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551133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전방교회법과 후방교회법을 겸한 방법으로 기지의 두 점 중 한 점에 접근하기 곤란한 경우에 기지의 두 점을 이용하여 미지의 한 점을 구하는 방법은?(2002년 04월)
     1. 측방교회법
     2. 전진법
     3. 방사법
     4. 삼각법

     정답 : []
     정답률 : 73%

2. 평판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현장에서 직접 대상물의 위치를 관측하여 축척에 맞게 평면도를 그리는 측량이다.
     2. 대단위 지역의 지형도 측량에 많이 사용한다.
     3. 복잡한 지형이나 시가지, 농지 등의 세부 측량에 이용할 수 있다.
     4. 현장에서 측량이 잘못된 곳을 발견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57%

3. 어떤 거리의 관측값으로 부터 표준편차 ± 0.034m구했을 때 단일 관측값의 확률오차는 얼마인가?(2002년 01월)
     1. ± 0.023m
     2. ± 0.034m
     3. ± 0.046m
     4. ± 0.068m

     정답 : []
     정답률 : 30%

4. VLBI로 어느 거리를 세 구간으로 나누어 관측한 결과 구간별 확률오차가 각각 ± 0.001m, ± 0.004m, ± 0.007m 라면 전 거리에 대한 오차는 얼마인가?(2003년 07월)
     1. ± 0.001m
     2. ± 0.003m
     3. ± 0.008m
     4. ± 0.015m

     정답 : []
     정답률 : 42%

5. 한 점을 중심으로 6개의 삼각형으로 구성된 유심 삼각망의 조건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2월)
     1. 관측각의 수는 18개이다.
     2. 삼각점의 수는 8개이다.
     3. 변의 수는 12개이다.
     4. 중심각의 수는 6개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6. 평판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5년 10월)
     1. 내업이 적다.
     2. 정확도가 높다.
     3. 현장에서 바로 작도가 된다.
     4. 측량의 과실을 발견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85%

7. 그림에서 DE측선의 방위는 얼마인가?(2016년 01월)

   

     1. N 34°35'E
     2. N 26°10'W
     3. S 44°30'E
     4. N 49°00'E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30'-95'25'=34'35'
180'-60'45'=119'15'     119'15'+34'35'+180"=333'50'
360'-333'50'=26'10'                 75'10'-26'10'=49'
방위로 표현하면 49'는 90'보다 작기 때문에 그대로 가져다쓴다
[해설작성자 : 측량신]

49'00' -> 1상한
따라서 N49'00'E 이다.
[해설작성자 : 과기고 건설과]

CD방위각에서 180'가 아닌 이전 방위각인 34'35'을 사용하면 됩니다 그 이유는 교각이 아니라 편각이기 때문에 180'에서 빼줄 필요가 없는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히어로오오오]

8. 평판을 측점에 세우는데 필요한 3조건이 아닌 것은?(2003년 07월)
     1. 구심
     2. 표정
     3. 이심
     4. 정준

