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61607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물리해양학


1. 심층류 순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것은?(2018년 04월)
     1. 탁월풍
     2. 밀도 분포
     3. 해수면의 경사
     4. 기조력의 차이

     정답 : []
     정답률 : 88%

2. 취송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북반구에서 해수표면의 표류는 풍향우편 45°방향으로 일어난다.
     2. 수심이 깊어질수록 풍향과 교각은 커지고 속력은 떨어진다.
     3. 마찰저항수심은 풍속이 클수록 크나 위도와는 관계없다.
     4. 남반구에서 해수는 전체적으로 바람의 좌측 직각방향으로 흐른다.

     정답 : []
     정답률 : 82%

3. 주태음 반일주조(M2조)의 주기에 해당되는 것은?(2006년 05월)
     1. 12시간 25분
     2. 12시간
     3. 12시간 40분
     4. 11시간 55분

     정답 : []
     정답률 : 99%

4. 다음 중 편서풍이 일으키는 해류는?(2003년 05월)
     1. 적도
     2. 만류(gulf stream)
     3. 북태평양 해류
     4. 흑조(kuroshio)

     정답 : []
     정답률 : 61%

5. 해파에 의해서 발생되는 해류가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파송류
     2. 연안류
     3. 이안류
     4. 경사류

     정답 : []
     정답률 : 74%

6. 바다에서 발생하는 풍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풍랑, 너울은 직접 바람에 의해서 일어난다.
     2. 너울은 바람이 불지 않는 해역에도 전파된다.
     3. 너울과 풍랑의 진행속도는 수심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4. 풍랑은 진행파이며 너울은 정상파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7. 에크만 수송에 작용하는 힘은?(2019년 04월)
     1. 마찰력, 중력
     2. 수압경도력, 중력
     3. 전향력, 수압경도력
     4. 전향력, 바람의 응력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에크만 수송(Ekman transport)
표층 바다에서 바람이 해수면을 밀어 해수가 움직일 때 지구의 자전 때문에 해수가 점점 방향을 틀면서 아래로 전달되어서 전체적으로 평균적인 수송 방향이 바람과 90도 각도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즉, 에크만 수송에 작용하는 힘은 바람이 해수면을 미는 힘인 바람의 응력과 지구 자전에 의해 유체가 휘는 힘인 전향력 두가지 작용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강제파에 해당하는 것은?(2009년 05월)
     1. 너울
     2. 조석파
     3. 쓰나미
     4. 항만의 고유진동

     정답 : []
     정답률 : 77%

9. 파고 2m, 주기 10초인 심해파에서 표면 물입자의 이동속도는?(2019년 04월)
     1. 약 0.1m/s
     2. 약 0.6m/s
     3. 약 1m/s
     4. 약 2m/s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심해파에서 표면 물입자의 속도
u = H * pie / T (H=파고 T=주기)
u = 2m * pie / 10 sec
u = 0.628 m/se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하구(Estuar)에서 상·하층의 전류시각이 서로 달라지는 이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하구폭의 변화
     2. 하구수심의 변화
     3. 마찰
     4. 염분 성층

     정답 : []
     정답률 : 73%

11. 다음 중 조석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태양, 달, 지구와의 위치
     2. 지구와 달의 타원 궤도
     3. 자구와 자전
     4. 달의 자전

     정답 : []
     정답률 : 80%

12. σt와 △st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σt는 밀도, △st는 비용을 표시함)(2014년 05월)
     1. σt가 증가하면 △st도 증가한다.
     2. 수온이 증가하면 σt가 증가한다.
     3. 염분이 감소하면 σt가 증가한다.
     4. σt가 증가하면 △st는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13. 태평양 북적도 해류의 방향은?(2011년 06월)
     1. 서에서 동으로 향한다.
     2. 북에서 남으로 향한다.
     3. 남에서 북으로 향한다.
     4. 동에서 서로 향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14. 다음 중 해수의 움직임에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2017년 05월)
     1. 마찰력
     2. 전향력
     3. 압력경사
     4. 표면장력

     정답 : []
     정답률 : 76%

15. 다음 중 해수의 연직 안정도가 가장 높은 경우는? (단, p1: 상층해수 밀도, p2: 하층해수 밀도)(2019년 04월)
     1. p1 >p2
     2. p1= p2
     3. p1< p2
     4. 밀도에 관계 없음

     정답 : []
     정답률 : 81%

16. 우리나라 동해에 흐르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동한난류
     2. 북한한류
     3. 연해주한류
     4. 오야시오 해류

     정답 : []
     정답률 : 85%

17. 다음의 조석 분조중 주기가 가장 짧은 것은?(2008년 05월)
     1. M2
     2. S2
     3. K1
     4. O1

     정답 : []
     정답률 : 75%

18. 해수의 연직 안정도가 가장 큰 계절은?(2002년 05월)
     1.
     2. 여름
     3. 가을
     4. 겨울

     정답 : []
     정답률 : 78%

19. 다음 중 난류(turbulence)를 억제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2002년 05월)
     1. 담수유입
     2. 해류
     3. 표층냉각
     4. 증발

     정답 : []
     정답률 : 68%

20. 해양조사선에서 해저를 향해 음파를 발사한 후 2초 후에 반사되어 되돌아온 경우, 이 지점의 수심은 얼마인가? (단, 수중에서의 음속은 1,500m/s이다.)(2017년 05월)
     1. 750m
     2. 1500m
     3. 2500m
     4. 4000m

     정답 : []
     정답률 : 83%

2과목 : 화학해양학


21. 해수의 화학적 성분 중 미량금속 분석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2003년 05월)
     1. 원자흡광 분광광도계
     2. 동위원소 희석질량분석법
     3. 형광 X 선법
     4. 용출 전압전류법

     정답 : []
     정답률 : 81%

22. 해수의 암모니아를 indophenol청법으로 측정할 때 다음 중 Indophenol 형성을 위한 산화반응 단계의 최적 pH 범위로 가장 접합한 것은?(2012년 05월)
     1. 8.2 ~ 9.0
     2. 9.1 ~ 10.2
     3. 10.6 ~ 11.0
     4. 11.5 ~ 12.0

     정답 : []
     정답률 : 56%

23. PCB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PCB는 변압기나 콘덴서 제조시 가소제로 사용한다.
     2. 지속성이 매우 길다.
     3. 독성이 매우 강하다.
     4. 해수 중에 잘 용해된다.

