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893040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상관측법


1. 다음 중 기본 운형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권운(Cirrus)
     2. 층운(Stratus)
     3. 적운(Cumulus)
     4. 유방운(Mamma)

     정답 : []
     정답률 : 98%

2. 야간 수평시정 관측용으로 일정거리에 시정목표로써 광원이 있다. 야간시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2004년 08월)
     1. 광원의 밝기
     2. 관측자의 육안의 감각도
     3. 대기의 투명도
     4. 대기의 습도

     정답 : []
     정답률 : 59%

3. 고층 관측시 사용되는 라디오존데 부착용 기구(balloon)의 주입가스로 주로 사용되는 가스 종류는?(2010년 03월)
     1. 헬륨
     2. 질소
     3. 오존
     4. 이산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88%

4. 다음 기상관측요소 중 관측자의 목측(目測)으로만 관측을 하는 것은?(2005년 03월)
     1. 운형
     2. 기압
     3. 풍향
     4. 풍속

     정답 : []
     정답률 : 93%

5. 10cm 파장의 Doppler 기상레이더의 시선속도가 100m/s 일 때 Doppler frequency shift는?(2009년 07월)
     1. 1000s-1
     2. 2000s-1
     3. 3000s-1
     4. 4000s-1

     정답 : []
     정답률 : 50%

6. 기상레이더 관측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펄스길이(PL) : 분해능
     2. 펄스폭(PQ) : 최대관측거리
     3. 신호대잡음비(SNR) : 수신감도
     4. 펄스반복주파수(PRF) : 유효관측거리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PQ > PW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기상레이더에서 일정방위각 방향으로 에코강도의 연직 표출이 가능한 표출방법은?(2008년 07월)
     1. PPI
     2. RHI
     3. CAPPI
     4. VAD

     정답 : []
     정답률 : 47%

8. 다음 중 상층풍 관측에 사용되는 관측기기는?(2003년 08월)
     1. Radiosonde
     2. Three - cup Anemometer
     3. Wind vane
     4. Pressure - tube Anemometer

     정답 : []
     정답률 : 88%

9. 10가지 기본운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3월)
     1. 권층운
     2. 층적운
     3. 적난운
     4. 파상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중 백엽상의 제작조건에 합당하지 않는 것은?(2004년 08월)
     1. 상내 온도분포가 일정하여야 한다.
     2. 상내외 통풍에는 관계가 없다.
     3. 상내외 온도가 동일하여야 한다.
     4. 복사(방사)열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1. 증발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대형의 것은 구경이 120㎝나 되는 철제용기로 국제적인 표준으로 되어 있다.
     2. 소형의 것은 직경 20㎝의 동제용기이며 기상대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3. 소형의 것보다 대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4. 증발계는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12. 수은기압계의 시도에서 관측소기압(현지기압)을 산출 할 때 필요한 보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7월)
     1. 기차보정
     2. 중력보정
     3. 온도보정
     4. 해면경정

     정답 : []
     정답률 : 92%

13. 파장별 일사량 관측에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RG1, RG2, RG8 등의 필터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중 RG2의 파장 범위는?(2004년 03월)
     1. 0.28 ~ 2.8㎛
     2. 0.525 ~ 2.8㎛
     3. 0.63 ~ 2.8㎛
     4. 0.7 ~ 2.8㎛

     정답 : []
     정답률 : 29%

14. 다음 바람 중 큰 규모 기압분포에 의하여 부는 것은?(2006년 03월)
     1. 해륙풍
     2. 산곡풍
     3. 지균풍
     4. 활강풍

     정답 : []
     정답률 : 94%

15. 풍속을 측정하는 계기가 아닌 것은?(2006년 08월)
     1. Aerovane
     2. Ceilometer
     3. 전기반
     4. 전접계수기

     정답 : []
     정답률 : 50%

16. 다음 중 시정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2. *
     3.
     4.

     정답 : []
     정답률 : 92%

17. 주간시정 목표물의 선택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은 조건은?(2016년 03월)
     1. 가능한 거리가 다른 많은 목표물을 선택한다.
     2. 시각(視角)이 0.5° 이상인 크기의 목표를 선택한다.
     3. 지면을 배경으로 서 있는 밝은 물체를 선택한다.
     4. 하늘을 배경으로 서 있는 검은 물체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8. 해양기상관측부이에서 관측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기온
     2. 습도
     3. 강수량
     4. 수온

     정답 : []
     정답률 : 84%

19. 시정관측에 관한 주의 사항 중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관측자는 지면에 선 채로 눈으로 관측하면 된다.
     2. 넓게 볼 수 있도록 높은 곳에서 관측하여야 한다.
     3. 밤에는 유리창을 통하여 관측하여도 무방하다.
     4. 눈이 나쁜 관측자는 쌍안경으로 목표물을 확인하는 편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83%

20. 정지기상위성의 고도는 대략 몇 km 인가?(2012년 03월)
     1. 358 km
     2. 3580 km
     3. 35800 km
     4. 358000 km

     정답 : []
     정답률 : 91%

2과목 : 대기열역학


21. 같은 기압과 기온에서 같은 체적의 건조공기와 습윤 공기의 질량은 다르다. 다음 중 그 이유로서 맞는 것은?(2003년 03월)
     1. 건조공기의 질량이 수증기보다 크기 때문이다
     2. 수증기의 질량이 건조공기보다 크기 때문이다.
     3. 습윤공기가 건조 공기보다 밀도가 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4. 건조공기에는 수증기를 더 많이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22. 다음 중 대기가 가장 불안정한 경우는?(2008년 07월)
     1. 그 대기의 기온감율이 건조단열감율보다 클 때
     2. 그 대기의 기온감율이 건조단열감율보다는 작고 포화단열감율보다는 클 때
     3. 그 대기의 기온감율이 포화단열감율과 같을 때
     4. 그 대기의 기온감율이 포화단열감율보다 작을 때

     정답 : []
     정답률 : 53%

23. 위단열변화(Pseudo-adiabatic change)에 대해 잘못 기술된 것은?(2007년 03월)
     1. 이 변화에서는 수적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hail stage는 있을 수 없다.
     2. 이 변화는 비가역(非可逆) 과정이 특징이다.
     3. 상승한 공기가 이 변화를 거쳐 제자리로 돌아올 때는 고온(高溫)으로 된다.
     4. 습윤공기의 단열변화에 대해서는 이 변화를 적용시켜 4단계(stage)로 구분하여 설명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단위질량의 건조공기의 온위(θ)와 entropy(ø)와의 관계는? (단, ℓ : 수증기의 기화잠열, Cp : 정압비열, Cv : 정적비열)(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2%

25. 같은 기압과 기온에서 같은 체적의 건조공기와 습윤 공기의 질량은 다르다. 다음 중 그 이유로서 맞는 것은?(2006년 03월)
     1. 건조공기의 질량이 수증기보다 크기 때문이다.
     2. 수증기의 질량이 건조공기보다 크기 때문이다.
     3. 습윤공기가 건조공기보다 밀도가 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4. 건조공기에는 수증기를 더 많이 포함시킬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26. 다음 단열선도 중 종축 B=-RlogP로 잡고 횡축 A=T+KlnP가 되도록 잡은 것은?(2003년 08월)
     1. Emagram
     2. Tephigram
     3. Stuve diagram
     4. Skew T-log P diagram

