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658006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위생학 개론


1. 육체적 작업능력(PWC)이 16Kcal/min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동안 물체 운반작업을 하고 있다. 이 때의 작업 대사량은 7kcal/min일 때 이사람이 쉬지 않고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최대허용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log Tend=3.720-0.1949ㆍE)(2015년 03월)
     1. 4분
     2. 83분
     3. 141분
     4. 227분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E : 작업대사량
log Tend = 3.720-0.1949*7
                 = 2.356
Tend = log 2.356
         =227분
[해설작성자 : sso]

2. 다음 중 산업위생관리의 목적 또는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3월)
     1. 직업성 질환의 확인 및 치료
     2. 작업환경 및 근로조건의 개선
     3. 직업성질환 유소견자의 작업 전환
     4. 산업재해의 예방과 작업능률의 향상

     정답 : []
     정답률 : 77%

3. VDT 증후군에 해당하지 않는 질병은?(2019년 04월)
     1. 안면피부염
     2. 눈 질환
     3. 감광성 간질
     4. 전리방사선 질환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근골격계질환, 안장애, 전자기피와 관련된 장애
[해설작성자 : 유바비]

4. 유기용제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에서 유기용제와 소변 중 대사산물의 짝이 잘못 이루어진 것은?(2013년 08월)
     1. 톨루엔 : 마뇨산
     2. 크실렌 : 메탈마뇨산
     3. 스티렌 : 삼염화초산
     4. 노말핵산 : 2, 5-헥산디온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스티렌 : 뇨 중 만델린산
[해설작성자 : SKE]

5. 국소피로를 평가하는데에는 근전도(EMG)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다. 피로한 근육에서 측정된 근전도의 특징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2002년 05월)
     1. 저주파(0-40Hz)힘의 감소 - 총전압의 감소
     2. 고주파(40-200Hz)힘의 감소 - 총전압의 감소
     3. 저주파(0-40Hz)힘의 증가 - 평균주파수의 감소
     4. 고주파(40-200Hz)힘의 증가 - 평균주파수의 감소

     정답 : []
     정답률 : 67%

6. 어떤 근로자가 물체운반작업을 하고 있다. 1일 8시간작업을 위한 작업대사량이 5.3㎉/분, 해당 작업의 작업대사량은 6㎉/분, 휴식시의 대사량은 1.3㎉/분이라면 Hertig의 식을 이용한 적절한 휴식시간 비율(%)은?(2006년 03월)
     1. 약 15%
     2. 약 20%
     3. 약 25%
     4. 약 30%

     정답 : []
     정답률 : 46%

7. 다음 중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지표물질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무엇인가?(2014년 03월)
     1. 부유분진
     2. 이산화탄소
     3. 일산화탄소
     4. 휘발성유기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실내 공기고염의 지표(환기지표)로 CO2(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하며 실내허용농도는 0.1%이다.
이때 CO2 자체는 건강에 큰 영향을 주는 물질이 아니며, 측정하기 어려운 다른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지표물질로 사용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설레임]

8. 다음 중 노출기준(TWA, ppm)이 가장 낮은 것은?(2012년 03월)
     1. 오존(O3)
     2. 암모니아(NH2)
     3. 일산화탄소(CO)
     4. 이산화탄소(CO2)

     정답 : []
     정답률 : 75%

9.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의 기준을 적용할 때, 적용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보통 속도로 한 손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인 경우
     2. 물체의 폭이 75㎝이하인 경우
     3. 신발이 작업장 바닥에 닿을 때 미끄럽지 않을 경우
     4. 작업장내의 온도가 적절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38%

10.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는 중량물 취급작업에 대하여 감시기준(AL)과 최대허용 기준(MPL)의 두가지 권고치를 설정하였다. 감시기준(AL)이 20㎏일 때 최대허용기준(MPL)은?(2005년 05월)
     1. 40㎏
     2. 50㎏
     3. 60㎏
     4. 80㎏

     정답 : []
     정답률 : 85%

11. 다음 중 혐기성 대사에서 혐기성 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생산하지 않는 것은?(2010년 07월)
     1. 아데노신상인산(ATP)
     2. 크레아틴인산(CP)
     3. 포도당
     4. 지방

     정답 : []
     정답률 : 89%

12.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는 산업위생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강령을 채택하였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전문가로서의 책임
     2. 근로자에 대한 책임
     3. 검사기관으로서의 책임
     4. 일반 대중에 대한 책임

     정답 : []
     정답률 : 86%

13. 직업성 피부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개인 방호
     2. 원료, 재료의 검토
     3. 공정의 검토와 개선
     4. 본인의 희망에 의한 배치

     정답 : []
     정답률 : 92%

14. 다음 중 작업대사율이 7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실동률은 얼마인가? (단, 사이또와 오시마의 식을 활용한다.)(2012년 05월)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85-(5*7) = 50
[해설작성자 : 윤토리]

15.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에서는 작업강도를 경작업, 중등도작업, 심한작업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중 경작업에 소비열량기준은?(2005년 03월)
     1. 100 kcal/hr 이하
     2. 150 kcal/hr 이하
     3. 200 kcal/hr 이하
     4. 250 kcal/hr 이하

     정답 : []
     정답률 : 22%

16. 근로자로부터 60cm 떨어진 10kg 의 물체를 바닥으로부터 80cm 들어올리는 작업을 1분에 4씩 1일 8시간 동안하고 있다. AL과 MPL은 약 얼마인가? (단, 다음의 식을 참고하며, Fmax 는 12 이다.)(2007년 08월)

    

     1. AL = 1.9kg, MPL = 5.7kg
     2. AL = 2.9kg, MPL = 8.7kg
     3. AL = 3.7kg, MPL = 11.1kg
     4. AL = 4.7kg, MPL = 14.1kg

     정답 : []
     정답률 : 52%

17. 국소피로를 평가하는 데는 근전도(EMG)를 많이 이용한다. 정상근육과 비교하여 피로한 근육에서 나타나는 EMG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5월)
     1. 총전압의 증가
     2. 평균주파수의 증가
     3. 저주파수(0∼40㎐) 힘의 증가
     4. 고주파수(40∼200㎐) 힘의 감소

     정답 : []
     정답률 : 62%

18. 아래의 내용은 사업주가 근골격계질환 예방 관리프로그램을 수립 시행하여야 하는 경우이다. ( )안에 알맞는 내용은?(2005년 03월)

    

     1. ① 5인 ② 10인 ③ 5%
     2. ① 5인 ② 10인 ③ 10%
     3. ① 10인 ② 5인 ③ 5%
     4. ① 10인 ② 5인 ③ 10%

     정답 : []
     정답률 : 12%

19. 금속작업 근로자에게 발생된 만성중독의 특징으로 코점막의 염증, 비중격천공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물질은?(2015년 03월)
     1.
     2. 6가크롬
     3. 수은
     4. 카드뮴

     정답 : []
     정답률 : 82%

20. 자극취가 있는 무색의 수용성 가스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와 섬유 옷감에서 주로 발생되고, 눈과 코를 자극하며 동물실험결과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실내 오염물질은?(2010년 07월)
     1. 황상화물
     2. 벤젠
     3. 라돈
     4. 포름알데히드

     정답 : []
     정답률 : 72%

2과목 :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고체 포집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시료공기를 흡착력이 강한 고체의 작은 입자층을 통과시켜 포집하는 방법이다.
     2. 실리카겔은 산과 같은 극성물질의 포집에 사용되며 수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널리 사용된다.
     3. 시료의 채취는 사용하는 고체입자층의 포집효율을 고려하여 일정한 흡입유량으로 한다.
     4. 포집된 유기물은 일반적으로 이황화탄소(CS2)로 탈착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실리카겔은 김이나 옷같은데 흔하게 들어가있는 투명알갱이 흡습제입니다.
수분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해설작성자 : 콘트넘]

22. 작업환경 측정기구의 보정을 위한 2차표준에 해당되는 것은?(2004년 03월)
     1. Wet-test meter
     2. 비누거품미터
     3. Pitot 튜브
     4. '무마찰'피스톤 미터

