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21304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항공역학


1. 날개면적이 150m2, 스팬(span)이 25m인 비행기의 가로세로비(aspect ratio)는 약 얼마인가?(2020년 08월)
     1. 3.0
     2. 4.17
     3. 5.1
     4. 7.1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날개의 가로세로비(AR) 공식
AR = b/c = b^2/S 중
b^2/S 공식 사용하면 = 25^2/150 = 4.166 = 4.17
[해설작성자 : ㅎㅎ]

2. 그림과 같은 압력구배가 없는 점성흐름을 고찰할때 작용힘(F)과 비례하지 않는 요소는?(2002년 03월)

   

     1. 점성계수(μ )
     2. 물체의 속도(V)
     3. 작용면적(S)
     4. 거리(높이)(h)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F = 점성계수*면적*속도 / 거리(높이)
[해설작성자 : 재래시장호떡]

3. 날개면적이 100m2인 비행기가 400km/h의 속도로 수평비행하는 경우 이 항공기의 중량은 약 몇 kgf인가?(단, 양력계수는 0.6, 공기밀도는 0.125kgf·s2/m4이다.)(2016년 03월)
     1. 60000
     2. 46300
     3. 23300
     4. 1560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실속속도 = 루트((2W/밀도*날개면적*양력계수))
[해설작성자 : 맑갑]

수평비행시 L=W,D=T
양력(L)= 양력계수*1/2*밀도*속도제곱*날개면적
최소단위 맞춰서

4. 공기력 중심(aerodynamic center)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1. 속도가 일정한 경우에 받음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모멘트가 일정하게 되는 날개 시위선상의 점이다.
     2. 아음속 날개에서는 공기력 중심의 일반적인 위치는 대개 시위의 25% 부근에 위치한다.
     3. 초음속 날개에서는 공기력 중심의 일반적인 위치는 대개 시위선의 15% 부근에 위치한다.
     4. 모멘트 계수의 값이 일정한 값을 가지는 날개 시위상의 점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5. 비행기가 상승함에 따라 점점 상승율이 떨어진다. 절대 상승 한계에서 이용 마력과 필요 마력과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2004년 09월)
     1. 이용 마력이 필요 마력 보다 크다.
     2. 이용 마력과 필요 마력이 같다.
     3. 이용 마력이 필요 마력 보다 작다.
     4. 고도에 따라 마력이 변하므로 비교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9%

6. 활공기에서 활공거리를 크게하기 위한 설명중 가장 올바른 것은?(2005년 05월)
     1. 형상항력을 최대로 한다.
     2. 가로 세로비를 작게한다.
     3. 날개의 가로 세로비를 크게한다.
     4. 표면 박리현상 방지를 위하여 표면을 적절히 거칠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7. 날개 밑에 장착되는 보틸론의 가장 큰 역할은?(2006년 09월)
     1. 가로안정 유지
     2. 딥 실속 방지
     3. 유도항력 감소
     4. 옆 미끄럼 방지

     정답 : []
     정답률 : 64%

8. 항공기의 착륙거리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추력을 크게 한다.
     2. 익면하중을 작게 한다.
     3. 역추력장치를 사용한다.
     4. 지면 마찰계수를 크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9. 실속속도가 160㎞/h이고 양항비가 15인 비행기가 마찰계수 0.06인 활주로에 착륙하는 경우, 이 비행기의 착륙 활주 거리는 약 얼마가 되는가?(2004년 09월)
     1. 1025m
     2. 886m
     3. 775m
     4. 630m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착륙활주거리의 공식은 V^2/2g((D/W)+u) u=마찰계수
이때 W=L로 가정하면 V^2/2g((D/L)+u)가 됩니다.
이 식으로 계산하면 (160÷3.6)^2/(2×9.8((1/15)+0.06))=795가 나옵니다.
보기의 3번은 오류로 775를 795로 바꿔주시는게 옳은 보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사람]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775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0. 고도 5000 m에서 150 m/s 로 비행하는 날개 면적이 100 m2 인 항공기의 항력계수가 0.02 일 때 필요마력은 몇 ps 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0.070 kgㆍs2/m4 이다.)(2016년 05월)
     1. 1890
     2. 2500
     3. 3150
     4. 325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D = T = (DV/75) = (0.5*밀도*속도^3*날개면적*항력계수)/75
[해설작성자 : 맑갑]

11. 헬리콥터가 지상 가까이에 있을 경우 회전 날개를 지난 흐름이 지면에 부딪혀 헬리콥터와 지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압축시켜 추력이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5월)
     1. 지면 효과
     2. 페더링 효과
     3. 플레핑 효과
     4. 정지비행 효과

     정답 : []
     정답률 : 92%

12. 대류권에서 고도가 상승함에 따라 공기의 밀도, 온도, 압력의 변화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밀도, 압력, 온도 모두 증가한다.
     2. 밀도, 압력, 온도 모두 감소한다.
     3. 밀도, 온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한다.
     4. 밀도는 증가하고 압력, 온도는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13. 무게가 3000kgf 인 항공기가 경사각 30°, 150km/h의 속도로 정상선회를 하고 있을 때 선회반지름은 약 몇m인가?(2013년 03월)
     1. 218
     2. 307
     3. 436
     4. 604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선회 반지름 공식
R = 2W/pSCL
R = V^2/g⦁tan (적용)
V = 150km/h → 150/3.6 → 41.6m/s
R = 41.6^2/9.8⦁tan30 = 답[306.8m]
[해설작성자 : 낙하산]

14. 비행기의 방향 조종에서 방향키 부유각(Float ang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방향키를 밀었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변위되는 각
     2. 방향키를 당겼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변위되는 각
     3. 방향키를 고정했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변위되는 각
     4. 방향키를 자유로 했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자유로이 변위되는 각

     정답 : []
     정답률 : 85%

15. 라이트형제는 인류 최초의 유인동력비행을 성공하던 날 최고기록으로 59초 동안 이륙지점에서 260m 지점까지 비행하였다. 당시 측정된 43km/h의 정풍을 고려한다면 대기속도는 약 몇 km/h인가?(2016년 03월)
     1. 27
     2. 40
     3. 60
     4. 8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대기속도= 항공기속도 + 바람속도
항공기속도 = 260 / 59 = 4.4m/s =15.8km/h
대기속도 = 15.8 + 43 = 58.8
[해설작성자 : 맑갑]

16. 자동 회전과 수직 강하가 조합된 비행으로 조종간을 잡아 당겨서 실속시킨 후, 방향키 페달을 한쪽만 밟아 주는 조종동작으로 발생되는 비행은?(2009년 05월)
     1. 스핀비행
     2. 스톨비행
     3. 선회비행
     4. 슬립비행

     정답 : []
     정답률 : 86%

17. 운항중인 항공기에서 조종면의 조종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주로 변화시키는 것은?(2016년 05월)
     1. 날개골의 캠버
     2. 날개골의 면적
     3. 날개골의 두께
     4. 날개골의 길이

     정답 : []
     정답률 : 81%

18. 비행기의 동적 세로안정으로서 속도변화에 무관한 진동이며 진동주기는 0.5~5초가 되는 진동은 무엇인가?(2019년 04월)
     1. 장주기운동
     2. 승강키 자유운동
     3. 단주기 운동
     4. 도움날개 자유운동

     정답 : []
     정답률 : 80%

19. 헬리콥터에서 양력 불균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주 회전날개 깃의 플래핑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후퇴하는 깃에는 최대상향 변위가 기수 전방에서 나타난다.
     2. 후퇴하는 깃에는 최대상향 변위가 기수 후방에서 나타난다.
     3. 전진하는 깃에는 최대상향 변위가 기수 후방에서 나타난다.
     4. 전진하는 깃에는 최대상향 변위가 기수 전방에서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49%

20. 헬리콥터 구동 계통에서 자유회전장치(freewheeling unit)의 주된 목적은?(2016년 10월)
     1. 주 회전날개 제동장치를 풀어서 작동을 가능하게한다.
     2. 시동 중에 주 회전날개 깃의 굽힘응력을 제거한다.
     3. 착륙을 위해서 기관의 과회전을 허용한다.
     4. 기관이 정지되거나 제한된 주 회전날개의 회전 수 보다 느릴 때 주 회전날개와 기관을 분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2과목 : 항공기관


