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456505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구분


1. 2000kW, 역률 75%인 부하를 역률 95%까지 개선하는 데 필요한 콘덴서의 용량은 약 몇 kVA 인가?(2015년 10월)
     1. 916
     2. 1106
     3. 1306
     4. 1506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000(√­ ̄(1-0.752)/0.75-√ ̄(1-0.952)/0.95) = 1106.465997019

이천 (루트(1-0.75제곱)/0.75 - 루트)1-0.95제곱)/0.95 = 1106.465997019
[해설작성자 : 취준생]

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단결정 모듈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5년 04월)
     1. 제조 공정이 매우 간단하다.
     2. 발전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3. 제조 온도가 높다.
     4. 형상 변화가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다결정 모듈이 단결정 모듈보다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제조원가도 낮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3. 바이패스 소자의 역내 전압은 셀의 최대 출력전압의 몇 배 이상이 되도록 선정해야 하는가?(2015년 10월)
     1. 0.7
     2. 1.5
     3. 2.0
     4. 3.5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바이패스소자 역내전압은 셀스트링의 공칭최대출력전압의 1.5배이상되도록 선정
[해설작성자 : ㆍ윤동훈 ]

4. 태양전지 모듈의 기대수명은 몇 년 이상으로 하는가?(2015년 04월)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태양전지 모듈의 기대수명은 보통 20년 이상이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5. 트랜스리스방식 인버터 제어회로의 주요기능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전압·전류 제어기능
     2. MPPT 제어기능
     3. 전력변환 기능
     4. 계통연계 보호기능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인버터의 주요기능
- 전압·전류 제어기능
- MPPT 제어기능
- 계통연계 보호기능

* MIPPT는 오타인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6.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분전반에 설치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전압계
     2. 피뢰소자
     3. 차단기
     4. 인버터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기기설치 공사는 어레이, 접속함, PCS, 분전반 설치공사로 나누어 시공한다.
그러므로 인버터는 분전반과는 별도로 설치하고 분전반에는 차단기, 피뢰소자, 전압계 등을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분반전에는 차단기, 피뢰소자, 전압계 등을 설치한다고 표시해주셧는데요 그렇게 되면 정답은 인버터가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건축 설계부]

[오류신고 반론]
인버터는 분전반과는 "별도"로 설치하고
분전반에는 차단기, 피뢰소자, 전압계 등을 설치한다.
인버터 맞아유
[해설작성자 : 여러분 독서가 이렇게 중요합니다]

7. 태양전지 어레이와 인버터의 접속방식 아닌 것은?(2014년 10월)
     1. 중앙 집중형 인버터 방식
     2. 스트링 인버터 방식
     3. 마스터-슬레이브 방식
     4. 다중접속 인버터 방식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태양전지 어레이와 인버터의 접속방식

1. 중앙 집중형 인버터
2. 스트링 인버터
3. 마스터 슬레이브
[해설작성자 : 부기공메카 떡강정]

8. 태양전지 모듈의 공칭최대출력은 표준시험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한다. 다음 중 KSC에 규정된 표준시험 조건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2015년 10월)

   

     1. ㉠ 500 W/m2 ㉡ 1.0 ㉢ 25℃
     2. ㉠ 500 W/m2 ㉡ 1.5 ㉢ 20℃
     3. ㉠ 1000 W/m2 ㉡ 1.0 ㉢ 20℃
     4. ㉠ 1000 W/m2 ㉡ 1.5 ㉢ 25℃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표준시험조건
일사강도 1,000W/m2, 태양전지 온도 25°C,풍속 1m/s, 일사강도 AM(대기질량)1.5
[해설작성자 : 광자고1]

9. 태양전지 모듈에 입사된 빛 에너지가 변환되어 발생하는 전기적 출력의 특성을 전류-전압특성이라고 한다. 이의 표시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단락전류
     2. 개방전압
     3. 최대출력동작전류
     4. 최소출력동작전압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최대출력: 최대출력 동작전압x최대출력 동작전류
개방전압: 태양전지 양극 간을 개방한 상태의 전압
단락전류: 태양전지 양극 간을 단락한 상태에서 흐르는 전류
최대출력 동작전압: 최대출력 시의 동작전압
최대출력 동작전류: 최대출력 시의 동작전류
[해설작성자 : 풍문고 이가연]

10. 태양전지 모듈에 수직으로 빛이 입사하여 발전 단자의 출력전압이 40 V, 전류가 4.5 A의 출력 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준시험 조건에서 태양전지 모듈에 입사한 태양 에너지가 1000 W/m2 일 때 모듈의 효율은 몇 %인가?(2013년 10월)
     1. 8.9%
     2. 11.3%
     3. 18.0%
     4. 19.8%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변환효율 = 전력/(입사되는 태양에너지 * 면적)
= (출력전압 * 전류)/(태양에너지 * 면적)
= (40 * 4.5)/(1000 * 1)
= 180/1000 = 0.18 = 18%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11. MOSFET의 회로소자 기호는?(2015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트랜지스터(PNP형)
2. TRIAC
3. MOSFET
4. IGBT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12. 그림은 2.4Ω의 저항 부하를 갖는 단상 반파브리지 인버터이다. 직류 입력전압(Vs)이 48V이면 출력은 몇 W 인가?(2014년 10월)

    

     1. 240
     2. 480
     3. 720
     4. 96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I=V/R = 24/2.4
= 10A
P/2 = (1/2) * 24 * 10 = 120W
120W는 반주기이므로 120W + 120W = 240W이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V= Vs/2 = 48/2 = 24
P= VI = V^2/R = 24^2 / 2.4 =240W
[해설작성자 : 뚜오]

13. 태양광 발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10월)
     1. 출력이 날씨에 제한을 받는다.
     2. 출력이 수요변동에 대응할 수 없다.
     3. 발전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
     4. 태양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태양의 열에너지가 아니라 빛에너지릉 이용
[해설작성자 : 깔깔]

