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3042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콘크리트재료


1. 목재료로서 갖추어야 할 일반적 성질 중 틀린 것은?(2013년 07월)
     1. 사용 환경에 안전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2. 생산량이 많고 경제성이 좋아야함
     3. 사용목적에 안맞은 공학적 성질을 가져야 한다.
     4. 운반, 다루기 및 가공하기 쉬워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2. 체가름 시험결과 잔골재 조립률이 2.68, 굵은 골재의 조립률이 7.39이고, 그 비율이 1:1.9라면 혼합골재 조립률은 얼마인가?(2008년 02월)
     1. 3.76
     2. 4.77
     3. 5.77
     4. 6.76

     정답 : []
     정답률 : 53%

3. 시멘트의 입자를 흐트러지게 하여 콘크리트의 필요한 반죽 질기를 얻는데 사용하는 단위수량을 줄이는 작용을 하는 혼화제는?(2009년 03월)
     1. 감수제
     2. 촉진제
     3. 급결제
     4. 지연제

     정답 : []
     정답률 : 90%

4. 시멘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4월)
     1. 시멘트풀이 물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동성과 점성을 상실하고 고화 하는 현상을 수화라고 한다.
     2. 수화반응은 시멘트의 분말도, 수량, 온도, 혼화 재료의 사용유무 등 많은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 다.
     3. 수량이 많고 시멘트가 풍화되어 있을 때에는 응결이 늦어진다.
     4. 온도가 높고 분말도가 높으면 응결이 빨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멘트풀이 물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동성과 점성을 상실하고 고화 하는 현상을 응결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YJ]

5. 한중 콘크리트라 함은 일 평균기온이 몇 이하의 온도에서 치는 콘크리트를 말하는가?(2015년 01월)
     1. -4°C
     2. 4°C
     3. 0°C
     4. -2°C

     정답 : []
     정답률 : 87%

6.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4월)
     1. 콘크리트가 내려앉은 길이를 5mm의 정밀도로 측정한다.
     2. 시료는 슬럼프 콘의 높이를 3등분하여 3층으로 나누어 넣고 가운데층만 25회 다진다.
     3. 슬럼프 콘에 시료를 채우고 벗길 때까지의 전작업 시간은 3분 30초 이내로 한다.
     4. 슬럼프 콘 벗기는 작업은 10초 정도로 천천히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슬럼프 시험
콘크리트가 내려앉은 길이를 5mm의 정밀도로 측정한다
슬럼프 콘 벗기는 작업은 2~3초로 벗긴다
슬럼프 콘을 3층25회로 다진다
슬럼프 콘에 시료를 채우고 벗길 때까지의 전작업 시간은 3분 이내로 한다.
[해설작성자 : 김현서]

7. 콘크리트를 친 후 시멘트와 골재 알이 가라앉으면서 물이 올라와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9년 03월)
     1. 워커빌리티
     2. 피니셔빌리티
     3. 리몰딩
     4. 블리딩

     정답 : []
     정답률 : 90%

8. 수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콘크리트를 수중에 낙하시키지 말아야 한다.
     2. 수중에 물의 속도가 5 이상일 때에 한하여 시공한다.
     3. 트레미나 포대를 사용한다.
     4. 정수중에 치면 더욱 좋다.

     정답 : []
     정답률 : 70%

9. 풍화된 시멘트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1년 04월)
     1. 비중이 떨어진다.
     2. 응결이 지연된다.
     3. 강열감량이 감소된다.
     4. 강도의 발현이 저하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10. 서중 콘크리트의 시공이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서 운반거리가 먼 경우, 또는 연속 콘크리트를 칠 때 작업이음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경우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는 혼화제는?(2014년 01월)
     1. 분산제
     2. 지연제
     3. 증진제
     4. 응결경화 촉진제

     정답 : []
     정답률 : 85%

11. 반죽질기의 정도에 따르는 작업이 어렵고 쉬운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9월)
     1. 반죽질기
     2. 워커빌리티
     3. 성형성
     4. 피니셔빌리티

     정답 : []
     정답률 : 68%

12. 시멘트의 응결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4월)
     1. 일반적으로 물-시멘트가 클수록 응결시간이 빨라진다.
     2. 풍화되었을 때에는 응결시간이 늦어진다.
     3. 온도가 높으면 응결시간이 늦어진다.
     4. 분말도가 크면 응결시간이 늦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3%

13. 철근 콘크리트를 만드는데 필요한 물 중에서 적합하지 않는 것은?(2002년 10월)
     1. 지하수
     2. 바닷물
     3. 수돗물
     4. 하천수

     정답 : []
     정답률 : 93%

14. 굵은 골재의 입자가 클때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을 옳게 설명한 것은?(2003년 10월)
     1. 시멘트의 소모량이 많아진다.
     2. 재료가 분리되기 쉽다.
     3. 콘크리트가 완전히 혼합된다.
     4. 시공하기가 쉽다.

