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74540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화학분석 과정관리


1. 분광광도계에 반드시 포함해야하는 부분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Integrator
     2. Detecter
     3. Readout
     4. Monochromator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적분기 2. 검출기 3. 판독기 4. 단색화장치
[해설작성자 : 만거]

4. 파장 선택기 / 단색화 장치 둘 다 맞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빛에서 300nm만 뽑아내는 장비 = 단색화 장치 = 파장 선택기.
[해설작성자 : Rivolo]

2. 0.195M H2SO4 용액 15.5L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18.0M H2SO4용액의 부피(mL)는?(2021년 03월)
     1. 0.336
     2. 92.3
     3. 168
     4. 226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0.195×15.5)÷18.0=0.168L=168ml
[해설작성자 : Birdy]

3. 아래 화합물의 이름은?(2021년 03월)

   

     1. o-dibromohexane
     2. p-dibromobenzene
     3. m-dibromobenzene
     4. p-dibromohexane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ortho(o-):1,2번위치
meta(m-):1,3번위치
para(p-):1,4번위치

1,4번위치에 브롬이 있고 모체는 벤젠이므로
p-dibromobenzene
[해설작성자 : Birdy]

4. 분석방법에 대한 검증은 인증 표준물질(CRM)과 표준물질(RM) 또는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검증한다. 다음 중 분석방법에 대한 검증항목이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정량한계
     2. 안전성
     3. 직선성
     4. 정밀도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시험법 밸리데이션의 주요 항목
정확성
정밀성 - 반복정밀성
정밀성 - 실간정밀성
정밀성 - 실내정밀성
특이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
범위
완건성

기타 용액안정성 및 검체안정성, 시스템적합성 항목을 볼 수 있으나, 안전성에 대한 평가는 분석법 밸리대이션 항목이 아님.
[해설작성자 : 티케이맥스]

5. 분자량이 비슷한 아래의 물질 중 끓는점이 가장 높은 물질의 분자간 작용하는 힘의 종류를 모두 나열한 것은?(2022년 04월)

   

     1. 분산력, 수소결합
     2. 공유결합, 수소결합
     3. 공유결합, 쌍극자-쌍극자 인력
     4. 쌍극자-쌍극자 인력, 수소결합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이 문제의 핵심은 분자간 작용하는 힘과 원자간 작용하는 힘을 구별하는 것입니다.
원자간 작용: 공유결합, 이온결합 등
분자간 작용: 수소결합, 쌍극자(극성), 분산력(비극성) 등
+ 수소결합이 있는 분자는 끓는 점이 오릅니다.
[해설작성자 : Rivolo]

6. 0.10M KNO3용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이 용액 0.10L에는 6.02×1022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2. 이 용액 0.10L에는 6.02×1023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3. 이 용액 0.10L에는 0.010몰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4. 이 용액 0.10L에는 1.0몰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0.1M KNO3에는 0.1M의 K+이온이 존재
0.1M=0.1mol/L이므로
0.1L에는 0.1mol/L×0.1L=0.01mol
1몰은 6.02×10^23/mol이므로
0.01mol×6.02×10^23/mol=6.02×10^21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7. 다음 물질을 전해질의 세기가 강한 것부터 약해지는 순서로 나열한 것은?(2020년 09월)

   

     1. NaCl > CH3COCH3 > NH3 > H2O
     2. NaCl > NH3 > H2O > CH3COCH3
     3. CH3COCH3 > NH3 > NaCl > H2O
     4. CH3COCH3 > NaCl > NH3 > H2O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 NaCl 가용성염 > NH3 약염기 > H2O 약전해질 > CH3COCH3 유기화합물
[해설작성자 : 단츄즈]

8. Kjeldahl법에 의한 질소의 정량에서, 비료 1.325g의 시료로부터 암모니아를 증류해서 0.2030N H2SO4 50mL에 흡수시키고, 과량의 산을 0.1908N NaOH로 역적정하였더니 25.32mL가 소비되었다. 시료 속의 질소의 함량(%)은?(2020년 06월)
     1. 2.6
     2. 3.6
     3. 4.6
     4. 5.6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50ml-(0.1908N×25.32ml÷0.2030N)]×0.2030N
=5.318944meq
1:1=NH3:N
5.318944meq×(1eq/1000meq)×14.0067g/eq
=0.0745g
(0.0745/1.325)×100(%)=5.6%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9. 다음 유기화합물을 옳게 명명한 것은?(2021년 09월)

   

     1. 2,4-클로로페닐아세트산
     2. 1,3-디클로로벤젠아세트산
     3.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4. 1-옥시아세트산2,4-클로로벤젠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모체가 되는 탄화수소 사슬을 정한다.
모체가 되는 작용기를 특정한다.
모체 에서 나온 가지 사슬을 특정한다.
작용기나 가지 사슬이 2개 이상 있는 경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작용기 또는 가지 사슬이 가장 낮은 번호가 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티케이맥스]

10. 광학기기를 바탕으로 한 분석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1년 03월)
     1. GC
     2. IR
     3. NMR
     4. XRD

     정답 : []
     정답률 : 80%

11. 바탕시료 분석을 통해 분석자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2022년 04월)
     1. 영점
     2. 오차
     3. 처리시간
     4. 매트릭스 바탕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바탕시료는 blank값을 잡을때 사용하죠
[해설작성자 : 박상신]

12. 비활성 기체로 채워진 관 안의 두 전극 사이에 발생한 기체 이온과 전자를 이용하는 분광법은?(2020년 09월)
     1. 원자 형광 분광법
     2. 글로우 방전 분광법
     3. 플라즈마 방출 분광법
     4. 레이저 유도 파괴 분광법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글로방전
*시료도입과 시료원자화를 동시에 수행
*250~1000V로 유지되고 있는 두 전극 사이에 들어있는 낮은 압력의 아르곤 기체에서 발생
*전압을 걸어주면 아르곤 기체는 양이온과 전자로 분리됨
[해설작성자 : 화분기가즈아]

13. 화학식과 그 명칭을 잘못 연결한 것은?(2022년 03월)
     1. C3H8 - 프로판
     2. C4H10 - 펜탄
     3. C6H14 - 헥산
     4. C8H18 - 옥탄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C4H10 - 부탄(뷰테인)
[해설작성자 : 쫌 어렵네?]

C가 하나씩 늘때마다
메타-에타-프로파-부타 - 펜타-헥사-헵사-옥타-노나-데카 이런식으로 명칭이 바뀝니다,
[해설작성자 : 박상신]

14. 분석계획 수립 시 필요한 지식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표준분석법에 대한 지식
     2. 시험기구의 종류에 대한 지식
     3. 분석시험 절차에 대한 지식
     4. 동료 연구자에 대한 지식

     정답 : []
     정답률 : 87%

15. 11.99g의 염산이 녹아있는 5.48M 염산 용액의 부피(mL)는? (단, Cl의 원자량은 35.45 g/mol 이다.)(2021년 09월)
     1. 12.5
     2. 17.8
     3. 30.4
     4. 60.0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M=mol/L
HCl(M) = 11.99/36.45=0.329mol
0.329mol/5.48M = 0.060L
1L=1000ml
0.60*1000=60
[해설작성자 : or늑한나무]

원자량 35.45로 계산하면 정답 61 나와요
[해설작성자 : 화분기 내일 시험…]

위 해설답변분이 미리 경고해주신건지 모르겠는데
HCl은 36.45
Cl만 계산해야 35.45 나와용
[해설작성자 : 화분기 내일모레 시험]

16. 11.3g의 암모니아 속에 들어있는 수소원자의 몰수(mol)는?(2021년 09월)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M=mol/L
NH3(M) = 11.3/17=0.665mol
0.665*3=1.995
약2.0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17. 원소 및 원소의 주기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Mg의 1차 이온화 에너지는 3주기 원소들 중에 가장 작다.
     2. Cl이 염화이온(Cl-)이 될 때 같은 주기 원소 중 가장 많은 에너지를 흡수한다.
     3. Na가 소듐이온(Na+)이 되면 반지름이 증가한다.
     4. K의 원자반지름은 Ca의 원자반지름보다 크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주기는 왼쪽일 수록 반지름이 크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같은 주기(3주기)인 원소 K, Ca에 대하여 주기율표상 족이 오른쪽에 있으면 반지름이 크다. (K는 1족, Ca는 2족 원소)
[해설작성자 : 기사 몽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 Ca는 3주기가 아니고 4주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기사 몽이]

18. 몰랄농도가 3.24m인 K2SO4 수용액 내 K2SO4의 몰분율은? (단, 원자량은 K 39.10, O 16.00, H 1.008, S 32.06 이다.)(2020년 09월)
     1. 0.551
     2. 0.36
     3. 0.0552
     4. 0.036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물 1kg의 몰수=1000g/(18g/mol)=55.56mol
K2SO4의 몰수=3.24mol
따라서 K2SO4의 몰분율= 3.24/(3.24+55.56)=0.0552
[해설작성자 : 심찡]

19. 부탄(C4H10) 1몰을 완전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물의 질량비에 가장 가까운 것은?(2022년 03월)
     1. 2.77 : 1
     2. 1 : 2.77
     3. 1.96 : 1
     4. 1 : 1.96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C4H10 1몰이 완전 연소되면 이산화 탄소 4몰, 물 5몰이 생성된다. 4x44:5x18=1.9555:1    이다.
[해설작성자 : 으니링]

20. 일반적인 화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열역학적 개념 중에 엔트로피는 특정 물질을 이루고 있는 입자의 무질서한 운동을 나타내는 특성이다.
     2. 빛을 금속 표면에 쪼였을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을 광전효과라 하며, Albert Einstein이 발견하였다.
     3. 기체 상태의 원자에 전자 하나를 더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이온화 에너지라 한다.
     4. 같은 주기에서 원자의 반지름은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이온화에너지가 아니라 전자친화도임.
전자친화도 : 기체 원자가 전자 1개를 받아들일 때 방출하는 에너지와 기체 음이온으로부터 전자 한 개를 떼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해설작성자 : 재수생]

전자친화도 : 기체 상태 원자나 분자에 전자가 더해져 음이온이 되었을 때 방출되는 에너지로 정의된다.
이온화에너지 : 기체 상태의 원자에서 최외각 전자 1개를 떼어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
[해설작성자 : 한귤이]

2과목 : 화학물질 특성분석


21. 약산(HA)과 이의 나트륨 염(NaA)으로 이루어진 완충용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완충용액의 이다.
     2. 완충용액을 희석하여도 pH 변화가 거의 없다.
     3. 완충용액의 완충 용량은 약산(HA)과 소듐염(NaA)의 농도에 무관하다.
     4. 완충용액의 완충 용량은 작을수록 크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완충용량은 HA와 A-의 비가 같아서 1:1 일때 가장 큰거 아닌가요?
A-/HA 비가 작을수록 완충용량이 크다는 것은 오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HA와 A-의 비가 1:1일 때 log[A-]/[HA]의 값은 0입니다.
문제의 보기에는 절댓값을 취했으므로 최솟값은 0입니다.
비가 1:1일 때 해당 값은 최솟값인 0이 됩니다.
따라서 |log[A-]/[HA]|가 작을수록 완충용량이 크다는 것은 맞는 보기입니다.

