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하지 않을 때에는 TIG 용접의 텅스텐 전극봉을 제거하거나 노즐 뒷쪽으로 밀어 넣는다.
라.
홀더나 용접봉은 절대로 맨손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10.
강판용접 중 산화철을 환원시키기 위해 탈산제를 사용하는데 다음 반응식 중 맞는 것은?(2010년 03월)
가.
FeO + Mn ⇄ Fe + MnO
나.
FeO + Mg ⇄ Fe + MgO2
다.
FeO + Al ⇄ Fe + Al2O3
라.
FeO + Ti ⇄ Fe + TiO2
정답 : [
1
] 정답률 : 51%
11.
다음 중 발화성 물질이 아닌 것은?(2011년 07월)
가.
카바이드
나.
금속나트륨
다.
황린
라.
질산에텔
정답 : [
4
] 정답률 : 36%
12.
용접 변형의 교정법에서 점 수축법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6년 07월)
가.
100~200℃, 20초
나.
300~400℃, 20초
다.
500~600℃, 30초
라.
700~800℃, 30초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접변형 교정법 1. 냉간 가압법 : 실온에서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타격법, 롤러법, 피닝법 2. 국부가열 냉각법 : 변형이 생긴 용접구조 부재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그 즉시 냉각시켜 수축에 따르는 이장응력을 발생 시켜 그 장력을 이용하여 굽힘변형을 교정하는 방법 3. 가열 가압법 : 변형이 생긴 부분을 가열하여 열간가공 온도로 하여 압력을 가하여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연강-500~600도) 4. 박판의 좌굴 변형 방지법 : 모재판 만에 인장구속응력을 주어 인장상태 그대로 Frame과 용저함으로써 용접변형을 방지 하는 응력법과 모재판 만을 가열하여 열팽창을 일으킨 상태에서 Frame과 용접함으로써 용접변형을 방지하는 가열법이 있다. [해설작성자 : 청주-한국전산직업전문학교-용접과]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수축시키기 위한 온도가 5-600도 500도 미만= 열 팽창부족->수축효과 낮음->교정효과 낮음 600도 초과= 금속 조직변화, 강도 저하, 과열로 과대변형 발생위험
30초인 이유는 일반적으로 토치로 가열했을 때 약 30초정도면 다음 조건충족 1. 목표온도 500-600도 도달 2. 가열범위가 불필요하게 넓어지지않음 3. 식는 과정에서 집중된 수축력생성 즉, 30초가열은 가열효과와 최적의 품질을 고려한 최적의 시간 [해설작성자 : 출소자]
13.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가.
가시용접으로 용접시 용착부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다.
나.
용융속도와 용착속도가 빠르며 용입이 깊다.
다.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라.
비드 외관이 아름답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장점 -용제의 단열 작용으로 용입을 크게 할 수 있어 능률적이다 -용착금속의 품질이 양호 -용접속도가 수동용접에 비하여 빠르다(10~20배) -용접후 변형이 적다 -대량생산가능 -용접사의 고도의 기술이 불필요 하다 -이음의 신뢰가 좋다
단점 -아크가 보이지 않아 용입 상태의 판별이 곤란하다. -짧은 직석은 비능률적이고 곡선은 곤란하다. -홈 가공이 정밀해야 한다 -설비비가 많이 든다 -아래보기 및 수평 필렛 자세에 한정 -습기에 민감하므로 용제 관리 철저 [해설작성자 : 올해는 결혼 할수 있을까?]
14.
용접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가.
유밀, 수밀 기밀성이 우수하다.
나.
용접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다.
품질 검사와 보수가 용이하다.
라.
재료의 두께에 제한이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품질 검사와 보수가 까다롭다. [해설작성자 : 오야토토토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구조용 부분품이나 제지용 롤러 등에 이용되며 열처리에 의하여 니켈-크롬주강에 비교될 수 있을 정도의 기계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저망간 주강의 조직은?(2011년 07월)
가.
마텐자이트
나.
펄라이트
다.
페라이트
라.
시멘타이트
정답 : [
2
] 정답률 : 36%
41.
60%Cu – 40%Zn 황동으로 복수기용 판, 볼트, 너트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2015년 10월)
가.
톰백(Tombac)
나.
길딩메탈(Gilding metal)
다.
문쯔메탈(Muntz metal)
라.
