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체적 작업능력(PWC)이 16Kcal/min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동안 물체 운반작업을 하고 있다. 이 때의 작업 대사량은 7kcal/min일 때 이사람이 쉬지 않고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최대허용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log Tend=3.720-0.1949ㆍE)(2015년 03월)
유기용제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에서 유기용제와 소변 중 대사산물의 짝이 잘못 이루어진 것은?(2013년 08월)
1.
톨루엔 : 마뇨산
2.
크실렌 : 메탈마뇨산
3.
스티렌 : 삼염화초산
4.
노말핵산 : 2, 5-헥산디온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스티렌 : 뇨 중 만델린산 [해설작성자 : SKE]
5.
국소피로를 평가하는데에는 근전도(EMG)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다. 피로한 근육에서 측정된 근전도의 특징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2002년 05월)
1.
저주파(0-40Hz)힘의 감소 - 총전압의 감소
2.
고주파(40-200Hz)힘의 감소 - 총전압의 감소
3.
저주파(0-40Hz)힘의 증가 - 평균주파수의 감소
4.
고주파(40-200Hz)힘의 증가 - 평균주파수의 감소
정답 : [
3
] 정답률 : 67%
6.
어떤 근로자가 물체운반작업을 하고 있다. 1일 8시간작업을 위한 작업대사량이 5.3㎉/분, 해당 작업의 작업대사량은 6㎉/분, 휴식시의 대사량은 1.3㎉/분이라면 Hertig의 식을 이용한 적절한 휴식시간 비율(%)은?(2006년 03월)
1.
약 15%
2.
약 20%
3.
약 25%
4.
약 30%
정답 : [
1
] 정답률 : 46%
7.
다음 중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지표물질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무엇인가?(2014년 03월)
1.
부유분진
2.
이산화탄소
3.
일산화탄소
4.
휘발성유기화합물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실내 공기고염의 지표(환기지표)로 CO2(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하며 실내허용농도는 0.1%이다. 이때 CO2 자체는 건강에 큰 영향을 주는 물질이 아니며, 측정하기 어려운 다른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지표물질로 사용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설레임]
8.
다음 중 노출기준(TWA, ppm)이 가장 낮은 것은?(2012년 03월)
1.
오존(O3)
2.
암모니아(NH2)
3.
일산화탄소(CO)
4.
이산화탄소(CO2)
정답 : [
1
] 정답률 : 75%
9.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의 기준을 적용할 때, 적용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보통 속도로 한 손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인 경우
2.
물체의 폭이 75㎝이하인 경우
3.
신발이 작업장 바닥에 닿을 때 미끄럽지 않을 경우
4.
작업장내의 온도가 적절한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38%
10.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는 중량물 취급작업에 대하여 감시기준(AL)과 최대허용 기준(MPL)의 두가지 권고치를 설정하였다. 감시기준(AL)이 20㎏일 때 최대허용기준(MPL)은?(2005년 05월)
1.
40㎏
2.
50㎏
3.
60㎏
4.
80㎏
정답 : [
3
] 정답률 : 85%
11.
다음 중 혐기성 대사에서 혐기성 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생산하지 않는 것은?(2010년 07월)
1.
아데노신상인산(ATP)
2.
크레아틴인산(CP)
3.
포도당
4.
지방
정답 : [
4
] 정답률 : 89%
12.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는 산업위생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강령을 채택하였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전문가로서의 책임
2.
근로자에 대한 책임
3.
검사기관으로서의 책임
4.
일반 대중에 대한 책임
정답 : [
3
] 정답률 : 86%
13.
직업성 피부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개인 방호
2.
원료, 재료의 검토
3.
공정의 검토와 개선
4.
본인의 희망에 의한 배치
정답 : [
4
] 정답률 : 92%
14.
다음 중 작업대사율이 7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실동률은 얼마인가? (단, 사이또와 오시마의 식을 활용한다.)(2012년 05월)
작업환경내의 자연습구온도가 20℃이고 흑구온도가 20℃이다. 이러한 작업환경의 옥내 WBGT는?(2005년 03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3
] 정답률 : 67%
31.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유해가스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검출기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ECD(전자포획형검출기)
2.
TCD(열전도도검출기)
3.
FID(불꽃이온화검출기)
4.
UVD(자외선검출기)
정답 : [
4
] 정답률 : 40%
32.
다음 중 시료채취방법 중에서 개인시료 채취 시 채취지점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2019년 04월)
1.
근로자의 호흡위치(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2.
근로자의 호흡위치(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60cm인 반구)
3.
근로자의 호흡위치(바닥면을 기준으로 1.2~1.5m 높이의 고정된 위치)
4.