     정답 : []
     정답률 : 91%

24. 유류오염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대기로부터 산소의 용해가 차단되어 무산소상태가 된다.
     2. 어패류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3. 심한 경우 어패류를 질식시킨다.
     4.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작용을 방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25. 해수의 자정능력에는 한계가 있어 연안 해수에 유기물이 너무 많으면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 다음중 오염지표 지수로 이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알칼리 금속
     2. 총유기탄소량
     3. DO(용존산소)
     4. COD(화학적산소요구량)

     정답 : []
     정답률 : 76%

26. 물의 빙점 및 최대 밀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해수의 빙점은 염분이 증기함에 따라 내려간다.
     2. 해수는 -1℃에서 최대 밀도를 가진다.
     3. 염분 24.695‰ 이상의 해수는 빙점보다 최대 밀도가 되는 온도가 낮다.
     4. 순수는 0℃에서 얼고 4℃에서 최대 밀도를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68%

27. 해수에 녹아 있는 염류 중에서 짠맛을 내는 주 성분은?(2007년 05월)
     1. 염화칼슘
     2. 염화마그네슘
     3. 염화나트륨
     4. 황산마그네슘

     정답 : []
     정답률 : 94%

28. PCB(Poly Chlorinate Biphenyl)의 화학적 특성이 아닌 것은 ?(2012년 05월)
     1. 높은 안정성
     2. 수중에서의 높은 용해도
     3. 낮은 휘발성
     4. 높은 절연성

     정답 : []
     정답률 : 80%

29. 해수중의 염소량은 해수 1kg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물질의 총량으로 정의되는가?(2017년 05월)
     1. 산화물
     2. 유기물
     3. 나트륨 원소
     4. 할로겐 원소

     정답 : []
     정답률 : 74%

30. 질소는 비교적 불활성 기체로, 해수중에 대략 몇 ppm 정도가 존재하는가?(2019년 04월)
     1. 0-2ppm
     2. 3-9ppm
     3. 10-18ppm
     4. 64-107ppm

     정답 : []
     정답률 : 70%

31. 해수 중의 주성분은 절대값에 관계없이 상대적인 양은 일정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관하여 다음에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염소량으로 염분을 계산한다.
     2. 해양은 잘 혼합되어 있지 않다.
     3. 표준해수로 염분을 보정한다.
     4. 성분의 일정성 법칙이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32. 해수 중 용존산소를 Winkler-Azide 변법으로 측정할 때 NaN3를 첨가하는 이유는?(2018년 04월)
     1. 유기물 존재 시 정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2. 아질산이온에 의한 정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3. 망간이온에 의한 부(-)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4. 황화물이온에 의한 부(-)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74%

33. 유류(oil) 오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유류오염에 의한 독성은 주로 용존성 방향족 물질에 의한다.
     2. 유류오염은 해저에서 자연적으로 분출되는 원유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3. 유류는 해저로 침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저서생물에 피해는 없다.
     4. 해수 중에서 유류는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가능하며 이 때 용존산소가 소모된다.

     정답 : []
     정답률 : 88%

34. 다음 중 일반 해수에서 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2009년 05월)
     1. S
     2. K
     3. Ca
     4. Mg

     정답 : []
     정답률 : 59%

35. 윙클러(winkler)법에 의하여 해수 중에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고자 시료를 처리할 때 오차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채수시 발생하는 기포
     2. 시료의 염분
     3. 시료 속에 존재하는 산화환원 물질
     4.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시 유리된 요오드의 증발

     정답 : []
     정답률 : 78%

36. 다음 중 미량금속원소 분석용 시료를 채취하는데 가장 적합한 채수기는?(2012년 05월)
     1. 난센 채수기
     2. 반동 채수기
     3. 니스킨 채수기
     4. Go Flow 니스킨 채수기

     정답 : []
     정답률 : 80%

37. 해양에서 부유식물이 급격히 증가하여 해수중의 CO2가 감소할 때 대기에서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뒤따르지 못하는 경우 해수의 pH는 어떻게 되는가?(2011년 06월)
     1. pH가 내려간다.
     2. 변화없다.
     3. 불규칙하게 변한다.
     4. pH가 올라간다.

     정답 : []
     정답률 : 80%

38. 해양환경오염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이화학적 수질지표 성분이 아닌 것은?(2002년 05월)
     1. 용존산소(DO)
     2. 화학적산소요구량(COD)
     3.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4. 규산염

     정답 : []
     정답률 : 82%

39. 바닷물에 녹아 있는 주성분 원소 사이의 상호 비율은 다음 중 어떤 물과 가장 가까운가?(2014년 05월)
     1. 빗물
     2. 강물
     3. 지하수
     4. 토양수

     정답 : []
     정답률 : 79%

40. 해수 중 원소의 평균체류시간을 계산하는 식은?(2006년 05월)
     1. 유입속도 - 현존량
     2. 현존량 ÷ 제거속도
     3. 제거속도 ÷ 현존량
     4. 유입속도 × 현존량

