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347690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보기의 규정이 적용된 단어가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푿소
     2. 여닫다
     3. 잗주름
     4. 섣부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풀+소
잘+주름
설+부르다

열+닫다 는 합성어나 접두사가 결합한 파생어에서 ㄴㄷㅅㅈ 앞에 있는 ㄹ이 탈락 하는데 이를 소리대로 적는 규정에 따른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훈민정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바르지 못한 것은?(2015년 05월)
     1. 'ㄱ, ㄴ, ㅁ, ㅅ, ㅇ'은 각각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만들었다.
     2. 'ㄴ'에 가획(加劃)의 원리를 적용하여 'ㄷ, ㅌ, ㄸ'을 만들었다.
     3. 모음 자모 'ㆍ, ㅡ, ㅣ'는 각각 하늘, 땅, 사람을 상형하여 만들었다.
     4. 'ㄹ, ㅿ'을 살펴보면 다른 한글 자모에 쓰인 가획의 원리와 차이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가획의 원리 - 기본글자 ㄱㄴㅁㅅㅇ 에 획을 더하여 ㅋㄷㅌㅂㅈㅊㅎ를 만든 이치.
ㄸ은 병서법에 따라 만들어진 글자로 가획자가 아님.
ㄹ△은 이체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 밑줄 친 서술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9월)

   

     1. ㉠은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두 자리 서술어이다.
     2. ㉡은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세 자리 서술어이다.
     3. ㉢은 보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지 않는 한 자리 서술어이다.
     4. ㉣은 목적어 외에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지 않는 두 자리 서술어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4. 다음 <보기>를 참고하였을 때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책상 위에 놓인 공책, 신문, 지갑 ㉠을 가방에 넣었다.
     2. 거기 ㉡앉아서 이야기하세요.
     3. ㉢다 떠나갔구나.
     4. 나는 “㉡어서 오세요.”라고 ㉢그에게 말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 ㄴ에 해당

예문)
이 방에서 텔레비전을 보고들 있어라.
다들 떠나갔구나.
다 떠나들 갔구나.
안녕들 하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은 한자 성어이다. ( ) 안에 들어갈 한자가 모두 적절한 것은?(2016년 03월)

   

     1. 稅, 蜜, 蝦, 稼
     2. 勢, 密, 瑕, 柯
     3. 勢, 蜜, 蝦, 柯
     4. 稅, 密, 瑕, 稼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누란지세 = 형세 세勢
2.구밀복검 = 꿀 밀蜜
3.경전하사 = 새우 하鰕
4.남가일몽 = 가지 가柯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중 표준 발음법에 맞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맑다 [말따]
     2. 흙과 [흑꽈]
     3. 넓다 [널따]
     4. 밟다 [밥ː따]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맑다->막따. 겹받침 ㄺ의 대표음은 ㄱ.
예외적으로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때는 ㄹㄲ 으로 발음. 맑고->말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 보기에서 사이시옷에 대한 표기 중 옳고 그름의 표시(○, ×)가 바르게 된 것만을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대가,초점은 한자어이기 때문에 사이 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ㄷ,ㄹ 거센소리 ㅍㅊ 앞에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ㅁ 해님은 파생어이며 사잇소리 현상 없이 해님으로 발음.

맞는것은 ㄱㄴㄷ.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밑줄 친 차자 표기의 차용 방식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2%

9. 윗글의 서술상 특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2월)
     1. 외적 갈등 구조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2. 대화와 행동을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3. 사건을 순차적으로 묘사해서 인물이 처한 상황을 현장감 있게 그려내고 있다.
     4. 토속적 어휘와 말투, 비속어의 사용을 통해 섬사람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단락은 윤춘삼 씨에게 건우할아버지가 살인죄를 짓게 된 경위를 듣는 내용.
이후 건우할아버지의 과거이야기가 서술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중 띄어쓰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철이는 키가 장대만큼 크다.
     2.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너뿐이다.
     3. 영희는 합리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이다.
     4. 볼펜, 연필, 지우개 따위를 문구류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합리적이기보다는 -> 보다'는 ~에 비해서의 뜻을 나타내는 격조사. 붙여쓴다.

