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0154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조림학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보조 또는 지원을 받아 시행하는 산림사업으로서 설계를 하여야 하는 사업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3헥타르 이상의 조림사업
     2. 10헥타르 이상의 솎아베기를 수반하는 숲가꾸기 사업
     3. 임도사업
     4. 사방사업

     정답 : []
     정답률 : 53%

2. 간벌의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산림관리 비용을 크게 줄인다.
     2. 임분의 수직구조 및 안정화를 도모한다.
     3. 직경생장을 촉진하여 연륜폭이 넓어진다.
     4. 우량한 개체를 남겨서 임분의 유전적 형질을 향상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간벌은 관리비용을 증대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제벌작업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2013년 08월)
     1. 산림보육 순서로 보면 간벌작업 후에 실시하는 작업이다.
     2. 중간 일체 수입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3. 농한기인 겨울철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4. 제벌 모수는 어느 수종이나 1회 실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풀베기 작업과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중간 벌채 수입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3. 농한기인 겨울철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4. 제벌 횟수는 어느 수종이나 1회 실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4. 조림시에 묘목간의 거리 2m, 간격 2.5m로 식재할 때에 조림면적 4ha 에 필요한 묘목본수는 다음 어느 것인가?(2010년 07월)
     1. 6000본
     2. 8000본
     3. 12000본
     4. 14000본

     정답 : []
     정답률 : 91%

5. 산림 토양내 점토광물의 양이 증가 할수록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한 것 중 바른 것은?(2007년 08월)
     1. 통기성이 증가한다.
     2. 수분 보유력이 증가한다.
     3. 양분 보유력이 감소한다.
     4. 표면적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6. 수목에서 양료의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질소, 인, 칼륨 등은 이동이 쉬운 원소들이다.
     2.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원소는 칼슘, 철, 붕소 등이 있다.
     3. 이동성이 좋은 양료는 결핍 현상이 어린잎에서 먼저 나타난다.
     4. 어떤 원소의 이동성이란 용해도와 사부조직으로 들어갈 수 있는 용이성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이동이 쉬운 원소는 재분배가 쉽게 일어나게 됨으로 성숙한 잎에서부터 어린잎으로 부족한 원소를 이동시켜 성숙한 잎에서 먼저 부족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연중 종자 생산 시기가 가장 빠른 수종은?(2015년 05월)
     1. 주목
     2. 팽나무
     3. 회화나무
     4. 사시나무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사시나무, 버드나무류, 미루나무, 양버들, 황철나무 등은 5월에 종자가 성숙한다.
[해설작성자 : unsori86]

8. 어린나무 가꾸기나 천연림 보육작업 등의 잡목 솎아내기 작업이 끝난 후부터 최종 수확 때까지 숲을 가꾸는 작업은?(2016년 05월)
     1. 간벌
     2. 제벌
     3. 덩굴제거
     4. 가지치기

     정답 : []
     정답률 : 81%

9. 가지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11월부터 이듬해 2월 사이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2. 1차 가지치기는 수고의 20~30% 높이까지 실시한다.
     3. 지융부에 유해 호르몬이 있기 때문에 지융부 전체를 제거해 준다.
     4. 1차 간벌 실시 전에 1차 가지치기 작업으로 모든 수목에 대하여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10. 숲가꾸기 작업 중 덩굴 제거에서 사용되는 디캄바 액제 사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칡 등 콩과 잡초에 적용한다.
     2. 작업시기는 덩굴류 생장기인 5~9월에 사용한다.
     3. 고온에서는 증발에 의해 주변 식물에 약해를 일으킬 수 있다.
     4. 약제 처리 후 24시간 이내에 강우가 예상될 경우 작업을 중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디캄바[반벨]액제
광엽잡초, 콩과식물 (선택성 제초제)
조림 후 1~3년이 경과한 임지
경엽흡수제,식물의 살아있는 조직으로 침투, 생리작용을 교란시켜 고사시킴
2~3월, 10~11월[treedb.co.kr]
[해설작성자 : golflab]

2. 초본류 발생과 낙엽수의 잎이 피기 전인 2~3월 중에 실시하거나 낙엽이 진 후 10~11월에 실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중 우량묘목이라 할 수 있는 것은?(2013년 08월)
     1. 줄기가 곧으며 도장된 것
     2. 묘목의 가지가 균형 있게 뻗고 정아가 완전한 것
     3. 근계중에 주근이 같고 곧고 세근이 적은 것
     4. T/R률의 값이 큰 것

     정답 : []
     정답률 : 85%

12. 군상개벌작업에서 한 벌채구역의 일반적인 크기는?(2019년 03월)
     1. 0.03~0.1ha
     2. 0.3~1.0ha
     3. 1.0~3.0ha
     4. 3.0~5.0ha

     정답 : []
     정답률 : 58%

13. 다음 중 발아율이 가장 낮은 수종은?(2009년 07월)
     1. 해송
     2. 측백나무
     3. 리기다소나무
     4. 전나무

     정답 : []
     정답률 : 58%

14. 곰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잎은 두 개씩 모여서 난다.
     2. 바다의 바람을 이겨내는 힘이 강하다.
     3. 소나무에 비해 실생묘의 양성이 어렵다.
     4. 직사광선을 받는 곳에서 생장이 왕성하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곰솔은 종자로 쉽게 실생묘를 양성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ㅋㅋ]

15. 수정이 되어서 종자가 성숙되어 가는 과정 가운데 배유안에서 분화되서 자엽, 유아, 배축, 유근 등을 형성한다. 이 때 다음 침엽수종 가운데 자엽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2013년 06월)
     1. 소나무
     2. 측백나무
     3. 향나무
     4. 주목

     정답 : []
     정답률 : 65%

16. 종자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배, 내피, 외피로 구성된다.
     2. 배, 배유, 종피로 구성된다.
     3. 배유, 자엽, 배축으로 구성된다.
     4. 유아, 자엽, 외곽조직으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종자는 종피, 내종피, 배유, 배 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1년생으로부터 100년생에 이르는 각 영급별 나무가 어울려 자라고 있는 60ha의 임지가 있다. 이 임지를 5ha씩 12개의 임분으로 구획하고 해마다 1개 임분씩 수확벌채와 무육간벌을 실시하면서 택벌림 작업을 한다. 이 경우 회귀년은?(2006년 08월)
     1. 5년
     2. 2년
     3. 10년
     4. 12년