     정답 : []
     정답률 : 75%

9. 다음 배각법의 장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각을 읽을 때 생기는 오차를 1/n로 줄일 수 있다.
     2. 버어니어로 읽을 수 있는 최소눈금보다 작은 각을 측정할 수 있다.
     3. 높은 정밀도로 측정각을 얻을 수 있다.
     4. 단각법 보다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10. 트래버스 측량의 폐합오차 조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컴퍼스법칙은 각관측의 정확도가 거리관측의 정확도 보다 좋은 경우에 사용된다.
     2. 트랜싯법칙은 각관측과 거리관측의 정밀도가 서로 비슷한 경우에 사용된다.
     3. 컴퍼스법칙은 폐합오차를 각 측선의 길이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4. 트랜싯법칙은 위거 및 경거의 폐합오차를 각 측선의 위거 및 경거의 크기에 비례 배분하여 조정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11. 트래버스 측량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트래버스측량은 측선의 거리와 그 측선들이 만나서 이루는 수평각을 측정하여 각 측선의 위거와 경거를 계산하고 각 측점의 좌표를 구한다.
     2. 개방트래버스측량은 종점이 시점으로 돌아오지 않는 형태의 측량으로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측량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3. 폐합트래버스측량은 종점이 시점으로 되돌아와 합치하여 하나의 다각형을 형성하는 측량으로 트래버스 측량중에 정확도가 가장 높다.
     4. 결합트래버스측량은 기지점에서 출발하여 다른 기지점으로 연결하는 측량으로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대규모 지역의 측량에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폐합트래버스는 결합 트래버스보다 정확도가 낮으며, 소규모 측량에 이용되는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트래버스 측량의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10월)
     1. 경계 측량
     2. 노선 측량
     3. 지적 측량
     4. 종ㆍ횡단 수준 측량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트래버스측량의 용도
- 장애물이 많은 지역(삼림지대,시가지)
- 선형이 좁고 긴 지역(도로,수로,철도)
- 경계측량, 삼림측량, 노선측량, 지적측량 등에 응용
[해설작성자 : 자격증 시험 일주일 남음]

13. 트래버스 측량의 컴퍼스법칙과 트랜싯법칙에 대한 설명 및 경거, 위거의 오차조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1월)
     1. 컴퍼스법칙은 각측량과 거리측량의 정밀도가 대략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2. 트랜싯법칙은 각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조정한다.
     3. 컴퍼스법칙은 각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조정한다.
     4. 트랜싯법칙은 거리측량보다 각측량 정밀도가 높을 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14. 트래버스 측량에서 어떤 두 점의 위치관계를 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좌표는?(2007년 01월)
     1. 구면좌표
     2. 극좌표
     3. UTM 좌표
     4. 평면직각좌표

     정답 : []
     정답률 : 77%

15. 삼각형 세변이 각각 a=43m, b=46m, c=39m로 주어질 때 각 a는?(2015년 07월)

    

     1. 51°50‘ 41“
     2. 60°06‘ 38“
     3. 68°02‘ 41“
     4. 72°00‘ 26“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제2cos법칙
cosA=b^2+c^2-a^2/2bc
[해설작성자 : 김건공생]

16. 축척 1:100으로 평판측량을 할 때, 앨리데이드의 외심거리 e=20mm에 의해 생기는 허용 오차는?(2011년 07월)
     1. 0.2mm
     2. 0.4mm
     3. 0.6mm
     4. 0.7mm

     정답 : []
     정답률 : 67%

17. 우리나라의 기본 수준 측량의 1등 수준 측량에 대한 수준점은 보통 얼마마다 설치되어 있는가?(2008년 02월)
     1. 100~500m
     2. 2~4km
     3. 10~15km
     4. 50~60km

     정답 : []
     정답률 : 56%

18. 트래버스 측량의 결과로 배면적을 고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2%

19. 표준길이보다 2㎝ 가 긴 30m 테이프로 A, B 두 점간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1000m 이었다면 AB간의 정확한 거리는?(2006년 10월)
     1. 999.00 m
     2. 999.33 m
     3. 1000.00 m
     4. 1000.67 m

     정답 : []
     정답률 : 54%

20. 수준점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3년 01월)
     1. 어떤 점에서 중력방향에 직각인 점
     2. 어떤 점에서 지구의 중심방향에 수직인 점
     3. 어떤 면상의 각점에서 중력의 방향에 수직한 곡면
     4. 기준면에서부터 어떤 점까지의 연직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표시한 점

     정답 : []
     정답률 : 68%

2과목 : 임의 구분


21. 방위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9월)
     1. 임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2. 지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3. 자북(磁北)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4.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22. 어느 측점에서 데오드라이트를 설치하여 A, B 두 지점을 3배각으로 관측한 결과, 정위 126° 12‘ 36“, 반위 126° 12’ 12”를 얻었다면 두 지점의 내각은 얼마인가?(2011년 10월)
     1. 126° 12‘ 24“
     2. 63° 06‘ 12“
     3. 42° 04‘ 08“
     4. 31° 33‘ 06“