애드미럴티메탈(Admiralty metal)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톰백 90% Cu - 10% Zn = 톰백의 대표적인것. 메달,뱃지 등 쓰임
2. 길딩메탈 95% Cu - 5% Zn = 동전, 메달용
3. 문쯔메탈 60% Cu - 40% Zn
4. 애드미럴티메탈 7.3황동 + Sn 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다음 중 강의 표면경화법에 있어 침탄법과 질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가.
침탄법은 경도가 질화법보다 높다.
나.
질화법은 질화처리 후 열처리가 필요 없다.
다.
침탄법은 고온가열시 뜨임되고, 경도는 낮아진다.
라.
질화법은 침탄법에 비하여 경화에 의한 변형이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침탄법 1. 경도가 질화법보다 낮다. 2. 침탄 후의 열처리가 필요하다. 3. 침탄 후 수정 가능. 4. 고온으로 가열되면 뜨임이되고, 경도가 낮아진다. 5. 경화에 의한 변형이 생긴다. 6. 처리시간이 짧고, 처리비용이 싸다.
질화법 1. 경도가 침탄법보다 높다. 2. 질화 후 열처리가 필요없다. 3. 질화 후 수정 불가능. 4.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경도 변화없다. 5. 경화에 의한 변형이 없다. 6. 처리시간이 길고, 처리비용이 비싸다. [해설작성자 : 고휴지]
43.
Al-Si계 합금의 조대한 공정조직을 미세화하기 위하여 나트륨(Na), 수산화나트륨(NaOH), 알칼리염류 등을 합금 용탕에 첨가하여 10~15분간 유지하는 처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4년 10월)
가.
시효 처리
나.
폴링 처리
다.
개량 처리
라.
응력제거 풀림처리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량처리란 Al-Si계 합금의 조대한 공정조직을 미세화하기 위하여 나트륨(Na), 수산화나트륨(NaOH), 알칼리염류 등을 합금 용탕에 첨가하여 10~15분간 유지하는 거리는? [해설작성자 : 부기공 산설 최강]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4.
Al의 표면을 적당한 전해액 중에서 양극 산화처리하면 표면에 방식성이 우수한 산화 피막층이 만들어진다. 알루미늄의 방식 방법에 많이 이용되는 것은?(2016년 07월)
가.
규산법
나.
수산법
다.
탄화법
라.
질화법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양극산화법(Anodic Oxidation Method, Anodizing) 1) 개요 알루미늄(Al)은 화학적으로 활성인 금속으로 산소(O2)와 반응하여 Barrier 형인 치밀한 산화피막인 알루미나(Al2O3)를 형성하여 그 이상의 내부 산화를 방지한다. Al 또는 Al 합금을 황산(H2SO4), 수산(C2H2O4-2H2O), 크롬산(H2CrO4) 등의 용액에 담궈서 양극으로 하고 전해하면 양극 산화하여 이들 표면에 양극산화피막인 Al2O3-xH2O 가 형성되어 Al 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표면경도를 향상시키며, 이 공정을 Alumite 라고 합니다.
2) 양극산화법의 종류 및 특징 가) 전해액의 종류에 따른 분류 i) 황산법 . 전해액 : 황산(H2SO4) . 특징 : 가장널리 쓰임, 경제적, 투명한 피막, 내식 내마모성 우수, 유지용이, 좋은 착색력. ii) 수산법 . 전해액 : 수산(= 옥살산, C2H2O4-2H2O) . 특징 : 두껍고 강한 피막, 내식성 우수, 용액 가격이 고가임, 순수 Al 의 경우 내식성등 최우수 피막, 순도가 낮은 피막에서도 피막의 광택이 좋음. iii) 크롬산법 . 전해액 : 크롬산(H2CrO4) . 특징 : 반투명이나 에나멜과 같은 외관. 광학기계, 가전제품 및 전기통신기기 등에 사용. 나) 피막 두께에 의한 분류 i) 연질 양극산화법 . 상온의 전해액 / 20μm 이하의 피막. 일정한 조도 형성을 위해 Anodizing 전 Sand Blast를 하기도함. Heater 등 고온 공정의 Part 에 주로 적용. ii) 경질 양극산화법 . 전해액 온도 0℃ / 20μm 이상의 피막. 일반적인 Anodizing Part. [해설작성자 : Mokdor]
45.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가장 효과적인 원소는?(2010년 07월)
가.
Zn
나.
Sn
다.
Cr
라.
Mg
정답 : [
3
] 정답률 : 48%
46.
구상흑연주철은 주조성, 가공성 및 내마멸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구상흑연주철 제조 시 구상화제로 첨가되는 원소로 옳은 것은?(2016년 04월)
용접하지 않을 때에는 TIG 용접의 텅스텐 전극봉을 제거하거나 노즐 뒷쪽으로 밀어 넣는다.
