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55389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하이퍼미디어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특정 텍스트나 다양한 미디어를 클릭하면 연결된 문서로 이동하는 문서 형식이다.
     2. 사용자에 의해 문서의 읽는 순서가 결정되는 선형 구조이다.
     3. 하이퍼미디어는 하이퍼텍스트와 멀티미디어를 합한 개념이다.
     4. 하나의 데이터를 여러 사용자가 다른 경로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② 하이퍼텍스트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문서를 읽는 순서가 결정되는 비선형 구조이다.
[해설작성자 : 다음 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관리자가 설명하는 오답 피하기]

1번 보기는 하이퍼 텍스트에 관한 것이고 문제는 하이퍼 미디어에 관한 것이므로 틀리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하이퍼미디어에 하이퍼 텍스트가 포함되므로.. 1번은 맞는 말입니다.

2. 다음 중 Windows XP의 [TCP/IP 등록정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2009년 10월)
     1.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의 유일한 주소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되며, 32bit 주소를 8비트씩 점(.)으로 구분한다.
     2. 서브네트 마스크는 IP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별하기 위해 IP 수신인에게 허용하는 32 비트 주소로, 사용자 컴퓨터가 속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3.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출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4. 기본 설정 DNS 서버는 숫자 형태로 된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된 IP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버(DNS)의 도메인 이름을 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DNS 서버는 숫자로된 도메인 네임이 아닌 문자로된 도메인을 숫자로 바꾸어 주는것이 랍니다!
[해설작성자 : 똑똑한흑사자(봉)]

3. 다음 중 정보 보안을 위한 비밀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비밀키 암호화 기법의 안전성은 키의 길이 및 키의 비밀성 유지 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2. 암호화와 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기법이다.
     3. 복잡한 알고리즘으로 인해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느리다.
     4. 사용자가 증가할 경우 상대적으로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많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번의 내용은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시험취소라니]

비밀키 암호화 기법은 암호화와 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동일하므로 대칭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함.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 비해 처리속도가 빠름.
[해설작성자 : 1년에1자격증]

1. 공개키 암호화 기법
- 암호키 공개, 비밀키 비공개 (비대칭)
- 암호화, 복호화 속도 느림
- 복잡한 알고리즘
- 키 분배 용이하고 관리할 키 수가 적음.
- 대표방식 : RSA

2. 비밀키 암호화 방식
- 암호키와 복호키 동일 (대칭키/단일키)
- 암호화, 복호화 속도 빠름
- 단순 알고리즘
- 사용자 증가 시 관리할 키 수가 증가함.
- 대표 방식: DES
[해설작성자 : 컴할못이 1급따기 ]

다른 년도 해설에서 보고 도움받았던 외우는 방법입니다.
비대단 : 비(밀키)대(칭키, DES)단(일키)
공비이 : 공(개키)비(대칭)이(중키) -> 암(호화)공(개)복(호화)비(공개)
[해설작성자 : 주황볼펜 다썼다]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Acfqn-HcK08?t=131]

4. 다음 중 컴퓨터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2월)
     1. 바이러스 백신은 방화벽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백신을 설치한 경우라도 방화벽은 필요하다.
     2. Windows의 방화벽은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및 웜을 차단하며 다른 컴퓨터로 바이러스를 전파하지 못하게 한다.
     3. Windows의 방화벽은 특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결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예외를 둘 수 있다.
     4. Windows의 방화벽은 사용자가 원할 경우 보안 로그를 만들어 컴퓨터에 대해 성공한 연결 시도와 실패한 연결 시도를 기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Windows의 방화벽은 바이러스 및 웜을 차단하는게 아니라, 알수없는 파일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Rain]

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하드웨어의 등록 정보를 보기 위한 순서로 올바른 것은?(2011년 03월)

   

     1. ①-②-③-④-⑥
     2. ①-③-②-⑧-⑦
     3. ①-②-③-⑤-⑥
     4. ①-③-⑤-②-⑦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경로는 시작-제어판-시스템-하드웨어탭-장치관리자 입니다.
[해설작성자: 하나컴퓨터학원]

6. 다음 내용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0년 03월)

   

     1. BIOS
     2. LOCAL BUS
     3. MAINBOARD
     4. BIU(Bus Interface Unit)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적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처음 컴퓨터를 키면 PO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한후 사용 가능한 장치들을 초기화 합니다. 최근 바이오스는 플래시 롬에 저장이 되므로 바이오스 업그레이드를 자유롭게 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7. 다음 중 호스트의 IP 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물리적 주소로 번역해 주는 프로토콜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TCP
     2. UDP
     3. IP
     4. ARP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문제를 요약하면 IP 주소를 물리적 MAC 주소로 변환하는 것을 물었습니다.
ARP : IP 를 랜카드의(네트워크 접속 장치) MAC 주소로 변환
RARP : 랜카드의(네트워크 접속 장치)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위와같이 ARP와 RARP는 서로 상반되는 일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TCP : 전송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에러 유무 검사
             메시지를 송수신자의 주소와 정보로 묶어 패킷단위로 분류
UDP : 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그램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IP : 패킷 주소를 해석하고 경로를 결정하여 다음 호스트로 전송함

4.ARP
Address(주소)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입니다.
주소 변환 관련 프로토콜은 ARP.
[해설작성자 : 스타크]

8. 다음 중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방화벽 시스템에는 확실히 허가받지 않은 것을 금지하는 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 방식과 확실히 금지되지 않은 것을 허가하는 패킷 필터링 게이트웨이 방식이 있다.
     2. 방화벽 시스템은 내부와 외부로부터 불법적인 해킹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3. 방화벽이 제공하는 기능에는 접근 제어, 인증, 감사 추적, 암호화 등이 있다.
     4. 프록시 서버는 네트워크 캐시 기능과 방화벽 기능을 동시에 제공해 주는 서버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방화벽은 외부로 부터의 불법적인 침을 막을 수 있으나 내부의 해킹은 막을 수 없다.
방화벽을 사용해도 불법적인 해킹을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한다.
[해설작성자 : 인천미래컴]

9. 다음 중 컴퓨터의 USB 방식 주변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빠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며 모드에 따라 100Mbps, 200Mbps, 400Mbps 등이 있다.
     2. USB는 플러그&플레이(Plug&Play) 기능을 지원한다.
     3. 핫 플러깅(Hot Plugging) 기능으로 컴퓨터에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도 USB 주변기기들을 빼거나 연결할 수 있다.
     4. 1.5Mbps의 저속 모드 USB는 HID(Human Interface Device)에서 사용하는데 키보드나 마우스가 이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USB는 전송속도에 따라 USB1.0(4.7Mbps), USB1.1(12Mbps), USB2.0(480Mbps)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10. 다음 중 개인용 컴퓨터의 바이오스(BIO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들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이다.
     2. 바이오스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체제의 일부이다.
     3. 바이오스는 부팅할 때 PO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한 후에 사용 가능한 장치를 초기화한다.
     4. 하드디스크 타임이나 부팅순서와 같이 바이오스에서 사용하는 일부 정보는 CMOS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바이오스는 ROM에 저장되어 있어 ROM-BIOS라고도 한다.
바이오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로 펌웨어 라고 한다.
최근의 바이오스는 플래시 롬(Flash ROM)에 저장되므로 칩을 교환하지 않고도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정지현]

11.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10월)
     1. 부트 로더
     2. 장치 드라이버
     3. C 런타임 라이브러리
     4. 웹 브라우저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웹 브라우저란 인터넷에 문자, 영상, 음향 등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찾아서 읽어주는 [검색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미친곰탱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분류와 예 :
-> 부트 로더, 운영 체제, 장치 드라이버, 셸, 로더, 라이브러리(C 표준 라이브러리 등), 부호 생성 도구,컴파일러
[해설작성자 : (noname)]

12. 다음 중 웹 프로그래밍 언어인 JS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웹 서버에서 동적으로 웹 브라우저를 관리하는 스크립트언어이다.
     2. 웹 환경에서 작동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3.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여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만 실행이 가능하다.
     4. HTML 문서 내에서는 <% … %> 와 같은 형태로 작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jsp는 여러가지 운영체제에서 실행됨
[해설작성자 : 낼모레시험이다ㅜㅜ]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만 실행 가능한 스크립트 언어는 ASP입니다.
[해설작성자 : 통냄새]

ASP: 윈도우 기반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만 실행 가능)
JSP: java기반 (운영체제 상관 없이 실행 가능)
PHP: 하이퍼텍스트 기반 (운영체제 상관 없이 실행 가능)
[해설작성자 : 4일의 기적…가보자고]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IpYjnzac5zo?t=863]

13. 다음 중 Windows에 설치된 기본 프린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2019년 03월)
     1.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프린터를 지정하지 않고 인쇄 명령을 내렸을 때 컴퓨터가 자동으로 문서를 보내는 프린터이다.
     2. 여러 개의 프린터가 설치된 경우 네트워크 프린터와 로컬 프린터 각각 1대씩을 기본 프린터로 설정할 수 있다.
     3.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본 프린터를 다른 프린터로 변경할 수 있다.
     4. 기본 프린터로 설정된 프린터도 삭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본 프린터는 하나만 지정할 수 있으며, 현재 기본 프린터를 해제하려면 다른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디지털노마드 신입]

기본프린터:인쇄 명령 수행 시 특정 프린터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인쇄 작업이 전달되는 프린터
2. 기본프린터는 하나만 지정.
     현재 기본프린터를 해제하려면 다른 프린트를 기본프린터로 설정하면 됨.

네트워크 프린터:다른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
로컬 프린터:컴퓨터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
네트워크 프린터나 추가 설치된 프린터도 기본프린터로 설정가능.
[해설작성자 : 경기대체대생]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IpYjnzac5zo?t=937]

14. 다음 중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원래의 신호를 그대로 직접 전송하는 방식으로 LAN과 같은 근거리통신망에 사용되는 것은?(2016년 06월)
     1. 단방향 전송
     2. 반이중 전송
     3. 베이스밴드 전송
     4. 브로드밴드 전송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단방향 전송: 미리 정해진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 가능 (라디오, 텔레비전 등)
2. 반이중 전송: 통신하는 두 단말기가 양방향으로 통신 가능하나, 동시에 전송 불가능 (무전기 등)
4. 브로드밴드 전송: 부호화된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조 한 뒤 제한된 주파수에게만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
[해설작성자 : .]

1. 한쪽은 수신만, 다른 한쪽은 송신만 가능한 방식,    
2. 양쪽 송ㆍ수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는 불가능한 방식
3.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직접 전송하는 방식
4. 복수의 변조된 신호를 다른 주파수대 지역으로 동시에 보내는 방식
[해설작성자 : darkhorse]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mWbLZvYiZwI?t=00]

15. 다음 중 보안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를 식별하고 정상적인 사용자 인지를 검증함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2. 방화벽 보안 시스템은 외부로 부터 들어오는 불법적 해킹은 차단되나 내부의 불법적 해킹은 차단하지 못한다.
     3. 암호화 방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 공개키 암호화 기법과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 비밀키 암호화 기법이 있다.
     4. 전자우편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보안 방법은 PGP와 PEM 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암호화 방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 "비밀키" 암호화 기법과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 "공개키" 암호화 기법이 있다.

