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1318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환경생태학개론


1. 토양 입자 사잉의 작은 공극에 채워지는 물로서 표면장력에 의해 흡수 유지되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이동되며, 식물이 흡수 가능한 가장 유용한 토양수분은?(2007년 09월)
     1. 결합수
     2. 흡습수
     3. 모세관수
     4. 중력수

     정답 : []
     정답률 : 90%

2. 선형의 생태공간으로서 면적공간을 물리지거, 생태적으로 연결하여 통로로서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은?(2015년 08월)
     1. 섬(island)
     2. 에지(edge)
     3. 패치(patch)
     4. 코리도(corridor)

     정답 : []
     정답률 : 90%

3. 다음 생태계 내 종 및 개체군 사이의 상호작용이 옳게 연결된 것은?(2005년 09월)
     1. 중립 - 상호관계는 서로에게 영향 없음
     2. 편해공생 - 상호관계는 서로에게 해를 끼침
     3. 기생 - 어느 한 쪽에게는 유익하며 다른 한쪽에게는 영향이 없음
     4. 경쟁 - 각각의 종과 종 사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자원이용에 방해받지 않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고도로 조직화된 완전한 군집으로서 태양광선을 받기만 하면 인접한 군집의 도움을 거의 받지 않아도 성립되는 군집은?(2006년 05월)
     1. 우점(雩占)군집
     2. 상호(相互)군집
     3. 저차(抵次)군집
     4. 고차(高次)군집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개체군의 규칙적 분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이질적인 공간에 개체군이 분포하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2. 개체간의 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서식지에 분포한다.
     3. 서식단위간 밀도의 분산값이 ‘0’인 특성을 보인다.
     4. 개체들이 무리 단위로 생활하는 경우에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생태계 복원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8월)
     1. 경관 개선
     2. 지반 안정
     3. 수질 정화
     4. 생물 종 다양성 확대

     정답 : []
     정답률 : 81%

7. 다음 [보기]의 분류군 중 오염물질에 대한 농축정도가 가장 높은 분류군은?(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6%

8. 대기의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있는 미생물 중 콩과식물과 공생하는 박테리아는?(2007년 09월)
     1. Azotobacter
     2. Clostridium
     3. Nostoc
     4. Rhizobiu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가래발 두꺼비, 얼룩다람쥐가 서식하며 하면(aestivation)을 하고 활동을 하는 곳은?(2012년 08월)
     1. 열대사바나
     2. 초원
     3. 사막
     4. 소택지

     정답 : []
     정답률 : 59%

10. 다음 중 외부 간섭을 배제했을 경우 자연천이에 의해 나타나는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작성한 도면은?(2006년 05월)
     1. 현존식생도
     2. 생태자연도
     3. 녹지자연도
     4. 잠재자연식생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동물들이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일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생체유지
     2. 경쟁
     3. 생식
     4. 성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다음 중 군집의 기능적 특성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먹이망
     2. 에너지 호용
     3. 우점중
     4. 영양구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주변 산림생태계와 연계된 도시림 조성에 있어서 생물서식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식물군집의 식생구조와 층위는 각각의 야생동물 집단을 위한 독특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
     2. 장기간에 걸친 식생천이는 황량한 벌판에서 성숙한 산림까지 광범위한 서식처를 제공해 준다.
     3. 다양한 생물들이 갖는 생태적 지위는 종간경쟁을 초래하여 생물군의 영역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4. 생물이 서식하고 지속가능한 살아있는 숲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반개방적인 수림이나 밀도가 높은 수림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4. 생물학적 오염(biological pollution)이란 무엇이란?(2015년 08월)
     1. 질병에 감염된 생명체를 자연계로 방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수은이나 납 같은 중금속이 자연계 내 생물들의 체내에 축적되는 것을 의미한다.
     3. 생물 종간의 관계에 영향을 줌으로써 나타나는 생태계 교란을 의미한다.
     4. 생물의 사체에 의한 부영양화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15. 생태계에서의 식물작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에틸렌가스는 식물의 노화를 촉진한다.
     2. 식물도 빛, 수분, 양분에 대해 경쟁을 한다.
     3. 알레로파시 물질은 식물의 낙엽에서도 방출된다.
     4.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옥신은 식물의 열매를 성숙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16. 일반적인 산림생태계의 천이과정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2006년 05월)
     1. 나지→1년생 초본→다년생 초본→응수→양수→극상림
     2. 나지→1년생 초본→다년생 초본→양수→음수→극상림
     3. 극상림→음수→양수→다년생초본→1년생 초본→나지
     4. 극상림→1년생 초본→음수→다년생 초본→양수→나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어느 군락에에서 100개체의 생물이 있다고 가정한 경우 다음 중 종다양도가 가장 높은 군락은?(2004년 12월)
     1. 1개종이 91개체이고 9개 종이 1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2. 3개종이 20개체이고 4개종이 10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3. 7개종이 10개체이고 2개종이 15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4. 10개종이 10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18. 해안가의 수계로서 해수와 담수가 합쳐지는 부분은?(2020년 08월)
     1. 사구
     2. 하구
     3. 대륙붕
     4. 갯벌해안

     정답 : []
     정답률 : 57%

19. 다음 간석지(갯벌)생태계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12월)
     1. 보수력이 높다.
     2. 생물 생산량이 낮다.
     3. 간석지 주변에는 하구습지가 조성된다.
     4. 생물다양성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100%

20. 생물이 살아가는 장소를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8월)
     1. 환경요인
     2. 서식지
     3. 생물요인
     4. 내성범위

     정답 : []
     정답률 : 100%

2과목 : 환경학개론


21. 각 영양단계마다 에너지 효율이 8%라고 가정했을 때 풀 1000kg으로 2차 소비자(예:개구리) 몇 kg을 부양할 수 있는가?(2020년 08월)
     1. 6.4
     2. 8.2
     3. 12.4
     4. 32.0

