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 되나 백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하는 형태
2.
Single-tasking : 컴퓨터가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형태
3.
Multi-tasking :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스템
4.
Multi-user : 단일 시스템에서 여러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형태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운영체제의 유형 - 다중교환: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되나 포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하는 형태 - 단일작업: 컴퓨터가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형태 - 다중작업: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스템 - 다중사용자: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여러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 - 대화형처리: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대화형으로 작업을 처리하는 것 - 일괄처리: 여러 개의 작업을 묶어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 작업처리 효율이 높음 - 실시간 처리: 작업의 처리가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처리되는 것으로 신속한 반응을 요구 - 가상기계: 실제로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컴퓨터 시스템을 마치 여러 대의 작은 컴퓨터 시스템이 있는 것처럼 분할 - 분산처리: 통신선으로 여러 시스템을 연결하고 작업을 나누어서 처리 - 병렬 계산: 많은 프로세서들이 동시에 작동. 병렬 계산 위주
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리눅스의 기술적인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파이프(Pipe)
2.
스와핑(Swapping)
3.
리다이렉션(Redirection)
4.
가상콘솔(Virtual Console)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Pipe는 여러개의 명령어를 실행할때 이전 명령어의 결과값을 다음 명령어의 입력값으로 사용할때 쓴다. [해설작성자 : 설렘덩크]
파이프(Pipe) : 여러개의 명령어를 실행할때 이전 명령어의 결과값을 다음 명령어의 입력값으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리다이렉션(Redirection) : 특정 프로그램이나 파일에서 output stream을 캡쳐하여 다른 프로그램이나 파일의 input stream으로 넘기는 것입니다. 가상콘솔(Virtual Console) : 멀티유저 시스템인 리눅스에서 서버에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기능입니다.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3.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 : GPL, ㉡ : LGPL
2.
㉠ : LGPL, ㉡ : GPL
3.
㉠ : GPL, ㉡ : MPL
4.
㉠ : MPL, ㉡ : GPL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GPL (General Public License) - 어떤 목적으로든 어떤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하거나 변경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경우 소스코드 오픈 LPGL (Lesser GPL) - 소스코드 공개의 부담때문에 단순한 라이브러리 모듈링크를 허용한 라이센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4.
다음 중 GNU/FSF(자유소프트웨어재단)에서 규정한 자유소프트웨어의 조건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Microsoft Office
2.
Apache HTTPD Server
3.
Emacs
4.
GIMP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gimp : 그림을 편집하는데 쓰이는 자유 소프트웨어, GNU GPL 라이선스를 따름 emacs : GNU 편집기 [해설작성자 : 도쿄까지]
5.
다음 중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와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수세 : 1994년 독일에서 배포된 상용 소프트웨어로 패키지 관리를 위해 YaST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2.
우분투 : 데비안 리눅스를 기초로 만든 리눅스 배포판으로 고유한 데스크탑 환경인 유니티를 사용한다.
3.
레드햇 : 레드햇 리눅스의 약자는 RHEL로 현재까지 무상으로 배포되고 있으며, RPM패키지 방식을 사용한다.
4.
데비안 : 패키지의 설치, 삭제 등은 dpkg 명령어로 수행되며, apt를 이용하면 쉬운 설치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레드햇은 오픈 소스를 비즈니스로 전개하면서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공급하고 지원을 유료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최근에는 고도화된 소프트웨어를 유료로 판매하는 비즈니스도 시작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blog.naver.com/grunge26]
6.
다음 중 하드웨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메인보드 : 리눅스를 설치할 수 없는 메인보드도 있다.
2.
RAID :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분산 또는 중복시켜 저장하는 기술이다.
3.
PROM : 메모리속에 저장된 내용을 지우고 재사용할 수 있는 ROM이다.
4.
CPU : 레지스터 , 산술논리연산장 치 ,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PROM(피롬,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은 1956년 뉴욕의 "Arma Division of the American Bosch Arma Corporation"에서 일하던 조우원쥔(周文俊 Zhōu Wénjùn 1918~ 2001년)이 발명했다. FPROM(Field Programmable Rom)이라고도 한다.
PROM은 1회에 한해서 새로운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롬을 말한다. 이 말은 사용자가 PROM 라이터를 이용하여 내용을 기록할 수 있지만 한 번 들어간 내용은 바꾸거나 지울 수 없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제조시 모든 메모리 비트가 퓨즈로 연결되어 1로 읽히지만 생산되는데 이를 기록하면 퓨즈가 끊어져서 0으로 읽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기록 과정 자체가 높은 전압(보통 12 - 21볼트)으로 롬 내부에 퓨즈를 끊는 물리적 과정이기 때문에 수정할 수 없는 것이다.
장점으로는 신뢰성이 높고 자료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며, 값이 싸고, 속도가 빠르다는 점(35-60ns) 등을 꼽을 수 있다. 주로 비디오 게임기나 전자사전 등에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미카엘]
7.
다음 중 리눅스용 응용프로그램과 이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와 연결된 것 중 알맞은 것은?(2005년 09월)
1.
Sane - 스캐너
2.
ProFtpd - 비디오 카드
3.
gcombust - 네트워크 카드
4.
Xmms - 이동형 저장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44%
8.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구조를 이루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3년 06월)
1.
수퍼 블록 : 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해당 파일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다.
2.
간접 블록 : 추가적인 데이터 블록을 위한 포인터들이 사용할 공간이며 동적으로 할당된다.
3.
아이노드 : 파일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다.
4.
디렉토리 블록 : 파일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슈퍼블록:파일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를 갖고 있다. 아이노드: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해당 파일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디렉토리 블록:파일이름과 inode변화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 [해설작성자 : 961206이민지]
9.
리눅스 부트로더인 LILO/GRUB가 설치되는 영역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ROOT 영역
2.
MBR 영역
3.
Directory 영역
4.
데이터 영역
정답 : [
2
] 정답률 : 79%
10.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 (ㄹ))(2005년 09월)
1.
로그, 슈퍼블록, I-Node, 파티션 정보
2.
I-Node, 슈퍼블록, 비트맵, 로그
3.
파티션 정보 로그 비트맵 슈퍼블록
4.
슈퍼블록 로그 I-Node 파티션 정보
정답 : [
2
] 정답률 : 56%
11.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2002년 05월)
1.
Compiler
2.
Shell
3.
Debugger
4.
Interrupt
정답 : [
2
] 정답률 : 66%
12.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1.
case
2.
/case
3.
esac
4.
/esac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case 변수 in 패턴1 | 패턴2 .... ) 명령어들;; *) 명령어들 ;; esac [해설작성자 : ㅈㅈㅁ]
13.
다음 중 X윈도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두 개의 개별 소프트웨어 부분에 의해 제어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
2.
X 프로토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통신되는 Request, Reply, Event, Error의 기본 메시지이다.
3.
Xtoolkit의 종류에는 Xaw, XView, Motif, XtIntrinsics 등이 있다.
4.
Xlib는 XFree86의 4.4rc2 버전을 X.org기구에서 가져다가 개발한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X윈도우의 특징 1. X윈도우 시스템 : 2개의 개별 소프트웨어 부분에 의해 제어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 X윈도우의 서버/클라이언트의 관계는 일반적인 서버/클라이언트 관계와 반대이다. X윈도우의 클라이언트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자원을 제공하고, 서버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수행된 결과를 출력 장치에 표시하는 역활을 한다. 2. X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뉘어져 처리되는 X윈도우에서 둘 사이에 상호작용은 메세지 교환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메세지의 형태와 사용법을 X프로토콜이라도 한다. 이러한 메세지 교환이 로컬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가능하다는것이 X윈도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X프로토콜은 Request, Reply, Event, Error를 기본 메세지로 가지고 통신을 한다. 3. Xlib, Xtoolkit : X프로토콜은 Xlib이라는 라이브러리 루틴에서 발생하는데 이 Xlib의 기능은 그다지 많지 않은, 즉 저수준의 라이브러리이다. 그래서 상위 라이브러리인 Xtoolkit을 사용한다. Xtoolkit은 XtIntrinsics, Xaw, XView, Motif, Qt, GTK등이 있다.
*XFree86은 Intel x86계열의 유닉스 계열 운영체계에서 동작하는 X서버를 말한다. 이 XFree86의 4.4rc2버전을 X.org기구에서 가져다 개발한 것이 Xorg이다.
14.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2년 08월)
1.
SPN(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은 준비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총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부터 스케줄링하는 기법으로, 시스템 내에 대기하는 프로세스들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은 수행중인 프로세스가 스스로 자원을 반납할 때까지 프로세서를 포함한 모든 할당된 자원의 소유권을 계속 유지시키는 것으로, 응답 시간의 예측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3.
FIFO(First In First Out) 스케줄링은 가장 간단한 스케줄링 기법으로서, 일단 하나의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차지하면 그 프로세스가 완료 될 때까지 실행되는 비선점 방식의 스케줄링 기법이다.
4.
RR(Round-Robin) 스케줄링 기법은 선점기법으로 구현한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대화식 시분할 시스템이나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 적합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20%
15.
다음 설명하는 파일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ext4
2.
GlusterFS
3.
XFS
4.
ReFS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XFS : 1993년 SGI가 만든 고성능 64비트 저널링 파일 시스템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16.
다음 중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에 기록할 수 있는 설정 값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DNS1
2.
NAME
3.
PEERDNS
4.
