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24081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무회계


1. 다음 제시된 거래 중 자산, 부채, 자본의 총액에 변동이 없는 것은?(2018년 09월)
     1. 건물을 취득하고 주식을 발행하였다.
     2. 외상으로 기계장치를 처분하였다. 단, 처분금액과 장부금액은 일치하였다.
     3. 배당금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4. 사채를 발행하여 생물자산을 취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번 보기 : 건물의 취득(자산의 증가), 주식의 발행(자본의 증가)
2번 보기 : 기계장치의 처분(자산의 감소), 미수금의 발생(자산의 증가)
3번 보기 : 배당 지급(자본-이익잉여금-의 감소), 현금의 출금(자산의 감소)
4번 보기 : 생물자산 취득(자산의 증가), 사채의 발행(부채의 증가)
따라서 2번 보기의 내용만 효과가 상쇄되어 자산, 부채, 자본의 총액이 변동이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 시산표의 작성과정에서 발생한 다음의 오류 중에서 시산표의 작성만으로 발견할 수 있는 오류는?(2018년 05월)
     1. 총매출액 ₩5,280을 시산표에 표기하는 과정에서 ₩5,200으로 옮겨 적었다.
     2. 고객에게 ₩2,250에 용역을 외상으로 제공하고 미수금계정에 ₩2,250을 차기하고 매출계정의 대변에 ₩2,250을 기록하였다.
     3. 원가 ₩820인 자동차를 외상으로 구입하고 판관비의 차변에, 매입채무의 대변에 기록하였다.
     4. 판매용 건물의 1년치 임대료로 현금 ₩1,200을 지급하고 기타비용계정에 ₩1,200을 차기하고 현금계정의 대변에 ₩1,200을 기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시산표는 결산 확정 전에 분개장에서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으로 정확히 전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차평균 원리를 이용하는 표이므로
차대변 금액이 같은 경우 시산표 작성만으로 발견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 중 재무제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 변동표 및 주석을 포함한다.
     2. 재무상태표는 자산과 부채 및 자본에 대한 재무정보를 제공 한다.
     3. 포괄손익계산서는 실현된 손익에 대한 재무정보를 제공하며, 미실현된 손익에 대한 재무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
     4. 현금흐름표는 경영활동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구분하여 각 활동별 현금유입액과 현금유출액에 대한 재무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포괄손익이란 당기순손익(실현손익) + 기타포괄손익(미실현손익)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므로, 포괄손익계산서에는 실현손익과 미실현손익에 대한 정보가 모두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 다음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07호에 따른 현금흐름표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2015년 05월)
     1. 현금흐름표상의 현금성자산이란 보유 현금과 요구불예금을 말한다.
     2. 은행으로부터의 차입은 일반적으로 재무활동으로 간주된다.
     3. 현금흐름표는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현금흐름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및 재무활동으로 분류하여 보고한다.
     4. 이자와 차입금을 상환하는 경우, 이자지급은 영업활동으로 분류될 수 있고, 원금상환은 재무활동으로 분류된다.

     정답 : []
     정답률 : 29%

5.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이 변경된 경우에는 분류기준에 따라 금융자산을 재분류해야 한다. 다음 중 사업모형 변경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9월)
     1. 회사가 보유중인 특정 금융자산에 대하여 경영목적에 따라 그 보유의도가 변경된 경우
     2. 회사가 보유중인 금융자산이 특정한 시장에서 일시적으로 소멸된 경우
     3. 금융서비스회사가 소매부동산담보부대여업을 중단함에 따라, 신규 부동산담보대출을 중단하고, 기존 부동산담보대출 포트폴리오를 매도하기 위해 노력 중인 경우
     4. 기업 내부에 서로 다른 사업모형을 갖고 있는 부문 간 금융자산을 이전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45%

6. 투자부동산에 대하여 공정가치모형을 선택한 경우에는 최초 인식 후 모든 투자부동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음은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모형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에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투자부동산인 건물에 대하여 감가상각을 하여야 한다.
     2. 일반적으로 투자부동산을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다가 원가모형으로 회계정책을 변경할 수 없다.
     3. 투자부동산을 개량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출하는 미래의 자본적 지출과 그 미래의 지출에서 기대되는 미래의 효익은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에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4.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던 중에 특히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하여 하나의 부동산에 대하여 원가모형을 적용하더라도 그 밖의 모든 투자부동산에 대하여 계속하여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투자부동산의 경우 원가모형을 적용할 때는 감가상각을 하지만,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는 경우 감가상각을 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7. 다음 중 금융자산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매출채권은 금융자산이다.
     2. 다른 기업이 발행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금융자산이다.
     3. 파생상품과 비파생상품은 모두 금융자산이다.
     4. 현금및현금성자산은 금융자산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8. 다음 중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외부에서 구입하는 재고와 관련된 하역료
     2. 자가제조하는 재고와 관련된 변동제조간접원가
     3. 자가제조 이후 판매를 위한 보관원가
     4. 선적지 인도기준으로 매입한 재고의 매입운임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재고자산을 취득하지 않았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비용"이 취득부대비용으로서 취득원가에 포함된다.
그러나 자가제조 이후 판매를 위해 보관하는 원가는 재고자산을 취득하기 위하여 발생한 비용이 아니므로 취득원가에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1, 4번 보기와 같이 매입한 재고의 운송비 및 하역료는 당연 포함이고, 이외에도 보험료, 수수료, 취득세 등이 포함된다.
자가제조하는 재고의 경우 제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모든 비용(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 등)이 재고자산의 원가에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9. ㈜상공의 2017년 회계연도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유입액은 100,000원이다.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상공의 2017년 회계연도 당기순이익을 계산하시오.(2017년 05월)

   

     1. ₩78,000
     2. ₩88,000
     3. ₩90,000
     4. ₩94,000

     정답 : []
     정답률 : 38%

10.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다음 중 매출총이익을 상대적으로 크게 보고하는 재고자산의 단가결정방법은? (단, 재고청산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2018년 05월)
     1. 선입선출법
     2. 후입선출법
     3. 이동평균법
     4. 총평균법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선입선출법이 재고자산의 기말잔액을 가장 크게 보고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매출원가(비용)가 가장 작게 보고되므로, 매출총이익은 가장 크게 보고된다. 이 때 법인세비용도 가장 크며, 재고자산의 단가결정방법을 비교해보면 후입선출법<총평균법<이동평균법<선입선출법 순이다.

재고자산의 기말잔액 : 후입선출법<총평균법<이동평균법<선입선출법
매출원가 : 후입선출법>총평균법>이동평균법>선입선출법
당기순이익(매출총이익) : 후입선출법<총평균법<이동평균법<선입선출법
법인세비용 : 후입선출법<총평균법<이동평균법<선입선출법
[해설작성자 : 다희쌤♡]

11. (주)전산은 20X1년초에 공장건설을 위해 토지를 ₩500,000에 구입하였다. 20X1년 말과 20X2년 말 동 토지의 공정가치는 각각 ₩540,000과 ₩450,000으로 평가되었다. (주)전산이 토지 최초 인식 후 재평가모형을 선택하였다면, (주)전산의 20X2년도 당기 순이익은 얼마인가? (단, 토지의 재평가로 인한 영향을 반영하기 전 20X2년도 당기순이익은 ₩150,000이였다.)(2019년 05월)
     1. ₩60,000
     2. ₩100,000
     3. ₩200,000
     4. ₩240,000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540,000 → 450,000의 공정가치 감소를 인식할 때
40,000원 만큼은 당초 인식했던 재평가잉여금을 감소시켜주어야 하는 부분이므로 기타포괄손익(자본항목)의 감소이며,
나머지 50,000원 만큼만 재평가손실(당기손실)로 보고되므로, 당기순이익은 150,000 - 50,000 = 100,000원이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2. 다음은 무형자산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교환거래(사업결합과정에서 발생한 것이 아닌)로 취득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계약적 고객관계는 고객관계를 보호할 법적 권리가 없는 경우에도 무형자산의 정의를 충족한다.
     2. 내부적으로 창출한 브랜드, 제호, 출판표제, 고객 목록은 무형자산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3. 자산이 계획된 성과를 달성하기 전에 발생한 명백한 비효율로 인한 손실과 초기 영업손실은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원가에 포함한다.
     4. 무형자산을 창출하기 위한 내부프로젝트를 연구단계와 개발 단계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지출은 모두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자산이 계획된 성과를 달성하기 전에 발생한 명백한 비효율로 인한 손실과 초기 영업손실은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원가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3. 다음에서 회계정보의 근본적 질적 특성인 목적적합성과 충실한 표현(표현의 충실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일반적으로 현행원가가 역사적원가에 비하여 목적적합성이 낮다.
     2. 회계정보의 목적적합성이란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의사결정에 차이가 발생하게 하는 정보의 능력을 의미한다.
     3. 표현하고자 하는 경제적 현상의 진실치가 그 현상을 나타내는 측정치와 상응하는 정도를 높이면 회계정보의 표현의 충실성은 증가한다.
     4. 회계정보의 목적적합성에는 과거의 의사결정을 확인 또는 수정하도록 해줌으로써 유사한 미래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속성이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14. 다음 중 자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자본이란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분을 말한다.
     2. 자본은 독립적으로 측정되므로 자산과 부채의 측정과는 관련이 없다.
     3. 자본은 소유주지분, 순자산 또는 주주지분이라고도 한다.
     4. 조달된 자금 중 채권자로부터 조달된 자금은 부채로 표시되 고, 주주로부터 조달된 자금은 자본으로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자본은 독립적으로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부분이 자본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자본을 다른 말로는 순자산이라고도 부른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5. 개인기업의 자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개인기업의 자본은 자본주의 책임한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개인기업의 자본은 채권자보호를 위해 일정액 이상의 자본을 반드시 유지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3. 개인기업이 파산하게 되는 경우에는 채권자는 기업의 자본뿐만 아니라, 자본주 개인의 재산에 대해서까지도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4. 인출에 의한 자본금의 감소는 영업활동으로 인하여 나타난 것이 아니므로 결산 시에 손익계정에 대체하여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39%