21. 지시마력이 80hp 인 항공기 왕복기관의 제동마력이 64hp 라면 기계효율은?(2013년 06월)
     1. 0.20
     2. 0.25
     3. 0.80
     4. 1.25

     정답 : []
     정답률 : 71%

22. 브리더 공기(Breather Air)로 부터 공기와 오일을 분리하기 위해 기어박스(Gear Box)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2004년 09월)
     1. Deoiler
     2. Oil Separate
     3. Air Separate
     4. Deairer

     정답 : []
     정답률 : 43%

23. 항공기 가스터빈기관의 연료로서 필요한 조건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발열량이 클 것
     2. 휘발성이 낮을 것
     3. 부식성이 없을 것
     4. 저온에서 동결되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77%

24. 항공기용 엔진 중 터빈식 회전엔진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램제트엔진
     2. 터보프롭엔진
     3. 가스터빈엔진
     4. 터보제트엔진

     정답 : []
     정답률 : 79%

25.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은 어떤 기관의 이상적인 기본 사이클인가?(2011년 06월)
     1. 디젤기관
     2. 가솔린기관
     3. 가스터빈기관
     4. 스털링기관

     정답 : []
     정답률 : 82%

26. 가스터빈기관 연료계통의 기본적인 유로의 형성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6년 09월)

    

     1. ①②③④⑤⑥
     2. ①②③⑤④⑥
     3. ①③②④⑤⑥
     4. ①③②⑤④⑥

     정답 : []
     정답률 : 61%

27. 내연기관에서 이론 열효율을 구하기 위해 설정한 이상적인 엔진 사이클의 조건을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작동유체를 공기라하고 공기의 비열을 온도에 대하여 일정하게 한다.
     2. 압축, 팽창 행정은 외부와의 열교환이 없는 단열변화라 한다.
     3. 흡입, 배기에는 저항이 많고 대기압상태에서 흡.배기가 이루어진다.
     4. 작동유체의 운동에너지는 무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28. 아음속 여객기에 장착된 터보팬기관의 공기 흡입구 형식으로 적합한 것은?(2008년 09월)
     1. 확산형 (Divergent)
     2. 수축형 (Convergent)
     3. 수축-확산형 (Convergent-divergent)
     4. 확산-축소형 (Divergent-convergent)

     정답 : []
     정답률 : 74%

29. 가스 터빈 기관의 점화장치 작동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2년 09월)
     1. 처음 시동시 1회만 작동한다.
     2. 기관이 작동되는 중엔 계속 작동 된다.
     3. 정상적인 점화가 되면 정지한다.
     4. 30분 주기로 점화가 반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53%

30. 항공기가 400 mph 의 속도로 비행하는 동안 가스터빈엔진이 2340 lbf 의 진추력을 낼 때, 발생되는 추력마력은 약 몇 hp 인가?(2016년 05월)
     1. 1702
     2. 1896
     3. 2356
     4. 2496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비행기속도 x 진추력     400 X 2340                     400 x 2340                                        400 x 2340
                                         ㅡㅡㅡㅡㅡ     (mph) , ㅡㅡㅡㅡㅡㅡㅡ ( kg m/s) ,    ㅡㅡㅡㅡㅡㅡㅡㅡ (lb ft/ s)
[해설]                                            375                                 75                                                    550
[해설작성자 : 정종영]

추력마력=(F×V)/550
1mph=1.467ft/s
(2340×[400×1.467])/550 = 2496HP
[해설작성자 : 일진사]

31. 가스터빈기관의 용량형 점화장치에서(lgniter)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작동할 때,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은?(2012년 03월)
     1. 블리드 저항(Bleed resister)
     2. 저장 축전기(Stroage capacitor)
     3. 더블러 축전기(Doubler capacitor)
     4. 고압 변압기(High tension transformer)

     정답 : []
     정답률 : 65%

32. 가스터빈엔진에서 사용하는 주 연료펌프의 형식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기어 펌프(gear pump)
     2. 베인 펌프(vane pump)
     3. 루트 펌프(roots pump)
     4. 지로터 펌프(gerotor pump)

     정답 : []
     정답률 : 72%

33. 터빈 엔진의 배기 가스 특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4년 09월)
     1. 아이들 시 일산화탄소가 작다.
     2. 가속 시 일산화탄소가 많다.
     3. 가속 시 질소산화물이 많다.
     4. 아이들 시 질소화합물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40%

34. 축류식 압축기의 1단당 압력비가 1.6 이고,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가 1.3 일 때 압축기의 반동도는?(2016년 05월)
     1. 0.2
     2. 0.3
     3. 0.5
     4. 0.6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반동도=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 단당 압력 상승) *100%
=((P2-P1)/(P3-P1))*100%
=(1.3P1-P1/1.6P1-P1)*100%
=(0.3/0.6)*100%
=5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터보 팬 엔진의 팬 트림 밸런스에 관하여 가장 올바른 것은?(2004년 09월)
     1. 엔진의 출력 조정이다.
     2. 정기적으로 행하는 팬의 균형 시험이다.
     3. 팬 블레이드를 교환하여 한다.
     4. 밸런스 웨이트로 수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36. 마그네토의 표시 DF18RN 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단식이다.
     2. 오른쪽으로 회전한다.
     3. 실린더 수는 8개이다.
     4. 베이스 장착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D: 복식 마그네토 (S:단식 마그네토)
F: 플랜지 장착형
18: 실린더의 개수
R: 마그네토의 회전방향(오른쪽방향/시계방향)(구동축에서 보았을 때)
N: 제작사 표시(벤딕스社)
[해설작성자 : g]

37. 터빈엔진에서 과열시동(hot start)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인해야 하는 계기는?(2020년 08월)
     1. 토크 미터
     2. EGT 지시계
     3. 출력 지시계
     4. RPM 지시계

     정답 : []
     정답률 : 76%

38. 프로펠러 깃각(Blade angle)은 에어포일 시위선(Chord line)과 무엇과의 사이각으로 정의 되는가?(2012년 09월)
     1. 회전면
     2. 프로펠러 추력 라인
     3. 상대풍
     4. 피치변화시 깃 회전 축

     정답 : []
     정답률 : 64%

39. 기화기(Carburetor)의 흡기온도가 증가하면 정미평균 유효압력(brake mean effective pressure)은?(2002년 05월)
     1. 변화가 없다
     2. 증가한다.
     3. 감소한다.
     4. 감소후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40. 이상기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엔탈피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2.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3. 상태방정식에서 압력은 체적과 반비례 관계이다.
     4. 비열비(specific heat ratio)값은 항상 1 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비열비는 항상'1' 보다 크다
[해설작성자 : 성안당]

3과목 : 항공기체


41. 알루미늄 합금을 구조용 강철과 비교하여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비강도가 높다.
     2. 단위 체적당 무게가 거의 같다.
     3. 알루미늄 합금의 변형이 더 크다.
     4. 알루미늄 합금의 제1변태점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70%

42. 키놀이 조종계통에서 승강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일반적으로 승강키의 조종은 페달에 의존한다.
     2.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는 항공기 운동에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수평 안정판의 뒷전에 장착되어 있다.
     4.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운동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43. 그림과 같은 외팔보에 집중하중(P1, P2)이 작용할 때 벽 지점에서의 굽힘모멘트를 옳게 나타낸 것은?(2018년 03월)

    

     1. 0
     2. -P1a
     3. -P1L-P2b
     4. -P1b+P2b

     정답 : []
     정답률 : 69%

44. 손상된 판재를 리벳에 의한 수리작업 시 리벳수를 결정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L : 판재의 손상된 길이, D: 리벳지름, t: 손상된 판의 두께, s: 안전계수, σmax: 판재의 최대인장응력, τmax: 판재의 최대전단응력이다.)(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6%

45. 이상적인 트러스 구조의 부재는 어느 하중을 받는가?(2003년 08월)
     1. 인장 또는 압축
     2. 굽힘
     3. 전단
     4. 인장 도는 굽힘

     정답 : []
     정답률 : 50%

46. 굽힘강도가 EI이고 길이가 L인 일정한 단면의 봉이 순수 굽힘 모멘트 M을 받을 때 변형에너지 식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47. 조종간의 작동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조종간을 뒤로 당기면 승강타가 내려간다.
     2. 조종간을 앞으로 밀면 양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3. 조종간을 왼쪽으로 움직이면 왼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4. 조종간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왼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4번만 맞는 내용입니다.
조종간을 뒤로 당기면 상승 비행이기 때문에 승강타가 올라가야 합니다.
1번은 틀린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배건형]