NETWORKING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NETWORKING /etc/sysconfig/network 에서 사용 NETWORKING = yes (통신이 되도록 지원할 것인가 여부 yes or no) [해설작성자 : 쭝이]
ㅇifcfg-eth0 : 리눅스 ip 주소를 설정하는 파일 ㅇ DNS1 : DNS주소 ㅇ PEERDNS : dhcp 서버의 dns정보를 resolv.conf에 저장 여부 yes or no [해설작성자 : 정추]
1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LAN 구성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망형
2.
링형
3.
버스형
4.
스타형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망(Mesh)형 : 망형은 전화 통신망과 같은 공중 데이터 통신에 많이 사용이 되고 통신 회선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회선으로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유지 보수 비용이 비싸고 설치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스타(Star)형 - 중앙에 위치한 중앙 컴퓨터가 각 컴퓨터와 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는 방식(중앙 집중식 형태) - 고속의 대규모 네트워크에 이용하고 일부 장애가 발생해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단말기 추가나 오류 진단이 용이하다. - 중앙 컴퓨터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가 통신이 안된다.
버스(Bus)형 - 하나의 통신회선(Bus)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해서 전송하는 방법으로 모든 장치들은 동등한 조건으로 경쟁한다. - 연결된 컴퓨터 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이 좌우된다.(연결된 컴퓨터 수가 많아질수록 성능이 저하된다.) - 구조가 간단하여 단말기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링(Ring)형 - 원형의 통신회선에 컴퓨터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형태로 연결된 앞의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내용을 다음 컴퓨터에 재전송하는 방법으로 동작하며, 토큰 패싱이라는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 네트워크 전송상의 충돌리 없고, 노드의 숫자가 늘더라도 전체적인 성능의 저하가 적다. - 노드의 추가가 비교적 어렵고, 노드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정추]
1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6월)
1.
lo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2.
eth1은 이더넷 인터페이스이다.
3.
ppp1은 PPP(Point-to-Point) 인터페이스이다.
4.
sl1은 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인터페이스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lo 는 loop back 인터페이스임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이]
19.
양방향 통신 중 어느 한순간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단방향 통신
2.
반이중 통신
3.
전이중 통신
4.
쌍방향 통신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반이중 통신 : 양방향 통신 중 하나로 한쪽에서 정보를 보내면 다른 한쪽에서는 정보를 모두 받아야만 반대쪽으로 정보를 보낼 수 있는 통신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무전기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20.
다음 내용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
서브넷 마스크
2.
라우팅 테이블
3.
ARP
4.
DNS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서브넷 마스크 : 32비트의 값으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2과목 :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쉘(Shel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1월)
1.
/etc/shells 파일은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로그인 쉘(Login Shell)들의 전체경로를 가지고 있다.
2.
bash는 GNU 프로젝트에서 개발/배포되었으며, 본 쉘(Bourne Shell)과 호환되는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문법을 가지고 있다.
3.
tcsh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홈 디렉토리에 .tcshrc 라는 파일을 만들어 로그인 시의 각종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4.
사용자 로그인 쉘(Login Shell)의 변경은 반드시 root 만이 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22.
사용자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게 된다.
2.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 자동으로 계정 이름과 동일 이름의 그룹이 생성되며 그 그룹에 소속 된다.
3.
그룹의 정보는 /etc/groups 파일에 있다.
4.
groupadd 명령어를 사용하면 새 그룹을 만들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23.
bash는 보안을 위해 원격 접속을 한 사용자의 입력이 일정 시간동안 없을 경우 자동으로 접속을 끊어주는데, 이 시간을 정하는 변수는?(2003년 01월)
1.
$TIME
2.
$TMOUT
3.
$SCRTIME
4.
$time_out
정답 : [
2
] 정답률 : 58%
24.
다음 중 /etc/default/useradd 파일에 설정하는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GROUP : 기본 소속 그룹
2.
HOME : 홈 디렉토리의 베이스 디렉토리
3.
SKEL : 홈 디렉토리에 복사될 초기화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이름
4.
EXPIRE : 지정된 시간동안 사용이 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로그 아웃됨
정답 : [
4
] 정답률 : 54%
25.
다음 중 보안 강화를 위한 root 계정 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root 이외의 UID가 0인 사용자를 추가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2.
PAM을 이용하여 root 계정으로 직접 로그인 하는 서비스를 제어한다.
3.
환경변수인 TMOUT를 설정하여 무의미하게 장시간 로그인 하는 것을 막는다.
4.
일반 사용자에게 특정 명령어 권한만 할당해 줄 경우에는 su보다는 sudo 명령을 이용하도록 설정한다.
<문제 해설> ㅇ 1. lsmod :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모듈들의 목록을 볼 수 있다. [root@localhost kvm]# lsmod Module Size Used by binfmt_misc 17468 1 xt_CHECKSUM 12549 1 ipt_MASQUERADE 12678 3 nf_nat_masquerade_ipv4 13463 1 ipt_MASQUERADE ...
ㅇ 2. depmod : modules.dep과 맵 파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 ll /lib/modules/*/modules.dep -rw-r--r--. 1 root root 270899 Oct 16 11:31 /lib/modules/3.10.0-1160.76.1.el7.x86_64/modules.dep
ㅇ 3. modinfo : 모듈의 정보를 조회한다. # modinfo kvm.ko.xz filename: /lib/modules/3.10.0-1160.76.1.el7.x86_64/kernel/arch/x86/kvm/kvm.ko.xz license: GPL author: Qumranet retpoline: Y rhelversion: 7.9 srcversion: 7F622538A78D7566ADAA560 depends: irqbypass intree: Y
ㅇ 4. modprobe : 기본적으 modules.dep 파일을 참고해 적재 또는 제거 시 의존성 문제를 스스로 해결한다. [해설작성자 : 정추]
43.
다음에서 설명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kill
2.
ps
3.
signal
4.
top
정답 : [
4
] 정답률 : 59%
44.
다음은 커널 컴파일 과정의 일부이다. 커널 컴파일 과정 순서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가 → 나 → 다
2.
가 → 다 → 나
3.
다 → 가 → 나
4.
다 → 나 → 가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make mrproper > make menuconfig > make bzImage > make > make modules > make modules_install > make install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45.
다음 설명하는 내용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1월)
1.
lpr
2.
lpq
3.
lprm
4.
lpd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프린터 관련 명령어 1. lpr : 프린터로 인쇄 하기(위해 sd에 파일 전송). 2. lpq : 프린터 큐의 상태를 보기. 3. lqrm : 프린터 작업 취소. 4. lpd : 없는 명령어...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46.
리눅스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를 추가하여 사용 하고자 한다. 사용목적에 맞는 명령어와 그 옵션으로 짝지은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디스크 포맷 - fdisk , Command 프롬프트에서 f
2.
디스크파티션생성- fdisk , Command 프롬프트에서 p
3.
/dev/sda2 파티션을 swap 장치로 지정 - swapon /dev/sda2
4.
/dev/sda1 파티션을 강제로 마운트 - mount -f /dev/sda1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fdisk 옵션 p : 파티션 테이블 출력 n : 파티션 추가 mount 옵션 v : 자세한 출력 모드 f : 실제로 마운트 하지 않고 마운트 가능 여부 점검 n : /etc/mtab 파일에 저장 없이 마운트하기 w : 읽기/쓰기 모두 가능하도록 마운트 r : 읽기만 가능하도록 마운트 -t vfstype : -t 뒤에 파일시스템 유형 지정 [해설작성자 : 나나]
47.
패키지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위한 rpm과 dpkg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8월)
1.
소프트웨어를 설치, 삭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2.
rpm은 데비안 패키지 시스템의 발판 역할을 한다.
3.
패키지의 확장자는 *.rpm, *.deb 이다.
4.
윈도즈에서의 setup, install과 유사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31%
48.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프린팅 시스템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CUPS, ALSA
2.
CUPS, LPRng
3.
LPRng, ALSA
4.
LPRng, SANE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UPS(영어: Common Unix Printing System, 공식 명칭으로 CUPS가 더 자주 쓰임)는 컴퓨터를 인쇄 서버로 기능하도록 해주는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를 위한 모듈 방식의 프린팅 시스템
LPRng: 버클리 프린팅 시스템으로 BSD계열 유닉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프린터 스풀링과 네트워크 프린터서버를 지원
ALSA: 고급 리눅스 사운드 아키텍처(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리눅스 커널의 구성 요소 중 하나
SANE(Scanner Access Now Easy, SANE)는 이미지 스캐너 및 카메라 하드웨어 (플랫 베드 스캐너, 핸드 헬드 스캐너, 비디오 및 스틸 카메라, 프레임 그래버 등)에 표준화된 액세스를 제공하는 API [해설작성자 : 내이름은 조난, 함정이죠!]
49.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운드 카드용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alsamixer는 오디오CD에서 wav파일로 추출 하거나 재생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2.
ALSA는 사운드 카드를 자동으로 구성하게 하고 다수의 사운드 장치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3.
OSS는 표준 유닉스 장치 시스템콜(POSIX read, write, ioctl 등)에 기반을 두고 있다.
4.
alsactl 명령은 ALSA 사운드 카드를 초기화 하거나 정보를 환경설정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alsamixer : 여러 개의 사운드를 믹싱 하는 GUI 프로그램 [해설작성자 : mcy]
alsamixer는 말그대로 믹서. 텍스트 기반의 볼륨 조절 믹서 프로그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다음 중 인터넷 기반으로 연결된 프린터에 접근 할 때 사용하는 포트 번호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631
2.
143
3.
443
4.
