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홈쇼핑과 온라인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재고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매출액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3.
효율적인 물류관리를 통하여 해당 기업은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고객서비스 향상과 물류비용 절감이라는 상반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물류 단위기능별 부분최적화를 추구한다.
5.
물류관리 목적 달성을 위하여 고객서비스 제공과정에서 7R 원칙이 강조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9.
주문주기시간(order cycle tim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주문주기시간은 재고정책의 개선활동을 통하여 단축될 수 있다.
2.
주문전달(order transmittal)은 적재서류 준비, 재고기록 갱신, 신용장 처리작업, 주문 확인 등의 활동이다.
3.
재고 가용성(stock availability) 확보시간은 창고에 보유하고 있는 재고가 없을 때 생산지의 재고로부터 보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4.
주문인도(order delivery)는 주문품을 재고지점에서 고객에게 전달하는 활동이다.
5.
오더피킹(order picking)은 재고로부터 주문품 인출ㆍ포장ㆍ혼재 작업과 관련된 활동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주문처리(Order processing time)는 적재서류 준비, 재고기록 갱신, 신용장 처리작업, 주문확인 등의 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물관사 바로 합격]
10.
제품수명주기 중 도입기의 물류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7월)
1.
광범위한 유통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다수의 물류센터를 구축한다.
2.
경쟁이 심화되는 단계이므로 고객별로 차별화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한다.
3.
소수의 지점에 집중된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4.
장기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대규모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5.
물류센터를 통폐합하여 소수의 재고 보유 거점을 확보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도입기 -물류 서비스는 높은 수준의 재고 가용성과 유연성이 필요하다 -판매망을 소수의 지점에 제한하는 물류전략이 적합하다. -수요와 공급이 매우 불확실하며, 이익은 낮거나 손실이 발생하는 단계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SCM기법 중 하나인 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 Replenishment)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2017년 07월)
1.
주문발주
2.
협업관계 개발
3.
판매예측 실시
4.
공동 비즈니스계획 수립
5.
주문예측 실시
정답 : [
2
] 정답률 : 50%
12.
다음은 어느 TV 제조업체의 최근 5개월 동안 컬러TV 판매량을 나타낸 것이다. 6월의 컬러TV 판매량을 단순 이동평균법, 가중 이동평균법, 단순 지수평활법을 이용하여 예측한 값을 각각 A, B, C라고 할 때, 그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이동평균법에서 주기는 4개월, 단순 지수평활법에서 평활상수는 0.4를 각각 적용한다)(2007년 08월)
1.
A > B > C
2.
B > A > C
3.
A > C > B
4.
B > C > A
5.
C > B > A
정답 : [
4
] 정답률 : 12%
13.
물류원가 계산과 물류채산 분석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①
2.
②
3.
③
4.
④
5.
⑤
정답 : [
2
] 정답률 : 57%
14.
A기업이 60억원을 투자하여 물류센터를 건설하였다. 물류센터의 내용연수는 30년이며, 감가상각은 정액상각방식으로 한다. 물류센터 건설 후 10년이 경과한 시점의 물류센터에 대한 연간 시설부담이자는 얼마인가? (단, 시중 연 이자율은 4%를 적용하고, 투자비용의 시간가치와 잔존가치는 고려하지 않는다.)(2012년 08월)
1.
1억 1,000만원
2.
1억 2,000만원
3.
1억 5,000만원
4.
1억 6,000만원
5.
1억 8,000만원
정답 : [
4
] 정답률 : 56%
15.
카테고리킬러(Category Kill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통상 제조업자나 백화점이 소유한 오프 프라이스 스토어가 대부분이며 팩토리 아웃렛이라고도 한다.
2.
한정된 제품계열에서 깊이 있는 상품 구색으로 전문점과 유사하나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소매점으로 대량판매, 다점포화, 셀프서비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3.
주로 교통이 편리한 도심에 위치하여 화려하고 거대한 점포를 갖고 있으며, 각종 상품을 부문별로 구성하여 관리하고 주로 선매품(shopping goods)을 취급하고 있는 소매점이다.
4.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주택가 주변에 다점포화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시간, 장소, 상품 구색 등의 편의를 제공한다.
5.
회원제로 일정한 회비를 내는 회원에게만 구매할 수 있는 자격을 주고 거대한 창고형 점포에서 할인된 가격에 상품을 판매하는 소매업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16.
녹색물류 실행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7월)
1.
ㅁ
2.
ㅁ, ㅂ
3.
ㄱ,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ㅂ
정답 : [
5
] 정답률 : 79%
17.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1년 08월)
1.
재고관리시스템
2.
주문처리시스템
3.
수ㆍ배송시스템
4.
창고관리시스템
5.
판매지원시스템
정답 : [
5
] 정답률 : 50%
18.
물류기업 K는 제품의 포장 및 검사를 대행하는 유통가공 서비스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K사 유통가공 서비스의 연간 손익분기 매출액(단위: 만원)은?(2023년 07월)
물류정보의 시스템화는 상류정보의 시스템화가 선행되어야만 가능하며,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5.
수주처리시스템은 최소의 주문입력(order entry) 비용을 목표로 고객서비스를 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물류정보시스템은 물류활동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수집, 처리, 전달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으로, 물류서비스 개선과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해설작성자 : 케이신]
27.
화물을 일정한 중량이나 체적으로 단위화시켜 하역과 수송의 합리화를 도모하는 것은?(2023년 07월)
1.
유닛로드시스템(Unit Load System)
2.
파렛트풀시스템(Pallet Pool System)
3.
파렛트 표준화(Pallet Standardization)
4.
포장의 모듈화(Packaging Modularization)
5.
일관파렛트화(Palletization)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 유닛로드시스템: 단위화, 규격화된 단위화물로 하여금 일관된 수송/보관/하역 방식을 거치게 하는 시스템 2. 파렛트풀시스템: 일관파렛트화, 즉 규격을 표준화한 파렛트를 공동/공용으로 사용하는 시스템 4. 일관파렛트화: 발송지부터 도착지까지 파렛트 화물을 환적하지 않고 이동하는 것 [해설작성자 : 김또띠]
28.
대전지역에 위치한 K물류기업에서 물류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신규로 아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류정보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2017년 07월)
1.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2.
TRS(Trunked Radio System)
3.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4.
Procurement System
5.
GIS-T(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Transportation)
정답 : [
1
] 정답률 : 74%
29.
크로스도킹(Cross Dock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크로스도킹은 창고나 물류센터에서 수령한 상품을 창고에서 재고로 보관하지 않고 바로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물류시스템으로 통과형 물류센터라고도 한다.
2.
크로스도킹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ASN(Advanced Shipping Notice)과 JIT(Just In Time) 환경이 필요하다.
3.
크로스도킹은 기 포장 크로스도킹과 중간처리 크로스도킹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크로스도킹은 파렛트 크로스도킹, 케이스 크로스도킹 및 트레일러 크로스도킹의 3가지 수준에서 구현될 수 있다.
5.
크로스도킹은 재고의 효율적 통제를 통한 창고 비용 절감, 유통업체의 결품률 감소, 입출고 시간 및 비용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30.
다음은 2006년 H기업이 지출한 물류비 내역이다. 이 중에서 자가물류비와 위탁물류비는 각각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8월)
1.
자가물류비 12,150만원, 위탁물류비 350만원
2.
자가물류비 11,800만원, 위탁물류비 700만원
3.
자가물류비 11,750만원, 위탁물류비 750만원
4.
자가물류비 11,600만원, 위탁물류비 900만원
5.
자가물류비 11,450만원, 위탁물류비 1,050만원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 3 자가물류비 11,650만원 [해설작성자 : k]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화물자동차운송과 철도운송 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채트반공식을 이용한 자동차의 한계 경제효용거리(km)는?(2021년 07월)
1.
122
2.
123
3.
124
4.
125
5.
126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채트반 공식 : D / T - R = D:톤당 철도 부대 비용 50,000/(T:화물 자동차의 Ton/Km 당 운송비 900 - R:철도의 Ton/Km 당 운송비 500) = 50,000/900-500 = 50,000/400 = 125 [해설작성자 : 김문악]
43.
화물자동차 적재관리시스템(Vanning Management System)과 관련된 내용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적재계획은 운송화물의 중량과 부피 중 하나를 고려한다.
2.
다양한 차량을 이용할 수 있을 때에는 가장 적절한 규모의 차량을 이용한다.
3.
축중 제한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체적인 적재화물의 중량을 통제한다.
4.
주문관리시스템(Order Management System)과 연동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5.
편하중에 의한 축중 제한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재위치를 고려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44.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에서 발생하는 아래의 비용들 중 고정비 성격의 경비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부대시설 유지관리비
2.
보험료
3.
감가상각비
4.
제세공과금
5.
연료비
정답 : [
5
] 정답률 : 40%
45.
파렛트 풀 시스템(PPS: Pallet Pool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PPS는 우리나라 표준 파렛트인 T-11형만 공동 사용되고 있다.
2.
PPS 이용으로 인하여 기업이 부담하는 비용이 더 발생할 경우 정부에서 그 차액을 지원해 준다.
3.
PPS는 공(空)파렛트 회수를 위해 전국 각지에 파렛트집배소를 설치ㆍ운영하고 있다.
4.
PPS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제도화되었으며, 미국에서는 이를 활용하고 있지 않다.
5.
계절적인 변동이 심한 제품의 경우 PPS 도입 효과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46.
다음 중 중량화물이나 장척화물 운송에 적합하도록 천장이나 측면이 개방된 컨테이너를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8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72%
47.
운송수단별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7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해상운송은 대량운송에 적합하지만, 파손·분실·사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고, 안전성은 항공이나 철도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항공운송은 중량에 매우 민감합니다. 중량이 늘어나면 운임이 급격히 증가하고, 적재 한계도 엄격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운송의 기능 및 효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운송은 지역적 분업화에 기여한다.
2.
운송의 장소적 효용은 공간적 격차를 해소시켜 준다.
3.
운송의 시간적 효용은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격차를 조정해 준다.
4.
운송에는 재화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기능이 있다.
5.
운송은 재화의 상품가격 조정 및 안정화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정답 : [
5
] 정답률 : 57%
49.
아래 그림은 어떤 수배송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인가?(2007년 08월)
1.
왕복운송시스템
2.
환결운송시스템
3.
1차량 2운전원 승무시스템
4.
중간환승시스템
5.
릴레이식 운송시스템
정답 : [
2
] 정답률 : 23%
50.
화물자동차의 구조에 의한 분류에서 전용특장차에 해당하는 차량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7월)
1.
ㄱ, ㄴ, ㄷ
2.
ㄱ, ㄴ, ㅁ
3.
ㄱ,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51.
화물자동차의 운행제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축간 중량 5톤 초과
2.
길이 13.7 m 초과
3.
너비 2.0 m 초과
4.
높이 3.5 m 초과
5.
총중량 40 톤 초과
정답 : [
5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차량의 폭이 2.5미터, 차량의 높이 4.0미터, 차량의 길이 16.7미터, 차량의 축하중 10톤, 총중량 40톤을 초과하면 차량의 운행을 제한 [해설작성자 : 결]
52.
폴트레일러 트럭(Pole-trailer truck)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트렉터에 턴테이블을 설치하고 트레일러를 연결한 후, 대형파이프나 H형강, 교각, 대형목재 등 장척물의 수송에 사용한다.
2.
트렉터와 트레일러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고, 트레일러 자체도 바디를 가지고 있으며 중소형이다.
3.
트레일러의 일부 하중을 트렉터가 부담하는 것으로 측면에 미닫이문이 부착되어 있다.
4.
컨테이너 트렉터는 트레일러 2량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5.
대형 중량화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여러 대의 자동차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53.
화물자동차운송시스템 전략으로 사용되는 원칙이 아닌 것은?(2025년 07월)
1.
운송과 재고의 Trade-off 원칙
2.
단일 원거리 운송의 원칙
3.
회전수 감소의 원칙
4.
수배송 일원화의 원칙
5.
상하차 신속의 원칙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54.
