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17445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지구를 반지름 R=6400km의 구라 하고 거리의 허용오차가 1/105 이라면 반지름 몇 km까지를 평면으로 가정할 수 있는가?(2012년 03월)
     1. 약 35km
     2. 약 70km
     3. 약 140km
     4. 약 210km

     정답 : []
     정답률 : 73%

2. 중력변화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3월)
     1. 만류인력 상수의 변화
     2. 지구의 형상과 질량의 변화
     3. 지질학적 변동
     4. 대기물질분포의 변화

     정답 : []
     정답률 : 70%

3. 지오이드(geoi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했을 때의 가상적인 지구 형상이다.
     2. 중력의 방향에 수직인 등포텐셜면을 이룬다.
     3. 회전타원체와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4. 측지학에서 참지구로 생각하는 지구형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4.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L1 신호의 주파수가 1575.42MHz 일 때 L1 신호 10000파장의 거리는? (단, 광속 c = 299792458 m/s)(2021년 03월)
     1. 1320.17m
     2. 1902.94m
     3. 3254.00m
     4. 20257.67m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C/L1*파징거리
299792458/1575.42*10000=1902.94M
[해설작성자 : cyh3632]

5. 우리나라의 지형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면좌표의 투영법은?(2021년 05월)
     1. 등각투영
     2. 등적투영
     3. 등거투영
     4. 복합투영

     정답 : []
     정답률 : 89%

6. 다음 중 GPS측량에 있어서 사이클슬립(cycle slip)의 주된 원인은?(2004년 09월)
     1. 위성의 높은 고도각
     2. 낮은 신호 잡음
     3. 나무, 교량 밑 등의 장애물
     4. 높은 신호 강도

     정답 : []
     정답률 : 75%

7. 우리나라의 좌표계(한국측지계)가 세계측지계로 변경된 후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모든 지도를 좌표변환 없이 세계측지계 기준으로 재제작 하여야 한다.
     2. 법령에 의한 지표상의 위치는 해당법령을 개정하여 그 수치를 변경하여야 한다.
     3. 지상목표물의 위치를 수치(좌표)상의 변화(평행이동)만 있고 실제 지형, 지물의 위치 변동은 없다.
     4. GPS 측량성과를 변환 과정 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8. 통합기준점 측량을 위한 GNSS 관측 데이터의 기선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GNSS위성의 궤도요소는 정밀력을 사용한다.
     2. 기선해석 결과는 Float해를 사용한다.
     3. 기선해석을 2주파로 실시하고 최저고도각은 15°로 한다.
     4. 사이클슬립의 편집은 기선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자동편집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선해석 결과는 Fix해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ㅈㅈ]

9. 다음 중 균시차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2004년 09월)
     1. 균시차 = 시태양시 - 평균태양시
     2. 균시차 = 평균태양시 - 표준시
     3. 균시차 = 세계시 - 태양시
     4. 균시차 = 항성시 - 세계시

     정답 : []
     정답률 : 71%

10. 다음 지자기 측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지자기변화에는 주기적 변화와 불규칙 변화가 있다.
     2. 영년변화는 수백년을 주기로 나타나는 지자기의 변화이다.
     3. 자기 폭풍은 지진에 의해 발생한다.
     4. 자기 폭풍은 단파 통신의 지장을 초래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11. 차분(Differencing)을 이용한 GNSS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공통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같은 궤도 오차를 가진다.
     2. 하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여러 위성에 대한 관측값은 동일한 수신기 시계오차를 가진다.
     3. 기지점과 미지점간의 거리가 짧다면 대기효과는 비슷하게 나타난다.
     4. 단일차분에 의해서 위성과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단일차분에 의한 방법은 위성한개와 수신기 두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동일위성에 대한 측정치이므로 위성궤도오차와 위성시계오차가 소거되고,수신기의 시계오차는 소거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예문사]

12. 지자기 측정의 3요소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4년 05월)
     1. 편각, 복각, 수평분력
     2. 복각, 연직각, 수평분력
     3. 복각, 수평각, 연직분력
     4. 편각, 복각, 연직분력

     정답 : []
     정답률 : 87%

13. GPS 신호에서 C/A 코드는 1.023Mbps로 이루어져 있다. GPS 신호의 전파 속도를 300000km/sec 로 가정 했을 때 코드 1비트 사이의 간격은 약 몇 m인가?(2010년 09월)
     1. 약 2.93m
     2. 약 29.3m
     3. 약 293m
     4. 약 2930m

     정답 : []
     정답률 : 71%

14. 고정밀 GPS 측위에서 이중 주파수 관측데이터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2015년 05월)
     1. 다중경로의 최소화
     2. 대류권 지연의 최소화
     3. 전리층 효과의 최소화
     4. 수신기 시간오차의 최소화

     정답 : []
     정답률 : 73%

15. 평면직교좌표의 원점에서 동쪽에 있는 A점에서 B점방향의 자북방위각을 관측한 결과 89°10' 25"이었다. A점에서의 자침편차가 5°W일 때 진북방위각은?(2005년 05월)
     1. 84°10' 25"
     2. 89°30' 25"
     3. 89°05' 25"
     4. 94°10' 25"

     정답 : []
     정답률 : 74%

16. 지구상의 어느 한 점에서 타원체의 법선과 지오이드의 법선은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이 두 법선의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4월)
     1. 중력 편차
     2. 지오이드 편차
     3. 중력 이상
     4. 연직선 편차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연직선 편차는 지구상의 한 점에 대한 지구타원체의 법선과 이를 통과하는 지오이드의 법선의 차이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KT]

17. GPS 관측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보유 수신기 대수
     2. 동원 가능한 인원
     3. 관측시간
     4. 위성궤도력

     정답 : []
     정답률 : 46%

18. 통합기준점 설치를 위한 GPS 기준점 측량 시 연속 관측 시간은?(2015년 03월)
     1. 2시간
     2. 4시간
     3. 6시간
     4. 8시간

     정답 : []
     정답률 : 72%

19. 지자기의 3 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연직분력
     2. 수평분력
     3. 편각
     4. 복각

     정답 : []
     정답률 : 65%

20. 지자기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9월)
     1. 복각
     2. 편각
     3. 수평분력
     4. 연직분력

     정답 : []
     정답률 : 84%

2과목 : 응용측량


21.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을 이용한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은?(2003년 03월)
     1. 좌표법
     2. 중앙종거법
     3. 지거설치법
     4. 종거에 의한 설치법

     정답 : []
     정답률 : 58%

22. 노선측량 작업에서 도상에 중심선을 설치하는 공정은 다음 중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가?(2003년 05월)
     1. 조사측량
     2. 예비측량
     3. 공사측량
     4. 실시설계측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하구 심천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하구 심천측량은 하구 부근 하저 및 해저의 지형을 조사한다.
     2. 하구의 항만시설, 해안보전시설의 설계 자료로 사용된다.
     3. 조위를 관측하고 실측한 수심을 기본수준면을 기준으로 하는 수심으로 보정하여 심천측량의 정확도를 높인다.
     4. 해안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심 100m 되는 앞바다까지를 측량구역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 해안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심 20m 되는 앞바다까지를 측량구역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아지]

24. 축척 1:1200 지도에서 잘못하여 축척 1:1000로 측정하였더니 10000m2가 나왔다면 실제 면적은?(2013년 09월)
     1. 6944m2
     2. 8333m2
     3. 12000m2
     4. 14400m2

     정답 : []
     정답률 : 56%

25. 터널의 갱내측량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습기, 먼지, 소음, 어두움 등으로 측량조건이 매우 불량하다.
     2. 폐합트래버스에 의한 측량이 주로 이루어지므로 누적발생오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3. 굴착면의 변위발생으로 설치한 기준점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4. 후시의 경우 거리가 짧고 예각 발생의 경우가 많아 오차가 자주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26. 도시계획사업, 토지구획정리사업, 농지개량사업 및 기타법령의 토지개발사업 등에 의하여 토지를 구획하고 환지를 완료한 토지의 지번, 지목, 면적, 경계 또는 좌표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측량은?(2006년 09월)
     1. 골조측량
     2. 경계측량
     3. 현황측량
     4. 확정측량