14. 태양전지 모듈에 다른 태양전지 회로 및 축전지의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2013년 10월)
     1. 바이패스소자
     2. 역류방지소자
     3. 접속함
     4. 피뢰소자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역류방지소자 : 태양전지 모듈에서 다른 태양전지 회로나 축전지에서의 전류가 돌아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15. 지붕 설치형 방식 중 평지붕형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방수 등의 방수층 위에 철골 가대를 설치하고 모듈을 설치한다.
     2. 주로 공공기관이나 학교 등의 옥상에 설치하는 사례가 많다.
     3. 설치 공법으로서 각 모듈 제조회사의 표준 사양으로 되어 있다.
     4. 태양전지 모듈 자체가 지붕재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타입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는 지붕건재형에 대한 설명으로 주로 신축주택용으로 많이 설치된다.
[해설작성자 : 순공]

16. 결정계 태양전지 모듈의 온도가 상승될 때 나타나는 특성은?(2015년 10월)
     1. 최대출력이 저하한다.
     2. 개방전압이 상승한다.
     3. 방사조도가 감소한다.
     4. 바이패스전압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실리콘 태양전지의 모듈 출력특성
1)일사강도가 동일한 경우에 여름에 비해 겨울의 출력이 높다.
2)단락 전류는 일사강도에 비례
3)결정계 모듈의 온도가 상승하면 개방전압과 최대출력은 저하, 단락전류는 미미한 상승을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원직업전문학교 학생]

17. 다결성 실리콘 태양전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외관이 균등하다.
     2. 단결정 대비 가격이 싸다.
     3. 단결정 대비 효율이 높다.
     4. 형태는 대부분이 원형으로 제조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변환효율 다결성<단결정
제조비용 다결성<단결정

단결정: 원주형(네 귀퉁이가 원형형태)
다결성: 사각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태양광 발전량의 제한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 우리나라 일사량은 전 지역에 동일하다.
     2. 계절 중 겨울에 발전량이 가장 많다.
     3. 태양광이 모듈표면에 20°로 쬐일 때 발전량이 최대이다.
     4. 태양전지 어레이를 정남향으로 배치시 발전량이 최대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일사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2. 봄, 가을에 발전량이 가장 많다.
3. 25도 일때가 최대이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19. 태양전지 모듈 뒷면에 기재된 전기적 출력 특성으로 틀린 것은?(2014년 10월)
     1. 온도계수(T0)
     2. 개방전압(Voc)
     3. 단략전류(Isc)
     4. 최대출력(Pmpp)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개방전압(voc), 단락전류(isc),최대전력(pmpp), 최대전압(vmpp),최대전류(impp) 어레이 뒷면에 명판에 기제된 내용임.
[해설작성자 : 경북산업직업전문학교 ]

20.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햇빛이 있는 곳이면 어느 곳에서나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2. 한번 설치해 놓으면 유지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3. 무소음 및 무진동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4. 낮은 에너지 밀도로 다량의 전기를 생산할 때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4번은 태양광발전설비시스템의 단점이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2과목 : 임의구분


21. 설치공사 단계 중 어레이 방수공사는 어느 설치공사에 포함되는가?(2015년 10월)
     1. 어레이 기초공사
     2. 어레이 가대공사
     3. 어레이 설치공사
     4. 어레이 접지공사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초 공사 시 방수 작업을 먼저 진행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인버터회로에 절연내력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시험전압을 몇 분간 인가하여 절연파괴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하는가?(2015년 04월)
     1. 1분
     2. 3분
     3. 5분
     4. 10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태양전지 모듈은 최대사용전압 1.5배의 직류전압 또는 1배의 교류전압을 10분간 시험전압을 인가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23. 태양전지 모듈의 배선작업이 끝난 후 확인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각 모듈의 극성확인
     2. 전압확인
     3. 단락전류 측정
     4. 전력량계 동작확인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전력량계 동작확인은 모든 설치작업이 끝난 상태에서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필달(인평)]

24. 아래 그림과 같이 지붕위에 설치한 태양전지 어레이에서 접속함으로 복수의 케이블을 배선하는 경우 케이블은 반드시 물빼기를 하여야 한다. 그림에서 P점의 케이블은 외경의 몇 배 이상으로 구부려 설치하여야 하는가?(2015년 10월)

    

     1. 2배
     2. 3배
     3. 4배
     4. 6배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원칙적으로 6배 이상인 반경으로 배선.
모양이 6처럼 생겼으니 6배라고 외우자
[해설작성자 : 광자고1]

25.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옥외 배선용으로 사용되는 전선은?(2016년 04월)
     1. UTP 케이블
     2. STP 케이블
     3. UV 케이블
     4. FCVV-SB 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옥내:[모듈전용선,XLPE 케이블,직류용 전선]
옥외:[UV 케이블]
[해설작성자 : 광자고1]

26. 태양전지 모듈 설치 시 감전방지 대책에서 틀린 것은?(2013년 10월)
     1. 작업 전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 차광시트를 붙여 태양광을 차폐한다.
     2. 강우 시에는 태양광이 없기 때문에 작업을 해도 괜찮다.
     3. 절연 처리된 공구를 사용한다.
     4. 저압절연 장갑을 착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강우 시에는 안전사고(감전,미끄럼) 등의 문제로 작업을 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27. 강우 시 태양전지 모듈 표면으로 흙탕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면으로부터 몇 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는가?(2016년 04월)
     1. 0.4
     2. 0.6
     3. 0.8
     4. 1.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강우 시에는 태양전지 모듈 표면에 물이 떨어져 흙탕물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모듈 표면의 광학적 특성을 변화시켜 전력 발전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듈 표면으로부터 0.6m 높이로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는 이 높이에서는 물이 모듈 표면에 닿지 않고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설원]

28. 부하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태양전지가 발전할 때 단자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2016년 04월)
     1. 개방전압
     2. 단락전압
     3. 정격전압
     4. 부하전압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부하가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은 무부하 상태이므로, 이 상태에서 걸리는 전압은 개방전압이 된다.