     정답 : []
     정답률 : 72%

15. 콘크리트는 타설한 후 습윤상태로 노출면이 마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습윤양생 기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단, 일 평균기온이 15℃ 이상인 경우)(2014년 01월)
     1. 3일
     2. 5일
     3. 7일
     4. 9일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5도 이상인경우 조강3일 보통5일
[해설작성자 : 정화 포레버]

16. 굵은 골재의 밀도시험에서 5mm 체를 통과하는 시료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2008년 10월)
     1. 모두 버린다
     2. 다시 체가름한다.
     3. 전부 포함시킨다.
     4. 5mm 체를 통과하는 시료만 별도로 시험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17. 일반적으로 골재의 비중이란 어느 상태의 비중을 말하는가?(2002년 04월)
     1. 습윤상태
     2. 공기중 건조상태
     3. 절대 건조상태
     4. 표면건조 포화상태

     정답 : []
     정답률 : 70%

18. 시멘트 비중시험에서 처음 광유표면 읽은 값이 0.50ml이고 마지막 읽은 눈금값이 20.8ml이다. 비중값은?(단, 시멘트 시료무게는 64g이다.)(2014년 04월)
     1. 3.12
     2. 3.14
     3. 3.15
     4. 3.17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64 / (20.8-0.5)
[해설작성자 : 정화 포레버]

19. 품질이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한 잔골재 조립률의 범위로 옳은 것은?(2005년 01월)
     1. 2.3∼3.1
     2. 3.0∼4.5
     3. 6∼8
     4. 8이상

     정답 : []
     정답률 : 79%

20. 시멘트가 응결할 때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속에 아주 작은 기포를 생기게 하는 혼화제로 알루미늄가루 등을 사용하며 프리팩트 콘크리트용 그라우트나 PC용 그라우트에 사용하면 부착을 좋게 하는 것은?(2008년 10월)
     1. 발포제
     2. 방수제
     3. 촉진제
     4. 급결제

     정답 : []
     정답률 : 85%

2과목 : 콘크리트시공


21.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 시험에 사용하는 식별용 표준색용액의 제조방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10%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2% 탄닌산 용액을 만들고, 그 2.5mL를 3%의 알코올 용액 97.mL에 가하여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닫고 잘 흔든다.
     2. 10%의 알코올 용액으로 2% 탄닌산 용액을 만들고, 그 2.5mL를 3%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97.5mL에 가하여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닫고 잘 흔든다.
     3. 3%의 알코올 용액으로 10% 탄닌산 용액을 만들고, 그 2.5mL를 2%의 황산나트륨 용액 97.5mL에 가하여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닫고 잘 흔든다.
     4. 3%의 황산나트륨 용액으로 10% 탄닌산 용액을 만들고, 그 2.5mL를 2%의 알코올 용액 97.5mL에 가하여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닫고 잘 흔든다.

     정답 : []
     정답률 : 63%

22. 다음의 콘크리트 운반기계중에서 거리가 멀때 가장 적합한 운반기계는?(2004년 02월)
     1.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
     2. 버켓(Bucket)
     3. 트럭 애지테이터(truck agitator)
     4. 콘크리트 펌프(concrete pump)

     정답 : []
     정답률 : 58%

23. 다음중 콘크리트 다짐 기계가 아닌 것은?(2008년 02월)
     1. 내부진동기
     2. 싱커
     3. 표면진동기
     4. 거푸집진동기

     정답 : []
     정답률 : 88%

24. 콘크리트 속의 공기량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2015년 04월)
     1. 공기연행제에 의하여 콘크리트 속에 생긴 공기를 연행공기라 하고 이 밖에 공기를 갇힌 공기라 한다.
     2. 공기연행 콘크리트에서 공기량이 많아지면 압축강도가 커진다.
     3. 공기연행 콘크리트의 알맞은 공기량은 콘크리트 부피의 4~7%를 표준으로 한다.
     4. 공기연행 공기량은 시멘트의 양, 물의 양, 비비기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66%

25.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7년 01월)
     1. 골재는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한다.
     2. 가능한 한 단위수량을 적게 한다.
     3. 굵은골재는 될수록 작은 치수의 것을 사용한다.
     4. 배합은 충분한 내구성과 강도를 가지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26. 콘크리트의 다지기에 있어서 내부진동기를 쓸경우 아래층의 콘크리트속에 몇 cm정도 찔러 넣어야 하는가?(2003년 01월)
     1. 5cm
     2. 10cm
     3. 15cm
     4. 20cm

     정답 : []
     정답률 : 62%

27. 수밀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얼마 이하를 표준으로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4월)
     1. 45%
     2. 50%
     3. 55%
     4. 60%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수밀콘크리트의 물-시멘틈비는 50%이하가 맞고
탄산화(중성화): 55%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2번 수밀콘크리트는 50% 이하가 맞습니다.(구민사 2021년판 52페이지 본문 수밀콘크리트 해설)
[해설작성자 : 모슬포]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50%입니다
[해설작성자 : 콘크리트기능사책있는 사람]

28. 일반콘크리트에서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얼마를 기준으로 하는가?(2015년 01월)
     1. 30% 이하
     2. 45% 이하
     3. 50% 이하
     4. 60% 이하

     정답 : []
     정답률 : 85%

29. 다음 중 콘크리트용 잔골재와 굵은골재로 분류할 때 기준이 되는 체는?(2008년 02월)
     1. 1.2mm
     2. 2.5mm
     3. 5mm
     4. 10mm

