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372183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식물병리학


1. 식물병의 진단에서 유관속 폐색을 일으키는 병은?(2004년 09월)
     1. 토마토 풋마름병
     2. 밤나무 줄기마름병
     3. 배추 무 사마귀병
     4. 벼 도열병

     정답 : []
     정답률 : 65%

2. 파이토플라스마(Rhytoplasma)병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뽕나무 오갈병
     2. 대추나무 빗자루병
     3. 감자 걀쭉병
     4. 과꽃 누른오갈병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감자 걀쭉병은 바이로이드 병이다.
[해설작성자 : 명우짱]

3. 건전한 종자선택과 철저한 종자소득으로 방제할 수 있는 병은?(2011년 03월)
     1. 벼 오갈병
     2. 벼 흰잎마름병
     3. 벼 잎집무늬마름병
     4. 세균성벼알마름병

     정답 : []
     정답률 : 58%

4. 식물병 방제를 위하여 Millardet가 개발한 것으로 당시 유행한 포도 노균병을 방제하기 위해 구리가 가진 독성을 이용한 것으로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는 살균제는?(2015년 09월)
     1. BT제
     2. PCNB
     3. 유황합제
     4. 보르도액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프랑스 보르도 대학의 교수 였었다.
[해설작성자 : 정영만]

5.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의 녹포자는 어느 식물에서 생기는가?(2004년 09월)
     1. 배나무
     2. 향나무
     3. 까치밤나무
     4. 포플러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배나무/사과나무 : 녹병정자,녹포자세대
향나무 : 겨울포자,담자포자세대를 거칩니다.
녹포자는 배나무에서 생깁니다.
[해설작성자 : 하용인]

6. 병원균의 중간기주를 제거함으로써 방제할 수 있는 병은?(2018년 09월)
     1. 고추 역병
     2. 오이 노균병
     3. 밀 줄기녹병
     4. 보리 깜부기병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매자나무(중간기주)
[해설작성자 : Lee]

7. 식물병 발생에 필요한 3대요소가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병원체의 존재
     2. 적당한 환경
     3. 병징
     4. 감수성이 있는 식물

     정답 : []
     정답률 : 79%

8. 감자 잎말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2005년 09월)
     1. 세균
     2. 진균(곰팡이)
     3. 선충
     4. 바이러스

     정답 : []
     정답률 : 59%

9. 곰팡이에 의해서 발생한 병의 표징이 아닌 것은?(2014년 09월)
     1. 포자퇴
     2. 유주자낭
     3. 균핵
     4. 뿌리털

     정답 : []
     정답률 : 80%

10. 감자 Y바이러스의 주요 매개충은?(2007년 03월)
     1. 번개매미충
     2. 끝동매미충
     3. 복숭아 혹진딧물
     4. 응애

     정답 : []
     정답률 : 67%

11. 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벼에도 잘 발생한다.
     2.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3. 산성토양에서 잘 발생한다.
     4. 온도가 20℃ 이하로 서늘 할 때 잘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십자화과 채소작물 가해
2. 절대기생균; 균류
4. 20도 이상 (20~25정도)
보너스/산성조건에서 많이 발생/ 빗물,농기구,동물,흙바람 등으로 전염
[해설작성자 : 태초마을 양박사]

12. 경란전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가벼운 일이 잘 전염된다.
     2. 전염의 어렵고 쉬운 정도를 말한다.
     3. 산란 후 병원이 알에 침입하여 전염된다.
     4. 매개곤충의 알을 거쳐 다음 세대로 병원이 전해진다.

     정답 : []
     정답률 : 82%

13. 진균 중 유성번식을 하지 않거나 또는 매우 드물게 하는 병원균은?(2007년 03월)
     1. 난균류
     2. 불완전균류
     3. 자낭균류
     4. 담자균류

     정답 : []
     정답률 : 78%

14. 다음은 어느 병원균에 대한 설명인가?(2011년 03월)

    

     1. 감자 역병균
     2. 감자 Y 바이러스
     3. 감자 더뎅이병균
     4. 감자 무름병균

     정답 : []
     정답률 : 76%

15. 다음은 어느 병원균에 대한 설명인가?(2016년 03월)

    

     1. 감자 역병균
     2. 감자 무름병균
     3. 감자 Y바이러스
     4. 감자 더뎅이병균

     정답 : []
     정답률 : 75%

16. 기생성 병원은?(2011년 03월)
     1. SO2
     2. 사상균
     3. 약해
     4. 붕소결핍

     정답 : []
     정답률 : 90%

17. 균의 종류에 따른 세포벽 구성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고구마 무름병균은 키틴 성분이 없고 다량의 섬유소를 갖고 있다.
     2. 감자 역병균은 키틴이 없고 소량의 섬유소를 갖고 있다.
     3. 벼 도열병균은 키틴이 없고 소량의 섬유소를 갖고 있다.
     4. 벼 흰잎마름병균은 키틴과 다량의 섬유소를 갖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감자역병균은 난균류(물곰팡이)로서 엽록소와 균사격벽없음
세포벽은 셀룰로오스이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18. 다음 중 서로 관계 깊은 것끼리 연결이 잘못된 것은?(2002년 09월)
     1. 과수의 뿌리혹병 - 조직의 이상비대
     2. 벼흰잎마름병 - 세균의 유관속 증식
     3. 감자더뎅이병 - 발병부위의 콜크화
     4. 담배들불병 - 세포벽 분해에 의한 무름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슈도모나스 타바키라는 %%%세균%%%에 의하여 짙은 황색의 반점이 생기면서 담뱃잎이 %%%찢어지는%%%%% 병.

이 병은 특히 폭풍우가 지난 다음 마치
들불이 퍼지듯 빨리 번지고 피해가 심하여 이 이름이 생겼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세균 속이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Erwinia
     2. Helicobacter
     3. Pseudomonas
     4. Agrobacterium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헬리코박터는 동물의 위에서 생존하는 세균입니다. 헬리코박터-윌프로젝트
[해설작성자 : 앙기머띠]

20. 잣나무 털녹병의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중간기주인 송이풀을 제거한다.
     2. 중간기주인 까치밥나무를 제거한다.
     3. 담자포자가 비산하는 초봄에는 살균
     4. 병든 나무는 녹포자가 비산하기 전에 비닐로 싸준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잣나무털녹병은 송이풀,까치밥나무가 중간기주---제거
중간기주에서 하포자(4월),동포자(8월)담자포자(10월)
가을에 비산한다. 가을에 방제해야 하는것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과목 : 농림해충학