     정답 : []
     정답률 : 90%

3과목 : 생물해양학


41. 체장이 2~3cm 정도이며, 그 알은 보육낭에서 성체형까지 발생하는 연갑류 부유생물인 곤쟁이(Mysid)는 주로 어느 생물 종류의 천연먹이로 쓰이는가?(2013년 06월)
     1. 남조류
     2. 양서류
     3. 어류
     4. 조개류

     정답 : []
     정답률 : 92%

42. 저서생물의 일반적인 발생기간 동안의 생활은?(2002년 05월)
     1. 정착생활
     2. 기생생활
     3. 저서생활
     4. 부유생활

     정답 : []
     정답률 : 79%

43. 다음의 다시마 그림 중 분열조직이 있는 곳은?(2018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5%

44. 뱀장어가 바다에서 산란하고 성장을 하기 위해 강으로 회유를 하는 현상은?(2017년 05월)
     1. 소하성 회유
     2. 강하성 회유
     3. 양측성 회유
     4. 섭이 회유

     정답 : []
     정답률 : 86%

45. 1년 중 식물플랑크톤에 대량생산이 2회 일어나며 1차 대량생산이 2차 대량생산보다 뚜렷하게 큰 수역은?(2010년 05월)
     1. 한대
     2. 온대
     3. 열대
     4. 극지방

     정답 : []
     정답률 : 86%

46. 다음 부유생물 중 자웅동체인 것은?(2019년 04월)
     1. 갑각류
     2. 모악류
     3. 연체류
     4. 단각류

     정답 : []
     정답률 : 72%

47. 다음 중 강하성(降下性) 어류는?(2007년 05월)
     1. 뱀장어
     2. 연어
     3. 송어
     4. 전어

     정답 : []
     정답률 : 85%

48. 미소플랑크톤(Nanoplankton)은 어느 정도의 크기인가?(2014년 05월)
     1. 0.2 ~ 2.0 μm
     2. 0.2 ~ 20 cm
     3. 0.02 ~ 0.2 μm
     4. 2.0 ~ 20 μm

     정답 : []
     정답률 : 71%

49. 바다에 있어서 생물의 분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한 대, 온대, 열대지방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2. 연안이나, 강의 하구 또는 먼바다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3. 모든 생물은 바다에 고르게 분포한다.
     4. 깊이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86%

50. 플랑크톤이 온대지방의 바다에서 가장 번식에 나쁜 계절은?(2013년 06월)
     1.
     2. 여름
     3. 가을
     4. 겨울

     정답 : []
     정답률 : 83%

51. 와편모충류(dinoflagellates)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광합성을 하기도 하고 포식성인 종도 있다.
     2. 주로 이분법으로 증식하며 분열하며 점점 크기가 작아진다.
     3. 환경이 나빠지면 두꺼운 포낭을 만들어 휴면기를 보낸다.
     4. 황적색소를 가지고 있어 대번식이 일어나면 해수가 붉은색을 띄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52. 다음 사항 중 용승류(Upwelling)가 일어나고 있는 해역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영양염이 풍부하다.
     2. 수온이 낮다
     3. 기초생산이 크다.
     4. 수온약층이 강하게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72%

53. 인간의 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해양환경 파괴 요인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유류오염
     2. 간척
     3. 산업폐기물
     4. 엘니뇨

     정답 : []
     정답률 : 91%

54. 일반적으로 해양의 1차 생산을 담당하는 해양생물은?(2012년 05월)
     1. 섬모충류
     2. 해조류 및 식물플랑크톤
     3. 동물플랑크톤
     4. 어류

     정답 : []
     정답률 : 93%

55. 뱀장어의 계군을 구분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형질은?(2017년 05월)
     1. 비늘
     2. 이석
     3. 척추골수
     4. 체장

     정답 : []
     정답률 : 78%

56. 다음 중 홍수림(맹그로브 숲)이 번성하는 환경은?(2019년 04월)
     1. 극지고산대
     2. 온대연안
     3. 열대연안
     4. 대양중앙부

     정답 : []
     정답률 : 84%

57. 다음 중 공기호흡을 하는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포유류
     2. 조류(鳥類)
     3. 파충류
     4. 원구류

     정답 : []
     정답률 : 88%

58. 다음 ( )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0년 05월)

    

     1. 일시플랑크톤
     2. 기회성플랑크톤
     3. 대형플랑크톤
     4. 유생플랑크톤

     정답 : []
     정답률 : 93%

59. 산호의 몸속에 있는 공생 단세포 식물 세포를 일컫는 말은?(2019년 04월)
     1. zooxanthellae
     2. zooplankton
     3. phytocell
     4. parasite

     정답 : []
     정답률 : 74%

60. 해양에서 탈질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9년 04월)
     1. 산소가 풍부한 환경에서 일어난다
     2. 결과적으로 해양에서 질소 가스의 증가 요인이다.
     3. 최종적으로 질산염이 만들어진다.
     4. 일종의 산화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61. 대양의 섬이 파도에 의해 표면이 평탄하게 깍인 후 해수면 밑으로 침강된 해중산은?(2002년 05월)
     1. 해저화산
     2. 애톨(Atoll)
     3. 암초
     4. 기요(Guyot)

     정답 : []
     정답률 : 83%

62. 해빈의 퇴적구조와 관련이 적은 것은?(2009년 05월)
     1. 연흔
     2. 스워쉬마크
     3. 소류
     4. 취송류

     정답 : []
     정답률 : 61%

63. 우리나라 해안 중 해침에 의해 리아스식(ria type) 해안선을 이루고 조간대가 가장 넓게 발달한 곳은?(2019년 04월)
     1. 남해안
     2. 서해안
     3. 동해북부해안
     4. 동해남부해안