611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631 - IPP(인터넷 인쇄 프로토콜 143 - IMAP4(인터넷 메시지 접근 프로토콜) - 이메일 가져올떄 사용 443 - HTTPS [해설작성자 : 빈빈]
51.
시스템의 전반적인 로그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tty가 설정되어있지 않는 프로세스나 데몬이 출력하는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로그 파일은?(2004년 05월)
1.
messages
2.
secure
3.
access_log
4.
xferlog
정답 : [
1
] 정답률 : 50%
52.
다음 중 vi 와 같은 텍스트 편집기로 로그 내용을 살펴볼 수 없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04년 10월)
1.
/var/log/wtmp
2.
/var/log/xferlog
3.
/var/log/dmesg
4.
/var/log/boot.log
정답 : [
1
] 정답률 : 14%
53.
다음에서 설명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dmesg
2.
lastb
3.
lastlog
4.
last
정답 : [
1
] 정답률 : 57%
54.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rsyslog
2.
ksyslog
3.
msyslog
4.
nsyslog
정답 : [
1
] 정답률 : 62%
55.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특정 파일은 시스템에 보안 위험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일을 찾는 명령어와 그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2011년 03월)
1.
# find / -type f \( -perm -04000 -o -perm -02000 \) : 파일의 권한이 소유자가 읽을 수만 있거나 쓸 수만 있는 파일
2.
# find / -perm -2 -type l -ls : 시스템 사용권을 얻고 누구나 쓸 수 있는 파일
3.
# find / -nouser -o -nogroup -print : 주인있는 파일이나 그룹에 속해 있는 파일
4.
# find /home -name .rhosts -print : 파일 이름이 rhosts인 파일
정답 : [
2
] 정답률 : 47%
56.
pam library 설정에서 계정 사용자가 해당서비스 접근이 허용되었는지에 대한 여부와 패스워드 기간 만료 등을 결정하는 구성 토큰은?(2004년 05월)
1.
type
2.
auth
3.
account
4.
password
정답 : [
3
] 정답률 : 29%
57.
OpenSSH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ssh 터널링을 구성하는 경우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은?(2010년 03월)
1.
HTTP
2.
FTP
3.
TELNET
4.
SOCKS
정답 : [
4
] 정답률 : 40%
58.
다음 중 COPS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9년 09월)
1.
파일, 디렉토리 및 장치 파일에 대한 퍼미션 점검
2.
suid 파일 내용 점검
3.
사용자 계정에 있는 모든 파일에 대한 점검
4.
시스템의 파일, 디렉토리 소유권과 퍼미션 변화 점검
정답 : [
3
] 정답률 : 45%
59.
다음 각 명령어와 관계있는 파일 연결이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last : /var/log/tmp
2.
lastb : /var/log/btmp
3.
lastlog : /var/log/lastlog
4.
dmesg : /var/log/dmesg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last : /var/log/wtmp [해설작성자 : 예나]
60.
다음 XFS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는 백업도구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dd
2.
dump
3.
cpio
4.
rsync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xfs에서는 dump 대신에 xfsdump를 사용하며 restore 또한 xfsrestore를 사용한다. dump 명령어가 xfs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해설을 쓰다보면 암기가 되지 않을까]
61.
다음 웹 관련 서비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2.
HTML에 대한 표준화작업은 IETF 컨소시엄에서 주관하고 있다.
3.
웹의 시작은 조직내의 정보교환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4.
1990년에 팀 버너스 리(Tim Berners Lee) 박사는 윌드 와이드웹 이라는 최초의 넥스트(Next) 플랫폼용 브라우저를 공개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62.
다음은 telnet 명령어를 이용하여 운영중인 웹 서버의 정보를 얻는 과정이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HTTP 요청 메소드(Method)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GET
2.
POST
3.
HEAD
4.
PUT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GET : 요청한 데이터에 대한 인수를 URL에 포함하여 웹서버에 요청 2. POST : 요청한 데이터에 대한 인수를 Body에 포함하여 웹서버에 요청 3. HEAD : 웹서버 데이터를 검색하고 요청하는데 사용 (HEADER 정보만을 보여줌) 4. PUT : 웹서버에 특정 파일 생성 가능 5. OPTIONS : 웹서버가 허용하는 웹요청을 확인하는데 사용 [해설작성자 : 나나]
63.
다음은 dhcpd.conf 파일의 일부로 특정 MAC 주소를 갖는 시스템에 고정적인 IP 주소를 할당해 주려고 한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fixed-address
2.
mac-address
3.
address
4.
ip-address
정답 : [
1
] 정답률 : 63%
64.
다음 중 SSL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1월)
1.
SSL은 Secure Sockets Level의 약자이다.
2.
업계 표준 프로토콜로서 미국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가 개발하였고, 마이크로소프트등은 채택하지 않고 있다.
3.
SSL은 웹 제품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 규약(FTP) 등 다른 TCP/IP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4.
아파치에서 SSL을 사용할 경우 API모듈과 상관없이 운영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65.
MySQL을 설치, 운영 중인데 MySQL의 관리자 root의 비밀번호를 잃어버렸을 경우 DB에 권한 없이 구동하여 들어가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하여야 한다. 다음 중 권한없이 MySQL을 구동시키는 방법은 무엇인가?(2008년 08월)
1.
mysql_safe &
2.
safe_mysql &
3.
safe_mysqld --skip-nogrant &
4.
safe_mysqld --skip-grant &
정답 : [
4
] 정답률 : 44%
66.
다음 중 터미널 환경에서 가상 머신만을 대상으로 CPU 자원을 모니터링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virsh
2.
vtop
3.
virt-top
4.
virt-manager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ㅇ virsh : 가상머신 추가 부터 start,list 확인, 삭제, 일시중지, 재개, 종료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명령어 ㅇ vtop : 프로세스 및 메모리 활동 모니터링 도구 ㅇ virt-top : top과 유사한 가상화 현황조회 도구 가상머신만을 대상으로 CPU 자원을 모니터링할 때 사용 ㅇ virt-manager(Virtual Machine Manager)은 데스탑의 GUI 환경에서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관리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정추]
67.
다음 중 MySQL 5.5 버전의 소스 파일 설치 시 기존 버전의 configure 및 make을 대체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1.
cmake
2.
automake
3.
autoconf
4.
makeconf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MySQL에서는 컴파일 과정에 Configure와 make를 대체하여 cmake를 사용한다
68.
httpd.conf 파일은 몇 가지 환경 설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httpd.conf 파일에 없는 환경 설정은 무엇인가?(2004년 10월)
1.
메인 서버 환경 설정(Main Server Configuratioin)
2.
전체 환경 설정(Global Environment)
3.
클라이언트 환경 설정(Client Configuration)
4.
가상 호스트 설정(Virtual Host)
정답 : [
3
] 정답률 : 24%
69.
CGI를 사용하는 이유로 부적합한 것은?(2010년 09월)
1.
CGI를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동적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2.
클라이언트의 입력 값을 받아 생성, 저장, 변경 할 수 있다.
3.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4.
고정된 페이지를 전송받는 단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70.
삼바의 설정 파일인 smb.conf이 올바르게 작성 되었는지 검사하는데 쓰이는 프로그램은?(2004년 05월)
1.
smbclient
2.
testparm
3.
smbstatus
4.
smbtest
정답 : [
2
] 정답률 : 37%
71.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이 윈도우시스템에서 유닉스 서버의 파일이나 프린터와 같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개발한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FTP
2.
SMB
3.
www
4.
TCP/IP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SMB : 윈도우 95나 윈도우 NT 등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파일/인쇄기 공유 프로토콜. [해설작성자 : 수험생]
72.
다음 중 삼바 서버 테스트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testparm
2.
smbstatus
3.
smbclient
4.
smbserver
정답 : [
4
] 정답률 : 32%
73.
다음 설명과 같은 경우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를 마운트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mount –t nfs 192.168.5.13/joon /mnt
2.
mount –t nfs 192.168.5.13:/joon /mnt
3.
mount –t nfs 192.168.5.13\joon /mnt
4.
mount –t nfs 192.168.5.13:\joon /mnt
정답 : [
2
] 정답률 : 50%
74.
NFS 서버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9월)
1.
retrans : 재전송 시간을 지정
2.
wsize : 서버에 기록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 지정
3.
hard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속 재시도
4.
soft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I/O 에러 표시
정답 : [
1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retrans : 재전송 횟수 [해설작성자 : 김영대]
75.
다음은 zone 파일 설정의 일부이다. 관리자 계정이 ihduser, 도메인이 ihd.or.kr일 경우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ProFTPD 서버 설치를 하기 위한 환경파일 설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2009년 09월)
1.
ServerName “ihd server” : ServerName은 ProFTPD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서버 이름을 “ihd server”로 설정한다.
2.
ServerType standalone : ProFTPD을 실행 시키는 방법으로 ServerType을 standalone으로 설정한다.
3.
MaxInstances 30 : MaxInstances는 ProFTPD 서버가 standalone 모드일 때 최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를 지정한다.
4.
RequireValidShell off : RequireValidShell은 /etc/shells파일에 정의되지 않는 쉘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FTP 접속을 허락하거나 거절하는 것에 대한 지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14%
79.
다음은 Limit 에 대한 예제이다.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파일 읽기와 관련된 FTP 명령, 파일 또는 디렉토리 쓰기,생성,삭제와 관련된 FTP 명령을 허용한다.
2.
192.168.10.0 대역에서 접속한 클라이언트에서 디렉토리 명령을 허용한다.