29. 태양전지 가대의 녹방지를 위하여 비교적 저렴하고 장기적 사용이 가능한 방법은?(2016년 04월)
     1. 불소계 도장
     2. 용융아연도금
     3. 에폭시계 도장
     4. 폴리우레탄계 도장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가대에 녹을방지 하기위한 처리방법으론 용융아연도금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교통대 태양광전기제어 과정 학생]

30. 케이블의 단말처리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방법은?(2015년 04월)
     1. 면 테이프로 단단하게 감는다.
     2. 비닐 절연테이프를 단단하게 감는다.
     3. 자기융착 절연테이프만 여러 번 당기면서 겹쳐 감는다.
     4. 자기융착 절연테이프를 겹쳐서 감고 그 위에 다시 보호 테이프로 감는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자기융착 절연테이프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위에 다시 "보호 테이프"로 감아야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31. 태양전지 어레이 육안점검 항목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파손유무
     2. 개방전압
     3. 부식 및 녹이 없을 것
     4. 볼트 및 너트의 풀림이 없을 것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개방전압을 확인하려면 관련 계측기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수원직업전문학교 학생]

32. 태양전지 어레이 측정점검요령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접지저항 및 접지
     2. 나사의 풀림 여부
     3. 유리 등 표면의 오염 및 파손
     4. 가대의 부식 및 녹 발생 유무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나머지 3항목은 육안검사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신규연]

33.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인버터 설비 정기점검 시 측정 및 시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10월)
     1. 절연저항
     2. 외부배선의 손상
     3. 표시부 동작 확인
     4. 투입저지 시한 타이머 동작시험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외부 배선의 손상 여부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원직업전문학교 학생]

34. 태양광모듈이 태양광에 노출되는 경우에 따라서 유기되는 열화정도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는?(2013년 10월)
     1. 항온항습장치
     2. 염수수분장치
     3. 온도사이클시험장치
     4. UV시험장치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UV시험은 태양전지 모듈의 열화 정도를 시험한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35. 전기안전관리 대행범위가 700kW 초과인 전기설비 규모인 경우 점검 주기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 월 1회 이상
     2. 월 2회 이상
     3. 월 3회 이상
     4. 월 4회 이상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초과 300이하 : 월1회
300초과 500이하 : 월2회
500초과 700이하 : 월3회
700초과 1000미만 : 월4회
1000kW 이상시 상주 안전관리자 필요
[해설작성자 : 전기쟁이]

36. 인버터의 육안점검 항목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통풍 확인
     2. 축전지 변색
     3. 외부배선의 손상
     4. 외함의 부식 및 파손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인버터의 육안점검 항목
1. 외함의 부식, 손상 - 부식과 녹X, 충전부 노출X
2. 외부배선(케이블)의 손상 - 접속된 배선에 손상X
3. 환기 확인 - 환기구 통풍
4. 이상음, 악취, 과열 - 운전시 앞서 말한 것이 없을 것
5. 표시부의 이상표시 - 이상표시X
6. 발전현황 - 발전상황에 이상X
[해설작성자 : 이렇게 하는 게 맞나요?]

37. 보수점검 작업 후 최종점검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5년 10월)
     1. 작업자가 반 내에 있는지 확인한다.
     2. 회로도에 의한 검토를 했는지 확인한다.
     3. 공구 및 장비가 버려져 있는지 확인한다.
     4. 볼트 조임 작업을 완벽하게 하였는지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2번은 보수점건 전에 하는 것이다.

38. 분산형 전원발전설비를 연계하고자 하는 지점의 계통전압은 몇 % 이상 변동되지 않도록 계통에 연계해야 하는가?(2015년 04월)
     1. ±4
     2. ±8
     3. ±12
     4. ±16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분산형 전원발전설비는 연계하고자 하는 지점의 계통전압이 ±4% 이상 변동되지 않도록 연계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39. 다음 중 표준화의 효과로 틀린 것은?(2015년 10월)
     1. 작업 능률 향상
     2. 부품의 호환성 증가
     3. 품질의 향상과 균일성의 유지
     4. 생산능률의 증진과 생산 원가 증가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4. 생산능률의 증진과 생산 원가의 감소가 되어야 한다

40. 인버터의 정상특성시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10월)
     1. 교류전압, 주파수 추종 시험
     2. 인버터 전력급변 시험
     3. 누설전류 시험
     4. 자동 기동·정지 시험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인버터의 정상특성시험
- 교류전압, 주파수 추종시험, 누설전류시험, 자동기동.정지시험, 교류출력전류 변형률시험, 온도상승시험, 효율시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41. 태양광 발전설비 유지보수 시 설비의 운전 중 주로 육안에 의해서 실시해야 하는 점검은?(2013년 10월)
     1. 운전점검
     2. 일상점검
     3. 정기점검
     4. 임시점검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일상점검은 육안점검으로 이루어지고, 정기점검은 육안점검과 시험 및 측정으로 이루어진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42. 태양광발전 설비의 변압기 보수 정기점검 개소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유면계
     2. 온도계
     3. 기록계
     4. 가스압력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변압기에는 기록계가 들어가지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yougane]

43. 인버터 절연성능시험 항목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절연저항시험
     2. 내전압시험
     3. 주파수저항시험
     4. 감전보호시험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인버터 절연성능시험 항목

- 절연저항시험
- 내전압시험
- 감전보호시험
- 절연거리시험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44. 정전작업 전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단락접지기구로 단락접지
     2. 개폐기 투입으로 송전 재개
     3. 검전기로 개로된 전로의 충전 여부 확인
     4. 전력 테이블, 전력 콘덴서 등의 잔류전하의 방전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개폐기 투입 on 하면....아파용~~~전기 올라서 아파용
[해설작성자 : 현대에어컨]