PGP : 전자우편을 암호화하고, 받은 우편의 암호를 해석해주는 프로그램
PEM : 프라이버시 향상 이메일
[해설작성자 : 시험1시간남았다ㅜㅠ]

16. 다음 중 정보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 방식에서 버스(Bus) 형 구성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모든 컴퓨터를 각각의 전용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통신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이다.
     2. 서로 이웃하는 컴퓨터들끼리 원형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3. 별 모양으로 중앙 컴퓨터 또는 교환기의 주위에 컴퓨터들이 1:1로 접속하는 방식이다.
     4.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접속하는 방식으로 컴퓨터의 증설이나 삭제가 용이한 통신망 구성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모든 컴퓨터를 각각의 전용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통신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이다. : 매쉬형
서로 이웃하는 컴퓨터들끼리 원형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 링형
별 모양으로 중앙 컴퓨터 또는 교환기의 주위에 컴퓨터들이 1:1로 접속하는 방식이다. : 스타형

17. 다음 중 VPN의 주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6월)
     1. 데이터 기밀성 : 데이터의 송수신 도중 데이터의 내용이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기능
     2. 데이터 근원 인증 : 수신측이 수신한 데이터가 원래의 송신자에 의해서 전송되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
     3. 데이터 무결성 : 데이터를 전송 도중 데이터의 내용을 임의의 다른 사용자가 보았을 때 그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
     4. 접근 제어 : 전송할 데이터를 특정 프로토콜로 캡슐화하여 송수신하는 기능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 데이터 기밀성 :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데이터의 내용을 제3자가 보더라도 알 수 없도록 하며 원래 데이터를 받을 사람만이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 데이터 근원 인증 :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자가 누구인지 인증하는 것을 말합니다.
● 데이터 무결성 :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가 중간에서 어떠한 외부 요인(Hacker)에 의해서 변조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18. 다음 중 Windows 7의 [시스템]-[성능 정보 및 도구] 창에서 확인할 수 있는 ‘Windows 체험 지수’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7 전용문제)(윈도우 10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체험지수가 보이지 않습니다.)(2016년 03월)
     1.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기능을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숫자로 표시한다.
     2. 각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각각의 항목별 점수를 받으며 Windows 체험 지수의 기본점수는 항목별 점수의 평균으로 결정된다.
     3. 점수의 범위는 1.0에서 7.9까지이며, 하드웨어 성능이 좋을수록 높은 점수 범위가 사용된다.
     4. 항목별 점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 RAM, 그래픽, 게임 그래픽, 주 하드 디스크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대해 실행되는 테스트 결과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Windows 체험 지수의 기본점수는 항목별 점수의 평균으로 결정되는게 아니라 가장 낮은 항목의 점수로 결정됩니다.
[해설작성자 : 더럽게 공부안됨]

윈도우 체험지수(Windows Experience Index)는 윈도우가 컴퓨터의 주요 부품이 지닌 성능을 간단하게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점수다.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kAZYHzA390w?t=619]

19. 다음 중 Windows 7의 레지스트리(Regist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2014년 03월)
     1. 시작 메뉴의 검색 상자에 ‘regedit’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할 수 있다.
     2.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면 레지스트리 폴더 및 각 레지스트리 파일에 대한 설정을 볼 수 있다.
     3. 레지스트리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고급 부팅 옵션 화면에서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 을 선택하여 Windows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4. 레지스트리의 정보는 수정할 수는 있으나 삭제는 할 수 없어 언제든지 레지스트리 복원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레지스트리의 정보는 수정가능하고 삭제도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컴활1급준비생]

20. 다음 중 컴퓨터를 관리하는 효율적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컴퓨터를 이동하거나 부품을 교체를 할 경우에는 전원을 끄고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면 부팅 디스켓을 사용하여 재부팅하고, 하드디스크의 모든 파티션을 제거한다.
     3. 정기적으로 최신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며 중요한 데이터는 백업하여 둔다.
     4. 가급적 불필요한 프로그램은 설치하지 않도록 하며 정기적으로 시스템 최적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점검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파티션이 여러개가 있다면 현재 시스템 파일이 있는 파티션만 제거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과목 :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현재 작업하고 있는 통합 문서의 ‘Sheet1’ 시트에서 ‘Sheet3’ 시트까지 [A1] 셀의 합을 구하고자 한다. 잘못된 참조 방법은?(2007년 02월)
     1. =SUM(Sheet1!A1:Sheet3!A1)
     2. =SUM(Sheet1:Sheet3!A1)
     3. =SUM(Sheet1!A1,Sheet2!A1,Sheet3!A1)
     4. =SUM(Sheet1:Sheet2!A1,Sheet3!A1)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번 : #VALUE! 오류가 뜹니다.
2. Sheet1시트부터 Sheet3시트까지 A1셀의 합.
3. Sheet1시트의 A1셀, Sheet2시트의 A1셀, Sheet3시트의 A1셀의 합.
4. Sheet1시트부터 Sheet2시트의 A1셀의 합과 Sheet3의 A1셀의 합.

22. 다음 중 그림과 같이 [A1] 셀에 10을 입력하고 [A3] 셀까지 자동 채우기 한 후 나타나는 [자동 채우기]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셀 복사: [A1] 셀의 값 10이 [A2] 셀과 [A3] 셀에 복사되고, [A1] 셀의 서식은 복사되지 않는다.
     2. 연속 데이터 채우기: [A1] 셀의 서식과 함께 [A2] 셀에는 값 11, [A3] 셀에는 값 12가 입력된다.
     3. 서식만 채우기: [A2] 셀과 [A3] 셀에 [A1] 셀의 서식만 복사되고 값은 입력되지 않는다.
     4. 서식 없이 채우기: [A2] 셀과 [A3] 셀에 [A1] 셀의 서식은 복사되지 않고 [A1] 셀의 값 10이 입력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셀과 서식 같이 복사된다.
[해설작성자 : 이찬진컴퓨터교실 광명지사 02-2614-088]

- 셀 복사: [A1] 셀의 값 10이 [A2] 셀과 [A3] 셀에 복사되고, [A1] 셀의 서식도 같이 복사 된다.
[해설작성자 : 두목넷(http://dumok.net)]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bKzcPc6GL-8?t=301]

23. 다음 중 괄호( ) 안에 해당하는 바로 가기 키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ㄱ) Shift + Page Down , (ㄴ) Shift + Page Up
     2. (ㄱ) Ctrl + Page Down , (ㄴ) Ctrl + Page Up
     3. (ㄱ) Ctrl + ← , (ㄴ) Ctrl + ←
     4. (ㄱ) Shift + ↑ , (ㄴ) Shift + ↓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이전 시트로 이동하는 단축키는 Ctrl+PageUp, 다음 시트로 이동하는 단축키는 Ctrl+PageDown 입니다.
[해설작성자 : 코딱지]

Ctrl+방향기= 현재 영역의 상하 좌우 마지막 셀로 이동함
Ctrl+Home = 워크시트의 시작(A1)으로 이동함
[해설작성자 : 눈누난나]

24. 다음 중 엑셀에서 사용하는 이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6월)
     1. 'A1'처럼 셀 주소와 같은 형태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2. 이름의 첫 글자는 문자나 밑줄(_)만 쓸 수 있고, 나머지 글자는 문자, 숫자, 밑줄(_), 마침표(.)를 사용할 수 있다.
     3. 같은 통합 문서에서 동일한 이름을 중복하여 사용할 수 없다.
     4. 이름 상자의 화살표 단추를 누르고 정의된 이름 중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셀 또는 셀 범위가 선택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셀주소의 이름을 입력하면 그 셀로 이동합니다.
ex) 'A1'셀 이름상자에 'B2'라고 쓰면 'B2'로 이동.

25. 다음 중 차트의 데이터 레이블 추가/제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데이터 레이블이 겹치지 않고 읽기 쉽도록 차트에서 데이터 레이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2. 레이블 내용은 계열 이름, 항목 이름, 차트 이름, 값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3. 기본적으로 데이터 레이블은 워크시트의 값에 연결 되며 변경될 때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4. 계열별 데이터 레이블 제거는 삭제를 원하는 계열의 데이터 레이블을 한 번 클릭하여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누른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2번 레이블 내용으로 차트이름은 표시할 수 없다
한가지 선택이 아닌 둘이상의 데이터 레이블 항목 선택해 표시가능
[해설작성자 : 공대생]

26. 다음 중 엑셀의 다양한 데이터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하나의 셀에 여러 줄을 입력할 때는 <Alt>+<Enter> 키를 눌러 줄 바꿈을 한다.
     2. 선택한 범위에 동일한 데이터를 한 번에 입력할 때에는 입력 후 바로 <Ctrl>+<Enter>키를 누른다.
     3. 배열 수식을 작성할 때는 수식 입력 후 <Ctrl>+<Shift>+<Enter>키를 누른다.
     4. 셀에 입력된 수식의 결과가 아닌 수식 자체를 보기 위해서는 <Alt>+<~>키를 누른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셀에 입력된 수식의 결과가 아닌 수식 자체를 보기 위해서는
<Ctrl> + <~>    키를 눌러야 합니다
해재시에는 한번 더<Ctrl> + <~>    눌러 줍니다
[해설작성자 : 이번꺼 많이 어려운 듯...]

27. 다음 중 A열의 글꼴 서식을 '굵게'로 설정하는 매크로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Range("A:A").Font.Bold = True
     2. Columns(1).Font.Bold = True
     3. Range("1:1").Font.Bold = True
     4. Columns("A").Font.Bold = True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Range A:A = A열을 다 선택하는거죠
2. columns 1 = 첫번째 열을 잡으라는겁니다 열(Column)
3. range 1:1 =    1행을잡는겁니다
4. columns A = A열을 잡으라는겁니다.

그래서 결국 3번만 1행을 선택하는거죠! 정답이에요!
[해설작성자 : 인천 중구 도원학원 032-886-8805 민경쌤♥]

28. 다음 중 셀 서식의 표시 형식 기호가 “\#,###;-\#,##0”으로 설정된 셀에 6345.678을 입력하였을 때의 표시 결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6340
     2. \6,340
     3. \6,345
     4. \6,346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양수;음수;0;텍스트 순서로 “₩#,###;-₩#,##0” 서식은 양수와 음수만을 설정한것이다.
보기 1,2,3,4는 모두 양수이므로 첫번째 설정인 ₩#,### 을 따른다.
이때 정수만 표시해야하므로 소수이하에서 자동 반올림 적용된다.    따라서 ₩6,346 된다.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양수의서식;음수의서식
#,### => 천단위마다 콤마
소숫점 지정되지않았으므로 반올림으로 보임

6345.678 입력
양수이므로 \#,### 적용
앞에 \ 붙이고 천단위 콤마, 반올림
=> \6,346

[해설작성자 : 정진교]

29. 다음 중 페이지 나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2월)
     1. [페이지 나누기 보기] 상태에서 페이지나누기 선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이동할 수 없다.
     2. [도구]-[옵션]-[화면표시] 탭에서 ‘페이지 나누기’ 옵션을 체크하면 [기본] 보기에서도 각 페이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페이지 나누기 선을 표시해 준다.
     3. 사용자가 강제로 페이지를 구분하려면 페이지를 구분할 셀을 선택하고 [삽입]-[페이지 나누기]를 클릭하면 된다.
     4. [페이지 나누기 보기] 상태에서도 데이터의 입력이나 편집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페이지 나누기 보기 상태에서는 선을 마우스로 이동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틀고정에서는 선을 마우스로 이동할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0. 다음은 매크로 모듈의 일부를 복사하여 다른 매크로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다음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은?(2009년 07월)
     1. 매크로 전체를 복사하려면 Sub부터 End Sub까지 선택한다.
     2. 매크로 [보안]에서 [보안 수준] 탭을 클릭하고 사용할 보안수준을 보통이나 낮음으로 설정한다.
     3. Personal.xls는 Visual Basic Editor에서 열어 볼 수 없다.
     4. [alt]+[F11]을 누르면 나타나는 Visual Basic Editor 화면에서 작성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Personal.xls는 개인용 매크로 통합 문서로서 Visual Basic Editor에서 열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1. 다음 중 [개발 도구] 탭의 [컨트롤]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컨트롤은 데이터 표시/입력 또는 작업 수행을 위해 양식에 넣은 그래픽 개체로 텍스트 상자, 목록 상자, 옵션 단추, 명령 단추 등이 있다.
     2. ActiveX 컨트롤은 양식 컨트롤 보다 다양한 이벤트에 반응할 수 있으나 차트 시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등 양식 컨트롤보다 호환성은 낮다.
     3. [디자인 모드] 상태에서는 양식 컨트롤과 ActiveX 컨트롤 모두 매크로 등 정해진 동작은 실행하지 않으며, 컨트롤의 선택, 크기 조절, 이동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4. 양식 컨트롤의 ‘단추(양식 컨트롤)’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해서 추가하면 [매크로 지정] 대화상자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③ ‘ActiveX 컨트롤’은 [디자인 모드]에서 매크로 동작이 실행되지 않지만‘양식 컨트롤’은 [디자인 모드]상태와 상관없이 매크로 동작이 실행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_Ju1f7pM5sg?t=00]

32. 다음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변수 Test의 값으로 올바른 것은?(2010년 10월)

    

     1. 10
     2. 11
     3. 0
     4. 55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Do while 문과는 달리 Do Until문은 조건이 거짓일때만 반복입니다.