근로자의 호흡위치(바닥면을 기준으로 0.9~1.2m 높이의 고정된 위치)
정답 : [
1
] 정답률 : 87%
33.
작업환경에서 공기 중 오염물질 농도 표시인 mppc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million particle per cubic feet를 의미한다.
2.
OSHA PEL 중 mica와 graphite는 mppcf로 표시한다.
3.
1 mppcf는 대략 35.31개/cm3 이다.
4.
ACGIH TLVs의 mg/m3과 mppcf 전환에서 14mppcf는 1mg/m3 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mppcf(million particle per cubic feet) 1. 분진의 질이나 양과는 관계없이 단위 공기 중에 들어있는 분자량 2. 우리나라는 공기 1mL 속의 분자수로 표시하고, 미국의 경우는 1ft^3당 몇 백만 개 mppcf로 사용 3. 1mppcf=35.31 입자(개)mL=35.31입자(개)/cm^3 4. OSHA 노출기준(PEL) 중 mica 와 graphite 는 mppf로 표시 [해설작성자 : 뗭이의 밥상]
34.
개인시료채취를 위해 개인시료채취기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근로자의 호흡위치의 정의로 가장 적정한 것은?(2007년 03월)
1.
호흡기를 중심으로 직경 30cm인 반구
2.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3.
호흡기를 중심으로 직경 45cm인 반구
4.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45cm인 반구
정답 : [
2
] 정답률 : 83%
35.
'지역시료채취'의 용어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단,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 기준)(2007년 08월)
1.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며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2.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며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3.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4.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36.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에서 이황화탄소, 니트로메탄을 분석할 때 주로 사용하는 검출기는?(2020년 06월)
1.
불꽃이온화검출기(FID)
2.
열전도도검출기(TCD)
3.
전자포획검출기(ECD)
4.
불꽃광전자검출기(FPD)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붗꽃광전자검출기(FPD) 화합물이 불꽃에서 연소될때 특정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원리를 이용 황이나 인을 포함한 화합물에서 높은 선택성 이황화탄소, 메르캅탄류, 니트로메타을 분석 할때 주로 사용 [해설작성자 : 벌꿀오소리]
산에 쉽게 용해되므로 입자상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법으로 분석하는데 적당하며 유리섬유, 석면 분진등 현미경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도 이용되는 막여과지는?(2003년 08월)
1.
Glass fiber membrane filter
2.
Poly vinylchloride membrane filter
3.
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
4.
Trllon membrane filter
정답 : [
3
] 정답률 : 67%
38.
순수한 물 1.0L의 mole 수는?(2009년 05월)
1.
35.6 moles
2.
45.6 moles
3.
55.6 moles
4.
65.6 moles
정답 : [
3
] 정답률 : 62%
39.
총 먼지 채취 전 여과지의 질량은 15.51MG이고 2.0L/분으로 7시간 시료 채취 후 여과지의 질량은 19.95MG이었다. 이 때 공기 중 총 먼지농도(mg/m3)는?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3월)
1.
5.17
2.
5.29
3.
5.62
4.
5.93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9.95-15.51)/2.0L*420분(7*60)*m3/1000L(단위 환산을 위해 넣었습니다) =5.285714286^10^-7 =5.29mg/m3
여기서 여과지 질량이 시간이 아닌 분당 2.0L로 나와서 7시간을 분으로 환산하여 계산 한겁니다. 위생문제들은 이렇게 단위환산문제가 많습니다. 단위 변환에 대한 기본개념을 꼭 확인하세요.
틀린부분은 지적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언제나 감사합니다. 덕분에 자격증 2개 취득했습니다]
온도 50℃ 관내부를 15m3/min 의 기체가 흐르고 있을 때 0℃에서의 유량은 얼마인가? (단, 기압은 760mmHg 로 일정하다.)(2007년 08월)
1.
12.68m3/min
2.
14.74m3/min
3.
15.05m3/min
4.
17.29m3/min
정답 : [
1
] 정답률 : 30%
69.
제어속도(control velocit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먼지나 가스의 성상, 확산조건, 발생원 주변 기류 등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2.
유해물질이 낮은 기류로 발생하는 도금 또는 용접 작업공정에서는 대략 0.5~1.0m/sec이다.
3.
제어풍속이라고도 하며 후드 앞 오염원에서의 기류로서 오염공기를 후드로 흡인하는데 필요하다.
4.
유해물질 발생이 자연적이고, 기류가 전혀 없는 탱크로부터 유기용제가 증발할 때는 1.6~2.1m/sec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움직이지 않는 공기 중에서 속도 없이 배출되는 작업조건, 탱크에서 증발, 탈지시설의 제어속도는 0.25~0.5m/sec이다. [해설작성자 : 뀰미]
70.
