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82442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금속조직학


1. X선의 회절조건을 나타내는 관계식은? (단, d는 면간거리, θ는 X선의 입사각, λ는 X선의 파장, n은 상수이다.)(2019년 08월)
     1. 2n cosθ = λd
     2. 2n sinθ = λd
     3. 2d cosθ = nλ
     4. 2d sinθ = nλ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브래그의 회절 법칙
2d sinθ = nλ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맨]

2. Fe-C 평형상태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공정반응
     2. 포정반응
     3. 재융반응
     4. 공석반응

     정답 : []
     정답률 : 94%

3. 금속결정의 결합 중 소성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선결함에 해당되는 것은?(2020년 06월)
     1. 공공
     2. 전위
     3. 프렌켈 결함
     4. 격자간 원자

     정답 : []
     정답률 : 88%

4. 금속의 동소변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강자성에서 상자성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2. 한 원소로 이루어진 물질에서 결정 구조가 바뀌는 것이다.
     3. Fe-C 평형상태도에서는 A0와 A2가 동소변태에 해당된다.
     4. 성질의 변화가 일정한 온도범위 안에서 점진적이고,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83%

5. 다음의 밀러 지수 중 면간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은? (단, 격자상수는 1이다.)(2010년 05월)
     1. (111)
     2. (200)
     3. (130)
     4. (222)

     정답 : []
     정답률 : 67%

6. 다음 중 회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축적에너지가 회복의 구동력이다.
     2. 회복이 일어나면 새로운 결정립이 생성된다.
     3. 체심입방구조의 금속은 회복속도가 빠르다.
     4. 가공으로 생성된 점결함들이 사라지는 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회복이 일어나면 결정립의 이동은 일어나지 않으나, 금속 내 전위밀도 등이 감소한다. 재결정 전 단계
[해설작성자 : 호아씨]

7. Al 금속이 응고 할 때 결정이 성장하는 우선 방향은?(2017년 05월)
     1. [100]
     2. [001]
     3. [011]
     4. [111]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al은 fcc결정구조를 갖고있고 조밀방향이 <110> 이기 때문에 3번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ksw]

[오류신고 반론]
표면에너지가 크면 에너지적으로 불안하다는 뜻이며 즉 반응속도가 더 빠른것을 의미합니다. 표면에너지가 큼 = 원자 1개당 끊어진 결합수가 많음을 의미하며 = fcc에서는 (111)<(100) or (200)<(110) or (220) 순으로 끊어진 결합수가 증가한다 = 계면은 면적×계면에너지가 최소가 되도록 형성됩니다. ((110) 면은 계면에너지가 높아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100),(111) 면의 성장이 주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djdbdbwjj]

[오류신고 반론]
구민사 답 1번 (100)으로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예나꿍]

8. 펄라이트(pearlite) 조직을 옳게 표현한 것은?(2015년 05월)
     1. Fe와 Fe3C로 구성
     2. Fe와 Cu로 구성
     3. Fe와 W로 구성
     4. Fe와 VC로 구성

     정답 : []
     정답률 : 94%

9. Fe-Fe3C 상태도에서 순철의 동소변태점은 몇 개인가?(2021년 08월)
     1. 0
     2. 1
     3. 2
     4. 3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A1 (723℃) : 오스테나이트 → 페라이트 + 시멘타이트
A3 (910℃) : BCC α → FCC γ
A4 (1400℃) : FCC γ → BCC δ
[해설작성자 : 한민우]

10. 다음 중 전율고용체의 조건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두 금속의 결정구조가 같아야 한다.
     2. 두 금속이 액상에서 완전 혼합되어야 한다.
     3. 두 금속은 일정한 화학적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
     4. 두 금속의 격자상수가 최소 15%이상 차이가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전율고용체가 되기 위해서는 원자 지름 차이가 8% 이하
[해설작성자 : ㅎㅅㅎ]

11. A-B 2원계 상태도가 다음과 같을 때, B가 20wt%인 합금이 T1 온도에서 액상과 고상의 비는?(2019년 08월)

    

     1. 액상 : 고상 = ab : bc
     2. 액상 : 고상 = ac : bc
     3. 액상 : 고상 = ab : ac
     4. 액상 : 고상 = bc : ab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B 지점의 고체의 양을 구하는 식은 c-b/c-a 이고 액체의 양을 구하는 식은 b-a/c-a 이다.
즉 고체의 양은 b지점에서c 지점까지의 거리, 액체의 양은 a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거리의 수와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손용하]

12. 다음 중 재료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면결함에 해당 되는 것은?(2010년 05월)
     1. 혼합전위
     2. 쇼트키 결함
     3. 나선전위
     4. 적층결함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혼합전위 : 금속의 부식과 관련된 전기화확적 현상 (표면)
쇼트키 결함 : 이온 결정체에서 일어나는 결함
나선전위 : 결정체 내에서 일어나는 나선 형태의 원자 배열에서 일어나는 결함
[해설작성자 : 강원대 신소재 13학번 두두이이]

적층결함은 결정 내에서 원자층의 적층 순서에 이상이 생기는 면결함(planar defect)에 해당합니다.
혼합전위, 나선전위는 선결함(dislocation), 쇼트키 결함은 점결함(point defect)입니다
[해설작성자 : ㄳ]

13. 다음 그림에서 P 조성 합금중의 B성분의 양은?(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9%

14. 순동을 냉간 가공한 다음 상온에서 고온으로 천천히 계속 가열할 때 에너지를 가장 많이 방출하는 과정은?(2017년 05월)
     1. 잠복기
     2. 회복 과정
     3. 재결정 과정
     4. 결정립 성장 과정

     정답 : []
     정답률 : 82%

15. 금속의 변태점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열분석법
     2. 전기저항법
     3. 열팽창법
     4. 매크로검사법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매크로검사법(육안 조직 검사법)은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배율 10배 이하의 확대경으로 검사하는 것을 말하며,
파면검사, 육안조직검사, 설퍼프린트법이 있음
[해설작성자 : 한민우]

16. 금속의 재결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결정 입자가 미세할수록 재결정 온도는 낮아진다.
     2. 금속의 순도가 높을수록 재결정 온도는 증가한다.
     3. 가공 시간이 길수록 재결정 온도는 낮아진다.
     4. 변형 정도가 작을수록 재결정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온도는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가공 전의 결정립이 미세할수록 재결정 완료 후의 결정립 작고 재결정온도 낮아짐
2. 고순도의 금속일수록 재결정화가 쉬워 저온의 풀림으로도 재결정 발생
3. 가공도가 클수록, 가공 시간이 길수록 재결정온도는 낮아짐
[해설작성자 : 한민우]

17. 다음 중 격자상수가 a=b≠c 이고, 축각이 α=β=γ=90° 인 결정계는?(2016년 05월)
     1. 입방정계
     2. 정방정계
     3. 사방정계
     4. 삼사정계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입방정계(Cubic): a=b=c , α=β=γ=90°
정방정계(Tetragonal): a=b≠c , α=β=γ=90°
사방정계(Orthorhombic): a≠b≠c , α=β=γ=90°
삼사정계(Triclinic): a≠b≠c , α≠β≠γ≠90°
[해설작성자 : 한민우]

18. 다음 중 전율 고용형 상태도를 나타내는 합금은?(2020년 06월)
     1. Ag - Cu
     2. Co - Cu
     3. Cu - Ni
     4. Pb – Zn

     정답 : []
     정답률 : 78%

19. 프랭크 리드 원(Frank-Read source)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2016년 05월)
     1. 전위의 생성원이다.
     2. 침입형 원자의 공급원이다.
     3. 결정입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4. 빈자리 이동에 가장 중요한 기구이다.

     정답 : []
     정답률 : 81%

20. 공석강을 오스테나이트화한 후 Ms점보다 50℃ 높은 온도로 급히 냉각시킨 다음 그 온도에서 항온처리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조직은?(2021년 08월)
     1. 펄라이트
     2. 페라이트
     3. 베이나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마템퍼링
오스테나이트 온도까지 가열된 강을 펄라이트 형성 온도보다 낮고 마텐자이트 형성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항온 변태처리한 것
[해설작성자 : 한민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에 설명은 오스템퍼링입니다.
마템퍼링은 오스트나이트화 상태의 강을 마르텐사이트 시작점과 종료점사이에서 항온유지시켜 변태가 완료될 때까지 지속시키는 방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민지]

2과목 : 금속재료학


21.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인 두랄루민에 강도를 더욱 증가 시킨 초초두랄루민(extra super duralumin, ESD)은 두랄루민에 어떤 원소를 추가하여 제조되는가?(2019년 04월)
     1. C
     2. W
     3. Si
     4. Zn

     정답 : []
     정답률 : 68%

22. 탄소강에 Mn을 첨가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펄라이트를 미세화시킨다.
     2. 페라이트의 고용강화를 일으킨다.
     3. 강 중에 존재하는 S와 결합하여 MnS를 형성한다.
     4. 오스테나이트에서 퀜칭할 때 경화 깊이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경화깊이를 증가시킵니다
[해설작성자 : ㅋ]

23. 강력 티타늄 합금 Ti-Al-V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주조용 합금으로 용접성 및 담금질성은 나쁘다.
     2. 항공기 기체나 엔진 부품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3. Al에 의하여 강도를 얻고, V에 의하여 인성을 개선한다.
     4. 고온 크리프 저항이 높기 때문에 터빈 블레이드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고온, 극저온에는 α형 / 고강도 합금에는β형 / α-β형은 만능형 타입
Ti-6Al-4V 합금은 α-β형 합금이며, 티타늄 합금 사용량의 약 75% 차지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합금으로 쉽게 용접, 주조, 기계가공을 할 수 있다.
소성가공성, 열처리성, 파괴인성, 고온강도, 극저온특성, 내지연파괴성이 향상되나
소성가공성이 나쁘고 냉간가공을 거의 할 수 없다. 따라서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해설작성자 : 한민우]