     정답 : []
     정답률 : 88%

30. 콘크리트 운반도중에 재료가 분리된 경우의 처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2005년 04월)
     1. 충분히 다시 비벼서 균질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2. 촉진제를 사용하여 다시 비벼서 타설하여야 한다.
     3. 물을 넣고 다시 비벼서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확보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4. 재료분리가 약간이라도 진행된 경우는 전량 폐기처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31.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시공이음은 전단력이 적은 위치에 설치한다.
     2. 신축이음은 양쪽 부재가 구속되지 않게 한다.
     3. 아치의 시공이음은 아치 축에 평행이 되게 한다.
     4. 시공이음은 부재의 압축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이 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32. 물 -시멘트 비가 44%, 단위 시멘트 량이 250kg/m3 일 때 단위 수량을 구한 값으로 옳은 것은?(2013년 07월)
     1. 105kg/m3
     2. 110kg/m3
     3. 115kg/m3
     4. 120kg/m3

     정답 : []
     정답률 : 60%

33. 블리이딩(bleeding)이 심하면 콘크리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2002년 01월)
     1. 강도, 수밀성, 내구성등이 작아진다.
     2. 성형성이 나빠진다.
     3. 워어커 빌리티가 나빠진다.
     4. 레이턴스(laitance)가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2%

34. 조강 포오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를 친후 적어도 며칠간은 습윤양생을 해야 하는가?(2002년 04월)
     1. 1일
     2. 3일
     3. 5일
     4. 9일

     정답 : []
     정답률 : 66%

35. 콘크리트의 혼화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7월)
     1. 사용량이 시멘트 질량의 5% 정도 이상이 되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관계된다.
     2. 사용량이 콘크리트 질량의 1% 정도 이상이 되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관계된다.
     3. 사용량이 콘크리트 질량이 5% 정도 이하의 것으로서 그 자체의 부피는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된다.
     4. 사용량이 시멘트 질량의 1% 정도 이하의 것으로서 그 자체의 부피는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36. 수송관 속의 콘크리트를 압축공기로써 압송하며 터널 등의 좁은 곳에 콘크리트를 운반하는데 편리한 콘크리트 운반장 비는?(2008년 10월)
     1. 운반차
     2. 콘크리트 플레이서
     3. 슈트
     4. 버킷

     정답 : []
     정답률 : 77%

37. 콘크리트 운반 중 재료분리가 발생할 염려가 가장 큰 기구는?(2002년 04월)
     1. 콘크리트 펌프(pump)
     2. 경사슈트(shute)
     3. 벨트컨베이어
     4. 콘크리트 버킷(bucket)

     정답 : []
     정답률 : 61%

38. 잔골재의 절대부피가 0.324m3이고 골재의 절대 부피는 0.684m3일 때 잔골재율을 구하면?(2013년 07월)
     1. 16.0%
     2. 17.1%
     3. 24.5%
     4. 47.4%

     정답 : []
     정답률 : 49%

39. 일반적으로 가마니, 마포 등을 적시거나 살수하는 등의 습윤양생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막을 만드는 양생제를 살포하여 증발을 막는 양생 방법은?(2005년 01월)
     1. 막양생
     2. 촉진양생
     3. 증기양생
     4. 온도제어양생

     정답 : []
     정답률 : 72%

40. 블리딩(bleeding) 시험에서 물을 피펫으로 빨아내는 방법은 처음 60분 동안은 몇분 간격으로 표면의 물을 빨아내는가?(2014년 07월)
     1. 10분
     2. 20분
     3. 30분
     4. 40분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처음 60분간 10분간격
나머지는 30분간격
[해설작성자 : 정화 포레버]

41. 압축강도시험용 공시체의 양생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8년 02월)
     1. 13±2℃
     2. 15±2℃
     3. 20±2℃
     4. 25±2℃

     정답 : []
     정답률 : 77%

42. 블리딩 시험에서 콘크리트를 용기에 3층으로 나누어 넣고 각 층을 다짐대로 몇회씩 다지는가?(2002년 01월)
     1. 15회/층
     2. 25회/층
     3. 35회/층
     4. 50회/층

     정답 : []
     정답률 : 85%

43. 블리딩 시험을 수행할 때 유지되어야 하는 시험실의 온도로써 가장 적당한 것은?(2007년 01월)
     1. 10± 3℃
     2. 14± 3℃
     3. 20± 3℃
     4. 26± 3℃

     정답 : []
     정답률 : 79%

44.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은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몇 mm이하일때 적용하는가?(2003년 01월)
     1. 25mm
     2. 50mm
     3. 100mm
     4. 150mm

     정답 : []
     정답률 : 51%

45. 골재의 단위 무게 시험 방법중 충격을 이용하는 방법에서 용기를 떨어뜨리는 높이는 어느 정도인가?(2002년 04월)
     1. 20cm
     2. 15cm
     3. 10cm
     4. 5cm

     정답 : []
     정답률 : 46%

46.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표면을 캐핑하기 위한 시멘트 풀의 물-시멘트비(W/C)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2003년 10월)
     1. 30∼35%
     2. 37∼40%
     3. 17∼20%
     4. 27∼30%

     정답 : []
     정답률 : 55%

47.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시멘트 풀로 캐핑(capping)할 때 물-시멘트비(W/C)는?(2002년 10월)
     1. 27∼30(%)
     2. 30∼33(%)
     3. 33∼37(%)
     4. 37∼40(%)