조종간을 당기면 승강키가 올라가 비행기 기수 상승
조종간을 밀면 승강키가 내려가 비행기 기수 하강
[해설작성자 : 하늘]

48. 다음과 같은 구조물에서 A-B 구간의 내력은 몇 N 인가?(2010년 03월)

    

     1. -400 N
     2. 400 N
     3. -100 N
     4. 100 N

     정답 : []
     정답률 : 50%

49. [그림]의 클레비스 볼트(Clevis Bol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8년 03월)

    

     1. 전단하중이 걸리는 곳에 사용한다.
     2. 인장하중이 걸리는 곳에 사용한다.
     3. 볼트의 머리는 6각 또는 12각으로 되어있는 것도 있어 렌치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4. 압축하중과 인장하중이 동시에 걸리는 곳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50. 항공기 앞착륙 장치의 좌우 방향 진동를 방지하거나 감쇠 시키는 장치는 무엇인가?(2004년 03월)
     1. 시미댐퍼
     2. 방향제어장치
     3. 오리피스
     4. 오버센터 링크

     정답 : []
     정답률 : 81%

51. 항공기 기체 내부와 외부 구조부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리벳은?(2016년 05월)
     1. 납작머리 리벳(flat head rivet)
     2. 둥근머리 리벳(round head rivet)
     3. 접시머리 리벳(countersink head rivet)
     4. 유니버설머리 리벳(universal head rivet)

     정답 : []
     정답률 : 75%

52. 항공기 기관을 날개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물로만 나열한 것은?(2015년 09월)
     1. 마운트, 나셀, 파일론
     2. 블래더, 나셀, 파일론
     3. 인테그럴, 블래더, 파일론
     4. 캔틸레버, 인테그럴, 나셀

     정답 : []
     정답률 : 86%

53. 그림 같은 항공기에서 무게중심의 위치는 기준선으로부터 약 몇 m인가?(2008년 09월)

    

     1. 0.72
     2. 1.50
     3. 2.17
     4. 3.52

     정답 : []
     정답률 : 71%

54. 항공기 실속 속도 80 mph, 설계제한 하중배수 4인 비행기가 급격한 조작을 할 경우에도 구조역학적으로 안전한 속도 한계는 약 몇 mph 인가?(2016년 05월)
     1. 140
     2. 160
     3. 200
     4. 320

     정답 : []
     정답률 : 59%

55. 조종 케이블이 작동 중에 최소의 마찰력으로 케이블과 접촉하여 직선운동을 하게 하며, 케이블을 작은 각도 이내의 범위에서 방향을 유도하는 것은?(2018년 09월)
     1. 풀리(pulley)
     2. 페어리드(fair lead)
     3. 벨 크랭크(bell crank)
     4. 케이블드럼(cable drum)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풀리 Pulley : 조종 케이블의 처짐 방지나 방향을 바꾸는 역할.
2. 벨 크랭크 Bell crank : L 형태. 직선운동을 수직 방향으로 바꾸는 역할.
3. 케이블 드럼 Cable drum : 케이블 릴이 더 대중적? 보관함
[해설작성자 : Han_G1ry]

56. 항공기 기체 구조 중 알루미늄 합금 2024 가 주로 사용되는 곳은?(2009년 05월)
     1. 동체 스킨
     2. 동체 프레임
     3. 랜딩기어
     4. 날개 윗면판

     정답 : []
     정답률 : 65%

57. AN 501 B- 416- 7 의 B는 스크류의 무엇을 식별하는가?(2005년 03월)
     1. 2017-T 알미늄 합금이다.
     2. 황동이다.
     3. 부식 저항 강이다.
     4. 머리에 구멍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58. 다음 중 변형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변형률은 길이와 길이의 비이므로 차원은 없다.
     2. 변형률은 변화량과 본래의 치수와의 비를 말한다.
     3. 변형률은 비례한계 내에서 응력과 정비례관계에 있다.
     4. 일반적으로 인장봉에서 가로변형율은 신장율을, 축변형율은 폭의 증가를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57%

59. 턴록 중에서 에어록 패스너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스터드
     2. 스터드리셉터클
     3. 크로스핀
     4. 그로메트

     정답 : []
     정답률 : 49%

60. 다음과 같은 구조물에서 케이블 AB에 발생하는 장력은 약 몇 N 인가?(2011년 10월)

    

     1. 282.24
     2. 265.84
     3. 242.84
     4. 212.84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C 점에서 모멘트 합 = 0
이등변 삼각형이므로 B점에서 X축 방향 힘은 200
Y축 힘의 평형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B의 Y축 힘은 200
피타고라스 정리에 따라서 루트(200^2+200^2) = 1번
[해설작성자 : 산기 3일컷 도전 ~]

61. 대형 항공기의 공기조화 계통에서 가열 계통에는 연소가열기를 장치하여 사용한다. 온도가 규정값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연소가열에 공급되는 연료를 자동차단 시킬 수 있는 밸브 장치는?(2006년 05월)
     1. 솔레노이드 밸브
     2. 조정유닛 밸브
     3. 스필 밸브
     4. 버터플라이식 밸브

     정답 : []
     정답률 : 74%

6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5Ω저항에 흐르는 전류값은 몇 A인가?(2020년 08월)

    

     1. 1
     2. 4
     3. 6
     4. 1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V=IR
둘로나누어서 계산하여야함
첫째
90v 는 없다고보고 140v 하나만 놓고 보았을때에
전체저항 R = 20+((5X6)/11)=22.72오옴
전체I=140/22.72=6.16
따라서 I1 =6.16, I2=6.16 X 6/11 = 3.36,    I3 = 6.16 X 5/11 = 2.8
이때 I2 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흐름
둘째
140V 는 없고 90V 만 하나만 놓고 보았을때에
전체저항 R = 5+((20X6)/26)=9.615 오옴
전체I=90/9.615 = 9.36
따라서 I2=9.36, I1=9.36 X 6/26 = 2.16,    I3 = 9.36 X 20/26 = 7.2
이때 I2 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흐름
따라서 I2 는 좌에서 우로 흐르려는 3.36 과 우에서 좌로 흐르려는 9.36 이 서로 합해서 우에서 좌로 6 암페어가 흐름
[해설작성자 : 나그네]

63. 항공기에 사용되는 유압계통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리저버와 리턴라인이 필요 없다.
     2. 단위중량에 비해 큰 힘을 얻는다.
     3. 과부하에 대해서도 안전성이 높다.
     4. 운동속도의 조절범위가 크고 무단변속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64. 화재탐지장치 중 온도상승을 바이메탈(Bimetal)로 탐지하는 것은?(2011년 03월)
     1. 용량형(Capacitance Type)
     2. 서머커플형(Thermo Couple Type)
     3. 저항루프형(Resistance Loop Type)
     4. 서멀스위치형(Thermal Switch Type)

     정답 : []
     정답률 : 66%

65. 계기착륙장치(ILS) 계통을 설명한 내용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02년 09월)
     1. 제어 스위치를 어프로치(approach) 모드로 선택하면 초단파 전 방위 표시기(VOR) 안테나에서 레이돔(Radome) 안에 있는 로컬라이저(Localizer) 안테나로 전환되어 로칼라이저 빔을 수신한다.
     2. 로컬라이저 주파수만 선택하면 글라이드 슬롭(Glideslop), 거리 측정 장치(DME)가 함께 동조된다.
     3. 착륙기어가 내려졌을 때 레이돔의 글라이드 슬롭캡춰(Capture) 안테나에서 노스 기어 도어에 위치한 트랙(Track) 안테나로 전환되어 글라이드 슬롭 빔을 수신한다.
     4. 마커 비콘(Maker Beacon) 수신장치는 같은 주파수를 수신하고 활주로 끝을 나타내기 위하여 청색, 주황색, 백색의 표시등을 켜지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66. 최대값이 141.4v인 정현파 교류의 실효값은 약 몇 v인가?(2014년 03월)
     1. 90
     2. 100
     3. 200
     4. 300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41.4 × 1/√2 = 141.4 × 0.707 = 99.9698 ≒ 100
[해설작성자 : 맛있는후추밥]

67. 다음 중 종합계기 PFD에서 지시되지 않는 것은?(2017년 05월)
     1. 승강속도
     2. 날씨정보
     3. 비행자세
     4. 기압고도

