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00854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 인간행동과 성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인간행동은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다르게 표출된다.
     2. 성격을 이해하면 행동의 변화추이를 예측할 수 있다.
     3. 인간행동의 이해와 개입을 위해서는 성격의 이해가 필요하다.
     4. 성격이론은 인간행동의 수정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
     5. 성격은 심리역동적 특성이 있어 일관된 행동을 기대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5번. 성격은 일관성이 있기 때문에(내향적인 사람이 다음날 바로 외향적인 성격이 되지 않는 것처럼) 일관된 행동을 기대할 수 없다는 해당 지문은 옳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안녕하세요]

2.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긍정적ㆍ상승적 변화는 발달로 간주하지만, 부정적ㆍ퇴행적 변화는 발달로 보지 않는다.
     2. 순서대로 진행되고 예측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3. 인간의 전반적 변화를 다루기 때문에 개인차는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4. 키ㆍ몸무게 등의 질적 변화와 인지특성ㆍ정서 등의 양적 변화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5. 각 발달단계에서의 발달 속도는 거의 일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인간발달의 원리 *
1. 일정한 순서 및 방향성
2. 연속성
3. 유전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4. 개인차의 존재
5. 분화와 통합의 과정
6. 점성원리(점성원칙)
7. 결정적 시기의 존재

성장 - 신체 크기의 증대, 근력 증가 등 양적 변화
성숙 - 내적, 유전적 메커니즘에 의한 변화
학습 - 특수한 경험이나 훈련 또는 연습 등에 의한 변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로저스(C. Rogers)의 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비지시적인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공감적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 비심판적 태도는 원조관계에 유용하다.
     4. 클라이언트 자기결정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5. 클라이언트의 과거 정신적 외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로저스는 클라이언트와 진실한 관계를 맺는 것이 치료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라고 하였고, 치료자 자신이 클라이언트와의 촉진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를 스스로 평가해 보아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자기평가는 인본주의적 입장에 서서 사회복지실천을 행하는 사회복지사에게 매우 유용한 지침이 될 수가 있다.
[해설작성자 : 하늘소]

4. 프로이트(S. Freud)의 심리성적발달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남근기: 동성 부모에 대한 동일시의 기제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2. 항문기: 양육자와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최초로 갈등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3. 구강기: 자율성과 수치심을 주로 경험하는 시기이다.
     4. 생식기: 오이디푸스ㆍ엘렉트라 콤플렉스가 강해지는 시기이다.
     5. 잠복기: 리비도(libido)가 항문부위로 집중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영아기
3. 항문기
4. 남근기
5. 항문기
[해설작성자 : 허당]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은 구강기
[해설작성자 : 예지둥]

[추가 오류 신고]
2번 남근기
[해설작성자 : 사복짱]

[추가 오류 신고]
2번은: 구강기가 맞습니다 (신뢰감 VS 불신감)
[해설작성자 : 화이팅]

5. 융(C. Jung)의 분석심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페르소나(persona)는 외부의 요구나 기대에 부응하는 과정에서 생긴 자아의 가면이라고 한다.
     2. 인간을 성(性)적 에너지인 리비도(libido)에 의해 지배되는 수동적 존재로 보았다.
     3. 원형(archetype)이란 개인의 의식 속에 존재하는 유일한 정신기관이다.
     4. 아니무스(animus)는 남성이 억압시킨 여성성이다.
     5. 자아의 기능에서 감각(sensing)과 직관(intuiting)은 이성을 필요로 하는 합리적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2.프로이트
3.틀린설명
4.아니마에 대한 설명
5.융은 성격의 융을 인식기능 감각(지각),직관의 기능[비합리적 기능], 판단기능을 사고,감정의 기능[합리적 기능]으로 보았다
[해설작성자 : 욱이]

6.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어린 시절에 겪었던 과거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엄격한 배변훈련으로 항문보유적 성격이 형성될 수 있다.
     3. 초자아는 성격의 실행자이자 마음의 이성적인 부분이다.
     4. 생식기에는 이성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높아진다.
     5. 남자아이는 남근기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로 인한 거세불안을 경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성격의 조직적이고 합리적이며 현실지향적 체계로서, 성격의 집행자이며 경영자라고 불리는 것은 자아이다.

[추가 해설]
자아 : 성격을 지배하고 통제하고 조절하는 실행자(집행자), 조정자로서의 역할
초자아 : 옳고 그른것을 결정하는 심판자의 역할, 성격의 도덕적인 부분
[해설작성자 : 쨰]

프로이트는 기본적으로 본능(원초아)을 중요시 합니다. 원초아는 누구나 타고나는 본능적인 충동으로 무의식적으로 인간은 행위하며, 이러한 무의식적 행위들은 과거 어린 시절에 심리적으로 결정되어 인간이 자신을 통제 못한다 봅니다. 여기에 현실적인 행동대장 자아가 중재를 하고, 양심을 가진 초자아가 심판자의 역할을 하면서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에서 자아가 갈등 시 자아가 고마하라고 중재를 합니다.
방어기재 시 균형, 강도, 연령의 철회가능, 선택적절성을 판단하여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융(C. Jung)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개인의 성격형성은 과거와 무관함을 주장하였다.
     2. 4가지 정신기능으로 사고, 감정, 판단, 인식을 주장하였다.
     3. 자기(Self)는 개인무의식 내에 존재하는 핵심적인 원형이다.
     4.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은 인간발달의 궁극적 목표이다.
     5. 생애주기에서 중년기와 노년기보다 유년기와 청년기를 강조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융은 인간의 성격발달을 개성화(individuation)의 과정을 통한 자기실현 과정이라고 보았으며, 자기실현을 궁극적인 목표로 보았다.
[해설작성자 : 킹관]

1. 융의 분석심리이론에서는 인간은 과거의 사건들 뿐만 아니라 미래에 무엇을 하기를 열망하는 가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2. 융의 심리적 기능은 사고, 감정 직관, 감각
3. 자기는 집단 무의식 내에 존재하는 타고난 핵심적 원형이다
5. 중년기와 노년기를 아주 중요하게 다루었음.
[해설작성자 : 영나니]

8. 방어기제와 그 예가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반동형성은 억압된 감정이나 욕구가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그것과 정반대의 행동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는 기제
예시)부모에게 꾸중을 들은 아이가 친구나 개에게 화풀이를 하는 것
[해설작성자 : 하현진]

위의 예시는 전치이고,
ㄹ의 부모의 가장 싫은 점을 자신이 닮아가며 그대로 따라하는 행동은 동일시입니다.
[해설작성자 : 1급 화이팅]

반동형성은 용남할 수 없는 감정이나 충동을 정반대의 감정이나 행동으로 대체시켜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른 예시는 '미운 놈에게 떡 하나 더 준다'라는 속담이나, 남편이 바람을 피워 다른 여자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리를 키우면서 과잉보호하는 본부인의 경우 등을 들 수 있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10일전]

9.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의 기본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1월)
     1. 발달은 점성원칙을 따른다.
     2. 인간의 공격성과 성적 충동의 영향력을 강조한다.
     3. 인간을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며, 창조적인 존재로 간주한다.
     4. 인간행동은 의식 수준에서 통제 가능한 자아(ego)에 의해 동기화된다.
     5. 발달단계에서 외부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다룬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해당하는 설명이다

10. 로저스(C. Rogers)의 인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인간의 병리적 관점을 강조한다.
     2. 인간의 주관적 경험을 강조한다.
     3. 인간을 비합리적 존재로 규정한다.
     4. 인간을 무의식적 결정론의 존재로 규정한다.
     5. 인간의 욕구단계를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로저스 - 현상학이론, 인본주의이론:매슬로우와 같이 인간의 본능을 중요시 여김
-인간은 목적지향적이며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존재로 봄
-주관적 경험을 중시
-자기결정권을 중요하게 여김
-무조건적인 긍정
[해설작성자 : 웃지]

11.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위기와 주요 관계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2017년 01월)
     1. 자율성 대 수치감 - 교사
     2. 근면성 대 열등감 - 부모
     3. 통합성 대 절망감 - 동료
     4. 친밀성 대 고립감 - 리더
     5. 정체감 대 역할혼미 - 또래집단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제1단계 : 신뢰감 대 불신감(~생후 1년)
- 부모나 주위세계의 일관성 있는 지지를 받으면 신뢰감을 얻을 수 있지만, 주위의 보호가 부적절 하면 불신감을 갖게 된다.
(2) 제2단계 :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2~3세)
- 부모, 특히 어머니나 주위의 분별력 있는 도움과 격려는 자율성을 키우지만, 과잉보호나 부적절한 도움은 자신의 능력을 의심하게 된다.
(3) 제3단계 : 주도성 대 죄책감(4~5세)
- 주변세계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와 자유는 어린이의 주도성을 발달시키지만,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행동에 죄책감을 갖는다.
(4) 4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6~11세)
- 무엇을 성취하도록 기회를 부여받으면 그 결과 근면성을 갖게 되지만, 비난이나 좌절감을 경험하면 열등감을 갖게 된다.
(5) 제5단계 : 자아정체감 대 정체성 혼란(청년기)
- 정서적 안정과 좋은 역할모델이 있으면 자신에 대한 통찰과 자아정체감을 갖게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직업선택이나 성역할, 가치관의 확립에 있어 심한 갈등을 야기한다.
(6) 제6단계 : 친밀감 대 고립감(성인 전기)
- 부모, 배우자, 동료 등과 좋은 인간관계를 발전시키면 친밀감을 갖지만, 그렇지 못하면 타인에 대한 두려움과 고립감이 생긴다.
(7) 제7단계 : 생산성 대 침체감(성인 중기)
- 자신에게 몰두하기보다는 자녀와 직업을 통해 생산적인 활동에 참여하는데, 만일 그렇지 못하면 사회 심리적으로 침체된다.
(8) 제8단계 : 통합성 대 절망감(성인 후기 혹은 노년기)
- 지금까지의 인생에 만족하면 생의 유한성도 수용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공허함과 초조함을 느끼며 절망감을 느낀다.
[해설작성자 : 1급 합격 기원]