A강의실에 학생들이 모두 퇴실한 직후인 오후 5시에 측정한 공기 중 CO2 농도는 1,200ppm이었고, 강의실 빈 상태로 2시간이 경과한 오후 7시에 측정한 CO2농도는 400ppm이었다면 강의실의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얼마인가? (단, 이때 외부공기 중의 CO2농도는 330ppm이었다.)(2013년 08월)
1.
1.26
2.
1.36
3.
1.46
4.
1.56
정답 : [
1
] 정답률 : 46%
71.
다음 중 송풍기의 소요동력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인자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7월)
1.
회전수
2.
송풍기의 효율
3.
풍량
4.
송풍기 전압
정답 : [
1
] 정답률 : 53%
72.
직경 150mm 인 덕트 내 정압은 –64.5 mmH2O이고, 전압은 –31.5 mmH2O 이다. 이 때 덕트 내의 공기속도(m/s)는 약 얼마인가?(2019년 08월)
수공구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포집형 후드로서, 오염물질 발생원에 아주 근접하여 흡인하여 아주 높은 흡인효율을 나타내는 후드명칭으로 알맞는 것은?(2004년 05월)
1.
저유량 - 고유속 후드
2.
고유량 - 저유속 후드
3.
저유량 - 고효율 후드
4.
고유량 - 고효율 후드
정답 : [
1
] 정답률 : 26%
78.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흄을 배기시키기 위해 외부식 원형후드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제어속도를 1m/s로 했을 때 플랜지 없는 원형후드의 설계유량이 20m3/min으로 계산되었다면, 플랜지 있는 원형후드를 설치할 경우 설계유량은 얼마이겠는가? (단, 기타 조건은 같음)(2005년 05월)
1.
10 m3/min
2.
15 m3/min
3.
20 m3/min
4.
25 m3/min
정답 : [
2
] 정답률 : 32%
79.
톨루엔은 0℃일 때, 증기압이 6.8mmhg이고, 25℃일 때는 증기압이 7.4mmHg이다. 기온이 0℃일 때와 25℃일 때의 포화농도 차이는 약 몇 ppm인가?(2018년 08월)
육체적 작업능력(PWC)이 16Kcal/min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동안 물체 운반작업을 하고 있다. 이 때의 작업 대사량은 7kcal/min일 때 이사람이 쉬지 않고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최대허용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log Tend=3.720-0.1949ㆍE)(2015년 03월)
유기용제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에서 유기용제와 소변 중 대사산물의 짝이 잘못 이루어진 것은?(2013년 08월)
1.
톨루엔 : 마뇨산
2.
크실렌 : 메탈마뇨산
3.
스티렌 : 삼염화초산
4.
노말핵산 : 2, 5-헥산디온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스티렌 : 뇨 중 만델린산 [해설작성자 : SKE]
5.
국소피로를 평가하는데에는 근전도(EMG)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다. 피로한 근육에서 측정된 근전도의 특징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2002년 05월)
1.
저주파(0-40Hz)힘의 감소 - 총전압의 감소
2.
고주파(40-200Hz)힘의 감소 - 총전압의 감소
3.
저주파(0-40Hz)힘의 증가 - 평균주파수의 감소
4.
고주파(40-200Hz)힘의 증가 - 평균주파수의 감소
정답 : [
3
] 정답률 : 67%
6.
어떤 근로자가 물체운반작업을 하고 있다. 1일 8시간작업을 위한 작업대사량이 5.3㎉/분, 해당 작업의 작업대사량은 6㎉/분, 휴식시의 대사량은 1.3㎉/분이라면 Hertig의 식을 이용한 적절한 휴식시간 비율(%)은?(2006년 03월)
1.
약 15%
2.
약 20%
3.
약 25%
4.
약 30%
정답 : [
1
] 정답률 : 46%
7.
다음 중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지표물질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무엇인가?(2014년 03월)
1.
부유분진
2.
이산화탄소
3.
일산화탄소
4.
휘발성유기화합물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실내 공기고염의 지표(환기지표)로 CO2(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하며 실내허용농도는 0.1%이다. 이때 CO2 자체는 건강에 큰 영향을 주는 물질이 아니며, 측정하기 어려운 다른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지표물질로 사용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뗭이의 설레임]
8.
다음 중 노출기준(TWA, ppm)이 가장 낮은 것은?(2012년 03월)
1.
오존(O3)
2.
암모니아(NH2)
3.
일산화탄소(CO)
4.
