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1207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도시계획론


1. 다음 중 미래 도시의 새로운 계획 패러다임의 방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미래 사회에 맞는 새로운 U-도시계획
     2.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로의 전환
     3. 지역별 특화를 위한 도농분리적 계획체계로의 전환
     4. 시민참여의 확대와 계획 및 개발주체의 다양화

     정답 : []
     정답률 : 82%

2. 다음 중 용도지역과 그 지정목적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제1종 전용주거지역: 저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근린상업지역: 일반적인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을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준공업지역: 환경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공업의 배치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4. 보전녹지지역: 도시의 자연환경·경관·산림 및 녹지공간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72%

3. 1970년대 중반 이후 미국에 도입된 성장관리정책에 대하여 넬슨(Arthur C. Nelson)과 듀칸(Janes B. Ducan)이 제시한 목적과 거리가 먼 내용은?(2015년 05월)
     1. 경제적 형평성 제고
     2. 효율적인 도시형태의 구축
     3. 납세자의 보호
     4. 어반 스프롤의 방지

     정답 : []
     정답률 : 58%

4. 토지이용계획의 실행수단은 간접적 실행수단과 직접적 실행수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간접적 실행수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도로정비와 같은 도시기반시설 설치
     2. 지구 차원의 토지 이용 지침이 포함된 지구단위계획 수립
     3. 개발 사업자가 토지를 확보하여 스스로 건축행위를 하여 실현
     4. 주거지역, 상업지역 등 용도를 지정하여 합치되는 용도만을 허용하는 용도지역제 운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직접적 실행수단 - 도시계획사업, 개발행위허가

간접적 실행수단 - 규제 (계획) : 지역지구제, 획지분할규제 (지구단위계획, 기발시설 연동제)
                                - 유도 : 세제혜택, SOC정비, 인센티브

5.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KOrea Planning Support System, KOPSS)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분석모형은?(2018년 09월)
     1. 세움이(건축계획지원)
     2. 경관이(경관계획지원)
     3. 재생이(도시정비계획지원)
     4. 시설이(도시기반시설계획지원)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KOPSS국토정보공간계획지원체계>
지역계획, 토지이용계획, 도시정비계획 등의 지리 업무를 지리정보체계GIS와 공간통계를 활용하여 지원하는 의사결정 지원도구다.
1. 지역이: 지역계획 지원모형
2. 터잡이: 토지이용계획 지원모형
3. 재생이: 도시정비계획 지원모형
4. 시설이: 도시기반시설계획 지원모형
5. 경관이: 경관계획 지원모형
[해설작성자 : 모모]

6. A도시의 2015년 인구수는 50만명이었고, 2020년에는 58만명으로 증가하였다. 등차급수법에 따른 2025년의 추정 인구는?(2021년 03월)
     1. 18만 5천명
     2. 66만명
     3. 80만명
     4. 350만명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Pn : P0 + na
a : (P0 - Pt)/t => 8만명/5년 → 1.6만명
P2025 : 58만명 + 1.6만*5 → 66만명
[해설작성자 : 뽀시파파]

7. 허드슨(Hudson)의 분류에 의한 도시계획 이론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종합적 계획은 체계적 접근 방법을 통해서 계획의 문제를 규명하고, 결정론적 모형을 구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2. 급진적 계획은 논리적 일관성이나 최적의 해결 대안의 제시보다는 지속적인 조정과 적용을 통하여 목표를 추구하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3. 교류적 계획은 철학적 사고에서 파생하고 있으며, 계획가와 계획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대화를 중시 하였다.
     4. 옹호적 계획은 주로 강자에 대한 약자의 이익을 보호하는데 적용되어 왔다.

     정답 : []
     정답률 : 80%

8. 패트릭 게데스(patrick Geddes)가 주장한 도시계획의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7년 05월)
     1. 도시계획은 물적계획으로서 각종 도시시설을 구체적으로 구상하여야 한다.
     2. 도시계획은 장기계획이므로 최소한 향후 50년 후를 목표로 계획하여야 한다.
     3. 도시계획은 도시의 본질인 인간을 중심으로 해야 하므로 정주생활계획을 출발점으로 해야 한다.
     4. 도시계획은 물적계획과 빗물적계획(사회, 경제계획)을 통합한 계획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9. 도시화의 진행과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집중적 도시화 - 역도시화 - 분산적 도시화
     2. 분산적 도시화 - 집중적 도시화 - 역도시화
     3. 집중적 도시화 - 분산적 도시화 - 역도시화
     4. 분산적 도시화 - 역도시화 - 집중적 도시화

     정답 : []
     정답률 : 83%

10. 부동산 소유자간 또는 개발업자와 구입자 사이에 체결되는 민사계약으로 지역제보다 훨씬 상세하고 엄격한 규정으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토지·건물대장 및 권리서에 기재되어 부동산 매매시 신규 구입자에게로 승계되는 것으로 미국 근대도시계획성립기에 지역제의 바탕이 된 제도는?(2013년 03월)
     1. 협약(covenant)
     2. 획지분할규제(subcivision control)
     3. 공도(official mapping)
     4. 성장관리(growth management)

     정답 : []
     정답률 : 77%

11. 다음 중 용도지역지구의 지정 목적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4년 09월)
     1. 용도간 혼합이용을 통한 토지효율성 제고
     2. 외부불경제의 차단을 통한 개인재산권의 보호
     3. 부적절한 토지용도의 공간적 분리
     4. 위생 및 안전상 필요한 최저기준의 설정

     정답 : []
     정답률 : 34%

12. 경관요소의 구분에 따른 설명이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1차적 경관요소는 간접적으로 경관을 조작하여 경관 개선을 유도하는 비물리적 경관계획요소이다.
     2. 2차적 경관요소의 주 내용은 경관컨트롤을 위한 규제 및 인센티브요소이다.
     3. 3차적 경관요소는 인간의지와 관계없이 형성되는 경관으로서 비물리적, 비조작적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상징적 경관요소이다.
     4. 경관계획의 궁극적 목표는 3차적 경관을 바람직하게 형성하는데 둘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비물리적이 아닌 물리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간접적 > 직접적
비물리적 > 물리적
[해설작성자 : 지니]

13. 다음 중 베버(M. Weber)가 정의한 도시의 의미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지적 엘리트를 포함한 각종 비농업적 전문가가 많으며 상당한 규모의 인구와 인구밀도를 갖는 공동체
     2. 주민의 대부분이 공업적 또는 상업적인 영리수입에 의해 생활하고 정주하는 곳
     3. 농촌에 비해 전문직 종사자가 많고 인공환경이 우월하며 인구 구성의 이질성이 강한 곳
     4. 도시의 결정요인은 예술·문화·종교·민주적인 정치형태이며, 평등한 시민이 활기에 차 있는 곳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번은 쇼버그의 정의
2번은 베버의 정의
3번은 솔로킨&짐머만의 정의
4번은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의 정의이다.
[해설작성자 : 백석동 황금발]

14. 페리(C. A. Perry)의 근린주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주거지개발에 적용할 물리적인 기본단위로서 초등학교, 작은공원, 운동장, 작은가게 등 근린단위를 제안했다.
     2. 기존 도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가공간의 형성과 근린의식의 강화가 필수적이다.
     3. 혼잡한 기존도시의 익명성에 대해 공공시설을 확충하고 공공활동을 유도하여 고립성 회복을 주장하였다.
     4. 근린주구는 신체적인 접촉에 의한 근린주구, 사회적 면식에 의한 근린주구, 단위근린주구로 분류된다.

     정답 : []
     정답률 : 30%

15. 18~19세기에 제안된 이상도시의 계획가와 이상도시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Robert Owen : 도시 대신 단일 건물인 핀란스테르(Phalanstere)를 제안하였다.
     2. Buckinghan : 농업과 공업이 결합된 이상적 도시안인 이상공장폰을 제안하였다.
     3. Ledouv : 산업혁명을 의식하여 새로운 생산 체제를 도입한 이상도시 쇼우(Chaux)를 제안하였다.
     4. C. Fourier : 근대 건축기술이나 과학적 진보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성을 제시하면서 유리로 덮인 도시 빅토리아(Victoria)를 제안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핀란스테르(Phalanstere) -    푸리에(Charles Fourier)
이상공장촌 - 오웬(Robert Owen)
쇼우(Chaux) - 르두(C. N. Ledoux)
빅토리아(Victoria) - 버킹엄(Buckingham)
[해설작성자 : 성결안영재]

16. 단기교통계획과 비교하여 장기교통계획이 갖는 특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환류 지향적이다.
     2. 시설 지향적이다.
     3. 다수의 서로 다른 대안을 고려한다.
     4. 다양한 교통수단을 동시에 고려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구분 대안의 갯수 교통수요 비용 지향적
단기         다수            고정     낮음 서비스
장기         소수            변화     높음    시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장기의특징 : 시설지향,자본집약,수요고정,소수대안,단일수단
[해설작성자 : 용문]

장기의 교통수요 : 고정
단기의 교통수요 : 변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도시산업구조는 그림과 같이 도시화초기에는 삼각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시성장과 함께 후진국 사회의 도시는 어떠한 산업구조 형태로 변하여 가는가?(2005년 05월)

    

     1. 삼각형 → 장구형 → 사다리꼴 → 역삼각형
     2. 삼각형 → 사다리꼴 → 장구형 → 역삼각형
     3. 삼각형 → 사다리꼴 → 역삼각형 → 장구형
     4. 삼각형 → 장구형 → 역삼각형 → 사다리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다음 중 경관의 유형 구분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경관자원의 특성에 따라 크게 자연경관, 인공경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경관자원의 형태에 따라 점적인 형태, 선적인 형태, 면적인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3. 경관의 대상 범위에 따라 광역적 경관, 도시적 경관, 시가지 경관, 지구적 경관으로 분류할 수 있다.
     4. 경관의 현상에 따라 부감경, 양감경, 수평경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19. 1893년 시카고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를 계기로 D. Burnham의 도시디자인 철학에 따라 모든 도시들은 역사적 공간에 오픈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광장과 정원에 분수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며 도시규모에 따라 공공건축물을 규제하였던 것으로, 이후 미국 도시설계의 기원을 이룬 것은?(2008년 09월)
     1. 도시미화운동
     2. 전원도시운동
     3. 대도시론
     4. 이상공업촌

     정답 : []
     정답률 : 47%

20. 다음 중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도시개발사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10월)
     1. 주거환경개선사업
     2. 주택재개발사업
     3. 도시환경정비사업
     4. 도시재개발사업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기존 6가지에서 3가지로 변경됨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개발사업, 재건축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가로주택정비사업.주거환경관리사업은 삭제)

고로 2.3.4번 모두 정답(현재 도정법기준)
[해설작성자 : 지방직준비중]

2과목 :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21. 계획단위개발(PUD) 방식에 의한 주거지 계획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분리된 필지를 기본으로 주택을 배치한다.
     2. 도로와 하수도 등 기반시설을 계획 내용에 따라 쉽게 배치할 수 있다.
     3. 전체 개발지에 대해 밀도, 건폐율 등의 규정을 적용한다.
     4. 주택과 외부공간의 배치가 자유롭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유치원 1개소당의 부지면적 규모로서 가장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 500 ∼ 1,000m2
     2. 1,000 ∼ 1,500m2
     3. 1,500 ∼ 2,000m2
     4. 2,000 ∼ 2,500m2