Do Until Test > 10 . 즉 test가 10보다 크다인데 test의 초기값은 0 으로 주어져있으므로 거짓입니다. Test 값이 10보다 크게 될때까지 반복하므로.
Test = Test + 1 을 반복하게 됩니다.

11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용선생컴퓨터학원]

33. 다음 중 10,000,000원을 2년간 연 5.5%의 이자율로 대출 할 때, 매월 말 상환해야 할 불입액을 구하기 위한 수식으로 옳은 것은?(2014년 06월)
     1. =PMT(5.5%/12, 24, -10000000)
     2. =PMT(5.5%, 24, -10000000)
     3. =PMT(5.5%, 24, -10000000,0,1)
     4. =PMT(5.5%/12, 24, -10000000,0,1)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재무함수 PMT(이율/12,년*12,줄돈은- 받는돈은+,현재가치 보통 생략,월말0 또는 생략
월초1)

대출금의 상환 불입액을 구하는 식입니다.
PMT(Rate(이율),Nper(기간),Pv(현재가치),Fv(미래가치),Type(납입시점))
불입한 금액은 없으므로
현재가치가 아니라 미래가치가 생략이 되는 겁니다.

[PMT 함수]
주기적이고 고정적인 지급액과 고정적인 이율에 의거한 대출 상환금을 계산합니다.
구조 : PMT(rate, nper, pv, fv, type)
rate : 대출에 대한 기간별 이자율입니다.
nper : 대출 상환금의 총 지급 기간 수입니다.
pv : 일련의 미래 지급액에 상응하는 현재 가치입니다.
fv : 상환이 완료된 후 얻고자 하는 미래 가치 또는 현금 잔액입니다. 생략시 0으로 지정됩니다.
type : 상환 시기를 나타내며 1은 상환주기 초를, 0 또는 생략 시에는 상환 주기 말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4. 다음 중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시트] 탭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메모’는 메모를 인쇄에 포함하지 않는 ‘(없음)’외에 ‘시트 끝’, ‘시트에 표시된 대로’ 중 선택하여 인쇄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2. ‘행/열 머리글’을 선택하면 워크시트의 행 머리글과 열 머리글을 포함하여 인쇄한다.
     3. ‘반복할 행’은 매 페이지 상단에 제목으로 인쇄될 영역을 지정하는 것으로 비연속 구간의 여러 행을 선택할 수 있다.
     4. ‘셀 오류 표시’는 ‘표시된 대로’ 외에 ‘<공백>’, ‘--’, ‘#N/A’ 중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 비연속 구간이 아닌 연속구간
[해설작성자 : 루즈비]

'반복할 행'이나 '반복할 열'은 연속된 행이나 열 전체만을 지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합격부디]

35. 다음 중 통합 문서 저장 시 사용하는 [일반 옵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백업 파일 항상 만들기]는 통합 문서를 저장할 때마다 백업 복사본을 저장하는 기능이다.
     2. [열기 암호]는 암호를 모르면 통합 문서를 열어 사용할 수 없도록 암호를 지정하는 기능이다.
     3. [쓰기 암호]는 암호를 모르더라도 읽기 전용으로 열어 열람이 가능하나 원래 문서 및 복사본으로 통합 문서를 저장할 수 없도록 암호를 지정하는 기능이다.
     4. [읽기 전용 권장]은 문서를 열 때마다 통합 문서를 읽기 전용으로 열도록 대화상자를 나타내는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일반 옵션은 저장화면에서 [도구]-[일반옵션]을 통해 열 수 있습니다.
쓰기 암호는 해당 파일에 대한 쓰기 권한만 체크할 뿐 다른 이름으로 저장해서 새 파일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콰르또]

36. 다음 중 아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데이터 표식 항목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서는 '간격너비' 옵션을 현재 값보다 더 큰 값으로 설정한다.
     2.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쳐 보이도록 '계열 겹치기' 옵션을 음수 값으로 설정하였다.
     3. 세로 (값) 축의 '주 눈금선'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 하였다.
     4. 레이블의 위치를 '바깥쪽 끝에'로 설정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2.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쳐 보이도록 '계열 겹치기' 옵션을 음수 값으로 설정하였다.
값은 -100~ 100까지 가능하며옵션을 음수(-) 로 할수록 간격이 넓어지고 양수(+)로 할수록 겹쳐진다
[해설작성자 : 언더커버]

[추가 해설]
- 차트 제목은 사원별 호봉 입니다.
- 세로 축 서식의 값은 최대값이 40, 최소값은 0, 주 단위는 10 입니다.
- 호봉 계열과 근속년수 계열의 데이터 레이블 이 바깥쪽 끝에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차트의 세로 (값) 축의 '주 눈금선'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하였습니다.

- 차트 계열 겹치기 (데이터 표식 항목) 의 경우 계열 겹치기 값을 0보다 작은
값 즉, 음수값으로 설정하면은 차트 계열 간격이 벌어지며, 계열 겹치기 값을 양수로
설정을 하면 차트 계열의 간격이 겹쳐집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skL7EdNXcik?t=2477]

37. 다음 중 작업에 필요한 여러 개의 통합 문서를 한 화면에 함께 표시하여 비교하면서 작업하기에 편리한 기능은?(2015년 06월)
     1. 창 나누기
     2. 창 정렬
     3. 틀 고정
     4. 페이지 나누기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통합문서'라는 단어에 주의합시다.
보기-> 모두 정렬-> 창 정렬 대화 상자 -> 바둑판식/가로/세로/계단식 중 선택

'한 화면에 표시' 라는 단어에 주의해야해요
창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해주어 메모장을 켜놓고 워드를 입력하듯이 두는 방법이므로 창정렬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줄이면 창렬]

1. 창 나누기 : 서로 떨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 즉, 하나의 시트를 2개, 4개의 영역으로 나눔.
3. 틀 고정 : 특정 범위의 열 또는 행을 고정시켜 셀 포인터의 이동과 상관없이 화면에 항상 표시할 경우 사용.
[해설작성자 : 컴활재도전]

[창 정렬]
동일한 통합 문서나 다른 통합 문서에 있는 두 개의 워크시트를 나란히 표시하여 빠르게 비교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여러 워크시트를 정렬하여 동시에 모두 볼 수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8. 다음 중 엑셀 차트의 추세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추세선은 6종류로 지수, 선형, 로그, 다항식, 거듭 제곱, 이동 평균이 있다.
     2.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 두 개 이상의 추세선을 동시에 표시할 수 없다.
     3. 추세선이 추가된 데이터 계열의 차트 종류를 3차원으로 바꾸면 추세선이 사라진다.
     4. 추세선을 삭제하려면 차트에 표시된 추세선을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누르거나 바로 가기 메뉴의 [삭제]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추세선: 특정한 데이터 계열에 대한 변화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표시하는 선임
- 3차원, 방사형, 원형, 도넛형, 표면형 차트에는 추세선을 추가할 수 없음
- 추세선이 추가된 계열의 차트를 3차원으로 변경하면 추세선이 삭제됨
- 추세선을 삭제하려면 차트에 표시된 추세선을 선택한 후 delete키를 누르거나 바로가기 메뉴의 삭제를 선택함
- 추세선의 종류에는 선형, 로그, 다항식, 거듭제곱, 지수, 이동 평균이 있음(6종류)
-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 두 개 이상의 추세선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모두컴활합격합시다]

39. 다음 중 입력자료에 지정된 표시 형식에 따른 결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컴활컴활컴활
2.10,000
3.50.0%
4.Mar-01
[해설작성자 : 직접 입력해 보고 결과를 확인했어요.]

@: 문자 데이터의 표시 위치 지정
#: 유효한 자릿수만 표시하고, 유효하지 않은(불필요한) 0은 표시하지 않음
0: 유효하지 않은 자릿수는 0으로 표시함
[해설작성자 : 가띠]

40. 다음 중 매크로 프로그램에서 조건이 만족되거나 조건이 TRUE일 때까지 명령문을 반복수행하는 반복 명령문으로 옳은 것은?(2008년 02월)
     1. Do ~ Loop
     2. Sub ~ End Sub
     3. Select ~ Case
     4. With ~ End With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Do ~ Loop :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실행문을 반복 실행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1. 다음 중 현재 레코드에 대한 내용을 수정하는 Recordset 개체의 메서드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AddNew
     2. Delete
     3. Update
     4. Insert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AddNew :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는 Recordset 개체의 메서드 입니다.
Delete : 레코드 혹은 레코드가 여러개가 묶여있는 레코드 그룹을 삭제하는 Recordset 개체의 메서드 입니다.
Insert : 새로운 레코드를 삽입하는 Recordset 개체의 메서드 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비츠 중앙 컴퓨터학원-031-958-4626-]

[RecordSet 개체]
기본 테이블이나 실행된 명령 결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해 두는 레코드 집합으로 행과 열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습니다.

[RecordSet 메서드]
AddNew :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추가)하는데 사용됩니다.
Delete : 현재 레코드를 삭제하는데 사용됩니다.
Update : 현재 레코드의 변경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 4번 Insert의 경우 SQL에서 삽입문으로 RecordSet 객체에서 제공하는 메소드가 아닙니다. 
데이터를 추가(삽입)할 경우 AddNew를 사용하면 됩니다.
출처: country-dog tistory125 [a studying dog:티스토리]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2. 다음 중 데이터 형식을 ‘예/아니오’로 설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필드는?(2009년 07월)
     1. 성별
     2. 합격여부
     3. 학과
     4. 회원/비회원 구분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예/아니오 형식은 2개중 1개만 선택하는 속성에 적용하는것이 좋습니다.
성별 : 남, 여
합격여부 : 합격, 불합격
회원/비회원 구분 : 회원 비회원
위와같이 가능하지만 학과는 수백가지 학과가 있습니다.
(예,컴퓨터공학과,수학과,영어과,국어국문학과,전자과 등)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3. 다음 중 레코드의 그룹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7월)
     1. 그룹화 기능은 특정한 필드에 입력된 값을 기준으로 레코드를 묶어서 그룹단위로 표시하는 기능이다.
     2. 그룹 머리글은 폼이나 보고서에서 그룹으로 묶을 경우에 표시되며 그룹의 이름, 그룹별 요약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3. 그룹별 레코드 개수를 표시하려면 Count 함수를 사용한다.
     4. 그룹 속성에서 그룹 간격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그룹머리글은 보고서에서만 적용되는것이므로 2번에서 "폼이나 보고서에서" 라고 하였으므로 틀린것임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44. 다음 중 [우편물 레이블 마법사]를 이용한 보고서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마법사로 완성된 보고서의 [인쇄 미리 보기] 상태에서는 [페이지 설정] 대화 상자를 사용하여 레이블 사이의 간격이나 여백을 변경할 수 있다.
     2. 마법사의 각 단계에서 레이블 크기, 텍스트 모양, 사용 가능한 필드, 정렬 기준 등을 지정할 수 있다.
     3. 마법사의 마지막 단계에서 ‘인쇄될 우편물 레이블 미리 보기’를 선택한 경우 완성된 보고서가 [인쇄 미리 보기] 상태로 표시된다.
     4. 마법사에서 사용 가능한 필드 지정 시 우편물 레이블에 추가 가능한 필드의 개수는 최대 5개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④ 우편 레이블 마법사의 각 줄에는 10개의 항목까지 추가할 수 있다.
<참고 정리>
※ 레이블(우편물 레이블 마법사)
- 우편 발송을 위해 편지봉투에 붙일 주소 레이블을 작성하는 보고서
- 마법사에서는 텍스트, 숫자, 날짜/시간, 통화, 예/아니요 및 첨부 파일 데이터 형식의 필드만 추가할 수 있으며,    메모, OLE 개체 또는 하이퍼링크 데이터는 우편물 레이블 마법사를 완료 후 레이블 보고서를 디자인 보기에서 추가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eXIXUpMMVjw?t=591]

45. 테이블에서 이미 작성된 필드의 순서를 변경하려고 할 때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데이터시트 보기에서 이동시킬 필드를 선택한 후 새로운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 하여 필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2. 디자인 보기에서 이동시킬 필드를 선택한 후 새로운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 하여 필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3. 디자인 보기에서 한번에 여러 개의 필드를 선택한 후 이동시킬 수 있다.
     4. 데이터시트 보기에서 「잘라내기」와 「붙여넣기」를 이용하여 필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디자인 보기' 에서만 잘라내기, 붙여넣기가 가능하고 '데이터시트 보기'에서는 불가능합니다.