1,2 만큼,뿐 체언 뒤에서 조사이므로 붙여씀.
4.따위 의존명사 띄어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위의 글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한국 사회에서는 전통적으로 물건의 낭비와 부(富)를 부정적으로 여겼다.
     2. 「목민심서」에서 정약용은 공직자 부인의 첫째 덕목으로 검소함을 꼽았다.
     3. 현대 사회에서도 낭비를 죄악으로 여기는 경직된 사고가 여전히 남아 있다.
     4. 생활에 필요한 물품만 생산하고 소비하는 것은 인간의 생활 방식이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첫째 단락에 전통적으로 물건의 낭비를 죄악으로 여겼다고 나옴.
3.셋째 단락에 현대 사회에서도 사치와 낭비를 죄악으로 여긴다고 나옴.
4.마지막 단락에서 우리의 삶은 꼭 필요한 생필품만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고 나옴

2.둘째 단락에 공직자 부인은 사치를 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이 있으나 이것이 첫째 덕목이라는 설명이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다음 ㉠~㉣ 중 그 비유적 표현의 의미가 가장 다른 것은?(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ㄱ.차고 슬픈것 : 죽은아이
ㄴ.언 날개 - 아이의 마지막 모습
ㄷ.물 먹은 별 : 눈물이 고인 채 바라본 별. 죽은 아이.

ㄹ.유리를 닦는 것 : 죽은 아이를 그리워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 작품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균여전(均如傳)」에 실려 있다.
     2. 민요적 성격이 강하다.
     3. 첫 번째 구의 밑줄 친 ‘隱’은 음독(音讀)한다.
     4. 형식상 <헌화가>와 같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1 삼국유사에 실려있다
[해설작성자 : ㅇㅇ]

14. 밑줄 친 속담 중 사용이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절에 간 색시처럼 남이 시키는 대로 살아야 하는 내 처지가 정말 싫다.
     2. 실없는 말이 송사 간다는데 무심하게 한 말이 큰 소동이 될 수도 있으니 말과 행동을 항상 조심해라.
     3. 우리 과장님 속으로는 딴마음이 있으면서 오늘도 점잖은 척 시치미를 떼고 계시네. 우리 과장님은 아니 먹은 최 보살 같아.
     4. 오늘 억지로 사람을 만나러 나갔는데 나온 사람이 몸은 왜소하고 얼굴은 생기도 없어서 꼭 씻은 배추 줄기처럼 많이 아파 보이더라.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씻은 배추 = 얼굴이 희고 키가 훤칠함. 절인 배추 줄기 가 맞는 표현.

절에 간 색시 : 남이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
실없는 말이 송사 간다 : 무심하게 한 말 때문에 큰 소동이 벌어질 수 있음
아니 먹은 최 보살 : 속으로 딴마음을 먹으면서 점잖은 척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 보기의 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이 시는 「매천집(梅泉集)」에 실려 있다.
     2. '새'와 '짐승', '강산'은 시인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이다.
     3. 역사의 시련을 맞이한 지식인의 진정 어린 고뇌가 나타난다.
     4. 고려 멸망의 소식을 접하고 순절(殉節)한 황현이 자결을 앞두고 쓴 시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자결을 앞두고 쓴 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9월)

    

     1. ㈎ 언어의 사회성
     2. ㈏ 언어의 자의성
     3. ㈐ 언어의 역사성
     4. ㈑ 언어의 창조성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가 문장이 끝없이 생산됨 - 창조성
나 내용과 형식이 필연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아님 - 자의성
다 구성원 공동체 - 사회성
라 시간의 흐름 - 역사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다음 중 문장의 구성이 다른 것은?(2016년 03월)
     1. 꽃이 피는 봄이 되었다.
     2. 재물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
     3. 누나가 시험에 합격했음을 알렸다.
     4. 운동을 매일 하는데도 건강이 안 좋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관형절 -는을 안은 겹문장
2.명사절 -기를 안은 겹문장
3.명사절 -음을 안은 겹문장

4.종속적으로 이어진 겹문장. -는데' 는 연결어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보기의 밑줄 친 부분과 다의 관계에 있는 '쓰다'의 용례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5년 05월)

    

     1. 아이가 자신이 좋아하는 반찬만 먹겠다고 생떼를 쓴다.
     2. 선산에 자신의 묘를 달라는 것이 그의 유언이었다.
     3. 그가 말하는 것을 들어보니 아예 소설을 있었다.
     4. 아이는 추운지 이불을 머리끝까지 누웠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보기의 쓰다 - 어떤 일을 하는 데에 재료나 도구 수단을 이용하다.