     정답 : []
     정답률 : 55%

48.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길이와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4년 02월)
     1. 길이는 높이의 2배보다 10cm이상 더 커야 한다.
     2. 길이는 높이의 3배보다 8cm이상 더 커야 한다.
     3. 길이는 높이의 4배이상 이어야 한다.
     4. 길이는 높이의 5배이상 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49. 골재의 체가름 시험에 사용되는 시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1월)
     1. 굵은골재 최대 치수가 25mm일 때 시료의 최소 질량은 5kg으로 한다.
     2. 시험할 대표 시료를 4분법이나 시료 분취기를 이용하여 채취한다.
     3. 채취한 시료는 표면건조포화상태에서 시험을 한다.
     4. 잔골재는 1.2mm체에 5%(질량비) 이상 남는 시료의 최소 질량은 500g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채취한 시료는 습윤상태에서 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사실 잘 모르는 최충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채취한 시료는 [절대 건조 상태]에서 시험해야 합니다. 습윤상태, 표면건조포화상태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시험에 표준모래를 사용하는 이유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4월)
     1. 경제적인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시험하기 위함이다.
     2. 표준모래는 양생이 쉽고 온도에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이다.
     3. 표준모래는 품질이 좋고 강도가 크기 때문이다.
     4. 모래알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없애고 시험조건을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표준모래는 알갱이의 크기차이가 매우 근소하기때문에 시험조건이 일정해짐
[해설작성자 : 꽃보다 최충진]

51.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사용하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은 물 50에 수산화나트륨 50의 질량비로 용해시킨 것이다.
     2. 시료는 대표적인 것을 취하고 절대건조상태로 건조시켜 4분법을 사용하여 약 5kg을 준비한다.
     3. 시험에 사용할 유리병은 노란색으로 된 유리병을 사용하여야 한다.
     4. 시험의 결과 24시간 정치한 잔골재 상부의 용액색이 표준용액보다 연할 경우 이 모래는 콘크리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2%

52. 콘크리트 원주 시험체를 할렬시켜 인장강도를 구하고자 할때 인장강도를 구하는 식이 바른 것은? (단, ℓ :공시체평균길이, d:공시체평균지름, P: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 A:파괴단면적)(2002년 10월)
     1. σt = P/A
     2. σt = P/πℓd
     3. σt = 2P/A
     4. σt = 2P/πℓd

     정답 : []
     정답률 : 54%

53. 단위골재량의 절대부피가 650l이고 잔골재율이 38%인 경우 단위굵은골재량의 절대부피는?(2014년 07월)
     1. 247l
     2. 403l
     3. 494l
     4. 508l

     정답 : []
     정답률 : 49%

54. 콘크리트 양생방법 중 촉진 양생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4월)
     1. 고주파양생
     2. 증기양생
     3. 오토클레이브양생
     4. 막양생

     정답 : []
     정답률 : 54%

55. 지름이 10cm, 길이가 20cm인 콘크리트 공시체로 쪼갬인장 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공시체 파괴시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이 7230kg 이었다. 이 공시체의 인장강도는?(2007년 09월)
     1. 21kg/cm2
     2. 23kg/cm2
     3. 25kg/cm2
     4. 27kg/cm2

     정답 : []
     정답률 : 50%

56.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을 할때 콘크리트를 친 후 블리딩이 대부분 발생하는 시기는?(2002년 04월)
     1. 타설직후부터 10분 이내
     2. 15 ∼ 30분 이내
     3. 30분 ∼ 1시간 이내
     4. 1 ∼ 2시간 이내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콘크리트 블리딩시험을 할때는 처음60분간은 10분의 간격으로 물을 흡수하고요
블리딩이 정지될때까지 60분은 30분간격으로 합니다
답이 잘못된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지식기부]

[오류신고 반론]
답 2번이 맞습니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 뒤 블리딩이 처음 시작되는 시기를 질문한 문제이기에 블리딩량을 측정하기 위한 단계 이전의 상태,
즉, 처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 뒤에 콘크리트 상부의 표면에 처음으로 물이 생겨서 나는 시기가 언제쯤인가를 질문하는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블리딩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도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물이 생겨서 나야만이 할 수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이용자입니다.]

57. 다음 중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3년 01월)
     1. 겉보기 배합에 의한 방법
     2. 계산 배합에 의한 방법
     3. 시험 배합에 의한 방법
     4. 배합표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79%

58. 다음 중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함유량 시험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5년 01월)
     1. 부피법
     2. 무게법
     3. 침하법
     4. 압력법

     정답 : []
     정답률 : 66%

59. 설계기준강도란 일반적으로 무엇을 말하는가?(2004년 10월)
     1. 재령28일의 인장강도
     2. 재령28일의 압축강도
     3. 재령7일의 인장강도
     4. 재령7일의 압축강도

     정답 : []
     정답률 : 64%

60. 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50mm이하인 경우 시험체의 한 변의 길이는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2003년 10월)
     1. 10cm
     2. 15cm
     3. 20cm
     4. 25cm

     정답 : []
     정답률 : 42%


정 답 지

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3042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콘크리트재료