컨테이너에 의한 위험물의 운송 시 위험물 수납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컨테이너는 위험물을 수납하기 전에 충분히 청소 및 건조되어야 한다.
2.
위험물을 컨테이너에 수납할 경우에는 해당 위험물의 이동, 전도, 충격, 마찰, 압력손상 등으로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없도록 한다.
3.
위험물의 어느 부분도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수납한 후에 컨테이너의 문을 닫아야 한다.
4.
위험물을 컨테이너 일부에만 수납하는 경우에는 위험물을 컨테이너 문에서 먼 곳에 수납해야 한다.
5.
위험물이 수납된 컨테이너를 여닫는 문의 잠금장치 및 봉인은 비상시에 지체 없이 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문 가까이에 해놔야 불같은거 나도 빨리 끄집어내서 다른 물품에 영향을 적게 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똘딴]
55.
화물자동차의 명칭과 화물적재와의 관계에 관한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전폭: 팔레트 적재 수, 컨테이너의 적재여부에 영향을 준다.
2.
전·후 오버행: 커브 시 안전도에 영향을 준다.
3.
하대높이: 지하도 및 교량 통과 높이에 영향을 준다.
4.
제1축간 거리: 축간거리가 길수록 적재함의 길이가 커지거나 적재함 중량이 뒷바퀴에 많이 전달된다.
5.
오프: 오프 값이 클수록 적재함 중량이 뒷바퀴에 많이 전달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16%
56.
운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7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64%
57.
출발지(O)로부터 목적지(D)까지의 사이에 다음 그림과 같은 운송망이 주어졌을 경우, 그 최단경로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각 구간별 숫자는 거리(km)를 나타냄)(2013년 06월)
1.
O에서 D까지 최단거리는 14km이다.
2.
O에서 c까지 최단거리는 8km이다.
3.
O에서 e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5km이다.
4.
O에서 d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5km이다.
5.
O에서 b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4km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58.
포워딩(Forwarding) 업무 중 LCL화물을 집화하여 FCL화물로 만드는 업무는?(2010년 08월)
1.
Projection
2.
Combination
3.
Consolidation
4.
Packaging
5.
Palletizing
정답 : [
3
] 정답률 : 60%
59.
2001년 공정거래위원회가 승인한 “택배 표준약관”에 근거하여 볼 때, 다음 설명 중 택배사업자의 운송물 수탁에서 인도까지의 관련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고객이 운송장에 운송물의 가액을 기재하지 않으면 사업자는 손해배상한도액이 적용됨을 운송장에 명시할 수 있다.
2.
운임의 청구에 대하여 고객과의 합의에 따라 운송물의 인도 시 수하인에게 수취할 수 있다.
3.
사업자는 운송물의 포장이 운송에 적합하지 아니할 때에 적합한 포장을 하도록 청구하거나, 고객의 승낙을 얻어 고객의 부담으로 필요한 포장을 할 수 있다.
4.
택배사업자는 다른 운송업자와 협정체결 등으로 공동으로 운송하거나 다른 사업자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수탁화물을 운송해서는 아니 된다.
5.
운송물이 재생 불가능한 계약서, 설계도면과 같은 경우 수탁을 거절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60.
컨테이너 운송에서 TOFC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8월)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ㄴ, ㄹ
정답 : [
2
] 정답률 : 50%
61.
정기선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특정항로의 운임률표가 불특정 다수의 화주에게 공표되어 있다.
2.
Bunker Adjustment Factor는 유류할증료이다.
3.
Congestion Surcharge는 도착항의 항만사정이 혼잡하여 선박이 대기할 경우에 내는 할증료이다.
4.
Freight All Kinds Rate는 화물의 종류, 중량, 용적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과되는 운임이다.
5.
정기선 운임은 기본운임(basic rate)과 할증료(surcharge) 및 기타 추가요금(additional charge) 등으로 구성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62.
다음 네트워크에서 각 운송로의 숫자는 각 운송로에 대한 최대 운송 용량(톤)을 나타낸다. 출발지 S에서 목적지 F로 최대로 운송할 수 있는 운송량은?(2011년 08월)
1.
4톤
2.
5톤
3.
6톤
4.
7톤
5.
8톤
정답 : [
2
] 정답률 : 19%
63.
헤이그 규칙과 함부르크 규칙을 비교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인 면책이었던 항해 과실을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운송인 책임으로 규정하고 있다.
2.
헤이그 규칙에서는 지연손해에 대한 명문 규정이 없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이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3.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책임 구간이 ‘from Receipt to Delivery’였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from Tackle to Tackle’로 축소하였다.
4.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인의 책임 한도가 1포장당 또는 단위당 100파운드였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SDR을 사용하여 책임한도액을 인상하였다.
5.
헤이그 규칙에서는 선박화재가 면책이었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면책으로 규정하지 않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헤이그 규칙 & 헤이그-비스비 규칙 - 선적~양하 (from Tackle to Tackle) 함부르크 규칙 - 수취~운송 (from Receipt to Delivery) **(3)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책임 구간이 from Tackle to Tackle 였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from Receipt to Delivery 로 확대하였다. [해설작성자 : 쭈오]
64.
공동 수ㆍ배송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8년 08월)
1.
화주의 운임 부담이 줄어든다.
2.
소량 화물의 집배송이 용이하다.
3.
물류 인원을 절감할 수 있다.
4.
기업의 기밀 보안이 용이하다.
5.
물류 공간 활용률이 높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기업들이 한 군데 모여 공동으로 수배송하는 거라서 기밀 유지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취준생]
고객이 제7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청구나 승낙을 거절하여 운송에 적합한 포장이 되지 않은 경우
2.
고객이 제9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확인을 거절하거나 운송물의 종류와 수량이 운송장에 기재된 것과 다른 경우
3.
운송물 1포장의 가액이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4.
운송물의 인도예정일(시)에 운송이 가능한 경우
5.
운송물이 현금, 카드, 어음, 수표, 유가증권 등 현금화가 가능한 물건인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72%
66.
항공운송의 전세운송(chart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전세운송은 IATA 운임(tariff)에 상관없이 화물, 기종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된다.
2.
전세운송은 항공사에 대해서도 항공기 가동률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한다.
3.
전세운송을 위해서는 필요한 조치가 많다는 점과 상대국의 규정을 감안하여 시간적 여유를 두고 항공사와 협의해야 한다.
4.
항공사는 전세운송을 할 때 중간 기착지에 대해서도 해당 국가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5.
전세자가 사용하고 남은 공간은 전세자의 동의에 상관없이 누구도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5
] 정답률 : 42%
67.
수출되는 FCL 화물의 해상운송 업무와 관련하여 필요한 서류들을 업무흐름의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7년 07월)
1.
ㄴ - ㄷ - ㅁ - ㄹ - ㄱ
2.
ㄴ - ㄷ - ㄹ - ㄱ - ㅁ
3.
ㄷ - ㅁ - ㄴ - ㄱ - ㄹ
4.
ㄷ - ㄴ - ㄹ - ㄱ - ㅁ
5.
ㄷ - ㄴ - ㅁ - ㄹ - ㄱ
정답 : [
5
] 정답률 : 64%
68.
다음 수송표에서 최소비용법을 적용한 총 운송비용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공급지에서 수요지까지의 톤당 운송비는 각 칸의 우측 상단에 제시되어 있음)(2024년 08월)
1.
S1-D1 셀(Cell)에 운송량이 100톤 할당된다.
2.
S2-D2 셀(Cell)에 운송량이 100톤 할당된다.
3.
S3-D3 셀(Cell)에 운송량이 200톤 할당된다.
4.
총 운송비용은 10,500,000원보다 크다.
5.
총 운송비용은 10,000,000원보다 작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69.
다음 행렬의 셀 내의 숫자는 해당 두 지점 간의 최대 운송용량(톤)을 나타낸다(예: A-C간은 운송로가 존재하고 최대 2톤의 운송이 가능하며, 숫자가 없는 셀은 운송로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함).이 경우 출발지 S에서 목적지 F로 운송할 수 있는 최대운송량은?(2013년 06월)
1.
5
2.
6
3.
7
4.
8
5.
9
정답 : [
3
] 정답률 : 26%
70.
다음 표에서 최소비용법(Least cost Method 혹은 Minimum cell cost Method)에 의한 최초 가능해의 총 운송비용은 얼마인가? (톤당 비용은 수요지와 공급지간 단위수송비용임)(2007년 08월)
1.
11,000원
2.
10,000원
3.
12,100원
4.
15,000원
5.
14,200원
정답 : [
2
] 정답률 : 32%
71.
수송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회귀모형: 화물의 수송량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장래 화물량을 예측하는 모형이다.
2.
중력모형: 지역 간의 운송량이 경제규모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가정에 의한 화물분포모형으로 단일제약모형, 이중제약모형 등이 있다.
3.
통행교차모형: 교통량을 교통수단과 교통망에 따라 시간, 비용 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화물분포모형으로 로짓모형, 카테고리 분석모형 등이 있다.
4.
성장인자모형: 물동량 배분패턴이 장래에도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지역간의 물동량을 예측하는 화물분포모형이다.
5.
엔트로피 극대화모형: 제약조건 하에서 지역 간 물동량의 공간적 분산 정도가 극대화된다는 가정에 기초한 화물분포모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통행교차모형 : 화물발생모형 [해설작성자 : 걍쳐볼래]
통행교차모형 : 조사된 물동량 O/D에 의해 운송량르 시간, 비용 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모형 전환곡선법, 로짓모형, 프로빗모형 등 [해설작성자 : DX물류 화이팅!!]
72.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노드 S로부터 다른 모든 노드에 원유를 공급하는 송유관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모든 노드들에 원유를 공급할 수 있는 가장 짧은 길이의 송유관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할 때, 송유관의 총길이는 얼마인가? (단, 네트워크상의 숫자는 두 노드상의 거리로 km단위를 의미한다.)(2011년 08월)
1.
17km
2.
19km
3.
21km
4.
23km
5.
25km
정답 : [
2
] 정답률 : 24%
7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혼재서비스(Consolidation Service) 형태는?(2019년 07월)
선박이 접안하는 부두 안벽에 접한 야드의 일부분으로 바다와 가장 가까이 접해 있으며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이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와 양륙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는?(2021년 07월)
1.
Berth
2.
Marshalling Yard
3.
Apron
4.
CY(Container Yard)
5.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berth(안벽) : 컨테이너선이 안전하게 접안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축된 접안시설로 선석이라고도 한다. Apron(에이프런) : 안벽에 접한 야드 부분에 일정한 폭으로 나란히 뻗어있는 공간으로서 컨테이너의 적재와 양륙작업을 위하여 임시로 하치하거나 갠트리크레인이 통과주행을 할 수 있도록 레일을 설치한 장소이다. Mashalling Yard(마샬링야드) : 에이프런과 인접하여 컨테이너선에서 하역하였거나 본선의 입항 전에 미리 입안된 선내 적치계획에 따라 선적 예정인 컨테이너를 순서대로 쌓아 두기 위한 장소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에 있어 중심이 되는 중요한 장소이다. Container Yare(컨테이너야드) : 적재된 컨테이너를 인수, 인도, 보관하고 공컨테이너도 같이 보관할 수 있는 야적장이다. CFS(컨테이너 화물조작장) : 컨테이너 한 개를 채울 수 없는 소량화물(LCL)의 처리를 위한 시설이다. [해설작성자 : 쭈오]
75.
택배 간선운송 중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노선의 수가 적어 운송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2.
집배센터에 배달물량이 집중되므로 충분한 상ㆍ하차 여건을 갖추지 않으면 배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3.
모든 노선이 허브를 중심으로 구축된다.
4.
셔틀노선의 증편이 용이하여 영업소의 확대에 유리하다.
5.
대형의 분류능력을 갖는 허브터미널이 필요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76.
보세구역의 형태와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세관검사장은 통관하려는 물품을 검사하기 위한 장소로서 세관장이 지정하는 지역으로 한다.
2.
보세창고에는 외국물품이나 통관을 하려는 물품을 장치한다.
3.