     정답 : []
     정답률 : 82%

27. 대기 중에서 내부에너지의 변화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단, CvdT : 정적비열, T : 온도, Cp : 정압비열, p : 기압, V : 체적, α : 비적)(2008년 03월)
     1. CvdT
     2. CpdT
     3. pdV
     4. pd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건조공기에서 R을 그 기체상수, Cp를 정압비열, Cv를 정적비열이라고 한다면 다음 중 그 크기가 맞는 것은?(2008년 07월)
     1. R > Cp > Cv
     2. Cp > Cv >R
     3. Rv > R > Cp
     4. Cp > R > Cv

     정답 : []
     정답률 : 82%

29.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Cv는 정적비열, Cp는 정압비열, ΔV는 체적변화량, ΔP는 압력변화량, ΔT는 온도 변화량)(2005년 03월)
     1. CvΔP
     2. CvΔT
     3. CpΔV
     4. CpΔP

     정답 : []
     정답률 : 64%

30. 다음 중 포화단열팽창 과정에서 보존되는 것은?(2010년 03월)
     1. 상대습도
     2. 수증기압
     3. 혼합비
     4. 온위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포화단열팽창 및 습윤단열과정에서 상대습도는 보존된다
[해설작성자 : 박야옹이]

31. 습윤 공기를 단열 상승시킨 후 수증기가 모두 제거되고 다시 단열과정을 거쳐 원 위치로 되돌아 왔을 때의 온도는?(2012년 03월)
     1. 습구온위(Wet-bulb potential temperature)
     2. 습구온도(Wet-bulb temperature)
     3. 상당온위(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4. 상당온도(Equivalent temperature)

     정답 : []
     정답률 : 64%

32. 대기 중에서 관측값이 큰 값에서 작은 값 순으로 나열된 것은? (단, T는 기온, Tw는 습구온도, Td는 이슬점온도이다.)(2022년 03월)
     1. T > Tw > Td
     2. Td > T > Tw
     3. T > Td > Tw
     4. Td > Tw > T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Td < Tw < T < Tv < Tc
[해설작성자 : Idontknowanything]

33. 다음 중 등온위선이 단면도에서 가장 조밀한 곳은?(2003년 03월)
     1. 고기압 중심부
     2. 대류불안정대
     3. 전선대
     4. 기단 중심부

     정답 : []
     정답률 : 71%

34.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로 변화한다. 일정한 압력하에서 이 상의 변화가 나타난다면 이와 관련된 잠영른 무엇과 같은가?(2010년 07월)
     1. 내부에너지의 변화량
     2. 엔트로피의 변화량
     3. 엔탈피의 변화량
     4. 자유에너지의 변화량

     정답 : []
     정답률 : 70%

35. 대류 불안정도(Convective Insta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7월)
     1. 공기층에 연직 쉬어(shear)가 존재할 때 공기층이 갖는 불안정도
     2. 공기 덩어리가 습윤 단열적으로 상승하였을 때 갖는 불안정도
     3. 공기 덩어리가 건조 단열적으로 상승하였을 때 갖는 불안정도
     4. 공기층에 모두 포화될 때까지 상승한 후 공기층이 갖게 되는 불안정도

     정답 : []
     정답률 : 68%

36. 기압이 1000hPa이고 기온이 10℃인 공기덩이의 비체적(specific volume)은 얼마인가? (단, 비기체 상수는 2.87 × 106erg g-1K-1이다)(2004년 03월)
     1. 0.01cm3/g
     2. 0.10cm3/g
     3. 8.12 × 102cm3/g
     4. 9.86 × 102cm3/g

     정답 : []
     정답률 : 64%

37. Γ를 주위의 기온감율, Γd를 건조단열감율, Γs를 포화단열감율이라 할 때 조건부 불안정은?(2008년 07월)
     1. Γ > Γd
     2. Γ> > Γs > Γd
     3. Γd > Γ > Γs
     4. Γ < Γs

     정답 : []
     정답률 : 100%

38. 다음 중 비기체상수가 가장 큰 기체는?(2016년 08월)
     1. 수증기
     2. 건조 공기
     3. 습윤 공기
     4. 이산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76%

39. 상당온위(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건조단열과정에서만 보존된다.
     2. 습윤단열과정에서만 보존된다.
     3. 건조∙습윤단열과정 모두에서 보존된다.
     4. 보존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6%

40. 다음 중 건조대기에 대하여 정적으로 안정한 대기는?(2005년 03월)
     1. 온위가 연직으로 증가한다.
     2. 온위가 연직으로 감소한다.
     3. 온위가 연직으로 일정하다.
     4. 기온이 연직으로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3과목 : 대기운동학


41. 기압좌표계의 운동방정식에 관여하지 않는 요소는?(2021년 03월)
     1. 온도 이류
     2. 중력가속도
     3. 지오포텐셜
     4. 코리올리인자

     정답 : []
     정답률 : 70%

42. 폐곡선 운동에 대한 순환의 일반적인 정의는?(2005년 03월)
     1. 곡선상의 접선속도와 회전중심에서의 거리를 곱한 것이다.
     2. 접선속도의 변화의 평균에 폐곡선의 길이를 곱한 것이다.
     3. 곡선에 접하는 속도의 평균에 폐곡선의 길이를 곱한 것이다.
     4. 접선속도의 평균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의 곱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43. 마찰이 없을 때 절대소용돌이도는 보존된다. 이 경우 북상하는 공기덩이의 상대소용돌이도는?(2012년 03월)
     1. 일정하다.
     2. 감소한다.
     3. 증가한다.
     4.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44. 남극에서 10m/s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단위질량의 공기덩이에 대하여 코리올리스 가속도는? (단, Ω=7.292×10-5 rad s-1)(2010년 03월)
     1. 1.5×10-4 m/s2
     2. -1.5×10-4 m/s2
     3. 1.5×10-3 m/s2
     4. -1.5×10-3 m/s2

     정답 : []
     정답률 : 34%

45.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03년 03월)
     1. 무역풍과 편서풍이 만나는 지역이다.
     2. 많은 강우량이 있다.
     3. 연직속도가 비교적 크다.
     4. 발달지역이 계절에 따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60%

46. 유선함수(ψ)와 바람장 과의 관계식은? (단, 는 연직방향의 단위벡터이다.)(201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47. 연직운동 방정식의 부력항에 있는 밀도를 제외하고 모든 밀도를 일정하다고 가정하는 근사는?(2006년 08월)
     1. 지균근사
     2. 정역학근사
     3. 부시네스크근사
     4. 경도풍근사

     정답 : []
     정답률 : 34%

48. 대기의 대순환과 관련된 사항 중 틀린 것은?(2004년 08월)
     1. 지구의 불균등한 복사 가열로 순환이 일어난다.
     2. 해륙분포의 지역적 차이로 인한 온도의 불균형으로 순환이 일어난다.
     3. 편서풍 파동은 대기의 운동에너지를 유효 위치에너지로 전환시키는데 기여한다.
     4. 편서풍 파동은 열과 각운동량을 고위도로 수송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일반적으로 온난핵(Warm Core)과 관련 있는 것은?(2004년 08월)
     1. 지형성 고기압
     2. 열적 저기압
     3. 온대성 저기압
     4. 한대 고기압

     정답 : []
     정답률 : 46%

50. 아열대성 고기압대에 사막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2016년 08월)
     1. 고온의 영향
     2. 해류의 영향
     3. 현열의 이동
     4. 하강기류의 지속

     정답 : []
     정답률 : 90%

51. 다음 중 선형풍 설명으로 틀린것은?(2008년 03월)
     1. 이 현상의 로스비 수가 약 0.1이다.
     2. 기압경도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며 부는 바람이다.
     3. 시계방향으로 불 수도 있고, 반시계방향으로 불 수도 있다.
     4. 토네이도가 이 현상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Jet-기류(제트기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겨울철 동서풍속의 최대값이 나타나는 곳은 북반구대륙동안이다.
     2. 겨울철 동서풍속의 최소값이 나타나는 곳은 북아프리카와 인도 부근이다.
     3. 겨울철 jet-기류가 위치하는 평균위도는 약 27° N이다.
     4. 여름철 jet-기류가 위치하는 평균위도는 약 42° N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53. 북반구에서 등압선의 간격이 좁은 곳에서 등압선의 간격이 넓은 곳으로 바람이 불어 갈 때 바람은 어떻게 변하는가?(2003년 08월)
     1. 등압선을 횡단하여 고기압쪽으로 바람이 불게 된다.
     2. 등압선에 평행하게 불게 되나 속도만 줄어든다.
     3. 등압선을 횡단하여 저기압쪽으로 바람이 향하게 된다.
     4. 항상 지균풍을 유지해서 분다.