     정답 : []
     정답률 : 78%

64. 조직의 성숙도는 대체로 4단계로 구분한다. 퇴적물의 분급이 양호하고 원마도가 양호하면 다음 중 어느 단계 라고 할 수 있겠는가?(2002년 05월)
     1. 초성숙
     2. 미성숙
     3. 아성숙
     4. 성숙

     정답 : []
     정답률 : 55%

65. 판구조론에 대한 증거가 되지 못하는 것은?(2004년 05월)
     1. 대양저 열류량 분포
     2. 해저산맥을 중심으로 자력 이상의 분포
     3. 지진파에 의한 증거
     4. 광물학적 증거

     정답 : []
     정답률 : 60%

66. 심해저 시료 채취방법 중 틀린것은?(2007년 05월)
     1. 심해저 표층 퇴적물 채취는 주로 그랩(grab)과 드렛지(dredge)를 사용한다.
     2. 시추에 의해 채취된 시료는 퇴적시기 및 퇴적율 측정, 환경변화 연구에 적합하다.
     3. 상자형 채취기(box corer)로 얻은 시추시료는 퇴적환경 연구에 적합하다.
     4. 자유낙하 채취기(free fall grab)는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85%

67. 내만(內灣)에 존재하는 특징적인 퇴적물로서 가장 입자가 작은 것은?(2012년 05월)
     1. 역질
     2. 사력질
     3. 사질
     4. 니질

     정답 : []
     정답률 : 86%

68. 원마도와 구형도를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2년 05월)
     1. 원마도와 구형도는 퇴적물 전체의 성질을 의미하며, 입자 개개의 성질과는 관련이 없다.
     2. 원마도는 쇄설물의 마모정도를 나타내며, 능과모서리의 예리한 정도로 표현한다.
     3. 구형도란 모양이 얼마나 구에 가까운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4. 원마도는 퇴적환경에 관련될 가능성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09년 5월 10일 67번 문제와 비슷한데 정답이 다릅니다.
거기서는 1번이 정답으로 표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69. 다음 퇴적물 채취장비 중 역질퇴적물 채취에 가장 유용한 것은?(2011년 06월)
     1. 상자형 시추기(box corer)
     2. 채니기(grab sampler)
     3. 준설기(dredge)
     4. 중력식 시추기(gravity corer)

     정답 : []
     정답률 : 80%

70. 수성기원퇴적물이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인회석
     2. 해록석
     3. 망간단괴
     4. 텍타이트

     정답 : []
     정답률 : 64%

71. 터비다이트(turbidite)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는 것은?(2009년 05월)
     1. 저탁류에 의해 운반된 퇴적층이다.
     2. 점이층리가 발달되어 있다.
     3. 대륙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4. 상당량의 식물파편이 포함되어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72. 다음 중 저탁류에 의하여 운반 퇴적된 퇴적층은?(2003년 05월)
     1. 터어비다이트(turbidite)
     2. 위층
     3. 충적충
     4. 바르칸(barchan)

     정답 : []
     정답률 : 84%

73. 해양에서 제일 깊은 곳은?(2012년 05월)
     1. 해산
     2. 해구
     3. 해령
     4. 해저산맥

     정답 : []
     정답률 : 92%

74. 대륙대(continental rise)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2005년 05월)
     1. 단층에 의한 것이다.
     2. 해저 화산활동에 의한 것이다.
     3. 해저 저탁류와 관계가 깊다.
     4. 해저 확장이론과 관련된다.

     정답 : []
     정답률 : 68%

75. 삼각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조립과 세립의 퇴적물을 찾아볼 수 있다.
     2. 사교층리, 연흔이 발달되어 있다.
     3. 화석은 기수, 담수의 육상생물이 존재한다.
     4. 침식작용에 의하여 암반이 노출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7%

76. 해빈사의 이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2006년 05월)
     1. 파랑
     2. 조석
     3. 연안류
     4. 해류

     정답 : []
     정답률 : 64%

77. 심해에 있는 천해성 점토 및 부유 퇴적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심해퇴적물에서 인정하는 대표적인 부유퇴적물은 석회질 연니이다.
     2. 심해저에도 연흔과 같은 퇴적구조가 발달한다.
     3. 천해성 점토는 대륙주변부를 지나는 해류에 의해서 운반되어 심해저에 도달된다.
     4. 천해성 점토는 주로 석영과 점토광물로 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78. 퇴적물로 구성된 해빈 중 경사가 가장 급한 곳은?(2011년 06월)
     1. 고운 모래로 구성된 해빈
     2. 펄로 구성된 해빈
     3. 자갈로 구성된 해빈
     4. 굵은 모래로 구성된 해빈

     정답 : []
     정답률 : 87%

79. 해빈퇴적물과 해빈면 경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조립질 퇴적물의 해빈면경사는 일반적으로 세립질모래로 이우러진 해빈면경사보다 완만하다.
     2. 조립질 퇴적물의 해빈면경사는 일반적으로 세립질모래로 이우러진 해빈면경사보다 급하다.
     3. 일반적으로 분급이 불량한 해빈퇴적물은 투수성이 높아서 해빈면경사는 완만하다.
     4. 해빈퇴적물과 해빈면경사도와는 상관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4%

80. 중광물의 집중 또는 퇴적입자의 현저한 입도차에 의해서 발달되는 주된 해빈 퇴적구조는?(2003년 05월)
     1. 층리
     2. 연흔(ripple)
     3. 스워시 마아크(swash mark)
     4. 해빈 소갑(beach cusps)

     정답 : []
     정답률 : 68%


정 답 지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61607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물리해양학


1. 심층류 순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것은?(2018년 04월)
     1. 탁월풍
     2. 밀도 분포
     3. 해수면의 경사
     4. 기조력의 차이

     정답 : []
     정답률 : 88%

2. 취송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북반구에서 해수표면의 표류는 풍향우편 45°방향으로 일어난다.
     2. 수심이 깊어질수록 풍향과 교각은 커지고 속력은 떨어진다.
     3. 마찰저항수심은 풍속이 클수록 크나 위도와는 관계없다.
     4. 남반구에서 해수는 전체적으로 바람의 좌측 직각방향으로 흐른다.