     정답 : []
     정답률 : 76%

23. 공기 중 석면 농도를 허용기준과 비교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석면 측정방법은 무엇인가?(2014년 05월)
     1. 광학 현미경법
     2. 전자 현미경법
     3. 위상차 현미경법
     4. 편광 현미경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석면측정방법
1. 위상차현미경법
2. 전자현미경법
3. 편광현미경법
4. X선회절법
[해설작성자 : 뗭이의 뻥이요]

24. 흡광광도 측정에서 투과 퍼센트가 50%일 때 흡광도는?(2010년 05월)
     1. 0.1
     2. 0.2
     3. 0.3
     4. 0.4

     정답 : []
     정답률 : 80%

25. 검지관 사용시 단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2003년 03월)
     1. 밀폐공간에서 산소부족 또는 폭발성 가스 측정에는 측정자 안전이 문제된다.
     2. 민감도가 낮다.
     3. 특이도가 낮다.
     4. 대개 단시간 측정만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26. 다음 중 고열측정을 위한 습구온도 측정시간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2017년 05월)
     1. 자연습구온도계 25분 이상
     2. 아스만통풍건습계 25분 이상
     3. 직경이 15센티미터일 경우 10분 이상
     4. 직경이 7.5센티미터 또는 5센티미터일 경우 3분 이상

     정답 : []
     정답률 : 69%

27. 검지관의 장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다른 방해물질의 영향을 받기 쉬워 오차가 크다.
     2. 사전에 측정대상물질의 동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한다.
     3. 민감도가 낮아 비교적 고농도에서 적용한다.
     4. 다른 측정방법이 복잡하거나 빠른 측정이 요구될 때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미리 측정대상 물질의 동정이 되어 있어야 측정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뀰미]

28. 가스교환 부위에 침착할 때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서 평균 입경이 4μm 인 입자상 물질은? (단, ACGIH 기준)(2019년 08월)
     1. 흡입성 입자상 물질
     2. 흉곽성 입자상 물질
     3. 복합성 입자상 물질
     4. 호흡성 입자상 물질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흡입성 100μm
흉곽성 10μm
호흡성 4μm
[해설작성자 : 안전마스따]

29. 다음 중 극성이 가장 큰 물질은?(2018년 03월)
     1. 케톤류
     2. 올레핀류
     3. 에스테르류
     4. 알데하이드류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극성이 강한 물질(실리카겔 친화력)
물>알코올류>알데하이드류>케톤류>에스테르류>방향족탄화수소류>올레핀류>파라핀류
[해설작성자 : .위생 합격.]

30. 작업환경내의 자연습구온도가 20℃이고 흑구온도가 20℃이다. 이러한 작업환경의 옥내 WBGT는?(2005년 03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67%

31.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유해가스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검출기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ECD(전자포획형검출기)
     2. TCD(열전도도검출기)
     3. FID(불꽃이온화검출기)
     4. UVD(자외선검출기)

     정답 : []
     정답률 : 40%

32. 다음 중 시료채취방법 중에서 개인시료 채취 시 채취지점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2019년 04월)
     1. 근로자의 호흡위치(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2. 근로자의 호흡위치(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60cm인 반구)
     3. 근로자의 호흡위치(바닥면을 기준으로 1.2~1.5m 높이의 고정된 위치)
     4. 근로자의 호흡위치(바닥면을 기준으로 0.9~1.2m 높이의 고정된 위치)

     정답 : []
     정답률 : 87%

33. 작업환경에서 공기 중 오염물질 농도 표시인 mppc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million particle per cubic feet를 의미한다.
     2. OSHA PEL 중 mica와 graphite는 mppcf로 표시한다.
     3. 1 mppcf는 대략 35.31개/cm3 이다.
     4. ACGIH TLVs의 mg/m3과 mppcf 전환에서 14mppcf는 1mg/m3 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mppcf(million particle per cubic feet)
1. 분진의 질이나 양과는 관계없이 단위 공기 중에 들어있는 분자량
2. 우리나라는 공기 1mL 속의 분자수로 표시하고, 미국의 경우는 1ft^3당 몇 백만 개 mppcf로 사용
3. 1mppcf=35.31 입자(개)mL=35.31입자(개)/cm^3
4. OSHA 노출기준(PEL) 중 mica 와 graphite 는 mppf로 표시
[해설작성자 : 뗭이의 밥상]

34. 개인시료채취를 위해 개인시료채취기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근로자의 호흡위치의 정의로 가장 적정한 것은?(2007년 03월)
     1. 호흡기를 중심으로 직경 30cm인 반구
     2.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3. 호흡기를 중심으로 직경 45cm인 반구
     4.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45cm인 반구

     정답 : []
     정답률 : 83%

35. '지역시료채취'의 용어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단,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 기준)(2007년 08월)
     1.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며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2.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며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3.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4.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36.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에서 이황화탄소, 니트로메탄을 분석할 때 주로 사용하는 검출기는?(2020년 06월)
     1. 불꽃이온화검출기(FID)
     2. 열전도도검출기(TCD)
     3. 전자포획검출기(ECD)
     4. 불꽃광전자검출기(FPD)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붗꽃광전자검출기(FPD)
화합물이 불꽃에서 연소될때 특정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원리를 이용
황이나 인을 포함한 화합물에서 높은 선택성
이황화탄소, 메르캅탄류, 니트로메타을 분석 할때 주로 사용
[해설작성자 : 벌꿀오소리]

검출기의 종류별 분석물질
1. 불꽃이온화검출기(FID) :다핵방향족 탄화수소류(PAHs),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알코올류
2. 열전도도검출기TCD) : 벤젠
3. 전자포획형검출기 (ECD) :사염화탄소,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벤조피렌,니트로화합물,염소함유농약
4. 불꽃광도검출기(FPD):유기인계 잔류 농약, 이황화탄소,니트로메탄,메르캅탄류

37. 산에 쉽게 용해되므로 입자상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법으로 분석하는데 적당하며 유리섬유, 석면 분진등 현미경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도 이용되는 막여과지는?(2003년 08월)
     1. Glass fiber membrane filter
     2. Poly vinylchloride membrane filter
     3. 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
     4. Trllon membrane filter

     정답 : []
     정답률 : 67%

38. 순수한 물 1.0L의 mole 수는?(2009년 05월)
     1. 35.6 moles
     2. 45.6 moles
     3. 55.6 moles
     4. 65.6 moles

     정답 : []
     정답률 : 62%

39. 총 먼지 채취 전 여과지의 질량은 15.51MG이고 2.0L/분으로 7시간 시료 채취 후 여과지의 질량은 19.95MG이었다. 이 때 공기 중 총 먼지농도(mg/m3)는?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3월)
     1. 5.17
     2. 5.29
     3. 5.62
     4. 5.93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9.95-15.51)/2.0L*420분(7*60)*m3/1000L(단위 환산을 위해 넣었습니다)
=5.285714286^10^-7
=5.29mg/m3

여기서 여과지 질량이 시간이 아닌 분당 2.0L로 나와서 7시간을 분으로 환산하여 계산 한겁니다.
위생문제들은 이렇게 단위환산문제가 많습니다. 단위 변환에 대한 기본개념을 꼭 확인하세요.

틀린부분은 지적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언제나 감사합니다. 덕분에 자격증 2개 취득했습니다]

19.95mg-15.51mg
---------------
2L/min * 7hr *60min/L * m^3/10^3L

=5.285mg/m^3

(단위환산 1L=1000KL=1m^3)
(mg은 질량단위 m^3은 부피단위)
[해설작성자 : 어캐 2개 땄노?]