3.
ihd.or.kr에 속한 호스트 클라이언트에서 디렉토리 명령을 허용한다.
4.
디렉토리 목록과 관련된 FTP 명령 사용을 거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80.
다음 중 MDA(Mail Delivery Agent)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1.
sendmail
2.
qmail
3.
postfix
4.
procmail
정답 : [
4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MDA = procmail [해설작성자 : 수험생]
81.
다음은 스펨메일 서버의 악용을 막기 위한 설정 후, 센드메일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한 명령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이 순서대로 알맞은 것은?(2003년 10월)
1.
makemap, hash
2.
sort, spam
3.
check, spam
4.
file, attrib
정답 : [
1
] 정답률 : 37%
82.
다음 중 /etc/named.conf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3년 03월)
1.
C 언어에서 사용되는 /* ~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2.
C++ 언어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3.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4.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etc/named.conf : DNS 서버의 전반적인 환경설정을 담당하는 파일, 서버에서 사용하는 zone을 지정한다. - 파일의 구성은 크게 주석문과 구문으로 구성되어있다. - 주석은 C에서 사용하는 /* */ , C++에서 사용하는 //, 유닉스 계열에서 사용하는 #등 모두 사용가능 - 각 구문은 중괄호{} 로 둘러싸고, 끝날때는 세미콜론 ;을 사용한다. - include 지시자를 선언하여 별도의 파일에 추가정의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클클호ㅓ이팅]
83.
다음은 인터넷 수퍼데몬(xinetd)을 이용하여 ftp 서비스를 설정한 예이다.서버의 부하가 10이상 일 때 FTP서버에 대한 요청을 거부하기 위해 ( )안에 들어갈 속성은 다음 중 무엇인가?(2010년 03월)
1.
max_load
2.
instances
3.
max_loadavg
4.
max_uptime
정답 : [
1
] 정답률 : 42%
84.
다음 중 NIS 서버의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되는 맵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passwd.userid
2.
passwd.username
3.
passwd.byid
4.
passwd.byname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ㅇ NIS : 다수의 서버를 운영할 경우 시스템에서 모든 서버에 사용자의 계정 정보가 개별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인증 시 불편함이 존재했다. 이러한 경우를 보안하기 위해 만들어진 네트워크 기반의 인증 서비스이다. NIS는 여러 대의 서버를 운영하고 있고 각 각의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각 서버에 대해 모두 사용자계정과 패스워드를 가지고 있다. 즉, 하나의 서버에만 사용자의 계정이나 암호, 그룹 정보 등을 저장해두면 서버가 다른 시스템과 계정 정보를 공유한다. ㅇ passwd.byname NIS 서버의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되는 맵 파일명 $ ypcat passwd.byname USERID:x:10000:10000:USER NAME:/home/USERID:/bin/bash [해설작성자 : 정추]
85.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acl
2.
suid
3.
ags
4.
proxy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ㅇ squid.conf - 포트 설정 http_port 3128 스퀴드 서버 포트를 설정한다. default 값은 3128 이다. - 캐시 설정 cache_mem 8 MB 스퀴드 서버에서 사용하는 캐시 사이즈를 설정한다. - 로그 설정 cache_access_log /usr/local/squid/logs/access.log 접근로그를 기록하는 파일을 설정한다. - acl : ACL(Access Control List)의 약자로 여러 호스트를 하나의 명칭으로 지정할 때 사용 접근제어 특정IP조소, 네트워크 대역, 도메인 등을 별칭 형태로 지정 예) acl "ihd" {192.168.12/24: 192.168.5.13; }; [해설작성자 : 정추]
86.
다음 중 xinetd 데몬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몬이 아닌 것은?(2011년 09월)
1.
telnet
2.
pop3
3.
ftp
4.
arp
정답 : [
4
] 정답률 : 56%
87.
서버관리자 홍길동은 메일서버(mail.ihd.or.kr)와 웹서버(www.ihd.or.kr)를 분리시켰다. 그런데 웹서버에서 ihd@ihd.or.kr으로 메일을 보내면 메일 서버로 가지 않고 /var/spool/mail/ihd에 쌓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 중 어떤 파일을 살펴보아야 하는가?(2006년 09월)
1.
/etc/mail/access
2.
/etc/mail/local-host-names
3.
/etc/aliases
4.
/etc/virtusertable
정답 : [
2
] 정답률 : 23%
88.
다음 /etc/xinetd.conf 파일의 내용 중 cps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1.
초당 연결수가 30개 이상이 되면 25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2.
초당 연결수가 25개 이상이 되면 30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3.
1개 IP주소 당 접속 수가 25개 이상이 되면 30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4.
1개 IP주소 당 접속 수가 30개 이상이 되면 25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89.
다음은 인터넷 수퍼데몬(Xinetd)의 설정파일인 /etc/xinetd.conf 파일의 내용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이 파일의 설정내용은 /etc/xinetd.d/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모든 xinetd 서비스 파일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2.
‘instance’는 동시에 서비스 가능한 서버의 최대 개수를 지정한 것이다.
3.
‘per_source’는 동일한 호스트에서 접속을 허용할 최대접속 수를 제한하는 설정이다.
4.
‘only_from’은 서비스를 허용하지 않을 호스트를 지정하는 설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3%
90.
NIS의 여러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중요하며 항상 실행 중에 있어야 하는 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느것인가?(2007년 05월)
1.
ypswitch
2.
yppoll
3.
ypmatch
4.
ypbind
정답 : [
4
] 정답률 : 58%
91.
ARP는 내부로 들어온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IP 주소에서 MAC주소로 변환한 다음 기억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arp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08년 08월)
1.
-a : 캐시에 있는 특정된 또는 모든 호스트를 나열
2.
-n : 32bit로 된 IP, 즉 풀이(resolving)를 하지 않고 IP로 보여줌
3.
-d : 지정한 장치의 arp를 보여줌
4.
-v : 동적인 모드로 보여줌
정답 : [
3
] 정답률 : 15%
92.
다음의 경우에 구축하면 유용한 서버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NTP 서버
2.
DHCP 서버
3.
PROXY 서버
4.
VNC 서버
정답 : [
3
] 정답률 : 59%
93.
다음은 squid.conf 파일의 일부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port
2.
listen
3.
http_port
4.
squid_port
정답 : [
3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http_port : squid 프록시 서버의 포트 번호를 지정하는 항목으로 기본 포트값은 3128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94.
다음은 리눅스 시스템의 날짜 및 시간이 맞지 않아서 원격지의 NTP 서버를 통해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date
2.
rdate
3.
ntpq
4.
ntpdate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NTP서버는 시간 동기화 서버입니다.
국내 NTP 서버에는 time.bora.net kr.pool.ntp.org time.nuri.net time.kornet.net 등이 있고, 명령어로는 문제처럼 ntpdate time.bora.net 을 입력하시면됩니다.
NTP서버에서 시간 설정 불러오니 ntp + date 로 기억합시다. [해설작성자 : 롯데백화점당직자]
95.
다음 중 네트워크 인증 구성 요소(network authentication scheme)로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NIS
2.
LDAP
3.
PAM
4.
autofs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utofs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공유한 자원을 사용 하려고 할때 mount란 명령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mount하는 방법. 접속시 해당 file system이 자동으로 mount되고 일정 시간동안 미사용시 umount된다.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CD-ROM, 플로피 등을 마운트 하는데 사용된다. Autofs는 클라이언트에서만 설정하면된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96.
백도어는 시스템 설계자나 관리자에 의해 고의로 남겨진 시스템의 보안 허점으로 응용프로그램이나 운영체제에 삽입된 프로그램 코드이다. 다음 중 백도어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8년 08월)
1.
체크섬과 타임스탬프 백도어
2.
DDoS 백도어
3.
커널 백도어
4.
파일시스템 백도어
정답 : [
2
] 정답률 : 22%
97.
사용 중인 시스템에 리눅스를 설치한 후 하드 디스크의 모든 디렉토리와 파일을 테이프에 백업하였다. 일주일 후 하드 디스크에 있는 /bin/ps 파일과 테이프에 백업되어 있는 /bin/ps 파일의 크기가 달라져 있었을 때, 네트워크 침해 유형으로 가장 의심스러운 것은?(2003년 01월)
1.
침입 탐지 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2.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3.
스푸핑(Spoofing)
4.
서비스 거부(Denial of Service) 공격
정답 : [
2
] 정답률 : 50%
98.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3월)
1.
듀얼 홈드 호스트
2.
배스천 호스트
3.
스크린 호스트
4.
스크린 라우터
정답 : [
2
] 정답률 : 39%
99.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
DMZ
2.
VPN
3.
PROXY
4.
IDS
정답 : [
1
] 정답률 : 51%
100.
다음에서 설명하는 공격유형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
Host Sweep
2.
TCP DRDOS Attack
3.
TCP SYN Flooding(DDoS)
4.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host sweep - 각종 공격방법을 이용해서 정보를 파악 하는 기법 2. TCP DRDOS Attack - 분산 반사 서비스 거부 공격 4. 버퍼 오버플로우 - 프로그램이 메모리를 잘못 다뤄서 오류를 일으키거나 프로그램 보안 취약점을 야기기키는 결함 [해설작성자 : 정재희]
정 답 지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9999882)
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 되나 백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하는 형태
2.
Single-tasking : 컴퓨터가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형태
3.
Multi-tasking :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스템
4.
