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27173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보관하역론


1. 다음 중 집중구매방식의 장점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7월)

   

     1. ㄱ, ㄴ, ㄷ
     2. ㄱ, ㄷ, ㅁ
     3. ㄴ, ㄹ, ㅂ
     4. ㄱ, ㄷ, ㄹ, ㅂ
     5. ㄱ, ㄷ, ㄹ, ㅁ, ㅂ

     정답 : []
     정답률 : 58%

2. 다음 설명 중 보관과 관련된 원칙과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8월)
     1. 표준품은 형상에 따라 보관하고 비표준품은 랙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상품의 수명주기(Life Cycle)가 짧아 단기간 내에 상품가치가 없어질 우려가 있는 상품 등은 먼저 입고된 상품을 먼저 출고한다는 원칙을 적용한다.
     3. 물품의 입고와 출고를 용이하게 하고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통로면에 보관하는 것이 창고내 레이아웃 설계의 기본 원칙이다.
     4. 중량물은 마루나 하층부에 보관하고 경량물은 상층부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5. 물품의 정리와 출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관련 품목을 한 장소에 모아서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제품을 보관하기 위해 필요한 창고의 바닥 면적(m2 )은?(2014년 06월)

   

     1. 500
     2. 600
     3. 750
     4. 1,000
     5. 2,000

     정답 : []
     정답률 : 14%

4.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방식은 안벽과 야드간의 컨테이너 이송에 사용되는 장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무엇인가?(2008년 08월)
     1. 샤시 방식(Chassis System)
     2.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Straddle Carrier System)
     3. 트랜스테이너 방식(Transtainer System)
     4. 혼합 방식(Mixed System)
     5. 무인이송차량 방식(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다음은 물류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지역별 물류 관련 비용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위:천원)(2010년 08월)

   

     1. 연간 물동량이 10톤인 경우 총비용면에서 가장 유리한 물류단지는 B지역이다.
     2. 연간 물동량이 50톤인 경우 총비용면에서 가장 유리한 물류단지는 C지역이다.
     3. 연간 물동량이 100톤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총 비용면에서 가장 유리한 물류단지는 B지역이다.
     4. 총비용을 산출할 때 연간 물동량이 많아질수록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고정비 부분이다.
     5. 연간 물동량이 계속 증가한다고 예측되는 경우 총 비용면에서 가장 유리한 물류단지는 A지역이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2 - 물동량이 낮을 수록 고정비가 낮은 입지에 물류단지를 건설해야 유리함.
3 - 물동량 100톤일때 총비용 a=14350 b=18500 c=16150 이므로 가장 유리한 지역은 a임
4 - 물동량이 많아질수록 변동비 부분이 중요함

6. 다음이 설명하는 물류시설의 민간투자사업 방식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8년 07월)

   

     1. ㄱ: BTL(Build Transfer Lease), ㄴ: BTO(Build Transfer Operate)
     2. ㄱ: BTO(Build Transfer Operate), ㄴ: BOO(Build Own Operate)
     3. ㄱ: BOT(Build Operate Transfer), ㄴ: BTL(Build Transfer Lease)
     4. ㄱ: BOO(Build Own Operate), ㄴ: BTL(Build Transfer Lease)
     5. ㄱ: BTO(Build Transfer Operate), ㄴ: BTL(Build Transfer Lease)

     정답 : []
     정답률 : 73%

7. 항공화물 탑재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살화물 탑재방식은 개별화물을 항공전용 컨테이너에 넣은 후 언로더(Unloader)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방식이다.
     2. 살화물 탑재방식은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작업해야 하는 화물탑재에 적합한 방식이다.
     3. 살화물 탑재방식에서는 트랙터(Tractor)와 카고 카트(Cargo Cart)가 주로 사용된다.
     4. 파렛트 탑재방식은 기본적인 항공화물 취급 방법이며, 파렛트화된 화물을 이글루(Igloo)로 씌워서 탑재하는 방식이다.
     5. 컨테이너 탑재방식은 항공기 내부구조에 적합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언로더는 항만에서 사용하는 기중기 종류이며, 언로더(X) -> 하이리프트로드(O)로 하면 답이 됨.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살화물 적재방식(Bulk Loading): 개별화물을 인력으로 직접 적재하는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나 적재효율을 높이기 쉬운 방법

Bulk Cargo(살화물 (撒貨物)): 단위화되지 않고 재래방식으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는 화물(곡물, 광석, 석탄, 당밀, 유류 등)을 살화물이라 한다.

1번 문장 자체가 전부 틀렸습니다. 컨테이너에 넣지 않고, 항공화물은 언로더와 관련도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용도에 따른 컨테이너 분류 중 온도관리가 가능한 화물수송용 컨테이너는?(2012년 08월)
     1. 서멀 컨테이너(Thermal Container)
     2. 드라이벌크 컨테이너(Dry Bulk Container)
     3. 오픈톱 컨테이너(Open Top Container)
     4. 플랫폼 컨테이너(Platform Container)
     5. 플랫 랙 컨테이너(Flat Rack Container)

     정답 : []
     정답률 : 54%

9. 다음은 각 수요지의 수요량과 위치좌표를 나타낸 것이다. 무게중심법에 의한 신규 배송센터의 최적의 입지좌표는? (단, 배송센터로의 공급은 고려하지 않음)(2024년 08월)

   

     1. X: 52, Y: 40
     2. X: 72, Y: 52
     3. X: 80, Y: 72
     4. X: 86, Y: 70
     5. X: 92, Y: 86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X = (20*200)+(60*100)+(80*200)+(120*500)/1000 = 86
Y = (40*200)+(20*100)+(50*200)+(100*500)/1000 = 70
[해설작성자 : 손서방]

10. 임대 파렛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표준 파렛트 도입이 가능하다.
     2. 초기 고정투자비가 적게 든다.
     3. 비수기의 양적 조절이 가능하다.
     4. 파렛트 풀 시스템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5. 업체간 이동시 회수가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54%

11. 물류시설 및 물류단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CY(Container Yard)는 수출입용 컨테이너를 보관ㆍ취급하는 장소이다.
     2. CFS(Container Freight Station)는 컨테이너에 LCL(Less than Container Load) 화물을 넣고 꺼내는 작업을 하는 시설과 장소이다.
     3. 지정장치장은 통관하고자 하는 물품을 일시 장치하기 위해 세관장이 지정하는 구역이다.
     4. 통관을 하지 않은 내국물품을 보세창고에 장치하기 위해서는 항만법에 근거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5.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와 CY(Container Yard)는 부두 외부에도 위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통관을 하지 않은 내국물품을 보세창고에 장치하기 위해서는 관세법에 근거하여 해당 세관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똘딴]

제183조(보세창고)
① 보세창고에는 외국물품이나 통관을 하려는 물품을 장치한다.
② 운영인은 미리 세관장에게 신고를 하고 제1항에 따른 물품의 장치에 방해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보세창고에 내국물품을 장치할 수 있다.

-> 관세법, 세관장, 신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물류센터 건설의 업무 절차를 물류거점 분석, 물류센터 설계 그리고 시공 및 운영 등 단계별로 시행하려고 한다. 물류거점 분석 단계에서 수행하는 활동이 아닌 것은?(2022년 08월)
     1. 지역 분석
     2. 하역장비 설치
     3. 수익성 분석
     4. 투자 효과 분석
     5. 거시환경 분석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 하역장비 설치 시공 => 시공 및 운영단계
[해설작성자 : 늑대물류]

13. 3개의 제품(A~C)을 취급하는 1개의 창고에서 기간별 사용공간이 다음 표와 같다. (ㄱ)임의위치저장(Randomized Storage)방식과 (ㄴ)지정위치저장(Dedicated Storage)방식으로 각각 산정된 창고의 저장소요공간(m2)은?(2022년 08월)

    

     1. ㄱ: 51, ㄴ: 51
     2. ㄱ: 51, ㄴ: 67
     3. ㄱ: 67, ㄴ: 89
     4. ㄱ: 89, ㄴ: 94
     5. ㄱ: 94, ㄴ: 89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ㄱ.임의위치저장 => 기간별로 A,B,C 합계 중 가장 큰 것
ㄴ.지정위치저장 => A,B,C 중에 가장 큰 것으로만 합계
[해설작성자 : doyeon]

14. 창고관리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창고 내의 랙(Rack)과 셀(Cell)별 재고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2. 정확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창고 내 피킹, 포장작업 등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물류작업이 가능하다.
     3. 입고 후 창고에 재고를 보관할 때, 보관의 원칙에 따라 최적의 장소를 선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4. 창고 내 물동량의 증감에 따라 작업자의 인력계획을 수립하며 모니터링 기능도 지원한다.
     5. 고객주문내역 상의 운송수단을 고려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도록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고객주문내역 상의 운송수단을 고려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은 운송관리시스템(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이다.
[해설작성자 : 1304_JH]

15. 다음 그림은 새로운 배송센터를 설립하려는 회사의 공장과 수요지를 나타낸 것이다. 수요지1과 수요지2의 수요량은 각각 15톤/월이며, 수요지3과 수요지4의 수요량은 각각 20톤/월이다. 이때 무게중심법을 이용하여 구한 배송센터의 최적 입지의 좌표(X, Y)는? (단, 소수점이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2010년 08월)

    

     1. X = 37.5, Y = 62.5
     2. X = 37.5, Y = 66.5
     3. X = 59.8, Y = 62.5
     4. X = 67.9, Y = 61.8
     5. X = 67.9, Y = 66.5

     정답 : []
     정답률 : 60%

16. 일관파렛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7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73%

17. 경제적 주문량(Economic Order Quantity) 모형의 전제조건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7월)

    

     1. ㄱ, ㄷ
     2. ㄱ, ㅁ
     3. ㄴ, ㄷ
     4. ㄴ, ㄹ
     5.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분산구매방식과 비교한 집중구매방식(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일반적으로 대량 구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요량이 많은 품목에 적합하다.
     2. 사업장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구매하기에 용이하다.
     3. 사업장별 독립적 구매에 유리하나 수량할인이 있는 품목에는 불리하다.
     4. 전사적으로 집중구매하기 때문에 가격 및 거래조건이 불리하다.
     5. 구매절차의 표준화가 가능하여 긴급조달이 필요한 자재의 구매에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79%

19. ISO의 국제표준규격 20ft와 40ft 컨테이너 내부에 각 1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T-11형 표준 파렛트 최대 개수의 합은?(2018년 07월)
     1. 24매
     2. 30매
     3. 36매
     4. 42매
     5. 48매

     정답 : []
     정답률 : 67%

20. 내륙컨테이너기지(ICD)의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2년 08월)
     1. 수출입 통관업무
     2. 선박 적하, 양하기능
     3. 집화, 분류기능
     4. 장치, 보관기능
     5. 육상운송 수단과의 연계기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다음 중 포장의 표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소매점 진열대 이용 효율 향상으로 판매효율을 향상시킨다.
     2. 포장 표준화의 4대 요소는 치수, 강도, 기법, 가격의 표준화이다.
     3. 종합유통원가를 절감시켜 수출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4. 일정한 로트에서 더 많은 생산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5. 표준가격에 의해서 하역비를 쉽게 산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 포장재료의 표준화
2. 포장기법의 표준화
3. 포장치수의 표준화
4. 포장강도의 표준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다음은 L사의 연도별 휴대전화 판매량을 나타낸 것이다. 2021년 휴대전화 수요를 예측한 값으로 옳은 것은? (단, 단순이동평균법의 경우 이동기간(n)은 3년 적용, 가중이동평균법의 경우 가중치는 최근 연도로부터 0.5, 0.3, 0.2 을 적용, 지수평활법의 경우 평활상수(α)는 0.4를 적용, 모든 예측치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2021년 07월)