16. 수익과 비용을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직접대응, 체계적이고 합리 적인 배분, 즉시 비용화 등이 있다. 다음 중에서 수익과 비용을 대응시키는 방법이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2016년 05월)
     1. 교육훈련비
     2. 광고비
     3. 판매촉진비
     4. 매출원가

     정답 : []
     정답률 : 50%

17. 20X1년 초에 설립된 ㈜상공의 20X1년 말 포괄손익계산서상 법인세비용은 ₩500,000이었다. 세무조정 후 당기법인세부채는 ₩460,000으로 기록되었다. 이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간 차이는 모두 일시적 차이가 그 원인이라고 가정한다.)(2020년 10월)
     1. 법인세비용이 ₩40,000 감소하였다.
     2. 법인세비용이 ₩10,000 증가하였다.
     3. 이연법인세부채 계정(부채)의 잔액이 ₩40,000 증가하였다.
     4. 이연법인세부채 계정(부채)의 잔액이 ₩40,000 감소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법인세비용 500,000 = 이연법인세부채 40,000 + 당기법인세부채 460,000
[해설작성자 : CPA 준비생]

18. 2012년 1월 1일에 ₩550,000을 주고 기계를 구입하였는데, 이기계의 내용연수는 5년, 잔존가치는 ₩50,000으로 추정되었다. 동 기계에 대하여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한다. 2015년 1월 1일에 이 기계의 내용연수를 7년(잔존 내용연수 4년)으로, 잔존가치를 ₩10,000으로 다시 추정하였다. 2015년에 인식할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2015년 05월)
     1. ₩50,000
     2. ₩60,000
     3. ₩80,000
     4. ₩100,00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012-2014년까지 감가상각금액 30만원
남은 금액 25만원
15년에 잔존가치 1만원 및 내용연수 7년 중 4년이 남은 것으로 조정
따라서 25만원-1만원=24만원
24만원/4년=6만원
[해설작성자 : 하프물범]

19. 다음은 회계변경과 오류수정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회계변경의 속성상 회계정책의 변경과 회계추정의 변경을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를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본다.
     2. 오류가 발견된 경우에는 항상 재무제표의 정보이용자를 위하여 특정기간에 미치는 영향과 오류의 누적효과를 계산한 후 재무제표를 소급하여 재작성하여야 한다.
     3. 추정의 근거가 되었던 상황의 변화, 새로운 정보의 획득, 추가적인 경험의 축적이 있는 경우 새로운 추정치를 당기와 미래의 재무제표에 반영한다.
     4. 회계정책을 변경하는 경우 계속성의 원칙이 훼손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20. 다음 중 회계변경과 오류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회계변경이란 새로운 사실의 발생 또는 기업이 처한 경제적· 사회적 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기존에 적용해 오던 회계 처리방법이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를 적정하게 표시 하지 못하는 경우 새로운 회계처리방법으로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2. 회계변경은 기간 간 비교가능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회계처리와 공시가 필요하다.
     3.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회계원칙을 적용하다가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을 적용하는 것은 회계정책의 변경에 해당 한다.
     4. 회계정책의 변경의 예는 유형자산 측정기준 변경, 재고자산 원가흐름의 가정변경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2과목 : 원가관리회계


21. 제조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라서 원가는 제조원가와 비제조원가로 구분된다. 다음 중 비제조원가의 예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2019년 05월)
     1. 관리비
     2. 재료원가
     3. 노무원가
     4. 제조경비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관리비는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원가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2. 다음 원가의 발생시점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전기에 구입한 원재료가 당기에 생산에 투입되면 원재료는 당기발생 원가이다.
     2. 당기 생산에 투입된 근로자의 임금은 당기의 원가로 분류된다.
     3. 당기 생산에 사용된 전기요금은 당기의 원가로 분류된다.
     4. 전기에 지급한 보험료로 보험 수혜기간이 당기인 경우 당기의 원가로 분류된다.

     정답 : []
     정답률 : 30%

23. 다음 종합원가계산의 절차들을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2017년 05월)

    

     1. (3)→(2)→(4)→(1)→(5)
     2. (2)→(1)→(3)→(4)→(5)
     3. (3)→(2)→(1)→(4)→(5)
     4. (4)→(3)→(2)→(1)→(5)

     정답 : []
     정답률 : 63%

24. ㈜대한의 2016년 9월 제조간접비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차) 제조간접비-A제품 100,000원
(차) 제조간접비-B제품 200,000원
(대) 제조간접비 300,000원
     2. (차) 제조간접비-A제품 200,000원
(차) 제조간접비-B제품 100,000원
(대) 제조간접비 300,000원
     3. (차) 제조간접비-A제품 300,000원
(대) 제조간접비 300,000원
     4. (차) 제조간접비-B제품 300,000원
(대) 제조간접비 300,000원

     정답 : []
     정답률 : 58%

25. (주)상공은 직접노동시간을 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고 있다. 10월의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은 ₩1,620,000이고 실제직접노동시간은 6,200시간이다. 추정 제조간접원가 총액은 ₩1,740,000이고 추정 직접노무시간은 6,000시간이다. 10월 한 달 동안 제조간접원가 과소(대)배부는 얼마인가?(2020년 10월)
     1. ₩135,000 과대배부
     2. ₩135,000 과소배부
     3. ₩103,000 과대배부
     4. ₩178,000 과대배부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추정: 1,740,000/6,000=290
290*6,200 = 1,798,000
1,798,000-1,620,000 = 178,000 과대배부
[해설작성자 : 공부중]

26. (주)한국의 연간제조간접비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주)한국의 20X1년도 기계시간이 1,000시간으로 예상될 때 기계시간당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은 얼마인가?(2018년 09월)

    

     1. ₩200
     2. ₩300
     3. ₩400
     4. ₩50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제조간접비 연간 예산은 200,000 + 200 × 1000 = 400,000원이 된다. 따라서 예정배부율은 400,000원 ÷ 1,000시간 = 400원/시간 이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7. 원가는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제공할 수 있는 용역잠재력을 갖는지 여부에 따라서 미소멸원가와 소멸원가로 구분된다. 미소멸 원가의 예로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2016년 05월)
     1. 매출원가
     2. 감가상각비
     3. 무형자산상각비
     4. 재고자산

     정답 : []
     정답률 : 60%

28. (주)한국의 예정 제조간접원가는 ₩500,000이며 제조간접비의 배부기준은 직접노동시간으로 예정 직접노동시간은 1,000시간이 다. 20X1년 (주)한국의 실제 직접노동시간이 1,400시간, 실제 발생 제조간접원가는 ₩600,000일 때 제조간접원가의 배부차이는?(2017년 09월)
     1. ₩100,000 과대배부
     2. ₩100,000 과소배부
     3. ₩200,000 과대배부
     4. ₩200,000 과소배부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예정배부율 : 500,000원÷1,000시간=500원/시간
예정배부액 : 500원 × 1,400시간 = 700,000원
실제발생액 : 600,000원 ∴100,000원 과대배부
[해설작성자 : 다희쌤♡]

29. (주)대한은 A, B 두 공정을 이용하여 #111제품과 #112제품 등을 생산하며, 제조간접비는 직접노동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한다. #111 제품의 A공정과 B공정의 제조간접비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A공정) ₩100,000 (B공정) ₩20,000
     2. (A공정) ₩90,000 (B공정) ₩10,000
     3. (A공정) ₩20,000 (B공정) ₩100,000
     4. (A공정) ₩100,000 (B공정) ₩90,000

     정답 : []
     정답률 : 59%

30. 다음의 부문별 원가계산 자료를 토대로 보조부문비를 상호배부법으로 배부할 경우 옳지 않은 설명은?(2017년 09월)

    