24. 금속초미립자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융점이 금속덩어리 보다 높다.
     2. 활성이 약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3. 저온에서 열 저항이 매우 작아 열 의양도체이다.
     4. Fe계 합금 초미립자의 금속 덩어리보다 자성이 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25. Ti합금의 기본이 되는 합금형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α형
     2. β형
     3. η형
     4. (α+β)형

     정답 : []
     정답률 : 93%

26. 그림은 Al-4% Cu 합금의 시효시간에 따른 경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θ″상은 기지와 정합계면을 이루고 있다.
     2. θ′상은 평형상으로 기지와 부정합계면을 이루고 있다.
     3. 미시효 조건에서는 전위가 석출물을 자르고 이동할수 있다.
     4. θ상이 석출한 조건에서는 전위가 석출물을 자르고 지나갈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8%

27. 다음 중 강인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강인강은 탄소강에 Ni, Cr, Mo, W, V, Ti, Zr 등을 첨가한 강이다.
     2. 뜨임에 의해 인성이 증가되는 합금강은 0.25%~0.05% C강에 Ni, Cr, Mo을 첨가한 것이다.
     3. Ni-Cr-Mo 강에 Mo은 담금질 질량 효과를 증가시키며 뜨임취성을 촉진시킨다.
     4. 흑연강은 강 중의 탄소를 흑연상태로 만들어 절삭성과 윤활성을 개선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28. 금속재료 경도시험 방법 중 압입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쇼어경도 시험방법
     2. 비커스경도 시험방법
     3. 로크웰경도 시험방법
     4. 브리넬경도 시험방법

     정답 : []
     정답률 : 88%

29. 해드필드(hadfield)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베이나이트 조직을 가진 강이다.
     2. 고온에서 서냉하면 결정립계에 M3C가 석출한다.
     3. 고온에서 서냉하면 오스테나이트가 마텐자이트로 변태한다.
     4. 열전도성이 나쁘고, 팽창계수도 커서 열변형을 일으킨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해드필드강 = 고망간강으로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 미세 갈라짐을 검사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 방법은?(2022년 04월)
     1. 침투탐상검사
     2. 음향방출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초음파탐상검사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표면으로 볼때는 자분탐상검사도 좋음
하지만 오스테나이트는 강자성x
[해설작성자 : 청포도]

31. 재료의 연성을 알기 위한 것으로 구리판, 알루미늄판 등의 판재를 가압성형하여 변형능력을 시험하는 것은?(2020년 06월)
     1. 마모시험
     2. 에릭션시험
     3. 크리프시험
     4. 스프링시험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에릭센 시험 : 재료의 연성을 알기 위한 시험으로 구리판, 알루미늄판 및 기타 연성판재를 가압 성형하여 변형 능력을 시험하는 것이며, 커핑시험이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김민지]

32. 초전도재료의 어떤 성질이 자기부상열차에 이용되는가?(2013년 06월)
     1. 반도체적 특성
     2. 마이스너 효과
     3. 암페르 법칙
     4. 전류제로 효과

     정답 : []
     정답률 : 88%

33. 마그네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비중이 약 1.74로 가볍다.
     2. 열전도도는 Cu, Al 보다 낮다.
     3. 원료로는 보크사이트, 헤마타이트 등이다.
     4. 알칼리에는 잘견디나 산이나 염기에는 침식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원료는 마그네시아석이다.
[해설작성자 : 스티커]

백운석 - 돌로마이트(Mg3-CaCO3), 마그네사이트(MgCO3), 해수
[해설작성자 : 한민우]

34. 문쯔메탈(Muntz meta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6 : 4 황동이다.
     2. 망간 청동이다.
     3. 알루미늄 청동이다.
     4. 7 : 3 황동에 주석을 첨가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35. 담금질한 상태의 강은 경도가 매우 높으나 취약해서 실용할 수 없어 변태점 이하의 적당한 온도로 재가열하여 사용해 인성과 같은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열처리법은?(2014년 05월)
     1. 어닐링(annealing)
     2. 담금질(quenching)
     3. 뜨임(tempering)
     4. 노멀라이징(normalizing)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담금질한 상태의 강은 경도가 매우 높지만 취약해서 실용할 수 없으므로, 적당한 인성과 기계적 성질을 얻기 위해 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재가열하여 사용하는 열처리법은 "3. 뜨임(tempering)"입니다.

뜨임은 담금질된 강을 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경도를 감소시키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강의 내부 응력을 완화시키고 조직을 안정화시켜 강의 파손이나 부풀림을 예방합니다. 뜨임은 강의 경도와 인성 사이의 균형을 조절하여 원하는 기계적 성질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어닐링은 경도를 낮추고 강의 조직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강을 점도저하(소성)한 후 천천히 냉각시키는 과정입니다. 담금질은 강을 빠르게 냉각하여 경도를 높이는 과정이며, 노멀라이징은 강을 공기 중에서 천천히 냉각시켜 정상화하는 과정입니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36. 구리의 절삭성을 개선시키고 도전율은 약 90%로 유지하게 하는 원소로 약 0.5% 정도를 첨가하는 것은?(2019년 04월)
     1. H
     2. Ag
     3. Zn
     4. Te

     정답 : []
     정답률 : 57%

37. 합금주철에서 합금 원소의 영향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Al은 흑연화를 저해하는 원소이다.
     2. Ni은 흑연화를 저해하는 원소이다.
     3. Mo은 탄화물 생성을 저해하며 흑연화를 촉진한다.
     4. Cr은 Fe3C를 안정화시키는 강력한 원소이며 Fe와 각종 탄화물을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70%

38. 다음 중 용융점이 가장 높은 금속은?(2021년 05월)
     1. Au
     2. Co
     3. Ni
     4. Ti

     정답 : []
     정답률 : 78%

39. 해드필드(Hadfield)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베이나이트 조직을 가진 강이다.
     2. 고온에서 서냉하면 결정립계에 탄화물이 석출된다.
     3. 수인법을 통해 인성을 부여한다.
     4. 열전도성이 나쁘고, 팽창계수도 커서 열변형을 일으킨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하드필드강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망간강임
경도가 높아 내마모용 재료로 쓰임
이 강은 고온에서 취성이 생기므로 1000~1100℃에서 수중 담금질하는 수인법(Water Toughing)으로 인성을 부여함
용도는 치차, 교차 레일에 쓰이며 내마모성을 요하고 전체가 취성이 없는 재료에 적합
[해설작성자 : 한민우]

40. 빙점 이하의 저온에서 잘 견디는 내한강의 조직은?(2018년 04월)
     1. 페라이트
     2. 펄라이트
     3. 마텐자이트
     4. 오스테나이트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오스테나이트가 나머지 조직과 다른 점은 결정 구조이다. 나머지는 BCC 인 반면에 오스테나이트는 FCC이다. 고로 하나의 uni cell 내부에 차지하고 있는 원자의 수(atomic density)가 많고 그렇기에 원자의 슬립면(slip plane) 또한 많다. 고로 FCC 보다 더 연성이 크고 연성이 크기에 저온에서도 파괴되지 않고 유연하게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횰크]

3과목 : 야금공학


41. 다음과 관련 있는 내용은?(2022년 04월)

    

     1. Henry의 법칙
     2. Avogadro의 법칙
     3. Bragg의 법칙
     4. Hess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Henry의 법칙 : 묽은 용액에서 용질의 증기압은 용질의 양에 비례한다
2. Avogadro 법칙 : 모든 기체는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같은 부피속에 같은 개수의 입자를 포함
3. Bragg 법칙 : 2d sinθ = nλ
4. Hess의 법칙 : 화학반응에서 발생 또는 흡수하는 열량은 그 반응의 최초의 상태와 최종 상태만으로 정해지며 반응의 중간 단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청포도]

42. 다음의 설명과 관계있는 것은?(2021년 08월)

    

     1. Henry의 법칙
     2. Raoult의 법칙
     3. Darken의 법칙
     4. Freundlich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68%

43. 종류가 다른 이상 기체들을 혼합할 경우, Gibbs의 자유에너지 변화(ΔGm)로 옳은 것은? (단, ΔHm는 혼합 엔탈피의 변화, ΔSm는 혼합 엔트로피의 변화, T 는 절대 온도이다.)(2019년 08월)
     1. ΔGm=0
     2. ΔGm=ΔHm
     3. ΔGm=ΔSm/T
     4. ΔGm=-TΔSm

     정답 : []
     정답률 : 69%

44. 기체 운동론에 의하여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 1몰의 평균 운동에너지 Ek와 PV적(積)사이에 PV=(2/3) Ek의 관계가 성립된다. 임의의 온도 T(K)에서 이상기체 1몰이 갖는 한 방향당 운동에너지는 에너지 등분칙에 의하여 어떠한 값이 되는가?(2011년 06월)
     1. (3/2)KT
     2. (1/2)KT
     3. (2/3)KT
     4. (1/3)KT

     정답 : []
     정답률 : 58%

45. 이상기체 1 mole 이 25℃에서 10L 로부터 100L 로 가역 등온 팽창 시켰을 때의 △S의 값은? (단, 기체상수 R = 1.987 cal/mole·K 이다.)(2017년 05월)
     1. 4.575 cal/mole·K
     2. 45.75 cal/mole·K
     3. 9.152 cal/mole·K
     4. 91.52 cal/mole·K

     정답 : []
     정답률 : 69%

46. 제강 공정에서 용강의 탈인을 촉진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염기도가 높아야 한다.
     2. 강욕온도가 낮아야 한다.
     3. 산화성 분위기를 유지해야 한다.
     4. 강재 중의 P2O5의 성분이 높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47. 1 몰의 수소기체(H2)가 온도 T에서 지니는 평균 내부에너지를 에너지 균배칙에 의해 계산하면? (단 수소는 이상기체로 가정한다.)(2018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48. 고로 가스의 성분이 다음과 같을 때, ㉠~㉢에 해당하는 가스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2022년 04월)

