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582586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수질오염개론


1. 150kL/day의 분뇨를 포기하여 BOD의 20%를 제거하였다. BOD 1kg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공기공급량이 60m3 이라 했을 때 시간당 공기공급량(m3)은? (단, 연속포기, 분뇨의 BOD는 20000mg/L이다.)(2016년 08월)
     1. 100
     2. 500
     3. 1000
     4. 15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50m3/day * 1day/24h * 20000mg/L * 1000L/m3 * 1kg/10^6mg * 0.2 * 60m3
[해설작성자 : 졸령]

2. 성층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수심에 따른 온도변화로 발생되는 물의 밀도차에 의해 발생된다.
     2. 봄, 가을에는 저수지의 수직혼합이 활발하여 분명한 층의 구별이 없어진다.
     3. 여름에는 수심에 다른 연직온도경사와 산소구배는 반대모양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4. 겨울과 여름에는 수직운동이 없어 정체현상이 생기며 수심에 따라 온도와 용존산소농도 차이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여름의 산소구배는 같은 모양을 가진다

3. 알칼리도에 관한 방응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2018년 08월)
     1. CO2+H2O→H2CO3→HCO3-+H+
     2. HCO3→CO3-2+H+
     3. CO3-2+H2O→HCO3-+OH-
     4. HCO3-+H2O→H2CO3+OH-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CO2+H2O⟷H2CO3
H2CO3⟷HCO3−+H+
HCO3−⟷CO32−+H+
[해설작성자 : sugara]

4. 초산의 이온화 상수는 20℃에서 1.75×10-5이다. 20℃에서 0.06M 초산 용액의 pH는?(2005년 08월)
     1. 약 3.0
     2. 약 3.3
     3. 약 3.6
     4. 약 3.9

     정답 : []
     정답률 : 53%

5. 다음 수질을 가진 농업용수의 SAR값은? (단, Na+=230mg/ℓ, PO43-=1500mg/ℓ,CL-=108mg/ℓ, Ca++=600mg/ℓ, Mg++=240mg/ℓ, NH3-N=380mg/ℓ, Na 원자량:23, P 원자량:31, Cl 원자량:35.3, Ca 원자량:40, Mg 원자량:24)(2010년 03월)
     1. 2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63%

6. 이상적 plug flow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분산(variance, o2): 0, 분산수(dispersion NO.): 0
     2. 분산(variance, o2): 0, 분산수(dispersion NO.): 1
     3. 분산(variance, o2): 1, 분산수(dispersion NO.): 0
     4. 분산(variance, o2): 1, 분산수(dispersion NO.): 1

     정답 : []
     정답률 : 74%

7. 생물농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4월)
     1. 수생생물체내의 각종 중금속 농도는 환경수중의 농도보다는 높은 경우가 많다.
     2. 생물체중의 농도와 환경수중의 농도비를 농축비 또는 농축계수라고 한다.
     3. 수생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중금속의 농축비가 다른 경우가 많다.
     4. 농축비는 먹이사슬 과정에서 높은 단계의 소비자에 상당하는 생물일수록 낮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생물농축
농축비는 높은 사슬의 생물일수록 높다.
예) 플랑크톤 1마리가 중금속을 1 축적하고 있다고 가정
멸치가 플랑크톤 100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멸치 내에 1000 축적
고등어가 멸치 1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고등어 내에 10000 축적
삼치가 고등어 1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삼치 내에 100000 축적
[해설작성자 : 최강 걸그룹 트와이스]

8. 해수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해수는 HCO3를 포화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2. 해수의 밀도는 염분비 일정법칙에 따라 항상 균일하게 유지한다.
     3. 해수 내 전체질소 중 약 35% 정도는 암모니아성질소와 유기 질소의 형태이다.
     4. 해수의 Mg/Ca 비는 3~4정도로 담수에 비하여 크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해수의 밀도는 수심이 깊을수록 증가하며, 적도에서 가장 낮고 극지방에서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수질]

9. 호소수의 전도현상(Turnover)이 호소수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내용 중 바르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수괴의 수직운동 촉진으로 호소 내 환경용량이 제한되어 물의 자정능력이 감소된다.
     2. 심층부까지 조류의 혼합이 촉진되어 상수원의 취수 심도에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수도의 수질이 악화된다.
     3. 심층부의 영양염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표층부에 규조류가 번성하게 되어 부영양화가 촉진된다.
     4. 조류의 다량 번식으로 물의 탁도가 증가되고 여과지가 폐색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수괴의 수직운동 촉진으로 호소내 수질의 평균화를 이룬다.
[해설작성자 : 송헤롱]

전도현상이 발생하면 수질은 악화되지만 호소 전체의 자정작용은 촉진
[해설작성자 : 졸령]

10. 우리나라 호수들의 형태에 따른 분류와 그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하천형 : 긴 체류시간
     2. 가지형 : 복잡한 연안구조
     3. 가지형 : 호수 내 만의 발달
     4. 하구형 : 높은 오염부하량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우리나라 하천의 특징
하천의 길이가 짧아 오출시간이 짧다.
하천의 유량은 불안정하다 .
하상계수(최대유량/최소유량)가 매우 크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합시다]

11. 40℃에서 순수한 물 1L의 몰 농도(mole/L)는?(단, 40℃의 물의 밀도 = 0.9455kg/L)(2017년 08월)
     1. 35.4
     2. 37.6
     3. 48.8
     4. 52.5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945.5g/L X 1mol/18g = 52.527mol/l

0.9455kg/l X 1000g/kg = 945.5g/l

물 1mol = 18g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연속류 교반 반응조(CFSTR)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충격부하에 강하다.
     2. 부하변동에 강하다.
     3. 유입된 액체의 일부분은 즉시 유출된다.
     4. 동일 용량 PFR에 비해 제거효율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같은 효율상에서 필요로하는 부피비를 구하게 되면 CMFR이 PFR보다 3.91배 더 차지한다. 따라서 동일 용량 시 PFR이 더 효율이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RyuT]

13.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의 차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7월)
     1. 유기화합물은 대체로 가연성이다.
     2. 유기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녹는점과 끓는점이 높다.
     3. 유기화합물들은 대체로 이온 반응보다는 분자반응을 하므로 반응속도가 느리다.
     4. 유기화합물들은 대체로 물에 잘 녹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1%

14. 오염된 지하수를 복원하는 방법 중 오염물질의 유발요인이 한 지점에 집중적이고 오염된 면적이 비교적 작을 때 적용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은?(2021년 08월)
     1. 현장공기추출법
     2. 유해물질 굴착제거법
     3. 오염된 지하수의 양수처리법
     4. 토양 내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법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현장공기추출법
- 토양이나 지하수 내 휘발성 유기물질을 공기주입으로 빼내는 방법
- 면적이 넓거나 휘발성 오염에 적합

*유해물질 굴착제거법
- 오염된 토양이나 지하수를 물리적으로 파내 제거하는 방법
- 오염이 국소적이고 면적 작을 때 가장 효과적이고 빠름

*오염된 지하수의 양수처리법
- 오염된 지하수를 펌프로 끌어올려 처리
- 면적 넓거나 오염물질 확산됐을 때 사용

*토양 내 미생물 이용 처리법
- 미생물을 이용해 자연 분해 촉진
- 시간이 오래 걸리고 넓은 지역에 적합
[해설작성자 : 도리콩]

15. 산과 염기의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Arrhenius는 수용액에서 수산화이온을 내어 놓는 물질을 염기라고 정의하였다.
     2. Lewis는 전자쌍을 받는 화학종을 염기라고 정의하였다.
     3. Arrhenius는 수용액에서 양성자를 내어 놓는 것을 산이라고 정의하였다.
     4. Bronsted-Lowry는 수용액에서 양성자를 내어주는 물질을 산이라고 정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0%

16. 다음 수질을 가진 농업용수의 SAR값은? (단, Na+=4600mg/L, PO43-=1500mg/L, Cl-=108mg/L, Ca2+=600mg/L, Mg2+=240mg/L, NH3-N=380mg/L, Na 원자량:23, P 원자량:31, Cl 원자량:35.5, Ca 원자량:40, Mg 원자량:24, N 원자량:14)(2008년 05월)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정답률 : 70%

17. 수질분석 결과가 다음과 같다. 이 시료의 경도 값은? (단, Ca=40, Mg=24, Na=23 이다.)(2014년 05월)

    

     1. 1,100mg/L as CaCO3
     2. 1,200mg/L as CaCO3
     3. 1,300mg/L as CaCO3
     4. 1,500mg/L as CaCO3

     정답 : []
     정답률 : 67%

18. 수산화칼슘[Ca(OH)2]이 중탄산칼슘[Ca(HCO3)2]과 반응하여 탄산칼슘(CaCO3)의 침전이 형성될 때 10g의 Ca(OH)2에 대하여 생성되는 CaCO3의 양(g)은? (단, 칼슘 원자량=40)(2018년 08월)
     1. 17
     2. 27
     3. 37
     4. 47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a(OH)2 + Ca(HCO3)2 -> 2CaCO3 + 2H20
분자량            74g                                 2*100g
                        10g                                     x

74g : 200g = 10g : x
x=27
[해설작성자 : 졸령]

19. 아세트산(CH3COOH) 300mg/ℓ 용액의 pH는? (단, 아세트산 Ka 는 1.8×10-5)(2010년 05월)
     1. 4.65
     2. 4.21
     3. 3.85
     4. 3.52

     정답 : []
     정답률 : 56%

20. Ca(OH)2 용액 50㎖를 중화시키는데 0.02N HCl 용액이 32.5㎖ 소요되었다. Ca(OH)2 용액의 경도(CaCO3 기준)는몇 mg/ℓ인가?(2005년 03월)
     1. 350
     2. 450
     3. 550
     4. 650

     정답 : []
     정답률 : 39%

2과목 : 상하수도계획


21. 상수도시설인 완속 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2년 05월)
     1. 여과지 깊이는 하부집수장치의 높이에 자갈층 두께와 모래층 두께 까지 2.5~3.5m를 표준으로 한다.
     2. 완속여과지의 여과속도는 4~5m/day를 표준으로 한다.
     3. 모래층의 두께는 70~90cm를 표준으로 한다.
     4. 여과지의 모래면 위의 수심은 90~120c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여과지 깊이는 하부집수장치의 높이에 자갈층, 모래층 두께에 [모래면 위의 수심, 여유고]를 더하여 2.5~3.5m를 표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긍딘]

22. 양수량(Q) 14m3/min, 전양정(H) 10m, 회전수(N) 1100rpm인 펌프의 비교회전도(Ns)는?(2017년 05월)
     1. 412
     2. 732
     3. 1302
     4. 1416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Ns = N × Q^(1/2) ÷ H^(3/4)
     = 1100 × 14^(1/2) ÷ 10^(3/4) =731.9
[해설작성자 : 열공하자]

23. 저수시설을 형태적으로 분류할 때의 구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지하댐
     2. 하구둑
     3. 유수지
     4. 저류지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저류지는 평지나 넓은 강물에서 일시적으로 홍수량의 일부를 저수
지하댐 하구둑 유수지는 댐과 같은 형태
[해설작성자 : 너굴전]

유수지가 평지나 넓은 강물에서 일시적으로 홍수량의 일부를 저수
저류지는 집중호우가 내렸을 때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류시킴으로써 하천의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 홍수를 예방하고 주택이나 도로 및 농경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해설작성자 : 킹2]

저수시설 : 댐. 지하댐.호소.저수지.하구둑 + 유수지(사용하기 위한 물 저장)
저류지 : 범랑방지시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하수처리공법 중 접촉산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반송슬러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운전관리가 용이하다.
     2. 생물상이 다양하여 처리효과가 안정적이다.
     3. 부착생물량의 임의 조정이 어려워 조작조건 변경에 대응하기 쉽지 않다.
     4. 접촉제가 조 내에 있기 때문에 부착생물량의 확인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 부착 생물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조작조건의 변경에 대응이 쉬움
[해설작성자 : 내가 보려고 씀]

25. 하수도 시설인 중력식 침사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침사지의 평균유속은 0.3m/초를 표준으로 한다.
     2. 저부경사는 보통 1/500~1/1000 로 하며 그리트 제거설비의 종류별 특성에 따라 범위가 적용된다.
     3. 침사지의 표면부하율은 오수침사지의 경우 1800m3/m2·day, 우수 침사지의 경우 3600m3/m2·day 정도로 한다.
     4. 침사지 수심은 유효수심에 모래 퇴적부의 깊이를 더한 것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26. 막여과법을 정수처리에 적용하는 주된 선정 이유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막의 특성에 따라 원수 중의 현탁물질, 콜로이드, 세균류, 크립토스포리디움 등 일정한 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2. 막의 교환이나 세척 없이 반영구적 자동운전이 가능하여 유지관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3. 부지면적이 종래보다 적을 뿐 아니라 시설의 건설공사 기간도 짧다.
     4.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적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27. 관경 1,500mm 이하의 하수관을 직선부에 설치하고자 할 때, 맨홀(manhole)의 최대간격은?(2003년 03월)
     1. 50m
     2. 100m
     3. 150m
     4. 200m