     정답 : []
     정답률 : 62%

18. 묘목간의 간격을 2m로 하고 정방형으로 조림하고자 할 때 1ha에 몇 본이 소요되는가?(2011년 06월)
     1. 2000본
     2. 2500본
     3. 3000본
     4. 3500본

     정답 : []
     정답률 : 89%

19. 수목의 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잎, 가지, 혹은 수목 전체를 투명한 용기 속에 밀봉하고 공기 중의 수증기량의 변화를 가지고 증산량을 추정하는 방법은?(2007년 03월)
     1. 중량법
     2. 용적법
     3. 텐트법
     4. TTC

     정답 : []
     정답률 : 52%

20. 양수 수종을 조림할 경우 밑깎기 작업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은?(2018년 04월)
     1. 줄깎기
     2. 평깎기
     3. 둘레깎기
     4. 전면깎기

     정답 : []
     정답률 : 75%

2과목 : 산림보호학


21. 밤나무 줄기마름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저항성 품종인 옥광 등을 식재한다.
     2.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 건전한 묘목을 심는다.
     3. 천공성 해충류의 피해가 없도록 살충제를 살포한다.
     4. 초기의 병반이 발생했을 때는 병든 부분을 도려내고 소독한 후 도포제를 바른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저항성 품종으로 단택, 이취, 삼초생, 금추등을 식재한다.
[해설작성자 : 르망]

22. 다음 중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2006년 03월)
     1. 소나무좀
     2. 박쥐나방
     3. 꼬마버들재주나방
     4. 복숭아명나방

     정답 : []
     정답률 : 50%

23. 응애류를 방제하기위한 농약은?(2008년 07월)
     1. 살비제
     2. 살서제
     3. 살충제
     4. 살균제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 쥐, 작은 포유류
3. 곤충, 벌레
4. 박테리아, 균

24. 오리나무잎벌레의 생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양성생식을 한다.
     2. 1년에 1회 발생한다.
     3. 유충과 성충 모두 잎을 갉아 먹는다.
     4. 성충은 알을 오리나무류 줄기에 낳는다.

     정답 : []
     정답률 : 78%

25. 윤작의 연한이 짧아도 방제 효과가 가장 큰 수목병은?(2017년 08월)
     1. 흰비단병
     2. 자주빛날개무늬병
     3. 침엽수의 모잘록병
     4. 오리나무 갈색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52%

26. 다음 포유류 가운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2. 산양
     3. 수달
     4. 물범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삵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2016년 08월)
     1. 밤바구미
     2. 알락하늘소
     3. 솔껍질깍지벌레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깍지벌레는 노린재목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산림해충 방제법 중 생물적 방제법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기생벌 이용
     2. 잠복소 설치 유살
     3. 포식충 이용
     4. 병원미생물 이용

     정답 : []
     정답률 : 84%

29. 다음 중 수병의 잠복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2014년 08월)
     1. 잣나무 털녹병
     2. 포플러 잎녹병
     3. 소나무 재선충병
     4. 낙엽송 잎떨림병

     정답 : []
     정답률 : 54%

30. 균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자낭균류 : 균류 중 가장 많이 종이 있으며 균사에 격벽이 있다.
     2. 난균류 : 균사에 격벽이 없고 무성포자인 유주포자를 생성한다.
     3. 담자균류 : 대부분의 버섯이 속하는 것으로 격벽을 가지고 있는 다세포이다.
     4. 불완전균류 : 유성생식으로 번식하며 분생포자 형성기관에 따라 재분류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불완전균류 - 무성생식

31. 밤나무에 있어 동해와 가장 관련이 깊은 병해는?(2006년 03월)
     1. 밤나무 줄기 마름병
     2. 밤나무 둥근 갈색 무늬병
     3. 밤나무 근두암종병
     4. 밤나무 녹병

     정답 : []
     정답률 : 66%

32. 소나무 재선충이 수목간 이동하는 주요 경로는?(2009년 05월)
     1. 종자 전염
     2. 매개충
     3. 바람
     4. 토양 전염

     정답 : []
     정답률 : 92%

33. 다음 중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복숭아명나방
     2. 방애기잎말이나방
     3. 복숭아유리나방
     4. 솔알락명나방

     정답 : []
     정답률 : 63%

34. 산림해충의 임업적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복층림과 혼효림을 조성하여 임상을 다양하게 한다.
     2. 토양의 경운, 토성의 개량을 통한 임지환경을 조정한다.
     3. 농약 사용을 지양하고 포살법이나 유살법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한다.
     4. 간벌 및 가지치기 등을 실시하여 해충의 잠복장소를 제거하고 수목의 활력을 증대 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유살법과 포살법은 기계적 방제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흰가루병균은 무슨 균류에 속하는가?(2008년 03월)
     1. 담자균류
     2. 자낭균류
     3. 불완전균류
     4. 조균류

     정답 : []
     정답률 : 40%

36. 병환부나 죽은 기주체 상에서 월동하는 병균이 아닌 것은?(2013년 08월)
     1.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2. 오동나무 탄저병균
     3. 낙엽송 잎떨림병균
     4. 잣나무 털녹병균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병든 가지나 줄기는 처음에 황색이나 오렌지색으로 변하면서 약간 부풀고 거칠어지며 4~6월 사이에 병환부의 수피가 터지면서 오렌지색의 가루주머니가 터져 노란가루가 비산되는 것은?    ❸ 잣나무 털녹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밤나무혹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밤나무의 눈에 기생하여 벌레혹을 형성한다.
     2. 밤나무혹벌에 기생하는 천적을 활용하여 방제할 수 있다.
     3. 땅에 떨어진 유충이 땅속에서 월동한다.
     4. 성충은 수컷이 없고, 암컷이 단성생식 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38. 밤나무 흰가루병균으로 잎의 앞뒷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아 보이는 것은?(2017년 05월)
     1. 분생포자
     2. 자낭포자
     3. 후벽포자
     4. 담자포자