     정답 : []
     정답률 : 58%

54. 북반구 500hPa의 등고선을 따른 흐름을 나타낸 다음 그림 중 상대소용도이도의 NVA(Negative Vorticity Advection)가 나타나는 지점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8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의 오류가 있어보임.
실제 문제에서보다 흐름선이 왼쪽으로 90도 이동됨.
문제상으로는 기압능이 나타나는 A가 음의 와도이류가 가장 강함.
[해설작성자 : 은비아빠]

55. 에너지 캐스케이트(cascade)란 다음 중 어떠한 에너지 변환을 나타내는가? (단, E는 에너지를 의미한다)(2010년 03월)
     1. 위치 E → 평균 운동 E → 에디 운동 E
     2. 위치 E → 에디 운동 E → 평균 운동 E
     3. 평균 운동 E → 위치 E → 에디 운동 E
     4. 평균 운동 E → 에디 운동 E → 위치 E

     정답 : []
     정답률 : 57%

56. 100 Pascal의 물리량의 단위를 dyne cm-2로 나타낸 것으로 맞은 것은?(2004년 03월)
     1. 10
     2. 100
     3. 1000
     4. 1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비교적 큰 거칠기를 갖는 기하학적인 고도 이하의 층을 무슨 층이라고 하는가?(2003년 08월)
     1. 혼합층
     2. 캐노피층
     3. 대기경계층
     4. 내부경계층

     정답 : []
     정답률 : 45%

58. 준수평운동(Quasi - horizontal motion)의 기술 중에서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등지오포텐셜 면에 거의 평행하다.
     2. 대규모 공기의 흐름은 준수평적이다.
     3. 코리올리힘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4. 공기의 가속도는 무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89%

59. 적도의 상층에서와 중위도의 편서풍대에서는 운동에너지가 어떻게 유지되어 편서풍이 지속되는가?(2004년 03월)
     1.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
     2. 극전선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
     3. 평균 남북순환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과 수송
     4.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과 수송

     정답 : []
     정답률 : 57%

60. 지균풍은 적도에서 정의가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2005년 08월)
     1. 코리올리 인자가 무한히 크다.
     2. 코리올리 인자가 0이다.
     3. 기압경도가 거의 없다
     4. 기압경도가 너무 크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과목 : 기후학


61. 툰드라(Tundra) 기후는 어느 기후지역에 속하는가?(2015년 03월)
     1. 열대
     2. 온대
     3. 냉대
     4. 한대

     정답 : []
     정답률 : 80%

62.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에너지 중 지면으로 직접 도달되는 에너지의 양은?(2016년 03월)
     1. 약 40%
     2. 약 50%
     3. 약 80%
     4. 약 100%

     정답 : []
     정답률 : 74%

63.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기후 요소에는 기온, 일사, 습도, 강수, 바람, 운량 등이 있다.
     2. 기후 인자는 위도, 고도, 해륙분포, 지형 등이다.
     3. 기후의 3대 요소는 기온, 습도, 바람이다.
     4. 기단, 전선, 대기순환 등도 기후 인자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64. 열대 건조기후는 대륙의 서해안에 위치하며 해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해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캘리포니아 해류
     2. 홈볼트(Humbolt)해류
     3. 쿠로시오 해류
     4. 벵겔라 해류

     정답 : []
     정답률 : 60%

65. 동서지수(Zonal Index)가 클 때 알맞은 기후특성은?(2017년 08월)
     1. 편서풍이 약하다.
     2. 남북 온도차가 작다.
     3. 기단의 남북교루가 적다.
     4. 저지(Blocking)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66. 다음 중 미기후의 대상은?(2004년 03월)
     1. 지표면
     2. 지상 1㎞ 까지
     3. 지상 10㎞ 까지
     4. 지상 30㎞ 까지

     정답 : []
     정답률 : 31%

67. Kӧppen의 기후구분중 일부를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그림에서 ①로 표시되는 기후 형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최한월의 평균기온은 18℃ 이상이다.)(2004년 03월)

    

     1. Aw
     2. Af
     3. Cw
     4. Cf

     정답 : []
     정답률 : 10%

68. 다음 그림은 어느 계절의 전형적인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는가? (단, 이 대륙은 북반구에 위치한다.)(2006년 03월)

    

     1.
     2. 여름
     3. 가을
     4. 겨울

     정답 : []
     정답률 : 48%

69. 소빙기(Little ice age)로 분류되는 기간은?(2007년 03월)
     1. A.D. 1,000 ~ 1,300 년대
     2. A.D. 1,400 ~ 1,800 년대
     3. B.C. 8,000 ~ 6,000 년대
     4. B.C. 1,800 ~ 1,400 년대

     정답 : []
     정답률 : 50%

70. 세로축에 월평균 기온, 가로축에 월 강수량을 잡아 월별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체감기후를 판단한 것은?(2009년 07월)
     1. 하이더 그래프
     2. 풍배도
     3. 모노그래프
     4. 실효온도계산 그래프

     정답 : []
     정답률 : 59%

71. 대기권으로 입사되는 태양에너지 중 지표면에 흡수되는 백분율은 약 얼마나 되나?(2006년 03월)
     1. 30 %
     2. 50 %
     3. 60 %
     4. 70 %

     정답 : []
     정답률 : 80%

72. 지구 육지상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얼마인가?(2004년 08월)
     1. 약 170 ㎜
     2. 약 670 ㎜
     3. 약 1170 ㎜
     4. 약 1670 ㎜

     정답 : []
     정답률 : 46%

73. 쾨펜(Koppen)의 기후구분을 따를 때 우리나라가 해당되는 기후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2년 03월)
     1. A와 B
     2. B와 C
     3. C와 D
     4. A와 D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C 온대 기후: 겨울은 상대적으로 온화, 여름은 상대적으로 온난하다,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3 ~ 18 ℃
D 냉대 기후: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3℃ 이하,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0℃ 이상
[해설작성자 : Idontknowanything]

74. 동서지수(Zonal index)가 저지수(low index)인 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8월)
     1. 편서풍이 약하다.
     2. 젯트기류가 두 개로 나뉘어지는 수가 많다.
     3. 블로킹(blocking)현상이 나타난다.
     4. 남북간의 온도경도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위도에 따라 열대, 온대, 한 대로 기후구분을 할 경우 이 구분과 분포가 가장 잘 일치하는 요소는?(2022년 03월)
     1. 기온
     2. 기압
     3. 바람
     4. 강수