     정답 : []
     정답률 : 57%

27. 철도, 도로 및 수로 등을 건설할 때 토량을 계산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체적 산정방법은?(2022년 03월)
     1. 점고법
     2. 등고선법
     3. 유토곡선법
     4. 단면법

     정답 : []
     정답률 : 44%

28. 경관측량에서 인식대상의 주체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4년 05월)
     1. 인공경관
     2. 생태경관
     3. 환경경관
     4. 자연경관

     정답 : []
     정답률 : 50%

29. 아래 그림과 같은 횡단면도의 성토 부분의 면적은?(2006년 09월)

    

     1. 10m2
     2. 16m2
     3. 18m2
     4. 24m2

     정답 : []
     정답률 : 47%

30. 지하시설물에 대한 측량간격은 20m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다음 중 간격에 관계없이 반드시 측량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지하시설물의 지흠 또는 재질이 변경된 경우
     2. 지하시설물이 교차ㆍ분기되거나 상태가 바뀌는 경우
     3. 지하시설물이 직선구간인 경우
     4. 지하시설물에 각종 제어장치 또는 밸브가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7%

31. 측량결과에 의하여 그림과 같이 절토고를 얻었다면 절토량은 얼마인가? (단, 각 분할된 구역은 가로 x 세로 = 20m x 10m로 동일하다.)(2011년 06월)

    

     1. 1,375m3
     2. 1,425m3
     3. 1,475m3
     4. 1,525m3

     정답 : []
     정답률 : 56%

32. 그림과 같은 횡단면도의 성토 부분의 면적은?(2016년 10월)

    

     1. 10m2
     2. 16m2
     3. 18m2
     4. 24m2

     정답 : []
     정답률 : 49%

33. 수평 및 수직거리를 동일한 정확도로 관측하여 9,000m3의 체적을 정확히 산출하려고 한다. 체적오차를 ±0.9m3 이하로 하기 위한 거리관측의 최대 허용 정밀도는?(2017년 09월)
     1. 1/100000
     2. 1/90000
     3. 1/30000
     4. 1/10000

     정답 : []
     정답률 : 51%

34. 하천수위의 갈수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2. 1년을 통하여 27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3. 1년을 통하여 18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4. 1년을 통하여 12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정답 : []
     정답률 : 64%

35. 다음 표에서 성토부분의 총토량(m3)옳은 것은?(2010년 05월)

    

     1. 2315m3
     2. 2220m3
     3. 1915m3
     4. 1720m3

     정답 : []
     정답률 : 34%

36. 철도노선에서 곡선부를 통과하는 차량에 원심력이 발생하여 접선방향으로 탈선하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깥쪽 철로를 안쪽 철로보다 높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09월)
     1. 캔트(Cant)
     2. 슬랙(Slack)
     3. 완화곡선
     4. 반향곡선

     정답 : []
     정답률 : 83%

37. 경관은 구성요소에 의하여 대상계, 경관장계, 시점계, 상호성계로 분류된다. 이중 사물의 규모, 상태, 형상 및 배치를 뜻하는 것은?(2005년 03월)
     1. 대상계
     2. 경관장계
     3. 시점계
     4. 상호성계

     정답 : []
     정답률 : 30%

38. 하천측량에서 2점법으로 평균유속을 구할 때 선택해야 할 지점을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수심(H)의 0.2H, 0.8H인 지점
     2. 수심(H)의 0.4H, 0.6H인 지점
     3. 수심(H)의 0.3H, 0.7H인 지점
     4. 수심(H)의 0.5H, 0.9H인 지점

     정답 : []
     정답률 : 80%

39. 지하시설물 관측방법에서 원래 누수를 찾기 위한 기술로 수도관로 중 PVC 또는 플라스틱관을 찾는 데 이용되는 관측방법은?(2015년 09월)
     1. 음파관측법
     2. 전기관측법
     3. 자장관측법
     4. 탄성파관측법

     정답 : []
     정답률 : 67%

40. 우리나라는 평균적으로 하루 중에 두 번 발생하는 고조 및 저조의 높이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조석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20년 06월)
     1. 일조부등
     2. 월조간격
     3. 희귀조
     4. 혼합조

     정답 : []
     정답률 : 75%

3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초점거리 150mm 카메라로 비고 300m 지점을 촬영한 결과 축척이 1/10,000 이었다면 연직사진의 촬영고도는?(2004년 05월)
     1. 1,000m
     2. 1,500m
     3. 1,800m
     4. 2,000m

     정답 : []
     정답률 : 30%

42. 항공사진 카메라의 초점거리 150㎜, 촬영경사 4° 로 평지를 촬영하였다. 이 사진의 주점으로부터 등각점까지의 거리는?(2005년 09월)
     1. 4.1㎜
     2. 4.4㎜
     3. 5.2㎜
     4. 5.4㎜

     정답 : []
     정답률 : 8%

43. 도화작업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등고선 도화시에 언제나 높이값이 큰 편으로부터 움직여 맞추도록 한다.
     2. 도화시에 관측은 입체적인 과고감이 가능한 한 큰 상태에서 행하는 편이 높이의 관측정확도가 좋다.
     3. 프리즘의 위치를 가능한 한 작은 과고감이 생기게 배치한다.
     4. 눈의 피로를 적게 하기 위해 핀트를 정확히 맞춘다.

     정답 : []
     정답률 : 47%

44. 평탄한 지형이 촬영된 연직사진에서 촬영에 사용한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0mm, 화면크기 23cm× 23cm, 종중복도 60%인 경우의 기선고도비는 얼마인가? (단, 이 경우 사진의 축척은 1/10,000이다.)(2003년 08월)
     1. 0.61
     2. 0.83
     3. 0.92
     4. 1.04

     정답 : []
     정답률 : 9%

45. 촬영고도 2000m에서 촬영한 사진Ⅰ의 주점기선길이는 59mm, 사진Ⅱ의 주점기선길이는 61mm일 때 시차차 3.0mm인 건물의 높이는?(2018년 03월)
     1. 95m
     2. 85m
     3. 100m
     4. 65m

     정답 : []
     정답률 : 55%

46. 사진측량에서 모델의 의미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편위 수정된 사진이다.
     2. 촬영된 한 장의 사진이다.
     3. 한 쌍의 사진으로 실체시 되는 부분이다.
     4.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47. 다음 입체상의 변화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2004년 03월)
     1. 입체상은 촬영기선이 짧은 경우가 긴 경우보다 더 높게 보인다.
     2. 렌즈의 초점거리가 긴 쪽의 사진이 짧은 쪽의 사진보다 더 낮게 보인다.
     3. 같은 조건에서 낮은 촬영고도로 촬영한 사진이 높은 촬영고도보다 더 높게 보인다.
     4. 눈의 위치가 약간 높아짐에 따라 입체상은 더 높게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48%

48. 초점거리 30cm의 사진기로 찍은 축척 1/20000 항공사진의 연직점에서 80mm 떨어진 곳에 있는 높이 120m인 탑의 사진상 변위는?(2005년 03월)
     1. 약 1.4mm
     2. 약 1.6mm
     3. 약 1.8mm
     4. 약 2.0mm

     정답 : []
     정답률 : 39%

49. 초점거리 21cm의 카메라로 평균해수면으로부터 800m인 지점을 촬영할 때 촬영한 항공사진의 축척은 얼마인가? (단, 항공기의 높이는 평균해수면으로부터 5000m이다.)(2004년 03월)
     1. 1/15,000
     2. 1/17,000
     3. 1/20,000
     4. 1/22,500

     정답 : []
     정답률 : 22%

50. 자료교환을 위한 표준화의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SDTS : 미국의 국가 공간 정보 표준 포맷
     2. DXF : AutoCAD의 제작자에 의해 제안된 자료교환 형식
     3. NTF : 영국의 국가적인 교환형식
     4. DLG : 독일의 수치지형표준자료에 의한 전국적 지도제작 포맷

     정답 : []
     정답률 : 56%

51. 사진기의 경사, 지표면의 기복을 수정하고 등고선을 삽입하여 집성한 사진지도는?(2010년 09월)
     1. 반조정집성사진지도
     2. 조정집성사진지도
     3. 정사사진지도
     4. 약조정집성사진지도