     정답 : []
     정답률 : 82%

3. 주태음 반일주조(M2조)의 주기에 해당되는 것은?(2006년 05월)
     1. 12시간 25분
     2. 12시간
     3. 12시간 40분
     4. 11시간 55분

     정답 : []
     정답률 : 99%

4. 다음 중 편서풍이 일으키는 해류는?(2003년 05월)
     1. 적도
     2. 만류(gulf stream)
     3. 북태평양 해류
     4. 흑조(kuroshio)

     정답 : []
     정답률 : 61%

5. 해파에 의해서 발생되는 해류가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파송류
     2. 연안류
     3. 이안류
     4. 경사류

     정답 : []
     정답률 : 74%

6. 바다에서 발생하는 풍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풍랑, 너울은 직접 바람에 의해서 일어난다.
     2. 너울은 바람이 불지 않는 해역에도 전파된다.
     3. 너울과 풍랑의 진행속도는 수심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4. 풍랑은 진행파이며 너울은 정상파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7. 에크만 수송에 작용하는 힘은?(2019년 04월)
     1. 마찰력, 중력
     2. 수압경도력, 중력
     3. 전향력, 수압경도력
     4. 전향력, 바람의 응력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에크만 수송(Ekman transport)
표층 바다에서 바람이 해수면을 밀어 해수가 움직일 때 지구의 자전 때문에 해수가 점점 방향을 틀면서 아래로 전달되어서 전체적으로 평균적인 수송 방향이 바람과 90도 각도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즉, 에크만 수송에 작용하는 힘은 바람이 해수면을 미는 힘인 바람의 응력과 지구 자전에 의해 유체가 휘는 힘인 전향력 두가지 작용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강제파에 해당하는 것은?(2009년 05월)
     1. 너울
     2. 조석파
     3. 쓰나미
     4. 항만의 고유진동

     정답 : []
     정답률 : 77%

9. 파고 2m, 주기 10초인 심해파에서 표면 물입자의 이동속도는?(2019년 04월)
     1. 약 0.1m/s
     2. 약 0.6m/s
     3. 약 1m/s
     4. 약 2m/s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심해파에서 표면 물입자의 속도
u = H * pie / T (H=파고 T=주기)
u = 2m * pie / 10 sec
u = 0.628 m/se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하구(Estuar)에서 상·하층의 전류시각이 서로 달라지는 이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하구폭의 변화
     2. 하구수심의 변화
     3. 마찰
     4. 염분 성층

     정답 : []
     정답률 : 73%

11. 다음 중 조석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태양, 달, 지구와의 위치
     2. 지구와 달의 타원 궤도
     3. 자구와 자전
     4. 달의 자전

     정답 : []
     정답률 : 80%

12. σt와 △st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σt는 밀도, △st는 비용을 표시함)(2014년 05월)
     1. σt가 증가하면 △st도 증가한다.
     2. 수온이 증가하면 σt가 증가한다.
     3. 염분이 감소하면 σt가 증가한다.
     4. σt가 증가하면 △st는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13. 태평양 북적도 해류의 방향은?(2011년 06월)
     1. 서에서 동으로 향한다.
     2. 북에서 남으로 향한다.
     3. 남에서 북으로 향한다.
     4. 동에서 서로 향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14. 다음 중 해수의 움직임에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2017년 05월)
     1. 마찰력
     2. 전향력
     3. 압력경사
     4. 표면장력

     정답 : []
     정답률 : 76%

15. 다음 중 해수의 연직 안정도가 가장 높은 경우는? (단, p1: 상층해수 밀도, p2: 하층해수 밀도)(2019년 04월)
     1. p1 >p2
     2. p1= p2
     3. p1< p2
     4. 밀도에 관계 없음

     정답 : []
     정답률 : 81%

16. 우리나라 동해에 흐르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동한난류
     2. 북한한류
     3. 연해주한류
     4. 오야시오 해류

     정답 : []
     정답률 : 85%

17. 다음의 조석 분조중 주기가 가장 짧은 것은?(2008년 05월)
     1. M2
     2. S2
     3. K1
     4. O1

     정답 : []
     정답률 : 75%

18. 해수의 연직 안정도가 가장 큰 계절은?(2002년 05월)
     1.
     2. 여름
     3. 가을
     4. 겨울

     정답 : []
     정답률 : 78%

19. 다음 중 난류(turbulence)를 억제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2002년 05월)
     1. 담수유입
     2. 해류
     3. 표층냉각
     4. 증발

     정답 : []
     정답률 : 68%

20. 해양조사선에서 해저를 향해 음파를 발사한 후 2초 후에 반사되어 되돌아온 경우, 이 지점의 수심은 얼마인가? (단, 수중에서의 음속은 1,500m/s이다.)(2017년 05월)
     1. 750m
     2. 1500m
     3. 2500m
     4. 4000m

     정답 : []
     정답률 : 83%

2과목 : 화학해양학


21. 해수의 화학적 성분 중 미량금속 분석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2003년 05월)
     1. 원자흡광 분광광도계
     2. 동위원소 희석질량분석법
     3. 형광 X 선법
     4. 용출 전압전류법

     정답 : []
     정답률 : 81%

22. 해수의 암모니아를 indophenol청법으로 측정할 때 다음 중 Indophenol 형성을 위한 산화반응 단계의 최적 pH 범위로 가장 접합한 것은?(2012년 05월)
     1. 8.2 ~ 9.0
     2. 9.1 ~ 10.2
     3. 10.6 ~ 11.0
     4. 11.5 ~ 12.0

     정답 : []
     정답률 : 56%

23. PCB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PCB는 변압기나 콘덴서 제조시 가소제로 사용한다.
     2. 지속성이 매우 길다.
     3. 독성이 매우 강하다.
     4. 해수 중에 잘 용해된다.