     정답 : []
     정답률 : 17%

23. 다음 중 등고선과 단면의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24. 주거형 지구단위계획에서 단독주택용지의 가구 및 획지 계획 기준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획지의 형상은 건축물의 규모와 배치, 인동간격, 높이, 토지이용, 차량동선, 녹지공간의 확보 등을 고려하여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형태를 결정하되, 가능하면 남북 방향으로의 긴 장방형으로 한다.
     2. 단독주택용 획지로 구성된 소가구는 근린의식 형성이 용이하도록 10~24획지 내외로 구성하며 장변이 120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장변 중간에 보행자도로를 삽입하는 것이 좋다.
     3. 대가구의 규모는 어린이 놀이터 하나를 유지하는 거리고 반경 150~250m를 기준으로 한다.
     4. 대가구내 도로계획은 단조로움과 통과교통 방지를 위하여 3가지 교차도로 및 루프(loop)형 도로를 배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대가구의 단위규모는 어린이놀이터의 이용반경과 주거가구를 인지할 수 있는 소가구의 적절한 조합으로 결정
[해설작성자 : 얼짱청순녀]

어린이놀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반경은 100M~150M로 한다.
[해설작성자 : 초딩]

25. 다음 중 단지계획의 기본적인 목표와 거리가 먼 내용은?(2009년 03월)
     1.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절약
     2. 거주자 상호간 접촉의 최소화
     3. 거주자의 건강과 쾌적성 유지
     4. 변화에의 융통성과 적응성 부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다음 중 단지계획의 목표설정시에 고려하여야 할 일반적인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건강과 쾌적성
     2. 경제적 다양성
     3. 기능의 충족성
     4. 이웃과의 의사소통

     정답 : []
     정답률 : 62%

27. 다음 중 대지 내 공공보행통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보행자의 통행을 위해 일반에게 24시간 개방되어 이용할 수 있도록 대지 내에 조성하도록 지정된 통로를 말한다.
     2. 보행통로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최소폭, 단차이의 연결방식, 포장 등에 대한 설치기준을 제시한다.
     3. 종전 도시계획도로의 폐도사항 및 주변지역과의 연결성 등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 지정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통로 내에서의 단지내 주출입구는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4. 주요가로로부터 이면도로 등으로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지정하여 보행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이 경우 항시 일반대중에게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28.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에서 시민이 누릴 수 있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8월)
     1. 자유감
     2. 자발적 활동
     3. 새로운 생활환경의 접촉
     4. 제한된 도시생활의 연속

     정답 : []
     정답률 : 84%

29. 공업단지의 입지조건에 대한 설명으로서 맞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5% 이내의 경사를 가진 지형이 바람직하다.
     2. 풍향의 고려가 가장 중요하다.
     3. 주간선도로로부터 떨어져야 한다.
     4. 배후 도시와의 관련이 깊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근린생활권의 위계 중에서 주민 간에 면식이 가능한 최소단위의 생활권으로, 유치원·어린이 공원 등을 공유하는 반경 약 250m가 설정기준이 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9년 04월)
     1. 인보구
     2. 근린기초구
     3. 근린분구
     4. 근린주구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주택단지의 구성단위
근린분구는 150~200m 전후의 반경을 가지며 인구는 3~5천명 정도이다. 4~6개의 인보구로 구성되며 주민 간에 면식이 가능한 최소단위이다.
[해설작성자 : 망치땅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기준 반경        주요시설                                         특징
인보구                 약 100m         없음 또는 소공원                     이웃 간 친밀한 교류 중심
✅근린기초구 약 250m         유치원, 어린이공원 등     면식 가능한 최소 생활권
근린분구 약 500m         초등학교, 주민센터 등     도보권 교육·행정 단위
근린주구 약 1km         중학교, 공공서비스시설 등     도시계획의 기본 주거단위

근린기초구가 정답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1234]

31. 페리(C.A.Perry)가 주장한 근린주구론의 원칙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주거단위는 하나의 초등학교 운영에 필요한 인구에 대응하는 규모를 가져야 하고 그 규모는 인구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2. 주거단위는 주거지 안으로 지나는 통과 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우회되어야 하며 네면 모두 충분한 폭원의 간선도로(arterial street or high way)에 의해 둘러싸여져야 한다.
     3. 하나의 근린주구는 상위도시를 기준으로 구축된 가로체계에 의존하고 원할한 순환체계 속에서 통과교통을 체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입체적인 가로망으로 계획한다.
     4. 개개근린주구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계획된 소공원과 레크레이션 체계를 갖춘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페리의 근린지구는 통과교통을 허용하지 않았기에 3번은 틀림
[해설작성자 : 으하하]

32. 다음 중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정량적인 예측 변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가구규모
     2. 인구규모
     3. 생활양식의 변화
     4. 고용자수

     정답 : []
     정답률 : 89%

33. 등고선 간격에 의한 방법으로 경사분석을 할 때 2m의 등고선 간격(H) 으로 5%의 경사도(G)를 얻으려면 등고선과 등고선 간의 수평거리(D)는 얼마로 하는가?(2006년 09월)
     1. D = 25m
     2. D = 10m
     3. D = 40m
     4. D = 100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표는?(2013년 09월)
     1. 입면차폐도
     2. 용적률
     3. 가구(街區) 크기
     4. 건축물 높이

     정답 : []
     정답률 : 68%

35. 지구단위계획의 성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 수립의 주된 목적은 도시경관 관리를 위함이다.
     2.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은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한다.
     3. 지구단위계획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또는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계획이다.
     4. 지구단위계획은 토지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계획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36. 다음 중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상의 공공체육시설의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6월)
     1. 전문체육시설
     2. 생활체육시설
     3. 직장체육시설
     4. 여가체육시설

     정답 : []
     정답률 : 38%

37. 도시설계 관련 제도가 도입되었던 당시의 법적 근거가 잘못 연결된 것은?(2021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제도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 도시설계 지구지정제도 : 도시계획법
     3. 상세계획제도 : 도시계획법
     4. 미관지구제도 : 건축법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미관지구제도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건축법은 ‘도시설계제도’
[해설작성자 : JSY]

38. 다음 중 지하주차장시설의 계획 시 우선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경관
     2. 화재
     3. 방범
     4. 표식

     정답 : []
     정답률 : 65%

39. 다음 중 밀톤케인즈(Milton Keynes) 신도시계획의 주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RED WAY를 통해 차량과 보행자를 분리하고 있다.
     2. 주요 간선도로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3. 커뮤니티센터는 모든 주택으로부터 500M을 넘지않도록 계획되어 있다.
     4. 초기의 뉴타운에서와 같이 내부로 향하는 내향적 근린주구로서 계획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9%

40. 전통적으로 구분되는 유기적 방법과 구성적 방법으로 도시설계 기법을 제시한 학자는?(2018년 09월)
     1. David Gosling
     2. Paul Meadows
     3. Oscar Newman
     4. Goeffrey Broadbent

     정답 : []
     정답률 : 70%

3과목 : 도시개발론


41.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적용분야에 따른 명칭약어의 해설로서 합당하지 않은 것은?(2004년 03월)
     1. LIS - 토지 및 지적관련 정보 관리
     2. UIS - 도시관련 정보 관리
     3. SIS - 공간관련 정보 관리
     4. AM/FM - 무선 관련 정보 처리

     정답 : []
     정답률 : 47%

42. 다음은 트랜싯의 기계오차에 대한 기술로서 옳은 것은?(2003년 03월)
     1. 수평축 오차는 목표의 높이에 따라 다르다.
     2. 시준축 오차는 목표의 높이에 관계 없이 일정하다.
     3. 연직축 경사에 따른 수평각 오차는 망원경의 정, 반관측 평균에 의해 소거 된다.
     4. 망원경의 외심오차는 눈금반의 중심과 연직축의 중심이 편위해서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8%

43. 다음에서 이상도시의 제안자와 계획안들의 관계가 잘못된 것은?(2016년 10월)
     1. 풀만(Pullman)-빅토리아
     2. 마타(A, Soria Y Mara) - 선형도시
     3. 푸리에(C. Fourier) - 팔란스테르
     4. 리차드슨(Richardson) - 헤이지아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풀만 - 모형도시
마타 - 선형도시
푸리에 - 팔란스테르
리차드슨 - 헤이지아
[해설작성자 : 1일 1깡 1CBT]

44. 도시개발관련법과 이에 따른 개발사업의 연결이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도시개발법 – 도시개발사업
     2. 택지개발촉진법 – 주택재건축사업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주거환경개선사업
     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도시계획 시설사업

     정답 : []
     정답률 : 81%

45. 생활환경을 저해할 원인이 있거나 구조적으로는 보존가능하나 유지관리가 불충분하게 행해지는 경우, 기존시설을 보존하면서 노후 및 불량화 요인만을 제거하는 소극적 재개발 방식은?(2020년 09월)
     1. 전면재개발(Redevelopment)
     2. 개량재개발(Improvement)
     3. 수복재개발(Rehabilitation)
     4. 보전재개발(Conservation)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수복재개발방식
수복재개발은 현재의 불량·노후상태가 관리나 이용부실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현재의 대부분의 시설을 그대로 보전하면서 노후·불량화의 요인만을 제거시키는 소극적인 도시재개발 형태

(修復 (수복)
새로 고쳐서 본래(本來)의 모습과 같게 만듦)
[해설작성자 : 뽀시파파]

보전재개발
- 아직은 불량 또는 노후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현 상태로 방치할 경우 환경악화가 예상되는 지역에 예방적 조치로 시행하는 재개발 방식
[해설작성자 : 이이에]

46. 인구성장이 완만하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 되는 도시에서 사용되는 인구예측방법은?(2017년 09월)
     1. 등비급수법
     2. 등차급수법
     3. 이중지수모형
     4. 집단생잔모형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등비급수법: 급수 인구의 추정방법의 하나로 연 평균 인구 증가율을 일정하게 보는 것
등차급수법: 감가 상각에서 각기의 상각액을 등차 급수적으로 감소(또는 증가) 시켜가는 방법
이중지수모형: 인구성장이 완만하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는 도시에서 사용되는 인구예측 방법
집단생잔모형: 기준연도 인구와 자연적,사회적 요인을 고려해 장해인구 추계 방법
[해설작성자 : 공주]

47. 지표면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제가 지닌 실제 면적에 비례하여 지도상에 각각의 주제에 관한 면적을 배분하는 투영법은?(2004년 05월)
     1. 등적투영법
     2. 등거리투영법
     3. 등각투영법
     4. 원뿔투영법

     정답 : []
     정답률 : 64%

48. 도시개발사업의 시장분석과 관련하여 개발수요분석을 위한 정성적 예측모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8월)
     1. 시나리오법
     2. 인과분석법
     3. 델파이법
     4. 판단결정모델