     정답 : []
     정답률 : 47%

22. 택지개발시 토양보전과 물순환체계 확보를 위한 환경지표로서 활용 가능한 것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5월)
     1. 불투수포장면적
     2. 녹지율
     3. 녹지용적계수
     4. 토양경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다음 중 생태ㆍ녹지네트워크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2. 거점
     3. 광장
     4. 생태통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생태기반이 되는 지형의 변동을 최소화함으로써 개발 이후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대지면적이 50만m2인 단지를 조성하려는 곳에 절성토 면적이 6만m2일 때 지형변동비율은?(2006년 09월)
     1. 5%
     2. 12%
     3. 40%
     4. 8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2010년 05월)

    

     1. NGO
     2. Ombudsman
     3. EIA
     4. Partnership

     정답 : []
     정답률 : 70%

26. 녹지자연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식물군락의 좀조성을 기반으로 녹지성과 자연성을 고려한다.
     2. 0~7 등급으로 구분한다.
     3. 5등급은 완충지역으로 구분하고 잔디, 갈대조림 등의 초원조립지, 유령림 등이 포함된다.
     4. 식생과 토지이용 현황에 따라 녹지공간의 상태를 등급화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일반적인 빗물이 pH값이 얼마 미만일 때 산성비의 기준이 되는가?(2012년 08월)
     1. 2.3
     2. 3.0
     3. 5.6
     4. 6.4

     정답 : []
     정답률 : 84%

28. 육상에서 단위면적(m2)당 생물권의 1차 총 생산량이 가장 높은 곳은?(2004년 12월)
     1. 습윤 온대림
     2. 북방 침엽수림
     3. 기계화된 경작지
     4. 열대 강우림

     정답 : []
     정답률 : 86%

29. 다음 중 사전환경성검토제도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환경영향평가의 협의 기간 단축 등 효율성을 제고한다.
     2. 지속가능한 개발 이념을 실현한다.
     3. 확정된 개발사업의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다.
     4. 사전 입지의 타당성 검토로 대안을 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해안매립지를 활용한 공단조성의 녹화 계획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8월)
     1. 방풍림의 조성
     2. 제염을 위한 식재기반 조성
     3. 인공경량토를 활용한 식재기반 조성
     4. 인근 해안 및 도서지방의 자생수종 도입

     정답 : []
     정답률 : 60%

31. 한반도 자연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산출기로서 생태축이며 우리나라 특산식물의 보호,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생육 및 서식보고로서 최근 보호의 필요성이 높게 제기되고 있는 곳은?(2006년 05월)
     1. 백두대간
     2. 국립공원
     3. 생태공원
     4. 태백산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다음 생태학적 스펙트럼의 조합 중 빈칸에 적합한 것은?(2006년 09월)

    

     1. 조직
     2. 기관
     3. 개체군
     4. 생물권

     정답 : []
     정답률 : 91%

33. 각종 개발계획이나 개발 사업을 수립·시햄함에 있어서 타당성 조사 등 계획 초기단계에서 입지의 타당성,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토록 함으로써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도모하고자 도입된 제도는 무엇인가?(2015년 08월)
     1. 환경영향평가제도
     2. 사전환경성검토제도
     3. 토지환경성평가제도
     4. 중점평가제도

     정답 : []
     정답률 : 34%

34. 다음 중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의 이론이 제기된 배경과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대중적인 빈곤
     2. 지속적인 인구감소
     3.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4. 환경질의 파괴

     정답 : []
     정답률 : 93%

35. 다음 중 토지적성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항목은?(2005년 05월)
     1. 국토의 난개발을 방지하여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유도한다.
     2. 토지의 보전 및 이용 가능성에 대한 등급 분류방법이다.
     3. 토지의 용도구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4. 산림의 조림수종선정을 위해 필요한 평가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주거지역에서의 차량소음 저감대책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도로를 고가화시키는 등 주거지역보다 도로의 레벨을 높여 차량소음을 주거지역으로 부터 분산시킨다.
     2. 주거용 건물 전면에 소음처리를 하거나 도로측으로 통하는 개구부 설치를 금지한다.
     3. 주거지역 전면에 완충지역으로 상가나 업무용 건물을 배치하여 차량소음을 차단한다.
     4. 도로와 주거지역 사이에 제방이나 방음벽을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37. 치수를 위해 원형을 훼손시킨 하천을 자연형으로 복원하고 동시에 친구공간화 하기 위한 계획목표와 방법이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생태계의 다양성 창출 – 다양한 식생대 창출
     2. 다이나믹한 하천의 속성 구현 – 자연하천의 사행 특성활용
     3. 호감가는 경관연출과 적절한 이용체계 – 하안으로의 접근성을 최대화 하기 위한 시설도입
     4. 물과 녹음의 네트워크 형성 – 수계와 수림의 연계

     정답 : []
     정답률 : 69%

38. 생태ㆍ자연도 1등급 권역으로 분류하기 힘든 지역은?(2007년 09월)
     1. 장차 보전의 가치가 있는 2차림 산림 지역
     2.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경관이 특히 수려한 지역
     3. 생물의 지리적 분포 한계에 위치하는 생태계 지역
     4.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주된 서식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다음 설명이 가르키는 용어는?(2008년 05월)

    

     1. 녹지·자연도
     2. 생태·자연도
     3. 경관·분석도
     4. 토지·적성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생태네트워크의 기능과 필요성을 설명한 것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생물다양성 보전 및 증진을 위한 종합적인 접근이다.
     2. 난개발로 훼손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개념이다.
     3. 도시에 산재한 생태적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초점이다.
     4. 생태네트워크를 통한 도시생태계 복원을 위해 풍부한 비용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3과목 : 생태복원공학


41. 비탈면 식생공사를 실시할 때 시공 직후의 토양표면 및 뿜어붙이기 재료의 침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04년 12월)
     1. 침식 방지분산제
     2. 토양 양생제
     3. 구성제
     4. 피복재