46. 다음 중 크로스탭 쿼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 쿼리 결과를 Excel 워크시트와 비슷한 표 형태로 표시하는 특수한 형식의 쿼리이다.
     2. 맨 왼쪽에 세로로 표시되는 행 머리글과 맨 위에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열 머리글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그룹 화한다.
     3. 그룹화한 데이터에 대해 레코드 개수, 합계, 평균 등을 계산할 수 있다.
     4. 열 머리글로 사용될 필드는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지만 행 머리글로 사용할 필드는 하나만 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행 머리글로 사용될 필드는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지만 열 머리글로 사용될 필드는 하나만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여신]

47. 다음 중 SQL 문장의 WHERE 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7월)
     1. WHERE 부서 = '영업부' : 부서 필드의 값이 '영업부'인 레코드들이 검색됨
     2. WHERE 나이 Between 28 in 40 : 나이 필드의 값이 29에서 39 사이인 레코드들이 검색됨
     3. WHERE 생일 = #1996-5-10# : 생일 필드의 값이 1996-5-10인 레코드들이 검색됨
     4. WHERE 입사년도 = 1994 : 입사년도 필드의 값이 1994인 레코드들이 검색됨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Between in이 아닌 Between and를 써야합니다.

[추가 해설]

Between 28 and 40    28~40으로 28과 40도
포함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문봉돌]

48. 모든 직원들을 근무연수가 많은 사람부터 시작하도록 정렬하고, 근무연수가 같은 경우 나이가 많은 사람이 먼저 오도록 하는 질의로 적절한 것은?(2007년 10월)
     1.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desc, 근무연수 desc;
     2.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asc, 근무연수 asc;
     3.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근무연수 desc, 나이 desc;
     4.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근무연수 asc, 나이 asc;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근무연수가 많은 사람(내림차순,desc), 나이가 많은 사람(내림차순,desc)
근무연수가 많은 사람부터 정렬을 해야 하므로 근무연수가 나이 보다 앞에 와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근무연수 desc, 나이 desc 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9. 다음 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6월)
     1. 테이블에서 행은 각 속성들의 값을 나타내게 되고, 열은 하나의 레코드에 대한 여러 속성들의 묶음이 된다.
     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의 열은 대상의 속성을 나타낸다.
     3. 테이블의 열들을 나타내는 속성들 중 각 행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게 하는 속성을 기본 키로 지정한다.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모든 데이터들을 테이블과 같은 형태로 나타내어 저장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테이블에서 열은 각 속성들의 값을 나타내게 되고, 행은 하나의 레코드에 대한 여러 속성들의 묶음이 된다.

50. 회원(회원번호, 이름, 나이, 주소) 테이블에서 주소가 ‘인천’인 회원의 이름, 나이 필드만 검색하되, 나이가 많은 순으로 검색하는 질의문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Ascending;
     2.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Descending;
     3.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Asc;
     4.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DESC;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나이가 많은순은 내림차순을 말합니다. 내림차순은 DESC 이므로 정답은 4번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1. 다음 중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모듈은 표준 모듈과 클래스 모듈로 구분된다.
     2. 사용자 정의 개체를 만들 때에는 표준 모듈만 사용한다.
     3. 선언부에서는 변수, 상수, 외부 프로시저 등을 정의한다.
     4. 폼의 이벤트 프로시저로 작성된 모듈은 폼과 함께 저장 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클래스모듈:새로운 개체를 정의하기 위한 모듈. 클래스 모듈에서 정의한 프로시저는 개체의 속성과 매서드가 된다.
사용자 정의 개체가 새로운 개체를 정의하는 것을 말합니다.따라서 사용자정의 개체를 만들 때는 클래스 모듈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이마지막]

② 사용자 정의 개체를 만들 때 사용하는 클래스 모듈과 폼 또는 보고서와 연결된 폼 모듈 및 보고서 모듈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Ltu5i6PmU0?t=0]

52. 다음 중 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6월)
     1. 폼은 데이터의 입력, 편집 작업 등을 위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로 테이블, 쿼리, SQL문 등을 원본으로 하여 작성한다.
     2. '캡션' 속성을 이용하여 폼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3. '그림' 속성을 이용하여 그림을 폼의 배경으로 넣을 수 있다.
     4. '기본 보기' 속성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폼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캡션은 단순히 보여 지는 글자일뿐 실제 이름은 name에서 변경합니다.
캡션은 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등에서 가짜이름정도로 이해하시고, 폼과 보고서에서 캡션을 바꾸면 탭자리에 캡션이 나타납니다. 폼이름이나 보고서 이름은 이름바꾸기를 해서 바꿔주셔야 유효합니다.
[해설작성자 : 대구 네트컴퓨터학원]

53. 다음 중 사원 테이블에서 호봉이 6인 사원의 연봉을 3% 인상된 값으로 수정하는 실행 쿼리를 작성하고자할 때, 아래의 각 괄호에 넣어야 할 구문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7년 03월)

    

     1. FROM, WHERE
     2. SET, WHERE
     3. VALUE, SELECT
     4. INTO, VALUE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SQL 문의 문법 형식
SELECT - FROM - WHERE
UPDATE - SET - WHERE
INSERT - INTO - VALUES
DELETE - FROM - WHERE

지금의 경우는 호봉이 6인 사원의 연봉을 3% 인상된 값으로 수정을 하는
쿼리를 실행하는 거니까 UPDATE 문을 이용을 해야 하고 UPDATE 문법 구조가
UPDATE - SET - WHERE 이렇게 되므로 정답은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8QfAaSUFJpw?t=450]

54. 다음 중 아래의 '학년별검색' 매개 변수 쿼리를 실행하여 나타나는 메시지 상자의 a에 2를, b에 3을 입력한 결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2학년과 3학년 레코드만 출력된다.
     2. 2학년 레코드만 출력된다.
     3. 3학년 레코드만 선택된다.
     4. 2학년과 3학년을 제외한 레코드만 출력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Between : 지정한 값 사이에 포함되는 레코드만 구합니다.

Between a and b
a부터 b 사이에 포함되는 레코드를 구합니다.

a에 2, b에 3을 대입을 하면

Between 2 and 3
2부터 3 사이에 포함되는 레코드를 구합니다.
따라서 출력되는 레코드는 학년이 2학년과 3학년인 레코드만 출력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FVVpe9sYMVQ?t=524]

55. 다음 중 액세스의 다양한 폼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데이터시트: 행과 열로 구성된 형태로 표시하여 여러 레코드를 한 화면에 표시한다.
     2. 모달 폼: 해당 폼을 전체 화면 크기의 창으로 표시한다.
     3. 연속 폼: 현재 창을 채울 만큼 여러 레코드를 함께 표시한다.
     4. 하위 폼: 연결된 기본 폼의 현재 레코드와 관련된 레코드만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모달 : 모달 설정이 된 폼을 실행시키고 있는 경우 모달 폼을 닫아야만 다른 창을 실행시킬 수 있다. 모달 폼이 열려 있으면 다른 폼들은 아무 것도 실행이 안됨.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모달은 하나의 폼만 실행할 수 있어서 다양한 폼 보기엔 적합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필기 1주일컷 도전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cjEhVxHtnVc?t=826]

56. 다음 중 테이블에 입력된 날짜 필드의 값을 ‘2015-10-13’과 같은 형식으로 표시하고자 할 때 테이블의 디자인 보기에서 지정해야 할 ‘형식’ 속성 값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기본 날짜
     2. 자세한 날짜
     3. 보통 날짜
     4. 간단한 날짜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기본 : 2015-10-13 오전10:36
2. 자세한 : 2015년 10월 13일 화요일
3. 보통 : 15년 10월 13일
4. 간단한 : 2015-10-13
[해설작성자 : 헷갈ㄹ디ㅏ]

1. 기본 날짜(+시간)
2. 자세한 날짜(+요일)
3. 보통 날짜: 년도가 두 자리
4. 간단한 날짜: 위와 같은 형태
[해설작성자 : 3/4 제발 합격]

57. 액세스에서 외부 파일에 대해 할 수 있는 작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문제 오류로 4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6년 07월)
     1. ‘가져오기’를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 수 있다.
     2. ‘내보내기’로 테이블의 내용을 외부 파일로 만들어 저장할 수 있다.
     3. ‘테이블 연결’을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액세스에서 수정하면 원본 파일도 수정된다.
     4. ‘테이블 가져오기’를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액세스에서 수정하면 원본 파일도 수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이의 제기 *
2003버전부터는 데이터 연결시 읽기전용으로 적용되어 액세스에 연결된 경우 연결된 파일은 수정을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3번도 틀린경우로 봐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도 오류로 보고 3, 4번으로 정답으로 합니다.

액세스로 연결된 파일은 읽기전용으로 액세스에서는 수정할 수 없으며, 원본 파일 수정시 액세스에 연결된 파일도 자동으로 수정됨.가져오기에서는 자동 수정되지않음.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58. 다음과 같은 이벤트 프로시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단추는 텍스트는 ‘cmd정지’로 표시)(2009년 02월)

    

     1. 이름이 ‘cmd실행’인 컨트롤을 클릭했을 때 이 프로시저가 수행된다.
     2. ‘cmd실행’ 컨트롤의 캡션에 “동작”이 표시된다.
     3. “회원보고서”라는 보고서가 인쇄된다.
     4. “회원보고서 결과 완료!!”라는 내용이 적힌 메시지 창이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cmd실행.Caption = "동작"
cmd실행.Caption & " 결과 완료!!" : "동작 결과 완료!!" 라고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9. 다음 중 피벗 테이블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피벗 테이블 구성 필드를 열 필드 머리글로 드래그하여 설정할 수 있다.
     2. 세부 정보 필드에는 한 번에 하나의 필드만을 삽입하여 분석할 수 있다.
     3. 데이터를 요약하여 분석 표 형식으로 알아볼 수 있게 해주는 대화형 테이블을 말한다.
     4. [폼] 그룹에서 [기타 폼]을 클릭한 후 [피벗 테이블]을 선택하여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② 세부 정보 필드에는 1개 이상의 필드를 삽입하여 분석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다음 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Office 21의 액세스 프로그램에서는 '피벗 테이블'기능이 없으며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크로스 탭 쿼리'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60. 친구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 속성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친구
     2. select * from 친구
     3. select * from 친구 where 구분 = '재학'
     4. 친구(친구번호, 이름, 나이)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4번 : Select 친구번호, 이름, 나이 From 친구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정 답 지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55389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하이퍼미디어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특정 텍스트나 다양한 미디어를 클릭하면 연결된 문서로 이동하는 문서 형식이다.
     2. 사용자에 의해 문서의 읽는 순서가 결정되는 선형 구조이다.
     3. 하이퍼미디어는 하이퍼텍스트와 멀티미디어를 합한 개념이다.
     4. 하나의 데이터를 여러 사용자가 다른 경로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② 하이퍼텍스트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문서를 읽는 순서가 결정되는 비선형 구조이다.
[해설작성자 : 다음 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관리자가 설명하는 오답 피하기]

1번 보기는 하이퍼 텍스트에 관한 것이고 문제는 하이퍼 미디어에 관한 것이므로 틀리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하이퍼미디어에 하이퍼 텍스트가 포함되므로.. 1번은 맞는 말입니다.