[추가 해설]
1. 교사(x) → 부모,        2.부모(x) → 이웃/학교(교사),     3.동료(x) → 인류/동족,    
4. 리더(x) → 친구,연인,회사동료,     5.또래집단,리더십모델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유아기 (출생~18개월): [신뢰감/불신감] → 어머니(주 양육자)
초기아동기 (18개월~3세) : [자율성/수치심] → 부모
학령전기(유희기) (3~6세):    [주도성/죄의식] → 가족
학령기(6~12세): [근면성/열등감] → 이웃/학교(교사)
청소년기(12~20세): [자아정체감/역활혼란] → 또래집단, 리더십모델
성인초기(20~24세): [친밀감/고립감] →    친구, 연인, 회사 동료
성인기(24~65세): [생산성/ 침체] → 노동의분화, 가사분담
노년기(65세 이후):[자아 통합/절망] → 인류, 동족
[해설작성자 : cbt01]

12.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주요 개념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도식(scheme)
     2. 음영(shadow)
     3. 평형(equilibrium)
     4. 행동조성(shaping)
     5.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반두라 이론의 주요개념
인지, 자기규제, 자기효능, 상호결정, 모방, 관찰학습
[해설작성자 : BearMonkey]

[추가 해설]
사회학습이론 주요 개념
1.도식 →    피아제(인지발달 이론)
2.음영 → 융(분석심리 이론)
3.평형 → 피아제(인지발달 이론)
4.행동조성 → 스키너(행동주의 이론)
5.관찰학습 → 반두라(사회학습 이론)
[해설작성자 : cbt01]

13.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자기강화란 자기 스스로 목표한 일을 달성하고 자신에게 강화물을 주어서 행동을 유지하고 변화해 나가는 과정이다.
     2.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바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3. 관찰학습은 단순한 환경적 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하여 행동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행동을 습득하는 것이다.
     4. 관찰학습의 마지막 단계는 운동재생단계이다.
     5. 인간의 성격은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요소들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관찰학습의 마지막 단계는 동기과정입니다. (주의집중 유지(파지) 운동재생 동기과정)
[해설작성자 : 빡]

반두라 관찰 학습 과정은 이해하면 됩니다.
관찰 학습 단계
1.주의 집중 단계 2. 보존 단계 3.운동재생 단계 4.동기화 단계
[해설작성자 : 탱크39]

14. 콜버그(L. Kohlberg)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전인습적 수준: 사회적인 인정에 관심을 가지고 착한 행동을 함으로써 타인의 인정을 받고자 한다.
     2. 인습적 수준: 개인의 양심에 비추어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3. 인습적 수준: 행동의 결과가 가져오는 보상이나 처벌에 의해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4. 후인습적 수준: 사회질서의 유지를 위해 법과 규칙은 준수되어야 하지만,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한다.
     5. 후인습적 수준: 규칙을 준수하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도덕적 행동이라 생각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전인습적 수준(4~9세 이전) : 처벌에 대한 두려움 & 착한 일에 대한 보상 때문에 규칙을 준수함
인습적 수준(10세 이상) : 사회적 칭찬 & 비난에 대한 회피가 도덕적 행위의 동기로 작용 > 사회적 질서 유지를 위해 규칙 준수
후인습적 수준 (20세 이상) : 정의의 원리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법과 무관하게 자율적 & 독립적 판단이 가능

1. 사회적 인정 때문에 규칙을 준수하는 것은 인습적 수준이다.
2. 양심에 비추어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때문에 후인습적 수준에 대한 설명이다.
3. 보상과 처벌에 의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은 전인습적 수준이다.
4. 정답 : 인습적 수준과 비슷해보일 수 있으나, (정의의 원리에 따라 필요하다면) 민주적 절차를 통해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5. 인습적 수준에 대한 설명이다.

본인의 판단 없이 무작정 법과 규칙을 따르면 인습적 수준,
법과 관계없이 정의의 원리에 따라 자율적인 판단을 하면 후인습적 수준이다
[해설작성자 : yubin532]

15. 브론펜브레너(U. Bronfenbrenner)의 미시체계(micro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개인의 생활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는다.
     2. 조직수준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체계이다.
     3. 개인의 성장 시기에 따라 달라지며 상호호혜성에 기반을 두는 체계이다.
     4.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직업, 자녀의 학교 등을 중시한다.
     5. 개인이 사회관습과 유행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을 표현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미시체계
- 아동이 직접 접하는 환경이나 근접 환경 ex. 가정, 학교, 친구
- 아동의 발달에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영향을 주는 부분
- 모든 관계가 상호적
[해설작성자 : 구구뀨]

1. 외체계(간접적으로 영향을 줌)
2. 중간체계, 거시체계?
3.(정답) 미시체계
4. 중간체계(hint. 부모의 직업, 자녀의 학교)
5. 중간체계(hint. 사회관습, 유행)
[해설작성자 : 원트만에 붙고싶은 사복 예비졸업생]

16. 태내기의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1월)
     1. 배아기는 수정 후 약 2-8주 사이를 말한다.
     2. 임신 16주경이 되면 산모는 태아의 움직임을 알 수 있다.
     3. 터너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은 염색체 이상으로 나타난다.
     4. 임신 2-3개월이 되면 배아는 인간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다.
     5. 일반적으로 임신 3개월 혹은 13주가 되면 조산아의 생존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0주 정도가 지나면 조산아보육기에서의 생존이 가능해지므로 임신 210일을 생존가능연령이라고 부른다.
[해설작성자 : 감자맨]

17. 다음의 이론과 그 기본 가정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8년 01월)
     1.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정신결정론
     2.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 - 상호결정론
     3. 스키너(B. F. Skinner)의 행동주의이론 - 환경결정론
     4.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 정신결정론
     5. 매슬로우(A. Maslow)의 인본주의이론 - 환경결정론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스키너는 인간행동에 영향을 주는 근원으로 환경을 강조함 즉 인간행동은 내면보다 외적인 환경자극에 의해 동기화
[해설작성자 : 민근당근민당근철]

정신결정론 - 프로이드 정신분석 이론
상호결정론 -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환경결정론 - 스키너 행동주의 이론
[해설작성자 : 빡]

18. 피아제(J. Piaget)의 감각운동기의 발달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대상을 특징에 따라 분류(classification)한다.
     2. 대상을 연속(seriation)적인 순서에 따라 배열한다.
     3. 대상의 질량 혹은 무게가 형태 및 위치에 따라 변하여도 보존(conservation)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을 획득한다.
     5. 조합기술(combination skill)을 획득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감각운동기는 언어발생이전이라 말로하지 못하닌간 몸으로 보여주는 실천적.     증명하는 습성이 대상연속성이라한다
1. 분류    2.연속,서열 3. 보존 -구체적조작기 이다.
5. 조합기술-형식적조작기 이다

출처-고병갑교수님 문제풀이강의
[해설작성자 : 18년 합격을 위하여 ]

5. 조합기술을 구체적조작기 조합사고가 형식적조작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2noong]

4. 대상영속성 획득 - 전조작기
감각운동기의 경우 대상영속성 이해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

19. 청년기(20-34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신체적 기능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이다.
     2. 주요 발달과업은 진로 및 직업선택, 혼인준비 등이다.
     3. 발달과업에서 신체적 요소보다는 사회문화적 요소를 중요시한다.
     4. 아동기 이후 인생의 과도기로서 신체적ㆍ성적 성숙이 빠르게 진행된다.
     5. 에릭슨(E. Erikson)의 발달단계에서 친밀감 대 고립감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4번은 청소년기 설명
[해설작성자 : MJ]

20. 유아기(3-6세) 혹은 아동기(7-12세)의 주요 발달과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1월)
     1. 애착관계 형성
     2. 또래관계 증진
     3. 도덕 및 가치체계 발달
     4. 성역할 습득
     5. 학습기술 습득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애착형성은 영아기의 발달과업에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1급 가즈아]

21. 인생 주기별 발달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영아기(0-2세)에는 거식증이 나타난다.
     2. 유아기(3-6세)는 주도성 대 죄의식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경험한다.
     3. 아동기(7-12세)에는 자기중심성이 완화되고 역할수용이 가능하다.
     4. 청소년기(13-19세)에는 상상의 청중 및 개인적 우화가 나타난다.
     5. 노년기(65세 이상)는 자아통합의 시기이며 사회관계망의 축소로 사회적 역할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거식증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으채]

22. 청소년기(13~19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신체적 성장이 급속히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2의 성장급등기라고 한다.
     2. 어린이도 성인도 아니라는 점에서 주변인이라고 불린다.
     3. 상상적 청중과 개인적 우화는 청소년기에 타인을 배려하는 사고가 반영된 예이다.
     4.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과정 중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된다.
     5. 정서적 변화가 급격히 일어난다는 점에서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상상적 청중은 내 주위의 사람들이 나의 생각과 행동에 나만큼 관심을 가진다는 믿음이고 개인적 우화는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특별하다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효곰]

