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790796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단어의 발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옻’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 현상이 일어나 [옫]으로 발음된다.
     2. ‘닫는다’는 동화 현상인 유음화가 일어나 [단는다]로 발음된다.
     3. ‘닭’, ‘넋’은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 각각 [닥], [넉]으로 발음된다.
     4. ‘쌓지’, ‘먹히다’는 축약 현상이 일어나 각각 [싸치], [머키다]로 발음된다.

     정답 : []
     정답률 : 62%

2. 다음 <보기>는 ‘-더니’에 대한 자료 조사 내용이다.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에 들어갈 말은 ‘었’이다.
     2. ㉡에 들어갈 말은 ‘관형사형 어미’이다.
     3. ㉢에는 ‘전에는 며칠 밤을 새워도 괜찮더니 요즘은 그렇지 못하다.’를 넣을 수 있다.
     4. ㉣에는 ‘어머님께서 진지는 잘 잡수시더니?’를 넣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1%

3. 다음 <보기>를 참고할 때 문장의 표현이 가장 올바른 것은?(2021년 08월)

   

     1. 선생님께서 너 오라고 하시는구나.
     2. 그 사람이 말도 없이 벌써 갔는 모양이다.
     3. 성실한 사람이 있으면 나에게 소개시켜 줄래.
     4. 저는 그 말씀에 그처럼 생각되어지지 않습니다.

     정답 : []
     정답률 : 34%

4. 다음 <보기>를 참고하였을 때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책상 위에 놓인 공책, 신문, 지갑 ㉠을 가방에 넣었다.
     2. 거기 ㉡앉아서 이야기하세요.
     3. ㉢다 떠나갔구나.
     4. 나는 “㉡어서 오세요.”라고 ㉢그에게 말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 ㄴ에 해당

예문)
이 방에서 텔레비전을 보고들 있어라.
다들 떠나갔구나.
다 떠나들 갔구나.
안녕들 하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 <보기>의 ㉠~㉣의 서술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 '…가 돌다'라는 문장 형식으로 쓰이므로 한 자리 서술어이다.
     2. ㉡: '…가…을 집다'라는 문장 형식으로 쓰이므로 두 자리 서술어이다.
     3. ㉢: '…가…에게 어울리다'라는 문장 형식으로 쓰이므로 두 자리 서술어이다.
     4. ㉣: '…가…를…게 부르다'라는 문장 형식으로 쓰이므로 세 자리 서술어이다.

     정답 : []
     정답률 : 28%

6.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9월)

   

     1. ㉠에서 '아이가 아니다'는 서술절이다.
     2. ㉡에서 '엄마와'는 부사어이지만 생략하면 안 되는 필수적 부사어이다.
     3. ㉢에서 '사랑하다'는 주어, 목적어, 서술어를 요구하는 세 자리 서술어이다.
     4. ㉣에서 부사어 '영선이에게'와 목적어 '편지를'의 위치를 바꾸면 ㉣은 비문(非文)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닮았다 는 필수 부사어를 취하는 2자리 서술어.

1.아이가 는 아니다 앞에 쓰였으므로 보어. 서술절이 없다.
3.주어, 목적어를 취하는 2자리 서술어.
4.세자리 서술어는 목적어와 부사어의 위치를 바꾸어도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밑줄 친 '눈'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2018년 12월)

   

     1. 혜정이는 이 초롱초롱하다.
     2. 혜정이는 보는 이 정확하다.
     3. 영수는 조금만 화나면 을 부라린다.
     4. 영수는 도 좋은데 멋으로 안경을 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밤눈 - 시력

1,3. 안구. 혹은 외모
2. 감각
4. 시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의 설명을 고려할 때, 제시된 예들 중에서 이중 모음이 아닌 것은?(2014년 08월)

   

     1. ㅕ [여]
     2. ㅢ [의]
     3. ㅘ [와]
     4. ㅔ [에]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단모음 10개중 하나인 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여->어
의->이
와->아
에->에
단모음 중 ㅚ ㅟ 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수도 있다고 표준 발음법에서 규정.
이중모음중 상황에 따라서 단모음처럼 발음되는 예외도 있음.
단모음
ㅏㅐㅓㅔㅗㅚㅜㅟㅢ
이중모음
ㅑㅒㅕㅖㅘㅙㅛㅝㅞㅠㅢ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중 '/ㄷ/', '/ㄸ/', '/ㅌ/' 소리의 공통 자질로만 묶어 놓은 것은?(2014년 03월)

   

     1. ㉠, ㉣
     2.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ㄷㄸㅌ 는 파열음이면서 치조음(혀끝소리)

ㄱ은 비음 ㄴㅁㅇ
ㄴ은 자음
ㄷ은 경구개음. ㅈㅉㅊ
ㅁ은 파열음.