2. 다음 중 Windows XP의 [TCP/IP 등록정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2009년 10월)
     1.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의 유일한 주소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되며, 32bit 주소를 8비트씩 점(.)으로 구분한다.
     2. 서브네트 마스크는 IP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별하기 위해 IP 수신인에게 허용하는 32 비트 주소로, 사용자 컴퓨터가 속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3.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출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4. 기본 설정 DNS 서버는 숫자 형태로 된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된 IP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버(DNS)의 도메인 이름을 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DNS 서버는 숫자로된 도메인 네임이 아닌 문자로된 도메인을 숫자로 바꾸어 주는것이 랍니다!
[해설작성자 : 똑똑한흑사자(봉)]

3. 다음 중 정보 보안을 위한 비밀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비밀키 암호화 기법의 안전성은 키의 길이 및 키의 비밀성 유지 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2. 암호화와 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기법이다.
     3. 복잡한 알고리즘으로 인해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느리다.
     4. 사용자가 증가할 경우 상대적으로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많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번의 내용은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시험취소라니]

비밀키 암호화 기법은 암호화와 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동일하므로 대칭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함.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 비해 처리속도가 빠름.
[해설작성자 : 1년에1자격증]

1. 공개키 암호화 기법
- 암호키 공개, 비밀키 비공개 (비대칭)
- 암호화, 복호화 속도 느림
- 복잡한 알고리즘
- 키 분배 용이하고 관리할 키 수가 적음.
- 대표방식 : RSA

2. 비밀키 암호화 방식
- 암호키와 복호키 동일 (대칭키/단일키)
- 암호화, 복호화 속도 빠름
- 단순 알고리즘
- 사용자 증가 시 관리할 키 수가 증가함.
- 대표 방식: DES
[해설작성자 : 컴할못이 1급따기 ]

다른 년도 해설에서 보고 도움받았던 외우는 방법입니다.
비대단 : 비(밀키)대(칭키, DES)단(일키)
공비이 : 공(개키)비(대칭)이(중키) -> 암(호화)공(개)복(호화)비(공개)
[해설작성자 : 주황볼펜 다썼다]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Acfqn-HcK08?t=131]

4. 다음 중 컴퓨터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2월)
     1. 바이러스 백신은 방화벽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백신을 설치한 경우라도 방화벽은 필요하다.
     2. Windows의 방화벽은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및 웜을 차단하며 다른 컴퓨터로 바이러스를 전파하지 못하게 한다.
     3. Windows의 방화벽은 특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결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예외를 둘 수 있다.
     4. Windows의 방화벽은 사용자가 원할 경우 보안 로그를 만들어 컴퓨터에 대해 성공한 연결 시도와 실패한 연결 시도를 기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Windows의 방화벽은 바이러스 및 웜을 차단하는게 아니라, 알수없는 파일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Rain]

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하드웨어의 등록 정보를 보기 위한 순서로 올바른 것은?(2011년 03월)

   

     1. ①-②-③-④-⑥
     2. ①-③-②-⑧-⑦
     3. ①-②-③-⑤-⑥
     4. ①-③-⑤-②-⑦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경로는 시작-제어판-시스템-하드웨어탭-장치관리자 입니다.
[해설작성자: 하나컴퓨터학원]

6. 다음 내용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0년 03월)

   

     1. BIOS
     2. LOCAL BUS
     3. MAINBOARD
     4. BIU(Bus Interface Unit)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적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처음 컴퓨터를 키면 PO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한후 사용 가능한 장치들을 초기화 합니다. 최근 바이오스는 플래시 롬에 저장이 되므로 바이오스 업그레이드를 자유롭게 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7. 다음 중 호스트의 IP 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물리적 주소로 번역해 주는 프로토콜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TCP
     2. UDP
     3. IP
     4. ARP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문제를 요약하면 IP 주소를 물리적 MAC 주소로 변환하는 것을 물었습니다.
ARP : IP 를 랜카드의(네트워크 접속 장치) MAC 주소로 변환
RARP : 랜카드의(네트워크 접속 장치)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위와같이 ARP와 RARP는 서로 상반되는 일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TCP : 전송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에러 유무 검사
             메시지를 송수신자의 주소와 정보로 묶어 패킷단위로 분류
UDP : 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그램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IP : 패킷 주소를 해석하고 경로를 결정하여 다음 호스트로 전송함

4.ARP
Address(주소)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입니다.
주소 변환 관련 프로토콜은 ARP.
[해설작성자 : 스타크]

8. 다음 중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방화벽 시스템에는 확실히 허가받지 않은 것을 금지하는 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 방식과 확실히 금지되지 않은 것을 허가하는 패킷 필터링 게이트웨이 방식이 있다.
     2. 방화벽 시스템은 내부와 외부로부터 불법적인 해킹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3. 방화벽이 제공하는 기능에는 접근 제어, 인증, 감사 추적, 암호화 등이 있다.
     4. 프록시 서버는 네트워크 캐시 기능과 방화벽 기능을 동시에 제공해 주는 서버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방화벽은 외부로 부터의 불법적인 침을 막을 수 있으나 내부의 해킹은 막을 수 없다.
방화벽을 사용해도 불법적인 해킹을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한다.
[해설작성자 : 인천미래컴]

9. 다음 중 컴퓨터의 USB 방식 주변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빠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며 모드에 따라 100Mbps, 200Mbps, 400Mbps 등이 있다.
     2. USB는 플러그&플레이(Plug&Play) 기능을 지원한다.
     3. 핫 플러깅(Hot Plugging) 기능으로 컴퓨터에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도 USB 주변기기들을 빼거나 연결할 수 있다.
     4. 1.5Mbps의 저속 모드 USB는 HID(Human Interface Device)에서 사용하는데 키보드나 마우스가 이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USB는 전송속도에 따라 USB1.0(4.7Mbps), USB1.1(12Mbps), USB2.0(480Mbps)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10. 다음 중 개인용 컴퓨터의 바이오스(BIO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들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이다.
     2. 바이오스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체제의 일부이다.
     3. 바이오스는 부팅할 때 PO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한 후에 사용 가능한 장치를 초기화한다.
     4. 하드디스크 타임이나 부팅순서와 같이 바이오스에서 사용하는 일부 정보는 CMOS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바이오스는 ROM에 저장되어 있어 ROM-BIOS라고도 한다.
바이오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로 펌웨어 라고 한다.
최근의 바이오스는 플래시 롬(Flash ROM)에 저장되므로 칩을 교환하지 않고도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정지현]

11.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10월)
     1. 부트 로더
     2. 장치 드라이버
     3. C 런타임 라이브러리
     4. 웹 브라우저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웹 브라우저란 인터넷에 문자, 영상, 음향 등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찾아서 읽어주는 [검색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미친곰탱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분류와 예 :
-> 부트 로더, 운영 체제, 장치 드라이버, 셸, 로더, 라이브러리(C 표준 라이브러리 등), 부호 생성 도구,컴파일러
[해설작성자 : (noname)]

12. 다음 중 웹 프로그래밍 언어인 JS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웹 서버에서 동적으로 웹 브라우저를 관리하는 스크립트언어이다.
     2. 웹 환경에서 작동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3.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여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만 실행이 가능하다.
     4. HTML 문서 내에서는 <% … %> 와 같은 형태로 작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jsp는 여러가지 운영체제에서 실행됨
[해설작성자 : 낼모레시험이다ㅜㅜ]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만 실행 가능한 스크립트 언어는 ASP입니다.
[해설작성자 : 통냄새]

ASP: 윈도우 기반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만 실행 가능)
JSP: java기반 (운영체제 상관 없이 실행 가능)
PHP: 하이퍼텍스트 기반 (운영체제 상관 없이 실행 가능)
[해설작성자 : 4일의 기적…가보자고]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IpYjnzac5zo?t=863]

13. 다음 중 Windows에 설치된 기본 프린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2019년 03월)
     1.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프린터를 지정하지 않고 인쇄 명령을 내렸을 때 컴퓨터가 자동으로 문서를 보내는 프린터이다.
     2. 여러 개의 프린터가 설치된 경우 네트워크 프린터와 로컬 프린터 각각 1대씩을 기본 프린터로 설정할 수 있다.
     3.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본 프린터를 다른 프린터로 변경할 수 있다.
     4. 기본 프린터로 설정된 프린터도 삭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본 프린터는 하나만 지정할 수 있으며, 현재 기본 프린터를 해제하려면 다른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디지털노마드 신입]

기본프린터:인쇄 명령 수행 시 특정 프린터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인쇄 작업이 전달되는 프린터
2. 기본프린터는 하나만 지정.
     현재 기본프린터를 해제하려면 다른 프린트를 기본프린터로 설정하면 됨.

네트워크 프린터:다른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
로컬 프린터:컴퓨터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
네트워크 프린터나 추가 설치된 프린터도 기본프린터로 설정가능.
[해설작성자 : 경기대체대생]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IpYjnzac5zo?t=937]

14. 다음 중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원래의 신호를 그대로 직접 전송하는 방식으로 LAN과 같은 근거리통신망에 사용되는 것은?(2016년 06월)
     1. 단방향 전송
     2. 반이중 전송
     3. 베이스밴드 전송
     4. 브로드밴드 전송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단방향 전송: 미리 정해진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 가능 (라디오, 텔레비전 등)
2. 반이중 전송: 통신하는 두 단말기가 양방향으로 통신 가능하나, 동시에 전송 불가능 (무전기 등)
4. 브로드밴드 전송: 부호화된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조 한 뒤 제한된 주파수에게만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
[해설작성자 : .]

1. 한쪽은 수신만, 다른 한쪽은 송신만 가능한 방식,    
2. 양쪽 송ㆍ수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는 불가능한 방식
3.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직접 전송하는 방식
4. 복수의 변조된 신호를 다른 주파수대 지역으로 동시에 보내는 방식
[해설작성자 : darkhorse]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mWbLZvYiZwI?t=00]

15. 다음 중 보안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를 식별하고 정상적인 사용자 인지를 검증함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2. 방화벽 보안 시스템은 외부로 부터 들어오는 불법적 해킹은 차단되나 내부의 불법적 해킹은 차단하지 못한다.
     3. 암호화 방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 공개키 암호화 기법과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 비밀키 암호화 기법이 있다.
     4. 전자우편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보안 방법은 PGP와 PEM 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암호화 방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 "비밀키" 암호화 기법과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 "공개키" 암호화 기법이 있다.