     정답 : []
     정답률 : 91%

24. 유류오염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대기로부터 산소의 용해가 차단되어 무산소상태가 된다.
     2. 어패류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3. 심한 경우 어패류를 질식시킨다.
     4.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작용을 방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25. 해수의 자정능력에는 한계가 있어 연안 해수에 유기물이 너무 많으면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 다음중 오염지표 지수로 이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알칼리 금속
     2. 총유기탄소량
     3. DO(용존산소)
     4. COD(화학적산소요구량)

     정답 : []
     정답률 : 76%

26. 물의 빙점 및 최대 밀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해수의 빙점은 염분이 증기함에 따라 내려간다.
     2. 해수는 -1℃에서 최대 밀도를 가진다.
     3. 염분 24.695‰ 이상의 해수는 빙점보다 최대 밀도가 되는 온도가 낮다.
     4. 순수는 0℃에서 얼고 4℃에서 최대 밀도를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68%

27. 해수에 녹아 있는 염류 중에서 짠맛을 내는 주 성분은?(2007년 05월)
     1. 염화칼슘
     2. 염화마그네슘
     3. 염화나트륨
     4. 황산마그네슘

     정답 : []
     정답률 : 94%

28. PCB(Poly Chlorinate Biphenyl)의 화학적 특성이 아닌 것은 ?(2012년 05월)
     1. 높은 안정성
     2. 수중에서의 높은 용해도
     3. 낮은 휘발성
     4. 높은 절연성

     정답 : []
     정답률 : 80%

29. 해수중의 염소량은 해수 1kg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물질의 총량으로 정의되는가?(2017년 05월)
     1. 산화물
     2. 유기물
     3. 나트륨 원소
     4. 할로겐 원소

     정답 : []
     정답률 : 74%

30. 질소는 비교적 불활성 기체로, 해수중에 대략 몇 ppm 정도가 존재하는가?(2019년 04월)
     1. 0-2ppm
     2. 3-9ppm
     3. 10-18ppm
     4. 64-107ppm

     정답 : []
     정답률 : 70%

31. 해수 중의 주성분은 절대값에 관계없이 상대적인 양은 일정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관하여 다음에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염소량으로 염분을 계산한다.
     2. 해양은 잘 혼합되어 있지 않다.
     3. 표준해수로 염분을 보정한다.
     4. 성분의 일정성 법칙이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32. 해수 중 용존산소를 Winkler-Azide 변법으로 측정할 때 NaN3를 첨가하는 이유는?(2018년 04월)
     1. 유기물 존재 시 정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2. 아질산이온에 의한 정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3. 망간이온에 의한 부(-)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4. 황화물이온에 의한 부(-)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74%

33. 유류(oil) 오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유류오염에 의한 독성은 주로 용존성 방향족 물질에 의한다.
     2. 유류오염은 해저에서 자연적으로 분출되는 원유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3. 유류는 해저로 침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저서생물에 피해는 없다.
     4. 해수 중에서 유류는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가능하며 이 때 용존산소가 소모된다.

     정답 : []
     정답률 : 88%

34. 다음 중 일반 해수에서 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2009년 05월)
     1. S
     2. K
     3. Ca
     4. Mg

     정답 : []
     정답률 : 59%

35. 윙클러(winkler)법에 의하여 해수 중에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고자 시료를 처리할 때 오차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채수시 발생하는 기포
     2. 시료의 염분
     3. 시료 속에 존재하는 산화환원 물질
     4.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시 유리된 요오드의 증발

     정답 : []
     정답률 : 78%

36. 다음 중 미량금속원소 분석용 시료를 채취하는데 가장 적합한 채수기는?(2012년 05월)
     1. 난센 채수기
     2. 반동 채수기
     3. 니스킨 채수기
     4. Go Flow 니스킨 채수기

     정답 : []
     정답률 : 80%

37. 해양에서 부유식물이 급격히 증가하여 해수중의 CO2가 감소할 때 대기에서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뒤따르지 못하는 경우 해수의 pH는 어떻게 되는가?(2011년 06월)
     1. pH가 내려간다.
     2. 변화없다.
     3. 불규칙하게 변한다.
     4. pH가 올라간다.

     정답 : []
     정답률 : 80%

38. 해양환경오염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이화학적 수질지표 성분이 아닌 것은?(2002년 05월)
     1. 용존산소(DO)
     2. 화학적산소요구량(COD)
     3.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4. 규산염

     정답 : []
     정답률 : 82%

39. 바닷물에 녹아 있는 주성분 원소 사이의 상호 비율은 다음 중 어떤 물과 가장 가까운가?(2014년 05월)
     1. 빗물
     2. 강물
     3. 지하수
     4. 토양수

     정답 : []
     정답률 : 79%

40. 해수 중 원소의 평균체류시간을 계산하는 식은?(2006년 05월)
     1. 유입속도 - 현존량
     2. 현존량 ÷ 제거속도
     3. 제거속도 ÷ 현존량
     4. 유입속도 × 현존량

     정답 : []
     정답률 : 90%

3과목 : 생물해양학


41. 체장이 2~3cm 정도이며, 그 알은 보육낭에서 성체형까지 발생하는 연갑류 부유생물인 곤쟁이(Mysid)는 주로 어느 생물 종류의 천연먹이로 쓰이는가?(2013년 06월)
     1. 남조류
     2. 양서류
     3. 어류
     4. 조개류