Multi-user : 단일 시스템에서 여러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형태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운영체제의 유형 - 다중교환: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되나 포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하는 형태 - 단일작업: 컴퓨터가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형태 - 다중작업: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스템 - 다중사용자: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여러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 - 대화형처리: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대화형으로 작업을 처리하는 것 - 일괄처리: 여러 개의 작업을 묶어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 작업처리 효율이 높음 - 실시간 처리: 작업의 처리가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처리되는 것으로 신속한 반응을 요구 - 가상기계: 실제로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컴퓨터 시스템을 마치 여러 대의 작은 컴퓨터 시스템이 있는 것처럼 분할 - 분산처리: 통신선으로 여러 시스템을 연결하고 작업을 나누어서 처리 - 병렬 계산: 많은 프로세서들이 동시에 작동. 병렬 계산 위주
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리눅스의 기술적인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파이프(Pipe)
2.
스와핑(Swapping)
3.
리다이렉션(Redirection)
4.
가상콘솔(Virtual Console)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Pipe는 여러개의 명령어를 실행할때 이전 명령어의 결과값을 다음 명령어의 입력값으로 사용할때 쓴다. [해설작성자 : 설렘덩크]
파이프(Pipe) : 여러개의 명령어를 실행할때 이전 명령어의 결과값을 다음 명령어의 입력값으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리다이렉션(Redirection) : 특정 프로그램이나 파일에서 output stream을 캡쳐하여 다른 프로그램이나 파일의 input stream으로 넘기는 것입니다. 가상콘솔(Virtual Console) : 멀티유저 시스템인 리눅스에서 서버에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기능입니다.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3.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 : GPL, ㉡ : LGPL
2.
㉠ : LGPL, ㉡ : GPL
3.
㉠ : GPL, ㉡ : MPL
4.
㉠ : MPL, ㉡ : GPL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GPL (General Public License) - 어떤 목적으로든 어떤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하거나 변경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경우 소스코드 오픈 LPGL (Lesser GPL) - 소스코드 공개의 부담때문에 단순한 라이브러리 모듈링크를 허용한 라이센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4.
다음 중 GNU/FSF(자유소프트웨어재단)에서 규정한 자유소프트웨어의 조건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Microsoft Office
2.
Apache HTTPD Server
3.
Emacs
4.
GIMP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gimp : 그림을 편집하는데 쓰이는 자유 소프트웨어, GNU GPL 라이선스를 따름 emacs : GNU 편집기 [해설작성자 : 도쿄까지]
5.
다음 중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와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수세 : 1994년 독일에서 배포된 상용 소프트웨어로 패키지 관리를 위해 YaST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2.
우분투 : 데비안 리눅스를 기초로 만든 리눅스 배포판으로 고유한 데스크탑 환경인 유니티를 사용한다.
3.
레드햇 : 레드햇 리눅스의 약자는 RHEL로 현재까지 무상으로 배포되고 있으며, RPM패키지 방식을 사용한다.
4.
데비안 : 패키지의 설치, 삭제 등은 dpkg 명령어로 수행되며, apt를 이용하면 쉬운 설치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레드햇은 오픈 소스를 비즈니스로 전개하면서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공급하고 지원을 유료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최근에는 고도화된 소프트웨어를 유료로 판매하는 비즈니스도 시작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blog.naver.com/grunge26]
6.
다음 중 하드웨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메인보드 : 리눅스를 설치할 수 없는 메인보드도 있다.
2.
RAID :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분산 또는 중복시켜 저장하는 기술이다.
3.
PROM : 메모리속에 저장된 내용을 지우고 재사용할 수 있는 ROM이다.
4.
CPU : 레지스터 , 산술논리연산장 치 ,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PROM(피롬,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은 1956년 뉴욕의 "Arma Division of the American Bosch Arma Corporation"에서 일하던 조우원쥔(周文俊 Zhōu Wénjùn 1918~ 2001년)이 발명했다. FPROM(Field Programmable Rom)이라고도 한다.
PROM은 1회에 한해서 새로운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롬을 말한다. 이 말은 사용자가 PROM 라이터를 이용하여 내용을 기록할 수 있지만 한 번 들어간 내용은 바꾸거나 지울 수 없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제조시 모든 메모리 비트가 퓨즈로 연결되어 1로 읽히지만 생산되는데 이를 기록하면 퓨즈가 끊어져서 0으로 읽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기록 과정 자체가 높은 전압(보통 12 - 21볼트)으로 롬 내부에 퓨즈를 끊는 물리적 과정이기 때문에 수정할 수 없는 것이다.
장점으로는 신뢰성이 높고 자료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며, 값이 싸고, 속도가 빠르다는 점(35-60ns) 등을 꼽을 수 있다. 주로 비디오 게임기나 전자사전 등에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미카엘]
7.
다음 중 리눅스용 응용프로그램과 이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와 연결된 것 중 알맞은 것은?(2005년 09월)
1.
Sane - 스캐너
2.
ProFtpd - 비디오 카드
3.
gcombust - 네트워크 카드
4.
Xmms - 이동형 저장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44%
8.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구조를 이루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3년 06월)
1.
수퍼 블록 : 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해당 파일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다.
2.
간접 블록 : 추가적인 데이터 블록을 위한 포인터들이 사용할 공간이며 동적으로 할당된다.
3.
아이노드 : 파일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다.
4.
디렉토리 블록 : 파일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슈퍼블록:파일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를 갖고 있다. 아이노드: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해당 파일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디렉토리 블록:파일이름과 inode변화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 [해설작성자 : 961206이민지]
9.
리눅스 부트로더인 LILO/GRUB가 설치되는 영역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ROOT 영역
2.
MBR 영역
3.
Directory 영역
4.
데이터 영역
정답 : [
2
] 정답률 : 79%
10.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 (ㄹ))(2005년 09월)
1.
로그, 슈퍼블록, I-Node, 파티션 정보
2.
I-Node, 슈퍼블록, 비트맵, 로그
3.
파티션 정보 로그 비트맵 슈퍼블록
4.
슈퍼블록 로그 I-Node 파티션 정보
정답 : [
2
] 정답률 : 56%
11.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2002년 05월)
1.
Compiler
2.
Shell
3.
Debugger
4.
Interrupt
정답 : [
2
] 정답률 : 66%
12.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1.
case
2.
/case
3.
esac
4.
/esac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case 변수 in 패턴1 | 패턴2 .... ) 명령어들;; *) 명령어들 ;; esac [해설작성자 : ㅈㅈㅁ]
13.
다음 중 X윈도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두 개의 개별 소프트웨어 부분에 의해 제어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
2.
X 프로토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통신되는 Request, Reply, Event, Error의 기본 메시지이다.
3.
Xtoolkit의 종류에는 Xaw, XView, Motif, XtIntrinsics 등이 있다.
4.
Xlib는 XFree86의 4.4rc2 버전을 X.org기구에서 가져다가 개발한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X윈도우의 특징 1. X윈도우 시스템 : 2개의 개별 소프트웨어 부분에 의해 제어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 X윈도우의 서버/클라이언트의 관계는 일반적인 서버/클라이언트 관계와 반대이다. X윈도우의 클라이언트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자원을 제공하고, 서버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수행된 결과를 출력 장치에 표시하는 역활을 한다. 2. X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뉘어져 처리되는 X윈도우에서 둘 사이에 상호작용은 메세지 교환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메세지의 형태와 사용법을 X프로토콜이라도 한다. 이러한 메세지 교환이 로컬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가능하다는것이 X윈도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X프로토콜은 Request, Reply, Event, Error를 기본 메세지로 가지고 통신을 한다. 3. Xlib, Xtoolkit : X프로토콜은 Xlib이라는 라이브러리 루틴에서 발생하는데 이 Xlib의 기능은 그다지 많지 않은, 즉 저수준의 라이브러리이다. 그래서 상위 라이브러리인 Xtoolkit을 사용한다. Xtoolkit은 XtIntrinsics, Xaw, XView, Motif, Qt, GTK등이 있다.
*XFree86은 Intel x86계열의 유닉스 계열 운영체계에서 동작하는 X서버를 말한다. 이 XFree86의 4.4rc2버전을 X.org기구에서 가져다 개발한 것이 Xorg이다.
14.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2년 08월)
1.
SPN(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은 준비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총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부터 스케줄링하는 기법으로, 시스템 내에 대기하는 프로세스들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은 수행중인 프로세스가 스스로 자원을 반납할 때까지 프로세서를 포함한 모든 할당된 자원의 소유권을 계속 유지시키는 것으로, 응답 시간의 예측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3.
FIFO(First In First Out) 스케줄링은 가장 간단한 스케줄링 기법으로서, 일단 하나의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차지하면 그 프로세스가 완료 될 때까지 실행되는 비선점 방식의 스케줄링 기법이다.
4.
RR(Round-Robin) 스케줄링 기법은 선점기법으로 구현한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대화식 시분할 시스템이나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 적합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20%
15.
다음 설명하는 파일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ext4
2.
GlusterFS
3.
XFS
4.
ReFS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XFS : 1993년 SGI가 만든 고성능 64비트 저널링 파일 시스템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16.
다음 중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에 기록할 수 있는 설정 값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DNS1
2.
NAME
3.
PEERDNS
4.
NETWORKING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NETWORKING /etc/sysconfig/network 에서 사용 NETWORKING = yes (통신이 되도록 지원할 것인가 여부 yes or no) [해설작성자 : 쭝이]
ㅇifcfg-eth0 : 리눅스 ip 주소를 설정하는 파일 ㅇ DNS1 : DNS주소 ㅇ PEERDNS : dhcp 서버의 dns정보를 resolv.conf에 저장 여부 yes or no [해설작성자 : 정추]
1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LAN 구성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망형
2.