    

     1. ㄱ: 32.7, ㄴ: 34.4, ㄷ: 38.2
     2. ㄱ: 34.9, ㄴ: 34.4, ㄷ: 37.2
     3. ㄱ: 35.7, ㄴ: 34.9, ㄷ: 38.2
     4. ㄱ: 35.7, ㄴ: 35.9, ㄷ: 36.9
     5. ㄱ: 35.7, ㄴ: 35.9, ㄷ: 38.2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단순이동평균법: (3년의 합)/3
(36+34+37)/3 = 35.66 -> 반올림 35.7

*가중이동평균법: (2020년*0.5)+(2019년*0.3)+(2018년*0.2)
(37*0.5)+(34*0.3)+(36*0.2) = 35.9

*지수평활법: (전년도 수요예측치*(1-04))+(전년도 실제판매량*0.4)
(39*0.6)+(37*0.4) = 38.2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23. 일반적으로 물류센터의 규모를 계획할 경우 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2014년 06월)

    

     1. ㄴ → ㅁ → ㄷ → ㄹ → ㄱ
     2. ㄴ → ㅁ → ㄹ → ㄷ → ㄱ
     3. ㄹ → ㄷ → ㅁ → ㄴ → ㄱ
     4. ㅁ → ㄴ → ㄹ → ㄷ → ㄱ
     5. ㅁ → ㄹ → ㄷ → ㄱ → ㄴ

     정답 : []
     정답률 : 18%

24. 제품상자의 크기가 가로 25 cm, 세로 50 cm, 높이 20 cm이다. 이를 T-11형 표준규격 파렛트에 평면적을 최대한 많이 활용하여 적재할 수 있는 파렛트 적재방법과 적재율은 약 얼마인가? (단, 적재율은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2014년 06월)
     1. 핀휠 적재, 75%
     2. 핀휠 적재, 78%
     3. 스플릿 적재, 81%
     4. 스플릿 적재, 83%
     5. 블록 적재, 85%

     정답 : []
     정답률 : 18%

25. 재고관리의 장점이 아닌 것은?(2021년 07월)
     1. 실제 재고량 파악
     2.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
     3. 상품 공급의 지연(delay)
     4. 가용 제품 확대를 통한 고객서비스 달성
     5. 수요와 공급의 변동성 대응

     정답 : []
     정답률 : 92%

26. 창고 운영형태별 장ㆍ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자가창고는 기계화 설비를 도입하여 생력화하는 데에 유리하다.
     2. 자가창고는 계절적 수요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3. 영업창고를 이용하면 비용 지출이 명확해지는 장점이 있다.
     4. 영업창고를 이용하면 입지 선정이 용이하다.
     5. 리스창고를 이용하면 낮은 임대요율로 보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지만 보관장소를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47%

27. 일일 수요가 정규분포를 따르며 평균이 5, 표준편차가 3, 리드타임이 2일인 제품이 있다. 수요가 불확실한 상태에서 서비스 수준이 95%(표준정규분포값은 1.645) 일 때, 안전재고량은? (단, √2 = 1.414, √3 = 1.732, √4 = 2, √5 = 2.236 이며,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2011년 08월)
     1. 5
     2. 7
     3. 9
     4. 12
     5. 1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수요의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제품의 완성을 뒤로 미루어 물류센터에서 출고 직전에 간단한 조립이나 패키징을 하는 것은?(2012년 08월)
     1. ATP(Available to Promise)
     2. VMI(Vendor Managed Inventory)
     3. Cross-docking
     4. Postponement
     5. SAM(Sales Agent Model)

     정답 : []
     정답률 : 77%

29. 효율적인 재고관리와 물류운영 최적화를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2011년 08월)
     1. 보관시설의 설계
     2. 제품의 품질
     3. 운반경로의 예측
     4. 정확한 수요의 예측
     5. 적정 서비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다음이 설명하는 파렛트 적재방식은?(2021년 07월)

    

     1. ㄱ: 블록적재방식, ㄴ: 교대배열적재방식
     2. ㄱ: 블록적재방식, ㄴ: 벽돌적재방식
     3. ㄱ: 교대배열적재방식, ㄴ: 스플릿적재방식
     4. ㄱ: 스플릿적재방식, ㄴ: 벽돌적재방식
     5. ㄱ: 스플릿적재방식, ㄴ: 교대배열적재방식

     정답 : []
     정답률 : 82%

31. 랙(Rack)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7월)
     1. 적층 랙(Mezzanine Rack): 소품종 대량 입출고될 수 있는 물품 보관에 적합하고 적재 공간을 지게차 통로로 활용하여 적재 효율은 높으나 선입후출(先入後出)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2. 모빌 랙(Mobile Rack): 레일을 이용하여 직선적으로 수평 이동되는 랙으로 통로를 대폭 절약할 수 있어 다품종 소량의 보관에 적합하다.
     3. 플로 랙(Flow Rack): 피킹시 피커를 고정하고 랙 자체가 회전하는 형태로 다품종 소량물품과 가벼운 물품에 많이 이용된다.
     4. 회전 랙(Carousel Rack): 외팔지주걸이 구조로 기본 프레임에 암(Arm)을 결착하여 물품을 보관하는 랙으로 파이프, 가구, 목재 등의 장척물 보관에 적합하다.
     5. 드라이브 인 랙(Drive-in Rack): 천정이 높은 창고에서 복층구조로 겹쳐 쌓는 방식으로 물품의 보관 효율과 공간 효용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61%

32. 물류센터에서 사용하는 DAS(Digital Assorting System)와 DPS(Digital Picking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DAS는 물품을 주문별로 분배하는 파종식이며, DPS는 주문별로 피킹하는 채취식으로 볼 수 있다.
     2. DPS는 소품종 다량화물 및 피킹빈도가 낮은 화물의 피킹에 유리하다.
     3. DAS는 보관장소와 주문별 분배장소가 별도로 필요하다.
     4. DPS는 품목 증가 및 변경에도 정확히 피킹할 수 있다.
     5. DPS는피킹의 신속성과정확성을향상시킬 수있다.

     정답 : []
     정답률 : 28%

33. 로케이션 관리방법 중에서 일정한 범위(위치)를 한정하여 특정 품목군을 보관하되, 그 범위내에서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방식은?(2010년 08월)
     1. 프리 로케이션(Free Location)
     2. 고정 로케이션(Fixed Location)
     3. 임의 로케이션(Random Location)
     4. 할당 로케이션(Dedicated Location)
     5. 구역 로케이션(Zone Location)

     정답 : []
     정답률 : 73%

34. 물류모듈화를 위해 파렛트화 된 화물과 정합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은?(2024년 08월)
     1. 랙(rack)
     2. 해상용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3. 파렛트 트럭
     4. 컨테이너(container)
     5. 운반승강기

     정답 : []
     정답률 : 65%

35. 물류업체 A사의 회당 주문비용은 2배, 단위당 연간 재고유지비용은 4배로 변하였다면 경제적 주문량(EOQ: Economic Order Quantity)모형에서 연간 주문비용은 기존의 연간 주문비용에 비해 어떻게 변하는가? (단, 나머지 조건은 모두 동일하고, √2 = 1.414 이며, 답은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2016년 07월)
     1. 41% 감소
     2. 변화없음
     3. 41% 증가
     4. 100% 증가
     5. 183% 증가

     정답 : []
     정답률 : 11%
     <문제 해설>
변하기 전 기존 회당 주문비용을 S, 기존 연간 수요량을 D, 기존 단위당 연간 재고유지비용을 H,
기존 경제적 주문량을 Q, 기존 연간 주문비용을 P라고 해보자.

경제적 주문량(EOQ)공식에 따르면, Q = √{(2*S*D)/H}
변한 경제적 주문량: Q' = √{(2*2*S*D)/4*H} = Q/√2

기존 연간 주문비용: P = (D/Q)*S
변한 연간 주문비용: P' = (D/Q')*2S = (D/Q/√2)*2S = 2√2*(D/Q)*S = 2√2*P = 2.828P

P' - P = 2.828P - P = 1.828P, 따라서 183% 증가하였다.
[해설작성자 : 망고]

36. 포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포장의 간소화로 포장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포장은 생산의 마지막 단계이며, 물류의 시작단계에 해당된다.
     3.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르면 포장은 낱포장(Item packaging), 속포장(Inner packaging), 겉포장(Outer packaging)으로 분류된다.
     4. 상업포장은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물류비를 절감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5. 반강성포장(Semi-rigid packaging)의 포장재료는 골판지상자, 접음상자, 플라스틱 보틀 등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상업 포장: 내용물을 보호하고 상품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하는 포장
[해설작성자 : 김문악]

37.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리치 스태커(Reach Stacker)는 장비의 회전 없이 붐에 달린 스프레더만을 회전하여 컨테이너를 이적 또는 하역하는 장비이다.
     2. 무인운반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은 무인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장비이다.
     3. 야드 트랙터(Yard Tractor, Y/T)는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이동ㆍ운송하는데 사용되는 이동장비로서 일반 도로 운행이 가능한 장비이다.
     4.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마샬링 야드로부터 에이프런 또는 CY지역으로 운반 및 적재할 경우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5. 윈치크레인(Winch Crane)은 차체를 이동 및 회전시키면서 컨테이너트럭이나 플랫 카(Flat Car)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장비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컨테이너 부두 내에서만 운행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김문악]

38. 파렛트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기둥 파렛트(Post Pallet): 상부구조물이 없는 파렛트와 달리 상부에 기둥이 있는 파렛트로 기둥은 고정식, 조립식, 접철식, 연결 테두리식이 있다.
     2. 롤 상자형 파렛트(Roll Box Pallet): 받침대 밑면에 바퀴가 달린 롤 파렛트 중 상부구조가 박스인 파렛트로 최근에는 배송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3. 사일로 파렛트 (Silo Pallet): 액체를 담는데 사용되며 밀폐된 상측면과 뚜껑을 가지며 하부에 개폐장치가 있는 상자형 파렛트이다.
     4. 시트 파렛트(Sheet Pallet): 1회용 파렛트로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가격이 저렴하고 가벼우나 하역을 위하여 Push-Pull 장치를 부착한 포크리프트가 필요하다.
     5. 스키드 파렛트 (Skid Pallet): 포크리프트나 핸드리프트로 하역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단면형 파렛트이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3. 탱크 파렛트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39. 구매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집중구매방식(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은 일반적으로 대량구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격 및 거래조건이 유리하다.
     2. 분산구매방식(De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은 사업장별 구매가 가능하여 각 사업장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 쉽다.
     3. 집중구매방식(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은 구매절차 표준화가 용이하며, 자재의 긴급조달에 유리하다.
     4. 분산구매방식(De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은 주로 사무용 소모품과 같이 구매지역에 따라 가격 차이가 없는 품목의 구매에 이용된다.
     5. 집중구매방식(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은 절차가 복잡한 수입물자 구매등에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80%

40. 파렛트(Pallet)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7월)
     1. 롤 파렛트(Roll Pallet)는 파렛트 바닥면에 바퀴가 달려 있어 자체적으로 밀어서 움직일 수 있다.
     2. 시트 파렛트(Sheet Pallet)는 핸드리프트 등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상자형 파렛트이다.
     3. 스키드 파렛트(Skid Pallet)는 상부구조물이 적어도 3면의 수직측판을 가진 상자형 파렛트이다.
     4. 사일로 파렛트(Silo Pallet)는 파렛트 상단에 기둥이 설치된 형태로 기둥을 접거나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5. 탱크 파렛트는(Tank Pallet)는 주로 분말체의 보관과 운송에 이용하는 1회용 파렛트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4. 사일로파렛트 : 주로 "분립체"를 담는 데 사용되고 밀폐된 상측면과 뚜껑을 가지며 하부에 개폐장치가 있는 상자형 파렛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시트 파렛트 :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1회용 파렛트. 가격이 저렴하고 가벼우나 하역을 위해 push-pull 장치를 부착한 포크리프트 필요
스키드 파렛트 : 포크리프트나 핸드리프트로 하역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단면형 파렛트
탱크 파렛트 : 주로 오일, 액체, 유류 운반 및 적재용으로 사용
[해설작성자 : ㅇㅅ]