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의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의'떠나가고 있네.'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을 표현한동작상 표현이다.
     2. ㈏는 명령문으로 주로'예쁘다, 귀엽다, 착하다'와 같은어휘들이 서술어로 사용된다.
     3. ㈐는 세 자리 서술어가 쓰인 문장으로 '철이에게'는 보어이다.
     4. ㈑를간접인용표현으로바꾸면'참재미있었다라고말할까?'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떠나가고 있네 는 현재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을 표현한 동작상 표현.

2.명령문에는 예쁘다 귀엽다 착하다 등 형용사가 서술어로 사용되지 못함.
3.철이에게는 필수 부사어. 서술어 주다. 는 주어 목적어 필수 부사어가 필요.
4.참 재미있었다고 말할까? 는 간접 인용격 조사 '고'를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밑줄 친 ㉠∼㉣의 의미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은 풀의 나약하고 수동적인 측면을 묘사한 것이다.
     2. ㉡은 봄바람으로 풀의 조언자를 의미한다.
     3. ㉢은 풀의 강인함을 나타낸 것이다.
     4. ㉣은 풀이 더 심하게 밑둥까지 쓰러져 눕는다는 뜻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 동풍은 풀을 핍박하는 억압자로 해석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다음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표현 기교가 뛰어난 작품으로 「제망매가」와 함께 향가 문학의 백미로 꼽힌다.
     2. 기파랑이라는 화랑을 추모하면서 그의 높은 덕을 기리고 있는 작품이다.
     3. ㉠에서 화자는 지금은 없는 기파랑의 자취를 찾으며 슬퍼하고 있다.
     4. ㉡에서 화자는 기파랑의 높은 인품을 잣나무 가지와 눈에 비유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잣나무 가지,고깔 이 기파랑의 높은 인품을 표현.
눈은 기파랑을 가로막는 사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 : 잔치에 어울리는 비교적 빠른 장단을 일컫는다.
     2. ㉡ : 언어유희적 표현에 의해 해학성이 나타난다.
     3. ㉢ : 서술자가 개입하는 편집자적 논평이 나타난다.
     4. ㉣ : 운봉은 걸인이 어사또라는 것을 눈치채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진양조 장단은 판소리 장단 가운데 가장 느린 장단.
2.운봉의 갈비와 고기의 갈비를 동음이의어로 사용. 언어유희
3.서술자가 개입하여 어사또의 한시를 풀이함.
4.운봉이 어사또의 한시를 보고 놀람. 걸인이 어사또라는 것을 눈치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다음 문장들을 이용하여 두괄식으로 한 단락을 구성한다면 전개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9년 08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두괄식 : 주제가 서두에 나옴.

이 글의 주제는 울릉도를 가진 자가 독도의 주인이라는 내용.
ㄹ이 먼저 나오고 그 이후 이유를 설명하는 내용들이 이어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문학 기법 관련 서술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전지적 작가 시점이지만, 관찰자 시점의 성격을 지녔다.
     2. 말하기(telling) 기법을 통해 극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3. 백화의 복잡한 심정이 역설적 표현으로 나타났다.
     4. 말끝을 흐리는 방법으로 ‘감정의 여운’을 표현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말하기 (telling) 기법은 해설적 제시이다.
-말하기 (telling) 기법은 해설적 제시
-보여주기 (showing) 기법은 극적 제시
[해설작성자 : 일순]

16. (가)〜(라)를 글의 순서에 따라 올바르게 배열한 것은?(2018년 09월)
     1. (나)-(라)-(다)-(가)
     2. (라)-(나)-(가)-(다)
     3. (나)-(가)-(다)-(라)
     4. (라)-(가)-(다)-(나)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보기의 시작은 나 와 라 중에서 시작.
라. 산업화. 개채화 울리히 백 지그문트 바우만 이라는 모든 키워드를 가지고 시작.
나. 산업화와 개채화의 키워드를 가지고 어떻게 사회가 진행되었는가 설명
가. 개채화가 진행된 사회에 대해 개채화를 바라보는 시선이 사뭇 다르다면서 울리히 벡의 이론을 설명.
다. 가에서 시선이 사뭇 다르다 하고 울리히 벡 바우만의 이론을 설명했으므로 이후 바우만의 설명으로 마무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를 글의 순서에 따라 올바르게 배열한 것은?(2015년 09월)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 ㈐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관동별곡의 순서를 묻는 문제.
죽림에 누웠다가 임금의 성은으로 강원도로 가서 내금강과 외금강의 경치를 보고 꿈에서 신선을 만나 내적 갈등을 푼 후, 잠에서 깨어나 임금의 은혜가 천산만락에 펼쳐 있음을 노래.