     정답 : []
     정답률 : 50%

42. 야생동물 이동통로의 위치 선정을 위하여 동물군집을 조사하고자 한다. 다음 중 야생동물 군집조사 방법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포획조사 방법
     2. 방형구조사 방법
     3. 흔적조사 방법
     4. 청문조사 방법

     정답 : []
     정답률 : 50%

43. 토양의 개량에 사용되는 토양개량제 중 토양을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게 하며, 토양의 고결을 막기 위해 사용되고 점토질에는 통기성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것은?(2010년 05월)
     1. 발포스티렌
     2. 피트모스
     3. 메쉬 엘리먼트(mesh element)
     4. 다공질 토양개량자재

     정답 : []
     정답률 : 69%

44. 다음 산 비탈 사방녹화공사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토양침식은 우수의 침식성과 토양의 수식성(erodibility)의 관계가 크다.
     2. 산 비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탈면의 경사를 완화시켜야 한다.
     3. 산 비탈이 일단 붕괴를 멈추었더라도 추가 붕괴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4. 산 비탈 사방녹화 공사를 위한 임황 조사 내용에는 지형, 지질, 토질, 토양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정체수에 의한 습지로서 숲이나 관목덤불 등으로 덮인 습지이며, 야생동물의 서식처로 중요한 죽은 나무들로 덮이기도 하는 습지는 무엇인가?(2012년 08월)
     1. 소택지(Swamp)
     2. 수변습지(Riparian Wetlands)
     3. 늪(Marshes)
     4. 산성습지(Bogs)

     정답 : []
     정답률 : 77%

46. 다음 중 식재지반이 갖추어야 할 물리적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8년 05월)
     1. 유효수분
     2. 유효토층
     3. 토양경도
     4. 토양산도

     정답 : []
     정답률 : 64%

47. 다음 중 습지지역에서 식생하며 수질정화 효과가 있는 식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갈대
     2. 부들
     3. 덩쿨
     4. 갈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다음 중 비탈면 녹화공법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붕괴 우려지의 보강
     2. 자연생태계의 회복과 보전
     3. 황폐한 녹색환경의 회복과 보전
     4. 식생경관의 조성과 보전

     정답 : []
     정답률 : 82%

49. Louis(1995)가 제안한 생태적 완결성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생물할적 완결성(biological integrity)
     2. 화학적 완결성(chemical integrity)
     3. 문화적 완결성(cultural integrity)
     4. 물리적 완결성(physical integrit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다음 비탈면 녹화에 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2010년 05월)
     1.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에서는 초본과 목본을 적당하게 혼합하되 외래도입초종의 발생기대본수는 1000본/m2 이내로 제한한다.
     2. 비탈면의 기울기가 가파르면 파종량에 할증을 하여 주고, 북향인 곳은 남서향보다 10%이상 할증해준다.
     3. 초본류 위주의 배합에서는 1000∼2000본/m2 정도를 표준 파종량으로 한다.
     4. 외래도입초종이 너무 밀생하면 혼파한 자생종이 피압되므로 외래도입초종의 파종밀도는 가급적 낮추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69%

51. 빗물을 이용한 생물 서식공간을 구성할 때 다음은 어떤 시설을 설명한 것인가?(2006년 05월)

    

     1. 저류연못
     2. 침투연못
     3. 지하저류조
     4. 쇄석여과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물이 많게 되면 모세관을 채우고 남은 물은 큰 공극으로 옮겨져서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토양수는?(2006년 09월)
     1. 중력수
     2. 모관수
     3. 흡습수
     4. 화합수

     정답 : []
     정답률 : 90%

53. 중력댐의 안정조건 등 활동에 대한 안정조건식으로 옳은 것은? (단, f: 댐밑과 기초지반과의 마찰계수, H : 수평문력의 총합, V : 수직문턱)(2006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다음 중 1급수 지표생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4년 12월)
     1. 버들치
     2. 도룡뇽
     3. 가재
     4. 붕어

     정답 : []
     정답률 : 100%

55. 다음 중 인공계와 반대되는 생태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구성원들에 대한 많은 요소, 구조, 기능이 알려지지 않았다.
     2. 일반적으로 생물종의 수가 많을수록 자기 수복기능이 작동하고 시스템은 안정되어 있다.
     3. 시스템의 모든 측면이 인위적 제어의 대상이 된다.
     4. 시스템의 극히 한정된 측면만이 인위적 제어의 대상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56. 산림생태계의 천이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초본 → 목본
     2. 양수군 → 음수군
     3. 고군집 교목 → 저군집 교목
     4. 현존량 적음 → 현존량 많음

     정답 : []
     정답률 : 83%

57. 생태적 코리더(corridor)는 연결되는 형태에 따라 선코리더(linear corridor), 디딤돌 코리더(stepping stone corridor), 그리고 경관 코리더(landscape corrido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선 코리더가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4년 12월)
     1. 하천
     2. 가로수
     3. 옥상녹지
     4. 철로변 녹지

     정답 : []
     정답률 : 67%

58. Braun-Blamquet의 방법에 의한 식물조사 자료의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한 이용법은?(2006년 09월)
     1. 식물군락의 분류와 동정
     2. 계층 다이어그램 작성
     3. 다양성 지수
     4. 식물군락의 생활형 조성 파악

     정답 : []
     정답률 : 50%

59. 비탈면 복원구역 중 수평거리 20m인 곳에서 경사도가 6%일 때 수직거리는?(2006년 09월)
     1. 1.2m
     2. 2.4m
     3. 12m
     4. 24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생태계 복원을 위한 시행절차 중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2005년 05월)
     1.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2. 복원계획의 작성
     3. 복원목적의 설정
     4. 대상지역의 여건분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1. 채집된 식물플랑크톤의 표본을 현미경으로 관찰위해 임시로(수일~수개월) 보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용액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8월)
     1. 70% ethanol
     2. 70% FAA 용액
     3. 0.3% Lugol 용액
     4. 100% Formalin 용액