41. 「물류정책기본법」상 청문을 실시하여야 하는 처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물류관리사 자격의 취소
     2. 인증우수물류기업에 대한 인증의 취소
     3. 국제물류주선업자에 대한 사업의 전부 정지
     4. 지정심사대행기관의 지정취소
     5. 우수녹색물류실천기업의 지정취소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제47조제1항에 따른 국제물류주선업자에 대한 등록의 취소
[해설작성자 : 하늘무]

42.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이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을 위하여 하는 활동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8월)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국토교통부장관ㆍ해양수산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는 물류기업, 화주기업 또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조
제11호가목에 따른 개인 운송사업자가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행
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정 2008. 2. 29., 2013. 3. 23., 2013. 8. 6., 2020. 10. 20.>
1. 환경친화적인 운송수단 또는 포장재료의 사용
2. 기존 물류시설ㆍ장비ㆍ운송수단을 환경친화적인 물류시설ㆍ장비ㆍ운송수단으로 변경
3.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환경친화적 물류활동
[해설작성자 : 결]

43. 물류정책기본법상 지역물류현황조사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9년 07월)

    

     1. ㄱ: 전부 ㄴ: 조례 ㄷ: 조사현황
     2. ㄱ: 전부 또는 일부 ㄴ: 조례 ㄷ: 조사지침
     3. ㄱ: 일부 ㄴ: 규칙 ㄷ: 조사지침
     4. ㄱ: 전부 또는 일부 ㄴ: 규칙 ㄷ: 조사현황
     5. ㄱ: 일부 ㄴ: 조례 ㄷ: 조사내용

     정답 : []
     정답률 : 64%

44.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도로운송 시 위험물질운송안전관리센터의 감시가 필요한 위험물질을 운송하는 차량의 최대 적재량 기준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은?(2023년 07월)

    

     1. ㄱ: 5,000, ㄴ: 5,000
     2. ㄱ: 5,000, ㄴ: 10,000
     3. ㄱ: 10,000, ㄴ: 5,000
     4. ㄱ: 10,000, ㄴ: 10,000
     5. ㄱ: 10,000, ㄴ: 20,00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위험물질 운송차량의 최대 적재량 기준(법 제29조의2 제1항, 규칙 제2조의2 제2항)
1) [위험물안전관리법]제2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위험물을 운송하는 차량-> 10,000L 이상
2) [폐기물관리법]제2조 제4호에 따른 지정폐기물을 운송하는 차량-> 10,000kg 이상
3) [화학물질관리법]제2조 제7호에 따른 유해화학물질을 운송하는 차량-> 5,000kg 이상
4)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제2조 제1항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가연성가스를 운송하는 차량-> 6,000kg 이상
5)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제2조 제1항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독성가스를 운송하는 차량-> 2,000kg 이상
[해설작성자 : 티다]

45.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정책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국가물류정책위원회는 국가물류체계의 효율화에 관한 중요 정책 사항을 심의ㆍ조정한다.
     2.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위원 중 공무원이 아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3. 국가물류정책위원회에는 5명 이내의 비상근 전문위원을 둘 수 있다.
     4.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물류정책분과위원회, 물류시설분과위원회, 국제물류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다.
     5.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위원장은 해당 분과위원회의 위원 중에서 해양수산부장관이 지명하는 사람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5. 해양수산부장관 X    -> 국토교통부 장관 O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46.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자본금 2억원 이상, 업무능력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과 자격을 갖춘 「상법」상의 주식회사를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운영자로 지정할 수 있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를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물류정책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청방법 등을 정하여 30일 이상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가 국가물류통합데이터베이스의 물류정보를 영리를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해양수산부장관ㆍ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관세청장과 협의하여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에게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 ->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운영하는 자
     물류정책분과위원회 -> 물류시설분과위원회

* 지정절차
-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운영하는 자를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청방법 등을 정하여 30일 이상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지정받으려는 자는 공고가 있는 때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정신청서에 첨부서류를 갖추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지정한 때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정증을 발급하고, 그 사실을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하여야 한다.

*지정의 취소
-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 지정기준에 미달하게 된 경우
-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가 국가물류통합데이터베이스의 물류정보를 영리를 목저그오 사용한 경우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47. 물류정책기본법상 물류정보화의 촉진에 관한 일부 규정이다. ( )안에 해당될 수 없는 것은?(2015년 07월)

    

     1. 관세청장
     2. 국토교통부장관
     3. 기획재정부장관
     4. 해양수산부장관
     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43%

48. 유통단지개발촉진법령상 유통단지에 설치하는 유통시설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8월)
     1. 공동집배송센터
     2. 농수산물도매시장
     3. 농수산물산지유통센타
     4. 화물터미널
     5. 보세창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등록을 할 수 없는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것은?(2024년 08월)
     1.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벌금형을 선고받은 후 3년이 된 자
     2.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금고형을 선고받은 후 1년이 된 자
     3.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징역형을 선고받은 후 2년6개월이 된 자
     4. 법인으로서 그 임원이 아닌 직원 중에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가 있는 경우
     5. 법인으로서 그 임원 중에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금고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종료 후 1년이 된 자가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번호.) (기준년도) (<,=,>) (문제년도)
1. 2년 < 3년 / 2. 2년 > 1년 / 3. 2년 < 2년6개월 / 4. 임원만 해당. 직원은 관계없음 / 5. 유예기간이 종류 되면 상관없음

* 등록의 결격사유
1.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은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2. 복합물류터미널사업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3. 법인으로서 그 임원 중에서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있는 경우
    - 피성년후견인 또는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자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50.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 실수요 검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물류단지 실수요 검증을 실시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 또는 시ㆍ도에 각각 실수요검증위원회를 둔다.
     2. 도시첨단물류단지개발사업의 경우에는 실수요 검증을 실수요검증위원회의 자문으로 갈음할 수 있다.
     3. 실수요검증위원회의 위원장 및 부위원장은 공무원이 아닌 위원 중에서 각각 호선(互選)한다.
     4. 실수요검증위원회의 심의결과는 심의ㆍ의결을 마친 날부터 14일 이내에 물류단지 지정요청자등에게 서면으로 알려야 한다.
     5. 실수요검증위원회의 회의는 분기별로 2회 이상 개최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분기별 1회 이상, 필요시 수시로
[해설작성자 : 솜냥]

실수요검증위원회를 분기별 1회 이상 개최하던 것을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수시로 개정[개정 2025. 4. 1.]
[해설작성자 : 한 번에 붙자!]

51.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 사업의 등록을 하려는 자가 등록신청서에 첨부할 서류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등록기준에 적합함을 증명하는 서류
     2. 복합물류터미널의 부지 및 설비의 배치를 표시한 축척 500분의 1 이상의 평면도
     3. 복합물류터미널의 토지 소유권 또는 사용권, 운영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4. 신청인이 외국인투자기업인 경우에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
     5. 신청인(법인의 경우 그 임원)이 외국인인 경우에는 등록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을 증명하는 해당국가의 정부나 그 밖의 권한 있는 기관이 발행한 서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휴업ㆍ폐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일부를 휴업하려는 때에는 휴업 후 7일 이내에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휴업기간은6개월을 초과할 수 없다.
     3.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사업의 일부를 휴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그 취지를 영업소나 그 밖에 일반 공중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4.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전부를 휴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5.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인 법인이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에는 청산인(파산에 따라 해산한 경우에는 파산관재인을 말함)은 지체 없이 그 사실을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이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듣고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의 수립
     2. 물류단지관리계획의 수립
     3. 물류단지의 지정
     4. 물류단지개발지침의 작성
     5. 물류단지관리지침의 작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터미널 개발의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6월)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물류터미널의 건설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지분의 50% 이상을 확보하는 조건으로 소요자금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도로ㆍ철도ㆍ용수시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반시설의 설치 또는 개량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수 있다.
     3.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물류터미널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소요자금 전부의 예치를 조건으로 부지의 확보를 위한 행정지원을 할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도로ㆍ철도ㆍ용수시설 등 기반시설의 설치 또는 개량에 필요한 예산을 전액 부담하여야 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사업의 필요에 의하여 부지확보 및 도시ㆍ군계획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5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의 내용으로 ( )안에 알맞은 것은?(순서대로 a, b)(2009년 08월)

    

     1. 100분의 3, 1년
     2. 100분의 5, 1년
     3. 100분의 7, 1년
     4. 100분의 10, 2년
     5. 100분의 15, 2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6.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우선적으로 지원하여야 하는 기반시설로 명시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7월)

    

     1.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단지의 원활한 개발을 위해 필요한 도로.철도.항만.용수시설 등 다음 기반시설의 설치를 우선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1 도로.철도 및 항만시설
2 용수공급시설 및 통신시설
3 하수도시설 및 폐기물처리시설
4 물류단지 안의 공동구
5 집단에너지공급시설
6 그밖에 ~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 유수지 및 광장
[해설작성자 : ㅇㅅ]

57.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주가 밴형화물자동차에 함께 탈 때의 화물은 여객자동차 운송사업용 자동차에 싣기 부적합한 것으로서 중량, 용적, 형상 등이 일정한 기준에 해당되어야 한다. 그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화주 1명당 화물의 중량이 10킬로그램 이상일 것
     2. 화주 1명당 화물의 용적이 4만 세제곱센티미터 이상일 것
     3. 불결하거나 악취가 나는 농산물ㆍ수산물 또는 축산물일 것
     4. 기계ㆍ기구류 등 공산품일 것
     5. 폭발성ㆍ인화성 또는 부식성 물품일 것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8.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7월)
     1. 운송사업자가 화물자동차의 대폐차에 관한 사항을 변경하려면 국토교통부장관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한다.
     2. 개인 운송사업자는 주사무소 외의 장소에서 상주하여 영업하려면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영업소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임시허가를 받은 자가 허가 기간 내에 다른 운송사업자와 위ㆍ수탁계약을 체결하지 못하고 임시허가 기간이 만료된 경우 3개월 내에 화물자동차 운송사업허가를 신청할 수 있다.
     4.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증차를 수반하는 변경허가에는 조건 또는 기한을 붙일 수 없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운송사업자가 사업정지처분을 받은 경우에도 주사무소를 이전하는 변경허가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손해배상에 대한 운송사업자의 책임이나 분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국토해양부장관은 손해배상에 관하여 화주가 요청하면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에 관한 분쟁을 조정할 수 있다.
     2. 화물이 인도기한이 지난 후 1개월 이내에 인도되지 아니하면 그 화물은 멸실된 것으로 본다.
     3. 당사자 쌍방이 조정안을 수락하면 당사자 간에 조정안과 동일한 합의가 성립된 것으로 본다.
     4. 국토해양부장관은 화주가 분쟁조정을 요청하면 지체 없이 그 사실을 확인하고 손해내용을 조사한 후 조정안을 작성하여야 한다.
     5. 화물의 멸실ㆍ훼손 또는 인도의 지연으로 발생한 운송사업자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하여는 상법을 준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의 허가기준에 관한 사항
     2.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의 법인의 합병
     3. 화물자동차 공제사업의 분담금의 분담비율
     4.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자의 운송약관
     5.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의 요금과 운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1.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보험등 의무가입자인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자는 각 화물자동차별로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여야 한다.
     2. 이사화물운송만을 주선하는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자는 사고 건당 2천만원 이상의 금액을 지급할 책임을 지는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여야 한다.
     3.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 중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피견인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운송사업자는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여야 하는 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4. 보험등 의무가입자 및 보험회사등은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가 취소된 경우 책임보험계약등을 해제하거나 해지할 수 없다.
     5.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지 아니한 보험등 의무가입자는 형벌 부과 대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각 화물차 별(x) 각 사업자 별(o)
2. 이사화물운송만 주선 시 건당 2000(x)건당 500(o)
4. 해지할 수 없다.(x) 해지 할 수 있다(o)
5. 형벌(x) 과태료(o) *500이하
[해설작성자 : 늑대물류]