     1. 보조부문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용역의 수수에 대해서도 엄격 하게 대체 계산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2.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 관계를 전부 반영하기에, 보조 부문 상호간의 대체 계산은 용역의 수수가 전제되는 한 한없이 되풀이 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는 보조부문 상호간의 대체를 단 한번으로 한정 하고, 그 결과로서 집계된 보조부문비는 직접배부법에 의하여 각 제조부문에 배부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4. C보조부문에서 A제조부문으로 배부되는 금액은 ₩115,000 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방정식사용이 가장 편함
C부문을 X라고 가정
D부문을 Y라고 가정

X=0.3Y+120,000
Y=0.2X+70,000
[해설작성자 : 나는짱아맘]

31. 공장제조간접원가의 발생액이 다음과 같다. 이 중 전력비를 제외하고는 이미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관련 분개를 수행했을 경우에 대변에 기입되는 사항만 바르게 제시한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위 : 원)(2018년 05월)

    

     1. 미지급비용 ₩20,000, 현금 ₩70,000
     2. 전력비 ₩20,000, 복리후생비 ₩40,000, 수도광열비 ₩30,000
     3. 제조간접원가 ₩90,000
     4. 재공품 ₩90,00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전력비 : (차) 전력비 20,000 / (대) 미지급비용 20,000
복리후생비 : (차) 복리후생비 40,000 / (대) 현금 40,000
수도광열비 : (차) 수도광열비 30,000 / (대) 현금 30,000
[해설작성자 : 다희쌤♡]

32. 다음은 20×1년도 (주)한강의 변동제조간접원가에 대한 표준원가 및 차이분석자료이다. (주)한강의 20×1년도 실제 제품생산량은 몇 개인가? (단, 재공품은 없다.)(2018년 09월)

    

     1. 50개
     2. 60개
     3. 62개
     4. 68개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20/5 = 24
24/2 = 12(초과생산)

100/2+12 = 62
[해설작성자 : 공부중]

33. (주)상공은 표준원가제도를 사용하고 있다. 당기 변동제조간접비에 대한 표준원가를 분석한 결과 변동제조간접비 예산차이는 6,000원이 불리한 것으로 산출되었으며, 변동제조간접비 능률차이는 9,000 원 유리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단위당 변동제조간접비 표준원가는 30원/개당 이며, 생산량은 2,000개이다. 재공품을 표준원가로 관리 한다고 할 때 사용시점에 적절한 회계처리는?(2016년 10월)
     1. (차) 변동제조간접비 57,000
(차) 능률차이 9,000
(대) 재공품 60,000
(대) 예산차이 6,000
     2. (차) 재공품 60,000
(차) 예산차이 6,000
(대) 변동제조간접비 57,000
(대) 능률차이 9,000
     3. (차) 재공품 60,000
(차) 예산차이 6,000
(대) 변동제조간접비 75,000
(대) 능률차이 9,000
     4. (차) 재공품 60,000
(차) 능률차이 9,000
(대) 변동제조간접비 63,000
(대) 예산차이 6,000

     정답 : []
     정답률 : 40%

34. 회사는 실제 2,000단위를 생산하였고 ₩4,000,000의 노무원가가 실제 발생하였다. 회사의 단위당 표준허용시간은 24시간이고 유리한 임률차이(=가격차이)는 ₩1,200,000이고 불리한 시간차이(=능률차이)는 ₩400,000이라고 할 때 실제 작업시간은 얼마인가?(2020년 10월)
     1. 52,000시간
     2. 53,000시간
     3. 54,000시간
     4. 55,000시간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실제                     예산                    표준
4,000,000         5,200,000            4,800,000

- 가격차이:1,200,000(F)
    4,000,000+1,200,000=5,200,000
- 능률차이:400,000(U)
    5,200,000-400,000= 4,800,000

4,800,000=2,000*24*표준임률
표준임률 = 100
실제작업시간 : 5,200,000/100 = 52,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35. 다음은 표준원가계산제도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직접재료비는 차이분석시점의 구분여부에 관계없이 수량 (능률)차이는 동일하다.
     2. 제조간접비 차이분석(3분법)에서 능률차이는 변동제조간접 비에서 발생한다.
     3. 직접노무비의 차이분석에서는 임률차이와 능률차이가 나타난다.
     4. 고정제조간접비의 회계처리 시 제품원가에는 고정제조간접비 예산이 반영된다.

     정답 : []
     정답률 : 30%

36. 다음 중에서 종합원가계산의 특징들로만 묶인 것은?(2017년 09월)

    

     1. 가, 나
     2. 가, 다
     3. 나, 다
     4. 가, 나, 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 : 종합원가계산, 나 : 개별원가계산, 다 : 종합원가계산에 관한 설명이므로 가, 다가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7. (주)한강의 변동비율은 60%이며 연간 고정비는 ₩12,000,000 이다. (주)한강의 월간 손익분기점매출액은 얼마인가?(2015년 10월)
     1. ₩1,666,667
     2. ₩2,500,000
     3. ₩20,000,000
     4. ₩30,00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연간 손익분기점매출액 : 고정비/공헌이익률 = 12,000,000/(1-0.6) = 30,000,000

월간 손익분기점매출액 : 30,000,000/12 = 2,50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38. (주)한강은 종합원가계산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원재료는 공정의 초기에 전량 투입되며, 가공원가는 공정 전반에 걸쳐서 진척도에 따라 균등하게 발생한다. 재료원가의 경우 평균법에 의한 완성품환산량은 78,000단위이고, 선입선출법에 의한 완성품 환산량은 66,000단위이다. 또한 가공원가의 경우 평균법에 의한 완성품환산량은 54,400단위이고, 선입선출법에 의한 완성품환산 량은 52,000단위이다. 기초재공품의 진척도는 몇 %인가?(2017년 05월)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35%

39. CVP분석을 위해서는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몇 가지 가정이 필요 하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조업도는 독립변수인 원가와 수익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2. 수익과 원가의 행태는 결정되어 있고 관련범위 내에서 선형 이라고 가정한다.
     3. 생산량과 판매량은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4. 분석기간이 화폐의 시간가치가 중요하지 않을 정도의 단기간 이라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CVP분석의 가정
첫째, 모든 원가는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류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둘째, 수익과 원가의 행태는 확실하게 결정되어 있으며, 관련범위 내에서 선형이라고 가정한다. 즉 관련범위 내에서 매출액과 변동비는 조업도에 비례하고 고정비는 조업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셋째, 조업도만이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인이라고 가정한다.
넷째, 한 종류의 제품만을 판매한다고 가정한다
다섯째, 재고수준이 변동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여섯째, 화폐의 시간가치가 중요하지 않을 정도의 단기적인 분석이라고 가정한다.

2021 전산회계운용사 가이드북, 대한상공회의소, P258, CVP분석의 가정
[해설작성자 : 작업치료사 김정구]

40. (주)상공은 원재료 1,000개를 투입하여 3가지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A부문에서는 갑제품 400개와 중간제품 600개를 생산한다. 중간제품은 B부문에서 추가가공원가 ₩100,000을 투입하여 병제품 400개와 정제품 200개를 생산한다. A부문의 결합원가는 ₩900,000일 때, 병제품에 배부되는 결합원가는 얼마인가? (단, 단위당 판매가격은 갑제품 ₩300, 병제품 ₩450, 정제품 ₩350이다. 단, 순실현가치법을 사용하여 결합원가를 배분하기로 한다.)(2019년 09월)
     1. ₩168,000
     2. ₩186,000
     3. ₩423,000
     4. ₩432,000

     정답 : []
     정답률 : 11%
     <문제 해설>
순실현가치
갑 : 400*@300 = 120,000
병 : 400*@450 = 180,000-72,000 = 108,000
정 : 200*@350 = 70,000-28,000 = 42,000

B부문에서 투입한 추가가공원가
병 : 100,000*180,000/250,000 = 72,000
정 : 100,000*70,000/250,000 = 28,000

A부문에서 생성된 결합원가 병제품에 배분 900,000*108,000/270,000 = 360,000
B부문에서 배부해준 결합원가 72,000 합해주면 병제품에 배부된 결합원가 360,000+72,000 = 432,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41. 다음 중 비거주자가 공제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 내역은 어느 것인가? (단, 제시된 자료의 배우자 및 부양가족의 기본공제대상자 요건은 충족된다.)(2018년 09월)
     1. 비거주자 본인에 대한 기본공제
     2. 배우자 공제
     3. 부양가족 공제
     4. 장애인인 배우자에 대한 장애인 공제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비거주자(거주자가 아닌 자)의 경우 본인에 대한 기본공제만 가능하다.

