, 슬럼프, 단면 등 대체적인 성질은 거푸집 측압에 비례
* 예외 : 철근량, 온도, 습도는 작을수록 거푸집 측압이 커진다
[해설작성자 : 크림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예외 중에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아야    측압이 증가합니다.. 같은게 아니구요..
[해설작성자 : 똑바로]

[오류신고 반론]
철근량 , 온도 , 습도    가 낮으면 측압은 증가합니다. 반비례
3개 제외 나머지는 비례
[해설작성자 : 프로휴학러]

[오류신고 반론]
온도는 낮을수록 측압이 커지고 습도는 높을수록 측압이 커집니다.
[해설작성자 : ㅎㄷ]

[오류신고 반론]
온도, 벽두께, 철근량은 반비례고 나머지는 비례입니다.
[해설작성자 : ㅎㄷ]

77. 토사를 파내는 형식으로 깊은 흙파기용, 흙막이의 버팀대가 있어 좁은 곳, 케이슨(caisson) 내의 굴착 등에 가장 적합한 기계는?(2004년 09월)
     1. 클램셸(clam shell)
     2. 드래그셔블(drag shovel)
     3. 드래그라인(drag line)
     4. 앵글도저(angle dozer)

     정답 : []
     정답률 : 46%

78. 공동도급방식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각 회사의 상호신뢰와 협조로써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2. 공사의 진행이 수월하며 위험부담이 분산된다.
     3. 기술의 확충, 강화 및 경험의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시공이 우수하고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공동도급은 단골문재입니다.

여러 업체가 같이 참여하기 때문에 공사비는 비쌉니다 외웁시당
[해설작성자 : 나올지도]

79. 공사의 도급계약에 명시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첨부서류가 아닌 계약서 상 내용을 의미)(2020년 09월)
     1. 공사내용
     2. 구조설계에 따른 설계방법의 종류
     3. 공사착수의 시기와 공사완성의 시기
     4. 하자담보책임기간 및 담보방법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계약서 기재내용(건설업법 시행령)
1. 공사내용(규모, 도급금액)
2. 공사착수시기, 완공시기(물가변동에 대한 도급액 변경)
3. 도급액 지불방법, 지불시기
4. 인도, 검사 및 인도시기
5. 설계변경, 공사중지의 경우 도급액 변경, 손해부담에 대한 사항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구조설계에 따른 설계방법의 종류는 시방서등에 넣으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벽돌벽면에 구멍을 내어 쌓는 방식으로 장식적인 효과를 내는 벽돌쌓기는?(2013년 03월)
     1. 영롱쌓기
     2. 엇모쌓기
     3. 세워쌓기
     4. 옆세워쌓기

     정답 : []
     정답률 : 70%

5과목 : 건설재료학


81.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3월)
     1. 수화속도가 빠르다.
     2. 초기강도가 높다.
     3. 컨시스턴시가 크다.
     4. 시멘트 페이스트의 점성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41%

82. 콘크리트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관한 설명 중 틀린것은?(2014년 09월)
     1. 과도하게 비빔시간이 길면 시멘트의 수화를 촉진하여 워커빌리티가 나빠진다.
     2. 단위수량을 너무 증가시키면 재료분리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고 볼 수 없다.
     3. AE제를 혼입하면 워커빌리티가 좋게 된다.
     4. 깬자갈이나 깬모래를 사용할 경우, 잔골재를 작게 하고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면 워커빌리티가 좋아 진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① 워커빌리티(workability ; 시공연료) : 반죽질기(콘시스텐시)에 의한 작업의 난이도 및 재료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콘크리트 성질
[해설작성자 : 미사천]

단위수량 증가시 워커빌리티 증대
슬럼프값 증대 무한은 아님 일정시점까지만.
[해설작성자 : 1]

83. 다음 시멘트의 분류 중 혼합시멘트가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고로시멘트
     2. 팽창시멘트
     3. 실리카시멘트
     4. 플라이애쉬시멘트

     정답 : []
     정답률 : 62%

84. 콘크리트구조물의 크리프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시멘트페이스트가 많을수록 크다.
     2. 물시멘트비가 작을수록 크다.
     3. 재하초기에 현저히 증가한다.
     4. 구조부재 치수가 클수록 적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크리프 현상이 증가하는 요인
① 온도가 높을수록
② 습도가 낮을수록
③ 부재치수가 작을수록
④ 재령이 짧을수록
⑤ w/c비가 클수록
⑥ 단위시멘트 량이 많을수록
⑦ 건조할수록
③ 응력이 클수록(작용하중이 클수록)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고싶다]