     정답 : []
     정답률 : 48%

28. 상수도관 부식의 종류 중 매크로셀 부식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단, 자연부식 기준)(2017년 05월)
     1. 콘크리트·토양
     2. 이종금속
     3. 산소농담(통기차)
     4. 박테리아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 박테리아 : 미크로셀 부식
[해설작성자 : 송헤롱]

앞 글자만 따서
매콘산이 , 미일특박 둘중 하나 만 외우는 방법을

매(메크로셀 부식)콘(콘크리트)산(산소농담)이(이종부식)
미(미크로셀 부식)일(일반토양)특(특수토양)박(박테리아)

29. 하수관을 배설하려고 한다. 매설지점의 표토는 젖은 진흙으로서 흙의 단위중량은 1.85kN/m3 이고 흙의 종류와 관의 깊이에 따라 결정되는 계수 C1은 1.86이다. 이때 매설관이 받는 하중은? (단, Marston의 방법 적용, 관의 상부 90° 부분에서의 관매설을 위하여 굴토한 도량폭은 1.2m 이다.)(2006년 05월)
     1. 4.15kN/m3
     2. 4.35kN/m3
     3. 4.65kN/m3
     4. 4.95kN/m3

     정답 : []
     정답률 : 20%

30. 계획하수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합류식 하수도에서 일차침전지까지 처리장내 연결관로는 계획시간 최대 오수량으로 한다.
     2.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을 유입시켜 2차처리해야 한다.
     3. 합류식 하수도는 우천시 일차침전지의 침전시간을 0.5시간 이상 확보하도록 한다.
     4. 합류식 하수도의 소독시설 계획하수량은 계획시간최대오수량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번,4번 합류식 하수도 1차처리(일차침전지) 내 처리시설(소독시설포함),처리장내연결관로는 우천시 계획오수량으로 한다.
2번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을 유입시켜 1차처리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호듀듀듀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는 우천시 계획오수량을 유입시켜 2차처리 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오류신고 반론]
1. 합류식 하수도에서 일차 침전지까지 처리장 내 연결관로는 우천시 계획 오수량으로 한다.
2.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는 우천시 계획오수량을 유입시켜 1차 처리해야 한다.
4. 합류식 하수도에서 소독시설 계획하수량은 계획 1일 최대오수량으로 한다.
[풀이 출처 : 2020 WinQ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필기]
[해설작성자 : 하루남았다어떡함ㅠ]

31. Cavitation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한 낮추어 가용 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2. 펌프의 회전속도를 낮게 선정하여 필요 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3. 흡입측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펌프를 운전한다.
     4. 흡입관에 손실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 가용 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32. 수돗물의 부식성 관련 지표인 랑게리아지수 (포화지수, LI)의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pH = 물의 실제 pH, pHs = 수중의 탄산칼슘이 용해되거나 석출되지 않는 평형상태의 pH)(2017년 03월)
     1. LI = pH + pHs
     2. LI = pH - pHs
     3. LI = pH × pHs
     4. LI = pH / pHs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랑게리아지수(포화지수, LI): 물의 실제 pH와 이론적 pH와의 차
지수가 +값일수록, 탄산칼슘의 석출 쉬움, 비부식성
0 이면, 평형관계
-값이면, 탄산칼슘피막 형성 X, 절대값이 커질수록 부식성 강함
⇒ 소석회-이산화탄소 병용법, 알칼리제 주입으로 개선 가능
[해설작성자 : 파파라바]

33. 하수관이 부식하기 쉬운 곳은?(2018년 08월)
     1. 바닥 부분
     2. 양 옆 부분
     3. 하수관 전체
     4. 관정부(crown)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하수관에서는 혐기성 상태 시 H2S가 발생하여 관정에서 부식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thals8695]

34. 상수도시설 중 저수시설인 하구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전용댐, 다목적댐과 비교)(2020년 06월)
     1. 개발수량 : 중소규모의 개발이 기대된다.
     2. 경제성 : 일반적으로 댐보다 저렴하다.
     3. 설치지점 : 수요지 가까운 하천의 하구에 설치하여 농업용수에 바닷물의 침해방지기능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
     4. 저류수의 수질 : 자체관리로 비교적 양호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어 염소이온 농도에 대한 주의가 필요 없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상수도시설 중 저수시설인 하구둑 ]
개발수량 : 중소규모의 개발이 기대된다.
경제성 : 일반적으로 댐보다 저렴하다.
설치지점 : 수요지 가까운 하천의 하구에 설치하여 농업용수에 바닷물의 침해방지 기능을 겸한 경우가 많다.
저류수의 수질 : 염소이온농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뱃살곰]

35. 하수재이용수의 제한 조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조경용수 : 주거지역 녹지에 대한 관개용수로 공급하는 경우로 식물의 생육에 큰 위해를 주지 않는 수준임
     2. 공업용수 : 일반적 수질기준 설정 없이 산업체 혹은 세부적인 용도에 따른 수질항목을 지정함
     3. 하천유지용수 : 기존 유지용수 유량 증대가 주목적이므로 수계의 자정용량을 고려하여 재이용수의 수질을 강화시킬 수 있음
     4. 지하수충전 : 지하수계의 오염물질 분해 제거율과 축적가능성을 평가하여 영향이 없도록 공급하여야 함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 최소한의 기준이 존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은 우수배제계획의 수립중 우수 유출량의 억제에 대한 계획으로 잘못 설명한 것은?(2004년 08월)
     1. 우수유출량의 억제방법은 크게 우수저류형, 우수침투형 및 토지이용의 계획적관리로 나눌 수 있다.
     2. 우수 저류형 시설중 onsite시설은 단지내 저류 및 우수조정지, 우수체수지 등이 있다.
     3. 우수 침투형은 우수유출총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로서 침투 지하매설관, 침투성 포장 등이 있다.
     4. 우수 저류형은 우수 유출 총량은 변하지 않으나 첨두 유출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4%

37. 하수관거시설인 오수받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오수받이는 공공도로와 사유지 경계부근에 유지관리상 지장이 없는 장소에 설치한다.
     2. 오수받이의 상부에 인버터를 설치하며 저부에는 설치하지 않는다.
     3. 오수받이의 뚜껑은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밀폐 뚜껑으로 한다.
     4. 오수받이의 규격은 내경 200~700mm, 깊이 700~1,000mm 정도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18%

38. 상수관로의 길이 800m, 내경 200mm에서 유속 2m/s로 흐를때 관마찰 손실수두는? (단, Darcy-Weisbach 공식을 이용하며 마찰손실계수는 0.02)(2003년 08월)
     1. 16.3m
     2. 18.4m
     3. 20.7m
     4. 22.6m

     정답 : []
     정답률 : 54%

39. 취수시설에서 침사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지의 위치는 가능한 한 취구수에 근접하여 제내지에 설치한다.
     2.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3~0.6m의 여유고를 둔다.
     3. 지의 고수위는 계획취수량이 유입될 수 있도록 취수구의 계획최저수위 이하로 정한다.
     4. 지의 길이는 폭의 3~8배, 지내 평균 유속은 2~7cm/sec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6~1m의 여유고를 둔다.
[해설작성자 : 합격을 기원합니다]

40. 비속도가 1200 - 2000인 경우에 사용되는 상수도용 펌프형식으로 적절한 것은? (단, 일반적인 단위 적용시)(2004년 08월)
     1. 터어빈펌프
     2. 볼류트펌프
     3. 축류펌프
     4. 사류펌프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측류 = 1100~2000
사류 = 700~1200
[해설작성자 : 김뽀니]

3과목 : 수질오염방지기술


41. 분뇨 소화슬러지 발생량은 1일 분뇨투입량의 10%이다. 발생된 소화슬러지의 탈수 전 함수율이 96%라고 하면 탈수된 소화슬러지의 1일 발생량(m3)은? (단, 분뇨투입량 = 360kL/day, 탈수된 소화 슬러지의 함수율 = 72%, 분뇨 비중 = 1.0)(2022년 03월)
     1. 2.47
     2. 3.78
     3. 4.21
     4. 5.14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60*0.1*0.04*(100/28)=5.1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탈수 전후 수분을 제외한 성분의 양은 같다

탈수 전 수분 제외 성분
= 1일 소화슬러지 발생량 중 함수율 제외한 값 = 일일 분뇨투입량의 10% 중 4%
= 360[kL/day] x 0.1 x 0.04
= 1.44 [kL/day]

탈수 후 소화슬러지 발생량 중 함수율 제외한 값 = 탈수 후 소화슬러지 발생량 중 28%
= A x 0.28 [kL/day]

1.44 = 0.28A
A = 5.1428 [kL/day] = 5.1482 [m^3/day]
[해설작성자 : 최강 걸그룹 트와이스]

42. 물 5m3의 DO가 9.0mg/L이다. 이 산소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아황산나트륨의 양(g)은?(2017년 08월)
     1. 256.5
     2. 354.7
     3. 452.6
     4. 488.8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O2의 양 = 9mg/L * 5m^3 = 45g
Na2SO3 + 0.5O2 -> Na2SO4
<분자량> Na : 23, S : 32 , O : 16
즉,
126 : 16 = x : 45g
[해설작성자 : 홍차사랑]

43. 물리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법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금속염(Al,Fe) 첨가법
     2. 탈기법(Air Stripping)
     3. 이온교환법
     4. Break Point 염소제거법

     정답 : []
     정답률 : 42%

44. 다음 중 정수장에서 사용하는 소독제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1. 미잔류성
     2.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효과적 살균
     3. 쉽고 신뢰할만한 수질분석
     4. 저렴한 가격

     정답 : []
     정답률 : 60%

45. 유기물을 함유한 유체가 완전혼합연속반응조를 통과할 때 유기물의 농도가 200 mg/L에서 20 mg/L로 감소한다. 반응조 내의 반응이 일차반응이고 반응조체적이 20m3이며, 반응속도상수가 0.2day-1이라면 유체의 유량(m3/day)은?(2018년 03월)
     1. 0.11
     2. 0.22
     3. 0.33
     4. 0.44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ln(C2/C1)=-kV/Q
V=20×0.2/ln10

[추가 해설]
Q(c-ce) = VKCe
Q = 20M3 × 0.2/day × 20mg/L × L/(200-20)mg
= 0.444M3/day
[해설작성자 : lwj]

이 문제는 cfstr 1차 반응식으로 푸는겁니다. ct = co/(1+kt) 대입하면 t가 45day 이고 Q = 20/45 = 0.4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일반 일차반응으로 풀면 답 안 나와요
첫번째 해설대로 하면 답 틀립니다
CSFPR 반응식으로 계산합니다
(Ci-C)*Q = V
     KC
[해설작성자 : 해설은 확실히]

46. A2/O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혐기조 - 무산소조 - 호기조 - 침전조 순으로 구성된다.
     2. A2/O 공정은 내부재순환이 있다.
     3. 미생물에 의한 인의 섭취는 주로 혐기조에서 일어난다.
     4. 무산소조에서는 질산성질소가 질소가스로 전환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3. 혐기조에서는 인을 용출한다.
[해설작성자 : 송헤롱]

미생물에 의한 인의 과잉흡수는 주로 호기조에서 일어남
[해설작성자 : 김말이튀김]

47. 활성슬러지공법으로부터 1일 3000kg(건조고형물기준)이 발생되는 폐슬러지를 호기성으로 소화처리 하고자 할 때 소화조의 용적은? (단, 폐슬러지 농도는 3%, 수온이 20℃, 수리학적 체류시간 23일, 비중은 1.03으로 한다.)(2012년 03월)
     1. 약 1515m3
     2. 약 1725m3
     3. 약 1945m3
     4. 약 2233m3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일일 습슬러지 질량 = 일일 건조고형물 배출량 / 폐슬러지 농도(3%) = 3000kg DS / 0.03 = 100000kg/day
Q_sludge(소화조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체적 유량) = 일일 습슬러지 질량 / 비중 ( 1.03 = 1030kg/m^3)
= (100000kg/day) / 1030kg/m^3 = 97.1m^3/day

소화조 용적 V = Q_sludge X HRT = 97.1m^3/day X 23day = 2233m^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고도 수처리를 하기 위한 방법인 '정밀여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막은 대칭형 다공성막 형태이다.
     2. 분리형태는 Pore size 및 흡착현상에 기인한 체걸름이다.
     3. 구동력은 농도차에 의한 확산력이다.
     4. 전자공업의 초순수제조, 무균수제조, 식품의 무균여과에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49. BOD가 250mg/L인 폐수 30,000m3/day를 MLSS농도가 2500mg/L 이고 체류시간이 6시간인 활성 슬러지법으로 처리 한다면 BOD 슬러지 부하는?(2010년 05월)
     1. 0.4kg BOD/kg MLSSㆍday
     2. 0.3kg BOD/kg MLSSㆍday
     3. 0.2kg BOD/kg MLSSㆍday
     4. 0.1kg BOD/kg MLSSㆍday

     정답 : []
     정답률 : 53%

50. 미생물 고정화법인 포괄고정화법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5월)
     1. 증식한 균은 새어나가기 어려우며 내부에서 자기 분해함.
     2. 질화세균 등이 pellet 내에 고정화 되므로 균수의 안정유지가 용이함.
     3. 복수의 균이 공존하면 균 사이의 binding 이 약화되어 균이 새어나올 수 있음.
     4. 고정화 담체의 충전율은 은전방법에 다라 20-50%정도이고 유동화가 배려되어 있음.