40. 작업환경 공기중에 아세톤(TLV : 750 ppm) 400ppm 브틸아세테이트(TLV : 200ppm) 150ppm, 메틸에틸케톤(TLV : 200ppm)100ppm 으로 오염되어있다면 혼합물의 허용농도는?(2003년 03월)
     1. 약 325ppm
     2. 약 335ppm
     3. 약 350ppm
     4. 약 365ppm

     정답 : []
     정답률 : 38%

3과목 : 작업환경관리


41. 주물사업장에서 습구흑구온도를 측정한 결과 자연습구온도 40℃, 흑구온도 42℃, 건구온도 41℃로 확인되었다면 습구흑구온도지수는? (단, 옥외(태양광선이 내리쬐지 않는 장소)를 기준으로 한다.)(2020년 06월)
     1. 41.5℃
     2. 40.6℃
     3. 40.0℃
     4. 39.6℃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0.7*40+0.3*42
[해설작성자 : bae]

습구흑구온도지수(WBGT) = 0.7*자연습구온도 + 0.3*흑구온도
                                             = 0.7*40 + 0.3*42
                                             = 40.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열경련(Heat cramp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5월)
     1. 열경련인 환자는 혈중 염분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염분관리가 중요하다.
     2. 열경련 환자에게 염분을 공급할 때 식염정제가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3. 더운 환경에서 고된 육체적 작업으로 인한 수분의 고갈로 신체의 염분 농도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고열장해이다.
     4. 통증을 수반하는 경련은 주로 작업시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갑자기 사용했을 때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43. 근로자가 귀덮개(NRR=27)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미국 OSHA의 방법으로 계산한다면 차음효과는?(2010년 03월)
     1. 5 dB
     2. 8 dB
     3. 10 dB
     4. 12 dB

     정답 : []
     정답률 : 74%

44. 귀덮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8월)
     1. 귀마개보다 차음효과는 작지만 개인차가 적고 보호구 착용여부가 쉽게 확인된다.
     2. 귀마개보다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법이 틀리거나 잃어 버리는 일이 적다.
     3. 귀에 질병이 있을때도 사용이 가능하다.
     4. 크기를 여러가지로 할 필요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귀덮개는 귀마개보다 차음효과는 크다
개인차가 적고 보호구 착용여부가 쉽게 확인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100톤의 프레스 공정에서 측정한 읍압수준이 93dB(A)이었다. 근로자가 귀마개(NRR=27)를 착용하고 있을 때 근로자가 노출되는 음압 수준은? (단, OSHA 기준)(2012년 05월)
     1. 79.0dB(A)
     2. 81.0dB(A)
     3. 83.0dB(A)
     4. 85.0dB(A)

     정답 : []
     정답률 : 79%

46. 작업환경에서 발생되는 유해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학적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유해성이 적은 물질로 대치
     2. 개인 보호 장구의 착용
     3. 유해 물질과 근로자 사이에 장벽 설치
     4. 국소 및 전체 환기 시설 설치

     정답 : []
     정답률 : 50%

47. 고온순화기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2014년 03월)
     1. 체온조절 기전의 항진
     2. 더위에 대한 내성 증가
     3. 열생산 감소
     4. 열방산능력 감소

     정답 : []
     정답률 : 49%

48. 진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진동의 주파수는 그 주기현상을 가르키는 것으로 단위는 Hz이다.
     2. 전신진동인 경우에는 8~1500Hz, 국소진동의 경우에는 2~100Hz의 것이 주로 문제가 된다.
     3.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는 변위, 속도, 가속도가 사용된다.
     4. 공명은 외부에서 발생한 진동에 맞추어 생체가 진동하는 성질을 가리키며 실제로는 진동이 증폭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국소진동 8~1500Hz
전신진동 1~90Hz
[해설작성자 : 안전마스따]

49. 다음 인체조직 중 전리방사선에 대하여 감수성이 가장 적은 것은?(2007년 08월)
     1. 눈의 수정체
     2. 혈관
     3. 골수
     4. 임파선

     정답 : []
     정답률 : 34%

50. 진동 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2008년 03월)
     1. 체인톱과 같이 발동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전동기로 바꿈으로써 진동을 줄일 수있다.
     2. 공구로 부터 나오는 바람이 손에 접촉하도록 하여 보온을 유지하도록 한다.
     3. 진동공구의 손잡이를 너무 세게 잡지 말도록 작업자에게 주의시킨다.
     4. 진동공구는 가능한 한 공구를 기계적으로 지지 하여 주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51. 산업위생의 관리적 측면에서 대치 방법인 공정 또는 시설의 변경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가연성 물질을 저장할 경우 유리병보다는 철제 통을 사용
     2. 페인트 도장 시 분사 대신 담금 도장으로 변경
     3. 금속제품 이송 시 롤러의 재질을 철제에서 고무나 플라스틱을 사용
     4. 큰 날개 저속의 송풍기 대신 작은 날개 고속 회전하는 송풍기 사용

     정답 : []
     정답률 : 70%

52.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한 단위 입체각으로 나가는 광속의 단위는?(2005년 05월)
     1. 람벨트(Lambert)
     2. 후트캔들(Footcandle)
     3. 룩스(Lux)
     4. 루멘(Lumen)

     정답 : []
     정답률 : 78%

53. 자외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UV-B의 영향으로 피부암이 유발될 수 있다.
     2. 일명 화학선이라고 한다.
     3. 약 100~400mm파장의 범위의 전자파로 UV-A, UV-B, UV-C로 구분한다.
     4. 성층권 오존층은 200mm이하의 자외선만 지구에 도달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4. 290nm 이하는 대부분이 대기중 오존분자 등에 의해 흡수되어 지표면에 거의 도달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SKE]

54. 다음 중 소음의 물리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음의 높낮이는 음의 강도로 결정 된다.
     2. 건강한 사람의 가칭 주파수는 20~20000Hz이다.
     3. 같은 크기의 에너지를 가진 소리라도 주파수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느낀다.
     4. 회화음역은 250~3000Hz정도 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음의 높낮이는 음의 주파수로 결정 된다.
[해설작성자 : 윤토리]

55. 생산공정 변경 개선의 예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페인트 도장시 분사를 대신하여 담금 도장으로 변경한다.
     2. 송풍기는 작은 날개로 고속회전 시키던 것을 큰 날개로 저속회전 시킨다.
     3. 도자기 제조공정에서 건조 전 실시하던 점토 배합을 건조 후에 실시한다.
     4. 금속을 두들겨 자르는 것을 톱으로 자르는 것으로 변경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 도자기 제조공정에서 건조 "후" 실시하던 점토 배합을 건조 "전"에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윤토리]

56. 공기공급식 호흡기보호구 중 자가공기공급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개방식 : 호기에서 나온 공기는 장치 밖으로 배출되며 사용시간은 30분에서 60분 정도이다.
     2. 개방식 : 소방관이 주로 사용하며 호흡용 공기는 압축공기를 사용한다.
     3. 폐쇄식 : 산소발생장치에는 주로 H2O2 를 사용한다.
     4. 폐쇄식 : 개방식보다 가벼운 것이 장점이며 사용시간은 30분에서 4시간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폐쇄식 : 산소발생장치에는 주로 KO2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뀰미]

57. 방독 마스크의 방독 물질별 정화통 외부 측면의 표시색 연결이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유기화합물용 정화통 - 갈색
     2. 암모니아용 정화통 - 녹색
     3. 할로겐용 정화통 - 파란색
     4. 아황산용 정화통 - 노란색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할로겐용 정화통: 회색
[해설작성자 : 혀니다]

58. 방진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방진고무는 고무자체의 내부 마찰에 의해 저항을 얻을 수 있어 고주파 진동의 차진에 양호하다.
     2. 금속스프링은 감쇠가 거의 없으며 공진시에 전달율이 매우 크다.
     3. 공기스프링은 구조가 간단하고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4. felt는 재질도 여러 가지이며 방진재료라기 보다는 강체간의 고체음 전파 억제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공기스프링은 구조가 복잡하고 시설비가 많이 든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방방생파]

59. 소음원이 바닥 위(반자유공간)에 있을 때 지향계수(Q)는 무엇인가?(2014년 05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66%

60. 흄(fume)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내용은?(2018년 08월)
     1. 기체상태로 있던 무기물질이 승화하거나,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형성된 고형의 미립자
     2. 금속을 용융하는 경우 발생되는 증기가 공기에 의해 산화되어 만들어진 미세한 금속산화물
     3. 콜로이드보다 입자의 크기가 크고 단시간동안 공기 중에 부유할 수 있는 고체 입자
     4. 액체물질이던 것이 미립자가 되어 공기 중에 분산된 입자

     정답 : []
     정답률 : 69%

61. 건강 보호를 위해 전체 환기를 하는 경우 필요환기량을 계산할 때 공기의 불완전 혼합에 대한 여유계수 K를 도입한다. 이때 고려해야 할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5월)
     1. 근로자의 노출시간
     2. 유해물질의 발생률
     3. 환기시설의 성능
     4. 물질의 독성