45. 태양광 모듈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2015년 04월)
     1. 태양광에 의한 열화
     2. 기상환경에 의한 열화
     3. 열에 의한 열화
     4. 기계적 충격에 의한 열화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태양광에 의한 열화는 20년 이상 버틸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요인들에 비해 수명과 가장 관계가 적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46. 태양광발전 시설에 대한 점검 후의 유의사항 중 최종 작업자가 최종 확인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회로도에 의한 검토를 시행한다.
     2. 볼트 조임 작업을 모두 재점검 한다.
     3. 쥐, 곤충 등이 침입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4. 점검을 위해 임시로 설치한 설치물의 철거가 지연되고 있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은 점검 전의 유의사항이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1]작업자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송 배전반 내에서 작업 중인지 확인
2]점검을 위해 임시로 설치한 설치물의 철거가 지연되고 있지 않았는지 확인
3]볼트조임 작업을 모두 재점검
4]쥐,곤충 등이 침임하지 않았는지 확인
5]공구 등이 시설물 내부에 방치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
[해설작성자 : 수원직업전문학교 학생]

47. 정기 점검 시 접속함의 육안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개방전압
     2. 외함의 부식 및 파손
     3. 접지선의 손상 및 접지단자의 풀림
     4. 외부 배선의 손상 및 접속단자의 풀림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접지선의 손상 및 접지단자의 풀림, 외부 배선의 손상 및 접속단자의 풀림, 외함의 부식 및 파손은 육안으로 볼수있는것이다.
단자는 육안으로 볼 수 있고, 2번에 외함이라하니 육안에 볼수있다
[해설작성자 : 마이스터고 태양과]

48. 다음 중 태양광 발전시스템 관련 전기관계 법규가 아닌 것은?(2014년 10월)
     1. 전기설비기술기준
     2. 전기사업법
     3. 전기공사업법
     4. 전기안전관리법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태양광발전시스템 관련 전기관계 법규
- 전기사업법
- 전기공사업법
-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49.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발전 모듈의 성능 시험 중 외관검사 시 몇 lx 이상의 광 조사상태에서 검사를 해야 하는가?(2015년 10월)
     1. 100
     2. 250
     3. 500
     4. 1000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발전 모듈은 일반적으로 1000 lx 이상의 광 조사상태에서 검사를 해야 합니다. 이는 모듈의 최대 출력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광량이며, 1000 lx 이하의 광량에서는 모듈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설원]

50. 태양광 발전소 일상점검요령으로 틀린 것은?(2013년 10월)
     1. 태양전지 어레이에 현저한 오염 및 파손이 없을 것
     2. 인버터 운전시 이상냄새, 이상과열이 없을 것
     3. 접속함 외함에 파손이 없을 것
     4. 인버터 통풍구가 막혀 있을 것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인버터에서는 열이 많이 발생되므로 통풍구는 항상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51. 시간대별로 전력거래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전력량계를 설치· 관리하는 자가 아닌 것은?(2015년 10월)
     1. 배전사업자
     2. 자가용전기설비를 설치한 자
     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발전사업자
     4. 전력을 직접 구매하는 전기사용자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발전사업자는 가능하지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는 제외됩니다.
[해설작성자 : 열심히]

52. 신ㆍ재생에너지의 가중치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발전량
     2. 발전원가
     3.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미치는 효과
     4. 환경, 기술개발 및 산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가중치는 환경, 기술개발 및 산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발전 원가, 부존 잠재량,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미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산업 통상 자원부장관이 선정한다.
[해설작성자 : 코알라]

53. 개인대행자가 안전관리의 업무를 대행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용량은 몇 kW 미만인가?(2014년 10월)
     1. 250
     2. 500
     3. 750
     4. 10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대행사업자랑 헷갈려서 4번을 고른 경우가 많았을 겁니다. 대행사업자는 1000킬로와트가 맞지만 개인대행자는 250킬로와트입니다.
[해설작성자 : 테르나]

54. 법에 따라 해당하는 자의 장 또는 대표자가 해당하는 건축물을 신축 · 증축 또는 개축하려는 경우에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설치계획서를 해당 건축물에 대한 신축허가를 신청하기 전에 누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2013년 10월)
     1. 산업통상자원부장관
     2. 안전행정부장관
     3. 국토교통부장관
     4. 기획재정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55. 태양광 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4년 10월)
     1. 태양의 열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거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설비
     2. 바람의 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
     3.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으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4. 태양의 빛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거나 채광에 이용하는 설비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 태양열
2. 풍력
3. 연료전지
4. 태양광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56. 지중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차량 기타의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의 매설 깊이는 몇 m 이상인가?(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적용)(2014년 10월)
     1. 0.6
     2. 1.0
     3. 1.5
     4. 2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조(시행일) 이 공고는 공고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54조제1항제7호[공고 제2019-195호(2019. 3. 25.) 포함]의 규정은 2021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57.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의 이용·보급을 촉진하는 보급사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10월)
     1. 신기술의 적용사업 및 시범사업
     2.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지 아니한 보급사업
     3. 환경친화적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및 시범단지 조성사업
     4. 실용화된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보급을 지원하는 사업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보급사업도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58. 저압 가공인입선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전선은?(2014년 10월)
     1. 케이블
     2. 나전선
     3. 절연전선
     4. 다심형전선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나전선은 송전용이나 접지선으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59. 태양전지 모듈 가대에 실시하는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을 지하 75cm부터 지표상 2m 까지 보호하는데 사용 가능한 전선관은? (단, 두께 2mm 미만 및 난연성이 없는 것은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04월)
     1. 금속전선관
     2. 금속가요관
     3. 콤바인덕트관
     4. 합성수지관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접지선의 지하 75cm로부터 지표상 2m까지의 부분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합성수지관(두께 2mm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난연성이 없는 콤바인덕트관은 제외)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절연효력 및 강도를 가지는 몰드로 덮을것
[해설작성자 : 규]

(2021년 변경된 KEC 규정에 따라서 종별 접지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60. 일반용전기설비의 점검서류에 기록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2013년 10월)
     1. 점검 연월일
     2. 점검의 결과
     3. 점검의 비용
     4. 점검자의 성명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전기설비 점검 서류에는 비용을 기재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정 답 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456505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구분


1. 2000kW, 역률 75%인 부하를 역률 95%까지 개선하는 데 필요한 콘덴서의 용량은 약 몇 kVA 인가?(2015년 10월)
     1. 916
     2. 1106
     3. 1306
     4. 1506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000(√­ ̄(1-0.752)/0.75-√ ̄(1-0.952)/0.95) = 1106.465997019

