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82938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우리말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현대국어에서 '암+개'를 '암개' 대신 '암캐'로 적는 것은 '암'의 고어(古語)가 '암ㅎ'의 형태였기 때문이다.
     2. 중세국어 시기에는 성조의 차이로 단어의 의미 변별이 가능했는데 현대국어에도 일부 방언에 그 자취가 남아 있다.
     3. '수라(임금의 진지), 보라(색채어의 일종)'는 고유어가 아니라 고려 말에 들어온 몽골말이 지금까지 쓰이는 것이다.
     4. '황소'는 한자어 '황(黃)'에 고유어 '소'가 결합한 합성어로 어원적으로는 '누런 소'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4. 황소는 중세 때 사용되던 한쇼에서 변화한 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암ㅎ+개 → 암캐
2. 성조는 중세,현대 국어 일부 방언에서 의미를 구별하는 비분절적 음운
3. 수라 보라는 몽골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다음 <보기>를 참고하였을 때 올바르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타고나다 - 통사적 합성어
     2. 붉돔 - 비통사적 합성어
     3. 돌보다 - 통사적 합성어
     4. 높푸르다 - 비통사적 합성어

     정답 : []
     정답률 : 56%

3. 다음 중 국어의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탈락 : 자음군 단순화는 겹받침을 가진 형태소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형태소가 결합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2. 첨가 :'ㄴ'첨가는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ㅣ'나 반모음'ㅣ[j]'로 시작하는 말이 결합할 때 'ㄴ'이 새로 덧붙는 현상이다.
     3. 축약 : 유기음화는'ㅎ'과 'ㄱ, ㄷ, ㅂ, ㅈ' 중 하나가 만날 때 이 두 자음이 하나의 음으로 실현되는 현상이다.
     4. 교체(대치) : 유음화는'ㄴ'이 앞이나 뒤에 오는'ㄹ'의 영향을 받아'ㄹ'로 동화되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겹받침을 가진 형태소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형태소가 결합할 때 일어나는 현상은 연음법칙.
젊어->절머, 읊어->을퍼, 없어->업써

2.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야,여,요,유 인 경우에는 ㄴ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삯일->상닐, 맨입->맨닙, 꽃잎->꼰닙, 내복약->내봉냑, 한여름->한녀름

3.거센소리를 유기음이라 한다. ㅎ 뒤에 ㄱㄷㅈ이 결합하는 경우 음절 첫소리와 축약되어 ㅋㅌㅊ로 발음.
좋던->조턴 많고->만코 않던->안턴 닳지->달치

4.어떤 음운이 음절의 끝에서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구개음화, 자음동화 등이 이에 해당.
신라->실라, 천리->철리, 광한루->광할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 문장을 한글 맞춤법에 따라 바르게 수정한 것은?(2016년 09월)

   

     1. 희노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2. 희로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3. 희노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4. 희로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함께하며(합성어) 붙여쓴다.
가족같이(조사) 붙여쓴다.
한번 - 기회가 있는 어떤 때의 뜻으로 붙여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가져온 것이다. 빈칸에 들어갈 예문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12월)

   

     1. 비가 와서 내일 소풍은 다 갔네.
     2. 빚쟁이가 도망가고 없네. 돈은 이제 다 받았군.
     3. 안 본 사이에 그 증상에서 말끔히 벗어났구나.
     4. 서재가 왜 이리 어지럽니? 넌 이제 아버지께 혼났다.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벗어낫구나는 완료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거나 현재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나타내는 어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보기에서 말하는 바를 나타낸 표현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2월)

   

     1. 同心協力
     2. 一人不過二人智
     3. 十匙一飯
     4. 近墨者黑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동심협력 - 마음을 같이하여 서로 도움
2.일인불과이인 - 한사람 보다 두사람이 낫다.
3.십시일반 - 밥 열 술이 한 그릇 된다.