     정답 : []
     정답률 : 62%

39.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1. 광학 현미경으로 볼 수 있다.
     2.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된다.
     3. 인공 재비에서는 배양이 되지 않는다.
     4. 주로 즙액, 곤충, 씨앗 등에 의해서 전입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자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르망]

40. 미국과 유럽의 밤나무림을 황폐하게 만든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원체는?(2016년 03월)
     1. 세균
     2. 자낭균
     3. 담자균
     4. 바이러스

     정답 : []
     정답률 : 59%

3과목 : 임업경영학


41. 조림·육림·임목생산·시설·소득사업의 정보 등이 담긴 도면으로 맞는 것은?(2009년 03월)
     1. 위치도
     2. 목표임상도
     3. 경영계획도
     4. 산림기능도

     정답 : []
     정답률 : 75%

42. 어떤 산림에서 간벌수입이 10,000,000원 이었는데 이것을 연이율 5%로 하여 20년 후의 벌기까지 거치해 둔다면 후가는 얼마인가? (단, 1.0520=2.6533 이다.)(2006년 03월)
     1. 36,688,915(원)
     2. 37,688,915(원)
     3. 25,533,000(원)
     4. 26,533,000(원)

     정답 : []
     정답률 : 72%

43. 다음 그림과 같은 손익분기도표가 있다. 손익분기 판매량에 해당되는 곳은?(2009년 07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89%

44. 국유림경영계획의 산림구획에서 소반면적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A)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5월)

    

     1. 0.1
     2. 0.5
     3. 1
     4. 100

     정답 : []
     정답률 : 71%

45. 말구직격(dn) 26㎝, 중앙직경 30㎝, 원구직경(do) 36㎝ 그리고 재장(ℓ)이 4인m 통나무의 재적을 Huber식에 의하여 계산하면?(2010년 05월)
     1. 0.283m3
     2. 0.613m3
     3. 0.832m3
     4. 0.945m3

     정답 : []
     정답률 : 60%

46. 공유림 경영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공공복지 증진
     2. 재정 수입의 확보
     3. 국유림 경영의 지원
     4. 사유림 경영의 시범

     정답 : []
     정답률 : 65%

47. 감가상각비의 계산방법 중에 감가상각비 총액을 각 사용연도에 할당하여 균등하게 감가하는 것은?(2012년 08월)
     1. 정액법
     2. 정률법
     3. 급수법
     4. 비례상각법

     정답 : []
     정답률 : 82%

48. 임업경영의 지도원칙으로 매년 목재수확을 균등하게 하여 영속적으로 목재를 공급하는 것은?(2018년 08월)
     1. 보속성의 원칙
     2. 공공성의 원칙
     3. 생산성의 원칙
     4. 합자연석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5%

49. 임업경영의 성과를 나타내는 가장 정확한 지표는?(2009년 07월)
     1. 임업조수익
     2. 임업소득
     3. 임업 현금수입
     4. 임업총수입

     정답 : []
     정답률 : 77%

50. 임업소득률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임업소득 ÷ 임가소득
     2. 임업소득 ÷ 임업조수익
     3. 임업소득 ÷ 농림업 외 소득
     4. (임업소득 + 농업소득) ÷ 농림업 외 소득

     정답 : []
     정답률 : 59%

51. 어떤 재화로부터 장차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수익을 일정한 이율로 할인하여 구한 현재가를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05월)
     1. 매매가
     2. 비용가
     3. 기망가
     4. 자본가

     정답 : []
     정답률 : 82%

52. 법정축적이 400m3/ha 이고 윤벌기가 80년으로 경영되고 있는 법정림의 법정연벌량은?(2014년 05월)
     1. 2.5m3
     2. 5.0m3
     3. 10.0m3
     4. 15.0m3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법정연벌률 = 200/윤벌기
                     = 200/80
                     = 2.5

법정연벌량 = (법정연벌률/100)*법정축적
                     = (2.5/100)*400
                     = 10m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다음 중 임업노동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3월)
     1. 작업 방법을 개선. 개발한다.
     2. 작업단을 조직하고 운영한다.
     3. 농촌 노동력의 유출을 막는다.
     4. 기계. 기구를 개발, 개량하여 보급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54. 소반의 경계표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08월)
     1. 1, 2, 3, …
     2. 가, 나, 다, …
     3. Ⅰ, Ⅱ, Ⅲ, …
     4. ㄱ, ㄴ, ㄷ, …

     정답 : []
     정답률 : 79%

55. 다음 (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3월)

    

     1. 경제활동
     2. 임업생산
     3. 경제적 기능
     4. 공익적 기능

     정답 : []
     정답률 : 73%

56. 산림경영계획을 위한 산림구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공유림경영계획구는 일반적으로 행정구역(시,군,구등)으로 나눈다.
     2. 소반은 필요에 의해 구획을 변경할 수 있으며 소반 번호는 가,나,다 등의 일련번호를 붙인다.
     3. 임반의 면적은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100ha 내외로 구획한다.
     4. 동일한 임반 내에서 임종, 임상 및 작업종이 상이할 경우에는 소반으로 구획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 소반은 필요에 의해 구획을 변경할 수 있으며 소반 번호는 1,2,3 등의 일련번호를 붙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임지기망가의 값이 작아지는 경우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이율이 낮아질 때
     2. 벌기가 짧아질 때
     3. 조림비가 커질 때
     4. 간벌 수익이 커질 때

     정답 : []
     정답률 : 67%

58. 산림의 관리경영에 소요되는 관리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채취비
     2. 보험료
     3. 감가상각비
     4. 산림보호비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관리비는 산림의 관리경영에서 소요되는 비용으로 인건비,물건비,감가상각비,산림보호비,영림계획비,제세공과금,보험료,복지시설비,시험연구비 등 조림비와 채취비에 속하지 않는 일체의 경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현 산림축적이 ha당 1000m3이고 연평균 생장률이 3% 일 때, 10년 후 산림 축적을 복리식 후가계산식으로 계산하면?(2018년 04월)
     1. 약 131m3
     2. 약 1305m3
     3. 약 1344m3
     4. 약 13786m3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000*(1+0.03)^10
=1,34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유령림의 임목 평가방법으로 임목가격의 최저 한도액을 이용하는 것은?(2020년 08월)
     1. 원가법
     2. 매매가법
     3. 비용가법
     4. 시장가역산법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비용가법은 일반적으로 평가 재산의 취득원가를 기초로 하여 평가하는 원가법(취득원가법)으로, 임목평가에서는 유령림에 주로 이방법을 적용한다.
[해설작성자 : 도전산림산업기사]