22. pH=0.3인 완충용액에서 0.02 M Fe3+ 용액 10.0mL를 0.010M 아스코브산 용액으로 적정할 때 당량점에서의 전지 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DAA:디하이드로아스코브산, AA:아스코브산의 약자이며, 전위는 백금 전극과 포화칼로멜 전극으로 측정하였으며, 포화칼로멜 전극의 E=0.241 V이다.)(2020년 06월)

    

     1. 0.251V
     2. 0.295V
     3. 0.342V
     4. 0.492V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E=0.390-(0.0592/2)log([AA]/[DAA][H+]^2)
E=0.732-0.0592log([Fe2+]/[Fe3+])
두 식을 더하기 위해 제일 윗 식에 ×2
2E=0.780-0.0592log([AA]/[DAA][H+]^2)
더하면
3E=(0.780+0.732)-0.0592log(1/[H+]^2)
당량점이므로 수소이온농도를 제외하고 1로 소거된다.
[H+]=10^-pH이므로
E=(1.512+0.0592log((10^-0.3)^2))÷3
=0.49216
0.49216-0.241=0.251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23. 0.10M 암모니아 용액의 pH는? (단, NH3의 pKb는 5이고, Kw는 1.0×10-14 이다.)(2022년 04월)
     1. 9
     2. 10
     3. 11
     4. 12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암모니아의 Kb 식을 쓰면 NH3 + H2O -> NH4+ + OH-이다. 여기서 pKb가 9이므로 Kb는 10^-9이다. 여기서 [OH-] = x로 두고 Kb에 대한 식을 쓰면, Kb = x^2 / 0.10 - x 이다. 0.10 - x는 0.10에 가깝다. 따라서 10^-9 = x^2 / 0.10이다. [OH-] = x = 0.001이다.
pOH = 3이므로 pH = 14 - pOH = 11이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Kb는 10^-5이다
[해설작성자 : 호호아갓씨]

pkb = 5 이며 Kb는 10^(-5),
Kb= [nh4+][oh-]/[nh3]이므로 ,
10^(-5) = x^2/ 0.1
x= 10^(-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약염기의 농도[OH-]는 [NH4+]로 근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OH-]=[NH4+]=루트(c x Kb). c=농도
그러므로 [OH-]=루트(0.1x10^-5)=10^-3
pOH=3 -> pH= 11
[해설작성자 : 경북대학교]

24. Cu(s) + 2Fe3+ ⇆ 2Fe2++Cu2+ 반응의 평형상수는?(2021년 05월)

    

     1. 2.0 x 108
     2. 4.0 x 1014
     3. 4.0 x 1016
     4. 2.0 x 104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Cu(s) + 2Fe3+ ⇆ 2Fe2++Cu2+ 이므로
첫번째 반응식 - 두번째 반응식
즉, E'= 0.771-0.339= 0.432V
E'(표준환원전위)= (0.0592/2 )*logK
K= 10^(0.432*2/0.0592)
= 3.932 * 10^14 = 4.0 x10^14
[해설작성자 : 구동매]

25. 다음 표준환원전위를 고려할 때 가장 강한 산화제는?(2020년 06월)

    

     1. Cu2+
     2. Cu(s)
     3. Cd2+
     4. Cd(s)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전극 전위가 더 양의 값을 가지면, 산화형은 더 센 산화제이고, 환원형은 더 약한 환원제이다.
반대로 전극 전위가 더 음의 값을 가지면 산화형은 더 약한 산화제이고, 환원형은 더 센 환원제이다.
Cu2+ : 센 산화제
Cu(s) : 약한 환원제
Cd2+ : 약한 산화제
Cd(s) : 센 환원제
[해설작성자 : 배쏘]

26. 원자 흡수 분광법과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 기기의 부분 장치 배열에서의 가장 큰 차이는?(2020년 06월)
     1. 원자 흡수 분광법은 광원 다음에 시료가 나오고 원자 형광 분광법은 그 반대이다.
     2. 원자 흡수 분광법은 파장 선택기가 광원보다 먼저 나오고 원자 형광 분광법은 그 반대이다.
     3. 원자 흡광 분광법과는 다르게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는 입사 광원과 직각 방향에서 형광선을 검출한다.
     4. 원자 흡수 분광법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할 수 없으나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는 사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원자 흡수 분광법: 광원>파장선택기>시료>검출기>기록계
원자 형광 분광법: 광원>파장선택기>시료>직각 방향으로 꺽어서 파장선택기 배치>검출기>기록계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27. 0.10M NaNO3를 포함하는 AgCl 포화 용액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AgCl의 Ksp = 1.8×10-10 이다.)(2022년 04월)
     1. 이온 세기는 0.20M 이다.
     2. Ag+와 Cl-의 농도는 동일하다.
     3. Ag+의 농도는 M이다.
     4. 이 용액에서 Ag+의 활동도 계수는 증류수에서보다 크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NaNO3만 고려했을 때 이온 세기가 0.2M, AgCl도 있으므로 오답.
이온 세기 = (각 이온 농도*전하량)의 총합/2
2. 이 용액에서, Ag+가 생기기 위해서는 AgCl이 분해되어야 함. 항상 Ag+와 Cl-의 농도는 동일.
3. 활동도를 생각하면 오답. 여기서 소거법으로 2번과 3번은 같은 이야기 하니깐... 하면 함정에 걸린 겁니다.
4. 활동도 계수는 이온이 많을수록(이온세기가 클수록) 감소함.
저도 이 부분이 헷갈렸는데...
이온 세기가 세지면 용액 속 이온을 감싸면서 마치 용액에 이온이 없는 것처럼 거동이 일어남. 즉 용해도 증가
활동도 = 활동도 계수*농도에서 활동도는 그대로인데 농도는 증가하므로 활동도 계수는 감소해야 함.
[해설작성자 : Rivolo]

3번이 정답이 아닌 이유는 순수한 물에서 [Ag+]가 루트Ksp이고, 문제에서는 NaNO3 0.1M을 포합하는 용액이라서 정답이 아님.
[해설작성자 : 경북대학교]

1. 이온세기는 1/2(0.1*(+1)^2 + 0.1 * (-1)^2) = 1/2 * 0.2 = 0.1 의 이온세기를 가집니다.
[해설작성자 : 분석기사대학교]

28. 인산(H3PO4)의 단계별 해리 평형과 산 해리 상수(Ka)가 아래와 같을 때, 인산이온(PO43-)의 염기 가수 분해 상수(Kb1)는? (단, Kw는 1.0×10-14 이다.)(2022년 04월)

    

     1. 1.00×10-14
     2. 1.41×10-12
     3. 1.58×10-7
     4. 2.37×10-2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Kb1 x Ka3 = Kw이므로 Kb1 = 1.0 x 10^-14 / 4.22 x 10^-13 = 2.37×10-2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29. 전이에 필요한 에너지가 가장 큰 것은?(2021년 03월)
     1. 분자 회전
     2. 결합 전자
     3. 내부 전자
     4. 자기장 내에서 핵스핀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내부 전자 > 결합 전자 > 분자 회전 > 자기장 내에서 핵스핀
[해설작성자 : 붙고싶다]

30. 두 이온의 표준 환원 전위(E°)가 다음과 같을 때 보기 중 가장 강한 산화제는?(2020년 06월)

    

     1. Ag+(aq)
     2. Ag(s)
     3. Cd+(aq)
     4. Cd(s)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극 전위가 더 양의 값을 가지면, 산화형은 더 센 산화제이고, 환원형은 더 약한 환원제이다.
반대로 전극 전위가 더 음의 값을 가지면 산화형은 더 약한 산화제이고, 환원형은 더 센 환원제이다.
Ag+: 센 산화제
Ag(s): 약한 환원제
Cd2+: 약한 산화제
Cd(s): 센 환원제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31. 0.10M NaCl 용액에 PbI2가 용해되어 생성된 Pb2+농도(mg/L)는? (단, Pb2+의 질량은 207.0 g/mol, PbI2의 용해도곱상수는 7.9x10-9, 이온세기가 0.10M일 때 Pb2+과 I-의 활동도계수는 각각 0.36과 0.75이다.)(2021년 05월)
     1. 0.221
     2. 0.442
     3. 221
     4. 442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0.36 * pb2+][0.75 * i1-]^2 = 7.9 * 10^-9 = (0.36*x)(2*0.75*x)^2 = 7.9 *10^-9, x = 2.136 * 10^-3M = [pb2+]
2.136 * 10^-3 mol/l * 207g/mol = 442mg/l (mg/l 임을 주의)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

a = r * c    활동도 = 활동도 계수 * 농도
활동도란 열역학적으로 보정된 농도를 말하며
문제에서 활동도 계수를 주었으므로 활동도 계수*농도 (활동도) 으로 나온 값을
우리가 일반적으로 계산하는 농도값으로 이용하면 됨
[해설작성자 : KangCorn]

32. 염이 녹은 수용액의 액성을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NaNO3 : 중성
     2. Na2CO3 : 염기성
     3. NH4Cl : 산성
     4. NaCN : 산성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CN-는 약산인 HCN의 짝염기이므로 염기성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33. pH=6인 완충용액을 만드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4월)

    

     1.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52%

34. 0.08364M 피리딘 25.00mL를 0.1067M HCl로 적정하는 실험에서 HCl 4.63mL를 했을 때 용액의 pH는? (단 피리딘의 Kb=1.59×10-9이고, Kω=1.00×10-14이다.)(2020년 06월)
     1. 8.29
     2. 5.71
     3. 5.20
     4. 4.75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pOH=pKb+log([BH+]/[B])
0.08364M×25.00ml=2.091mmol B
0.1067M×4.63ml=0.494mmol H+
2.091-0.494=1.597mmol B
0.494mmol BH+
pOH=-log(1.59×10^-9)+log(0.494/1.597)
=8.29
pH=14-pOH=5.71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35. MnO4-서 Mn의 산화수는 얼마인가?(2020년 08월)
     1. +2
     2. +3
     3. +5
     4. +7

     정답 : []
     정답률 : 85%

36. 옥살산은 뜨거운 산성용액에서 과망간산 이온과 아래와 같이 반응한다. 이 반응에서 지시약 역할을 하는 것은?(2022년 03월)

    

     1. H2C2O4
     2. MnO4-
     3. CO2
     4. H2O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MnO4-가 수용액에서 보라색을 띄므로, 반응의 진행에 따라 보라색이 옅어지므로 지시약 역할을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흡광도]

37. NaCl 수용액에 AgCl(s)을 녹여 포화된 수용액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Cl- 이온을 공통 이온이라 한다.
     2. NaCl을 더 가하면 AgCl(s) 이 생성된다.
     3. NaBr을 가하면 AgCl(s)이 증가한다.
     4. 용액에 암모니아(NH3)를 가하면 AgCl(s)의 용해도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3. NaBr을 가하여도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음
[해설작성자 : 뿡빵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 NaBr을 가하면 Na+ 이온의 수가 증가하고 Na+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
NaCl(s)가 증가. Cl이 감소했으므로 AgCl(s)의 양은 [감소한다.]
기존에 NaCl이 얼마나 있었냐에 따라 변화가 없을 수도 있지만, 무조건 없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Rivolo]

38. 물질의 성질과 관련된 다음의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는 시험은?(2022년 04월)

    

     1. 분산도 및 인장 강도
     2. 입자 크기 및 분산도
     3. 입자 크기 및 표면 분석
     4. 표면 분석 및 전기적 특성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미립자계, dispersion(분산) 등으로 2번 예측 가능.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39. 정밀도는 대푯값 주위에 측정값들이 흩어져 있는 정도를 말한다. 다음 중 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는?(2022년 04월)
     1. 정확도
     2. 상관 계수
     3. 분포 계수
     4. 표준 편차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표준편차, 분산, 상대표준오차 등이 정밀도를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40.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과 관련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1J의 에너지는 1A의 전류가 전위차가 1V인 점들 사이를 이동할 때 얻거나 잃는 양이다.
     2. 산화·환원 반응은 전자가 한 화학종에서 다른 화학종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전기 전압은 전기화학 반응에 대한 자유 에너지 변화(△G)에 비례한다.
     4. 전류는 전기화학 반응의 반응속도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J의 에너지는 1C의 전하가 전위차가 1V인 점들 사이를 이동할 때 얻거나 잃는 양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3과목 : 화학물질 구조분석


41. Cd | Cd2+ || Cu2+ | Cu 전지에서 Cd2+의 농도는 0.0100M, Cu2+의 농도가 0.0100M이고 Cu 전극 전위는 0.278V, Cd 전극의 전극 전위는 –0.462V 이다. 이 전지의 저항이 3.00Ω이라 할 때, 0.100A를 생성하기 위한 전위(V)는?(2022년 03월)
     1. 0.440
     2. 0.550
     3. 0.660
     4. 0.770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E0=0.278-(-0.462)=0.74
V=0.100A x 3.00=0.3
0.74-0.3=0.44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시차열분석법(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DTA는 시료와 기준물을 가열하면서 이 두 물질의 온도 차이를 온도 함수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2. 시차열분석도(DTA thermogram)에서 봉우리 면적은 물리·화학적 엔탈피 변화에만 관계된다.
     3. DTA로 중합체를 분석할 때, 유리 전이 온도의 기준선 변화는 상평형에 따른 열용량의 변화에 기인된 것이다.
     4. 중합체의 결정형성은 발열과정으로서 시차열분석도(DTA thermogram)에서 최대 봉우리로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DTA 봉우리는 시료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일어나는 화학반응과 물리적 변화로부터 생긴 것이다. (화학적 엔탈피 변화 X)
[해설작성자 : 만거]

43. 일반적인 질량 분석기의 이온화 장치와 다르게 상압에서 작동하는 이온화원은?(2022년 03월)
     1. 화학 이온화(CI)
     2. 탈착 이온화(DI)
     3. 전기 분무 이온화(ESI)
     4. 이차 이온 질량 분석(SIMS)

     정답 : []
     정답률 : 47%

44. 동일한 조건하에서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화합물 A, B, C의 머무름 시간 측정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보기 중 틀린 것은? (단, C는 컬럼 충진물과의 상호작용이 전혀 없다고 가정한다.)(2021년 05월)

    

     1. A의 조정된 머무름 시간은 1.85min이다.
     2. B의 조정된 머무름 시간은 5.36min이다.
     3. B의 A에 대한 머무름비는 2.49이다.
     4. 머무름비는 상대 머무름 값이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머무름시간=t_x - t_0이므로
A의 머무름시간 = 2.35 - 0.5 = 1.85min 이고
B의 머무름시간 = 5.86 - 0.5 = 5.36min 이다.