     정답 : []
     정답률 : 38%

51. 정수처리시 적용되는 랑게리아 지수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랑게리아 지수란 물의 실제 pH와 이론적 pH(pHs : 수중의 탄산칼슘이 용해되거나 석출되지 않는 평형상태로 있을 때의 pH)와의 차이를 말한다.
     2. 랑게리아 지수가 양(+)의 값으로 절대치가 클수록 탄산칼슘피막 형성이 어렵다.
     3. 랑게리아 지수가 음(-)의 값으로 절대치가 클수록 물의 부식성이 강하다.
     4. 물의 부식성이 강한 경우의 랑게리아 지수는 pH, 칼슘경도, 알갈리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랑게리아 지수가 0 이상이면 탄산칼슘이 과포화 상태로 탄산칼륨 스케일링이 생성될 가능성이 크다.
[해설작성자 : 알파고]

52. SS가 거의 없고 COD가 1500 mg/L인 산업폐수를 활성슬러지 공법으로 처리하여 유출수 COD를 180mg/L로 처리하고자 한다. 아래의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반응시간 θ를 구한 값으로 적절한 것은?(2012년 08월)

    

     1. 16.2 hr
     2. 19.8 hr
     3. 23.8 hr
     4. 28.2 hr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V·ds/dt=Si×Q-So×Q-K×S×X×v
정상상태에서의 V·ds/dt =0
Q(Si-So)=K×S×X×V
Q(Si-So)=K×S×X×Q×t
    Q(Si-So)
t=________
     K×S×X
[해설작성자 : URBB]

53. 회분식 반응조를 일차반응의 조건으로 설계하고, A성분의 제거 또는 전환율이 90%가 되게 하고자 한다. 만일, 반응 속도상수 k가 0.40/hr 이면 이 회분식 반응조의 체류시간은?(2011년 03월)
     1. 약 4.7hr
     2. 약 5.8hr
     3. 약 6.4hr
     4. 약 7.3hr

     정답 : []
     정답률 : 58%

54. 슬러지를 진공 탈수 시켜 부피가 50% 감소되었다. 유입슬러지 함수율이 98%이었다면 탈수 후 슬러지의 함수율(%)은? (단, 슬러지 비중은 1.0 기준)(2017년 03월)
     1. 90
     2. 92
     3. 94
     4. 96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50% 탈수되었으므로 원유입 슬러지는 2라고 보면
2(1-0.98)=1(1-X)
X=0.96
[해설작성자 : 최민]

55. 유량이 3000m3/일이고, BOD 농도가 400mg/L인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포기시간을 8시간으로 처리한 결과 처리수의 BOD 및 SS농도가 각각 30mg/L이었고 MLSS농도는 4000mg/L이었으며, 폐슬러지 생산량은 50m3/일 이었다면 폐슬러지 농도가 0.9%이며, 세포증식계수가 0.8인 경우 내 호흡율(Kd)은?(2011년 06월)
     1. 약 0.032/일
     2. 약 0.046/일
     3. 약 0.063/일
     4. 약 0.087/일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QwXr = Y(Ci-Co)Q - SSe(Q-Qw) - KdXV
Kd = Y(Ci-Co)Q - SSe(Q-Qw) - QwXr / XV
[해설작성자 : 김뽀니]

56. 활성슬러지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에서 반송슬러지 농도가 10000mg/L이고, 폭기조에 MLSS 농도를 2500mg/L로 유지시키고자 한다면 반송률(%)은?(2003년 03월)
     1. 13%
     2. 23%
     3. 33%
     4. 43%

     정답 : []
     정답률 : 40%

57. 1차 처리결과 생성되는 슬러지를 분석한 결과 함수율이 90%, 고형물중 무기성 고형물질이 30%, 유기성 고형물질이 70%, 유기성 고형물질의 비중 1.1, 무기성 고형물질의 비중이 2.2로 판정되었다. 이 때 슬러지의 비중은?(2007년 08월)
     1. 0.977
     2. 1.014
     3. 1.018
     4. 1.023

     정답 : []
     정답률 : 43%

58. 슬러지 개량법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고분자 응집제 첨가 : 슬러지 응결을 촉진한다.
     2. 무기약품 첨가 : 무기약품은 슬러지의 pH를 변화시켜 무기질 비율을 증가시키고 안정화를 도모한다.
     3. 세정 : 혐기성 소화슬러지의 알칼리도를 감소시켜 산성금속염의 주입량을 감소시킨다.
     4. 열처리 : 슬러지의 함수율을 감소시키고 응결핵을 생성시켜 탈수를 개선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열처리 : 슬러지 성분의 일부를 용해시켜 탈수개선을 도모한다.
[해설작성자 : 호듀듀듀]

59. 수면에 대한 스크린 설치 경사각이 60°, 스크린의 막대 굵기 2cm, 스크린의 유효간격이 22mm, 폐수의 유속이 0.45m/sec, 스크린의 막대단면 모습에 따른 계수가 3.5일 때 스크린 설치에 따른 수두손실은? (단, )(2006년 03월)
     1. 약 0.021m
     2. 약 0.028m
     3. 약 0.032m
     4. 약 0.039m

     정답 : []
     정답률 : 32%

60. 함수율이 98%이고 고형물내 VS함량이 65%인 축산폐수 200m3/day를 혐기성소화로 처리하고자 한다. 혐기성 소화조의 고형물 부하를 7.5kgVS/m3-day로 설계하고자 할 때 소화조의 용량은? (단, 축산폐수나 고형물의 비중은 1.0이다.)(2013년 08월)
     1. 238m3
     2. 347m3
     3. 436m3
     4. 583m3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V = Q*BOD / 부하량 = 200m^3 * 10^(3)L/m^3 * 0.65* (1-0.98) * 1kg/1L / 7.5 = 346.66
[해설작성자 : ㅅㅂㅅ]

4과목 :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61.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적용한 음이온계면활성제 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메틸렌블루와 반응시켜 생성된 청색의 착화합물을 추출하여 흡광도를 측정한다.
     2. 컬럼을 통과시켜 시료 중의 계면활성제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3. 메틸렌블루와 반응시켜 생성된 착화합물을 추출할 때 클로로폼을 사용한다.
     4. 약 1000mg/L 이상의 염소이온 농도에서 양의 간섭을 나타내며 따라서 염분농도가 높은 시료의 분석에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시료 중의 계면활성제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측정 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우주정복ㅈ]

62. 4각 위어를 사용하여 유량을 측정하고자 한다. 위어의 수두가 30cm, 수로의 밑면으로부터 절단 하부 모서리까지의 높이가 0.8m, 수로의 폭이 1.5m, 절단의 폭이 1.0m이다. 이 때의 유량은? (단, )(2010년 07월)
     1. 4.99 m3/분
     2. 5.26 m3/분
     3. 13.31 m3/분
     4. 17.54 m3/분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B : 1.5m, b : 1.0m, H = 0.3m, D = 0.8m 대입 하여 k 값을 구한 뒤
4각 위어 유량 = k*b*h^3/2 공식을 통해 구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홍어기]

63.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적용한 불소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8월)
     1. 란탄알리자린 콤프렉손의 착화합물이 불소이온과 반응 생성하는 청색의 복합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620nm에서 측정한다.
     2. 정량한계는 0.03mg/L이다.
     3. 알루미늄 및 철의 방해가 크나 증류하면 영향이 없다.
     4. 전처리법으로 직접증류법과 수증기증류법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 불소의 정량한계는 0.15mg/L이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64. 원자흡광 분석을 위한 다음의 측정순서 중에서 가장 나중에 이루어지는 조작은?(2010년 05월)
     1. 100을 맞춘다.
     2. 0을 맞춘다.
     3. 분광기의 파장눈금을 분석선의 파장에 맞춘다.
     4. 광원램프를 점등하여 적당한 전류값으로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65. 다음 중 시료 최대보존기간이 가장 긴 항목은? (단, 적절한 보존방법을 적용한 경우임)(2003년 08월)
     1. 암모니아성 질소
     2. 아질산성 질소
     3. 질산성 질소
     4. 시안

     정답 : []
     정답률 : 27%

66. 실험 일반 총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공정시험기준에 수재 되어 있지 아니한 방법이라도 측정결과가 같거나 그 이상의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 될 경우로서 국내외의 공인기관에서 인정하고 있는 방법은 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2. 유효측정농도는 지정된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경우 그 시험방법에 대한 최소 정량한계를 의미한다.
     3. 정량범위는 본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할 경우 유효측정범위 10% 이하에서 측정할 수 있는 정량하한과 정량상한의 범위를 말한다.
     4. 표준편차율은 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로서 반복조작시의 편차를 상대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67. 흡광광도계를 이용한 철의 정량에 관한 내용 중 알맞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등적색 철착염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한다.
     2. 측정파장은 510nm이고, 정량범위는 0.02~0.5mg이다.
     3. 염산히드록실아민에 의해 산화제이철로 산화된다.
     4. 철이온을 암모니아 알칼리성으로 하여 수산화제이철로 침전분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68. 총질소 측정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3월)
     1. 환원 증류-킬달법(합산법)
     2. 카드뮴 환원법
     3.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
     4. 흡광광도법

     정답 : []
     정답률 : 36%

69. ??시험방법상 총대장균군의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2007년 08월)
     1. 균군계수 시험방법
     2. 막여과 시험방법
     3. 최적확수 시험법
     4. 평판 집락 시험방법

     정답 : []
     정답률 : 34%

70. 노말헥산 추출물질의 정량한계(mg/L)는?(2021년 05월)
     1. 0.1
     2. 0.5
     3. 1.0
     4. 5.0

     정답 : []
     정답률 : 70%

71. 시료 채취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시료 채취 용기는 시료를 채우기 전에 시료로 3회 이상 씻은 다음 사용한다.
     2. 유류 또는 부유물질 등이 함유된 시료는 균질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채취하여야 하며, 침전물 등이 부상하여 혼입되어서는 안 된다.
     3. 심부층의 지하수 채취 시에는 고속양수펌프를 이용하여 채취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질의 변질을 방지하여야 한다.
     4. 용존가스, 환원성 물질, 휘발성유기화합물, 냄새, 유류 및 수소이온 등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할 때는 운반중 공기와의 접촉이 없도록 시료 용기에 가득 채운 후 빠르게 뚜껑을 닫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지하수 시료 채취 시 심부층의 경우 반드시 저속시료채취하여 시료 교란을 최소화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72. 공장폐수 및 하수유량-관(pipe)내의 유량측정 장치인 벤튜리미터의 범위(최대유량 : 최소유량)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2:1
     2. 3:1
     3. 4:1
     4. 5:1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관내 유량측정방법들 중 벤튜리미터, 노즐, 오리피스의 최대유량에 대한 최소유량의 범위가 동일하게 4:1
최소값은 피토우관의 3:1
최대값은 자기식 유량측정기의 10:1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73. 아질산성 질소시험법(흡광광도법)적용시, 측정을 위한 흡수 파장은?(2008년 07월)
     1. 380nm
     2. 410nm
     3. 540nm
     4. 630nm

     정답 : []
     정답률 : 44%

74. 유량산출의 기초가 되는 수두측정치는 영점수위측정치에서 무엇을 뺀 값인가?(2017년 08월)
     1. 흐름의 수위측정치
     2. 웨어의 수두
     3. 유속측정치
     4. 수로의 폭