     정답 : []
     정답률 : 28%

52.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과정에서 최종 결과영상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재배열(Resampling) 방법 중 원천영상자료의 화소값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 계산이 빠른 방법은?(2013년 06월)
     1. Non-Linear Interpolation
     2. Bilinear Interpolation
     3. Bicubic Interpolation
     4. Nearest-neighbor Interpolation

     정답 : []
     정답률 : 68%

53. 다음의 전자파 파장 중에서 가시광선 영역에 속하는 것은?(2019년 04월)
     1. 0.3㎛ ~ 0.4㎛
     2. 0.3mm ~ 0.4mm
     3. 0.4㎛ ~ 0.7㎛
     4. 0.4mm ~ 0.7mm

     정답 : []
     정답률 : 70%

54. 상호표정의 불완전모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3월)
     1. 입체모형에서 회전인자를 사용할 수 없는 모형
     2. 입체모형에서 공면조건이 없는 모형
     3. 입체모형에서 일부가 구릉이나 수면으로 가려져 상호표정에 필요한 5점을 이상적으로 배치할 수 없는 모형
     4. 입체모형에서 평행변위부 수정을 위하여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 모형

     정답 : []
     정답률 : 50%

55. 원격탐사의 정보처리흐름으로 옳은 것은?(2006년 03월)
     1. 자료수집-자료변환-방사보정-기하보정-자료압축-판독응용-자료보관
     2. 자료수집-방사보정-기하보정-자료변환-자료압축-판독응용-자료보관
     3. 자료수집-자료변환-기하보정-방사보정-자료압축-판독응용-자료보관
     4. 자료수집-방사보정-자료변환-기하보정-자료압축-판독응용-자료보관

     정답 : []
     정답률 : 50%

56. 원격탐사의 일반적인 영상처리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2017년 09월)
     1. 데이터 입력→변환처리→전처리→분류처리→출력
     2. 데이터 입력→전처리→변환처리→분류처리→출력
     3. 데이터 입력→분류처리→변환처리→전처리→출력
     4. 데이터 입력→분류처리→전처리→변환처리→출력

     정답 : []
     정답률 : 57%

57. 초점거리 150mm의 카메라로 1/20000 축척의 항공사진을 수직으로 촬영하고 이 사진의 연직점으로부터 어떤 건물의 정상을 측정하였더니 39mm, 이 건물의 하단으로부터 정상까지의 변위량이 1.3mm였다. 이 건물의 높이는?(2008년 09월)
     1. 50m
     2. 100m
     3. 150m
     4. 200m

     정답 : []
     정답률 : 54%

58. 항공사진 축척이 1:15000이고 비행코스 방향의 중복도 60%, 비행코스간의 중복도 30% 일 때 23㎝×23㎝인 사진 1매의 유효모델 면적은?(2012년 09월)
     1. 11.89km2
     2. 4.76km2
     3. 3.33km2
     4. 2.14km2

     정답 : []
     정답률 : 60%

59. 도형자료의 점, 선, 면, 위치 등에 대하여 양이나 크기와 관계없이 형상이나 공간적 위치 관계를 규정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8년 03월)
     1. 위상설정
     2. 위치설정
     3. 종속설정
     4. 도형설정

     정답 : []
     정답률 : 56%

60. 항공사진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실내작업이 많고,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측량에 비경제적이다.
     2. 기선이 없어도 정확도가 높은 도화기가 있으면 지도를 작도할 수 있다.
     3. 대체로 정확도가 균일하며, 사진의 축척이 클수록 경제적이다.
     4. 지상 기준점이 없으면 정확도가 높은 도화기가 있어도 정확한 지도제작은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5%

4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61. 3㎝가 늘어난 50m 줄자를 사용하여 어떤 거리를 측정한 결과 175m를 얻었을 때 실제의 길이는?(2008년 05월)
     1. 173.950m
     2. 174.895m
     3. 175.105m
     4. 176.050m

     정답 : []
     정답률 : 0%

62. 종이지도로부터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자료를 생성하려 한다. 종이지도가 컴퓨터로 편집 가능한 수치영상으로 변환되는 단계는?(2015년 05월)
     1. 스캐닝
     2. 벡터 변환
     3. 구조화 편집
     4. 정위치 편집

     정답 : []
     정답률 : 63%

63. 다음과 같은 삼각망에서 CD의 방위는?(2007년 03월)

    

     1. S 12° 51'50"E
     2. S 12° 11'50"W
     3. S 23° 51'10“E
     4. S 23° 45'30"W

     정답 : []
     정답률 : 35%

64. 측량결과가 표와 같을 때 P점의 표고는?(2010년 09월)

    

     1. 21.75m
     2. 21.72m
     3. 21.70m
     4. 21.68m

     정답 : []
     정답률 : 42%

65.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자료분석을 위해 지도요소를 중첩할 때 각각의 중첩되는 요소 하나하나를 무엇이라 하는가?(2021년 03월)
     1. 테마
     2. 스키마
     3. 레이어
     4. 지오코드

     정답 : []
     정답률 : 78%

66. 다음 삼각측량의 작업순서를 옳은 순서대로 배열된 것은 어느 것인가? (A: 선점, B: 각측량, C: 편심조정, D: 기선측량, E: 계산, F: 조표)(2003년 08월)
     1. A-B-C-D-E-F
     2. A-C-F-B-E-D
     3. A-F-E-D-C-B
     4. A-F-D-B-C-E

     정답 : []
     정답률 : 77%

67. 같은 경중류로 측량한 거리 측량결과 10회의 평균값이 100.45m 이었다. 이 때 잔차제곱의 합이 0.0579m이고 잔차의 합이 -0.10m이라고 하면 거리를 평균값 ±표준편차로 나타내면?(2005년 03월)
     1. 100.45m ±0.05m
     2. 100.45m ±0.08m
     3. 100.45m ±0.13m
     4. 100.45m ±0.15m

     정답 : []
     정답률 : 44%

6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세부측량이란 골격(골조)측량에서 결정된 측선을 기준으로 지형이나 지물을 측정하는 것이다.
     2. 지거란 측정하려고 하는 어떤 한점에서 기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이다.
     3. 계곡선은 지형을 표시하는 데 기준이 되는 등고선이므로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4. 용지측량이란 토지 및 경계 등에 대하여 조사하고 용지 취득 등에 필요한 자료 및 도면을 작성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69. 공간적 접근성을 정의할 때 이용되며 공간형상의 둘레에 특정한 폭을 가진 zone을 구축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9월)
     1. 버퍼링
     2. 공간중첩
     3. 클리핑
     4. 디졸브

     정답 : []
     정답률 : 62%

70.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방법 중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은?(2019년 04월)
     1. 면 사상 중첩 분석
     2. 버퍼 분석
     3. 선 사상 중첩 분석
     4. 인접성 분석

     정답 : []
     정답률 : 66%

71. 줄자를 사용하여 거리관측을 한 결과가 50m 이었다. 이때 줄자의 중앙이 초목으로 인하여 직선으로 부터 50cm 떨어지게 굽어졌다면 거리 오차의 크기는?(2010년 09월)
     1. 0.05m
     2. 0.04m
     3. 0.02m
     4. 0.01m

     정답 : []
     정답률 : 35%

72. 노선측량에 있어서 곡선 반경 700m 되는 원곡선 상을 90㎞/h 로 주행하려면 칸트(cant)는 얼마인가? (단, 궤간(b)는 1.472m 임)(2003년 05월)
     1. 14.4㎜
     2. 73.4㎜
     3. 114㎜
     4. 134㎜

     정답 : []
     정답률 : 46%

73. 점 C와 D의 평면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기지 삼각점 A, B로부터 사변형삼각망에 의한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변조정에 앞서 각조정 실시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식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α1256
     2. α1278=180°
     3. α3478
     4.