1.생떼 라는 재료 도구 수단을 사용.

2.시체를 묻고 무덤을 만들다
3.생각을 글로 적다.
4.얼굴에 물건을 걸거나 덮어쓰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의어 : 발음도 같고 실질적인 내용도 비슷함.
동음이의어 : 발음은 같지만 실질적인 내용이 전혀 다름.

1다의어

2,3,4 동음이의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가)∼(라)에 나타난 상황을 한자 성어로 표현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9월)
     1. (가) - 表裏不同
     2. (나) - 命在頃刻
     3. (다) - 巧言令色
     4. (라) - 櫛風沐雨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가-표리부동 : 겉과 속이 다름
나-명재경각 : 목숨이 경각에 달림
다-교언영색 : 교묘한 말과 알랑거리는 얼굴로 상대방을 현혹시킴
라-즐풍목우 : 바람에 머리를 빗고 비에 몸을 씻는다. 온갖 고생을 다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국민 문학론'과 관련된 몽자류 소설이다.
     2. '현실→꿈→현실'의 환몽 구조 소설이다.
     3. 조신 설화가 이 소설의 근원 설화이다.
     4. 작품 속의 시대적 배경은 조선 시대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구운몽 : 당나라 남악 형산의 연화봉이 시대적 배경.

1.국민문학론을 제창한 김만중 - 구운몽은 한글로 쓰인 국문소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347690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보기의 규정이 적용된 단어가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푿소
     2. 여닫다
     3. 잗주름
     4. 섣부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풀+소
잘+주름
설+부르다

열+닫다 는 합성어나 접두사가 결합한 파생어에서 ㄴㄷㅅㅈ 앞에 있는 ㄹ이 탈락 하는데 이를 소리대로 적는 규정에 따른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훈민정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바르지 못한 것은?(2015년 05월)
     1. 'ㄱ, ㄴ, ㅁ, ㅅ, ㅇ'은 각각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만들었다.
     2. 'ㄴ'에 가획(加劃)의 원리를 적용하여 'ㄷ, ㅌ, ㄸ'을 만들었다.
     3. 모음 자모 'ㆍ, ㅡ, ㅣ'는 각각 하늘, 땅, 사람을 상형하여 만들었다.
     4. 'ㄹ, ㅿ'을 살펴보면 다른 한글 자모에 쓰인 가획의 원리와 차이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가획의 원리 - 기본글자 ㄱㄴㅁㅅㅇ 에 획을 더하여 ㅋㄷㅌㅂㅈㅊㅎ를 만든 이치.
ㄸ은 병서법에 따라 만들어진 글자로 가획자가 아님.
ㄹ△은 이체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 밑줄 친 서술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9월)

   

     1. ㉠은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두 자리 서술어이다.
     2. ㉡은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세 자리 서술어이다.
     3. ㉢은 보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지 않는 한 자리 서술어이다.
     4. ㉣은 목적어 외에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지 않는 두 자리 서술어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4. 다음 <보기>를 참고하였을 때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책상 위에 놓인 공책, 신문, 지갑 ㉠을 가방에 넣었다.
     2. 거기 ㉡앉아서 이야기하세요.
     3. ㉢다 떠나갔구나.
     4. 나는 “㉡어서 오세요.”라고 ㉢그에게 말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 ㄴ에 해당

예문)
이 방에서 텔레비전을 보고들 있어라.
다들 떠나갔구나.
다 떠나들 갔구나.
안녕들 하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은 한자 성어이다. ( ) 안에 들어갈 한자가 모두 적절한 것은?(2016년 03월)

   