나. 부임->가.진헐대 조망->마.개심대(인재양성 포부)->라.화룡소(썬정에의 포부)->바.산영루(신선사상)->사.망양정(파도의 장관)->다.망양정(자리 비치는 모습. 임금의 은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한시의 화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할 때 시적 정서가 가장 유사한 것은?(2017년 03월)

    

     1. 이화우(梨花雨) 흣ᄲᅮ릴 제 울며 잡고 이별ᄒᆞᆫ 님,
추풍 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ᄉᆡᆼ각ᄂᆞᆫ가.
천 리에 외로운 ᄭᅮᆷ만 오락가락 ᄒᆞ노매.
     2. 말 업슨 청산(靑山)이요 태(態) 업슨 유수(流水)ㅣ로다.
갑 업슨 청풍(淸風)이요 님ᄌᆞ 업슨 명월(明月)이라.
이 중(中)에 병(病) 업슨 이 몸이 분별(分別) 업시 늘그리라.
     3. 반중(盤中) 조홍(早紅)감이 고아도 보이ᄂᆞ다.
유자(柚子)ㅣ 안이라도 품엄 즉도 ᄒᆞ다마ᄂᆞᆫ
품어 가 반기리 업슬ᄉᆡ 글노 설워ᄒᆞᄂᆞ이다.
     4. 흥망(興亡)이 유수(有數)ᄒᆞ니 만월대(滿月臺)도 추초(秋草)ㅣ로다.
오백 년(五百年) 왕업(王業)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夕陽)에 지나ᄂᆞᆫ 객(客)이 눈물계워 ᄒᆞ노라.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910년 매천야록 황현의 절명시.

조수애명해악빈
새 짐승도 슬피 울고 강산도 찡그리네
근화세계이침륜
무궁화 온 세상이 이젠 망해버렸어라
추등엄권회천고
가을 등불 아래 책 덮고 지난 날 생각하니
난작인간식자인
인간세상 글 아는 사람 노릇 어렵기만 하구나.

1.나라 잃은 지식인의 고뇌와 절망의 ㅅ미정을 고백적 어조로 표현
2.활유법,과장법,대유법,의인법,감정 이입 등 다양한 시적 기법 활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의 설명을 고려할 때, 제시된 예 중에서 문장의 유형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15년 02월)

    

     1. 그는 큰 차를 샀다.
     2. 나는 그 책을 읽고 싶다.
     3. 토끼는 앞발이 짧다.
     4. 나는 기차가 떠났음을 알았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관형절을 안은 문장 (차가 크다.)
3.서술절을 안은 문장
4.명사절을 안은 문장 (기차가 떠났다.)

2.홑문장. 본용언+보조용언의 형태.

서술절-
주격 보어로 보이는 이/가'가 거듭해서 나타나는 현상.
코끼리가 코가 길다. 코끼리 가 길다 / 코가 길다
토끼는 앞발이 짧다. 토끼는 짧다 / 앞발이 짧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토론에서 논제의 쟁점을 파악하기 위한 활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관련 자료, 주변 상황, 관점 등을 검토하여 논제를 이해한다.
     2. 양측의 주장이 충돌하는 쟁점을 찾아 핵심 쟁점과 하위 쟁점을 정리한다.
     3. 차이를 극복하고 양측이 모두 수용 가능한 방안을 검토한다.
     4. 주장의 전제나 논거를 검토하여 적절성과 수용 가능성을 판단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쟁점이란 찬성 측과 반대 측의 입장이 나뉘는 지점.
3번은 논제의 쟁점을 파악하기 위한 활용과 관계가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790796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단어의 발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옻’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 현상이 일어나 [옫]으로 발음된다.
     2. ‘닫는다’는 동화 현상인 유음화가 일어나 [단는다]로 발음된다.
     3. ‘닭’, ‘넋’은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 각각 [닥], [넉]으로 발음된다.
     4. ‘쌓지’, ‘먹히다’는 축약 현상이 일어나 각각 [싸치], [머키다]로 발음된다.