1. 목재료로서 갖추어야 할 일반적 성질 중 틀린 것은?(2013년 07월)
     1. 사용 환경에 안전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2. 생산량이 많고 경제성이 좋아야함
     3. 사용목적에 안맞은 공학적 성질을 가져야 한다.
     4. 운반, 다루기 및 가공하기 쉬워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2. 체가름 시험결과 잔골재 조립률이 2.68, 굵은 골재의 조립률이 7.39이고, 그 비율이 1:1.9라면 혼합골재 조립률은 얼마인가?(2008년 02월)
     1. 3.76
     2. 4.77
     3. 5.77
     4. 6.76

     정답 : []
     정답률 : 53%

3. 시멘트의 입자를 흐트러지게 하여 콘크리트의 필요한 반죽 질기를 얻는데 사용하는 단위수량을 줄이는 작용을 하는 혼화제는?(2009년 03월)
     1. 감수제
     2. 촉진제
     3. 급결제
     4. 지연제

     정답 : []
     정답률 : 90%

4. 시멘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4월)
     1. 시멘트풀이 물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동성과 점성을 상실하고 고화 하는 현상을 수화라고 한다.
     2. 수화반응은 시멘트의 분말도, 수량, 온도, 혼화 재료의 사용유무 등 많은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 다.
     3. 수량이 많고 시멘트가 풍화되어 있을 때에는 응결이 늦어진다.
     4. 온도가 높고 분말도가 높으면 응결이 빨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멘트풀이 물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동성과 점성을 상실하고 고화 하는 현상을 응결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YJ]

5. 한중 콘크리트라 함은 일 평균기온이 몇 이하의 온도에서 치는 콘크리트를 말하는가?(2015년 01월)
     1. -4°C
     2. 4°C
     3. 0°C
     4. -2°C

     정답 : []
     정답률 : 87%

6.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4월)
     1. 콘크리트가 내려앉은 길이를 5mm의 정밀도로 측정한다.
     2. 시료는 슬럼프 콘의 높이를 3등분하여 3층으로 나누어 넣고 가운데층만 25회 다진다.
     3. 슬럼프 콘에 시료를 채우고 벗길 때까지의 전작업 시간은 3분 30초 이내로 한다.
     4. 슬럼프 콘 벗기는 작업은 10초 정도로 천천히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슬럼프 시험
콘크리트가 내려앉은 길이를 5mm의 정밀도로 측정한다
슬럼프 콘 벗기는 작업은 2~3초로 벗긴다
슬럼프 콘을 3층25회로 다진다
슬럼프 콘에 시료를 채우고 벗길 때까지의 전작업 시간은 3분 이내로 한다.
[해설작성자 : 김현서]

7. 콘크리트를 친 후 시멘트와 골재 알이 가라앉으면서 물이 올라와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9년 03월)
     1. 워커빌리티
     2. 피니셔빌리티
     3. 리몰딩
     4. 블리딩

     정답 : []
     정답률 : 90%

8. 수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콘크리트를 수중에 낙하시키지 말아야 한다.
     2. 수중에 물의 속도가 5 이상일 때에 한하여 시공한다.
     3. 트레미나 포대를 사용한다.
     4. 정수중에 치면 더욱 좋다.

     정답 : []
     정답률 : 70%

9. 풍화된 시멘트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1년 04월)
     1. 비중이 떨어진다.
     2. 응결이 지연된다.
     3. 강열감량이 감소된다.
     4. 강도의 발현이 저하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10. 서중 콘크리트의 시공이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서 운반거리가 먼 경우, 또는 연속 콘크리트를 칠 때 작업이음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경우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는 혼화제는?(2014년 01월)
     1. 분산제
     2. 지연제
     3. 증진제
     4. 응결경화 촉진제

     정답 : []
     정답률 : 85%

11. 반죽질기의 정도에 따르는 작업이 어렵고 쉬운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9월)
     1. 반죽질기
     2. 워커빌리티
     3. 성형성
     4. 피니셔빌리티

     정답 : []
     정답률 : 68%

12. 시멘트의 응결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4월)
     1. 일반적으로 물-시멘트가 클수록 응결시간이 빨라진다.
     2. 풍화되었을 때에는 응결시간이 늦어진다.
     3. 온도가 높으면 응결시간이 늦어진다.
     4. 분말도가 크면 응결시간이 늦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3%

13. 철근 콘크리트를 만드는데 필요한 물 중에서 적합하지 않는 것은?(2002년 10월)
     1. 지하수
     2. 바닷물
     3. 수돗물
     4. 하천수

     정답 : []
     정답률 : 93%

14. 굵은 골재의 입자가 클때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을 옳게 설명한 것은?(2003년 10월)
     1. 시멘트의 소모량이 많아진다.
     2. 재료가 분리되기 쉽다.
     3. 콘크리트가 완전히 혼합된다.
     4. 시공하기가 쉽다.