아동기에 자기중심성이 완화 되었다가 다시 청소년기에 질풍노도의 2차 반항기 접어 들면서 타인의 사고를 배려 못하는 자기중심성의 역할 혼란을 가져옵니다. 그래서 오이디푸스 컴플렉스가 다시 등장하기도 하기에 심리적 유예기에 성인이 직접 해결책 보단 원조와 지지를 해줘야 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중년기(40-64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에릭슨(E. Erikson)에 의하면 “생산성 대 침체”라는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게 되면 돌봄(care)의 덕목을 갖추게 된다.
     2. 유동성 지능(fluid intelligence)은 높아지며 문제해결능력도 향상될 수 있다.
     3. 자아통합이 완성되는 시기로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를 시도한다.
     4. 갱년기 증상은 여성에게 나타나고 남성은 경험하지 않는다.
     5. 융(C. Jung)에 의하면 남성에게는 아니무스가, 여성에게는 아니마가 드러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유동성 지능은 저하되고 결정성 지능이 높아진다.
3. 노년기에 해당
4. 남성과 여성 모두 갱년기 증상이 나타남
5. 남성에게는 아니마가 여성에게는 아니무스가 드러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다음 학자와 그의 주요 기법이 옳게 연결된 것은?(2022년 01월)
     1. 반두라(A. Bandura) - 행동조성
     2. 로저스(C. Rogers) - 타임아웃
     3. 스키너(B. Skinner) - 모델링
     4. 피아제(J. Piaget) - 가족조각
     5. 프로이트(S. Freud) - 자유연상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스키너 : 행동형성
행동주의 치료기법 : 타임아웃
반두라 : 모델링
사티어 : 가족조각
[해설작성자 : 다같이 합격]

25. 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역할분화가 이루어진다.
     2. 사회화의 기능을 수행한다.
     3. 구성원들이 감정을 공유하며 규범과 목표를 수립한다.
     4.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형성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한다.
     5. 구성원들을 지지하고 자극시키는 힘을 가지기 때문에 긍정적 기능만을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5 집단은 긍정적인 기능을 목표로하지만 항상 긍정적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19회 자격증 꼭 합격 ]

26. 다음 중 질적 연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1월)
     1. 문화기술지(ethnography)연구
     2. 심층사례연구
     3. 사회지표조사
     4. 근거이론연구
     5. 내러티브(narrative)연구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사회지표조사 -양적조사
지문외 질적연구에 현상학도 포함됨
[해설작성자 : 우땡이]

27. 조사연구과정의 일부이다. 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5년 01월)

    

     1. ㄱ - ㄴ - ㄷ - ㄹ
     2. ㄱ - ㄷ - ㄴ - ㄹ
     3. ㄱ - ㄷ - ㄹ - ㄴ
     4. ㄷ - ㄱ - ㄹ - ㄴ
     5. ㄷ - ㄹ - ㄱ - ㄴ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문제설정 - 가설 - 조사설계 - 자료수집 - 자료분석 - 해석 - 보고 순이다.
설문지 작성은 조사설계 단계에서
[해설작성자 : bing]

28. 변수와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1월)

    

     1. ㄱ,ㄴ
     2. ㄱ,ㄹ
     3. ㄱ,ㄴ,ㄹ
     4. ㄴ,ㄷ,ㄹ
     5. ㄱ,ㄴ,ㄷ,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변수(variable)란 개념의 경험적인 상대역으로, 변수와 개념은 종종 구분되지 않고 쓰이기도 한다. 엄격히 구분하자면, 개념은 추상적인 것이며 변수는 그것에 대한 일종의 조작화인 셈이다. 모든 개념들이 변수는 아니지만, 모든 변수들은 개념이다. 즉 변수는 개념의 한 특수한 형태를 지칭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29. 사회복지조사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5년 01월)

    

     1. ㄱ → ㄴ → ㅁ → ㄷ → ㄹ
     2. ㄴ → ㄱ → ㄷ → ㄹ → ㅁ
     3. ㄴ → ㄷ → ㄱ → ㅁ → ㄹ
     4. ㄷ → ㄱ → ㄹ → ㅁ → ㄴ
     5. ㄷ → ㄴ → ㄱ → ㄹ → ㅁ

     정답 : []
     정답률 : 68%

30. 다음 ( )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ㄱ: 외생변수, ㄴ: 더미변수, ㄷ: 종속변수, ㄹ: 조절변수
     2. ㄱ: 외생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ㄹ: 더미변수
     3. ㄱ: 선행변수, ㄴ: 조절변수, ㄷ: 종속변수, ㄹ: 외생변수
     4. ㄱ: 선행변수, ㄴ: 매개변수, ㄷ: 외생변수, ㄹ: 조절변수
     5. ㄱ: 선행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ㄹ: 외생변수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매개변수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징검다리 역할
조절변수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31. 다음 연구과제의 변수들을 측정할 때 ㄱ~ㄹ의 척도유형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2023년 01월)

    

     1. ㄱ: 명목, ㄴ: 명목, ㄷ: 명목, ㄹ: 명목
     2. ㄱ: 명목, ㄴ: 서열, ㄷ: 서열, ㄹ: 명목
     3. ㄱ: 명목, ㄴ: 서열, ㄷ: 명목, ㄹ: 비율
     4. ㄱ: 명목, ㄴ: 등간, ㄷ: 명목, ㄹ: 명목
     5. ㄱ: 명목, ㄴ: 등간, ㄷ: 서열, ㄹ: 비율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ㄱ~ㄹ모두 명목변수이다. 명목변수란, 어떤 사물의 속성을 질적인 특성에따라 상호배타적인 몇 개의 카테고리로만 나눴을 뿐, 특정한 서열이나 수치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해설작성자 : 성실한 민수씨]

32. 다음 연구 상황에 유용한 조사유형은?(2020년 02월)

    

     1. 평가적 연구
     2. 기술적 연구
     3. 설명적 연구
     4. 탐색적 연구
     5. 척도개발 연구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조사목적에 따른 유형: 1)탐색적 조사 2)기술적 조사 3)설명적 조사

*시간차원에 따른 유형: 1)횡단적 조사 2)종단적 조사(패널조사,경향조사,동년배조사)

*기타 조사유형
조사대상 범위에 따른 유형: 1)전수조사    2)표본조사
자료수집 성격에 따른 분류 : 1)양적조사     2)질적 조사
용도에 따른 분류: 1)순수조사                2)응용조사
기타유형: 1)현지조사                2)실험조사
----------------------------------------------

탐색적 연구: 사전 연구들이나 알려진 지식들이 현재로서 충분하지 않을 때 행해지는 조사(예비조사)방법
ex) 문헌조사/경험자조사/전문가 조사/특례조사

기술적 연구: 대규모 서베이를 통해 조사대상자의 현황을 전체적으로 나타내고자 할때 행해지는 조사방법
(현상의 분포,크기, 발생빈도,비율)
ex) 인구주택총조사, 실태조사, 여론조사

설명적 연구: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거나, 미래의 사실을 예측 하고자 할때 행해지는 조사방법
[해설작성자 : cbt01(2021년 19회 첫 시험 준비 중)]

33. 다음 조합된 단어들과 동일한 논리적 구성을 가진 것은?(2017년 01월)

    

     1. 이론화 : 개념 : 가설
     2. 이론화 : 가설 : 개념
     3. 조작화 : 변수 : 가설
     4. 조작화 : 가설 : 변수
     5. 조작화 : 개념 : 가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개념화 → 개념 → 명제(=2개 이상의 개념 포함)
조작화 → 변수 → 가설(=2개 이상의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논술)
[해설작성자 : 거석]

34.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ㄱ, ㄴ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리커트 척도는 서열척도이다.
[해설작성자 : 미운오리]

35. 델파이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견해를 파악한다.
     2. 되풀이 되는 조사 과정을 통해 합의를 도출한다.
     3. 반대 의견에 대한 패널 참가자들의 감정적 충돌을 줄일 수 있다.
     4. 패널 참가자의 익명성 보장에 어려움이 있다.
     5. 조사 자료의 정리에 연구자의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참가자의 익명성 보장이 이루어지는 조사방법으로는 우편조사와 그 안에서의 델파이조사가 있다. 즉, 델파이조사는 패널 참가자의 익명성 보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성실한 민수씨]

36.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측정은 연구대상의 속성에 대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2. 사회과학에서는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특질 자체를 측정하기 보다는 특질을 나타내는 지표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3. 보가더스(Bogardus)의 사회적 거리척도는 등간척도의 한 종류이다.
     4. 리커트(Likert) 척도는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적인 경향이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5. 측정항목의 수를 많게 하면 신뢰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추가로 보가더스 척도는 서열척도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조사연구의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연구문제의 발견 및 설정은 조사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2. 가설은 연구문제와 그 이론에 따라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연구문제설정은 가설설정과 조사설계의 전 단계이다.
     4. 연구문제설정에서 비용, 시간, 윤리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5. 조사연구과정은 자료의 분석으로 마무리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조사연구과정은 보고서 제출의 단계로 마무리 됩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8일전]

38.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이 결혼이민자 가정 자녀들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 때 자아정체감의 차이를 불러올 수 있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2019년 01월)
     1. 산출변수
     2. 외생변수
     3. 투입변수
     4. 종속변수
     5. 전환변수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외생변수 : 가식적인 관계를 만드는 제 3의 변수( 두 개의 변수 간에 상관관계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식적인 관계)
4.종속변수 : '결과변수'라고도 함,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라 자연히 변하는 것(결과적인 예측변수)
[해설작성자 : 유나짱]

[추가 해설]
A: 독립변수(원인):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 ,    B: 종속변수(결과): 자아정체감 , C: 외생변수(제3의변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A(독립변수)← C(제3의 변수)→ B(종속변수)

외생변수(C) : 원래 관계가 없는 A와 B사이가    → 관계 있는 것처럼 연결해주는 → 가식적(허위)관계.
* 여기서 C(제3의 변수)가 사라지면    A→B 관계가 성립하지 않고 사라짐.
[해설작성자 : cbt01(2021년 19회 첫 시험 준비 중)]