21. 가로수에 밴딩(banding)을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은 주로 어떤 해충을 대상으로 한 것인가?(2010년 09월)
     1. 도둑나방
     2. 미국흰불나방
     3. 잎말이나방
     4. 심식나방

     정답 : []
     정답률 : 78%

22. 솔입혹파리 방제를 위한 침투성 약제 수간주입(수간주사)방법은 이 해충의 어느 충태를 방제하는 방법인가?(2008년 03월)
     1.
     2. 부화 유충
     3. 노숙 유충
     4. 성충

     정답 : []
     정답률 : 80%

23. 곤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다리가 3쌍이다.
     2. 눈은 겹눈만 있고 홑눈이 없다.
     3. 대게 2쌍의 날개가 있고 탈바꿈을 하기로 한다.
     4. 몸이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곤충은 다리3쌍 5마디,3부분
겹눈과 홑눈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4. 토양병과 함께 전작물의 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동물군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1년 10월)
     1. 땅강아지
     2. 선충
     3. 응애
     4. 거미

     정답 : []
     정답률 : 60%

25. 벼룩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성충으로 월동한다.
     2. 유충이 잎을 가해한다.
     3. 1년에 4~5회 발생한다.
     4. 잡초나 얕은 땅속에서 월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ㅇ벼룩잎벌레
    유충 : 뿌리 가해
    성충 : 잎을 발아시부터 가해
    월동 : 성충형태로 잡초나 얕은 땅속에서 월동
[해설작성자 : 장천리]

26. 천막벌레나방의 분류학적 위치는?(2017년 03월)
     1. 자나방과
     2. 솔나방과
     3. 재주나방과
     4. 산누에나방과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나비목 솔나방과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7. 나무이는 어느 목에 속하는가?(2006년 03월)
     1. 파리목
     2. 노린재목
     3. 매미목
     4. 총채벌레목

     정답 : []
     정답률 : 44%

28. 소화효소를 분비하여 음식물들을 분해한 후 흡수하는 곳은?(2016년 03월)
     1. 중장
     2. 전장
     3. 후장
     4. 침샘

     정답 : []
     정답률 : 81%

29. 곤충의 순환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곤충의 등쪽에 대동맥이 있다.
     2. 혈액은 혈장과 혈구세포로 이루어진다.
     3. 심장에는 심문이 있다.
     4. 곤충은 폐쇄형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곤충은 개방형
[해설작성자 : 우주정복자]

30. 포도나무 줄기를 가해하는 해충끼리 짝지어진 것은?(2005년 03월)
     1. 포도호랑하늘소 - 포도쌍점매미충
     2. 포도금빛잎벌레 - 포도뿌리혹벌레
     3. 으름나방 - 무궁화밤나방
     4. 포도유리나방 - 박쥐나방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포도나무 줄기를 해하는 해충
- 포도유리나방(유충이 줄기식해 및 월동), 박쥐나방, 포도호랑하늘소(유충)
포도나무 잎을 해하는 해충
- 포도쌍점매미충
[해설작성자 : ..]

31. 벼멸구의 분류학적 위치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2015년 09월)
     1. 메뚜기목
     2. 노린재목
     3. 총채벌레목
     4. 풀잠자리목

     정답 : []
     정답률 : 75%

32. 곤충의 뇌(腦)는 전대뇌(protocerebrum), 중대뇌(deutocerebrum), 후대뇌(tritocerebrum)의 3개의 신경절로 되어 있다. 후대뇌(tritocerebrum)의 역할은?(2011년 03월)
     1. 시감각에 관여
     2. 촉감각에 관여
     3. 청감각에 관여
     4. 소화기 운동에 관여

     정답 : []
     정답률 : 68%

33. 딱정벌레목 곤충은 완전변태를 하며 농림해충으로 중요한 종이 많다. 다음 중 딱정벌레목에 속하지 않는 종은 어느 것인가 ?(2003년 08월)
     1. 소나무좀
     2. 오리나무잎벌레
     3. 느티나무벼룩바구미
     4. 버즘나무방패벌레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버즘나무방패벌레는 노린재목 방패벌레과
[해설작성자 : 이영우]

34. 곤충의 소화기관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에 작용하는 신경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2003년 08월)
     1. 말초신경계
     2. 내장신경계
     3. 배신경줄
     4. 중추신경계

     정답 : []
     정답률 : 67%

35. 이화명나방이 월동하는 형태는?(2018년 09월)
     1.
     2. 성충
     3. 유충
     4. 번데기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화명나방은 노숙유충의 형태로 볏짚이나 벼그루터기에서 월동한다.
[해설작성자 : .]

36. 성충은 식물조직에 산란하고 부화한 애벌레는 2령을 경과한 후 땅속에서 번데기 기간을 거쳐 성충이 되는 것은?(2018년 09월)
     1. 애멸구
     2. 온실가루이
     3. 점박이응애
     4. 꽃노랑총채벌레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년에 5-6회 발생. 성충 형태로 지표면이나 나무껍질 속에서 월동.
부화유충이 흡즙하면서 성장하여 2령 경과후 노숙유충이 되어 제 1,2 번데기 기간을 경과후 성충으로 우화
약제 저항성이 있으므로 약제 선택 신중.    천적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도 병용
[해설작성자 : 별향]

37. 주로 가해하는 대상이 과수가 아닌 해충은?(2007년 03월)
     1. 도둑나방
     2. 말매미
     3. 사과혹진딧물
     4. 모무늬잎말이나방

     정답 : []
     정답률 : 61%

38. 곤충 수컷의 생식기관에서 볼 수 없는 것은?(2019년 09월)
     1. 저정낭
     2. 수정관
     3. 난황소
     4. 부속샘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부속샘 [accessory gland] 식품과학사전
어떤 기관에 딸려있는 샘. 특히 곤충의 수놈 생식 기관에 딸린 분비샘을 이른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검색충]

39. 주로 벼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혹명나방
     2. 이화명나방
     3. 끝동매미충
     4. 거세미나방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거세미나방 - 무, 배추, 가지, 당근, 담배 등
[해설작성자 : 별향]

40. 가장 많은 종수를 갖고 있는 곤충목은 ?(2003년 03월)
     1. 딱정벌레목
     2. 메뚜기목
     3. 파리목
     4. 이목

     정답 : []
     정답률 : 85%

3과목 : 농약학


41. 유기인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인축에 대한 독성이 약하다.
     2. 알칼리에는 용이하게 분해된다.
     3.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느리다.
     4. 광선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기인계농약
인축독성--강
알칼리분해--용이
동물체내분해,--빠름
광선분해--소실우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42. 60kg의 쌀에 살충제 Malathion 50% 유제를 5ppm이 되도록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설충제량(mL)은? (단, 비중은 1.07 이다.)(2017년 09월)
     1. 0.42
     2. 0.56
     3. 0.64
     4. 0.72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60000=x*(50/0.0005-1)*1.07
99,999*1.07x=60,000
x=60,000/106,999
x=0.5607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5x60)/500/1.07=0.56