     정답 : []
     정답률 : 78%

76. 다음 그림은 한국의 어떤 지점의 연평균물수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D 부분은?(2007년 03월)

    

     1. 토양수분의 결핍
     2. 토양수분의 보충
     3. 토양수분의 과잉
     4. 토양수분의 이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의 특성 가운데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시베리아기단 : 발원지 - 시베리아대륙 , 한랭건조
     2. 오호츠크해기단 : 발원지 - 오호츠크해 , 온난다습
     3. 양자강기단 : 발원지 - 양자강 지역 , 온난건조
     4. 북태평양기단 : 발원지 - 북태평양 , 고온다습

     정답 : []
     정답률 : 77%

78. 기후의 일변화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8월)
     1. 기온의 일변화는 흐린 날보다 맑은 날에 크다.
     2. 최고기온은 오후 1~3시 사이에 발생한다.
     3. 기온의 일변화는 해안지방보다 내륙에서 크다.
     4. 최저기온은 한밤중에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79. 다음 중 강수량의 영향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3월)
     1. 기류의 수렴, 발산
     2. 대기층의 요란
     3. 지형
     4. 기온의 일교차

     정답 : []
     정답률 : 84%

80. 지난 20세기 동안 서울에서 관측된 기온의 주 변화 요인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6년 08월)
     1. 해수면 상승의 영향
     2. 라니냐의 영향
     3. 지구온난화와 도시화 영향
     4. 엘니뇨의 영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1. 대기의 운동을 단열과정으로 취급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적절한 것은?(2018년 08월)
     1. 공기는 열전도도가 작기 때문
     2. 상대습도가 일변화를 하기 때문
     3. 대기 중의 수증기 함유량이 많기 때문
     4. 대기가 지면복사를 잘 흡수하기 때문

     정답 : []
     정답률 : 71%

82. 중위도 서풍계에서 저시수(low index)가 나타날 때의 기상현상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기압계의 이동속도가 빠르다.
     2. 절리고기압(cut-off low)이 나타난다.
     3. 일기현상의 변화가 적다.
     4. 기류의 남북 사행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62%

83. 북쪽으로 이동하는 기류에 대하여 지구와도(Coriolis parameter)의 변화를 맞게 기술한 것은?(2011년 03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일정하다.
     4. 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5%

84. 미지의 물리량을 기지의 물리량의 함수로서 수식화(數式化)하는 것은?(2015년 03월)
     1. 초기화
     2. 모수화
     3. 지균풍조사
     4. 객관분석

     정답 : []
     정답률 : 91%

85. 지균풍(Geostrophic win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마찰고도 상부에서 부는 바람이다.
     2. 기압경도력과 풍향은 직각을 이룬다.
     3. 전향력과 기압경도력이 평형을 이룬다.
     4.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의 우측에 저압부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86. 서울지방의 상공에서 700hPa면의 기울기가 200㎞당 60gpm이던 것이 120gpm으로 되었다면 지균풍속의 변화로서 맞는 것은?(2004년 03월)
     1. 1/2 로 감소한다.
     2. 변화가 없다.
     3. 2배로 증가한다.
     4. 4배로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87. 수증기가 전혀 없는 건조공기의 기온과 같은 것은?(2022년 03월)
     1. 노점온도
     2. 대류온도
     3. 상당온도
     4. 습구온도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상당온도: 공기덩이가 포함하는 수증기를 모두 응결시킴으로써 얻은 잠열을 고려한 온도
[해설작성자 : Idontknowanything]

88. 고기압권 내에서 바람이 가장 약한 곳은 어느 곳인가?(2005년 08월)
     1. 고기압 전면
     2. 고기압 중심
     3. 고기압 후면
     4. 일정하지 않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다음 중 날씨변화에 앞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8월)
     1. 동풍은 일기 악화의 전조이다.
     2. 햇무리가 나타나면 맑을 징조이다.
     3. 렌즈 구름은 바람이 강해질 전조이다.
     4. 종소리가 크게 들리면 비가 올 확률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74%

90. cyclolysis란 말은?(2010년 07월)
     1. 저기압의 정지상태를 말한다.
     2. 온대성 저기압을 말한다.
     3. 저기압의 소멸과정을 말한다.
     4. 저기압의 발달과정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91. 이류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중간층의 기류가 층후값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횡단 할 때 온난이류라 한다.
     2. 온난이류는 적색으로 표시한다.
     3. 기류가 층후선과 평행이면 중립이류라 한다.
     4. 한랭이류는 표시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3%

92. 장마전선이 속하는 것은?(2021년 03월)
     1. 온난전선
     2. 정체전선
     3. 폐색전선
     4. 한랭전선

     정답 : []
     정답률 : 84%

93. Showalter의 안정지수는 850 hPa의 공기를 다음 중 어느 고도까지 상승시켜 구하는가?(2005년 03월)
     1. 600 hPa
     2. 700 hPa
     3. 500 hPa
     4. 300 hPa

     정답 : []
     정답률 : 50%

94. 지상 일기도에서 기입되는 “현재일기”의 기호는 국제적으로 약 몇 가지가 있는가?(2007년 03월)
     1. 30가지
     2. 50가지
     3. 70가지
     4. 100가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다음 중에서 열역학선도(thermodynamic diagram)에 표시 되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등압선
     2. 등온선
     3. 건조단열선
     4. 등풍속선

     정답 : []
     정답률 : 84%

96. 대기선도에서 대기의 상층으로 갈수록 서로 거의 나란하게 그려지는 선은?(2005년 03월)
     1. 포화 혼합비선과 건조단열선
     2. 건조단열선과 습윤단열선
     3. 습윤단열선과 등온선
     4. 등온선과 포화 혼합비선

     정답 : []
     정답률 : 59%

97. 500hPa 등압면의 대략적인 높이는 얼마인가?(2004년 03월)
     1. 1500m
     2. 3000m
     3. 5500m
     4. 9000m

     정답 : []
     정답률 : 75%

98. 전선 위치 결정의 일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기온, 노점온도, 기압이 불연속을 이루어 그 등치선이 밀집 또는 급변하는 지역이지만, 풍향은 연속을 이루어 급변하지 않는 지역에 해당된다.
     2. 단열선도 또는 수직단면도 상에서 기온역전층이 있고 이 역전층에서 고도에 따른 풍향 변화가 반전인 경우는 한랭전선, 순전인 경우는 온난전선이다.
     3. 한랭전선의 경우 풍향의 수직변화는 하층에서 북서풍이고, 상층에서 남서풍이 보통이며, 온난전선에서는 하층에서 보통 남동풍이고, 상층에서는 남서풍이 되는 경우가 많다.
     4. 온난전선은 그 전방에서는 넓게 악천을 보이지만 후방에서는 비교적 호전을 이루고, 한랭전선에서는 전방과 후방의 구별없이 전선상에서 비교적 좁게 악천이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49%

99. 북반구의 중위도 지방에서 한냉전선이 통과한 후의 일반적인 풍향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03월)
     1. 북동풍
     2. 남동풍
     3. 남서풍
     4. 북서풍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가을철 자주 발생하는 이동성 고기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기온의 일교차가 크다.
     2. 반드시 이류무가 생긴다.
     3. 중심부근에서는 바람이 약하다.
     4. 중심부근에서는 대개 맑은 날씨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정 답 지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893040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상관측법


1. 다음 중 기본 운형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권운(Cirrus)
     2. 층운(Stratus)
     3. 적운(Cumulus)
     4. 유방운(Mamma)