39. 실험설계에서 무작위할당으로 예방할 수 있는 문제는?(2016년 01월)
     1. 낮은 응답률
     2. 과다한 연구비용
     3. 과다한 표본추출오차
     4. 연구 일정의 지연
     5. 우연한 사건의 영향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우연한 사건(외부/역사요인), 성장(성숙,시간), 검사(시험,주시험: 사전사후검사영향), 도구요인(사전,사후검사때 다른 도구사용), 통계적 회귀(평균값회귀), 피험자 상실, 편향된 선별(외적요인)]을 통제하는 최선책은 무작위할당이다
[해설작성자 : 거석]

40. 단일사례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1월)

    

     1. ㄱ, ㄴ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ㄴ. ABAC설계는 선행 효과(이월 효과)의 통제가 불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성실한 민수씨]

41. 표집오차(sampling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표본의 선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이다.
     2. 표집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동일한 조건이라면 표본크기가 클수록 감소한다.
     4. 모집단의 크기와 표본크기의 차이를 말한다.
     5. 동일한 조건이라면 이질적 집단보다 동질적 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표집오차가 작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표집오차란 모집단 값과 표본의 값 간의 차이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1급 합격하자]

42. 과학적 조사가 필요한 사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01월)
     1.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갈등을 해소할 필요가 있을 때
     2. 결혼이주민 조사시 연구자의 문화적 편견을 검토하고 싶을 때
     3. 주민대표자의 응답이 전체 주민의 의견을 대표하는지 알고 싶을 때
     4. 정량평가 외에 정성평가를 체계화하고 싶을 때
     5. 선임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지식이 타당한지 알고 싶을 때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과학적 조사에 윤리적 실천은 포함되어있지 않다.
[해설작성자 : 하이]

43.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실험대상의 탈락
     2. 외부사건(history)
     3. 통계적 회귀
     4. 개입의 확산 또는 모방
     5. 연구 참여자의 반응성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2,3,4는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임
[해설작성자 : 중재]

외적 타당도 저해 요인
= 표본의 대표성, 연구환경과 절차, 실험조사에 대한 반응성, 위약효과 등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44. 다음의 조사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인과적 추론 정도가 무작위 배정을 하지 않은 실험설계보다 낮다.
     2. 외생변수 통제, 독립변수 조작, 종속변수의 비교 등에 한계가 있을 때 주로 활용한다.
     3. 개입 전에 두 집단의 동질성을 가정할 수 없다.
     4. 정태적 집단비교 설계(static-group comparison design)에 해당된다.
     5. 전실험설계(pre-experimental design)보다 내적타당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예시의 조사설계방법은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무작위 할당(R) 한 후,
사전검사 없이 실험처치 이후 종속변수의 변화를 측정했다.

두개 집단으로 나눠, 사전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실험처치를 하였기에 '통제집단 사후검사설계'이다.
통제집단 사후검사설계는 순수실험설계의 한 종류이다.

1. 무작위 할당을 진행했기에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어 인과성 검증이 더 높다. (순수실험설계의 특징)
2. 유사실험설계에 대한 설명이다.
3. 무작위 할당을 진행했기에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다.
4. 정태적 집단 비교 설계가 아닌 통제집단 사후검사설계이다.
5. 전실험설계란 실험설계의 기본요소가 부족함에도 현실적 요건을 고려해 실험하는 설계이다.
통제집단 사후검사설계의 경우, 순수실험설계로 높은 내적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5번

(팁 : 전실험설계는 기본요소가 부족한 실험설계이기 때문에 순수실험설계에 비해 전반적으로 내적/외적 타당도가 낮다.)
[해설작성자 : 정답률 18퍼 문제 어렵다..]

45. 설문지 문항의 작성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1월)
     1. 이중(double-barreled)질문과 유도질문은 피하는 것이 좋다.
     2. 신뢰도 측정을 위해 짝(pair)으로 된 문항들은 함께 배치하는 것이 좋다.
     3. 응답하기 쉬운 문항일수록 설문지의 앞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4. 일반적인 것을 먼저 묻고 특수한 것을 뒤에 묻는 것이 좋다.
     5. 객관식 문항의 응답 항목은 상호배타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설문지 문항의 신뢰도는 문항의 일관성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문항을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짝(pair)으로 된 문항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응답자가 동일한 경향으로 답변할 가능성이 높아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갑]

46. 자료수집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질문의 유형과 형태를 결정할 때 조사대상자의 응답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설문문항 작성 시 이중질문(double-barreled question)을 넣어야 한다.
     3. 비참여관찰법은 연구자가 관찰대상과 상호작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설문지에서 질문 순서는 무작위 배치를 원칙으로 한다.
     5. 우편조사는 프로빙(probing) 기술이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심층탐구(심층규명,캐묻기,probing) 수행하는 데 유리한 건 면접!
[해설작성자 : 다같이 합격52]

47. 확률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무작위추출방식으로 표본을 추출한다.
     2.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편향(bias)을 방지할 수 있다.
     3. 모집단의 규모와 특성을 알 때 사용할 수 있다.
     4. 표본오차를 추정할 수 있다.
     5. 질적 연구에서 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2,3,4 =    맞는 내용.
5. 확률표집방법 → 양적연구, 비확률표집방법→ 질적연구 방법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cbt01(2021년 19회 시험 준비 중)]

48. 다음 연구주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변수를 구성할 때 변수명(측정 방법), 해당 변수의 종류와 분석가능한 통계수치의 연결이 옳은 것은?(2020년 02월)

    

     1. 아르바이트 경험(유무) - 독립변수, 산술평균
     2. 아르바이트 경험(종류) - 독립변수, 최빈값
     3. 아르바이트 경험(개월 수) - 조절변수, 중간값
     4. 또래집단의 지지(5점 척도) - 독립변수, 산술평균
     5. 삶의 만족(5점 척도) - 매개변수, 산술평균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르바이트 경험이 독립변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종속변수, 또래집단의 지지가 조절변수이다.

최빈값: 가장 빈도가 높은 수, 즉 자료들 중 가장 많은 수.
-의미: 자료의 분표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가진 관찰값. 즉 어떤 도수분포에서 빈도가 가장 많이 발생한 카테고리의 관찰값 임.
-장점: 구하기 쉬움
-단점: 가장 많은 빈도에 포함되지 않은 사례들을 고려하지 않음
-최빈값은 카테고리별 빈도만 알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든 종류의 변수, 즉 명목변수, 서열변수, 등간 변수, 비율변수에서 사용


산술평균: 주어진 수의 합을 수의 개수로 나눈 값.
중간값: 어떤 주어진 값들을 크기의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값

[해설작성자 : 효곰]

[추가 해설]
*산술평균: 각 요소의 총 합을 갯수로 나눈 것.    보편적으로 평균값을 구할때 사용한다.
*기하변수: 각 요소를 곱한후 그 값에 루트를 씌운 값이다. 일반적으로 성장률의 평균 등을 구할때 많이 사용한다.

1.아르바이트 경험(유무)- (독립변수)이며, 순서의 의미나 산술적 계산이나 실제양을 나타내는 변수가 아닌 단지 (명목변수) 이므로
→ 가장 빈도수가 높은 (최빈값)을 구할수 있다.

2.아르바이트 경험(유무)- (독립변수)이며, 숫자나 크기와 상관없는 변수, 즉 (명목변수) 이므로    → 가장 빈도수가 높은 (최빈값)을 구할수 있다.

3.아르바이트 경험(개월수) -(독립변수)이며, 경력을 나타내는 변수, 즉 (비율변수)에 해당하므로 → (기하평균)을 구할수 있다.

4.또래집단의 지지(5점척도)- (조절변수)이며, 5점척도는 순위, 서열,거리에 해당되므로, (등간변수)에 해당하고 → (산술평균)을 구할 수 있다.

5.삶의 만족(5점척도)- (종속변수)이며, 순위, 서열,거리에 해당되므로, (등간변수)에 해당하고 →(산술평균)을 구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cbt01(2021년 19회 첫 시험 준비 중)]

49. 측정 시 나타날 수 있는 체계적 오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코딩 왜곡은 체계적 오류를 발생시킨다.
     2. 익명의 응답은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한다.
     3. 편견 없는 단어는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한다.
     4. 척도구성 과정의 실수는 체계적 오류를 발생시킨다.
     5. 비관여적 관찰은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코딩 왜곡은 측정이 아닌 자료분석 단계에서의 오류이다.

* 단계별 오류발생 원인
1.연구문제와 가설의 설정단계 : 애매한 개념의형성과 불명확한 조작적정의
2.연구방법 설계단계 : 측정도구 내에 불명확하게 표현한 항목들
3.자료수집단계 : 대표성이 결여된 표본수집 및 자료수집 과정
4.자료분석단계 : 코딩이나 컴퓨터 입력시 잘못 입력한 오류
5.연구문제 해석, 연구가설 검증 : 자료분석 과정에서 잘못 해석하는 오류
[해설작성자 : 효곰]

[추가 해설]
코딩왜곡은    체계적 오류가 아닌 → (비체계적 오류: 무작위적 오류)를 발생시킨다.