    

     1. ㉠ : CO2, ㉡ : N2, ㉢ : H2
     2. ㉠ : N2, ㉡ : CO2, ㉢ : H2
     3. ㉠ : N2, ㉡ : H2, ㉢ : CO2
     4. ㉠ : CO2, ㉡ : H2, ㉢ : N2

     정답 : []
     정답률 : 64%

49. 1몰의 이상기체가 27℃에서 1기압으로부터 압축되어 10기압이 되었다. 이 과정이 비가역 등온 과정이면 일(w), 열(q), 내부에너지 변화(△U) 중 값이 항상 0 인 함수는?(2022년 04월)
     1. w
     2. q
     3. △U
     4. 모두 0이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상기체의 에너지(U)는 T에 의해 결정되는 상태함수이다. 등온과정은 온도변화가 없으니 U 변화도 없다.
[해설작성자 : 청포도]

50. Gibbs free energy △G의 물리적 의미를 설명하는 표현 중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자연변화의 방향, 즉 불가역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2. 등온, 등압변화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최대의 일이다.
     3. 화학반응에서 친화력의 척도가 된다.
     4. 변화의 과정이나 속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51. 다음 내화물 중 Al2O3의 성분이 가장 적은 것은?(2020년 06월)
     1. 납석 벽돌
     2. 샤모트 벽돌
     3. 뮬라이트 벽돌
     4. 포스테라이트 벽돌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포스테라이트 (Forsterite): MgO, SiO2
[해설작성자 : 한민우]

52. 고체연료에서 인공적으로 제조되는 가스가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수성가스(water gas)
     2. 석탄가스(coal gas)
     3. 천연가스(natural gas)
     4. 발생로가스(producer gas)

     정답 : []
     정답률 : 90%

53. 압력P, 온도T인 1몰의 이상기체가 진공으로 등온 팽창하여 부피가 2배로 되었을 때, △H, △S, △G를 구한 것으로 틀린 것은? (단, H: 엔탈피, S: 엔트로피, A: 헬름홀츠 자유에너지, G: 깁스 자유에너지)(2021년 05월)
     1. △H=0
     2. △A=RTln2
     3. △G=-RTln2
     4. △S=Rln2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헬름 홀츠 자유에너지는 온도,부피가 일정할 때
깁스 자유에너지는 온도, 압력 일정할 때
[해설작성자 : 전준형]

54. A-B 2원계 합금에서 라울의 법칙을 따를 때 이 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XB의 값에 관계없이 γB은 1 이다.
     2. XB의 값에 관계없이 γB은 0 이다.
     3. XB의 값에 관계없이 aB은 1 이다.
     4. XB의 값에 관계없이 aB은 0 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55. 다음 연소 반응식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5%

56. 라울형 이상용액이 혼합 생성열(ΔHM) 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ΔHM=RT
     2. ΔHM=0
     3. ΔHM<1
     4. ΔHM>1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이상 용액은 단순한 합만으로 부피를 구할 수 있으며, 용액을 묽게 해도 내부에너지의 변화가 없고, 성분을 혼합할 때 열의 변화가 없음
[해설작성자 : 한민우]

57. 밀폐된 용기 속에 있는 표준상태(0°C,1기압)의 헬륨224ℓ를 100°C로 가열할 때 엔탈피 변화량(ΔH)은 몇J인가? (단, He는 이상기체이고 이며 기체상수 R은 8.3144J/K·mol이다.)(2010년 05월)
     1. 2078
     2. 6676
     3. 20786
     4. 66763

     정답 : []
     정답률 : 69%

58. 다음 중 고로에서 열 정산 시 출열 항목이 아닌 것은?(2019년 08월)
     1. 산화철 환원열
     2. 코크스 연소열
     3. 노정가스 현열
     4. 석회석 분해열

     정답 : []
     정답률 : 53%

59. 순수한 물질의 여러 상(고체, 액체, 기체) 사이에 평형이 이루어질 열역학적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각 상에서의 속도 (V)가 모두 같아야 한다.
     2. 각 상에서의 압력(P)이 모두 같아야 한다.
     3. 각 상에서의 온도(T)가 모두 같아야 한다.
     4. 각 상에서의 몰 자유에너지(μ=G/n)가 같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60. 고체 및 액체연료에서 고위발열량(HH)와 저위발열량(HL)과의 관계식은? (단, H=수소, W=수분, 발열량 단위 kcal/kg)(2021년 05월)
     1. HL=HH+600(9H+W)
     2. HL=HH-600(9H+W)
     3. HL=HH+486(9H+W)
     4. HL=HH-486(9H+W)

     정답 : []
     정답률 : 70%

4과목 : 금속가공학


61. 완전전위의 Burgersvector를 b라 하고 그 부분전 위의 Burgersvector를 각각b1 ,b2라고 하면 완전 전위가 부분전위로 나누어지는 조건은?(2013년 06월)
     1. b2 < b21 + b22
     2. b2 > b21+b22
     3. b < b1+b2
     4. b > b1+b2

     정답 : []
     정답률 : 73%

62. 평균 압연압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윤활상태가 좋을수록 평균 압연압력이 크다.
     2. 소재의 폭이 크면 평균 압연압력도 크다.
     3. 롤(roll)의 지름이 작으면 평균 압연압력도 작다.
     4. 스트립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평균 압연압력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67%

63. 다음 중 피로파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반복하중 없이 충격에 의해서만 얻어진다.
     2. 파면이 주 인장응력 방향에 평행하다.
     3. 파면에는 주로 원형자국(beach mark)이 나타난다.
     4. 최대 인장응력이 최소가 되어야 피로파괴가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67%

64. 균질변형에서 경계마찰계수(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부착인 경우는 1 이다.
     2. 완전 미끄러짐은 0 (Zero)이다.
     3. 계면에서의 전단응력은 재료의 전단항복응력을 초과한다.
     4. m은 계면전단강도/전단항복응력으로 표현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65. 풀림한 저탄소강의 소성거동은 O’=7000.2MPa로 나타났다. 만일 이 금속을 처음 단면수축 15% 냉간 가공 후 다시 30% 냉간 가공하였다면 이러한 가공을 받은금속의 항복강도는 약 얼마(MPa)인가?(2012년 05월)
     1. 485.2
     2. 570.6
     3. 614.2
     4. 727.7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진변형률(e),유동응력(a) 이라고 쓸께요

홀로몬 a=ke^n , 문제에 주어진 소성거동 식을 홀로몬에 대입
a=700(e)^0.2
(e구하기) e=ln(A0/Af)
1. 초기 단면적을 A0 가정
1차 냉간가공 (15% 수축) 후 단면적
A1=A0×(1-0.15) = 0.85A0
2차    가공 (30% 수축) 후 단면적
A2=A1×(1-0.3)    = 0.595A0     총 단면적 감소율=1-0.595 = 0.405(40.5%)

e=ln(A0/0.595A0) = 0.5192

2.(냉간가공 된 금속)항복강도는 유동응력
a=700(0.5192)^0.2
=614Mp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고온크리프의 변형 기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2년 04월)
     1. 전위의 상승
     2. 공공의 확산
     3. 쌍정의 발생
     4. 결정 입계의 미끄럼

     정답 : []
     정답률 : 62%

67. 다음 중 압하율을 크게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지름이 큰 롤을 사용한다.
     2. 압연 온도를 높여 준다.
     3. 롤 회전속도를 빠르게 한다.
     4. 압연재를 뒤에서 밀어 준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롤 회전속도를 늦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금속재료에 균일한 인장하중을 가하여 제거한 후 다시 이와 반대 반향으로 압축하중을 가하면, 전보다 작은 응력에서 항복이 생기는 것은?(2021년 08월)
     1. Peening 효과
     2. 바우싱거 효과
     3. 가공경화 효과
     4. 크리프 효과

     정답 : []
     정답률 : 82%

69. 바우싱거 효과(Bauschinger effect)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비틀림 변형의 경우에서 명백히 관찰된다.
     2. 소성 변형에 대한 저항이 이력(hysteresis)과 관계가 있다.
     3. 응력의 변화가 작은 경우 바우싱거 효과는 무시될 수 있다.
     4. 한번 어느 방향으로 소성변형을 가한 재료에 역방향의 하중을 가하면 전보다 큰 응력에서 항복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전보다 큰 응력이 아니라 작은 응력에서 항복이 생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금속재료의 재결정 온도의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가공도가 작을수록 재결정 온도가 낮아진다.
     2. 금속의 순도가 높을수록 재결정 온도가 낮아진다.
     3. 재결정을 일으키는데는 최소한의 변형이 필요하다.
     4. 가공전의 결정입자가 미세할수록 재결정 온도가 낮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5%

71. 재료 내 3개의 최대전단응력 중 어느 것인가 하나의 절대값이 일정값에 이르렀을때 항복이 생긴다는 조건은?(2010년 05월)
     1. Von Miss의 항복조건
     2. Tresca의 항복조건
     3. Mohr의 항복조건
     4. Hooke의 항복조건

     정답 : []
     정답률 : 84%

72. 칼날전위의 전위선과 버거스 벡터가 이루는 각은?(2019년 08월)
     1.
     2. 45°
     3. 90°
     4. 180°