     정답 : []
     정답률 : 35%

62. 수중 서식지 조사표 작성에 기록할 물 시료와 연관하여 기입 할 항목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수심(m)
     2. 기슭까지의 거리(m)
     3. 전기전도도
     4. 비중

     정답 : []
     정답률 : 46%

63. 다음은 어떤 동물을 제거법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이 동물의 총 개체수는?(2012년 08월)

    

     1. 750
     2. 800
     3. 850
     4. 900

     정답 : []
     정답률 : 81%

64. 다음 1차 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주로 수중식물에 이용하는 것은?(2005년 09월)
     1. 수확법
     2. 엽록소 a 측정법
     3. CO2 측정법
     4. 상대생장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피식자가 피식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회피반응
     2. 집단행동
     3. 방위(防衛)
     4. 공격형 의태

     정답 : []
     정답률 : 44%

66. 다음 중 서식 정보 조사 시에 이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포획 조사
     2. 적집 관찰
     3. 청문 조사
     4. 통계 조사

     정답 : []
     정답률 : 45%

67. 독특한 환경조건에서만 살 수 있는 생물을 지표생물이라고 하는데, 깨끗한 물인 1급수의 지표 어류는?(2006년 09월)
     1. 붕어
     2. 열목어
     3. 은어
     4. 쉬리

     정답 : []
     정답률 : 59%

68. 생태 자료수집에 앞서서 세우는 실험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표본추출의 조작
     2. 보고서 작성방법
     3. 연구조사 자료의 분석
     4. 연구하려는 변수의 선발

     정답 : []
     정답률 : 47%

69. 모든 군집의 종조성이 동일할 때 군집유사도 지수 CJ 또는 CS 값은?(2013년 03월)
     1. 0
     2. 1
     3. 2
     4. 100

     정답 : []
     정답률 : 72%

70. 용존산소량(DO)측정을 위한 종균접종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종균의 접종은 토양 현탁수 및 활성오니를 이용할 수 있다.
     2. 종균은 생활하수를 1시간 이상, 36시간 이내에 실온에서 침전시킨 후 침전물을 이용한다.
     3. 유기농법에 이용하기 위하여 상품화된 종균을 이용할 수도 있다.
     4. 최대첨가량은 물 표본의 DO가 50%만큼 감소되도록 종균접종물질의 농도를 희석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1. 토양환경 조사시 이용되는 토양표본 채토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채집된 상태의 신선한 토양 분석 결과시 기준(standard)이 되기에 분리하여 측정한다.
     2. 모든 토양은 랜덤(random)하게 임의의 지점에서 반복하여 채토한다.
     3. 토양은 토양오거(soil auger)로 채토하며, 물밑의 저질토는 채니기(採泥器)를 이용한다.
     4. 토양 표본은 튼튼한 플라스틱 주머니에 밀봉하여 저장하고 가능한 빨리 분석한다.

     정답 : []
     정답률 : 20%

72. 무작위 표본추출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모집단 내의 각 원소가 표집 될 기회가 균등하다.
     2.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은 무작위 표본이다.
     3. 난수표를 이용한다.
     4. 난수표를 이용한 표본은 무작위 표본이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58%

73. 저인망에서 채집된 어·패류 조사 과정에서 채집된 패류의 가장 바람직한 고정용액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5년 05월)
     1. 75% 알코올
     2. 100% 포르말린
     3. 20% 붕산액
     4. 70% 아세트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다음 중 포유류의 조사방법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야간조명을 이용하여 직접 관찰한다.
     2. 트랩(trap)을 이용한다.
     3. 발자국, 배설물 등을 조사한다.
     4. 털어잡기망(beationg)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작은 연못의 먹이그물에서 3차 소비자(tertiary consumer)로 보아 타당한 것은?(2010년 05월)
     1. 거북이
     2. 초식어류
     3. 동물 플랑크톤
     4. 조류(algae)

     정답 : []
     정답률 : 83%

76. 다음 중 생태계에서 생산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1. 1차 총생산력 : 측정기간 동안 호흡으로 사용되는 유기물을 포함한 광합성의 총량
     2. 1차 순생산력 : 측정기간 동안 호흡에 사용되는 유기물을 뺀 식물 조직 내에 축적되는 유기물의 양
     3. 군집 순생산력 : 일정한 기간(보통 발육기간) 또는 1년 동안 종속영양생물에게 이용되지 않는 유기물 축적량
     4. 2차 생산력 : 먹이를 섭취한 종속영양생물이 호흡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포함한 모든 에너지의 양

     정답 : []
     정답률 : 36%

77. 표본 추출 방법 중 환경 조건이 뚜렷하게 둘로 나뉠 경우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9월)
     1. 임의 추출법(무작위추출법)
     2. 계통 표본 추출법(규칙적인 추출법)
     3. 계층 임의 추출법
     4. 방형구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8. 종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편해공생 : 서로의 관계에 의해 한 종이 모든 이득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2. 포식 : 한 종은 이득을 얻고 다른 종은 손실된다.
     3. 쟁탈경쟁 : 자원이 제한되었을 때 경쟁이 심해짐에 따라 개체군 내 개체들의 생장과 생식이 똑같이 억제될 때 일어난다.
     4. 시합경쟁 : 자원이 제한되었을 때 일부 개체들은 충분한 자원을 확보하나 다른 개체들과 공유하지 않을 때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40%

79. 다음 표는 어느 군집의 종수와 각 종에 속하는 수도를 조사한 자료이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Simpson의 종 다양도지수(Ds)를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0.603
     2. 0.595
     3. 0.485
     4. 0.397

     정답 : []
     정답률 : 60%

80. 토성(soil texture)분석 시 눈 크기가 얼마인 체로 걸러지는 부분만을 대상으로 조사하는가?(2007년 09월)
     1. 1mm
     2. 2mm
     3. 3mm
     4. 4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1318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환경생태학개론