4.근묵자흑. - 먹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검어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 중 띄어쓰기가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9월)
     1. 최정상급으로√이루어√진√시립교향악단이√곧√정기√공연을√한다.
     2. 제√2분과√회의가√끝났으니√이제√자리를√뜨는√것이√좋을√성싶다.
     3. 경찰√조사를√통해√진상을√들은바√그것은√사실이√아님이√드러났다.
     4. 그√사람은√오직√졸업장을√따는데√목적이√있는√듯√전공√공부에는√전혀√관심이√없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3. -은바는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뒤 절에서 어떤 사실을 말하기 위하여 그 사실이 있게 된 것과 관련된 상황을 미리 제시하는 데 쓰는 연결 어미. 어간에 붙여씀

1.이루어진. 이루다와 어지다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다 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
이루어지다와 같이 하나의 단어로 적음

2.제2 분과. 제2분과. ,제2 차 세계대전 제1 차 세계대전

4.따는 데,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 일이나 것의 뜻을 나타내는 데'는 의존명사이므로 앞말에 띄어 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보기에 제시된 “안은 문장”의 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그것은 영이가 입을 옷이다.
     2. 우리는 돈 없이 여행을 떠났다.
     3. 결국 그 사람이 범인이었음이 밝혀졌다.
     4. 많이 바쁘시겠지만 꼭 참석해 주십시오.

     정답 : []
     정답률 : 74%

9. <보기>의 설명을 참고로 했을 때 가장 다른 하나는?(2020년 05월)

   

     1. 사랑해. 사랑해. 나는 그렇게 말했지만 그는 대답이 없었다.
     2. 그를 기다린다. 나를 구원해주러 올 초인 말이다.
     3. 글자가 어법에 맞지 않는 글자이다.
     4. 읽고 또 읽어라. 그리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사랑해 사랑해
2.나를 구원해주러 올 초인
4.읽고 또 읽어라

3.의 그는 대신 사용된 표현이 아니라 뒤에 오는 체언 글자'를 수식하는 지시대명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보기>는 올바르지 않은 문장 유형에 대한 설명이다. ㉠∼㉣의 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 그날 밤중에 잠을 깬 사람은 비단 나뿐이었다.
     2. ㉡: 그것은 오래전에 불리던 노래이다.
     3. ㉢: 손님들이 다 오지 않았어.
     4. ㉣: 발등의 불이 떨어졌다.

     정답 : []
     정답률 : 66%

11. 다음 밑줄 친 ㉠∼㉣의 의미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은 풀의 나약하고 수동적인 측면을 묘사한 것이다.
     2. ㉡은 봄바람으로 풀의 조언자를 의미한다.
     3. ㉢은 풀의 강인함을 나타낸 것이다.
     4. ㉣은 풀이 더 심하게 밑둥까지 쓰러져 눕는다는 뜻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 동풍은 풀을 핍박하는 억압자로 해석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가)의 내용에 이어지는 순서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2018년 12월)
     1. (다)-(나)-(마)-(라)
     2. (나)-(다)-(라)-(마)
     3. (다)-(라)-(마)-(나)
     4. (라)-(나)-(다)-(마)

     정답 : []
     정답률 : 71%

13. 1960년대 문학의 경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이 시기 계급문학과 모더니즘 문학, 그리고 새로이 순수 문학파가 대두되면서 나름대로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졌고, 작품 경향도 기존의 역사, 정치, 사회, 이념 등을 다루던 데에서 나아가 일상, 개인의 내면과 욕망, 여성 등으로 다양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2. 이 시기 소설은 황순원, 안수길 같은 기성 작가들의 활발한 활동이 있었으며, 「무진기행」의 김승옥, 「병신과 머저리」의 이청준, 서정인, 박태순 등 지식인의 세련된 감수성과 언어 구사를 보여주는 작가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3. 이 시기 시는 사회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고발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현실 참여시와 언어의 예술성과 기교를 바탕으로 전통적 서정을 노래하는 순수 서정시가 양대 산맥을 형성하면서 발전하였다.
     4. 이 시기 문학은 4·19 혁명, 5·16 군사 정변의 역사적 체험을 바탕으로 동시대의 삶의 문제를 깊이 탐구하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하였고 산업화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중심으로 문학 활동이 전개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모더니즘 문학, 순수 문학파, 등 1930년대 문학.
일본 유학생을 통해 서구의 현대사조가 유입, 정치주의 이념주의에서 벗어나 예술성을 강조하는 순수 문학 유행.