*부호화 과정에서 자료를 잘못 입력하게 되면
일정한 경향이 없이 무작위로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bt01(2021년 19회 첫 시험 준비 중)]

50. 완전참여자(complete participa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연구대상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알기에 자연적인 상태에서의 관찰이 불가능하다.
     2. 관찰대상과 상호작용 없이 연구대상을 관찰할 수 있다.
     3. 관찰대상의 승인을 받고 관찰대상과 어울리면서도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관찰대상의 승인을 받지 않고 관찰한다는 점에서 연구윤리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5. 관찰 상황을 인위적으로 통제한 상황에서 관찰을 진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완전 참여자: 연구자가 신분과 목적을 알리지 않는 상태에서 연구대상을 관찰하는 사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00854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 인간행동과 성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인간행동은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다르게 표출된다.
     2. 성격을 이해하면 행동의 변화추이를 예측할 수 있다.
     3. 인간행동의 이해와 개입을 위해서는 성격의 이해가 필요하다.
     4. 성격이론은 인간행동의 수정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
     5. 성격은 심리역동적 특성이 있어 일관된 행동을 기대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5번. 성격은 일관성이 있기 때문에(내향적인 사람이 다음날 바로 외향적인 성격이 되지 않는 것처럼) 일관된 행동을 기대할 수 없다는 해당 지문은 옳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안녕하세요]

2.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긍정적ㆍ상승적 변화는 발달로 간주하지만, 부정적ㆍ퇴행적 변화는 발달로 보지 않는다.
     2. 순서대로 진행되고 예측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3. 인간의 전반적 변화를 다루기 때문에 개인차는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4. 키ㆍ몸무게 등의 질적 변화와 인지특성ㆍ정서 등의 양적 변화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5. 각 발달단계에서의 발달 속도는 거의 일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인간발달의 원리 *
1. 일정한 순서 및 방향성
2. 연속성
3. 유전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4. 개인차의 존재
5. 분화와 통합의 과정
6. 점성원리(점성원칙)
7. 결정적 시기의 존재

성장 - 신체 크기의 증대, 근력 증가 등 양적 변화
성숙 - 내적, 유전적 메커니즘에 의한 변화
학습 - 특수한 경험이나 훈련 또는 연습 등에 의한 변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로저스(C. Rogers)의 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비지시적인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공감적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 비심판적 태도는 원조관계에 유용하다.
     4. 클라이언트 자기결정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5. 클라이언트의 과거 정신적 외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로저스는 클라이언트와 진실한 관계를 맺는 것이 치료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라고 하였고, 치료자 자신이 클라이언트와의 촉진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를 스스로 평가해 보아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자기평가는 인본주의적 입장에 서서 사회복지실천을 행하는 사회복지사에게 매우 유용한 지침이 될 수가 있다.
[해설작성자 : 하늘소]

4. 프로이트(S. Freud)의 심리성적발달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남근기: 동성 부모에 대한 동일시의 기제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2. 항문기: 양육자와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최초로 갈등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3. 구강기: 자율성과 수치심을 주로 경험하는 시기이다.
     4. 생식기: 오이디푸스ㆍ엘렉트라 콤플렉스가 강해지는 시기이다.
     5. 잠복기: 리비도(libido)가 항문부위로 집중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영아기
3. 항문기
4. 남근기
5. 항문기
[해설작성자 : 허당]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은 구강기
[해설작성자 : 예지둥]

[추가 오류 신고]
2번 남근기
[해설작성자 : 사복짱]

[추가 오류 신고]
2번은: 구강기가 맞습니다 (신뢰감 VS 불신감)
[해설작성자 : 화이팅]

5. 융(C. Jung)의 분석심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페르소나(persona)는 외부의 요구나 기대에 부응하는 과정에서 생긴 자아의 가면이라고 한다.
     2. 인간을 성(性)적 에너지인 리비도(libido)에 의해 지배되는 수동적 존재로 보았다.
     3. 원형(archetype)이란 개인의 의식 속에 존재하는 유일한 정신기관이다.
     4. 아니무스(animus)는 남성이 억압시킨 여성성이다.
     5. 자아의 기능에서 감각(sensing)과 직관(intuiting)은 이성을 필요로 하는 합리적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2.프로이트
3.틀린설명
4.아니마에 대한 설명
5.융은 성격의 융을 인식기능 감각(지각),직관의 기능[비합리적 기능], 판단기능을 사고,감정의 기능[합리적 기능]으로 보았다
[해설작성자 : 욱이]

6.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어린 시절에 겪었던 과거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엄격한 배변훈련으로 항문보유적 성격이 형성될 수 있다.
     3. 초자아는 성격의 실행자이자 마음의 이성적인 부분이다.
     4. 생식기에는 이성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높아진다.
     5. 남자아이는 남근기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로 인한 거세불안을 경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성격의 조직적이고 합리적이며 현실지향적 체계로서, 성격의 집행자이며 경영자라고 불리는 것은 자아이다.

[추가 해설]
자아 : 성격을 지배하고 통제하고 조절하는 실행자(집행자), 조정자로서의 역할
초자아 : 옳고 그른것을 결정하는 심판자의 역할, 성격의 도덕적인 부분
[해설작성자 : 쨰]

프로이트는 기본적으로 본능(원초아)을 중요시 합니다. 원초아는 누구나 타고나는 본능적인 충동으로 무의식적으로 인간은 행위하며, 이러한 무의식적 행위들은 과거 어린 시절에 심리적으로 결정되어 인간이 자신을 통제 못한다 봅니다. 여기에 현실적인 행동대장 자아가 중재를 하고, 양심을 가진 초자아가 심판자의 역할을 하면서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에서 자아가 갈등 시 자아가 고마하라고 중재를 합니다.
방어기재 시 균형, 강도, 연령의 철회가능, 선택적절성을 판단하여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융(C. Jung)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개인의 성격형성은 과거와 무관함을 주장하였다.
     2. 4가지 정신기능으로 사고, 감정, 판단, 인식을 주장하였다.
     3. 자기(Self)는 개인무의식 내에 존재하는 핵심적인 원형이다.
     4.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은 인간발달의 궁극적 목표이다.
     5. 생애주기에서 중년기와 노년기보다 유년기와 청년기를 강조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융은 인간의 성격발달을 개성화(individuation)의 과정을 통한 자기실현 과정이라고 보았으며, 자기실현을 궁극적인 목표로 보았다.
[해설작성자 : 킹관]

1. 융의 분석심리이론에서는 인간은 과거의 사건들 뿐만 아니라 미래에 무엇을 하기를 열망하는 가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2. 융의 심리적 기능은 사고, 감정 직관, 감각
3. 자기는 집단 무의식 내에 존재하는 타고난 핵심적 원형이다
5. 중년기와 노년기를 아주 중요하게 다루었음.
[해설작성자 : 영나니]

8. 방어기제와 그 예가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반동형성은 억압된 감정이나 욕구가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그것과 정반대의 행동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는 기제
예시)부모에게 꾸중을 들은 아이가 친구나 개에게 화풀이를 하는 것
[해설작성자 : 하현진]

위의 예시는 전치이고,
ㄹ의 부모의 가장 싫은 점을 자신이 닮아가며 그대로 따라하는 행동은 동일시입니다.
[해설작성자 : 1급 화이팅]

반동형성은 용남할 수 없는 감정이나 충동을 정반대의 감정이나 행동으로 대체시켜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른 예시는 '미운 놈에게 떡 하나 더 준다'라는 속담이나, 남편이 바람을 피워 다른 여자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리를 키우면서 과잉보호하는 본부인의 경우 등을 들 수 있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10일전]

9.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의 기본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1월)
     1. 발달은 점성원칙을 따른다.
     2. 인간의 공격성과 성적 충동의 영향력을 강조한다.
     3. 인간을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며, 창조적인 존재로 간주한다.
     4. 인간행동은 의식 수준에서 통제 가능한 자아(ego)에 의해 동기화된다.
     5. 발달단계에서 외부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다룬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해당하는 설명이다

10. 로저스(C. Rogers)의 인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인간의 병리적 관점을 강조한다.
     2. 인간의 주관적 경험을 강조한다.
     3. 인간을 비합리적 존재로 규정한다.
     4. 인간을 무의식적 결정론의 존재로 규정한다.
     5. 인간의 욕구단계를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로저스 - 현상학이론, 인본주의이론:매슬로우와 같이 인간의 본능을 중요시 여김
-인간은 목적지향적이며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존재로 봄
-주관적 경험을 중시
-자기결정권을 중요하게 여김
-무조건적인 긍정
[해설작성자 : 웃지]

11.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위기와 주요 관계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2017년 01월)
     1. 자율성 대 수치감 - 교사
     2. 근면성 대 열등감 - 부모
     3. 통합성 대 절망감 - 동료
     4. 친밀성 대 고립감 - 리더
     5. 정체감 대 역할혼미 - 또래집단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제1단계 : 신뢰감 대 불신감(~생후 1년)
- 부모나 주위세계의 일관성 있는 지지를 받으면 신뢰감을 얻을 수 있지만, 주위의 보호가 부적절 하면 불신감을 갖게 된다.
(2) 제2단계 :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2~3세)
- 부모, 특히 어머니나 주위의 분별력 있는 도움과 격려는 자율성을 키우지만, 과잉보호나 부적절한 도움은 자신의 능력을 의심하게 된다.
(3) 제3단계 : 주도성 대 죄책감(4~5세)
- 주변세계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와 자유는 어린이의 주도성을 발달시키지만,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행동에 죄책감을 갖는다.
(4) 4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6~11세)
- 무엇을 성취하도록 기회를 부여받으면 그 결과 근면성을 갖게 되지만, 비난이나 좌절감을 경험하면 열등감을 갖게 된다.
(5) 제5단계 : 자아정체감 대 정체성 혼란(청년기)
- 정서적 안정과 좋은 역할모델이 있으면 자신에 대한 통찰과 자아정체감을 갖게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직업선택이나 성역할, 가치관의 확립에 있어 심한 갈등을 야기한다.
(6) 제6단계 : 친밀감 대 고립감(성인 전기)
- 부모, 배우자, 동료 등과 좋은 인간관계를 발전시키면 친밀감을 갖지만, 그렇지 못하면 타인에 대한 두려움과 고립감이 생긴다.
(7) 제7단계 : 생산성 대 침체감(성인 중기)
- 자신에게 몰두하기보다는 자녀와 직업을 통해 생산적인 활동에 참여하는데, 만일 그렇지 못하면 사회 심리적으로 침체된다.
(8) 제8단계 : 통합성 대 절망감(성인 후기 혹은 노년기)
- 지금까지의 인생에 만족하면 생의 유한성도 수용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공허함과 초조함을 느끼며 절망감을 느낀다.
[해설작성자 : 1급 합격 기원]