머무름비(α) = t_a - t_0 / t_b - t_0 (항상 α>1) 이므로
머무름비는 1.85 -0.5 / 5.36 - 0.5 하여0.278이다.
[해설작성자 : 국립한밭대학교 화생공 22]

45. 폴리에틸렌의 등온 결정화 현상을 분석할 때 가장 알맞은 열분석법은?(2022년 04월)
     1. DTA
     2. DSC
     3. TG
     4. DMA

     정답 : []
     정답률 : 54%

46. 열중량분석기(TGA)에서 시료가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넣어주는 기체는?(2020년 06월)
     1. 산소
     2. 질소
     3. 이산화탄소
     4. 수소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기(산소)로 인한 시료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나 헬륨 등을 넣어줌.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47.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하여 3가지 물질을 분리하고자 한다. 각 물질의 극성이 아래의 표와 같을 때, 머무름 지수가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되는 물질은?(2022년 03월)

    

     1. A
     2. B
     3. C
     4. 극성과 무관하여 예측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는 정지상이 무극성, 이동상이 극성이므로
극성이 작을수록 정지상과의 상호작용이 커서 머무름 지수가 큽니다~
[해설작성자 : 쫌 어렵네?]

48. 적외선 흡수 분광계를 구성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이온원
     2. 적외선 광원
     3. 검출기
     4. 단색화 장치

     정답 : []
     정답률 : 58%

49. FT-NMR에서 스캔수(N)가 10일 때 어떤 피크의 신호대잡음비(S/N ratio)를 계산하였더니 40이었다. 스캔수(N)가 40일 때, 같은 피크의 S/N ratio는?(2020년 06월)
     1. 160
     2. 80
     3. 40
     4. 1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40=(S/N)_i×sqt(10)
(S/N)_i=40/sqt(10)
(S/N)_40=(40/sqt(10))×sqt(40)
=80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50. 고체 시료 분석 시 시료를 전처리 없이 직접 원자화 장치에 도입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전열 증기화법
     2. 수소화물 생성법
     3. 레이저 증발법
     4. 글로우 방전법

     정답 : []
     정답률 : 51%

51. 열중량분석기(TGA)의 구성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단색화장치
     2. 온도 감응장치
     3. 저울
     4. 전기로

     정답 : []
     정답률 : 72%

52.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GC/MS)의 이동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1년 05월)
     1. He
     2. N2
     3. Ar
     4. Kr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GC/MS의 이동상으로 주로 수소와 헬륨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53.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NMR) 스펙트럼에서 CH3CH2CH2OCH3 분자는 몇 가지의 다른 화학적 환경을 가지는 수소가 존재하는가?(2020년 08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CH3, CH2, CH2, CH3로 총 4가지 다른 화학적 환경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54. 25℃, 1기압에서 Ca2+ 이온의 농도가 10배 변할 때 Ca2+ 이온 선택성 전극의 전위는?(2021년 03월)
     1. 2배 증가한다.
     2. 10배 증가한다.
     3. 약 30mV 변화한다.
     4. 약 60mV 변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E=Eo+(0.0592/2)log[Ca2+]
E'=Eo+(0.0592/2)log10[Ca2+]
E'-E=Eo+(0.0592/2)log10[Ca2+]-Eo-(0.0592/2)log[Ca2+]
=(0.0592/2)log10=0.0296V=29.6mV
약30mV변화
[해설작성자 : Birdy]

55. 시차열법분석(DTA)으로 벤조산 시료 측정 시 대기압에서 측정할 때와 200psi에서 측정할 때 봉우리가 일치하지 않은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20년 06월)
     1. 모세관법으로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 높은 압력에서 시료가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3. 높은 압력에서 밀도의 차이가 생겼기 때문이다.
     4. 높은 압력에서 끓는점이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56.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중 일정한 구멍 크기를 갖는 입자를 정지상으로 이용하는 방법은?(2020년 06월)
     1.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2.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3.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4.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것으로 각각의 구멍크기에 따른 물질이 분리되는 원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IR spectroscopy 의 적외선 변환기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광전도 변환기
     2. 파이로전기 변환기
     3. 열 변환기
     4. 광촉매 변환기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적외선흡수분광법의 적외선 검출기
- 열 변환기, 열전기쌍, 볼로미터, 파이로 전기 변환기, 광전도 변환기
[해설작성자 : 만거]

58. 아주 큰 분자량을 갖는 극성 생화학 고분자의 분자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이온화법은?(2020년 09월)
     1. 장 이온화(FI, Field Ionization)
     2. 화학 이온화(CI, Chemical Ionization)
     3. 전자 충돌 이온화(Electron Impact Ionization)
     4. 메트릭스 보조 레어저 탈착 이온화(MALDI,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정답 : []
     정답률 : 66%

59. ICP-MS의 작동 순서와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ICP를 켜기 전 냉각수 및 진공 상태를 확인한다.
     2. 플라스마를 켠 다음, 플라스마 작동조건을 최적화 시킨다.
     3. 시료 도입 전에 바탕 용액으로 잠깐 동안 시료 도입 장치의 조건을 맞춘다.
     4. 실험이 끝나면 플라스마를 끄고, 약산으로 시료 도입 장치를 세척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약산은 유기산이 많으므로 세척 후 남아 있는 물질이 존재해 씻는 의미가 없음
세척 시 강산을 사용해야 함
[해설작성자 : KangCorn]

ICP-MS 는 실험이 끝난뒤 플라스마를 끄고 약산도, 강산도 아닌 초순수(증류수나 탈이온수)로 세척하여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국립한밭대 화생공 22]

60. TLC에서 Rf값을 구하는 식은?(2020년 09월)
     1. 분석물의 이동거리 ÷ 용매의 최대 이동거리
     2. 분석물의 이동거리 ÷ 표준물질의 최대 이동거리
     3. 용매의 최대 이동거리 ÷ 분석물의 이동거리
     4. 표준물질의 최대 이동거리 ÷ 분석물의 이동거리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지연인자는 시료이동거리 용매이동거리 나누기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시험법 밸리데이션


61. 측정값-유효숫자 개수를 짝지은 것 중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12.9840g - 유효숫자 6개
     2. 1830.3m - 유효숫자 5개
     3. 0.0012g - 유효숫자 4개
     4. 1.005L - 유효숫자 4개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번 유효숫자 2개
[해설작성자 : 콩콩]

62. 검량곡선을 작성할 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5월)

    

     1. A, B
     2. A, D
     3. A, B, C
     4. A, C, D

     정답 : []
     정답률 : 29%

63. 밸리데이션 결과 보고서에 포함될 사항이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요약 정보
     2. 시험 장비 목록
     3. 분석법 작업 절차에 관한 기술
     4. 밸리데이션 항목 및 판단 기준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밸리데이션 결과보고서
1.요약정보
2.분석법 작업절차에 관한 기술
3.분석법 밸리데이션 실험에 사용한 표준품 및 표준물질에 관한 자료
4.밸리데이션 항목 및 판정 기준
5.밸리데이션 항목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에 관한 기술과 그 결과 크로마토그램 등 시험 기초자료
6.표준작업지침서, 시험계획서
7.참고문헌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시퍼여..]

64. 분석시험법의 밸리데이션 항목이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특이성
     2. 안전성
     3. 완건성
     4. 직선성

     정답 : []
     정답률 : 63%

65. 정확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참값에 가까운 정도이다.
     2. 측정값과 인정된 값과의 일치되는 정도이다.
     3. 반복시료를 반복적으로 측정하면 쉽게 얻어진다.
     4.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로 표현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반복해서 얻는 것은 정밀도
[해설작성자 : KangCorn]

66. 검량선(calibration curve) 작성에 사용한 데이터의 개수를 2배로 늘리면 검량선의 기울기와 y절편의 표준 불확정도 변화비는?(2021년 05월)
     1. 22
     2. 21/2
     3. 2-1
     4. 2-1/2

     정답 : []
     정답률 : 58%

67. 화학분석 결과의 정확한 판정을 위해 필요한 유효숫자와 오차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어떤 값에 대한 유효 숫자의 수는 과학적인 표시법으로 값을 기록하는 데 필요한 최대한의 자릿수이다.
     2. 곱셈과 나눗셈에서 유효 숫자의 수는 일반적으로 자릿수가 가장 큰 숫자에 의해서 제한된다.
     3. 우연(불가측) 오차는 주로 정밀도(재현성)에 영향을 주며, 약간의 우연 오차는 항상 존재한다.
     4. 계통(가측) 오차는 주로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며, 제거할 수 없는 오차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68. 20% Pt 입자와 80% C 입자의 혼합물에서 임의의 103개 입자를 취했을 때, 예상되는 Pt 입자수와 표준편차는?(2021년 05월)
     1. 입자수 : 200, 표준편차 : 9.9
     2. 입자수 : 200, 표준편차 : 12.6
     3. 입자수 : 800, 표준편차 : 11.2
     4. 입자수 : 800, 표준편차 : 19.8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0.2×10^3=200
sqrt(npq)=sqrt(10^3×0.2×0.8)=12.6
[해설작성자 : Birdy]

69. 전처리 과정의 정밀성 중 반복성은 시험농도의 100%에 상당하는 농도에서 검체의 열적인 분해가 없는 한, 단시간 간격에 걸쳐 분석법의 전 조작을 반복 측정하여 상대 표준 편차값이 1.0% 이내로 할 때 최소 반복측정 횟수는?(2021년 03월)
     1. 1
     2. 2
     3. 3
     4. 6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반복성의 평가방법
평가방법 1 : 규정된 범위를 포함한 농도에 대해 시험방법의 전체 조작을 적어도 9회 반복하여 측정한다.
평가방법 2 :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ㄴ 농도로 시험방법의 전체 조작을 적어도 6회 반복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만거]

70. 밸리데이션 항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정확성 : 측정값이 일반적인 참값 또는 표준값에 근접한 정도
     2. 정밀성 : 균일한 검체로부터 여러 번 채취하여 얻은 시료를 정해진 조건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각각의 측정값들 사이의 분산 정도
     3. 완건성 : 시험방법 중 일부 매개변수가 의도적으로 변경되었을 때 측정값이 영향을 받지 않는지에 대한 척도
     4. 검출한계 : 검체 중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물질의 함유량으로 정확한 값으로 정량되는 검출 가능 최소량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검출한계 : 검체 중에 존재하는 분석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
[해설작성자 : 짜루]

+ 반드시 정량 가능할 필요는 없다.
[해설작성자 : 만거]

71. 재현성에 관한 내용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연구실 내 재현성에서 검토가 필요한 대표적인 변동 요인은 시험일, 시험자, 장치 등이다.
     2. 연구실 간 재현성은 실험실 간의 공동실험 시 분석법을 표준화 할 필요가 있을 때 평가한다.
     3. 연구실 간 재현성이 표현된다면 연구실 내 재현성은 검증할 필요가 없다.
     4. 재현성을 검증할 때는 분석법의 전 조작을 6회 반복 측정하여 상대표준편차값이 3% 이내가 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6회반복측정이 맞으나 상대 표준 편차값 1.0% 이내임.
[해설작성자 : ncs 모듈 공부중]

정확도 측정이 9회 반복측정
재현성은 6회 반복측정이 맞으며, 상대 표준 편차값이 1.0% 이내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뀰]

72. 분석업무지시서에서 확인 가능한 검체 처리과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검체 검증 분석의 시기 : 검체의 안정성이 확보된 기간 내에서 최초 분석과 같은 날, 서로 다른 배치에서 실시
     2. 검체 검증 분석의 검체 수 : 전체 검체 수가 1000개 이하인 경우, 검체 검증 분석은 검체 수의 10%에 해당하는 수 만큼 검체를 선정
     3. 검체 검증 분석의 검체 수 : 전체 검체 수가 1000개 초과인 경우, 1000개의 10%에 해당하는 수와 1000개를 제외한 나머지의 5%에 해당하는 수만큼 검체를 선정
     4. 검체 검증 분석의 판정 기준 편차(%) :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검체 검증 분석의 시기 : 검체의 안정성이 확보된 기간 내에서 최초 분석과 다른 날, 서로 다른 배치에서 실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시료 전처리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시험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공시험(Blank Test)은 시료를 사용하지 않고 기타 모든 조건을 시료 분석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는 것이며 계통오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2. 회수시험(Recovery Test)은 시료와 같은 공존물질을 함유하는 기지 농도의 대조 시료를 분석함으로써 공존 물질의 방해 작용 등으로 인한 분석값의 회수율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3. 맹시험(Blind Test)은 분석값이 어느 범위 내에서 서로 비슷하게 될 때까지 실험을 되풀이하는 것이 보통이며 일종의 예비시험에 해당한다.
     4. 평행 시험(Parallel Test)은 같은 시료를 각기 다른 방법으로 여러 번 되풀이하는 시험으로써 계통오차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평행시험 -계통오차 제거X
[해설작성자 : 2주기적]

공시험: 한자로 [빌 공] 시료가 없는 조건에서 실험. 계통오차 제거 목적.
회수시험: 사료와 같은 공존 물질 함유된 대조시료로 실험, 공존 물질 방해하에서 회수율 검토 목적
맹시험: 일종의 예비실험, 실험 초기 작업자의 미숙달 등에 의해 큰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목적.
(그래서 오차가 적어질때까지 반복)
평행시험: 같은 시료, 같은 방법, 반복 실험, 우연오차 파악이 목표.
[해설작성자 : Rivolo]