43. 다음 약제 중 응애의 알, 어린벌레, 성충에 대해서 고루 살충효과가 큰 약제는?(2005년 09월)
     1. 켈센제(Dicofol)
     2. 이피엔제(EPN)
     3. 테트라디폰제(Tedion)
     4. 다이아지논제(diazinon)

     정답 : []
     정답률 : 35%

44. 유효성분을 담체인 고체 중량제와 혼합분쇄하고 보조제로서 고결제, 안정제,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입상으로 성형한 것 또는 입상으로 담체에 유효성분을 피복시킨 제형은?(2018년 04월)
     1. 입제
     2. 분제
     3. 수화제
     4. 유제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입제는 유효성분을 고형증량제, 안정제, 계면활성제 등을 넣어 입상으로 성형한 제제이다.
[해설작성자 : ㅎㄷ]

45. 무기농약인 석회황합제의 제조 및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10월)
     1. 생석회와 황을 2: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가마솥에 넣고 일정량의 물과 온도하에 가열반응시켜 숙성 후에 여과하여 만든다.
     2. 약제 조제용 그릇은 금속제를 피하고 나무통을 사용하고 분무기는 약제 사용 후 암모니아수나 초산액으로 씻은 다음 물로 씻어 보관한다.
     3. PCP, 황산니코틴, 황산아연 등과 혼용해도 무방하지만 유기인제, 제충국제와는 혼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4.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분해가 촉진되기 때문에 저장할 때는 공기와의 접촉을 막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생석회와 황의 중량비는 생성회:1 / 황가루:2 이다.
[해설작성자 : .]

46. 우리나라 농약의 독성구분에 대한 내용 중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우리나라의 농약 독성구분은 농약원제의 독성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2. 농약의 제품독성에 따라 고독성 및 보통독성으로 구분하여 취급하고 있다.
     3. 어독성은 정도에 따라 Ⅰ급, Ⅱ급, Ⅲ급, 및 Ⅱs급으로 구분한다.
     4. 농약의 독성구분은 제품의 급성경구독성 반수치사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농촌진흥청 농약독성의 규제에 따르면 어독성은 I급, II급,    ll급, lll급으로 나누어지는게 맞습니다
농약의 어독성 구분

어독성 구분 어류 반수치사농도 (㎎/ℓ, 48시간)
Ⅰ 급 < 0.5
Ⅱ급 0.5~2.0
Ⅱs 급 미꾸리 < 0.1
Ⅲ 급 > 2.0
[해설작성자 : 농촌진흥청 농약독성의 규제]

47. 살균제 농약의 기작 중 고에너지 중간체를 가수분해하여 전자전달계와 에너지전이계를 전달하여 비공역(uncoupler) 작용을 하는 농약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디노캡(Dinocap)
     2. 비나파크릴(Binapacryl)
     3. 캡탄(Captan)
     4. 훼나진(Phenazine)

     정답 : []
     정답률 : 57%

48. 호르몬 작용을 가지고 있는 Phenoxy계 제초제 농약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씨마진
     2. 2,4-D
     3. MCP
     4. MCPP

     정답 : []
     정답률 : 73%

49. 농약의 제제형태에 따른 분류 방법은?(2005년 03월)
     1. 유제 농약
     2. 유기인제 농약
     3. 살균제 농약
     4. 어독성 농약

     정답 : []
     정답률 : 70%

50. 다음 농약의 제형 중 농약제조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친환경적 제형은?(2019년 09월)
     1. 액상수화제
     2. 액제
     3. 유탁제
     4. 수화제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유제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제형은 유탁제, 미탁제이다
미탁제나 유탁제 등 신규제형이 각광받지 못하는 이유: 고가로인한 경제성 문제,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부족, 보수적 농민의 선호도 부족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수화제를 물에 풀면 물에 녹지 않은 원체나 증량제의 미립자가 균등히 분산된 살포액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3월)
     1. 유탁액
     2. 용액
     3. 현탁액
     4. 미탁액

     정답 : []
     정답률 : 67%

52. 유황의 살균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약제가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석회유황합제
     2. 만코제브
     3. 지네브
     4. 네오아소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네오아소진: 유기비소제, 사과부란병, 벼잎짚무늬마름병 방제. 현재는 사용금지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다음 중 제초제 사용의 필요성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잡초가 농작물의 양분과 수분을 탈취하므로
     2. 잡초가 노동력을 감소시키므로
     3. 잡초가 햇빛을 차단하여 작물의 생육을 방해하므로
     4. 잡초가 해충 및 병균의 기주가 되므로

     정답 : []
     정답률 : 82%

54. 유기인계 살충제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접촉제로 강력하게 작용하며 훈증작용도 하고 소화 중독작용도 크다.
     2. 식물체에 흡수침투되어 살충작용을 한다.
     3. 낮은 농도로도 큰 살충효과를 낸다.
     4. 사람이나 가축에 대한 독성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유기인게 살충제*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강하다.
알칼리에 용이하게 분해된다.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빠르다.
광선에 의한 분해시 소실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가요니]

55. 농약관리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농약의 범주에는 농립축산식품부령이 정하는 기피제, 유인제 등도 포함된다.
     2. 농약이란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약제를 포함한다.
     3. 원제란 농약의 유효성분이 농축되어 있는 물질을 말한다.
     4. 농작물이란 수목 및 임산물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56. 사용목적에 따른 농약의 분류가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살균제
     2. 살충제
     3. 비소제
     4. 제초제

     정답 : []
     정답률 : 81%

57. 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중 보호살균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Myclobutanil
     2. Bordeaux mixture
     3. Mancozeb
     4. Propineb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농약분류 1.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2. 제제 형태에 의한 분류 3. 유효성분 조성에 따른분류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1.살균제 2. 살충제 3. 살선충제 4. 살비제 5.제초제 6.식물생장조정제 7.보조제
-살균제 종류 : 보호살균제, 직접살균제, 종자소독제, 토양살균제
->보호살균제 : 병균의 포자가 엽경에 침입하기 전에 사용해서 예방적 효과를 거두기 위한 약제
(보르도 혼합액, 결정석회황 합제, 구리분제 등)
[해설작성자 : 1.5]