거주자의 요건 :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의 거소를 둔 자
[해설작성자 : 다희쌤♡]

42. 다음 소득 중 원천징수세율이 가장 큰 소득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10월)
     1. 일용근로를 제공하고 받는 소득
     2. 고용관계 없이 다수에게 강연하고 받은 강연료 소득
     3. 세금우대종합저축에 가입하고 받은 이자소득
     4. 봉사료로 지급받은 소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다음 거주자 중 과세표준확정신고를 반드시 해야 되는 자는 누구인가?(2018년 05월)
     1. 근로소득만 있는 자
     2. 분리과세대상인 이자소득만 있는 자
     3. 연말정산대상 사업소득만 있는 자
     4. 결손금이 발생한 사업소득만 있는 자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2, 3번 보기와 같이 분리과세소득만 있는 자는 종합소득확정신고의 의무가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4. 근로자인 김부자씨의 2014년 근로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2015년 10월)

    

     1. 4,000만원
     2. 3,600만원
     3. 3,500만원
     4. 3,100만원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김상공씨의 소득세법상 기장세액공제를 계산하면 얼마인가?(2017년 05월)

    

     1. ₩500,000
     2. ₩800,000
     3. ₩1,000,000
     4. ₩1,500,000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기장소득공제 = 종합소득산출세액*(사업소득금액/종합소득금액)*20%
                         = 10,000,000*0.4*0.2
                         = 80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46. 다음 중 원천징수 대상소득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비영업대금의 이익
     2. 배당소득 중 Gross-up된 금액
     3. 근로소득
     4. 봉사료

     정답 : []
     정답률 : 40%

47. 다음은 2017.10.31 퇴사한 거주자 박대한 과장에 대한 자료이다. 퇴직소득금액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5월)

    

     1. ₩65,000,000
     2. ₩71,000,000
     3. ₩115,000,000
     4. ₩125,000,000

     정답 :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퇴직소득금액 : 가, 나
퇴직급여지급규정에 없는 퇴직공로금은 근로소득

100,000,000+15,000,000 = 115,00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8. 영세한 사업자들에게 납세의무이행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간이과세제도를 두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0년 10월)
     1. 둘 이상의 업종을 겸영하는 경우에는 수입금액이 큰 업종의 업종별 부가가치율에 세율 10%를 적용하여 납부세액을 계산한다.
     2. 일반과세자가 간이과세자로 변경되는 경우 재고품 및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일반과세자로서 이미 공제받은 매입세액에 대한 정산을 하여야 한다.
     3. 법인사업자는 간이과세자가 될 수 없다.
     4. 간이과세자에게는 세금계산서미교부가산세,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 가산세 등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공급대가(VAT포함)*업종별부가가치율*10%
[해설작성자 :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년 세법 개정으로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가 있는 간이과세자가 세금계산서를 미발행,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하면 가산세가 부과됨.
4번도 정답으로 수정 필요함.
[해설작성자 : 1트 합격 기원]

49. 다음 중 종합소득세 세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무조건 분리과세(3억 이하) 소득인 복권당첨 소득은 20% 원천징수 한다.
     2. 소득세는 2단계 누진세율 구조이다.
     3. 비실명 금융소득은 25% 원천징수 한다.
     4. 조건부 종합과세 시 2천만 원 초과분은 35%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019년 8월 현재
1번 보기 : 복권당첨소득은 3억 이하금액은 20%, 3억 초과금액은 30%로 원천징수하는 무조건분리과세 소득이다.
2번 보기 : 소득세는 7단계초과누진구조이다(6~42%)
3번 보기 : 비실명금융소득에 대하여서는 42% 최고세율로 원천징수하며, 금융실명제 미적용과 관련된 소득은 90%로 원천징수한다.
4번 보기 : 문제 보기가 완전하지 않습니다. 금융소득에 대하여서 조건부 종합과세대상인 소득은 2천만원까지는 기본 14%로, 2천만원 초과분에 대하여서는 7단계 초과누진세율을 적용하여 과세합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0. 다음 중 소득세법상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대상이 되는 소득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배당소득
     2. 사업소득
     3. 기타소득
     4. 근로소득

     정답 : []
     정답률 : 36%

51. 다음 자료(항목별 총수입금액)를 이용하여 ㈜한강시스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개발자로 근무하고 있는 거주자 갑의 종합소득에 합산될 기타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기타소득의 필요경비가 확인되지 않아서 해당 수입금액의 60%에 상당하는 금액을 필요경비로 계산한다고 가정한다.)(2020년 10월)

    

     1. ₩2,450,000
     2. ₩2,850,000
     3. ₩3,090,000
     4. ₩3,230,000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150만원*60%
225만원*60%
35만원 근로소득
3975천원*60%
=60+90+159=309만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 나, 라 = 기타소득
다 = 근로소득

1,500,000+2,250,000+3,975,000=7,725,000

필요경비: 7,725,000*60%=4,635,000
기타소득금액 : 7,725,000-4,635,000=3,09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52. 다음은 홍길동의 종합소득세계산내역이다. 근로소득세액공제액은 얼마인가?(2017년 09월)

    

     1. 165,000원
     2. 198,000원
     3. 305,000원
     4. 341,000원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산출세액*근로소득금액/종합소득금액 = 720,000*10,000,000/20,000,000 = 360,000
360,000*0.55 = 198,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53. 다음 중 비과세 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10월)
     1. 공익신탁법에 따른 공익신탁의 이익
     2. 국민연금법에 따른 사망일시금
     3. 사업소득 중 논밭을 작물생산에 이용하게 함으로써 발생한 소득
     4. 실비변상적 성질이 없는 급여

     정답 : []
     정답률 : 26%

54. 재화의 공급시기에 대한 기준 중 재화가 인도되거나 이용가능하게 되는 때로 공급시기를 인정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8년 05월)
     1. 현금판매
     2. 외상판매
     3. 가공 후 판매
     4. 무인판매기를 이용한 판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현금판매, 외상판매, 가공 후 판매는 재화가 인도된 때가 공급시기이나, 무인판매기를 이용한 판매는 사업자가 무인판매기에서 현금을 인취한 때가 공급시기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5. 국내에서 국외로 국제운송 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사업자가 비거주자 또는 외국법인일 때 부가가치세법 상 용역의 공급 장소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화물의 운송계약이 체결되는 장소
     2. 화물이 적재되는 장소
     3. 화물이 도착하는 장소
     4. 화물 운송사업자의 본점 소재지

     정답 : []
     정답률 : 43%

56.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시 제출하는 첨부서류와 관련 없는 것은?(2016년 05월)
     1. 사업장현황명세서
     2. 수출실적명세서
     3. 외화입금증명서
     4. 내국신용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부가가치세법상 과세유형의 전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간이과세자가 간이과세 적용이 배제되는 사업을 신규로 겸영 하는 경우에는 당해 사업의 개시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다음 과세기간부터 간이과세자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2. 과세유형이 변경되는 경우에 당해 사업자의 관할세무서장은 그 변경되는 과세기간 개시 20일전까지 그 사실을 통지하여야 하며, 사업자등록증을 정정하여 과세기간 개시당일까지 발급하여야 한다.
     3. 소매업을 영위하는 사업자가 일반과세자에서 간이과세자로 변경될 경우 과세관청의 과세유형전환사실에 대한 통지가 없으면 간이과세자로 전환되지 않는다.
     4.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변경되어 간이과세가 적용되지 않게 되는 사업자에 대하여는 그 통지를 받은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까지는 간이과세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58. 소득세법상 근로소득세액의 연말정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기본공제대상자에 해당하는 7세 이상의 자녀(7세 미만의 취학 아동 포함)가 2명인 경우 30 만원을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한다.
     2.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형제(25세, 대학생)가 연간 소득 금액이 없는 경우 거주자의 기본공제대상자가 될 수 있다.
     3.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배우자(35세, 전업주부)가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인 경우 거주자의 기본공제대상자가 될 수 있다.
     4.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배우자가 없는 사람으로서 기본 공제대상자인 직계비속이 있는 경우 연 100만원을 종합소득 금액에서 공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형제자매에 대하여서는 생계요건, 나이요건, 소득요건을 모두 고려해 보아야 한다. 이 때 나이요건은 20세 이하, 60세 이상의 범위에 속해야 하는데, 25세는 범위 밖이므로 기본공제대상자가 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9. 2016년에 간이과세사업자로 사업을 개시한 홍길동의 2016년 매출액이 ₩50,000,000인 경우 일반과세자로 과세유형이 전환 되는 시기는 언제인가?(2016년 05월)
     1. 2017.1.1.
     2. 2017.7.1.
     3. 2018.1.1.
     4. 2018.7.1

     정답 : []
     정답률 : 40%

60. 재화의 공급의제에 대한 과세표준에서 자가공급, 개인적 공급, 사업상 증여 및 폐업시의 잔존재화에 대한 과세표준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재화가 감가상각자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간주시가=해당 재화의 취득가액×(1-체감률×경과된 과세기간의 수)이다.
     2. 취득가액은 매입세액을 공제받은 해당 재화의 부가가치세액으로 한다.
     3. 체감률은 건물, 건축물의 경우에는 5%이다.
     4. 기타 감가상각자산은 25%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정 답 지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24081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무회계