참고.
1930년대 사상 검열 강화.
공산주의 운동 전면 금지
만주사변 당시 카프 제1 차 검거
1934년 카프 제2 차 검거
1935년 카프 해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윗글의 구성상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양쪽의 모순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2. 다양한 근거를 제시하며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3. 예상되는 반론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반박을 하고 있다.
     4. 전제를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는 연역적 구성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국제 연합 인구 기금 분석자료
3. 4문단 적은 인구가 국가가치를 높여 줄 수 있다. 그렇지만...
4. 여러 근거들을 전제로 제시, 이를 통해 주장을 뒷바침하는 연역적 전개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위의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9월)
     1. 운명에 순응하며 살아온 우리 민족의 전통적 정서가 담긴 작품이다.
     2. 한국전쟁 직후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불안과 고뇌를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3. 길에서 우연히 만난 두 인물이 함께 귀향하는 과정을 다룬 작품이다.
     4. 부조리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패배하는 현대인의 모습이 비극적으로 그려진 작품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김동리 역마.
단편소설
전라,경상도 접경 지역인 화개 장터
역마살 낀 인간의 운명.
운명에 순응함으로써 구원됨.

한곳에 머물지 못하고 늘 이리저리 떠돌아다녀야만 하는 액운인 역마살을 주제로 한 소설.
이 작품에는 운명에 순응하며 살아온 우리 민족의 전통적 정서가 담겨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중 속담의 의미가 가장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2018년 12월)
     1. 달걀에도 뼈가 있다: 뜻하지 않은 방해가 끼어 재수가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2. 눈 온 뒤에는 거지 빨래한다: 눈이 온 다음 날은 대체로 따뜻한 날씨가 찾아오는 것을 의미한다.
     3. 재미난 골에 범 난다: 재미있다고 위험한 일이나 나쁜 일을 계속하면 나중에는 큰 화를 당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4. 때리는 시늉하면 우는 시늉을 한다: 주관 없이 남이 하는 대로만 따라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17. 다음 ㉠, ㉡의 한자 표기가 올바르게 짝 지어진 것은?(2014년 03월)

    

     1. ㉠科擧 ㉡及第
     2. ㉠過擧 ㉡扱濟
     3. ㉠科擧 ㉡扱濟
     4. ㉠過擧 ㉡及第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과정 과, 들 거 科擧
미칠 급 차례 제 及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중 문학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12월)
     1. 데카당스 : 19세기 말 프랑스에서 유럽 각지로 퍼진 퇴폐적인 정신적 경향을 말한다.
     2. 신비평 : 작품을 독립된 자율체로 보고, 언어의 의미와 애매성, 이미지 등의 분석을 통해 작품의 총체적 뜻을 파악하려는 비평을 말한다.
     3. 추체험 : 작품을 읽으며 독자가 작품 속의 인물과 같은 입장에서 그 작품 세계를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4. 삼일치의 법칙 : 희곡 구성상의 법칙으로 인물, 시간, 장소의 일치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삼일치 법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유래된 17~18세기 프랑스 고전주의 연극의 기본법칙.
시간 장소 행동의 세가지가 일치.