이천 (루트(1-0.75제곱)/0.75 - 루트)1-0.95제곱)/0.95 = 1106.465997019
[해설작성자 : 취준생]

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단결정 모듈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5년 04월)
     1. 제조 공정이 매우 간단하다.
     2. 발전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3. 제조 온도가 높다.
     4. 형상 변화가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다결정 모듈이 단결정 모듈보다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제조원가도 낮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3. 바이패스 소자의 역내 전압은 셀의 최대 출력전압의 몇 배 이상이 되도록 선정해야 하는가?(2015년 10월)
     1. 0.7
     2. 1.5
     3. 2.0
     4. 3.5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바이패스소자 역내전압은 셀스트링의 공칭최대출력전압의 1.5배이상되도록 선정
[해설작성자 : ㆍ윤동훈 ]

4. 태양전지 모듈의 기대수명은 몇 년 이상으로 하는가?(2015년 04월)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태양전지 모듈의 기대수명은 보통 20년 이상이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5. 트랜스리스방식 인버터 제어회로의 주요기능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전압·전류 제어기능
     2. MPPT 제어기능
     3. 전력변환 기능
     4. 계통연계 보호기능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인버터의 주요기능
- 전압·전류 제어기능
- MPPT 제어기능
- 계통연계 보호기능

* MIPPT는 오타인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6.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분전반에 설치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전압계
     2. 피뢰소자
     3. 차단기
     4. 인버터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기기설치 공사는 어레이, 접속함, PCS, 분전반 설치공사로 나누어 시공한다.
그러므로 인버터는 분전반과는 별도로 설치하고 분전반에는 차단기, 피뢰소자, 전압계 등을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분반전에는 차단기, 피뢰소자, 전압계 등을 설치한다고 표시해주셧는데요 그렇게 되면 정답은 인버터가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건축 설계부]

[오류신고 반론]
인버터는 분전반과는 "별도"로 설치하고
분전반에는 차단기, 피뢰소자, 전압계 등을 설치한다.
인버터 맞아유
[해설작성자 : 여러분 독서가 이렇게 중요합니다]

7. 태양전지 어레이와 인버터의 접속방식 아닌 것은?(2014년 10월)
     1. 중앙 집중형 인버터 방식
     2. 스트링 인버터 방식
     3. 마스터-슬레이브 방식
     4. 다중접속 인버터 방식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태양전지 어레이와 인버터의 접속방식

1. 중앙 집중형 인버터
2. 스트링 인버터
3. 마스터 슬레이브
[해설작성자 : 부기공메카 떡강정]

8. 태양전지 모듈의 공칭최대출력은 표준시험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한다. 다음 중 KSC에 규정된 표준시험 조건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2015년 10월)

   

     1. ㉠ 500 W/m2 ㉡ 1.0 ㉢ 25℃
     2. ㉠ 500 W/m2 ㉡ 1.5 ㉢ 20℃
     3. ㉠ 1000 W/m2 ㉡ 1.0 ㉢ 20℃
     4. ㉠ 1000 W/m2 ㉡ 1.5 ㉢ 25℃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표준시험조건
일사강도 1,000W/m2, 태양전지 온도 25°C,풍속 1m/s, 일사강도 AM(대기질량)1.5
[해설작성자 : 광자고1]

9. 태양전지 모듈에 입사된 빛 에너지가 변환되어 발생하는 전기적 출력의 특성을 전류-전압특성이라고 한다. 이의 표시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단락전류
     2. 개방전압
     3. 최대출력동작전류
     4. 최소출력동작전압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최대출력: 최대출력 동작전압x최대출력 동작전류
개방전압: 태양전지 양극 간을 개방한 상태의 전압
단락전류: 태양전지 양극 간을 단락한 상태에서 흐르는 전류
최대출력 동작전압: 최대출력 시의 동작전압
최대출력 동작전류: 최대출력 시의 동작전류
[해설작성자 : 풍문고 이가연]

10. 태양전지 모듈에 수직으로 빛이 입사하여 발전 단자의 출력전압이 40 V, 전류가 4.5 A의 출력 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준시험 조건에서 태양전지 모듈에 입사한 태양 에너지가 1000 W/m2 일 때 모듈의 효율은 몇 %인가?(2013년 10월)
     1. 8.9%
     2. 11.3%
     3. 18.0%
     4. 19.8%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변환효율 = 전력/(입사되는 태양에너지 * 면적)
= (출력전압 * 전류)/(태양에너지 * 면적)
= (40 * 4.5)/(1000 * 1)
= 180/1000 = 0.18 = 18%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11. MOSFET의 회로소자 기호는?(2015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트랜지스터(PNP형)
2. TRIAC
3. MOSFET
4. IGBT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12. 그림은 2.4Ω의 저항 부하를 갖는 단상 반파브리지 인버터이다. 직류 입력전압(Vs)이 48V이면 출력은 몇 W 인가?(2014년 10월)

    

     1. 240
     2. 480
     3. 720
     4. 96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I=V/R = 24/2.4
= 10A
P/2 = (1/2) * 24 * 10 = 120W
120W는 반주기이므로 120W + 120W = 240W이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V= Vs/2 = 48/2 = 24
P= VI = V^2/R = 24^2 / 2.4 =240W
[해설작성자 : 뚜오]

13. 태양광 발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10월)
     1. 출력이 날씨에 제한을 받는다.
     2. 출력이 수요변동에 대응할 수 없다.
     3. 발전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
     4. 태양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태양의 열에너지가 아니라 빛에너지릉 이용
[해설작성자 : 깔깔]