[추가 해설]
1. 교사(x) → 부모,        2.부모(x) → 이웃/학교(교사),     3.동료(x) → 인류/동족,    
4. 리더(x) → 친구,연인,회사동료,     5.또래집단,리더십모델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유아기 (출생~18개월): [신뢰감/불신감] → 어머니(주 양육자)
초기아동기 (18개월~3세) : [자율성/수치심] → 부모
학령전기(유희기) (3~6세):    [주도성/죄의식] → 가족
학령기(6~12세): [근면성/열등감] → 이웃/학교(교사)
청소년기(12~20세): [자아정체감/역활혼란] → 또래집단, 리더십모델
성인초기(20~24세): [친밀감/고립감] →    친구, 연인, 회사 동료
성인기(24~65세): [생산성/ 침체] → 노동의분화, 가사분담
노년기(65세 이후):[자아 통합/절망] → 인류, 동족
[해설작성자 : cbt01]

12.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주요 개념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도식(scheme)
     2. 음영(shadow)
     3. 평형(equilibrium)
     4. 행동조성(shaping)
     5.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반두라 이론의 주요개념
인지, 자기규제, 자기효능, 상호결정, 모방, 관찰학습
[해설작성자 : BearMonkey]

[추가 해설]
사회학습이론 주요 개념
1.도식 →    피아제(인지발달 이론)
2.음영 → 융(분석심리 이론)
3.평형 → 피아제(인지발달 이론)
4.행동조성 → 스키너(행동주의 이론)
5.관찰학습 → 반두라(사회학습 이론)
[해설작성자 : cbt01]

13.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자기강화란 자기 스스로 목표한 일을 달성하고 자신에게 강화물을 주어서 행동을 유지하고 변화해 나가는 과정이다.
     2.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바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3. 관찰학습은 단순한 환경적 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하여 행동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행동을 습득하는 것이다.
     4. 관찰학습의 마지막 단계는 운동재생단계이다.
     5. 인간의 성격은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요소들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관찰학습의 마지막 단계는 동기과정입니다. (주의집중 유지(파지) 운동재생 동기과정)
[해설작성자 : 빡]

반두라 관찰 학습 과정은 이해하면 됩니다.
관찰 학습 단계
1.주의 집중 단계 2. 보존 단계 3.운동재생 단계 4.동기화 단계
[해설작성자 : 탱크39]

14. 콜버그(L. Kohlberg)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전인습적 수준: 사회적인 인정에 관심을 가지고 착한 행동을 함으로써 타인의 인정을 받고자 한다.
     2. 인습적 수준: 개인의 양심에 비추어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3. 인습적 수준: 행동의 결과가 가져오는 보상이나 처벌에 의해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4. 후인습적 수준: 사회질서의 유지를 위해 법과 규칙은 준수되어야 하지만,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한다.
     5. 후인습적 수준: 규칙을 준수하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도덕적 행동이라 생각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전인습적 수준(4~9세 이전) : 처벌에 대한 두려움 & 착한 일에 대한 보상 때문에 규칙을 준수함
인습적 수준(10세 이상) : 사회적 칭찬 & 비난에 대한 회피가 도덕적 행위의 동기로 작용 > 사회적 질서 유지를 위해 규칙 준수
후인습적 수준 (20세 이상) : 정의의 원리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법과 무관하게 자율적 & 독립적 판단이 가능

1. 사회적 인정 때문에 규칙을 준수하는 것은 인습적 수준이다.
2. 양심에 비추어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때문에 후인습적 수준에 대한 설명이다.
3. 보상과 처벌에 의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은 전인습적 수준이다.
4. 정답 : 인습적 수준과 비슷해보일 수 있으나, (정의의 원리에 따라 필요하다면) 민주적 절차를 통해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5. 인습적 수준에 대한 설명이다.

본인의 판단 없이 무작정 법과 규칙을 따르면 인습적 수준,
법과 관계없이 정의의 원리에 따라 자율적인 판단을 하면 후인습적 수준이다
[해설작성자 : yubin532]

15. 브론펜브레너(U. Bronfenbrenner)의 미시체계(micro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개인의 생활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는다.
     2. 조직수준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체계이다.
     3. 개인의 성장 시기에 따라 달라지며 상호호혜성에 기반을 두는 체계이다.
     4.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직업, 자녀의 학교 등을 중시한다.
     5. 개인이 사회관습과 유행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을 표현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미시체계
- 아동이 직접 접하는 환경이나 근접 환경 ex. 가정, 학교, 친구
- 아동의 발달에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영향을 주는 부분
- 모든 관계가 상호적
[해설작성자 : 구구뀨]

1. 외체계(간접적으로 영향을 줌)
2. 중간체계, 거시체계?
3.(정답) 미시체계
4. 중간체계(hint. 부모의 직업, 자녀의 학교)
5. 중간체계(hint. 사회관습, 유행)
[해설작성자 : 원트만에 붙고싶은 사복 예비졸업생]

16. 태내기의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1월)
     1. 배아기는 수정 후 약 2-8주 사이를 말한다.
     2. 임신 16주경이 되면 산모는 태아의 움직임을 알 수 있다.
     3. 터너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은 염색체 이상으로 나타난다.
     4. 임신 2-3개월이 되면 배아는 인간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다.
     5. 일반적으로 임신 3개월 혹은 13주가 되면 조산아의 생존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0주 정도가 지나면 조산아보육기에서의 생존이 가능해지므로 임신 210일을 생존가능연령이라고 부른다.
[해설작성자 : 감자맨]

17. 다음의 이론과 그 기본 가정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8년 01월)
     1.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정신결정론
     2.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 - 상호결정론
     3. 스키너(B. F. Skinner)의 행동주의이론 - 환경결정론
     4.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 정신결정론
     5. 매슬로우(A. Maslow)의 인본주의이론 - 환경결정론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스키너는 인간행동에 영향을 주는 근원으로 환경을 강조함 즉 인간행동은 내면보다 외적인 환경자극에 의해 동기화
[해설작성자 : 민근당근민당근철]

정신결정론 - 프로이드 정신분석 이론
상호결정론 -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환경결정론 - 스키너 행동주의 이론
[해설작성자 : 빡]

18. 피아제(J. Piaget)의 감각운동기의 발달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대상을 특징에 따라 분류(classification)한다.
     2. 대상을 연속(seriation)적인 순서에 따라 배열한다.
     3. 대상의 질량 혹은 무게가 형태 및 위치에 따라 변하여도 보존(conservation)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을 획득한다.
     5. 조합기술(combination skill)을 획득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감각운동기는 언어발생이전이라 말로하지 못하닌간 몸으로 보여주는 실천적.     증명하는 습성이 대상연속성이라한다
1. 분류    2.연속,서열 3. 보존 -구체적조작기 이다.
5. 조합기술-형식적조작기 이다

출처-고병갑교수님 문제풀이강의
[해설작성자 : 18년 합격을 위하여 ]

5. 조합기술을 구체적조작기 조합사고가 형식적조작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2noong]

4. 대상영속성 획득 - 전조작기
감각운동기의 경우 대상영속성 이해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

19. 청년기(20-34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신체적 기능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이다.
     2. 주요 발달과업은 진로 및 직업선택, 혼인준비 등이다.
     3. 발달과업에서 신체적 요소보다는 사회문화적 요소를 중요시한다.
     4. 아동기 이후 인생의 과도기로서 신체적ㆍ성적 성숙이 빠르게 진행된다.
     5. 에릭슨(E. Erikson)의 발달단계에서 친밀감 대 고립감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4번은 청소년기 설명
[해설작성자 : MJ]

20. 유아기(3-6세) 혹은 아동기(7-12세)의 주요 발달과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1월)
     1. 애착관계 형성
     2. 또래관계 증진
     3. 도덕 및 가치체계 발달
     4. 성역할 습득
     5. 학습기술 습득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애착형성은 영아기의 발달과업에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1급 가즈아]

21. 인생 주기별 발달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영아기(0-2세)에는 거식증이 나타난다.
     2. 유아기(3-6세)는 주도성 대 죄의식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경험한다.
     3. 아동기(7-12세)에는 자기중심성이 완화되고 역할수용이 가능하다.
     4. 청소년기(13-19세)에는 상상의 청중 및 개인적 우화가 나타난다.
     5. 노년기(65세 이상)는 자아통합의 시기이며 사회관계망의 축소로 사회적 역할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거식증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으채]

22. 청소년기(13~19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신체적 성장이 급속히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2의 성장급등기라고 한다.
     2. 어린이도 성인도 아니라는 점에서 주변인이라고 불린다.
     3. 상상적 청중과 개인적 우화는 청소년기에 타인을 배려하는 사고가 반영된 예이다.
     4.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과정 중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된다.
     5. 정서적 변화가 급격히 일어난다는 점에서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상상적 청중은 내 주위의 사람들이 나의 생각과 행동에 나만큼 관심을 가진다는 믿음이고 개인적 우화는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특별하다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효곰]