     정답 : []
     정답률 : 62%

2. 다음 <보기>는 ‘-더니’에 대한 자료 조사 내용이다.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에 들어갈 말은 ‘었’이다.
     2. ㉡에 들어갈 말은 ‘관형사형 어미’이다.
     3. ㉢에는 ‘전에는 며칠 밤을 새워도 괜찮더니 요즘은 그렇지 못하다.’를 넣을 수 있다.
     4. ㉣에는 ‘어머님께서 진지는 잘 잡수시더니?’를 넣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1%

3. 다음 <보기>를 참고할 때 문장의 표현이 가장 올바른 것은?(2021년 08월)

   

     1. 선생님께서 너 오라고 하시는구나.
     2. 그 사람이 말도 없이 벌써 갔는 모양이다.
     3. 성실한 사람이 있으면 나에게 소개시켜 줄래.
     4. 저는 그 말씀에 그처럼 생각되어지지 않습니다.

     정답 : []
     정답률 : 34%

4. 다음 <보기>를 참고하였을 때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책상 위에 놓인 공책, 신문, 지갑 ㉠을 가방에 넣었다.
     2. 거기 ㉡앉아서 이야기하세요.
     3. ㉢다 떠나갔구나.
     4. 나는 “㉡어서 오세요.”라고 ㉢그에게 말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 ㄴ에 해당

예문)
이 방에서 텔레비전을 보고들 있어라.
다들 떠나갔구나.
다 떠나들 갔구나.
안녕들 하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 <보기>의 ㉠~㉣의 서술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 '…가 돌다'라는 문장 형식으로 쓰이므로 한 자리 서술어이다.
     2. ㉡: '…가…을 집다'라는 문장 형식으로 쓰이므로 두 자리 서술어이다.
     3. ㉢: '…가…에게 어울리다'라는 문장 형식으로 쓰이므로 두 자리 서술어이다.
     4. ㉣: '…가…를…게 부르다'라는 문장 형식으로 쓰이므로 세 자리 서술어이다.

     정답 : []
     정답률 : 28%

6.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9월)

   

     1. ㉠에서 '아이가 아니다'는 서술절이다.
     2. ㉡에서 '엄마와'는 부사어이지만 생략하면 안 되는 필수적 부사어이다.
     3. ㉢에서 '사랑하다'는 주어, 목적어, 서술어를 요구하는 세 자리 서술어이다.
     4. ㉣에서 부사어 '영선이에게'와 목적어 '편지를'의 위치를 바꾸면 ㉣은 비문(非文)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닮았다 는 필수 부사어를 취하는 2자리 서술어.

1.아이가 는 아니다 앞에 쓰였으므로 보어. 서술절이 없다.
3.주어, 목적어를 취하는 2자리 서술어.
4.세자리 서술어는 목적어와 부사어의 위치를 바꾸어도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밑줄 친 '눈'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2018년 12월)

   

     1. 혜정이는 이 초롱초롱하다.
     2. 혜정이는 보는 이 정확하다.
     3. 영수는 조금만 화나면 을 부라린다.
     4. 영수는 도 좋은데 멋으로 안경을 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밤눈 - 시력

1,3. 안구. 혹은 외모
2. 감각
4. 시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의 설명을 고려할 때, 제시된 예들 중에서 이중 모음이 아닌 것은?(2014년 08월)

   

     1. ㅕ [여]
     2. ㅢ [의]
     3. ㅘ [와]
     4. ㅔ [에]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단모음 10개중 하나인 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여->어
의->이
와->아
에->에
단모음 중 ㅚ ㅟ 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수도 있다고 표준 발음법에서 규정.
이중모음중 상황에 따라서 단모음처럼 발음되는 예외도 있음.
단모음
ㅏㅐㅓㅔㅗㅚㅜㅟㅢ
이중모음
ㅑㅒㅕㅖㅘㅙㅛㅝㅞㅠㅢ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중 '/ㄷ/', '/ㄸ/', '/ㅌ/' 소리의 공통 자질로만 묶어 놓은 것은?(2014년 03월)

   

     1. ㉠, ㉣
     2.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ㄷㄸㅌ 는 파열음이면서 치조음(혀끝소리)

ㄱ은 비음 ㄴㅁㅇ
ㄴ은 자음
ㄷ은 경구개음. ㅈㅉㅊ
ㅁ은 파열음.