74. 이화학 분석에 관현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시험에 필요한 유리기구를 세척, 건조해야 하며, 이 때 이전에 사용한 시약 또는 분석대상물질이 남아 있지 않도록 분석이 완료된 후 철저히 세척해야 한다.
     2. 분석결과의 통계처리는 일반적으로 평균, 표준편차 및 상대표준편차가 많이 이용된다.
     3. 정확성은 측정값이 참값에 근접한 정도를 말한다.
     4. 정밀성은 데이터의 입출력과 흐름을 추적하고 조작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75. 분석물질의 직선성을 시험한 결과 도표를 완성할 때, 값이 틀린 것은? (단, 농도 범위는 분석농도의 80~120% 이다.)(2020년 09월)

    

     1. A : 0.08
     2. B : 2012
     3. C : 0.9999
     4. D : 0.9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4. ㅡ0.9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 y절편은 -2.22라고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기울기 2024라고 나오고
y절편은 -2.22라고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뀰]

[오류신고 반론]
L2~5까지 입력 시 y=-2.22+2024x
L1~5 전부 입력 시 y=-0.9+2012x
문제에서 묻는 Y절편은 -0.9가 맞는 듯 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말이떡볶이튀김]

[오류신고 반론]
농도범위가 80~120이기 때문에 A=0.08이며 이로 인해서 B=2012, C=0.9999, D=-0.9

76. 두 실험자가 토양에서 추출한 염화이온을 함유한 수용액을 질산은 용액으로 각각 세 번씩 적정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참값이 36.90mgcl-/g시료일 때 다음의 보기 중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실험자 1이 더 정확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 실험자 1의 표준편차 값이 더 작다.
     3. 실험자 2가 더 정확히 실험하였으나 정밀하진 못하다.
     4. 실험자 2가 더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8%

77. 정량한계 결정 시 설정한 정량한계가 타당함을 입증하는 방법은?(2022년 04월)
     1. 검출한계부근의 농도로 조제된 적당한 수의 검체를 별도로 분석한다.
     2. 정량한계부근의 농도로 조제된 적당한 수의 검체를 별도로 분석한다.
     3. 검출한계부근의 농도로 조제된 검체의 크로마토그램을 확인한다.
     4. 정량한계부근의 농도로 조제된 검체의 크로마토그램을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78. 대한민국약전 의거한 근적외부스펙트럼측정법 분광분석기의 적격성 평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수행적격성 평가란 분석장비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수행적격성 평가는 최소 6개월에 한번씩 실시한다.
     3. 설치적격성 평가 시 하드웨어 일련번호, 소프트웨어의 버전 등을 기록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4. 설치적격성 평가는 장치의 설치 환경에 의한 기기의 정확성과 재현성을 검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설치적격성 평가는 장치가 고안 및 명시된 사항에 따라 설치되어있는가 확인한다
[해설작성자 : 짜루]

79.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얻기 위한 시험으로 계통오차를 제거하지 못하는 시험법은?(2020년 09월)
     1. 공시험
     2. 조절시험
     3. 맹시험
     4. 평행시험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공시험: 시료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
2. 조절 시험: 시약과 동일한 성분의 대조시료로 수행 후 결과값을 보정
3. 맹시험: 분석값이 어느 범위 내에서 서로 비슷하게 될 때 까지 실험 되풀이
4. 평행시험: 같은 시료를 여러 번 실험-> 우연오차 제거
+) 회수 시험: 같은 농도의 대조 시료로 분석-> 공존 물질의 방해 정도 확인
[해설작성자 : 난공주]

80. 유효숫자 표기 방법에 의한 계산 결과 값이 유효숫자 2자리인 것은?(2020년 06월)
     1. (7.6-0.34)÷1.95
     2. (1.05×104)×(9.92×106)
     3. 850000-(9.0×105)
     4. 83.25×102+1.35×10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유효숫자 2개
2. 유효숫자 3개
3. 유효숫자 1개
4. 유효숫자 4개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도 유효숫자 두개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진짜 모르겠음]

[오류신고 반론]
3번은 13 - 11일 때 2이면 유효숫자가 1개로 줄어드는 것처럼 (8.5-9.0)*10^5이라 0.5로 줄어서 유효숫자가 1이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ㅁㄴㅇ]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3개입니다. 8.46*10^3
덧셈은 소수점 이하 자리수가 가장 적은 유효숫자로 제한합니다.
[해설작성자 : 태미원]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4개가 맞습니다.
8.460*10^3으로, 불확도가 여전히 소숫점 셋째자리에 머무르므로 해당 자리수까지 유효슷자를 가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도파마이드]

81. 분말소화기의 종류와 소화약제의 연결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제1종 - 탄산수소나트륨
     2. 제2종 - 탄산수소칼륨
     3. 제3종 - 제1인산암모늄
     4. 제4종 – 요소와 탄산수소나트륨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제 4종 - 요소와 탄산수소칼륨
[해설작성자 : ^^]

82. 위험물안전관리법렬상 특정옥외탱크저장소로 분류되기 위한 액체위험물 저장 또는 취급 최대수량 기준은?(2020년 08월)
     1. 50000L 이상
     2. 100000L 이상
     3. 500000L 이상
     4. 1000000L 이상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특정옥외 탱크저장소 : 탱크용량 100만L 이상인 탱크
* 준 특정옥외 탱크저장소 : 탱크용량 50만L 이상 100만L 미만인 탱크
[해설작성자 : 정신체리!]

83. 폴리에틸렌의 첨가중합을 위해 필요한 단량체는?(2022년 03월)
     1. H2C = CH2
     2. H2C = CH-CH3
     3. H2N(CH2)6NH2
     4. C6H4(COOH)2

     정답 : []
     정답률 : 69%

84. 실험실 화재 발생 시 대처 요령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2022년 04월)
     1. 신속히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리고 출입문과 창을 열어 유독가스를 유출시킨다.
     2. 근접한 화재경보기를 눌러 사이렌을 작동시킨 후 소방서 등에 신고한다.
     3. 대피 시 젖은 손수건 등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숨을 짧게 쉬며 낮은 자세로 벽을 더듬어 이동한다.
     4. 화재의 초기 진압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가스 및 중간 밸브를 잠그고 즉시 대피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출입문을 열면 유독가스가 다른 공간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신속하게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고 정해진 대피장소로 가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엠앤엠즈]

85. 완전연소할 때 자극성이 강하고 유독한 기체를 발생하는 물질은?(2021년 09월)
     1. 벤젠
     2. 에틸알코올
     3. 메틸알코올
     4. 이황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이황화탄소 완전연소 반응식 : CS2 + 3 O2 -> CO2 + 2 SO2
SO2는 유독가스!!!11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86. 화학물질 취급 종사자가 200ppm의 아세톤에 3시간, 100ppm의 n-헥세인에 2시간 동안 노출되었을 때, 이 근로자의 8시간 기준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 ppm)은?(2021년 09월)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00*3+100*2)/8=100
[해설작성자 : 웅냥냥]

87. 폐기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지정폐기물의 불법처리를 막기 위해 전표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2. 수소이온 농도지수가 2.0 이하 또는 12.5 이상인 액체상태의 폐기물은 부식성 폐기물이다.
     3. 폐기물처리시설이란 폐기물의 중간처분시설, 최종처분시설 및 재활용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4. 천연방사성제품폐기물은 방사능 농도가 그램당 100베크렐 미만인 폐기물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천연방사성제품 = 방사능 농도 10Bq/g 미만    
[해설작성자 : ㄱㄱㅇㅇㅅㅅ]

88. 소방시설법령상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 자격이 아닌 것은?(2021년 03월)
     1. 소방설비기사 또는 소방설비산업기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2. 산업안전기사 또는 산업안전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2년 이상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또는 3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공무원으로 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4. 위험물기능장·위험물산업기사 또는 위험물기능사 자격으로 위험물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사람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소방안전관리자
=> 소방공무원으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특급-소방공무원20년, 2급-소방공무원3년, 3급-소방공무원1년
[해설작성자 : ㅎㅈ]

8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기반응성 물질 및 혼합물의 구분 형식 A~G 중 형식 A에 해당되는 것은?(2021년 09월)
     1. 포장된 상태에서 폭굉하거나 급속히 폭연하는 자기반응성 물질 또는 화합물
     2. 50kg 포장물의 자기가속분해온도가 75℃보다 높은 물질 또는 혼합물
     3. 분해열이 300 J/g 미만인 물질 또는 혼합물
     4. 폭발성 물질 또는 화약류 물질 또는 혼합물

     정답 : []
     정답률 : 60%

90. 화학물질관리법령상 사고대비 물질의 보관·저장 수량(kg) 기준이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Formaldehyde : 200000
     2. Hydrogen Cyanide : 15000
     3. Methylhydrazine : 10000
     4. Phosgene : 75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Hydrogen Cyanide는 15000이 아닌 1500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91. CO2 소화기의 사용시 주의 사항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모든 화재에 소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2. 모든 호화기 중 가장 소화효율이 좋음
     3. 잘못 사용할 경우 동상 위험이 있음
     4.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정답 : []
     정답률 : 66%

92. C2H4를 합성하기 위한 반응은 아래와 같으며, C2H4의 수득률이 42.5%라면 C2H4 281g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C6H14의 질량(g)은?(2021년 09월)

    

     1. 2.03 × 103
     2. 3.03 × 103
     3. 4.03 × 103
     4. 5.03 × 103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C2H4 281g은 수득률 42.5%에 대한 값이므로 수득률이 100%일때는 약 661g 이다.
661g 나누기 1mol/28g(C2H4분자량)= 23.6mol
C6H14와 C2H4의 생성몰수와 반응몰수는 1:1로 동일하므로
C2H4 23.6mol의 생성을 위해서는 C6H14는 동일하게 23.6mol이 필요하다
C6H14 23.6mol * 86g/mol= 2.03*10^3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9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위험물의 유별과 성질이 맞게 짝지어진 것은?(2022년 04월)
     1. 제1류 - 산화성액체
     2. 제2류 – 인화성액체
     3. 제3류 –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4. 제4류 – 자기반응성물질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류 산화성고체
2류 인화성고체
3류 금수성, 자연발화성
4류 인화성 액체
5류 자기연소성 물질
6류 산화성액체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9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위험물취급소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9월)
     1. 이동취급소
     2. 판매취급소
     3. 일반취급소
     4. 이송취급소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위험물취급소의 종류
- 주유,일반,이송,판매
주일이송판으로 외우세용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95. 유해가스별 방독면 정화통 외부 측면의 표시색으로 잘못 연결된 것은?(2020년 08월)
     1. 암모니아용 - 녹색
     2. 아황산용 - 노랑색
     3. 황화수소용 - 백색
     4. 유기화합물용 - 갈색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할로겐용, 황화수소용, 시안화수소용 : 회색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96. 화학 물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적절한 것은?(2020년 09월)
     1. 모든 용기에는 약품의 명칭을 기재하는 것이 원칙이나 증류수처럼 무해한 약품은 기재하지 않는다.
     2. 사용할 물질의 성상, 특히 화재·폭발·중독의 위험성을 잘 조사한 후가 아니라면 위험한 물질을 취급해서는 안 된다.
     3. 모든 약품의 맛 또는 냄새 맡는 행위를 절대로 금하고, 입으로 피펫을 빨아서 정확도를 높인다.
     4. 약품의 용기에 그 명칭을 표기하는 것은 사용자가 약품의 사용을 빨리 하게 하려는 목적이 전부다.