     정답 : []
     정답률 : 33%

62. 입자의 직경이 1μm이고, 비중이 2.0인 입자의 침강속도는?(2016년 03월)
     1. 0.003 cm/s
     2. 0.006 cm/s
     3. 0.01 cm/s
     4. 0.03 cm/s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침강속도=(cm/sec) = 0.003×p×d^2
0.003×2.0×1^2=0.006cm/sec
[해설작성자 : 합격 가자~~~]

63. 국소배기장치에서 후드의 유입계수가 0.82, 속도압이 30㎜H2O라면 후드의 압력손실은?(2004년 08월)
     1. 11.6㎜H2O
     2. 14.6㎜H2O
     3. 16.6㎜H2O
     4. 18.6㎜H2O

     정답 : []
     정답률 : 56%

64. 아세톤이 공기 중에 10,000ppm으로 존재한다. 아세톤 증기 비중이 2.0 이라면 이 때 혼합물의 유효비중은?(2003년 05월)
     1. 1.01
     2. 1.02
     3. 1.03
     4. 1.04

     정답 : []
     정답률 : 39%

65. 유량이 300m3/min이고 rpm이고 rpm이 500인 송풍기에 필요한 동력이 6HP이다. 이 송풍기의 rpm을 700으로 증가시켰을 때의 동력은?(2006년 03월)
     1. 10.4 HP
     2. 11.8HP
     3. 14.4 HP
     4. 16.5HP

     정답 : []
     정답률 : 31%

66. 다음 중 환기와 관련한 식이 잘못된 것은? (단, 관련 기호는 표를 참고하시오.)(2011년 03월)

    

     1. Q=AV
     2.
     3.
     4. VP=TP+SP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4.    VP=TP-SP
[해설작성자 : 윤토리]

67. 작업장 내의 열부하량이 200000 kcal/h 이며, 외부의 기온은 25℃ 이고, 작업장 내의 기온은 35℃ 이다. 이러한 작업장의 전체환기에 필요환기량(m3/min)은 약 얼마인가?(2019년 03월)
     1. 1100
     2. 1600
     3. 2100
     4. 260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Q = H / (0.3△t)
Q = 200,000 /(0.3 * (35-25)) = 66.666 /HR = 111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Q = H / (0.3△t) [m3/hr]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온도 50℃ 관내부를 15m3/min 의 기체가 흐르고 있을 때 0℃에서의 유량은 얼마인가? (단, 기압은 760mmHg 로 일정하다.)(2007년 08월)
     1. 12.68m3/min
     2. 14.74m3/min
     3. 15.05m3/min
     4. 17.29m3/min

     정답 : []
     정답률 : 30%

69. 제어속도(control velocit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먼지나 가스의 성상, 확산조건, 발생원 주변 기류 등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2. 유해물질이 낮은 기류로 발생하는 도금 또는 용접 작업공정에서는 대략 0.5~1.0m/sec이다.
     3. 제어풍속이라고도 하며 후드 앞 오염원에서의 기류로서 오염공기를 후드로 흡인하는데 필요하다.
     4. 유해물질 발생이 자연적이고, 기류가 전혀 없는 탱크로부터 유기용제가 증발할 때는 1.6~2.1m/sec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움직이지 않는 공기 중에서 속도 없이 배출되는 작업조건, 탱크에서 증발, 탈지시설의 제어속도는 0.25~0.5m/sec이다.
[해설작성자 : 뀰미]

70. A강의실에 학생들이 모두 퇴실한 직후인 오후 5시에 측정한 공기 중 CO2 농도는 1,200ppm이었고, 강의실 빈 상태로 2시간이 경과한 오후 7시에 측정한 CO2농도는 400ppm이었다면 강의실의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얼마인가? (단, 이때 외부공기 중의 CO2농도는 330ppm이었다.)(2013년 08월)
     1. 1.26
     2. 1.36
     3. 1.46
     4. 1.56

     정답 : []
     정답률 : 46%

71. 다음 중 송풍기의 소요동력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인자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7월)
     1. 회전수
     2. 송풍기의 효율
     3. 풍량
     4. 송풍기 전압

     정답 : []
     정답률 : 53%

72. 직경 150mm 인 덕트 내 정압은 –64.5 mmH2O이고, 전압은 –31.5 mmH2O 이다. 이 때 덕트 내의 공기속도(m/s)는 약 얼마인가?(2019년 08월)
     1. 23.23
     2. 32.09
     3. 32.47
     4. 39.61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4.043*루트 VP
4.043*루트((-31.5)+64.5) = 23.225 ( 23.23 )
[해설작성자 : 경이]

전압(TP) = 동압(VP)+정압(SP)
-31.5 = 동압(VP) + (-64.5)
            = 33

V = 4.043*√VP
    = 4.043*√33
    = 23.2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다음 중 터보팬형 송풍기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소음, 진동이 비교적 크다.
     2. 통상적으로 최고속도가 높아 효율이 높다.
     3. 규정풍량 이외에서는 효율이 갑자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4. 소요정압이 떨어져도 동력은 크게 상승하지 않으므로 시설저항 및 운전상태가 변하여도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2%

74. 후드를 선정 및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가급적이면 공정을 많이 포위한다.
     2. 가급적 후드를 배출 오염원에 가깝게 설치한다.
     3. 후드 개구면에서 기류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설계한다.
     4. 공정에서 발생,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절대량은 최소발생량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최소발생량 ->최대발생량
[해설작성자 : 일하고싶어]

75. 전체환기를 설치할 때 적용되는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오염물질 사용량을 조사하여 필요환기량을 계산한다.
     2. 오염물질 배출구는 가능한 한 오염원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 '점환기'의 효과를 얻는다.
     3. 공기 배출구와 근로자의 작업위치 사이에 오염원이 위치해야 한다.
     4. 공기가 배출되면서 오염장소를 통과하지 않도록 배출구와 유입구 위치를 선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76. 흡착법에서 사용하는 흡착제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비극성의 유기용제를 제거하는데 유용한 것은?(2020년 08월)
     1. 활성탄
     2. 실리카겔
     3. 활성알루미나
     4. 합성제올라이트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비극성의 유기용제(VOC) 제거에는 활성탄
[해설작성자 : BADYOUKNOW]

77. 수공구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포집형 후드로서, 오염물질 발생원에 아주 근접하여 흡인하여 아주 높은 흡인효율을 나타내는 후드명칭으로 알맞는 것은?(2004년 05월)
     1. 저유량 - 고유속 후드
     2. 고유량 - 저유속 후드
     3. 저유량 - 고효율 후드
     4. 고유량 - 고효율 후드

     정답 : []
     정답률 : 26%

78.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흄을 배기시키기 위해 외부식 원형후드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제어속도를 1m/s로 했을 때 플랜지 없는 원형후드의 설계유량이 20m3/min으로 계산되었다면, 플랜지 있는 원형후드를 설치할 경우 설계유량은 얼마이겠는가? (단, 기타 조건은 같음)(2005년 05월)
     1. 10 m3/min
     2. 15 m3/min
     3. 20 m3/min
     4. 25 m3/min

     정답 : []
     정답률 : 32%

79. 톨루엔은 0℃일 때, 증기압이 6.8mmhg이고, 25℃일 때는 증기압이 7.4mmHg이다. 기온이 0℃일 때와 25℃일 때의 포화농도 차이는 약 몇 ppm인가?(2018년 08월)
     1. 790
     2. 810
     3. 830
     4. 85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최고농도(ppm) = 증기압 / 760 * 10^6
6.8 / 760 * 10^6 = 8947.3
7.4 / 760 * 10^6 = 9736.8
[해설작성자 : 보건관리자(진)]

6.8/760×10^6=8947
7.4/760×10^6=9736
9736-8947=789
[해설작성자 : 울랄라]

80. 다음 중 베르누이 정리를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2005년 03월)
     1. 압력은 체적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2. 관에 유발된 전체 외력의 합은 운동량 플럭스의 변화량과 같다.
     3. 압축성이며 점성이 있는 실제 유체의 정상류를 기준으로 한다.
     4. 유입된 에너지의 총량은 유출된 에너지의 총량과 같다.