     정답 : []
     정답률 : 81%

68. 비행기록장치(DFDR:Digital Flight Data Recorder) 또는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Cockpit Voice Recorder)에 장착된 수중위치표시(ULD:Under Water Locating Device)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6년 03월)
     1. 비행에 필수적인 변수가 기록된다
     2. 물속에 있을 때만 작동이 가능하다
     3. 매초마다 37.5 kHz로 Pulse Tone 신호를 송신한다
     4. 최소 3개월 이상 작동 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윈큐 책에는 1번으로 나오네요
[해설작성자 : 구미대]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일진사 4번으로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사랑해]

[오류신고 반론]
성안당에서도 4번이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윈큐책 2021년도 버전에서는 1,4번 둘다 정답으로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항공박]

[오류신고 반론]
비행 기록장치에 장착된 수중 위치 표지 성능은 비행에 필수적인 변수가 기록되며, 물속에 있을때만 작동이가능하며, 물속에서 30일간 초당 37.5khz의 초음파 펄스를 낸다 수명 6년 7.9V의 리튬 전기가 내장되어 전원 공급
[해설작성자 : mintchoco]

[추가 오류 신고]
윈큐 2022 에도 1,4 둘 다 정답처리 되어있네요 .
[해설작성자 : 인절미맛]

69. 객실여압계통에서 주된 목적이 과도한 객실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압력 릴리프밸브
     2. 덤프밸브
     3. 부압 릴리프밸브
     4. 아웃플로밸브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부압 릴리프밸브는 객실내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을때 열려서 압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지않나요?
[해설작성자 : 산기가즈아]

[오류신고 반론]
※ 객실 압력 안전밸브
● 압력 릴리프 밸브(cabin pressure relief valve) : 여압된 항공기에서 아웃 플로 밸브에 고장이 생겼거나 다른 원인에 의하여 항공기 외부와 객실 내부의 차압이 규정값보다 클 때 기체의 팽창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되어 객실 안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규정된 차압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
● 부압 릴리프 밸브(negative pressure relief valve) : 항공기가 객실고도보다 더 낮은 고도로 하강할 때나 지상에서 객실 압력과 대기압을 일치시켜 줄 필요가 있을 때 열려서 대기의 공기가 객실 안으로 자유롭게 들어오도록 되어 있는 밸브
● 덤프 밸브(dump valve) : 보통 비정상 상태 또는 정비 요구 시, 또는 비상사태에서 객실로부터 공기압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해 사용
답은 4번

[추가 오류 신고]
문제가 압력을 제거 하는 장치가 아닌거라고 했으니깐 부압릴리프밸브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마부작침]

[오류신고 반론]
1.객실 압력 조절 장치
    ①아웃플로우 밸브

    ②객실 압력 조절기

    ③객실 압력 안전밸브
        ⓐ압력 릴리프 밸브
        ⓑ부압 릴리프 밸브
        ⓒ덤프 밸브
이상입니다. 추가적으로 말씀드리자면 국가기술자격시험에서 답이라고 표기한 것을 틀렸다고 반박하지 맙시다. 모두 열공~
[해설작성자 : 제발 좀~]

[추가 오류 신고]
4. 아웃플로 밸브는 객실 압력이 높고 낮음에 따라 공기를 배출시키기도 하고 펌프로 공기를 흡입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3. 부압 릴리프 밸브는 객식 압력이 낮을때 대기의 공기를 객실 안으로 들어오게 해주는 밸브 입니다.
따라서 답 3번입니다.

3. 부압 릴리프 밸브는 과도한 압력을 제거해주는 장치가 아닌 항공기 내부의 객실이나 기기실의 압력이 규정된 범위보다 저하될 때, 외부 공기를 도입하게 하는 밸브 입니다.
[해설작성자 : 제발좀]

[오류신고 반론]
' 과도한 ' 객실압력을 ' 제거 ' 하는 기능이므로 부압 릴리프 밸브는 답이 될 수 없지 않나요?
[해설작성자 : 닭발]

[오류신고 반론]
고도가 높아질 수록 공기의 압력은 낮아지므로 상대적으로 따지면 객실안의 압력이 더 높게 된다. 이 때, 부압릴리프 밸브를 사용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객실안으로 들여보내면 객실안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부압릴리프 밸브가 답이 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바보]

[오류신고 반론]
부압 릴리프 밸브는 바깥의 공기를 내부로 들어오게 하는 밸브인데, 공기가 들어오게 되면 낮아지는건 객실 고도이고. 압력이 높아지므로 과도한 객실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라, 오히려 압력을 높여주는 장치이다.
[해설작성자 : 흐음]

70. 다음 중 압력측정에 사용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벨로즈(Bellows)
     2. 바이메탈(Bimetal)
     3. 아네로이드(Aneroid)
     4. 버든튜브(Burdon Tube)

     정답 : []
     정답률 : 62%

71. 계자가 8극인 단상교류 발전기가 115V, 400Hz 주파수를 만들기 위한 회전수는 몇 rpm인가?(2017년 03월)
     1. 4000
     2. 6000
     3. 8000
     4. 1000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주파수f=p/2*n/60=p*n/120
400=8*n/120
n=400*120/8=6000
[해설작성자 : 근근]

72. 다른 종류와 비교해서 구조가 간단하여 항공기에 많이 사용되는 축압기(Accumulator)는?(2015년 05월)
     1. 스풀(spool)형
     2. 포핏(poppet)형
     3. 피스톤(piston)형
     4. 솔레노이드(solenoid)형

     정답 : []
     정답률 : 72%

73. 다음 중 피토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계기는?(2010년 05월)
     1. 속도계
     2. 고도계
     3. 승강계
     4. 선회 경사계

     정답 : []
     정답률 : 85%

74. SELCAL System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9월)
     1. 지상에서 항공기를 호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2. HF,VHF System으로 송.수신된다.
     3. SELCAL Code는 4개의 Code로 만들어져 있다.
     4. 항공기의 편명에 따라 SELCAL Code가 바뀐다.

     정답 : []
     정답률 : 52%

75.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바꿔주는 것은?(2016년 05월)
     1. Static Inverter
     2. Load Controller
     3. Battery Charger
     4. TRU(Transformer Rectifier Unit)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직류 → 교류로 바꿔주는 것은 인버터(inverter)입니다
[해설작성자 : 20]

76. 니켈-카드뮴 축전지에서 24V축전지는 몇개의 셀을 직렬로 연결하였는가?(2004년 03월)
     1. 12개
     2. 15개
     3. 17개
     4. 19개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니켈 카드뮴 축전기의 셀당 전압은 1.2~1.25[V]이고,
내부저항을 고려해 19개의 셀을 직렬로 연결해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재래시장호떡]

77. 화재탐지기에 요구되는 기능과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화재의 지속기간 동안 연속적인 지시를 할 것
     2. 화재가 지시하지 않을 때 최소전류요구이어야 할 것
     3. 화재가 진화되었다는 것에 대해 정확한 지시를 할 것
     4. 정비작업 또는 정비취급이 복잡하더라도 중량이 가볍고 용이할 것

     정답 : []
     정답률 : 74%

78. 항공기가 지상에서 작동 시 흡기압력계(ManifoldPressure Gage)에서 지시하는 것은?(2012년 05월)
     1. 0(Zero)
     2. 29.92 inHg
     3. 그 당시 지형의 기압
     4. 30.00 inHg

     정답 : []
     정답률 : 68%

79. 연축전지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3년 08월)
     1. 축전지의 충전상태는 전해액의 온도로 측정한다.
     2. 축전지 여러개를 충전할 때 정전류법은 병렬로 연결하여 충전한다.
     3. 축전지 여러개를 충전할 때 정전압법은 병렬로 연결하여 충전한다.
     4. 정전류법으로 충전할 때에는 반드시 시작전에 캡을 닫아 놓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80. 고도계의 보정방법중 활주로에서 고도계가 활주로 표고를 가리키도록 하는 보정방법은 무엇인가?(2003년 08월)
     1. QNE 보정
     2. QNH 보정
     3. QFE 보정
     4. QFH 보정

     정답 : []
     정답률 : 41%


정 답 지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21304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항공역학