1. 다음 제시된 거래 중 자산, 부채, 자본의 총액에 변동이 없는 것은?(2018년 09월)
     1. 건물을 취득하고 주식을 발행하였다.
     2. 외상으로 기계장치를 처분하였다. 단, 처분금액과 장부금액은 일치하였다.
     3. 배당금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4. 사채를 발행하여 생물자산을 취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번 보기 : 건물의 취득(자산의 증가), 주식의 발행(자본의 증가)
2번 보기 : 기계장치의 처분(자산의 감소), 미수금의 발생(자산의 증가)
3번 보기 : 배당 지급(자본-이익잉여금-의 감소), 현금의 출금(자산의 감소)
4번 보기 : 생물자산 취득(자산의 증가), 사채의 발행(부채의 증가)
따라서 2번 보기의 내용만 효과가 상쇄되어 자산, 부채, 자본의 총액이 변동이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 시산표의 작성과정에서 발생한 다음의 오류 중에서 시산표의 작성만으로 발견할 수 있는 오류는?(2018년 05월)
     1. 총매출액 ₩5,280을 시산표에 표기하는 과정에서 ₩5,200으로 옮겨 적었다.
     2. 고객에게 ₩2,250에 용역을 외상으로 제공하고 미수금계정에 ₩2,250을 차기하고 매출계정의 대변에 ₩2,250을 기록하였다.
     3. 원가 ₩820인 자동차를 외상으로 구입하고 판관비의 차변에, 매입채무의 대변에 기록하였다.
     4. 판매용 건물의 1년치 임대료로 현금 ₩1,200을 지급하고 기타비용계정에 ₩1,200을 차기하고 현금계정의 대변에 ₩1,200을 기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시산표는 결산 확정 전에 분개장에서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으로 정확히 전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차평균 원리를 이용하는 표이므로
차대변 금액이 같은 경우 시산표 작성만으로 발견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 중 재무제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 변동표 및 주석을 포함한다.
     2. 재무상태표는 자산과 부채 및 자본에 대한 재무정보를 제공 한다.
     3. 포괄손익계산서는 실현된 손익에 대한 재무정보를 제공하며, 미실현된 손익에 대한 재무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
     4. 현금흐름표는 경영활동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구분하여 각 활동별 현금유입액과 현금유출액에 대한 재무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포괄손익이란 당기순손익(실현손익) + 기타포괄손익(미실현손익)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므로, 포괄손익계산서에는 실현손익과 미실현손익에 대한 정보가 모두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 다음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07호에 따른 현금흐름표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2015년 05월)
     1. 현금흐름표상의 현금성자산이란 보유 현금과 요구불예금을 말한다.
     2. 은행으로부터의 차입은 일반적으로 재무활동으로 간주된다.
     3. 현금흐름표는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현금흐름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및 재무활동으로 분류하여 보고한다.
     4. 이자와 차입금을 상환하는 경우, 이자지급은 영업활동으로 분류될 수 있고, 원금상환은 재무활동으로 분류된다.

     정답 : []
     정답률 : 29%

5.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이 변경된 경우에는 분류기준에 따라 금융자산을 재분류해야 한다. 다음 중 사업모형 변경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9월)
     1. 회사가 보유중인 특정 금융자산에 대하여 경영목적에 따라 그 보유의도가 변경된 경우
     2. 회사가 보유중인 금융자산이 특정한 시장에서 일시적으로 소멸된 경우
     3. 금융서비스회사가 소매부동산담보부대여업을 중단함에 따라, 신규 부동산담보대출을 중단하고, 기존 부동산담보대출 포트폴리오를 매도하기 위해 노력 중인 경우
     4. 기업 내부에 서로 다른 사업모형을 갖고 있는 부문 간 금융자산을 이전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45%

6. 투자부동산에 대하여 공정가치모형을 선택한 경우에는 최초 인식 후 모든 투자부동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음은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모형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에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투자부동산인 건물에 대하여 감가상각을 하여야 한다.
     2. 일반적으로 투자부동산을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다가 원가모형으로 회계정책을 변경할 수 없다.
     3. 투자부동산을 개량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출하는 미래의 자본적 지출과 그 미래의 지출에서 기대되는 미래의 효익은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에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4.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던 중에 특히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하여 하나의 부동산에 대하여 원가모형을 적용하더라도 그 밖의 모든 투자부동산에 대하여 계속하여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투자부동산의 경우 원가모형을 적용할 때는 감가상각을 하지만,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는 경우 감가상각을 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7. 다음 중 금융자산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매출채권은 금융자산이다.
     2. 다른 기업이 발행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금융자산이다.
     3. 파생상품과 비파생상품은 모두 금융자산이다.
     4. 현금및현금성자산은 금융자산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8. 다음 중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외부에서 구입하는 재고와 관련된 하역료
     2. 자가제조하는 재고와 관련된 변동제조간접원가
     3. 자가제조 이후 판매를 위한 보관원가
     4. 선적지 인도기준으로 매입한 재고의 매입운임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재고자산을 취득하지 않았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비용"이 취득부대비용으로서 취득원가에 포함된다.
그러나 자가제조 이후 판매를 위해 보관하는 원가는 재고자산을 취득하기 위하여 발생한 비용이 아니므로 취득원가에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1, 4번 보기와 같이 매입한 재고의 운송비 및 하역료는 당연 포함이고, 이외에도 보험료, 수수료, 취득세 등이 포함된다.
자가제조하는 재고의 경우 제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모든 비용(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 등)이 재고자산의 원가에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9. ㈜상공의 2017년 회계연도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유입액은 100,000원이다.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상공의 2017년 회계연도 당기순이익을 계산하시오.(2017년 05월)

   

     1. ₩78,000
     2. ₩88,000
     3. ₩90,000
     4. ₩94,000

     정답 : []
     정답률 : 38%

10.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다음 중 매출총이익을 상대적으로 크게 보고하는 재고자산의 단가결정방법은? (단, 재고청산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2018년 05월)
     1. 선입선출법
     2. 후입선출법
     3. 이동평균법
     4. 총평균법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선입선출법이 재고자산의 기말잔액을 가장 크게 보고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매출원가(비용)가 가장 작게 보고되므로, 매출총이익은 가장 크게 보고된다. 이 때 법인세비용도 가장 크며, 재고자산의 단가결정방법을 비교해보면 후입선출법<총평균법<이동평균법<선입선출법 순이다.

재고자산의 기말잔액 : 후입선출법<총평균법<이동평균법<선입선출법
매출원가 : 후입선출법>총평균법>이동평균법>선입선출법
당기순이익(매출총이익) : 후입선출법<총평균법<이동평균법<선입선출법
법인세비용 : 후입선출법<총평균법<이동평균법<선입선출법
[해설작성자 : 다희쌤♡]

11. (주)전산은 20X1년초에 공장건설을 위해 토지를 ₩500,000에 구입하였다. 20X1년 말과 20X2년 말 동 토지의 공정가치는 각각 ₩540,000과 ₩450,000으로 평가되었다. (주)전산이 토지 최초 인식 후 재평가모형을 선택하였다면, (주)전산의 20X2년도 당기 순이익은 얼마인가? (단, 토지의 재평가로 인한 영향을 반영하기 전 20X2년도 당기순이익은 ₩150,000이였다.)(2019년 05월)
     1. ₩60,000
     2. ₩100,000
     3. ₩200,000
     4. ₩240,000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540,000 → 450,000의 공정가치 감소를 인식할 때
40,000원 만큼은 당초 인식했던 재평가잉여금을 감소시켜주어야 하는 부분이므로 기타포괄손익(자본항목)의 감소이며,
나머지 50,000원 만큼만 재평가손실(당기손실)로 보고되므로, 당기순이익은 150,000 - 50,000 = 100,000원이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2. 다음은 무형자산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교환거래(사업결합과정에서 발생한 것이 아닌)로 취득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계약적 고객관계는 고객관계를 보호할 법적 권리가 없는 경우에도 무형자산의 정의를 충족한다.
     2. 내부적으로 창출한 브랜드, 제호, 출판표제, 고객 목록은 무형자산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3. 자산이 계획된 성과를 달성하기 전에 발생한 명백한 비효율로 인한 손실과 초기 영업손실은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원가에 포함한다.
     4. 무형자산을 창출하기 위한 내부프로젝트를 연구단계와 개발 단계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지출은 모두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자산이 계획된 성과를 달성하기 전에 발생한 명백한 비효율로 인한 손실과 초기 영업손실은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원가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3. 다음에서 회계정보의 근본적 질적 특성인 목적적합성과 충실한 표현(표현의 충실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일반적으로 현행원가가 역사적원가에 비하여 목적적합성이 낮다.
     2. 회계정보의 목적적합성이란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의사결정에 차이가 발생하게 하는 정보의 능력을 의미한다.
     3. 표현하고자 하는 경제적 현상의 진실치가 그 현상을 나타내는 측정치와 상응하는 정도를 높이면 회계정보의 표현의 충실성은 증가한다.
     4. 회계정보의 목적적합성에는 과거의 의사결정을 확인 또는 수정하도록 해줌으로써 유사한 미래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속성이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14. 다음 중 자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자본이란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분을 말한다.
     2. 자본은 독립적으로 측정되므로 자산과 부채의 측정과는 관련이 없다.
     3. 자본은 소유주지분, 순자산 또는 주주지분이라고도 한다.
     4. 조달된 자금 중 채권자로부터 조달된 자금은 부채로 표시되 고, 주주로부터 조달된 자금은 자본으로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자본은 독립적으로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부분이 자본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자본을 다른 말로는 순자산이라고도 부른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5. 개인기업의 자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개인기업의 자본은 자본주의 책임한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개인기업의 자본은 채권자보호를 위해 일정액 이상의 자본을 반드시 유지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3. 개인기업이 파산하게 되는 경우에는 채권자는 기업의 자본뿐만 아니라, 자본주 개인의 재산에 대해서까지도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4. 인출에 의한 자본금의 감소는 영업활동으로 인하여 나타난 것이 아니므로 결산 시에 손익계정에 대체하여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39%