1. 토양 입자 사잉의 작은 공극에 채워지는 물로서 표면장력에 의해 흡수 유지되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이동되며, 식물이 흡수 가능한 가장 유용한 토양수분은?(2007년 09월)
     1. 결합수
     2. 흡습수
     3. 모세관수
     4. 중력수

     정답 : []
     정답률 : 90%

2. 선형의 생태공간으로서 면적공간을 물리지거, 생태적으로 연결하여 통로로서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은?(2015년 08월)
     1. 섬(island)
     2. 에지(edge)
     3. 패치(patch)
     4. 코리도(corridor)

     정답 : []
     정답률 : 90%

3. 다음 생태계 내 종 및 개체군 사이의 상호작용이 옳게 연결된 것은?(2005년 09월)
     1. 중립 - 상호관계는 서로에게 영향 없음
     2. 편해공생 - 상호관계는 서로에게 해를 끼침
     3. 기생 - 어느 한 쪽에게는 유익하며 다른 한쪽에게는 영향이 없음
     4. 경쟁 - 각각의 종과 종 사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자원이용에 방해받지 않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고도로 조직화된 완전한 군집으로서 태양광선을 받기만 하면 인접한 군집의 도움을 거의 받지 않아도 성립되는 군집은?(2006년 05월)
     1. 우점(雩占)군집
     2. 상호(相互)군집
     3. 저차(抵次)군집
     4. 고차(高次)군집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개체군의 규칙적 분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이질적인 공간에 개체군이 분포하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2. 개체간의 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서식지에 분포한다.
     3. 서식단위간 밀도의 분산값이 ‘0’인 특성을 보인다.
     4. 개체들이 무리 단위로 생활하는 경우에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생태계 복원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8월)
     1. 경관 개선
     2. 지반 안정
     3. 수질 정화
     4. 생물 종 다양성 확대

     정답 : []
     정답률 : 81%

7. 다음 [보기]의 분류군 중 오염물질에 대한 농축정도가 가장 높은 분류군은?(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6%

8. 대기의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있는 미생물 중 콩과식물과 공생하는 박테리아는?(2007년 09월)
     1. Azotobacter
     2. Clostridium
     3. Nostoc
     4. Rhizobiu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가래발 두꺼비, 얼룩다람쥐가 서식하며 하면(aestivation)을 하고 활동을 하는 곳은?(2012년 08월)
     1. 열대사바나
     2. 초원
     3. 사막
     4. 소택지

     정답 : []
     정답률 : 59%

10. 다음 중 외부 간섭을 배제했을 경우 자연천이에 의해 나타나는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작성한 도면은?(2006년 05월)
     1. 현존식생도
     2. 생태자연도
     3. 녹지자연도
     4. 잠재자연식생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동물들이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일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생체유지
     2. 경쟁
     3. 생식
     4. 성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다음 중 군집의 기능적 특성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먹이망
     2. 에너지 호용
     3. 우점중
     4. 영양구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주변 산림생태계와 연계된 도시림 조성에 있어서 생물서식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식물군집의 식생구조와 층위는 각각의 야생동물 집단을 위한 독특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
     2. 장기간에 걸친 식생천이는 황량한 벌판에서 성숙한 산림까지 광범위한 서식처를 제공해 준다.
     3. 다양한 생물들이 갖는 생태적 지위는 종간경쟁을 초래하여 생물군의 영역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4. 생물이 서식하고 지속가능한 살아있는 숲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반개방적인 수림이나 밀도가 높은 수림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4. 생물학적 오염(biological pollution)이란 무엇이란?(2015년 08월)
     1. 질병에 감염된 생명체를 자연계로 방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수은이나 납 같은 중금속이 자연계 내 생물들의 체내에 축적되는 것을 의미한다.
     3. 생물 종간의 관계에 영향을 줌으로써 나타나는 생태계 교란을 의미한다.
     4. 생물의 사체에 의한 부영양화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15. 생태계에서의 식물작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에틸렌가스는 식물의 노화를 촉진한다.
     2. 식물도 빛, 수분, 양분에 대해 경쟁을 한다.
     3. 알레로파시 물질은 식물의 낙엽에서도 방출된다.
     4.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옥신은 식물의 열매를 성숙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16. 일반적인 산림생태계의 천이과정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2006년 05월)
     1. 나지→1년생 초본→다년생 초본→응수→양수→극상림
     2. 나지→1년생 초본→다년생 초본→양수→음수→극상림
     3. 극상림→음수→양수→다년생초본→1년생 초본→나지
     4. 극상림→1년생 초본→음수→다년생 초본→양수→나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어느 군락에에서 100개체의 생물이 있다고 가정한 경우 다음 중 종다양도가 가장 높은 군락은?(2004년 12월)
     1. 1개종이 91개체이고 9개 종이 1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2. 3개종이 20개체이고 4개종이 10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3. 7개종이 10개체이고 2개종이 15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4. 10개종이 10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18. 해안가의 수계로서 해수와 담수가 합쳐지는 부분은?(2020년 08월)
     1. 사구
     2. 하구
     3. 대륙붕
     4. 갯벌해안

     정답 : []
     정답률 : 57%

19. 다음 간석지(갯벌)생태계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12월)
     1. 보수력이 높다.
     2. 생물 생산량이 낮다.
     3. 간석지 주변에는 하구습지가 조성된다.
     4. 생물다양성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100%

20. 생물이 살아가는 장소를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8월)
     1. 환경요인
     2. 서식지
     3. 생물요인
     4. 내성범위

     정답 : []
     정답률 : 100%

2과목 : 환경학개론


21. 각 영양단계마다 에너지 효율이 8%라고 가정했을 때 풀 1000kg으로 2차 소비자(예:개구리) 몇 kg을 부양할 수 있는가?(2020년 08월)
     1. 6.4
     2. 8.2
     3. 12.4
     4. 32.0