     정답 : []
     정답률 : 92%

42. 저서생물의 일반적인 발생기간 동안의 생활은?(2002년 05월)
     1. 정착생활
     2. 기생생활
     3. 저서생활
     4. 부유생활

     정답 : []
     정답률 : 79%

43. 다음의 다시마 그림 중 분열조직이 있는 곳은?(2018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5%

44. 뱀장어가 바다에서 산란하고 성장을 하기 위해 강으로 회유를 하는 현상은?(2017년 05월)
     1. 소하성 회유
     2. 강하성 회유
     3. 양측성 회유
     4. 섭이 회유

     정답 : []
     정답률 : 86%

45. 1년 중 식물플랑크톤에 대량생산이 2회 일어나며 1차 대량생산이 2차 대량생산보다 뚜렷하게 큰 수역은?(2010년 05월)
     1. 한대
     2. 온대
     3. 열대
     4. 극지방

     정답 : []
     정답률 : 86%

46. 다음 부유생물 중 자웅동체인 것은?(2019년 04월)
     1. 갑각류
     2. 모악류
     3. 연체류
     4. 단각류

     정답 : []
     정답률 : 72%

47. 다음 중 강하성(降下性) 어류는?(2007년 05월)
     1. 뱀장어
     2. 연어
     3. 송어
     4. 전어

     정답 : []
     정답률 : 85%

48. 미소플랑크톤(Nanoplankton)은 어느 정도의 크기인가?(2014년 05월)
     1. 0.2 ~ 2.0 μm
     2. 0.2 ~ 20 cm
     3. 0.02 ~ 0.2 μm
     4. 2.0 ~ 20 μm

     정답 : []
     정답률 : 71%

49. 바다에 있어서 생물의 분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한 대, 온대, 열대지방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2. 연안이나, 강의 하구 또는 먼바다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3. 모든 생물은 바다에 고르게 분포한다.
     4. 깊이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86%

50. 플랑크톤이 온대지방의 바다에서 가장 번식에 나쁜 계절은?(2013년 06월)
     1.
     2. 여름
     3. 가을
     4. 겨울

     정답 : []
     정답률 : 83%

51. 와편모충류(dinoflagellates)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광합성을 하기도 하고 포식성인 종도 있다.
     2. 주로 이분법으로 증식하며 분열하며 점점 크기가 작아진다.
     3. 환경이 나빠지면 두꺼운 포낭을 만들어 휴면기를 보낸다.
     4. 황적색소를 가지고 있어 대번식이 일어나면 해수가 붉은색을 띄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52. 다음 사항 중 용승류(Upwelling)가 일어나고 있는 해역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영양염이 풍부하다.
     2. 수온이 낮다
     3. 기초생산이 크다.
     4. 수온약층이 강하게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72%

53. 인간의 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해양환경 파괴 요인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유류오염
     2. 간척
     3. 산업폐기물
     4. 엘니뇨

     정답 : []
     정답률 : 91%

54. 일반적으로 해양의 1차 생산을 담당하는 해양생물은?(2012년 05월)
     1. 섬모충류
     2. 해조류 및 식물플랑크톤
     3. 동물플랑크톤
     4. 어류

     정답 : []
     정답률 : 93%

55. 뱀장어의 계군을 구분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형질은?(2017년 05월)
     1. 비늘
     2. 이석
     3. 척추골수
     4. 체장

     정답 : []
     정답률 : 78%

56. 다음 중 홍수림(맹그로브 숲)이 번성하는 환경은?(2019년 04월)
     1. 극지고산대
     2. 온대연안
     3. 열대연안
     4. 대양중앙부

     정답 : []
     정답률 : 84%

57. 다음 중 공기호흡을 하는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포유류
     2. 조류(鳥類)
     3. 파충류
     4. 원구류

     정답 : []
     정답률 : 88%

58. 다음 ( )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0년 05월)

    

     1. 일시플랑크톤
     2. 기회성플랑크톤
     3. 대형플랑크톤
     4. 유생플랑크톤

     정답 : []
     정답률 : 93%

59. 산호의 몸속에 있는 공생 단세포 식물 세포를 일컫는 말은?(2019년 04월)
     1. zooxanthellae
     2. zooplankton
     3. phytocell
     4. parasite

     정답 : []
     정답률 : 74%

60. 해양에서 탈질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9년 04월)
     1. 산소가 풍부한 환경에서 일어난다
     2. 결과적으로 해양에서 질소 가스의 증가 요인이다.
     3. 최종적으로 질산염이 만들어진다.
     4. 일종의 산화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61. 대양의 섬이 파도에 의해 표면이 평탄하게 깍인 후 해수면 밑으로 침강된 해중산은?(2002년 05월)
     1. 해저화산
     2. 애톨(Atoll)
     3. 암초
     4. 기요(Guyot)

     정답 : []
     정답률 : 83%

62. 해빈의 퇴적구조와 관련이 적은 것은?(2009년 05월)
     1. 연흔
     2. 스워쉬마크
     3. 소류
     4. 취송류

     정답 : []
     정답률 : 61%

63. 우리나라 해안 중 해침에 의해 리아스식(ria type) 해안선을 이루고 조간대가 가장 넓게 발달한 곳은?(2019년 04월)
     1. 남해안
     2. 서해안
     3. 동해북부해안
     4. 동해남부해안

     정답 : []
     정답률 : 78%

64. 조직의 성숙도는 대체로 4단계로 구분한다. 퇴적물의 분급이 양호하고 원마도가 양호하면 다음 중 어느 단계 라고 할 수 있겠는가?(2002년 05월)
     1. 초성숙
     2. 미성숙
     3. 아성숙
     4. 성숙