     정답 : []
     정답률 : 40%

49. 도시개발사업의 토지취득방식으로서 “수용 또는 사용방식”의 특징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사업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2. 토지 매수 후 사업기간이 환지방식보다 장기화된다.
     3. 환지방식보다 기반시설의 확보가 용이하다.
     4. 토지 취득과정에서 민원이 많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수용 또는 사용에 의한 방식은 매수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환지와 관련된 협의 및 행정처리기간이 필요없어 기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
[해설작성자 : 얼짱청순녀]

50. 이미 악화된 지역에 대하여 기존시설을 보존하면서 노후 및 불량화 요인만을 제거하는 부분적인 철거재개발 형식으로, 구역의 기능과 환경을 회복·개선하는 소극적 재개발방식은?(2021년 05월)
     1. 전면재개발(redevelopment)
     2. 수복재개발(rehabilitation)
     3. 보전재개발(conservation)
     4. 합동재개발(pathnership)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수복재개발(Rehabilitation, 收復再開發) 주택재개발사업방식의 한가지로 도시기능과 생활환경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대상지역에서 건축물의 신축을 부분적으로 허용하되 나머지 건축물을 수리ㆍ개조함으로써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재개발방법이다. 대상지역 안에 보존할 가치가 있는 건축물에 대해서는 되도록 증축 및 개량을 통해 그 가치를 증진하도록 한다. 지구수복은 전면재개발과 지구보존의 복합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지구환경에 어울리지 않는 건축물의 개선을 권고하고 지정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령령]

51. 다음 중 인터넷 지형공간정보체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클라이언트/서버 체계의 통합 체계이다.
     2. 대화형체계이다.
     3. 하이퍼텍스트(hypertext) 정보체계이다.
     4. 집중형 체계이면서 실시간으로 정보 체계에 접속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기지점 A에서 미지점 B까지의 거리와 방위각을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았다. B점의 좌표는 얼마인가?(2005년 03월)

    

     1. (600.330, 494.624)
     2. (494.624, 600.330)
     3. (700.330, 394.624)
     4. (394.624, 700.33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1960년대 이후 미국의 계획단위개발(PUD)의 본격적시행을 통하여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음 중 계획단위개발의 문제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4년 09월)
     1. 평범한 고밀도단지의 형성 우려
     2. 고용기회를 갖추지 못한 채 대량인구 유입 우려
     3. 공동 오픈스페이스 등 과도한 유지ㆍ관리비용 발생
     4. 지방자치단체 개발관리능력의 저하

     정답 : []
     정답률 : 71%

54. 수평각 관측에서 수평축과 시준축이 직교하지 않음으로써 일어나는 각 오차는 어떻게 소거하는가?(2006년 09월)
     1. 정ㆍ반위관측
     2. 반복법관측
     3. 방향각법 관측
     4. 조합각관측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5. 연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호수(戶數)이상의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여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하는데 이에 해당되는 사업 주체는?(2017년 09월)
     1. 국가ㆍ지방자치단체
     2. 한국토지주택공사
     3. 건설법인
     4. 지방공사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원래는 동록하여야는데, 아래 6가지 경우가 사업주체가 될 때는 그러지 않습니다.
1. 국가,지방자치단체
2. 한국토지주택공사
3. 지방공사
4. 주택건설사업을 목적으로 한 공익법인
5. 주택조합
[해설작성자 : 후곡동뼈다귀]

56. 평지에서 8km 떨어진 두 삼각점 사이를 관측하기 위하여 세워야 되는 측표의 최소높이는 ? (단, 지구의 반경 = 6,370km)(2003년 05월)
     1. 2m
     2. 5m
     3. 7m
     4. 9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도시개발사업에서의 인·허가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허가(許可)란 법령에 의하여 금지되어 있는 행위를 해제하여 적법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2. 인가(認可)란 제3자의 행위를 보충하여 그 법률상의 효력을 완성시키는 행위를 의미한다.
     3. 승인(承認)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특정 행위에 대하여 부여하는 동의·승낙 등을 의미한다.
     4. 허가를 요하는 행위를 허가없이 행하거나, 인가를 받지 않고 한 행위는 처벌의 대상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허가와 인가를 구분하여야 한다. "허가"를 요하는 행위를 허가 없이 행하면 처벌의 대상이 되지만, 인가의 대상이 되는 행위를 인가 없이 행한다 해도 처벌이나 강제를 받지는 않는다.
[해설작성자 : 망치땅콩]

58. 다음 중 개발금융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3월)
     1. 개발금융이란 약 3~4년의 기간 동안 건설에 필요한 전체 개발비용이나 일부에 대하 단기이자 지불공채를 지칭한다.
     2. 마케팅, 토지 수용, 건설작업 등에 필요한 비용 등도 개발비용에 포함된다.
     3. 투자금융회사는 기본 대출이자와 동일한 이자율을 설정하고 지분의 공유를 요구하지 않아 시행자들이 선호한다.
     4. 부동산 개발금융의 원천은 지분에 의한 조달과 부채에 의한 조달로 나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다음 중 시행방식에 따른 재개발의 유형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전면재개발(redevelopment)
     2. 수복재개발(rehabilitation)
     3. 전환재개발(conversion)
     4. 보전재개발(conservation)

     정답 : []
     정답률 : 69%

60. 기온이나 토질, 고도와 같이 모든 곳에 존재하며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몇 군데의 기준점에서 관측하는 방법
     2. 횡단을 취하는 방법
     3. 등치선을 그리는 법
     4. 해당 구역을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그 구역 안에서의 변화를 세밀히 추적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39%

4과목 : 국토 및 지역계획


61. 성장극(geowth pole)이란 개념을 처음으로 주장하여 성장거점이론을 발전시킨 사람은?(2017년 09월)
     1. 페로우(Perroux)
     2. 클라크(C.Clark)
     3. 미르달(G.Myrdal)
     4. 쿠즈네츠(S.Kuznets)

     정답 : []
     정답률 : 68%

62. 다음 중 P. Cooke(1992)가 제시한 지역 혁신 체제의 상부 구조(super structur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5월)
     1. 지역의 조직과 제도
     2. 지역의 문화
     3. 지역의 규범
     4. 지역의 연구소 및 금융기관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P.Cooke(1992)가 제시한 지역혁신체제의 상부 : 지역의 조직과 제도, 지역의 문화, 지역의 규범

63. 도시순위규모법칙에 따른 q값이 과거 1.0에서 현재 2.0으로 증가한 어느 나라의 도시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과거보다 도시화의 속도가 2배로 증가하였다.
     2. 과거보다 수위 도시 또는 소수의 몇몇 대도시에 더욱 많은 인구가 집중하였다.
     3. 과거에는 도시 인구의 분포가 균등하지 못하였으나 현재는 균등한 분포에 근접하고 있다.
     4. 과거에는 인구분포가 균형을 이루었으나 현재는 주요 도시의 인구가 농촌 인구의 2배가 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지프(Zipf)의 순위규모모형에서 q값이 커질 수록 대도시의 종주화가 심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q값이 무한대로 갈 경우는 한 개 도시에 모든 인구가 거주하고 있단 걸 의미
[해설작성자 : 도계기]

64. 우리나라 국토종합개발계획 중 서울, 부산 양대도시의 성장억제와 인구분산, 국토의 다각화를 위한 선장거점도시의 육성 및 지역생활권의 조성 등을 개발전략으로 채택한 계획은?(2016년 10월)
     1.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2.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3.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정계획
     4.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정답 : []
     정답률 : 59%

65. 결절지역(nodal region)의 권역설정과 관계가 가장 먼것은?(2004년 09월)
     1. 통근
     2. 통학
     3. 인구밀도
     4. 상품의 흐름

     정답 : []
     정답률 : 62%

66. 대도시 성장억제 정책의 하나로 알려진 일명 "하바나" 전략이란?(2004년 05월)
     1. 신분증이나 입주과세(入住課稅)등의 방법으로 농촌 인구의 대도시 유입 자체를 직접 통제하는 전략
     2. 무허가 건물의 양성화, 불량지구개량, 도시 저소득층을 위한 고용창출사업 등으로 구성되는 전략
     3. 이농향도(離農向都)적인 인구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농촌을 개발하는 전략
     4. 종주도시 내의 기존시설마저 잘 유지관리하지 않고 노후화되게 방치하는 전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다음 중 지역계획이 하나의 학문영역으로서 출발하게 된 세 가지 근간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3월)
     1. 지리학과 경제학의 공간정책적 접근방법의 발전된 형태로서 정립된 지역계획학
     2. 현실 지향적이며 참여적이고 사회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으로부터 발전한 지역계획학
     3. 도시계획의 확대된 개념으로서 도시계획과 농촌계획을 연속적 개념으로 접근하는 지역계획학
     4. 사회주의 내지 계획경제체제 하에서 국가계획의 하위계획 이론으로서 성립된 지역계획학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보기2번의 내용은 지역계획의 발전에 따른 결과물인 현재의 경향에 해당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도시오리]

68. 다음은 인구이동모형에 대한 설명이다. 바르게 설명하지 못한 것은?(2003년 08월)
     1. 마코브모형(Markovian Models)은 동태적 인구 이동 과정을 서술하였다
     2. 로리(Lowry)모형은 경제적 변수와 중력모형의 변수를 결합한 모형이다
     3. 토다로(M.Todaro)는 도농간 실제소득의 차이가 인구 이동을 결정한다고 분석했다
     4. 모릴(Morril)은 인구이동에 미치는 비경제적 변수에 연구 촛점을 두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다음 중 경제기반이론(economic base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기반활동만이 지역경제의 원동력이고 비기반활동은 지역성장에 기여하지 않는 부수적인 활동이라고 가정한다.
     2. 개념적으로 지역의 경제활동을 단순하게 기반활동과 비기반활동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산업활동이 있다.
     3. 지역의 성장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화의 외부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에 기초한다.
     4. 경제기반승수가 계속 변화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모형은 실제로 단기 예측에는 부적절하다.