61. 산지에서 발생하는 침식의 형태 중 중력침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8월)
     1. 붕괴형 침식
     2. 지활형 침식
     3. 유동형 침식
     4. 곡상형 침식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곡상형 침식은 침강침식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가선 집재와 비교한 트랙터 집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작업비가 절약된다.
     2. 작업생산성이 높다.
     3. 급경사지에서도 가능하다.
     4. 기동성이 있고 탄력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63. 적정임도밀도가 40m/ha인 임도에서 평균집재거리는?(2020년 06월)
     1. 25m
     2. 31.25m
     3. 40m
     4. 62.5m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0000/(적정임목밀도*4)

64. 집재용 도구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피비
     2. 펄프훅
     3. 마세티
     4. 파이크폴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 마세티 - 덩굴제거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트랙터집재와 비교한 가선집재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작업이 단순하다.
     2. 작업생산성이 높다.
     3. 장비구입비가 저렴하다.
     4. 잔존 임분에 피해가 적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작업이 복잡하다
2.작업생산성이 낮다
3.장비구입비가 비싸다
[해설작성자 : 밍밍]

66. 대경재 벌목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쐐기나 지렛대를 이용한다.
     2. 기계톱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3. 바버체어(baber chair)가 발생하도록 작업한다.
     4. 목재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옆면노치자르기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67. 사방댐에 있어 계류바닥의 계획물매는 일반적으로 현물매의 어느 정도를 표준으로 하는가?(2014년 05월)
     1. 1/5 ~ 1/4
     2. 1/4 ~ 1/3
     3. 1/3 ~ 1/2
     4. 1.2 ~ 2/3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사방댐에 있어 계류바닥의 계획물매는 일반적으로 현물매의 1/2 ~ 2/3를 표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수상운재 방법으로 목재를 묶지 않고 단목으로 띄워보내는 것은?(2015년 05월)
     1. 벌류
     2. 관류
     3. 위류
     4. 수수라

     정답 : []
     정답률 : 59%

69. 임업기계화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생산비용의 절감
     2. 노동생산성의 향상
     3. 중노동으로부터 해방
     4. 임지 및 자연환경보전

     정답 : []
     정답률 : 72%

70. 임목수확작업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적재
     2. 운재
     3. 집재
     4. 조재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임목수확작업에서 적재라는 용어 대신에 집적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임목수확작업 구성요소: 벌도 조재 집재 운재
[해설작성자 : 나는우리]

71. 임도 시공 중 깍아낸 곳에서 가까운 곳에 흙을 쌓는 근거리 운반의 경우 불도저는 성토운반의 최대거리를 얼마로 하는가?(2009년 05월)
     1. 40m
     2. 50m
     3. 60m
     4. 80m

     정답 : []
     정답률 : 55%

72. 노체의 구성으로 하층부터 상층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03월)
     1. 노상 - 노반 - 기층 - 표층
     2. 노반 - 노상 - 기층 - 표층
     3. 노상 - 노반 - 표층 - 기층
     4. 노반 - 노상 - 표층 - 기층

     정답 : []
     정답률 : 77%

73. 임도의 합성물매는 10%로 설정하고, 외쪽물매를 6%로 적용한다면 종단물매는 약 몇 %가 적당 한가?(2008년 03월)
     1. 8%
     2. 10%
     3. 12%
     4. 14%

     정답 : []
     정답률 : 72%

74. 비탈면 안정을 위한 침식방지제의 사용효과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보온효과 기대
     2. 객토의 유출 및 침식방지
     3. 토양사분의 증산촉진 및 표면건조 유도
     4. 살포되는 종자, 비료, 피복보호제 등의 유실방지

     정답 : []
     정답률 : 75%

75. 다음 중 산복사방 식재용 수종으로 요구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묘목의 생산비가 적게 들고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
     2. 건조ㆍ한해ㆍ충해 등에 대하여 적응성이 클 것
     3. 갱신이 용이하고 가급적이면 경제가치가 높을 것
     4. 비료 요구도가 높아 생장이 왕성하고 잘 번식할 것

     정답 : []
     정답률 : 76%

76. 임도의 합성기울기를 10%로 설정하려 할 때 외쪽기울기가 6%라면 종단 기울기는?(2017년 05월)
     1. 8%
     2. 10%
     3. 12%
     4. 1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공식 : 합성기울기 = 루트 외쪽(횡단)기울기의 제곱 + 종단기울기의 제곱
각 항을 같게 하여 루트를 없애려면 양쪽을 제곱 하여 계산함. (예, 루트2제곱 = 2 )
따라서 100=36+X제곱, X제곱=100-36
X제곱=64, X=8
[해설작성자 : 수험생]

77. 임도의 노선 결정시 주요 통과지에 대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지형에 순응한 선형으로 한다.
     2. 붕괴지,암석지,습지는 가급적 피한다.
     3. 너무 많은 흙깍기, 흙쌓기가 필요한 곳은 피한다.
     4. 가급적 교량,옹벽 등 구조물 시설이 많은 곳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78. 물 침식을 우수침식, 하천침식, 지중침식, 바다침식으로 구분했을 때 우수침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면상침식
     2. 누구침식
     3. 구곡침식
     4. 용출침식

     정답 : []
     정답률 : 84%

79. 유수에 의한 계상면의 침식을 방지하고 현 계상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횡구조물은?(2014년 08월)
     1. 구곡막이
     2. 바닥막이
     3. 기슭막이
     4. 누구막이

     정답 : []
     정답률 : 50%

80. 다공정 임목 수확 장비를 이용하기 위한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조작 방법이 단순하고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보 기능인도 작업이 가능하다.
     2. 임상이 균일하여야 하며 급경사지에서는 사용을 제한 받는다.
     3. 지형에 많은 영향을 받고 주행성이 좋은 기본 탑재 장비가 필요하다.
     4. 장비가 고강이고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정 답 지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0154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조림학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보조 또는 지원을 받아 시행하는 산림사업으로서 설계를 하여야 하는 사업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3헥타르 이상의 조림사업
     2. 10헥타르 이상의 솎아베기를 수반하는 숲가꾸기 사업
     3. 임도사업
     4. 사방사업