     정답 : []
     정답률 : 55%

65. 판구조론에 대한 증거가 되지 못하는 것은?(2004년 05월)
     1. 대양저 열류량 분포
     2. 해저산맥을 중심으로 자력 이상의 분포
     3. 지진파에 의한 증거
     4. 광물학적 증거

     정답 : []
     정답률 : 60%

66. 심해저 시료 채취방법 중 틀린것은?(2007년 05월)
     1. 심해저 표층 퇴적물 채취는 주로 그랩(grab)과 드렛지(dredge)를 사용한다.
     2. 시추에 의해 채취된 시료는 퇴적시기 및 퇴적율 측정, 환경변화 연구에 적합하다.
     3. 상자형 채취기(box corer)로 얻은 시추시료는 퇴적환경 연구에 적합하다.
     4. 자유낙하 채취기(free fall grab)는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85%

67. 내만(內灣)에 존재하는 특징적인 퇴적물로서 가장 입자가 작은 것은?(2012년 05월)
     1. 역질
     2. 사력질
     3. 사질
     4. 니질

     정답 : []
     정답률 : 86%

68. 원마도와 구형도를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2년 05월)
     1. 원마도와 구형도는 퇴적물 전체의 성질을 의미하며, 입자 개개의 성질과는 관련이 없다.
     2. 원마도는 쇄설물의 마모정도를 나타내며, 능과모서리의 예리한 정도로 표현한다.
     3. 구형도란 모양이 얼마나 구에 가까운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4. 원마도는 퇴적환경에 관련될 가능성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09년 5월 10일 67번 문제와 비슷한데 정답이 다릅니다.
거기서는 1번이 정답으로 표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69. 다음 퇴적물 채취장비 중 역질퇴적물 채취에 가장 유용한 것은?(2011년 06월)
     1. 상자형 시추기(box corer)
     2. 채니기(grab sampler)
     3. 준설기(dredge)
     4. 중력식 시추기(gravity corer)

     정답 : []
     정답률 : 80%

70. 수성기원퇴적물이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인회석
     2. 해록석
     3. 망간단괴
     4. 텍타이트

     정답 : []
     정답률 : 64%

71. 터비다이트(turbidite)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는 것은?(2009년 05월)
     1. 저탁류에 의해 운반된 퇴적층이다.
     2. 점이층리가 발달되어 있다.
     3. 대륙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4. 상당량의 식물파편이 포함되어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72. 다음 중 저탁류에 의하여 운반 퇴적된 퇴적층은?(2003년 05월)
     1. 터어비다이트(turbidite)
     2. 위층
     3. 충적충
     4. 바르칸(barchan)

     정답 : []
     정답률 : 84%

73. 해양에서 제일 깊은 곳은?(2012년 05월)
     1. 해산
     2. 해구
     3. 해령
     4. 해저산맥

     정답 : []
     정답률 : 92%

74. 대륙대(continental rise)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2005년 05월)
     1. 단층에 의한 것이다.
     2. 해저 화산활동에 의한 것이다.
     3. 해저 저탁류와 관계가 깊다.
     4. 해저 확장이론과 관련된다.

     정답 : []
     정답률 : 68%

75. 삼각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조립과 세립의 퇴적물을 찾아볼 수 있다.
     2. 사교층리, 연흔이 발달되어 있다.
     3. 화석은 기수, 담수의 육상생물이 존재한다.
     4. 침식작용에 의하여 암반이 노출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7%

76. 해빈사의 이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2006년 05월)
     1. 파랑
     2. 조석
     3. 연안류
     4. 해류

     정답 : []
     정답률 : 64%

77. 심해에 있는 천해성 점토 및 부유 퇴적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심해퇴적물에서 인정하는 대표적인 부유퇴적물은 석회질 연니이다.
     2. 심해저에도 연흔과 같은 퇴적구조가 발달한다.
     3. 천해성 점토는 대륙주변부를 지나는 해류에 의해서 운반되어 심해저에 도달된다.
     4. 천해성 점토는 주로 석영과 점토광물로 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78. 퇴적물로 구성된 해빈 중 경사가 가장 급한 곳은?(2011년 06월)
     1. 고운 모래로 구성된 해빈
     2. 펄로 구성된 해빈
     3. 자갈로 구성된 해빈
     4. 굵은 모래로 구성된 해빈

     정답 : []
     정답률 : 87%

79. 해빈퇴적물과 해빈면 경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조립질 퇴적물의 해빈면경사는 일반적으로 세립질모래로 이우러진 해빈면경사보다 완만하다.
     2. 조립질 퇴적물의 해빈면경사는 일반적으로 세립질모래로 이우러진 해빈면경사보다 급하다.
     3. 일반적으로 분급이 불량한 해빈퇴적물은 투수성이 높아서 해빈면경사는 완만하다.
     4. 해빈퇴적물과 해빈면경사도와는 상관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4%

80. 중광물의 집중 또는 퇴적입자의 현저한 입도차에 의해서 발달되는 주된 해빈 퇴적구조는?(2003년 05월)
     1. 층리
     2. 연흔(ripple)
     3. 스워시 마아크(swash mark)
     4. 해빈 소갑(beach cusps)

     정답 : []
     정답률 : 6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61607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26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825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24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시스템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178242)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4823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22 9급 국가직 공무원 네트워크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821 전자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4820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19 화학분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7월2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616077)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17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4816 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15 FAT 1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481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724016)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13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 10월 02일[5회](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4812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 04월 24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811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 03월 05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4810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 08월 14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18 3
4809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 09월 26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4808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 08월 22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807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 06월 06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269 Next
/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