     정답 : []
     정답률 : 37%


정 답 지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658006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위생학 개론


1. 육체적 작업능력(PWC)이 16Kcal/min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동안 물체 운반작업을 하고 있다. 이 때의 작업 대사량은 7kcal/min일 때 이사람이 쉬지 않고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최대허용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log Tend=3.720-0.1949ㆍE)(2015년 03월)
     1. 4분
     2. 83분
     3. 141분
     4. 227분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E : 작업대사량
log Tend = 3.720-0.1949*7
                 = 2.356
Tend = log 2.356
         =227분
[해설작성자 : sso]

2. 다음 중 산업위생관리의 목적 또는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3월)
     1. 직업성 질환의 확인 및 치료
     2. 작업환경 및 근로조건의 개선
     3. 직업성질환 유소견자의 작업 전환
     4. 산업재해의 예방과 작업능률의 향상

     정답 : []
     정답률 : 77%

3. VDT 증후군에 해당하지 않는 질병은?(2019년 04월)
     1. 안면피부염
     2. 눈 질환
     3. 감광성 간질
     4. 전리방사선 질환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근골격계질환, 안장애, 전자기피와 관련된 장애
[해설작성자 : 유바비]

4. 유기용제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에서 유기용제와 소변 중 대사산물의 짝이 잘못 이루어진 것은?(2013년 08월)
     1. 톨루엔 : 마뇨산
     2. 크실렌 : 메탈마뇨산
     3. 스티렌 : 삼염화초산
     4. 노말핵산 : 2, 5-헥산디온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스티렌 : 뇨 중 만델린산
[해설작성자 : SKE]

5. 국소피로를 평가하는데에는 근전도(EMG)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다. 피로한 근육에서 측정된 근전도의 특징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2002년 05월)
     1. 저주파(0-40Hz)힘의 감소 - 총전압의 감소
     2. 고주파(40-200Hz)힘의 감소 - 총전압의 감소
     3. 저주파(0-40Hz)힘의 증가 - 평균주파수의 감소
     4. 고주파(40-200Hz)힘의 증가 - 평균주파수의 감소

     정답 : []
     정답률 : 67%

6. 어떤 근로자가 물체운반작업을 하고 있다. 1일 8시간작업을 위한 작업대사량이 5.3㎉/분, 해당 작업의 작업대사량은 6㎉/분, 휴식시의 대사량은 1.3㎉/분이라면 Hertig의 식을 이용한 적절한 휴식시간 비율(%)은?(2006년 03월)
     1. 약 15%
     2. 약 20%
     3. 약 25%
     4. 약 30%

     정답 : []
     정답률 : 46%

7. 다음 중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지표물질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무엇인가?(2014년 03월)
     1. 부유분진
     2. 이산화탄소
     3. 일산화탄소
     4. 휘발성유기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실내 공기고염의 지표(환기지표)로 CO2(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하며 실내허용농도는 0.1%이다.
이때 CO2 자체는 건강에 큰 영향을 주는 물질이 아니며, 측정하기 어려운 다른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지표물질로 사용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설레임]

8. 다음 중 노출기준(TWA, ppm)이 가장 낮은 것은?(2012년 03월)
     1. 오존(O3)
     2. 암모니아(NH2)
     3. 일산화탄소(CO)
     4. 이산화탄소(CO2)

     정답 : []
     정답률 : 75%

9.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의 기준을 적용할 때, 적용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보통 속도로 한 손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인 경우
     2. 물체의 폭이 75㎝이하인 경우
     3. 신발이 작업장 바닥에 닿을 때 미끄럽지 않을 경우
     4. 작업장내의 온도가 적절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38%

10.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는 중량물 취급작업에 대하여 감시기준(AL)과 최대허용 기준(MPL)의 두가지 권고치를 설정하였다. 감시기준(AL)이 20㎏일 때 최대허용기준(MPL)은?(2005년 05월)
     1. 40㎏
     2. 50㎏
     3. 60㎏
     4. 80㎏

     정답 : []
     정답률 : 85%

11. 다음 중 혐기성 대사에서 혐기성 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생산하지 않는 것은?(2010년 07월)
     1. 아데노신상인산(ATP)
     2. 크레아틴인산(CP)
     3. 포도당
     4. 지방

     정답 : []
     정답률 : 89%

12.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는 산업위생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강령을 채택하였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전문가로서의 책임
     2. 근로자에 대한 책임
     3. 검사기관으로서의 책임
     4. 일반 대중에 대한 책임

     정답 : []
     정답률 : 86%

13. 직업성 피부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개인 방호
     2. 원료, 재료의 검토
     3. 공정의 검토와 개선
     4. 본인의 희망에 의한 배치

     정답 : []
     정답률 : 92%

14. 다음 중 작업대사율이 7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실동률은 얼마인가? (단, 사이또와 오시마의 식을 활용한다.)(2012년 05월)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85-(5*7) = 50
[해설작성자 : 윤토리]

15.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에서는 작업강도를 경작업, 중등도작업, 심한작업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중 경작업에 소비열량기준은?(2005년 03월)
     1. 100 kcal/hr 이하
     2. 150 kcal/hr 이하
     3. 200 kcal/hr 이하
     4. 250 kcal/hr 이하

     정답 : []
     정답률 : 22%

16. 근로자로부터 60cm 떨어진 10kg 의 물체를 바닥으로부터 80cm 들어올리는 작업을 1분에 4씩 1일 8시간 동안하고 있다. AL과 MPL은 약 얼마인가? (단, 다음의 식을 참고하며, Fmax 는 12 이다.)(2007년 08월)

    

     1. AL = 1.9kg, MPL = 5.7kg
     2. AL = 2.9kg, MPL = 8.7kg
     3. AL = 3.7kg, MPL = 11.1kg
     4. AL = 4.7kg, MPL = 14.1kg

     정답 : []
     정답률 : 52%

17. 국소피로를 평가하는 데는 근전도(EMG)를 많이 이용한다. 정상근육과 비교하여 피로한 근육에서 나타나는 EMG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5월)
     1. 총전압의 증가
     2. 평균주파수의 증가
     3. 저주파수(0∼40㎐) 힘의 증가
     4. 고주파수(40∼200㎐) 힘의 감소

     정답 : []
     정답률 : 62%

18. 아래의 내용은 사업주가 근골격계질환 예방 관리프로그램을 수립 시행하여야 하는 경우이다. ( )안에 알맞는 내용은?(2005년 03월)

    

     1. ① 5인 ② 10인 ③ 5%
     2. ① 5인 ② 10인 ③ 10%
     3. ① 10인 ② 5인 ③ 5%
     4. ① 10인 ② 5인 ③ 10%

     정답 : []
     정답률 : 12%

19. 금속작업 근로자에게 발생된 만성중독의 특징으로 코점막의 염증, 비중격천공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물질은?(2015년 03월)
     1.
     2. 6가크롬
     3. 수은
     4. 카드뮴

     정답 : []
     정답률 : 82%

20. 자극취가 있는 무색의 수용성 가스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와 섬유 옷감에서 주로 발생되고, 눈과 코를 자극하며 동물실험결과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실내 오염물질은?(2010년 07월)
     1. 황상화물
     2. 벤젠
     3. 라돈
     4. 포름알데히드

     정답 : []
     정답률 : 72%

2과목 :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고체 포집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시료공기를 흡착력이 강한 고체의 작은 입자층을 통과시켜 포집하는 방법이다.
     2. 실리카겔은 산과 같은 극성물질의 포집에 사용되며 수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널리 사용된다.
     3. 시료의 채취는 사용하는 고체입자층의 포집효율을 고려하여 일정한 흡입유량으로 한다.
     4. 포집된 유기물은 일반적으로 이황화탄소(CS2)로 탈착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실리카겔은 김이나 옷같은데 흔하게 들어가있는 투명알갱이 흡습제입니다.
수분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해설작성자 : 콘트넘]

22. 작업환경 측정기구의 보정을 위한 2차표준에 해당되는 것은?(2004년 03월)
     1. Wet-test meter
     2. 비누거품미터
     3. Pitot 튜브
     4. '무마찰'피스톤 미터

     정답 : []
     정답률 : 76%

23. 공기 중 석면 농도를 허용기준과 비교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석면 측정방법은 무엇인가?(2014년 05월)
     1. 광학 현미경법
     2. 전자 현미경법
     3. 위상차 현미경법
     4. 편광 현미경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석면측정방법
1. 위상차현미경법
2. 전자현미경법
3. 편광현미경법
4. X선회절법
[해설작성자 : 뗭이의 뻥이요]