85. 다음의 비철금속에 관한 기술 중 부적당한 것은?(2006년 03월)
     1. 동은 습기가 있거나 탄산가스가 있으며 녹이 발생한다.
     2. 알루미늄 전기 전도성이 크고 반사율이 높다.
     3. 주석은 강산, 강알칼리에는 침식하지만 중성에는 내식성을 갖는다.
     4. 납은 용점이 높으며 산에는 약하나 알칼리에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86. 점토 소성 제품 중 보통 벽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1년 03월)
     1. 제조공정은 점도조절-혼합-원료배합-성형-건조-소성의 단계이다.
     2. 소성온도는 1500~2000℃이다.
     3. 적색 또는 적갈색을 띠는 것은 점토 중에 포함된 산화철분에 기인한다.
     4. 압축강도는 1종의 경우 22.54 N/mm2 이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4번입니다. 정답수정 바랍니다.
압축강도는 1종의 경우 24.50N/mm2이상입니다. (KSL, 4201)
[해설작성자 : GIGAJINI]

[추가 오류 신고]
2번은 맞는거 입니다.
4번 24.5의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학생]

[오류신고 반론]
2번이 틀린 게 맞습니다. 소성온도가 1500~2000℃인 것은 보통 벽돌이 아닌 내화 벽돌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

[추가 오류 신고]
2번은 맞는 내용입니다. 보통벽돌의 소성온도는 1500~2000℃입니다.
정답은 4번입니다. 보통벽돌의 압축강도는 1종의 경우 24.50N/mm2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4번]

[추가 오류 신고]
**보통벽돌의 소성온도 900~1000도 이상
    내화벽돌의 소성온도 1500~2000도 이상.

*고시넷 교재 정답 2번.
4번은 24.50으로 표기됨.
[해설작성자 : 고시넷교재]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7. 다음 석재 중 구조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사문암
     2. 화강암
     3. 안산암
     4. 사암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감람암 등의 초염기성암이 열수변질을 받아 만들어 질때가 많고, 대부분 진한 녹색의 무늬가 있어 외관은 아름다우나 강도가 약하고, 풍화해서 흡수, 팽창하는 것이 있으며 터널의 지압이나 옹벽 붕괴의 원인이 될 때가 많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투명도가 높으므로 유기유리라고도 불리며 무색 투명하여 착색이 자유롭고 상온에서도 절단·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는?(2019년 03월)
     1. 폴리에틸렌 수지
     2. 스티롤 수지
     3. 멜라민 수지
     4. 아크릴 수지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유기 글라스
[해설작성자 : 1]

89. 주로 석기질 점토나 상당히 철분이 많은 점토를 원료로 사용하며, 건축물의 패러핏, 주두 등의 장식에 사용되는 공동의 대형 점토제품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4년 05월)
     1. 테라죠
     2. 도관
     3. 타일
     4. 테라코타

     정답 : []
     정답률 : 56%

90. 다음 중 회반죽에 여물을 넣는 가장 주된 이유는?(2009년 05월)
     1.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점성을 높이기 위하여
     3. 경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4. 내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69%

91. 적외선을 반사하는 도막을 코팅하여 방사율을 낮춘 고단열 유리로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로 제조되는 것은?(2016년 05월)
     1. 로이(Low-E)유리
     2. 망입유리
     3. 강화유리
     4. 배강도유리

     정답 : []
     정답률 : 69%

92. 다음 중 중량콘크리트용 골재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2009년 08월)
     1. 석회암
     2. 화강암
     3. 중정석
     4. 슬래그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중량콘크리트용 골재
1. 자철광
2. 중정석
3. 갈철광
[해설작성자 : 민물]

93. 다음 중 강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제강법의 종류가 아 닌 것은?(2009년 03월)
     1. 평로 제강법
     2. 전기로 제강법
     3. 반사로 제강법
     4. 드가니 제강법

     정답 : []
     정답률 : 39%

94.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미장재료의 특성 중 옳은 것은 ?(2004년 05월)
     1. 건조수축이 커서 균열이 생기기 쉽다.
     2. 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 바름벽을 시공할 수 없다.
     3. 킨스시멘트라고도 한다.
     4. 석회보다 보수성, 시공성이 나쁘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2. 재료 반죽시 풀이 필요 없음
3. 킨즈시멘트=경석고 플라스터
4. 반대임
[해설작성자 : 이슬]

95. 석고 플라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경화속도가 느리다.
     2. 내화성을 갖는다.
     3. 경화, 건조시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
     4. 물에 용해되는 성질이 있어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는 부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순수한 석고의 경화시간은 극히 짧아 건축공사에 적합치 않아
경화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혼화재(소석회,돌로마이트플라스터)를 함께사용함.