보세전시장에서는 박람회, 전람회, 견본품 전시회 등의 운영을 위하여 외국물품을 장치ㆍ전시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4.
세관장은 보세판매장에서 판매할 수 있는 물품의 종류, 수량, 장치 장소 등을 제한할 수 있다.
5.
세관장은 직권으로 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 그 밖에 종합보세구역을 운영하려는 자의 요청에 따라 무역진흥에의 기여 정도, 외국물품의 반입ㆍ반출 물량 등을 고려하여 일정한 지역을 종합보세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2개의 공급지에서 2개의 수요지로 화물을 수송하려고 한다. 공급량은 공급지 1의 경우 400개, 공급지 2의 경우 600개이며, 요구량은 수요지 1의 경우 750개, 수요지 2의 경우 250개이다. 수송 방법은 공급지에서 수요지로 직송을 하는 방법과 중간 물류센터를 경유하여 배송하는 방법이 있다. 각 지점간의 단위 수송비(원/개)는 다음과 같다. 최적의 수송계획을 수립하였을 때 최소 총 수송비는 얼마인가?(2008년 08월)
1.
6,000원
2.
6,500원
3.
7,000원
4.
7,500원
5.
8,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34%
79.
배송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7월)
1.
ㄱ, ㄷ
2.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ㄷ은 적합배송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ㄷ: 고정다이어그램 배송은 배송할 물량을 기준으로 적합한 크기의 차량을 배차하는 방법으로 '배송지와 배송시간'이 고정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세방맨]
80.
신도시 A지역에 지역도로를 신설하려고 한다. 6곳의 거점 중 어디에서나 나머지 5곳을 직접 또는 다른 곳을 경유하여 갈 수 있어야 한다. 건설비용이 다음과 같을 때 도로를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최소 총비용은? (단위: 억원)(2014년 06월)
1.
150
2.
160
3.
170
4.
180
5.
190
정답 : [
3
] 정답률 : 27%
81.
미국의 2001년 9.11사건 이후 전 세계는 물류보안 및 안전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2010년 08월)
1.
ISO 14000
2.
C-TPAT
3.
SAFE Framework
4.
ISPS Code
5.
AEO
정답 : [
1
] 정답률 : 24%
82.
Incoterms의 CIF조건에서 보험증권(Insurance Policy) 발급 시에 보험계약자는 누가 되는가?(2007년 08월)
1.
수입상
2.
수출상
3.
수출상 거래은행
4.
신용장 개설은행
5.
매입은행
정답 : [
2
] 정답률 : 30%
8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국제물류시스템은?(2024년 08월)
1.
ERP
2.
POS
3.
VMI
4.
QR
5.
Hub & Spoke
정답 : [
5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Hub & Spoke" 시스템은 대규모 거점(허브)을 중심으로 물류를 집중시키고, 소규모 거점(스포크)을 통해 연결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이 시스템은 운송 빈도를 줄이고 운송 단위를 늘려 물류비를 절감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설명에서 언급된 대규모 거점과 소규모 거점을 연결하는 방식이 바로 "Hub & Spoke" 시스템의 특징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컨테이너 터미널과 그 곳에서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Apron은 선박이 접안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축된 구조물이다.
2.
Off-dock CY는 컨테이너의 인수, 인도, 보관을 위해 터미널 내에 있는 장소이다.
3.
Berth는 하역작업을 위한 공간으로 갠트리크레인이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양적하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4.
Transtainer는 컨테이너를 야드에 장치하거나 장치된 컨테이너를 샤시에 실어주는 작업을 하는 컨테이너 이동장비이다.
5.
Reach Stacker는 Apron에서 컨테이너의 양적하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85.
CIF Pusan 금액을 구하시오.(US$ 기준)(2007년 08월)
1.
350,250
2.
350,850
3.
351,450
4.
351,800
5.
352,150
정답 : [
3
] 정답률 : 16%
86.
항만의 계류시설 중 선박을 계선밧줄로 고정하기 위하여 안벽에 설치된 석재 또는 강철재의 짧은 기둥은?(2012년 08월)
1.
비트(Bitt)
2.
펜더(Fender)
3.
캡스탄(Capstan)
4.
돌핀(Dolphin)
5.
안벽(Berth)
정답 : [
1
] 정답률 : 63%
87.
1998년 미국 외항해운개혁법(OSRA)의 주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FMC에 선사의 태리프(Tariff) 신고의무를 폐지하였다.
2.
우대운송계약(Service Contract)을 허용하되 서비스계약 운임률, 서비스 내용, 내륙운송구간, 손해배상 등 주요 내용을 대외비로 인정해주고 있다.
3.
비슷한 조건의 화주가 선사에게 동등한 조건을 요구할 수 있는 'me – too'조항을 삭제하여 선사의 화주에 대한 차별대우를 인정해 주었다.
4.
NVOCC의 자격요건을 강화하여 해상화물운송주선인과 동일하게 FMC로부터 면허취득을 의무화하였다.
5.
컨소시엄, 전략적 제휴 등 공동행위 및 경쟁제한 행위를 금지시켰다.
정답 : [
5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OSRA는 정기선 시장에서의 시장자유화 추구 5. 공동행위 및 경쟁제한 행위를 금지시키지 않았으며, OSRA를 통해 선사간 통합, 전략적 제휴가 가속화 되었다. [해설작성자 : Yadon_]
88.
선주가 편의치적(Flags of Convenience)을 선호하는 이유로써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선박의 등록세, 톤세 등 세제에 대한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2.
선박의 운항수입에 대한 부가세, 법인세 등이 낮기 때문이다.
3.
선박의 운항 및 안전기준 등의 규제가 자국에 비해서 적기 때문이다.
4.
선진 해운국의 선주들이 고임금의 자국선원을 승선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5.
자국 정부로부터 재정 및 금융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75%
89.
해상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개품운송계약은 선하증권에 의해 증빙되는 부합계약의 성질을 지닌다.
2.
용선계약의 내용은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약한 용선자를 보호하기 위해 Hague-Visby Rules 같은 강행법규에 의해 규율된다.
3.
정기선운송의 경우 부정기선운송에 비해 해운시황에 따른 배선축소나 운항항로에서의 철수 등이 신축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4.
부정기선운송의 운임은 해운시장에서 물동량과 선복량에 따라 변동하므로 정기선 운임에 비해 불안정하다.
5.
정기용선계약에서 용선선박은 선박이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일체의 속구를 갖추고 선원을 승선시킨 상태로 용선자에게 인도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헤이그 규칙, 함부루크 규칙, 로데르탐 규칙과 같은 국제협약은 강행법규가 아닙니다. 즉, 당사자간의 합의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지 강행법규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인코텀즈에서도 인코텀즈보다 각 국의 강행법규가 우선함을 밝히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인생망따리]
9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화물운송과 관련된 국제협약은?(2025년 07월)
1.
CCC(Customs Convention on Container, 1956)
2.
TIR(Transport International Routiere, 1959)
3.
CSC(International Convention for Safe Containers, 1972)
4.
CMR(Convention Relative au Contract de Transport International de Marchandises par Route, 1956)
5.
ITI(Customs 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Transit of Goods, 1971)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91.
20피트 규격의 컨테이너(TEU) 1개에는 평균 25 CBM 부피의 화물이 적재된다. 이 기준을 적용할 때 화물박스 하나가 40 cm×50 cm×60 cm인 경우 이론상 최대 몇 개의 박스가 적재될 수 있는가?(2014년 06월)
1.
약 100 박스
2.
약 104 박스
3.
약 120 박스
4.
약 208 박스
5.
약 416 박스
정답 : [
4
] 정답률 : 29%
92.
항해용선계약과 관련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1년 08월)
1.
ㄱ, ㄷ, ㅅ
2.
ㄴ, ㄹ, ㅅ
3.
ㄱ, ㅁ, ㅂ
4.
ㄷ, ㅁ, ㅂ
5.
ㄱ, ㄴ, ㅅ
정답 : [
4
] 정답률 : 32%
93.
Montreal Convention(1999)의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ㄱ: persons, baggage or cargo ㄴ: equally to gratuitous carriage
2.
ㄱ: persons or cargo ㄴ: equally to gratuitous carriage
3.
ㄱ: cargo ㄴ: to the carriage except for gratuitous carriage
4.
ㄱ: persons or cargo ㄴ: to the carriage except for gratuitous carriage
5.
ㄱ: persons, baggage or cargo ㄴ: to the carriage except for gratuitous carriage
정답 : [
1
] 정답률 : 26%
94.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 협약(비엔나협약, 1980)에 규정되어 있는 매수인의 구제권리가 아닌 것은?(2015년 07월)
1.
물품명세확정권
2.
대체품인도청구권
3.
하자보완청구권
4.
대금감액권
5.
조기이행거절권
정답 : [
1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물품명세확정권 >>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비엔나협약,1980)에 존재하지 않는 권리임. >> 구제권리가 아님. 구제권리란 계약이행이 불완전하거나 위반되었을 때, 손해를 줄이거나 회복하기 위해 매수인에게 부여되는 권리임. 따라서, 계약의 유연성을 위해 매수인에게 부여된 '권리'이지, 계약 위반이나 손해에 대한 '구제를 위한 권리'가 아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항해용선계약의 하역비 부담조건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7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Free = 선주 기준 [해설작성자 : Yadon_]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Liner = 선주 부담 Free = 화주 부담
96.
정기선과 부정기선 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해운거래소(Shipping Exchange)에는 주로 정기선 운송시장 정보가 집중되어 있다.
2.
부정기선은 주로 단위화되지 않은 상태의 화물을 취급한다.
3.
일반적으로 정기선은 정해진 특정항로를 따라 정기 운항하는 반면, 부정기선은 운송수급에 따라 항로가 결정된다.
4.
부정기선 운임은 일반적으로 운송계약을 할 때마다 당사자간 협의를 통하여 결정된다.
5.
BDI는 건화물 부정기선에 관한 운임지수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해운거래소는 '부정기선 운송시장 정보'가 집중되는 곳임. 정기선의 경우, 항로, 운항 스케쥴, 운임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항공화물 부대운임은?(2024년 08월)
1.
Disbursement fee
2.
Dangerous goods handling fee
3.
Charges collect fee
4.
Handling charge
5.
Pick up service charge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Disbursement fee란 운송 대리점이 현지에서 각종 비용을 대납해주고, 그 대가로 받는 수수료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입체지불수수료 Disbursement fee: 송하인의 요구에 따라 항공사, 송하인 또는 대리인이 선불한 비용을 수하인으로부터 징수하는 금액 [해설작성자 : 엔시티위시 사쿠야]
9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국제물류시스템 유형은?(2023년 07월)
1.
Classical system
2.
Transit system
3.
Direct system
4.
Just In Time system
5.
Multi-country warehouse system
정답 : [
5
] 정답률 : 75%
99.
선적 및 양륙 업무에 따른 부속서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Tally Sheet에는 하역화물의 개수, 화인, 포장상태, 화물사고 등을 기재한다.
2.
Stowage Plan은 체계적인 하역작업 및 본선안전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선적용 적부도, 양륙용적부도가 있다.
3.
Delivery Order는 양륙지에서 선사가 수하인으로부터 B/L을 받고 화물인도를 지시하는 서류이다.
4.
Booking Note는 화물 양륙 시 하역업자가 양륙화물을 적하목록과 대조하여 본선에 교부하는 서류이다.
5.
Measurement/Weight Certificate는 각 포장당 용적 및 총중량의 명세서이며, 해상운임 산정의 기초가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선박회사가 화물의 명세 및 선적 수배 등에 관해서 기록해 둔 서류를 부킹 노트라고 말한다.
100.
최근 국제항공화물운송의 환경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송화인의 항공화물운송 의뢰는 대부분 항공화물운송주선인(Air Freight Forwarder)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2.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항공화물운송료가 급등하고 있어 전체 물동량은 줄어들고 있다.
3.
아마존과 같은 국제전자상거래업체의 성장으로 GDC(Global Distribution Center) 관련 항공화물이 증가하고 있다.
4.
국제항공화물운송에서 신선화물이 증가하고 있다.