24. 흡광광도 측정에서 투과 퍼센트가 50%일 때 흡광도는?(2010년 05월)
     1. 0.1
     2. 0.2
     3. 0.3
     4. 0.4

     정답 : []
     정답률 : 80%

25. 검지관 사용시 단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2003년 03월)
     1. 밀폐공간에서 산소부족 또는 폭발성 가스 측정에는 측정자 안전이 문제된다.
     2. 민감도가 낮다.
     3. 특이도가 낮다.
     4. 대개 단시간 측정만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26. 다음 중 고열측정을 위한 습구온도 측정시간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2017년 05월)
     1. 자연습구온도계 25분 이상
     2. 아스만통풍건습계 25분 이상
     3. 직경이 15센티미터일 경우 10분 이상
     4. 직경이 7.5센티미터 또는 5센티미터일 경우 3분 이상

     정답 : []
     정답률 : 69%

27. 검지관의 장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다른 방해물질의 영향을 받기 쉬워 오차가 크다.
     2. 사전에 측정대상물질의 동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한다.
     3. 민감도가 낮아 비교적 고농도에서 적용한다.
     4. 다른 측정방법이 복잡하거나 빠른 측정이 요구될 때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미리 측정대상 물질의 동정이 되어 있어야 측정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뀰미]

28. 가스교환 부위에 침착할 때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서 평균 입경이 4μm 인 입자상 물질은? (단, ACGIH 기준)(2019년 08월)
     1. 흡입성 입자상 물질
     2. 흉곽성 입자상 물질
     3. 복합성 입자상 물질
     4. 호흡성 입자상 물질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흡입성 100μm
흉곽성 10μm
호흡성 4μm
[해설작성자 : 안전마스따]

29. 다음 중 극성이 가장 큰 물질은?(2018년 03월)
     1. 케톤류
     2. 올레핀류
     3. 에스테르류
     4. 알데하이드류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극성이 강한 물질(실리카겔 친화력)
물>알코올류>알데하이드류>케톤류>에스테르류>방향족탄화수소류>올레핀류>파라핀류
[해설작성자 : .위생 합격.]

30. 작업환경내의 자연습구온도가 20℃이고 흑구온도가 20℃이다. 이러한 작업환경의 옥내 WBGT는?(2005년 03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67%

31.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유해가스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검출기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ECD(전자포획형검출기)
     2. TCD(열전도도검출기)
     3. FID(불꽃이온화검출기)
     4. UVD(자외선검출기)

     정답 : []
     정답률 : 40%

32. 다음 중 시료채취방법 중에서 개인시료 채취 시 채취지점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2019년 04월)
     1. 근로자의 호흡위치(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2. 근로자의 호흡위치(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60cm인 반구)
     3. 근로자의 호흡위치(바닥면을 기준으로 1.2~1.5m 높이의 고정된 위치)
     4. 근로자의 호흡위치(바닥면을 기준으로 0.9~1.2m 높이의 고정된 위치)

     정답 : []
     정답률 : 87%

33. 작업환경에서 공기 중 오염물질 농도 표시인 mppc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million particle per cubic feet를 의미한다.
     2. OSHA PEL 중 mica와 graphite는 mppcf로 표시한다.
     3. 1 mppcf는 대략 35.31개/cm3 이다.
     4. ACGIH TLVs의 mg/m3과 mppcf 전환에서 14mppcf는 1mg/m3 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mppcf(million particle per cubic feet)
1. 분진의 질이나 양과는 관계없이 단위 공기 중에 들어있는 분자량
2. 우리나라는 공기 1mL 속의 분자수로 표시하고, 미국의 경우는 1ft^3당 몇 백만 개 mppcf로 사용
3. 1mppcf=35.31 입자(개)mL=35.31입자(개)/cm^3
4. OSHA 노출기준(PEL) 중 mica 와 graphite 는 mppf로 표시
[해설작성자 : 뗭이의 밥상]

34. 개인시료채취를 위해 개인시료채취기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근로자의 호흡위치의 정의로 가장 적정한 것은?(2007년 03월)
     1. 호흡기를 중심으로 직경 30cm인 반구
     2.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3. 호흡기를 중심으로 직경 45cm인 반구
     4.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45cm인 반구

     정답 : []
     정답률 : 83%

35. '지역시료채취'의 용어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단,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 기준)(2007년 08월)
     1.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며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2.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며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3.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4.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36.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에서 이황화탄소, 니트로메탄을 분석할 때 주로 사용하는 검출기는?(2020년 06월)
     1. 불꽃이온화검출기(FID)
     2. 열전도도검출기(TCD)
     3. 전자포획검출기(ECD)
     4. 불꽃광전자검출기(FPD)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붗꽃광전자검출기(FPD)
화합물이 불꽃에서 연소될때 특정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원리를 이용
황이나 인을 포함한 화합물에서 높은 선택성
이황화탄소, 메르캅탄류, 니트로메타을 분석 할때 주로 사용
[해설작성자 : 벌꿀오소리]

검출기의 종류별 분석물질
1. 불꽃이온화검출기(FID) :다핵방향족 탄화수소류(PAHs),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알코올류
2. 열전도도검출기TCD) : 벤젠
3. 전자포획형검출기 (ECD) :사염화탄소,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벤조피렌,니트로화합물,염소함유농약
4. 불꽃광도검출기(FPD):유기인계 잔류 농약, 이황화탄소,니트로메탄,메르캅탄류

37. 산에 쉽게 용해되므로 입자상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법으로 분석하는데 적당하며 유리섬유, 석면 분진등 현미경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도 이용되는 막여과지는?(2003년 08월)
     1. Glass fiber membrane filter
     2. Poly vinylchloride membrane filter
     3. 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
     4. Trllon membrane filter

     정답 : []
     정답률 : 67%

38. 순수한 물 1.0L의 mole 수는?(2009년 05월)
     1. 35.6 moles
     2. 45.6 moles
     3. 55.6 moles
     4. 65.6 moles

     정답 : []
     정답률 : 62%

39. 총 먼지 채취 전 여과지의 질량은 15.51MG이고 2.0L/분으로 7시간 시료 채취 후 여과지의 질량은 19.95MG이었다. 이 때 공기 중 총 먼지농도(mg/m3)는?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3월)
     1. 5.17
     2. 5.29
     3. 5.62
     4. 5.93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9.95-15.51)/2.0L*420분(7*60)*m3/1000L(단위 환산을 위해 넣었습니다)
=5.285714286^10^-7
=5.29mg/m3

여기서 여과지 질량이 시간이 아닌 분당 2.0L로 나와서 7시간을 분으로 환산하여 계산 한겁니다.
위생문제들은 이렇게 단위환산문제가 많습니다. 단위 변환에 대한 기본개념을 꼭 확인하세요.

틀린부분은 지적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언제나 감사합니다. 덕분에 자격증 2개 취득했습니다]

19.95mg-15.51mg
---------------
2L/min * 7hr *60min/L * m^3/10^3L

=5.285mg/m^3

(단위환산 1L=1000KL=1m^3)
(mg은 질량단위 m^3은 부피단위)
[해설작성자 : 어캐 2개 땄노?]