     정답 : []
     정답률 : 98%

2. 야간 수평시정 관측용으로 일정거리에 시정목표로써 광원이 있다. 야간시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2004년 08월)
     1. 광원의 밝기
     2. 관측자의 육안의 감각도
     3. 대기의 투명도
     4. 대기의 습도

     정답 : []
     정답률 : 59%

3. 고층 관측시 사용되는 라디오존데 부착용 기구(balloon)의 주입가스로 주로 사용되는 가스 종류는?(2010년 03월)
     1. 헬륨
     2. 질소
     3. 오존
     4. 이산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88%

4. 다음 기상관측요소 중 관측자의 목측(目測)으로만 관측을 하는 것은?(2005년 03월)
     1. 운형
     2. 기압
     3. 풍향
     4. 풍속

     정답 : []
     정답률 : 93%

5. 10cm 파장의 Doppler 기상레이더의 시선속도가 100m/s 일 때 Doppler frequency shift는?(2009년 07월)
     1. 1000s-1
     2. 2000s-1
     3. 3000s-1
     4. 4000s-1

     정답 : []
     정답률 : 50%

6. 기상레이더 관측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펄스길이(PL) : 분해능
     2. 펄스폭(PQ) : 최대관측거리
     3. 신호대잡음비(SNR) : 수신감도
     4. 펄스반복주파수(PRF) : 유효관측거리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PQ > PW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기상레이더에서 일정방위각 방향으로 에코강도의 연직 표출이 가능한 표출방법은?(2008년 07월)
     1. PPI
     2. RHI
     3. CAPPI
     4. VAD

     정답 : []
     정답률 : 47%

8. 다음 중 상층풍 관측에 사용되는 관측기기는?(2003년 08월)
     1. Radiosonde
     2. Three - cup Anemometer
     3. Wind vane
     4. Pressure - tube Anemometer

     정답 : []
     정답률 : 88%

9. 10가지 기본운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3월)
     1. 권층운
     2. 층적운
     3. 적난운
     4. 파상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중 백엽상의 제작조건에 합당하지 않는 것은?(2004년 08월)
     1. 상내 온도분포가 일정하여야 한다.
     2. 상내외 통풍에는 관계가 없다.
     3. 상내외 온도가 동일하여야 한다.
     4. 복사(방사)열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1. 증발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대형의 것은 구경이 120㎝나 되는 철제용기로 국제적인 표준으로 되어 있다.
     2. 소형의 것은 직경 20㎝의 동제용기이며 기상대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3. 소형의 것보다 대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4. 증발계는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12. 수은기압계의 시도에서 관측소기압(현지기압)을 산출 할 때 필요한 보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7월)
     1. 기차보정
     2. 중력보정
     3. 온도보정
     4. 해면경정

     정답 : []
     정답률 : 92%

13. 파장별 일사량 관측에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RG1, RG2, RG8 등의 필터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중 RG2의 파장 범위는?(2004년 03월)
     1. 0.28 ~ 2.8㎛
     2. 0.525 ~ 2.8㎛
     3. 0.63 ~ 2.8㎛
     4. 0.7 ~ 2.8㎛

     정답 : []
     정답률 : 29%

14. 다음 바람 중 큰 규모 기압분포에 의하여 부는 것은?(2006년 03월)
     1. 해륙풍
     2. 산곡풍
     3. 지균풍
     4. 활강풍

     정답 : []
     정답률 : 94%

15. 풍속을 측정하는 계기가 아닌 것은?(2006년 08월)
     1. Aerovane
     2. Ceilometer
     3. 전기반
     4. 전접계수기

     정답 : []
     정답률 : 50%

16. 다음 중 시정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2. *
     3.
     4.

     정답 : []
     정답률 : 92%

17. 주간시정 목표물의 선택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은 조건은?(2016년 03월)
     1. 가능한 거리가 다른 많은 목표물을 선택한다.
     2. 시각(視角)이 0.5° 이상인 크기의 목표를 선택한다.
     3. 지면을 배경으로 서 있는 밝은 물체를 선택한다.
     4. 하늘을 배경으로 서 있는 검은 물체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8. 해양기상관측부이에서 관측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기온
     2. 습도
     3. 강수량
     4. 수온

     정답 : []
     정답률 : 84%

19. 시정관측에 관한 주의 사항 중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관측자는 지면에 선 채로 눈으로 관측하면 된다.
     2. 넓게 볼 수 있도록 높은 곳에서 관측하여야 한다.
     3. 밤에는 유리창을 통하여 관측하여도 무방하다.
     4. 눈이 나쁜 관측자는 쌍안경으로 목표물을 확인하는 편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83%

20. 정지기상위성의 고도는 대략 몇 km 인가?(2012년 03월)
     1. 358 km
     2. 3580 km
     3. 35800 km
     4. 358000 km

     정답 : []
     정답률 : 91%

2과목 : 대기열역학


21. 같은 기압과 기온에서 같은 체적의 건조공기와 습윤 공기의 질량은 다르다. 다음 중 그 이유로서 맞는 것은?(2003년 03월)
     1. 건조공기의 질량이 수증기보다 크기 때문이다
     2. 수증기의 질량이 건조공기보다 크기 때문이다.
     3. 습윤공기가 건조 공기보다 밀도가 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4. 건조공기에는 수증기를 더 많이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22. 다음 중 대기가 가장 불안정한 경우는?(2008년 07월)
     1. 그 대기의 기온감율이 건조단열감율보다 클 때
     2. 그 대기의 기온감율이 건조단열감율보다는 작고 포화단열감율보다는 클 때
     3. 그 대기의 기온감율이 포화단열감율과 같을 때
     4. 그 대기의 기온감율이 포화단열감율보다 작을 때

     정답 : []
     정답률 : 53%

23. 위단열변화(Pseudo-adiabatic change)에 대해 잘못 기술된 것은?(2007년 03월)
     1. 이 변화에서는 수적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hail stage는 있을 수 없다.
     2. 이 변화는 비가역(非可逆) 과정이 특징이다.
     3. 상승한 공기가 이 변화를 거쳐 제자리로 돌아올 때는 고온(高溫)으로 된다.
     4. 습윤공기의 단열변화에 대해서는 이 변화를 적용시켜 4단계(stage)로 구분하여 설명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단위질량의 건조공기의 온위(θ)와 entropy(ø)와의 관계는? (단, ℓ : 수증기의 기화잠열, Cp : 정압비열, Cv : 정적비열)(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2%

25. 같은 기압과 기온에서 같은 체적의 건조공기와 습윤 공기의 질량은 다르다. 다음 중 그 이유로서 맞는 것은?(2006년 03월)
     1. 건조공기의 질량이 수증기보다 크기 때문이다.
     2. 수증기의 질량이 건조공기보다 크기 때문이다.
     3. 습윤공기가 건조공기보다 밀도가 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4. 건조공기에는 수증기를 더 많이 포함시킬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26. 다음 단열선도 중 종축 B=-RlogP로 잡고 횡축 A=T+KlnP가 되도록 잡은 것은?(2003년 08월)
     1. Emagram
     2. Tephigram
     3. Stuve diagram
     4. Skew T-log P diagram

     정답 : []
     정답률 : 82%

27. 대기 중에서 내부에너지의 변화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단, CvdT : 정적비열, T : 온도, Cp : 정압비열, p : 기압, V : 체적, α : 비적)(2008년 03월)
     1. CvdT
     2. CpdT
     3. pdV
     4. pd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건조공기에서 R을 그 기체상수, Cp를 정압비열, Cv를 정적비열이라고 한다면 다음 중 그 크기가 맞는 것은?(2008년 07월)
     1. R > Cp > Cv
     2. Cp > Cv >R
     3. Rv > R > Cp
     4. Cp > R > Cv