96. 운모계 광석을 800∼1,000℃정도로 가열 팽창시켜 체적이 5∼6배로 된 다공질의 경석으로 각종 형상 및 공동품의 경량, 보온, 방음, 결로방지의 목적으로 시멘트와 배합하여 제조, 사용되는 석재는?(2004년 03월)
     1. 암면(rock wool)
     2. 질석(vermiculite)
     3. 트래버틴(travertin)
     4. 석면(asbestos)

     정답 : []
     정답률 : 37%

97. 다음 금속 중 방사선 차폐성이 높아 병원의 방사선실 주변에 채용되는 재료는?(2015년 03월)
     1. 강판
     2.
     3. 주석
     4. 니켈

     정답 : []
     정답률 : 74%

98. ALC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ALC란 포화증기 양생 경량기포콘크리트로 주로 지붕, 바닥, 벽재로 사용된다.
     2. ALC는 압축강도가 작아서 구조재로서는 부적합하며 주로 비내력벽으로 사용된다.
     3. ALC는 큰 팽창수축률로 인하여 균열발생이 용이하므로 사용개소에 유의해야 한다.
     4. ALC는 현장에서 절단 및 가공이 용이하며 인력으로 취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1%

99.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분말도가 클수록 수화반응이 촉진된다.
     2. 분말도가 클수록 초기강도는 작으나 장기강도는 크다.
     3. 분말도가 클수록 시멘트 분말이 미세하다.
     4. 분말도가 너무 크면 풍화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시멘트의 분말도 ]
1. 시멘트의 분말도가 클수록 비표면적이 커서 물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므로 수화작용이 빨라 콘크리트의 초기강도가 높고 그 후의 강도의 증진도 크며 골재와의 접착력도 크므로 내구적인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적당하다.
2. 분말도가 너무 크면 풍화되기 쉽다.
3. 화학성분이 같을 때 조기강도를 증진하려고 하면 분말도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4. 분말도가 너무 큰 시멘트는 블리딩이 적고, 워커빌리티가 좋으나, 수축이 커질 염려가 있으며 발열량이 많아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수밀성, 내구성의 면에서도 좋지 못함.
[해설작성자 : 김온지]

100. 폴리머시멘트란 시멘트에 폴리머를 혼입하여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다음 중 개선되는 성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9월)
     1. 내열성
     2. 방수성
     3. 내약품성
     4. 변형성

     정답 : []
     정답률 : 31%

101. 흙속의 전단응력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굴착에 의한 흙의 일부 제거
     2. 지진, 폭파에 의한 진동
     3. 함수비의 감소에 따른 흙의 단위체적 중량의 감소
     4. 외력의 작용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함수비의 감소에 따른 흙의 단위체적 중량의 감소는 전단응력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해설작성자 : ㅇㅇㅈ]

102. 시스템 동바리를 조립하는 경우 수직재와 받침철물 연결부의 겹침길이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받침철물 전체길이 1/2 이상
     2. 받침철물 전체길이 1/3 이상
     3. 받침철물 전체길이 1/4 이상
     4. 받침철물 전체길이 1/5 이상

     정답 : []
     정답률 : 66%

103.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 제출 시 첨부서류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공사현장의 주변 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2. 공사개요서
     3. 전체공정표
     4. 작업인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서류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 시 첨부서류
- 공사개요서
- 전체공정표
- 안전관리조직표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
- 재해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 건설물, 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 공사현장의 주변 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해설작성자 : ㅎㄷ]

104. 투하설비 설치와 관련된 아래 표의 ( )에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58%

105. 산업안전보건법상 화물취급작업 시 관리감독자의 유해 · 위험방지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관계근로자 외의 자의 출입을 금지시키는 일
     2. 기구 및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3. 대피방법을 미리 교육하는 일
     4. 작업방법 및 순서를 결정하고 작업을 지휘하는 일

     정답 : []
     정답률 : 44%

106. 가설통로 설치에 있어 경사가 최소 얼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여야 하는가?(2021년 05월)
     1. 15도
     2. 20도
     3. 30도
     4. 40도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가설경사로 설치 기준
-. 경사 30도 이하로 설치
-.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조치 실시
[해설작성자 : Pepsi]

107. 사다리식통로 설치시 길이가 10cm 이상인 때에는 몇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해야 하는가?(2007년 05월)
     1. 5m
     2. 7m
     3. 9m
     4. 10m

     정답 : []
     정답률 : 57%

108. 다음 중 부재 좌굴에 대한 억제 대책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부재의 끝을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한다.
     2. 부재의 중간에 사재를 연결한다.
     3.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증대시킨다.
     4. 부재의 중간에 보를 연결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109.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계획서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2021년 03월)
     1. 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성능
     2.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경로
     3. 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방법
     4. 차량계 건설기계 사용 시 유도자 배치 위치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차량계 건설기계 사용시 작업계획서의 내용
            1) 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능력
            2)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경로
            3) 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방법

