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 후 농산물의 호흡억제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청과물의 예냉
2.
서류의 큐어링
3.
엽근채류의 0~4 °C 저온저장
4.
과실의 CA저장
정답 : [
2
] 정답률 : 75%
14.
멀칭의 이용과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1.
지온을 상승시키는 데는 흑색필름보다는 투명필름이 효과적이다.
2.
작물을 멀칭한 필름 속에서 상당 기간 재배할 때는 광합성 효율을 위해 투명필름보다 녹색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밭 전면을 비닐멀칭하였을 때에는 빗물을 이용하기 곤란하다.
4.
앞작물 그루터기를 남겨둔 채 재배하여 토양 유실을 막는 스터블멀치농법도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15.
식물의 광합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4월)
1.
C3식물은 C4식물에 비해 이산화탄소의 보상점과 포화점이 모두 낮다.
2.
강광이고 고온이며 O2 농도가 낮고 CO2 농도가 높을 때 광호흡이 높다.
3.
일반적인 재배조건에서 온도계수(Q10)는 저온보다 고온에서 더 크다.
4.
양지식물은 음지식물에 비해 광보상점과 광포화점이 모두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C3식물은 C4식물에 비해 이산화탄소 보상점이 높고, 포화점이 낮다. 2. 강광이고 고온이며 O2 농도가 높고, CO2 농도가 낮을 때 광호흡이 낮다. (광호흡도 호흡이기 때문에 O2를 먹고 CO2를 뱉는 것) 3. 일반적인 재배조건에서 온도계수(Q10)는 고온보다 저온에서 더 크다. * 온도계수 : 온도가 10℃ 상승하는 데 따르는 이화학적 반응이나 생리작용의 증가배수를 온도계수 또는 Q10이라고 한다. 4. 음지식물(음생식물)은 광포화점과 광보상점이 모두 낮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수확 후 농산물의 호흡억제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청과물의 예냉
2.
서류의 큐어링
3.
엽근채류의 0~4 °C 저온저장
4.
과실의 CA저장
정답 : [
2
] 정답률 : 75%
14.
멀칭의 이용과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1.
지온을 상승시키는 데는 흑색필름보다는 투명필름이 효과적이다.
2.
작물을 멀칭한 필름 속에서 상당 기간 재배할 때는 광합성 효율을 위해 투명필름보다 녹색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밭 전면을 비닐멀칭하였을 때에는 빗물을 이용하기 곤란하다.
4.
앞작물 그루터기를 남겨둔 채 재배하여 토양 유실을 막는 스터블멀치농법도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15.
식물의 광합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4월)
1.
C3식물은 C4식물에 비해 이산화탄소의 보상점과 포화점이 모두 낮다.
2.
강광이고 고온이며 O2 농도가 낮고 CO2 농도가 높을 때 광호흡이 높다.
3.
일반적인 재배조건에서 온도계수(Q10)는 저온보다 고온에서 더 크다.
4.
양지식물은 음지식물에 비해 광보상점과 광포화점이 모두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C3식물은 C4식물에 비해 이산화탄소 보상점이 높고, 포화점이 낮다. 2. 강광이고 고온이며 O2 농도가 높고, CO2 농도가 낮을 때 광호흡이 낮다. (광호흡도 호흡이기 때문에 O2를 먹고 CO2를 뱉는 것) 3. 일반적인 재배조건에서 온도계수(Q10)는 고온보다 저온에서 더 크다. * 온도계수 : 온도가 10℃ 상승하는 데 따르는 이화학적 반응이나 생리작용의 증가배수를 온도계수 또는 Q10이라고 한다. 4. 음지식물(음생식물)은 광포화점과 광보상점이 모두 낮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