     정답 : []
     정답률 : 45%

75. 6가 크롬시험법중 흡광광도법에서 바탕실험을 위해 크롬산에 95% 에탄올을 넣어주는 이유는?(2005년 08월)
     1. 3가크롬을 6가크롬으로 산화시키기 위해
     2. 6가크롬을 3가크롬으로 환원시키기 위해
     3. 디페닐카르바지드용액의 발색을 선명하게 하기 위해
     4. 시료중 방해물질을 산화시키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32%

76. 다음의 측정항목 중 보존 방법이 다른 것은?(2012년 03월)
     1. 잔류염소
     2.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3. 전기전도도
     4. 부유물질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1. 즉시 분석
2~4. 4도에서 보관
[해설작성자 : 곤죽]

77. 투명도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2003년 05월)
     1. 투명도판을 천천히 끌어 올리면서 보이기 시작한 깊이를 0.1m 단위로 읽어 투명도를 측정한다.
     2. 투명도판은 무게가 약 3kg인 지름 30cm의 백색 원판에 지름 5cm의 구멍 8개가 뚫려 있다.
     3. 흐름이 있어 줄이 기울어질 경우에는 2kg 정도의 추를 달아서 줄을 세워야 한다.
     4. 투명도판의 색조차와 광반사능은 투명도에 큰 영향이 있어 더러울 때에는 다시 색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78.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상 6가 크롬측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8월)
     1. 흡광광도법
     2. 이온전극법
     3. 원자흡광광도법
     4.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법

     정답 : []
     정답률 : 49%

79. 수두차가 작아도 유량측정의 정확도가 양호하며 측정하려는 폐, 하수 중의 부유물질 또는 토사 등이 많이 섞여 있는 경우에도 목부분에서의 유속이 상당히 빠르므로 부유물질의 침전이 적고 자연유하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유량계는?(2012년 08월)
     1. 사각웨어
     2. 벤투리미터
     3. 직각 삼각웨어
     4. 파살수로

     정답 : []
     정답률 : 35%

80.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시험할 수 없을 때에는 알맞는 보존방법에 따라 보존하고 보존기간내에 실험을 하여야 한다. 다음 항목중 시료 최대보존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 (단, 알맞는 보존방법에 따라 처리한 경우)(2006년 08월)
     1. 6가 크롬
     2. 페놀류
     3. 수은
     4. 클로로필a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6가 크롬 : 24시간
페놀류 : 28일
수은 : 28일
클로로필a : 7일
[해설작성자 : 유댕]

81. 낚시제한구역에서의 낚시방법의 제한사항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1개의 낚시대에 4개 이상의 낚시바늘을 떡밥과 뭉쳐서 미끼로 던지는 행위
     2. 1개의 낚시대에 5개 이상의 낚시바늘을 떡밥과 뭉쳐서 미끼로 던지는 행위
     3. 1명당 2대 이상의 낚시대를 사용하는 행위
     4. 1명당 3대 이상의 낚시대를 사용하는 행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행규칙 제30조 (낚시제한구역에서의 제한사항)
다. 1명당 4대 이상의 낚시대를 사용하는 행위
라. 1개의 낚시대에 5개 이상의 낚시바늘을 떡밥과 뭉쳐서 미끼로 던지는 행위
[해설작성자 : 제발 취뽀]

82. 다음 배출부과금의 부과내용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폐수· 하수 종말처리시설등에서 방류수 수질기준이하로 배출하는 사업자에 대하여는 부과하지 아니한다.
     2. 대통령령이 정하는 양이하의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자는 부과를 감면할 수 있다.
     3.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수질오염물질의 처리비용을 부담한 사업자는 부과대상에서 제외된다.
     4. 배출부과금을 납부하여야 할 자가 소정의 기간내에 이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 가산금을 징수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83. 제1종 사업장으로서 배출허용기준을 처음 위반한 경우 배출부과금 산정 시 부과되는 계수는? (단, 사업장 규모 : 10000 m3/day 이상인 경우)(2022년 03월)
     1. 2.0
     2. 1.8
     3. 1.6
     4. 1.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16]에 따르면.
제 1종 사업장 최초 위반
2000이상~4000미만 : 1.5
4000~7000 : 1.6
7000~10000 : 1.7
10000이상 : 1.8
2회~ 회당 *1.5

2종 1.4 ( 그 다음부터 계속 제곱 )
3종 1.3 ( 동일)
4종 1.2 동일
5종 1.1 동일
[해설작성자 : Rivolo]

84. 할당오염부하량 등을 초과하여 배출한 자로부터 부과ㆍ징수하는 오염총량초과부과금 산정방법으로 ()에 들어갈 내용은?(2018년 08월)

    

     1. 초과율별 부과계수
     2. 초과율별 부과계수×지역별 부과계수
     3. 지역별부과계수×위반횟수별 부과계수
     4. 초과율별 부과계수×지역별 부과계수×위반횟수별 부과계수

     정답 : []
     정답률 : 63%

85. 물환경보전법에 따라 유역환경청장이 수립하는 대권역별 대권역 물환경관리계획의 수립주기와 협의 주체로 맞는 것은?(2019년 04월)
     1. 5년, 관계 시ㆍ도지사 및 관계수계관리위원회
     2. 10년, 관계 시ㆍ도지사 및 관계수계관리위원회
     3. 5년, 대권역별 환경관리위원회
     4. 10년, 대권역별 환경관리위원회

     정답 : []
     정답률 : 51%

86. 수질오염감시경보의 발령, 해제 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6년 08월)
     1.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한쪽 시험조에서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2.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한쪽 시험조에서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3.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양쪽 모든 시험조에서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4.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양쪽 모든 시험조에서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87.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골프장 맹·고독성 농약 사용 여부 확인 결과” 의 보고기일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1년 08월)
     1. 수시
     2. 매분기 종료 후 15일 이내
     3. 매반기 종료 후 10일 이내
     4. 다음 해 1월 15일까지

     정답 : []
     정답률 : 43%

88. 다음 ( )안에 맞는 내용은?(2009년 07월)

    

     1. ① 대통령령, ② 환경부령
     2. ① 환경부령, ② 대통령령
     3. ① 자치단체장, ② 대통령령
     4. ① 자치단체장, ② 환경부령

     정답 : []
     정답률 : 62%

89. 폐수처리방법이 생물화학적 처리방법인 경우 환경부령이 정하는 시운전 기간은? (단, 가동개시일은 5월 1일이다.)(2011년 08월)
     1. 가동개시일부터 30일
     2. 가동개시일부터 50일
     3. 가동개시일부터 70일
     4. 가동개시일부터 90일

     정답 : []
     정답률 : 39%

90. 다음은 수질 및 수생태계 하천 환경기준 중 생활환경 기준에 적용되는 등급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어떤 등급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상태인가?(2013년 08월)

    

     1. 약간 나쁨
     2. 나쁨
     3. 상당히 나쁨
     4. 매우 나쁨

     정답 : []
     정답률 : 58%

91.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중 하천(생활환경)Ⅱ등급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2015년 08월)
     1.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 5mg/L 이하
     2. 부유물질량(SS) : 30mg/L 이하
     3. 용존산소량(DO) : 5mg/L 이상
     4. 대장균 군수(MPN/100mL) : 500 이하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 BOS: 3mg/L 이하
2. SS: 25mg/L 이하
4. 대장균군 수: 1000이하
[해설작성자 : 아이씨]

92. 환경부장관이 설치할 수 있는 측정망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8월)
     1.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측정망
     2. 퇴적물 측정망
     3. 도심하천 측정망
     4. 공공수역 유해물질 측정망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도심하천 측정망은 시, 도지사가 설치할 수 있는 측정망 중 하나이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93. 수질자동측정기기 또는 부대시설의 부착 면제를 받은 대상 사업장이 면제 대상에서 해제된 경우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몇 개월 이내에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부대시설을 부착해야 하는가?(2021년 03월)
     1. 3개월 이내
     2. 6개월 이내
     3. 9개월 이내
     4. 12개월 이내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부대시설은 가동시작 신고를 한 후 '2개월 이내'.
다만, '부착 면제'를 받은 대상은 사업장이 면제 대상에서 해제된 변경허가 또는 변경 신고일부터 '9개월 이내'에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부대시설을 부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7일의 기적]

94. 특정수질유해물질로만 구성된 것은?(2018년 03월)
     1. 시안화합물, 셀레늄과 그 화합물, 벤젠
     2. 시안화합물, 바륨화합물, 페놀류
     3. 벤젠, 바륨화합물, 구리와 그 화합물
     4. 6가크롬 화합물, 페놀류, 니켈과 그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제2조제8호
시행규칙 별표 3
"특정수질유해물질"이란 사람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수질 오염물질로서 다음의 물질을 말한다

1. 구리와 그 화합물
2. 납과 그 화합물
3. 비소와 그 화합물
4. 수은과 그 화합물
5. 시안화합물
6. 유기인화합물
7. 6가크롬 화합물
8. 카드뮴과 그 화합물
9.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0. 트리클로로에틸렌
11. 삭제 <2016. 5. 20.>
12. 폴리클로리네이티드바이페닐
13. 셀레늄과 그 화합물
14. 벤젠
15. 사염화탄소
16. 디클로로메탄
17. 1, 1-디클로로에틸렌
18. 1, 2-디클로로에탄
19. 클로로포름
20. 1,4-다이옥산
21.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22. 염화비닐
23. 아크릴로니트릴
24. 브로모포름
25. 아크릴아미드
26. 나프탈렌
27. 폼알데하이드
28. 에피클로로하이드린
29. 페놀
30. 펜타클로로페놀
31. 스티렌
32.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33. 안티몬
[해설작성자 : 김수한무거북이와두루미]

95.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측정망 설치계획의 결정고시로 인하여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8월)
     1. 하천점용의 허가
     2. 도로용의 허가
     3. 공공수역용의 허가
     4. 하천공사시행의 허가

     정답 : []
     정답률 : 25%

96. 폐수종말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Ⅰ지역, 2020년 1월 1일 이후 기준, ( )는 농공단지 폐수종말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임)(2020년 09월)
     1. BOD : 10(10)mg/L 이하
     2. COD : 20(30)mg/L 이하
     3. 총질소(T-N) : 20(20)mg/L 이하
     4. 생태독성(TU) : 1(1)mg/L 이하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COD에서 TOC로 개정, I지역에서 TOC 값은 15 이하
[해설작성자 : 아이씨]

I~IV지역 BOD : 10(10)이하
I~II지역 TOC : 15(25)이하
III~IV지역 TOC : 25(25)이하
I~IV지역 SS : 10(10)이하
I~IV지역 T-N : 20(20)이하
I지역 T-P : 0.2(0.2)이하
II지역 T-P : 0.3(0.3)이하
III지역 T-P : 0.5(0.5)이하
IV지역 T-P : 2(2)이하
I~IV지역 총대장균수 : 3000(3000)이하
I~IV지역 생태독성(TU) : 1(1)이하
[해설작성자 : 뱃살곰]

97. 폐수처리업자의 준수사항으로 수탁한 폐수는 정당한 사유없이 몇 일 이상 보관할 수 없는가?(2006년 03월)
     1. 7일
     2. 10일
     3. 15일
     4. 30일

     정답 : []
     정답률 : 57%

98. 기본배출부과금의 부과 대상이 되는 수질오염물질은?(2020년 06월)
     1. 유기물질
     2. BOD
     3. 카드뮴
     4. 구리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기본배출부과금의 부과 대상은
부유물질,유기물질,총 인,총 질소,망간,아연,크롬,페놀
[해설작성자 : 하성]

페놀은 특정유해물질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기본배출부과금의 부과 대상은 부유물질,유기물질
초과배출부과금 부유물질,유기물질,총 인,총 질소,망간,아연,크롬,비소, 등
[해설작성자 : 11]

99. 다음중 한강수계관리위원회 위원이 아닌 자는?(2004년 03월)
     1. 서울특별시장
     2. 인천광역시장
     3. 건설교통부장관
     4.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정답 : []
     정답률 : 59%

100. 휴경 등 권고대상 농경지의 해발고도 및 경사도는?(2020년 09월)
     1. 해발고도:해발 200미터, 경사도:10%
     2. 해발고도:해발 400미터, 경사도:15%
     3. 해발고도:해발 600미터, 경사도:20%
     4. 해발고도:해발 800미터, 경사도:25%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고랭지 배추 400m에서 씹어(15%)먹기"로 외우면 쉬워요
[해설작성자 : 돼지사랑]


정 답 지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582586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수질오염개론