링형
3.
버스형
4.
스타형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망(Mesh)형 : 망형은 전화 통신망과 같은 공중 데이터 통신에 많이 사용이 되고 통신 회선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회선으로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유지 보수 비용이 비싸고 설치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스타(Star)형 - 중앙에 위치한 중앙 컴퓨터가 각 컴퓨터와 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는 방식(중앙 집중식 형태) - 고속의 대규모 네트워크에 이용하고 일부 장애가 발생해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단말기 추가나 오류 진단이 용이하다. - 중앙 컴퓨터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가 통신이 안된다.
버스(Bus)형 - 하나의 통신회선(Bus)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해서 전송하는 방법으로 모든 장치들은 동등한 조건으로 경쟁한다. - 연결된 컴퓨터 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이 좌우된다.(연결된 컴퓨터 수가 많아질수록 성능이 저하된다.) - 구조가 간단하여 단말기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링(Ring)형 - 원형의 통신회선에 컴퓨터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형태로 연결된 앞의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내용을 다음 컴퓨터에 재전송하는 방법으로 동작하며, 토큰 패싱이라는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 네트워크 전송상의 충돌리 없고, 노드의 숫자가 늘더라도 전체적인 성능의 저하가 적다. - 노드의 추가가 비교적 어렵고, 노드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정추]
1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6월)
1.
lo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2.
eth1은 이더넷 인터페이스이다.
3.
ppp1은 PPP(Point-to-Point) 인터페이스이다.
4.
sl1은 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인터페이스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lo 는 loop back 인터페이스임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이]
19.
양방향 통신 중 어느 한순간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단방향 통신
2.
반이중 통신
3.
전이중 통신
4.
쌍방향 통신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반이중 통신 : 양방향 통신 중 하나로 한쪽에서 정보를 보내면 다른 한쪽에서는 정보를 모두 받아야만 반대쪽으로 정보를 보낼 수 있는 통신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무전기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20.
다음 내용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
서브넷 마스크
2.
라우팅 테이블
3.
ARP
4.
DNS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서브넷 마스크 : 32비트의 값으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2과목 :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쉘(Shel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1월)
1.
/etc/shells 파일은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로그인 쉘(Login Shell)들의 전체경로를 가지고 있다.
2.
bash는 GNU 프로젝트에서 개발/배포되었으며, 본 쉘(Bourne Shell)과 호환되는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문법을 가지고 있다.
3.
tcsh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홈 디렉토리에 .tcshrc 라는 파일을 만들어 로그인 시의 각종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4.
사용자 로그인 쉘(Login Shell)의 변경은 반드시 root 만이 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22.
사용자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게 된다.
2.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 자동으로 계정 이름과 동일 이름의 그룹이 생성되며 그 그룹에 소속 된다.
3.
그룹의 정보는 /etc/groups 파일에 있다.
4.
groupadd 명령어를 사용하면 새 그룹을 만들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23.
bash는 보안을 위해 원격 접속을 한 사용자의 입력이 일정 시간동안 없을 경우 자동으로 접속을 끊어주는데, 이 시간을 정하는 변수는?(2003년 01월)
1.
$TIME
2.
$TMOUT
3.
$SCRTIME
4.
$time_out
정답 : [
2
] 정답률 : 58%
24.
다음 중 /etc/default/useradd 파일에 설정하는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GROUP : 기본 소속 그룹
2.
HOME : 홈 디렉토리의 베이스 디렉토리
3.
SKEL : 홈 디렉토리에 복사될 초기화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이름
4.
EXPIRE : 지정된 시간동안 사용이 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로그 아웃됨
정답 : [
4
] 정답률 : 54%
25.
다음 중 보안 강화를 위한 root 계정 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root 이외의 UID가 0인 사용자를 추가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2.
PAM을 이용하여 root 계정으로 직접 로그인 하는 서비스를 제어한다.
3.
환경변수인 TMOUT를 설정하여 무의미하게 장시간 로그인 하는 것을 막는다.
4.
일반 사용자에게 특정 명령어 권한만 할당해 줄 경우에는 su보다는 sudo 명령을 이용하도록 설정한다.
<문제 해설> ㅇ 1. lsmod :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모듈들의 목록을 볼 수 있다. [root@localhost kvm]# lsmod Module Size Used by binfmt_misc 17468 1 xt_CHECKSUM 12549 1 ipt_MASQUERADE 12678 3 nf_nat_masquerade_ipv4 13463 1 ipt_MASQUERADE ...
ㅇ 2. depmod : modules.dep과 맵 파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 ll /lib/modules/*/modules.dep -rw-r--r--. 1 root root 270899 Oct 16 11:31 /lib/modules/3.10.0-1160.76.1.el7.x86_64/modules.dep
ㅇ 3. modinfo : 모듈의 정보를 조회한다. # modinfo kvm.ko.xz filename: /lib/modules/3.10.0-1160.76.1.el7.x86_64/kernel/arch/x86/kvm/kvm.ko.xz license: GPL author: Qumranet retpoline: Y rhelversion: 7.9 srcversion: 7F622538A78D7566ADAA560 depends: irqbypass intree: Y
ㅇ 4. modprobe : 기본적으 modules.dep 파일을 참고해 적재 또는 제거 시 의존성 문제를 스스로 해결한다. [해설작성자 : 정추]
43.
다음에서 설명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kill
2.
ps
3.
signal
4.
top
정답 : [
4
] 정답률 : 59%
44.
다음은 커널 컴파일 과정의 일부이다. 커널 컴파일 과정 순서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가 → 나 → 다
2.
가 → 다 → 나
3.
다 → 가 → 나
4.
다 → 나 → 가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make mrproper > make menuconfig > make bzImage > make > make modules > make modules_install > make install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45.
다음 설명하는 내용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1월)
1.
lpr
2.
lpq
3.
lprm
4.
lpd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프린터 관련 명령어 1. lpr : 프린터로 인쇄 하기(위해 sd에 파일 전송). 2. lpq : 프린터 큐의 상태를 보기. 3. lqrm : 프린터 작업 취소. 4. lpd : 없는 명령어...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46.
리눅스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를 추가하여 사용 하고자 한다. 사용목적에 맞는 명령어와 그 옵션으로 짝지은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디스크 포맷 - fdisk , Command 프롬프트에서 f
2.
디스크파티션생성- fdisk , Command 프롬프트에서 p
3.
/dev/sda2 파티션을 swap 장치로 지정 - swapon /dev/sda2
4.
/dev/sda1 파티션을 강제로 마운트 - mount -f /dev/sda1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fdisk 옵션 p : 파티션 테이블 출력 n : 파티션 추가 mount 옵션 v : 자세한 출력 모드 f : 실제로 마운트 하지 않고 마운트 가능 여부 점검 n : /etc/mtab 파일에 저장 없이 마운트하기 w : 읽기/쓰기 모두 가능하도록 마운트 r : 읽기만 가능하도록 마운트 -t vfstype : -t 뒤에 파일시스템 유형 지정 [해설작성자 : 나나]
47.
패키지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위한 rpm과 dpkg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8월)
1.
소프트웨어를 설치, 삭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2.
rpm은 데비안 패키지 시스템의 발판 역할을 한다.
3.
패키지의 확장자는 *.rpm, *.deb 이다.
4.
윈도즈에서의 setup, install과 유사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31%
48.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프린팅 시스템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CUPS, ALSA
2.
CUPS, LPRng
3.
LPRng, ALSA
4.
LPRng, SANE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UPS(영어: Common Unix Printing System, 공식 명칭으로 CUPS가 더 자주 쓰임)는 컴퓨터를 인쇄 서버로 기능하도록 해주는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를 위한 모듈 방식의 프린팅 시스템
LPRng: 버클리 프린팅 시스템으로 BSD계열 유닉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프린터 스풀링과 네트워크 프린터서버를 지원
ALSA: 고급 리눅스 사운드 아키텍처(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리눅스 커널의 구성 요소 중 하나
SANE(Scanner Access Now Easy, SANE)는 이미지 스캐너 및 카메라 하드웨어 (플랫 베드 스캐너, 핸드 헬드 스캐너, 비디오 및 스틸 카메라, 프레임 그래버 등)에 표준화된 액세스를 제공하는 API [해설작성자 : 내이름은 조난, 함정이죠!]
49.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운드 카드용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alsamixer는 오디오CD에서 wav파일로 추출 하거나 재생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2.
ALSA는 사운드 카드를 자동으로 구성하게 하고 다수의 사운드 장치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3.
OSS는 표준 유닉스 장치 시스템콜(POSIX read, write, ioctl 등)에 기반을 두고 있다.
4.
alsactl 명령은 ALSA 사운드 카드를 초기화 하거나 정보를 환경설정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alsamixer : 여러 개의 사운드를 믹싱 하는 GUI 프로그램 [해설작성자 : mcy]
alsamixer는 말그대로 믹서. 텍스트 기반의 볼륨 조절 믹서 프로그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다음 중 인터넷 기반으로 연결된 프린터에 접근 할 때 사용하는 포트 번호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631
2.
143
3.
443
4.
611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631 - IPP(인터넷 인쇄 프로토콜 143 - IMAP4(인터넷 메시지 접근 프로토콜) - 이메일 가져올떄 사용 443 - HTTPS [해설작성자 : 빈빈]
51.