     정답 : []
     정답률 : 81%

73. 냉간가공 시 재료에 나타나는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전위밀도가 증가하여 강도가 커지며, FCC는 BCC보다 경화가 크다.
     2. 냉간가공으로 생긴 압축잔류응력은 피로 강도의 형상에 효과적이다.
     3. 결정이 회전하여 결정면이나 방향이 고르게 되므로 이방성의 집합조직이 나타난다.
     4. 항복점연신을 나타내는 강에 항복점 이상의 냉간가공을 하면 항복점과 항복점 연신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전위밀도가 증가하여 강도가 커지며, FCC는 BCC보다 경화가 크다. - 옳은 설명입니다. 전위밀도는 냉간가공에 의해 증가하고, FCC 구조는 BCC 구조보다 경화에 더 큰 영향을 줍니다.
냉간가공으로 생긴 압축잔류응력은 피로 강도의 형상에 효과적이다. - 옳은 설명입니다. 냉간가공은 재료에 압축잔류응력을 도입하며, 이는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결정이 회전하여 결정면이나 방향이 고르게 되므로 이방성의 집합조직이 나타난다. - 옳은 설명입니다. 냉간가공은 결정의 회전을 유발하여 이방성 집합조직을 형성합니다.
항복점연신을 나타내는 강에 항복점 이상의 냉간가공을 하면 항복점과 항복점 연신이 증가한다. - 틀린 설명입니다. 항복점 이상의 냉간가공은 항복점을 유지하거나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항복점 이하에서 냉간가공이 이루어질 때 항복점과 항복점 연신이 증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74. Hall-Petch 식으로 설명되는 재료의 강화기구는?(2019년 04월)
     1. 분산강화
     2. 고용강화
     3. 결정립계에 의한 강화
     4. 점결함에 의한 경화

     정답 : []
     정답률 : 71%

75. 압출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직접 압출을 전방 압출이라 한다.
     2. 간접 압출을 후방 압출이라 한다.
     3. 압출력은 간접 압출이 직접 압출보다 작다.
     4. 간접 압출은 제품의 램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출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76. 압연 공정에서의 압하율은? (단, 롤러 통과 전, 후의 두께는 각각 h0, h1이다.)(2021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77. 탄성계수(E)와 체적탄성계수(K)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ν는 푸아송 비이다.)(2022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7%

78. 금속의 슬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fcc 금속에서 슬립면은 {111}, 슬립방향은 <110>이다.
     2. bcc 금속에서 슬립면은 {110}, 슬립방향은 <111>이다.
     3. bcc 금속에서 슬립계의 수는 3 개이다.
     4. fcc 금속에서 슬립계의 수는 12 개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FCC: 12개
BCC: 48개 (12+12+24)
HCP: 12개 (3+3+6)

48개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민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BCC 48개가 아니라 12개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압연작업에서 압하량을 크게하는 조건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지름이 큰 롤을 사용한다
     2. 압연재의 온도를 높여준다.
     3. 압연재를 뒤에서 밀어준다
     4. 롤의 회전속도를 높인다.

     정답 : []
     정답률 : 88%

80. 압출 과정에서 마찰이 너무 크거나 소재의 냉각이 심한 경우 제품 표면에 산화물이나 불순물이 중심으로 빨려 들어가 생기는 결함은?(2017년 05월)
     1. 셰브런(Chevron)
     2. 표면 균열(Surface crack)
     3. 에지 크랙(Edge crack)
     4. 파이프 결함(Pipe defect)

     정답 : []
     정답률 : 77%

81. 무전해 니켈액의 구성 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니켈염 : 니켈 피막을 부여한다.
     2. 환원제 : 니켈 이온의 모성분의 공급원이다.
     3. 착화제 : 니켈염의 침전을 방지하고 액을 안정화 시킨다.
     4. 안정제 : 자기분해를 촉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84%

82. 금속의 표면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진공 용기 내에서 표면처리 하는 기술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진공증착법
     2. 스퍼터링법(Sputtering)
     3. 이온도금(Ion Plating)
     4. 무전해도금(Electroless Plating)

     정답 : []
     정답률 : 68%

83. 화성피막처리에 구리이온, 질산염 등을 첨가하여 처리시간을 5~ 10분으로 단축시킨 피막 처리법은?(2019년 08월)
     1. 본데라이징법
     2. 옥살산염처리법
     3. 인산염피막처리법
     4. 크로메이트처리법

     정답 : []
     정답률 : 65%

84. 황동합금의 도금에서 금속 석출에 의한 도금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유리 NaCN을 증가시키면 석출 중의 구리분이 많아 진다.
     2. 도금액 중에 NaOH를 가하면 석출 중의 구리는 감소한다.
     3. 도금액을 교반하는 정도가 클수록 구리 금속 성분함량이 많은 합금이 도금이 된다.
     4. 음극의 전류밀도를 증가시킬수록 아연 금속 성분함량이 많은 합금의 도금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51%

85. 주사전자현미경에 사용되는 전자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5월)
     1. 물질에 열을 가하여 일함수 이상의 에너지를 제공하면 전자는 고유의 위치로부터 벗어나 공중으로 방출된다.
     2. 열방사형 전자총을 사용한 주사전자현미경이 전계방사형 전자총을 사용한 것보다 분해능이 뛰어나다.
     3. 열방사형 전자총은 높은 전계를 가하여 에너지를 공급하여 전자를 방출시킨다.
     4. 열방사형 전자총의 음극에 사용되는 재료는 일함수 값이 커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86. 알루미늄을 양극으로 하여 일정한 전해액에서 적정 조건으로 분극시킬 경우 양극산화 피막이 생성된다. 공업적으로 쓰이고 있는 양극산화 피막의 전해질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황산(H2SO4)
     2. 수산(C2H2O4)
     3. 크롬산(CrO3)
     4. 염화칼륨(KCl)

     정답 : []
     정답률 : 76%

87. Floating Voltage에 대한 설명으 로옳은 것은?(2013년 06월)
     1. Bias Voltage와 같은 의미이다.
     2. Probe에서 측정되는 Voltage 이다.
     3. 기판에 인가되는 Voltage 이다.
     4. Anode에 인가한 Voltage 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88. 1기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760 torr
     2. 76 cmHg
     3. 101325 N/m2
     4. 1013 Pa

     정답 : []
     정답률 : 68%

89. Al합금, Cu합금, Ti합금 등을 시효 처리 전에 실시하는 열처리로서 합금 중의 용질원자를 모재에 고용시키는 방법은?(2020년 06월)
     1. 심냉처리
     2. 용체화처리
     3. 수인처리
     4. 파텐팅처리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체화처리란, 고용체를 만든다는 뜻으로, 용질의 고용도가 높아지는 고온에서 열처리를 해 고용체(solid solution)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용체화 처리 후 급냉(quenching, 퀜칭)하면 고용질 용질이 석출되기도 전에 굳어버려 상온에서 고용체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여기서 온도를 살짝 올려 석출물을 살살 석출시키는게 시효 (aging) 처리 입니다.
또는, 용체화 후 급냉하지 않고 바로 시효처리 온도에 집어넣어 시효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청포도(금속 1트)]

90. 전기도금이나 무전해도금 피막 중에 미립자를 분산시켜 도금하는 분산도금의 분산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CuO
     2. Al2O3
     3. SiC
     4. 다이아몬드

     정답 : []
     정답률 : 60%

91. 다음 중 양극 산화 처리하기 가장 어려운 금속은?(2020년 06월)
     1. Ni
     2. Al
     3. Mg
     4. Ti

     정답 : []
     정답률 : 52%

92. 인산염처리 후 방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봉공처리액으로 효과적인 것은?(2021년 05월)
     1. 염화나트륨 수용액
     2. 알칼리액
     3. 초순수액
     4. 크롬산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봉공 처리는 크롬산 또는 크롬산과 인산의 묽은 수용액에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
[해설작성자 : 한민우]

93. 주사전자현미경에 관한 이론 중 상호작용 부피(inter-action volum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산란단면은 가속전자 에너지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2. 상호작용 부피는 시편의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3. 입사빔의 각도가 직각에서 벗어남에 따라 상호작용 부피가 감소한다.
     4. 상호작용 부피는 시료 표면에서 탄성산란의 증가와 단위거리당 에너지 손실의 증가로 공모양으로 변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94. 합금원소를 많이 함유한 공구강 등에서 풀림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강을 오스테나이트화 한 후, TTT곡선의 코(nose)온도에 해당되는 600~650°C의 노속에 넣어 5~6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공냉시키는 방법은?(2010년 05월)
     1. 완전풀림
     2. 항온풀림
     3. 확산풀림
     4. 구상화풀림

     정답 : []
     정답률 : 73%

95. 다음 중 질화처리법에서 질화제로 주로 사용되는 가스는?(2019년 08월)
     1. 헬륨
     2. 아르곤
     3. 암모니아
     4. 천연가스

     정답 : []
     정답률 : 72%

96. 아연도금 후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16년 05월)
     1. 크로메이트 처리
     2. 인산염 피막처리
     3. 라커(Lacquer) 처리
     4. 크롬도금 처리

     정답 : []
     정답률 : 71%

97. Cr계 스테인리스강의 취화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σ 취성을 방지하는 원소는 Al이다.
     2. 저온취성은 주로 오스테나이트계 강에서 나타난다.
     3. σ 취성은 800°C 이상으로 가열하여 급냉하면 인성이 회복된다.
     4. 475°C 취성은 Cr 15% 이상의 강종을 370~540°C 로 장시간 가열하면 취하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98. 화학증착(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법을 옳게 설명한 것은?(2012년 05월)
     1. 피복하고자하는 금속을 증발하여 이온화시켜 피복한다.
     2. 타겟(target) 재료의 원자를 스퍼터(Sputter) 시켜 마주보는 기판위에 피복한다.
     3. 금속용액에 기판을 침지하여 화학적으로 치환 도금 한 것이다.
     4. 가열된 소재에 피복하고 자하는 피막성분을 포함한 원료의 혼합가스를 접촉시켜 증착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99. 알루미늄의 착색성을 오래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자연발색
     2. 전해착색
     3. Dying착색
     4. Sealing

     정답 : []
     정답률 : 54%

100. 마텐자이트 조직의 경도가 큰 이유가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결정의 미세화
     2. 급냉으로 인한 내부응력
     3. 탄소원자에 의한 Fe 격자의 강화
     4. C의 확산변태에 의한 전위, 쌍정조직의 강화

     정답 : []
     정답률 : 78%


정 답 지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82442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금속조직학