1. 날개면적이 150m2, 스팬(span)이 25m인 비행기의 가로세로비(aspect ratio)는 약 얼마인가?(2020년 08월)
     1. 3.0
     2. 4.17
     3. 5.1
     4. 7.1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날개의 가로세로비(AR) 공식
AR = b/c = b^2/S 중
b^2/S 공식 사용하면 = 25^2/150 = 4.166 = 4.17
[해설작성자 : ㅎㅎ]

2. 그림과 같은 압력구배가 없는 점성흐름을 고찰할때 작용힘(F)과 비례하지 않는 요소는?(2002년 03월)

   

     1. 점성계수(μ )
     2. 물체의 속도(V)
     3. 작용면적(S)
     4. 거리(높이)(h)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F = 점성계수*면적*속도 / 거리(높이)
[해설작성자 : 재래시장호떡]

3. 날개면적이 100m2인 비행기가 400km/h의 속도로 수평비행하는 경우 이 항공기의 중량은 약 몇 kgf인가?(단, 양력계수는 0.6, 공기밀도는 0.125kgf·s2/m4이다.)(2016년 03월)
     1. 60000
     2. 46300
     3. 23300
     4. 1560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실속속도 = 루트((2W/밀도*날개면적*양력계수))
[해설작성자 : 맑갑]

수평비행시 L=W,D=T
양력(L)= 양력계수*1/2*밀도*속도제곱*날개면적
최소단위 맞춰서

4. 공기력 중심(aerodynamic center)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1. 속도가 일정한 경우에 받음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모멘트가 일정하게 되는 날개 시위선상의 점이다.
     2. 아음속 날개에서는 공기력 중심의 일반적인 위치는 대개 시위의 25% 부근에 위치한다.
     3. 초음속 날개에서는 공기력 중심의 일반적인 위치는 대개 시위선의 15% 부근에 위치한다.
     4. 모멘트 계수의 값이 일정한 값을 가지는 날개 시위상의 점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5. 비행기가 상승함에 따라 점점 상승율이 떨어진다. 절대 상승 한계에서 이용 마력과 필요 마력과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2004년 09월)
     1. 이용 마력이 필요 마력 보다 크다.
     2. 이용 마력과 필요 마력이 같다.
     3. 이용 마력이 필요 마력 보다 작다.
     4. 고도에 따라 마력이 변하므로 비교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9%

6. 활공기에서 활공거리를 크게하기 위한 설명중 가장 올바른 것은?(2005년 05월)
     1. 형상항력을 최대로 한다.
     2. 가로 세로비를 작게한다.
     3. 날개의 가로 세로비를 크게한다.
     4. 표면 박리현상 방지를 위하여 표면을 적절히 거칠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7. 날개 밑에 장착되는 보틸론의 가장 큰 역할은?(2006년 09월)
     1. 가로안정 유지
     2. 딥 실속 방지
     3. 유도항력 감소
     4. 옆 미끄럼 방지

     정답 : []
     정답률 : 64%

8. 항공기의 착륙거리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추력을 크게 한다.
     2. 익면하중을 작게 한다.
     3. 역추력장치를 사용한다.
     4. 지면 마찰계수를 크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9. 실속속도가 160㎞/h이고 양항비가 15인 비행기가 마찰계수 0.06인 활주로에 착륙하는 경우, 이 비행기의 착륙 활주 거리는 약 얼마가 되는가?(2004년 09월)
     1. 1025m
     2. 886m
     3. 775m
     4. 630m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착륙활주거리의 공식은 V^2/2g((D/W)+u) u=마찰계수
이때 W=L로 가정하면 V^2/2g((D/L)+u)가 됩니다.
이 식으로 계산하면 (160÷3.6)^2/(2×9.8((1/15)+0.06))=795가 나옵니다.
보기의 3번은 오류로 775를 795로 바꿔주시는게 옳은 보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사람]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775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0. 고도 5000 m에서 150 m/s 로 비행하는 날개 면적이 100 m2 인 항공기의 항력계수가 0.02 일 때 필요마력은 몇 ps 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0.070 kgㆍs2/m4 이다.)(2016년 05월)
     1. 1890
     2. 2500
     3. 3150
     4. 325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D = T = (DV/75) = (0.5*밀도*속도^3*날개면적*항력계수)/75
[해설작성자 : 맑갑]

11. 헬리콥터가 지상 가까이에 있을 경우 회전 날개를 지난 흐름이 지면에 부딪혀 헬리콥터와 지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압축시켜 추력이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5월)
     1. 지면 효과
     2. 페더링 효과
     3. 플레핑 효과
     4. 정지비행 효과

     정답 : []
     정답률 : 92%

12. 대류권에서 고도가 상승함에 따라 공기의 밀도, 온도, 압력의 변화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밀도, 압력, 온도 모두 증가한다.
     2. 밀도, 압력, 온도 모두 감소한다.
     3. 밀도, 온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한다.
     4. 밀도는 증가하고 압력, 온도는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13. 무게가 3000kgf 인 항공기가 경사각 30°, 150km/h의 속도로 정상선회를 하고 있을 때 선회반지름은 약 몇m인가?(2013년 03월)
     1. 218
     2. 307
     3. 436
     4. 604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선회 반지름 공식
R = 2W/pSCL
R = V^2/g⦁tan (적용)
V = 150km/h → 150/3.6 → 41.6m/s
R = 41.6^2/9.8⦁tan30 = 답[306.8m]
[해설작성자 : 낙하산]

14. 비행기의 방향 조종에서 방향키 부유각(Float ang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방향키를 밀었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변위되는 각
     2. 방향키를 당겼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변위되는 각
     3. 방향키를 고정했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변위되는 각
     4. 방향키를 자유로 했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자유로이 변위되는 각

     정답 : []
     정답률 : 85%

15. 라이트형제는 인류 최초의 유인동력비행을 성공하던 날 최고기록으로 59초 동안 이륙지점에서 260m 지점까지 비행하였다. 당시 측정된 43km/h의 정풍을 고려한다면 대기속도는 약 몇 km/h인가?(2016년 03월)
     1. 27
     2. 40
     3. 60
     4. 8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대기속도= 항공기속도 + 바람속도
항공기속도 = 260 / 59 = 4.4m/s =15.8km/h
대기속도 = 15.8 + 43 = 58.8
[해설작성자 : 맑갑]

16. 자동 회전과 수직 강하가 조합된 비행으로 조종간을 잡아 당겨서 실속시킨 후, 방향키 페달을 한쪽만 밟아 주는 조종동작으로 발생되는 비행은?(2009년 05월)
     1. 스핀비행
     2. 스톨비행
     3. 선회비행
     4. 슬립비행

     정답 : []
     정답률 : 86%

17. 운항중인 항공기에서 조종면의 조종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주로 변화시키는 것은?(2016년 05월)
     1. 날개골의 캠버
     2. 날개골의 면적
     3. 날개골의 두께
     4. 날개골의 길이

     정답 : []
     정답률 : 81%

18. 비행기의 동적 세로안정으로서 속도변화에 무관한 진동이며 진동주기는 0.5~5초가 되는 진동은 무엇인가?(2019년 04월)
     1. 장주기운동
     2. 승강키 자유운동
     3. 단주기 운동
     4. 도움날개 자유운동

     정답 : []
     정답률 : 80%

19. 헬리콥터에서 양력 불균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주 회전날개 깃의 플래핑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후퇴하는 깃에는 최대상향 변위가 기수 전방에서 나타난다.
     2. 후퇴하는 깃에는 최대상향 변위가 기수 후방에서 나타난다.
     3. 전진하는 깃에는 최대상향 변위가 기수 후방에서 나타난다.
     4. 전진하는 깃에는 최대상향 변위가 기수 전방에서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49%

20. 헬리콥터 구동 계통에서 자유회전장치(freewheeling unit)의 주된 목적은?(2016년 10월)
     1. 주 회전날개 제동장치를 풀어서 작동을 가능하게한다.
     2. 시동 중에 주 회전날개 깃의 굽힘응력을 제거한다.
     3. 착륙을 위해서 기관의 과회전을 허용한다.
     4. 기관이 정지되거나 제한된 주 회전날개의 회전 수 보다 느릴 때 주 회전날개와 기관을 분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2과목 : 항공기관


21. 지시마력이 80hp 인 항공기 왕복기관의 제동마력이 64hp 라면 기계효율은?(2013년 06월)
     1. 0.20
     2. 0.25
     3. 0.80
     4. 1.25