시스템의 전반적인 로그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tty가 설정되어있지 않는 프로세스나 데몬이 출력하는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로그 파일은?(2004년 05월)
1.
messages
2.
secure
3.
access_log
4.
xferlog
정답 : [
1
] 정답률 : 50%
52.
다음 중 vi 와 같은 텍스트 편집기로 로그 내용을 살펴볼 수 없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04년 10월)
1.
/var/log/wtmp
2.
/var/log/xferlog
3.
/var/log/dmesg
4.
/var/log/boot.log
정답 : [
1
] 정답률 : 14%
53.
다음에서 설명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dmesg
2.
lastb
3.
lastlog
4.
last
정답 : [
1
] 정답률 : 57%
54.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rsyslog
2.
ksyslog
3.
msyslog
4.
nsyslog
정답 : [
1
] 정답률 : 62%
55.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특정 파일은 시스템에 보안 위험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일을 찾는 명령어와 그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2011년 03월)
1.
# find / -type f \( -perm -04000 -o -perm -02000 \) : 파일의 권한이 소유자가 읽을 수만 있거나 쓸 수만 있는 파일
2.
# find / -perm -2 -type l -ls : 시스템 사용권을 얻고 누구나 쓸 수 있는 파일
3.
# find / -nouser -o -nogroup -print : 주인있는 파일이나 그룹에 속해 있는 파일
4.
# find /home -name .rhosts -print : 파일 이름이 rhosts인 파일
정답 : [
2
] 정답률 : 47%
56.
pam library 설정에서 계정 사용자가 해당서비스 접근이 허용되었는지에 대한 여부와 패스워드 기간 만료 등을 결정하는 구성 토큰은?(2004년 05월)
1.
type
2.
auth
3.
account
4.
password
정답 : [
3
] 정답률 : 29%
57.
OpenSSH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ssh 터널링을 구성하는 경우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은?(2010년 03월)
1.
HTTP
2.
FTP
3.
TELNET
4.
SOCKS
정답 : [
4
] 정답률 : 40%
58.
다음 중 COPS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9년 09월)
1.
파일, 디렉토리 및 장치 파일에 대한 퍼미션 점검
2.
suid 파일 내용 점검
3.
사용자 계정에 있는 모든 파일에 대한 점검
4.
시스템의 파일, 디렉토리 소유권과 퍼미션 변화 점검
정답 : [
3
] 정답률 : 45%
59.
다음 각 명령어와 관계있는 파일 연결이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last : /var/log/tmp
2.
lastb : /var/log/btmp
3.
lastlog : /var/log/lastlog
4.
dmesg : /var/log/dmesg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last : /var/log/wtmp [해설작성자 : 예나]
60.
다음 XFS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는 백업도구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dd
2.
dump
3.
cpio
4.
rsync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xfs에서는 dump 대신에 xfsdump를 사용하며 restore 또한 xfsrestore를 사용한다. dump 명령어가 xfs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해설을 쓰다보면 암기가 되지 않을까]
61.
다음 웹 관련 서비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2.
HTML에 대한 표준화작업은 IETF 컨소시엄에서 주관하고 있다.
3.
웹의 시작은 조직내의 정보교환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4.
1990년에 팀 버너스 리(Tim Berners Lee) 박사는 윌드 와이드웹 이라는 최초의 넥스트(Next) 플랫폼용 브라우저를 공개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62.
다음은 telnet 명령어를 이용하여 운영중인 웹 서버의 정보를 얻는 과정이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HTTP 요청 메소드(Method)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GET
2.
POST
3.
HEAD
4.
PUT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GET : 요청한 데이터에 대한 인수를 URL에 포함하여 웹서버에 요청 2. POST : 요청한 데이터에 대한 인수를 Body에 포함하여 웹서버에 요청 3. HEAD : 웹서버 데이터를 검색하고 요청하는데 사용 (HEADER 정보만을 보여줌) 4. PUT : 웹서버에 특정 파일 생성 가능 5. OPTIONS : 웹서버가 허용하는 웹요청을 확인하는데 사용 [해설작성자 : 나나]
63.
다음은 dhcpd.conf 파일의 일부로 특정 MAC 주소를 갖는 시스템에 고정적인 IP 주소를 할당해 주려고 한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fixed-address
2.
mac-address
3.
address
4.
ip-address
정답 : [
1
] 정답률 : 63%
64.
다음 중 SSL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1월)
1.
SSL은 Secure Sockets Level의 약자이다.
2.
업계 표준 프로토콜로서 미국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가 개발하였고, 마이크로소프트등은 채택하지 않고 있다.
3.
SSL은 웹 제품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 규약(FTP) 등 다른 TCP/IP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4.
아파치에서 SSL을 사용할 경우 API모듈과 상관없이 운영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65.
MySQL을 설치, 운영 중인데 MySQL의 관리자 root의 비밀번호를 잃어버렸을 경우 DB에 권한 없이 구동하여 들어가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하여야 한다. 다음 중 권한없이 MySQL을 구동시키는 방법은 무엇인가?(2008년 08월)
1.
mysql_safe &
2.
safe_mysql &
3.
safe_mysqld --skip-nogrant &
4.
safe_mysqld --skip-grant &
정답 : [
4
] 정답률 : 44%
66.
다음 중 터미널 환경에서 가상 머신만을 대상으로 CPU 자원을 모니터링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virsh
2.
vtop
3.
virt-top
4.
virt-manager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ㅇ virsh : 가상머신 추가 부터 start,list 확인, 삭제, 일시중지, 재개, 종료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명령어 ㅇ vtop : 프로세스 및 메모리 활동 모니터링 도구 ㅇ virt-top : top과 유사한 가상화 현황조회 도구 가상머신만을 대상으로 CPU 자원을 모니터링할 때 사용 ㅇ virt-manager(Virtual Machine Manager)은 데스탑의 GUI 환경에서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관리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정추]
67.
다음 중 MySQL 5.5 버전의 소스 파일 설치 시 기존 버전의 configure 및 make을 대체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1.
cmake
2.
automake
3.
autoconf
4.
makeconf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MySQL에서는 컴파일 과정에 Configure와 make를 대체하여 cmake를 사용한다
68.
httpd.conf 파일은 몇 가지 환경 설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httpd.conf 파일에 없는 환경 설정은 무엇인가?(2004년 10월)
1.
메인 서버 환경 설정(Main Server Configuratioin)
2.
전체 환경 설정(Global Environment)
3.
클라이언트 환경 설정(Client Configuration)
4.
가상 호스트 설정(Virtual Host)
정답 : [
3
] 정답률 : 24%
69.
CGI를 사용하는 이유로 부적합한 것은?(2010년 09월)
1.
CGI를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동적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2.
클라이언트의 입력 값을 받아 생성, 저장, 변경 할 수 있다.
3.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4.
고정된 페이지를 전송받는 단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70.
삼바의 설정 파일인 smb.conf이 올바르게 작성 되었는지 검사하는데 쓰이는 프로그램은?(2004년 05월)
1.
smbclient
2.
testparm
3.
smbstatus
4.
smbtest
정답 : [
2
] 정답률 : 37%
71.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이 윈도우시스템에서 유닉스 서버의 파일이나 프린터와 같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개발한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FTP
2.
SMB
3.
www
4.
TCP/IP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SMB : 윈도우 95나 윈도우 NT 등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파일/인쇄기 공유 프로토콜. [해설작성자 : 수험생]
72.
다음 중 삼바 서버 테스트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testparm
2.
smbstatus
3.
smbclient
4.
smbserver
정답 : [
4
] 정답률 : 32%
73.
다음 설명과 같은 경우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를 마운트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mount –t nfs 192.168.5.13/joon /mnt
2.
mount –t nfs 192.168.5.13:/joon /mnt
3.
mount –t nfs 192.168.5.13\joon /mnt
4.
mount –t nfs 192.168.5.13:\joon /mnt
정답 : [
2
] 정답률 : 50%
74.
NFS 서버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9월)
1.
retrans : 재전송 시간을 지정
2.
wsize : 서버에 기록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 지정
3.
hard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속 재시도
4.
soft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I/O 에러 표시
정답 : [
1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retrans : 재전송 횟수 [해설작성자 : 김영대]
75.
다음은 zone 파일 설정의 일부이다. 관리자 계정이 ihduser, 도메인이 ihd.or.kr일 경우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ProFTPD 서버 설치를 하기 위한 환경파일 설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2009년 09월)
1.
ServerName “ihd server” : ServerName은 ProFTPD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서버 이름을 “ihd server”로 설정한다.
2.
ServerType standalone : ProFTPD을 실행 시키는 방법으로 ServerType을 standalone으로 설정한다.
3.
MaxInstances 30 : MaxInstances는 ProFTPD 서버가 standalone 모드일 때 최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를 지정한다.
4.
RequireValidShell off : RequireValidShell은 /etc/shells파일에 정의되지 않는 쉘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FTP 접속을 허락하거나 거절하는 것에 대한 지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14%
79.
다음은 Limit 에 대한 예제이다.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파일 읽기와 관련된 FTP 명령, 파일 또는 디렉토리 쓰기,생성,삭제와 관련된 FTP 명령을 허용한다.
2.
192.168.10.0 대역에서 접속한 클라이언트에서 디렉토리 명령을 허용한다.
3.
ihd.or.kr에 속한 호스트 클라이언트에서 디렉토리 명령을 허용한다.
4.
디렉토리 목록과 관련된 FTP 명령 사용을 거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80.