     정답 : []
     정답률 : 82%

29.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Cv는 정적비열, Cp는 정압비열, ΔV는 체적변화량, ΔP는 압력변화량, ΔT는 온도 변화량)(2005년 03월)
     1. CvΔP
     2. CvΔT
     3. CpΔV
     4. CpΔP

     정답 : []
     정답률 : 64%

30. 다음 중 포화단열팽창 과정에서 보존되는 것은?(2010년 03월)
     1. 상대습도
     2. 수증기압
     3. 혼합비
     4. 온위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포화단열팽창 및 습윤단열과정에서 상대습도는 보존된다
[해설작성자 : 박야옹이]

31. 습윤 공기를 단열 상승시킨 후 수증기가 모두 제거되고 다시 단열과정을 거쳐 원 위치로 되돌아 왔을 때의 온도는?(2012년 03월)
     1. 습구온위(Wet-bulb potential temperature)
     2. 습구온도(Wet-bulb temperature)
     3. 상당온위(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4. 상당온도(Equivalent temperature)

     정답 : []
     정답률 : 64%

32. 대기 중에서 관측값이 큰 값에서 작은 값 순으로 나열된 것은? (단, T는 기온, Tw는 습구온도, Td는 이슬점온도이다.)(2022년 03월)
     1. T > Tw > Td
     2. Td > T > Tw
     3. T > Td > Tw
     4. Td > Tw > T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Td < Tw < T < Tv < Tc
[해설작성자 : Idontknowanything]

33. 다음 중 등온위선이 단면도에서 가장 조밀한 곳은?(2003년 03월)
     1. 고기압 중심부
     2. 대류불안정대
     3. 전선대
     4. 기단 중심부

     정답 : []
     정답률 : 71%

34.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로 변화한다. 일정한 압력하에서 이 상의 변화가 나타난다면 이와 관련된 잠영른 무엇과 같은가?(2010년 07월)
     1. 내부에너지의 변화량
     2. 엔트로피의 변화량
     3. 엔탈피의 변화량
     4. 자유에너지의 변화량

     정답 : []
     정답률 : 70%

35. 대류 불안정도(Convective Insta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7월)
     1. 공기층에 연직 쉬어(shear)가 존재할 때 공기층이 갖는 불안정도
     2. 공기 덩어리가 습윤 단열적으로 상승하였을 때 갖는 불안정도
     3. 공기 덩어리가 건조 단열적으로 상승하였을 때 갖는 불안정도
     4. 공기층에 모두 포화될 때까지 상승한 후 공기층이 갖게 되는 불안정도

     정답 : []
     정답률 : 68%

36. 기압이 1000hPa이고 기온이 10℃인 공기덩이의 비체적(specific volume)은 얼마인가? (단, 비기체 상수는 2.87 × 106erg g-1K-1이다)(2004년 03월)
     1. 0.01cm3/g
     2. 0.10cm3/g
     3. 8.12 × 102cm3/g
     4. 9.86 × 102cm3/g

     정답 : []
     정답률 : 64%

37. Γ를 주위의 기온감율, Γd를 건조단열감율, Γs를 포화단열감율이라 할 때 조건부 불안정은?(2008년 07월)
     1. Γ > Γd
     2. Γ> > Γs > Γd
     3. Γd > Γ > Γs
     4. Γ < Γs

     정답 : []
     정답률 : 100%

38. 다음 중 비기체상수가 가장 큰 기체는?(2016년 08월)
     1. 수증기
     2. 건조 공기
     3. 습윤 공기
     4. 이산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76%

39. 상당온위(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건조단열과정에서만 보존된다.
     2. 습윤단열과정에서만 보존된다.
     3. 건조∙습윤단열과정 모두에서 보존된다.
     4. 보존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6%

40. 다음 중 건조대기에 대하여 정적으로 안정한 대기는?(2005년 03월)
     1. 온위가 연직으로 증가한다.
     2. 온위가 연직으로 감소한다.
     3. 온위가 연직으로 일정하다.
     4. 기온이 연직으로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3과목 : 대기운동학


41. 기압좌표계의 운동방정식에 관여하지 않는 요소는?(2021년 03월)
     1. 온도 이류
     2. 중력가속도
     3. 지오포텐셜
     4. 코리올리인자

     정답 : []
     정답률 : 70%

42. 폐곡선 운동에 대한 순환의 일반적인 정의는?(2005년 03월)
     1. 곡선상의 접선속도와 회전중심에서의 거리를 곱한 것이다.
     2. 접선속도의 변화의 평균에 폐곡선의 길이를 곱한 것이다.
     3. 곡선에 접하는 속도의 평균에 폐곡선의 길이를 곱한 것이다.
     4. 접선속도의 평균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의 곱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43. 마찰이 없을 때 절대소용돌이도는 보존된다. 이 경우 북상하는 공기덩이의 상대소용돌이도는?(2012년 03월)
     1. 일정하다.
     2. 감소한다.
     3. 증가한다.
     4.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44. 남극에서 10m/s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단위질량의 공기덩이에 대하여 코리올리스 가속도는? (단, Ω=7.292×10-5 rad s-1)(2010년 03월)
     1. 1.5×10-4 m/s2
     2. -1.5×10-4 m/s2
     3. 1.5×10-3 m/s2
     4. -1.5×10-3 m/s2

     정답 : []
     정답률 : 34%

45.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03년 03월)
     1. 무역풍과 편서풍이 만나는 지역이다.
     2. 많은 강우량이 있다.
     3. 연직속도가 비교적 크다.
     4. 발달지역이 계절에 따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60%

46. 유선함수(ψ)와 바람장 과의 관계식은? (단, 는 연직방향의 단위벡터이다.)(201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47. 연직운동 방정식의 부력항에 있는 밀도를 제외하고 모든 밀도를 일정하다고 가정하는 근사는?(2006년 08월)
     1. 지균근사
     2. 정역학근사
     3. 부시네스크근사
     4. 경도풍근사

     정답 : []
     정답률 : 34%

48. 대기의 대순환과 관련된 사항 중 틀린 것은?(2004년 08월)
     1. 지구의 불균등한 복사 가열로 순환이 일어난다.
     2. 해륙분포의 지역적 차이로 인한 온도의 불균형으로 순환이 일어난다.
     3. 편서풍 파동은 대기의 운동에너지를 유효 위치에너지로 전환시키는데 기여한다.
     4. 편서풍 파동은 열과 각운동량을 고위도로 수송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일반적으로 온난핵(Warm Core)과 관련 있는 것은?(2004년 08월)
     1. 지형성 고기압
     2. 열적 저기압
     3. 온대성 저기압
     4. 한대 고기압

     정답 : []
     정답률 : 46%

50. 아열대성 고기압대에 사막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2016년 08월)
     1. 고온의 영향
     2. 해류의 영향
     3. 현열의 이동
     4. 하강기류의 지속

     정답 : []
     정답률 : 90%

51. 다음 중 선형풍 설명으로 틀린것은?(2008년 03월)
     1. 이 현상의 로스비 수가 약 0.1이다.
     2. 기압경도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며 부는 바람이다.
     3. 시계방향으로 불 수도 있고, 반시계방향으로 불 수도 있다.
     4. 토네이도가 이 현상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Jet-기류(제트기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겨울철 동서풍속의 최대값이 나타나는 곳은 북반구대륙동안이다.
     2. 겨울철 동서풍속의 최소값이 나타나는 곳은 북아프리카와 인도 부근이다.
     3. 겨울철 jet-기류가 위치하는 평균위도는 약 27° N이다.
     4. 여름철 jet-기류가 위치하는 평균위도는 약 42° N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53. 북반구에서 등압선의 간격이 좁은 곳에서 등압선의 간격이 넓은 곳으로 바람이 불어 갈 때 바람은 어떻게 변하는가?(2003년 08월)
     1. 등압선을 횡단하여 고기압쪽으로 바람이 불게 된다.
     2. 등압선에 평행하게 불게 되나 속도만 줄어든다.
     3. 등압선을 횡단하여 저기압쪽으로 바람이 향하게 된다.
     4. 항상 지균풍을 유지해서 분다.