14. 태양전지 모듈에 다른 태양전지 회로 및 축전지의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2013년 10월)
     1. 바이패스소자
     2. 역류방지소자
     3. 접속함
     4. 피뢰소자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역류방지소자 : 태양전지 모듈에서 다른 태양전지 회로나 축전지에서의 전류가 돌아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15. 지붕 설치형 방식 중 평지붕형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방수 등의 방수층 위에 철골 가대를 설치하고 모듈을 설치한다.
     2. 주로 공공기관이나 학교 등의 옥상에 설치하는 사례가 많다.
     3. 설치 공법으로서 각 모듈 제조회사의 표준 사양으로 되어 있다.
     4. 태양전지 모듈 자체가 지붕재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타입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는 지붕건재형에 대한 설명으로 주로 신축주택용으로 많이 설치된다.
[해설작성자 : 순공]

16. 결정계 태양전지 모듈의 온도가 상승될 때 나타나는 특성은?(2015년 10월)
     1. 최대출력이 저하한다.
     2. 개방전압이 상승한다.
     3. 방사조도가 감소한다.
     4. 바이패스전압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실리콘 태양전지의 모듈 출력특성
1)일사강도가 동일한 경우에 여름에 비해 겨울의 출력이 높다.
2)단락 전류는 일사강도에 비례
3)결정계 모듈의 온도가 상승하면 개방전압과 최대출력은 저하, 단락전류는 미미한 상승을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원직업전문학교 학생]

17. 다결성 실리콘 태양전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외관이 균등하다.
     2. 단결정 대비 가격이 싸다.
     3. 단결정 대비 효율이 높다.
     4. 형태는 대부분이 원형으로 제조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변환효율 다결성<단결정
제조비용 다결성<단결정

단결정: 원주형(네 귀퉁이가 원형형태)
다결성: 사각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태양광 발전량의 제한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 우리나라 일사량은 전 지역에 동일하다.
     2. 계절 중 겨울에 발전량이 가장 많다.
     3. 태양광이 모듈표면에 20°로 쬐일 때 발전량이 최대이다.
     4. 태양전지 어레이를 정남향으로 배치시 발전량이 최대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일사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2. 봄, 가을에 발전량이 가장 많다.
3. 25도 일때가 최대이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19. 태양전지 모듈 뒷면에 기재된 전기적 출력 특성으로 틀린 것은?(2014년 10월)
     1. 온도계수(T0)
     2. 개방전압(Voc)
     3. 단략전류(Isc)
     4. 최대출력(Pmpp)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개방전압(voc), 단락전류(isc),최대전력(pmpp), 최대전압(vmpp),최대전류(impp) 어레이 뒷면에 명판에 기제된 내용임.
[해설작성자 : 경북산업직업전문학교 ]

20.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햇빛이 있는 곳이면 어느 곳에서나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2. 한번 설치해 놓으면 유지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3. 무소음 및 무진동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4. 낮은 에너지 밀도로 다량의 전기를 생산할 때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4번은 태양광발전설비시스템의 단점이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2과목 : 임의구분


21. 설치공사 단계 중 어레이 방수공사는 어느 설치공사에 포함되는가?(2015년 10월)
     1. 어레이 기초공사
     2. 어레이 가대공사
     3. 어레이 설치공사
     4. 어레이 접지공사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초 공사 시 방수 작업을 먼저 진행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인버터회로에 절연내력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시험전압을 몇 분간 인가하여 절연파괴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하는가?(2015년 04월)
     1. 1분
     2. 3분
     3. 5분
     4. 10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태양전지 모듈은 최대사용전압 1.5배의 직류전압 또는 1배의 교류전압을 10분간 시험전압을 인가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23. 태양전지 모듈의 배선작업이 끝난 후 확인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각 모듈의 극성확인
     2. 전압확인
     3. 단락전류 측정
     4. 전력량계 동작확인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전력량계 동작확인은 모든 설치작업이 끝난 상태에서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필달(인평)]

24. 아래 그림과 같이 지붕위에 설치한 태양전지 어레이에서 접속함으로 복수의 케이블을 배선하는 경우 케이블은 반드시 물빼기를 하여야 한다. 그림에서 P점의 케이블은 외경의 몇 배 이상으로 구부려 설치하여야 하는가?(2015년 10월)

    

     1. 2배
     2. 3배
     3. 4배
     4. 6배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원칙적으로 6배 이상인 반경으로 배선.
모양이 6처럼 생겼으니 6배라고 외우자
[해설작성자 : 광자고1]

25.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옥외 배선용으로 사용되는 전선은?(2016년 04월)
     1. UTP 케이블
     2. STP 케이블
     3. UV 케이블
     4. FCVV-SB 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옥내:[모듈전용선,XLPE 케이블,직류용 전선]
옥외:[UV 케이블]
[해설작성자 : 광자고1]

26. 태양전지 모듈 설치 시 감전방지 대책에서 틀린 것은?(2013년 10월)
     1. 작업 전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 차광시트를 붙여 태양광을 차폐한다.
     2. 강우 시에는 태양광이 없기 때문에 작업을 해도 괜찮다.
     3. 절연 처리된 공구를 사용한다.
     4. 저압절연 장갑을 착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강우 시에는 안전사고(감전,미끄럼) 등의 문제로 작업을 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27. 강우 시 태양전지 모듈 표면으로 흙탕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면으로부터 몇 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는가?(2016년 04월)
     1. 0.4
     2. 0.6
     3. 0.8
     4. 1.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강우 시에는 태양전지 모듈 표면에 물이 떨어져 흙탕물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모듈 표면의 광학적 특성을 변화시켜 전력 발전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듈 표면으로부터 0.6m 높이로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는 이 높이에서는 물이 모듈 표면에 닿지 않고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설원]

28. 부하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태양전지가 발전할 때 단자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2016년 04월)
     1. 개방전압
     2. 단락전압
     3. 정격전압
     4. 부하전압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부하가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은 무부하 상태이므로, 이 상태에서 걸리는 전압은 개방전압이 된다.