아동기에 자기중심성이 완화 되었다가 다시 청소년기에 질풍노도의 2차 반항기 접어 들면서 타인의 사고를 배려 못하는 자기중심성의 역할 혼란을 가져옵니다. 그래서 오이디푸스 컴플렉스가 다시 등장하기도 하기에 심리적 유예기에 성인이 직접 해결책 보단 원조와 지지를 해줘야 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중년기(40-64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에릭슨(E. Erikson)에 의하면 “생산성 대 침체”라는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게 되면 돌봄(care)의 덕목을 갖추게 된다.
     2. 유동성 지능(fluid intelligence)은 높아지며 문제해결능력도 향상될 수 있다.
     3. 자아통합이 완성되는 시기로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를 시도한다.
     4. 갱년기 증상은 여성에게 나타나고 남성은 경험하지 않는다.
     5. 융(C. Jung)에 의하면 남성에게는 아니무스가, 여성에게는 아니마가 드러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유동성 지능은 저하되고 결정성 지능이 높아진다.
3. 노년기에 해당
4. 남성과 여성 모두 갱년기 증상이 나타남
5. 남성에게는 아니마가 여성에게는 아니무스가 드러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다음 학자와 그의 주요 기법이 옳게 연결된 것은?(2022년 01월)
     1. 반두라(A. Bandura) - 행동조성
     2. 로저스(C. Rogers) - 타임아웃
     3. 스키너(B. Skinner) - 모델링
     4. 피아제(J. Piaget) - 가족조각
     5. 프로이트(S. Freud) - 자유연상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스키너 : 행동형성
행동주의 치료기법 : 타임아웃
반두라 : 모델링
사티어 : 가족조각
[해설작성자 : 다같이 합격]

25. 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역할분화가 이루어진다.
     2. 사회화의 기능을 수행한다.
     3. 구성원들이 감정을 공유하며 규범과 목표를 수립한다.
     4.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형성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한다.
     5. 구성원들을 지지하고 자극시키는 힘을 가지기 때문에 긍정적 기능만을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5 집단은 긍정적인 기능을 목표로하지만 항상 긍정적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19회 자격증 꼭 합격 ]

26. 다음 중 질적 연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1월)
     1. 문화기술지(ethnography)연구
     2. 심층사례연구
     3. 사회지표조사
     4. 근거이론연구
     5. 내러티브(narrative)연구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사회지표조사 -양적조사
지문외 질적연구에 현상학도 포함됨
[해설작성자 : 우땡이]

27. 조사연구과정의 일부이다. 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5년 01월)

    

     1. ㄱ - ㄴ - ㄷ - ㄹ
     2. ㄱ - ㄷ - ㄴ - ㄹ
     3. ㄱ - ㄷ - ㄹ - ㄴ
     4. ㄷ - ㄱ - ㄹ - ㄴ
     5. ㄷ - ㄹ - ㄱ - ㄴ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문제설정 - 가설 - 조사설계 - 자료수집 - 자료분석 - 해석 - 보고 순이다.
설문지 작성은 조사설계 단계에서
[해설작성자 : bing]

28. 변수와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1월)

    

     1. ㄱ,ㄴ
     2. ㄱ,ㄹ
     3. ㄱ,ㄴ,ㄹ
     4. ㄴ,ㄷ,ㄹ
     5. ㄱ,ㄴ,ㄷ,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변수(variable)란 개념의 경험적인 상대역으로, 변수와 개념은 종종 구분되지 않고 쓰이기도 한다. 엄격히 구분하자면, 개념은 추상적인 것이며 변수는 그것에 대한 일종의 조작화인 셈이다. 모든 개념들이 변수는 아니지만, 모든 변수들은 개념이다. 즉 변수는 개념의 한 특수한 형태를 지칭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29. 사회복지조사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5년 01월)

    

     1. ㄱ → ㄴ → ㅁ → ㄷ → ㄹ
     2. ㄴ → ㄱ → ㄷ → ㄹ → ㅁ
     3. ㄴ → ㄷ → ㄱ → ㅁ → ㄹ
     4. ㄷ → ㄱ → ㄹ → ㅁ → ㄴ
     5. ㄷ → ㄴ → ㄱ → ㄹ → ㅁ

     정답 : []
     정답률 : 68%

30. 다음 ( )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ㄱ: 외생변수, ㄴ: 더미변수, ㄷ: 종속변수, ㄹ: 조절변수
     2. ㄱ: 외생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ㄹ: 더미변수
     3. ㄱ: 선행변수, ㄴ: 조절변수, ㄷ: 종속변수, ㄹ: 외생변수
     4. ㄱ: 선행변수, ㄴ: 매개변수, ㄷ: 외생변수, ㄹ: 조절변수
     5. ㄱ: 선행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ㄹ: 외생변수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매개변수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징검다리 역할
조절변수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31. 다음 연구과제의 변수들을 측정할 때 ㄱ~ㄹ의 척도유형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2023년 01월)

    

     1. ㄱ: 명목, ㄴ: 명목, ㄷ: 명목, ㄹ: 명목
     2. ㄱ: 명목, ㄴ: 서열, ㄷ: 서열, ㄹ: 명목
     3. ㄱ: 명목, ㄴ: 서열, ㄷ: 명목, ㄹ: 비율
     4. ㄱ: 명목, ㄴ: 등간, ㄷ: 명목, ㄹ: 명목
     5. ㄱ: 명목, ㄴ: 등간, ㄷ: 서열, ㄹ: 비율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ㄱ~ㄹ모두 명목변수이다. 명목변수란, 어떤 사물의 속성을 질적인 특성에따라 상호배타적인 몇 개의 카테고리로만 나눴을 뿐, 특정한 서열이나 수치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해설작성자 : 성실한 민수씨]

32. 다음 연구 상황에 유용한 조사유형은?(2020년 02월)

    

     1. 평가적 연구
     2. 기술적 연구
     3. 설명적 연구
     4. 탐색적 연구
     5. 척도개발 연구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조사목적에 따른 유형: 1)탐색적 조사 2)기술적 조사 3)설명적 조사

*시간차원에 따른 유형: 1)횡단적 조사 2)종단적 조사(패널조사,경향조사,동년배조사)

*기타 조사유형
조사대상 범위에 따른 유형: 1)전수조사    2)표본조사
자료수집 성격에 따른 분류 : 1)양적조사     2)질적 조사
용도에 따른 분류: 1)순수조사                2)응용조사
기타유형: 1)현지조사                2)실험조사
----------------------------------------------

탐색적 연구: 사전 연구들이나 알려진 지식들이 현재로서 충분하지 않을 때 행해지는 조사(예비조사)방법
ex) 문헌조사/경험자조사/전문가 조사/특례조사

기술적 연구: 대규모 서베이를 통해 조사대상자의 현황을 전체적으로 나타내고자 할때 행해지는 조사방법
(현상의 분포,크기, 발생빈도,비율)
ex) 인구주택총조사, 실태조사, 여론조사

설명적 연구: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거나, 미래의 사실을 예측 하고자 할때 행해지는 조사방법
[해설작성자 : cbt01(2021년 19회 첫 시험 준비 중)]

33. 다음 조합된 단어들과 동일한 논리적 구성을 가진 것은?(2017년 01월)

    

     1. 이론화 : 개념 : 가설
     2. 이론화 : 가설 : 개념
     3. 조작화 : 변수 : 가설
     4. 조작화 : 가설 : 변수
     5. 조작화 : 개념 : 가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개념화 → 개념 → 명제(=2개 이상의 개념 포함)
조작화 → 변수 → 가설(=2개 이상의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논술)
[해설작성자 : 거석]

34.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ㄱ, ㄴ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리커트 척도는 서열척도이다.
[해설작성자 : 미운오리]

35. 델파이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견해를 파악한다.
     2. 되풀이 되는 조사 과정을 통해 합의를 도출한다.
     3. 반대 의견에 대한 패널 참가자들의 감정적 충돌을 줄일 수 있다.
     4. 패널 참가자의 익명성 보장에 어려움이 있다.
     5. 조사 자료의 정리에 연구자의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참가자의 익명성 보장이 이루어지는 조사방법으로는 우편조사와 그 안에서의 델파이조사가 있다. 즉, 델파이조사는 패널 참가자의 익명성 보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성실한 민수씨]

36.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측정은 연구대상의 속성에 대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2. 사회과학에서는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특질 자체를 측정하기 보다는 특질을 나타내는 지표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3. 보가더스(Bogardus)의 사회적 거리척도는 등간척도의 한 종류이다.
     4. 리커트(Likert) 척도는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적인 경향이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5. 측정항목의 수를 많게 하면 신뢰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추가로 보가더스 척도는 서열척도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조사연구의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연구문제의 발견 및 설정은 조사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2. 가설은 연구문제와 그 이론에 따라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연구문제설정은 가설설정과 조사설계의 전 단계이다.
     4. 연구문제설정에서 비용, 시간, 윤리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5. 조사연구과정은 자료의 분석으로 마무리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조사연구과정은 보고서 제출의 단계로 마무리 됩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8일전]

38.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이 결혼이민자 가정 자녀들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 때 자아정체감의 차이를 불러올 수 있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2019년 01월)
     1. 산출변수
     2. 외생변수
     3. 투입변수
     4. 종속변수
     5. 전환변수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외생변수 : 가식적인 관계를 만드는 제 3의 변수( 두 개의 변수 간에 상관관계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식적인 관계)
4.종속변수 : '결과변수'라고도 함,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라 자연히 변하는 것(결과적인 예측변수)
[해설작성자 : 유나짱]

[추가 해설]
A: 독립변수(원인):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 ,    B: 종속변수(결과): 자아정체감 , C: 외생변수(제3의변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A(독립변수)← C(제3의 변수)→ B(종속변수)

외생변수(C) : 원래 관계가 없는 A와 B사이가    → 관계 있는 것처럼 연결해주는 → 가식적(허위)관계.
* 여기서 C(제3의 변수)가 사라지면    A→B 관계가 성립하지 않고 사라짐.
[해설작성자 : cbt01(2021년 19회 첫 시험 준비 중)]

39. 실험설계에서 무작위할당으로 예방할 수 있는 문제는?(2016년 01월)
     1. 낮은 응답률
     2. 과다한 연구비용
     3. 과다한 표본추출오차
     4. 연구 일정의 지연
     5. 우연한 사건의 영향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우연한 사건(외부/역사요인), 성장(성숙,시간), 검사(시험,주시험: 사전사후검사영향), 도구요인(사전,사후검사때 다른 도구사용), 통계적 회귀(평균값회귀), 피험자 상실, 편향된 선별(외적요인)]을 통제하는 최선책은 무작위할당이다
[해설작성자 : 거석]