     정답 : []
     정답률 : 47%

22. 택지개발시 토양보전과 물순환체계 확보를 위한 환경지표로서 활용 가능한 것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5월)
     1. 불투수포장면적
     2. 녹지율
     3. 녹지용적계수
     4. 토양경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다음 중 생태ㆍ녹지네트워크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2. 거점
     3. 광장
     4. 생태통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생태기반이 되는 지형의 변동을 최소화함으로써 개발 이후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대지면적이 50만m2인 단지를 조성하려는 곳에 절성토 면적이 6만m2일 때 지형변동비율은?(2006년 09월)
     1. 5%
     2. 12%
     3. 40%
     4. 8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2010년 05월)

    

     1. NGO
     2. Ombudsman
     3. EIA
     4. Partnership

     정답 : []
     정답률 : 70%

26. 녹지자연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식물군락의 좀조성을 기반으로 녹지성과 자연성을 고려한다.
     2. 0~7 등급으로 구분한다.
     3. 5등급은 완충지역으로 구분하고 잔디, 갈대조림 등의 초원조립지, 유령림 등이 포함된다.
     4. 식생과 토지이용 현황에 따라 녹지공간의 상태를 등급화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일반적인 빗물이 pH값이 얼마 미만일 때 산성비의 기준이 되는가?(2012년 08월)
     1. 2.3
     2. 3.0
     3. 5.6
     4. 6.4

     정답 : []
     정답률 : 84%

28. 육상에서 단위면적(m2)당 생물권의 1차 총 생산량이 가장 높은 곳은?(2004년 12월)
     1. 습윤 온대림
     2. 북방 침엽수림
     3. 기계화된 경작지
     4. 열대 강우림

     정답 : []
     정답률 : 86%

29. 다음 중 사전환경성검토제도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환경영향평가의 협의 기간 단축 등 효율성을 제고한다.
     2. 지속가능한 개발 이념을 실현한다.
     3. 확정된 개발사업의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다.
     4. 사전 입지의 타당성 검토로 대안을 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해안매립지를 활용한 공단조성의 녹화 계획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8월)
     1. 방풍림의 조성
     2. 제염을 위한 식재기반 조성
     3. 인공경량토를 활용한 식재기반 조성
     4. 인근 해안 및 도서지방의 자생수종 도입

     정답 : []
     정답률 : 60%

31. 한반도 자연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산출기로서 생태축이며 우리나라 특산식물의 보호,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생육 및 서식보고로서 최근 보호의 필요성이 높게 제기되고 있는 곳은?(2006년 05월)
     1. 백두대간
     2. 국립공원
     3. 생태공원
     4. 태백산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다음 생태학적 스펙트럼의 조합 중 빈칸에 적합한 것은?(2006년 09월)

    

     1. 조직
     2. 기관
     3. 개체군
     4. 생물권

     정답 : []
     정답률 : 91%

33. 각종 개발계획이나 개발 사업을 수립·시햄함에 있어서 타당성 조사 등 계획 초기단계에서 입지의 타당성,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토록 함으로써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도모하고자 도입된 제도는 무엇인가?(2015년 08월)
     1. 환경영향평가제도
     2. 사전환경성검토제도
     3. 토지환경성평가제도
     4. 중점평가제도

     정답 : []
     정답률 : 34%

34. 다음 중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의 이론이 제기된 배경과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대중적인 빈곤
     2. 지속적인 인구감소
     3.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4. 환경질의 파괴

     정답 : []
     정답률 : 93%

35. 다음 중 토지적성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항목은?(2005년 05월)
     1. 국토의 난개발을 방지하여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유도한다.
     2. 토지의 보전 및 이용 가능성에 대한 등급 분류방법이다.
     3. 토지의 용도구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4. 산림의 조림수종선정을 위해 필요한 평가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주거지역에서의 차량소음 저감대책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도로를 고가화시키는 등 주거지역보다 도로의 레벨을 높여 차량소음을 주거지역으로 부터 분산시킨다.
     2. 주거용 건물 전면에 소음처리를 하거나 도로측으로 통하는 개구부 설치를 금지한다.
     3. 주거지역 전면에 완충지역으로 상가나 업무용 건물을 배치하여 차량소음을 차단한다.
     4. 도로와 주거지역 사이에 제방이나 방음벽을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37. 치수를 위해 원형을 훼손시킨 하천을 자연형으로 복원하고 동시에 친구공간화 하기 위한 계획목표와 방법이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생태계의 다양성 창출 – 다양한 식생대 창출
     2. 다이나믹한 하천의 속성 구현 – 자연하천의 사행 특성활용
     3. 호감가는 경관연출과 적절한 이용체계 – 하안으로의 접근성을 최대화 하기 위한 시설도입
     4. 물과 녹음의 네트워크 형성 – 수계와 수림의 연계

     정답 : []
     정답률 : 69%

38. 생태ㆍ자연도 1등급 권역으로 분류하기 힘든 지역은?(2007년 09월)
     1. 장차 보전의 가치가 있는 2차림 산림 지역
     2.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경관이 특히 수려한 지역
     3. 생물의 지리적 분포 한계에 위치하는 생태계 지역
     4.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주된 서식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다음 설명이 가르키는 용어는?(2008년 05월)

    

     1. 녹지·자연도
     2. 생태·자연도
     3. 경관·분석도
     4. 토지·적성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생태네트워크의 기능과 필요성을 설명한 것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생물다양성 보전 및 증진을 위한 종합적인 접근이다.
     2. 난개발로 훼손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개념이다.
     3. 도시에 산재한 생태적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초점이다.
     4. 생태네트워크를 통한 도시생태계 복원을 위해 풍부한 비용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3과목 : 생태복원공학


41. 비탈면 식생공사를 실시할 때 시공 직후의 토양표면 및 뿜어붙이기 재료의 침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04년 12월)
     1. 침식 방지분산제
     2. 토양 양생제
     3. 구성제
     4. 피복재

     정답 : []
     정답률 : 50%

42. 야생동물 이동통로의 위치 선정을 위하여 동물군집을 조사하고자 한다. 다음 중 야생동물 군집조사 방법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포획조사 방법
     2. 방형구조사 방법
     3. 흔적조사 방법
     4. 청문조사 방법