다음 중 MDA(Mail Delivery Agent)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1.
sendmail
2.
qmail
3.
postfix
4.
procmail
정답 : [
4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MDA = procmail [해설작성자 : 수험생]
81.
다음은 스펨메일 서버의 악용을 막기 위한 설정 후, 센드메일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한 명령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이 순서대로 알맞은 것은?(2003년 10월)
1.
makemap, hash
2.
sort, spam
3.
check, spam
4.
file, attrib
정답 : [
1
] 정답률 : 37%
82.
다음 중 /etc/named.conf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3년 03월)
1.
C 언어에서 사용되는 /* ~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2.
C++ 언어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3.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4.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etc/named.conf : DNS 서버의 전반적인 환경설정을 담당하는 파일, 서버에서 사용하는 zone을 지정한다. - 파일의 구성은 크게 주석문과 구문으로 구성되어있다. - 주석은 C에서 사용하는 /* */ , C++에서 사용하는 //, 유닉스 계열에서 사용하는 #등 모두 사용가능 - 각 구문은 중괄호{} 로 둘러싸고, 끝날때는 세미콜론 ;을 사용한다. - include 지시자를 선언하여 별도의 파일에 추가정의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클클호ㅓ이팅]
83.
다음은 인터넷 수퍼데몬(xinetd)을 이용하여 ftp 서비스를 설정한 예이다.서버의 부하가 10이상 일 때 FTP서버에 대한 요청을 거부하기 위해 ( )안에 들어갈 속성은 다음 중 무엇인가?(2010년 03월)
1.
max_load
2.
instances
3.
max_loadavg
4.
max_uptime
정답 : [
1
] 정답률 : 42%
84.
다음 중 NIS 서버의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되는 맵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passwd.userid
2.
passwd.username
3.
passwd.byid
4.
passwd.byname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ㅇ NIS : 다수의 서버를 운영할 경우 시스템에서 모든 서버에 사용자의 계정 정보가 개별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인증 시 불편함이 존재했다. 이러한 경우를 보안하기 위해 만들어진 네트워크 기반의 인증 서비스이다. NIS는 여러 대의 서버를 운영하고 있고 각 각의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각 서버에 대해 모두 사용자계정과 패스워드를 가지고 있다. 즉, 하나의 서버에만 사용자의 계정이나 암호, 그룹 정보 등을 저장해두면 서버가 다른 시스템과 계정 정보를 공유한다. ㅇ passwd.byname NIS 서버의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되는 맵 파일명 $ ypcat passwd.byname USERID:x:10000:10000:USER NAME:/home/USERID:/bin/bash [해설작성자 : 정추]
85.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acl
2.
suid
3.
ags
4.
proxy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ㅇ squid.conf - 포트 설정 http_port 3128 스퀴드 서버 포트를 설정한다. default 값은 3128 이다. - 캐시 설정 cache_mem 8 MB 스퀴드 서버에서 사용하는 캐시 사이즈를 설정한다. - 로그 설정 cache_access_log /usr/local/squid/logs/access.log 접근로그를 기록하는 파일을 설정한다. - acl : ACL(Access Control List)의 약자로 여러 호스트를 하나의 명칭으로 지정할 때 사용 접근제어 특정IP조소, 네트워크 대역, 도메인 등을 별칭 형태로 지정 예) acl "ihd" {192.168.12/24: 192.168.5.13; }; [해설작성자 : 정추]
86.
다음 중 xinetd 데몬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몬이 아닌 것은?(2011년 09월)
1.
telnet
2.
pop3
3.
ftp
4.
arp
정답 : [
4
] 정답률 : 56%
87.
서버관리자 홍길동은 메일서버(mail.ihd.or.kr)와 웹서버(www.ihd.or.kr)를 분리시켰다. 그런데 웹서버에서 ihd@ihd.or.kr으로 메일을 보내면 메일 서버로 가지 않고 /var/spool/mail/ihd에 쌓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 중 어떤 파일을 살펴보아야 하는가?(2006년 09월)
1.
/etc/mail/access
2.
/etc/mail/local-host-names
3.
/etc/aliases
4.
/etc/virtusertable
정답 : [
2
] 정답률 : 23%
88.
다음 /etc/xinetd.conf 파일의 내용 중 cps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1.
초당 연결수가 30개 이상이 되면 25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2.
초당 연결수가 25개 이상이 되면 30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3.
1개 IP주소 당 접속 수가 25개 이상이 되면 30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4.
1개 IP주소 당 접속 수가 30개 이상이 되면 25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89.
다음은 인터넷 수퍼데몬(Xinetd)의 설정파일인 /etc/xinetd.conf 파일의 내용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이 파일의 설정내용은 /etc/xinetd.d/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모든 xinetd 서비스 파일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2.
‘instance’는 동시에 서비스 가능한 서버의 최대 개수를 지정한 것이다.
3.
‘per_source’는 동일한 호스트에서 접속을 허용할 최대접속 수를 제한하는 설정이다.
4.
‘only_from’은 서비스를 허용하지 않을 호스트를 지정하는 설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3%
90.
NIS의 여러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중요하며 항상 실행 중에 있어야 하는 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느것인가?(2007년 05월)
1.
ypswitch
2.
yppoll
3.
ypmatch
4.
ypbind
정답 : [
4
] 정답률 : 58%
91.
ARP는 내부로 들어온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IP 주소에서 MAC주소로 변환한 다음 기억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arp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08년 08월)
1.
-a : 캐시에 있는 특정된 또는 모든 호스트를 나열
2.
-n : 32bit로 된 IP, 즉 풀이(resolving)를 하지 않고 IP로 보여줌
3.
-d : 지정한 장치의 arp를 보여줌
4.
-v : 동적인 모드로 보여줌
정답 : [
3
] 정답률 : 15%
92.
다음의 경우에 구축하면 유용한 서버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NTP 서버
2.
DHCP 서버
3.
PROXY 서버
4.
VNC 서버
정답 : [
3
] 정답률 : 59%
93.
다음은 squid.conf 파일의 일부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port
2.
listen
3.
http_port
4.
squid_port
정답 : [
3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http_port : squid 프록시 서버의 포트 번호를 지정하는 항목으로 기본 포트값은 3128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94.
다음은 리눅스 시스템의 날짜 및 시간이 맞지 않아서 원격지의 NTP 서버를 통해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date
2.
rdate
3.
ntpq
4.
ntpdate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NTP서버는 시간 동기화 서버입니다.
국내 NTP 서버에는 time.bora.net kr.pool.ntp.org time.nuri.net time.kornet.net 등이 있고, 명령어로는 문제처럼 ntpdate time.bora.net 을 입력하시면됩니다.
NTP서버에서 시간 설정 불러오니 ntp + date 로 기억합시다. [해설작성자 : 롯데백화점당직자]
95.
다음 중 네트워크 인증 구성 요소(network authentication scheme)로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NIS
2.
LDAP
3.
PAM
4.
autofs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utofs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공유한 자원을 사용 하려고 할때 mount란 명령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mount하는 방법. 접속시 해당 file system이 자동으로 mount되고 일정 시간동안 미사용시 umount된다.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CD-ROM, 플로피 등을 마운트 하는데 사용된다. Autofs는 클라이언트에서만 설정하면된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96.
백도어는 시스템 설계자나 관리자에 의해 고의로 남겨진 시스템의 보안 허점으로 응용프로그램이나 운영체제에 삽입된 프로그램 코드이다. 다음 중 백도어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8년 08월)
1.
체크섬과 타임스탬프 백도어
2.
DDoS 백도어
3.
커널 백도어
4.
파일시스템 백도어
정답 : [
2
] 정답률 : 22%
97.
사용 중인 시스템에 리눅스를 설치한 후 하드 디스크의 모든 디렉토리와 파일을 테이프에 백업하였다. 일주일 후 하드 디스크에 있는 /bin/ps 파일과 테이프에 백업되어 있는 /bin/ps 파일의 크기가 달라져 있었을 때, 네트워크 침해 유형으로 가장 의심스러운 것은?(2003년 01월)
1.
침입 탐지 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2.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3.
스푸핑(Spoofing)
4.
서비스 거부(Denial of Service) 공격
정답 : [
2
] 정답률 : 50%
98.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3월)
1.
듀얼 홈드 호스트
2.
배스천 호스트
3.
스크린 호스트
4.
스크린 라우터
정답 : [
2
] 정답률 : 39%
99.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
DMZ
2.
VPN
3.
PROXY
4.
IDS
정답 : [
1
] 정답률 : 51%
100.
다음에서 설명하는 공격유형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
Host Sweep
2.
TCP DRDOS Attack
3.
TCP SYN Flooding(DDoS)
4.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host sweep - 각종 공격방법을 이용해서 정보를 파악 하는 기법 2. TCP DRDOS Attack - 분산 반사 서비스 거부 공격 4. 버퍼 오버플로우 - 프로그램이 메모리를 잘못 다뤄서 오류를 일으키거나 프로그램 보안 취약점을 야기기키는 결함 [해설작성자 : 정재희]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②
①
①
③
③
①
②
②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③
④
②
③
④
①
①
②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③
②
④
①
②
①
④
④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①
④
①
③
③
③
②
④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③
④
③
②
③
②
②
①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①
①
①
②
③
④
③
①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①
①
③
④
③
①
③
④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④
②
①
②
④
④
①
④
④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③
①
④
①
④
②
②
④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③
③
③
④
④
②
②
②
①
③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999988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리눅스마스터, 1급, 리눅스, 마스터,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