62.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차량충당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7월)
     1. 신규등록에 충당되는 화물자동차는 차령이 2년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연한 이내여야 한다.
     2. 제작연도에 등록된 화물자동차의 차량충당 연한의 기산일은 제작연도의 말일이다.
     3. 부득이한 사유가 없는 한 대폐차 변경신고를 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대폐차하여야 한다.
     4. 대폐차의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하여 국토교통부령으로 규정한 사항 외에 필요한 세부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차량충당조건에 대하여 2014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5년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 2년 -> 3년의 범위
2. 삭제
3. 30일 -> 15일 이내 대폐차,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6개월 이내
5. 5년 -> 3년마다 검토
[해설작성자 : Yadon_]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제작연도의말일 >>> 최초의 신규 등록일
[해설작성자 : 시대 보고 적는]

63.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7월)
     1. 최대 적재량이 3톤이고 총 중량이 5톤인 화물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운송사업자는 적재물배상 책임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2. 이사화물을 취급하는 운송주선사업자는 운송사업자의 책임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3.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가 취소된 경우에도 책임보험계약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제하거나 해지하여서는 아니 된다.
     4.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자가 감차 조치 명령을 받은 경우에도 책임보험계약등 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제하거나 해지하여서는 아니 된다.
     5. 보험회사등은 자기와 책임보험계약등을 체결하고 있는 보험등 의무가입자에게 그 계약종료일 50일 전까지 그 계약이 끝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최대 적재량 5톤 총 중량 10톤
3,4. 일부 해제, 해지 불가 경우
     - 허가 사항 변경(감차)
     - 휴업 폐업
     - 허가 취소, 감차조치 명령
     - 배상 보험 이중 가입으로 책임보험계약 해제 해지하려는 경우
     - 보험회사 파산 등 사유로 영업 계속 할수 없는 경우
5. 50일->30일
[해설작성자 : 고양이]

64.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운송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이 그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계속하려면 피상속인이 사망한 후 30일 이내에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운송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이 운송사업의 상속신고를 하면 피상속인이 사망한 날부터 신고한 날까지 피상속인에 대한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는 상속인에 대한 허가로 본다.
     3. 원칙적으로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는 해당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전부를 대상으로 한다.
     4. 국토해양부장관은 화물자동차의 지역 간 수급 균형과 화물운송시장의 안정과 질서유지를 위하여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와 합병을 제한할 수 있다.
     5.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양도ㆍ양수 신고 또는 합병신고를 하면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양수한 자는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양도한 자의 운송사업자로서의 지위를 승계하며, 합병으로 설립되거나 존속되는 법인은 합병으로 소멸되는 법인의 운송사업자로서의 지위를 승계한다.

     정답 : []
     정답률 : 28%

65.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인ㆍ허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권한위임에 관한 규정은 고려하지 않음)(2016년 07월)
     1.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의 허가를 받은 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의 허가를 받은 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국제물류주선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4.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5. 운수사업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업종별로 공제조합을 설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 시도지사의 허가이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시도지사의 등록임
[해설작성자 : 요구르트]

66. 항만운송사업법령상 선적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그 화물의 용적 또는 중량을 계산하거나 증명하는 일은?(2011년 08월)
     1. 검수
     2. 감정
     3. 검량
     4. 보증
     5. 확인

     정답 : []
     정답률 : 80%

67.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사업약관에 기재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7년 08월)
     1. 철도운임ㆍ요금의 수수 또는 환급에 관한 사항
     2. 화물의 인도ㆍ인수ㆍ보관 및 취급에 관한 사항
     3. 운송책임 및 배상에 관한 사항
     4. 철도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사항
     5. 여객의 금지행위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등의 개설등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대규모점포를 개설하려는 자는 영업을 시작하기 전에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상권영향평가서 및 지역협력계획서를 첨부하여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2.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개설등록을 하려는 대규모점포등의 위치가 전통상업보존구역에 있을 때에는 등록을 제한하거나 조건을 붙일 수 있다.
     3.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개설등록하려는 점포의 소재지로부터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거리 이내의 범위 일부가 인접 특별자치시ㆍ시ㆍ군ㆍ구에 속하여 있는 경우 인접지역의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개설 등록을 신청 받은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4. 대규모점포등개설등록신청서를 제출받은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별도의 서류확인절차 없이 그 신청에 따라 등록하여야 한다.
     5.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대규모점포등의 개설등록을 한 때에는 그 신청인에게 대규모점포등개설등록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확인절차 있어야함
[해설작성자 : 합격제발]

69.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의 등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8월)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ㄱ. 시ㆍ도지사 ->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
ㄴ. 개설등록 당시의 매장면적보다 10분의 1 이상 증가한 경우
[해설작성자 : Yadon_]

70. 다음 시장과 매장 중에 유통산업발전법의 적용을 받는 것은?(2007년 08월)
     1. 대형마트의 농수산물소매매장
     2. 농수산물도매시장
     3. 민영농수산물도매시장
     4.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5. 축산법 제27조의 규정에 의한 가축시장

     정답 : []
     정답률 : 20%

71.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4년 06월)
     1. 우수도매배송서비스사업자
     2. 우수체인사업자
     3. 물류설비인증기관
     4. 공동집배송센터
     5. 유통연수기관

     정답 : []
     정답률 : 14%

72.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관련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5년 07월)
     1. 항만용역업
     2. 선용품공급업
     3. 선박연료공급업
     4. 컨테이너수리업
     5. 선적화물검수업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분쟁 조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유통분쟁조정신청을 받은 경우 신청일부터 3일 이내에 신청인외의 관련 당사자에게 분쟁의 조정신청에 관한 사실과 그 내용을 통보하여야 한다.
     2. 유통분쟁조정위원회가 작성한 조정안을 제시받은 당사자 및 이해관계인은 그 제시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그 수락 여부를 유통분쟁조정위원회에 통보하여야 한다.
     3. 유통분쟁조정위원회의 위원 중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위촉한 소비자단체의 대표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4.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분쟁의 성질상 위원회에서 조정함이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조정을 거부할 수 있다.
     5.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동일한 시기에 동일한 사안에 대하여 다수의 분쟁조정이 신청된 경우에는 그 다수의 분쟁조정신청을 통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2. 15일이내
[해설작성자 : 홈즈hz]

74.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시설운영자등이 부두운영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사유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항만법」에 따른 항만재개발사업의 시행 등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항만시설등을 부두운영회사에 계속 임대하기 어려운 경우
     2. 항만시설등이 멸실되어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3.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임대료를 2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4.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분할 운영 금지 등 금지행위를 하여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5.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효율적인 사용 및 운영 등을 위하여 항만시설운영자등과 해양수산부장관이 협의한 사항을 정당한 사유 없이 이행하지 아니하여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 3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해설작성자 : fff]

75. 철도사업법령상 사업계획을 변경하려는 철도사업자가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06월)
     1. 철도사업약관을 변경하는 경우
     2. 철도이용수요가 적어 수지균형의 확보가 극히 곤란한 벽지 노선의 철도여객운송서비스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
     3. 여객열차의 운행구간을 변경하는 경우
     4. 사업용철도노선별로 여객열차의 정차역을 신설 또는 폐지하는 경우
     5. 사업용철도노선별로 여객열차의 정차역을 10분의 2 이상 변경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번같은 경우는 그냥 신고만 하면됩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76. 「철도사업법」상 철도사업자의 '철도화물 운송에 관한 책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철도사업자의 화물의 멸실ㆍ훼손 또는 인도의 지연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에 관하여는 「상법」 제135조를 준용한다.
     2. 철도사업자가 화물의 인도에 관한 주의를 게을리하여 화물이 멸실된 경우에 철도사업자는 그에 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3. 철도사업자가 화물의 수령에 관한 주의를 게을리하여 화물이 훼손된 경우에 철도사업자는 그에 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4. 철도사업자의 사용인이 화물의 보관에 관한 주의를 게을리하여 화물이 훼손된 경우에 철도사업자는 그에 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없다.
     5. 철도사업자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때에 화물이 인도 기한을 지난 후 3개월 이내에 인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화물은 멸실된 것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운송물의 수령, 인도, 보관 및 운송에 관하여,
운송물의 멸실, 훼손 또는 연착으로 인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하늘무]

77. 철도사업법령상 부가운임의 징수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2011년 08월)

    

     1. 20, 5
     2. 30, 5
     3. 30, 15
     4. 50, 15
     5. 50, 20

     정답 : []
     정답률 : 55%

78. 철도사업법령상 점용허가의 신청 및 점용허가기간에 있어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허가받은 기간을 연장할 경우에는 연장할 때마다 해당되는 시설물 별로 규정되어 있는 점용허가기간을 초과할 수 없다.
     2. 점용허가를 받은 자가 점용허가기간의 연장을 받기 위하여 다시 점용허가를 신청하고자 하는 때에는 종전의 점용허가기간 만료예정일 3월 전까지 점용허가신청서를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철골조ㆍ철근콘크리트조ㆍ석조 또는 이와 유사한 견고한 건물의 축조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의 점용허가기간은 30년이다.
     4. 건물 그 밖의 시설물을 설치하는 경우 그 공사에 소요되는 기간은 이를 점용허가기간에 산입한다.
     5. 건물 외의 공작물의 축조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의 점용허가기간은 5년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9.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도매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시가 지방도매시장을 개설하려면 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도매시장법인이 다른 도매시장법인을 인수하거나 합병하는 경우에는 해당 도매시장 개설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중앙도매시장의 개설자는 양곡부류와 수산부류에 대하여는 도매시장법인을 두어야 한다.
     4. 시가 개설하는 지방도매시장의 개설구역에 인접한 구역으로서 그 지방도매시장이 속한 도의 일정 구역에 대하여는 해당 도지사가 그 지방도매시장의 개설구역으로 편입하게 할 수 있다.
     5. 지방도매시장의 개설자인 시가 업무규정을 변경하는 때에는 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도매시장(이하 '도매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8월)
     1. 산지유통인으로 등록한 자는 등록된 도매시장에서 농수산물의 출하업무 외에 중개업무를 병행할 수 있다.
     2. 도매시장에서 도매시장법인이 하는 도매는 법령이 정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출하자로부터 매수하여 도매하여야 한다.
     3. 중도매인은 도매시장법인이 상장한 농수산물은 거래할 수 없다.
     4. 시장도매인은 도매시장에서 농수산물을 매수 또는 위탁받아 도매할 수 있으나, 매매를 중개하는 것은 금지된다.
     5. 시장도매인은 해당 도매시장의 도매시장법인ㆍ중도매인에게 농수산물을 판매하지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0%


정 답 지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27173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보관하역론


1. 다음 중 집중구매방식의 장점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7월)

   