58. 대표적인 약제로는 Drin, DDT, BHC이며 사람이나 동물의 체내에 들어가면 분해되어 배설되지 않고 체내의 지방조직에 축적되는 성질이 있는 약제는?(2019년 03월)
     1. 유기인제
     2. 유기염소제
     3. 카바메이트제
     4. 디티오카바메이트제

     정답 : []
     정답률 : 53%

59. 농약의 독성을 표시하는 단위로서 반수치사량(중위수 치사량)을 나타내는 기호는?(2018년 03월)
     1. LT50
     2. LF50
     3. LM50
     4. LD50

     정답 : []
     정답률 : 80%

60. 다음 중 해충의 생활사가 알→ 유충→ 고치→ 성충의 과정을 거치지 않는 해충은?(2002년 09월)
     1. 진딧물
     2. 나방류
     3. 굴파리류
     4. 물바구미

     정답 : []
     정답률 : 74%

61. 다년생의 영양번식기관으로 맞지 않는 것은?(2002년 09월)
     1. 덩이줄기
     2. 땅속줄기
     3. 알줄기
     4. 절간

     정답 : []
     정답률 : 74%

62. 제초제의 선택성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식물체 생장점의 위치
     2. 식물체 생육기의 차이
     3. 식물체 건조 무게 차이
     4. 식물체 뿌리의 분포상태

     정답 : []
     정답률 : 76%

63. 잡초 종자의 발아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3월)
     1. 논에서 자라는 잡초들은 밭에서 자라는 잡초들보다 산소 요구도가 낮은 편이다.
     2. 토양 비옥도에 따라 발생하는 잡초종이 달라질 수 있다.
     3. 잡초종자는 대체로 종자가 크고 무거울수록 출아심도가 깊다.
     4. 대부분의 잡초 종자는 토양 수분이 55% 이하에서 발아가 양호하다.

     정답 : []
     정답률 : 56%

64. 잡초에 의한 작물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작물의 영양 생장기에만 피해가 발생한다.
     2. 작물의 양분을 탈취하지만 광합성을 방해하지 않는다.
     3. 작물이 결실하는 종실의 수와 양에도 피해가 발생한다.
     4. 같은 작물이면 잡초에 의한 피해 정도는 품종간에 차이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4%

65. 여름작물(콩, 옥수수, 감자, 참깨) 포장에서 발생이 가장 많은 우점 잡초는?(2008년 09월)
     1. 바랭이
     2. 뚝새풀
     3. 별꽃
     4. 냉이

     정답 : []
     정답률 : 63%

66. 다음 중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9월)
     1. 가래
     2. 등에풀
     3. 생이가래
     4. 물달개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부유성잡초
생이가래,부레옥잠,개구리밥,좀개구리밥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67. 작물-잡초 간의 경합에 있어서 임계 경합기간 (critical period of competition)이란?(2009년 08월)
     1. 작물이 경합에 가장 민감한 시기
     2. 잡초가 경합에 가장 민감한 시기
     3. 경합이 시작되는 시기
     4. 경합이 끝나는 시기

     정답 : []
     정답률 : 67%

68. 잡초군락의 천이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은?(2002년 03월)
     1. 우점초종
     2. 경운심도
     3. 물관리
     4. 제초시기 및 방법

     정답 : []
     정답률 : 66%

69. 토양내 지하경을 형성하지 않는 잡초는?(2005년 03월)
     1. 가래
     2. 벗풀
     3. 알방동사니
     4. 올미

     정답 : []
     정답률 : 46%

70. 제초제에 사용시기에 따른 분류에서 파종전 처리제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10월)
     1. 토양 소독제
     2. 경엽 처리제
     3. 생육기 처리제
     4. 이앙 벼의 초기 제초제

     정답 : []
     정답률 : 65%

71. 잡초 종자가 휴면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종피가 너무 두껍다.
     2. 토양 속 묻힌 깊이가 너무 낮다.
     3. 배가 미숙하거나 후숙되지 않았다.
     4. 종자 내에 발아 억제 물질이 많이 들어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4번 : 순무종자에는 발아억제물질이 있어 휴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제거 가능하다.
휴면의 원인은 크게, 종피의 문제(경실-수분통과저해,불투기성,기계적저항), 배의 문제(미숙), 발아억제물질의 존재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

72.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3대 환경요인이 아닌 것은?(2012년 03월)
     1. 광(光)
     2. 산소(酸素)
     3. 온도(溫度)
     4. 토양산도(pH)

     정답 : []
     정답률 : 79%

73. 문제잡초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광합성 효율이 높고 생장이 빠르다.
     2. 종자 또는 영양번식을 하여 생식력이 높다.
     3. 불량한 환경조건에 잘 적응한다.
     4. 종자의 휴면성이 크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83%

74. 작물과 잡초가 경합하는 요인 중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2003년 08월)
     1. 수분
     2. 영양분
     3.
     4. 탄산가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에 관여하는 3대 제한요인은 광,수분,양분이다

75. 기생식물에서 볼 수 있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기주식물의 줄기에 침입한다.
     2. 기주식물의 뿌리에 침입한다.
     3. 흡기조직으로 무기영양을 탈취한다.
     4. 기생식물의 종자는 작물의 종자에 섞여 전파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3%

76. 다음 중 발생심도가 가장 깊은 잡초는?(2015년 09월)
     1. 올미
     2. 볏풀
     3. 올방개
     4. 너도방동사니

     정답 : []
     정답률 : 52%

77. 논에 오리를 방사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2009년 08월)
     1. 경종적 방제법
     2. 생물적 방제법
     3. 화학적 방제법
     4. 기계적 방제법

     정답 : []
     정답률 : 83%

78. 제초제의 선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물리적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5년 03월)
     1. 광도
     2. 제형
     3. 처리약량
     4. 처리방법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광도, 온도, 강우량, 습도 등은 환경적 요인입니다.
[해설작성자 : 정영만]

79. 다음 설명에 대항하는 것은?(2017년 09월)

    

     1. 월년생 잡초
     2. 일년생 잡초
     3. 단년생 잡초
     4. 다년생 잡초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월년생 잡초는 - 1년 이상 2년 미만 생존하는 잡초로서 종자가 발아한 1년차에는 영양생장을 하고, 그 다음 해에는 개화하여 종자를 생산한 후 고사하는 잡초로서 2년생 잡초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아재]

80. 다음 중 주로 덩이줄기(괴경)로 번식하는 잡초는 ?(2003년 03월)
     1. 올미
     2. 물달개비
     3. 마디꽃
     4. 사마귀풀

     정답 : []
     정답률 : 68%


정 답 지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372183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식물병리학


1. 식물병의 진단에서 유관속 폐색을 일으키는 병은?(2004년 09월)
     1. 토마토 풋마름병
     2. 밤나무 줄기마름병
     3. 배추 무 사마귀병
     4. 벼 도열병