     정답 : []
     정답률 : 71%

9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 )에 해당하는 용어는?(2021년 09월)

    

     1. 의용소방대
     2. 자위소방대
     3. 자체소방대
     4. 사설소방대

     정답 : []
     정답률 : 75%

98. 실험실별 특성에 맞는 안전 보건 관리 수칙이 있다. 다음 중 일반적인 실험실 수칙이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사고 시 연락 및 대피를 위해 출입구 벽면 등 눈에 잘 띄는 곳에 비상 연락망 및 대피경로를 부착한다.
     2. 소화기는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비치하고, 소화기 사용법을 숙지한다.
     3. 취급하고 있는 유해 물질에 대한 물질 안전 보건 자료(MSDS)를 게시하고 이를 숙지한다.
     4. 금지 표지, 경고 표지, 지시 표지 및 안내 표지 등 필요한 안전 보건 표지는 실험실 내부가 아닌 외부에 부착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99. 인화성 액체와 함께 보관이 불가능한 물질은?(2020년 06월)
     1. 염기류
     2. 산화제류
     3. 환원제류
     4. 모든 수용액

     정답 : []
     정답률 : 65%

100. 폐기물관리법령상 폐기물처리시설의 개선기간 등에 관한 아래의 내용 중 ( )안에 들어갈 기간은?(2021년 05월)

    

     1. a: 6개월, b: 1년
     2. a: 1년, b: 6개월
     3. a: 3개월, b: 6개월
     4. a: 6개월, b: 3개월

     정답 : []
     정답률 : 48%


정 답 지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74540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화학분석 과정관리


1. 분광광도계에 반드시 포함해야하는 부분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Integrator
     2. Detecter
     3. Readout
     4. Monochromator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적분기 2. 검출기 3. 판독기 4. 단색화장치
[해설작성자 : 만거]

4. 파장 선택기 / 단색화 장치 둘 다 맞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빛에서 300nm만 뽑아내는 장비 = 단색화 장치 = 파장 선택기.
[해설작성자 : Rivolo]

2. 0.195M H2SO4 용액 15.5L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18.0M H2SO4용액의 부피(mL)는?(2021년 03월)
     1. 0.336
     2. 92.3
     3. 168
     4. 226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0.195×15.5)÷18.0=0.168L=168ml
[해설작성자 : Birdy]

3. 아래 화합물의 이름은?(2021년 03월)

   

     1. o-dibromohexane
     2. p-dibromobenzene
     3. m-dibromobenzene
     4. p-dibromohexane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ortho(o-):1,2번위치
meta(m-):1,3번위치
para(p-):1,4번위치

1,4번위치에 브롬이 있고 모체는 벤젠이므로
p-dibromobenzene
[해설작성자 : Birdy]

4. 분석방법에 대한 검증은 인증 표준물질(CRM)과 표준물질(RM) 또는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검증한다. 다음 중 분석방법에 대한 검증항목이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정량한계
     2. 안전성
     3. 직선성
     4. 정밀도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시험법 밸리데이션의 주요 항목
정확성
정밀성 - 반복정밀성
정밀성 - 실간정밀성
정밀성 - 실내정밀성
특이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
범위
완건성

기타 용액안정성 및 검체안정성, 시스템적합성 항목을 볼 수 있으나, 안전성에 대한 평가는 분석법 밸리대이션 항목이 아님.
[해설작성자 : 티케이맥스]

5. 분자량이 비슷한 아래의 물질 중 끓는점이 가장 높은 물질의 분자간 작용하는 힘의 종류를 모두 나열한 것은?(2022년 04월)

   

     1. 분산력, 수소결합
     2. 공유결합, 수소결합
     3. 공유결합, 쌍극자-쌍극자 인력
     4. 쌍극자-쌍극자 인력, 수소결합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이 문제의 핵심은 분자간 작용하는 힘과 원자간 작용하는 힘을 구별하는 것입니다.
원자간 작용: 공유결합, 이온결합 등
분자간 작용: 수소결합, 쌍극자(극성), 분산력(비극성) 등
+ 수소결합이 있는 분자는 끓는 점이 오릅니다.
[해설작성자 : Rivolo]

6. 0.10M KNO3용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이 용액 0.10L에는 6.02×1022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2. 이 용액 0.10L에는 6.02×1023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3. 이 용액 0.10L에는 0.010몰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4. 이 용액 0.10L에는 1.0몰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0.1M KNO3에는 0.1M의 K+이온이 존재
0.1M=0.1mol/L이므로
0.1L에는 0.1mol/L×0.1L=0.01mol
1몰은 6.02×10^23/mol이므로
0.01mol×6.02×10^23/mol=6.02×10^21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7. 다음 물질을 전해질의 세기가 강한 것부터 약해지는 순서로 나열한 것은?(2020년 09월)

   

     1. NaCl > CH3COCH3 > NH3 > H2O
     2. NaCl > NH3 > H2O > CH3COCH3
     3. CH3COCH3 > NH3 > NaCl > H2O
     4. CH3COCH3 > NaCl > NH3 > H2O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 NaCl 가용성염 > NH3 약염기 > H2O 약전해질 > CH3COCH3 유기화합물
[해설작성자 : 단츄즈]

8. Kjeldahl법에 의한 질소의 정량에서, 비료 1.325g의 시료로부터 암모니아를 증류해서 0.2030N H2SO4 50mL에 흡수시키고, 과량의 산을 0.1908N NaOH로 역적정하였더니 25.32mL가 소비되었다. 시료 속의 질소의 함량(%)은?(2020년 06월)
     1. 2.6
     2. 3.6
     3. 4.6
     4. 5.6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50ml-(0.1908N×25.32ml÷0.2030N)]×0.2030N
=5.318944meq
1:1=NH3:N
5.318944meq×(1eq/1000meq)×14.0067g/eq
=0.0745g
(0.0745/1.325)×100(%)=5.6%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9. 다음 유기화합물을 옳게 명명한 것은?(2021년 09월)

   

     1. 2,4-클로로페닐아세트산
     2. 1,3-디클로로벤젠아세트산
     3.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4. 1-옥시아세트산2,4-클로로벤젠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모체가 되는 탄화수소 사슬을 정한다.
모체가 되는 작용기를 특정한다.
모체 에서 나온 가지 사슬을 특정한다.
작용기나 가지 사슬이 2개 이상 있는 경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작용기 또는 가지 사슬이 가장 낮은 번호가 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티케이맥스]

10. 광학기기를 바탕으로 한 분석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1년 03월)
     1. GC
     2. IR
     3. NMR
     4. XRD

     정답 : []
     정답률 : 80%

11. 바탕시료 분석을 통해 분석자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2022년 04월)
     1. 영점
     2. 오차
     3. 처리시간
     4. 매트릭스 바탕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바탕시료는 blank값을 잡을때 사용하죠
[해설작성자 : 박상신]

12. 비활성 기체로 채워진 관 안의 두 전극 사이에 발생한 기체 이온과 전자를 이용하는 분광법은?(2020년 09월)
     1. 원자 형광 분광법
     2. 글로우 방전 분광법
     3. 플라즈마 방출 분광법
     4. 레이저 유도 파괴 분광법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글로방전
*시료도입과 시료원자화를 동시에 수행
*250~1000V로 유지되고 있는 두 전극 사이에 들어있는 낮은 압력의 아르곤 기체에서 발생
*전압을 걸어주면 아르곤 기체는 양이온과 전자로 분리됨
[해설작성자 : 화분기가즈아]

13. 화학식과 그 명칭을 잘못 연결한 것은?(2022년 03월)
     1. C3H8 - 프로판
     2. C4H10 - 펜탄
     3. C6H14 - 헥산
     4. C8H18 - 옥탄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C4H10 - 부탄(뷰테인)
[해설작성자 : 쫌 어렵네?]

C가 하나씩 늘때마다
메타-에타-프로파-부타 - 펜타-헥사-헵사-옥타-노나-데카 이런식으로 명칭이 바뀝니다,
[해설작성자 : 박상신]

14. 분석계획 수립 시 필요한 지식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표준분석법에 대한 지식
     2. 시험기구의 종류에 대한 지식
     3. 분석시험 절차에 대한 지식
     4. 동료 연구자에 대한 지식

     정답 : []
     정답률 : 87%

15. 11.99g의 염산이 녹아있는 5.48M 염산 용액의 부피(mL)는? (단, Cl의 원자량은 35.45 g/mol 이다.)(2021년 09월)
     1. 12.5
     2. 17.8
     3. 30.4
     4. 60.0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M=mol/L
HCl(M) = 11.99/36.45=0.329mol
0.329mol/5.48M = 0.060L
1L=1000ml
0.60*1000=60
[해설작성자 : or늑한나무]

원자량 35.45로 계산하면 정답 61 나와요
[해설작성자 : 화분기 내일 시험…]

위 해설답변분이 미리 경고해주신건지 모르겠는데
HCl은 36.45
Cl만 계산해야 35.45 나와용
[해설작성자 : 화분기 내일모레 시험]

16. 11.3g의 암모니아 속에 들어있는 수소원자의 몰수(mol)는?(2021년 09월)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M=mol/L
NH3(M) = 11.3/17=0.665mol
0.665*3=1.995
약2.0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17. 원소 및 원소의 주기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Mg의 1차 이온화 에너지는 3주기 원소들 중에 가장 작다.
     2. Cl이 염화이온(Cl-)이 될 때 같은 주기 원소 중 가장 많은 에너지를 흡수한다.
     3. Na가 소듐이온(Na+)이 되면 반지름이 증가한다.
     4. K의 원자반지름은 Ca의 원자반지름보다 크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주기는 왼쪽일 수록 반지름이 크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같은 주기(3주기)인 원소 K, Ca에 대하여 주기율표상 족이 오른쪽에 있으면 반지름이 크다. (K는 1족, Ca는 2족 원소)
[해설작성자 : 기사 몽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 Ca는 3주기가 아니고 4주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기사 몽이]

18. 몰랄농도가 3.24m인 K2SO4 수용액 내 K2SO4의 몰분율은? (단, 원자량은 K 39.10, O 16.00, H 1.008, S 32.06 이다.)(2020년 09월)
     1. 0.551
     2. 0.36
     3. 0.0552
     4. 0.036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물 1kg의 몰수=1000g/(18g/mol)=55.56mol
K2SO4의 몰수=3.24mol
따라서 K2SO4의 몰분율= 3.24/(3.24+55.56)=0.0552
[해설작성자 : 심찡]

19. 부탄(C4H10) 1몰을 완전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물의 질량비에 가장 가까운 것은?(2022년 03월)
     1. 2.77 : 1
     2. 1 : 2.77
     3. 1.96 : 1
     4. 1 : 1.96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C4H10 1몰이 완전 연소되면 이산화 탄소 4몰, 물 5몰이 생성된다. 4x44:5x18=1.9555:1    이다.
[해설작성자 : 으니링]

20. 일반적인 화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열역학적 개념 중에 엔트로피는 특정 물질을 이루고 있는 입자의 무질서한 운동을 나타내는 특성이다.
     2. 빛을 금속 표면에 쪼였을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을 광전효과라 하며, Albert Einstein이 발견하였다.
     3. 기체 상태의 원자에 전자 하나를 더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이온화 에너지라 한다.
     4. 같은 주기에서 원자의 반지름은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이온화에너지가 아니라 전자친화도임.
전자친화도 : 기체 원자가 전자 1개를 받아들일 때 방출하는 에너지와 기체 음이온으로부터 전자 한 개를 떼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해설작성자 : 재수생]

전자친화도 : 기체 상태 원자나 분자에 전자가 더해져 음이온이 되었을 때 방출되는 에너지로 정의된다.
이온화에너지 : 기체 상태의 원자에서 최외각 전자 1개를 떼어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
[해설작성자 : 한귤이]

2과목 : 화학물질 특성분석


21. 약산(HA)과 이의 나트륨 염(NaA)으로 이루어진 완충용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완충용액의 이다.
     2. 완충용액을 희석하여도 pH 변화가 거의 없다.
     3. 완충용액의 완충 용량은 약산(HA)과 소듐염(NaA)의 농도에 무관하다.
     4. 완충용액의 완충 용량은 작을수록 크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완충용량은 HA와 A-의 비가 같아서 1:1 일때 가장 큰거 아닌가요?
A-/HA 비가 작을수록 완충용량이 크다는 것은 오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HA와 A-의 비가 1:1일 때 log[A-]/[HA]의 값은 0입니다.
문제의 보기에는 절댓값을 취했으므로 최솟값은 0입니다.
비가 1:1일 때 해당 값은 최솟값인 0이 됩니다.
따라서 |log[A-]/[HA]|가 작을수록 완충용량이 크다는 것은 맞는 보기입니다.

22. pH=0.3인 완충용액에서 0.02 M Fe3+ 용액 10.0mL를 0.010M 아스코브산 용액으로 적정할 때 당량점에서의 전지 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DAA:디하이드로아스코브산, AA:아스코브산의 약자이며, 전위는 백금 전극과 포화칼로멜 전극으로 측정하였으며, 포화칼로멜 전극의 E=0.241 V이다.)(2020년 06월)

    

     1. 0.251V
     2. 0.295V
     3. 0.342V
     4. 0.492V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E=0.390-(0.0592/2)log([AA]/[DAA][H+]^2)
E=0.732-0.0592log([Fe2+]/[Fe3+])
두 식을 더하기 위해 제일 윗 식에 ×2
2E=0.780-0.0592log([AA]/[DAA][H+]^2)
더하면
3E=(0.780+0.732)-0.0592log(1/[H+]^2)
당량점이므로 수소이온농도를 제외하고 1로 소거된다.
[H+]=10^-pH이므로
E=(1.512+0.0592log((10^-0.3)^2))÷3
=0.49216
0.49216-0.241=0.251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23. 0.10M 암모니아 용액의 pH는? (단, NH3의 pKb는 5이고, Kw는 1.0×10-14 이다.)(2022년 04월)
     1. 9
     2. 10
     3. 11
     4. 12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암모니아의 Kb 식을 쓰면 NH3 + H2O -> NH4+ + OH-이다. 여기서 pKb가 9이므로 Kb는 10^-9이다. 여기서 [OH-] = x로 두고 Kb에 대한 식을 쓰면, Kb = x^2 / 0.10 - x 이다. 0.10 - x는 0.10에 가깝다. 따라서 10^-9 = x^2 / 0.10이다. [OH-] = x = 0.001이다.
pOH = 3이므로 pH = 14 - pOH = 11이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Kb는 10^-5이다
[해설작성자 : 호호아갓씨]

pkb = 5 이며 Kb는 10^(-5),
Kb= [nh4+][oh-]/[nh3]이므로 ,
10^(-5) = x^2/ 0.1
x= 10^(-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약염기의 농도[OH-]는 [NH4+]로 근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OH-]=[NH4+]=루트(c x Kb). c=농도
그러므로 [OH-]=루트(0.1x10^-5)=10^-3
pOH=3 -> pH= 11
[해설작성자 : 경북대학교]