40. 작업환경 공기중에 아세톤(TLV : 750 ppm) 400ppm 브틸아세테이트(TLV : 200ppm) 150ppm, 메틸에틸케톤(TLV : 200ppm)100ppm 으로 오염되어있다면 혼합물의 허용농도는?(2003년 03월)
     1. 약 325ppm
     2. 약 335ppm
     3. 약 350ppm
     4. 약 365ppm

     정답 : []
     정답률 : 38%

3과목 : 작업환경관리


41. 주물사업장에서 습구흑구온도를 측정한 결과 자연습구온도 40℃, 흑구온도 42℃, 건구온도 41℃로 확인되었다면 습구흑구온도지수는? (단, 옥외(태양광선이 내리쬐지 않는 장소)를 기준으로 한다.)(2020년 06월)
     1. 41.5℃
     2. 40.6℃
     3. 40.0℃
     4. 39.6℃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0.7*40+0.3*42
[해설작성자 : bae]

습구흑구온도지수(WBGT) = 0.7*자연습구온도 + 0.3*흑구온도
                                             = 0.7*40 + 0.3*42
                                             = 40.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열경련(Heat cramp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5월)
     1. 열경련인 환자는 혈중 염분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염분관리가 중요하다.
     2. 열경련 환자에게 염분을 공급할 때 식염정제가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3. 더운 환경에서 고된 육체적 작업으로 인한 수분의 고갈로 신체의 염분 농도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고열장해이다.
     4. 통증을 수반하는 경련은 주로 작업시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갑자기 사용했을 때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43. 근로자가 귀덮개(NRR=27)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미국 OSHA의 방법으로 계산한다면 차음효과는?(2010년 03월)
     1. 5 dB
     2. 8 dB
     3. 10 dB
     4. 12 dB

     정답 : []
     정답률 : 74%

44. 귀덮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8월)
     1. 귀마개보다 차음효과는 작지만 개인차가 적고 보호구 착용여부가 쉽게 확인된다.
     2. 귀마개보다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법이 틀리거나 잃어 버리는 일이 적다.
     3. 귀에 질병이 있을때도 사용이 가능하다.
     4. 크기를 여러가지로 할 필요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귀덮개는 귀마개보다 차음효과는 크다
개인차가 적고 보호구 착용여부가 쉽게 확인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100톤의 프레스 공정에서 측정한 읍압수준이 93dB(A)이었다. 근로자가 귀마개(NRR=27)를 착용하고 있을 때 근로자가 노출되는 음압 수준은? (단, OSHA 기준)(2012년 05월)
     1. 79.0dB(A)
     2. 81.0dB(A)
     3. 83.0dB(A)
     4. 85.0dB(A)

     정답 : []
     정답률 : 79%

46. 작업환경에서 발생되는 유해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학적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유해성이 적은 물질로 대치
     2. 개인 보호 장구의 착용
     3. 유해 물질과 근로자 사이에 장벽 설치
     4. 국소 및 전체 환기 시설 설치

     정답 : []
     정답률 : 50%

47. 고온순화기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2014년 03월)
     1. 체온조절 기전의 항진
     2. 더위에 대한 내성 증가
     3. 열생산 감소
     4. 열방산능력 감소

     정답 : []
     정답률 : 49%

48. 진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진동의 주파수는 그 주기현상을 가르키는 것으로 단위는 Hz이다.
     2. 전신진동인 경우에는 8~1500Hz, 국소진동의 경우에는 2~100Hz의 것이 주로 문제가 된다.
     3.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는 변위, 속도, 가속도가 사용된다.
     4. 공명은 외부에서 발생한 진동에 맞추어 생체가 진동하는 성질을 가리키며 실제로는 진동이 증폭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국소진동 8~1500Hz
전신진동 1~90Hz
[해설작성자 : 안전마스따]

49. 다음 인체조직 중 전리방사선에 대하여 감수성이 가장 적은 것은?(2007년 08월)
     1. 눈의 수정체
     2. 혈관
     3. 골수
     4. 임파선

     정답 : []
     정답률 : 34%

50. 진동 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2008년 03월)
     1. 체인톱과 같이 발동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전동기로 바꿈으로써 진동을 줄일 수있다.
     2. 공구로 부터 나오는 바람이 손에 접촉하도록 하여 보온을 유지하도록 한다.
     3. 진동공구의 손잡이를 너무 세게 잡지 말도록 작업자에게 주의시킨다.
     4. 진동공구는 가능한 한 공구를 기계적으로 지지 하여 주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51. 산업위생의 관리적 측면에서 대치 방법인 공정 또는 시설의 변경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가연성 물질을 저장할 경우 유리병보다는 철제 통을 사용
     2. 페인트 도장 시 분사 대신 담금 도장으로 변경
     3. 금속제품 이송 시 롤러의 재질을 철제에서 고무나 플라스틱을 사용
     4. 큰 날개 저속의 송풍기 대신 작은 날개 고속 회전하는 송풍기 사용

     정답 : []
     정답률 : 70%

52.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한 단위 입체각으로 나가는 광속의 단위는?(2005년 05월)
     1. 람벨트(Lambert)
     2. 후트캔들(Footcandle)
     3. 룩스(Lux)
     4. 루멘(Lumen)

     정답 : []
     정답률 : 78%

53. 자외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UV-B의 영향으로 피부암이 유발될 수 있다.
     2. 일명 화학선이라고 한다.
     3. 약 100~400mm파장의 범위의 전자파로 UV-A, UV-B, UV-C로 구분한다.
     4. 성층권 오존층은 200mm이하의 자외선만 지구에 도달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4. 290nm 이하는 대부분이 대기중 오존분자 등에 의해 흡수되어 지표면에 거의 도달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SKE]

54. 다음 중 소음의 물리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음의 높낮이는 음의 강도로 결정 된다.
     2. 건강한 사람의 가칭 주파수는 20~20000Hz이다.
     3. 같은 크기의 에너지를 가진 소리라도 주파수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느낀다.
     4. 회화음역은 250~3000Hz정도 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음의 높낮이는 음의 주파수로 결정 된다.
[해설작성자 : 윤토리]

55. 생산공정 변경 개선의 예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페인트 도장시 분사를 대신하여 담금 도장으로 변경한다.
     2. 송풍기는 작은 날개로 고속회전 시키던 것을 큰 날개로 저속회전 시킨다.
     3. 도자기 제조공정에서 건조 전 실시하던 점토 배합을 건조 후에 실시한다.
     4. 금속을 두들겨 자르는 것을 톱으로 자르는 것으로 변경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 도자기 제조공정에서 건조 "후" 실시하던 점토 배합을 건조 "전"에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윤토리]

56. 공기공급식 호흡기보호구 중 자가공기공급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개방식 : 호기에서 나온 공기는 장치 밖으로 배출되며 사용시간은 30분에서 60분 정도이다.
     2. 개방식 : 소방관이 주로 사용하며 호흡용 공기는 압축공기를 사용한다.
     3. 폐쇄식 : 산소발생장치에는 주로 H2O2 를 사용한다.
     4. 폐쇄식 : 개방식보다 가벼운 것이 장점이며 사용시간은 30분에서 4시간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폐쇄식 : 산소발생장치에는 주로 KO2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뀰미]

57. 방독 마스크의 방독 물질별 정화통 외부 측면의 표시색 연결이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유기화합물용 정화통 - 갈색
     2. 암모니아용 정화통 - 녹색
     3. 할로겐용 정화통 - 파란색
     4. 아황산용 정화통 - 노란색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할로겐용 정화통: 회색
[해설작성자 : 혀니다]

58. 방진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방진고무는 고무자체의 내부 마찰에 의해 저항을 얻을 수 있어 고주파 진동의 차진에 양호하다.
     2. 금속스프링은 감쇠가 거의 없으며 공진시에 전달율이 매우 크다.
     3. 공기스프링은 구조가 간단하고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4. felt는 재질도 여러 가지이며 방진재료라기 보다는 강체간의 고체음 전파 억제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공기스프링은 구조가 복잡하고 시설비가 많이 든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방방생파]

59. 소음원이 바닥 위(반자유공간)에 있을 때 지향계수(Q)는 무엇인가?(2014년 05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66%

60. 흄(fume)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내용은?(2018년 08월)
     1. 기체상태로 있던 무기물질이 승화하거나,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형성된 고형의 미립자
     2. 금속을 용융하는 경우 발생되는 증기가 공기에 의해 산화되어 만들어진 미세한 금속산화물
     3. 콜로이드보다 입자의 크기가 크고 단시간동안 공기 중에 부유할 수 있는 고체 입자
     4. 액체물질이던 것이 미립자가 되어 공기 중에 분산된 입자

     정답 : []
     정답률 : 69%

61. 건강 보호를 위해 전체 환기를 하는 경우 필요환기량을 계산할 때 공기의 불완전 혼합에 대한 여유계수 K를 도입한다. 이때 고려해야 할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5월)
     1. 근로자의 노출시간
     2. 유해물질의 발생률
     3. 환기시설의 성능
     4. 물질의 독성

     정답 : []
     정답률 : 33%

62. 입자의 직경이 1μm이고, 비중이 2.0인 입자의 침강속도는?(2016년 03월)
     1. 0.003 cm/s
     2. 0.006 cm/s
     3. 0.01 cm/s
     4. 0.03 cm/s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침강속도=(cm/sec) = 0.003×p×d^2
0.003×2.0×1^2=0.006cm/sec
[해설작성자 : 합격 가자~~~]