     정답 : []
     정답률 : 64%

70. Friedmann이 제시한 경제발전의 4단계로 맞는 것은?(2015년 05월)
     1. 산업화이전의 경제-전이경제-산업화경제-후기산업화 경제
     2. 원시경제-전이경제-산업화경제-신경제
     3. 원시경제-농업경제-산업화경제-대량생산과 소비경제
     4. 산업화이전의 경제-전이경제-도시화경제-신산업경제

     정답 : []
     정답률 : 50%

71. 지역계획대안의 예측결과 비교 중 계량적 확정적 예측결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순현가 비교방법(net present value)
     2. 델파이 비교방법(delphi method)
     3. 편익비용비 비교방법(bebefit-cost ratio)
     4. 내부수익률 비교방법(internal rate of return)

     정답 : []
     정답률 : 81%

72. 수도권으로의 기능 집중에 따른 도시문제와 거리가 먼것은?(2014년 03월)
     1. 도시경관의 악화
     2. 교통난의 심화
     3. 환경문제심화
     4. 인력난 가중

     정답 : []
     정답률 : 89%

73. 수도권정비계획법령에 따른 권역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9월)
     1. 과밀억제권역
     2. 성장관리권역
     3. 자연보전권역
     4. 개발제한권역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과밀억제권역: 인구와 산업이 지나치게 집중되었거나 집중될 우려가 있어 이전하거나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역
2. 성장관리권역: 과밀억제권역으로부터 이전하는 인구와 산업을 계획적으로 유치하고 산업의 입지와 도시의 개발을 적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
3. 자연보전권역: 한강 수계의 수질과 녹지 등 자연환경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74. 다음과 같이 주장한 학자는?(2016년 05월)

    

     1. Haggett
     2. Myrdal
     3. Kaldor
     4. Williamson

     정답 : []
     정답률 : 58%

75. 우리나라의 제1차 및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주로 이용되었던 개발 방식은?(2009년 05월)
     1. 농촌지역개발방식
     2. 거점개발방식
     3. 완전균형개발방식
     4. 자유방임개발방식

     정답 : []
     정답률 : 65%

76. 레닌(V. I. Lenin, 1993)이 종속이론에서 주장한 후진국의 자본주의적 발전 특성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자본은 후진국을 지배하지 않는다.
     2. 선진 자본주의 국가는 후진국에 대한 국제적 독점권을 형성한다.
     3. 선진 자본주의 국가는 후진국에서 경제적 상호주의의 입장을 취한다.
     4.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자본은 후진국에서 많은 이윤을 남기고, 이것을 후진국에 재투자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77. 토다로(Michael Todaro)의 인구이동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1년 05월)
     1. 주로 선진국의 농촌과 도시 간의 인구이동 현상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2. 도시에서 주변 농촌으로 역류하는 인구이동 현상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3. 실질 소득보다 기대 소득의 개념으로 인구이동 현상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4. 사회주의 국가의 농촌과 도시 간의 인구이동 현상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토다로 인구이동 모형은 기대소득에 따라 인구가 이동한다고 봄
[해설작성자 : 솔향]

78.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에서 1개의 중심지가 그 중심지 및 3개의 하위 중심지를 포섭하는 원리는?(2012년 09월)
     1. 시장의 원리
     2. 행정의 원리
     3. 교통의 원리
     4. 근린의 원리

     정답 : []
     정답률 : 60%

79. 하겟(Hagget)이 제시한 도시공간조직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경향면(surface)
     2. 네트워크(network)
     3. 결절(node)
     4. 기후(climate)

     정답 : []
     정답률 : 60%

80.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추진하였던 신산업지대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아산만 – 대전 – 청주
     2. 군산, 장항 – 익산 – 전주
     3. 창원 – 마산 – 진해
     4. 목포 – 광주 – 광양만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차 국토 종합개발계획의 신산업지대
1.아산만-대전-청주
2.군산-장항-익산-전주
3.목포-광주-광양만
[해설작성자 : 얼짱청순녀]

81. 건축법의 정의에 따른 ‘도로’의 너비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2m 이상
     2. 3m 이상
     3. 4m 이상
     4. 5m 이상

     정답 : []
     정답률 : 66%

82.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에서 정한 정비기반시설이 아닌것은?(2004년 03월)
     1. 공원
     2. 공용주차장
     3. 공동구
     4. 체육시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3.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에 의한 개발진흥지구를 설명한 것 중 사실과 다른 것은?(2003년 03월)
     1. 주거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취락개발진흥지구이다.
     2. 공업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산업개발진흥지구이다.
     3. 유통.물류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유통개발진흥지구이다.
     4. 관광.휴양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관광휴양개발진흥지구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84. 국토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사항
     2.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시책 및 지역산업육성에 관한 사항
     3. 토지, 수자원, 산림자원, 해양자원 등 국토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4. 국가경쟁력 향상 및 국민생활의 기반이 되는 국토 기간 시설의 확충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56%

85. 다음 공원관리청이 아닌 자의 도시공원 및 공원 시설의 설치ㆍ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9월)
     1. 공원관리자는 도시공원대장의 작성 및 보관 권한을 대행할 수 있다.
     2. 공원관리자는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방법에 관한 공고 권한을 대행할 수 있다.
     3. 공원관리자는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에 관한 협의권한을 대행할 수 없다.
     4. 공원관리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시ㆍ군계획시설사업 시행자의 지정과 실시계획의 인가를 받아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조(공원관리청의 업무의 대행) 제1항을 보면
"2. 법 제39조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에 관한 협의(공원관리청과 공원관리자간의 협의사항에 대한 협의를 제외한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협의를 대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을 고르라는 문제의 답은 3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우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복수 정답(3, 4)
출처: 2024 도시계획필기기사, 예문사, Urban.Lee
교재에 따르면
3번: ‘공원관리자는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에 관한 협의 권한을 대행할 수 있다’로 기재되어 있음
4번: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 설치’에 관한 내용은 <공원관리자의 업무대행> 사항에 없는 내용이므로 정답은 4번
문제 작성 중 발생한 오타로 인해 3번, 4번 복수 정답으로 인정해야 함(또는 문제를 수정해야 함)
[해설작성자 : 뚝]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조
공원관리자는 다음의 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1.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방법에 관한 협의(공원관리청과 공원관리자간의 협의사항에 대한 협의를 제외한다)및 공고
2.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에 관한협의(공원관리청과 공원관리자간의 협의사항에 대한 협의를 제외한다)
3. 도시공원대장의 작성 및 보관

으로 되어있습니다 4번은 해당 사항이 없으므로 4번이 정답이고 지문 3번은 예담사 필기 문제집에 보면 대행할 수 있다로 나옵니다

정답은 4번이고 3번의 없다가 있다로 변경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치즈오뜨]

86. 다음의 공원시설 중 유희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시소
     2. 정글짐
     3. 사다리
     4. 야외극장

     정답 : []
     정답률 : 71%

87. 관광진흥법령상 관광사업의 종류와 그 세분에 해당하는 내용의 연결이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국내여행업
     2. 야영장업:일반야영장업, 산림야영장업
     3. 관광유람선업:일반관광유람선업, 크루즈업
     4. 호텔업:가족호텔업, 호스텔업, 소형호텔업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 야영장업 : 일반야영장업, 자동차야영장업
[해설작성자 : 이다빈]

88. 도시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광장의 구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5월)
     1. 교통광장
     2. 건축물부설광장
     3. 미관광장
     4. 지하광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용도지역별 건폐율 기준이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보전관리지역 : 20% 이하
     2. 자연환경보전지역 : 20% 이하
     3. 계획관리지역 : 20% 이하
     4. 농림지역 : 20% 이하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계획관리지역의 건폐율 최대한도는 40%이다.
[해설작성자 : 아이유]

90.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관리처분 계획에 포함될 내용이다. 틀린 것은?(2004년 09월)
     1. 분양설계
     2. 손실보상 및 토지 등의 수용
     3. 보류지 등의 명세와 추산가액 및 처분방법
     4. 분양대상자별로 분양예정의 대지 또는 건축 시설의 추산액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에 따라,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자가 그 대지의 일부를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경우 당해 건축물에 대한 규정 용적률의 200% 이하의 범위 안에서 대지면적의 제공비율에 따라 용적률을 따로 정할 수 있는 지역ㆍ지구 또는 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9월)
     1. 상업지역
     2. 개발진흥지구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건축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정비구역
     4.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개발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정비구역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5조 (용도지역안에서의 용적률)
다음 각호의 지역ㆍ지구 또는 구역안에서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자가 그 대지의 일부를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당해 건축물에 대한 용적률은 제1항 각호의 규정에 의한 해당 용적률의 200퍼센트 이하의 범위안에서 대지면적의 제공비율에 따라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도시ㆍ군계획조례가 정하는 비율로 할 수 있다.

1. 상업지역
2. 삭제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개발사업 및 재건축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정비구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개발진흥지구: 용적률 120% 이내에서 완화적용
[해설작성자 : 홍챔]

92. 개발제한구역내에서 허용되지 않는 시설 및 행위는?(2003년 05월)
     1. 주택의 신축
     2. 병원
     3. 골프장
     4.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 충전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시장ㆍ군수가 도시계획에 관한 지적 등의 고시의 승인을 시, 도지사에게 제출했을 때 지형도면의 축척은? (단, 녹지지역의 임야,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이 아닌 경우)(2005년 09월)
     1. 1/300 내지 1/600
     2. 1/500 내지 1/1,500
     3. 1/3,000 내지 1/6,000
     4. 1/10,000 내지 1/25,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4. 다음은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상의 국토용도 구분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2004년 09월)
     1. 농림지역:도시지역에 속하지 않는 농지법에 의한 농업진흥지역 또는 산림법에 의한 보전임지 등으로서 농림업의 진흥과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도시지역: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당해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 정비·관리· 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
     3. 관리지역: 도시지역외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지역으로만 전환 관리가 필요한 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 자연환경· 수자원· 해안· 생태계· 상수원 및 문화재의 보전과 수산자원의 보호.육성 등을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다음 중 노상주차장의 구조·설비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주간선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2. 종단경사도가 6%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3. 너비 6미터 미만의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4.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또는 고가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4조 제1항 4호
종단경사도가 4%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예외
1. 종단경사도가 6%이하인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가 구별되어 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미터 이상인 도로에 설치하는 경우
2. 종단경사도가 6% 이하인 도로로서 해당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안전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하는 도로에 제6조의2제1항제1호에 해당하는 노상주차장을 설치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도시인사이트(네이버 블로그 cityinsight)]

96. 다음 중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위원장은?(2011년 06월)
     1. 국무총리
     2. 기획재정부장관
     3. 국토해양부장관
     4. 서울특별시장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현재법상,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위원장은 국토교통부 장관이 맡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위원장이 국무총리였으나, 2011년 5월 이후 국토교통부장관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도시인사이트(네이버 블로그 cityinsight)]

97. 택지개발촉진법상 경미한 변경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예정지구 면적의 10% 범위내에서의 확대
     2. 예정지구 면적의 10% 범위내에서 축소
     3. 사업비의 10% 범위안에서의 사업비의 증감
     4. 예정지구 면적의 10%축소 또는 20% 확대하여 전체면적 10% 확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다음 중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위원장과 부위원장 각 1명을 포함하여 20명 이상 2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위원장은 국토해양부장관이다.
     3. 공무원이 아닌 위원의 수는 10명 이상으로 하고, 그 임기는 3년으로 한다.
     4. 위원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공무원과 도시ㆍ군계획과 관련된 분야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중에서 국토해양부장관이 임명하거나 위촉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99. 도시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용도지역별 도로율이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9월)
     1. 주거지역 : 20퍼센트 이상 30퍼센트 미만
     2. 주거지역 : 25퍼센트 이상 35퍼센트 미만
     3. 주거지역 : 10퍼센트 이상 20퍼센트 미만
     4. 주거지역 : 5퍼센트 이상 15퍼센트 미만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에서 모두 주거지역으로 나와있어 수정이 필요합니다.