1. X선의 회절조건을 나타내는 관계식은? (단, d는 면간거리, θ는 X선의 입사각, λ는 X선의 파장, n은 상수이다.)(2019년 08월)
     1. 2n cosθ = λd
     2. 2n sinθ = λd
     3. 2d cosθ = nλ
     4. 2d sinθ = nλ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브래그의 회절 법칙
2d sinθ = nλ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맨]

2. Fe-C 평형상태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공정반응
     2. 포정반응
     3. 재융반응
     4. 공석반응

     정답 : []
     정답률 : 94%

3. 금속결정의 결합 중 소성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선결함에 해당되는 것은?(2020년 06월)
     1. 공공
     2. 전위
     3. 프렌켈 결함
     4. 격자간 원자

     정답 : []
     정답률 : 88%

4. 금속의 동소변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강자성에서 상자성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2. 한 원소로 이루어진 물질에서 결정 구조가 바뀌는 것이다.
     3. Fe-C 평형상태도에서는 A0와 A2가 동소변태에 해당된다.
     4. 성질의 변화가 일정한 온도범위 안에서 점진적이고,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83%

5. 다음의 밀러 지수 중 면간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은? (단, 격자상수는 1이다.)(2010년 05월)
     1. (111)
     2. (200)
     3. (130)
     4. (222)

     정답 : []
     정답률 : 67%

6. 다음 중 회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축적에너지가 회복의 구동력이다.
     2. 회복이 일어나면 새로운 결정립이 생성된다.
     3. 체심입방구조의 금속은 회복속도가 빠르다.
     4. 가공으로 생성된 점결함들이 사라지는 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회복이 일어나면 결정립의 이동은 일어나지 않으나, 금속 내 전위밀도 등이 감소한다. 재결정 전 단계
[해설작성자 : 호아씨]

7. Al 금속이 응고 할 때 결정이 성장하는 우선 방향은?(2017년 05월)
     1. [100]
     2. [001]
     3. [011]
     4. [111]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al은 fcc결정구조를 갖고있고 조밀방향이 <110> 이기 때문에 3번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ksw]

[오류신고 반론]
표면에너지가 크면 에너지적으로 불안하다는 뜻이며 즉 반응속도가 더 빠른것을 의미합니다. 표면에너지가 큼 = 원자 1개당 끊어진 결합수가 많음을 의미하며 = fcc에서는 (111)<(100) or (200)<(110) or (220) 순으로 끊어진 결합수가 증가한다 = 계면은 면적×계면에너지가 최소가 되도록 형성됩니다. ((110) 면은 계면에너지가 높아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100),(111) 면의 성장이 주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djdbdbwjj]

[오류신고 반론]
구민사 답 1번 (100)으로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예나꿍]

8. 펄라이트(pearlite) 조직을 옳게 표현한 것은?(2015년 05월)
     1. Fe와 Fe3C로 구성
     2. Fe와 Cu로 구성
     3. Fe와 W로 구성
     4. Fe와 VC로 구성

     정답 : []
     정답률 : 94%

9. Fe-Fe3C 상태도에서 순철의 동소변태점은 몇 개인가?(2021년 08월)
     1. 0
     2. 1
     3. 2
     4. 3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A1 (723℃) : 오스테나이트 → 페라이트 + 시멘타이트
A3 (910℃) : BCC α → FCC γ
A4 (1400℃) : FCC γ → BCC δ
[해설작성자 : 한민우]

10. 다음 중 전율고용체의 조건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두 금속의 결정구조가 같아야 한다.
     2. 두 금속이 액상에서 완전 혼합되어야 한다.
     3. 두 금속은 일정한 화학적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
     4. 두 금속의 격자상수가 최소 15%이상 차이가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전율고용체가 되기 위해서는 원자 지름 차이가 8% 이하
[해설작성자 : ㅎㅅㅎ]

11. A-B 2원계 상태도가 다음과 같을 때, B가 20wt%인 합금이 T1 온도에서 액상과 고상의 비는?(2019년 08월)

    

     1. 액상 : 고상 = ab : bc
     2. 액상 : 고상 = ac : bc
     3. 액상 : 고상 = ab : ac
     4. 액상 : 고상 = bc : ab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B 지점의 고체의 양을 구하는 식은 c-b/c-a 이고 액체의 양을 구하는 식은 b-a/c-a 이다.
즉 고체의 양은 b지점에서c 지점까지의 거리, 액체의 양은 a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거리의 수와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손용하]

12. 다음 중 재료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면결함에 해당 되는 것은?(2010년 05월)
     1. 혼합전위
     2. 쇼트키 결함
     3. 나선전위
     4. 적층결함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혼합전위 : 금속의 부식과 관련된 전기화확적 현상 (표면)
쇼트키 결함 : 이온 결정체에서 일어나는 결함
나선전위 : 결정체 내에서 일어나는 나선 형태의 원자 배열에서 일어나는 결함
[해설작성자 : 강원대 신소재 13학번 두두이이]

적층결함은 결정 내에서 원자층의 적층 순서에 이상이 생기는 면결함(planar defect)에 해당합니다.
혼합전위, 나선전위는 선결함(dislocation), 쇼트키 결함은 점결함(point defect)입니다
[해설작성자 : ㄳ]

13. 다음 그림에서 P 조성 합금중의 B성분의 양은?(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9%

14. 순동을 냉간 가공한 다음 상온에서 고온으로 천천히 계속 가열할 때 에너지를 가장 많이 방출하는 과정은?(2017년 05월)
     1. 잠복기
     2. 회복 과정
     3. 재결정 과정
     4. 결정립 성장 과정

     정답 : []
     정답률 : 82%

15. 금속의 변태점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열분석법
     2. 전기저항법
     3. 열팽창법
     4. 매크로검사법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매크로검사법(육안 조직 검사법)은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배율 10배 이하의 확대경으로 검사하는 것을 말하며,
파면검사, 육안조직검사, 설퍼프린트법이 있음
[해설작성자 : 한민우]

16. 금속의 재결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결정 입자가 미세할수록 재결정 온도는 낮아진다.
     2. 금속의 순도가 높을수록 재결정 온도는 증가한다.
     3. 가공 시간이 길수록 재결정 온도는 낮아진다.
     4. 변형 정도가 작을수록 재결정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온도는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가공 전의 결정립이 미세할수록 재결정 완료 후의 결정립 작고 재결정온도 낮아짐
2. 고순도의 금속일수록 재결정화가 쉬워 저온의 풀림으로도 재결정 발생
3. 가공도가 클수록, 가공 시간이 길수록 재결정온도는 낮아짐
[해설작성자 : 한민우]

17. 다음 중 격자상수가 a=b≠c 이고, 축각이 α=β=γ=90° 인 결정계는?(2016년 05월)
     1. 입방정계
     2. 정방정계
     3. 사방정계
     4. 삼사정계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입방정계(Cubic): a=b=c , α=β=γ=90°
정방정계(Tetragonal): a=b≠c , α=β=γ=90°
사방정계(Orthorhombic): a≠b≠c , α=β=γ=90°
삼사정계(Triclinic): a≠b≠c , α≠β≠γ≠90°
[해설작성자 : 한민우]

18. 다음 중 전율 고용형 상태도를 나타내는 합금은?(2020년 06월)
     1. Ag - Cu
     2. Co - Cu
     3. Cu - Ni
     4. Pb – Zn

     정답 : []
     정답률 : 78%

19. 프랭크 리드 원(Frank-Read source)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2016년 05월)
     1. 전위의 생성원이다.
     2. 침입형 원자의 공급원이다.
     3. 결정입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4. 빈자리 이동에 가장 중요한 기구이다.

     정답 : []
     정답률 : 81%

20. 공석강을 오스테나이트화한 후 Ms점보다 50℃ 높은 온도로 급히 냉각시킨 다음 그 온도에서 항온처리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조직은?(2021년 08월)
     1. 펄라이트
     2. 페라이트
     3. 베이나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마템퍼링
오스테나이트 온도까지 가열된 강을 펄라이트 형성 온도보다 낮고 마텐자이트 형성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항온 변태처리한 것
[해설작성자 : 한민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에 설명은 오스템퍼링입니다.
마템퍼링은 오스트나이트화 상태의 강을 마르텐사이트 시작점과 종료점사이에서 항온유지시켜 변태가 완료될 때까지 지속시키는 방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민지]

2과목 : 금속재료학


21.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인 두랄루민에 강도를 더욱 증가 시킨 초초두랄루민(extra super duralumin, ESD)은 두랄루민에 어떤 원소를 추가하여 제조되는가?(2019년 04월)
     1. C
     2. W
     3. Si
     4. Zn

     정답 : []
     정답률 : 68%

22. 탄소강에 Mn을 첨가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펄라이트를 미세화시킨다.
     2. 페라이트의 고용강화를 일으킨다.
     3. 강 중에 존재하는 S와 결합하여 MnS를 형성한다.
     4. 오스테나이트에서 퀜칭할 때 경화 깊이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경화깊이를 증가시킵니다
[해설작성자 : ㅋ]

23. 강력 티타늄 합금 Ti-Al-V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주조용 합금으로 용접성 및 담금질성은 나쁘다.
     2. 항공기 기체나 엔진 부품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3. Al에 의하여 강도를 얻고, V에 의하여 인성을 개선한다.
     4. 고온 크리프 저항이 높기 때문에 터빈 블레이드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고온, 극저온에는 α형 / 고강도 합금에는β형 / α-β형은 만능형 타입
Ti-6Al-4V 합금은 α-β형 합금이며, 티타늄 합금 사용량의 약 75% 차지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합금으로 쉽게 용접, 주조, 기계가공을 할 수 있다.
소성가공성, 열처리성, 파괴인성, 고온강도, 극저온특성, 내지연파괴성이 향상되나
소성가공성이 나쁘고 냉간가공을 거의 할 수 없다. 따라서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해설작성자 : 한민우]