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의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의'떠나가고 있네.'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을 표현한동작상 표현이다.
     2. ㈏는 명령문으로 주로'예쁘다, 귀엽다, 착하다'와 같은어휘들이 서술어로 사용된다.
     3. ㈐는 세 자리 서술어가 쓰인 문장으로 '철이에게'는 보어이다.
     4. ㈑를간접인용표현으로바꾸면'참재미있었다라고말할까?'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떠나가고 있네 는 현재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을 표현한 동작상 표현.

2.명령문에는 예쁘다 귀엽다 착하다 등 형용사가 서술어로 사용되지 못함.
3.철이에게는 필수 부사어. 서술어 주다. 는 주어 목적어 필수 부사어가 필요.
4.참 재미있었다고 말할까? 는 간접 인용격 조사 '고'를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밑줄 친 ㉠∼㉣의 의미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은 풀의 나약하고 수동적인 측면을 묘사한 것이다.
     2. ㉡은 봄바람으로 풀의 조언자를 의미한다.
     3. ㉢은 풀의 강인함을 나타낸 것이다.
     4. ㉣은 풀이 더 심하게 밑둥까지 쓰러져 눕는다는 뜻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 동풍은 풀을 핍박하는 억압자로 해석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다음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표현 기교가 뛰어난 작품으로 「제망매가」와 함께 향가 문학의 백미로 꼽힌다.
     2. 기파랑이라는 화랑을 추모하면서 그의 높은 덕을 기리고 있는 작품이다.
     3. ㉠에서 화자는 지금은 없는 기파랑의 자취를 찾으며 슬퍼하고 있다.
     4. ㉡에서 화자는 기파랑의 높은 인품을 잣나무 가지와 눈에 비유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잣나무 가지,고깔 이 기파랑의 높은 인품을 표현.
눈은 기파랑을 가로막는 사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 : 잔치에 어울리는 비교적 빠른 장단을 일컫는다.
     2. ㉡ : 언어유희적 표현에 의해 해학성이 나타난다.
     3. ㉢ : 서술자가 개입하는 편집자적 논평이 나타난다.
     4. ㉣ : 운봉은 걸인이 어사또라는 것을 눈치채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진양조 장단은 판소리 장단 가운데 가장 느린 장단.
2.운봉의 갈비와 고기의 갈비를 동음이의어로 사용. 언어유희
3.서술자가 개입하여 어사또의 한시를 풀이함.
4.운봉이 어사또의 한시를 보고 놀람. 걸인이 어사또라는 것을 눈치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다음 문장들을 이용하여 두괄식으로 한 단락을 구성한다면 전개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9년 08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두괄식 : 주제가 서두에 나옴.

이 글의 주제는 울릉도를 가진 자가 독도의 주인이라는 내용.
ㄹ이 먼저 나오고 그 이후 이유를 설명하는 내용들이 이어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문학 기법 관련 서술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전지적 작가 시점이지만, 관찰자 시점의 성격을 지녔다.
     2. 말하기(telling) 기법을 통해 극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3. 백화의 복잡한 심정이 역설적 표현으로 나타났다.
     4. 말끝을 흐리는 방법으로 ‘감정의 여운’을 표현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말하기 (telling) 기법은 해설적 제시이다.
-말하기 (telling) 기법은 해설적 제시
-보여주기 (showing) 기법은 극적 제시
[해설작성자 : 일순]

16. (가)〜(라)를 글의 순서에 따라 올바르게 배열한 것은?(2018년 09월)
     1. (나)-(라)-(다)-(가)
     2. (라)-(나)-(가)-(다)
     3. (나)-(가)-(다)-(라)
     4. (라)-(가)-(다)-(나)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보기의 시작은 나 와 라 중에서 시작.
라. 산업화. 개채화 울리히 백 지그문트 바우만 이라는 모든 키워드를 가지고 시작.
나. 산업화와 개채화의 키워드를 가지고 어떻게 사회가 진행되었는가 설명
가. 개채화가 진행된 사회에 대해 개채화를 바라보는 시선이 사뭇 다르다면서 울리히 벡의 이론을 설명.
다. 가에서 시선이 사뭇 다르다 하고 울리히 벡 바우만의 이론을 설명했으므로 이후 바우만의 설명으로 마무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를 글의 순서에 따라 올바르게 배열한 것은?(2015년 09월)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 ㈐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관동별곡의 순서를 묻는 문제.
죽림에 누웠다가 임금의 성은으로 강원도로 가서 내금강과 외금강의 경치를 보고 꿈에서 신선을 만나 내적 갈등을 푼 후, 잠에서 깨어나 임금의 은혜가 천산만락에 펼쳐 있음을 노래.