     정답 : []
     정답률 : 65%

2. 파이토플라스마(Rhytoplasma)병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뽕나무 오갈병
     2. 대추나무 빗자루병
     3. 감자 걀쭉병
     4. 과꽃 누른오갈병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감자 걀쭉병은 바이로이드 병이다.
[해설작성자 : 명우짱]

3. 건전한 종자선택과 철저한 종자소득으로 방제할 수 있는 병은?(2011년 03월)
     1. 벼 오갈병
     2. 벼 흰잎마름병
     3. 벼 잎집무늬마름병
     4. 세균성벼알마름병

     정답 : []
     정답률 : 58%

4. 식물병 방제를 위하여 Millardet가 개발한 것으로 당시 유행한 포도 노균병을 방제하기 위해 구리가 가진 독성을 이용한 것으로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는 살균제는?(2015년 09월)
     1. BT제
     2. PCNB
     3. 유황합제
     4. 보르도액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프랑스 보르도 대학의 교수 였었다.
[해설작성자 : 정영만]

5.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의 녹포자는 어느 식물에서 생기는가?(2004년 09월)
     1. 배나무
     2. 향나무
     3. 까치밤나무
     4. 포플러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배나무/사과나무 : 녹병정자,녹포자세대
향나무 : 겨울포자,담자포자세대를 거칩니다.
녹포자는 배나무에서 생깁니다.
[해설작성자 : 하용인]

6. 병원균의 중간기주를 제거함으로써 방제할 수 있는 병은?(2018년 09월)
     1. 고추 역병
     2. 오이 노균병
     3. 밀 줄기녹병
     4. 보리 깜부기병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매자나무(중간기주)
[해설작성자 : Lee]

7. 식물병 발생에 필요한 3대요소가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병원체의 존재
     2. 적당한 환경
     3. 병징
     4. 감수성이 있는 식물

     정답 : []
     정답률 : 79%

8. 감자 잎말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2005년 09월)
     1. 세균
     2. 진균(곰팡이)
     3. 선충
     4. 바이러스

     정답 : []
     정답률 : 59%

9. 곰팡이에 의해서 발생한 병의 표징이 아닌 것은?(2014년 09월)
     1. 포자퇴
     2. 유주자낭
     3. 균핵
     4. 뿌리털

     정답 : []
     정답률 : 80%

10. 감자 Y바이러스의 주요 매개충은?(2007년 03월)
     1. 번개매미충
     2. 끝동매미충
     3. 복숭아 혹진딧물
     4. 응애

     정답 : []
     정답률 : 67%

11. 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벼에도 잘 발생한다.
     2.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3. 산성토양에서 잘 발생한다.
     4. 온도가 20℃ 이하로 서늘 할 때 잘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십자화과 채소작물 가해
2. 절대기생균; 균류
4. 20도 이상 (20~25정도)
보너스/산성조건에서 많이 발생/ 빗물,농기구,동물,흙바람 등으로 전염
[해설작성자 : 태초마을 양박사]

12. 경란전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가벼운 일이 잘 전염된다.
     2. 전염의 어렵고 쉬운 정도를 말한다.
     3. 산란 후 병원이 알에 침입하여 전염된다.
     4. 매개곤충의 알을 거쳐 다음 세대로 병원이 전해진다.

     정답 : []
     정답률 : 82%

13. 진균 중 유성번식을 하지 않거나 또는 매우 드물게 하는 병원균은?(2007년 03월)
     1. 난균류
     2. 불완전균류
     3. 자낭균류
     4. 담자균류

     정답 : []
     정답률 : 78%

14. 다음은 어느 병원균에 대한 설명인가?(2011년 03월)

    

     1. 감자 역병균
     2. 감자 Y 바이러스
     3. 감자 더뎅이병균
     4. 감자 무름병균

     정답 : []
     정답률 : 76%

15. 다음은 어느 병원균에 대한 설명인가?(2016년 03월)

    

     1. 감자 역병균
     2. 감자 무름병균
     3. 감자 Y바이러스
     4. 감자 더뎅이병균

     정답 : []
     정답률 : 75%

16. 기생성 병원은?(2011년 03월)
     1. SO2
     2. 사상균
     3. 약해
     4. 붕소결핍

     정답 : []
     정답률 : 90%

17. 균의 종류에 따른 세포벽 구성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고구마 무름병균은 키틴 성분이 없고 다량의 섬유소를 갖고 있다.
     2. 감자 역병균은 키틴이 없고 소량의 섬유소를 갖고 있다.
     3. 벼 도열병균은 키틴이 없고 소량의 섬유소를 갖고 있다.
     4. 벼 흰잎마름병균은 키틴과 다량의 섬유소를 갖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감자역병균은 난균류(물곰팡이)로서 엽록소와 균사격벽없음
세포벽은 셀룰로오스이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18. 다음 중 서로 관계 깊은 것끼리 연결이 잘못된 것은?(2002년 09월)
     1. 과수의 뿌리혹병 - 조직의 이상비대
     2. 벼흰잎마름병 - 세균의 유관속 증식
     3. 감자더뎅이병 - 발병부위의 콜크화
     4. 담배들불병 - 세포벽 분해에 의한 무름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슈도모나스 타바키라는 %%%세균%%%에 의하여 짙은 황색의 반점이 생기면서 담뱃잎이 %%%찢어지는%%%%% 병.

이 병은 특히 폭풍우가 지난 다음 마치
들불이 퍼지듯 빨리 번지고 피해가 심하여 이 이름이 생겼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세균 속이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Erwinia
     2. Helicobacter
     3. Pseudomonas
     4. Agrobacterium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헬리코박터는 동물의 위에서 생존하는 세균입니다. 헬리코박터-윌프로젝트
[해설작성자 : 앙기머띠]

20. 잣나무 털녹병의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중간기주인 송이풀을 제거한다.
     2. 중간기주인 까치밥나무를 제거한다.
     3. 담자포자가 비산하는 초봄에는 살균
     4. 병든 나무는 녹포자가 비산하기 전에 비닐로 싸준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잣나무털녹병은 송이풀,까치밥나무가 중간기주---제거
중간기주에서 하포자(4월),동포자(8월)담자포자(10월)
가을에 비산한다. 가을에 방제해야 하는것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과목 : 농림해충학


21. 가로수에 밴딩(banding)을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은 주로 어떤 해충을 대상으로 한 것인가?(2010년 09월)
     1. 도둑나방
     2. 미국흰불나방
     3. 잎말이나방
     4. 심식나방