PGP : 전자우편을 암호화하고, 받은 우편의 암호를 해석해주는 프로그램
PEM : 프라이버시 향상 이메일
[해설작성자 : 시험1시간남았다ㅜㅠ]

16. 다음 중 정보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 방식에서 버스(Bus) 형 구성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모든 컴퓨터를 각각의 전용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통신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이다.
     2. 서로 이웃하는 컴퓨터들끼리 원형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3. 별 모양으로 중앙 컴퓨터 또는 교환기의 주위에 컴퓨터들이 1:1로 접속하는 방식이다.
     4.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접속하는 방식으로 컴퓨터의 증설이나 삭제가 용이한 통신망 구성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모든 컴퓨터를 각각의 전용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통신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이다. : 매쉬형
서로 이웃하는 컴퓨터들끼리 원형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 링형
별 모양으로 중앙 컴퓨터 또는 교환기의 주위에 컴퓨터들이 1:1로 접속하는 방식이다. : 스타형

17. 다음 중 VPN의 주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6월)
     1. 데이터 기밀성 : 데이터의 송수신 도중 데이터의 내용이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기능
     2. 데이터 근원 인증 : 수신측이 수신한 데이터가 원래의 송신자에 의해서 전송되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
     3. 데이터 무결성 : 데이터를 전송 도중 데이터의 내용을 임의의 다른 사용자가 보았을 때 그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
     4. 접근 제어 : 전송할 데이터를 특정 프로토콜로 캡슐화하여 송수신하는 기능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 데이터 기밀성 :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데이터의 내용을 제3자가 보더라도 알 수 없도록 하며 원래 데이터를 받을 사람만이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 데이터 근원 인증 :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자가 누구인지 인증하는 것을 말합니다.
● 데이터 무결성 :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가 중간에서 어떠한 외부 요인(Hacker)에 의해서 변조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18. 다음 중 Windows 7의 [시스템]-[성능 정보 및 도구] 창에서 확인할 수 있는 ‘Windows 체험 지수’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7 전용문제)(윈도우 10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체험지수가 보이지 않습니다.)(2016년 03월)
     1.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기능을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숫자로 표시한다.
     2. 각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각각의 항목별 점수를 받으며 Windows 체험 지수의 기본점수는 항목별 점수의 평균으로 결정된다.
     3. 점수의 범위는 1.0에서 7.9까지이며, 하드웨어 성능이 좋을수록 높은 점수 범위가 사용된다.
     4. 항목별 점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 RAM, 그래픽, 게임 그래픽, 주 하드 디스크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대해 실행되는 테스트 결과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Windows 체험 지수의 기본점수는 항목별 점수의 평균으로 결정되는게 아니라 가장 낮은 항목의 점수로 결정됩니다.
[해설작성자 : 더럽게 공부안됨]

윈도우 체험지수(Windows Experience Index)는 윈도우가 컴퓨터의 주요 부품이 지닌 성능을 간단하게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점수다.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kAZYHzA390w?t=619]

19. 다음 중 Windows 7의 레지스트리(Regist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2014년 03월)
     1. 시작 메뉴의 검색 상자에 ‘regedit’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할 수 있다.
     2.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면 레지스트리 폴더 및 각 레지스트리 파일에 대한 설정을 볼 수 있다.
     3. 레지스트리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고급 부팅 옵션 화면에서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 을 선택하여 Windows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4. 레지스트리의 정보는 수정할 수는 있으나 삭제는 할 수 없어 언제든지 레지스트리 복원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레지스트리의 정보는 수정가능하고 삭제도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컴활1급준비생]

20. 다음 중 컴퓨터를 관리하는 효율적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컴퓨터를 이동하거나 부품을 교체를 할 경우에는 전원을 끄고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면 부팅 디스켓을 사용하여 재부팅하고, 하드디스크의 모든 파티션을 제거한다.
     3. 정기적으로 최신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며 중요한 데이터는 백업하여 둔다.
     4. 가급적 불필요한 프로그램은 설치하지 않도록 하며 정기적으로 시스템 최적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점검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파티션이 여러개가 있다면 현재 시스템 파일이 있는 파티션만 제거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과목 :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현재 작업하고 있는 통합 문서의 ‘Sheet1’ 시트에서 ‘Sheet3’ 시트까지 [A1] 셀의 합을 구하고자 한다. 잘못된 참조 방법은?(2007년 02월)
     1. =SUM(Sheet1!A1:Sheet3!A1)
     2. =SUM(Sheet1:Sheet3!A1)
     3. =SUM(Sheet1!A1,Sheet2!A1,Sheet3!A1)
     4. =SUM(Sheet1:Sheet2!A1,Sheet3!A1)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번 : #VALUE! 오류가 뜹니다.
2. Sheet1시트부터 Sheet3시트까지 A1셀의 합.
3. Sheet1시트의 A1셀, Sheet2시트의 A1셀, Sheet3시트의 A1셀의 합.
4. Sheet1시트부터 Sheet2시트의 A1셀의 합과 Sheet3의 A1셀의 합.

22. 다음 중 그림과 같이 [A1] 셀에 10을 입력하고 [A3] 셀까지 자동 채우기 한 후 나타나는 [자동 채우기]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셀 복사: [A1] 셀의 값 10이 [A2] 셀과 [A3] 셀에 복사되고, [A1] 셀의 서식은 복사되지 않는다.
     2. 연속 데이터 채우기: [A1] 셀의 서식과 함께 [A2] 셀에는 값 11, [A3] 셀에는 값 12가 입력된다.
     3. 서식만 채우기: [A2] 셀과 [A3] 셀에 [A1] 셀의 서식만 복사되고 값은 입력되지 않는다.
     4. 서식 없이 채우기: [A2] 셀과 [A3] 셀에 [A1] 셀의 서식은 복사되지 않고 [A1] 셀의 값 10이 입력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셀과 서식 같이 복사된다.
[해설작성자 : 이찬진컴퓨터교실 광명지사 02-2614-088]

- 셀 복사: [A1] 셀의 값 10이 [A2] 셀과 [A3] 셀에 복사되고, [A1] 셀의 서식도 같이 복사 된다.
[해설작성자 : 두목넷(http://dumok.net)]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bKzcPc6GL-8?t=301]

23. 다음 중 괄호( ) 안에 해당하는 바로 가기 키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ㄱ) Shift + Page Down , (ㄴ) Shift + Page Up
     2. (ㄱ) Ctrl + Page Down , (ㄴ) Ctrl + Page Up
     3. (ㄱ) Ctrl + ← , (ㄴ) Ctrl + ←
     4. (ㄱ) Shift + ↑ , (ㄴ) Shift + ↓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이전 시트로 이동하는 단축키는 Ctrl+PageUp, 다음 시트로 이동하는 단축키는 Ctrl+PageDown 입니다.
[해설작성자 : 코딱지]

Ctrl+방향기= 현재 영역의 상하 좌우 마지막 셀로 이동함
Ctrl+Home = 워크시트의 시작(A1)으로 이동함
[해설작성자 : 눈누난나]

24. 다음 중 엑셀에서 사용하는 이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6월)
     1. 'A1'처럼 셀 주소와 같은 형태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2. 이름의 첫 글자는 문자나 밑줄(_)만 쓸 수 있고, 나머지 글자는 문자, 숫자, 밑줄(_), 마침표(.)를 사용할 수 있다.
     3. 같은 통합 문서에서 동일한 이름을 중복하여 사용할 수 없다.
     4. 이름 상자의 화살표 단추를 누르고 정의된 이름 중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셀 또는 셀 범위가 선택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셀주소의 이름을 입력하면 그 셀로 이동합니다.
ex) 'A1'셀 이름상자에 'B2'라고 쓰면 'B2'로 이동.

25. 다음 중 차트의 데이터 레이블 추가/제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데이터 레이블이 겹치지 않고 읽기 쉽도록 차트에서 데이터 레이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2. 레이블 내용은 계열 이름, 항목 이름, 차트 이름, 값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3. 기본적으로 데이터 레이블은 워크시트의 값에 연결 되며 변경될 때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4. 계열별 데이터 레이블 제거는 삭제를 원하는 계열의 데이터 레이블을 한 번 클릭하여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누른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2번 레이블 내용으로 차트이름은 표시할 수 없다
한가지 선택이 아닌 둘이상의 데이터 레이블 항목 선택해 표시가능
[해설작성자 : 공대생]

26. 다음 중 엑셀의 다양한 데이터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하나의 셀에 여러 줄을 입력할 때는 <Alt>+<Enter> 키를 눌러 줄 바꿈을 한다.
     2. 선택한 범위에 동일한 데이터를 한 번에 입력할 때에는 입력 후 바로 <Ctrl>+<Enter>키를 누른다.
     3. 배열 수식을 작성할 때는 수식 입력 후 <Ctrl>+<Shift>+<Enter>키를 누른다.
     4. 셀에 입력된 수식의 결과가 아닌 수식 자체를 보기 위해서는 <Alt>+<~>키를 누른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셀에 입력된 수식의 결과가 아닌 수식 자체를 보기 위해서는
<Ctrl> + <~>    키를 눌러야 합니다
해재시에는 한번 더<Ctrl> + <~>    눌러 줍니다
[해설작성자 : 이번꺼 많이 어려운 듯...]

27. 다음 중 A열의 글꼴 서식을 '굵게'로 설정하는 매크로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Range("A:A").Font.Bold = True
     2. Columns(1).Font.Bold = True
     3. Range("1:1").Font.Bold = True
     4. Columns("A").Font.Bold = True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Range A:A = A열을 다 선택하는거죠
2. columns 1 = 첫번째 열을 잡으라는겁니다 열(Column)
3. range 1:1 =    1행을잡는겁니다
4. columns A = A열을 잡으라는겁니다.

그래서 결국 3번만 1행을 선택하는거죠! 정답이에요!
[해설작성자 : 인천 중구 도원학원 032-886-8805 민경쌤♥]

28. 다음 중 셀 서식의 표시 형식 기호가 “\#,###;-\#,##0”으로 설정된 셀에 6345.678을 입력하였을 때의 표시 결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6340
     2. \6,340
     3. \6,345
     4. \6,346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양수;음수;0;텍스트 순서로 “₩#,###;-₩#,##0” 서식은 양수와 음수만을 설정한것이다.
보기 1,2,3,4는 모두 양수이므로 첫번째 설정인 ₩#,### 을 따른다.
이때 정수만 표시해야하므로 소수이하에서 자동 반올림 적용된다.    따라서 ₩6,346 된다.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양수의서식;음수의서식
#,### => 천단위마다 콤마
소숫점 지정되지않았으므로 반올림으로 보임

6345.678 입력
양수이므로 \#,### 적용
앞에 \ 붙이고 천단위 콤마, 반올림
=> \6,346

[해설작성자 : 정진교]

29. 다음 중 페이지 나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2월)
     1. [페이지 나누기 보기] 상태에서 페이지나누기 선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이동할 수 없다.
     2. [도구]-[옵션]-[화면표시] 탭에서 ‘페이지 나누기’ 옵션을 체크하면 [기본] 보기에서도 각 페이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페이지 나누기 선을 표시해 준다.
     3. 사용자가 강제로 페이지를 구분하려면 페이지를 구분할 셀을 선택하고 [삽입]-[페이지 나누기]를 클릭하면 된다.
     4. [페이지 나누기 보기] 상태에서도 데이터의 입력이나 편집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페이지 나누기 보기 상태에서는 선을 마우스로 이동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틀고정에서는 선을 마우스로 이동할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0. 다음은 매크로 모듈의 일부를 복사하여 다른 매크로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다음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은?(2009년 07월)
     1. 매크로 전체를 복사하려면 Sub부터 End Sub까지 선택한다.
     2. 매크로 [보안]에서 [보안 수준] 탭을 클릭하고 사용할 보안수준을 보통이나 낮음으로 설정한다.
     3. Personal.xls는 Visual Basic Editor에서 열어 볼 수 없다.
     4. [alt]+[F11]을 누르면 나타나는 Visual Basic Editor 화면에서 작성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Personal.xls는 개인용 매크로 통합 문서로서 Visual Basic Editor에서 열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1. 다음 중 [개발 도구] 탭의 [컨트롤]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컨트롤은 데이터 표시/입력 또는 작업 수행을 위해 양식에 넣은 그래픽 개체로 텍스트 상자, 목록 상자, 옵션 단추, 명령 단추 등이 있다.
     2. ActiveX 컨트롤은 양식 컨트롤 보다 다양한 이벤트에 반응할 수 있으나 차트 시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등 양식 컨트롤보다 호환성은 낮다.
     3. [디자인 모드] 상태에서는 양식 컨트롤과 ActiveX 컨트롤 모두 매크로 등 정해진 동작은 실행하지 않으며, 컨트롤의 선택, 크기 조절, 이동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4. 양식 컨트롤의 ‘단추(양식 컨트롤)’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해서 추가하면 [매크로 지정] 대화상자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③ ‘ActiveX 컨트롤’은 [디자인 모드]에서 매크로 동작이 실행되지 않지만‘양식 컨트롤’은 [디자인 모드]상태와 상관없이 매크로 동작이 실행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_Ju1f7pM5sg?t=00]

32. 다음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변수 Test의 값으로 올바른 것은?(2010년 10월)

    

     1. 10
     2. 11
     3. 0
     4. 55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Do while 문과는 달리 Do Until문은 조건이 거짓일때만 반복입니다.