     1. ㄱ, ㄴ, ㄷ
     2. ㄱ, ㄷ, ㅁ
     3. ㄴ, ㄹ, ㅂ
     4. ㄱ, ㄷ, ㄹ, ㅂ
     5. ㄱ, ㄷ, ㄹ, ㅁ, ㅂ

     정답 : []
     정답률 : 58%

2. 다음 설명 중 보관과 관련된 원칙과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8월)
     1. 표준품은 형상에 따라 보관하고 비표준품은 랙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상품의 수명주기(Life Cycle)가 짧아 단기간 내에 상품가치가 없어질 우려가 있는 상품 등은 먼저 입고된 상품을 먼저 출고한다는 원칙을 적용한다.
     3. 물품의 입고와 출고를 용이하게 하고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통로면에 보관하는 것이 창고내 레이아웃 설계의 기본 원칙이다.
     4. 중량물은 마루나 하층부에 보관하고 경량물은 상층부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5. 물품의 정리와 출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관련 품목을 한 장소에 모아서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제품을 보관하기 위해 필요한 창고의 바닥 면적(m2 )은?(2014년 06월)

   

     1. 500
     2. 600
     3. 750
     4. 1,000
     5. 2,000

     정답 : []
     정답률 : 14%

4.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방식은 안벽과 야드간의 컨테이너 이송에 사용되는 장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무엇인가?(2008년 08월)
     1. 샤시 방식(Chassis System)
     2.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Straddle Carrier System)
     3. 트랜스테이너 방식(Transtainer System)
     4. 혼합 방식(Mixed System)
     5. 무인이송차량 방식(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다음은 물류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지역별 물류 관련 비용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위:천원)(2010년 08월)

   

     1. 연간 물동량이 10톤인 경우 총비용면에서 가장 유리한 물류단지는 B지역이다.
     2. 연간 물동량이 50톤인 경우 총비용면에서 가장 유리한 물류단지는 C지역이다.
     3. 연간 물동량이 100톤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총 비용면에서 가장 유리한 물류단지는 B지역이다.
     4. 총비용을 산출할 때 연간 물동량이 많아질수록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고정비 부분이다.
     5. 연간 물동량이 계속 증가한다고 예측되는 경우 총 비용면에서 가장 유리한 물류단지는 A지역이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2 - 물동량이 낮을 수록 고정비가 낮은 입지에 물류단지를 건설해야 유리함.
3 - 물동량 100톤일때 총비용 a=14350 b=18500 c=16150 이므로 가장 유리한 지역은 a임
4 - 물동량이 많아질수록 변동비 부분이 중요함

6. 다음이 설명하는 물류시설의 민간투자사업 방식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8년 07월)

   

     1. ㄱ: BTL(Build Transfer Lease), ㄴ: BTO(Build Transfer Operate)
     2. ㄱ: BTO(Build Transfer Operate), ㄴ: BOO(Build Own Operate)
     3. ㄱ: BOT(Build Operate Transfer), ㄴ: BTL(Build Transfer Lease)
     4. ㄱ: BOO(Build Own Operate), ㄴ: BTL(Build Transfer Lease)
     5. ㄱ: BTO(Build Transfer Operate), ㄴ: BTL(Build Transfer Lease)

     정답 : []
     정답률 : 73%

7. 항공화물 탑재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살화물 탑재방식은 개별화물을 항공전용 컨테이너에 넣은 후 언로더(Unloader)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방식이다.
     2. 살화물 탑재방식은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작업해야 하는 화물탑재에 적합한 방식이다.
     3. 살화물 탑재방식에서는 트랙터(Tractor)와 카고 카트(Cargo Cart)가 주로 사용된다.
     4. 파렛트 탑재방식은 기본적인 항공화물 취급 방법이며, 파렛트화된 화물을 이글루(Igloo)로 씌워서 탑재하는 방식이다.
     5. 컨테이너 탑재방식은 항공기 내부구조에 적합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언로더는 항만에서 사용하는 기중기 종류이며, 언로더(X) -> 하이리프트로드(O)로 하면 답이 됨.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살화물 적재방식(Bulk Loading): 개별화물을 인력으로 직접 적재하는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나 적재효율을 높이기 쉬운 방법

Bulk Cargo(살화물 (撒貨物)): 단위화되지 않고 재래방식으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는 화물(곡물, 광석, 석탄, 당밀, 유류 등)을 살화물이라 한다.

1번 문장 자체가 전부 틀렸습니다. 컨테이너에 넣지 않고, 항공화물은 언로더와 관련도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용도에 따른 컨테이너 분류 중 온도관리가 가능한 화물수송용 컨테이너는?(2012년 08월)
     1. 서멀 컨테이너(Thermal Container)
     2. 드라이벌크 컨테이너(Dry Bulk Container)
     3. 오픈톱 컨테이너(Open Top Container)
     4. 플랫폼 컨테이너(Platform Container)
     5. 플랫 랙 컨테이너(Flat Rack Container)

     정답 : []
     정답률 : 54%

9. 다음은 각 수요지의 수요량과 위치좌표를 나타낸 것이다. 무게중심법에 의한 신규 배송센터의 최적의 입지좌표는? (단, 배송센터로의 공급은 고려하지 않음)(2024년 08월)

   

     1. X: 52, Y: 40
     2. X: 72, Y: 52
     3. X: 80, Y: 72
     4. X: 86, Y: 70
     5. X: 92, Y: 86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X = (20*200)+(60*100)+(80*200)+(120*500)/1000 = 86
Y = (40*200)+(20*100)+(50*200)+(100*500)/1000 = 70
[해설작성자 : 손서방]

10. 임대 파렛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표준 파렛트 도입이 가능하다.
     2. 초기 고정투자비가 적게 든다.
     3. 비수기의 양적 조절이 가능하다.
     4. 파렛트 풀 시스템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5. 업체간 이동시 회수가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54%

11. 물류시설 및 물류단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CY(Container Yard)는 수출입용 컨테이너를 보관ㆍ취급하는 장소이다.
     2. CFS(Container Freight Station)는 컨테이너에 LCL(Less than Container Load) 화물을 넣고 꺼내는 작업을 하는 시설과 장소이다.
     3. 지정장치장은 통관하고자 하는 물품을 일시 장치하기 위해 세관장이 지정하는 구역이다.
     4. 통관을 하지 않은 내국물품을 보세창고에 장치하기 위해서는 항만법에 근거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5.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와 CY(Container Yard)는 부두 외부에도 위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통관을 하지 않은 내국물품을 보세창고에 장치하기 위해서는 관세법에 근거하여 해당 세관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똘딴]

제183조(보세창고)
① 보세창고에는 외국물품이나 통관을 하려는 물품을 장치한다.
② 운영인은 미리 세관장에게 신고를 하고 제1항에 따른 물품의 장치에 방해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보세창고에 내국물품을 장치할 수 있다.

-> 관세법, 세관장, 신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물류센터 건설의 업무 절차를 물류거점 분석, 물류센터 설계 그리고 시공 및 운영 등 단계별로 시행하려고 한다. 물류거점 분석 단계에서 수행하는 활동이 아닌 것은?(2022년 08월)
     1. 지역 분석
     2. 하역장비 설치
     3. 수익성 분석
     4. 투자 효과 분석
     5. 거시환경 분석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 하역장비 설치 시공 => 시공 및 운영단계
[해설작성자 : 늑대물류]

13. 3개의 제품(A~C)을 취급하는 1개의 창고에서 기간별 사용공간이 다음 표와 같다. (ㄱ)임의위치저장(Randomized Storage)방식과 (ㄴ)지정위치저장(Dedicated Storage)방식으로 각각 산정된 창고의 저장소요공간(m2)은?(2022년 08월)

    

     1. ㄱ: 51, ㄴ: 51
     2. ㄱ: 51, ㄴ: 67
     3. ㄱ: 67, ㄴ: 89
     4. ㄱ: 89, ㄴ: 94
     5. ㄱ: 94, ㄴ: 89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ㄱ.임의위치저장 => 기간별로 A,B,C 합계 중 가장 큰 것
ㄴ.지정위치저장 => A,B,C 중에 가장 큰 것으로만 합계
[해설작성자 : doyeon]

14. 창고관리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창고 내의 랙(Rack)과 셀(Cell)별 재고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2. 정확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창고 내 피킹, 포장작업 등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물류작업이 가능하다.
     3. 입고 후 창고에 재고를 보관할 때, 보관의 원칙에 따라 최적의 장소를 선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4. 창고 내 물동량의 증감에 따라 작업자의 인력계획을 수립하며 모니터링 기능도 지원한다.
     5. 고객주문내역 상의 운송수단을 고려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도록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고객주문내역 상의 운송수단을 고려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은 운송관리시스템(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이다.
[해설작성자 : 1304_JH]

15. 다음 그림은 새로운 배송센터를 설립하려는 회사의 공장과 수요지를 나타낸 것이다. 수요지1과 수요지2의 수요량은 각각 15톤/월이며, 수요지3과 수요지4의 수요량은 각각 20톤/월이다. 이때 무게중심법을 이용하여 구한 배송센터의 최적 입지의 좌표(X, Y)는? (단, 소수점이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2010년 08월)

    

     1. X = 37.5, Y = 62.5
     2. X = 37.5, Y = 66.5
     3. X = 59.8, Y = 62.5
     4. X = 67.9, Y = 61.8
     5. X = 67.9, Y = 66.5

     정답 : []
     정답률 : 60%

16. 일관파렛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7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73%

17. 경제적 주문량(Economic Order Quantity) 모형의 전제조건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7월)

    

     1. ㄱ, ㄷ
     2. ㄱ, ㅁ
     3. ㄴ, ㄷ
     4. ㄴ, ㄹ
     5.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분산구매방식과 비교한 집중구매방식(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일반적으로 대량 구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요량이 많은 품목에 적합하다.
     2. 사업장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구매하기에 용이하다.
     3. 사업장별 독립적 구매에 유리하나 수량할인이 있는 품목에는 불리하다.
     4. 전사적으로 집중구매하기 때문에 가격 및 거래조건이 불리하다.
     5. 구매절차의 표준화가 가능하여 긴급조달이 필요한 자재의 구매에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79%

19. ISO의 국제표준규격 20ft와 40ft 컨테이너 내부에 각 1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T-11형 표준 파렛트 최대 개수의 합은?(2018년 07월)
     1. 24매
     2. 30매
     3. 36매
     4. 42매
     5. 48매

     정답 : []
     정답률 : 67%

20. 내륙컨테이너기지(ICD)의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2년 08월)
     1. 수출입 통관업무
     2. 선박 적하, 양하기능
     3. 집화, 분류기능
     4. 장치, 보관기능
     5. 육상운송 수단과의 연계기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다음 중 포장의 표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소매점 진열대 이용 효율 향상으로 판매효율을 향상시킨다.
     2. 포장 표준화의 4대 요소는 치수, 강도, 기법, 가격의 표준화이다.
     3. 종합유통원가를 절감시켜 수출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4. 일정한 로트에서 더 많은 생산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5. 표준가격에 의해서 하역비를 쉽게 산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 포장재료의 표준화
2. 포장기법의 표준화
3. 포장치수의 표준화
4. 포장강도의 표준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다음은 L사의 연도별 휴대전화 판매량을 나타낸 것이다. 2021년 휴대전화 수요를 예측한 값으로 옳은 것은? (단, 단순이동평균법의 경우 이동기간(n)은 3년 적용, 가중이동평균법의 경우 가중치는 최근 연도로부터 0.5, 0.3, 0.2 을 적용, 지수평활법의 경우 평활상수(α)는 0.4를 적용, 모든 예측치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2021년 07월)

    