     정답 : []
     정답률 : 78%

22. 솔입혹파리 방제를 위한 침투성 약제 수간주입(수간주사)방법은 이 해충의 어느 충태를 방제하는 방법인가?(2008년 03월)
     1.
     2. 부화 유충
     3. 노숙 유충
     4. 성충

     정답 : []
     정답률 : 80%

23. 곤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다리가 3쌍이다.
     2. 눈은 겹눈만 있고 홑눈이 없다.
     3. 대게 2쌍의 날개가 있고 탈바꿈을 하기로 한다.
     4. 몸이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곤충은 다리3쌍 5마디,3부분
겹눈과 홑눈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4. 토양병과 함께 전작물의 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동물군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1년 10월)
     1. 땅강아지
     2. 선충
     3. 응애
     4. 거미

     정답 : []
     정답률 : 60%

25. 벼룩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성충으로 월동한다.
     2. 유충이 잎을 가해한다.
     3. 1년에 4~5회 발생한다.
     4. 잡초나 얕은 땅속에서 월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ㅇ벼룩잎벌레
    유충 : 뿌리 가해
    성충 : 잎을 발아시부터 가해
    월동 : 성충형태로 잡초나 얕은 땅속에서 월동
[해설작성자 : 장천리]

26. 천막벌레나방의 분류학적 위치는?(2017년 03월)
     1. 자나방과
     2. 솔나방과
     3. 재주나방과
     4. 산누에나방과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나비목 솔나방과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7. 나무이는 어느 목에 속하는가?(2006년 03월)
     1. 파리목
     2. 노린재목
     3. 매미목
     4. 총채벌레목

     정답 : []
     정답률 : 44%

28. 소화효소를 분비하여 음식물들을 분해한 후 흡수하는 곳은?(2016년 03월)
     1. 중장
     2. 전장
     3. 후장
     4. 침샘

     정답 : []
     정답률 : 81%

29. 곤충의 순환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곤충의 등쪽에 대동맥이 있다.
     2. 혈액은 혈장과 혈구세포로 이루어진다.
     3. 심장에는 심문이 있다.
     4. 곤충은 폐쇄형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곤충은 개방형
[해설작성자 : 우주정복자]

30. 포도나무 줄기를 가해하는 해충끼리 짝지어진 것은?(2005년 03월)
     1. 포도호랑하늘소 - 포도쌍점매미충
     2. 포도금빛잎벌레 - 포도뿌리혹벌레
     3. 으름나방 - 무궁화밤나방
     4. 포도유리나방 - 박쥐나방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포도나무 줄기를 해하는 해충
- 포도유리나방(유충이 줄기식해 및 월동), 박쥐나방, 포도호랑하늘소(유충)
포도나무 잎을 해하는 해충
- 포도쌍점매미충
[해설작성자 : ..]

31. 벼멸구의 분류학적 위치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2015년 09월)
     1. 메뚜기목
     2. 노린재목
     3. 총채벌레목
     4. 풀잠자리목

     정답 : []
     정답률 : 75%

32. 곤충의 뇌(腦)는 전대뇌(protocerebrum), 중대뇌(deutocerebrum), 후대뇌(tritocerebrum)의 3개의 신경절로 되어 있다. 후대뇌(tritocerebrum)의 역할은?(2011년 03월)
     1. 시감각에 관여
     2. 촉감각에 관여
     3. 청감각에 관여
     4. 소화기 운동에 관여

     정답 : []
     정답률 : 68%

33. 딱정벌레목 곤충은 완전변태를 하며 농림해충으로 중요한 종이 많다. 다음 중 딱정벌레목에 속하지 않는 종은 어느 것인가 ?(2003년 08월)
     1. 소나무좀
     2. 오리나무잎벌레
     3. 느티나무벼룩바구미
     4. 버즘나무방패벌레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버즘나무방패벌레는 노린재목 방패벌레과
[해설작성자 : 이영우]

34. 곤충의 소화기관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에 작용하는 신경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2003년 08월)
     1. 말초신경계
     2. 내장신경계
     3. 배신경줄
     4. 중추신경계

     정답 : []
     정답률 : 67%

35. 이화명나방이 월동하는 형태는?(2018년 09월)
     1.
     2. 성충
     3. 유충
     4. 번데기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화명나방은 노숙유충의 형태로 볏짚이나 벼그루터기에서 월동한다.
[해설작성자 : .]

36. 성충은 식물조직에 산란하고 부화한 애벌레는 2령을 경과한 후 땅속에서 번데기 기간을 거쳐 성충이 되는 것은?(2018년 09월)
     1. 애멸구
     2. 온실가루이
     3. 점박이응애
     4. 꽃노랑총채벌레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년에 5-6회 발생. 성충 형태로 지표면이나 나무껍질 속에서 월동.
부화유충이 흡즙하면서 성장하여 2령 경과후 노숙유충이 되어 제 1,2 번데기 기간을 경과후 성충으로 우화
약제 저항성이 있으므로 약제 선택 신중.    천적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도 병용
[해설작성자 : 별향]

37. 주로 가해하는 대상이 과수가 아닌 해충은?(2007년 03월)
     1. 도둑나방
     2. 말매미
     3. 사과혹진딧물
     4. 모무늬잎말이나방

     정답 : []
     정답률 : 61%

38. 곤충 수컷의 생식기관에서 볼 수 없는 것은?(2019년 09월)
     1. 저정낭
     2. 수정관
     3. 난황소
     4. 부속샘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부속샘 [accessory gland] 식품과학사전
어떤 기관에 딸려있는 샘. 특히 곤충의 수놈 생식 기관에 딸린 분비샘을 이른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검색충]

39. 주로 벼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혹명나방
     2. 이화명나방
     3. 끝동매미충
     4. 거세미나방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거세미나방 - 무, 배추, 가지, 당근, 담배 등
[해설작성자 : 별향]

40. 가장 많은 종수를 갖고 있는 곤충목은 ?(2003년 03월)
     1. 딱정벌레목
     2. 메뚜기목
     3. 파리목
     4. 이목

     정답 : []
     정답률 : 85%

3과목 : 농약학


41. 유기인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인축에 대한 독성이 약하다.
     2. 알칼리에는 용이하게 분해된다.
     3.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느리다.
     4. 광선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기인계농약
인축독성--강
알칼리분해--용이
동물체내분해,--빠름
광선분해--소실우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42. 60kg의 쌀에 살충제 Malathion 50% 유제를 5ppm이 되도록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설충제량(mL)은? (단, 비중은 1.07 이다.)(2017년 09월)
     1. 0.42
     2. 0.56
     3. 0.64
     4. 0.72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60000=x*(50/0.0005-1)*1.07
99,999*1.07x=60,000
x=60,000/106,999
x=0.5607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5x60)/500/1.07=0.56