     정답 : []
     정답률 : 53%

2. 간벌의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산림관리 비용을 크게 줄인다.
     2. 임분의 수직구조 및 안정화를 도모한다.
     3. 직경생장을 촉진하여 연륜폭이 넓어진다.
     4. 우량한 개체를 남겨서 임분의 유전적 형질을 향상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간벌은 관리비용을 증대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제벌작업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2013년 08월)
     1. 산림보육 순서로 보면 간벌작업 후에 실시하는 작업이다.
     2. 중간 일체 수입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3. 농한기인 겨울철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4. 제벌 모수는 어느 수종이나 1회 실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풀베기 작업과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중간 벌채 수입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3. 농한기인 겨울철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4. 제벌 횟수는 어느 수종이나 1회 실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4. 조림시에 묘목간의 거리 2m, 간격 2.5m로 식재할 때에 조림면적 4ha 에 필요한 묘목본수는 다음 어느 것인가?(2010년 07월)
     1. 6000본
     2. 8000본
     3. 12000본
     4. 14000본

     정답 : []
     정답률 : 91%

5. 산림 토양내 점토광물의 양이 증가 할수록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한 것 중 바른 것은?(2007년 08월)
     1. 통기성이 증가한다.
     2. 수분 보유력이 증가한다.
     3. 양분 보유력이 감소한다.
     4. 표면적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6. 수목에서 양료의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질소, 인, 칼륨 등은 이동이 쉬운 원소들이다.
     2.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원소는 칼슘, 철, 붕소 등이 있다.
     3. 이동성이 좋은 양료는 결핍 현상이 어린잎에서 먼저 나타난다.
     4. 어떤 원소의 이동성이란 용해도와 사부조직으로 들어갈 수 있는 용이성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이동이 쉬운 원소는 재분배가 쉽게 일어나게 됨으로 성숙한 잎에서부터 어린잎으로 부족한 원소를 이동시켜 성숙한 잎에서 먼저 부족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연중 종자 생산 시기가 가장 빠른 수종은?(2015년 05월)
     1. 주목
     2. 팽나무
     3. 회화나무
     4. 사시나무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사시나무, 버드나무류, 미루나무, 양버들, 황철나무 등은 5월에 종자가 성숙한다.
[해설작성자 : unsori86]

8. 어린나무 가꾸기나 천연림 보육작업 등의 잡목 솎아내기 작업이 끝난 후부터 최종 수확 때까지 숲을 가꾸는 작업은?(2016년 05월)
     1. 간벌
     2. 제벌
     3. 덩굴제거
     4. 가지치기

     정답 : []
     정답률 : 81%

9. 가지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11월부터 이듬해 2월 사이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2. 1차 가지치기는 수고의 20~30% 높이까지 실시한다.
     3. 지융부에 유해 호르몬이 있기 때문에 지융부 전체를 제거해 준다.
     4. 1차 간벌 실시 전에 1차 가지치기 작업으로 모든 수목에 대하여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10. 숲가꾸기 작업 중 덩굴 제거에서 사용되는 디캄바 액제 사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칡 등 콩과 잡초에 적용한다.
     2. 작업시기는 덩굴류 생장기인 5~9월에 사용한다.
     3. 고온에서는 증발에 의해 주변 식물에 약해를 일으킬 수 있다.
     4. 약제 처리 후 24시간 이내에 강우가 예상될 경우 작업을 중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디캄바[반벨]액제
광엽잡초, 콩과식물 (선택성 제초제)
조림 후 1~3년이 경과한 임지
경엽흡수제,식물의 살아있는 조직으로 침투, 생리작용을 교란시켜 고사시킴
2~3월, 10~11월[treedb.co.kr]
[해설작성자 : golflab]

2. 초본류 발생과 낙엽수의 잎이 피기 전인 2~3월 중에 실시하거나 낙엽이 진 후 10~11월에 실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중 우량묘목이라 할 수 있는 것은?(2013년 08월)
     1. 줄기가 곧으며 도장된 것
     2. 묘목의 가지가 균형 있게 뻗고 정아가 완전한 것
     3. 근계중에 주근이 같고 곧고 세근이 적은 것
     4. T/R률의 값이 큰 것

     정답 : []
     정답률 : 85%

12. 군상개벌작업에서 한 벌채구역의 일반적인 크기는?(2019년 03월)
     1. 0.03~0.1ha
     2. 0.3~1.0ha
     3. 1.0~3.0ha
     4. 3.0~5.0ha

     정답 : []
     정답률 : 58%

13. 다음 중 발아율이 가장 낮은 수종은?(2009년 07월)
     1. 해송
     2. 측백나무
     3. 리기다소나무
     4. 전나무

     정답 : []
     정답률 : 58%

14. 곰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잎은 두 개씩 모여서 난다.
     2. 바다의 바람을 이겨내는 힘이 강하다.
     3. 소나무에 비해 실생묘의 양성이 어렵다.
     4. 직사광선을 받는 곳에서 생장이 왕성하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곰솔은 종자로 쉽게 실생묘를 양성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ㅋㅋ]

15. 수정이 되어서 종자가 성숙되어 가는 과정 가운데 배유안에서 분화되서 자엽, 유아, 배축, 유근 등을 형성한다. 이 때 다음 침엽수종 가운데 자엽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2013년 06월)
     1. 소나무
     2. 측백나무
     3. 향나무
     4. 주목

     정답 : []
     정답률 : 65%

16. 종자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배, 내피, 외피로 구성된다.
     2. 배, 배유, 종피로 구성된다.
     3. 배유, 자엽, 배축으로 구성된다.
     4. 유아, 자엽, 외곽조직으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종자는 종피, 내종피, 배유, 배 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1년생으로부터 100년생에 이르는 각 영급별 나무가 어울려 자라고 있는 60ha의 임지가 있다. 이 임지를 5ha씩 12개의 임분으로 구획하고 해마다 1개 임분씩 수확벌채와 무육간벌을 실시하면서 택벌림 작업을 한다. 이 경우 회귀년은?(2006년 08월)
     1. 5년
     2. 2년
     3. 10년
     4. 12년