이산화탄소(CO2)
정답 : [
1
] 정답률 : 75%
9.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의 기준을 적용할 때, 적용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보통 속도로 한 손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인 경우
2.
물체의 폭이 75㎝이하인 경우
3.
신발이 작업장 바닥에 닿을 때 미끄럽지 않을 경우
4.
작업장내의 온도가 적절한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38%
10.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는 중량물 취급작업에 대하여 감시기준(AL)과 최대허용 기준(MPL)의 두가지 권고치를 설정하였다. 감시기준(AL)이 20㎏일 때 최대허용기준(MPL)은?(2005년 05월)
1.
40㎏
2.
50㎏
3.
60㎏
4.
80㎏
정답 : [
3
] 정답률 : 85%
11.
다음 중 혐기성 대사에서 혐기성 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생산하지 않는 것은?(2010년 07월)
1.
아데노신상인산(ATP)
2.
크레아틴인산(CP)
3.
포도당
4.
지방
정답 : [
4
] 정답률 : 89%
12.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는 산업위생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강령을 채택하였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전문가로서의 책임
2.
근로자에 대한 책임
3.
검사기관으로서의 책임
4.
일반 대중에 대한 책임
정답 : [
3
] 정답률 : 86%
13.
직업성 피부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개인 방호
2.
원료, 재료의 검토
3.
공정의 검토와 개선
4.
본인의 희망에 의한 배치
정답 : [
4
] 정답률 : 92%
14.
다음 중 작업대사율이 7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실동률은 얼마인가? (단, 사이또와 오시마의 식을 활용한다.)(2012년 05월)
작업환경내의 자연습구온도가 20℃이고 흑구온도가 20℃이다. 이러한 작업환경의 옥내 WBGT는?(2005년 03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3
] 정답률 : 67%
31.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유해가스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검출기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ECD(전자포획형검출기)
2.
TCD(열전도도검출기)
3.
FID(불꽃이온화검출기)
4.
UVD(자외선검출기)
정답 : [
4
] 정답률 : 40%
32.
다음 중 시료채취방법 중에서 개인시료 채취 시 채취지점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2019년 04월)
1.
근로자의 호흡위치(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2.
근로자의 호흡위치(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60cm인 반구)
3.
근로자의 호흡위치(바닥면을 기준으로 1.2~1.5m 높이의 고정된 위치)
4.
근로자의 호흡위치(바닥면을 기준으로 0.9~1.2m 높이의 고정된 위치)
정답 : [
1
] 정답률 : 87%
33.
작업환경에서 공기 중 오염물질 농도 표시인 mppc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million particle per cubic feet를 의미한다.
2.
OSHA PEL 중 mica와 graphite는 mppcf로 표시한다.
3.
1 mppcf는 대략 35.31개/cm3 이다.
4.
ACGIH TLVs의 mg/m3과 mppcf 전환에서 14mppcf는 1mg/m3 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mppcf(million particle per cubic feet) 1. 분진의 질이나 양과는 관계없이 단위 공기 중에 들어있는 분자량 2. 우리나라는 공기 1mL 속의 분자수로 표시하고, 미국의 경우는 1ft^3당 몇 백만 개 mppcf로 사용 3. 1mppcf=35.31 입자(개)mL=35.31입자(개)/cm^3 4. OSHA 노출기준(PEL) 중 mica 와 graphite 는 mppf로 표시 [해설작성자 : 뗭이의 밥상]
34.
개인시료채취를 위해 개인시료채취기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근로자의 호흡위치의 정의로 가장 적정한 것은?(2007년 03월)
1.
호흡기를 중심으로 직경 30cm인 반구
2.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3.
호흡기를 중심으로 직경 45cm인 반구
4.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45cm인 반구
정답 : [
2
] 정답률 : 83%
35.
'지역시료채취'의 용어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단,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 기준)(2007년 08월)
1.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며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2.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며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3.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4.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36.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에서 이황화탄소, 니트로메탄을 분석할 때 주로 사용하는 검출기는?(2020년 06월)
1.
불꽃이온화검출기(FID)
2.
열전도도검출기(TCD)
3.
전자포획검출기(ECD)
4.
불꽃광전자검출기(FPD)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붗꽃광전자검출기(FPD) 화합물이 불꽃에서 연소될때 특정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원리를 이용 황이나 인을 포함한 화합물에서 높은 선택성 이황화탄소, 메르캅탄류, 니트로메타을 분석 할때 주로 사용 [해설작성자 : 벌꿀오소리]
산에 쉽게 용해되므로 입자상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법으로 분석하는데 적당하며 유리섬유, 석면 분진등 현미경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도 이용되는 막여과지는?(2003년 08월)
1.