차량계 건설기계 관련 안전규칙
            1) 전도 등의 방지 : 지반의 부동침하 방지, 유도자 배치, 갓길의 붕괴방지, 도로 폭의 유지
            2) 붐 등의 강하에 의한 위험 방지
            3) 운전위치 이탈 시의 조치
            4) 차량계 건설기계 이송 시의 조치
[해설작성자 : 나도 안전관리자]

110. 히빙(Heaving)현상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소단굴착을 실시하여 소단부 흙의 중량이 바닥을 누르게 한다.
     2. 흙막이 벽체 배면의 지반을 개량하여 흙의 전단강도를 높인다.
     3. 부풀어 솟아오르는 바닥면의 토사를 제거한다.
     4. 흙막이 벽체의 근입깊이를 깊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히빙방지대책
1. 흙막이 근입깊이를 깊게
2. 표토제거 하중감소
3. 지반개량
4. 굴착면 하중증가
5. 어스앵커 설치 등
[해설작성자 : 잉용]

111. 지반의 보일링(boiling)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은 어느 것인가?(2006년 05월)
     1. 굴착부와 배면부의 지하수위의 수두차
     2. 굴착부와 배면부의 흙의 중량차
     3. 굴착부와 배면부의 흙의 함수비차
     4. 굴착부와 배면부의 흙의 토압차

     정답 : []
     정답률 : 57%

112. 추락재해 방지를 위한 방망의 그물코 규격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사각 또는 마름모로서 크기가 5센티미터 이하
     2. 사각 또는 마름모로서 크기가 10센티미터 이하
     3. 사각 또는 마름모로서 크기가 15센티미터 이하
     4. 사각 또는 마름모로서 크기가 20센티미터 이하

     정답 : []
     정답률 : 71%

113. 지름이 10cm이고 높이가. 20cm인 원기둥 콘크리트 공시체가 할렬인장강도 시험에서 10,000kg에서 파괴되었다. 이 때 콘크리트의 할렬인장강도는 몇 kg/cm2 인가?(2007년 05월)
     1. 21.8
     2. 31.8
     3. 41.8
     4. 51.8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콘크리트인장강도    2P/(파이*D*L)
[해설작성자 : lily]

114. 건설공사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시 대상액이 구분 되어 있지 않은 공사는 도급계약 또는 자체사업 계획상의 총공사금액 중 얼마를 대상액으로 하는가?(2011년 06월)
     1. 50%
     2. 60%
     3. 70%
     4. 80%

     정답 : []
     정답률 : 54%

115.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최대 몇 도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9년 03월)
     1. 60도
     2. 75도
     3. 80도
     4. 90도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고정 90도
일반식 75도
[해설작성자 : 한번]

116. 사질지반 굴착 시, 굴착부와 지하수위차가 있을 때 수두차에 의하여 삼투압이 생겨 흙막이벽 근입부분을 침식하는 동시에 모래가 액상화되어 솟아오르는 현상은?(2019년 03월)
     1. 동상현상
     2. 연화현상
     3. 보일링현상
     4. 히빙현상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보일링 사질
히빙     점토
[해설작성자 : 한번]

117. 철골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풍속이 초당 10m 이상인 경우
     2. 지진이 진도 4 이상의 경우
     3. 강우량이 시간당 1mm 이상의 경우
     4.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의 경우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철골작업 중지기준>
ㆍ풍속이 초당 10m (10m/s) 이상
ㆍ강우량이 시간당 1mm (1mm/h) 이상
ㆍ강설량이 시간당 1cm (1cm/h) 이상
[해설작성자 : 열공이영]

118. 양중기에 사용하여서는 안되는 와이어로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08년 03월)
     1. 이음매가 있는 것
     2. 지름의 감속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3.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4.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5%이상인 것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 → 10%이상인 것
[해설작성자 : 인하대 화이팅]

119. 토질시험 중 연약한 점질토 지반의 점착력을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현장시험은?(2004년 05월)
     1. 베인테스트(Vane Test)
     2. 표준관입시험(SPT)
     3. 하중재하시험
     4. 삼축압축시험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베인시험 vane shear test
강철로 만든 +형 날개(vane)를 지중에 관입하고 회전시킬 때의 회전저항치를 측정하여 전단강도를 구하는 일종의 직접전단시험
실내시험과 원위치시험이 있다. 주로 연약한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를 구하는데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양구니]

120. 근로자의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때 상부난간대는 바닥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높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2009년 08월)
     1. 30cm 이상 60cm 이하
     2. 60cm 이상 90cm 이하
     3. 90cm 이상 120cm 이하
     4. 120cm 이상 150cm 이하

     정답 : []
     정답률 : 5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24618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56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9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5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54 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5일)(48242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53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1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52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8월3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5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보건행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50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49 화약취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01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48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5일)(578971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47 9급 지방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46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45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44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43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5일)(695825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42 계리직공무원 컴퓨터 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2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541 에너지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540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53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86671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53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24618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9 Next
/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