5.
우리나라 인천국제공항의 국제항공 환적화물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101.
국제해상 컨테이너화물의 운송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컨테이너화물은 컨테이너 1개의 만재 여부에 따라 FCL(Full Container Load)과 LCL(Less than Container Load)화물로 대별할 수 있다.
2.
CY→CY (FCL→FCL)운송: 수출지 CY에서 수입지 CY까지 FCL형태로 운송되며, 컨테이너운송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식이다.
3.
CFS→CFS (LCL→LCL)운송: 수출지 CFS에서 수입지 CFS까지 운송되며, 운송인이 다수의 송화인으로부터 LCL화물을 모아 혼재하여 운송하는 방식이다.
4.
CFS→CY (LCL→ FCL)운송: 운송인이 다수의 송화인으로부터 화물을 모아 수출지 CFS에서 혼재하여 FCL로 만들고, 수입지 CY에서 분류하지 않고 그대로 수화인에게 인도하는 형태이다.
5.
CY →CFS (FCL → LCL)운송: 수출지 CY로부터 수입지 CFS까지 운송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송화인과 다수의 수화인 구조를 갖고 있다.
FCL(Full Container Load) : 컨테이너 하나를 가득 채우는 화물(1인 송화인) LCL(Less than Container Load) : 여러 화주가 컨테이너 하나를 공유하는 형태(다수 송화인) CY(Container Yard)의 약자로, 수출입 화물의 컨테이너를 보관하는 장소. 주로 FCL화물을 핸들링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의 약자로, 컨테이너 화물 집하장을 의미. 주로 LCL화물을 핸들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2.
해상화물운송장(Sea Waybill : SWB)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해상운송에서 화물 인도의 신속화, 서류분실에 따른 위험의 회피 및 사무의 합리화를 목적으로 선하증권의 대체로서 사용되는 운송서류이다.
2.
계약상품의 인도 또는 적재를 입증하는 비유가증권 서류이다.
3.
송화인에게 발행하는 서류이지만, 선하증권과 달리 운송품 인도청구권을 상징하지 않기 때문에 양도성이 없다.
4.
해상화물운송장에 관한 국제규칙은 "CMI Uniform Rules for Sea Waybill 1990"이다.
5.
권리증권이므로 항해 중에 증권을 이전함으로써, 물품의 전매나 담보가 가능하다.
정답 : [
5
] 정답률 : 56%
103.
컨테이너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크기에 따라 ISO 규격 20 feet, 40 feet, 40 feet High Cubic 등이 사용되고 있다.
2.
재질에 따라 철재컨테이너, 알루미늄컨테이너, 강화플라스틱컨테이너 등으로 분류된다.
3.
용도에 따라 표준컨테이너, 온도조절컨테이너, 특수컨테이너 등으로 분류된다.
4.
알루미늄컨테이너는 무겁고 녹이 스는 단점이 있으나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많이 이용된다.
5.
냉동컨테이너는 과일, 야채, 생선, 육류 등의 보냉이 필요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알루미늄컨테이너는 실제로 가볍고 녹이 잘 슬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제조원가는 철재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4.
해상보험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위부(Abandonment)는 피보험 목적물을 전손으로 추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잔존물의 소유권과 제3자에 대한 배상청구권을 보험자에게 양도하는 것이다.
2.
대위(Subrogation)는 피보험자가 보험자로부터 손해보상을 받으면 피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이나 제3자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를 보험자에게 당연히 이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3.
보험료(Premium)는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 보험계약자가 위험을 전가하기 위해 지불하는 금액을 말한다.
4.
특별비용(Particular Charge)은 피보험 목적물의 안전, 보존을 위하여 피보험자 또는 대리인에 의하여 지출된 비용으로 공동해손비용과 구조비 이외의 비용이다.
5.
공동보험(Coinsurance)은 피보험이익 및 위험에 관해 복수의 보험계약이 존재하며 그 보험금액의 합계액이 보험가액을 초과하는 경우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32%
105.
해륙복합운송 경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SLB(Siberia Land Bridge)는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의 화물을 해상운송한 후 시베리아 대륙횡단철도를 이용하여 유럽이나 중동까지 운송하는 방식이다.
2.
CLB(China Land Bridge)는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의 화물을 해상운송한 후 중국대륙철도와 실크로드를 이용하여 유럽까지 운송하는 방식이다.
3.
IPI(Interior Point Intermodal)는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의 화물을 해상운송한 후 캐나다 대륙횡단철도를 이용하여 캐나다의 동해안 항만까지 운송하는 방식이다.
4.
ALB(America Land Bridge)는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의 화물을 해상운송한 후 미국대륙을 철도로 횡단하고 유럽지역까지 다시 해상운송하는 방식이다.
5.
MLB(Mini Land Bridge)는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의 화물을 해상운송한 후 철도와 트럭을 이용하여 미국 동해안이나 미국 멕시코만 지역의 항만까지 운송하는 방식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IPI는 한국에서 출발하여 미국서안항구로 해상운송 후 미국 동안의 항구로 철도를 이용하여 운송 [해설작성자 : 민대]
CSI는 위험성이 높은 미국행 컨테이너 화물을 선별하여 선적 전에 검사하는 컨테이너 보안 협정이다.
2.
AEO는 WTO에서 무역안전과 원활화에 관한 국제규범의 일환으로 고안한 제도이다.
3.
ISO 28000은 물류보안 인증제도이며 보안심사의 내용은 보안경영방침, 보안위험평가 및 기획ㆍ실행ㆍ운영, 점검 및 시정조치, 경영검토 등이다.
4.
24-Hour Rule은 미국으로 수출하는 적하목록을 적재 24시간 전에 미국 관세청에 신고하도록 한 규정이다.
5.
C-TPAT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인증을 받은 업체에게는 세관검사 축소 등 통관상의 혜택이 주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09.
해상손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Salvage Charge는 해난에 봉착한 재산에 발생할 가능성 있는 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화물을 구조한 자에게 해상법에 의하여 지불하는 보수이다.
2.
Subrogation은 피보험자가 전손보험금을 청구하기 위해서 피보험목적물의 잔존가치와 제3자에 대한 구상권 등 일체의 권리를 보험자에게 넘기는 행위이다.
3.
Sue and Labor Charge는 보험목적의 손해를 방지 또는 경감하기 위하여 피보험자 또는 그의 사용인 및 대리인이 지출한 비용을 말한다.
4.
Constructive Total Loss는 보험의 목적인 화물의 전멸이 추정되는 경우의 손해를 말한다.
5.
Abandonment는 Constructive Total Loss의 경우에 적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20%
110.
최근 강화되고 있는 물류 보안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물류 보안 인증제도 시행
2.
컨테이너 화물의 사전검색 강화
3.
컨테이너 전자봉인장치 도입
4.
선박 및 항만 시설에 대한 보안 강화
5.
화물 정보의 사후신고제도 시행
정답 : [
5
] 정답률 : 71%
111.
비엔나협약(CISG, 1980)의 적용 제외 대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경매에 의한 매매
2.
강제집행 또는 기타 법률상의 권한에 의한 매매
3.
주식, 지분, 투자증권, 유통증권 또는 통화의 매매
4.
선박, 항공기의 매매
5.
원유, 석탄, 가스, 우라늄 등의 매매
정답 : [
5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비엔나협약(CISG, 1980)의 적용 제외 대상은 특수한 거래 방식(경매나 강제집행 등 특수한 방식), 금융 상품(물리적 물품이 아닌 주식, 통화 등), 특수한 물품(선박, 항공기 등 고가의 특수 자산) 관련 된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참고)비엔나협약(CISG)은 국제물품매매계약의 “법적 틀”, Incoterms는 “운송·인도조건”에 관한 표준 약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2.
INCOTERMS 2000의 CIF 조건과 DES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CIF 조건에서 물품에 대한 위험의 이전 시점은 선적항의 본선 난간을 통과한 때이다.
2.
DES 조건은 해상운송 또는 내수로 운송에 사용되는 조건이다.
3.
CIF 조건에서 해상적하에 대한 피보험 이익은 매수인에게 귀속된다.
4.
DES 조건에서 물품에 대한 위험의 이전 시점은 목적항의 선박갑판 상에서 매수인의 임의 처분상태로 둔 때이다.
5.
CIF 조건에서 비용의 분기점은 위험의 이전 분기점과 같다.
정답 : [
5
] 정답률 : 15%
113.
Warsaw Convention(1929)에 근거한 항공운송서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운송인용 원본에는 운송인의 서명이 있어야 한다.
2.
항공운송서류가 분실되거나 잘못 작성된 경우 항공운송계약이 취소된다.
3.
송하인의 요구가 있을 경우 운송인은 송하인을 대신하여 항공운송서류를 작성할 수 있다.
4.
화물에 관한 내용이 운송서류에 잘못 기입된 경우, 이는 운송인의 책임이다.
5.
수하인용 원본에는 수하인의 서명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114.
IncotermsⓇ 2020 규칙 상 해상운송이나 내수로운송의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거래조건으로 옳은 것은?(2024년 08월)
1.
FAS, FOB, CFR, CIF
2.
FOB, CIF, CPT, DPU
3.
FAS, FOB, CPT, CIP
4.
CFR, CIF, CPT, CIP
5.
FOB, DAP, DPU, DDP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FAS (Free Alongside Ship): 선측 인도 FOB (Free On Board): 본선 인도 CFR (Cost and Freight): 운임 포함 인도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 및 보험료 포함 인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5.
청약(offer)에 대한 승낙(acceptance)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승낙의 내용은 청약의 내용과 일치하여야 한다.
2.
승낙은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이어야 한다.
3.
승낙은 유효기간 내에 행해져야 한다.
4.
승낙은 특정의 청약에 대하여 행해져야 한다.
5.
승낙은 문서로만 행해져야 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116.
보세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외국물품의 보세운송 목적지는 개항, 보세구역, 보세구역 외 장치장, 세관관서 등으로 지정되어 있다.
2.
보세운송을 하려는 자는 관세청장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세관장에게 보세운송의 신고를 하여야 한다.
3.
보세운송을 신고 또는 승인 신청할 수 있는 자는 화주, 보세운송업자, 관세사 등이다.
4.
보세운송 중에는 세관의 감시ㆍ단속을 일시 벗어나게 되므로 운송통로와 운송기간을 제한하지 않고 있다.
5.
수출신고가 수리된 물품은 관세청장이 따로 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보세운송절차를 생략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17.
IncotermsⓇ 2010의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는?(2018년 07월)
1.
CFR
2.
FCA
3.
CIP
4.
FOB
5.
CIF
정답 : [
3
] 정답률 : 18%
118.
구상무역에 사용할 수 있는 신용장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7월)
1.
ㄱ, ㄴ, ㅁ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ㄴ, ㄷ, ㅁ
5.
ㄷ, ㄹ, ㅁ
정답 : [
4
] 정답률 : 36%
119.
다음 국제물류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8월)
1.
CAF : 유류할증료
2.
CQD : 관습적 조속하역조건
3.
TCR : 시베리아 횡단철도
4.
TEU : 40피트 컨테이너 단위
5.
ETD : 선박입항 예정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CAF는 유류할증료가 아닌 통화할증료이고 유류할증료는 BAF입니다. TCR은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아닌 중국 횡단철도이고 시베리아 횡단철도는 TSR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120.
항해용선계약에서 화물량보다 실제 선적량이 적은 경우 용선자(charterer)인 화주가 그 부족분에 대해서도 지불하는 운임은?(2010년 08월)
1.
선불운임(advanced freight)
2.
부적운임(dead freight)
3.
선복운임(lump sum freight)
4.
반송운임(back freight)
5.
후불운임(destination freight)
정답 : [
2
] 정답률 : 37%
정 답 지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604488)
TV 홈쇼핑과 온라인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재고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매출액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3.
효율적인 물류관리를 통하여 해당 기업은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고객서비스 향상과 물류비용 절감이라는 상반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물류 단위기능별 부분최적화를 추구한다.
5.
물류관리 목적 달성을 위하여 고객서비스 제공과정에서 7R 원칙이 강조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9.