24. Cu(s) + 2Fe3+ ⇆ 2Fe2++Cu2+ 반응의 평형상수는?(2021년 05월)

    

     1. 2.0 x 108
     2. 4.0 x 1014
     3. 4.0 x 1016
     4. 2.0 x 104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Cu(s) + 2Fe3+ ⇆ 2Fe2++Cu2+ 이므로
첫번째 반응식 - 두번째 반응식
즉, E'= 0.771-0.339= 0.432V
E'(표준환원전위)= (0.0592/2 )*logK
K= 10^(0.432*2/0.0592)
= 3.932 * 10^14 = 4.0 x10^14
[해설작성자 : 구동매]

25. 다음 표준환원전위를 고려할 때 가장 강한 산화제는?(2020년 06월)

    

     1. Cu2+
     2. Cu(s)
     3. Cd2+
     4. Cd(s)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전극 전위가 더 양의 값을 가지면, 산화형은 더 센 산화제이고, 환원형은 더 약한 환원제이다.
반대로 전극 전위가 더 음의 값을 가지면 산화형은 더 약한 산화제이고, 환원형은 더 센 환원제이다.
Cu2+ : 센 산화제
Cu(s) : 약한 환원제
Cd2+ : 약한 산화제
Cd(s) : 센 환원제
[해설작성자 : 배쏘]

26. 원자 흡수 분광법과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 기기의 부분 장치 배열에서의 가장 큰 차이는?(2020년 06월)
     1. 원자 흡수 분광법은 광원 다음에 시료가 나오고 원자 형광 분광법은 그 반대이다.
     2. 원자 흡수 분광법은 파장 선택기가 광원보다 먼저 나오고 원자 형광 분광법은 그 반대이다.
     3. 원자 흡광 분광법과는 다르게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는 입사 광원과 직각 방향에서 형광선을 검출한다.
     4. 원자 흡수 분광법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할 수 없으나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는 사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원자 흡수 분광법: 광원>파장선택기>시료>검출기>기록계
원자 형광 분광법: 광원>파장선택기>시료>직각 방향으로 꺽어서 파장선택기 배치>검출기>기록계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27. 0.10M NaNO3를 포함하는 AgCl 포화 용액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AgCl의 Ksp = 1.8×10-10 이다.)(2022년 04월)
     1. 이온 세기는 0.20M 이다.
     2. Ag+와 Cl-의 농도는 동일하다.
     3. Ag+의 농도는 M이다.
     4. 이 용액에서 Ag+의 활동도 계수는 증류수에서보다 크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NaNO3만 고려했을 때 이온 세기가 0.2M, AgCl도 있으므로 오답.
이온 세기 = (각 이온 농도*전하량)의 총합/2
2. 이 용액에서, Ag+가 생기기 위해서는 AgCl이 분해되어야 함. 항상 Ag+와 Cl-의 농도는 동일.
3. 활동도를 생각하면 오답. 여기서 소거법으로 2번과 3번은 같은 이야기 하니깐... 하면 함정에 걸린 겁니다.
4. 활동도 계수는 이온이 많을수록(이온세기가 클수록) 감소함.
저도 이 부분이 헷갈렸는데...
이온 세기가 세지면 용액 속 이온을 감싸면서 마치 용액에 이온이 없는 것처럼 거동이 일어남. 즉 용해도 증가
활동도 = 활동도 계수*농도에서 활동도는 그대로인데 농도는 증가하므로 활동도 계수는 감소해야 함.
[해설작성자 : Rivolo]

3번이 정답이 아닌 이유는 순수한 물에서 [Ag+]가 루트Ksp이고, 문제에서는 NaNO3 0.1M을 포합하는 용액이라서 정답이 아님.
[해설작성자 : 경북대학교]

1. 이온세기는 1/2(0.1*(+1)^2 + 0.1 * (-1)^2) = 1/2 * 0.2 = 0.1 의 이온세기를 가집니다.
[해설작성자 : 분석기사대학교]

28. 인산(H3PO4)의 단계별 해리 평형과 산 해리 상수(Ka)가 아래와 같을 때, 인산이온(PO43-)의 염기 가수 분해 상수(Kb1)는? (단, Kw는 1.0×10-14 이다.)(2022년 04월)

    

     1. 1.00×10-14
     2. 1.41×10-12
     3. 1.58×10-7
     4. 2.37×10-2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Kb1 x Ka3 = Kw이므로 Kb1 = 1.0 x 10^-14 / 4.22 x 10^-13 = 2.37×10-2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29. 전이에 필요한 에너지가 가장 큰 것은?(2021년 03월)
     1. 분자 회전
     2. 결합 전자
     3. 내부 전자
     4. 자기장 내에서 핵스핀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내부 전자 > 결합 전자 > 분자 회전 > 자기장 내에서 핵스핀
[해설작성자 : 붙고싶다]

30. 두 이온의 표준 환원 전위(E°)가 다음과 같을 때 보기 중 가장 강한 산화제는?(2020년 06월)

    

     1. Ag+(aq)
     2. Ag(s)
     3. Cd+(aq)
     4. Cd(s)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극 전위가 더 양의 값을 가지면, 산화형은 더 센 산화제이고, 환원형은 더 약한 환원제이다.
반대로 전극 전위가 더 음의 값을 가지면 산화형은 더 약한 산화제이고, 환원형은 더 센 환원제이다.
Ag+: 센 산화제
Ag(s): 약한 환원제
Cd2+: 약한 산화제
Cd(s): 센 환원제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31. 0.10M NaCl 용액에 PbI2가 용해되어 생성된 Pb2+농도(mg/L)는? (단, Pb2+의 질량은 207.0 g/mol, PbI2의 용해도곱상수는 7.9x10-9, 이온세기가 0.10M일 때 Pb2+과 I-의 활동도계수는 각각 0.36과 0.75이다.)(2021년 05월)
     1. 0.221
     2. 0.442
     3. 221
     4. 442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0.36 * pb2+][0.75 * i1-]^2 = 7.9 * 10^-9 = (0.36*x)(2*0.75*x)^2 = 7.9 *10^-9, x = 2.136 * 10^-3M = [pb2+]
2.136 * 10^-3 mol/l * 207g/mol = 442mg/l (mg/l 임을 주의)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

a = r * c    활동도 = 활동도 계수 * 농도
활동도란 열역학적으로 보정된 농도를 말하며
문제에서 활동도 계수를 주었으므로 활동도 계수*농도 (활동도) 으로 나온 값을
우리가 일반적으로 계산하는 농도값으로 이용하면 됨
[해설작성자 : KangCorn]

32. 염이 녹은 수용액의 액성을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NaNO3 : 중성
     2. Na2CO3 : 염기성
     3. NH4Cl : 산성
     4. NaCN : 산성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CN-는 약산인 HCN의 짝염기이므로 염기성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33. pH=6인 완충용액을 만드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4월)

    

     1.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52%

34. 0.08364M 피리딘 25.00mL를 0.1067M HCl로 적정하는 실험에서 HCl 4.63mL를 했을 때 용액의 pH는? (단 피리딘의 Kb=1.59×10-9이고, Kω=1.00×10-14이다.)(2020년 06월)
     1. 8.29
     2. 5.71
     3. 5.20
     4. 4.75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pOH=pKb+log([BH+]/[B])
0.08364M×25.00ml=2.091mmol B
0.1067M×4.63ml=0.494mmol H+
2.091-0.494=1.597mmol B
0.494mmol BH+
pOH=-log(1.59×10^-9)+log(0.494/1.597)
=8.29
pH=14-pOH=5.71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35. MnO4-서 Mn의 산화수는 얼마인가?(2020년 08월)
     1. +2
     2. +3
     3. +5
     4. +7

     정답 : []
     정답률 : 85%

36. 옥살산은 뜨거운 산성용액에서 과망간산 이온과 아래와 같이 반응한다. 이 반응에서 지시약 역할을 하는 것은?(2022년 03월)

    

     1. H2C2O4
     2. MnO4-
     3. CO2
     4. H2O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MnO4-가 수용액에서 보라색을 띄므로, 반응의 진행에 따라 보라색이 옅어지므로 지시약 역할을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흡광도]

37. NaCl 수용액에 AgCl(s)을 녹여 포화된 수용액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Cl- 이온을 공통 이온이라 한다.
     2. NaCl을 더 가하면 AgCl(s) 이 생성된다.
     3. NaBr을 가하면 AgCl(s)이 증가한다.
     4. 용액에 암모니아(NH3)를 가하면 AgCl(s)의 용해도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3. NaBr을 가하여도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음
[해설작성자 : 뿡빵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 NaBr을 가하면 Na+ 이온의 수가 증가하고 Na+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
NaCl(s)가 증가. Cl이 감소했으므로 AgCl(s)의 양은 [감소한다.]
기존에 NaCl이 얼마나 있었냐에 따라 변화가 없을 수도 있지만, 무조건 없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Rivolo]

38. 물질의 성질과 관련된 다음의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는 시험은?(2022년 04월)

    

     1. 분산도 및 인장 강도
     2. 입자 크기 및 분산도
     3. 입자 크기 및 표면 분석
     4. 표면 분석 및 전기적 특성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미립자계, dispersion(분산) 등으로 2번 예측 가능.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39. 정밀도는 대푯값 주위에 측정값들이 흩어져 있는 정도를 말한다. 다음 중 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는?(2022년 04월)
     1. 정확도
     2. 상관 계수
     3. 분포 계수
     4. 표준 편차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표준편차, 분산, 상대표준오차 등이 정밀도를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40.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과 관련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1J의 에너지는 1A의 전류가 전위차가 1V인 점들 사이를 이동할 때 얻거나 잃는 양이다.
     2. 산화·환원 반응은 전자가 한 화학종에서 다른 화학종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전기 전압은 전기화학 반응에 대한 자유 에너지 변화(△G)에 비례한다.
     4. 전류는 전기화학 반응의 반응속도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J의 에너지는 1C의 전하가 전위차가 1V인 점들 사이를 이동할 때 얻거나 잃는 양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3과목 : 화학물질 구조분석


41. Cd | Cd2+ || Cu2+ | Cu 전지에서 Cd2+의 농도는 0.0100M, Cu2+의 농도가 0.0100M이고 Cu 전극 전위는 0.278V, Cd 전극의 전극 전위는 –0.462V 이다. 이 전지의 저항이 3.00Ω이라 할 때, 0.100A를 생성하기 위한 전위(V)는?(2022년 03월)
     1. 0.440
     2. 0.550
     3. 0.660
     4. 0.770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E0=0.278-(-0.462)=0.74
V=0.100A x 3.00=0.3
0.74-0.3=0.44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시차열분석법(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DTA는 시료와 기준물을 가열하면서 이 두 물질의 온도 차이를 온도 함수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2. 시차열분석도(DTA thermogram)에서 봉우리 면적은 물리·화학적 엔탈피 변화에만 관계된다.
     3. DTA로 중합체를 분석할 때, 유리 전이 온도의 기준선 변화는 상평형에 따른 열용량의 변화에 기인된 것이다.
     4. 중합체의 결정형성은 발열과정으로서 시차열분석도(DTA thermogram)에서 최대 봉우리로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DTA 봉우리는 시료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일어나는 화학반응과 물리적 변화로부터 생긴 것이다. (화학적 엔탈피 변화 X)
[해설작성자 : 만거]

43. 일반적인 질량 분석기의 이온화 장치와 다르게 상압에서 작동하는 이온화원은?(2022년 03월)
     1. 화학 이온화(CI)
     2. 탈착 이온화(DI)
     3. 전기 분무 이온화(ESI)
     4. 이차 이온 질량 분석(SIMS)

     정답 : []
     정답률 : 47%

44. 동일한 조건하에서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화합물 A, B, C의 머무름 시간 측정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보기 중 틀린 것은? (단, C는 컬럼 충진물과의 상호작용이 전혀 없다고 가정한다.)(2021년 05월)

    

     1. A의 조정된 머무름 시간은 1.85min이다.
     2. B의 조정된 머무름 시간은 5.36min이다.
     3. B의 A에 대한 머무름비는 2.49이다.
     4. 머무름비는 상대 머무름 값이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머무름시간=t_x - t_0이므로
A의 머무름시간 = 2.35 - 0.5 = 1.85min 이고
B의 머무름시간 = 5.86 - 0.5 = 5.36min 이다.