     정답 : []
     정답률 : 50%

43. 토양의 개량에 사용되는 토양개량제 중 토양을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게 하며, 토양의 고결을 막기 위해 사용되고 점토질에는 통기성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것은?(2010년 05월)
     1. 발포스티렌
     2. 피트모스
     3. 메쉬 엘리먼트(mesh element)
     4. 다공질 토양개량자재

     정답 : []
     정답률 : 69%

44. 다음 산 비탈 사방녹화공사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토양침식은 우수의 침식성과 토양의 수식성(erodibility)의 관계가 크다.
     2. 산 비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탈면의 경사를 완화시켜야 한다.
     3. 산 비탈이 일단 붕괴를 멈추었더라도 추가 붕괴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4. 산 비탈 사방녹화 공사를 위한 임황 조사 내용에는 지형, 지질, 토질, 토양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정체수에 의한 습지로서 숲이나 관목덤불 등으로 덮인 습지이며, 야생동물의 서식처로 중요한 죽은 나무들로 덮이기도 하는 습지는 무엇인가?(2012년 08월)
     1. 소택지(Swamp)
     2. 수변습지(Riparian Wetlands)
     3. 늪(Marshes)
     4. 산성습지(Bogs)

     정답 : []
     정답률 : 77%

46. 다음 중 식재지반이 갖추어야 할 물리적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8년 05월)
     1. 유효수분
     2. 유효토층
     3. 토양경도
     4. 토양산도

     정답 : []
     정답률 : 64%

47. 다음 중 습지지역에서 식생하며 수질정화 효과가 있는 식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갈대
     2. 부들
     3. 덩쿨
     4. 갈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다음 중 비탈면 녹화공법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붕괴 우려지의 보강
     2. 자연생태계의 회복과 보전
     3. 황폐한 녹색환경의 회복과 보전
     4. 식생경관의 조성과 보전

     정답 : []
     정답률 : 82%

49. Louis(1995)가 제안한 생태적 완결성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생물할적 완결성(biological integrity)
     2. 화학적 완결성(chemical integrity)
     3. 문화적 완결성(cultural integrity)
     4. 물리적 완결성(physical integrit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다음 비탈면 녹화에 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2010년 05월)
     1.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에서는 초본과 목본을 적당하게 혼합하되 외래도입초종의 발생기대본수는 1000본/m2 이내로 제한한다.
     2. 비탈면의 기울기가 가파르면 파종량에 할증을 하여 주고, 북향인 곳은 남서향보다 10%이상 할증해준다.
     3. 초본류 위주의 배합에서는 1000∼2000본/m2 정도를 표준 파종량으로 한다.
     4. 외래도입초종이 너무 밀생하면 혼파한 자생종이 피압되므로 외래도입초종의 파종밀도는 가급적 낮추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69%

51. 빗물을 이용한 생물 서식공간을 구성할 때 다음은 어떤 시설을 설명한 것인가?(2006년 05월)

    

     1. 저류연못
     2. 침투연못
     3. 지하저류조
     4. 쇄석여과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물이 많게 되면 모세관을 채우고 남은 물은 큰 공극으로 옮겨져서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토양수는?(2006년 09월)
     1. 중력수
     2. 모관수
     3. 흡습수
     4. 화합수

     정답 : []
     정답률 : 90%

53. 중력댐의 안정조건 등 활동에 대한 안정조건식으로 옳은 것은? (단, f: 댐밑과 기초지반과의 마찰계수, H : 수평문력의 총합, V : 수직문턱)(2006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다음 중 1급수 지표생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4년 12월)
     1. 버들치
     2. 도룡뇽
     3. 가재
     4. 붕어

     정답 : []
     정답률 : 100%

55. 다음 중 인공계와 반대되는 생태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구성원들에 대한 많은 요소, 구조, 기능이 알려지지 않았다.
     2. 일반적으로 생물종의 수가 많을수록 자기 수복기능이 작동하고 시스템은 안정되어 있다.
     3. 시스템의 모든 측면이 인위적 제어의 대상이 된다.
     4. 시스템의 극히 한정된 측면만이 인위적 제어의 대상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56. 산림생태계의 천이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초본 → 목본
     2. 양수군 → 음수군
     3. 고군집 교목 → 저군집 교목
     4. 현존량 적음 → 현존량 많음

     정답 : []
     정답률 : 83%

57. 생태적 코리더(corridor)는 연결되는 형태에 따라 선코리더(linear corridor), 디딤돌 코리더(stepping stone corridor), 그리고 경관 코리더(landscape corrido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선 코리더가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4년 12월)
     1. 하천
     2. 가로수
     3. 옥상녹지
     4. 철로변 녹지

     정답 : []
     정답률 : 67%

58. Braun-Blamquet의 방법에 의한 식물조사 자료의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한 이용법은?(2006년 09월)
     1. 식물군락의 분류와 동정
     2. 계층 다이어그램 작성
     3. 다양성 지수
     4. 식물군락의 생활형 조성 파악

     정답 : []
     정답률 : 50%

59. 비탈면 복원구역 중 수평거리 20m인 곳에서 경사도가 6%일 때 수직거리는?(2006년 09월)
     1. 1.2m
     2. 2.4m
     3. 12m
     4. 24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생태계 복원을 위한 시행절차 중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2005년 05월)
     1.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2. 복원계획의 작성
     3. 복원목적의 설정
     4. 대상지역의 여건분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1. 채집된 식물플랑크톤의 표본을 현미경으로 관찰위해 임시로(수일~수개월) 보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용액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8월)
     1. 70% ethanol
     2. 70% FAA 용액
     3. 0.3% Lugol 용액
     4. 100% Formalin 용액

     정답 : []
     정답률 : 35%

62. 수중 서식지 조사표 작성에 기록할 물 시료와 연관하여 기입 할 항목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수심(m)
     2. 기슭까지의 거리(m)
     3. 전기전도도
     4. 비중