     정답 : []
     정답률 : 72%

15. 콘크리트는 타설한 후 습윤상태로 노출면이 마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습윤양생 기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단, 일 평균기온이 15℃ 이상인 경우)(2014년 01월)
     1. 3일
     2. 5일
     3. 7일
     4. 9일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5도 이상인경우 조강3일 보통5일
[해설작성자 : 정화 포레버]

16. 굵은 골재의 밀도시험에서 5mm 체를 통과하는 시료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2008년 10월)
     1. 모두 버린다
     2. 다시 체가름한다.
     3. 전부 포함시킨다.
     4. 5mm 체를 통과하는 시료만 별도로 시험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17. 일반적으로 골재의 비중이란 어느 상태의 비중을 말하는가?(2002년 04월)
     1. 습윤상태
     2. 공기중 건조상태
     3. 절대 건조상태
     4. 표면건조 포화상태

     정답 : []
     정답률 : 70%

18. 시멘트 비중시험에서 처음 광유표면 읽은 값이 0.50ml이고 마지막 읽은 눈금값이 20.8ml이다. 비중값은?(단, 시멘트 시료무게는 64g이다.)(2014년 04월)
     1. 3.12
     2. 3.14
     3. 3.15
     4. 3.17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64 / (20.8-0.5)
[해설작성자 : 정화 포레버]

19. 품질이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한 잔골재 조립률의 범위로 옳은 것은?(2005년 01월)
     1. 2.3∼3.1
     2. 3.0∼4.5
     3. 6∼8
     4. 8이상

     정답 : []
     정답률 : 79%

20. 시멘트가 응결할 때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속에 아주 작은 기포를 생기게 하는 혼화제로 알루미늄가루 등을 사용하며 프리팩트 콘크리트용 그라우트나 PC용 그라우트에 사용하면 부착을 좋게 하는 것은?(2008년 10월)
     1. 발포제
     2. 방수제
     3. 촉진제
     4. 급결제

     정답 : []
     정답률 : 85%

2과목 : 콘크리트시공


21.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 시험에 사용하는 식별용 표준색용액의 제조방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10%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2% 탄닌산 용액을 만들고, 그 2.5mL를 3%의 알코올 용액 97.mL에 가하여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닫고 잘 흔든다.
     2. 10%의 알코올 용액으로 2% 탄닌산 용액을 만들고, 그 2.5mL를 3%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97.5mL에 가하여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닫고 잘 흔든다.
     3. 3%의 알코올 용액으로 10% 탄닌산 용액을 만들고, 그 2.5mL를 2%의 황산나트륨 용액 97.5mL에 가하여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닫고 잘 흔든다.
     4. 3%의 황산나트륨 용액으로 10% 탄닌산 용액을 만들고, 그 2.5mL를 2%의 알코올 용액 97.5mL에 가하여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닫고 잘 흔든다.

     정답 : []
     정답률 : 63%

22. 다음의 콘크리트 운반기계중에서 거리가 멀때 가장 적합한 운반기계는?(2004년 02월)
     1.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
     2. 버켓(Bucket)
     3. 트럭 애지테이터(truck agitator)
     4. 콘크리트 펌프(concrete pump)

     정답 : []
     정답률 : 58%

23. 다음중 콘크리트 다짐 기계가 아닌 것은?(2008년 02월)
     1. 내부진동기
     2. 싱커
     3. 표면진동기
     4. 거푸집진동기

     정답 : []
     정답률 : 88%

24. 콘크리트 속의 공기량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2015년 04월)
     1. 공기연행제에 의하여 콘크리트 속에 생긴 공기를 연행공기라 하고 이 밖에 공기를 갇힌 공기라 한다.
     2. 공기연행 콘크리트에서 공기량이 많아지면 압축강도가 커진다.
     3. 공기연행 콘크리트의 알맞은 공기량은 콘크리트 부피의 4~7%를 표준으로 한다.
     4. 공기연행 공기량은 시멘트의 양, 물의 양, 비비기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66%

25.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7년 01월)
     1. 골재는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한다.
     2. 가능한 한 단위수량을 적게 한다.
     3. 굵은골재는 될수록 작은 치수의 것을 사용한다.
     4. 배합은 충분한 내구성과 강도를 가지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26. 콘크리트의 다지기에 있어서 내부진동기를 쓸경우 아래층의 콘크리트속에 몇 cm정도 찔러 넣어야 하는가?(2003년 01월)
     1. 5cm
     2. 10cm
     3. 15cm
     4. 20cm

     정답 : []
     정답률 : 62%

27. 수밀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얼마 이하를 표준으로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4월)
     1. 45%
     2. 50%
     3. 55%
     4. 60%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수밀콘크리트의 물-시멘틈비는 50%이하가 맞고
탄산화(중성화): 55%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2번 수밀콘크리트는 50% 이하가 맞습니다.(구민사 2021년판 52페이지 본문 수밀콘크리트 해설)
[해설작성자 : 모슬포]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50%입니다
[해설작성자 : 콘크리트기능사책있는 사람]

28. 일반콘크리트에서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얼마를 기준으로 하는가?(2015년 01월)
     1. 30% 이하
     2. 45% 이하
     3. 50% 이하
     4. 60% 이하

     정답 : []
     정답률 : 85%

29. 다음 중 콘크리트용 잔골재와 굵은골재로 분류할 때 기준이 되는 체는?(2008년 02월)
     1. 1.2mm
     2. 2.5mm
     3. 5mm
     4. 10mm