     1. 稅, 蜜, 蝦, 稼
     2. 勢, 密, 瑕, 柯
     3. 勢, 蜜, 蝦, 柯
     4. 稅, 密, 瑕, 稼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누란지세 = 형세 세勢
2.구밀복검 = 꿀 밀蜜
3.경전하사 = 새우 하鰕
4.남가일몽 = 가지 가柯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중 표준 발음법에 맞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맑다 [말따]
     2. 흙과 [흑꽈]
     3. 넓다 [널따]
     4. 밟다 [밥ː따]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맑다->막따. 겹받침 ㄺ의 대표음은 ㄱ.
예외적으로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때는 ㄹㄲ 으로 발음. 맑고->말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 보기에서 사이시옷에 대한 표기 중 옳고 그름의 표시(○, ×)가 바르게 된 것만을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대가,초점은 한자어이기 때문에 사이 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ㄷ,ㄹ 거센소리 ㅍㅊ 앞에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ㅁ 해님은 파생어이며 사잇소리 현상 없이 해님으로 발음.

맞는것은 ㄱㄴㄷ.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밑줄 친 차자 표기의 차용 방식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2%

9. 윗글의 서술상 특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2월)
     1. 외적 갈등 구조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2. 대화와 행동을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3. 사건을 순차적으로 묘사해서 인물이 처한 상황을 현장감 있게 그려내고 있다.
     4. 토속적 어휘와 말투, 비속어의 사용을 통해 섬사람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단락은 윤춘삼 씨에게 건우할아버지가 살인죄를 짓게 된 경위를 듣는 내용.
이후 건우할아버지의 과거이야기가 서술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중 띄어쓰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철이는 키가 장대만큼 크다.
     2.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너뿐이다.
     3. 영희는 합리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이다.
     4. 볼펜, 연필, 지우개 따위를 문구류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합리적이기보다는 -> 보다'는 ~에 비해서의 뜻을 나타내는 격조사. 붙여쓴다.

1,2 만큼,뿐 체언 뒤에서 조사이므로 붙여씀.
4.따위 의존명사 띄어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위의 글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한국 사회에서는 전통적으로 물건의 낭비와 부(富)를 부정적으로 여겼다.
     2. 「목민심서」에서 정약용은 공직자 부인의 첫째 덕목으로 검소함을 꼽았다.
     3. 현대 사회에서도 낭비를 죄악으로 여기는 경직된 사고가 여전히 남아 있다.
     4. 생활에 필요한 물품만 생산하고 소비하는 것은 인간의 생활 방식이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첫째 단락에 전통적으로 물건의 낭비를 죄악으로 여겼다고 나옴.
3.셋째 단락에 현대 사회에서도 사치와 낭비를 죄악으로 여긴다고 나옴.
4.마지막 단락에서 우리의 삶은 꼭 필요한 생필품만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고 나옴

2.둘째 단락에 공직자 부인은 사치를 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이 있으나 이것이 첫째 덕목이라는 설명이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다음 ㉠~㉣ 중 그 비유적 표현의 의미가 가장 다른 것은?(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ㄱ.차고 슬픈것 : 죽은아이
ㄴ.언 날개 - 아이의 마지막 모습
ㄷ.물 먹은 별 : 눈물이 고인 채 바라본 별. 죽은 아이.

ㄹ.유리를 닦는 것 : 죽은 아이를 그리워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 작품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균여전(均如傳)」에 실려 있다.
     2. 민요적 성격이 강하다.
     3. 첫 번째 구의 밑줄 친 ‘隱’은 음독(音讀)한다.
     4. 형식상 <헌화가>와 같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1 삼국유사에 실려있다
[해설작성자 : ㅇㅇ]

14. 밑줄 친 속담 중 사용이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절에 간 색시처럼 남이 시키는 대로 살아야 하는 내 처지가 정말 싫다.
     2. 실없는 말이 송사 간다는데 무심하게 한 말이 큰 소동이 될 수도 있으니 말과 행동을 항상 조심해라.
     3. 우리 과장님 속으로는 딴마음이 있으면서 오늘도 점잖은 척 시치미를 떼고 계시네. 우리 과장님은 아니 먹은 최 보살 같아.
     4. 오늘 억지로 사람을 만나러 나갔는데 나온 사람이 몸은 왜소하고 얼굴은 생기도 없어서 꼭 씻은 배추 줄기처럼 많이 아파 보이더라.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씻은 배추 = 얼굴이 희고 키가 훤칠함. 절인 배추 줄기 가 맞는 표현.