1.데카당스 - 불어로 쇠락 쇠퇴 퇴폐를 의미. 기존 사회규범 도덕을 비판 반대하는 경향. 19세기 말.
2.신비평 - 30년대 ~50년대 미국에서 주류를 이루었던 문예 비평. 작품 자체만 분석할 것을 주장.
3.추체험 - 다른 사람의 체험을 자기의 체험처럼 느끼는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의 1연과 2연은 문장 구조와 시어의 대구를 통해 통일성 있는 주제를 나타내고 있다.
     2. ㈏는 폭포의 모습을 통해 양심의 자세를 비유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다.
     3. ㈐는 고향에 대한 아련한 향수를 선명한 이미지로 보여 준다.
     4. ㈑에서'세상의 고달픈 바람결'을 넘어 '한 망울 연연한 진홍빛 양귀비꽃'으로 태어나는 사랑의 의미는 행복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잘 보여 준다.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1. 1연과 2연은 문장 구조의 대구와 시어의 병치를 통해 주제를 중층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2.폭포의 모습을 통해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정신을 비유적으로 그림
3.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시각적 심상과 촉각적 심상을 통해 형상화
4.시련을 함께 이겨내면서 의지하는 두사람의 애틋한 사랑을 양귀비꽃으로 표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은 고전시가 작품의 일부분이다. 현대역 한 것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 → 달님이시여, 높이높이 돋으시어
     2. 곶 됴코 여름 하ᄂᆞ니 → 꽃이 좋고, 열매가 많으니
     3. 시절이 하 수상ᄒᆞ니 → 시절이 너무 수상하니
     4. 한중진미(閑中眞味)ᄅᆞᆯ 알 니 업시 호재로다 → 한중진미를 알 리 없이 혼자로구나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4.(한가한 생활 가운데의 참된 맛을 아는 사람 없이)한중진미를 알 이(사람) 없어 나 혼자 즐기는 구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82938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우리말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현대국어에서 '암+개'를 '암개' 대신 '암캐'로 적는 것은 '암'의 고어(古語)가 '암ㅎ'의 형태였기 때문이다.
     2. 중세국어 시기에는 성조의 차이로 단어의 의미 변별이 가능했는데 현대국어에도 일부 방언에 그 자취가 남아 있다.
     3. '수라(임금의 진지), 보라(색채어의 일종)'는 고유어가 아니라 고려 말에 들어온 몽골말이 지금까지 쓰이는 것이다.
     4. '황소'는 한자어 '황(黃)'에 고유어 '소'가 결합한 합성어로 어원적으로는 '누런 소'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4. 황소는 중세 때 사용되던 한쇼에서 변화한 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암ㅎ+개 → 암캐
2. 성조는 중세,현대 국어 일부 방언에서 의미를 구별하는 비분절적 음운
3. 수라 보라는 몽골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다음 <보기>를 참고하였을 때 올바르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타고나다 - 통사적 합성어
     2. 붉돔 - 비통사적 합성어
     3. 돌보다 - 통사적 합성어
     4. 높푸르다 - 비통사적 합성어

     정답 : []
     정답률 : 56%

3. 다음 중 국어의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탈락 : 자음군 단순화는 겹받침을 가진 형태소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형태소가 결합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2. 첨가 :'ㄴ'첨가는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ㅣ'나 반모음'ㅣ[j]'로 시작하는 말이 결합할 때 'ㄴ'이 새로 덧붙는 현상이다.
     3. 축약 : 유기음화는'ㅎ'과 'ㄱ, ㄷ, ㅂ, ㅈ' 중 하나가 만날 때 이 두 자음이 하나의 음으로 실현되는 현상이다.
     4. 교체(대치) : 유음화는'ㄴ'이 앞이나 뒤에 오는'ㄹ'의 영향을 받아'ㄹ'로 동화되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겹받침을 가진 형태소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형태소가 결합할 때 일어나는 현상은 연음법칙.
젊어->절머, 읊어->을퍼, 없어->업써