     정답 : []
     정답률 : 62%

18. 묘목간의 간격을 2m로 하고 정방형으로 조림하고자 할 때 1ha에 몇 본이 소요되는가?(2011년 06월)
     1. 2000본
     2. 2500본
     3. 3000본
     4. 3500본

     정답 : []
     정답률 : 89%

19. 수목의 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잎, 가지, 혹은 수목 전체를 투명한 용기 속에 밀봉하고 공기 중의 수증기량의 변화를 가지고 증산량을 추정하는 방법은?(2007년 03월)
     1. 중량법
     2. 용적법
     3. 텐트법
     4. TTC

     정답 : []
     정답률 : 52%

20. 양수 수종을 조림할 경우 밑깎기 작업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은?(2018년 04월)
     1. 줄깎기
     2. 평깎기
     3. 둘레깎기
     4. 전면깎기

     정답 : []
     정답률 : 75%

2과목 : 산림보호학


21. 밤나무 줄기마름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저항성 품종인 옥광 등을 식재한다.
     2.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 건전한 묘목을 심는다.
     3. 천공성 해충류의 피해가 없도록 살충제를 살포한다.
     4. 초기의 병반이 발생했을 때는 병든 부분을 도려내고 소독한 후 도포제를 바른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저항성 품종으로 단택, 이취, 삼초생, 금추등을 식재한다.
[해설작성자 : 르망]

22. 다음 중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2006년 03월)
     1. 소나무좀
     2. 박쥐나방
     3. 꼬마버들재주나방
     4. 복숭아명나방

     정답 : []
     정답률 : 50%

23. 응애류를 방제하기위한 농약은?(2008년 07월)
     1. 살비제
     2. 살서제
     3. 살충제
     4. 살균제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 쥐, 작은 포유류
3. 곤충, 벌레
4. 박테리아, 균

24. 오리나무잎벌레의 생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양성생식을 한다.
     2. 1년에 1회 발생한다.
     3. 유충과 성충 모두 잎을 갉아 먹는다.
     4. 성충은 알을 오리나무류 줄기에 낳는다.

     정답 : []
     정답률 : 78%

25. 윤작의 연한이 짧아도 방제 효과가 가장 큰 수목병은?(2017년 08월)
     1. 흰비단병
     2. 자주빛날개무늬병
     3. 침엽수의 모잘록병
     4. 오리나무 갈색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52%

26. 다음 포유류 가운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2. 산양
     3. 수달
     4. 물범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삵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2016년 08월)
     1. 밤바구미
     2. 알락하늘소
     3. 솔껍질깍지벌레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깍지벌레는 노린재목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산림해충 방제법 중 생물적 방제법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기생벌 이용
     2. 잠복소 설치 유살
     3. 포식충 이용
     4. 병원미생물 이용

     정답 : []
     정답률 : 84%

29. 다음 중 수병의 잠복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2014년 08월)
     1. 잣나무 털녹병
     2. 포플러 잎녹병
     3. 소나무 재선충병
     4. 낙엽송 잎떨림병

     정답 : []
     정답률 : 54%

30. 균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자낭균류 : 균류 중 가장 많이 종이 있으며 균사에 격벽이 있다.
     2. 난균류 : 균사에 격벽이 없고 무성포자인 유주포자를 생성한다.
     3. 담자균류 : 대부분의 버섯이 속하는 것으로 격벽을 가지고 있는 다세포이다.
     4. 불완전균류 : 유성생식으로 번식하며 분생포자 형성기관에 따라 재분류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불완전균류 - 무성생식

31. 밤나무에 있어 동해와 가장 관련이 깊은 병해는?(2006년 03월)
     1. 밤나무 줄기 마름병
     2. 밤나무 둥근 갈색 무늬병
     3. 밤나무 근두암종병
     4. 밤나무 녹병

     정답 : []
     정답률 : 66%

32. 소나무 재선충이 수목간 이동하는 주요 경로는?(2009년 05월)
     1. 종자 전염
     2. 매개충
     3. 바람
     4. 토양 전염

     정답 : []
     정답률 : 92%

33. 다음 중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복숭아명나방
     2. 방애기잎말이나방
     3. 복숭아유리나방
     4. 솔알락명나방

     정답 : []
     정답률 : 63%

34. 산림해충의 임업적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복층림과 혼효림을 조성하여 임상을 다양하게 한다.
     2. 토양의 경운, 토성의 개량을 통한 임지환경을 조정한다.
     3. 농약 사용을 지양하고 포살법이나 유살법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한다.
     4. 간벌 및 가지치기 등을 실시하여 해충의 잠복장소를 제거하고 수목의 활력을 증대 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유살법과 포살법은 기계적 방제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흰가루병균은 무슨 균류에 속하는가?(2008년 03월)
     1. 담자균류
     2. 자낭균류
     3. 불완전균류
     4. 조균류

     정답 : []
     정답률 : 40%

36. 병환부나 죽은 기주체 상에서 월동하는 병균이 아닌 것은?(2013년 08월)
     1.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2. 오동나무 탄저병균
     3. 낙엽송 잎떨림병균
     4. 잣나무 털녹병균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병든 가지나 줄기는 처음에 황색이나 오렌지색으로 변하면서 약간 부풀고 거칠어지며 4~6월 사이에 병환부의 수피가 터지면서 오렌지색의 가루주머니가 터져 노란가루가 비산되는 것은?    ❸ 잣나무 털녹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밤나무혹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밤나무의 눈에 기생하여 벌레혹을 형성한다.
     2. 밤나무혹벌에 기생하는 천적을 활용하여 방제할 수 있다.
     3. 땅에 떨어진 유충이 땅속에서 월동한다.
     4. 성충은 수컷이 없고, 암컷이 단성생식 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38. 밤나무 흰가루병균으로 잎의 앞뒷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아 보이는 것은?(2017년 05월)
     1. 분생포자
     2. 자낭포자
     3. 후벽포자
     4. 담자포자

     정답 : []
     정답률 : 62%

39.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1. 광학 현미경으로 볼 수 있다.
     2.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된다.
     3. 인공 재비에서는 배양이 되지 않는다.
     4. 주로 즙액, 곤충, 씨앗 등에 의해서 전입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자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르망]