Do Until Test > 10 . 즉 test가 10보다 크다인데 test의 초기값은 0 으로 주어져있으므로 거짓입니다. Test 값이 10보다 크게 될때까지 반복하므로.
Test = Test + 1 을 반복하게 됩니다.

11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용선생컴퓨터학원]

33. 다음 중 10,000,000원을 2년간 연 5.5%의 이자율로 대출 할 때, 매월 말 상환해야 할 불입액을 구하기 위한 수식으로 옳은 것은?(2014년 06월)
     1. =PMT(5.5%/12, 24, -10000000)
     2. =PMT(5.5%, 24, -10000000)
     3. =PMT(5.5%, 24, -10000000,0,1)
     4. =PMT(5.5%/12, 24, -10000000,0,1)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재무함수 PMT(이율/12,년*12,줄돈은- 받는돈은+,현재가치 보통 생략,월말0 또는 생략
월초1)

대출금의 상환 불입액을 구하는 식입니다.
PMT(Rate(이율),Nper(기간),Pv(현재가치),Fv(미래가치),Type(납입시점))
불입한 금액은 없으므로
현재가치가 아니라 미래가치가 생략이 되는 겁니다.

[PMT 함수]
주기적이고 고정적인 지급액과 고정적인 이율에 의거한 대출 상환금을 계산합니다.
구조 : PMT(rate, nper, pv, fv, type)
rate : 대출에 대한 기간별 이자율입니다.
nper : 대출 상환금의 총 지급 기간 수입니다.
pv : 일련의 미래 지급액에 상응하는 현재 가치입니다.
fv : 상환이 완료된 후 얻고자 하는 미래 가치 또는 현금 잔액입니다. 생략시 0으로 지정됩니다.
type : 상환 시기를 나타내며 1은 상환주기 초를, 0 또는 생략 시에는 상환 주기 말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4. 다음 중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시트] 탭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메모’는 메모를 인쇄에 포함하지 않는 ‘(없음)’외에 ‘시트 끝’, ‘시트에 표시된 대로’ 중 선택하여 인쇄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2. ‘행/열 머리글’을 선택하면 워크시트의 행 머리글과 열 머리글을 포함하여 인쇄한다.
     3. ‘반복할 행’은 매 페이지 상단에 제목으로 인쇄될 영역을 지정하는 것으로 비연속 구간의 여러 행을 선택할 수 있다.
     4. ‘셀 오류 표시’는 ‘표시된 대로’ 외에 ‘<공백>’, ‘--’, ‘#N/A’ 중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 비연속 구간이 아닌 연속구간
[해설작성자 : 루즈비]

'반복할 행'이나 '반복할 열'은 연속된 행이나 열 전체만을 지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합격부디]

35. 다음 중 통합 문서 저장 시 사용하는 [일반 옵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백업 파일 항상 만들기]는 통합 문서를 저장할 때마다 백업 복사본을 저장하는 기능이다.
     2. [열기 암호]는 암호를 모르면 통합 문서를 열어 사용할 수 없도록 암호를 지정하는 기능이다.
     3. [쓰기 암호]는 암호를 모르더라도 읽기 전용으로 열어 열람이 가능하나 원래 문서 및 복사본으로 통합 문서를 저장할 수 없도록 암호를 지정하는 기능이다.
     4. [읽기 전용 권장]은 문서를 열 때마다 통합 문서를 읽기 전용으로 열도록 대화상자를 나타내는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일반 옵션은 저장화면에서 [도구]-[일반옵션]을 통해 열 수 있습니다.
쓰기 암호는 해당 파일에 대한 쓰기 권한만 체크할 뿐 다른 이름으로 저장해서 새 파일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콰르또]

36. 다음 중 아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데이터 표식 항목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서는 '간격너비' 옵션을 현재 값보다 더 큰 값으로 설정한다.
     2.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쳐 보이도록 '계열 겹치기' 옵션을 음수 값으로 설정하였다.
     3. 세로 (값) 축의 '주 눈금선'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 하였다.
     4. 레이블의 위치를 '바깥쪽 끝에'로 설정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2.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쳐 보이도록 '계열 겹치기' 옵션을 음수 값으로 설정하였다.
값은 -100~ 100까지 가능하며옵션을 음수(-) 로 할수록 간격이 넓어지고 양수(+)로 할수록 겹쳐진다
[해설작성자 : 언더커버]

[추가 해설]
- 차트 제목은 사원별 호봉 입니다.
- 세로 축 서식의 값은 최대값이 40, 최소값은 0, 주 단위는 10 입니다.
- 호봉 계열과 근속년수 계열의 데이터 레이블 이 바깥쪽 끝에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차트의 세로 (값) 축의 '주 눈금선'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하였습니다.

- 차트 계열 겹치기 (데이터 표식 항목) 의 경우 계열 겹치기 값을 0보다 작은
값 즉, 음수값으로 설정하면은 차트 계열 간격이 벌어지며, 계열 겹치기 값을 양수로
설정을 하면 차트 계열의 간격이 겹쳐집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skL7EdNXcik?t=2477]

37. 다음 중 작업에 필요한 여러 개의 통합 문서를 한 화면에 함께 표시하여 비교하면서 작업하기에 편리한 기능은?(2015년 06월)
     1. 창 나누기
     2. 창 정렬
     3. 틀 고정
     4. 페이지 나누기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통합문서'라는 단어에 주의합시다.
보기-> 모두 정렬-> 창 정렬 대화 상자 -> 바둑판식/가로/세로/계단식 중 선택

'한 화면에 표시' 라는 단어에 주의해야해요
창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해주어 메모장을 켜놓고 워드를 입력하듯이 두는 방법이므로 창정렬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줄이면 창렬]

1. 창 나누기 : 서로 떨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 즉, 하나의 시트를 2개, 4개의 영역으로 나눔.
3. 틀 고정 : 특정 범위의 열 또는 행을 고정시켜 셀 포인터의 이동과 상관없이 화면에 항상 표시할 경우 사용.
[해설작성자 : 컴활재도전]

[창 정렬]
동일한 통합 문서나 다른 통합 문서에 있는 두 개의 워크시트를 나란히 표시하여 빠르게 비교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여러 워크시트를 정렬하여 동시에 모두 볼 수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8. 다음 중 엑셀 차트의 추세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추세선은 6종류로 지수, 선형, 로그, 다항식, 거듭 제곱, 이동 평균이 있다.
     2.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 두 개 이상의 추세선을 동시에 표시할 수 없다.
     3. 추세선이 추가된 데이터 계열의 차트 종류를 3차원으로 바꾸면 추세선이 사라진다.
     4. 추세선을 삭제하려면 차트에 표시된 추세선을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누르거나 바로 가기 메뉴의 [삭제]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추세선: 특정한 데이터 계열에 대한 변화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표시하는 선임
- 3차원, 방사형, 원형, 도넛형, 표면형 차트에는 추세선을 추가할 수 없음
- 추세선이 추가된 계열의 차트를 3차원으로 변경하면 추세선이 삭제됨
- 추세선을 삭제하려면 차트에 표시된 추세선을 선택한 후 delete키를 누르거나 바로가기 메뉴의 삭제를 선택함
- 추세선의 종류에는 선형, 로그, 다항식, 거듭제곱, 지수, 이동 평균이 있음(6종류)
-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 두 개 이상의 추세선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모두컴활합격합시다]

39. 다음 중 입력자료에 지정된 표시 형식에 따른 결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컴활컴활컴활
2.10,000
3.50.0%
4.Mar-01
[해설작성자 : 직접 입력해 보고 결과를 확인했어요.]

@: 문자 데이터의 표시 위치 지정
#: 유효한 자릿수만 표시하고, 유효하지 않은(불필요한) 0은 표시하지 않음
0: 유효하지 않은 자릿수는 0으로 표시함
[해설작성자 : 가띠]

40. 다음 중 매크로 프로그램에서 조건이 만족되거나 조건이 TRUE일 때까지 명령문을 반복수행하는 반복 명령문으로 옳은 것은?(2008년 02월)
     1. Do ~ Loop
     2. Sub ~ End Sub
     3. Select ~ Case
     4. With ~ End With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Do ~ Loop :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실행문을 반복 실행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1. 다음 중 현재 레코드에 대한 내용을 수정하는 Recordset 개체의 메서드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AddNew
     2. Delete
     3. Update
     4. Insert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AddNew :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는 Recordset 개체의 메서드 입니다.
Delete : 레코드 혹은 레코드가 여러개가 묶여있는 레코드 그룹을 삭제하는 Recordset 개체의 메서드 입니다.
Insert : 새로운 레코드를 삽입하는 Recordset 개체의 메서드 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비츠 중앙 컴퓨터학원-031-958-4626-]

[RecordSet 개체]
기본 테이블이나 실행된 명령 결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해 두는 레코드 집합으로 행과 열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습니다.

[RecordSet 메서드]
AddNew :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추가)하는데 사용됩니다.
Delete : 현재 레코드를 삭제하는데 사용됩니다.
Update : 현재 레코드의 변경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 4번 Insert의 경우 SQL에서 삽입문으로 RecordSet 객체에서 제공하는 메소드가 아닙니다. 
데이터를 추가(삽입)할 경우 AddNew를 사용하면 됩니다.
출처: country-dog tistory125 [a studying dog:티스토리]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2. 다음 중 데이터 형식을 ‘예/아니오’로 설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필드는?(2009년 07월)
     1. 성별
     2. 합격여부
     3. 학과
     4. 회원/비회원 구분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예/아니오 형식은 2개중 1개만 선택하는 속성에 적용하는것이 좋습니다.
성별 : 남, 여
합격여부 : 합격, 불합격
회원/비회원 구분 : 회원 비회원
위와같이 가능하지만 학과는 수백가지 학과가 있습니다.
(예,컴퓨터공학과,수학과,영어과,국어국문학과,전자과 등)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3. 다음 중 레코드의 그룹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7월)
     1. 그룹화 기능은 특정한 필드에 입력된 값을 기준으로 레코드를 묶어서 그룹단위로 표시하는 기능이다.
     2. 그룹 머리글은 폼이나 보고서에서 그룹으로 묶을 경우에 표시되며 그룹의 이름, 그룹별 요약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3. 그룹별 레코드 개수를 표시하려면 Count 함수를 사용한다.
     4. 그룹 속성에서 그룹 간격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그룹머리글은 보고서에서만 적용되는것이므로 2번에서 "폼이나 보고서에서" 라고 하였으므로 틀린것임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44. 다음 중 [우편물 레이블 마법사]를 이용한 보고서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마법사로 완성된 보고서의 [인쇄 미리 보기] 상태에서는 [페이지 설정] 대화 상자를 사용하여 레이블 사이의 간격이나 여백을 변경할 수 있다.
     2. 마법사의 각 단계에서 레이블 크기, 텍스트 모양, 사용 가능한 필드, 정렬 기준 등을 지정할 수 있다.
     3. 마법사의 마지막 단계에서 ‘인쇄될 우편물 레이블 미리 보기’를 선택한 경우 완성된 보고서가 [인쇄 미리 보기] 상태로 표시된다.
     4. 마법사에서 사용 가능한 필드 지정 시 우편물 레이블에 추가 가능한 필드의 개수는 최대 5개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④ 우편 레이블 마법사의 각 줄에는 10개의 항목까지 추가할 수 있다.
<참고 정리>
※ 레이블(우편물 레이블 마법사)
- 우편 발송을 위해 편지봉투에 붙일 주소 레이블을 작성하는 보고서
- 마법사에서는 텍스트, 숫자, 날짜/시간, 통화, 예/아니요 및 첨부 파일 데이터 형식의 필드만 추가할 수 있으며,    메모, OLE 개체 또는 하이퍼링크 데이터는 우편물 레이블 마법사를 완료 후 레이블 보고서를 디자인 보기에서 추가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eXIXUpMMVjw?t=591]

45. 테이블에서 이미 작성된 필드의 순서를 변경하려고 할 때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데이터시트 보기에서 이동시킬 필드를 선택한 후 새로운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 하여 필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2. 디자인 보기에서 이동시킬 필드를 선택한 후 새로운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 하여 필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3. 디자인 보기에서 한번에 여러 개의 필드를 선택한 후 이동시킬 수 있다.
     4. 데이터시트 보기에서 「잘라내기」와 「붙여넣기」를 이용하여 필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디자인 보기' 에서만 잘라내기, 붙여넣기가 가능하고 '데이터시트 보기'에서는 불가능합니다.