     정답 : []
     정답률 : 40%

23. A점의 지반고가 105.60m 일 때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기계고 1.46m , AB의 수평거리 125m)(2006년 10월)

    

     1. 12.67m
     2. 28.37m
     3. 33.27m
     4. 48.37m

     정답 : []
     정답률 : 34%

24. 트래버스 측량의 폐합오차 조정에서 트랜싯 법칙을 적용하는 경우는?(2004년 10월)
     1. 오차를 각 측선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할 때 적용한다.
     2. 각 측량의 정밀도가 거리 측량의 정밀도보다 높을 때 적용한다.
     3. 각 측량의 정밀도와 거리 측량의 정밀도가 동일할 때 적용한다.
     4. 각을 1'독으로 1배각 관측하고, 변을 30m 쇠줄자로 1cm까지 측정할 경우에만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25. 일반적으로 측량에서 사용하는 거리를 의미하는 것은?(2008년 07월)
     1. 수직거리
     2. 경사거리
     3. 수평거리
     4. 간접거리

     정답 : []
     정답률 : 70%

26. 다음 그림의 하천 교호수준측량의 결과를 가지고 A, B 두 지점의 지반고 차를 구하면?(2003년 07월)

    

     1. 0.8 m
     2. 1.0 m
     3. 1.6 m
     4. 2.2 m

     정답 : []
     정답률 : 48%

27. 그림과 같은 사변형에서 조건식의 총 수는?(2004년 02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 : []
     정답률 : 70%

28. 그림에서 B점의 좌표 (XB ,YB)로 옳은 것은?(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A=(200,300)
Xb=200+100*cos60=250
Yb=300+100*sin60=386.6=387
[해설작성자 : 최하늘빛]

29. 다음 중 교호수준측량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오차는?(2002년 07월)
     1. 빛의 굴절에 의한 오차와 시준오차
     2. 관측자의 원인에 의한 오차
     3. 기계오차
     4. 표척의 연결부 오차

     정답 : []
     정답률 : 50%

30. 평판을 세우는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2013년 01월)
     1. 중심맞추기
     2. 방향맞추기
     3. 수평맞추기
     4. 축척맞추기

     정답 : []
     정답률 : 80%

31. 거리측량의 경중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측량거리 및 기타조건은 같다.)(2011년 07월)
     1. 경중률은 관측 횟수에 반비례한다.
     2. 경중률은 관측 횟수에 비례한다.
     3. 경중률은 관측 횟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4. 경중률은 관측 횟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32. 다음 중 삼각측량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2년 04월)
     1. 삼각측량은 넓은 지역의 측량에 편리하다.
     2. 조건식이 적어 계산 및 방법이 편리하다.
     3. 1등 삼각측량의 평균 변의 길이는 30km 정도이다.
     4. 삼각점은 시통이 잘 되어야하고 후속 측량에 이용되므로 조망이 좋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33. 사변형 삼각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2년 07월)
     1. 노선측량 등의 골조측량에 적합하다.
     2. 넓은 지역의 측량에 적합하다.
     3.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고 기선 삼각망 등에 사용된다.
     4. 측량이 신속하고 경비가 적게 소요되므로 하천측량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65%

34. 수준측량에서 그 점의 표고만을 구하고자 표척을 세워 전시를 취하는 점은?(2005년 10월)
     1. 이기점
     2. 기계고
     3. 지반고
     4. 중간점

     정답 : []
     정답률 : 57%

35. 1/500의 축척도면을 만들기 위한 거리측량 작업에서 제도가 가능한 한도가 0.2mm라고 하면 실제 측량을 할 때 몇 cm 까지 눈금을 읽으면 되는가?(2005년 10월)
     1. 2cm
     2. 5cm
     3. 10cm
     4. 15cm

     정답 : []
     정답률 : 56%

36. 단곡선에서 I=60˚, 곡선반경 R=500m일 때 곡선길이는?(2002년 07월)
     1. 500.0m
     2. 729.3m
     3. 523.5m
     4. 587.5m

     정답 : []
     정답률 : 53%

37. 등고선의 성질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2년 01월)
     1. 한 등고선은 반드시 도면안이나 밖에서 서로 폐합된다.
     2.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의 지형이 아닌 곳에서 교차한다.
     3. 최대의 경사는 반드시 등고선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4. 등고선은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다.