     정답 : []
     정답률 : 73%

7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분석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관계가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버퍼분석(Buffering Analysis) - 가시권분석, 표면 모델링, 3차원 가시와, 경사도 분석
     2. 지형분석(Topographic Analysis) - 영향권분석
     3. 망분석(Network Analysis) - 연결성, 방향성, 최단경로, 최적경로의 분석
     4. 중첩분석(Overlay Analysis) - 거리, 면적, 둘레, 길이, 무게중심 등의 정량적 분석

     정답 : []
     정답률 : 61%

75. 다각측량을 통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방위각 330°, 거리 100m에 대한 경거의 값은 -50m이다
     2. 위거, 경거의 오차가 각각 3cm, 4cm일 때 폐합오차는 5cm이다.
     3. 측선 총거리가 100m, 폐합오차 0.05m일 때 정확도는 1/3,000이다.
     4. 각 측정의 정확도가 같을 때에는 오차를 각의 크기에 관계 없이 동일하게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76. 전자파 거리 측량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전파 거리 측량기는 광파 거리 측량기보다 안개나 비 등의 기후에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전파 거리 측량기는 광파 거리 측량기보다 장거리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3. 광파 거리 측량기는 전파 거리 측량기보다 1변 관측의 조작시간이 길다.
     4. 전파 거리 측량기의 최소 조작 이원은 2명이며 광파 거리 측량기는 1명으로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77. 삼각측량에서 인접한 변의 길이가 32km, 28km이고 사이각이 42°50' 20" 일 때 구과량은? (단, 지구 곡률반경은 6370km)(2005년 05월)
     1. 1.3"
     2. 1.5"
     3. 1.7"
     4. 1.9"

     정답 : []
     정답률 : 59%

78. 동일 조건으로 기선측정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최확치는?(2006년 03월)

    

     1. 98.462m
     2. 98.464m
     3. 98.466m
     4. 98.468m

     정답 : []
     정답률 : 53%

79. 그림은 삼각측량에서 좌표계산을 위한 것이다 A점의 좌표(XA, YA) 를 알고 C점의 좌표를 계산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T는 방향각이 S는 변장임)(2010년 09월)

    

     1. XC = XA + SAC cos TAC, YC = YA + SAC sin TAC
     2. XC = XA + SAC sin TAC, YC = YA + SAC cos TAC
     3. XC = XA - SAC cos TAC, YC = YA - SAC sin TAC
     4. XC = XA - SAC sin TAC, YC = YA - SAC cos TAC

     정답 : []
     정답률 : 52%

80. 다음 중 3차원 위치성과를 획득할 수 없는 측량장비는?(2011년 10월)
     1. 토탈스테이션
     2. 레벨
     3. LIDAR
     4. GPS

     정답 : []
     정답률 : 68%

81. 우리나라 수준원점의 소재지는?(2007년 09월)
     1. 서울
     2. 인천
     3. 수원
     4. 부산

     정답 : []
     정답률 : 75%

82. 다음의 관측값은 동일한 각(∠x)을 3대의 각관측 장비를 이용하여 관측한 결과이다. 이 결과에 따른 각(∠x)의 최확값은?(2020년 08월)

    

     1. 45°05‘ 11“
     2. 45°05’ 21”
     3. 45°05‘ 31“
     4. 45°05’ 41”

     정답 : []
     정답률 : 55%

83.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목적
     3. 측량의 규모
     4. 측량의 실시기간

     정답 : []
     정답률 : 50%

84. 기본측량성과의 검증을 위해 검증을 의뢰받은 기본 측량성과 검증 기관은 몇 일 이내에 검증 결과를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제출 하여야 하는가?(2010년 09월)
     1. 10일
     2. 20일
     3. 30일
     4. 60일

     정답 : []
     정답률 : 35%

85. 다음 표척의 읽음값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2.6m
     2. 2.7m
     3. 6.0m
     4. 6.5m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점의 개수 : 2개 ->2.0
검은색 큰글씨 : 6 -> 0.6
십자선이 위와같이 되었있으므로 답은 2.6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기본측량이나 공공측량의 실시 공고를 하는 자는?(2004년 05월)
     1. 건설교통부장관
     2. 시·도지사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측량계획기관

     정답 : []
     정답률 : 24%

87. 국토지리정보원장이 행하는 지도 등의 심사 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도곽설정, 축척 및 투영에 관한 사항
     2. 측량업용 시설 및 장비에 관한 사항
     3. 지형, 지물 및 지명의 표시에 관한 사항
     4. 주기 및 기호 표시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25%

88. 자동레벨의 조정 조건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원형기포관의 접평면이 연직축과 직교하여야 한다.
     2. 십자횡선이 수평이어야 한다.
     3. 시준선이 항상 수평이어야 한다.
     4. 망원경 기포관축이 시준선과 수직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89.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계획기관이란?(2007년 03월)
     1.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2.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3.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성과를 보관하는 자
     4.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을 정리하는 자

     정답 : []
     정답률 : 14%

90.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동일 등고선 위에 있는 모든 점의 높이는 같다.
     2. 등고선의 간격은 완경사지에서 좁고, 급경사지에서는 넓다.
     3. 등고선은 도면 안 또는 밖에서 폐합하며 도중에서 소실되지 않는다.
     4. 등고선이 도면 내에서 폐합하는 경우 등고선의 내부에는 산정이나 분지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91. 다음 중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것은?(2004년 03월)
     1. 지하시설물측량업
     2. 측지측량업
     3. 항공사진촬영업
     4. 지도판매업

     정답 : []
     정답률 : 78%

92. 수평거리 18㎞에 대한 굴절에 의한 오차는? (단, 굴절계수는 0.14, 지구의 곡률반경은 6370㎞)(2012년 09월)
     1. -6.12m
     2. -5.36m
     3. -3.56m
     4. -1.98m

     정답 : []
     정답률 : 38%

93. 1/50000 지형도에서 도곽의 종선은 어떠한 방향을 표시하는가?(2012년 09월)
     1. 항정선
     2. 측지선
     3. 자오선
     4. 묘유선

     정답 : []
     정답률 : 46%

94. 1회 관측에서 ±2mm의 우연오차가 발생하였다면 4회 관측하였을 때의 우연오차는?(2012년 03월)
     1. ±2.0mm
     2. ±3.0mm
     3. ±4.0mm
     4. ±8.0mm

     정답 : []
     정답률 : 54%

95. 보기의 ( ) 속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2년 05월)

    

     1. 기본측량 - 일반측량
     2. 공공측량 - 기본측량
     3. 기본측량 - 공공측량
     4. 일반측량 - 공공측량

     정답 : []
     정답률 : 58%

96. 기본측량성과의 국외반출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관광객 유치와 관광시설 홍보를 목적으로 측량용사진을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
     2. 축척 5천분의 1미만인 축척의 수치지형도
     3.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 정부 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따라 기본측량성과를 상호 교환 하는 경우
     4. 축척 2만5천분의 1 또는 5만분의 1 지도로서 국가정보원장의 지원을 받아 보안성 검토를 거친 경우

     정답 : []
     정답률 : 72%

97. 우리나라 수준원점의 수치로서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26.6871m
     2.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26.9871m
     3.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36.6871m
     4.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36.9871m

     정답 : []
     정답률 : 29%

98. 각 좌표계에서의 직각좌표는 TㆍM(Transverse Mercator, 횡단 머케이터) 방법으로 표시한다. 이 좌표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X축은 좌표계 원점의 자북선에 일치한다.
     2. 진북방향을 정(+)으로 표시한다.
     3. Y축은 X축에 직교하는 축으로 진동방향을 정(+)으로 한다.
     4. 직각좌표계의 원점 좌표는 (X=0, Y=0)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X축 = 자오선
[해설작성자 : 내나이스물넷]

99. 측량기준점의 국가기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수준점 : 수로조사 시 해양에서의 수평위치와 높이, 수심 측정 및 해안선 결정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준점
     2. 중력점 : 지구자기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정한 기준점
     3. 통합기준점 :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및 지구중심 직교좌표의 측정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경위도원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
     4. 삼각점 :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및 지구중심 직교좌표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위성기준점 및 통합기준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

     정답 : []
     정답률 : 44%

100. 시ㆍ도지명위원회는 지명에 관한 심의, 결정사항을 최대 몇 일 이내에 중앙지명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하는가?(2009년 05월)
     1. 15일 이내
     2. 10일이내
     3. 7일 이내
     4. 30일 이내

     정답 : []
     정답률 : 37%


정 답 지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17445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지구를 반지름 R=6400km의 구라 하고 거리의 허용오차가 1/105 이라면 반지름 몇 km까지를 평면으로 가정할 수 있는가?(2012년 03월)
     1. 약 35km
     2. 약 70km
     3. 약 140km
     4. 약 210km