29. 태양전지 가대의 녹방지를 위하여 비교적 저렴하고 장기적 사용이 가능한 방법은?(2016년 04월)
     1. 불소계 도장
     2. 용융아연도금
     3. 에폭시계 도장
     4. 폴리우레탄계 도장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가대에 녹을방지 하기위한 처리방법으론 용융아연도금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교통대 태양광전기제어 과정 학생]

30. 케이블의 단말처리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방법은?(2015년 04월)
     1. 면 테이프로 단단하게 감는다.
     2. 비닐 절연테이프를 단단하게 감는다.
     3. 자기융착 절연테이프만 여러 번 당기면서 겹쳐 감는다.
     4. 자기융착 절연테이프를 겹쳐서 감고 그 위에 다시 보호 테이프로 감는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자기융착 절연테이프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위에 다시 "보호 테이프"로 감아야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31. 태양전지 어레이 육안점검 항목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파손유무
     2. 개방전압
     3. 부식 및 녹이 없을 것
     4. 볼트 및 너트의 풀림이 없을 것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개방전압을 확인하려면 관련 계측기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수원직업전문학교 학생]

32. 태양전지 어레이 측정점검요령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접지저항 및 접지
     2. 나사의 풀림 여부
     3. 유리 등 표면의 오염 및 파손
     4. 가대의 부식 및 녹 발생 유무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나머지 3항목은 육안검사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신규연]

33.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인버터 설비 정기점검 시 측정 및 시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10월)
     1. 절연저항
     2. 외부배선의 손상
     3. 표시부 동작 확인
     4. 투입저지 시한 타이머 동작시험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외부 배선의 손상 여부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원직업전문학교 학생]

34. 태양광모듈이 태양광에 노출되는 경우에 따라서 유기되는 열화정도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는?(2013년 10월)
     1. 항온항습장치
     2. 염수수분장치
     3. 온도사이클시험장치
     4. UV시험장치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UV시험은 태양전지 모듈의 열화 정도를 시험한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35. 전기안전관리 대행범위가 700kW 초과인 전기설비 규모인 경우 점검 주기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 월 1회 이상
     2. 월 2회 이상
     3. 월 3회 이상
     4. 월 4회 이상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초과 300이하 : 월1회
300초과 500이하 : 월2회
500초과 700이하 : 월3회
700초과 1000미만 : 월4회
1000kW 이상시 상주 안전관리자 필요
[해설작성자 : 전기쟁이]

36. 인버터의 육안점검 항목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통풍 확인
     2. 축전지 변색
     3. 외부배선의 손상
     4. 외함의 부식 및 파손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인버터의 육안점검 항목
1. 외함의 부식, 손상 - 부식과 녹X, 충전부 노출X
2. 외부배선(케이블)의 손상 - 접속된 배선에 손상X
3. 환기 확인 - 환기구 통풍
4. 이상음, 악취, 과열 - 운전시 앞서 말한 것이 없을 것
5. 표시부의 이상표시 - 이상표시X
6. 발전현황 - 발전상황에 이상X
[해설작성자 : 이렇게 하는 게 맞나요?]

37. 보수점검 작업 후 최종점검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5년 10월)
     1. 작업자가 반 내에 있는지 확인한다.
     2. 회로도에 의한 검토를 했는지 확인한다.
     3. 공구 및 장비가 버려져 있는지 확인한다.
     4. 볼트 조임 작업을 완벽하게 하였는지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2번은 보수점건 전에 하는 것이다.

38. 분산형 전원발전설비를 연계하고자 하는 지점의 계통전압은 몇 % 이상 변동되지 않도록 계통에 연계해야 하는가?(2015년 04월)
     1. ±4
     2. ±8
     3. ±12
     4. ±16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분산형 전원발전설비는 연계하고자 하는 지점의 계통전압이 ±4% 이상 변동되지 않도록 연계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39. 다음 중 표준화의 효과로 틀린 것은?(2015년 10월)
     1. 작업 능률 향상
     2. 부품의 호환성 증가
     3. 품질의 향상과 균일성의 유지
     4. 생산능률의 증진과 생산 원가 증가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4. 생산능률의 증진과 생산 원가의 감소가 되어야 한다

40. 인버터의 정상특성시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10월)
     1. 교류전압, 주파수 추종 시험
     2. 인버터 전력급변 시험
     3. 누설전류 시험
     4. 자동 기동·정지 시험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인버터의 정상특성시험
- 교류전압, 주파수 추종시험, 누설전류시험, 자동기동.정지시험, 교류출력전류 변형률시험, 온도상승시험, 효율시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41. 태양광 발전설비 유지보수 시 설비의 운전 중 주로 육안에 의해서 실시해야 하는 점검은?(2013년 10월)
     1. 운전점검
     2. 일상점검
     3. 정기점검
     4. 임시점검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일상점검은 육안점검으로 이루어지고, 정기점검은 육안점검과 시험 및 측정으로 이루어진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42. 태양광발전 설비의 변압기 보수 정기점검 개소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유면계
     2. 온도계
     3. 기록계
     4. 가스압력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변압기에는 기록계가 들어가지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yougane]

43. 인버터 절연성능시험 항목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절연저항시험
     2. 내전압시험
     3. 주파수저항시험
     4. 감전보호시험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인버터 절연성능시험 항목

- 절연저항시험
- 내전압시험
- 감전보호시험
- 절연거리시험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44. 정전작업 전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단락접지기구로 단락접지
     2. 개폐기 투입으로 송전 재개
     3. 검전기로 개로된 전로의 충전 여부 확인
     4. 전력 테이블, 전력 콘덴서 등의 잔류전하의 방전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개폐기 투입 on 하면....아파용~~~전기 올라서 아파용
[해설작성자 : 현대에어컨]

45. 태양광 모듈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2015년 04월)
     1. 태양광에 의한 열화
     2. 기상환경에 의한 열화
     3. 열에 의한 열화
     4. 기계적 충격에 의한 열화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태양광에 의한 열화는 20년 이상 버틸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요인들에 비해 수명과 가장 관계가 적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46. 태양광발전 시설에 대한 점검 후의 유의사항 중 최종 작업자가 최종 확인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회로도에 의한 검토를 시행한다.
     2. 볼트 조임 작업을 모두 재점검 한다.
     3. 쥐, 곤충 등이 침입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4. 점검을 위해 임시로 설치한 설치물의 철거가 지연되고 있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은 점검 전의 유의사항이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1]작업자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송 배전반 내에서 작업 중인지 확인
2]점검을 위해 임시로 설치한 설치물의 철거가 지연되고 있지 않았는지 확인
3]볼트조임 작업을 모두 재점검
4]쥐,곤충 등이 침임하지 않았는지 확인
5]공구 등이 시설물 내부에 방치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
[해설작성자 : 수원직업전문학교 학생]