머무름비(α) = t_a - t_0 / t_b - t_0 (항상 α>1) 이므로
머무름비는 1.85 -0.5 / 5.36 - 0.5 하여0.278이다.
[해설작성자 : 국립한밭대학교 화생공 22]

45. 폴리에틸렌의 등온 결정화 현상을 분석할 때 가장 알맞은 열분석법은?(2022년 04월)
     1. DTA
     2. DSC
     3. TG
     4. DMA

     정답 : []
     정답률 : 54%

46. 열중량분석기(TGA)에서 시료가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넣어주는 기체는?(2020년 06월)
     1. 산소
     2. 질소
     3. 이산화탄소
     4. 수소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기(산소)로 인한 시료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나 헬륨 등을 넣어줌.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47.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하여 3가지 물질을 분리하고자 한다. 각 물질의 극성이 아래의 표와 같을 때, 머무름 지수가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되는 물질은?(2022년 03월)

    

     1. A
     2. B
     3. C
     4. 극성과 무관하여 예측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는 정지상이 무극성, 이동상이 극성이므로
극성이 작을수록 정지상과의 상호작용이 커서 머무름 지수가 큽니다~
[해설작성자 : 쫌 어렵네?]

48. 적외선 흡수 분광계를 구성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이온원
     2. 적외선 광원
     3. 검출기
     4. 단색화 장치

     정답 : []
     정답률 : 58%

49. FT-NMR에서 스캔수(N)가 10일 때 어떤 피크의 신호대잡음비(S/N ratio)를 계산하였더니 40이었다. 스캔수(N)가 40일 때, 같은 피크의 S/N ratio는?(2020년 06월)
     1. 160
     2. 80
     3. 40
     4. 1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40=(S/N)_i×sqt(10)
(S/N)_i=40/sqt(10)
(S/N)_40=(40/sqt(10))×sqt(40)
=80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50. 고체 시료 분석 시 시료를 전처리 없이 직접 원자화 장치에 도입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전열 증기화법
     2. 수소화물 생성법
     3. 레이저 증발법
     4. 글로우 방전법

     정답 : []
     정답률 : 51%

51. 열중량분석기(TGA)의 구성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단색화장치
     2. 온도 감응장치
     3. 저울
     4. 전기로

     정답 : []
     정답률 : 72%

52.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GC/MS)의 이동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1년 05월)
     1. He
     2. N2
     3. Ar
     4. Kr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GC/MS의 이동상으로 주로 수소와 헬륨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53.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NMR) 스펙트럼에서 CH3CH2CH2OCH3 분자는 몇 가지의 다른 화학적 환경을 가지는 수소가 존재하는가?(2020년 08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CH3, CH2, CH2, CH3로 총 4가지 다른 화학적 환경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54. 25℃, 1기압에서 Ca2+ 이온의 농도가 10배 변할 때 Ca2+ 이온 선택성 전극의 전위는?(2021년 03월)
     1. 2배 증가한다.
     2. 10배 증가한다.
     3. 약 30mV 변화한다.
     4. 약 60mV 변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E=Eo+(0.0592/2)log[Ca2+]
E'=Eo+(0.0592/2)log10[Ca2+]
E'-E=Eo+(0.0592/2)log10[Ca2+]-Eo-(0.0592/2)log[Ca2+]
=(0.0592/2)log10=0.0296V=29.6mV
약30mV변화
[해설작성자 : Birdy]

55. 시차열법분석(DTA)으로 벤조산 시료 측정 시 대기압에서 측정할 때와 200psi에서 측정할 때 봉우리가 일치하지 않은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20년 06월)
     1. 모세관법으로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 높은 압력에서 시료가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3. 높은 압력에서 밀도의 차이가 생겼기 때문이다.
     4. 높은 압력에서 끓는점이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56.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중 일정한 구멍 크기를 갖는 입자를 정지상으로 이용하는 방법은?(2020년 06월)
     1.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2.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3.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4.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것으로 각각의 구멍크기에 따른 물질이 분리되는 원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IR spectroscopy 의 적외선 변환기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광전도 변환기
     2. 파이로전기 변환기
     3. 열 변환기
     4. 광촉매 변환기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적외선흡수분광법의 적외선 검출기
- 열 변환기, 열전기쌍, 볼로미터, 파이로 전기 변환기, 광전도 변환기
[해설작성자 : 만거]

58. 아주 큰 분자량을 갖는 극성 생화학 고분자의 분자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이온화법은?(2020년 09월)
     1. 장 이온화(FI, Field Ionization)
     2. 화학 이온화(CI, Chemical Ionization)
     3. 전자 충돌 이온화(Electron Impact Ionization)
     4. 메트릭스 보조 레어저 탈착 이온화(MALDI,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정답 : []
     정답률 : 66%

59. ICP-MS의 작동 순서와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ICP를 켜기 전 냉각수 및 진공 상태를 확인한다.
     2. 플라스마를 켠 다음, 플라스마 작동조건을 최적화 시킨다.
     3. 시료 도입 전에 바탕 용액으로 잠깐 동안 시료 도입 장치의 조건을 맞춘다.
     4. 실험이 끝나면 플라스마를 끄고, 약산으로 시료 도입 장치를 세척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약산은 유기산이 많으므로 세척 후 남아 있는 물질이 존재해 씻는 의미가 없음
세척 시 강산을 사용해야 함
[해설작성자 : KangCorn]

ICP-MS 는 실험이 끝난뒤 플라스마를 끄고 약산도, 강산도 아닌 초순수(증류수나 탈이온수)로 세척하여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국립한밭대 화생공 22]

60. TLC에서 Rf값을 구하는 식은?(2020년 09월)
     1. 분석물의 이동거리 ÷ 용매의 최대 이동거리
     2. 분석물의 이동거리 ÷ 표준물질의 최대 이동거리
     3. 용매의 최대 이동거리 ÷ 분석물의 이동거리
     4. 표준물질의 최대 이동거리 ÷ 분석물의 이동거리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지연인자는 시료이동거리 용매이동거리 나누기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시험법 밸리데이션


61. 측정값-유효숫자 개수를 짝지은 것 중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12.9840g - 유효숫자 6개
     2. 1830.3m - 유효숫자 5개
     3. 0.0012g - 유효숫자 4개
     4. 1.005L - 유효숫자 4개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번 유효숫자 2개
[해설작성자 : 콩콩]

62. 검량곡선을 작성할 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5월)

    

     1. A, B
     2. A, D
     3. A, B, C
     4. A, C, D

     정답 : []
     정답률 : 29%

63. 밸리데이션 결과 보고서에 포함될 사항이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요약 정보
     2. 시험 장비 목록
     3. 분석법 작업 절차에 관한 기술
     4. 밸리데이션 항목 및 판단 기준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밸리데이션 결과보고서
1.요약정보
2.분석법 작업절차에 관한 기술
3.분석법 밸리데이션 실험에 사용한 표준품 및 표준물질에 관한 자료
4.밸리데이션 항목 및 판정 기준
5.밸리데이션 항목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에 관한 기술과 그 결과 크로마토그램 등 시험 기초자료
6.표준작업지침서, 시험계획서
7.참고문헌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시퍼여..]

64. 분석시험법의 밸리데이션 항목이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특이성
     2. 안전성
     3. 완건성
     4. 직선성

     정답 : []
     정답률 : 63%

65. 정확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참값에 가까운 정도이다.
     2. 측정값과 인정된 값과의 일치되는 정도이다.
     3. 반복시료를 반복적으로 측정하면 쉽게 얻어진다.
     4.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로 표현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반복해서 얻는 것은 정밀도
[해설작성자 : KangCorn]

66. 검량선(calibration curve) 작성에 사용한 데이터의 개수를 2배로 늘리면 검량선의 기울기와 y절편의 표준 불확정도 변화비는?(2021년 05월)
     1. 22
     2. 21/2
     3. 2-1
     4. 2-1/2

     정답 : []
     정답률 : 58%

67. 화학분석 결과의 정확한 판정을 위해 필요한 유효숫자와 오차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어떤 값에 대한 유효 숫자의 수는 과학적인 표시법으로 값을 기록하는 데 필요한 최대한의 자릿수이다.
     2. 곱셈과 나눗셈에서 유효 숫자의 수는 일반적으로 자릿수가 가장 큰 숫자에 의해서 제한된다.
     3. 우연(불가측) 오차는 주로 정밀도(재현성)에 영향을 주며, 약간의 우연 오차는 항상 존재한다.
     4. 계통(가측) 오차는 주로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며, 제거할 수 없는 오차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68. 20% Pt 입자와 80% C 입자의 혼합물에서 임의의 103개 입자를 취했을 때, 예상되는 Pt 입자수와 표준편차는?(2021년 05월)
     1. 입자수 : 200, 표준편차 : 9.9
     2. 입자수 : 200, 표준편차 : 12.6
     3. 입자수 : 800, 표준편차 : 11.2
     4. 입자수 : 800, 표준편차 : 19.8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0.2×10^3=200
sqrt(npq)=sqrt(10^3×0.2×0.8)=12.6
[해설작성자 : Birdy]

69. 전처리 과정의 정밀성 중 반복성은 시험농도의 100%에 상당하는 농도에서 검체의 열적인 분해가 없는 한, 단시간 간격에 걸쳐 분석법의 전 조작을 반복 측정하여 상대 표준 편차값이 1.0% 이내로 할 때 최소 반복측정 횟수는?(2021년 03월)
     1. 1
     2. 2
     3. 3
     4. 6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반복성의 평가방법
평가방법 1 : 규정된 범위를 포함한 농도에 대해 시험방법의 전체 조작을 적어도 9회 반복하여 측정한다.
평가방법 2 :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ㄴ 농도로 시험방법의 전체 조작을 적어도 6회 반복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만거]

70. 밸리데이션 항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정확성 : 측정값이 일반적인 참값 또는 표준값에 근접한 정도
     2. 정밀성 : 균일한 검체로부터 여러 번 채취하여 얻은 시료를 정해진 조건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각각의 측정값들 사이의 분산 정도
     3. 완건성 : 시험방법 중 일부 매개변수가 의도적으로 변경되었을 때 측정값이 영향을 받지 않는지에 대한 척도
     4. 검출한계 : 검체 중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물질의 함유량으로 정확한 값으로 정량되는 검출 가능 최소량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검출한계 : 검체 중에 존재하는 분석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
[해설작성자 : 짜루]

+ 반드시 정량 가능할 필요는 없다.
[해설작성자 : 만거]

71. 재현성에 관한 내용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연구실 내 재현성에서 검토가 필요한 대표적인 변동 요인은 시험일, 시험자, 장치 등이다.
     2. 연구실 간 재현성은 실험실 간의 공동실험 시 분석법을 표준화 할 필요가 있을 때 평가한다.
     3. 연구실 간 재현성이 표현된다면 연구실 내 재현성은 검증할 필요가 없다.
     4. 재현성을 검증할 때는 분석법의 전 조작을 6회 반복 측정하여 상대표준편차값이 3% 이내가 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6회반복측정이 맞으나 상대 표준 편차값 1.0% 이내임.
[해설작성자 : ncs 모듈 공부중]

정확도 측정이 9회 반복측정
재현성은 6회 반복측정이 맞으며, 상대 표준 편차값이 1.0% 이내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뀰]

72. 분석업무지시서에서 확인 가능한 검체 처리과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검체 검증 분석의 시기 : 검체의 안정성이 확보된 기간 내에서 최초 분석과 같은 날, 서로 다른 배치에서 실시
     2. 검체 검증 분석의 검체 수 : 전체 검체 수가 1000개 이하인 경우, 검체 검증 분석은 검체 수의 10%에 해당하는 수 만큼 검체를 선정
     3. 검체 검증 분석의 검체 수 : 전체 검체 수가 1000개 초과인 경우, 1000개의 10%에 해당하는 수와 1000개를 제외한 나머지의 5%에 해당하는 수만큼 검체를 선정
     4. 검체 검증 분석의 판정 기준 편차(%) :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검체 검증 분석의 시기 : 검체의 안정성이 확보된 기간 내에서 최초 분석과 다른 날, 서로 다른 배치에서 실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시료 전처리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시험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공시험(Blank Test)은 시료를 사용하지 않고 기타 모든 조건을 시료 분석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는 것이며 계통오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2. 회수시험(Recovery Test)은 시료와 같은 공존물질을 함유하는 기지 농도의 대조 시료를 분석함으로써 공존 물질의 방해 작용 등으로 인한 분석값의 회수율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3. 맹시험(Blind Test)은 분석값이 어느 범위 내에서 서로 비슷하게 될 때까지 실험을 되풀이하는 것이 보통이며 일종의 예비시험에 해당한다.
     4. 평행 시험(Parallel Test)은 같은 시료를 각기 다른 방법으로 여러 번 되풀이하는 시험으로써 계통오차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평행시험 -계통오차 제거X
[해설작성자 : 2주기적]

공시험: 한자로 [빌 공] 시료가 없는 조건에서 실험. 계통오차 제거 목적.
회수시험: 사료와 같은 공존 물질 함유된 대조시료로 실험, 공존 물질 방해하에서 회수율 검토 목적
맹시험: 일종의 예비실험, 실험 초기 작업자의 미숙달 등에 의해 큰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목적.
(그래서 오차가 적어질때까지 반복)
평행시험: 같은 시료, 같은 방법, 반복 실험, 우연오차 파악이 목표.
[해설작성자 : Rivolo]