43. 다음 약제 중 응애의 알, 어린벌레, 성충에 대해서 고루 살충효과가 큰 약제는?(2005년 09월)
     1. 켈센제(Dicofol)
     2. 이피엔제(EPN)
     3. 테트라디폰제(Tedion)
     4. 다이아지논제(diazinon)

     정답 : []
     정답률 : 35%

44. 유효성분을 담체인 고체 중량제와 혼합분쇄하고 보조제로서 고결제, 안정제,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입상으로 성형한 것 또는 입상으로 담체에 유효성분을 피복시킨 제형은?(2018년 04월)
     1. 입제
     2. 분제
     3. 수화제
     4. 유제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입제는 유효성분을 고형증량제, 안정제, 계면활성제 등을 넣어 입상으로 성형한 제제이다.
[해설작성자 : ㅎㄷ]

45. 무기농약인 석회황합제의 제조 및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10월)
     1. 생석회와 황을 2: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가마솥에 넣고 일정량의 물과 온도하에 가열반응시켜 숙성 후에 여과하여 만든다.
     2. 약제 조제용 그릇은 금속제를 피하고 나무통을 사용하고 분무기는 약제 사용 후 암모니아수나 초산액으로 씻은 다음 물로 씻어 보관한다.
     3. PCP, 황산니코틴, 황산아연 등과 혼용해도 무방하지만 유기인제, 제충국제와는 혼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4.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분해가 촉진되기 때문에 저장할 때는 공기와의 접촉을 막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생석회와 황의 중량비는 생성회:1 / 황가루:2 이다.
[해설작성자 : .]

46. 우리나라 농약의 독성구분에 대한 내용 중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우리나라의 농약 독성구분은 농약원제의 독성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2. 농약의 제품독성에 따라 고독성 및 보통독성으로 구분하여 취급하고 있다.
     3. 어독성은 정도에 따라 Ⅰ급, Ⅱ급, Ⅲ급, 및 Ⅱs급으로 구분한다.
     4. 농약의 독성구분은 제품의 급성경구독성 반수치사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농촌진흥청 농약독성의 규제에 따르면 어독성은 I급, II급,    ll급, lll급으로 나누어지는게 맞습니다
농약의 어독성 구분

어독성 구분 어류 반수치사농도 (㎎/ℓ, 48시간)
Ⅰ 급 < 0.5
Ⅱ급 0.5~2.0
Ⅱs 급 미꾸리 < 0.1
Ⅲ 급 > 2.0
[해설작성자 : 농촌진흥청 농약독성의 규제]

47. 살균제 농약의 기작 중 고에너지 중간체를 가수분해하여 전자전달계와 에너지전이계를 전달하여 비공역(uncoupler) 작용을 하는 농약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디노캡(Dinocap)
     2. 비나파크릴(Binapacryl)
     3. 캡탄(Captan)
     4. 훼나진(Phenazine)

     정답 : []
     정답률 : 57%

48. 호르몬 작용을 가지고 있는 Phenoxy계 제초제 농약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씨마진
     2. 2,4-D
     3. MCP
     4. MCPP

     정답 : []
     정답률 : 73%

49. 농약의 제제형태에 따른 분류 방법은?(2005년 03월)
     1. 유제 농약
     2. 유기인제 농약
     3. 살균제 농약
     4. 어독성 농약

     정답 : []
     정답률 : 70%

50. 다음 농약의 제형 중 농약제조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친환경적 제형은?(2019년 09월)
     1. 액상수화제
     2. 액제
     3. 유탁제
     4. 수화제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유제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제형은 유탁제, 미탁제이다
미탁제나 유탁제 등 신규제형이 각광받지 못하는 이유: 고가로인한 경제성 문제,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부족, 보수적 농민의 선호도 부족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수화제를 물에 풀면 물에 녹지 않은 원체나 증량제의 미립자가 균등히 분산된 살포액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3월)
     1. 유탁액
     2. 용액
     3. 현탁액
     4. 미탁액

     정답 : []
     정답률 : 67%

52. 유황의 살균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약제가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석회유황합제
     2. 만코제브
     3. 지네브
     4. 네오아소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네오아소진: 유기비소제, 사과부란병, 벼잎짚무늬마름병 방제. 현재는 사용금지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다음 중 제초제 사용의 필요성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잡초가 농작물의 양분과 수분을 탈취하므로
     2. 잡초가 노동력을 감소시키므로
     3. 잡초가 햇빛을 차단하여 작물의 생육을 방해하므로
     4. 잡초가 해충 및 병균의 기주가 되므로

     정답 : []
     정답률 : 82%

54. 유기인계 살충제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접촉제로 강력하게 작용하며 훈증작용도 하고 소화 중독작용도 크다.
     2. 식물체에 흡수침투되어 살충작용을 한다.
     3. 낮은 농도로도 큰 살충효과를 낸다.
     4. 사람이나 가축에 대한 독성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유기인게 살충제*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강하다.
알칼리에 용이하게 분해된다.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빠르다.
광선에 의한 분해시 소실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가요니]

55. 농약관리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농약의 범주에는 농립축산식품부령이 정하는 기피제, 유인제 등도 포함된다.
     2. 농약이란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약제를 포함한다.
     3. 원제란 농약의 유효성분이 농축되어 있는 물질을 말한다.
     4. 농작물이란 수목 및 임산물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56. 사용목적에 따른 농약의 분류가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살균제
     2. 살충제
     3. 비소제
     4. 제초제

     정답 : []
     정답률 : 81%

57. 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중 보호살균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Myclobutanil
     2. Bordeaux mixture
     3. Mancozeb
     4. Propineb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농약분류 1.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2. 제제 형태에 의한 분류 3. 유효성분 조성에 따른분류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1.살균제 2. 살충제 3. 살선충제 4. 살비제 5.제초제 6.식물생장조정제 7.보조제
-살균제 종류 : 보호살균제, 직접살균제, 종자소독제, 토양살균제
->보호살균제 : 병균의 포자가 엽경에 침입하기 전에 사용해서 예방적 효과를 거두기 위한 약제
(보르도 혼합액, 결정석회황 합제, 구리분제 등)
[해설작성자 : 1.5]

58. 대표적인 약제로는 Drin, DDT, BHC이며 사람이나 동물의 체내에 들어가면 분해되어 배설되지 않고 체내의 지방조직에 축적되는 성질이 있는 약제는?(2019년 03월)
     1. 유기인제
     2. 유기염소제
     3. 카바메이트제
     4. 디티오카바메이트제