     정답 : []
     정답률 : 88%

30. 콘크리트 운반도중에 재료가 분리된 경우의 처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2005년 04월)
     1. 충분히 다시 비벼서 균질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2. 촉진제를 사용하여 다시 비벼서 타설하여야 한다.
     3. 물을 넣고 다시 비벼서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확보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4. 재료분리가 약간이라도 진행된 경우는 전량 폐기처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31.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시공이음은 전단력이 적은 위치에 설치한다.
     2. 신축이음은 양쪽 부재가 구속되지 않게 한다.
     3. 아치의 시공이음은 아치 축에 평행이 되게 한다.
     4. 시공이음은 부재의 압축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이 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32. 물 -시멘트 비가 44%, 단위 시멘트 량이 250kg/m3 일 때 단위 수량을 구한 값으로 옳은 것은?(2013년 07월)
     1. 105kg/m3
     2. 110kg/m3
     3. 115kg/m3
     4. 120kg/m3

     정답 : []
     정답률 : 60%

33. 블리이딩(bleeding)이 심하면 콘크리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2002년 01월)
     1. 강도, 수밀성, 내구성등이 작아진다.
     2. 성형성이 나빠진다.
     3. 워어커 빌리티가 나빠진다.
     4. 레이턴스(laitance)가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2%

34. 조강 포오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를 친후 적어도 며칠간은 습윤양생을 해야 하는가?(2002년 04월)
     1. 1일
     2. 3일
     3. 5일
     4. 9일

     정답 : []
     정답률 : 66%

35. 콘크리트의 혼화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7월)
     1. 사용량이 시멘트 질량의 5% 정도 이상이 되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관계된다.
     2. 사용량이 콘크리트 질량의 1% 정도 이상이 되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관계된다.
     3. 사용량이 콘크리트 질량이 5% 정도 이하의 것으로서 그 자체의 부피는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된다.
     4. 사용량이 시멘트 질량의 1% 정도 이하의 것으로서 그 자체의 부피는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36. 수송관 속의 콘크리트를 압축공기로써 압송하며 터널 등의 좁은 곳에 콘크리트를 운반하는데 편리한 콘크리트 운반장 비는?(2008년 10월)
     1. 운반차
     2. 콘크리트 플레이서
     3. 슈트
     4. 버킷

     정답 : []
     정답률 : 77%

37. 콘크리트 운반 중 재료분리가 발생할 염려가 가장 큰 기구는?(2002년 04월)
     1. 콘크리트 펌프(pump)
     2. 경사슈트(shute)
     3. 벨트컨베이어
     4. 콘크리트 버킷(bucket)

     정답 : []
     정답률 : 61%

38. 잔골재의 절대부피가 0.324m3이고 골재의 절대 부피는 0.684m3일 때 잔골재율을 구하면?(2013년 07월)
     1. 16.0%
     2. 17.1%
     3. 24.5%
     4. 47.4%

     정답 : []
     정답률 : 49%

39. 일반적으로 가마니, 마포 등을 적시거나 살수하는 등의 습윤양생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막을 만드는 양생제를 살포하여 증발을 막는 양생 방법은?(2005년 01월)
     1. 막양생
     2. 촉진양생
     3. 증기양생
     4. 온도제어양생

     정답 : []
     정답률 : 72%

40. 블리딩(bleeding) 시험에서 물을 피펫으로 빨아내는 방법은 처음 60분 동안은 몇분 간격으로 표면의 물을 빨아내는가?(2014년 07월)
     1. 10분
     2. 20분
     3. 30분
     4. 40분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처음 60분간 10분간격
나머지는 30분간격
[해설작성자 : 정화 포레버]

41. 압축강도시험용 공시체의 양생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8년 02월)
     1. 13±2℃
     2. 15±2℃
     3. 20±2℃
     4. 25±2℃

     정답 : []
     정답률 : 77%

42. 블리딩 시험에서 콘크리트를 용기에 3층으로 나누어 넣고 각 층을 다짐대로 몇회씩 다지는가?(2002년 01월)
     1. 15회/층
     2. 25회/층
     3. 35회/층
     4. 50회/층

     정답 : []
     정답률 : 85%

43. 블리딩 시험을 수행할 때 유지되어야 하는 시험실의 온도로써 가장 적당한 것은?(2007년 01월)
     1. 10± 3℃
     2. 14± 3℃
     3. 20± 3℃
     4. 26± 3℃

     정답 : []
     정답률 : 79%

44.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은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몇 mm이하일때 적용하는가?(2003년 01월)
     1. 25mm
     2. 50mm
     3. 100mm
     4. 150mm

     정답 : []
     정답률 : 51%

45. 골재의 단위 무게 시험 방법중 충격을 이용하는 방법에서 용기를 떨어뜨리는 높이는 어느 정도인가?(2002년 04월)
     1. 20cm
     2. 15cm
     3. 10cm
     4. 5cm

     정답 : []
     정답률 : 46%

46.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표면을 캐핑하기 위한 시멘트 풀의 물-시멘트비(W/C)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2003년 10월)
     1. 30∼35%
     2. 37∼40%
     3. 17∼20%
     4. 27∼30%

     정답 : []
     정답률 : 55%

47.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시멘트 풀로 캐핑(capping)할 때 물-시멘트비(W/C)는?(2002년 10월)
     1. 27∼30(%)
     2. 30∼33(%)
     3. 33∼37(%)
     4. 37∼40(%)