100. 수도정비계획법상의 총량규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이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신설 증설의 총 허용량을 정할 수 있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이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준을 초과하는 신설 증성을 제한할 수 잇다.
     3. 공장에 대한 총량규제의 내용 및 방법은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하며 관할 시, 도지사는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
     4. 관계행정기관의 장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의 신설 증설에 대하여 규정에 의한 총량규제의 내용과 다르게 허가 등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국토부 장관에게 고시
[해설작성자 : ㅇㅇ]


정 답 지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1207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도시계획론


1. 다음 중 미래 도시의 새로운 계획 패러다임의 방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미래 사회에 맞는 새로운 U-도시계획
     2.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로의 전환
     3. 지역별 특화를 위한 도농분리적 계획체계로의 전환
     4. 시민참여의 확대와 계획 및 개발주체의 다양화

     정답 : []
     정답률 : 82%

2. 다음 중 용도지역과 그 지정목적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제1종 전용주거지역: 저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근린상업지역: 일반적인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을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준공업지역: 환경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공업의 배치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4. 보전녹지지역: 도시의 자연환경·경관·산림 및 녹지공간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72%

3. 1970년대 중반 이후 미국에 도입된 성장관리정책에 대하여 넬슨(Arthur C. Nelson)과 듀칸(Janes B. Ducan)이 제시한 목적과 거리가 먼 내용은?(2015년 05월)
     1. 경제적 형평성 제고
     2. 효율적인 도시형태의 구축
     3. 납세자의 보호
     4. 어반 스프롤의 방지

     정답 : []
     정답률 : 58%

4. 토지이용계획의 실행수단은 간접적 실행수단과 직접적 실행수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간접적 실행수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도로정비와 같은 도시기반시설 설치
     2. 지구 차원의 토지 이용 지침이 포함된 지구단위계획 수립
     3. 개발 사업자가 토지를 확보하여 스스로 건축행위를 하여 실현
     4. 주거지역, 상업지역 등 용도를 지정하여 합치되는 용도만을 허용하는 용도지역제 운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직접적 실행수단 - 도시계획사업, 개발행위허가

간접적 실행수단 - 규제 (계획) : 지역지구제, 획지분할규제 (지구단위계획, 기발시설 연동제)
                                - 유도 : 세제혜택, SOC정비, 인센티브

5.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KOrea Planning Support System, KOPSS)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분석모형은?(2018년 09월)
     1. 세움이(건축계획지원)
     2. 경관이(경관계획지원)
     3. 재생이(도시정비계획지원)
     4. 시설이(도시기반시설계획지원)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KOPSS국토정보공간계획지원체계>
지역계획, 토지이용계획, 도시정비계획 등의 지리 업무를 지리정보체계GIS와 공간통계를 활용하여 지원하는 의사결정 지원도구다.
1. 지역이: 지역계획 지원모형
2. 터잡이: 토지이용계획 지원모형
3. 재생이: 도시정비계획 지원모형
4. 시설이: 도시기반시설계획 지원모형
5. 경관이: 경관계획 지원모형
[해설작성자 : 모모]

6. A도시의 2015년 인구수는 50만명이었고, 2020년에는 58만명으로 증가하였다. 등차급수법에 따른 2025년의 추정 인구는?(2021년 03월)
     1. 18만 5천명
     2. 66만명
     3. 80만명
     4. 350만명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Pn : P0 + na
a : (P0 - Pt)/t => 8만명/5년 → 1.6만명
P2025 : 58만명 + 1.6만*5 → 66만명
[해설작성자 : 뽀시파파]

7. 허드슨(Hudson)의 분류에 의한 도시계획 이론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종합적 계획은 체계적 접근 방법을 통해서 계획의 문제를 규명하고, 결정론적 모형을 구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2. 급진적 계획은 논리적 일관성이나 최적의 해결 대안의 제시보다는 지속적인 조정과 적용을 통하여 목표를 추구하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3. 교류적 계획은 철학적 사고에서 파생하고 있으며, 계획가와 계획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대화를 중시 하였다.
     4. 옹호적 계획은 주로 강자에 대한 약자의 이익을 보호하는데 적용되어 왔다.

     정답 : []
     정답률 : 80%

8. 패트릭 게데스(patrick Geddes)가 주장한 도시계획의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7년 05월)
     1. 도시계획은 물적계획으로서 각종 도시시설을 구체적으로 구상하여야 한다.
     2. 도시계획은 장기계획이므로 최소한 향후 50년 후를 목표로 계획하여야 한다.
     3. 도시계획은 도시의 본질인 인간을 중심으로 해야 하므로 정주생활계획을 출발점으로 해야 한다.
     4. 도시계획은 물적계획과 빗물적계획(사회, 경제계획)을 통합한 계획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9. 도시화의 진행과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집중적 도시화 - 역도시화 - 분산적 도시화
     2. 분산적 도시화 - 집중적 도시화 - 역도시화
     3. 집중적 도시화 - 분산적 도시화 - 역도시화
     4. 분산적 도시화 - 역도시화 - 집중적 도시화

     정답 : []
     정답률 : 83%

10. 부동산 소유자간 또는 개발업자와 구입자 사이에 체결되는 민사계약으로 지역제보다 훨씬 상세하고 엄격한 규정으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토지·건물대장 및 권리서에 기재되어 부동산 매매시 신규 구입자에게로 승계되는 것으로 미국 근대도시계획성립기에 지역제의 바탕이 된 제도는?(2013년 03월)
     1. 협약(covenant)
     2. 획지분할규제(subcivision control)
     3. 공도(official mapping)
     4. 성장관리(growth management)

     정답 : []
     정답률 : 77%

11. 다음 중 용도지역지구의 지정 목적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4년 09월)
     1. 용도간 혼합이용을 통한 토지효율성 제고
     2. 외부불경제의 차단을 통한 개인재산권의 보호
     3. 부적절한 토지용도의 공간적 분리
     4. 위생 및 안전상 필요한 최저기준의 설정

     정답 : []
     정답률 : 34%

12. 경관요소의 구분에 따른 설명이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1차적 경관요소는 간접적으로 경관을 조작하여 경관 개선을 유도하는 비물리적 경관계획요소이다.
     2. 2차적 경관요소의 주 내용은 경관컨트롤을 위한 규제 및 인센티브요소이다.
     3. 3차적 경관요소는 인간의지와 관계없이 형성되는 경관으로서 비물리적, 비조작적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상징적 경관요소이다.
     4. 경관계획의 궁극적 목표는 3차적 경관을 바람직하게 형성하는데 둘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비물리적이 아닌 물리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간접적 > 직접적
비물리적 > 물리적
[해설작성자 : 지니]

13. 다음 중 베버(M. Weber)가 정의한 도시의 의미로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지적 엘리트를 포함한 각종 비농업적 전문가가 많으며 상당한 규모의 인구와 인구밀도를 갖는 공동체
     2. 주민의 대부분이 공업적 또는 상업적인 영리수입에 의해 생활하고 정주하는 곳
     3. 농촌에 비해 전문직 종사자가 많고 인공환경이 우월하며 인구 구성의 이질성이 강한 곳
     4. 도시의 결정요인은 예술·문화·종교·민주적인 정치형태이며, 평등한 시민이 활기에 차 있는 곳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번은 쇼버그의 정의
2번은 베버의 정의
3번은 솔로킨&짐머만의 정의
4번은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의 정의이다.
[해설작성자 : 백석동 황금발]

14. 페리(C. A. Perry)의 근린주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주거지개발에 적용할 물리적인 기본단위로서 초등학교, 작은공원, 운동장, 작은가게 등 근린단위를 제안했다.
     2. 기존 도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가공간의 형성과 근린의식의 강화가 필수적이다.
     3. 혼잡한 기존도시의 익명성에 대해 공공시설을 확충하고 공공활동을 유도하여 고립성 회복을 주장하였다.
     4. 근린주구는 신체적인 접촉에 의한 근린주구, 사회적 면식에 의한 근린주구, 단위근린주구로 분류된다.

     정답 : []
     정답률 : 30%

15. 18~19세기에 제안된 이상도시의 계획가와 이상도시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Robert Owen : 도시 대신 단일 건물인 핀란스테르(Phalanstere)를 제안하였다.
     2. Buckinghan : 농업과 공업이 결합된 이상적 도시안인 이상공장폰을 제안하였다.
     3. Ledouv : 산업혁명을 의식하여 새로운 생산 체제를 도입한 이상도시 쇼우(Chaux)를 제안하였다.
     4. C. Fourier : 근대 건축기술이나 과학적 진보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성을 제시하면서 유리로 덮인 도시 빅토리아(Victoria)를 제안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핀란스테르(Phalanstere) -    푸리에(Charles Fourier)
이상공장촌 - 오웬(Robert Owen)
쇼우(Chaux) - 르두(C. N. Ledoux)
빅토리아(Victoria) - 버킹엄(Buckingham)
[해설작성자 : 성결안영재]

16. 단기교통계획과 비교하여 장기교통계획이 갖는 특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환류 지향적이다.
     2. 시설 지향적이다.
     3. 다수의 서로 다른 대안을 고려한다.
     4. 다양한 교통수단을 동시에 고려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구분 대안의 갯수 교통수요 비용 지향적
단기         다수            고정     낮음 서비스
장기         소수            변화     높음    시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장기의특징 : 시설지향,자본집약,수요고정,소수대안,단일수단
[해설작성자 : 용문]

장기의 교통수요 : 고정
단기의 교통수요 : 변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도시산업구조는 그림과 같이 도시화초기에는 삼각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시성장과 함께 후진국 사회의 도시는 어떠한 산업구조 형태로 변하여 가는가?(2005년 05월)

    

     1. 삼각형 → 장구형 → 사다리꼴 → 역삼각형
     2. 삼각형 → 사다리꼴 → 장구형 → 역삼각형
     3. 삼각형 → 사다리꼴 → 역삼각형 → 장구형
     4. 삼각형 → 장구형 → 역삼각형 → 사다리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다음 중 경관의 유형 구분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경관자원의 특성에 따라 크게 자연경관, 인공경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경관자원의 형태에 따라 점적인 형태, 선적인 형태, 면적인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3. 경관의 대상 범위에 따라 광역적 경관, 도시적 경관, 시가지 경관, 지구적 경관으로 분류할 수 있다.
     4. 경관의 현상에 따라 부감경, 양감경, 수평경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19. 1893년 시카고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를 계기로 D. Burnham의 도시디자인 철학에 따라 모든 도시들은 역사적 공간에 오픈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광장과 정원에 분수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며 도시규모에 따라 공공건축물을 규제하였던 것으로, 이후 미국 도시설계의 기원을 이룬 것은?(2008년 09월)
     1. 도시미화운동
     2. 전원도시운동
     3. 대도시론
     4. 이상공업촌

     정답 : []
     정답률 : 47%

20. 다음 중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도시개발사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10월)
     1. 주거환경개선사업
     2. 주택재개발사업
     3. 도시환경정비사업
     4. 도시재개발사업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기존 6가지에서 3가지로 변경됨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개발사업, 재건축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가로주택정비사업.주거환경관리사업은 삭제)

고로 2.3.4번 모두 정답(현재 도정법기준)
[해설작성자 : 지방직준비중]

2과목 :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21. 계획단위개발(PUD) 방식에 의한 주거지 계획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분리된 필지를 기본으로 주택을 배치한다.
     2. 도로와 하수도 등 기반시설을 계획 내용에 따라 쉽게 배치할 수 있다.
     3. 전체 개발지에 대해 밀도, 건폐율 등의 규정을 적용한다.
     4. 주택과 외부공간의 배치가 자유롭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유치원 1개소당의 부지면적 규모로서 가장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 500 ∼ 1,000m2
     2. 1,000 ∼ 1,500m2
     3. 1,500 ∼ 2,000m2
     4. 2,000 ∼ 2,500m2