40. 단일사례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1월)

    

     1. ㄱ, ㄴ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ㄴ. ABAC설계는 선행 효과(이월 효과)의 통제가 불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성실한 민수씨]

41. 표집오차(sampling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표본의 선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이다.
     2. 표집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동일한 조건이라면 표본크기가 클수록 감소한다.
     4. 모집단의 크기와 표본크기의 차이를 말한다.
     5. 동일한 조건이라면 이질적 집단보다 동질적 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표집오차가 작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표집오차란 모집단 값과 표본의 값 간의 차이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1급 합격하자]

42. 과학적 조사가 필요한 사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01월)
     1.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갈등을 해소할 필요가 있을 때
     2. 결혼이주민 조사시 연구자의 문화적 편견을 검토하고 싶을 때
     3. 주민대표자의 응답이 전체 주민의 의견을 대표하는지 알고 싶을 때
     4. 정량평가 외에 정성평가를 체계화하고 싶을 때
     5. 선임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지식이 타당한지 알고 싶을 때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과학적 조사에 윤리적 실천은 포함되어있지 않다.
[해설작성자 : 하이]

43.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실험대상의 탈락
     2. 외부사건(history)
     3. 통계적 회귀
     4. 개입의 확산 또는 모방
     5. 연구 참여자의 반응성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2,3,4는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임
[해설작성자 : 중재]

외적 타당도 저해 요인
= 표본의 대표성, 연구환경과 절차, 실험조사에 대한 반응성, 위약효과 등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44. 다음의 조사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인과적 추론 정도가 무작위 배정을 하지 않은 실험설계보다 낮다.
     2. 외생변수 통제, 독립변수 조작, 종속변수의 비교 등에 한계가 있을 때 주로 활용한다.
     3. 개입 전에 두 집단의 동질성을 가정할 수 없다.
     4. 정태적 집단비교 설계(static-group comparison design)에 해당된다.
     5. 전실험설계(pre-experimental design)보다 내적타당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예시의 조사설계방법은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무작위 할당(R) 한 후,
사전검사 없이 실험처치 이후 종속변수의 변화를 측정했다.

두개 집단으로 나눠, 사전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실험처치를 하였기에 '통제집단 사후검사설계'이다.
통제집단 사후검사설계는 순수실험설계의 한 종류이다.

1. 무작위 할당을 진행했기에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어 인과성 검증이 더 높다. (순수실험설계의 특징)
2. 유사실험설계에 대한 설명이다.
3. 무작위 할당을 진행했기에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다.
4. 정태적 집단 비교 설계가 아닌 통제집단 사후검사설계이다.
5. 전실험설계란 실험설계의 기본요소가 부족함에도 현실적 요건을 고려해 실험하는 설계이다.
통제집단 사후검사설계의 경우, 순수실험설계로 높은 내적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5번

(팁 : 전실험설계는 기본요소가 부족한 실험설계이기 때문에 순수실험설계에 비해 전반적으로 내적/외적 타당도가 낮다.)
[해설작성자 : 정답률 18퍼 문제 어렵다..]

45. 설문지 문항의 작성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1월)
     1. 이중(double-barreled)질문과 유도질문은 피하는 것이 좋다.
     2. 신뢰도 측정을 위해 짝(pair)으로 된 문항들은 함께 배치하는 것이 좋다.
     3. 응답하기 쉬운 문항일수록 설문지의 앞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4. 일반적인 것을 먼저 묻고 특수한 것을 뒤에 묻는 것이 좋다.
     5. 객관식 문항의 응답 항목은 상호배타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설문지 문항의 신뢰도는 문항의 일관성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문항을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짝(pair)으로 된 문항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응답자가 동일한 경향으로 답변할 가능성이 높아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갑]

46. 자료수집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질문의 유형과 형태를 결정할 때 조사대상자의 응답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설문문항 작성 시 이중질문(double-barreled question)을 넣어야 한다.
     3. 비참여관찰법은 연구자가 관찰대상과 상호작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설문지에서 질문 순서는 무작위 배치를 원칙으로 한다.
     5. 우편조사는 프로빙(probing) 기술이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심층탐구(심층규명,캐묻기,probing) 수행하는 데 유리한 건 면접!
[해설작성자 : 다같이 합격52]

47. 확률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무작위추출방식으로 표본을 추출한다.
     2.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편향(bias)을 방지할 수 있다.
     3. 모집단의 규모와 특성을 알 때 사용할 수 있다.
     4. 표본오차를 추정할 수 있다.
     5. 질적 연구에서 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2,3,4 =    맞는 내용.
5. 확률표집방법 → 양적연구, 비확률표집방법→ 질적연구 방법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cbt01(2021년 19회 시험 준비 중)]

48. 다음 연구주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변수를 구성할 때 변수명(측정 방법), 해당 변수의 종류와 분석가능한 통계수치의 연결이 옳은 것은?(2020년 02월)

    

     1. 아르바이트 경험(유무) - 독립변수, 산술평균
     2. 아르바이트 경험(종류) - 독립변수, 최빈값
     3. 아르바이트 경험(개월 수) - 조절변수, 중간값
     4. 또래집단의 지지(5점 척도) - 독립변수, 산술평균
     5. 삶의 만족(5점 척도) - 매개변수, 산술평균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르바이트 경험이 독립변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종속변수, 또래집단의 지지가 조절변수이다.

최빈값: 가장 빈도가 높은 수, 즉 자료들 중 가장 많은 수.
-의미: 자료의 분표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가진 관찰값. 즉 어떤 도수분포에서 빈도가 가장 많이 발생한 카테고리의 관찰값 임.
-장점: 구하기 쉬움
-단점: 가장 많은 빈도에 포함되지 않은 사례들을 고려하지 않음
-최빈값은 카테고리별 빈도만 알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든 종류의 변수, 즉 명목변수, 서열변수, 등간 변수, 비율변수에서 사용


산술평균: 주어진 수의 합을 수의 개수로 나눈 값.
중간값: 어떤 주어진 값들을 크기의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값

[해설작성자 : 효곰]

[추가 해설]
*산술평균: 각 요소의 총 합을 갯수로 나눈 것.    보편적으로 평균값을 구할때 사용한다.
*기하변수: 각 요소를 곱한후 그 값에 루트를 씌운 값이다. 일반적으로 성장률의 평균 등을 구할때 많이 사용한다.

1.아르바이트 경험(유무)- (독립변수)이며, 순서의 의미나 산술적 계산이나 실제양을 나타내는 변수가 아닌 단지 (명목변수) 이므로
→ 가장 빈도수가 높은 (최빈값)을 구할수 있다.

2.아르바이트 경험(유무)- (독립변수)이며, 숫자나 크기와 상관없는 변수, 즉 (명목변수) 이므로    → 가장 빈도수가 높은 (최빈값)을 구할수 있다.

3.아르바이트 경험(개월수) -(독립변수)이며, 경력을 나타내는 변수, 즉 (비율변수)에 해당하므로 → (기하평균)을 구할수 있다.

4.또래집단의 지지(5점척도)- (조절변수)이며, 5점척도는 순위, 서열,거리에 해당되므로, (등간변수)에 해당하고 → (산술평균)을 구할 수 있다.

5.삶의 만족(5점척도)- (종속변수)이며, 순위, 서열,거리에 해당되므로, (등간변수)에 해당하고 →(산술평균)을 구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cbt01(2021년 19회 첫 시험 준비 중)]

49. 측정 시 나타날 수 있는 체계적 오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코딩 왜곡은 체계적 오류를 발생시킨다.
     2. 익명의 응답은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한다.
     3. 편견 없는 단어는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한다.
     4. 척도구성 과정의 실수는 체계적 오류를 발생시킨다.
     5. 비관여적 관찰은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코딩 왜곡은 측정이 아닌 자료분석 단계에서의 오류이다.

* 단계별 오류발생 원인
1.연구문제와 가설의 설정단계 : 애매한 개념의형성과 불명확한 조작적정의
2.연구방법 설계단계 : 측정도구 내에 불명확하게 표현한 항목들
3.자료수집단계 : 대표성이 결여된 표본수집 및 자료수집 과정
4.자료분석단계 : 코딩이나 컴퓨터 입력시 잘못 입력한 오류
5.연구문제 해석, 연구가설 검증 : 자료분석 과정에서 잘못 해석하는 오류
[해설작성자 : 효곰]

[추가 해설]
코딩왜곡은    체계적 오류가 아닌 → (비체계적 오류: 무작위적 오류)를 발생시킨다.

*부호화 과정에서 자료를 잘못 입력하게 되면
일정한 경향이 없이 무작위로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bt01(2021년 19회 첫 시험 준비 중)]

50. 완전참여자(complete participa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연구대상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알기에 자연적인 상태에서의 관찰이 불가능하다.
     2. 관찰대상과 상호작용 없이 연구대상을 관찰할 수 있다.
     3. 관찰대상의 승인을 받고 관찰대상과 어울리면서도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관찰대상의 승인을 받지 않고 관찰한다는 점에서 연구윤리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5. 관찰 상황을 인위적으로 통제한 상황에서 관찰을 진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완전 참여자: 연구자가 신분과 목적을 알리지 않는 상태에서 연구대상을 관찰하는 사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00854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복지사, 1급, 1교시,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90 수산양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89 F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2008542)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87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5086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85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84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2월03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83 컨벤션기획사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82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8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81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시스템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5080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1553891)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79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4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78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8일)(3094555)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5077 식품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76 제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4
5075 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74 승강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7
5073 자기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72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5071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8 5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74 Next
/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