절에 간 색시 : 남이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
실없는 말이 송사 간다 : 무심하게 한 말 때문에 큰 소동이 벌어질 수 있음
아니 먹은 최 보살 : 속으로 딴마음을 먹으면서 점잖은 척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 보기의 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이 시는 「매천집(梅泉集)」에 실려 있다.
     2. '새'와 '짐승', '강산'은 시인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이다.
     3. 역사의 시련을 맞이한 지식인의 진정 어린 고뇌가 나타난다.
     4. 고려 멸망의 소식을 접하고 순절(殉節)한 황현이 자결을 앞두고 쓴 시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자결을 앞두고 쓴 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9월)

    

     1. ㈎ 언어의 사회성
     2. ㈏ 언어의 자의성
     3. ㈐ 언어의 역사성
     4. ㈑ 언어의 창조성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가 문장이 끝없이 생산됨 - 창조성
나 내용과 형식이 필연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아님 - 자의성
다 구성원 공동체 - 사회성
라 시간의 흐름 - 역사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다음 중 문장의 구성이 다른 것은?(2016년 03월)
     1. 꽃이 피는 봄이 되었다.
     2. 재물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
     3. 누나가 시험에 합격했음을 알렸다.
     4. 운동을 매일 하는데도 건강이 안 좋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관형절 -는을 안은 겹문장
2.명사절 -기를 안은 겹문장
3.명사절 -음을 안은 겹문장

4.종속적으로 이어진 겹문장. -는데' 는 연결어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보기의 밑줄 친 부분과 다의 관계에 있는 '쓰다'의 용례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5년 05월)

    

     1. 아이가 자신이 좋아하는 반찬만 먹겠다고 생떼를 쓴다.
     2. 선산에 자신의 묘를 달라는 것이 그의 유언이었다.
     3. 그가 말하는 것을 들어보니 아예 소설을 있었다.
     4. 아이는 추운지 이불을 머리끝까지 누웠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보기의 쓰다 - 어떤 일을 하는 데에 재료나 도구 수단을 이용하다.

1.생떼 라는 재료 도구 수단을 사용.

2.시체를 묻고 무덤을 만들다
3.생각을 글로 적다.
4.얼굴에 물건을 걸거나 덮어쓰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의어 : 발음도 같고 실질적인 내용도 비슷함.
동음이의어 : 발음은 같지만 실질적인 내용이 전혀 다름.

1다의어

2,3,4 동음이의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가)∼(라)에 나타난 상황을 한자 성어로 표현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9월)
     1. (가) - 表裏不同
     2. (나) - 命在頃刻
     3. (다) - 巧言令色
     4. (라) - 櫛風沐雨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가-표리부동 : 겉과 속이 다름
나-명재경각 : 목숨이 경각에 달림
다-교언영색 : 교묘한 말과 알랑거리는 얼굴로 상대방을 현혹시킴
라-즐풍목우 : 바람에 머리를 빗고 비에 몸을 씻는다. 온갖 고생을 다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국민 문학론'과 관련된 몽자류 소설이다.
     2. '현실→꿈→현실'의 환몽 구조 소설이다.
     3. 조신 설화가 이 소설의 근원 설화이다.
     4. 작품 속의 시대적 배경은 조선 시대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구운몽 : 당나라 남악 형산의 연화봉이 시대적 배경.

1.국민문학론을 제창한 김만중 - 구운몽은 한글로 쓰인 국문소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347690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40 수능(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3959637)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3939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393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3937 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3936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3
3935 가스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3934 PSAT 자료해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2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3933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3932 수산양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3
3931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7685893)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3930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3929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1종 2종(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06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6 3
3928 경찰공무원(순경)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3927 9급 지방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3926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3925 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3476906) 좋은아빠되기 2025.11.16 7
3923 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10월05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3922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3921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246 Next
/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