2.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야,여,요,유 인 경우에는 ㄴ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삯일->상닐, 맨입->맨닙, 꽃잎->꼰닙, 내복약->내봉냑, 한여름->한녀름

3.거센소리를 유기음이라 한다. ㅎ 뒤에 ㄱㄷㅈ이 결합하는 경우 음절 첫소리와 축약되어 ㅋㅌㅊ로 발음.
좋던->조턴 많고->만코 않던->안턴 닳지->달치

4.어떤 음운이 음절의 끝에서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구개음화, 자음동화 등이 이에 해당.
신라->실라, 천리->철리, 광한루->광할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 문장을 한글 맞춤법에 따라 바르게 수정한 것은?(2016년 09월)

   

     1. 희노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2. 희로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3. 희노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4. 희로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함께하며(합성어) 붙여쓴다.
가족같이(조사) 붙여쓴다.
한번 - 기회가 있는 어떤 때의 뜻으로 붙여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가져온 것이다. 빈칸에 들어갈 예문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12월)

   

     1. 비가 와서 내일 소풍은 다 갔네.
     2. 빚쟁이가 도망가고 없네. 돈은 이제 다 받았군.
     3. 안 본 사이에 그 증상에서 말끔히 벗어났구나.
     4. 서재가 왜 이리 어지럽니? 넌 이제 아버지께 혼났다.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벗어낫구나는 완료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거나 현재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나타내는 어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보기에서 말하는 바를 나타낸 표현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2월)

   

     1. 同心協力
     2. 一人不過二人智
     3. 十匙一飯
     4. 近墨者黑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동심협력 - 마음을 같이하여 서로 도움
2.일인불과이인 - 한사람 보다 두사람이 낫다.
3.십시일반 - 밥 열 술이 한 그릇 된다.

4.근묵자흑. - 먹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검어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 중 띄어쓰기가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9월)
     1. 최정상급으로√이루어√진√시립교향악단이√곧√정기√공연을√한다.
     2. 제√2분과√회의가√끝났으니√이제√자리를√뜨는√것이√좋을√성싶다.
     3. 경찰√조사를√통해√진상을√들은바√그것은√사실이√아님이√드러났다.
     4. 그√사람은√오직√졸업장을√따는데√목적이√있는√듯√전공√공부에는√전혀√관심이√없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3. -은바는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뒤 절에서 어떤 사실을 말하기 위하여 그 사실이 있게 된 것과 관련된 상황을 미리 제시하는 데 쓰는 연결 어미. 어간에 붙여씀

1.이루어진. 이루다와 어지다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다 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
이루어지다와 같이 하나의 단어로 적음

2.제2 분과. 제2분과. ,제2 차 세계대전 제1 차 세계대전

4.따는 데,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 일이나 것의 뜻을 나타내는 데'는 의존명사이므로 앞말에 띄어 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보기에 제시된 “안은 문장”의 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그것은 영이가 입을 옷이다.
     2. 우리는 돈 없이 여행을 떠났다.
     3. 결국 그 사람이 범인이었음이 밝혀졌다.
     4. 많이 바쁘시겠지만 꼭 참석해 주십시오.

     정답 : []
     정답률 : 74%

9. <보기>의 설명을 참고로 했을 때 가장 다른 하나는?(2020년 05월)

   

     1. 사랑해. 사랑해. 나는 그렇게 말했지만 그는 대답이 없었다.
     2. 그를 기다린다. 나를 구원해주러 올 초인 말이다.
     3. 글자가 어법에 맞지 않는 글자이다.
     4. 읽고 또 읽어라. 그리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사랑해 사랑해
2.나를 구원해주러 올 초인
4.읽고 또 읽어라

3.의 그는 대신 사용된 표현이 아니라 뒤에 오는 체언 글자'를 수식하는 지시대명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보기>는 올바르지 않은 문장 유형에 대한 설명이다. ㉠∼㉣의 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 그날 밤중에 잠을 깬 사람은 비단 나뿐이었다.
     2. ㉡: 그것은 오래전에 불리던 노래이다.
     3. ㉢: 손님들이 다 오지 않았어.
     4. ㉣: 발등의 불이 떨어졌다.