16. 수익과 비용을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직접대응, 체계적이고 합리 적인 배분, 즉시 비용화 등이 있다. 다음 중에서 수익과 비용을 대응시키는 방법이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2016년 05월)
     1. 교육훈련비
     2. 광고비
     3. 판매촉진비
     4. 매출원가

     정답 : []
     정답률 : 50%

17. 20X1년 초에 설립된 ㈜상공의 20X1년 말 포괄손익계산서상 법인세비용은 ₩500,000이었다. 세무조정 후 당기법인세부채는 ₩460,000으로 기록되었다. 이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간 차이는 모두 일시적 차이가 그 원인이라고 가정한다.)(2020년 10월)
     1. 법인세비용이 ₩40,000 감소하였다.
     2. 법인세비용이 ₩10,000 증가하였다.
     3. 이연법인세부채 계정(부채)의 잔액이 ₩40,000 증가하였다.
     4. 이연법인세부채 계정(부채)의 잔액이 ₩40,000 감소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법인세비용 500,000 = 이연법인세부채 40,000 + 당기법인세부채 460,000
[해설작성자 : CPA 준비생]

18. 2012년 1월 1일에 ₩550,000을 주고 기계를 구입하였는데, 이기계의 내용연수는 5년, 잔존가치는 ₩50,000으로 추정되었다. 동 기계에 대하여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한다. 2015년 1월 1일에 이 기계의 내용연수를 7년(잔존 내용연수 4년)으로, 잔존가치를 ₩10,000으로 다시 추정하였다. 2015년에 인식할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2015년 05월)
     1. ₩50,000
     2. ₩60,000
     3. ₩80,000
     4. ₩100,00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012-2014년까지 감가상각금액 30만원
남은 금액 25만원
15년에 잔존가치 1만원 및 내용연수 7년 중 4년이 남은 것으로 조정
따라서 25만원-1만원=24만원
24만원/4년=6만원
[해설작성자 : 하프물범]

19. 다음은 회계변경과 오류수정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회계변경의 속성상 회계정책의 변경과 회계추정의 변경을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를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본다.
     2. 오류가 발견된 경우에는 항상 재무제표의 정보이용자를 위하여 특정기간에 미치는 영향과 오류의 누적효과를 계산한 후 재무제표를 소급하여 재작성하여야 한다.
     3. 추정의 근거가 되었던 상황의 변화, 새로운 정보의 획득, 추가적인 경험의 축적이 있는 경우 새로운 추정치를 당기와 미래의 재무제표에 반영한다.
     4. 회계정책을 변경하는 경우 계속성의 원칙이 훼손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20. 다음 중 회계변경과 오류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회계변경이란 새로운 사실의 발생 또는 기업이 처한 경제적· 사회적 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기존에 적용해 오던 회계 처리방법이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를 적정하게 표시 하지 못하는 경우 새로운 회계처리방법으로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2. 회계변경은 기간 간 비교가능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회계처리와 공시가 필요하다.
     3.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회계원칙을 적용하다가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을 적용하는 것은 회계정책의 변경에 해당 한다.
     4. 회계정책의 변경의 예는 유형자산 측정기준 변경, 재고자산 원가흐름의 가정변경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2과목 : 원가관리회계


21. 제조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라서 원가는 제조원가와 비제조원가로 구분된다. 다음 중 비제조원가의 예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2019년 05월)
     1. 관리비
     2. 재료원가
     3. 노무원가
     4. 제조경비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관리비는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원가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2. 다음 원가의 발생시점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전기에 구입한 원재료가 당기에 생산에 투입되면 원재료는 당기발생 원가이다.
     2. 당기 생산에 투입된 근로자의 임금은 당기의 원가로 분류된다.
     3. 당기 생산에 사용된 전기요금은 당기의 원가로 분류된다.
     4. 전기에 지급한 보험료로 보험 수혜기간이 당기인 경우 당기의 원가로 분류된다.

     정답 : []
     정답률 : 30%

23. 다음 종합원가계산의 절차들을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2017년 05월)

    

     1. (3)→(2)→(4)→(1)→(5)
     2. (2)→(1)→(3)→(4)→(5)
     3. (3)→(2)→(1)→(4)→(5)
     4. (4)→(3)→(2)→(1)→(5)

     정답 : []
     정답률 : 63%

24. ㈜대한의 2016년 9월 제조간접비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차) 제조간접비-A제품 100,000원
(차) 제조간접비-B제품 200,000원
(대) 제조간접비 300,000원
     2. (차) 제조간접비-A제품 200,000원
(차) 제조간접비-B제품 100,000원
(대) 제조간접비 300,000원
     3. (차) 제조간접비-A제품 300,000원
(대) 제조간접비 300,000원
     4. (차) 제조간접비-B제품 300,000원
(대) 제조간접비 300,000원

     정답 : []
     정답률 : 58%

25. (주)상공은 직접노동시간을 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고 있다. 10월의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은 ₩1,620,000이고 실제직접노동시간은 6,200시간이다. 추정 제조간접원가 총액은 ₩1,740,000이고 추정 직접노무시간은 6,000시간이다. 10월 한 달 동안 제조간접원가 과소(대)배부는 얼마인가?(2020년 10월)
     1. ₩135,000 과대배부
     2. ₩135,000 과소배부
     3. ₩103,000 과대배부
     4. ₩178,000 과대배부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추정: 1,740,000/6,000=290
290*6,200 = 1,798,000
1,798,000-1,620,000 = 178,000 과대배부
[해설작성자 : 공부중]

26. (주)한국의 연간제조간접비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주)한국의 20X1년도 기계시간이 1,000시간으로 예상될 때 기계시간당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은 얼마인가?(2018년 09월)

    

     1. ₩200
     2. ₩300
     3. ₩400
     4. ₩50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제조간접비 연간 예산은 200,000 + 200 × 1000 = 400,000원이 된다. 따라서 예정배부율은 400,000원 ÷ 1,000시간 = 400원/시간 이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7. 원가는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제공할 수 있는 용역잠재력을 갖는지 여부에 따라서 미소멸원가와 소멸원가로 구분된다. 미소멸 원가의 예로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2016년 05월)
     1. 매출원가
     2. 감가상각비
     3. 무형자산상각비
     4. 재고자산

     정답 : []
     정답률 : 60%

28. (주)한국의 예정 제조간접원가는 ₩500,000이며 제조간접비의 배부기준은 직접노동시간으로 예정 직접노동시간은 1,000시간이 다. 20X1년 (주)한국의 실제 직접노동시간이 1,400시간, 실제 발생 제조간접원가는 ₩600,000일 때 제조간접원가의 배부차이는?(2017년 09월)
     1. ₩100,000 과대배부
     2. ₩100,000 과소배부
     3. ₩200,000 과대배부
     4. ₩200,000 과소배부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예정배부율 : 500,000원÷1,000시간=500원/시간
예정배부액 : 500원 × 1,400시간 = 700,000원
실제발생액 : 600,000원 ∴100,000원 과대배부
[해설작성자 : 다희쌤♡]

29. (주)대한은 A, B 두 공정을 이용하여 #111제품과 #112제품 등을 생산하며, 제조간접비는 직접노동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한다. #111 제품의 A공정과 B공정의 제조간접비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A공정) ₩100,000 (B공정) ₩20,000
     2. (A공정) ₩90,000 (B공정) ₩10,000
     3. (A공정) ₩20,000 (B공정) ₩100,000
     4. (A공정) ₩100,000 (B공정) ₩90,000

     정답 : []
     정답률 : 59%

30. 다음의 부문별 원가계산 자료를 토대로 보조부문비를 상호배부법으로 배부할 경우 옳지 않은 설명은?(2017년 09월)

    