46. 다음 중 크로스탭 쿼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 쿼리 결과를 Excel 워크시트와 비슷한 표 형태로 표시하는 특수한 형식의 쿼리이다.
     2. 맨 왼쪽에 세로로 표시되는 행 머리글과 맨 위에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열 머리글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그룹 화한다.
     3. 그룹화한 데이터에 대해 레코드 개수, 합계, 평균 등을 계산할 수 있다.
     4. 열 머리글로 사용될 필드는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지만 행 머리글로 사용할 필드는 하나만 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행 머리글로 사용될 필드는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지만 열 머리글로 사용될 필드는 하나만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여신]

47. 다음 중 SQL 문장의 WHERE 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7월)
     1. WHERE 부서 = '영업부' : 부서 필드의 값이 '영업부'인 레코드들이 검색됨
     2. WHERE 나이 Between 28 in 40 : 나이 필드의 값이 29에서 39 사이인 레코드들이 검색됨
     3. WHERE 생일 = #1996-5-10# : 생일 필드의 값이 1996-5-10인 레코드들이 검색됨
     4. WHERE 입사년도 = 1994 : 입사년도 필드의 값이 1994인 레코드들이 검색됨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Between in이 아닌 Between and를 써야합니다.

[추가 해설]

Between 28 and 40    28~40으로 28과 40도
포함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문봉돌]

48. 모든 직원들을 근무연수가 많은 사람부터 시작하도록 정렬하고, 근무연수가 같은 경우 나이가 많은 사람이 먼저 오도록 하는 질의로 적절한 것은?(2007년 10월)
     1.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desc, 근무연수 desc;
     2.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asc, 근무연수 asc;
     3.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근무연수 desc, 나이 desc;
     4.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근무연수 asc, 나이 asc;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근무연수가 많은 사람(내림차순,desc), 나이가 많은 사람(내림차순,desc)
근무연수가 많은 사람부터 정렬을 해야 하므로 근무연수가 나이 보다 앞에 와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근무연수 desc, 나이 desc 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9. 다음 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6월)
     1. 테이블에서 행은 각 속성들의 값을 나타내게 되고, 열은 하나의 레코드에 대한 여러 속성들의 묶음이 된다.
     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의 열은 대상의 속성을 나타낸다.
     3. 테이블의 열들을 나타내는 속성들 중 각 행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게 하는 속성을 기본 키로 지정한다.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모든 데이터들을 테이블과 같은 형태로 나타내어 저장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테이블에서 열은 각 속성들의 값을 나타내게 되고, 행은 하나의 레코드에 대한 여러 속성들의 묶음이 된다.

50. 회원(회원번호, 이름, 나이, 주소) 테이블에서 주소가 ‘인천’인 회원의 이름, 나이 필드만 검색하되, 나이가 많은 순으로 검색하는 질의문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Ascending;
     2.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Descending;
     3.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Asc;
     4.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DESC;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나이가 많은순은 내림차순을 말합니다. 내림차순은 DESC 이므로 정답은 4번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1. 다음 중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모듈은 표준 모듈과 클래스 모듈로 구분된다.
     2. 사용자 정의 개체를 만들 때에는 표준 모듈만 사용한다.
     3. 선언부에서는 변수, 상수, 외부 프로시저 등을 정의한다.
     4. 폼의 이벤트 프로시저로 작성된 모듈은 폼과 함께 저장 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클래스모듈:새로운 개체를 정의하기 위한 모듈. 클래스 모듈에서 정의한 프로시저는 개체의 속성과 매서드가 된다.
사용자 정의 개체가 새로운 개체를 정의하는 것을 말합니다.따라서 사용자정의 개체를 만들 때는 클래스 모듈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이마지막]

② 사용자 정의 개체를 만들 때 사용하는 클래스 모듈과 폼 또는 보고서와 연결된 폼 모듈 및 보고서 모듈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Ltu5i6PmU0?t=0]

52. 다음 중 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6월)
     1. 폼은 데이터의 입력, 편집 작업 등을 위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로 테이블, 쿼리, SQL문 등을 원본으로 하여 작성한다.
     2. '캡션' 속성을 이용하여 폼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3. '그림' 속성을 이용하여 그림을 폼의 배경으로 넣을 수 있다.
     4. '기본 보기' 속성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폼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캡션은 단순히 보여 지는 글자일뿐 실제 이름은 name에서 변경합니다.
캡션은 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등에서 가짜이름정도로 이해하시고, 폼과 보고서에서 캡션을 바꾸면 탭자리에 캡션이 나타납니다. 폼이름이나 보고서 이름은 이름바꾸기를 해서 바꿔주셔야 유효합니다.
[해설작성자 : 대구 네트컴퓨터학원]

53. 다음 중 사원 테이블에서 호봉이 6인 사원의 연봉을 3% 인상된 값으로 수정하는 실행 쿼리를 작성하고자할 때, 아래의 각 괄호에 넣어야 할 구문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7년 03월)

    

     1. FROM, WHERE
     2. SET, WHERE
     3. VALUE, SELECT
     4. INTO, VALUE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SQL 문의 문법 형식
SELECT - FROM - WHERE
UPDATE - SET - WHERE
INSERT - INTO - VALUES
DELETE - FROM - WHERE

지금의 경우는 호봉이 6인 사원의 연봉을 3% 인상된 값으로 수정을 하는
쿼리를 실행하는 거니까 UPDATE 문을 이용을 해야 하고 UPDATE 문법 구조가
UPDATE - SET - WHERE 이렇게 되므로 정답은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8QfAaSUFJpw?t=450]

54. 다음 중 아래의 '학년별검색' 매개 변수 쿼리를 실행하여 나타나는 메시지 상자의 a에 2를, b에 3을 입력한 결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2학년과 3학년 레코드만 출력된다.
     2. 2학년 레코드만 출력된다.
     3. 3학년 레코드만 선택된다.
     4. 2학년과 3학년을 제외한 레코드만 출력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Between : 지정한 값 사이에 포함되는 레코드만 구합니다.

Between a and b
a부터 b 사이에 포함되는 레코드를 구합니다.

a에 2, b에 3을 대입을 하면

Between 2 and 3
2부터 3 사이에 포함되는 레코드를 구합니다.
따라서 출력되는 레코드는 학년이 2학년과 3학년인 레코드만 출력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FVVpe9sYMVQ?t=524]

55. 다음 중 액세스의 다양한 폼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데이터시트: 행과 열로 구성된 형태로 표시하여 여러 레코드를 한 화면에 표시한다.
     2. 모달 폼: 해당 폼을 전체 화면 크기의 창으로 표시한다.
     3. 연속 폼: 현재 창을 채울 만큼 여러 레코드를 함께 표시한다.
     4. 하위 폼: 연결된 기본 폼의 현재 레코드와 관련된 레코드만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모달 : 모달 설정이 된 폼을 실행시키고 있는 경우 모달 폼을 닫아야만 다른 창을 실행시킬 수 있다. 모달 폼이 열려 있으면 다른 폼들은 아무 것도 실행이 안됨.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모달은 하나의 폼만 실행할 수 있어서 다양한 폼 보기엔 적합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필기 1주일컷 도전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cjEhVxHtnVc?t=826]

56. 다음 중 테이블에 입력된 날짜 필드의 값을 ‘2015-10-13’과 같은 형식으로 표시하고자 할 때 테이블의 디자인 보기에서 지정해야 할 ‘형식’ 속성 값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기본 날짜
     2. 자세한 날짜
     3. 보통 날짜
     4. 간단한 날짜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기본 : 2015-10-13 오전10:36
2. 자세한 : 2015년 10월 13일 화요일
3. 보통 : 15년 10월 13일
4. 간단한 : 2015-10-13
[해설작성자 : 헷갈ㄹ디ㅏ]

1. 기본 날짜(+시간)
2. 자세한 날짜(+요일)
3. 보통 날짜: 년도가 두 자리
4. 간단한 날짜: 위와 같은 형태
[해설작성자 : 3/4 제발 합격]

57. 액세스에서 외부 파일에 대해 할 수 있는 작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문제 오류로 4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6년 07월)
     1. ‘가져오기’를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 수 있다.
     2. ‘내보내기’로 테이블의 내용을 외부 파일로 만들어 저장할 수 있다.
     3. ‘테이블 연결’을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액세스에서 수정하면 원본 파일도 수정된다.
     4. ‘테이블 가져오기’를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액세스에서 수정하면 원본 파일도 수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이의 제기 *
2003버전부터는 데이터 연결시 읽기전용으로 적용되어 액세스에 연결된 경우 연결된 파일은 수정을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3번도 틀린경우로 봐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도 오류로 보고 3, 4번으로 정답으로 합니다.

액세스로 연결된 파일은 읽기전용으로 액세스에서는 수정할 수 없으며, 원본 파일 수정시 액세스에 연결된 파일도 자동으로 수정됨.가져오기에서는 자동 수정되지않음.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58. 다음과 같은 이벤트 프로시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단추는 텍스트는 ‘cmd정지’로 표시)(2009년 02월)

    

     1. 이름이 ‘cmd실행’인 컨트롤을 클릭했을 때 이 프로시저가 수행된다.
     2. ‘cmd실행’ 컨트롤의 캡션에 “동작”이 표시된다.
     3. “회원보고서”라는 보고서가 인쇄된다.
     4. “회원보고서 결과 완료!!”라는 내용이 적힌 메시지 창이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cmd실행.Caption = "동작"
cmd실행.Caption & " 결과 완료!!" : "동작 결과 완료!!" 라고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9. 다음 중 피벗 테이블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피벗 테이블 구성 필드를 열 필드 머리글로 드래그하여 설정할 수 있다.
     2. 세부 정보 필드에는 한 번에 하나의 필드만을 삽입하여 분석할 수 있다.
     3. 데이터를 요약하여 분석 표 형식으로 알아볼 수 있게 해주는 대화형 테이블을 말한다.
     4. [폼] 그룹에서 [기타 폼]을 클릭한 후 [피벗 테이블]을 선택하여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② 세부 정보 필드에는 1개 이상의 필드를 삽입하여 분석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다음 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Office 21의 액세스 프로그램에서는 '피벗 테이블'기능이 없으며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크로스 탭 쿼리'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60. 친구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 속성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친구
     2. select * from 친구
     3. select * from 친구 where 구분 = '재학'
     4. 친구(친구번호, 이름, 나이)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4번 : Select 친구번호, 이름, 나이 From 친구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55389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컴퓨터활용능력, 컴활1급필기, 컴활1급,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1 미용기능사(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2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10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09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08 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07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6049792) 좋은아빠되기 2025.11.18 6
406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05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4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0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03 컴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5057115)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02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401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400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399 자기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398 승강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397 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396 제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395 식품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394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3094555)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393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4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553891)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Board Pagination Prev 1 ...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 274 Next
/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