     정답 : []
     정답률 : 17%

23. 다음 중 등고선과 단면의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24. 주거형 지구단위계획에서 단독주택용지의 가구 및 획지 계획 기준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획지의 형상은 건축물의 규모와 배치, 인동간격, 높이, 토지이용, 차량동선, 녹지공간의 확보 등을 고려하여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형태를 결정하되, 가능하면 남북 방향으로의 긴 장방형으로 한다.
     2. 단독주택용 획지로 구성된 소가구는 근린의식 형성이 용이하도록 10~24획지 내외로 구성하며 장변이 120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장변 중간에 보행자도로를 삽입하는 것이 좋다.
     3. 대가구의 규모는 어린이 놀이터 하나를 유지하는 거리고 반경 150~250m를 기준으로 한다.
     4. 대가구내 도로계획은 단조로움과 통과교통 방지를 위하여 3가지 교차도로 및 루프(loop)형 도로를 배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대가구의 단위규모는 어린이놀이터의 이용반경과 주거가구를 인지할 수 있는 소가구의 적절한 조합으로 결정
[해설작성자 : 얼짱청순녀]

어린이놀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반경은 100M~150M로 한다.
[해설작성자 : 초딩]

25. 다음 중 단지계획의 기본적인 목표와 거리가 먼 내용은?(2009년 03월)
     1.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절약
     2. 거주자 상호간 접촉의 최소화
     3. 거주자의 건강과 쾌적성 유지
     4. 변화에의 융통성과 적응성 부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다음 중 단지계획의 목표설정시에 고려하여야 할 일반적인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건강과 쾌적성
     2. 경제적 다양성
     3. 기능의 충족성
     4. 이웃과의 의사소통

     정답 : []
     정답률 : 62%

27. 다음 중 대지 내 공공보행통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보행자의 통행을 위해 일반에게 24시간 개방되어 이용할 수 있도록 대지 내에 조성하도록 지정된 통로를 말한다.
     2. 보행통로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최소폭, 단차이의 연결방식, 포장 등에 대한 설치기준을 제시한다.
     3. 종전 도시계획도로의 폐도사항 및 주변지역과의 연결성 등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 지정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통로 내에서의 단지내 주출입구는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4. 주요가로로부터 이면도로 등으로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지정하여 보행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이 경우 항시 일반대중에게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28.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에서 시민이 누릴 수 있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8월)
     1. 자유감
     2. 자발적 활동
     3. 새로운 생활환경의 접촉
     4. 제한된 도시생활의 연속

     정답 : []
     정답률 : 84%

29. 공업단지의 입지조건에 대한 설명으로서 맞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5% 이내의 경사를 가진 지형이 바람직하다.
     2. 풍향의 고려가 가장 중요하다.
     3. 주간선도로로부터 떨어져야 한다.
     4. 배후 도시와의 관련이 깊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근린생활권의 위계 중에서 주민 간에 면식이 가능한 최소단위의 생활권으로, 유치원·어린이 공원 등을 공유하는 반경 약 250m가 설정기준이 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9년 04월)
     1. 인보구
     2. 근린기초구
     3. 근린분구
     4. 근린주구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주택단지의 구성단위
근린분구는 150~200m 전후의 반경을 가지며 인구는 3~5천명 정도이다. 4~6개의 인보구로 구성되며 주민 간에 면식이 가능한 최소단위이다.
[해설작성자 : 망치땅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기준 반경        주요시설                                         특징
인보구                 약 100m         없음 또는 소공원                     이웃 간 친밀한 교류 중심
✅근린기초구 약 250m         유치원, 어린이공원 등     면식 가능한 최소 생활권
근린분구 약 500m         초등학교, 주민센터 등     도보권 교육·행정 단위
근린주구 약 1km         중학교, 공공서비스시설 등     도시계획의 기본 주거단위

근린기초구가 정답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1234]

31. 페리(C.A.Perry)가 주장한 근린주구론의 원칙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주거단위는 하나의 초등학교 운영에 필요한 인구에 대응하는 규모를 가져야 하고 그 규모는 인구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2. 주거단위는 주거지 안으로 지나는 통과 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우회되어야 하며 네면 모두 충분한 폭원의 간선도로(arterial street or high way)에 의해 둘러싸여져야 한다.
     3. 하나의 근린주구는 상위도시를 기준으로 구축된 가로체계에 의존하고 원할한 순환체계 속에서 통과교통을 체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입체적인 가로망으로 계획한다.
     4. 개개근린주구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계획된 소공원과 레크레이션 체계를 갖춘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페리의 근린지구는 통과교통을 허용하지 않았기에 3번은 틀림
[해설작성자 : 으하하]

32. 다음 중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정량적인 예측 변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가구규모
     2. 인구규모
     3. 생활양식의 변화
     4. 고용자수

     정답 : []
     정답률 : 89%

33. 등고선 간격에 의한 방법으로 경사분석을 할 때 2m의 등고선 간격(H) 으로 5%의 경사도(G)를 얻으려면 등고선과 등고선 간의 수평거리(D)는 얼마로 하는가?(2006년 09월)
     1. D = 25m
     2. D = 10m
     3. D = 40m
     4. D = 100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표는?(2013년 09월)
     1. 입면차폐도
     2. 용적률
     3. 가구(街區) 크기
     4. 건축물 높이

     정답 : []
     정답률 : 68%

35. 지구단위계획의 성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 수립의 주된 목적은 도시경관 관리를 위함이다.
     2.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은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한다.
     3. 지구단위계획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또는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계획이다.
     4. 지구단위계획은 토지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계획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36. 다음 중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상의 공공체육시설의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6월)
     1. 전문체육시설
     2. 생활체육시설
     3. 직장체육시설
     4. 여가체육시설

     정답 : []
     정답률 : 38%

37. 도시설계 관련 제도가 도입되었던 당시의 법적 근거가 잘못 연결된 것은?(2021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제도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 도시설계 지구지정제도 : 도시계획법
     3. 상세계획제도 : 도시계획법
     4. 미관지구제도 : 건축법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미관지구제도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건축법은 ‘도시설계제도’
[해설작성자 : JSY]

38. 다음 중 지하주차장시설의 계획 시 우선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경관
     2. 화재
     3. 방범
     4. 표식

     정답 : []
     정답률 : 65%

39. 다음 중 밀톤케인즈(Milton Keynes) 신도시계획의 주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RED WAY를 통해 차량과 보행자를 분리하고 있다.
     2. 주요 간선도로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3. 커뮤니티센터는 모든 주택으로부터 500M을 넘지않도록 계획되어 있다.
     4. 초기의 뉴타운에서와 같이 내부로 향하는 내향적 근린주구로서 계획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9%

40. 전통적으로 구분되는 유기적 방법과 구성적 방법으로 도시설계 기법을 제시한 학자는?(2018년 09월)
     1. David Gosling
     2. Paul Meadows
     3. Oscar Newman
     4. Goeffrey Broadbent

     정답 : []
     정답률 : 70%

3과목 : 도시개발론


41.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적용분야에 따른 명칭약어의 해설로서 합당하지 않은 것은?(2004년 03월)
     1. LIS - 토지 및 지적관련 정보 관리
     2. UIS - 도시관련 정보 관리
     3. SIS - 공간관련 정보 관리
     4. AM/FM - 무선 관련 정보 처리

     정답 : []
     정답률 : 47%

42. 다음은 트랜싯의 기계오차에 대한 기술로서 옳은 것은?(2003년 03월)
     1. 수평축 오차는 목표의 높이에 따라 다르다.
     2. 시준축 오차는 목표의 높이에 관계 없이 일정하다.
     3. 연직축 경사에 따른 수평각 오차는 망원경의 정, 반관측 평균에 의해 소거 된다.
     4. 망원경의 외심오차는 눈금반의 중심과 연직축의 중심이 편위해서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8%

43. 다음에서 이상도시의 제안자와 계획안들의 관계가 잘못된 것은?(2016년 10월)
     1. 풀만(Pullman)-빅토리아
     2. 마타(A, Soria Y Mara) - 선형도시
     3. 푸리에(C. Fourier) - 팔란스테르
     4. 리차드슨(Richardson) - 헤이지아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풀만 - 모형도시
마타 - 선형도시
푸리에 - 팔란스테르
리차드슨 - 헤이지아
[해설작성자 : 1일 1깡 1CBT]

44. 도시개발관련법과 이에 따른 개발사업의 연결이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도시개발법 – 도시개발사업
     2. 택지개발촉진법 – 주택재건축사업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주거환경개선사업
     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도시계획 시설사업

     정답 : []
     정답률 : 81%

45. 생활환경을 저해할 원인이 있거나 구조적으로는 보존가능하나 유지관리가 불충분하게 행해지는 경우, 기존시설을 보존하면서 노후 및 불량화 요인만을 제거하는 소극적 재개발 방식은?(2020년 09월)
     1. 전면재개발(Redevelopment)
     2. 개량재개발(Improvement)
     3. 수복재개발(Rehabilitation)
     4. 보전재개발(Conservation)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수복재개발방식
수복재개발은 현재의 불량·노후상태가 관리나 이용부실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현재의 대부분의 시설을 그대로 보전하면서 노후·불량화의 요인만을 제거시키는 소극적인 도시재개발 형태

(修復 (수복)
새로 고쳐서 본래(本來)의 모습과 같게 만듦)
[해설작성자 : 뽀시파파]

보전재개발
- 아직은 불량 또는 노후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현 상태로 방치할 경우 환경악화가 예상되는 지역에 예방적 조치로 시행하는 재개발 방식
[해설작성자 : 이이에]

46. 인구성장이 완만하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 되는 도시에서 사용되는 인구예측방법은?(2017년 09월)
     1. 등비급수법
     2. 등차급수법
     3. 이중지수모형
     4. 집단생잔모형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등비급수법: 급수 인구의 추정방법의 하나로 연 평균 인구 증가율을 일정하게 보는 것
등차급수법: 감가 상각에서 각기의 상각액을 등차 급수적으로 감소(또는 증가) 시켜가는 방법
이중지수모형: 인구성장이 완만하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는 도시에서 사용되는 인구예측 방법
집단생잔모형: 기준연도 인구와 자연적,사회적 요인을 고려해 장해인구 추계 방법
[해설작성자 : 공주]

47. 지표면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제가 지닌 실제 면적에 비례하여 지도상에 각각의 주제에 관한 면적을 배분하는 투영법은?(2004년 05월)
     1. 등적투영법
     2. 등거리투영법
     3. 등각투영법
     4. 원뿔투영법

     정답 : []
     정답률 : 64%

48. 도시개발사업의 시장분석과 관련하여 개발수요분석을 위한 정성적 예측모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8월)
     1. 시나리오법
     2. 인과분석법
     3. 델파이법
     4. 판단결정모델

     정답 : []
     정답률 : 40%

49. 도시개발사업의 토지취득방식으로서 “수용 또는 사용방식”의 특징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사업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2. 토지 매수 후 사업기간이 환지방식보다 장기화된다.
     3. 환지방식보다 기반시설의 확보가 용이하다.
     4. 토지 취득과정에서 민원이 많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수용 또는 사용에 의한 방식은 매수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환지와 관련된 협의 및 행정처리기간이 필요없어 기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
[해설작성자 : 얼짱청순녀]