63. 국소배기장치에서 후드의 유입계수가 0.82, 속도압이 30㎜H2O라면 후드의 압력손실은?(2004년 08월)
     1. 11.6㎜H2O
     2. 14.6㎜H2O
     3. 16.6㎜H2O
     4. 18.6㎜H2O

     정답 : []
     정답률 : 56%

64. 아세톤이 공기 중에 10,000ppm으로 존재한다. 아세톤 증기 비중이 2.0 이라면 이 때 혼합물의 유효비중은?(2003년 05월)
     1. 1.01
     2. 1.02
     3. 1.03
     4. 1.04

     정답 : []
     정답률 : 39%

65. 유량이 300m3/min이고 rpm이고 rpm이 500인 송풍기에 필요한 동력이 6HP이다. 이 송풍기의 rpm을 700으로 증가시켰을 때의 동력은?(2006년 03월)
     1. 10.4 HP
     2. 11.8HP
     3. 14.4 HP
     4. 16.5HP

     정답 : []
     정답률 : 31%

66. 다음 중 환기와 관련한 식이 잘못된 것은? (단, 관련 기호는 표를 참고하시오.)(2011년 03월)

    

     1. Q=AV
     2.
     3.
     4. VP=TP+SP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4.    VP=TP-SP
[해설작성자 : 윤토리]

67. 작업장 내의 열부하량이 200000 kcal/h 이며, 외부의 기온은 25℃ 이고, 작업장 내의 기온은 35℃ 이다. 이러한 작업장의 전체환기에 필요환기량(m3/min)은 약 얼마인가?(2019년 03월)
     1. 1100
     2. 1600
     3. 2100
     4. 260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Q = H / (0.3△t)
Q = 200,000 /(0.3 * (35-25)) = 66.666 /HR = 111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Q = H / (0.3△t) [m3/hr]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온도 50℃ 관내부를 15m3/min 의 기체가 흐르고 있을 때 0℃에서의 유량은 얼마인가? (단, 기압은 760mmHg 로 일정하다.)(2007년 08월)
     1. 12.68m3/min
     2. 14.74m3/min
     3. 15.05m3/min
     4. 17.29m3/min

     정답 : []
     정답률 : 30%

69. 제어속도(control velocit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먼지나 가스의 성상, 확산조건, 발생원 주변 기류 등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2. 유해물질이 낮은 기류로 발생하는 도금 또는 용접 작업공정에서는 대략 0.5~1.0m/sec이다.
     3. 제어풍속이라고도 하며 후드 앞 오염원에서의 기류로서 오염공기를 후드로 흡인하는데 필요하다.
     4. 유해물질 발생이 자연적이고, 기류가 전혀 없는 탱크로부터 유기용제가 증발할 때는 1.6~2.1m/sec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움직이지 않는 공기 중에서 속도 없이 배출되는 작업조건, 탱크에서 증발, 탈지시설의 제어속도는 0.25~0.5m/sec이다.
[해설작성자 : 뀰미]

70. A강의실에 학생들이 모두 퇴실한 직후인 오후 5시에 측정한 공기 중 CO2 농도는 1,200ppm이었고, 강의실 빈 상태로 2시간이 경과한 오후 7시에 측정한 CO2농도는 400ppm이었다면 강의실의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얼마인가? (단, 이때 외부공기 중의 CO2농도는 330ppm이었다.)(2013년 08월)
     1. 1.26
     2. 1.36
     3. 1.46
     4. 1.56

     정답 : []
     정답률 : 46%

71. 다음 중 송풍기의 소요동력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인자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7월)
     1. 회전수
     2. 송풍기의 효율
     3. 풍량
     4. 송풍기 전압

     정답 : []
     정답률 : 53%

72. 직경 150mm 인 덕트 내 정압은 –64.5 mmH2O이고, 전압은 –31.5 mmH2O 이다. 이 때 덕트 내의 공기속도(m/s)는 약 얼마인가?(2019년 08월)
     1. 23.23
     2. 32.09
     3. 32.47
     4. 39.61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4.043*루트 VP
4.043*루트((-31.5)+64.5) = 23.225 ( 23.23 )
[해설작성자 : 경이]

전압(TP) = 동압(VP)+정압(SP)
-31.5 = 동압(VP) + (-64.5)
            = 33

V = 4.043*√VP
    = 4.043*√33
    = 23.2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다음 중 터보팬형 송풍기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소음, 진동이 비교적 크다.
     2. 통상적으로 최고속도가 높아 효율이 높다.
     3. 규정풍량 이외에서는 효율이 갑자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4. 소요정압이 떨어져도 동력은 크게 상승하지 않으므로 시설저항 및 운전상태가 변하여도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2%

74. 후드를 선정 및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가급적이면 공정을 많이 포위한다.
     2. 가급적 후드를 배출 오염원에 가깝게 설치한다.
     3. 후드 개구면에서 기류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설계한다.
     4. 공정에서 발생,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절대량은 최소발생량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최소발생량 ->최대발생량
[해설작성자 : 일하고싶어]

75. 전체환기를 설치할 때 적용되는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오염물질 사용량을 조사하여 필요환기량을 계산한다.
     2. 오염물질 배출구는 가능한 한 오염원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 '점환기'의 효과를 얻는다.
     3. 공기 배출구와 근로자의 작업위치 사이에 오염원이 위치해야 한다.
     4. 공기가 배출되면서 오염장소를 통과하지 않도록 배출구와 유입구 위치를 선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76. 흡착법에서 사용하는 흡착제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비극성의 유기용제를 제거하는데 유용한 것은?(2020년 08월)
     1. 활성탄
     2. 실리카겔
     3. 활성알루미나
     4. 합성제올라이트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비극성의 유기용제(VOC) 제거에는 활성탄
[해설작성자 : BADYOUKNOW]

77. 수공구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포집형 후드로서, 오염물질 발생원에 아주 근접하여 흡인하여 아주 높은 흡인효율을 나타내는 후드명칭으로 알맞는 것은?(2004년 05월)
     1. 저유량 - 고유속 후드
     2. 고유량 - 저유속 후드
     3. 저유량 - 고효율 후드
     4. 고유량 - 고효율 후드

     정답 : []
     정답률 : 26%

78.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흄을 배기시키기 위해 외부식 원형후드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제어속도를 1m/s로 했을 때 플랜지 없는 원형후드의 설계유량이 20m3/min으로 계산되었다면, 플랜지 있는 원형후드를 설치할 경우 설계유량은 얼마이겠는가? (단, 기타 조건은 같음)(2005년 05월)
     1. 10 m3/min
     2. 15 m3/min
     3. 20 m3/min
     4. 25 m3/min

     정답 : []
     정답률 : 32%

79. 톨루엔은 0℃일 때, 증기압이 6.8mmhg이고, 25℃일 때는 증기압이 7.4mmHg이다. 기온이 0℃일 때와 25℃일 때의 포화농도 차이는 약 몇 ppm인가?(2018년 08월)
     1. 790
     2. 810
     3. 830
     4. 85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최고농도(ppm) = 증기압 / 760 * 10^6
6.8 / 760 * 10^6 = 8947.3
7.4 / 760 * 10^6 = 9736.8
[해설작성자 : 보건관리자(진)]

6.8/760×10^6=8947
7.4/760×10^6=9736
9736-8947=789
[해설작성자 : 울랄라]

80. 다음 중 베르누이 정리를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2005년 03월)
     1. 압력은 체적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2. 관에 유발된 전체 외력의 합은 운동량 플럭스의 변화량과 같다.
     3. 압축성이며 점성이 있는 실제 유체의 정상류를 기준으로 한다.
     4. 유입된 에너지의 총량은 유출된 에너지의 총량과 같다.

     정답 : []
     정답률 : 37%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658006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88 인터넷보안전문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2
4287 사회조사분석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2
4286 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9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2
4285 9급 국가직 공무원 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2
4284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2
4283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1월30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7 2
4282 사회복지사 1급(3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9059804) 좋은아빠되기 2025.11.17 2
428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3
4280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3
4279 침투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4278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1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4277 자동차정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4276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2
4275 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4274 경비지도사 1차(법학개론,민간경비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1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3
4273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6580064) 좋은아빠되기 2025.11.17 2
4271 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4270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4136237)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69 화공기사(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35 Next
/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