주문주기시간(order cycle tim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주문주기시간은 재고정책의 개선활동을 통하여 단축될 수 있다.
2.
주문전달(order transmittal)은 적재서류 준비, 재고기록 갱신, 신용장 처리작업, 주문 확인 등의 활동이다.
3.
재고 가용성(stock availability) 확보시간은 창고에 보유하고 있는 재고가 없을 때 생산지의 재고로부터 보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4.
주문인도(order delivery)는 주문품을 재고지점에서 고객에게 전달하는 활동이다.
5.
오더피킹(order picking)은 재고로부터 주문품 인출ㆍ포장ㆍ혼재 작업과 관련된 활동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주문처리(Order processing time)는 적재서류 준비, 재고기록 갱신, 신용장 처리작업, 주문확인 등의 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물관사 바로 합격]
10.
제품수명주기 중 도입기의 물류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7월)
1.
광범위한 유통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다수의 물류센터를 구축한다.
2.
경쟁이 심화되는 단계이므로 고객별로 차별화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한다.
3.
소수의 지점에 집중된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4.
장기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대규모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5.
물류센터를 통폐합하여 소수의 재고 보유 거점을 확보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도입기 -물류 서비스는 높은 수준의 재고 가용성과 유연성이 필요하다 -판매망을 소수의 지점에 제한하는 물류전략이 적합하다. -수요와 공급이 매우 불확실하며, 이익은 낮거나 손실이 발생하는 단계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SCM기법 중 하나인 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 Replenishment)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2017년 07월)
1.
주문발주
2.
협업관계 개발
3.
판매예측 실시
4.
공동 비즈니스계획 수립
5.
주문예측 실시
정답 : [
2
] 정답률 : 50%
12.
다음은 어느 TV 제조업체의 최근 5개월 동안 컬러TV 판매량을 나타낸 것이다. 6월의 컬러TV 판매량을 단순 이동평균법, 가중 이동평균법, 단순 지수평활법을 이용하여 예측한 값을 각각 A, B, C라고 할 때, 그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이동평균법에서 주기는 4개월, 단순 지수평활법에서 평활상수는 0.4를 각각 적용한다)(2007년 08월)
1.
A > B > C
2.
B > A > C
3.
A > C > B
4.
B > C > A
5.
C > B > A
정답 : [
4
] 정답률 : 12%
13.
물류원가 계산과 물류채산 분석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①
2.
②
3.
③
4.
④
5.
⑤
정답 : [
2
] 정답률 : 57%
14.
A기업이 60억원을 투자하여 물류센터를 건설하였다. 물류센터의 내용연수는 30년이며, 감가상각은 정액상각방식으로 한다. 물류센터 건설 후 10년이 경과한 시점의 물류센터에 대한 연간 시설부담이자는 얼마인가? (단, 시중 연 이자율은 4%를 적용하고, 투자비용의 시간가치와 잔존가치는 고려하지 않는다.)(2012년 08월)
1.
1억 1,000만원
2.
1억 2,000만원
3.
1억 5,000만원
4.
1억 6,000만원
5.
1억 8,000만원
정답 : [
4
] 정답률 : 56%
15.
카테고리킬러(Category Kill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통상 제조업자나 백화점이 소유한 오프 프라이스 스토어가 대부분이며 팩토리 아웃렛이라고도 한다.
2.
한정된 제품계열에서 깊이 있는 상품 구색으로 전문점과 유사하나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소매점으로 대량판매, 다점포화, 셀프서비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3.
주로 교통이 편리한 도심에 위치하여 화려하고 거대한 점포를 갖고 있으며, 각종 상품을 부문별로 구성하여 관리하고 주로 선매품(shopping goods)을 취급하고 있는 소매점이다.
4.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주택가 주변에 다점포화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시간, 장소, 상품 구색 등의 편의를 제공한다.
5.
회원제로 일정한 회비를 내는 회원에게만 구매할 수 있는 자격을 주고 거대한 창고형 점포에서 할인된 가격에 상품을 판매하는 소매업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16.
녹색물류 실행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7월)
1.
ㅁ
2.
ㅁ, ㅂ
3.
ㄱ,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ㅂ
정답 : [
5
] 정답률 : 79%
17.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1년 08월)
1.
재고관리시스템
2.
주문처리시스템
3.
수ㆍ배송시스템
4.
창고관리시스템
5.
판매지원시스템
정답 : [
5
] 정답률 : 50%
18.
물류기업 K는 제품의 포장 및 검사를 대행하는 유통가공 서비스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K사 유통가공 서비스의 연간 손익분기 매출액(단위: 만원)은?(2023년 07월)
물류정보의 시스템화는 상류정보의 시스템화가 선행되어야만 가능하며,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5.
수주처리시스템은 최소의 주문입력(order entry) 비용을 목표로 고객서비스를 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물류정보시스템은 물류활동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수집, 처리, 전달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으로, 물류서비스 개선과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해설작성자 : 케이신]
27.
화물을 일정한 중량이나 체적으로 단위화시켜 하역과 수송의 합리화를 도모하는 것은?(2023년 07월)
1.
유닛로드시스템(Unit Load System)
2.
파렛트풀시스템(Pallet Pool System)
3.
파렛트 표준화(Pallet Standardization)
4.
포장의 모듈화(Packaging Modularization)
5.
일관파렛트화(Palletization)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 유닛로드시스템: 단위화, 규격화된 단위화물로 하여금 일관된 수송/보관/하역 방식을 거치게 하는 시스템 2. 파렛트풀시스템: 일관파렛트화, 즉 규격을 표준화한 파렛트를 공동/공용으로 사용하는 시스템 4. 일관파렛트화: 발송지부터 도착지까지 파렛트 화물을 환적하지 않고 이동하는 것 [해설작성자 : 김또띠]
28.
대전지역에 위치한 K물류기업에서 물류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신규로 아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류정보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2017년 07월)
1.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2.
TRS(Trunked Radio System)
3.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4.
Procurement System
5.
GIS-T(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Transportation)
정답 : [
1
] 정답률 : 74%
29.
크로스도킹(Cross Dock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크로스도킹은 창고나 물류센터에서 수령한 상품을 창고에서 재고로 보관하지 않고 바로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물류시스템으로 통과형 물류센터라고도 한다.
2.
크로스도킹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ASN(Advanced Shipping Notice)과 JIT(Just In Time) 환경이 필요하다.
3.
크로스도킹은 기 포장 크로스도킹과 중간처리 크로스도킹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크로스도킹은 파렛트 크로스도킹, 케이스 크로스도킹 및 트레일러 크로스도킹의 3가지 수준에서 구현될 수 있다.
5.
크로스도킹은 재고의 효율적 통제를 통한 창고 비용 절감, 유통업체의 결품률 감소, 입출고 시간 및 비용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30.
다음은 2006년 H기업이 지출한 물류비 내역이다. 이 중에서 자가물류비와 위탁물류비는 각각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8월)
1.
자가물류비 12,150만원, 위탁물류비 350만원
2.
자가물류비 11,800만원, 위탁물류비 700만원
3.
자가물류비 11,750만원, 위탁물류비 750만원
4.
자가물류비 11,600만원, 위탁물류비 900만원
5.
자가물류비 11,450만원, 위탁물류비 1,050만원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 3 자가물류비 11,650만원 [해설작성자 : k]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화물자동차운송과 철도운송 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채트반공식을 이용한 자동차의 한계 경제효용거리(km)는?(2021년 07월)
1.
122
2.
123
3.
124
4.
125
5.
126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채트반 공식 : D / T - R = D:톤당 철도 부대 비용 50,000/(T:화물 자동차의 Ton/Km 당 운송비 900 - R:철도의 Ton/Km 당 운송비 500) = 50,000/900-500 = 50,000/400 = 125 [해설작성자 : 김문악]
43.
화물자동차 적재관리시스템(Vanning Management System)과 관련된 내용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적재계획은 운송화물의 중량과 부피 중 하나를 고려한다.
2.
다양한 차량을 이용할 수 있을 때에는 가장 적절한 규모의 차량을 이용한다.
3.
축중 제한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체적인 적재화물의 중량을 통제한다.
4.
주문관리시스템(Order Management System)과 연동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5.
편하중에 의한 축중 제한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재위치를 고려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44.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에서 발생하는 아래의 비용들 중 고정비 성격의 경비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부대시설 유지관리비
2.
보험료
3.
감가상각비
4.
제세공과금
5.
연료비
정답 : [
5
] 정답률 : 40%
45.
파렛트 풀 시스템(PPS: Pallet Pool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PPS는 우리나라 표준 파렛트인 T-11형만 공동 사용되고 있다.
2.
PPS 이용으로 인하여 기업이 부담하는 비용이 더 발생할 경우 정부에서 그 차액을 지원해 준다.
3.
PPS는 공(空)파렛트 회수를 위해 전국 각지에 파렛트집배소를 설치ㆍ운영하고 있다.
4.
PPS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제도화되었으며, 미국에서는 이를 활용하고 있지 않다.
5.
계절적인 변동이 심한 제품의 경우 PPS 도입 효과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46.
다음 중 중량화물이나 장척화물 운송에 적합하도록 천장이나 측면이 개방된 컨테이너를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8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72%
47.
운송수단별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7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해상운송은 대량운송에 적합하지만, 파손·분실·사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고, 안전성은 항공이나 철도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항공운송은 중량에 매우 민감합니다. 중량이 늘어나면 운임이 급격히 증가하고, 적재 한계도 엄격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운송의 기능 및 효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운송은 지역적 분업화에 기여한다.
2.
운송의 장소적 효용은 공간적 격차를 해소시켜 준다.
3.
운송의 시간적 효용은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격차를 조정해 준다.
4.
운송에는 재화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기능이 있다.
5.
운송은 재화의 상품가격 조정 및 안정화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정답 : [
5
] 정답률 : 57%
49.
아래 그림은 어떤 수배송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인가?(2007년 08월)
1.
왕복운송시스템
2.
환결운송시스템
3.
1차량 2운전원 승무시스템
4.
중간환승시스템
5.
릴레이식 운송시스템
정답 : [
2
] 정답률 : 23%
50.
화물자동차의 구조에 의한 분류에서 전용특장차에 해당하는 차량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7월)
1.
ㄱ, ㄴ, ㄷ
2.
ㄱ, ㄴ, ㅁ
3.
ㄱ,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51.
화물자동차의 운행제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축간 중량 5톤 초과
2.
길이 13.7 m 초과
3.
너비 2.0 m 초과
4.
높이 3.5 m 초과
5.
총중량 40 톤 초과
정답 : [
5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차량의 폭이 2.5미터, 차량의 높이 4.0미터, 차량의 길이 16.7미터, 차량의 축하중 10톤, 총중량 40톤을 초과하면 차량의 운행을 제한 [해설작성자 : 결]
52.
폴트레일러 트럭(Pole-trailer truck)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트렉터에 턴테이블을 설치하고 트레일러를 연결한 후, 대형파이프나 H형강, 교각, 대형목재 등 장척물의 수송에 사용한다.
2.
트렉터와 트레일러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고, 트레일러 자체도 바디를 가지고 있으며 중소형이다.
3.
트레일러의 일부 하중을 트렉터가 부담하는 것으로 측면에 미닫이문이 부착되어 있다.
4.
컨테이너 트렉터는 트레일러 2량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5.
대형 중량화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여러 대의 자동차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53.
화물자동차운송시스템 전략으로 사용되는 원칙이 아닌 것은?(2025년 07월)
1.
운송과 재고의 Trade-off 원칙
2.
단일 원거리 운송의 원칙
3.
회전수 감소의 원칙
4.
수배송 일원화의 원칙
5.
상하차 신속의 원칙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54.
컨테이너에 의한 위험물의 운송 시 위험물 수납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컨테이너는 위험물을 수납하기 전에 충분히 청소 및 건조되어야 한다.
2.
위험물을 컨테이너에 수납할 경우에는 해당 위험물의 이동, 전도, 충격, 마찰, 압력손상 등으로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없도록 한다.
3.