50. 이미 악화된 지역에 대하여 기존시설을 보존하면서 노후 및 불량화 요인만을 제거하는 부분적인 철거재개발 형식으로, 구역의 기능과 환경을 회복·개선하는 소극적 재개발방식은?(2021년 05월)
     1. 전면재개발(redevelopment)
     2. 수복재개발(rehabilitation)
     3. 보전재개발(conservation)
     4. 합동재개발(pathnership)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수복재개발(Rehabilitation, 收復再開發) 주택재개발사업방식의 한가지로 도시기능과 생활환경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대상지역에서 건축물의 신축을 부분적으로 허용하되 나머지 건축물을 수리ㆍ개조함으로써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재개발방법이다. 대상지역 안에 보존할 가치가 있는 건축물에 대해서는 되도록 증축 및 개량을 통해 그 가치를 증진하도록 한다. 지구수복은 전면재개발과 지구보존의 복합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지구환경에 어울리지 않는 건축물의 개선을 권고하고 지정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령령]

51. 다음 중 인터넷 지형공간정보체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클라이언트/서버 체계의 통합 체계이다.
     2. 대화형체계이다.
     3. 하이퍼텍스트(hypertext) 정보체계이다.
     4. 집중형 체계이면서 실시간으로 정보 체계에 접속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기지점 A에서 미지점 B까지의 거리와 방위각을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았다. B점의 좌표는 얼마인가?(2005년 03월)

    

     1. (600.330, 494.624)
     2. (494.624, 600.330)
     3. (700.330, 394.624)
     4. (394.624, 700.33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1960년대 이후 미국의 계획단위개발(PUD)의 본격적시행을 통하여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음 중 계획단위개발의 문제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4년 09월)
     1. 평범한 고밀도단지의 형성 우려
     2. 고용기회를 갖추지 못한 채 대량인구 유입 우려
     3. 공동 오픈스페이스 등 과도한 유지ㆍ관리비용 발생
     4. 지방자치단체 개발관리능력의 저하

     정답 : []
     정답률 : 71%

54. 수평각 관측에서 수평축과 시준축이 직교하지 않음으로써 일어나는 각 오차는 어떻게 소거하는가?(2006년 09월)
     1. 정ㆍ반위관측
     2. 반복법관측
     3. 방향각법 관측
     4. 조합각관측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5. 연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호수(戶數)이상의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여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하는데 이에 해당되는 사업 주체는?(2017년 09월)
     1. 국가ㆍ지방자치단체
     2. 한국토지주택공사
     3. 건설법인
     4. 지방공사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원래는 동록하여야는데, 아래 6가지 경우가 사업주체가 될 때는 그러지 않습니다.
1. 국가,지방자치단체
2. 한국토지주택공사
3. 지방공사
4. 주택건설사업을 목적으로 한 공익법인
5. 주택조합
[해설작성자 : 후곡동뼈다귀]

56. 평지에서 8km 떨어진 두 삼각점 사이를 관측하기 위하여 세워야 되는 측표의 최소높이는 ? (단, 지구의 반경 = 6,370km)(2003년 05월)
     1. 2m
     2. 5m
     3. 7m
     4. 9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도시개발사업에서의 인·허가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허가(許可)란 법령에 의하여 금지되어 있는 행위를 해제하여 적법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2. 인가(認可)란 제3자의 행위를 보충하여 그 법률상의 효력을 완성시키는 행위를 의미한다.
     3. 승인(承認)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특정 행위에 대하여 부여하는 동의·승낙 등을 의미한다.
     4. 허가를 요하는 행위를 허가없이 행하거나, 인가를 받지 않고 한 행위는 처벌의 대상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허가와 인가를 구분하여야 한다. "허가"를 요하는 행위를 허가 없이 행하면 처벌의 대상이 되지만, 인가의 대상이 되는 행위를 인가 없이 행한다 해도 처벌이나 강제를 받지는 않는다.
[해설작성자 : 망치땅콩]

58. 다음 중 개발금융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3월)
     1. 개발금융이란 약 3~4년의 기간 동안 건설에 필요한 전체 개발비용이나 일부에 대하 단기이자 지불공채를 지칭한다.
     2. 마케팅, 토지 수용, 건설작업 등에 필요한 비용 등도 개발비용에 포함된다.
     3. 투자금융회사는 기본 대출이자와 동일한 이자율을 설정하고 지분의 공유를 요구하지 않아 시행자들이 선호한다.
     4. 부동산 개발금융의 원천은 지분에 의한 조달과 부채에 의한 조달로 나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다음 중 시행방식에 따른 재개발의 유형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전면재개발(redevelopment)
     2. 수복재개발(rehabilitation)
     3. 전환재개발(conversion)
     4. 보전재개발(conservation)

     정답 : []
     정답률 : 69%

60. 기온이나 토질, 고도와 같이 모든 곳에 존재하며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몇 군데의 기준점에서 관측하는 방법
     2. 횡단을 취하는 방법
     3. 등치선을 그리는 법
     4. 해당 구역을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그 구역 안에서의 변화를 세밀히 추적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39%

4과목 : 국토 및 지역계획


61. 성장극(geowth pole)이란 개념을 처음으로 주장하여 성장거점이론을 발전시킨 사람은?(2017년 09월)
     1. 페로우(Perroux)
     2. 클라크(C.Clark)
     3. 미르달(G.Myrdal)
     4. 쿠즈네츠(S.Kuznets)

     정답 : []
     정답률 : 68%

62. 다음 중 P. Cooke(1992)가 제시한 지역 혁신 체제의 상부 구조(super structur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5월)
     1. 지역의 조직과 제도
     2. 지역의 문화
     3. 지역의 규범
     4. 지역의 연구소 및 금융기관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P.Cooke(1992)가 제시한 지역혁신체제의 상부 : 지역의 조직과 제도, 지역의 문화, 지역의 규범

63. 도시순위규모법칙에 따른 q값이 과거 1.0에서 현재 2.0으로 증가한 어느 나라의 도시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과거보다 도시화의 속도가 2배로 증가하였다.
     2. 과거보다 수위 도시 또는 소수의 몇몇 대도시에 더욱 많은 인구가 집중하였다.
     3. 과거에는 도시 인구의 분포가 균등하지 못하였으나 현재는 균등한 분포에 근접하고 있다.
     4. 과거에는 인구분포가 균형을 이루었으나 현재는 주요 도시의 인구가 농촌 인구의 2배가 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지프(Zipf)의 순위규모모형에서 q값이 커질 수록 대도시의 종주화가 심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q값이 무한대로 갈 경우는 한 개 도시에 모든 인구가 거주하고 있단 걸 의미
[해설작성자 : 도계기]

64. 우리나라 국토종합개발계획 중 서울, 부산 양대도시의 성장억제와 인구분산, 국토의 다각화를 위한 선장거점도시의 육성 및 지역생활권의 조성 등을 개발전략으로 채택한 계획은?(2016년 10월)
     1.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2.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3.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정계획
     4.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정답 : []
     정답률 : 59%

65. 결절지역(nodal region)의 권역설정과 관계가 가장 먼것은?(2004년 09월)
     1. 통근
     2. 통학
     3. 인구밀도
     4. 상품의 흐름

     정답 : []
     정답률 : 62%

66. 대도시 성장억제 정책의 하나로 알려진 일명 "하바나" 전략이란?(2004년 05월)
     1. 신분증이나 입주과세(入住課稅)등의 방법으로 농촌 인구의 대도시 유입 자체를 직접 통제하는 전략
     2. 무허가 건물의 양성화, 불량지구개량, 도시 저소득층을 위한 고용창출사업 등으로 구성되는 전략
     3. 이농향도(離農向都)적인 인구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농촌을 개발하는 전략
     4. 종주도시 내의 기존시설마저 잘 유지관리하지 않고 노후화되게 방치하는 전략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다음 중 지역계획이 하나의 학문영역으로서 출발하게 된 세 가지 근간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3월)
     1. 지리학과 경제학의 공간정책적 접근방법의 발전된 형태로서 정립된 지역계획학
     2. 현실 지향적이며 참여적이고 사회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으로부터 발전한 지역계획학
     3. 도시계획의 확대된 개념으로서 도시계획과 농촌계획을 연속적 개념으로 접근하는 지역계획학
     4. 사회주의 내지 계획경제체제 하에서 국가계획의 하위계획 이론으로서 성립된 지역계획학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보기2번의 내용은 지역계획의 발전에 따른 결과물인 현재의 경향에 해당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도시오리]

68. 다음은 인구이동모형에 대한 설명이다. 바르게 설명하지 못한 것은?(2003년 08월)
     1. 마코브모형(Markovian Models)은 동태적 인구 이동 과정을 서술하였다
     2. 로리(Lowry)모형은 경제적 변수와 중력모형의 변수를 결합한 모형이다
     3. 토다로(M.Todaro)는 도농간 실제소득의 차이가 인구 이동을 결정한다고 분석했다
     4. 모릴(Morril)은 인구이동에 미치는 비경제적 변수에 연구 촛점을 두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다음 중 경제기반이론(economic base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기반활동만이 지역경제의 원동력이고 비기반활동은 지역성장에 기여하지 않는 부수적인 활동이라고 가정한다.
     2. 개념적으로 지역의 경제활동을 단순하게 기반활동과 비기반활동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산업활동이 있다.
     3. 지역의 성장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화의 외부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에 기초한다.
     4. 경제기반승수가 계속 변화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모형은 실제로 단기 예측에는 부적절하다.