     정답 : []
     정답률 : 55%

48.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길이와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4년 02월)
     1. 길이는 높이의 2배보다 10cm이상 더 커야 한다.
     2. 길이는 높이의 3배보다 8cm이상 더 커야 한다.
     3. 길이는 높이의 4배이상 이어야 한다.
     4. 길이는 높이의 5배이상 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49. 골재의 체가름 시험에 사용되는 시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1월)
     1. 굵은골재 최대 치수가 25mm일 때 시료의 최소 질량은 5kg으로 한다.
     2. 시험할 대표 시료를 4분법이나 시료 분취기를 이용하여 채취한다.
     3. 채취한 시료는 표면건조포화상태에서 시험을 한다.
     4. 잔골재는 1.2mm체에 5%(질량비) 이상 남는 시료의 최소 질량은 500g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채취한 시료는 습윤상태에서 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사실 잘 모르는 최충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채취한 시료는 [절대 건조 상태]에서 시험해야 합니다. 습윤상태, 표면건조포화상태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시험에 표준모래를 사용하는 이유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4월)
     1. 경제적인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시험하기 위함이다.
     2. 표준모래는 양생이 쉽고 온도에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이다.
     3. 표준모래는 품질이 좋고 강도가 크기 때문이다.
     4. 모래알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없애고 시험조건을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표준모래는 알갱이의 크기차이가 매우 근소하기때문에 시험조건이 일정해짐
[해설작성자 : 꽃보다 최충진]

51.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사용하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은 물 50에 수산화나트륨 50의 질량비로 용해시킨 것이다.
     2. 시료는 대표적인 것을 취하고 절대건조상태로 건조시켜 4분법을 사용하여 약 5kg을 준비한다.
     3. 시험에 사용할 유리병은 노란색으로 된 유리병을 사용하여야 한다.
     4. 시험의 결과 24시간 정치한 잔골재 상부의 용액색이 표준용액보다 연할 경우 이 모래는 콘크리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2%

52. 콘크리트 원주 시험체를 할렬시켜 인장강도를 구하고자 할때 인장강도를 구하는 식이 바른 것은? (단, ℓ :공시체평균길이, d:공시체평균지름, P: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 A:파괴단면적)(2002년 10월)
     1. σt = P/A
     2. σt = P/πℓd
     3. σt = 2P/A
     4. σt = 2P/πℓd

     정답 : []
     정답률 : 54%

53. 단위골재량의 절대부피가 650l이고 잔골재율이 38%인 경우 단위굵은골재량의 절대부피는?(2014년 07월)
     1. 247l
     2. 403l
     3. 494l
     4. 508l

     정답 : []
     정답률 : 49%

54. 콘크리트 양생방법 중 촉진 양생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4월)
     1. 고주파양생
     2. 증기양생
     3. 오토클레이브양생
     4. 막양생

     정답 : []
     정답률 : 54%

55. 지름이 10cm, 길이가 20cm인 콘크리트 공시체로 쪼갬인장 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공시체 파괴시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이 7230kg 이었다. 이 공시체의 인장강도는?(2007년 09월)
     1. 21kg/cm2
     2. 23kg/cm2
     3. 25kg/cm2
     4. 27kg/cm2

     정답 : []
     정답률 : 50%

56.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을 할때 콘크리트를 친 후 블리딩이 대부분 발생하는 시기는?(2002년 04월)
     1. 타설직후부터 10분 이내
     2. 15 ∼ 30분 이내
     3. 30분 ∼ 1시간 이내
     4. 1 ∼ 2시간 이내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콘크리트 블리딩시험을 할때는 처음60분간은 10분의 간격으로 물을 흡수하고요
블리딩이 정지될때까지 60분은 30분간격으로 합니다
답이 잘못된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지식기부]

[오류신고 반론]
답 2번이 맞습니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 뒤 블리딩이 처음 시작되는 시기를 질문한 문제이기에 블리딩량을 측정하기 위한 단계 이전의 상태,
즉, 처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 뒤에 콘크리트 상부의 표면에 처음으로 물이 생겨서 나는 시기가 언제쯤인가를 질문하는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블리딩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도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물이 생겨서 나야만이 할 수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이용자입니다.]

57. 다음 중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3년 01월)
     1. 겉보기 배합에 의한 방법
     2. 계산 배합에 의한 방법
     3. 시험 배합에 의한 방법
     4. 배합표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79%

58. 다음 중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함유량 시험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5년 01월)
     1. 부피법
     2. 무게법
     3. 침하법
     4. 압력법

     정답 : []
     정답률 : 66%

59. 설계기준강도란 일반적으로 무엇을 말하는가?(2004년 10월)
     1. 재령28일의 인장강도
     2. 재령28일의 압축강도
     3. 재령7일의 인장강도
     4. 재령7일의 압축강도

     정답 : []
     정답률 : 64%

60. 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50mm이하인 경우 시험체의 한 변의 길이는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2003년 10월)
     1. 10cm
     2. 15cm
     3. 20cm
     4. 25cm

     정답 : []
     정답률 : 42%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3042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9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간호관리(8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92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91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590332)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90 금속재료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309854)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8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 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30424)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7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6 변리사 1차(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485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84 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83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81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0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79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10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78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8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77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76 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75 소음진동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Board Pagination Prev 1 ...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 261 Next
/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