1. 150kL/day의 분뇨를 포기하여 BOD의 20%를 제거하였다. BOD 1kg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공기공급량이 60m3 이라 했을 때 시간당 공기공급량(m3)은? (단, 연속포기, 분뇨의 BOD는 20000mg/L이다.)(2016년 08월)
     1. 100
     2. 500
     3. 1000
     4. 15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50m3/day * 1day/24h * 20000mg/L * 1000L/m3 * 1kg/10^6mg * 0.2 * 60m3
[해설작성자 : 졸령]

2. 성층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수심에 따른 온도변화로 발생되는 물의 밀도차에 의해 발생된다.
     2. 봄, 가을에는 저수지의 수직혼합이 활발하여 분명한 층의 구별이 없어진다.
     3. 여름에는 수심에 다른 연직온도경사와 산소구배는 반대모양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4. 겨울과 여름에는 수직운동이 없어 정체현상이 생기며 수심에 따라 온도와 용존산소농도 차이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여름의 산소구배는 같은 모양을 가진다

3. 알칼리도에 관한 방응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2018년 08월)
     1. CO2+H2O→H2CO3→HCO3-+H+
     2. HCO3→CO3-2+H+
     3. CO3-2+H2O→HCO3-+OH-
     4. HCO3-+H2O→H2CO3+OH-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CO2+H2O⟷H2CO3
H2CO3⟷HCO3−+H+
HCO3−⟷CO32−+H+
[해설작성자 : sugara]

4. 초산의 이온화 상수는 20℃에서 1.75×10-5이다. 20℃에서 0.06M 초산 용액의 pH는?(2005년 08월)
     1. 약 3.0
     2. 약 3.3
     3. 약 3.6
     4. 약 3.9

     정답 : []
     정답률 : 53%

5. 다음 수질을 가진 농업용수의 SAR값은? (단, Na+=230mg/ℓ, PO43-=1500mg/ℓ,CL-=108mg/ℓ, Ca++=600mg/ℓ, Mg++=240mg/ℓ, NH3-N=380mg/ℓ, Na 원자량:23, P 원자량:31, Cl 원자량:35.3, Ca 원자량:40, Mg 원자량:24)(2010년 03월)
     1. 2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63%

6. 이상적 plug flow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분산(variance, o2): 0, 분산수(dispersion NO.): 0
     2. 분산(variance, o2): 0, 분산수(dispersion NO.): 1
     3. 분산(variance, o2): 1, 분산수(dispersion NO.): 0
     4. 분산(variance, o2): 1, 분산수(dispersion NO.): 1

     정답 : []
     정답률 : 74%

7. 생물농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4월)
     1. 수생생물체내의 각종 중금속 농도는 환경수중의 농도보다는 높은 경우가 많다.
     2. 생물체중의 농도와 환경수중의 농도비를 농축비 또는 농축계수라고 한다.
     3. 수생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중금속의 농축비가 다른 경우가 많다.
     4. 농축비는 먹이사슬 과정에서 높은 단계의 소비자에 상당하는 생물일수록 낮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생물농축
농축비는 높은 사슬의 생물일수록 높다.
예) 플랑크톤 1마리가 중금속을 1 축적하고 있다고 가정
멸치가 플랑크톤 100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멸치 내에 1000 축적
고등어가 멸치 1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고등어 내에 10000 축적
삼치가 고등어 10마리를 먹는다 -> 중금속이 삼치 내에 100000 축적
[해설작성자 : 최강 걸그룹 트와이스]

8. 해수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해수는 HCO3를 포화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2. 해수의 밀도는 염분비 일정법칙에 따라 항상 균일하게 유지한다.
     3. 해수 내 전체질소 중 약 35% 정도는 암모니아성질소와 유기 질소의 형태이다.
     4. 해수의 Mg/Ca 비는 3~4정도로 담수에 비하여 크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해수의 밀도는 수심이 깊을수록 증가하며, 적도에서 가장 낮고 극지방에서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수질]

9. 호소수의 전도현상(Turnover)이 호소수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내용 중 바르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수괴의 수직운동 촉진으로 호소 내 환경용량이 제한되어 물의 자정능력이 감소된다.
     2. 심층부까지 조류의 혼합이 촉진되어 상수원의 취수 심도에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수도의 수질이 악화된다.
     3. 심층부의 영양염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표층부에 규조류가 번성하게 되어 부영양화가 촉진된다.
     4. 조류의 다량 번식으로 물의 탁도가 증가되고 여과지가 폐색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수괴의 수직운동 촉진으로 호소내 수질의 평균화를 이룬다.
[해설작성자 : 송헤롱]

전도현상이 발생하면 수질은 악화되지만 호소 전체의 자정작용은 촉진
[해설작성자 : 졸령]

10. 우리나라 호수들의 형태에 따른 분류와 그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하천형 : 긴 체류시간
     2. 가지형 : 복잡한 연안구조
     3. 가지형 : 호수 내 만의 발달
     4. 하구형 : 높은 오염부하량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우리나라 하천의 특징
하천의 길이가 짧아 오출시간이 짧다.
하천의 유량은 불안정하다 .
하상계수(최대유량/최소유량)가 매우 크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합시다]

11. 40℃에서 순수한 물 1L의 몰 농도(mole/L)는?(단, 40℃의 물의 밀도 = 0.9455kg/L)(2017년 08월)
     1. 35.4
     2. 37.6
     3. 48.8
     4. 52.5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945.5g/L X 1mol/18g = 52.527mol/l

0.9455kg/l X 1000g/kg = 945.5g/l

물 1mol = 18g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연속류 교반 반응조(CFSTR)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충격부하에 강하다.
     2. 부하변동에 강하다.
     3. 유입된 액체의 일부분은 즉시 유출된다.
     4. 동일 용량 PFR에 비해 제거효율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같은 효율상에서 필요로하는 부피비를 구하게 되면 CMFR이 PFR보다 3.91배 더 차지한다. 따라서 동일 용량 시 PFR이 더 효율이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RyuT]

13.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의 차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7월)
     1. 유기화합물은 대체로 가연성이다.
     2. 유기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녹는점과 끓는점이 높다.
     3. 유기화합물들은 대체로 이온 반응보다는 분자반응을 하므로 반응속도가 느리다.
     4. 유기화합물들은 대체로 물에 잘 녹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1%

14. 오염된 지하수를 복원하는 방법 중 오염물질의 유발요인이 한 지점에 집중적이고 오염된 면적이 비교적 작을 때 적용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은?(2021년 08월)
     1. 현장공기추출법
     2. 유해물질 굴착제거법
     3. 오염된 지하수의 양수처리법
     4. 토양 내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법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현장공기추출법
- 토양이나 지하수 내 휘발성 유기물질을 공기주입으로 빼내는 방법
- 면적이 넓거나 휘발성 오염에 적합

*유해물질 굴착제거법
- 오염된 토양이나 지하수를 물리적으로 파내 제거하는 방법
- 오염이 국소적이고 면적 작을 때 가장 효과적이고 빠름

*오염된 지하수의 양수처리법
- 오염된 지하수를 펌프로 끌어올려 처리
- 면적 넓거나 오염물질 확산됐을 때 사용

*토양 내 미생물 이용 처리법
- 미생물을 이용해 자연 분해 촉진
- 시간이 오래 걸리고 넓은 지역에 적합
[해설작성자 : 도리콩]

15. 산과 염기의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Arrhenius는 수용액에서 수산화이온을 내어 놓는 물질을 염기라고 정의하였다.
     2. Lewis는 전자쌍을 받는 화학종을 염기라고 정의하였다.
     3. Arrhenius는 수용액에서 양성자를 내어 놓는 것을 산이라고 정의하였다.
     4. Bronsted-Lowry는 수용액에서 양성자를 내어주는 물질을 산이라고 정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0%

16. 다음 수질을 가진 농업용수의 SAR값은? (단, Na+=4600mg/L, PO43-=1500mg/L, Cl-=108mg/L, Ca2+=600mg/L, Mg2+=240mg/L, NH3-N=380mg/L, Na 원자량:23, P 원자량:31, Cl 원자량:35.5, Ca 원자량:40, Mg 원자량:24, N 원자량:14)(2008년 05월)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정답률 : 70%

17. 수질분석 결과가 다음과 같다. 이 시료의 경도 값은? (단, Ca=40, Mg=24, Na=23 이다.)(2014년 05월)

    

     1. 1,100mg/L as CaCO3
     2. 1,200mg/L as CaCO3
     3. 1,300mg/L as CaCO3
     4. 1,500mg/L as CaCO3

     정답 : []
     정답률 : 67%

18. 수산화칼슘[Ca(OH)2]이 중탄산칼슘[Ca(HCO3)2]과 반응하여 탄산칼슘(CaCO3)의 침전이 형성될 때 10g의 Ca(OH)2에 대하여 생성되는 CaCO3의 양(g)은? (단, 칼슘 원자량=40)(2018년 08월)
     1. 17
     2. 27
     3. 37
     4. 47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a(OH)2 + Ca(HCO3)2 -> 2CaCO3 + 2H20
분자량            74g                                 2*100g
                        10g                                     x

74g : 200g = 10g : x
x=27
[해설작성자 : 졸령]

19. 아세트산(CH3COOH) 300mg/ℓ 용액의 pH는? (단, 아세트산 Ka 는 1.8×10-5)(2010년 05월)
     1. 4.65
     2. 4.21
     3. 3.85
     4. 3.52

     정답 : []
     정답률 : 56%

20. Ca(OH)2 용액 50㎖를 중화시키는데 0.02N HCl 용액이 32.5㎖ 소요되었다. Ca(OH)2 용액의 경도(CaCO3 기준)는몇 mg/ℓ인가?(2005년 03월)
     1. 350
     2. 450
     3. 550
     4. 650

     정답 : []
     정답률 : 39%

2과목 : 상하수도계획


21. 상수도시설인 완속 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2년 05월)
     1. 여과지 깊이는 하부집수장치의 높이에 자갈층 두께와 모래층 두께 까지 2.5~3.5m를 표준으로 한다.
     2. 완속여과지의 여과속도는 4~5m/day를 표준으로 한다.
     3. 모래층의 두께는 70~90cm를 표준으로 한다.
     4. 여과지의 모래면 위의 수심은 90~120c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여과지 깊이는 하부집수장치의 높이에 자갈층, 모래층 두께에 [모래면 위의 수심, 여유고]를 더하여 2.5~3.5m를 표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긍딘]

22. 양수량(Q) 14m3/min, 전양정(H) 10m, 회전수(N) 1100rpm인 펌프의 비교회전도(Ns)는?(2017년 05월)
     1. 412
     2. 732
     3. 1302
     4. 1416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Ns = N × Q^(1/2) ÷ H^(3/4)
     = 1100 × 14^(1/2) ÷ 10^(3/4) =731.9
[해설작성자 : 열공하자]

23. 저수시설을 형태적으로 분류할 때의 구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지하댐
     2. 하구둑
     3. 유수지
     4. 저류지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저류지는 평지나 넓은 강물에서 일시적으로 홍수량의 일부를 저수
지하댐 하구둑 유수지는 댐과 같은 형태
[해설작성자 : 너굴전]

유수지가 평지나 넓은 강물에서 일시적으로 홍수량의 일부를 저수
저류지는 집중호우가 내렸을 때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류시킴으로써 하천의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 홍수를 예방하고 주택이나 도로 및 농경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해설작성자 : 킹2]

저수시설 : 댐. 지하댐.호소.저수지.하구둑 + 유수지(사용하기 위한 물 저장)
저류지 : 범랑방지시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하수처리공법 중 접촉산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반송슬러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운전관리가 용이하다.
     2. 생물상이 다양하여 처리효과가 안정적이다.
     3. 부착생물량의 임의 조정이 어려워 조작조건 변경에 대응하기 쉽지 않다.
     4. 접촉제가 조 내에 있기 때문에 부착생물량의 확인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 부착 생물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조작조건의 변경에 대응이 쉬움
[해설작성자 : 내가 보려고 씀]

25. 하수도 시설인 중력식 침사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침사지의 평균유속은 0.3m/초를 표준으로 한다.
     2. 저부경사는 보통 1/500~1/1000 로 하며 그리트 제거설비의 종류별 특성에 따라 범위가 적용된다.
     3. 침사지의 표면부하율은 오수침사지의 경우 1800m3/m2·day, 우수 침사지의 경우 3600m3/m2·day 정도로 한다.
     4. 침사지 수심은 유효수심에 모래 퇴적부의 깊이를 더한 것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26. 막여과법을 정수처리에 적용하는 주된 선정 이유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막의 특성에 따라 원수 중의 현탁물질, 콜로이드, 세균류, 크립토스포리디움 등 일정한 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2. 막의 교환이나 세척 없이 반영구적 자동운전이 가능하여 유지관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3. 부지면적이 종래보다 적을 뿐 아니라 시설의 건설공사 기간도 짧다.
     4.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적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27. 관경 1,500mm 이하의 하수관을 직선부에 설치하고자 할 때, 맨홀(manhole)의 최대간격은?(2003년 03월)
     1. 50m
     2. 100m
     3. 150m
     4. 200m