나. 부임->가.진헐대 조망->마.개심대(인재양성 포부)->라.화룡소(썬정에의 포부)->바.산영루(신선사상)->사.망양정(파도의 장관)->다.망양정(자리 비치는 모습. 임금의 은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한시의 화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할 때 시적 정서가 가장 유사한 것은?(2017년 03월)

    

     1. 이화우(梨花雨) 흣ᄲᅮ릴 제 울며 잡고 이별ᄒᆞᆫ 님,
추풍 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ᄉᆡᆼ각ᄂᆞᆫ가.
천 리에 외로운 ᄭᅮᆷ만 오락가락 ᄒᆞ노매.
     2. 말 업슨 청산(靑山)이요 태(態) 업슨 유수(流水)ㅣ로다.
갑 업슨 청풍(淸風)이요 님ᄌᆞ 업슨 명월(明月)이라.
이 중(中)에 병(病) 업슨 이 몸이 분별(分別) 업시 늘그리라.
     3. 반중(盤中) 조홍(早紅)감이 고아도 보이ᄂᆞ다.
유자(柚子)ㅣ 안이라도 품엄 즉도 ᄒᆞ다마ᄂᆞᆫ
품어 가 반기리 업슬ᄉᆡ 글노 설워ᄒᆞᄂᆞ이다.
     4. 흥망(興亡)이 유수(有數)ᄒᆞ니 만월대(滿月臺)도 추초(秋草)ㅣ로다.
오백 년(五百年) 왕업(王業)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夕陽)에 지나ᄂᆞᆫ 객(客)이 눈물계워 ᄒᆞ노라.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910년 매천야록 황현의 절명시.

조수애명해악빈
새 짐승도 슬피 울고 강산도 찡그리네
근화세계이침륜
무궁화 온 세상이 이젠 망해버렸어라
추등엄권회천고
가을 등불 아래 책 덮고 지난 날 생각하니
난작인간식자인
인간세상 글 아는 사람 노릇 어렵기만 하구나.

1.나라 잃은 지식인의 고뇌와 절망의 ㅅ미정을 고백적 어조로 표현
2.활유법,과장법,대유법,의인법,감정 이입 등 다양한 시적 기법 활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의 설명을 고려할 때, 제시된 예 중에서 문장의 유형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15년 02월)

    

     1. 그는 큰 차를 샀다.
     2. 나는 그 책을 읽고 싶다.
     3. 토끼는 앞발이 짧다.
     4. 나는 기차가 떠났음을 알았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관형절을 안은 문장 (차가 크다.)
3.서술절을 안은 문장
4.명사절을 안은 문장 (기차가 떠났다.)

2.홑문장. 본용언+보조용언의 형태.

서술절-
주격 보어로 보이는 이/가'가 거듭해서 나타나는 현상.
코끼리가 코가 길다. 코끼리 가 길다 / 코가 길다
토끼는 앞발이 짧다. 토끼는 짧다 / 앞발이 짧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토론에서 논제의 쟁점을 파악하기 위한 활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관련 자료, 주변 상황, 관점 등을 검토하여 논제를 이해한다.
     2. 양측의 주장이 충돌하는 쟁점을 찾아 핵심 쟁점과 하위 쟁점을 정리한다.
     3. 차이를 극복하고 양측이 모두 수용 가능한 방안을 검토한다.
     4. 주장의 전제나 논거를 검토하여 적절성과 수용 가능성을 판단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쟁점이란 찬성 측과 반대 측의 입장이 나뉘는 지점.
3번은 논제의 쟁점을 파악하기 위한 활용과 관계가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790796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4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12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253 공유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01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252 전파전자통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4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251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25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249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248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0
24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통신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0
246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0
245 지게차유사(롤러,기중기등)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0
244 방송통신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0
24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0
»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790796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0
241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시스템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0
240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193902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2
239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695467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238 수능(화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179489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237 수능(물리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23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235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7 1
Board Pagination Prev 1 ...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 241 Next
/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