     정답 : []
     정답률 : 64%

70. Friedmann이 제시한 경제발전의 4단계로 맞는 것은?(2015년 05월)
     1. 산업화이전의 경제-전이경제-산업화경제-후기산업화 경제
     2. 원시경제-전이경제-산업화경제-신경제
     3. 원시경제-농업경제-산업화경제-대량생산과 소비경제
     4. 산업화이전의 경제-전이경제-도시화경제-신산업경제

     정답 : []
     정답률 : 50%

71. 지역계획대안의 예측결과 비교 중 계량적 확정적 예측결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순현가 비교방법(net present value)
     2. 델파이 비교방법(delphi method)
     3. 편익비용비 비교방법(bebefit-cost ratio)
     4. 내부수익률 비교방법(internal rate of return)

     정답 : []
     정답률 : 81%

72. 수도권으로의 기능 집중에 따른 도시문제와 거리가 먼것은?(2014년 03월)
     1. 도시경관의 악화
     2. 교통난의 심화
     3. 환경문제심화
     4. 인력난 가중

     정답 : []
     정답률 : 89%

73. 수도권정비계획법령에 따른 권역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9월)
     1. 과밀억제권역
     2. 성장관리권역
     3. 자연보전권역
     4. 개발제한권역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과밀억제권역: 인구와 산업이 지나치게 집중되었거나 집중될 우려가 있어 이전하거나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역
2. 성장관리권역: 과밀억제권역으로부터 이전하는 인구와 산업을 계획적으로 유치하고 산업의 입지와 도시의 개발을 적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
3. 자연보전권역: 한강 수계의 수질과 녹지 등 자연환경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74. 다음과 같이 주장한 학자는?(2016년 05월)

    

     1. Haggett
     2. Myrdal
     3. Kaldor
     4. Williamson

     정답 : []
     정답률 : 58%

75. 우리나라의 제1차 및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주로 이용되었던 개발 방식은?(2009년 05월)
     1. 농촌지역개발방식
     2. 거점개발방식
     3. 완전균형개발방식
     4. 자유방임개발방식

     정답 : []
     정답률 : 65%

76. 레닌(V. I. Lenin, 1993)이 종속이론에서 주장한 후진국의 자본주의적 발전 특성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자본은 후진국을 지배하지 않는다.
     2. 선진 자본주의 국가는 후진국에 대한 국제적 독점권을 형성한다.
     3. 선진 자본주의 국가는 후진국에서 경제적 상호주의의 입장을 취한다.
     4.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자본은 후진국에서 많은 이윤을 남기고, 이것을 후진국에 재투자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77. 토다로(Michael Todaro)의 인구이동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1년 05월)
     1. 주로 선진국의 농촌과 도시 간의 인구이동 현상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2. 도시에서 주변 농촌으로 역류하는 인구이동 현상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3. 실질 소득보다 기대 소득의 개념으로 인구이동 현상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4. 사회주의 국가의 농촌과 도시 간의 인구이동 현상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토다로 인구이동 모형은 기대소득에 따라 인구가 이동한다고 봄
[해설작성자 : 솔향]

78.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에서 1개의 중심지가 그 중심지 및 3개의 하위 중심지를 포섭하는 원리는?(2012년 09월)
     1. 시장의 원리
     2. 행정의 원리
     3. 교통의 원리
     4. 근린의 원리

     정답 : []
     정답률 : 60%

79. 하겟(Hagget)이 제시한 도시공간조직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경향면(surface)
     2. 네트워크(network)
     3. 결절(node)
     4. 기후(climate)

     정답 : []
     정답률 : 60%

80.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추진하였던 신산업지대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아산만 – 대전 – 청주
     2. 군산, 장항 – 익산 – 전주
     3. 창원 – 마산 – 진해
     4. 목포 – 광주 – 광양만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차 국토 종합개발계획의 신산업지대
1.아산만-대전-청주
2.군산-장항-익산-전주
3.목포-광주-광양만
[해설작성자 : 얼짱청순녀]

81. 건축법의 정의에 따른 ‘도로’의 너비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2m 이상
     2. 3m 이상
     3. 4m 이상
     4. 5m 이상

     정답 : []
     정답률 : 66%

82.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에서 정한 정비기반시설이 아닌것은?(2004년 03월)
     1. 공원
     2. 공용주차장
     3. 공동구
     4. 체육시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3.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에 의한 개발진흥지구를 설명한 것 중 사실과 다른 것은?(2003년 03월)
     1. 주거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취락개발진흥지구이다.
     2. 공업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산업개발진흥지구이다.
     3. 유통.물류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유통개발진흥지구이다.
     4. 관광.휴양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관광휴양개발진흥지구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84. 국토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사항
     2.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시책 및 지역산업육성에 관한 사항
     3. 토지, 수자원, 산림자원, 해양자원 등 국토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4. 국가경쟁력 향상 및 국민생활의 기반이 되는 국토 기간 시설의 확충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56%

85. 다음 공원관리청이 아닌 자의 도시공원 및 공원 시설의 설치ㆍ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9월)
     1. 공원관리자는 도시공원대장의 작성 및 보관 권한을 대행할 수 있다.
     2. 공원관리자는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방법에 관한 공고 권한을 대행할 수 있다.
     3. 공원관리자는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에 관한 협의권한을 대행할 수 없다.
     4. 공원관리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시ㆍ군계획시설사업 시행자의 지정과 실시계획의 인가를 받아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조(공원관리청의 업무의 대행) 제1항을 보면
"2. 법 제39조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에 관한 협의(공원관리청과 공원관리자간의 협의사항에 대한 협의를 제외한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협의를 대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을 고르라는 문제의 답은 3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우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복수 정답(3, 4)
출처: 2024 도시계획필기기사, 예문사, Urban.Lee
교재에 따르면
3번: ‘공원관리자는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에 관한 협의 권한을 대행할 수 있다’로 기재되어 있음
4번: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 설치’에 관한 내용은 <공원관리자의 업무대행> 사항에 없는 내용이므로 정답은 4번
문제 작성 중 발생한 오타로 인해 3번, 4번 복수 정답으로 인정해야 함(또는 문제를 수정해야 함)
[해설작성자 : 뚝]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조
공원관리자는 다음의 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1.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방법에 관한 협의(공원관리청과 공원관리자간의 협의사항에 대한 협의를 제외한다)및 공고
2.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에 관한협의(공원관리청과 공원관리자간의 협의사항에 대한 협의를 제외한다)
3. 도시공원대장의 작성 및 보관

으로 되어있습니다 4번은 해당 사항이 없으므로 4번이 정답이고 지문 3번은 예담사 필기 문제집에 보면 대행할 수 있다로 나옵니다

정답은 4번이고 3번의 없다가 있다로 변경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치즈오뜨]

86. 다음의 공원시설 중 유희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시소
     2. 정글짐
     3. 사다리
     4. 야외극장

     정답 : []
     정답률 : 71%

87. 관광진흥법령상 관광사업의 종류와 그 세분에 해당하는 내용의 연결이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국내여행업
     2. 야영장업:일반야영장업, 산림야영장업
     3. 관광유람선업:일반관광유람선업, 크루즈업
     4. 호텔업:가족호텔업, 호스텔업, 소형호텔업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 야영장업 : 일반야영장업, 자동차야영장업
[해설작성자 : 이다빈]

88. 도시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광장의 구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5월)
     1. 교통광장
     2. 건축물부설광장
     3. 미관광장
     4. 지하광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용도지역별 건폐율 기준이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보전관리지역 : 20% 이하
     2. 자연환경보전지역 : 20% 이하
     3. 계획관리지역 : 20% 이하
     4. 농림지역 : 20% 이하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계획관리지역의 건폐율 최대한도는 40%이다.
[해설작성자 : 아이유]

90.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관리처분 계획에 포함될 내용이다. 틀린 것은?(2004년 09월)
     1. 분양설계
     2. 손실보상 및 토지 등의 수용
     3. 보류지 등의 명세와 추산가액 및 처분방법
     4. 분양대상자별로 분양예정의 대지 또는 건축 시설의 추산액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에 따라,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자가 그 대지의 일부를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경우 당해 건축물에 대한 규정 용적률의 200% 이하의 범위 안에서 대지면적의 제공비율에 따라 용적률을 따로 정할 수 있는 지역ㆍ지구 또는 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9월)
     1. 상업지역
     2. 개발진흥지구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건축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정비구역
     4.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개발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정비구역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5조 (용도지역안에서의 용적률)
다음 각호의 지역ㆍ지구 또는 구역안에서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자가 그 대지의 일부를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당해 건축물에 대한 용적률은 제1항 각호의 규정에 의한 해당 용적률의 200퍼센트 이하의 범위안에서 대지면적의 제공비율에 따라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도시ㆍ군계획조례가 정하는 비율로 할 수 있다.

1. 상업지역
2. 삭제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개발사업 및 재건축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정비구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개발진흥지구: 용적률 120% 이내에서 완화적용
[해설작성자 : 홍챔]

92. 개발제한구역내에서 허용되지 않는 시설 및 행위는?(2003년 05월)
     1. 주택의 신축
     2. 병원
     3. 골프장
     4.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 충전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시장ㆍ군수가 도시계획에 관한 지적 등의 고시의 승인을 시, 도지사에게 제출했을 때 지형도면의 축척은? (단, 녹지지역의 임야,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이 아닌 경우)(2005년 09월)
     1. 1/300 내지 1/600
     2. 1/500 내지 1/1,500
     3. 1/3,000 내지 1/6,000
     4. 1/10,000 내지 1/25,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4. 다음은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상의 국토용도 구분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2004년 09월)
     1. 농림지역:도시지역에 속하지 않는 농지법에 의한 농업진흥지역 또는 산림법에 의한 보전임지 등으로서 농림업의 진흥과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도시지역: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당해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 정비·관리· 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
     3. 관리지역: 도시지역외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지역으로만 전환 관리가 필요한 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 자연환경· 수자원· 해안· 생태계· 상수원 및 문화재의 보전과 수산자원의 보호.육성 등을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다음 중 노상주차장의 구조·설비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주간선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2. 종단경사도가 6%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3. 너비 6미터 미만의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4.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또는 고가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4조 제1항 4호
종단경사도가 4%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예외
1. 종단경사도가 6%이하인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가 구별되어 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미터 이상인 도로에 설치하는 경우
2. 종단경사도가 6% 이하인 도로로서 해당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안전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하는 도로에 제6조의2제1항제1호에 해당하는 노상주차장을 설치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도시인사이트(네이버 블로그 cityinsight)]

96. 다음 중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위원장은?(2011년 06월)
     1. 국무총리
     2. 기획재정부장관
     3. 국토해양부장관
     4. 서울특별시장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현재법상,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위원장은 국토교통부 장관이 맡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위원장이 국무총리였으나, 2011년 5월 이후 국토교통부장관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도시인사이트(네이버 블로그 cityinsight)]

97. 택지개발촉진법상 경미한 변경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예정지구 면적의 10% 범위내에서의 확대
     2. 예정지구 면적의 10% 범위내에서 축소
     3. 사업비의 10% 범위안에서의 사업비의 증감
     4. 예정지구 면적의 10%축소 또는 20% 확대하여 전체면적 10% 확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다음 중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위원장과 부위원장 각 1명을 포함하여 20명 이상 2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위원장은 국토해양부장관이다.
     3. 공무원이 아닌 위원의 수는 10명 이상으로 하고, 그 임기는 3년으로 한다.
     4. 위원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공무원과 도시ㆍ군계획과 관련된 분야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중에서 국토해양부장관이 임명하거나 위촉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99. 도시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용도지역별 도로율이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9월)
     1. 주거지역 : 20퍼센트 이상 30퍼센트 미만
     2. 주거지역 : 25퍼센트 이상 35퍼센트 미만
     3. 주거지역 : 10퍼센트 이상 20퍼센트 미만
     4. 주거지역 : 5퍼센트 이상 15퍼센트 미만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에서 모두 주거지역으로 나와있어 수정이 필요합니다.

100. 수도정비계획법상의 총량규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이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신설 증설의 총 허용량을 정할 수 있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이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준을 초과하는 신설 증성을 제한할 수 잇다.
     3. 공장에 대한 총량규제의 내용 및 방법은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하며 관할 시, 도지사는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
     4. 관계행정기관의 장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의 신설 증설에 대하여 규정에 의한 총량규제의 내용과 다르게 허가 등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국토부 장관에게 고시
[해설작성자 : ㅇㅇ]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1207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5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51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지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51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412072)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511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5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10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9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8 사회조사분석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7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6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7월2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505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504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3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2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01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1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0 전자상거래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6871545)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499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98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8212399)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97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96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Board Pagination Prev 1 ...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 278 Next
/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