     정답 : []
     정답률 : 48%

28. 상수도관 부식의 종류 중 매크로셀 부식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단, 자연부식 기준)(2017년 05월)
     1. 콘크리트·토양
     2. 이종금속
     3. 산소농담(통기차)
     4. 박테리아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 박테리아 : 미크로셀 부식
[해설작성자 : 송헤롱]

앞 글자만 따서
매콘산이 , 미일특박 둘중 하나 만 외우는 방법을

매(메크로셀 부식)콘(콘크리트)산(산소농담)이(이종부식)
미(미크로셀 부식)일(일반토양)특(특수토양)박(박테리아)

29. 하수관을 배설하려고 한다. 매설지점의 표토는 젖은 진흙으로서 흙의 단위중량은 1.85kN/m3 이고 흙의 종류와 관의 깊이에 따라 결정되는 계수 C1은 1.86이다. 이때 매설관이 받는 하중은? (단, Marston의 방법 적용, 관의 상부 90° 부분에서의 관매설을 위하여 굴토한 도량폭은 1.2m 이다.)(2006년 05월)
     1. 4.15kN/m3
     2. 4.35kN/m3
     3. 4.65kN/m3
     4. 4.95kN/m3

     정답 : []
     정답률 : 20%

30. 계획하수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합류식 하수도에서 일차침전지까지 처리장내 연결관로는 계획시간 최대 오수량으로 한다.
     2.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을 유입시켜 2차처리해야 한다.
     3. 합류식 하수도는 우천시 일차침전지의 침전시간을 0.5시간 이상 확보하도록 한다.
     4. 합류식 하수도의 소독시설 계획하수량은 계획시간최대오수량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번,4번 합류식 하수도 1차처리(일차침전지) 내 처리시설(소독시설포함),처리장내연결관로는 우천시 계획오수량으로 한다.
2번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을 유입시켜 1차처리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호듀듀듀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는 우천시 계획오수량을 유입시켜 2차처리 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오류신고 반론]
1. 합류식 하수도에서 일차 침전지까지 처리장 내 연결관로는 우천시 계획 오수량으로 한다.
2.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는 우천시 계획오수량을 유입시켜 1차 처리해야 한다.
4. 합류식 하수도에서 소독시설 계획하수량은 계획 1일 최대오수량으로 한다.
[풀이 출처 : 2020 WinQ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필기]
[해설작성자 : 하루남았다어떡함ㅠ]

31. Cavitation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한 낮추어 가용 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2. 펌프의 회전속도를 낮게 선정하여 필요 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3. 흡입측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펌프를 운전한다.
     4. 흡입관에 손실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 가용 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32. 수돗물의 부식성 관련 지표인 랑게리아지수 (포화지수, LI)의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pH = 물의 실제 pH, pHs = 수중의 탄산칼슘이 용해되거나 석출되지 않는 평형상태의 pH)(2017년 03월)
     1. LI = pH + pHs
     2. LI = pH - pHs
     3. LI = pH × pHs
     4. LI = pH / pHs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랑게리아지수(포화지수, LI): 물의 실제 pH와 이론적 pH와의 차
지수가 +값일수록, 탄산칼슘의 석출 쉬움, 비부식성
0 이면, 평형관계
-값이면, 탄산칼슘피막 형성 X, 절대값이 커질수록 부식성 강함
⇒ 소석회-이산화탄소 병용법, 알칼리제 주입으로 개선 가능
[해설작성자 : 파파라바]

33. 하수관이 부식하기 쉬운 곳은?(2018년 08월)
     1. 바닥 부분
     2. 양 옆 부분
     3. 하수관 전체
     4. 관정부(crown)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하수관에서는 혐기성 상태 시 H2S가 발생하여 관정에서 부식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thals8695]

34. 상수도시설 중 저수시설인 하구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전용댐, 다목적댐과 비교)(2020년 06월)
     1. 개발수량 : 중소규모의 개발이 기대된다.
     2. 경제성 : 일반적으로 댐보다 저렴하다.
     3. 설치지점 : 수요지 가까운 하천의 하구에 설치하여 농업용수에 바닷물의 침해방지기능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
     4. 저류수의 수질 : 자체관리로 비교적 양호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어 염소이온 농도에 대한 주의가 필요 없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상수도시설 중 저수시설인 하구둑 ]
개발수량 : 중소규모의 개발이 기대된다.
경제성 : 일반적으로 댐보다 저렴하다.
설치지점 : 수요지 가까운 하천의 하구에 설치하여 농업용수에 바닷물의 침해방지 기능을 겸한 경우가 많다.
저류수의 수질 : 염소이온농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뱃살곰]

35. 하수재이용수의 제한 조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조경용수 : 주거지역 녹지에 대한 관개용수로 공급하는 경우로 식물의 생육에 큰 위해를 주지 않는 수준임
     2. 공업용수 : 일반적 수질기준 설정 없이 산업체 혹은 세부적인 용도에 따른 수질항목을 지정함
     3. 하천유지용수 : 기존 유지용수 유량 증대가 주목적이므로 수계의 자정용량을 고려하여 재이용수의 수질을 강화시킬 수 있음
     4. 지하수충전 : 지하수계의 오염물질 분해 제거율과 축적가능성을 평가하여 영향이 없도록 공급하여야 함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 최소한의 기준이 존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은 우수배제계획의 수립중 우수 유출량의 억제에 대한 계획으로 잘못 설명한 것은?(2004년 08월)
     1. 우수유출량의 억제방법은 크게 우수저류형, 우수침투형 및 토지이용의 계획적관리로 나눌 수 있다.
     2. 우수 저류형 시설중 onsite시설은 단지내 저류 및 우수조정지, 우수체수지 등이 있다.
     3. 우수 침투형은 우수유출총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로서 침투 지하매설관, 침투성 포장 등이 있다.
     4. 우수 저류형은 우수 유출 총량은 변하지 않으나 첨두 유출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4%

37. 하수관거시설인 오수받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오수받이는 공공도로와 사유지 경계부근에 유지관리상 지장이 없는 장소에 설치한다.
     2. 오수받이의 상부에 인버터를 설치하며 저부에는 설치하지 않는다.
     3. 오수받이의 뚜껑은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밀폐 뚜껑으로 한다.
     4. 오수받이의 규격은 내경 200~700mm, 깊이 700~1,000mm 정도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18%

38. 상수관로의 길이 800m, 내경 200mm에서 유속 2m/s로 흐를때 관마찰 손실수두는? (단, Darcy-Weisbach 공식을 이용하며 마찰손실계수는 0.02)(2003년 08월)
     1. 16.3m
     2. 18.4m
     3. 20.7m
     4. 22.6m

     정답 : []
     정답률 : 54%

39. 취수시설에서 침사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지의 위치는 가능한 한 취구수에 근접하여 제내지에 설치한다.
     2.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3~0.6m의 여유고를 둔다.
     3. 지의 고수위는 계획취수량이 유입될 수 있도록 취수구의 계획최저수위 이하로 정한다.
     4. 지의 길이는 폭의 3~8배, 지내 평균 유속은 2~7cm/sec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6~1m의 여유고를 둔다.
[해설작성자 : 합격을 기원합니다]

40. 비속도가 1200 - 2000인 경우에 사용되는 상수도용 펌프형식으로 적절한 것은? (단, 일반적인 단위 적용시)(2004년 08월)
     1. 터어빈펌프
     2. 볼류트펌프
     3. 축류펌프
     4. 사류펌프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측류 = 1100~2000
사류 = 700~1200
[해설작성자 : 김뽀니]

3과목 : 수질오염방지기술


41. 분뇨 소화슬러지 발생량은 1일 분뇨투입량의 10%이다. 발생된 소화슬러지의 탈수 전 함수율이 96%라고 하면 탈수된 소화슬러지의 1일 발생량(m3)은? (단, 분뇨투입량 = 360kL/day, 탈수된 소화 슬러지의 함수율 = 72%, 분뇨 비중 = 1.0)(2022년 03월)
     1. 2.47
     2. 3.78
     3. 4.21
     4. 5.14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60*0.1*0.04*(100/28)=5.1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탈수 전후 수분을 제외한 성분의 양은 같다

탈수 전 수분 제외 성분
= 1일 소화슬러지 발생량 중 함수율 제외한 값 = 일일 분뇨투입량의 10% 중 4%
= 360[kL/day] x 0.1 x 0.04
= 1.44 [kL/day]

탈수 후 소화슬러지 발생량 중 함수율 제외한 값 = 탈수 후 소화슬러지 발생량 중 28%
= A x 0.28 [kL/day]

1.44 = 0.28A
A = 5.1428 [kL/day] = 5.1482 [m^3/day]
[해설작성자 : 최강 걸그룹 트와이스]

42. 물 5m3의 DO가 9.0mg/L이다. 이 산소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아황산나트륨의 양(g)은?(2017년 08월)
     1. 256.5
     2. 354.7
     3. 452.6
     4. 488.8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O2의 양 = 9mg/L * 5m^3 = 45g
Na2SO3 + 0.5O2 -> Na2SO4
<분자량> Na : 23, S : 32 , O : 16
즉,
126 : 16 = x : 45g
[해설작성자 : 홍차사랑]

43. 물리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법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금속염(Al,Fe) 첨가법
     2. 탈기법(Air Stripping)
     3. 이온교환법
     4. Break Point 염소제거법

     정답 : []
     정답률 : 42%

44. 다음 중 정수장에서 사용하는 소독제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1. 미잔류성
     2.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효과적 살균
     3. 쉽고 신뢰할만한 수질분석
     4. 저렴한 가격

     정답 : []
     정답률 : 60%

45. 유기물을 함유한 유체가 완전혼합연속반응조를 통과할 때 유기물의 농도가 200 mg/L에서 20 mg/L로 감소한다. 반응조 내의 반응이 일차반응이고 반응조체적이 20m3이며, 반응속도상수가 0.2day-1이라면 유체의 유량(m3/day)은?(2018년 03월)
     1. 0.11
     2. 0.22
     3. 0.33
     4. 0.44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ln(C2/C1)=-kV/Q
V=20×0.2/ln10

[추가 해설]
Q(c-ce) = VKCe
Q = 20M3 × 0.2/day × 20mg/L × L/(200-20)mg
= 0.444M3/day
[해설작성자 : lwj]

이 문제는 cfstr 1차 반응식으로 푸는겁니다. ct = co/(1+kt) 대입하면 t가 45day 이고 Q = 20/45 = 0.4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일반 일차반응으로 풀면 답 안 나와요
첫번째 해설대로 하면 답 틀립니다
CSFPR 반응식으로 계산합니다
(Ci-C)*Q = V
     KC
[해설작성자 : 해설은 확실히]

46. A2/O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혐기조 - 무산소조 - 호기조 - 침전조 순으로 구성된다.
     2. A2/O 공정은 내부재순환이 있다.
     3. 미생물에 의한 인의 섭취는 주로 혐기조에서 일어난다.
     4. 무산소조에서는 질산성질소가 질소가스로 전환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3. 혐기조에서는 인을 용출한다.
[해설작성자 : 송헤롱]

미생물에 의한 인의 과잉흡수는 주로 호기조에서 일어남
[해설작성자 : 김말이튀김]

47. 활성슬러지공법으로부터 1일 3000kg(건조고형물기준)이 발생되는 폐슬러지를 호기성으로 소화처리 하고자 할 때 소화조의 용적은? (단, 폐슬러지 농도는 3%, 수온이 20℃, 수리학적 체류시간 23일, 비중은 1.03으로 한다.)(2012년 03월)
     1. 약 1515m3
     2. 약 1725m3
     3. 약 1945m3
     4. 약 2233m3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일일 습슬러지 질량 = 일일 건조고형물 배출량 / 폐슬러지 농도(3%) = 3000kg DS / 0.03 = 100000kg/day
Q_sludge(소화조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체적 유량) = 일일 습슬러지 질량 / 비중 ( 1.03 = 1030kg/m^3)
= (100000kg/day) / 1030kg/m^3 = 97.1m^3/day

소화조 용적 V = Q_sludge X HRT = 97.1m^3/day X 23day = 2233m^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고도 수처리를 하기 위한 방법인 '정밀여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막은 대칭형 다공성막 형태이다.
     2. 분리형태는 Pore size 및 흡착현상에 기인한 체걸름이다.
     3. 구동력은 농도차에 의한 확산력이다.
     4. 전자공업의 초순수제조, 무균수제조, 식품의 무균여과에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49. BOD가 250mg/L인 폐수 30,000m3/day를 MLSS농도가 2500mg/L 이고 체류시간이 6시간인 활성 슬러지법으로 처리 한다면 BOD 슬러지 부하는?(2010년 05월)
     1. 0.4kg BOD/kg MLSSㆍday
     2. 0.3kg BOD/kg MLSSㆍday
     3. 0.2kg BOD/kg MLSSㆍday
     4. 0.1kg BOD/kg MLSSㆍday

     정답 : []
     정답률 : 53%

50. 미생물 고정화법인 포괄고정화법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5월)
     1. 증식한 균은 새어나가기 어려우며 내부에서 자기 분해함.
     2. 질화세균 등이 pellet 내에 고정화 되므로 균수의 안정유지가 용이함.
     3. 복수의 균이 공존하면 균 사이의 binding 이 약화되어 균이 새어나올 수 있음.
     4. 고정화 담체의 충전율은 은전방법에 다라 20-50%정도이고 유동화가 배려되어 있음.