     정답 : []
     정답률 : 73%

2. 중력변화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3월)
     1. 만류인력 상수의 변화
     2. 지구의 형상과 질량의 변화
     3. 지질학적 변동
     4. 대기물질분포의 변화

     정답 : []
     정답률 : 70%

3. 지오이드(geoi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했을 때의 가상적인 지구 형상이다.
     2. 중력의 방향에 수직인 등포텐셜면을 이룬다.
     3. 회전타원체와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4. 측지학에서 참지구로 생각하는 지구형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4.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L1 신호의 주파수가 1575.42MHz 일 때 L1 신호 10000파장의 거리는? (단, 광속 c = 299792458 m/s)(2021년 03월)
     1. 1320.17m
     2. 1902.94m
     3. 3254.00m
     4. 20257.67m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C/L1*파징거리
299792458/1575.42*10000=1902.94M
[해설작성자 : cyh3632]

5. 우리나라의 지형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면좌표의 투영법은?(2021년 05월)
     1. 등각투영
     2. 등적투영
     3. 등거투영
     4. 복합투영

     정답 : []
     정답률 : 89%

6. 다음 중 GPS측량에 있어서 사이클슬립(cycle slip)의 주된 원인은?(2004년 09월)
     1. 위성의 높은 고도각
     2. 낮은 신호 잡음
     3. 나무, 교량 밑 등의 장애물
     4. 높은 신호 강도

     정답 : []
     정답률 : 75%

7. 우리나라의 좌표계(한국측지계)가 세계측지계로 변경된 후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모든 지도를 좌표변환 없이 세계측지계 기준으로 재제작 하여야 한다.
     2. 법령에 의한 지표상의 위치는 해당법령을 개정하여 그 수치를 변경하여야 한다.
     3. 지상목표물의 위치를 수치(좌표)상의 변화(평행이동)만 있고 실제 지형, 지물의 위치 변동은 없다.
     4. GPS 측량성과를 변환 과정 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8. 통합기준점 측량을 위한 GNSS 관측 데이터의 기선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GNSS위성의 궤도요소는 정밀력을 사용한다.
     2. 기선해석 결과는 Float해를 사용한다.
     3. 기선해석을 2주파로 실시하고 최저고도각은 15°로 한다.
     4. 사이클슬립의 편집은 기선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자동편집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선해석 결과는 Fix해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ㅈㅈ]

9. 다음 중 균시차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2004년 09월)
     1. 균시차 = 시태양시 - 평균태양시
     2. 균시차 = 평균태양시 - 표준시
     3. 균시차 = 세계시 - 태양시
     4. 균시차 = 항성시 - 세계시

     정답 : []
     정답률 : 71%

10. 다음 지자기 측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지자기변화에는 주기적 변화와 불규칙 변화가 있다.
     2. 영년변화는 수백년을 주기로 나타나는 지자기의 변화이다.
     3. 자기 폭풍은 지진에 의해 발생한다.
     4. 자기 폭풍은 단파 통신의 지장을 초래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11. 차분(Differencing)을 이용한 GNSS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공통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같은 궤도 오차를 가진다.
     2. 하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여러 위성에 대한 관측값은 동일한 수신기 시계오차를 가진다.
     3. 기지점과 미지점간의 거리가 짧다면 대기효과는 비슷하게 나타난다.
     4. 단일차분에 의해서 위성과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단일차분에 의한 방법은 위성한개와 수신기 두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동일위성에 대한 측정치이므로 위성궤도오차와 위성시계오차가 소거되고,수신기의 시계오차는 소거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예문사]

12. 지자기 측정의 3요소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4년 05월)
     1. 편각, 복각, 수평분력
     2. 복각, 연직각, 수평분력
     3. 복각, 수평각, 연직분력
     4. 편각, 복각, 연직분력

     정답 : []
     정답률 : 87%

13. GPS 신호에서 C/A 코드는 1.023Mbps로 이루어져 있다. GPS 신호의 전파 속도를 300000km/sec 로 가정 했을 때 코드 1비트 사이의 간격은 약 몇 m인가?(2010년 09월)
     1. 약 2.93m
     2. 약 29.3m
     3. 약 293m
     4. 약 2930m

     정답 : []
     정답률 : 71%

14. 고정밀 GPS 측위에서 이중 주파수 관측데이터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2015년 05월)
     1. 다중경로의 최소화
     2. 대류권 지연의 최소화
     3. 전리층 효과의 최소화
     4. 수신기 시간오차의 최소화

     정답 : []
     정답률 : 73%

15. 평면직교좌표의 원점에서 동쪽에 있는 A점에서 B점방향의 자북방위각을 관측한 결과 89°10' 25"이었다. A점에서의 자침편차가 5°W일 때 진북방위각은?(2005년 05월)
     1. 84°10' 25"
     2. 89°30' 25"
     3. 89°05' 25"
     4. 94°10' 25"

     정답 : []
     정답률 : 74%

16. 지구상의 어느 한 점에서 타원체의 법선과 지오이드의 법선은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이 두 법선의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4월)
     1. 중력 편차
     2. 지오이드 편차
     3. 중력 이상
     4. 연직선 편차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연직선 편차는 지구상의 한 점에 대한 지구타원체의 법선과 이를 통과하는 지오이드의 법선의 차이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KT]

17. GPS 관측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보유 수신기 대수
     2. 동원 가능한 인원
     3. 관측시간
     4. 위성궤도력

     정답 : []
     정답률 : 46%

18. 통합기준점 설치를 위한 GPS 기준점 측량 시 연속 관측 시간은?(2015년 03월)
     1. 2시간
     2. 4시간
     3. 6시간
     4. 8시간

     정답 : []
     정답률 : 72%

19. 지자기의 3 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연직분력
     2. 수평분력
     3. 편각
     4. 복각

     정답 : []
     정답률 : 65%

20. 지자기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9월)
     1. 복각
     2. 편각
     3. 수평분력
     4. 연직분력

     정답 : []
     정답률 : 84%

2과목 : 응용측량


21.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을 이용한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은?(2003년 03월)
     1. 좌표법
     2. 중앙종거법
     3. 지거설치법
     4. 종거에 의한 설치법

     정답 : []
     정답률 : 58%

22. 노선측량 작업에서 도상에 중심선을 설치하는 공정은 다음 중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가?(2003년 05월)
     1. 조사측량
     2. 예비측량
     3. 공사측량
     4. 실시설계측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하구 심천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하구 심천측량은 하구 부근 하저 및 해저의 지형을 조사한다.
     2. 하구의 항만시설, 해안보전시설의 설계 자료로 사용된다.
     3. 조위를 관측하고 실측한 수심을 기본수준면을 기준으로 하는 수심으로 보정하여 심천측량의 정확도를 높인다.
     4. 해안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심 100m 되는 앞바다까지를 측량구역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 해안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심 20m 되는 앞바다까지를 측량구역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아지]

24. 축척 1:1200 지도에서 잘못하여 축척 1:1000로 측정하였더니 10000m2가 나왔다면 실제 면적은?(2013년 09월)
     1. 6944m2
     2. 8333m2
     3. 12000m2
     4. 14400m2

     정답 : []
     정답률 : 56%

25. 터널의 갱내측량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습기, 먼지, 소음, 어두움 등으로 측량조건이 매우 불량하다.
     2. 폐합트래버스에 의한 측량이 주로 이루어지므로 누적발생오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3. 굴착면의 변위발생으로 설치한 기준점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4. 후시의 경우 거리가 짧고 예각 발생의 경우가 많아 오차가 자주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26. 도시계획사업, 토지구획정리사업, 농지개량사업 및 기타법령의 토지개발사업 등에 의하여 토지를 구획하고 환지를 완료한 토지의 지번, 지목, 면적, 경계 또는 좌표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측량은?(2006년 09월)
     1. 골조측량
     2. 경계측량
     3. 현황측량
     4. 확정측량

     정답 : []
     정답률 : 57%

27. 철도, 도로 및 수로 등을 건설할 때 토량을 계산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체적 산정방법은?(2022년 03월)
     1. 점고법
     2. 등고선법
     3. 유토곡선법
     4. 단면법