     정답 : []
     정답률 : 66%

11. 다음 밑줄 친 ㉠∼㉣의 의미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은 풀의 나약하고 수동적인 측면을 묘사한 것이다.
     2. ㉡은 봄바람으로 풀의 조언자를 의미한다.
     3. ㉢은 풀의 강인함을 나타낸 것이다.
     4. ㉣은 풀이 더 심하게 밑둥까지 쓰러져 눕는다는 뜻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 동풍은 풀을 핍박하는 억압자로 해석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가)의 내용에 이어지는 순서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2018년 12월)
     1. (다)-(나)-(마)-(라)
     2. (나)-(다)-(라)-(마)
     3. (다)-(라)-(마)-(나)
     4. (라)-(나)-(다)-(마)

     정답 : []
     정답률 : 71%

13. 1960년대 문학의 경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이 시기 계급문학과 모더니즘 문학, 그리고 새로이 순수 문학파가 대두되면서 나름대로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졌고, 작품 경향도 기존의 역사, 정치, 사회, 이념 등을 다루던 데에서 나아가 일상, 개인의 내면과 욕망, 여성 등으로 다양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2. 이 시기 소설은 황순원, 안수길 같은 기성 작가들의 활발한 활동이 있었으며, 「무진기행」의 김승옥, 「병신과 머저리」의 이청준, 서정인, 박태순 등 지식인의 세련된 감수성과 언어 구사를 보여주는 작가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3. 이 시기 시는 사회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고발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현실 참여시와 언어의 예술성과 기교를 바탕으로 전통적 서정을 노래하는 순수 서정시가 양대 산맥을 형성하면서 발전하였다.
     4. 이 시기 문학은 4·19 혁명, 5·16 군사 정변의 역사적 체험을 바탕으로 동시대의 삶의 문제를 깊이 탐구하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하였고 산업화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중심으로 문학 활동이 전개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모더니즘 문학, 순수 문학파, 등 1930년대 문학.
일본 유학생을 통해 서구의 현대사조가 유입, 정치주의 이념주의에서 벗어나 예술성을 강조하는 순수 문학 유행.

참고.
1930년대 사상 검열 강화.
공산주의 운동 전면 금지
만주사변 당시 카프 제1 차 검거
1934년 카프 제2 차 검거
1935년 카프 해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윗글의 구성상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양쪽의 모순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2. 다양한 근거를 제시하며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3. 예상되는 반론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반박을 하고 있다.
     4. 전제를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는 연역적 구성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국제 연합 인구 기금 분석자료
3. 4문단 적은 인구가 국가가치를 높여 줄 수 있다. 그렇지만...
4. 여러 근거들을 전제로 제시, 이를 통해 주장을 뒷바침하는 연역적 전개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위의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9월)
     1. 운명에 순응하며 살아온 우리 민족의 전통적 정서가 담긴 작품이다.
     2. 한국전쟁 직후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불안과 고뇌를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3. 길에서 우연히 만난 두 인물이 함께 귀향하는 과정을 다룬 작품이다.
     4. 부조리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패배하는 현대인의 모습이 비극적으로 그려진 작품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김동리 역마.
단편소설
전라,경상도 접경 지역인 화개 장터
역마살 낀 인간의 운명.
운명에 순응함으로써 구원됨.