     정답 : []
     정답률 : 38%

51. 정수처리시 적용되는 랑게리아 지수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랑게리아 지수란 물의 실제 pH와 이론적 pH(pHs : 수중의 탄산칼슘이 용해되거나 석출되지 않는 평형상태로 있을 때의 pH)와의 차이를 말한다.
     2. 랑게리아 지수가 양(+)의 값으로 절대치가 클수록 탄산칼슘피막 형성이 어렵다.
     3. 랑게리아 지수가 음(-)의 값으로 절대치가 클수록 물의 부식성이 강하다.
     4. 물의 부식성이 강한 경우의 랑게리아 지수는 pH, 칼슘경도, 알갈리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랑게리아 지수가 0 이상이면 탄산칼슘이 과포화 상태로 탄산칼륨 스케일링이 생성될 가능성이 크다.
[해설작성자 : 알파고]

52. SS가 거의 없고 COD가 1500 mg/L인 산업폐수를 활성슬러지 공법으로 처리하여 유출수 COD를 180mg/L로 처리하고자 한다. 아래의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반응시간 θ를 구한 값으로 적절한 것은?(2012년 08월)

    

     1. 16.2 hr
     2. 19.8 hr
     3. 23.8 hr
     4. 28.2 hr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V·ds/dt=Si×Q-So×Q-K×S×X×v
정상상태에서의 V·ds/dt =0
Q(Si-So)=K×S×X×V
Q(Si-So)=K×S×X×Q×t
    Q(Si-So)
t=________
     K×S×X
[해설작성자 : URBB]

53. 회분식 반응조를 일차반응의 조건으로 설계하고, A성분의 제거 또는 전환율이 90%가 되게 하고자 한다. 만일, 반응 속도상수 k가 0.40/hr 이면 이 회분식 반응조의 체류시간은?(2011년 03월)
     1. 약 4.7hr
     2. 약 5.8hr
     3. 약 6.4hr
     4. 약 7.3hr

     정답 : []
     정답률 : 58%

54. 슬러지를 진공 탈수 시켜 부피가 50% 감소되었다. 유입슬러지 함수율이 98%이었다면 탈수 후 슬러지의 함수율(%)은? (단, 슬러지 비중은 1.0 기준)(2017년 03월)
     1. 90
     2. 92
     3. 94
     4. 96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50% 탈수되었으므로 원유입 슬러지는 2라고 보면
2(1-0.98)=1(1-X)
X=0.96
[해설작성자 : 최민]

55. 유량이 3000m3/일이고, BOD 농도가 400mg/L인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포기시간을 8시간으로 처리한 결과 처리수의 BOD 및 SS농도가 각각 30mg/L이었고 MLSS농도는 4000mg/L이었으며, 폐슬러지 생산량은 50m3/일 이었다면 폐슬러지 농도가 0.9%이며, 세포증식계수가 0.8인 경우 내 호흡율(Kd)은?(2011년 06월)
     1. 약 0.032/일
     2. 약 0.046/일
     3. 약 0.063/일
     4. 약 0.087/일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QwXr = Y(Ci-Co)Q - SSe(Q-Qw) - KdXV
Kd = Y(Ci-Co)Q - SSe(Q-Qw) - QwXr / XV
[해설작성자 : 김뽀니]

56. 활성슬러지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에서 반송슬러지 농도가 10000mg/L이고, 폭기조에 MLSS 농도를 2500mg/L로 유지시키고자 한다면 반송률(%)은?(2003년 03월)
     1. 13%
     2. 23%
     3. 33%
     4. 43%

     정답 : []
     정답률 : 40%

57. 1차 처리결과 생성되는 슬러지를 분석한 결과 함수율이 90%, 고형물중 무기성 고형물질이 30%, 유기성 고형물질이 70%, 유기성 고형물질의 비중 1.1, 무기성 고형물질의 비중이 2.2로 판정되었다. 이 때 슬러지의 비중은?(2007년 08월)
     1. 0.977
     2. 1.014
     3. 1.018
     4. 1.023

     정답 : []
     정답률 : 43%

58. 슬러지 개량법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고분자 응집제 첨가 : 슬러지 응결을 촉진한다.
     2. 무기약품 첨가 : 무기약품은 슬러지의 pH를 변화시켜 무기질 비율을 증가시키고 안정화를 도모한다.
     3. 세정 : 혐기성 소화슬러지의 알칼리도를 감소시켜 산성금속염의 주입량을 감소시킨다.
     4. 열처리 : 슬러지의 함수율을 감소시키고 응결핵을 생성시켜 탈수를 개선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열처리 : 슬러지 성분의 일부를 용해시켜 탈수개선을 도모한다.
[해설작성자 : 호듀듀듀]

59. 수면에 대한 스크린 설치 경사각이 60°, 스크린의 막대 굵기 2cm, 스크린의 유효간격이 22mm, 폐수의 유속이 0.45m/sec, 스크린의 막대단면 모습에 따른 계수가 3.5일 때 스크린 설치에 따른 수두손실은? (단, )(2006년 03월)
     1. 약 0.021m
     2. 약 0.028m
     3. 약 0.032m
     4. 약 0.039m

     정답 : []
     정답률 : 32%

60. 함수율이 98%이고 고형물내 VS함량이 65%인 축산폐수 200m3/day를 혐기성소화로 처리하고자 한다. 혐기성 소화조의 고형물 부하를 7.5kgVS/m3-day로 설계하고자 할 때 소화조의 용량은? (단, 축산폐수나 고형물의 비중은 1.0이다.)(2013년 08월)
     1. 238m3
     2. 347m3
     3. 436m3
     4. 583m3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V = Q*BOD / 부하량 = 200m^3 * 10^(3)L/m^3 * 0.65* (1-0.98) * 1kg/1L / 7.5 = 346.66
[해설작성자 : ㅅㅂㅅ]

4과목 :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61.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적용한 음이온계면활성제 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메틸렌블루와 반응시켜 생성된 청색의 착화합물을 추출하여 흡광도를 측정한다.
     2. 컬럼을 통과시켜 시료 중의 계면활성제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3. 메틸렌블루와 반응시켜 생성된 착화합물을 추출할 때 클로로폼을 사용한다.
     4. 약 1000mg/L 이상의 염소이온 농도에서 양의 간섭을 나타내며 따라서 염분농도가 높은 시료의 분석에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시료 중의 계면활성제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측정 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우주정복ㅈ]

62. 4각 위어를 사용하여 유량을 측정하고자 한다. 위어의 수두가 30cm, 수로의 밑면으로부터 절단 하부 모서리까지의 높이가 0.8m, 수로의 폭이 1.5m, 절단의 폭이 1.0m이다. 이 때의 유량은? (단, )(2010년 07월)
     1. 4.99 m3/분
     2. 5.26 m3/분
     3. 13.31 m3/분
     4. 17.54 m3/분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B : 1.5m, b : 1.0m, H = 0.3m, D = 0.8m 대입 하여 k 값을 구한 뒤
4각 위어 유량 = k*b*h^3/2 공식을 통해 구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홍어기]

63.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적용한 불소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8월)
     1. 란탄알리자린 콤프렉손의 착화합물이 불소이온과 반응 생성하는 청색의 복합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620nm에서 측정한다.
     2. 정량한계는 0.03mg/L이다.
     3. 알루미늄 및 철의 방해가 크나 증류하면 영향이 없다.
     4. 전처리법으로 직접증류법과 수증기증류법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 불소의 정량한계는 0.15mg/L이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64. 원자흡광 분석을 위한 다음의 측정순서 중에서 가장 나중에 이루어지는 조작은?(2010년 05월)
     1. 100을 맞춘다.
     2. 0을 맞춘다.
     3. 분광기의 파장눈금을 분석선의 파장에 맞춘다.
     4. 광원램프를 점등하여 적당한 전류값으로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65. 다음 중 시료 최대보존기간이 가장 긴 항목은? (단, 적절한 보존방법을 적용한 경우임)(2003년 08월)
     1. 암모니아성 질소
     2. 아질산성 질소
     3. 질산성 질소
     4. 시안

     정답 : []
     정답률 : 27%

66. 실험 일반 총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공정시험기준에 수재 되어 있지 아니한 방법이라도 측정결과가 같거나 그 이상의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 될 경우로서 국내외의 공인기관에서 인정하고 있는 방법은 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2. 유효측정농도는 지정된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경우 그 시험방법에 대한 최소 정량한계를 의미한다.
     3. 정량범위는 본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할 경우 유효측정범위 10% 이하에서 측정할 수 있는 정량하한과 정량상한의 범위를 말한다.
     4. 표준편차율은 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로서 반복조작시의 편차를 상대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67. 흡광광도계를 이용한 철의 정량에 관한 내용 중 알맞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등적색 철착염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한다.
     2. 측정파장은 510nm이고, 정량범위는 0.02~0.5mg이다.
     3. 염산히드록실아민에 의해 산화제이철로 산화된다.
     4. 철이온을 암모니아 알칼리성으로 하여 수산화제이철로 침전분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68. 총질소 측정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3월)
     1. 환원 증류-킬달법(합산법)
     2. 카드뮴 환원법
     3.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
     4. 흡광광도법

     정답 : []
     정답률 : 36%

69. ??시험방법상 총대장균군의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2007년 08월)
     1. 균군계수 시험방법
     2. 막여과 시험방법
     3. 최적확수 시험법
     4. 평판 집락 시험방법

     정답 : []
     정답률 : 34%

70. 노말헥산 추출물질의 정량한계(mg/L)는?(2021년 05월)
     1. 0.1
     2. 0.5
     3. 1.0
     4. 5.0

     정답 : []
     정답률 : 70%

71. 시료 채취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시료 채취 용기는 시료를 채우기 전에 시료로 3회 이상 씻은 다음 사용한다.
     2. 유류 또는 부유물질 등이 함유된 시료는 균질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채취하여야 하며, 침전물 등이 부상하여 혼입되어서는 안 된다.
     3. 심부층의 지하수 채취 시에는 고속양수펌프를 이용하여 채취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질의 변질을 방지하여야 한다.
     4. 용존가스, 환원성 물질, 휘발성유기화합물, 냄새, 유류 및 수소이온 등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할 때는 운반중 공기와의 접촉이 없도록 시료 용기에 가득 채운 후 빠르게 뚜껑을 닫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지하수 시료 채취 시 심부층의 경우 반드시 저속시료채취하여 시료 교란을 최소화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72. 공장폐수 및 하수유량-관(pipe)내의 유량측정 장치인 벤튜리미터의 범위(최대유량 : 최소유량)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2:1
     2. 3:1
     3. 4:1
     4. 5:1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관내 유량측정방법들 중 벤튜리미터, 노즐, 오리피스의 최대유량에 대한 최소유량의 범위가 동일하게 4:1
최소값은 피토우관의 3:1
최대값은 자기식 유량측정기의 10:1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73. 아질산성 질소시험법(흡광광도법)적용시, 측정을 위한 흡수 파장은?(2008년 07월)
     1. 380nm
     2. 410nm
     3. 540nm
     4. 630nm

     정답 : []
     정답률 : 44%

74. 유량산출의 기초가 되는 수두측정치는 영점수위측정치에서 무엇을 뺀 값인가?(2017년 08월)
     1. 흐름의 수위측정치
     2. 웨어의 수두
     3. 유속측정치
     4. 수로의 폭

     정답 : []
     정답률 : 45%

75. 6가 크롬시험법중 흡광광도법에서 바탕실험을 위해 크롬산에 95% 에탄올을 넣어주는 이유는?(2005년 08월)
     1. 3가크롬을 6가크롬으로 산화시키기 위해
     2. 6가크롬을 3가크롬으로 환원시키기 위해
     3. 디페닐카르바지드용액의 발색을 선명하게 하기 위해
     4. 시료중 방해물질을 산화시키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32%