위험물의 어느 부분도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수납한 후에 컨테이너의 문을 닫아야 한다.
4.
위험물을 컨테이너 일부에만 수납하는 경우에는 위험물을 컨테이너 문에서 먼 곳에 수납해야 한다.
5.
위험물이 수납된 컨테이너를 여닫는 문의 잠금장치 및 봉인은 비상시에 지체 없이 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문 가까이에 해놔야 불같은거 나도 빨리 끄집어내서 다른 물품에 영향을 적게 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똘딴]
55.
화물자동차의 명칭과 화물적재와의 관계에 관한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전폭: 팔레트 적재 수, 컨테이너의 적재여부에 영향을 준다.
2.
전·후 오버행: 커브 시 안전도에 영향을 준다.
3.
하대높이: 지하도 및 교량 통과 높이에 영향을 준다.
4.
제1축간 거리: 축간거리가 길수록 적재함의 길이가 커지거나 적재함 중량이 뒷바퀴에 많이 전달된다.
5.
오프: 오프 값이 클수록 적재함 중량이 뒷바퀴에 많이 전달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16%
56.
운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7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64%
57.
출발지(O)로부터 목적지(D)까지의 사이에 다음 그림과 같은 운송망이 주어졌을 경우, 그 최단경로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각 구간별 숫자는 거리(km)를 나타냄)(2013년 06월)
1.
O에서 D까지 최단거리는 14km이다.
2.
O에서 c까지 최단거리는 8km이다.
3.
O에서 e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5km이다.
4.
O에서 d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5km이다.
5.
O에서 b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4km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58.
포워딩(Forwarding) 업무 중 LCL화물을 집화하여 FCL화물로 만드는 업무는?(2010년 08월)
1.
Projection
2.
Combination
3.
Consolidation
4.
Packaging
5.
Palletizing
정답 : [
3
] 정답률 : 60%
59.
2001년 공정거래위원회가 승인한 “택배 표준약관”에 근거하여 볼 때, 다음 설명 중 택배사업자의 운송물 수탁에서 인도까지의 관련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고객이 운송장에 운송물의 가액을 기재하지 않으면 사업자는 손해배상한도액이 적용됨을 운송장에 명시할 수 있다.
2.
운임의 청구에 대하여 고객과의 합의에 따라 운송물의 인도 시 수하인에게 수취할 수 있다.
3.
사업자는 운송물의 포장이 운송에 적합하지 아니할 때에 적합한 포장을 하도록 청구하거나, 고객의 승낙을 얻어 고객의 부담으로 필요한 포장을 할 수 있다.
4.
택배사업자는 다른 운송업자와 협정체결 등으로 공동으로 운송하거나 다른 사업자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수탁화물을 운송해서는 아니 된다.
5.
운송물이 재생 불가능한 계약서, 설계도면과 같은 경우 수탁을 거절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60.
컨테이너 운송에서 TOFC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8월)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ㄴ, ㄹ
정답 : [
2
] 정답률 : 50%
61.
정기선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특정항로의 운임률표가 불특정 다수의 화주에게 공표되어 있다.
2.
Bunker Adjustment Factor는 유류할증료이다.
3.
Congestion Surcharge는 도착항의 항만사정이 혼잡하여 선박이 대기할 경우에 내는 할증료이다.
4.
Freight All Kinds Rate는 화물의 종류, 중량, 용적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과되는 운임이다.
5.
정기선 운임은 기본운임(basic rate)과 할증료(surcharge) 및 기타 추가요금(additional charge) 등으로 구성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62.
다음 네트워크에서 각 운송로의 숫자는 각 운송로에 대한 최대 운송 용량(톤)을 나타낸다. 출발지 S에서 목적지 F로 최대로 운송할 수 있는 운송량은?(2011년 08월)
1.
4톤
2.
5톤
3.
6톤
4.
7톤
5.
8톤
정답 : [
2
] 정답률 : 19%
63.
헤이그 규칙과 함부르크 규칙을 비교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인 면책이었던 항해 과실을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운송인 책임으로 규정하고 있다.
2.
헤이그 규칙에서는 지연손해에 대한 명문 규정이 없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이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3.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책임 구간이 ‘from Receipt to Delivery’였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from Tackle to Tackle’로 축소하였다.
4.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인의 책임 한도가 1포장당 또는 단위당 100파운드였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SDR을 사용하여 책임한도액을 인상하였다.
5.
헤이그 규칙에서는 선박화재가 면책이었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면책으로 규정하지 않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헤이그 규칙 & 헤이그-비스비 규칙 - 선적~양하 (from Tackle to Tackle) 함부르크 규칙 - 수취~운송 (from Receipt to Delivery) **(3)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책임 구간이 from Tackle to Tackle 였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from Receipt to Delivery 로 확대하였다. [해설작성자 : 쭈오]
64.
공동 수ㆍ배송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8년 08월)
1.
화주의 운임 부담이 줄어든다.
2.
소량 화물의 집배송이 용이하다.
3.
물류 인원을 절감할 수 있다.
4.
기업의 기밀 보안이 용이하다.
5.
물류 공간 활용률이 높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기업들이 한 군데 모여 공동으로 수배송하는 거라서 기밀 유지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취준생]
고객이 제7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청구나 승낙을 거절하여 운송에 적합한 포장이 되지 않은 경우
2.
고객이 제9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확인을 거절하거나 운송물의 종류와 수량이 운송장에 기재된 것과 다른 경우
3.
운송물 1포장의 가액이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4.
운송물의 인도예정일(시)에 운송이 가능한 경우
5.
운송물이 현금, 카드, 어음, 수표, 유가증권 등 현금화가 가능한 물건인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72%
66.
항공운송의 전세운송(chart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전세운송은 IATA 운임(tariff)에 상관없이 화물, 기종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된다.
2.
전세운송은 항공사에 대해서도 항공기 가동률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한다.
3.
전세운송을 위해서는 필요한 조치가 많다는 점과 상대국의 규정을 감안하여 시간적 여유를 두고 항공사와 협의해야 한다.
4.
항공사는 전세운송을 할 때 중간 기착지에 대해서도 해당 국가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5.
전세자가 사용하고 남은 공간은 전세자의 동의에 상관없이 누구도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5
] 정답률 : 42%
67.
수출되는 FCL 화물의 해상운송 업무와 관련하여 필요한 서류들을 업무흐름의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7년 07월)
1.
ㄴ - ㄷ - ㅁ - ㄹ - ㄱ
2.
ㄴ - ㄷ - ㄹ - ㄱ - ㅁ
3.
ㄷ - ㅁ - ㄴ - ㄱ - ㄹ
4.
ㄷ - ㄴ - ㄹ - ㄱ - ㅁ
5.
ㄷ - ㄴ - ㅁ - ㄹ - ㄱ
정답 : [
5
] 정답률 : 64%
68.
다음 수송표에서 최소비용법을 적용한 총 운송비용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공급지에서 수요지까지의 톤당 운송비는 각 칸의 우측 상단에 제시되어 있음)(2024년 08월)
1.
S1-D1 셀(Cell)에 운송량이 100톤 할당된다.
2.
S2-D2 셀(Cell)에 운송량이 100톤 할당된다.
3.
S3-D3 셀(Cell)에 운송량이 200톤 할당된다.
4.
총 운송비용은 10,500,000원보다 크다.
5.
총 운송비용은 10,000,000원보다 작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69.
다음 행렬의 셀 내의 숫자는 해당 두 지점 간의 최대 운송용량(톤)을 나타낸다(예: A-C간은 운송로가 존재하고 최대 2톤의 운송이 가능하며, 숫자가 없는 셀은 운송로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함).이 경우 출발지 S에서 목적지 F로 운송할 수 있는 최대운송량은?(2013년 06월)
1.
5
2.
6
3.
7
4.
8
5.
9
정답 : [
3
] 정답률 : 26%
70.
다음 표에서 최소비용법(Least cost Method 혹은 Minimum cell cost Method)에 의한 최초 가능해의 총 운송비용은 얼마인가? (톤당 비용은 수요지와 공급지간 단위수송비용임)(2007년 08월)
1.
11,000원
2.
10,000원
3.
12,100원
4.
15,000원
5.
14,200원
정답 : [
2
] 정답률 : 32%
71.
수송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회귀모형: 화물의 수송량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장래 화물량을 예측하는 모형이다.
2.
중력모형: 지역 간의 운송량이 경제규모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가정에 의한 화물분포모형으로 단일제약모형, 이중제약모형 등이 있다.
3.
통행교차모형: 교통량을 교통수단과 교통망에 따라 시간, 비용 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화물분포모형으로 로짓모형, 카테고리 분석모형 등이 있다.
4.
성장인자모형: 물동량 배분패턴이 장래에도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지역간의 물동량을 예측하는 화물분포모형이다.
5.
엔트로피 극대화모형: 제약조건 하에서 지역 간 물동량의 공간적 분산 정도가 극대화된다는 가정에 기초한 화물분포모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통행교차모형 : 화물발생모형 [해설작성자 : 걍쳐볼래]
통행교차모형 : 조사된 물동량 O/D에 의해 운송량르 시간, 비용 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모형 전환곡선법, 로짓모형, 프로빗모형 등 [해설작성자 : DX물류 화이팅!!]
72.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노드 S로부터 다른 모든 노드에 원유를 공급하는 송유관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모든 노드들에 원유를 공급할 수 있는 가장 짧은 길이의 송유관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할 때, 송유관의 총길이는 얼마인가? (단, 네트워크상의 숫자는 두 노드상의 거리로 km단위를 의미한다.)(2011년 08월)
1.
17km
2.
19km
3.
21km
4.
23km
5.
25km
정답 : [
2
] 정답률 : 24%
7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혼재서비스(Consolidation Service) 형태는?(2019년 07월)
선박이 접안하는 부두 안벽에 접한 야드의 일부분으로 바다와 가장 가까이 접해 있으며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이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와 양륙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는?(2021년 07월)
1.
Berth
2.
Marshalling Yard
3.
Apron
4.
CY(Container Yard)
5.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berth(안벽) : 컨테이너선이 안전하게 접안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축된 접안시설로 선석이라고도 한다. Apron(에이프런) : 안벽에 접한 야드 부분에 일정한 폭으로 나란히 뻗어있는 공간으로서 컨테이너의 적재와 양륙작업을 위하여 임시로 하치하거나 갠트리크레인이 통과주행을 할 수 있도록 레일을 설치한 장소이다. Mashalling Yard(마샬링야드) : 에이프런과 인접하여 컨테이너선에서 하역하였거나 본선의 입항 전에 미리 입안된 선내 적치계획에 따라 선적 예정인 컨테이너를 순서대로 쌓아 두기 위한 장소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에 있어 중심이 되는 중요한 장소이다. Container Yare(컨테이너야드) : 적재된 컨테이너를 인수, 인도, 보관하고 공컨테이너도 같이 보관할 수 있는 야적장이다. CFS(컨테이너 화물조작장) : 컨테이너 한 개를 채울 수 없는 소량화물(LCL)의 처리를 위한 시설이다. [해설작성자 : 쭈오]
75.
택배 간선운송 중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노선의 수가 적어 운송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2.
집배센터에 배달물량이 집중되므로 충분한 상ㆍ하차 여건을 갖추지 않으면 배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3.
모든 노선이 허브를 중심으로 구축된다.
4.
셔틀노선의 증편이 용이하여 영업소의 확대에 유리하다.
5.
대형의 분류능력을 갖는 허브터미널이 필요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76.
보세구역의 형태와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세관검사장은 통관하려는 물품을 검사하기 위한 장소로서 세관장이 지정하는 지역으로 한다.
2.
보세창고에는 외국물품이나 통관을 하려는 물품을 장치한다.
3.
보세전시장에서는 박람회, 전람회, 견본품 전시회 등의 운영을 위하여 외국물품을 장치ㆍ전시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4.
세관장은 보세판매장에서 판매할 수 있는 물품의 종류, 수량, 장치 장소 등을 제한할 수 있다.
5.