     1. ㄱ: 32.7, ㄴ: 34.4, ㄷ: 38.2
     2. ㄱ: 34.9, ㄴ: 34.4, ㄷ: 37.2
     3. ㄱ: 35.7, ㄴ: 34.9, ㄷ: 38.2
     4. ㄱ: 35.7, ㄴ: 35.9, ㄷ: 36.9
     5. ㄱ: 35.7, ㄴ: 35.9, ㄷ: 38.2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단순이동평균법: (3년의 합)/3
(36+34+37)/3 = 35.66 -> 반올림 35.7

*가중이동평균법: (2020년*0.5)+(2019년*0.3)+(2018년*0.2)
(37*0.5)+(34*0.3)+(36*0.2) = 35.9

*지수평활법: (전년도 수요예측치*(1-04))+(전년도 실제판매량*0.4)
(39*0.6)+(37*0.4) = 38.2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23. 일반적으로 물류센터의 규모를 계획할 경우 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2014년 06월)

    

     1. ㄴ → ㅁ → ㄷ → ㄹ → ㄱ
     2. ㄴ → ㅁ → ㄹ → ㄷ → ㄱ
     3. ㄹ → ㄷ → ㅁ → ㄴ → ㄱ
     4. ㅁ → ㄴ → ㄹ → ㄷ → ㄱ
     5. ㅁ → ㄹ → ㄷ → ㄱ → ㄴ

     정답 : []
     정답률 : 18%

24. 제품상자의 크기가 가로 25 cm, 세로 50 cm, 높이 20 cm이다. 이를 T-11형 표준규격 파렛트에 평면적을 최대한 많이 활용하여 적재할 수 있는 파렛트 적재방법과 적재율은 약 얼마인가? (단, 적재율은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2014년 06월)
     1. 핀휠 적재, 75%
     2. 핀휠 적재, 78%
     3. 스플릿 적재, 81%
     4. 스플릿 적재, 83%
     5. 블록 적재, 85%

     정답 : []
     정답률 : 18%

25. 재고관리의 장점이 아닌 것은?(2021년 07월)
     1. 실제 재고량 파악
     2.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
     3. 상품 공급의 지연(delay)
     4. 가용 제품 확대를 통한 고객서비스 달성
     5. 수요와 공급의 변동성 대응

     정답 : []
     정답률 : 92%

26. 창고 운영형태별 장ㆍ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자가창고는 기계화 설비를 도입하여 생력화하는 데에 유리하다.
     2. 자가창고는 계절적 수요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3. 영업창고를 이용하면 비용 지출이 명확해지는 장점이 있다.
     4. 영업창고를 이용하면 입지 선정이 용이하다.
     5. 리스창고를 이용하면 낮은 임대요율로 보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지만 보관장소를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47%

27. 일일 수요가 정규분포를 따르며 평균이 5, 표준편차가 3, 리드타임이 2일인 제품이 있다. 수요가 불확실한 상태에서 서비스 수준이 95%(표준정규분포값은 1.645) 일 때, 안전재고량은? (단, √2 = 1.414, √3 = 1.732, √4 = 2, √5 = 2.236 이며,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2011년 08월)
     1. 5
     2. 7
     3. 9
     4. 12
     5. 1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수요의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제품의 완성을 뒤로 미루어 물류센터에서 출고 직전에 간단한 조립이나 패키징을 하는 것은?(2012년 08월)
     1. ATP(Available to Promise)
     2. VMI(Vendor Managed Inventory)
     3. Cross-docking
     4. Postponement
     5. SAM(Sales Agent Model)

     정답 : []
     정답률 : 77%

29. 효율적인 재고관리와 물류운영 최적화를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2011년 08월)
     1. 보관시설의 설계
     2. 제품의 품질
     3. 운반경로의 예측
     4. 정확한 수요의 예측
     5. 적정 서비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다음이 설명하는 파렛트 적재방식은?(2021년 07월)

    

     1. ㄱ: 블록적재방식, ㄴ: 교대배열적재방식
     2. ㄱ: 블록적재방식, ㄴ: 벽돌적재방식
     3. ㄱ: 교대배열적재방식, ㄴ: 스플릿적재방식
     4. ㄱ: 스플릿적재방식, ㄴ: 벽돌적재방식
     5. ㄱ: 스플릿적재방식, ㄴ: 교대배열적재방식

     정답 : []
     정답률 : 82%

31. 랙(Rack)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7월)
     1. 적층 랙(Mezzanine Rack): 소품종 대량 입출고될 수 있는 물품 보관에 적합하고 적재 공간을 지게차 통로로 활용하여 적재 효율은 높으나 선입후출(先入後出)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2. 모빌 랙(Mobile Rack): 레일을 이용하여 직선적으로 수평 이동되는 랙으로 통로를 대폭 절약할 수 있어 다품종 소량의 보관에 적합하다.
     3. 플로 랙(Flow Rack): 피킹시 피커를 고정하고 랙 자체가 회전하는 형태로 다품종 소량물품과 가벼운 물품에 많이 이용된다.
     4. 회전 랙(Carousel Rack): 외팔지주걸이 구조로 기본 프레임에 암(Arm)을 결착하여 물품을 보관하는 랙으로 파이프, 가구, 목재 등의 장척물 보관에 적합하다.
     5. 드라이브 인 랙(Drive-in Rack): 천정이 높은 창고에서 복층구조로 겹쳐 쌓는 방식으로 물품의 보관 효율과 공간 효용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61%

32. 물류센터에서 사용하는 DAS(Digital Assorting System)와 DPS(Digital Picking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DAS는 물품을 주문별로 분배하는 파종식이며, DPS는 주문별로 피킹하는 채취식으로 볼 수 있다.
     2. DPS는 소품종 다량화물 및 피킹빈도가 낮은 화물의 피킹에 유리하다.
     3. DAS는 보관장소와 주문별 분배장소가 별도로 필요하다.
     4. DPS는 품목 증가 및 변경에도 정확히 피킹할 수 있다.
     5. DPS는피킹의 신속성과정확성을향상시킬 수있다.

     정답 : []
     정답률 : 28%

33. 로케이션 관리방법 중에서 일정한 범위(위치)를 한정하여 특정 품목군을 보관하되, 그 범위내에서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방식은?(2010년 08월)
     1. 프리 로케이션(Free Location)
     2. 고정 로케이션(Fixed Location)
     3. 임의 로케이션(Random Location)
     4. 할당 로케이션(Dedicated Location)
     5. 구역 로케이션(Zone Location)

     정답 : []
     정답률 : 73%

34. 물류모듈화를 위해 파렛트화 된 화물과 정합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은?(2024년 08월)
     1. 랙(rack)
     2. 해상용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3. 파렛트 트럭
     4. 컨테이너(container)
     5. 운반승강기

     정답 : []
     정답률 : 65%

35. 물류업체 A사의 회당 주문비용은 2배, 단위당 연간 재고유지비용은 4배로 변하였다면 경제적 주문량(EOQ: Economic Order Quantity)모형에서 연간 주문비용은 기존의 연간 주문비용에 비해 어떻게 변하는가? (단, 나머지 조건은 모두 동일하고, √2 = 1.414 이며, 답은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2016년 07월)
     1. 41% 감소
     2. 변화없음
     3. 41% 증가
     4. 100% 증가
     5. 183% 증가

     정답 : []
     정답률 : 11%
     <문제 해설>
변하기 전 기존 회당 주문비용을 S, 기존 연간 수요량을 D, 기존 단위당 연간 재고유지비용을 H,
기존 경제적 주문량을 Q, 기존 연간 주문비용을 P라고 해보자.

경제적 주문량(EOQ)공식에 따르면, Q = √{(2*S*D)/H}
변한 경제적 주문량: Q' = √{(2*2*S*D)/4*H} = Q/√2

기존 연간 주문비용: P = (D/Q)*S
변한 연간 주문비용: P' = (D/Q')*2S = (D/Q/√2)*2S = 2√2*(D/Q)*S = 2√2*P = 2.828P

P' - P = 2.828P - P = 1.828P, 따라서 183% 증가하였다.
[해설작성자 : 망고]

36. 포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포장의 간소화로 포장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포장은 생산의 마지막 단계이며, 물류의 시작단계에 해당된다.
     3.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르면 포장은 낱포장(Item packaging), 속포장(Inner packaging), 겉포장(Outer packaging)으로 분류된다.
     4. 상업포장은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물류비를 절감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5. 반강성포장(Semi-rigid packaging)의 포장재료는 골판지상자, 접음상자, 플라스틱 보틀 등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상업 포장: 내용물을 보호하고 상품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하는 포장
[해설작성자 : 김문악]

37.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리치 스태커(Reach Stacker)는 장비의 회전 없이 붐에 달린 스프레더만을 회전하여 컨테이너를 이적 또는 하역하는 장비이다.
     2. 무인운반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은 무인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장비이다.
     3. 야드 트랙터(Yard Tractor, Y/T)는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이동ㆍ운송하는데 사용되는 이동장비로서 일반 도로 운행이 가능한 장비이다.
     4.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마샬링 야드로부터 에이프런 또는 CY지역으로 운반 및 적재할 경우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5. 윈치크레인(Winch Crane)은 차체를 이동 및 회전시키면서 컨테이너트럭이나 플랫 카(Flat Car)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장비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컨테이너 부두 내에서만 운행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김문악]

38. 파렛트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기둥 파렛트(Post Pallet): 상부구조물이 없는 파렛트와 달리 상부에 기둥이 있는 파렛트로 기둥은 고정식, 조립식, 접철식, 연결 테두리식이 있다.
     2. 롤 상자형 파렛트(Roll Box Pallet): 받침대 밑면에 바퀴가 달린 롤 파렛트 중 상부구조가 박스인 파렛트로 최근에는 배송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3. 사일로 파렛트 (Silo Pallet): 액체를 담는데 사용되며 밀폐된 상측면과 뚜껑을 가지며 하부에 개폐장치가 있는 상자형 파렛트이다.
     4. 시트 파렛트(Sheet Pallet): 1회용 파렛트로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가격이 저렴하고 가벼우나 하역을 위하여 Push-Pull 장치를 부착한 포크리프트가 필요하다.
     5. 스키드 파렛트 (Skid Pallet): 포크리프트나 핸드리프트로 하역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단면형 파렛트이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3. 탱크 파렛트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39. 구매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집중구매방식(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은 일반적으로 대량구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격 및 거래조건이 유리하다.
     2. 분산구매방식(De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은 사업장별 구매가 가능하여 각 사업장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 쉽다.
     3. 집중구매방식(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은 구매절차 표준화가 용이하며, 자재의 긴급조달에 유리하다.
     4. 분산구매방식(De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은 주로 사무용 소모품과 같이 구매지역에 따라 가격 차이가 없는 품목의 구매에 이용된다.
     5. 집중구매방식(Centralized Purchasing Method)은 절차가 복잡한 수입물자 구매등에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80%

40. 파렛트(Pallet)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7월)
     1. 롤 파렛트(Roll Pallet)는 파렛트 바닥면에 바퀴가 달려 있어 자체적으로 밀어서 움직일 수 있다.
     2. 시트 파렛트(Sheet Pallet)는 핸드리프트 등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상자형 파렛트이다.
     3. 스키드 파렛트(Skid Pallet)는 상부구조물이 적어도 3면의 수직측판을 가진 상자형 파렛트이다.
     4. 사일로 파렛트(Silo Pallet)는 파렛트 상단에 기둥이 설치된 형태로 기둥을 접거나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5. 탱크 파렛트는(Tank Pallet)는 주로 분말체의 보관과 운송에 이용하는 1회용 파렛트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4. 사일로파렛트 : 주로 "분립체"를 담는 데 사용되고 밀폐된 상측면과 뚜껑을 가지며 하부에 개폐장치가 있는 상자형 파렛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시트 파렛트 :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1회용 파렛트. 가격이 저렴하고 가벼우나 하역을 위해 push-pull 장치를 부착한 포크리프트 필요
스키드 파렛트 : 포크리프트나 핸드리프트로 하역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단면형 파렛트
탱크 파렛트 : 주로 오일, 액체, 유류 운반 및 적재용으로 사용
[해설작성자 : ㅇㅅ]