24. 금속초미립자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융점이 금속덩어리 보다 높다.
     2. 활성이 약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3. 저온에서 열 저항이 매우 작아 열 의양도체이다.
     4. Fe계 합금 초미립자의 금속 덩어리보다 자성이 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25. Ti합금의 기본이 되는 합금형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α형
     2. β형
     3. η형
     4. (α+β)형

     정답 : []
     정답률 : 93%

26. 그림은 Al-4% Cu 합금의 시효시간에 따른 경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θ″상은 기지와 정합계면을 이루고 있다.
     2. θ′상은 평형상으로 기지와 부정합계면을 이루고 있다.
     3. 미시효 조건에서는 전위가 석출물을 자르고 이동할수 있다.
     4. θ상이 석출한 조건에서는 전위가 석출물을 자르고 지나갈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8%

27. 다음 중 강인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강인강은 탄소강에 Ni, Cr, Mo, W, V, Ti, Zr 등을 첨가한 강이다.
     2. 뜨임에 의해 인성이 증가되는 합금강은 0.25%~0.05% C강에 Ni, Cr, Mo을 첨가한 것이다.
     3. Ni-Cr-Mo 강에 Mo은 담금질 질량 효과를 증가시키며 뜨임취성을 촉진시킨다.
     4. 흑연강은 강 중의 탄소를 흑연상태로 만들어 절삭성과 윤활성을 개선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28. 금속재료 경도시험 방법 중 압입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쇼어경도 시험방법
     2. 비커스경도 시험방법
     3. 로크웰경도 시험방법
     4. 브리넬경도 시험방법

     정답 : []
     정답률 : 88%

29. 해드필드(hadfield)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베이나이트 조직을 가진 강이다.
     2. 고온에서 서냉하면 결정립계에 M3C가 석출한다.
     3. 고온에서 서냉하면 오스테나이트가 마텐자이트로 변태한다.
     4. 열전도성이 나쁘고, 팽창계수도 커서 열변형을 일으킨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해드필드강 = 고망간강으로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 미세 갈라짐을 검사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 방법은?(2022년 04월)
     1. 침투탐상검사
     2. 음향방출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초음파탐상검사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표면으로 볼때는 자분탐상검사도 좋음
하지만 오스테나이트는 강자성x
[해설작성자 : 청포도]

31. 재료의 연성을 알기 위한 것으로 구리판, 알루미늄판 등의 판재를 가압성형하여 변형능력을 시험하는 것은?(2020년 06월)
     1. 마모시험
     2. 에릭션시험
     3. 크리프시험
     4. 스프링시험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에릭센 시험 : 재료의 연성을 알기 위한 시험으로 구리판, 알루미늄판 및 기타 연성판재를 가압 성형하여 변형 능력을 시험하는 것이며, 커핑시험이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김민지]

32. 초전도재료의 어떤 성질이 자기부상열차에 이용되는가?(2013년 06월)
     1. 반도체적 특성
     2. 마이스너 효과
     3. 암페르 법칙
     4. 전류제로 효과

     정답 : []
     정답률 : 88%

33. 마그네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비중이 약 1.74로 가볍다.
     2. 열전도도는 Cu, Al 보다 낮다.
     3. 원료로는 보크사이트, 헤마타이트 등이다.
     4. 알칼리에는 잘견디나 산이나 염기에는 침식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원료는 마그네시아석이다.
[해설작성자 : 스티커]

백운석 - 돌로마이트(Mg3-CaCO3), 마그네사이트(MgCO3), 해수
[해설작성자 : 한민우]

34. 문쯔메탈(Muntz meta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6 : 4 황동이다.
     2. 망간 청동이다.
     3. 알루미늄 청동이다.
     4. 7 : 3 황동에 주석을 첨가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35. 담금질한 상태의 강은 경도가 매우 높으나 취약해서 실용할 수 없어 변태점 이하의 적당한 온도로 재가열하여 사용해 인성과 같은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열처리법은?(2014년 05월)
     1. 어닐링(annealing)
     2. 담금질(quenching)
     3. 뜨임(tempering)
     4. 노멀라이징(normalizing)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담금질한 상태의 강은 경도가 매우 높지만 취약해서 실용할 수 없으므로, 적당한 인성과 기계적 성질을 얻기 위해 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재가열하여 사용하는 열처리법은 "3. 뜨임(tempering)"입니다.

뜨임은 담금질된 강을 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경도를 감소시키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강의 내부 응력을 완화시키고 조직을 안정화시켜 강의 파손이나 부풀림을 예방합니다. 뜨임은 강의 경도와 인성 사이의 균형을 조절하여 원하는 기계적 성질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어닐링은 경도를 낮추고 강의 조직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강을 점도저하(소성)한 후 천천히 냉각시키는 과정입니다. 담금질은 강을 빠르게 냉각하여 경도를 높이는 과정이며, 노멀라이징은 강을 공기 중에서 천천히 냉각시켜 정상화하는 과정입니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36. 구리의 절삭성을 개선시키고 도전율은 약 90%로 유지하게 하는 원소로 약 0.5% 정도를 첨가하는 것은?(2019년 04월)
     1. H
     2. Ag
     3. Zn
     4. Te

     정답 : []
     정답률 : 57%

37. 합금주철에서 합금 원소의 영향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Al은 흑연화를 저해하는 원소이다.
     2. Ni은 흑연화를 저해하는 원소이다.
     3. Mo은 탄화물 생성을 저해하며 흑연화를 촉진한다.
     4. Cr은 Fe3C를 안정화시키는 강력한 원소이며 Fe와 각종 탄화물을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70%

38. 다음 중 용융점이 가장 높은 금속은?(2021년 05월)
     1. Au
     2. Co
     3. Ni
     4. Ti

     정답 : []
     정답률 : 78%

39. 해드필드(Hadfield)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베이나이트 조직을 가진 강이다.
     2. 고온에서 서냉하면 결정립계에 탄화물이 석출된다.
     3. 수인법을 통해 인성을 부여한다.
     4. 열전도성이 나쁘고, 팽창계수도 커서 열변형을 일으킨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하드필드강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망간강임
경도가 높아 내마모용 재료로 쓰임
이 강은 고온에서 취성이 생기므로 1000~1100℃에서 수중 담금질하는 수인법(Water Toughing)으로 인성을 부여함
용도는 치차, 교차 레일에 쓰이며 내마모성을 요하고 전체가 취성이 없는 재료에 적합
[해설작성자 : 한민우]

40. 빙점 이하의 저온에서 잘 견디는 내한강의 조직은?(2018년 04월)
     1. 페라이트
     2. 펄라이트
     3. 마텐자이트
     4. 오스테나이트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오스테나이트가 나머지 조직과 다른 점은 결정 구조이다. 나머지는 BCC 인 반면에 오스테나이트는 FCC이다. 고로 하나의 uni cell 내부에 차지하고 있는 원자의 수(atomic density)가 많고 그렇기에 원자의 슬립면(slip plane) 또한 많다. 고로 FCC 보다 더 연성이 크고 연성이 크기에 저온에서도 파괴되지 않고 유연하게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횰크]

3과목 : 야금공학


41. 다음과 관련 있는 내용은?(2022년 04월)

    

     1. Henry의 법칙
     2. Avogadro의 법칙
     3. Bragg의 법칙
     4. Hess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Henry의 법칙 : 묽은 용액에서 용질의 증기압은 용질의 양에 비례한다
2. Avogadro 법칙 : 모든 기체는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같은 부피속에 같은 개수의 입자를 포함
3. Bragg 법칙 : 2d sinθ = nλ
4. Hess의 법칙 : 화학반응에서 발생 또는 흡수하는 열량은 그 반응의 최초의 상태와 최종 상태만으로 정해지며 반응의 중간 단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청포도]

42. 다음의 설명과 관계있는 것은?(2021년 08월)

    

     1. Henry의 법칙
     2. Raoult의 법칙
     3. Darken의 법칙
     4. Freundlich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68%

43. 종류가 다른 이상 기체들을 혼합할 경우, Gibbs의 자유에너지 변화(ΔGm)로 옳은 것은? (단, ΔHm는 혼합 엔탈피의 변화, ΔSm는 혼합 엔트로피의 변화, T 는 절대 온도이다.)(2019년 08월)
     1. ΔGm=0
     2. ΔGm=ΔHm
     3. ΔGm=ΔSm/T
     4. ΔGm=-TΔSm

     정답 : []
     정답률 : 69%

44. 기체 운동론에 의하여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 1몰의 평균 운동에너지 Ek와 PV적(積)사이에 PV=(2/3) Ek의 관계가 성립된다. 임의의 온도 T(K)에서 이상기체 1몰이 갖는 한 방향당 운동에너지는 에너지 등분칙에 의하여 어떠한 값이 되는가?(2011년 06월)
     1. (3/2)KT
     2. (1/2)KT
     3. (2/3)KT
     4. (1/3)KT

     정답 : []
     정답률 : 58%

45. 이상기체 1 mole 이 25℃에서 10L 로부터 100L 로 가역 등온 팽창 시켰을 때의 △S의 값은? (단, 기체상수 R = 1.987 cal/mole·K 이다.)(2017년 05월)
     1. 4.575 cal/mole·K
     2. 45.75 cal/mole·K
     3. 9.152 cal/mole·K
     4. 91.52 cal/mole·K

     정답 : []
     정답률 : 69%

46. 제강 공정에서 용강의 탈인을 촉진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염기도가 높아야 한다.
     2. 강욕온도가 낮아야 한다.
     3. 산화성 분위기를 유지해야 한다.
     4. 강재 중의 P2O5의 성분이 높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47. 1 몰의 수소기체(H2)가 온도 T에서 지니는 평균 내부에너지를 에너지 균배칙에 의해 계산하면? (단 수소는 이상기체로 가정한다.)(2018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48. 고로 가스의 성분이 다음과 같을 때, ㉠~㉢에 해당하는 가스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2022년 04월)

    