     정답 : []
     정답률 : 44%

28. 경관측량에서 인식대상의 주체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4년 05월)
     1. 인공경관
     2. 생태경관
     3. 환경경관
     4. 자연경관

     정답 : []
     정답률 : 50%

29. 아래 그림과 같은 횡단면도의 성토 부분의 면적은?(2006년 09월)

    

     1. 10m2
     2. 16m2
     3. 18m2
     4. 24m2

     정답 : []
     정답률 : 47%

30. 지하시설물에 대한 측량간격은 20m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다음 중 간격에 관계없이 반드시 측량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지하시설물의 지흠 또는 재질이 변경된 경우
     2. 지하시설물이 교차ㆍ분기되거나 상태가 바뀌는 경우
     3. 지하시설물이 직선구간인 경우
     4. 지하시설물에 각종 제어장치 또는 밸브가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7%

31. 측량결과에 의하여 그림과 같이 절토고를 얻었다면 절토량은 얼마인가? (단, 각 분할된 구역은 가로 x 세로 = 20m x 10m로 동일하다.)(2011년 06월)

    

     1. 1,375m3
     2. 1,425m3
     3. 1,475m3
     4. 1,525m3

     정답 : []
     정답률 : 56%

32. 그림과 같은 횡단면도의 성토 부분의 면적은?(2016년 10월)

    

     1. 10m2
     2. 16m2
     3. 18m2
     4. 24m2

     정답 : []
     정답률 : 49%

33. 수평 및 수직거리를 동일한 정확도로 관측하여 9,000m3의 체적을 정확히 산출하려고 한다. 체적오차를 ±0.9m3 이하로 하기 위한 거리관측의 최대 허용 정밀도는?(2017년 09월)
     1. 1/100000
     2. 1/90000
     3. 1/30000
     4. 1/10000

     정답 : []
     정답률 : 51%

34. 하천수위의 갈수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2. 1년을 통하여 27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3. 1년을 통하여 18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4. 1년을 통하여 12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정답 : []
     정답률 : 64%

35. 다음 표에서 성토부분의 총토량(m3)옳은 것은?(2010년 05월)

    

     1. 2315m3
     2. 2220m3
     3. 1915m3
     4. 1720m3

     정답 : []
     정답률 : 34%

36. 철도노선에서 곡선부를 통과하는 차량에 원심력이 발생하여 접선방향으로 탈선하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깥쪽 철로를 안쪽 철로보다 높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09월)
     1. 캔트(Cant)
     2. 슬랙(Slack)
     3. 완화곡선
     4. 반향곡선

     정답 : []
     정답률 : 83%

37. 경관은 구성요소에 의하여 대상계, 경관장계, 시점계, 상호성계로 분류된다. 이중 사물의 규모, 상태, 형상 및 배치를 뜻하는 것은?(2005년 03월)
     1. 대상계
     2. 경관장계
     3. 시점계
     4. 상호성계

     정답 : []
     정답률 : 30%

38. 하천측량에서 2점법으로 평균유속을 구할 때 선택해야 할 지점을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수심(H)의 0.2H, 0.8H인 지점
     2. 수심(H)의 0.4H, 0.6H인 지점
     3. 수심(H)의 0.3H, 0.7H인 지점
     4. 수심(H)의 0.5H, 0.9H인 지점

     정답 : []
     정답률 : 80%

39. 지하시설물 관측방법에서 원래 누수를 찾기 위한 기술로 수도관로 중 PVC 또는 플라스틱관을 찾는 데 이용되는 관측방법은?(2015년 09월)
     1. 음파관측법
     2. 전기관측법
     3. 자장관측법
     4. 탄성파관측법

     정답 : []
     정답률 : 67%

40. 우리나라는 평균적으로 하루 중에 두 번 발생하는 고조 및 저조의 높이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조석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20년 06월)
     1. 일조부등
     2. 월조간격
     3. 희귀조
     4. 혼합조

     정답 : []
     정답률 : 75%

3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초점거리 150mm 카메라로 비고 300m 지점을 촬영한 결과 축척이 1/10,000 이었다면 연직사진의 촬영고도는?(2004년 05월)
     1. 1,000m
     2. 1,500m
     3. 1,800m
     4. 2,000m

     정답 : []
     정답률 : 30%

42. 항공사진 카메라의 초점거리 150㎜, 촬영경사 4° 로 평지를 촬영하였다. 이 사진의 주점으로부터 등각점까지의 거리는?(2005년 09월)
     1. 4.1㎜
     2. 4.4㎜
     3. 5.2㎜
     4. 5.4㎜

     정답 : []
     정답률 : 8%

43. 도화작업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등고선 도화시에 언제나 높이값이 큰 편으로부터 움직여 맞추도록 한다.
     2. 도화시에 관측은 입체적인 과고감이 가능한 한 큰 상태에서 행하는 편이 높이의 관측정확도가 좋다.
     3. 프리즘의 위치를 가능한 한 작은 과고감이 생기게 배치한다.
     4. 눈의 피로를 적게 하기 위해 핀트를 정확히 맞춘다.

     정답 : []
     정답률 : 47%

44. 평탄한 지형이 촬영된 연직사진에서 촬영에 사용한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0mm, 화면크기 23cm× 23cm, 종중복도 60%인 경우의 기선고도비는 얼마인가? (단, 이 경우 사진의 축척은 1/10,000이다.)(2003년 08월)
     1. 0.61
     2. 0.83
     3. 0.92
     4. 1.04

     정답 : []
     정답률 : 9%

45. 촬영고도 2000m에서 촬영한 사진Ⅰ의 주점기선길이는 59mm, 사진Ⅱ의 주점기선길이는 61mm일 때 시차차 3.0mm인 건물의 높이는?(2018년 03월)
     1. 95m
     2. 85m
     3. 100m
     4. 65m

     정답 : []
     정답률 : 55%

46. 사진측량에서 모델의 의미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편위 수정된 사진이다.
     2. 촬영된 한 장의 사진이다.
     3. 한 쌍의 사진으로 실체시 되는 부분이다.
     4.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47. 다음 입체상의 변화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2004년 03월)
     1. 입체상은 촬영기선이 짧은 경우가 긴 경우보다 더 높게 보인다.
     2. 렌즈의 초점거리가 긴 쪽의 사진이 짧은 쪽의 사진보다 더 낮게 보인다.
     3. 같은 조건에서 낮은 촬영고도로 촬영한 사진이 높은 촬영고도보다 더 높게 보인다.
     4. 눈의 위치가 약간 높아짐에 따라 입체상은 더 높게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48%

48. 초점거리 30cm의 사진기로 찍은 축척 1/20000 항공사진의 연직점에서 80mm 떨어진 곳에 있는 높이 120m인 탑의 사진상 변위는?(2005년 03월)
     1. 약 1.4mm
     2. 약 1.6mm
     3. 약 1.8mm
     4. 약 2.0mm

     정답 : []
     정답률 : 39%

49. 초점거리 21cm의 카메라로 평균해수면으로부터 800m인 지점을 촬영할 때 촬영한 항공사진의 축척은 얼마인가? (단, 항공기의 높이는 평균해수면으로부터 5000m이다.)(2004년 03월)
     1. 1/15,000
     2. 1/17,000
     3. 1/20,000
     4. 1/22,500

     정답 : []
     정답률 : 22%

50. 자료교환을 위한 표준화의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SDTS : 미국의 국가 공간 정보 표준 포맷
     2. DXF : AutoCAD의 제작자에 의해 제안된 자료교환 형식
     3. NTF : 영국의 국가적인 교환형식
     4. DLG : 독일의 수치지형표준자료에 의한 전국적 지도제작 포맷

     정답 : []
     정답률 : 56%

51. 사진기의 경사, 지표면의 기복을 수정하고 등고선을 삽입하여 집성한 사진지도는?(2010년 09월)
     1. 반조정집성사진지도
     2. 조정집성사진지도
     3. 정사사진지도
     4. 약조정집성사진지도

     정답 : []
     정답률 : 28%

52.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과정에서 최종 결과영상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재배열(Resampling) 방법 중 원천영상자료의 화소값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 계산이 빠른 방법은?(2013년 06월)
     1. Non-Linear Interpolation
     2. Bilinear Interpolation
     3. Bicubic Interpolation
     4. Nearest-neighbor Interpolation