세관장은 직권으로 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 그 밖에 종합보세구역을 운영하려는 자의 요청에 따라 무역진흥에의 기여 정도, 외국물품의 반입ㆍ반출 물량 등을 고려하여 일정한 지역을 종합보세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2개의 공급지에서 2개의 수요지로 화물을 수송하려고 한다. 공급량은 공급지 1의 경우 400개, 공급지 2의 경우 600개이며, 요구량은 수요지 1의 경우 750개, 수요지 2의 경우 250개이다. 수송 방법은 공급지에서 수요지로 직송을 하는 방법과 중간 물류센터를 경유하여 배송하는 방법이 있다. 각 지점간의 단위 수송비(원/개)는 다음과 같다. 최적의 수송계획을 수립하였을 때 최소 총 수송비는 얼마인가?(2008년 08월)
1.
6,000원
2.
6,500원
3.
7,000원
4.
7,500원
5.
8,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34%
79.
배송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7월)
1.
ㄱ, ㄷ
2.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ㄷ은 적합배송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ㄷ: 고정다이어그램 배송은 배송할 물량을 기준으로 적합한 크기의 차량을 배차하는 방법으로 '배송지와 배송시간'이 고정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세방맨]
80.
신도시 A지역에 지역도로를 신설하려고 한다. 6곳의 거점 중 어디에서나 나머지 5곳을 직접 또는 다른 곳을 경유하여 갈 수 있어야 한다. 건설비용이 다음과 같을 때 도로를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최소 총비용은? (단위: 억원)(2014년 06월)
1.
150
2.
160
3.
170
4.
180
5.
190
정답 : [
3
] 정답률 : 27%
81.
미국의 2001년 9.11사건 이후 전 세계는 물류보안 및 안전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2010년 08월)
1.
ISO 14000
2.
C-TPAT
3.
SAFE Framework
4.
ISPS Code
5.
AEO
정답 : [
1
] 정답률 : 24%
82.
Incoterms의 CIF조건에서 보험증권(Insurance Policy) 발급 시에 보험계약자는 누가 되는가?(2007년 08월)
1.
수입상
2.
수출상
3.
수출상 거래은행
4.
신용장 개설은행
5.
매입은행
정답 : [
2
] 정답률 : 30%
8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국제물류시스템은?(2024년 08월)
1.
ERP
2.
POS
3.
VMI
4.
QR
5.
Hub & Spoke
정답 : [
5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Hub & Spoke" 시스템은 대규모 거점(허브)을 중심으로 물류를 집중시키고, 소규모 거점(스포크)을 통해 연결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이 시스템은 운송 빈도를 줄이고 운송 단위를 늘려 물류비를 절감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설명에서 언급된 대규모 거점과 소규모 거점을 연결하는 방식이 바로 "Hub & Spoke" 시스템의 특징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컨테이너 터미널과 그 곳에서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Apron은 선박이 접안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축된 구조물이다.
2.
Off-dock CY는 컨테이너의 인수, 인도, 보관을 위해 터미널 내에 있는 장소이다.
3.
Berth는 하역작업을 위한 공간으로 갠트리크레인이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양적하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4.
Transtainer는 컨테이너를 야드에 장치하거나 장치된 컨테이너를 샤시에 실어주는 작업을 하는 컨테이너 이동장비이다.
5.
Reach Stacker는 Apron에서 컨테이너의 양적하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85.
CIF Pusan 금액을 구하시오.(US$ 기준)(2007년 08월)
1.
350,250
2.
350,850
3.
351,450
4.
351,800
5.
352,150
정답 : [
3
] 정답률 : 16%
86.
항만의 계류시설 중 선박을 계선밧줄로 고정하기 위하여 안벽에 설치된 석재 또는 강철재의 짧은 기둥은?(2012년 08월)
1.
비트(Bitt)
2.
펜더(Fender)
3.
캡스탄(Capstan)
4.
돌핀(Dolphin)
5.
안벽(Berth)
정답 : [
1
] 정답률 : 63%
87.
1998년 미국 외항해운개혁법(OSRA)의 주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FMC에 선사의 태리프(Tariff) 신고의무를 폐지하였다.
2.
우대운송계약(Service Contract)을 허용하되 서비스계약 운임률, 서비스 내용, 내륙운송구간, 손해배상 등 주요 내용을 대외비로 인정해주고 있다.
3.
비슷한 조건의 화주가 선사에게 동등한 조건을 요구할 수 있는 'me – too'조항을 삭제하여 선사의 화주에 대한 차별대우를 인정해 주었다.
4.
NVOCC의 자격요건을 강화하여 해상화물운송주선인과 동일하게 FMC로부터 면허취득을 의무화하였다.
5.
컨소시엄, 전략적 제휴 등 공동행위 및 경쟁제한 행위를 금지시켰다.
정답 : [
5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OSRA는 정기선 시장에서의 시장자유화 추구 5. 공동행위 및 경쟁제한 행위를 금지시키지 않았으며, OSRA를 통해 선사간 통합, 전략적 제휴가 가속화 되었다. [해설작성자 : Yadon_]
88.
선주가 편의치적(Flags of Convenience)을 선호하는 이유로써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선박의 등록세, 톤세 등 세제에 대한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2.
선박의 운항수입에 대한 부가세, 법인세 등이 낮기 때문이다.
3.
선박의 운항 및 안전기준 등의 규제가 자국에 비해서 적기 때문이다.
4.
선진 해운국의 선주들이 고임금의 자국선원을 승선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5.
자국 정부로부터 재정 및 금융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75%
89.
해상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개품운송계약은 선하증권에 의해 증빙되는 부합계약의 성질을 지닌다.
2.
용선계약의 내용은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약한 용선자를 보호하기 위해 Hague-Visby Rules 같은 강행법규에 의해 규율된다.
3.
정기선운송의 경우 부정기선운송에 비해 해운시황에 따른 배선축소나 운항항로에서의 철수 등이 신축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4.
부정기선운송의 운임은 해운시장에서 물동량과 선복량에 따라 변동하므로 정기선 운임에 비해 불안정하다.
5.
정기용선계약에서 용선선박은 선박이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일체의 속구를 갖추고 선원을 승선시킨 상태로 용선자에게 인도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헤이그 규칙, 함부루크 규칙, 로데르탐 규칙과 같은 국제협약은 강행법규가 아닙니다. 즉, 당사자간의 합의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지 강행법규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인코텀즈에서도 인코텀즈보다 각 국의 강행법규가 우선함을 밝히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인생망따리]
9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화물운송과 관련된 국제협약은?(2025년 07월)
1.
CCC(Customs Convention on Container, 1956)
2.
TIR(Transport International Routiere, 1959)
3.
CSC(International Convention for Safe Containers, 1972)
4.
CMR(Convention Relative au Contract de Transport International de Marchandises par Route, 1956)
5.
ITI(Customs 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Transit of Goods, 1971)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91.
20피트 규격의 컨테이너(TEU) 1개에는 평균 25 CBM 부피의 화물이 적재된다. 이 기준을 적용할 때 화물박스 하나가 40 cm×50 cm×60 cm인 경우 이론상 최대 몇 개의 박스가 적재될 수 있는가?(2014년 06월)
1.
약 100 박스
2.
약 104 박스
3.
약 120 박스
4.
약 208 박스
5.
약 416 박스
정답 : [
4
] 정답률 : 29%
92.
항해용선계약과 관련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1년 08월)
1.
ㄱ, ㄷ, ㅅ
2.
ㄴ, ㄹ, ㅅ
3.
ㄱ, ㅁ, ㅂ
4.
ㄷ, ㅁ, ㅂ
5.
ㄱ, ㄴ, ㅅ
정답 : [
4
] 정답률 : 32%
93.
Montreal Convention(1999)의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ㄱ: persons, baggage or cargo ㄴ: equally to gratuitous carriage
2.
ㄱ: persons or cargo ㄴ: equally to gratuitous carriage
3.
ㄱ: cargo ㄴ: to the carriage except for gratuitous carriage
4.
ㄱ: persons or cargo ㄴ: to the carriage except for gratuitous carriage
5.
ㄱ: persons, baggage or cargo ㄴ: to the carriage except for gratuitous carriage
정답 : [
1
] 정답률 : 26%
94.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 협약(비엔나협약, 1980)에 규정되어 있는 매수인의 구제권리가 아닌 것은?(2015년 07월)
1.
물품명세확정권
2.
대체품인도청구권
3.
하자보완청구권
4.
대금감액권
5.
조기이행거절권
정답 : [
1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물품명세확정권 >>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비엔나협약,1980)에 존재하지 않는 권리임. >> 구제권리가 아님. 구제권리란 계약이행이 불완전하거나 위반되었을 때, 손해를 줄이거나 회복하기 위해 매수인에게 부여되는 권리임. 따라서, 계약의 유연성을 위해 매수인에게 부여된 '권리'이지, 계약 위반이나 손해에 대한 '구제를 위한 권리'가 아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항해용선계약의 하역비 부담조건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7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Free = 선주 기준 [해설작성자 : Yadon_]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Liner = 선주 부담 Free = 화주 부담
96.
정기선과 부정기선 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해운거래소(Shipping Exchange)에는 주로 정기선 운송시장 정보가 집중되어 있다.
2.
부정기선은 주로 단위화되지 않은 상태의 화물을 취급한다.
3.
일반적으로 정기선은 정해진 특정항로를 따라 정기 운항하는 반면, 부정기선은 운송수급에 따라 항로가 결정된다.
4.
부정기선 운임은 일반적으로 운송계약을 할 때마다 당사자간 협의를 통하여 결정된다.
5.
BDI는 건화물 부정기선에 관한 운임지수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해운거래소는 '부정기선 운송시장 정보'가 집중되는 곳임. 정기선의 경우, 항로, 운항 스케쥴, 운임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항공화물 부대운임은?(2024년 08월)
1.
Disbursement fee
2.
Dangerous goods handling fee
3.
Charges collect fee
4.
Handling charge
5.
Pick up service charge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Disbursement fee란 운송 대리점이 현지에서 각종 비용을 대납해주고, 그 대가로 받는 수수료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입체지불수수료 Disbursement fee: 송하인의 요구에 따라 항공사, 송하인 또는 대리인이 선불한 비용을 수하인으로부터 징수하는 금액 [해설작성자 : 엔시티위시 사쿠야]
9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국제물류시스템 유형은?(2023년 07월)
1.
Classical system
2.
Transit system
3.
Direct system
4.
Just In Time system
5.
Multi-country warehouse system
정답 : [
5
] 정답률 : 75%
99.
선적 및 양륙 업무에 따른 부속서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Tally Sheet에는 하역화물의 개수, 화인, 포장상태, 화물사고 등을 기재한다.
2.
Stowage Plan은 체계적인 하역작업 및 본선안전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선적용 적부도, 양륙용적부도가 있다.
3.
Delivery Order는 양륙지에서 선사가 수하인으로부터 B/L을 받고 화물인도를 지시하는 서류이다.
4.
Booking Note는 화물 양륙 시 하역업자가 양륙화물을 적하목록과 대조하여 본선에 교부하는 서류이다.
5.
Measurement/Weight Certificate는 각 포장당 용적 및 총중량의 명세서이며, 해상운임 산정의 기초가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선박회사가 화물의 명세 및 선적 수배 등에 관해서 기록해 둔 서류를 부킹 노트라고 말한다.
100.
최근 국제항공화물운송의 환경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송화인의 항공화물운송 의뢰는 대부분 항공화물운송주선인(Air Freight Forwarder)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2.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항공화물운송료가 급등하고 있어 전체 물동량은 줄어들고 있다.
3.
아마존과 같은 국제전자상거래업체의 성장으로 GDC(Global Distribution Center) 관련 항공화물이 증가하고 있다.
4.
국제항공화물운송에서 신선화물이 증가하고 있다.
5.
우리나라 인천국제공항의 국제항공 환적화물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101.
국제해상 컨테이너화물의 운송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컨테이너화물은 컨테이너 1개의 만재 여부에 따라 FCL(Full Container Load)과 LCL(Less than Container Load)화물로 대별할 수 있다.
2.