라.
홀더나 용접봉은 절대로 맨손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10.
강판용접 중 산화철을 환원시키기 위해 탈산제를 사용하는데 다음 반응식 중 맞는 것은?(2010년 03월)
가.
FeO + Mn ⇄ Fe + MnO
나.
FeO + Mg ⇄ Fe + MgO2
다.
FeO + Al ⇄ Fe + Al2O3
라.
FeO + Ti ⇄ Fe + TiO2
정답 : [
1
] 정답률 : 51%
11.
다음 중 발화성 물질이 아닌 것은?(2011년 07월)
가.
카바이드
나.
금속나트륨
다.
황린
라.
질산에텔
정답 : [
4
] 정답률 : 36%
12.
용접 변형의 교정법에서 점 수축법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6년 07월)
가.
100~200℃, 20초
나.
300~400℃, 20초
다.
500~600℃, 30초
라.
700~800℃, 30초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접변형 교정법 1. 냉간 가압법 : 실온에서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타격법, 롤러법, 피닝법 2. 국부가열 냉각법 : 변형이 생긴 용접구조 부재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그 즉시 냉각시켜 수축에 따르는 이장응력을 발생 시켜 그 장력을 이용하여 굽힘변형을 교정하는 방법 3. 가열 가압법 : 변형이 생긴 부분을 가열하여 열간가공 온도로 하여 압력을 가하여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연강-500~600도) 4. 박판의 좌굴 변형 방지법 : 모재판 만에 인장구속응력을 주어 인장상태 그대로 Frame과 용저함으로써 용접변형을 방지 하는 응력법과 모재판 만을 가열하여 열팽창을 일으킨 상태에서 Frame과 용접함으로써 용접변형을 방지하는 가열법이 있다. [해설작성자 : 청주-한국전산직업전문학교-용접과]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수축시키기 위한 온도가 5-600도 500도 미만= 열 팽창부족->수축효과 낮음->교정효과 낮음 600도 초과= 금속 조직변화, 강도 저하, 과열로 과대변형 발생위험
30초인 이유는 일반적으로 토치로 가열했을 때 약 30초정도면 다음 조건충족 1. 목표온도 500-600도 도달 2. 가열범위가 불필요하게 넓어지지않음 3. 식는 과정에서 집중된 수축력생성 즉, 30초가열은 가열효과와 최적의 품질을 고려한 최적의 시간 [해설작성자 : 출소자]
13.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가.
가시용접으로 용접시 용착부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다.
나.
용융속도와 용착속도가 빠르며 용입이 깊다.
다.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라.
비드 외관이 아름답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장점 -용제의 단열 작용으로 용입을 크게 할 수 있어 능률적이다 -용착금속의 품질이 양호 -용접속도가 수동용접에 비하여 빠르다(10~20배) -용접후 변형이 적다 -대량생산가능 -용접사의 고도의 기술이 불필요 하다 -이음의 신뢰가 좋다
단점 -아크가 보이지 않아 용입 상태의 판별이 곤란하다. -짧은 직석은 비능률적이고 곡선은 곤란하다. -홈 가공이 정밀해야 한다 -설비비가 많이 든다 -아래보기 및 수평 필렛 자세에 한정 -습기에 민감하므로 용제 관리 철저 [해설작성자 : 올해는 결혼 할수 있을까?]
14.
용접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가.
유밀, 수밀 기밀성이 우수하다.
나.
용접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다.
품질 검사와 보수가 용이하다.
라.
재료의 두께에 제한이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품질 검사와 보수가 까다롭다. [해설작성자 : 오야토토토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구조용 부분품이나 제지용 롤러 등에 이용되며 열처리에 의하여 니켈-크롬주강에 비교될 수 있을 정도의 기계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저망간 주강의 조직은?(2011년 07월)
가.
마텐자이트
나.
펄라이트
다.
페라이트
라.
시멘타이트
정답 : [
2
] 정답률 : 36%
41.
60%Cu – 40%Zn 황동으로 복수기용 판, 볼트, 너트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2015년 10월)
가.
톰백(Tombac)
나.
길딩메탈(Gilding metal)
다.
문쯔메탈(Muntz metal)
라.