     정답 : []
     정답률 : 71%

22. 브리더 공기(Breather Air)로 부터 공기와 오일을 분리하기 위해 기어박스(Gear Box)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2004년 09월)
     1. Deoiler
     2. Oil Separate
     3. Air Separate
     4. Deairer

     정답 : []
     정답률 : 43%

23. 항공기 가스터빈기관의 연료로서 필요한 조건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발열량이 클 것
     2. 휘발성이 낮을 것
     3. 부식성이 없을 것
     4. 저온에서 동결되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77%

24. 항공기용 엔진 중 터빈식 회전엔진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램제트엔진
     2. 터보프롭엔진
     3. 가스터빈엔진
     4. 터보제트엔진

     정답 : []
     정답률 : 79%

25.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은 어떤 기관의 이상적인 기본 사이클인가?(2011년 06월)
     1. 디젤기관
     2. 가솔린기관
     3. 가스터빈기관
     4. 스털링기관

     정답 : []
     정답률 : 82%

26. 가스터빈기관 연료계통의 기본적인 유로의 형성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6년 09월)

    

     1. ①②③④⑤⑥
     2. ①②③⑤④⑥
     3. ①③②④⑤⑥
     4. ①③②⑤④⑥

     정답 : []
     정답률 : 61%

27. 내연기관에서 이론 열효율을 구하기 위해 설정한 이상적인 엔진 사이클의 조건을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작동유체를 공기라하고 공기의 비열을 온도에 대하여 일정하게 한다.
     2. 압축, 팽창 행정은 외부와의 열교환이 없는 단열변화라 한다.
     3. 흡입, 배기에는 저항이 많고 대기압상태에서 흡.배기가 이루어진다.
     4. 작동유체의 운동에너지는 무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28. 아음속 여객기에 장착된 터보팬기관의 공기 흡입구 형식으로 적합한 것은?(2008년 09월)
     1. 확산형 (Divergent)
     2. 수축형 (Convergent)
     3. 수축-확산형 (Convergent-divergent)
     4. 확산-축소형 (Divergent-convergent)

     정답 : []
     정답률 : 74%

29. 가스 터빈 기관의 점화장치 작동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2년 09월)
     1. 처음 시동시 1회만 작동한다.
     2. 기관이 작동되는 중엔 계속 작동 된다.
     3. 정상적인 점화가 되면 정지한다.
     4. 30분 주기로 점화가 반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53%

30. 항공기가 400 mph 의 속도로 비행하는 동안 가스터빈엔진이 2340 lbf 의 진추력을 낼 때, 발생되는 추력마력은 약 몇 hp 인가?(2016년 05월)
     1. 1702
     2. 1896
     3. 2356
     4. 2496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비행기속도 x 진추력     400 X 2340                     400 x 2340                                        400 x 2340
                                         ㅡㅡㅡㅡㅡ     (mph) , ㅡㅡㅡㅡㅡㅡㅡ ( kg m/s) ,    ㅡㅡㅡㅡㅡㅡㅡㅡ (lb ft/ s)
[해설]                                            375                                 75                                                    550
[해설작성자 : 정종영]

추력마력=(F×V)/550
1mph=1.467ft/s
(2340×[400×1.467])/550 = 2496HP
[해설작성자 : 일진사]

31. 가스터빈기관의 용량형 점화장치에서(lgniter)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작동할 때,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은?(2012년 03월)
     1. 블리드 저항(Bleed resister)
     2. 저장 축전기(Stroage capacitor)
     3. 더블러 축전기(Doubler capacitor)
     4. 고압 변압기(High tension transformer)

     정답 : []
     정답률 : 65%

32. 가스터빈엔진에서 사용하는 주 연료펌프의 형식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기어 펌프(gear pump)
     2. 베인 펌프(vane pump)
     3. 루트 펌프(roots pump)
     4. 지로터 펌프(gerotor pump)

     정답 : []
     정답률 : 72%

33. 터빈 엔진의 배기 가스 특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4년 09월)
     1. 아이들 시 일산화탄소가 작다.
     2. 가속 시 일산화탄소가 많다.
     3. 가속 시 질소산화물이 많다.
     4. 아이들 시 질소화합물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40%

34. 축류식 압축기의 1단당 압력비가 1.6 이고,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가 1.3 일 때 압축기의 반동도는?(2016년 05월)
     1. 0.2
     2. 0.3
     3. 0.5
     4. 0.6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반동도=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 단당 압력 상승) *100%
=((P2-P1)/(P3-P1))*100%
=(1.3P1-P1/1.6P1-P1)*100%
=(0.3/0.6)*100%
=5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터보 팬 엔진의 팬 트림 밸런스에 관하여 가장 올바른 것은?(2004년 09월)
     1. 엔진의 출력 조정이다.
     2. 정기적으로 행하는 팬의 균형 시험이다.
     3. 팬 블레이드를 교환하여 한다.
     4. 밸런스 웨이트로 수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36. 마그네토의 표시 DF18RN 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단식이다.
     2. 오른쪽으로 회전한다.
     3. 실린더 수는 8개이다.
     4. 베이스 장착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D: 복식 마그네토 (S:단식 마그네토)
F: 플랜지 장착형
18: 실린더의 개수
R: 마그네토의 회전방향(오른쪽방향/시계방향)(구동축에서 보았을 때)
N: 제작사 표시(벤딕스社)
[해설작성자 : g]

37. 터빈엔진에서 과열시동(hot start)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인해야 하는 계기는?(2020년 08월)
     1. 토크 미터
     2. EGT 지시계
     3. 출력 지시계
     4. RPM 지시계

     정답 : []
     정답률 : 76%

38. 프로펠러 깃각(Blade angle)은 에어포일 시위선(Chord line)과 무엇과의 사이각으로 정의 되는가?(2012년 09월)
     1. 회전면
     2. 프로펠러 추력 라인
     3. 상대풍
     4. 피치변화시 깃 회전 축

     정답 : []
     정답률 : 64%

39. 기화기(Carburetor)의 흡기온도가 증가하면 정미평균 유효압력(brake mean effective pressure)은?(2002년 05월)
     1. 변화가 없다
     2. 증가한다.
     3. 감소한다.
     4. 감소후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40. 이상기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엔탈피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2.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3. 상태방정식에서 압력은 체적과 반비례 관계이다.
     4. 비열비(specific heat ratio)값은 항상 1 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비열비는 항상'1' 보다 크다
[해설작성자 : 성안당]

3과목 : 항공기체


41. 알루미늄 합금을 구조용 강철과 비교하여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비강도가 높다.
     2. 단위 체적당 무게가 거의 같다.
     3. 알루미늄 합금의 변형이 더 크다.
     4. 알루미늄 합금의 제1변태점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70%

42. 키놀이 조종계통에서 승강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일반적으로 승강키의 조종은 페달에 의존한다.
     2.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는 항공기 운동에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수평 안정판의 뒷전에 장착되어 있다.
     4.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운동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43. 그림과 같은 외팔보에 집중하중(P1, P2)이 작용할 때 벽 지점에서의 굽힘모멘트를 옳게 나타낸 것은?(2018년 03월)

    

     1. 0
     2. -P1a
     3. -P1L-P2b
     4. -P1b+P2b

     정답 : []
     정답률 : 69%

44. 손상된 판재를 리벳에 의한 수리작업 시 리벳수를 결정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L : 판재의 손상된 길이, D: 리벳지름, t: 손상된 판의 두께, s: 안전계수, σmax: 판재의 최대인장응력, τmax: 판재의 최대전단응력이다.)(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6%

45. 이상적인 트러스 구조의 부재는 어느 하중을 받는가?(2003년 08월)
     1. 인장 또는 압축
     2. 굽힘
     3. 전단
     4. 인장 도는 굽힘

     정답 : []
     정답률 : 50%

46. 굽힘강도가 EI이고 길이가 L인 일정한 단면의 봉이 순수 굽힘 모멘트 M을 받을 때 변형에너지 식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47. 조종간의 작동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조종간을 뒤로 당기면 승강타가 내려간다.
     2. 조종간을 앞으로 밀면 양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3. 조종간을 왼쪽으로 움직이면 왼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4. 조종간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왼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4번만 맞는 내용입니다.
조종간을 뒤로 당기면 상승 비행이기 때문에 승강타가 올라가야 합니다.
1번은 틀린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배건형]