74. 이화학 분석에 관현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시험에 필요한 유리기구를 세척, 건조해야 하며, 이 때 이전에 사용한 시약 또는 분석대상물질이 남아 있지 않도록 분석이 완료된 후 철저히 세척해야 한다.
     2. 분석결과의 통계처리는 일반적으로 평균, 표준편차 및 상대표준편차가 많이 이용된다.
     3. 정확성은 측정값이 참값에 근접한 정도를 말한다.
     4. 정밀성은 데이터의 입출력과 흐름을 추적하고 조작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75. 분석물질의 직선성을 시험한 결과 도표를 완성할 때, 값이 틀린 것은? (단, 농도 범위는 분석농도의 80~120% 이다.)(2020년 09월)

    

     1. A : 0.08
     2. B : 2012
     3. C : 0.9999
     4. D : 0.9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4. ㅡ0.9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 y절편은 -2.22라고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기울기 2024라고 나오고
y절편은 -2.22라고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뀰]

[오류신고 반론]
L2~5까지 입력 시 y=-2.22+2024x
L1~5 전부 입력 시 y=-0.9+2012x
문제에서 묻는 Y절편은 -0.9가 맞는 듯 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말이떡볶이튀김]

[오류신고 반론]
농도범위가 80~120이기 때문에 A=0.08이며 이로 인해서 B=2012, C=0.9999, D=-0.9

76. 두 실험자가 토양에서 추출한 염화이온을 함유한 수용액을 질산은 용액으로 각각 세 번씩 적정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참값이 36.90mgcl-/g시료일 때 다음의 보기 중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실험자 1이 더 정확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 실험자 1의 표준편차 값이 더 작다.
     3. 실험자 2가 더 정확히 실험하였으나 정밀하진 못하다.
     4. 실험자 2가 더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8%

77. 정량한계 결정 시 설정한 정량한계가 타당함을 입증하는 방법은?(2022년 04월)
     1. 검출한계부근의 농도로 조제된 적당한 수의 검체를 별도로 분석한다.
     2. 정량한계부근의 농도로 조제된 적당한 수의 검체를 별도로 분석한다.
     3. 검출한계부근의 농도로 조제된 검체의 크로마토그램을 확인한다.
     4. 정량한계부근의 농도로 조제된 검체의 크로마토그램을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78. 대한민국약전 의거한 근적외부스펙트럼측정법 분광분석기의 적격성 평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수행적격성 평가란 분석장비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수행적격성 평가는 최소 6개월에 한번씩 실시한다.
     3. 설치적격성 평가 시 하드웨어 일련번호, 소프트웨어의 버전 등을 기록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4. 설치적격성 평가는 장치의 설치 환경에 의한 기기의 정확성과 재현성을 검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설치적격성 평가는 장치가 고안 및 명시된 사항에 따라 설치되어있는가 확인한다
[해설작성자 : 짜루]

79.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얻기 위한 시험으로 계통오차를 제거하지 못하는 시험법은?(2020년 09월)
     1. 공시험
     2. 조절시험
     3. 맹시험
     4. 평행시험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공시험: 시료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
2. 조절 시험: 시약과 동일한 성분의 대조시료로 수행 후 결과값을 보정
3. 맹시험: 분석값이 어느 범위 내에서 서로 비슷하게 될 때 까지 실험 되풀이
4. 평행시험: 같은 시료를 여러 번 실험-> 우연오차 제거
+) 회수 시험: 같은 농도의 대조 시료로 분석-> 공존 물질의 방해 정도 확인
[해설작성자 : 난공주]

80. 유효숫자 표기 방법에 의한 계산 결과 값이 유효숫자 2자리인 것은?(2020년 06월)
     1. (7.6-0.34)÷1.95
     2. (1.05×104)×(9.92×106)
     3. 850000-(9.0×105)
     4. 83.25×102+1.35×10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유효숫자 2개
2. 유효숫자 3개
3. 유효숫자 1개
4. 유효숫자 4개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도 유효숫자 두개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진짜 모르겠음]

[오류신고 반론]
3번은 13 - 11일 때 2이면 유효숫자가 1개로 줄어드는 것처럼 (8.5-9.0)*10^5이라 0.5로 줄어서 유효숫자가 1이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ㅁㄴㅇ]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3개입니다. 8.46*10^3
덧셈은 소수점 이하 자리수가 가장 적은 유효숫자로 제한합니다.
[해설작성자 : 태미원]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4개가 맞습니다.
8.460*10^3으로, 불확도가 여전히 소숫점 셋째자리에 머무르므로 해당 자리수까지 유효슷자를 가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도파마이드]

81. 분말소화기의 종류와 소화약제의 연결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제1종 - 탄산수소나트륨
     2. 제2종 - 탄산수소칼륨
     3. 제3종 - 제1인산암모늄
     4. 제4종 – 요소와 탄산수소나트륨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제 4종 - 요소와 탄산수소칼륨
[해설작성자 : ^^]

82. 위험물안전관리법렬상 특정옥외탱크저장소로 분류되기 위한 액체위험물 저장 또는 취급 최대수량 기준은?(2020년 08월)
     1. 50000L 이상
     2. 100000L 이상
     3. 500000L 이상
     4. 1000000L 이상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특정옥외 탱크저장소 : 탱크용량 100만L 이상인 탱크
* 준 특정옥외 탱크저장소 : 탱크용량 50만L 이상 100만L 미만인 탱크
[해설작성자 : 정신체리!]

83. 폴리에틸렌의 첨가중합을 위해 필요한 단량체는?(2022년 03월)
     1. H2C = CH2
     2. H2C = CH-CH3
     3. H2N(CH2)6NH2
     4. C6H4(COOH)2

     정답 : []
     정답률 : 69%

84. 실험실 화재 발생 시 대처 요령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2022년 04월)
     1. 신속히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리고 출입문과 창을 열어 유독가스를 유출시킨다.
     2. 근접한 화재경보기를 눌러 사이렌을 작동시킨 후 소방서 등에 신고한다.
     3. 대피 시 젖은 손수건 등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숨을 짧게 쉬며 낮은 자세로 벽을 더듬어 이동한다.
     4. 화재의 초기 진압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가스 및 중간 밸브를 잠그고 즉시 대피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출입문을 열면 유독가스가 다른 공간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신속하게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고 정해진 대피장소로 가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엠앤엠즈]

85. 완전연소할 때 자극성이 강하고 유독한 기체를 발생하는 물질은?(2021년 09월)
     1. 벤젠
     2. 에틸알코올
     3. 메틸알코올
     4. 이황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이황화탄소 완전연소 반응식 : CS2 + 3 O2 -> CO2 + 2 SO2
SO2는 유독가스!!!11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86. 화학물질 취급 종사자가 200ppm의 아세톤에 3시간, 100ppm의 n-헥세인에 2시간 동안 노출되었을 때, 이 근로자의 8시간 기준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 ppm)은?(2021년 09월)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00*3+100*2)/8=100
[해설작성자 : 웅냥냥]

87. 폐기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지정폐기물의 불법처리를 막기 위해 전표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2. 수소이온 농도지수가 2.0 이하 또는 12.5 이상인 액체상태의 폐기물은 부식성 폐기물이다.
     3. 폐기물처리시설이란 폐기물의 중간처분시설, 최종처분시설 및 재활용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4. 천연방사성제품폐기물은 방사능 농도가 그램당 100베크렐 미만인 폐기물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천연방사성제품 = 방사능 농도 10Bq/g 미만    
[해설작성자 : ㄱㄱㅇㅇㅅㅅ]

88. 소방시설법령상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 자격이 아닌 것은?(2021년 03월)
     1. 소방설비기사 또는 소방설비산업기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2. 산업안전기사 또는 산업안전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2년 이상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또는 3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공무원으로 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4. 위험물기능장·위험물산업기사 또는 위험물기능사 자격으로 위험물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사람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소방안전관리자
=> 소방공무원으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특급-소방공무원20년, 2급-소방공무원3년, 3급-소방공무원1년
[해설작성자 : ㅎㅈ]

8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기반응성 물질 및 혼합물의 구분 형식 A~G 중 형식 A에 해당되는 것은?(2021년 09월)
     1. 포장된 상태에서 폭굉하거나 급속히 폭연하는 자기반응성 물질 또는 화합물
     2. 50kg 포장물의 자기가속분해온도가 75℃보다 높은 물질 또는 혼합물
     3. 분해열이 300 J/g 미만인 물질 또는 혼합물
     4. 폭발성 물질 또는 화약류 물질 또는 혼합물

     정답 : []
     정답률 : 60%

90. 화학물질관리법령상 사고대비 물질의 보관·저장 수량(kg) 기준이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Formaldehyde : 200000
     2. Hydrogen Cyanide : 15000
     3. Methylhydrazine : 10000
     4. Phosgene : 75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Hydrogen Cyanide는 15000이 아닌 1500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91. CO2 소화기의 사용시 주의 사항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모든 화재에 소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2. 모든 호화기 중 가장 소화효율이 좋음
     3. 잘못 사용할 경우 동상 위험이 있음
     4.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정답 : []
     정답률 : 66%

92. C2H4를 합성하기 위한 반응은 아래와 같으며, C2H4의 수득률이 42.5%라면 C2H4 281g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C6H14의 질량(g)은?(2021년 09월)

    

     1. 2.03 × 103
     2. 3.03 × 103
     3. 4.03 × 103
     4. 5.03 × 103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C2H4 281g은 수득률 42.5%에 대한 값이므로 수득률이 100%일때는 약 661g 이다.
661g 나누기 1mol/28g(C2H4분자량)= 23.6mol
C6H14와 C2H4의 생성몰수와 반응몰수는 1:1로 동일하므로
C2H4 23.6mol의 생성을 위해서는 C6H14는 동일하게 23.6mol이 필요하다
C6H14 23.6mol * 86g/mol= 2.03*10^3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9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위험물의 유별과 성질이 맞게 짝지어진 것은?(2022년 04월)
     1. 제1류 - 산화성액체
     2. 제2류 – 인화성액체
     3. 제3류 –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4. 제4류 – 자기반응성물질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류 산화성고체
2류 인화성고체
3류 금수성, 자연발화성
4류 인화성 액체
5류 자기연소성 물질
6류 산화성액체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9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위험물취급소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9월)
     1. 이동취급소
     2. 판매취급소
     3. 일반취급소
     4. 이송취급소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위험물취급소의 종류
- 주유,일반,이송,판매
주일이송판으로 외우세용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95. 유해가스별 방독면 정화통 외부 측면의 표시색으로 잘못 연결된 것은?(2020년 08월)
     1. 암모니아용 - 녹색
     2. 아황산용 - 노랑색
     3. 황화수소용 - 백색
     4. 유기화합물용 - 갈색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할로겐용, 황화수소용, 시안화수소용 : 회색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96. 화학 물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적절한 것은?(2020년 09월)
     1. 모든 용기에는 약품의 명칭을 기재하는 것이 원칙이나 증류수처럼 무해한 약품은 기재하지 않는다.
     2. 사용할 물질의 성상, 특히 화재·폭발·중독의 위험성을 잘 조사한 후가 아니라면 위험한 물질을 취급해서는 안 된다.
     3. 모든 약품의 맛 또는 냄새 맡는 행위를 절대로 금하고, 입으로 피펫을 빨아서 정확도를 높인다.
     4. 약품의 용기에 그 명칭을 표기하는 것은 사용자가 약품의 사용을 빨리 하게 하려는 목적이 전부다.

     정답 : []
     정답률 : 71%

9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 )에 해당하는 용어는?(2021년 09월)

    

     1. 의용소방대
     2. 자위소방대
     3. 자체소방대
     4. 사설소방대

     정답 : []
     정답률 : 75%

98. 실험실별 특성에 맞는 안전 보건 관리 수칙이 있다. 다음 중 일반적인 실험실 수칙이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사고 시 연락 및 대피를 위해 출입구 벽면 등 눈에 잘 띄는 곳에 비상 연락망 및 대피경로를 부착한다.
     2. 소화기는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비치하고, 소화기 사용법을 숙지한다.
     3. 취급하고 있는 유해 물질에 대한 물질 안전 보건 자료(MSDS)를 게시하고 이를 숙지한다.
     4. 금지 표지, 경고 표지, 지시 표지 및 안내 표지 등 필요한 안전 보건 표지는 실험실 내부가 아닌 외부에 부착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99. 인화성 액체와 함께 보관이 불가능한 물질은?(2020년 06월)
     1. 염기류
     2. 산화제류
     3. 환원제류
     4. 모든 수용액

     정답 : []
     정답률 : 65%

100. 폐기물관리법령상 폐기물처리시설의 개선기간 등에 관한 아래의 내용 중 ( )안에 들어갈 기간은?(2021년 05월)

    

     1. a: 6개월, b: 1년
     2. a: 1년, b: 6개월
     3. a: 3개월, b: 6개월
     4. a: 6개월, b: 3개월

     정답 : []
     정답률 : 4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74540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64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66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662 9급 지방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661 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660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659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5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658 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8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657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1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656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655 인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1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654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653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312618)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652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651 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650 컴퓨터그래픽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2월01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649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648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745409)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646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240816)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645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698631)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51 Next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