     1. ㉠ : CO2, ㉡ : N2, ㉢ : H2
     2. ㉠ : N2, ㉡ : CO2, ㉢ : H2
     3. ㉠ : N2, ㉡ : H2, ㉢ : CO2
     4. ㉠ : CO2, ㉡ : H2, ㉢ : N2

     정답 : []
     정답률 : 64%

49. 1몰의 이상기체가 27℃에서 1기압으로부터 압축되어 10기압이 되었다. 이 과정이 비가역 등온 과정이면 일(w), 열(q), 내부에너지 변화(△U) 중 값이 항상 0 인 함수는?(2022년 04월)
     1. w
     2. q
     3. △U
     4. 모두 0이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상기체의 에너지(U)는 T에 의해 결정되는 상태함수이다. 등온과정은 온도변화가 없으니 U 변화도 없다.
[해설작성자 : 청포도]

50. Gibbs free energy △G의 물리적 의미를 설명하는 표현 중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자연변화의 방향, 즉 불가역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2. 등온, 등압변화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최대의 일이다.
     3. 화학반응에서 친화력의 척도가 된다.
     4. 변화의 과정이나 속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51. 다음 내화물 중 Al2O3의 성분이 가장 적은 것은?(2020년 06월)
     1. 납석 벽돌
     2. 샤모트 벽돌
     3. 뮬라이트 벽돌
     4. 포스테라이트 벽돌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포스테라이트 (Forsterite): MgO, SiO2
[해설작성자 : 한민우]

52. 고체연료에서 인공적으로 제조되는 가스가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수성가스(water gas)
     2. 석탄가스(coal gas)
     3. 천연가스(natural gas)
     4. 발생로가스(producer gas)

     정답 : []
     정답률 : 90%

53. 압력P, 온도T인 1몰의 이상기체가 진공으로 등온 팽창하여 부피가 2배로 되었을 때, △H, △S, △G를 구한 것으로 틀린 것은? (단, H: 엔탈피, S: 엔트로피, A: 헬름홀츠 자유에너지, G: 깁스 자유에너지)(2021년 05월)
     1. △H=0
     2. △A=RTln2
     3. △G=-RTln2
     4. △S=Rln2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헬름 홀츠 자유에너지는 온도,부피가 일정할 때
깁스 자유에너지는 온도, 압력 일정할 때
[해설작성자 : 전준형]

54. A-B 2원계 합금에서 라울의 법칙을 따를 때 이 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XB의 값에 관계없이 γB은 1 이다.
     2. XB의 값에 관계없이 γB은 0 이다.
     3. XB의 값에 관계없이 aB은 1 이다.
     4. XB의 값에 관계없이 aB은 0 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55. 다음 연소 반응식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5%

56. 라울형 이상용액이 혼합 생성열(ΔHM) 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ΔHM=RT
     2. ΔHM=0
     3. ΔHM<1
     4. ΔHM>1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이상 용액은 단순한 합만으로 부피를 구할 수 있으며, 용액을 묽게 해도 내부에너지의 변화가 없고, 성분을 혼합할 때 열의 변화가 없음
[해설작성자 : 한민우]

57. 밀폐된 용기 속에 있는 표준상태(0°C,1기압)의 헬륨224ℓ를 100°C로 가열할 때 엔탈피 변화량(ΔH)은 몇J인가? (단, He는 이상기체이고 이며 기체상수 R은 8.3144J/K·mol이다.)(2010년 05월)
     1. 2078
     2. 6676
     3. 20786
     4. 66763

     정답 : []
     정답률 : 69%

58. 다음 중 고로에서 열 정산 시 출열 항목이 아닌 것은?(2019년 08월)
     1. 산화철 환원열
     2. 코크스 연소열
     3. 노정가스 현열
     4. 석회석 분해열

     정답 : []
     정답률 : 53%

59. 순수한 물질의 여러 상(고체, 액체, 기체) 사이에 평형이 이루어질 열역학적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각 상에서의 속도 (V)가 모두 같아야 한다.
     2. 각 상에서의 압력(P)이 모두 같아야 한다.
     3. 각 상에서의 온도(T)가 모두 같아야 한다.
     4. 각 상에서의 몰 자유에너지(μ=G/n)가 같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60. 고체 및 액체연료에서 고위발열량(HH)와 저위발열량(HL)과의 관계식은? (단, H=수소, W=수분, 발열량 단위 kcal/kg)(2021년 05월)
     1. HL=HH+600(9H+W)
     2. HL=HH-600(9H+W)
     3. HL=HH+486(9H+W)
     4. HL=HH-486(9H+W)

     정답 : []
     정답률 : 70%

4과목 : 금속가공학


61. 완전전위의 Burgersvector를 b라 하고 그 부분전 위의 Burgersvector를 각각b1 ,b2라고 하면 완전 전위가 부분전위로 나누어지는 조건은?(2013년 06월)
     1. b2 < b21 + b22
     2. b2 > b21+b22
     3. b < b1+b2
     4. b > b1+b2

     정답 : []
     정답률 : 73%

62. 평균 압연압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윤활상태가 좋을수록 평균 압연압력이 크다.
     2. 소재의 폭이 크면 평균 압연압력도 크다.
     3. 롤(roll)의 지름이 작으면 평균 압연압력도 작다.
     4. 스트립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평균 압연압력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67%

63. 다음 중 피로파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반복하중 없이 충격에 의해서만 얻어진다.
     2. 파면이 주 인장응력 방향에 평행하다.
     3. 파면에는 주로 원형자국(beach mark)이 나타난다.
     4. 최대 인장응력이 최소가 되어야 피로파괴가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67%

64. 균질변형에서 경계마찰계수(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부착인 경우는 1 이다.
     2. 완전 미끄러짐은 0 (Zero)이다.
     3. 계면에서의 전단응력은 재료의 전단항복응력을 초과한다.
     4. m은 계면전단강도/전단항복응력으로 표현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65. 풀림한 저탄소강의 소성거동은 O’=7000.2MPa로 나타났다. 만일 이 금속을 처음 단면수축 15% 냉간 가공 후 다시 30% 냉간 가공하였다면 이러한 가공을 받은금속의 항복강도는 약 얼마(MPa)인가?(2012년 05월)
     1. 485.2
     2. 570.6
     3. 614.2
     4. 727.7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진변형률(e),유동응력(a) 이라고 쓸께요

홀로몬 a=ke^n , 문제에 주어진 소성거동 식을 홀로몬에 대입
a=700(e)^0.2
(e구하기) e=ln(A0/Af)
1. 초기 단면적을 A0 가정
1차 냉간가공 (15% 수축) 후 단면적
A1=A0×(1-0.15) = 0.85A0
2차    가공 (30% 수축) 후 단면적
A2=A1×(1-0.3)    = 0.595A0     총 단면적 감소율=1-0.595 = 0.405(40.5%)

e=ln(A0/0.595A0) = 0.5192

2.(냉간가공 된 금속)항복강도는 유동응력
a=700(0.5192)^0.2
=614Mp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고온크리프의 변형 기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2년 04월)
     1. 전위의 상승
     2. 공공의 확산
     3. 쌍정의 발생
     4. 결정 입계의 미끄럼

     정답 : []
     정답률 : 62%

67. 다음 중 압하율을 크게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지름이 큰 롤을 사용한다.
     2. 압연 온도를 높여 준다.
     3. 롤 회전속도를 빠르게 한다.
     4. 압연재를 뒤에서 밀어 준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롤 회전속도를 늦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금속재료에 균일한 인장하중을 가하여 제거한 후 다시 이와 반대 반향으로 압축하중을 가하면, 전보다 작은 응력에서 항복이 생기는 것은?(2021년 08월)
     1. Peening 효과
     2. 바우싱거 효과
     3. 가공경화 효과
     4. 크리프 효과

     정답 : []
     정답률 : 82%

69. 바우싱거 효과(Bauschinger effect)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비틀림 변형의 경우에서 명백히 관찰된다.
     2. 소성 변형에 대한 저항이 이력(hysteresis)과 관계가 있다.
     3. 응력의 변화가 작은 경우 바우싱거 효과는 무시될 수 있다.
     4. 한번 어느 방향으로 소성변형을 가한 재료에 역방향의 하중을 가하면 전보다 큰 응력에서 항복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전보다 큰 응력이 아니라 작은 응력에서 항복이 생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금속재료의 재결정 온도의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가공도가 작을수록 재결정 온도가 낮아진다.
     2. 금속의 순도가 높을수록 재결정 온도가 낮아진다.
     3. 재결정을 일으키는데는 최소한의 변형이 필요하다.
     4. 가공전의 결정입자가 미세할수록 재결정 온도가 낮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5%

71. 재료 내 3개의 최대전단응력 중 어느 것인가 하나의 절대값이 일정값에 이르렀을때 항복이 생긴다는 조건은?(2010년 05월)
     1. Von Miss의 항복조건
     2. Tresca의 항복조건
     3. Mohr의 항복조건
     4. Hooke의 항복조건

     정답 : []
     정답률 : 84%

72. 칼날전위의 전위선과 버거스 벡터가 이루는 각은?(2019년 08월)
     1.
     2. 45°
     3. 90°
     4. 180°