조종간을 당기면 승강키가 올라가 비행기 기수 상승
조종간을 밀면 승강키가 내려가 비행기 기수 하강
[해설작성자 : 하늘]

48. 다음과 같은 구조물에서 A-B 구간의 내력은 몇 N 인가?(2010년 03월)

    

     1. -400 N
     2. 400 N
     3. -100 N
     4. 100 N

     정답 : []
     정답률 : 50%

49. [그림]의 클레비스 볼트(Clevis Bol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8년 03월)

    

     1. 전단하중이 걸리는 곳에 사용한다.
     2. 인장하중이 걸리는 곳에 사용한다.
     3. 볼트의 머리는 6각 또는 12각으로 되어있는 것도 있어 렌치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4. 압축하중과 인장하중이 동시에 걸리는 곳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50. 항공기 앞착륙 장치의 좌우 방향 진동를 방지하거나 감쇠 시키는 장치는 무엇인가?(2004년 03월)
     1. 시미댐퍼
     2. 방향제어장치
     3. 오리피스
     4. 오버센터 링크

     정답 : []
     정답률 : 81%

51. 항공기 기체 내부와 외부 구조부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리벳은?(2016년 05월)
     1. 납작머리 리벳(flat head rivet)
     2. 둥근머리 리벳(round head rivet)
     3. 접시머리 리벳(countersink head rivet)
     4. 유니버설머리 리벳(universal head rivet)

     정답 : []
     정답률 : 75%

52. 항공기 기관을 날개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물로만 나열한 것은?(2015년 09월)
     1. 마운트, 나셀, 파일론
     2. 블래더, 나셀, 파일론
     3. 인테그럴, 블래더, 파일론
     4. 캔틸레버, 인테그럴, 나셀

     정답 : []
     정답률 : 86%

53. 그림 같은 항공기에서 무게중심의 위치는 기준선으로부터 약 몇 m인가?(2008년 09월)

    

     1. 0.72
     2. 1.50
     3. 2.17
     4. 3.52

     정답 : []
     정답률 : 71%

54. 항공기 실속 속도 80 mph, 설계제한 하중배수 4인 비행기가 급격한 조작을 할 경우에도 구조역학적으로 안전한 속도 한계는 약 몇 mph 인가?(2016년 05월)
     1. 140
     2. 160
     3. 200
     4. 320

     정답 : []
     정답률 : 59%

55. 조종 케이블이 작동 중에 최소의 마찰력으로 케이블과 접촉하여 직선운동을 하게 하며, 케이블을 작은 각도 이내의 범위에서 방향을 유도하는 것은?(2018년 09월)
     1. 풀리(pulley)
     2. 페어리드(fair lead)
     3. 벨 크랭크(bell crank)
     4. 케이블드럼(cable drum)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풀리 Pulley : 조종 케이블의 처짐 방지나 방향을 바꾸는 역할.
2. 벨 크랭크 Bell crank : L 형태. 직선운동을 수직 방향으로 바꾸는 역할.
3. 케이블 드럼 Cable drum : 케이블 릴이 더 대중적? 보관함
[해설작성자 : Han_G1ry]

56. 항공기 기체 구조 중 알루미늄 합금 2024 가 주로 사용되는 곳은?(2009년 05월)
     1. 동체 스킨
     2. 동체 프레임
     3. 랜딩기어
     4. 날개 윗면판

     정답 : []
     정답률 : 65%

57. AN 501 B- 416- 7 의 B는 스크류의 무엇을 식별하는가?(2005년 03월)
     1. 2017-T 알미늄 합금이다.
     2. 황동이다.
     3. 부식 저항 강이다.
     4. 머리에 구멍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58. 다음 중 변형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변형률은 길이와 길이의 비이므로 차원은 없다.
     2. 변형률은 변화량과 본래의 치수와의 비를 말한다.
     3. 변형률은 비례한계 내에서 응력과 정비례관계에 있다.
     4. 일반적으로 인장봉에서 가로변형율은 신장율을, 축변형율은 폭의 증가를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57%

59. 턴록 중에서 에어록 패스너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스터드
     2. 스터드리셉터클
     3. 크로스핀
     4. 그로메트

     정답 : []
     정답률 : 49%

60. 다음과 같은 구조물에서 케이블 AB에 발생하는 장력은 약 몇 N 인가?(2011년 10월)

    

     1. 282.24
     2. 265.84
     3. 242.84
     4. 212.84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C 점에서 모멘트 합 = 0
이등변 삼각형이므로 B점에서 X축 방향 힘은 200
Y축 힘의 평형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B의 Y축 힘은 200
피타고라스 정리에 따라서 루트(200^2+200^2) = 1번
[해설작성자 : 산기 3일컷 도전 ~]

61. 대형 항공기의 공기조화 계통에서 가열 계통에는 연소가열기를 장치하여 사용한다. 온도가 규정값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연소가열에 공급되는 연료를 자동차단 시킬 수 있는 밸브 장치는?(2006년 05월)
     1. 솔레노이드 밸브
     2. 조정유닛 밸브
     3. 스필 밸브
     4. 버터플라이식 밸브

     정답 : []
     정답률 : 74%

6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5Ω저항에 흐르는 전류값은 몇 A인가?(2020년 08월)

    

     1. 1
     2. 4
     3. 6
     4. 1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V=IR
둘로나누어서 계산하여야함
첫째
90v 는 없다고보고 140v 하나만 놓고 보았을때에
전체저항 R = 20+((5X6)/11)=22.72오옴
전체I=140/22.72=6.16
따라서 I1 =6.16, I2=6.16 X 6/11 = 3.36,    I3 = 6.16 X 5/11 = 2.8
이때 I2 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흐름
둘째
140V 는 없고 90V 만 하나만 놓고 보았을때에
전체저항 R = 5+((20X6)/26)=9.615 오옴
전체I=90/9.615 = 9.36
따라서 I2=9.36, I1=9.36 X 6/26 = 2.16,    I3 = 9.36 X 20/26 = 7.2
이때 I2 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흐름
따라서 I2 는 좌에서 우로 흐르려는 3.36 과 우에서 좌로 흐르려는 9.36 이 서로 합해서 우에서 좌로 6 암페어가 흐름
[해설작성자 : 나그네]

63. 항공기에 사용되는 유압계통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리저버와 리턴라인이 필요 없다.
     2. 단위중량에 비해 큰 힘을 얻는다.
     3. 과부하에 대해서도 안전성이 높다.
     4. 운동속도의 조절범위가 크고 무단변속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64. 화재탐지장치 중 온도상승을 바이메탈(Bimetal)로 탐지하는 것은?(2011년 03월)
     1. 용량형(Capacitance Type)
     2. 서머커플형(Thermo Couple Type)
     3. 저항루프형(Resistance Loop Type)
     4. 서멀스위치형(Thermal Switch Type)

     정답 : []
     정답률 : 66%

65. 계기착륙장치(ILS) 계통을 설명한 내용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02년 09월)
     1. 제어 스위치를 어프로치(approach) 모드로 선택하면 초단파 전 방위 표시기(VOR) 안테나에서 레이돔(Radome) 안에 있는 로컬라이저(Localizer) 안테나로 전환되어 로칼라이저 빔을 수신한다.
     2. 로컬라이저 주파수만 선택하면 글라이드 슬롭(Glideslop), 거리 측정 장치(DME)가 함께 동조된다.
     3. 착륙기어가 내려졌을 때 레이돔의 글라이드 슬롭캡춰(Capture) 안테나에서 노스 기어 도어에 위치한 트랙(Track) 안테나로 전환되어 글라이드 슬롭 빔을 수신한다.
     4. 마커 비콘(Maker Beacon) 수신장치는 같은 주파수를 수신하고 활주로 끝을 나타내기 위하여 청색, 주황색, 백색의 표시등을 켜지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66. 최대값이 141.4v인 정현파 교류의 실효값은 약 몇 v인가?(2014년 03월)
     1. 90
     2. 100
     3. 200
     4. 300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41.4 × 1/√2 = 141.4 × 0.707 = 99.9698 ≒ 100
[해설작성자 : 맛있는후추밥]

67. 다음 중 종합계기 PFD에서 지시되지 않는 것은?(2017년 05월)
     1. 승강속도
     2. 날씨정보
     3. 비행자세
     4. 기압고도