     정답 : []
     정답률 : 68%

53. 다음의 전자파 파장 중에서 가시광선 영역에 속하는 것은?(2019년 04월)
     1. 0.3㎛ ~ 0.4㎛
     2. 0.3mm ~ 0.4mm
     3. 0.4㎛ ~ 0.7㎛
     4. 0.4mm ~ 0.7mm

     정답 : []
     정답률 : 70%

54. 상호표정의 불완전모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3월)
     1. 입체모형에서 회전인자를 사용할 수 없는 모형
     2. 입체모형에서 공면조건이 없는 모형
     3. 입체모형에서 일부가 구릉이나 수면으로 가려져 상호표정에 필요한 5점을 이상적으로 배치할 수 없는 모형
     4. 입체모형에서 평행변위부 수정을 위하여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 모형

     정답 : []
     정답률 : 50%

55. 원격탐사의 정보처리흐름으로 옳은 것은?(2006년 03월)
     1. 자료수집-자료변환-방사보정-기하보정-자료압축-판독응용-자료보관
     2. 자료수집-방사보정-기하보정-자료변환-자료압축-판독응용-자료보관
     3. 자료수집-자료변환-기하보정-방사보정-자료압축-판독응용-자료보관
     4. 자료수집-방사보정-자료변환-기하보정-자료압축-판독응용-자료보관

     정답 : []
     정답률 : 50%

56. 원격탐사의 일반적인 영상처리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2017년 09월)
     1. 데이터 입력→변환처리→전처리→분류처리→출력
     2. 데이터 입력→전처리→변환처리→분류처리→출력
     3. 데이터 입력→분류처리→변환처리→전처리→출력
     4. 데이터 입력→분류처리→전처리→변환처리→출력

     정답 : []
     정답률 : 57%

57. 초점거리 150mm의 카메라로 1/20000 축척의 항공사진을 수직으로 촬영하고 이 사진의 연직점으로부터 어떤 건물의 정상을 측정하였더니 39mm, 이 건물의 하단으로부터 정상까지의 변위량이 1.3mm였다. 이 건물의 높이는?(2008년 09월)
     1. 50m
     2. 100m
     3. 150m
     4. 200m

     정답 : []
     정답률 : 54%

58. 항공사진 축척이 1:15000이고 비행코스 방향의 중복도 60%, 비행코스간의 중복도 30% 일 때 23㎝×23㎝인 사진 1매의 유효모델 면적은?(2012년 09월)
     1. 11.89km2
     2. 4.76km2
     3. 3.33km2
     4. 2.14km2

     정답 : []
     정답률 : 60%

59. 도형자료의 점, 선, 면, 위치 등에 대하여 양이나 크기와 관계없이 형상이나 공간적 위치 관계를 규정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8년 03월)
     1. 위상설정
     2. 위치설정
     3. 종속설정
     4. 도형설정

     정답 : []
     정답률 : 56%

60. 항공사진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실내작업이 많고,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측량에 비경제적이다.
     2. 기선이 없어도 정확도가 높은 도화기가 있으면 지도를 작도할 수 있다.
     3. 대체로 정확도가 균일하며, 사진의 축척이 클수록 경제적이다.
     4. 지상 기준점이 없으면 정확도가 높은 도화기가 있어도 정확한 지도제작은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5%

4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61. 3㎝가 늘어난 50m 줄자를 사용하여 어떤 거리를 측정한 결과 175m를 얻었을 때 실제의 길이는?(2008년 05월)
     1. 173.950m
     2. 174.895m
     3. 175.105m
     4. 176.050m

     정답 : []
     정답률 : 0%

62. 종이지도로부터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자료를 생성하려 한다. 종이지도가 컴퓨터로 편집 가능한 수치영상으로 변환되는 단계는?(2015년 05월)
     1. 스캐닝
     2. 벡터 변환
     3. 구조화 편집
     4. 정위치 편집

     정답 : []
     정답률 : 63%

63. 다음과 같은 삼각망에서 CD의 방위는?(2007년 03월)

    

     1. S 12° 51'50"E
     2. S 12° 11'50"W
     3. S 23° 51'10“E
     4. S 23° 45'30"W

     정답 : []
     정답률 : 35%

64. 측량결과가 표와 같을 때 P점의 표고는?(2010년 09월)

    

     1. 21.75m
     2. 21.72m
     3. 21.70m
     4. 21.68m

     정답 : []
     정답률 : 42%

65.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자료분석을 위해 지도요소를 중첩할 때 각각의 중첩되는 요소 하나하나를 무엇이라 하는가?(2021년 03월)
     1. 테마
     2. 스키마
     3. 레이어
     4. 지오코드

     정답 : []
     정답률 : 78%

66. 다음 삼각측량의 작업순서를 옳은 순서대로 배열된 것은 어느 것인가? (A: 선점, B: 각측량, C: 편심조정, D: 기선측량, E: 계산, F: 조표)(2003년 08월)
     1. A-B-C-D-E-F
     2. A-C-F-B-E-D
     3. A-F-E-D-C-B
     4. A-F-D-B-C-E

     정답 : []
     정답률 : 77%

67. 같은 경중류로 측량한 거리 측량결과 10회의 평균값이 100.45m 이었다. 이 때 잔차제곱의 합이 0.0579m이고 잔차의 합이 -0.10m이라고 하면 거리를 평균값 ±표준편차로 나타내면?(2005년 03월)
     1. 100.45m ±0.05m
     2. 100.45m ±0.08m
     3. 100.45m ±0.13m
     4. 100.45m ±0.15m

     정답 : []
     정답률 : 44%

6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세부측량이란 골격(골조)측량에서 결정된 측선을 기준으로 지형이나 지물을 측정하는 것이다.
     2. 지거란 측정하려고 하는 어떤 한점에서 기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이다.
     3. 계곡선은 지형을 표시하는 데 기준이 되는 등고선이므로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4. 용지측량이란 토지 및 경계 등에 대하여 조사하고 용지 취득 등에 필요한 자료 및 도면을 작성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69. 공간적 접근성을 정의할 때 이용되며 공간형상의 둘레에 특정한 폭을 가진 zone을 구축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9월)
     1. 버퍼링
     2. 공간중첩
     3. 클리핑
     4. 디졸브

     정답 : []
     정답률 : 62%

70.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방법 중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은?(2019년 04월)
     1. 면 사상 중첩 분석
     2. 버퍼 분석
     3. 선 사상 중첩 분석
     4. 인접성 분석

     정답 : []
     정답률 : 66%

71. 줄자를 사용하여 거리관측을 한 결과가 50m 이었다. 이때 줄자의 중앙이 초목으로 인하여 직선으로 부터 50cm 떨어지게 굽어졌다면 거리 오차의 크기는?(2010년 09월)
     1. 0.05m
     2. 0.04m
     3. 0.02m
     4. 0.01m

     정답 : []
     정답률 : 35%

72. 노선측량에 있어서 곡선 반경 700m 되는 원곡선 상을 90㎞/h 로 주행하려면 칸트(cant)는 얼마인가? (단, 궤간(b)는 1.472m 임)(2003년 05월)
     1. 14.4㎜
     2. 73.4㎜
     3. 114㎜
     4. 134㎜

     정답 : []
     정답률 : 46%

73. 점 C와 D의 평면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기지 삼각점 A, B로부터 사변형삼각망에 의한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변조정에 앞서 각조정 실시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식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α1256
     2. α1278=180°
     3. α3478
     4.