40. 미국과 유럽의 밤나무림을 황폐하게 만든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원체는?(2016년 03월)
     1. 세균
     2. 자낭균
     3. 담자균
     4. 바이러스

     정답 : []
     정답률 : 59%

3과목 : 임업경영학


41. 조림·육림·임목생산·시설·소득사업의 정보 등이 담긴 도면으로 맞는 것은?(2009년 03월)
     1. 위치도
     2. 목표임상도
     3. 경영계획도
     4. 산림기능도

     정답 : []
     정답률 : 75%

42. 어떤 산림에서 간벌수입이 10,000,000원 이었는데 이것을 연이율 5%로 하여 20년 후의 벌기까지 거치해 둔다면 후가는 얼마인가? (단, 1.0520=2.6533 이다.)(2006년 03월)
     1. 36,688,915(원)
     2. 37,688,915(원)
     3. 25,533,000(원)
     4. 26,533,000(원)

     정답 : []
     정답률 : 72%

43. 다음 그림과 같은 손익분기도표가 있다. 손익분기 판매량에 해당되는 곳은?(2009년 07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89%

44. 국유림경영계획의 산림구획에서 소반면적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A)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5월)

    

     1. 0.1
     2. 0.5
     3. 1
     4. 100

     정답 : []
     정답률 : 71%

45. 말구직격(dn) 26㎝, 중앙직경 30㎝, 원구직경(do) 36㎝ 그리고 재장(ℓ)이 4인m 통나무의 재적을 Huber식에 의하여 계산하면?(2010년 05월)
     1. 0.283m3
     2. 0.613m3
     3. 0.832m3
     4. 0.945m3

     정답 : []
     정답률 : 60%

46. 공유림 경영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공공복지 증진
     2. 재정 수입의 확보
     3. 국유림 경영의 지원
     4. 사유림 경영의 시범

     정답 : []
     정답률 : 65%

47. 감가상각비의 계산방법 중에 감가상각비 총액을 각 사용연도에 할당하여 균등하게 감가하는 것은?(2012년 08월)
     1. 정액법
     2. 정률법
     3. 급수법
     4. 비례상각법

     정답 : []
     정답률 : 82%

48. 임업경영의 지도원칙으로 매년 목재수확을 균등하게 하여 영속적으로 목재를 공급하는 것은?(2018년 08월)
     1. 보속성의 원칙
     2. 공공성의 원칙
     3. 생산성의 원칙
     4. 합자연석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5%

49. 임업경영의 성과를 나타내는 가장 정확한 지표는?(2009년 07월)
     1. 임업조수익
     2. 임업소득
     3. 임업 현금수입
     4. 임업총수입

     정답 : []
     정답률 : 77%

50. 임업소득률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임업소득 ÷ 임가소득
     2. 임업소득 ÷ 임업조수익
     3. 임업소득 ÷ 농림업 외 소득
     4. (임업소득 + 농업소득) ÷ 농림업 외 소득

     정답 : []
     정답률 : 59%

51. 어떤 재화로부터 장차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수익을 일정한 이율로 할인하여 구한 현재가를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05월)
     1. 매매가
     2. 비용가
     3. 기망가
     4. 자본가

     정답 : []
     정답률 : 82%

52. 법정축적이 400m3/ha 이고 윤벌기가 80년으로 경영되고 있는 법정림의 법정연벌량은?(2014년 05월)
     1. 2.5m3
     2. 5.0m3
     3. 10.0m3
     4. 15.0m3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법정연벌률 = 200/윤벌기
                     = 200/80
                     = 2.5

법정연벌량 = (법정연벌률/100)*법정축적
                     = (2.5/100)*400
                     = 10m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다음 중 임업노동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3월)
     1. 작업 방법을 개선. 개발한다.
     2. 작업단을 조직하고 운영한다.
     3. 농촌 노동력의 유출을 막는다.
     4. 기계. 기구를 개발, 개량하여 보급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54. 소반의 경계표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08월)
     1. 1, 2, 3, …
     2. 가, 나, 다, …
     3. Ⅰ, Ⅱ, Ⅲ, …
     4. ㄱ, ㄴ, ㄷ, …

     정답 : []
     정답률 : 79%

55. 다음 (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3월)

    

     1. 경제활동
     2. 임업생산
     3. 경제적 기능
     4. 공익적 기능

     정답 : []
     정답률 : 73%

56. 산림경영계획을 위한 산림구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공유림경영계획구는 일반적으로 행정구역(시,군,구등)으로 나눈다.
     2. 소반은 필요에 의해 구획을 변경할 수 있으며 소반 번호는 가,나,다 등의 일련번호를 붙인다.
     3. 임반의 면적은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100ha 내외로 구획한다.
     4. 동일한 임반 내에서 임종, 임상 및 작업종이 상이할 경우에는 소반으로 구획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 소반은 필요에 의해 구획을 변경할 수 있으며 소반 번호는 1,2,3 등의 일련번호를 붙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임지기망가의 값이 작아지는 경우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이율이 낮아질 때
     2. 벌기가 짧아질 때
     3. 조림비가 커질 때
     4. 간벌 수익이 커질 때

     정답 : []
     정답률 : 67%

58. 산림의 관리경영에 소요되는 관리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채취비
     2. 보험료
     3. 감가상각비
     4. 산림보호비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관리비는 산림의 관리경영에서 소요되는 비용으로 인건비,물건비,감가상각비,산림보호비,영림계획비,제세공과금,보험료,복지시설비,시험연구비 등 조림비와 채취비에 속하지 않는 일체의 경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현 산림축적이 ha당 1000m3이고 연평균 생장률이 3% 일 때, 10년 후 산림 축적을 복리식 후가계산식으로 계산하면?(2018년 04월)
     1. 약 131m3
     2. 약 1305m3
     3. 약 1344m3
     4. 약 13786m3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000*(1+0.03)^10
=1,34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유령림의 임목 평가방법으로 임목가격의 최저 한도액을 이용하는 것은?(2020년 08월)
     1. 원가법
     2. 매매가법
     3. 비용가법
     4. 시장가역산법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비용가법은 일반적으로 평가 재산의 취득원가를 기초로 하여 평가하는 원가법(취득원가법)으로, 임목평가에서는 유령림에 주로 이방법을 적용한다.
[해설작성자 : 도전산림산업기사]