     정답 : []
     정답률 : 81%

68. 비행기록장치(DFDR:Digital Flight Data Recorder) 또는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Cockpit Voice Recorder)에 장착된 수중위치표시(ULD:Under Water Locating Device)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6년 03월)
     1. 비행에 필수적인 변수가 기록된다
     2. 물속에 있을 때만 작동이 가능하다
     3. 매초마다 37.5 kHz로 Pulse Tone 신호를 송신한다
     4. 최소 3개월 이상 작동 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윈큐 책에는 1번으로 나오네요
[해설작성자 : 구미대]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일진사 4번으로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사랑해]

[오류신고 반론]
성안당에서도 4번이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윈큐책 2021년도 버전에서는 1,4번 둘다 정답으로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항공박]

[오류신고 반론]
비행 기록장치에 장착된 수중 위치 표지 성능은 비행에 필수적인 변수가 기록되며, 물속에 있을때만 작동이가능하며, 물속에서 30일간 초당 37.5khz의 초음파 펄스를 낸다 수명 6년 7.9V의 리튬 전기가 내장되어 전원 공급
[해설작성자 : mintchoco]

[추가 오류 신고]
윈큐 2022 에도 1,4 둘 다 정답처리 되어있네요 .
[해설작성자 : 인절미맛]

69. 객실여압계통에서 주된 목적이 과도한 객실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압력 릴리프밸브
     2. 덤프밸브
     3. 부압 릴리프밸브
     4. 아웃플로밸브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부압 릴리프밸브는 객실내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을때 열려서 압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지않나요?
[해설작성자 : 산기가즈아]

[오류신고 반론]
※ 객실 압력 안전밸브
● 압력 릴리프 밸브(cabin pressure relief valve) : 여압된 항공기에서 아웃 플로 밸브에 고장이 생겼거나 다른 원인에 의하여 항공기 외부와 객실 내부의 차압이 규정값보다 클 때 기체의 팽창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되어 객실 안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규정된 차압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
● 부압 릴리프 밸브(negative pressure relief valve) : 항공기가 객실고도보다 더 낮은 고도로 하강할 때나 지상에서 객실 압력과 대기압을 일치시켜 줄 필요가 있을 때 열려서 대기의 공기가 객실 안으로 자유롭게 들어오도록 되어 있는 밸브
● 덤프 밸브(dump valve) : 보통 비정상 상태 또는 정비 요구 시, 또는 비상사태에서 객실로부터 공기압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해 사용
답은 4번

[추가 오류 신고]
문제가 압력을 제거 하는 장치가 아닌거라고 했으니깐 부압릴리프밸브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마부작침]

[오류신고 반론]
1.객실 압력 조절 장치
    ①아웃플로우 밸브

    ②객실 압력 조절기

    ③객실 압력 안전밸브
        ⓐ압력 릴리프 밸브
        ⓑ부압 릴리프 밸브
        ⓒ덤프 밸브
이상입니다. 추가적으로 말씀드리자면 국가기술자격시험에서 답이라고 표기한 것을 틀렸다고 반박하지 맙시다. 모두 열공~
[해설작성자 : 제발 좀~]

[추가 오류 신고]
4. 아웃플로 밸브는 객실 압력이 높고 낮음에 따라 공기를 배출시키기도 하고 펌프로 공기를 흡입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3. 부압 릴리프 밸브는 객식 압력이 낮을때 대기의 공기를 객실 안으로 들어오게 해주는 밸브 입니다.
따라서 답 3번입니다.

3. 부압 릴리프 밸브는 과도한 압력을 제거해주는 장치가 아닌 항공기 내부의 객실이나 기기실의 압력이 규정된 범위보다 저하될 때, 외부 공기를 도입하게 하는 밸브 입니다.
[해설작성자 : 제발좀]

[오류신고 반론]
' 과도한 ' 객실압력을 ' 제거 ' 하는 기능이므로 부압 릴리프 밸브는 답이 될 수 없지 않나요?
[해설작성자 : 닭발]

[오류신고 반론]
고도가 높아질 수록 공기의 압력은 낮아지므로 상대적으로 따지면 객실안의 압력이 더 높게 된다. 이 때, 부압릴리프 밸브를 사용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객실안으로 들여보내면 객실안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부압릴리프 밸브가 답이 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바보]

[오류신고 반론]
부압 릴리프 밸브는 바깥의 공기를 내부로 들어오게 하는 밸브인데, 공기가 들어오게 되면 낮아지는건 객실 고도이고. 압력이 높아지므로 과도한 객실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라, 오히려 압력을 높여주는 장치이다.
[해설작성자 : 흐음]

70. 다음 중 압력측정에 사용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벨로즈(Bellows)
     2. 바이메탈(Bimetal)
     3. 아네로이드(Aneroid)
     4. 버든튜브(Burdon Tube)

     정답 : []
     정답률 : 62%

71. 계자가 8극인 단상교류 발전기가 115V, 400Hz 주파수를 만들기 위한 회전수는 몇 rpm인가?(2017년 03월)
     1. 4000
     2. 6000
     3. 8000
     4. 1000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주파수f=p/2*n/60=p*n/120
400=8*n/120
n=400*120/8=6000
[해설작성자 : 근근]

72. 다른 종류와 비교해서 구조가 간단하여 항공기에 많이 사용되는 축압기(Accumulator)는?(2015년 05월)
     1. 스풀(spool)형
     2. 포핏(poppet)형
     3. 피스톤(piston)형
     4. 솔레노이드(solenoid)형

     정답 : []
     정답률 : 72%

73. 다음 중 피토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계기는?(2010년 05월)
     1. 속도계
     2. 고도계
     3. 승강계
     4. 선회 경사계

     정답 : []
     정답률 : 85%

74. SELCAL System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9월)
     1. 지상에서 항공기를 호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2. HF,VHF System으로 송.수신된다.
     3. SELCAL Code는 4개의 Code로 만들어져 있다.
     4. 항공기의 편명에 따라 SELCAL Code가 바뀐다.

     정답 : []
     정답률 : 52%

75.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바꿔주는 것은?(2016년 05월)
     1. Static Inverter
     2. Load Controller
     3. Battery Charger
     4. TRU(Transformer Rectifier Unit)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직류 → 교류로 바꿔주는 것은 인버터(inverter)입니다
[해설작성자 : 20]

76. 니켈-카드뮴 축전지에서 24V축전지는 몇개의 셀을 직렬로 연결하였는가?(2004년 03월)
     1. 12개
     2. 15개
     3. 17개
     4. 19개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니켈 카드뮴 축전기의 셀당 전압은 1.2~1.25[V]이고,
내부저항을 고려해 19개의 셀을 직렬로 연결해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재래시장호떡]

77. 화재탐지기에 요구되는 기능과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화재의 지속기간 동안 연속적인 지시를 할 것
     2. 화재가 지시하지 않을 때 최소전류요구이어야 할 것
     3. 화재가 진화되었다는 것에 대해 정확한 지시를 할 것
     4. 정비작업 또는 정비취급이 복잡하더라도 중량이 가볍고 용이할 것

     정답 : []
     정답률 : 74%

78. 항공기가 지상에서 작동 시 흡기압력계(ManifoldPressure Gage)에서 지시하는 것은?(2012년 05월)
     1. 0(Zero)
     2. 29.92 inHg
     3. 그 당시 지형의 기압
     4. 30.00 inHg

     정답 : []
     정답률 : 68%

79. 연축전지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3년 08월)
     1. 축전지의 충전상태는 전해액의 온도로 측정한다.
     2. 축전지 여러개를 충전할 때 정전류법은 병렬로 연결하여 충전한다.
     3. 축전지 여러개를 충전할 때 정전압법은 병렬로 연결하여 충전한다.
     4. 정전류법으로 충전할 때에는 반드시 시작전에 캡을 닫아 놓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80. 고도계의 보정방법중 활주로에서 고도계가 활주로 표고를 가리키도록 하는 보정방법은 무엇인가?(2003년 08월)
     1. QNE 보정
     2. QNH 보정
     3. QFE 보정
     4. QFH 보정

     정답 : []
     정답률 : 4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21304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5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34 축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33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5032 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9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31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6092115)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30 전산회계운용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2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5029 직업상담사 1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5028 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502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항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5026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25 9급 국가직 공무원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24 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23 디지털영상편집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8837785)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22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6431167)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5021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213048)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19 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501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간호관리(8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7458177)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17 사회복지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16 지게차유사(롤러,기중기등)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161715)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279 Next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