     정답 : []
     정답률 : 58%

54. 북반구 500hPa의 등고선을 따른 흐름을 나타낸 다음 그림 중 상대소용도이도의 NVA(Negative Vorticity Advection)가 나타나는 지점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8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의 오류가 있어보임.
실제 문제에서보다 흐름선이 왼쪽으로 90도 이동됨.
문제상으로는 기압능이 나타나는 A가 음의 와도이류가 가장 강함.
[해설작성자 : 은비아빠]

55. 에너지 캐스케이트(cascade)란 다음 중 어떠한 에너지 변환을 나타내는가? (단, E는 에너지를 의미한다)(2010년 03월)
     1. 위치 E → 평균 운동 E → 에디 운동 E
     2. 위치 E → 에디 운동 E → 평균 운동 E
     3. 평균 운동 E → 위치 E → 에디 운동 E
     4. 평균 운동 E → 에디 운동 E → 위치 E

     정답 : []
     정답률 : 57%

56. 100 Pascal의 물리량의 단위를 dyne cm-2로 나타낸 것으로 맞은 것은?(2004년 03월)
     1. 10
     2. 100
     3. 1000
     4. 1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비교적 큰 거칠기를 갖는 기하학적인 고도 이하의 층을 무슨 층이라고 하는가?(2003년 08월)
     1. 혼합층
     2. 캐노피층
     3. 대기경계층
     4. 내부경계층

     정답 : []
     정답률 : 45%

58. 준수평운동(Quasi - horizontal motion)의 기술 중에서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등지오포텐셜 면에 거의 평행하다.
     2. 대규모 공기의 흐름은 준수평적이다.
     3. 코리올리힘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4. 공기의 가속도는 무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89%

59. 적도의 상층에서와 중위도의 편서풍대에서는 운동에너지가 어떻게 유지되어 편서풍이 지속되는가?(2004년 03월)
     1.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
     2. 극전선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
     3. 평균 남북순환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과 수송
     4.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과 수송

     정답 : []
     정답률 : 57%

60. 지균풍은 적도에서 정의가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2005년 08월)
     1. 코리올리 인자가 무한히 크다.
     2. 코리올리 인자가 0이다.
     3. 기압경도가 거의 없다
     4. 기압경도가 너무 크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과목 : 기후학


61. 툰드라(Tundra) 기후는 어느 기후지역에 속하는가?(2015년 03월)
     1. 열대
     2. 온대
     3. 냉대
     4. 한대

     정답 : []
     정답률 : 80%

62.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에너지 중 지면으로 직접 도달되는 에너지의 양은?(2016년 03월)
     1. 약 40%
     2. 약 50%
     3. 약 80%
     4. 약 100%

     정답 : []
     정답률 : 74%

63.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기후 요소에는 기온, 일사, 습도, 강수, 바람, 운량 등이 있다.
     2. 기후 인자는 위도, 고도, 해륙분포, 지형 등이다.
     3. 기후의 3대 요소는 기온, 습도, 바람이다.
     4. 기단, 전선, 대기순환 등도 기후 인자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64. 열대 건조기후는 대륙의 서해안에 위치하며 해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해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캘리포니아 해류
     2. 홈볼트(Humbolt)해류
     3. 쿠로시오 해류
     4. 벵겔라 해류

     정답 : []
     정답률 : 60%

65. 동서지수(Zonal Index)가 클 때 알맞은 기후특성은?(2017년 08월)
     1. 편서풍이 약하다.
     2. 남북 온도차가 작다.
     3. 기단의 남북교루가 적다.
     4. 저지(Blocking)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66. 다음 중 미기후의 대상은?(2004년 03월)
     1. 지표면
     2. 지상 1㎞ 까지
     3. 지상 10㎞ 까지
     4. 지상 30㎞ 까지

     정답 : []
     정답률 : 31%

67. Kӧppen의 기후구분중 일부를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그림에서 ①로 표시되는 기후 형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최한월의 평균기온은 18℃ 이상이다.)(2004년 03월)

    

     1. Aw
     2. Af
     3. Cw
     4. Cf

     정답 : []
     정답률 : 10%

68. 다음 그림은 어느 계절의 전형적인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는가? (단, 이 대륙은 북반구에 위치한다.)(2006년 03월)

    

     1.
     2. 여름
     3. 가을
     4. 겨울

     정답 : []
     정답률 : 48%

69. 소빙기(Little ice age)로 분류되는 기간은?(2007년 03월)
     1. A.D. 1,000 ~ 1,300 년대
     2. A.D. 1,400 ~ 1,800 년대
     3. B.C. 8,000 ~ 6,000 년대
     4. B.C. 1,800 ~ 1,400 년대

     정답 : []
     정답률 : 50%

70. 세로축에 월평균 기온, 가로축에 월 강수량을 잡아 월별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체감기후를 판단한 것은?(2009년 07월)
     1. 하이더 그래프
     2. 풍배도
     3. 모노그래프
     4. 실효온도계산 그래프

     정답 : []
     정답률 : 59%

71. 대기권으로 입사되는 태양에너지 중 지표면에 흡수되는 백분율은 약 얼마나 되나?(2006년 03월)
     1. 30 %
     2. 50 %
     3. 60 %
     4. 70 %

     정답 : []
     정답률 : 80%

72. 지구 육지상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얼마인가?(2004년 08월)
     1. 약 170 ㎜
     2. 약 670 ㎜
     3. 약 1170 ㎜
     4. 약 1670 ㎜

     정답 : []
     정답률 : 46%

73. 쾨펜(Koppen)의 기후구분을 따를 때 우리나라가 해당되는 기후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2년 03월)
     1. A와 B
     2. B와 C
     3. C와 D
     4. A와 D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C 온대 기후: 겨울은 상대적으로 온화, 여름은 상대적으로 온난하다,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3 ~ 18 ℃
D 냉대 기후: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3℃ 이하,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0℃ 이상
[해설작성자 : Idontknowanything]

74. 동서지수(Zonal index)가 저지수(low index)인 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8월)
     1. 편서풍이 약하다.
     2. 젯트기류가 두 개로 나뉘어지는 수가 많다.
     3. 블로킹(blocking)현상이 나타난다.
     4. 남북간의 온도경도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위도에 따라 열대, 온대, 한 대로 기후구분을 할 경우 이 구분과 분포가 가장 잘 일치하는 요소는?(2022년 03월)
     1. 기온
     2. 기압
     3. 바람
     4. 강수

     정답 : []
     정답률 : 78%

76. 다음 그림은 한국의 어떤 지점의 연평균물수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D 부분은?(2007년 03월)