     정답 : []
     정답률 : 73%

7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분석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관계가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버퍼분석(Buffering Analysis) - 가시권분석, 표면 모델링, 3차원 가시와, 경사도 분석
     2. 지형분석(Topographic Analysis) - 영향권분석
     3. 망분석(Network Analysis) - 연결성, 방향성, 최단경로, 최적경로의 분석
     4. 중첩분석(Overlay Analysis) - 거리, 면적, 둘레, 길이, 무게중심 등의 정량적 분석

     정답 : []
     정답률 : 61%

75. 다각측량을 통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방위각 330°, 거리 100m에 대한 경거의 값은 -50m이다
     2. 위거, 경거의 오차가 각각 3cm, 4cm일 때 폐합오차는 5cm이다.
     3. 측선 총거리가 100m, 폐합오차 0.05m일 때 정확도는 1/3,000이다.
     4. 각 측정의 정확도가 같을 때에는 오차를 각의 크기에 관계 없이 동일하게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76. 전자파 거리 측량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전파 거리 측량기는 광파 거리 측량기보다 안개나 비 등의 기후에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전파 거리 측량기는 광파 거리 측량기보다 장거리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3. 광파 거리 측량기는 전파 거리 측량기보다 1변 관측의 조작시간이 길다.
     4. 전파 거리 측량기의 최소 조작 이원은 2명이며 광파 거리 측량기는 1명으로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77. 삼각측량에서 인접한 변의 길이가 32km, 28km이고 사이각이 42°50' 20" 일 때 구과량은? (단, 지구 곡률반경은 6370km)(2005년 05월)
     1. 1.3"
     2. 1.5"
     3. 1.7"
     4. 1.9"

     정답 : []
     정답률 : 59%

78. 동일 조건으로 기선측정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최확치는?(2006년 03월)

    

     1. 98.462m
     2. 98.464m
     3. 98.466m
     4. 98.468m

     정답 : []
     정답률 : 53%

79. 그림은 삼각측량에서 좌표계산을 위한 것이다 A점의 좌표(XA, YA) 를 알고 C점의 좌표를 계산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T는 방향각이 S는 변장임)(2010년 09월)

    

     1. XC = XA + SAC cos TAC, YC = YA + SAC sin TAC
     2. XC = XA + SAC sin TAC, YC = YA + SAC cos TAC
     3. XC = XA - SAC cos TAC, YC = YA - SAC sin TAC
     4. XC = XA - SAC sin TAC, YC = YA - SAC cos TAC

     정답 : []
     정답률 : 52%

80. 다음 중 3차원 위치성과를 획득할 수 없는 측량장비는?(2011년 10월)
     1. 토탈스테이션
     2. 레벨
     3. LIDAR
     4. GPS

     정답 : []
     정답률 : 68%

81. 우리나라 수준원점의 소재지는?(2007년 09월)
     1. 서울
     2. 인천
     3. 수원
     4. 부산

     정답 : []
     정답률 : 75%

82. 다음의 관측값은 동일한 각(∠x)을 3대의 각관측 장비를 이용하여 관측한 결과이다. 이 결과에 따른 각(∠x)의 최확값은?(2020년 08월)

    

     1. 45°05‘ 11“
     2. 45°05’ 21”
     3. 45°05‘ 31“
     4. 45°05’ 41”

     정답 : []
     정답률 : 55%

83.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목적
     3. 측량의 규모
     4. 측량의 실시기간

     정답 : []
     정답률 : 50%

84. 기본측량성과의 검증을 위해 검증을 의뢰받은 기본 측량성과 검증 기관은 몇 일 이내에 검증 결과를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제출 하여야 하는가?(2010년 09월)
     1. 10일
     2. 20일
     3. 30일
     4. 60일

     정답 : []
     정답률 : 35%

85. 다음 표척의 읽음값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2.6m
     2. 2.7m
     3. 6.0m
     4. 6.5m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점의 개수 : 2개 ->2.0
검은색 큰글씨 : 6 -> 0.6
십자선이 위와같이 되었있으므로 답은 2.6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기본측량이나 공공측량의 실시 공고를 하는 자는?(2004년 05월)
     1. 건설교통부장관
     2. 시·도지사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측량계획기관

     정답 : []
     정답률 : 24%

87. 국토지리정보원장이 행하는 지도 등의 심사 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도곽설정, 축척 및 투영에 관한 사항
     2. 측량업용 시설 및 장비에 관한 사항
     3. 지형, 지물 및 지명의 표시에 관한 사항
     4. 주기 및 기호 표시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25%

88. 자동레벨의 조정 조건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원형기포관의 접평면이 연직축과 직교하여야 한다.
     2. 십자횡선이 수평이어야 한다.
     3. 시준선이 항상 수평이어야 한다.
     4. 망원경 기포관축이 시준선과 수직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89.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계획기관이란?(2007년 03월)
     1.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2.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3.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성과를 보관하는 자
     4.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을 정리하는 자

     정답 : []
     정답률 : 14%

90.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동일 등고선 위에 있는 모든 점의 높이는 같다.
     2. 등고선의 간격은 완경사지에서 좁고, 급경사지에서는 넓다.
     3. 등고선은 도면 안 또는 밖에서 폐합하며 도중에서 소실되지 않는다.
     4. 등고선이 도면 내에서 폐합하는 경우 등고선의 내부에는 산정이나 분지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91. 다음 중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것은?(2004년 03월)
     1. 지하시설물측량업
     2. 측지측량업
     3. 항공사진촬영업
     4. 지도판매업

     정답 : []
     정답률 : 78%

92. 수평거리 18㎞에 대한 굴절에 의한 오차는? (단, 굴절계수는 0.14, 지구의 곡률반경은 6370㎞)(2012년 09월)
     1. -6.12m
     2. -5.36m
     3. -3.56m
     4. -1.98m

     정답 : []
     정답률 : 38%

93. 1/50000 지형도에서 도곽의 종선은 어떠한 방향을 표시하는가?(2012년 09월)
     1. 항정선
     2. 측지선
     3. 자오선
     4. 묘유선

     정답 : []
     정답률 : 46%

94. 1회 관측에서 ±2mm의 우연오차가 발생하였다면 4회 관측하였을 때의 우연오차는?(2012년 03월)
     1. ±2.0mm
     2. ±3.0mm
     3. ±4.0mm
     4. ±8.0mm

     정답 : []
     정답률 : 54%

95. 보기의 ( ) 속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2년 05월)

    

     1. 기본측량 - 일반측량
     2. 공공측량 - 기본측량
     3. 기본측량 - 공공측량
     4. 일반측량 - 공공측량

     정답 : []
     정답률 : 58%

96. 기본측량성과의 국외반출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관광객 유치와 관광시설 홍보를 목적으로 측량용사진을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
     2. 축척 5천분의 1미만인 축척의 수치지형도
     3.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 정부 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따라 기본측량성과를 상호 교환 하는 경우
     4. 축척 2만5천분의 1 또는 5만분의 1 지도로서 국가정보원장의 지원을 받아 보안성 검토를 거친 경우

     정답 : []
     정답률 : 72%

97. 우리나라 수준원점의 수치로서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26.6871m
     2.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26.9871m
     3.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36.6871m
     4.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36.9871m

     정답 : []
     정답률 : 29%

98. 각 좌표계에서의 직각좌표는 TㆍM(Transverse Mercator, 횡단 머케이터) 방법으로 표시한다. 이 좌표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X축은 좌표계 원점의 자북선에 일치한다.
     2. 진북방향을 정(+)으로 표시한다.
     3. Y축은 X축에 직교하는 축으로 진동방향을 정(+)으로 한다.
     4. 직각좌표계의 원점 좌표는 (X=0, Y=0)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X축 = 자오선
[해설작성자 : 내나이스물넷]

99. 측량기준점의 국가기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수준점 : 수로조사 시 해양에서의 수평위치와 높이, 수심 측정 및 해안선 결정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준점
     2. 중력점 : 지구자기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정한 기준점
     3. 통합기준점 :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및 지구중심 직교좌표의 측정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경위도원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
     4. 삼각점 :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및 지구중심 직교좌표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위성기준점 및 통합기준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

     정답 : []
     정답률 : 44%

100. 시ㆍ도지명위원회는 지명에 관한 심의, 결정사항을 최대 몇 일 이내에 중앙지명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하는가?(2009년 05월)
     1. 15일 이내
     2. 10일이내
     3. 7일 이내
     4. 30일 이내

     정답 : []
     정답률 : 37%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17445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77 자동차정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76 에너지관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7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의료관계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74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73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8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72 RFID-GL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1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71 경찰공무원(순경)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6
4170 9급 국가직 공무원 네트워크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5297505)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69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68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5905587) 좋은아빠되기 2025.11.17 6
4167 제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66 화학분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65 지게차유사(롤러,기중기등)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64 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9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63 RFID-GL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1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6
416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174452)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6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59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158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6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260 Next
/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