61. 산지에서 발생하는 침식의 형태 중 중력침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8월)
     1. 붕괴형 침식
     2. 지활형 침식
     3. 유동형 침식
     4. 곡상형 침식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곡상형 침식은 침강침식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가선 집재와 비교한 트랙터 집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작업비가 절약된다.
     2. 작업생산성이 높다.
     3. 급경사지에서도 가능하다.
     4. 기동성이 있고 탄력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63. 적정임도밀도가 40m/ha인 임도에서 평균집재거리는?(2020년 06월)
     1. 25m
     2. 31.25m
     3. 40m
     4. 62.5m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0000/(적정임목밀도*4)

64. 집재용 도구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피비
     2. 펄프훅
     3. 마세티
     4. 파이크폴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 마세티 - 덩굴제거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트랙터집재와 비교한 가선집재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작업이 단순하다.
     2. 작업생산성이 높다.
     3. 장비구입비가 저렴하다.
     4. 잔존 임분에 피해가 적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작업이 복잡하다
2.작업생산성이 낮다
3.장비구입비가 비싸다
[해설작성자 : 밍밍]

66. 대경재 벌목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쐐기나 지렛대를 이용한다.
     2. 기계톱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3. 바버체어(baber chair)가 발생하도록 작업한다.
     4. 목재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옆면노치자르기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67. 사방댐에 있어 계류바닥의 계획물매는 일반적으로 현물매의 어느 정도를 표준으로 하는가?(2014년 05월)
     1. 1/5 ~ 1/4
     2. 1/4 ~ 1/3
     3. 1/3 ~ 1/2
     4. 1.2 ~ 2/3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사방댐에 있어 계류바닥의 계획물매는 일반적으로 현물매의 1/2 ~ 2/3를 표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수상운재 방법으로 목재를 묶지 않고 단목으로 띄워보내는 것은?(2015년 05월)
     1. 벌류
     2. 관류
     3. 위류
     4. 수수라

     정답 : []
     정답률 : 59%

69. 임업기계화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생산비용의 절감
     2. 노동생산성의 향상
     3. 중노동으로부터 해방
     4. 임지 및 자연환경보전

     정답 : []
     정답률 : 72%

70. 임목수확작업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적재
     2. 운재
     3. 집재
     4. 조재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임목수확작업에서 적재라는 용어 대신에 집적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임목수확작업 구성요소: 벌도 조재 집재 운재
[해설작성자 : 나는우리]

71. 임도 시공 중 깍아낸 곳에서 가까운 곳에 흙을 쌓는 근거리 운반의 경우 불도저는 성토운반의 최대거리를 얼마로 하는가?(2009년 05월)
     1. 40m
     2. 50m
     3. 60m
     4. 80m

     정답 : []
     정답률 : 55%

72. 노체의 구성으로 하층부터 상층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03월)
     1. 노상 - 노반 - 기층 - 표층
     2. 노반 - 노상 - 기층 - 표층
     3. 노상 - 노반 - 표층 - 기층
     4. 노반 - 노상 - 표층 - 기층

     정답 : []
     정답률 : 77%

73. 임도의 합성물매는 10%로 설정하고, 외쪽물매를 6%로 적용한다면 종단물매는 약 몇 %가 적당 한가?(2008년 03월)
     1. 8%
     2. 10%
     3. 12%
     4. 14%

     정답 : []
     정답률 : 72%

74. 비탈면 안정을 위한 침식방지제의 사용효과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보온효과 기대
     2. 객토의 유출 및 침식방지
     3. 토양사분의 증산촉진 및 표면건조 유도
     4. 살포되는 종자, 비료, 피복보호제 등의 유실방지

     정답 : []
     정답률 : 75%

75. 다음 중 산복사방 식재용 수종으로 요구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묘목의 생산비가 적게 들고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
     2. 건조ㆍ한해ㆍ충해 등에 대하여 적응성이 클 것
     3. 갱신이 용이하고 가급적이면 경제가치가 높을 것
     4. 비료 요구도가 높아 생장이 왕성하고 잘 번식할 것

     정답 : []
     정답률 : 76%

76. 임도의 합성기울기를 10%로 설정하려 할 때 외쪽기울기가 6%라면 종단 기울기는?(2017년 05월)
     1. 8%
     2. 10%
     3. 12%
     4. 1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공식 : 합성기울기 = 루트 외쪽(횡단)기울기의 제곱 + 종단기울기의 제곱
각 항을 같게 하여 루트를 없애려면 양쪽을 제곱 하여 계산함. (예, 루트2제곱 = 2 )
따라서 100=36+X제곱, X제곱=100-36
X제곱=64, X=8
[해설작성자 : 수험생]

77. 임도의 노선 결정시 주요 통과지에 대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지형에 순응한 선형으로 한다.
     2. 붕괴지,암석지,습지는 가급적 피한다.
     3. 너무 많은 흙깍기, 흙쌓기가 필요한 곳은 피한다.
     4. 가급적 교량,옹벽 등 구조물 시설이 많은 곳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78. 물 침식을 우수침식, 하천침식, 지중침식, 바다침식으로 구분했을 때 우수침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면상침식
     2. 누구침식
     3. 구곡침식
     4. 용출침식

     정답 : []
     정답률 : 84%

79. 유수에 의한 계상면의 침식을 방지하고 현 계상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횡구조물은?(2014년 08월)
     1. 구곡막이
     2. 바닥막이
     3. 기슭막이
     4. 누구막이

     정답 : []
     정답률 : 50%

80. 다공정 임목 수확 장비를 이용하기 위한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조작 방법이 단순하고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보 기능인도 작업이 가능하다.
     2. 임상이 균일하여야 하며 급경사지에서는 사용을 제한 받는다.
     3. 지형에 많은 영향을 받고 주행성이 좋은 기본 탑재 장비가 필요하다.
     4. 장비가 고강이고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0154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837555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7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5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6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3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5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4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82442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3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62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2
61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2
6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계획및생태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9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3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8 건축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943538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7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9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6 9급 지방직 공무원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5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4 PSAT 헌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0154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직선거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0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49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2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Board Pagination Prev 1 ...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Next
/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