41. 「물류정책기본법」상 청문을 실시하여야 하는 처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물류관리사 자격의 취소
     2. 인증우수물류기업에 대한 인증의 취소
     3. 국제물류주선업자에 대한 사업의 전부 정지
     4. 지정심사대행기관의 지정취소
     5. 우수녹색물류실천기업의 지정취소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제47조제1항에 따른 국제물류주선업자에 대한 등록의 취소
[해설작성자 : 하늘무]

42.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이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을 위하여 하는 활동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8월)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국토교통부장관ㆍ해양수산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는 물류기업, 화주기업 또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조
제11호가목에 따른 개인 운송사업자가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행
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정 2008. 2. 29., 2013. 3. 23., 2013. 8. 6., 2020. 10. 20.>
1. 환경친화적인 운송수단 또는 포장재료의 사용
2. 기존 물류시설ㆍ장비ㆍ운송수단을 환경친화적인 물류시설ㆍ장비ㆍ운송수단으로 변경
3.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환경친화적 물류활동
[해설작성자 : 결]

43. 물류정책기본법상 지역물류현황조사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9년 07월)

    

     1. ㄱ: 전부 ㄴ: 조례 ㄷ: 조사현황
     2. ㄱ: 전부 또는 일부 ㄴ: 조례 ㄷ: 조사지침
     3. ㄱ: 일부 ㄴ: 규칙 ㄷ: 조사지침
     4. ㄱ: 전부 또는 일부 ㄴ: 규칙 ㄷ: 조사현황
     5. ㄱ: 일부 ㄴ: 조례 ㄷ: 조사내용

     정답 : []
     정답률 : 64%

44.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도로운송 시 위험물질운송안전관리센터의 감시가 필요한 위험물질을 운송하는 차량의 최대 적재량 기준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은?(2023년 07월)

    

     1. ㄱ: 5,000, ㄴ: 5,000
     2. ㄱ: 5,000, ㄴ: 10,000
     3. ㄱ: 10,000, ㄴ: 5,000
     4. ㄱ: 10,000, ㄴ: 10,000
     5. ㄱ: 10,000, ㄴ: 20,00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위험물질 운송차량의 최대 적재량 기준(법 제29조의2 제1항, 규칙 제2조의2 제2항)
1) [위험물안전관리법]제2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위험물을 운송하는 차량-> 10,000L 이상
2) [폐기물관리법]제2조 제4호에 따른 지정폐기물을 운송하는 차량-> 10,000kg 이상
3) [화학물질관리법]제2조 제7호에 따른 유해화학물질을 운송하는 차량-> 5,000kg 이상
4)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제2조 제1항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가연성가스를 운송하는 차량-> 6,000kg 이상
5)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제2조 제1항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독성가스를 운송하는 차량-> 2,000kg 이상
[해설작성자 : 티다]

45.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정책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국가물류정책위원회는 국가물류체계의 효율화에 관한 중요 정책 사항을 심의ㆍ조정한다.
     2.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위원 중 공무원이 아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3. 국가물류정책위원회에는 5명 이내의 비상근 전문위원을 둘 수 있다.
     4.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물류정책분과위원회, 물류시설분과위원회, 국제물류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다.
     5.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위원장은 해당 분과위원회의 위원 중에서 해양수산부장관이 지명하는 사람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5. 해양수산부장관 X    -> 국토교통부 장관 O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46.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자본금 2억원 이상, 업무능력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과 자격을 갖춘 「상법」상의 주식회사를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운영자로 지정할 수 있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를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물류정책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청방법 등을 정하여 30일 이상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가 국가물류통합데이터베이스의 물류정보를 영리를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해양수산부장관ㆍ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관세청장과 협의하여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에게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 ->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운영하는 자
     물류정책분과위원회 -> 물류시설분과위원회

* 지정절차
-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운영하는 자를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청방법 등을 정하여 30일 이상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지정받으려는 자는 공고가 있는 때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정신청서에 첨부서류를 갖추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지정한 때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정증을 발급하고, 그 사실을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하여야 한다.

*지정의 취소
-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 지정기준에 미달하게 된 경우
-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가 국가물류통합데이터베이스의 물류정보를 영리를 목저그오 사용한 경우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47. 물류정책기본법상 물류정보화의 촉진에 관한 일부 규정이다. ( )안에 해당될 수 없는 것은?(2015년 07월)

    

     1. 관세청장
     2. 국토교통부장관
     3. 기획재정부장관
     4. 해양수산부장관
     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43%

48. 유통단지개발촉진법령상 유통단지에 설치하는 유통시설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8월)
     1. 공동집배송센터
     2. 농수산물도매시장
     3. 농수산물산지유통센타
     4. 화물터미널
     5. 보세창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등록을 할 수 없는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것은?(2024년 08월)
     1.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벌금형을 선고받은 후 3년이 된 자
     2.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금고형을 선고받은 후 1년이 된 자
     3.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징역형을 선고받은 후 2년6개월이 된 자
     4. 법인으로서 그 임원이 아닌 직원 중에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가 있는 경우
     5. 법인으로서 그 임원 중에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금고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종료 후 1년이 된 자가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번호.) (기준년도) (<,=,>) (문제년도)
1. 2년 < 3년 / 2. 2년 > 1년 / 3. 2년 < 2년6개월 / 4. 임원만 해당. 직원은 관계없음 / 5. 유예기간이 종류 되면 상관없음

* 등록의 결격사유
1.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은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2. 복합물류터미널사업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3. 법인으로서 그 임원 중에서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있는 경우
    - 피성년후견인 또는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자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50.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 실수요 검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물류단지 실수요 검증을 실시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 또는 시ㆍ도에 각각 실수요검증위원회를 둔다.
     2. 도시첨단물류단지개발사업의 경우에는 실수요 검증을 실수요검증위원회의 자문으로 갈음할 수 있다.
     3. 실수요검증위원회의 위원장 및 부위원장은 공무원이 아닌 위원 중에서 각각 호선(互選)한다.
     4. 실수요검증위원회의 심의결과는 심의ㆍ의결을 마친 날부터 14일 이내에 물류단지 지정요청자등에게 서면으로 알려야 한다.
     5. 실수요검증위원회의 회의는 분기별로 2회 이상 개최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분기별 1회 이상, 필요시 수시로
[해설작성자 : 솜냥]

실수요검증위원회를 분기별 1회 이상 개최하던 것을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수시로 개정[개정 2025. 4. 1.]
[해설작성자 : 한 번에 붙자!]

51.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 사업의 등록을 하려는 자가 등록신청서에 첨부할 서류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등록기준에 적합함을 증명하는 서류
     2. 복합물류터미널의 부지 및 설비의 배치를 표시한 축척 500분의 1 이상의 평면도
     3. 복합물류터미널의 토지 소유권 또는 사용권, 운영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4. 신청인이 외국인투자기업인 경우에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
     5. 신청인(법인의 경우 그 임원)이 외국인인 경우에는 등록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을 증명하는 해당국가의 정부나 그 밖의 권한 있는 기관이 발행한 서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휴업ㆍ폐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일부를 휴업하려는 때에는 휴업 후 7일 이내에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휴업기간은6개월을 초과할 수 없다.
     3.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사업의 일부를 휴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그 취지를 영업소나 그 밖에 일반 공중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4.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전부를 휴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5.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인 법인이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에는 청산인(파산에 따라 해산한 경우에는 파산관재인을 말함)은 지체 없이 그 사실을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이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듣고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의 수립
     2. 물류단지관리계획의 수립
     3. 물류단지의 지정
     4. 물류단지개발지침의 작성
     5. 물류단지관리지침의 작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터미널 개발의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6월)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물류터미널의 건설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지분의 50% 이상을 확보하는 조건으로 소요자금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도로ㆍ철도ㆍ용수시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반시설의 설치 또는 개량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수 있다.
     3.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물류터미널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소요자금 전부의 예치를 조건으로 부지의 확보를 위한 행정지원을 할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도로ㆍ철도ㆍ용수시설 등 기반시설의 설치 또는 개량에 필요한 예산을 전액 부담하여야 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사업의 필요에 의하여 부지확보 및 도시ㆍ군계획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5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의 내용으로 ( )안에 알맞은 것은?(순서대로 a, b)(2009년 08월)

    

     1. 100분의 3, 1년
     2. 100분의 5, 1년
     3. 100분의 7, 1년
     4. 100분의 10, 2년
     5. 100분의 15, 2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6.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우선적으로 지원하여야 하는 기반시설로 명시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7월)

    

     1.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단지의 원활한 개발을 위해 필요한 도로.철도.항만.용수시설 등 다음 기반시설의 설치를 우선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1 도로.철도 및 항만시설
2 용수공급시설 및 통신시설
3 하수도시설 및 폐기물처리시설
4 물류단지 안의 공동구
5 집단에너지공급시설
6 그밖에 ~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 유수지 및 광장
[해설작성자 : ㅇㅅ]

57.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주가 밴형화물자동차에 함께 탈 때의 화물은 여객자동차 운송사업용 자동차에 싣기 부적합한 것으로서 중량, 용적, 형상 등이 일정한 기준에 해당되어야 한다. 그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화주 1명당 화물의 중량이 10킬로그램 이상일 것
     2. 화주 1명당 화물의 용적이 4만 세제곱센티미터 이상일 것
     3. 불결하거나 악취가 나는 농산물ㆍ수산물 또는 축산물일 것
     4. 기계ㆍ기구류 등 공산품일 것
     5. 폭발성ㆍ인화성 또는 부식성 물품일 것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8.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7월)
     1. 운송사업자가 화물자동차의 대폐차에 관한 사항을 변경하려면 국토교통부장관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한다.
     2. 개인 운송사업자는 주사무소 외의 장소에서 상주하여 영업하려면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영업소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임시허가를 받은 자가 허가 기간 내에 다른 운송사업자와 위ㆍ수탁계약을 체결하지 못하고 임시허가 기간이 만료된 경우 3개월 내에 화물자동차 운송사업허가를 신청할 수 있다.
     4.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증차를 수반하는 변경허가에는 조건 또는 기한을 붙일 수 없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운송사업자가 사업정지처분을 받은 경우에도 주사무소를 이전하는 변경허가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손해배상에 대한 운송사업자의 책임이나 분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국토해양부장관은 손해배상에 관하여 화주가 요청하면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에 관한 분쟁을 조정할 수 있다.
     2. 화물이 인도기한이 지난 후 1개월 이내에 인도되지 아니하면 그 화물은 멸실된 것으로 본다.
     3. 당사자 쌍방이 조정안을 수락하면 당사자 간에 조정안과 동일한 합의가 성립된 것으로 본다.
     4. 국토해양부장관은 화주가 분쟁조정을 요청하면 지체 없이 그 사실을 확인하고 손해내용을 조사한 후 조정안을 작성하여야 한다.
     5. 화물의 멸실ㆍ훼손 또는 인도의 지연으로 발생한 운송사업자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하여는 상법을 준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의 허가기준에 관한 사항
     2.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의 법인의 합병
     3. 화물자동차 공제사업의 분담금의 분담비율
     4.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자의 운송약관
     5.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의 요금과 운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1.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보험등 의무가입자인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자는 각 화물자동차별로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여야 한다.
     2. 이사화물운송만을 주선하는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자는 사고 건당 2천만원 이상의 금액을 지급할 책임을 지는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여야 한다.
     3.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 중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피견인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운송사업자는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여야 하는 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4. 보험등 의무가입자 및 보험회사등은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가 취소된 경우 책임보험계약등을 해제하거나 해지할 수 없다.
     5.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지 아니한 보험등 의무가입자는 형벌 부과 대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각 화물차 별(x) 각 사업자 별(o)
2. 이사화물운송만 주선 시 건당 2000(x)건당 500(o)
4. 해지할 수 없다.(x) 해지 할 수 있다(o)
5. 형벌(x) 과태료(o) *500이하
[해설작성자 : 늑대물류]