     정답 : []
     정답률 : 53%

59. 농약의 독성을 표시하는 단위로서 반수치사량(중위수 치사량)을 나타내는 기호는?(2018년 03월)
     1. LT50
     2. LF50
     3. LM50
     4. LD50

     정답 : []
     정답률 : 80%

60. 다음 중 해충의 생활사가 알→ 유충→ 고치→ 성충의 과정을 거치지 않는 해충은?(2002년 09월)
     1. 진딧물
     2. 나방류
     3. 굴파리류
     4. 물바구미

     정답 : []
     정답률 : 74%

61. 다년생의 영양번식기관으로 맞지 않는 것은?(2002년 09월)
     1. 덩이줄기
     2. 땅속줄기
     3. 알줄기
     4. 절간

     정답 : []
     정답률 : 74%

62. 제초제의 선택성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식물체 생장점의 위치
     2. 식물체 생육기의 차이
     3. 식물체 건조 무게 차이
     4. 식물체 뿌리의 분포상태

     정답 : []
     정답률 : 76%

63. 잡초 종자의 발아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3월)
     1. 논에서 자라는 잡초들은 밭에서 자라는 잡초들보다 산소 요구도가 낮은 편이다.
     2. 토양 비옥도에 따라 발생하는 잡초종이 달라질 수 있다.
     3. 잡초종자는 대체로 종자가 크고 무거울수록 출아심도가 깊다.
     4. 대부분의 잡초 종자는 토양 수분이 55% 이하에서 발아가 양호하다.

     정답 : []
     정답률 : 56%

64. 잡초에 의한 작물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작물의 영양 생장기에만 피해가 발생한다.
     2. 작물의 양분을 탈취하지만 광합성을 방해하지 않는다.
     3. 작물이 결실하는 종실의 수와 양에도 피해가 발생한다.
     4. 같은 작물이면 잡초에 의한 피해 정도는 품종간에 차이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4%

65. 여름작물(콩, 옥수수, 감자, 참깨) 포장에서 발생이 가장 많은 우점 잡초는?(2008년 09월)
     1. 바랭이
     2. 뚝새풀
     3. 별꽃
     4. 냉이

     정답 : []
     정답률 : 63%

66. 다음 중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9월)
     1. 가래
     2. 등에풀
     3. 생이가래
     4. 물달개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부유성잡초
생이가래,부레옥잠,개구리밥,좀개구리밥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67. 작물-잡초 간의 경합에 있어서 임계 경합기간 (critical period of competition)이란?(2009년 08월)
     1. 작물이 경합에 가장 민감한 시기
     2. 잡초가 경합에 가장 민감한 시기
     3. 경합이 시작되는 시기
     4. 경합이 끝나는 시기

     정답 : []
     정답률 : 67%

68. 잡초군락의 천이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은?(2002년 03월)
     1. 우점초종
     2. 경운심도
     3. 물관리
     4. 제초시기 및 방법

     정답 : []
     정답률 : 66%

69. 토양내 지하경을 형성하지 않는 잡초는?(2005년 03월)
     1. 가래
     2. 벗풀
     3. 알방동사니
     4. 올미

     정답 : []
     정답률 : 46%

70. 제초제에 사용시기에 따른 분류에서 파종전 처리제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10월)
     1. 토양 소독제
     2. 경엽 처리제
     3. 생육기 처리제
     4. 이앙 벼의 초기 제초제

     정답 : []
     정답률 : 65%

71. 잡초 종자가 휴면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종피가 너무 두껍다.
     2. 토양 속 묻힌 깊이가 너무 낮다.
     3. 배가 미숙하거나 후숙되지 않았다.
     4. 종자 내에 발아 억제 물질이 많이 들어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4번 : 순무종자에는 발아억제물질이 있어 휴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제거 가능하다.
휴면의 원인은 크게, 종피의 문제(경실-수분통과저해,불투기성,기계적저항), 배의 문제(미숙), 발아억제물질의 존재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

72.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3대 환경요인이 아닌 것은?(2012년 03월)
     1. 광(光)
     2. 산소(酸素)
     3. 온도(溫度)
     4. 토양산도(pH)

     정답 : []
     정답률 : 79%

73. 문제잡초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광합성 효율이 높고 생장이 빠르다.
     2. 종자 또는 영양번식을 하여 생식력이 높다.
     3. 불량한 환경조건에 잘 적응한다.
     4. 종자의 휴면성이 크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83%

74. 작물과 잡초가 경합하는 요인 중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2003년 08월)
     1. 수분
     2. 영양분
     3.
     4. 탄산가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에 관여하는 3대 제한요인은 광,수분,양분이다

75. 기생식물에서 볼 수 있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기주식물의 줄기에 침입한다.
     2. 기주식물의 뿌리에 침입한다.
     3. 흡기조직으로 무기영양을 탈취한다.
     4. 기생식물의 종자는 작물의 종자에 섞여 전파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3%

76. 다음 중 발생심도가 가장 깊은 잡초는?(2015년 09월)
     1. 올미
     2. 볏풀
     3. 올방개
     4. 너도방동사니

     정답 : []
     정답률 : 52%

77. 논에 오리를 방사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2009년 08월)
     1. 경종적 방제법
     2. 생물적 방제법
     3. 화학적 방제법
     4. 기계적 방제법

     정답 : []
     정답률 : 83%

78. 제초제의 선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물리적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5년 03월)
     1. 광도
     2. 제형
     3. 처리약량
     4. 처리방법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광도, 온도, 강우량, 습도 등은 환경적 요인입니다.
[해설작성자 : 정영만]

79. 다음 설명에 대항하는 것은?(2017년 09월)

    

     1. 월년생 잡초
     2. 일년생 잡초
     3. 단년생 잡초
     4. 다년생 잡초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월년생 잡초는 - 1년 이상 2년 미만 생존하는 잡초로서 종자가 발아한 1년차에는 영양생장을 하고, 그 다음 해에는 개화하여 종자를 생산한 후 고사하는 잡초로서 2년생 잡초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아재]

80. 다음 중 주로 덩이줄기(괴경)로 번식하는 잡초는 ?(2003년 03월)
     1. 올미
     2. 물달개비
     3. 마디꽃
     4. 사마귀풀

     정답 : []
     정답률 : 6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372183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30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6
4129 컨벤션기획사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28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27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3721830)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2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24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8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23 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2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2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2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20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19 9급 국가직 공무원 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18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17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01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16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7719109)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15 자동차정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14 경비지도사 2차(경비업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1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13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12 경찰공무원(순경) 수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6481560)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1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지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266 Next
/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