CY→CY (FCL→FCL)운송: 수출지 CY에서 수입지 CY까지 FCL형태로 운송되며, 컨테이너운송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식이다.
3.
CFS→CFS (LCL→LCL)운송: 수출지 CFS에서 수입지 CFS까지 운송되며, 운송인이 다수의 송화인으로부터 LCL화물을 모아 혼재하여 운송하는 방식이다.
4.
CFS→CY (LCL→ FCL)운송: 운송인이 다수의 송화인으로부터 화물을 모아 수출지 CFS에서 혼재하여 FCL로 만들고, 수입지 CY에서 분류하지 않고 그대로 수화인에게 인도하는 형태이다.
5.
CY →CFS (FCL → LCL)운송: 수출지 CY로부터 수입지 CFS까지 운송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송화인과 다수의 수화인 구조를 갖고 있다.
FCL(Full Container Load) : 컨테이너 하나를 가득 채우는 화물(1인 송화인) LCL(Less than Container Load) : 여러 화주가 컨테이너 하나를 공유하는 형태(다수 송화인) CY(Container Yard)의 약자로, 수출입 화물의 컨테이너를 보관하는 장소. 주로 FCL화물을 핸들링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의 약자로, 컨테이너 화물 집하장을 의미. 주로 LCL화물을 핸들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2.
해상화물운송장(Sea Waybill : SWB)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해상운송에서 화물 인도의 신속화, 서류분실에 따른 위험의 회피 및 사무의 합리화를 목적으로 선하증권의 대체로서 사용되는 운송서류이다.
2.
계약상품의 인도 또는 적재를 입증하는 비유가증권 서류이다.
3.
송화인에게 발행하는 서류이지만, 선하증권과 달리 운송품 인도청구권을 상징하지 않기 때문에 양도성이 없다.
4.
해상화물운송장에 관한 국제규칙은 "CMI Uniform Rules for Sea Waybill 1990"이다.
5.
권리증권이므로 항해 중에 증권을 이전함으로써, 물품의 전매나 담보가 가능하다.
정답 : [
5
] 정답률 : 56%
103.
컨테이너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크기에 따라 ISO 규격 20 feet, 40 feet, 40 feet High Cubic 등이 사용되고 있다.
2.
재질에 따라 철재컨테이너, 알루미늄컨테이너, 강화플라스틱컨테이너 등으로 분류된다.
3.
용도에 따라 표준컨테이너, 온도조절컨테이너, 특수컨테이너 등으로 분류된다.
4.
알루미늄컨테이너는 무겁고 녹이 스는 단점이 있으나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많이 이용된다.
5.
냉동컨테이너는 과일, 야채, 생선, 육류 등의 보냉이 필요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알루미늄컨테이너는 실제로 가볍고 녹이 잘 슬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제조원가는 철재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4.
해상보험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위부(Abandonment)는 피보험 목적물을 전손으로 추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잔존물의 소유권과 제3자에 대한 배상청구권을 보험자에게 양도하는 것이다.
2.
대위(Subrogation)는 피보험자가 보험자로부터 손해보상을 받으면 피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이나 제3자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를 보험자에게 당연히 이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3.
보험료(Premium)는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 보험계약자가 위험을 전가하기 위해 지불하는 금액을 말한다.
4.
특별비용(Particular Charge)은 피보험 목적물의 안전, 보존을 위하여 피보험자 또는 대리인에 의하여 지출된 비용으로 공동해손비용과 구조비 이외의 비용이다.
5.
공동보험(Coinsurance)은 피보험이익 및 위험에 관해 복수의 보험계약이 존재하며 그 보험금액의 합계액이 보험가액을 초과하는 경우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32%
105.
해륙복합운송 경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SLB(Siberia Land Bridge)는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의 화물을 해상운송한 후 시베리아 대륙횡단철도를 이용하여 유럽이나 중동까지 운송하는 방식이다.
2.
CLB(China Land Bridge)는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의 화물을 해상운송한 후 중국대륙철도와 실크로드를 이용하여 유럽까지 운송하는 방식이다.
3.
IPI(Interior Point Intermodal)는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의 화물을 해상운송한 후 캐나다 대륙횡단철도를 이용하여 캐나다의 동해안 항만까지 운송하는 방식이다.
4.
ALB(America Land Bridge)는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의 화물을 해상운송한 후 미국대륙을 철도로 횡단하고 유럽지역까지 다시 해상운송하는 방식이다.
5.
MLB(Mini Land Bridge)는 한국, 일본 등 극동지역의 화물을 해상운송한 후 철도와 트럭을 이용하여 미국 동해안이나 미국 멕시코만 지역의 항만까지 운송하는 방식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IPI는 한국에서 출발하여 미국서안항구로 해상운송 후 미국 동안의 항구로 철도를 이용하여 운송 [해설작성자 : 민대]
CSI는 위험성이 높은 미국행 컨테이너 화물을 선별하여 선적 전에 검사하는 컨테이너 보안 협정이다.
2.
AEO는 WTO에서 무역안전과 원활화에 관한 국제규범의 일환으로 고안한 제도이다.
3.
ISO 28000은 물류보안 인증제도이며 보안심사의 내용은 보안경영방침, 보안위험평가 및 기획ㆍ실행ㆍ운영, 점검 및 시정조치, 경영검토 등이다.
4.
24-Hour Rule은 미국으로 수출하는 적하목록을 적재 24시간 전에 미국 관세청에 신고하도록 한 규정이다.
5.
C-TPAT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인증을 받은 업체에게는 세관검사 축소 등 통관상의 혜택이 주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09.
해상손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Salvage Charge는 해난에 봉착한 재산에 발생할 가능성 있는 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화물을 구조한 자에게 해상법에 의하여 지불하는 보수이다.
2.
Subrogation은 피보험자가 전손보험금을 청구하기 위해서 피보험목적물의 잔존가치와 제3자에 대한 구상권 등 일체의 권리를 보험자에게 넘기는 행위이다.
3.
Sue and Labor Charge는 보험목적의 손해를 방지 또는 경감하기 위하여 피보험자 또는 그의 사용인 및 대리인이 지출한 비용을 말한다.
4.
Constructive Total Loss는 보험의 목적인 화물의 전멸이 추정되는 경우의 손해를 말한다.
5.
Abandonment는 Constructive Total Loss의 경우에 적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20%
110.
최근 강화되고 있는 물류 보안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물류 보안 인증제도 시행
2.
컨테이너 화물의 사전검색 강화
3.
컨테이너 전자봉인장치 도입
4.
선박 및 항만 시설에 대한 보안 강화
5.
화물 정보의 사후신고제도 시행
정답 : [
5
] 정답률 : 71%
111.
비엔나협약(CISG, 1980)의 적용 제외 대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경매에 의한 매매
2.
강제집행 또는 기타 법률상의 권한에 의한 매매
3.
주식, 지분, 투자증권, 유통증권 또는 통화의 매매
4.
선박, 항공기의 매매
5.
원유, 석탄, 가스, 우라늄 등의 매매
정답 : [
5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비엔나협약(CISG, 1980)의 적용 제외 대상은 특수한 거래 방식(경매나 강제집행 등 특수한 방식), 금융 상품(물리적 물품이 아닌 주식, 통화 등), 특수한 물품(선박, 항공기 등 고가의 특수 자산) 관련 된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참고)비엔나협약(CISG)은 국제물품매매계약의 “법적 틀”, Incoterms는 “운송·인도조건”에 관한 표준 약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2.
INCOTERMS 2000의 CIF 조건과 DES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CIF 조건에서 물품에 대한 위험의 이전 시점은 선적항의 본선 난간을 통과한 때이다.
2.
DES 조건은 해상운송 또는 내수로 운송에 사용되는 조건이다.
3.
CIF 조건에서 해상적하에 대한 피보험 이익은 매수인에게 귀속된다.
4.
DES 조건에서 물품에 대한 위험의 이전 시점은 목적항의 선박갑판 상에서 매수인의 임의 처분상태로 둔 때이다.
5.
CIF 조건에서 비용의 분기점은 위험의 이전 분기점과 같다.
정답 : [
5
] 정답률 : 15%
113.
Warsaw Convention(1929)에 근거한 항공운송서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운송인용 원본에는 운송인의 서명이 있어야 한다.
2.
항공운송서류가 분실되거나 잘못 작성된 경우 항공운송계약이 취소된다.
3.
송하인의 요구가 있을 경우 운송인은 송하인을 대신하여 항공운송서류를 작성할 수 있다.
4.
화물에 관한 내용이 운송서류에 잘못 기입된 경우, 이는 운송인의 책임이다.
5.
수하인용 원본에는 수하인의 서명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114.
IncotermsⓇ 2020 규칙 상 해상운송이나 내수로운송의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거래조건으로 옳은 것은?(2024년 08월)
1.
FAS, FOB, CFR, CIF
2.
FOB, CIF, CPT, DPU
3.
FAS, FOB, CPT, CIP
4.
CFR, CIF, CPT, CIP
5.
FOB, DAP, DPU, DDP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FAS (Free Alongside Ship): 선측 인도 FOB (Free On Board): 본선 인도 CFR (Cost and Freight): 운임 포함 인도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 및 보험료 포함 인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5.
청약(offer)에 대한 승낙(acceptance)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승낙의 내용은 청약의 내용과 일치하여야 한다.
2.
승낙은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이어야 한다.
3.
승낙은 유효기간 내에 행해져야 한다.
4.
승낙은 특정의 청약에 대하여 행해져야 한다.
5.
승낙은 문서로만 행해져야 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116.
보세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외국물품의 보세운송 목적지는 개항, 보세구역, 보세구역 외 장치장, 세관관서 등으로 지정되어 있다.
2.
보세운송을 하려는 자는 관세청장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세관장에게 보세운송의 신고를 하여야 한다.
3.
보세운송을 신고 또는 승인 신청할 수 있는 자는 화주, 보세운송업자, 관세사 등이다.
4.
보세운송 중에는 세관의 감시ㆍ단속을 일시 벗어나게 되므로 운송통로와 운송기간을 제한하지 않고 있다.
5.
수출신고가 수리된 물품은 관세청장이 따로 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보세운송절차를 생략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17.
IncotermsⓇ 2010의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는?(2018년 07월)
1.
CFR
2.
FCA
3.
CIP
4.
FOB
5.
CIF
정답 : [
3
] 정답률 : 18%
118.
구상무역에 사용할 수 있는 신용장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7월)
1.
ㄱ, ㄴ, ㅁ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ㄴ, ㄷ, ㅁ
5.
ㄷ, ㄹ, ㅁ
정답 : [
4
] 정답률 : 36%
119.
다음 국제물류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8월)
1.
CAF : 유류할증료
2.
CQD : 관습적 조속하역조건
3.
TCR : 시베리아 횡단철도
4.
TEU : 40피트 컨테이너 단위
5.
ETD : 선박입항 예정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CAF는 유류할증료가 아닌 통화할증료이고 유류할증료는 BAF입니다. TCR은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아닌 중국 횡단철도이고 시베리아 횡단철도는 TSR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120.
항해용선계약에서 화물량보다 실제 선적량이 적은 경우 용선자(charterer)인 화주가 그 부족분에 대해서도 지불하는 운임은?(2010년 08월)
1.
선불운임(advanced freight)
2.
부적운임(dead freight)
3.
선복운임(lump sum freight)
4.
반송운임(back freight)
5.
후불운임(destination freight)
정답 : [
2
] 정답률 : 37%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④
②
③
②
①
④
④
②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④
②
④
②
⑤
⑤
⑤
⑤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③
③
⑤
⑤
③
①
①
④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②
③
②
⑤
④
②
②
②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④
①
⑤
③
③
②
⑤
②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⑤
①
③
④
②
⑤
③
③
④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②
③
④
④
⑤
⑤
①
③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②
①
③
④
⑤
④
④
④
③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②
⑤
④
③
①
⑤
⑤
②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④
④
①
①
①
①
①
⑤
④
②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⑤
⑤
④
⑤
③
④
④
②
②
⑤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⑤
⑤
③
①
⑤
④
③
④
②
②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60448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