애드미럴티메탈(Admiralty metal)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톰백 90% Cu - 10% Zn = 톰백의 대표적인것. 메달,뱃지 등 쓰임
2. 길딩메탈 95% Cu - 5% Zn = 동전, 메달용
3. 문쯔메탈 60% Cu - 40% Zn
4. 애드미럴티메탈 7.3황동 + Sn 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다음 중 강의 표면경화법에 있어 침탄법과 질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가.
침탄법은 경도가 질화법보다 높다.
나.
질화법은 질화처리 후 열처리가 필요 없다.
다.
침탄법은 고온가열시 뜨임되고, 경도는 낮아진다.
라.
질화법은 침탄법에 비하여 경화에 의한 변형이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침탄법 1. 경도가 질화법보다 낮다. 2. 침탄 후의 열처리가 필요하다. 3. 침탄 후 수정 가능. 4. 고온으로 가열되면 뜨임이되고, 경도가 낮아진다. 5. 경화에 의한 변형이 생긴다. 6. 처리시간이 짧고, 처리비용이 싸다.
질화법 1. 경도가 침탄법보다 높다. 2. 질화 후 열처리가 필요없다. 3. 질화 후 수정 불가능. 4.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경도 변화없다. 5. 경화에 의한 변형이 없다. 6. 처리시간이 길고, 처리비용이 비싸다. [해설작성자 : 고휴지]
43.
Al-Si계 합금의 조대한 공정조직을 미세화하기 위하여 나트륨(Na), 수산화나트륨(NaOH), 알칼리염류 등을 합금 용탕에 첨가하여 10~15분간 유지하는 처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4년 10월)
가.
시효 처리
나.
폴링 처리
다.
개량 처리
라.
응력제거 풀림처리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량처리란 Al-Si계 합금의 조대한 공정조직을 미세화하기 위하여 나트륨(Na), 수산화나트륨(NaOH), 알칼리염류 등을 합금 용탕에 첨가하여 10~15분간 유지하는 거리는? [해설작성자 : 부기공 산설 최강]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4.
Al의 표면을 적당한 전해액 중에서 양극 산화처리하면 표면에 방식성이 우수한 산화 피막층이 만들어진다. 알루미늄의 방식 방법에 많이 이용되는 것은?(2016년 07월)
가.
규산법
나.
수산법
다.
탄화법
라.
질화법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양극산화법(Anodic Oxidation Method, Anodizing) 1) 개요 알루미늄(Al)은 화학적으로 활성인 금속으로 산소(O2)와 반응하여 Barrier 형인 치밀한 산화피막인 알루미나(Al2O3)를 형성하여 그 이상의 내부 산화를 방지한다. Al 또는 Al 합금을 황산(H2SO4), 수산(C2H2O4-2H2O), 크롬산(H2CrO4) 등의 용액에 담궈서 양극으로 하고 전해하면 양극 산화하여 이들 표면에 양극산화피막인 Al2O3-xH2O 가 형성되어 Al 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표면경도를 향상시키며, 이 공정을 Alumite 라고 합니다.
2) 양극산화법의 종류 및 특징 가) 전해액의 종류에 따른 분류 i) 황산법 . 전해액 : 황산(H2SO4) . 특징 : 가장널리 쓰임, 경제적, 투명한 피막, 내식 내마모성 우수, 유지용이, 좋은 착색력. ii) 수산법 . 전해액 : 수산(= 옥살산, C2H2O4-2H2O) . 특징 : 두껍고 강한 피막, 내식성 우수, 용액 가격이 고가임, 순수 Al 의 경우 내식성등 최우수 피막, 순도가 낮은 피막에서도 피막의 광택이 좋음. iii) 크롬산법 . 전해액 : 크롬산(H2CrO4) . 특징 : 반투명이나 에나멜과 같은 외관. 광학기계, 가전제품 및 전기통신기기 등에 사용. 나) 피막 두께에 의한 분류 i) 연질 양극산화법 . 상온의 전해액 / 20μm 이하의 피막. 일정한 조도 형성을 위해 Anodizing 전 Sand Blast를 하기도함. Heater 등 고온 공정의 Part 에 주로 적용. ii) 경질 양극산화법 . 전해액 온도 0℃ / 20μm 이상의 피막. 일반적인 Anodizing Part. [해설작성자 : Mokdor]
45.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가장 효과적인 원소는?(2010년 07월)
가.
Zn
나.
Sn
다.
Cr
라.
Mg
정답 : [
3
] 정답률 : 48%
46.
구상흑연주철은 주조성, 가공성 및 내마멸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구상흑연주철 제조 시 구상화제로 첨가되는 원소로 옳은 것은?(2016년 0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