     정답 : []
     정답률 : 81%

73. 냉간가공 시 재료에 나타나는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전위밀도가 증가하여 강도가 커지며, FCC는 BCC보다 경화가 크다.
     2. 냉간가공으로 생긴 압축잔류응력은 피로 강도의 형상에 효과적이다.
     3. 결정이 회전하여 결정면이나 방향이 고르게 되므로 이방성의 집합조직이 나타난다.
     4. 항복점연신을 나타내는 강에 항복점 이상의 냉간가공을 하면 항복점과 항복점 연신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전위밀도가 증가하여 강도가 커지며, FCC는 BCC보다 경화가 크다. - 옳은 설명입니다. 전위밀도는 냉간가공에 의해 증가하고, FCC 구조는 BCC 구조보다 경화에 더 큰 영향을 줍니다.
냉간가공으로 생긴 압축잔류응력은 피로 강도의 형상에 효과적이다. - 옳은 설명입니다. 냉간가공은 재료에 압축잔류응력을 도입하며, 이는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결정이 회전하여 결정면이나 방향이 고르게 되므로 이방성의 집합조직이 나타난다. - 옳은 설명입니다. 냉간가공은 결정의 회전을 유발하여 이방성 집합조직을 형성합니다.
항복점연신을 나타내는 강에 항복점 이상의 냉간가공을 하면 항복점과 항복점 연신이 증가한다. - 틀린 설명입니다. 항복점 이상의 냉간가공은 항복점을 유지하거나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항복점 이하에서 냉간가공이 이루어질 때 항복점과 항복점 연신이 증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74. Hall-Petch 식으로 설명되는 재료의 강화기구는?(2019년 04월)
     1. 분산강화
     2. 고용강화
     3. 결정립계에 의한 강화
     4. 점결함에 의한 경화

     정답 : []
     정답률 : 71%

75. 압출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직접 압출을 전방 압출이라 한다.
     2. 간접 압출을 후방 압출이라 한다.
     3. 압출력은 간접 압출이 직접 압출보다 작다.
     4. 간접 압출은 제품의 램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출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76. 압연 공정에서의 압하율은? (단, 롤러 통과 전, 후의 두께는 각각 h0, h1이다.)(2021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77. 탄성계수(E)와 체적탄성계수(K)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ν는 푸아송 비이다.)(2022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7%

78. 금속의 슬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fcc 금속에서 슬립면은 {111}, 슬립방향은 <110>이다.
     2. bcc 금속에서 슬립면은 {110}, 슬립방향은 <111>이다.
     3. bcc 금속에서 슬립계의 수는 3 개이다.
     4. fcc 금속에서 슬립계의 수는 12 개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FCC: 12개
BCC: 48개 (12+12+24)
HCP: 12개 (3+3+6)

48개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민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BCC 48개가 아니라 12개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압연작업에서 압하량을 크게하는 조건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지름이 큰 롤을 사용한다
     2. 압연재의 온도를 높여준다.
     3. 압연재를 뒤에서 밀어준다
     4. 롤의 회전속도를 높인다.

     정답 : []
     정답률 : 88%

80. 압출 과정에서 마찰이 너무 크거나 소재의 냉각이 심한 경우 제품 표면에 산화물이나 불순물이 중심으로 빨려 들어가 생기는 결함은?(2017년 05월)
     1. 셰브런(Chevron)
     2. 표면 균열(Surface crack)
     3. 에지 크랙(Edge crack)
     4. 파이프 결함(Pipe defect)

     정답 : []
     정답률 : 77%

81. 무전해 니켈액의 구성 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니켈염 : 니켈 피막을 부여한다.
     2. 환원제 : 니켈 이온의 모성분의 공급원이다.
     3. 착화제 : 니켈염의 침전을 방지하고 액을 안정화 시킨다.
     4. 안정제 : 자기분해를 촉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84%

82. 금속의 표면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진공 용기 내에서 표면처리 하는 기술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진공증착법
     2. 스퍼터링법(Sputtering)
     3. 이온도금(Ion Plating)
     4. 무전해도금(Electroless Plating)

     정답 : []
     정답률 : 68%

83. 화성피막처리에 구리이온, 질산염 등을 첨가하여 처리시간을 5~ 10분으로 단축시킨 피막 처리법은?(2019년 08월)
     1. 본데라이징법
     2. 옥살산염처리법
     3. 인산염피막처리법
     4. 크로메이트처리법

     정답 : []
     정답률 : 65%

84. 황동합금의 도금에서 금속 석출에 의한 도금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유리 NaCN을 증가시키면 석출 중의 구리분이 많아 진다.
     2. 도금액 중에 NaOH를 가하면 석출 중의 구리는 감소한다.
     3. 도금액을 교반하는 정도가 클수록 구리 금속 성분함량이 많은 합금이 도금이 된다.
     4. 음극의 전류밀도를 증가시킬수록 아연 금속 성분함량이 많은 합금의 도금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51%

85. 주사전자현미경에 사용되는 전자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5월)
     1. 물질에 열을 가하여 일함수 이상의 에너지를 제공하면 전자는 고유의 위치로부터 벗어나 공중으로 방출된다.
     2. 열방사형 전자총을 사용한 주사전자현미경이 전계방사형 전자총을 사용한 것보다 분해능이 뛰어나다.
     3. 열방사형 전자총은 높은 전계를 가하여 에너지를 공급하여 전자를 방출시킨다.
     4. 열방사형 전자총의 음극에 사용되는 재료는 일함수 값이 커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86. 알루미늄을 양극으로 하여 일정한 전해액에서 적정 조건으로 분극시킬 경우 양극산화 피막이 생성된다. 공업적으로 쓰이고 있는 양극산화 피막의 전해질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황산(H2SO4)
     2. 수산(C2H2O4)
     3. 크롬산(CrO3)
     4. 염화칼륨(KCl)

     정답 : []
     정답률 : 76%

87. Floating Voltage에 대한 설명으 로옳은 것은?(2013년 06월)
     1. Bias Voltage와 같은 의미이다.
     2. Probe에서 측정되는 Voltage 이다.
     3. 기판에 인가되는 Voltage 이다.
     4. Anode에 인가한 Voltage 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88. 1기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760 torr
     2. 76 cmHg
     3. 101325 N/m2
     4. 1013 Pa

     정답 : []
     정답률 : 68%

89. Al합금, Cu합금, Ti합금 등을 시효 처리 전에 실시하는 열처리로서 합금 중의 용질원자를 모재에 고용시키는 방법은?(2020년 06월)
     1. 심냉처리
     2. 용체화처리
     3. 수인처리
     4. 파텐팅처리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체화처리란, 고용체를 만든다는 뜻으로, 용질의 고용도가 높아지는 고온에서 열처리를 해 고용체(solid solution)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용체화 처리 후 급냉(quenching, 퀜칭)하면 고용질 용질이 석출되기도 전에 굳어버려 상온에서 고용체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여기서 온도를 살짝 올려 석출물을 살살 석출시키는게 시효 (aging) 처리 입니다.
또는, 용체화 후 급냉하지 않고 바로 시효처리 온도에 집어넣어 시효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청포도(금속 1트)]

90. 전기도금이나 무전해도금 피막 중에 미립자를 분산시켜 도금하는 분산도금의 분산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CuO
     2. Al2O3
     3. SiC
     4. 다이아몬드

     정답 : []
     정답률 : 60%

91. 다음 중 양극 산화 처리하기 가장 어려운 금속은?(2020년 06월)
     1. Ni
     2. Al
     3. Mg
     4. Ti

     정답 : []
     정답률 : 52%

92. 인산염처리 후 방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봉공처리액으로 효과적인 것은?(2021년 05월)
     1. 염화나트륨 수용액
     2. 알칼리액
     3. 초순수액
     4. 크롬산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봉공 처리는 크롬산 또는 크롬산과 인산의 묽은 수용액에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
[해설작성자 : 한민우]

93. 주사전자현미경에 관한 이론 중 상호작용 부피(inter-action volum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산란단면은 가속전자 에너지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2. 상호작용 부피는 시편의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3. 입사빔의 각도가 직각에서 벗어남에 따라 상호작용 부피가 감소한다.
     4. 상호작용 부피는 시료 표면에서 탄성산란의 증가와 단위거리당 에너지 손실의 증가로 공모양으로 변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94. 합금원소를 많이 함유한 공구강 등에서 풀림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강을 오스테나이트화 한 후, TTT곡선의 코(nose)온도에 해당되는 600~650°C의 노속에 넣어 5~6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공냉시키는 방법은?(2010년 05월)
     1. 완전풀림
     2. 항온풀림
     3. 확산풀림
     4. 구상화풀림

     정답 : []
     정답률 : 73%

95. 다음 중 질화처리법에서 질화제로 주로 사용되는 가스는?(2019년 08월)
     1. 헬륨
     2. 아르곤
     3. 암모니아
     4. 천연가스

     정답 : []
     정답률 : 72%

96. 아연도금 후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16년 05월)
     1. 크로메이트 처리
     2. 인산염 피막처리
     3. 라커(Lacquer) 처리
     4. 크롬도금 처리

     정답 : []
     정답률 : 71%

97. Cr계 스테인리스강의 취화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σ 취성을 방지하는 원소는 Al이다.
     2. 저온취성은 주로 오스테나이트계 강에서 나타난다.
     3. σ 취성은 800°C 이상으로 가열하여 급냉하면 인성이 회복된다.
     4. 475°C 취성은 Cr 15% 이상의 강종을 370~540°C 로 장시간 가열하면 취하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98. 화학증착(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법을 옳게 설명한 것은?(2012년 05월)
     1. 피복하고자하는 금속을 증발하여 이온화시켜 피복한다.
     2. 타겟(target) 재료의 원자를 스퍼터(Sputter) 시켜 마주보는 기판위에 피복한다.
     3. 금속용액에 기판을 침지하여 화학적으로 치환 도금 한 것이다.
     4. 가열된 소재에 피복하고 자하는 피막성분을 포함한 원료의 혼합가스를 접촉시켜 증착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99. 알루미늄의 착색성을 오래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자연발색
     2. 전해착색
     3. Dying착색
     4. Sealing

     정답 : []
     정답률 : 54%

100. 마텐자이트 조직의 경도가 큰 이유가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결정의 미세화
     2. 급냉으로 인한 내부응력
     3. 탄소원자에 의한 Fe 격자의 강화
     4. C의 확산변태에 의한 전위, 쌍정조직의 강화

     정답 : []
     정답률 : 7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82442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837555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7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5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6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3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5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82442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3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2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2
61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2
6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계획및생태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9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3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8 건축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943538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7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9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6 9급 지방직 공무원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5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4 PSAT 헌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3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0154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직선거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0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49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2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Board Pagination Prev 1 ...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Next
/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