62.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차량충당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7월)
     1. 신규등록에 충당되는 화물자동차는 차령이 2년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연한 이내여야 한다.
     2. 제작연도에 등록된 화물자동차의 차량충당 연한의 기산일은 제작연도의 말일이다.
     3. 부득이한 사유가 없는 한 대폐차 변경신고를 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대폐차하여야 한다.
     4. 대폐차의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하여 국토교통부령으로 규정한 사항 외에 필요한 세부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차량충당조건에 대하여 2014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5년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 2년 -> 3년의 범위
2. 삭제
3. 30일 -> 15일 이내 대폐차,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6개월 이내
5. 5년 -> 3년마다 검토
[해설작성자 : Yadon_]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제작연도의말일 >>> 최초의 신규 등록일
[해설작성자 : 시대 보고 적는]

63.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7월)
     1. 최대 적재량이 3톤이고 총 중량이 5톤인 화물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운송사업자는 적재물배상 책임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2. 이사화물을 취급하는 운송주선사업자는 운송사업자의 책임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3.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가 취소된 경우에도 책임보험계약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제하거나 해지하여서는 아니 된다.
     4.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자가 감차 조치 명령을 받은 경우에도 책임보험계약등 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제하거나 해지하여서는 아니 된다.
     5. 보험회사등은 자기와 책임보험계약등을 체결하고 있는 보험등 의무가입자에게 그 계약종료일 50일 전까지 그 계약이 끝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최대 적재량 5톤 총 중량 10톤
3,4. 일부 해제, 해지 불가 경우
     - 허가 사항 변경(감차)
     - 휴업 폐업
     - 허가 취소, 감차조치 명령
     - 배상 보험 이중 가입으로 책임보험계약 해제 해지하려는 경우
     - 보험회사 파산 등 사유로 영업 계속 할수 없는 경우
5. 50일->30일
[해설작성자 : 고양이]

64.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운송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이 그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계속하려면 피상속인이 사망한 후 30일 이내에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운송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이 운송사업의 상속신고를 하면 피상속인이 사망한 날부터 신고한 날까지 피상속인에 대한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는 상속인에 대한 허가로 본다.
     3. 원칙적으로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는 해당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전부를 대상으로 한다.
     4. 국토해양부장관은 화물자동차의 지역 간 수급 균형과 화물운송시장의 안정과 질서유지를 위하여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와 합병을 제한할 수 있다.
     5.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양도ㆍ양수 신고 또는 합병신고를 하면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양수한 자는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양도한 자의 운송사업자로서의 지위를 승계하며, 합병으로 설립되거나 존속되는 법인은 합병으로 소멸되는 법인의 운송사업자로서의 지위를 승계한다.

     정답 : []
     정답률 : 28%

65.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인ㆍ허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권한위임에 관한 규정은 고려하지 않음)(2016년 07월)
     1.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의 허가를 받은 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의 허가를 받은 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국제물류주선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4.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5. 운수사업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업종별로 공제조합을 설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 시도지사의 허가이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시도지사의 등록임
[해설작성자 : 요구르트]

66. 항만운송사업법령상 선적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그 화물의 용적 또는 중량을 계산하거나 증명하는 일은?(2011년 08월)
     1. 검수
     2. 감정
     3. 검량
     4. 보증
     5. 확인

     정답 : []
     정답률 : 80%

67.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사업약관에 기재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7년 08월)
     1. 철도운임ㆍ요금의 수수 또는 환급에 관한 사항
     2. 화물의 인도ㆍ인수ㆍ보관 및 취급에 관한 사항
     3. 운송책임 및 배상에 관한 사항
     4. 철도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사항
     5. 여객의 금지행위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등의 개설등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대규모점포를 개설하려는 자는 영업을 시작하기 전에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상권영향평가서 및 지역협력계획서를 첨부하여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2.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개설등록을 하려는 대규모점포등의 위치가 전통상업보존구역에 있을 때에는 등록을 제한하거나 조건을 붙일 수 있다.
     3.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개설등록하려는 점포의 소재지로부터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거리 이내의 범위 일부가 인접 특별자치시ㆍ시ㆍ군ㆍ구에 속하여 있는 경우 인접지역의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개설 등록을 신청 받은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4. 대규모점포등개설등록신청서를 제출받은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별도의 서류확인절차 없이 그 신청에 따라 등록하여야 한다.
     5.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대규모점포등의 개설등록을 한 때에는 그 신청인에게 대규모점포등개설등록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확인절차 있어야함
[해설작성자 : 합격제발]

69.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의 등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8월)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ㄱ. 시ㆍ도지사 ->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
ㄴ. 개설등록 당시의 매장면적보다 10분의 1 이상 증가한 경우
[해설작성자 : Yadon_]

70. 다음 시장과 매장 중에 유통산업발전법의 적용을 받는 것은?(2007년 08월)
     1. 대형마트의 농수산물소매매장
     2. 농수산물도매시장
     3. 민영농수산물도매시장
     4.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5. 축산법 제27조의 규정에 의한 가축시장

     정답 : []
     정답률 : 20%

71.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4년 06월)
     1. 우수도매배송서비스사업자
     2. 우수체인사업자
     3. 물류설비인증기관
     4. 공동집배송센터
     5. 유통연수기관

     정답 : []
     정답률 : 14%

72.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관련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5년 07월)
     1. 항만용역업
     2. 선용품공급업
     3. 선박연료공급업
     4. 컨테이너수리업
     5. 선적화물검수업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분쟁 조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유통분쟁조정신청을 받은 경우 신청일부터 3일 이내에 신청인외의 관련 당사자에게 분쟁의 조정신청에 관한 사실과 그 내용을 통보하여야 한다.
     2. 유통분쟁조정위원회가 작성한 조정안을 제시받은 당사자 및 이해관계인은 그 제시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그 수락 여부를 유통분쟁조정위원회에 통보하여야 한다.
     3. 유통분쟁조정위원회의 위원 중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위촉한 소비자단체의 대표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4.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분쟁의 성질상 위원회에서 조정함이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조정을 거부할 수 있다.
     5.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동일한 시기에 동일한 사안에 대하여 다수의 분쟁조정이 신청된 경우에는 그 다수의 분쟁조정신청을 통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2. 15일이내
[해설작성자 : 홈즈hz]

74.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시설운영자등이 부두운영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사유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항만법」에 따른 항만재개발사업의 시행 등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항만시설등을 부두운영회사에 계속 임대하기 어려운 경우
     2. 항만시설등이 멸실되어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3.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임대료를 2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4.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분할 운영 금지 등 금지행위를 하여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5.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효율적인 사용 및 운영 등을 위하여 항만시설운영자등과 해양수산부장관이 협의한 사항을 정당한 사유 없이 이행하지 아니하여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 3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해설작성자 : fff]

75. 철도사업법령상 사업계획을 변경하려는 철도사업자가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06월)
     1. 철도사업약관을 변경하는 경우
     2. 철도이용수요가 적어 수지균형의 확보가 극히 곤란한 벽지 노선의 철도여객운송서비스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
     3. 여객열차의 운행구간을 변경하는 경우
     4. 사업용철도노선별로 여객열차의 정차역을 신설 또는 폐지하는 경우
     5. 사업용철도노선별로 여객열차의 정차역을 10분의 2 이상 변경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번같은 경우는 그냥 신고만 하면됩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76. 「철도사업법」상 철도사업자의 '철도화물 운송에 관한 책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철도사업자의 화물의 멸실ㆍ훼손 또는 인도의 지연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에 관하여는 「상법」 제135조를 준용한다.
     2. 철도사업자가 화물의 인도에 관한 주의를 게을리하여 화물이 멸실된 경우에 철도사업자는 그에 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3. 철도사업자가 화물의 수령에 관한 주의를 게을리하여 화물이 훼손된 경우에 철도사업자는 그에 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4. 철도사업자의 사용인이 화물의 보관에 관한 주의를 게을리하여 화물이 훼손된 경우에 철도사업자는 그에 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없다.
     5. 철도사업자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때에 화물이 인도 기한을 지난 후 3개월 이내에 인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화물은 멸실된 것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운송물의 수령, 인도, 보관 및 운송에 관하여,
운송물의 멸실, 훼손 또는 연착으로 인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하늘무]

77. 철도사업법령상 부가운임의 징수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2011년 08월)

    

     1. 20, 5
     2. 30, 5
     3. 30, 15
     4. 50, 15
     5. 50, 20

     정답 : []
     정답률 : 55%

78. 철도사업법령상 점용허가의 신청 및 점용허가기간에 있어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허가받은 기간을 연장할 경우에는 연장할 때마다 해당되는 시설물 별로 규정되어 있는 점용허가기간을 초과할 수 없다.
     2. 점용허가를 받은 자가 점용허가기간의 연장을 받기 위하여 다시 점용허가를 신청하고자 하는 때에는 종전의 점용허가기간 만료예정일 3월 전까지 점용허가신청서를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철골조ㆍ철근콘크리트조ㆍ석조 또는 이와 유사한 견고한 건물의 축조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의 점용허가기간은 30년이다.
     4. 건물 그 밖의 시설물을 설치하는 경우 그 공사에 소요되는 기간은 이를 점용허가기간에 산입한다.
     5. 건물 외의 공작물의 축조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의 점용허가기간은 5년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9.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도매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시가 지방도매시장을 개설하려면 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도매시장법인이 다른 도매시장법인을 인수하거나 합병하는 경우에는 해당 도매시장 개설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중앙도매시장의 개설자는 양곡부류와 수산부류에 대하여는 도매시장법인을 두어야 한다.
     4. 시가 개설하는 지방도매시장의 개설구역에 인접한 구역으로서 그 지방도매시장이 속한 도의 일정 구역에 대하여는 해당 도지사가 그 지방도매시장의 개설구역으로 편입하게 할 수 있다.
     5. 지방도매시장의 개설자인 시가 업무규정을 변경하는 때에는 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도매시장(이하 '도매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8월)
     1. 산지유통인으로 등록한 자는 등록된 도매시장에서 농수산물의 출하업무 외에 중개업무를 병행할 수 있다.
     2. 도매시장에서 도매시장법인이 하는 도매는 법령이 정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출하자로부터 매수하여 도매하여야 한다.
     3. 중도매인은 도매시장법인이 상장한 농수산물은 거래할 수 없다.
     4. 시장도매인은 도매시장에서 농수산물을 매수 또는 위탁받아 도매할 수 있으나, 매매를 중개하는 것은 금지된다.
     5. 시장도매인은 해당 도매시장의 도매시장법인ㆍ중도매인에게 농수산물을 판매하지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27173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2 임상심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9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271732) 좋은아빠되기 2025.11.18 8
760 9급 국가직 공무원 노동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759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12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758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9226125)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757 공유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01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756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9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755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7979710)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754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7월15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753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1월30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752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9
751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75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74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7991794)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748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9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747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8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746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1월30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745 컴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744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743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Board Pagination Prev 1 ...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 287 Next
/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