한곳에 머물지 못하고 늘 이리저리 떠돌아다녀야만 하는 액운인 역마살을 주제로 한 소설.
이 작품에는 운명에 순응하며 살아온 우리 민족의 전통적 정서가 담겨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중 속담의 의미가 가장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2018년 12월)
     1. 달걀에도 뼈가 있다: 뜻하지 않은 방해가 끼어 재수가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2. 눈 온 뒤에는 거지 빨래한다: 눈이 온 다음 날은 대체로 따뜻한 날씨가 찾아오는 것을 의미한다.
     3. 재미난 골에 범 난다: 재미있다고 위험한 일이나 나쁜 일을 계속하면 나중에는 큰 화를 당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4. 때리는 시늉하면 우는 시늉을 한다: 주관 없이 남이 하는 대로만 따라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17. 다음 ㉠, ㉡의 한자 표기가 올바르게 짝 지어진 것은?(2014년 03월)

    

     1. ㉠科擧 ㉡及第
     2. ㉠過擧 ㉡扱濟
     3. ㉠科擧 ㉡扱濟
     4. ㉠過擧 ㉡及第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과정 과, 들 거 科擧
미칠 급 차례 제 及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중 문학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12월)
     1. 데카당스 : 19세기 말 프랑스에서 유럽 각지로 퍼진 퇴폐적인 정신적 경향을 말한다.
     2. 신비평 : 작품을 독립된 자율체로 보고, 언어의 의미와 애매성, 이미지 등의 분석을 통해 작품의 총체적 뜻을 파악하려는 비평을 말한다.
     3. 추체험 : 작품을 읽으며 독자가 작품 속의 인물과 같은 입장에서 그 작품 세계를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4. 삼일치의 법칙 : 희곡 구성상의 법칙으로 인물, 시간, 장소의 일치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삼일치 법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유래된 17~18세기 프랑스 고전주의 연극의 기본법칙.
시간 장소 행동의 세가지가 일치.

1.데카당스 - 불어로 쇠락 쇠퇴 퇴폐를 의미. 기존 사회규범 도덕을 비판 반대하는 경향. 19세기 말.
2.신비평 - 30년대 ~50년대 미국에서 주류를 이루었던 문예 비평. 작품 자체만 분석할 것을 주장.
3.추체험 - 다른 사람의 체험을 자기의 체험처럼 느끼는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의 1연과 2연은 문장 구조와 시어의 대구를 통해 통일성 있는 주제를 나타내고 있다.
     2. ㈏는 폭포의 모습을 통해 양심의 자세를 비유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다.
     3. ㈐는 고향에 대한 아련한 향수를 선명한 이미지로 보여 준다.
     4. ㈑에서'세상의 고달픈 바람결'을 넘어 '한 망울 연연한 진홍빛 양귀비꽃'으로 태어나는 사랑의 의미는 행복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잘 보여 준다.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1. 1연과 2연은 문장 구조의 대구와 시어의 병치를 통해 주제를 중층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2.폭포의 모습을 통해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정신을 비유적으로 그림
3.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시각적 심상과 촉각적 심상을 통해 형상화
4.시련을 함께 이겨내면서 의지하는 두사람의 애틋한 사랑을 양귀비꽃으로 표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은 고전시가 작품의 일부분이다. 현대역 한 것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 → 달님이시여, 높이높이 돋으시어
     2. 곶 됴코 여름 하ᄂᆞ니 → 꽃이 좋고, 열매가 많으니
     3. 시절이 하 수상ᄒᆞ니 → 시절이 너무 수상하니
     4. 한중진미(閑中眞味)ᄅᆞᆯ 알 니 업시 호재로다 → 한중진미를 알 리 없이 혼자로구나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4.(한가한 생활 가운데의 참된 맛을 아는 사람 없이)한중진미를 알 이(사람) 없어 나 혼자 즐기는 구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82938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49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0
5248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504736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47 ERP 인사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46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45 지게차유사(롤러,기중기등)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779561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82938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2
5243 건설기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42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12576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41 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466692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4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8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27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7 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6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5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5 자동차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492726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4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09484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3 전파전자통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0월14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1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84865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2
5230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6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3 Next
/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