76. 다음의 측정항목 중 보존 방법이 다른 것은?(2012년 03월)
     1. 잔류염소
     2.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3. 전기전도도
     4. 부유물질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1. 즉시 분석
2~4. 4도에서 보관
[해설작성자 : 곤죽]

77. 투명도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2003년 05월)
     1. 투명도판을 천천히 끌어 올리면서 보이기 시작한 깊이를 0.1m 단위로 읽어 투명도를 측정한다.
     2. 투명도판은 무게가 약 3kg인 지름 30cm의 백색 원판에 지름 5cm의 구멍 8개가 뚫려 있다.
     3. 흐름이 있어 줄이 기울어질 경우에는 2kg 정도의 추를 달아서 줄을 세워야 한다.
     4. 투명도판의 색조차와 광반사능은 투명도에 큰 영향이 있어 더러울 때에는 다시 색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78.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상 6가 크롬측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8월)
     1. 흡광광도법
     2. 이온전극법
     3. 원자흡광광도법
     4.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법

     정답 : []
     정답률 : 49%

79. 수두차가 작아도 유량측정의 정확도가 양호하며 측정하려는 폐, 하수 중의 부유물질 또는 토사 등이 많이 섞여 있는 경우에도 목부분에서의 유속이 상당히 빠르므로 부유물질의 침전이 적고 자연유하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유량계는?(2012년 08월)
     1. 사각웨어
     2. 벤투리미터
     3. 직각 삼각웨어
     4. 파살수로

     정답 : []
     정답률 : 35%

80.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시험할 수 없을 때에는 알맞는 보존방법에 따라 보존하고 보존기간내에 실험을 하여야 한다. 다음 항목중 시료 최대보존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 (단, 알맞는 보존방법에 따라 처리한 경우)(2006년 08월)
     1. 6가 크롬
     2. 페놀류
     3. 수은
     4. 클로로필a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6가 크롬 : 24시간
페놀류 : 28일
수은 : 28일
클로로필a : 7일
[해설작성자 : 유댕]

81. 낚시제한구역에서의 낚시방법의 제한사항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1개의 낚시대에 4개 이상의 낚시바늘을 떡밥과 뭉쳐서 미끼로 던지는 행위
     2. 1개의 낚시대에 5개 이상의 낚시바늘을 떡밥과 뭉쳐서 미끼로 던지는 행위
     3. 1명당 2대 이상의 낚시대를 사용하는 행위
     4. 1명당 3대 이상의 낚시대를 사용하는 행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행규칙 제30조 (낚시제한구역에서의 제한사항)
다. 1명당 4대 이상의 낚시대를 사용하는 행위
라. 1개의 낚시대에 5개 이상의 낚시바늘을 떡밥과 뭉쳐서 미끼로 던지는 행위
[해설작성자 : 제발 취뽀]

82. 다음 배출부과금의 부과내용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폐수· 하수 종말처리시설등에서 방류수 수질기준이하로 배출하는 사업자에 대하여는 부과하지 아니한다.
     2. 대통령령이 정하는 양이하의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자는 부과를 감면할 수 있다.
     3.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수질오염물질의 처리비용을 부담한 사업자는 부과대상에서 제외된다.
     4. 배출부과금을 납부하여야 할 자가 소정의 기간내에 이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 가산금을 징수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83. 제1종 사업장으로서 배출허용기준을 처음 위반한 경우 배출부과금 산정 시 부과되는 계수는? (단, 사업장 규모 : 10000 m3/day 이상인 경우)(2022년 03월)
     1. 2.0
     2. 1.8
     3. 1.6
     4. 1.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16]에 따르면.
제 1종 사업장 최초 위반
2000이상~4000미만 : 1.5
4000~7000 : 1.6
7000~10000 : 1.7
10000이상 : 1.8
2회~ 회당 *1.5

2종 1.4 ( 그 다음부터 계속 제곱 )
3종 1.3 ( 동일)
4종 1.2 동일
5종 1.1 동일
[해설작성자 : Rivolo]

84. 할당오염부하량 등을 초과하여 배출한 자로부터 부과ㆍ징수하는 오염총량초과부과금 산정방법으로 ()에 들어갈 내용은?(2018년 08월)

    

     1. 초과율별 부과계수
     2. 초과율별 부과계수×지역별 부과계수
     3. 지역별부과계수×위반횟수별 부과계수
     4. 초과율별 부과계수×지역별 부과계수×위반횟수별 부과계수

     정답 : []
     정답률 : 63%

85. 물환경보전법에 따라 유역환경청장이 수립하는 대권역별 대권역 물환경관리계획의 수립주기와 협의 주체로 맞는 것은?(2019년 04월)
     1. 5년, 관계 시ㆍ도지사 및 관계수계관리위원회
     2. 10년, 관계 시ㆍ도지사 및 관계수계관리위원회
     3. 5년, 대권역별 환경관리위원회
     4. 10년, 대권역별 환경관리위원회

     정답 : []
     정답률 : 51%

86. 수질오염감시경보의 발령, 해제 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6년 08월)
     1.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한쪽 시험조에서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2.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한쪽 시험조에서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3.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양쪽 모든 시험조에서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4.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양쪽 모든 시험조에서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87.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골프장 맹·고독성 농약 사용 여부 확인 결과” 의 보고기일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1년 08월)
     1. 수시
     2. 매분기 종료 후 15일 이내
     3. 매반기 종료 후 10일 이내
     4. 다음 해 1월 15일까지

     정답 : []
     정답률 : 43%

88. 다음 ( )안에 맞는 내용은?(2009년 07월)

    

     1. ① 대통령령, ② 환경부령
     2. ① 환경부령, ② 대통령령
     3. ① 자치단체장, ② 대통령령
     4. ① 자치단체장, ② 환경부령

     정답 : []
     정답률 : 62%

89. 폐수처리방법이 생물화학적 처리방법인 경우 환경부령이 정하는 시운전 기간은? (단, 가동개시일은 5월 1일이다.)(2011년 08월)
     1. 가동개시일부터 30일
     2. 가동개시일부터 50일
     3. 가동개시일부터 70일
     4. 가동개시일부터 90일

     정답 : []
     정답률 : 39%

90. 다음은 수질 및 수생태계 하천 환경기준 중 생활환경 기준에 적용되는 등급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어떤 등급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상태인가?(2013년 08월)

    

     1. 약간 나쁨
     2. 나쁨
     3. 상당히 나쁨
     4. 매우 나쁨

     정답 : []
     정답률 : 58%

91.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중 하천(생활환경)Ⅱ등급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2015년 08월)
     1.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 5mg/L 이하
     2. 부유물질량(SS) : 30mg/L 이하
     3. 용존산소량(DO) : 5mg/L 이상
     4. 대장균 군수(MPN/100mL) : 500 이하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 BOS: 3mg/L 이하
2. SS: 25mg/L 이하
4. 대장균군 수: 1000이하
[해설작성자 : 아이씨]

92. 환경부장관이 설치할 수 있는 측정망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8월)
     1.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측정망
     2. 퇴적물 측정망
     3. 도심하천 측정망
     4. 공공수역 유해물질 측정망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도심하천 측정망은 시, 도지사가 설치할 수 있는 측정망 중 하나이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93. 수질자동측정기기 또는 부대시설의 부착 면제를 받은 대상 사업장이 면제 대상에서 해제된 경우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몇 개월 이내에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부대시설을 부착해야 하는가?(2021년 03월)
     1. 3개월 이내
     2. 6개월 이내
     3. 9개월 이내
     4. 12개월 이내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부대시설은 가동시작 신고를 한 후 '2개월 이내'.
다만, '부착 면제'를 받은 대상은 사업장이 면제 대상에서 해제된 변경허가 또는 변경 신고일부터 '9개월 이내'에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부대시설을 부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7일의 기적]

94. 특정수질유해물질로만 구성된 것은?(2018년 03월)
     1. 시안화합물, 셀레늄과 그 화합물, 벤젠
     2. 시안화합물, 바륨화합물, 페놀류
     3. 벤젠, 바륨화합물, 구리와 그 화합물
     4. 6가크롬 화합물, 페놀류, 니켈과 그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제2조제8호
시행규칙 별표 3
"특정수질유해물질"이란 사람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수질 오염물질로서 다음의 물질을 말한다

1. 구리와 그 화합물
2. 납과 그 화합물
3. 비소와 그 화합물
4. 수은과 그 화합물
5. 시안화합물
6. 유기인화합물
7. 6가크롬 화합물
8. 카드뮴과 그 화합물
9.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0. 트리클로로에틸렌
11. 삭제 <2016. 5. 20.>
12. 폴리클로리네이티드바이페닐
13. 셀레늄과 그 화합물
14. 벤젠
15. 사염화탄소
16. 디클로로메탄
17. 1, 1-디클로로에틸렌
18. 1, 2-디클로로에탄
19. 클로로포름
20. 1,4-다이옥산
21.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22. 염화비닐
23. 아크릴로니트릴
24. 브로모포름
25. 아크릴아미드
26. 나프탈렌
27. 폼알데하이드
28. 에피클로로하이드린
29. 페놀
30. 펜타클로로페놀
31. 스티렌
32.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33. 안티몬
[해설작성자 : 김수한무거북이와두루미]

95.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측정망 설치계획의 결정고시로 인하여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8월)
     1. 하천점용의 허가
     2. 도로용의 허가
     3. 공공수역용의 허가
     4. 하천공사시행의 허가

     정답 : []
     정답률 : 25%

96. 폐수종말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Ⅰ지역, 2020년 1월 1일 이후 기준, ( )는 농공단지 폐수종말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임)(2020년 09월)
     1. BOD : 10(10)mg/L 이하
     2. COD : 20(30)mg/L 이하
     3. 총질소(T-N) : 20(20)mg/L 이하
     4. 생태독성(TU) : 1(1)mg/L 이하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COD에서 TOC로 개정, I지역에서 TOC 값은 15 이하
[해설작성자 : 아이씨]

I~IV지역 BOD : 10(10)이하
I~II지역 TOC : 15(25)이하
III~IV지역 TOC : 25(25)이하
I~IV지역 SS : 10(10)이하
I~IV지역 T-N : 20(20)이하
I지역 T-P : 0.2(0.2)이하
II지역 T-P : 0.3(0.3)이하
III지역 T-P : 0.5(0.5)이하
IV지역 T-P : 2(2)이하
I~IV지역 총대장균수 : 3000(3000)이하
I~IV지역 생태독성(TU) : 1(1)이하
[해설작성자 : 뱃살곰]

97. 폐수처리업자의 준수사항으로 수탁한 폐수는 정당한 사유없이 몇 일 이상 보관할 수 없는가?(2006년 03월)
     1. 7일
     2. 10일
     3. 15일
     4. 30일

     정답 : []
     정답률 : 57%

98. 기본배출부과금의 부과 대상이 되는 수질오염물질은?(2020년 06월)
     1. 유기물질
     2. BOD
     3. 카드뮴
     4. 구리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기본배출부과금의 부과 대상은
부유물질,유기물질,총 인,총 질소,망간,아연,크롬,페놀
[해설작성자 : 하성]

페놀은 특정유해물질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기본배출부과금의 부과 대상은 부유물질,유기물질
초과배출부과금 부유물질,유기물질,총 인,총 질소,망간,아연,크롬,비소, 등
[해설작성자 : 11]

99. 다음중 한강수계관리위원회 위원이 아닌 자는?(2004년 03월)
     1. 서울특별시장
     2. 인천광역시장
     3. 건설교통부장관
     4.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정답 : []
     정답률 : 59%

100. 휴경 등 권고대상 농경지의 해발고도 및 경사도는?(2020년 09월)
     1. 해발고도:해발 200미터, 경사도:10%
     2. 해발고도:해발 400미터, 경사도:15%
     3. 해발고도:해발 600미터, 경사도:20%
     4. 해발고도:해발 800미터, 경사도:25%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고랭지 배추 400m에서 씹어(15%)먹기"로 외우면 쉬워요
[해설작성자 : 돼지사랑]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582586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4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93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92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1191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9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1928550)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89 전파전자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88 제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5086223)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87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1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86 컴퓨터그래픽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5825864) 좋은아빠되기 2025.11.16 10
1184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83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82 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81 수능(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118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79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78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1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1177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76 미용사(네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6 5
1175 워드프로세서 2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6일)(4373746) 좋은아빠되기 2025.11.16 4
Board Pagination Prev 1 ...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 261 Next
/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