47. 정기 점검 시 접속함의 육안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개방전압
     2. 외함의 부식 및 파손
     3. 접지선의 손상 및 접지단자의 풀림
     4. 외부 배선의 손상 및 접속단자의 풀림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접지선의 손상 및 접지단자의 풀림, 외부 배선의 손상 및 접속단자의 풀림, 외함의 부식 및 파손은 육안으로 볼수있는것이다.
단자는 육안으로 볼 수 있고, 2번에 외함이라하니 육안에 볼수있다
[해설작성자 : 마이스터고 태양과]

48. 다음 중 태양광 발전시스템 관련 전기관계 법규가 아닌 것은?(2014년 10월)
     1. 전기설비기술기준
     2. 전기사업법
     3. 전기공사업법
     4. 전기안전관리법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태양광발전시스템 관련 전기관계 법규
- 전기사업법
- 전기공사업법
-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49.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발전 모듈의 성능 시험 중 외관검사 시 몇 lx 이상의 광 조사상태에서 검사를 해야 하는가?(2015년 10월)
     1. 100
     2. 250
     3. 500
     4. 1000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발전 모듈은 일반적으로 1000 lx 이상의 광 조사상태에서 검사를 해야 합니다. 이는 모듈의 최대 출력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광량이며, 1000 lx 이하의 광량에서는 모듈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설원]

50. 태양광 발전소 일상점검요령으로 틀린 것은?(2013년 10월)
     1. 태양전지 어레이에 현저한 오염 및 파손이 없을 것
     2. 인버터 운전시 이상냄새, 이상과열이 없을 것
     3. 접속함 외함에 파손이 없을 것
     4. 인버터 통풍구가 막혀 있을 것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인버터에서는 열이 많이 발생되므로 통풍구는 항상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51. 시간대별로 전력거래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전력량계를 설치· 관리하는 자가 아닌 것은?(2015년 10월)
     1. 배전사업자
     2. 자가용전기설비를 설치한 자
     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발전사업자
     4. 전력을 직접 구매하는 전기사용자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발전사업자는 가능하지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는 제외됩니다.
[해설작성자 : 열심히]

52. 신ㆍ재생에너지의 가중치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발전량
     2. 발전원가
     3.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미치는 효과
     4. 환경, 기술개발 및 산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가중치는 환경, 기술개발 및 산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발전 원가, 부존 잠재량,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미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산업 통상 자원부장관이 선정한다.
[해설작성자 : 코알라]

53. 개인대행자가 안전관리의 업무를 대행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용량은 몇 kW 미만인가?(2014년 10월)
     1. 250
     2. 500
     3. 750
     4. 10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대행사업자랑 헷갈려서 4번을 고른 경우가 많았을 겁니다. 대행사업자는 1000킬로와트가 맞지만 개인대행자는 250킬로와트입니다.
[해설작성자 : 테르나]

54. 법에 따라 해당하는 자의 장 또는 대표자가 해당하는 건축물을 신축 · 증축 또는 개축하려는 경우에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설치계획서를 해당 건축물에 대한 신축허가를 신청하기 전에 누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2013년 10월)
     1. 산업통상자원부장관
     2. 안전행정부장관
     3. 국토교통부장관
     4. 기획재정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55. 태양광 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4년 10월)
     1. 태양의 열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거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설비
     2. 바람의 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
     3.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으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4. 태양의 빛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거나 채광에 이용하는 설비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 태양열
2. 풍력
3. 연료전지
4. 태양광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56. 지중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차량 기타의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의 매설 깊이는 몇 m 이상인가?(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적용)(2014년 10월)
     1. 0.6
     2. 1.0
     3. 1.5
     4. 2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조(시행일) 이 공고는 공고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54조제1항제7호[공고 제2019-195호(2019. 3. 25.) 포함]의 규정은 2021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57.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의 이용·보급을 촉진하는 보급사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10월)
     1. 신기술의 적용사업 및 시범사업
     2.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지 아니한 보급사업
     3. 환경친화적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및 시범단지 조성사업
     4. 실용화된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보급을 지원하는 사업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보급사업도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58. 저압 가공인입선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전선은?(2014년 10월)
     1. 케이블
     2. 나전선
     3. 절연전선
     4. 다심형전선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나전선은 송전용이나 접지선으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녹색에너지연구원 훈련생]

59. 태양전지 모듈 가대에 실시하는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을 지하 75cm부터 지표상 2m 까지 보호하는데 사용 가능한 전선관은? (단, 두께 2mm 미만 및 난연성이 없는 것은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04월)
     1. 금속전선관
     2. 금속가요관
     3. 콤바인덕트관
     4. 합성수지관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접지선의 지하 75cm로부터 지표상 2m까지의 부분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합성수지관(두께 2mm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난연성이 없는 콤바인덕트관은 제외)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절연효력 및 강도를 가지는 몰드로 덮을것
[해설작성자 : 규]

(2021년 변경된 KEC 규정에 따라서 종별 접지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60. 일반용전기설비의 점검서류에 기록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2013년 10월)
     1. 점검 연월일
     2. 점검의 결과
     3. 점검의 비용
     4. 점검자의 성명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전기설비 점검 서류에는 비용을 기재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자동차과]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456505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재생발전설비기능사, 신재생,발전, 설비, 태양광,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780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779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778 워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777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9259804) 좋은아빠되기 2025.11.16 3
776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4565055) 좋은아빠되기 2025.11.16 6
774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773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6
772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6
771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770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6
76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3
768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76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766 디지털영상편집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765 표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764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1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763 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762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8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Board Pagination Prev 1 ...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 233 Next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