     정답 : []
     정답률 : 46%

63. 다음은 어떤 동물을 제거법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이 동물의 총 개체수는?(2012년 08월)

    

     1. 750
     2. 800
     3. 850
     4. 900

     정답 : []
     정답률 : 81%

64. 다음 1차 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주로 수중식물에 이용하는 것은?(2005년 09월)
     1. 수확법
     2. 엽록소 a 측정법
     3. CO2 측정법
     4. 상대생장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피식자가 피식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회피반응
     2. 집단행동
     3. 방위(防衛)
     4. 공격형 의태

     정답 : []
     정답률 : 44%

66. 다음 중 서식 정보 조사 시에 이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포획 조사
     2. 적집 관찰
     3. 청문 조사
     4. 통계 조사

     정답 : []
     정답률 : 45%

67. 독특한 환경조건에서만 살 수 있는 생물을 지표생물이라고 하는데, 깨끗한 물인 1급수의 지표 어류는?(2006년 09월)
     1. 붕어
     2. 열목어
     3. 은어
     4. 쉬리

     정답 : []
     정답률 : 59%

68. 생태 자료수집에 앞서서 세우는 실험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표본추출의 조작
     2. 보고서 작성방법
     3. 연구조사 자료의 분석
     4. 연구하려는 변수의 선발

     정답 : []
     정답률 : 47%

69. 모든 군집의 종조성이 동일할 때 군집유사도 지수 CJ 또는 CS 값은?(2013년 03월)
     1. 0
     2. 1
     3. 2
     4. 100

     정답 : []
     정답률 : 72%

70. 용존산소량(DO)측정을 위한 종균접종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종균의 접종은 토양 현탁수 및 활성오니를 이용할 수 있다.
     2. 종균은 생활하수를 1시간 이상, 36시간 이내에 실온에서 침전시킨 후 침전물을 이용한다.
     3. 유기농법에 이용하기 위하여 상품화된 종균을 이용할 수도 있다.
     4. 최대첨가량은 물 표본의 DO가 50%만큼 감소되도록 종균접종물질의 농도를 희석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1. 토양환경 조사시 이용되는 토양표본 채토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채집된 상태의 신선한 토양 분석 결과시 기준(standard)이 되기에 분리하여 측정한다.
     2. 모든 토양은 랜덤(random)하게 임의의 지점에서 반복하여 채토한다.
     3. 토양은 토양오거(soil auger)로 채토하며, 물밑의 저질토는 채니기(採泥器)를 이용한다.
     4. 토양 표본은 튼튼한 플라스틱 주머니에 밀봉하여 저장하고 가능한 빨리 분석한다.

     정답 : []
     정답률 : 20%

72. 무작위 표본추출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모집단 내의 각 원소가 표집 될 기회가 균등하다.
     2.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은 무작위 표본이다.
     3. 난수표를 이용한다.
     4. 난수표를 이용한 표본은 무작위 표본이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58%

73. 저인망에서 채집된 어·패류 조사 과정에서 채집된 패류의 가장 바람직한 고정용액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5년 05월)
     1. 75% 알코올
     2. 100% 포르말린
     3. 20% 붕산액
     4. 70% 아세트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다음 중 포유류의 조사방법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야간조명을 이용하여 직접 관찰한다.
     2. 트랩(trap)을 이용한다.
     3. 발자국, 배설물 등을 조사한다.
     4. 털어잡기망(beationg)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작은 연못의 먹이그물에서 3차 소비자(tertiary consumer)로 보아 타당한 것은?(2010년 05월)
     1. 거북이
     2. 초식어류
     3. 동물 플랑크톤
     4. 조류(algae)

     정답 : []
     정답률 : 83%

76. 다음 중 생태계에서 생산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1. 1차 총생산력 : 측정기간 동안 호흡으로 사용되는 유기물을 포함한 광합성의 총량
     2. 1차 순생산력 : 측정기간 동안 호흡에 사용되는 유기물을 뺀 식물 조직 내에 축적되는 유기물의 양
     3. 군집 순생산력 : 일정한 기간(보통 발육기간) 또는 1년 동안 종속영양생물에게 이용되지 않는 유기물 축적량
     4. 2차 생산력 : 먹이를 섭취한 종속영양생물이 호흡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포함한 모든 에너지의 양

     정답 : []
     정답률 : 36%

77. 표본 추출 방법 중 환경 조건이 뚜렷하게 둘로 나뉠 경우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9월)
     1. 임의 추출법(무작위추출법)
     2. 계통 표본 추출법(규칙적인 추출법)
     3. 계층 임의 추출법
     4. 방형구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8. 종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편해공생 : 서로의 관계에 의해 한 종이 모든 이득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2. 포식 : 한 종은 이득을 얻고 다른 종은 손실된다.
     3. 쟁탈경쟁 : 자원이 제한되었을 때 경쟁이 심해짐에 따라 개체군 내 개체들의 생장과 생식이 똑같이 억제될 때 일어난다.
     4. 시합경쟁 : 자원이 제한되었을 때 일부 개체들은 충분한 자원을 확보하나 다른 개체들과 공유하지 않을 때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40%

79. 다음 표는 어느 군집의 종수와 각 종에 속하는 수도를 조사한 자료이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Simpson의 종 다양도지수(Ds)를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0.603
     2. 0.595
     3. 0.485
     4. 0.397

     정답 : []
     정답률 : 60%

80. 토성(soil texture)분석 시 눈 크기가 얼마인 체로 걸러지는 부분만을 대상으로 조사하는가?(2007년 09월)
     1. 1mm
     2. 2mm
     3. 3mm
     4. 4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1318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2 9급 국가직 공무원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41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40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3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3190853)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38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8282335)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37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13186)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35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34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33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32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10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31 9급 지방직 공무원 간호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30 유기농업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29 RFID-GL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2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27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8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2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25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4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624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623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Board Pagination Prev 1 ...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 282 Next
/ 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