    

     1. 토양수분의 결핍
     2. 토양수분의 보충
     3. 토양수분의 과잉
     4. 토양수분의 이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의 특성 가운데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시베리아기단 : 발원지 - 시베리아대륙 , 한랭건조
     2. 오호츠크해기단 : 발원지 - 오호츠크해 , 온난다습
     3. 양자강기단 : 발원지 - 양자강 지역 , 온난건조
     4. 북태평양기단 : 발원지 - 북태평양 , 고온다습

     정답 : []
     정답률 : 77%

78. 기후의 일변화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8월)
     1. 기온의 일변화는 흐린 날보다 맑은 날에 크다.
     2. 최고기온은 오후 1~3시 사이에 발생한다.
     3. 기온의 일변화는 해안지방보다 내륙에서 크다.
     4. 최저기온은 한밤중에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79. 다음 중 강수량의 영향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3월)
     1. 기류의 수렴, 발산
     2. 대기층의 요란
     3. 지형
     4. 기온의 일교차

     정답 : []
     정답률 : 84%

80. 지난 20세기 동안 서울에서 관측된 기온의 주 변화 요인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6년 08월)
     1. 해수면 상승의 영향
     2. 라니냐의 영향
     3. 지구온난화와 도시화 영향
     4. 엘니뇨의 영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1. 대기의 운동을 단열과정으로 취급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적절한 것은?(2018년 08월)
     1. 공기는 열전도도가 작기 때문
     2. 상대습도가 일변화를 하기 때문
     3. 대기 중의 수증기 함유량이 많기 때문
     4. 대기가 지면복사를 잘 흡수하기 때문

     정답 : []
     정답률 : 71%

82. 중위도 서풍계에서 저시수(low index)가 나타날 때의 기상현상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기압계의 이동속도가 빠르다.
     2. 절리고기압(cut-off low)이 나타난다.
     3. 일기현상의 변화가 적다.
     4. 기류의 남북 사행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62%

83. 북쪽으로 이동하는 기류에 대하여 지구와도(Coriolis parameter)의 변화를 맞게 기술한 것은?(2011년 03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일정하다.
     4. 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5%

84. 미지의 물리량을 기지의 물리량의 함수로서 수식화(數式化)하는 것은?(2015년 03월)
     1. 초기화
     2. 모수화
     3. 지균풍조사
     4. 객관분석

     정답 : []
     정답률 : 91%

85. 지균풍(Geostrophic win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마찰고도 상부에서 부는 바람이다.
     2. 기압경도력과 풍향은 직각을 이룬다.
     3. 전향력과 기압경도력이 평형을 이룬다.
     4.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의 우측에 저압부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86. 서울지방의 상공에서 700hPa면의 기울기가 200㎞당 60gpm이던 것이 120gpm으로 되었다면 지균풍속의 변화로서 맞는 것은?(2004년 03월)
     1. 1/2 로 감소한다.
     2. 변화가 없다.
     3. 2배로 증가한다.
     4. 4배로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87. 수증기가 전혀 없는 건조공기의 기온과 같은 것은?(2022년 03월)
     1. 노점온도
     2. 대류온도
     3. 상당온도
     4. 습구온도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상당온도: 공기덩이가 포함하는 수증기를 모두 응결시킴으로써 얻은 잠열을 고려한 온도
[해설작성자 : Idontknowanything]

88. 고기압권 내에서 바람이 가장 약한 곳은 어느 곳인가?(2005년 08월)
     1. 고기압 전면
     2. 고기압 중심
     3. 고기압 후면
     4. 일정하지 않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다음 중 날씨변화에 앞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8월)
     1. 동풍은 일기 악화의 전조이다.
     2. 햇무리가 나타나면 맑을 징조이다.
     3. 렌즈 구름은 바람이 강해질 전조이다.
     4. 종소리가 크게 들리면 비가 올 확률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74%

90. cyclolysis란 말은?(2010년 07월)
     1. 저기압의 정지상태를 말한다.
     2. 온대성 저기압을 말한다.
     3. 저기압의 소멸과정을 말한다.
     4. 저기압의 발달과정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91. 이류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중간층의 기류가 층후값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횡단 할 때 온난이류라 한다.
     2. 온난이류는 적색으로 표시한다.
     3. 기류가 층후선과 평행이면 중립이류라 한다.
     4. 한랭이류는 표시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3%

92. 장마전선이 속하는 것은?(2021년 03월)
     1. 온난전선
     2. 정체전선
     3. 폐색전선
     4. 한랭전선

     정답 : []
     정답률 : 84%

93. Showalter의 안정지수는 850 hPa의 공기를 다음 중 어느 고도까지 상승시켜 구하는가?(2005년 03월)
     1. 600 hPa
     2. 700 hPa
     3. 500 hPa
     4. 300 hPa

     정답 : []
     정답률 : 50%

94. 지상 일기도에서 기입되는 “현재일기”의 기호는 국제적으로 약 몇 가지가 있는가?(2007년 03월)
     1. 30가지
     2. 50가지
     3. 70가지
     4. 100가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다음 중에서 열역학선도(thermodynamic diagram)에 표시 되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등압선
     2. 등온선
     3. 건조단열선
     4. 등풍속선

     정답 : []
     정답률 : 84%

96. 대기선도에서 대기의 상층으로 갈수록 서로 거의 나란하게 그려지는 선은?(2005년 03월)
     1. 포화 혼합비선과 건조단열선
     2. 건조단열선과 습윤단열선
     3. 습윤단열선과 등온선
     4. 등온선과 포화 혼합비선

     정답 : []
     정답률 : 59%

97. 500hPa 등압면의 대략적인 높이는 얼마인가?(2004년 03월)
     1. 1500m
     2. 3000m
     3. 5500m
     4. 9000m

     정답 : []
     정답률 : 75%

98. 전선 위치 결정의 일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기온, 노점온도, 기압이 불연속을 이루어 그 등치선이 밀집 또는 급변하는 지역이지만, 풍향은 연속을 이루어 급변하지 않는 지역에 해당된다.
     2. 단열선도 또는 수직단면도 상에서 기온역전층이 있고 이 역전층에서 고도에 따른 풍향 변화가 반전인 경우는 한랭전선, 순전인 경우는 온난전선이다.
     3. 한랭전선의 경우 풍향의 수직변화는 하층에서 북서풍이고, 상층에서 남서풍이 보통이며, 온난전선에서는 하층에서 보통 남동풍이고, 상층에서는 남서풍이 되는 경우가 많다.
     4. 온난전선은 그 전방에서는 넓게 악천을 보이지만 후방에서는 비교적 호전을 이루고, 한랭전선에서는 전방과 후방의 구별없이 전선상에서 비교적 좁게 악천이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49%

99. 북반구의 중위도 지방에서 한냉전선이 통과한 후의 일반적인 풍향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03월)
     1. 북동풍
     2. 남동풍
     3. 남서풍
     4. 북서풍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가을철 자주 발생하는 이동성 고기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기온의 일교차가 크다.
     2. 반드시 이류무가 생긴다.
     3. 중심부근에서는 바람이 약하다.
     4. 중심부근에서는 대개 맑은 날씨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893040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5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69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69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692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10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91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7776653)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90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8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208264)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88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87 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7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86 축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7월18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85 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84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683 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82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8
681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9505066)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80 미용사(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679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5005461)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78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8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77 비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364587) 좋은아빠되기 2025.11.18 9
»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8930405)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Board Pagination Prev 1 ...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 279 Next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