Glass fiber membrane filter
2.
Poly vinylchloride membrane filter
3.
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
4.
Trllon membrane filter
정답 : [
3
] 정답률 : 67%
38.
순수한 물 1.0L의 mole 수는?(2009년 05월)
1.
35.6 moles
2.
45.6 moles
3.
55.6 moles
4.
65.6 moles
정답 : [
3
] 정답률 : 62%
39.
총 먼지 채취 전 여과지의 질량은 15.51MG이고 2.0L/분으로 7시간 시료 채취 후 여과지의 질량은 19.95MG이었다. 이 때 공기 중 총 먼지농도(mg/m3)는?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3월)
1.
5.17
2.
5.29
3.
5.62
4.
5.93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9.95-15.51)/2.0L*420분(7*60)*m3/1000L(단위 환산을 위해 넣었습니다) =5.285714286^10^-7 =5.29mg/m3
여기서 여과지 질량이 시간이 아닌 분당 2.0L로 나와서 7시간을 분으로 환산하여 계산 한겁니다. 위생문제들은 이렇게 단위환산문제가 많습니다. 단위 변환에 대한 기본개념을 꼭 확인하세요.
틀린부분은 지적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언제나 감사합니다. 덕분에 자격증 2개 취득했습니다]
온도 50℃ 관내부를 15m3/min 의 기체가 흐르고 있을 때 0℃에서의 유량은 얼마인가? (단, 기압은 760mmHg 로 일정하다.)(2007년 08월)
1.
12.68m3/min
2.
14.74m3/min
3.
15.05m3/min
4.
17.29m3/min
정답 : [
1
] 정답률 : 30%
69.
제어속도(control velocit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먼지나 가스의 성상, 확산조건, 발생원 주변 기류 등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2.
유해물질이 낮은 기류로 발생하는 도금 또는 용접 작업공정에서는 대략 0.5~1.0m/sec이다.
3.
제어풍속이라고도 하며 후드 앞 오염원에서의 기류로서 오염공기를 후드로 흡인하는데 필요하다.
4.
유해물질 발생이 자연적이고, 기류가 전혀 없는 탱크로부터 유기용제가 증발할 때는 1.6~2.1m/sec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움직이지 않는 공기 중에서 속도 없이 배출되는 작업조건, 탱크에서 증발, 탈지시설의 제어속도는 0.25~0.5m/sec이다. [해설작성자 : 뀰미]
70.
A강의실에 학생들이 모두 퇴실한 직후인 오후 5시에 측정한 공기 중 CO2 농도는 1,200ppm이었고, 강의실 빈 상태로 2시간이 경과한 오후 7시에 측정한 CO2농도는 400ppm이었다면 강의실의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얼마인가? (단, 이때 외부공기 중의 CO2농도는 330ppm이었다.)(2013년 08월)
1.
1.26
2.
1.36
3.
1.46
4.
1.56
정답 : [
1
] 정답률 : 46%
71.
다음 중 송풍기의 소요동력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인자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7월)
1.
회전수
2.
송풍기의 효율
3.
풍량
4.
송풍기 전압
정답 : [
1
] 정답률 : 53%
72.
직경 150mm 인 덕트 내 정압은 –64.5 mmH2O이고, 전압은 –31.5 mmH2O 이다. 이 때 덕트 내의 공기속도(m/s)는 약 얼마인가?(2019년 08월)
수공구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포집형 후드로서, 오염물질 발생원에 아주 근접하여 흡인하여 아주 높은 흡인효율을 나타내는 후드명칭으로 알맞는 것은?(2004년 05월)
1.
저유량 - 고유속 후드
2.
고유량 - 저유속 후드
3.
저유량 - 고효율 후드
4.
고유량 - 고효율 후드
정답 : [
1
] 정답률 : 26%
78.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흄을 배기시키기 위해 외부식 원형후드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제어속도를 1m/s로 했을 때 플랜지 없는 원형후드의 설계유량이 20m3/min으로 계산되었다면, 플랜지 있는 원형후드를 설치할 경우 설계유량은 얼마이겠는가? (단, 기타 조건은 같음)(2005년 05월)
1.
10 m3/min
2.
15 m3/min
3.
20 m3/min
4.
25 m3/min
정답 : [
2
] 정답률 : 32%
79.
톨루엔은 0℃일 때, 증기압이 6.8mmhg이고, 25℃일 때는 증기압이 7.4mmHg이다. 기온이 0℃일 때와 25℃일 때의 포화농도 차이는 약 몇 ppm인가?(2018년 0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