     1. 보조부문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용역의 수수에 대해서도 엄격 하게 대체 계산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2.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 관계를 전부 반영하기에, 보조 부문 상호간의 대체 계산은 용역의 수수가 전제되는 한 한없이 되풀이 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는 보조부문 상호간의 대체를 단 한번으로 한정 하고, 그 결과로서 집계된 보조부문비는 직접배부법에 의하여 각 제조부문에 배부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4. C보조부문에서 A제조부문으로 배부되는 금액은 ₩115,000 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방정식사용이 가장 편함
C부문을 X라고 가정
D부문을 Y라고 가정

X=0.3Y+120,000
Y=0.2X+70,000
[해설작성자 : 나는짱아맘]

31. 공장제조간접원가의 발생액이 다음과 같다. 이 중 전력비를 제외하고는 이미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관련 분개를 수행했을 경우에 대변에 기입되는 사항만 바르게 제시한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위 : 원)(2018년 05월)

    

     1. 미지급비용 ₩20,000, 현금 ₩70,000
     2. 전력비 ₩20,000, 복리후생비 ₩40,000, 수도광열비 ₩30,000
     3. 제조간접원가 ₩90,000
     4. 재공품 ₩90,00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전력비 : (차) 전력비 20,000 / (대) 미지급비용 20,000
복리후생비 : (차) 복리후생비 40,000 / (대) 현금 40,000
수도광열비 : (차) 수도광열비 30,000 / (대) 현금 30,000
[해설작성자 : 다희쌤♡]

32. 다음은 20×1년도 (주)한강의 변동제조간접원가에 대한 표준원가 및 차이분석자료이다. (주)한강의 20×1년도 실제 제품생산량은 몇 개인가? (단, 재공품은 없다.)(2018년 09월)

    

     1. 50개
     2. 60개
     3. 62개
     4. 68개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20/5 = 24
24/2 = 12(초과생산)

100/2+12 = 62
[해설작성자 : 공부중]

33. (주)상공은 표준원가제도를 사용하고 있다. 당기 변동제조간접비에 대한 표준원가를 분석한 결과 변동제조간접비 예산차이는 6,000원이 불리한 것으로 산출되었으며, 변동제조간접비 능률차이는 9,000 원 유리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단위당 변동제조간접비 표준원가는 30원/개당 이며, 생산량은 2,000개이다. 재공품을 표준원가로 관리 한다고 할 때 사용시점에 적절한 회계처리는?(2016년 10월)
     1. (차) 변동제조간접비 57,000
(차) 능률차이 9,000
(대) 재공품 60,000
(대) 예산차이 6,000
     2. (차) 재공품 60,000
(차) 예산차이 6,000
(대) 변동제조간접비 57,000
(대) 능률차이 9,000
     3. (차) 재공품 60,000
(차) 예산차이 6,000
(대) 변동제조간접비 75,000
(대) 능률차이 9,000
     4. (차) 재공품 60,000
(차) 능률차이 9,000
(대) 변동제조간접비 63,000
(대) 예산차이 6,000

     정답 : []
     정답률 : 40%

34. 회사는 실제 2,000단위를 생산하였고 ₩4,000,000의 노무원가가 실제 발생하였다. 회사의 단위당 표준허용시간은 24시간이고 유리한 임률차이(=가격차이)는 ₩1,200,000이고 불리한 시간차이(=능률차이)는 ₩400,000이라고 할 때 실제 작업시간은 얼마인가?(2020년 10월)
     1. 52,000시간
     2. 53,000시간
     3. 54,000시간
     4. 55,000시간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실제                     예산                    표준
4,000,000         5,200,000            4,800,000

- 가격차이:1,200,000(F)
    4,000,000+1,200,000=5,200,000
- 능률차이:400,000(U)
    5,200,000-400,000= 4,800,000

4,800,000=2,000*24*표준임률
표준임률 = 100
실제작업시간 : 5,200,000/100 = 52,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35. 다음은 표준원가계산제도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직접재료비는 차이분석시점의 구분여부에 관계없이 수량 (능률)차이는 동일하다.
     2. 제조간접비 차이분석(3분법)에서 능률차이는 변동제조간접 비에서 발생한다.
     3. 직접노무비의 차이분석에서는 임률차이와 능률차이가 나타난다.
     4. 고정제조간접비의 회계처리 시 제품원가에는 고정제조간접비 예산이 반영된다.

     정답 : []
     정답률 : 30%

36. 다음 중에서 종합원가계산의 특징들로만 묶인 것은?(2017년 09월)

    

     1. 가, 나
     2. 가, 다
     3. 나, 다
     4. 가, 나, 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 : 종합원가계산, 나 : 개별원가계산, 다 : 종합원가계산에 관한 설명이므로 가, 다가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7. (주)한강의 변동비율은 60%이며 연간 고정비는 ₩12,000,000 이다. (주)한강의 월간 손익분기점매출액은 얼마인가?(2015년 10월)
     1. ₩1,666,667
     2. ₩2,500,000
     3. ₩20,000,000
     4. ₩30,00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연간 손익분기점매출액 : 고정비/공헌이익률 = 12,000,000/(1-0.6) = 30,000,000

월간 손익분기점매출액 : 30,000,000/12 = 2,50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38. (주)한강은 종합원가계산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원재료는 공정의 초기에 전량 투입되며, 가공원가는 공정 전반에 걸쳐서 진척도에 따라 균등하게 발생한다. 재료원가의 경우 평균법에 의한 완성품환산량은 78,000단위이고, 선입선출법에 의한 완성품 환산량은 66,000단위이다. 또한 가공원가의 경우 평균법에 의한 완성품환산량은 54,400단위이고, 선입선출법에 의한 완성품환산 량은 52,000단위이다. 기초재공품의 진척도는 몇 %인가?(2017년 05월)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35%

39. CVP분석을 위해서는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몇 가지 가정이 필요 하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조업도는 독립변수인 원가와 수익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2. 수익과 원가의 행태는 결정되어 있고 관련범위 내에서 선형 이라고 가정한다.
     3. 생산량과 판매량은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4. 분석기간이 화폐의 시간가치가 중요하지 않을 정도의 단기간 이라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CVP분석의 가정
첫째, 모든 원가는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류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둘째, 수익과 원가의 행태는 확실하게 결정되어 있으며, 관련범위 내에서 선형이라고 가정한다. 즉 관련범위 내에서 매출액과 변동비는 조업도에 비례하고 고정비는 조업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셋째, 조업도만이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인이라고 가정한다.
넷째, 한 종류의 제품만을 판매한다고 가정한다
다섯째, 재고수준이 변동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여섯째, 화폐의 시간가치가 중요하지 않을 정도의 단기적인 분석이라고 가정한다.

2021 전산회계운용사 가이드북, 대한상공회의소, P258, CVP분석의 가정
[해설작성자 : 작업치료사 김정구]

40. (주)상공은 원재료 1,000개를 투입하여 3가지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A부문에서는 갑제품 400개와 중간제품 600개를 생산한다. 중간제품은 B부문에서 추가가공원가 ₩100,000을 투입하여 병제품 400개와 정제품 200개를 생산한다. A부문의 결합원가는 ₩900,000일 때, 병제품에 배부되는 결합원가는 얼마인가? (단, 단위당 판매가격은 갑제품 ₩300, 병제품 ₩450, 정제품 ₩350이다. 단, 순실현가치법을 사용하여 결합원가를 배분하기로 한다.)(2019년 09월)
     1. ₩168,000
     2. ₩186,000
     3. ₩423,000
     4. ₩432,000

     정답 : []
     정답률 : 11%
     <문제 해설>
순실현가치
갑 : 400*@300 = 120,000
병 : 400*@450 = 180,000-72,000 = 108,000
정 : 200*@350 = 70,000-28,000 = 42,000

B부문에서 투입한 추가가공원가
병 : 100,000*180,000/250,000 = 72,000
정 : 100,000*70,000/250,000 = 28,000

A부문에서 생성된 결합원가 병제품에 배분 900,000*108,000/270,000 = 360,000
B부문에서 배부해준 결합원가 72,000 합해주면 병제품에 배부된 결합원가 360,000+72,000 = 432,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41. 다음 중 비거주자가 공제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 내역은 어느 것인가? (단, 제시된 자료의 배우자 및 부양가족의 기본공제대상자 요건은 충족된다.)(2018년 09월)
     1. 비거주자 본인에 대한 기본공제
     2. 배우자 공제
     3. 부양가족 공제
     4. 장애인인 배우자에 대한 장애인 공제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비거주자(거주자가 아닌 자)의 경우 본인에 대한 기본공제만 가능하다.

거주자의 요건 :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의 거소를 둔 자
[해설작성자 : 다희쌤♡]

42. 다음 소득 중 원천징수세율이 가장 큰 소득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10월)
     1. 일용근로를 제공하고 받는 소득
     2. 고용관계 없이 다수에게 강연하고 받은 강연료 소득
     3. 세금우대종합저축에 가입하고 받은 이자소득
     4. 봉사료로 지급받은 소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다음 거주자 중 과세표준확정신고를 반드시 해야 되는 자는 누구인가?(2018년 05월)
     1. 근로소득만 있는 자
     2. 분리과세대상인 이자소득만 있는 자
     3. 연말정산대상 사업소득만 있는 자
     4. 결손금이 발생한 사업소득만 있는 자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2, 3번 보기와 같이 분리과세소득만 있는 자는 종합소득확정신고의 의무가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4. 근로자인 김부자씨의 2014년 근로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2015년 10월)

    

     1. 4,000만원
     2. 3,600만원
     3. 3,500만원
     4. 3,100만원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김상공씨의 소득세법상 기장세액공제를 계산하면 얼마인가?(2017년 05월)

    

     1. ₩500,000
     2. ₩800,000
     3. ₩1,000,000
     4. ₩1,500,000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기장소득공제 = 종합소득산출세액*(사업소득금액/종합소득금액)*20%
                         = 10,000,000*0.4*0.2
                         = 80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46. 다음 중 원천징수 대상소득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비영업대금의 이익
     2. 배당소득 중 Gross-up된 금액
     3. 근로소득
     4. 봉사료

     정답 : []
     정답률 : 40%

47. 다음은 2017.10.31 퇴사한 거주자 박대한 과장에 대한 자료이다. 퇴직소득금액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5월)

    

     1. ₩65,000,000
     2. ₩71,000,000
     3. ₩115,000,000
     4. ₩125,000,000

     정답 :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퇴직소득금액 : 가, 나
퇴직급여지급규정에 없는 퇴직공로금은 근로소득

100,000,000+15,000,000 = 115,00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8. 영세한 사업자들에게 납세의무이행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간이과세제도를 두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0년 10월)
     1. 둘 이상의 업종을 겸영하는 경우에는 수입금액이 큰 업종의 업종별 부가가치율에 세율 10%를 적용하여 납부세액을 계산한다.
     2. 일반과세자가 간이과세자로 변경되는 경우 재고품 및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일반과세자로서 이미 공제받은 매입세액에 대한 정산을 하여야 한다.
     3. 법인사업자는 간이과세자가 될 수 없다.
     4. 간이과세자에게는 세금계산서미교부가산세,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 가산세 등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공급대가(VAT포함)*업종별부가가치율*10%
[해설작성자 :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년 세법 개정으로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가 있는 간이과세자가 세금계산서를 미발행,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하면 가산세가 부과됨.
4번도 정답으로 수정 필요함.
[해설작성자 : 1트 합격 기원]

49. 다음 중 종합소득세 세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무조건 분리과세(3억 이하) 소득인 복권당첨 소득은 20% 원천징수 한다.
     2. 소득세는 2단계 누진세율 구조이다.
     3. 비실명 금융소득은 25% 원천징수 한다.
     4. 조건부 종합과세 시 2천만 원 초과분은 35%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019년 8월 현재
1번 보기 : 복권당첨소득은 3억 이하금액은 20%, 3억 초과금액은 30%로 원천징수하는 무조건분리과세 소득이다.
2번 보기 : 소득세는 7단계초과누진구조이다(6~42%)
3번 보기 : 비실명금융소득에 대하여서는 42% 최고세율로 원천징수하며, 금융실명제 미적용과 관련된 소득은 90%로 원천징수한다.
4번 보기 : 문제 보기가 완전하지 않습니다. 금융소득에 대하여서 조건부 종합과세대상인 소득은 2천만원까지는 기본 14%로, 2천만원 초과분에 대하여서는 7단계 초과누진세율을 적용하여 과세합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0. 다음 중 소득세법상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대상이 되는 소득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배당소득
     2. 사업소득
     3. 기타소득
     4. 근로소득

     정답 : []
     정답률 : 36%

51. 다음 자료(항목별 총수입금액)를 이용하여 ㈜한강시스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개발자로 근무하고 있는 거주자 갑의 종합소득에 합산될 기타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기타소득의 필요경비가 확인되지 않아서 해당 수입금액의 60%에 상당하는 금액을 필요경비로 계산한다고 가정한다.)(2020년 10월)

    

     1. ₩2,450,000
     2. ₩2,850,000
     3. ₩3,090,000
     4. ₩3,230,000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150만원*60%
225만원*60%
35만원 근로소득
3975천원*60%
=60+90+159=309만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 나, 라 = 기타소득
다 = 근로소득

1,500,000+2,250,000+3,975,000=7,725,000

필요경비: 7,725,000*60%=4,635,000
기타소득금액 : 7,725,000-4,635,000=3,09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52. 다음은 홍길동의 종합소득세계산내역이다. 근로소득세액공제액은 얼마인가?(2017년 09월)

    

     1. 165,000원
     2. 198,000원
     3. 305,000원
     4. 341,000원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산출세액*근로소득금액/종합소득금액 = 720,000*10,000,000/20,000,000 = 360,000
360,000*0.55 = 198,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53. 다음 중 비과세 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10월)
     1. 공익신탁법에 따른 공익신탁의 이익
     2. 국민연금법에 따른 사망일시금
     3. 사업소득 중 논밭을 작물생산에 이용하게 함으로써 발생한 소득
     4. 실비변상적 성질이 없는 급여

     정답 : []
     정답률 : 26%

54. 재화의 공급시기에 대한 기준 중 재화가 인도되거나 이용가능하게 되는 때로 공급시기를 인정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8년 05월)
     1. 현금판매
     2. 외상판매
     3. 가공 후 판매
     4. 무인판매기를 이용한 판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현금판매, 외상판매, 가공 후 판매는 재화가 인도된 때가 공급시기이나, 무인판매기를 이용한 판매는 사업자가 무인판매기에서 현금을 인취한 때가 공급시기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5. 국내에서 국외로 국제운송 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사업자가 비거주자 또는 외국법인일 때 부가가치세법 상 용역의 공급 장소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화물의 운송계약이 체결되는 장소
     2. 화물이 적재되는 장소
     3. 화물이 도착하는 장소
     4. 화물 운송사업자의 본점 소재지

     정답 : []
     정답률 : 43%

56.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시 제출하는 첨부서류와 관련 없는 것은?(2016년 05월)
     1. 사업장현황명세서
     2. 수출실적명세서
     3. 외화입금증명서
     4. 내국신용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부가가치세법상 과세유형의 전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간이과세자가 간이과세 적용이 배제되는 사업을 신규로 겸영 하는 경우에는 당해 사업의 개시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다음 과세기간부터 간이과세자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2. 과세유형이 변경되는 경우에 당해 사업자의 관할세무서장은 그 변경되는 과세기간 개시 20일전까지 그 사실을 통지하여야 하며, 사업자등록증을 정정하여 과세기간 개시당일까지 발급하여야 한다.
     3. 소매업을 영위하는 사업자가 일반과세자에서 간이과세자로 변경될 경우 과세관청의 과세유형전환사실에 대한 통지가 없으면 간이과세자로 전환되지 않는다.
     4.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변경되어 간이과세가 적용되지 않게 되는 사업자에 대하여는 그 통지를 받은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까지는 간이과세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58. 소득세법상 근로소득세액의 연말정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기본공제대상자에 해당하는 7세 이상의 자녀(7세 미만의 취학 아동 포함)가 2명인 경우 30 만원을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한다.
     2.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형제(25세, 대학생)가 연간 소득 금액이 없는 경우 거주자의 기본공제대상자가 될 수 있다.
     3.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배우자(35세, 전업주부)가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인 경우 거주자의 기본공제대상자가 될 수 있다.
     4.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배우자가 없는 사람으로서 기본 공제대상자인 직계비속이 있는 경우 연 100만원을 종합소득 금액에서 공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형제자매에 대하여서는 생계요건, 나이요건, 소득요건을 모두 고려해 보아야 한다. 이 때 나이요건은 20세 이하, 60세 이상의 범위에 속해야 하는데, 25세는 범위 밖이므로 기본공제대상자가 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9. 2016년에 간이과세사업자로 사업을 개시한 홍길동의 2016년 매출액이 ₩50,000,000인 경우 일반과세자로 과세유형이 전환 되는 시기는 언제인가?(2016년 05월)
     1. 2017.1.1.
     2. 2017.7.1.
     3. 2018.1.1.
     4. 2018.7.1

     정답 : []
     정답률 : 40%

60. 재화의 공급의제에 대한 과세표준에서 자가공급, 개인적 공급, 사업상 증여 및 폐업시의 잔존재화에 대한 과세표준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재화가 감가상각자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간주시가=해당 재화의 취득가액×(1-체감률×경과된 과세기간의 수)이다.
     2. 취득가액은 매입세액을 공제받은 해당 재화의 부가가치세액으로 한다.
     3. 체감률은 건물, 건축물의 경우에는 5%이다.
     4. 기타 감가상각자산은 25%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24081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3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02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6517613)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0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00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399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698631)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240816)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397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745409)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396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395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394 컴퓨터그래픽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2월01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393 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392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391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312618)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390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389 인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1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388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387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1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386 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8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385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5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384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Board Pagination Prev 1 ...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 253 Next
/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