     정답 : []
     정답률 : 55%

38. 스타디아 측량을 할 때 표척이 기울어 졌다면 이 때 발생하는 오차는?(2002년 07월)
     1. 승정수 값이 틀리게 된다.
     2. 가정수 값이 틀리게 된다.
     3.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4. 거리와 높이가 틀리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39. 노선 측량의 실측 단계에서 행하여지는 주요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2월)
     1. 지형 측량
     2. 노선의 도상 선정
     3. 중심선 측량
     4. 종·횡단 측량

     정답 : []
     정답률 : 52%

40. 지형도에 이용되는 등고선의 설명 중 틀리는 것은?(2004년 02월)
     1. 등고선은 도면내 또는 도면외에서 반드시 폐합한다.
     2. 등고선 간격은 지표면상의 경사가 급한 경우에는 넓고 완경사인 경우에는 좁다.
     3. 등고선은 일반적으로 교차하지 않으나 절벽이나 동굴에서는 교차할 수 있다.
     4. 동일 등고선상에 있는 모든 점의 표고는 같다.

     정답 : []
     정답률 : 70%

41. 클로소이드 곡선에서 곡률 반지름 R=100m, 곡선길이 L=36m일 때 클로소이드 매개변수 A의 값은?(2008년 07월)
     1. 50m
     2. 60m
     3. 80m
     4. 100m

     정답 : []
     정답률 : 49%

42. 곡선 반지름 R=250m의 원곡선 설치에서 ℓ=15m에 대한 편각은?(2015년 07월)
     1. 2°51‘ 53“
     2. 1°43‘ 08“
     3. 1°06‘ 24“
     4. 1°57‘ 3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 정답 내용 수정요청

2. 1°43‘ 08“ -> 2. 1°43‘ 80“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08이 맞습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3. 아래 그림과 같이 지거 간격 3m로 각 지거(y1~y7)를 측정하였다. 사다리꼴 공식에 의한 면적은? (단, y1=1.5m, y2=1.2m, y3=2.5m, y4=3.5m, y5=3.0m, y6=2.8m, y7=2.5m)(2013년 01월)

    

     1. 43m2
     2. 44m2
     3. 45m2
     4. 46m2

     정답 : []
     정답률 : 54%

44. 등고선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07년 07월)
     1. 동일 등고선상에 있는 각점은 모두 같은 높이이다.
     2.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어느 경우라도 교차하거나 만나지 않는다.
     3. 등경사 지면에 대한 등고선은 양 등고선 간의 간격이 같은 정도로 작아진다.
     4. 지표면의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등고선의 간격이 넓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46%

45. 양단면의 면적이 A1=65m2, A2=27m2, 정중앙의 단면적이 Am=45m2이고 길이 L=30m일 때, 각주 공식에 의한 체적은?(2004년 10월)

    

     1. 1,060m3
     2. 1,260m3
     3. 1,360m3
     4. 2,040m3

     정답 : []
     정답률 : 42%

46. 단곡선 설치에 필요한 명칭과 기호로 짝지어진 상태가 잘못된 것은?(2004년 02월)
     1. 곡선시점 : B.C.
     2. 장현 : T.L.
     3. 곡선길이 : C.L.
     4. 곡선 종점 : E.C.

     정답 : []
     정답률 : 61%

47. 그림과 같은 측량결과를 얻었다. 이 지형의 토공량을 구한 값은?(2002년 01월)

    

     1. 525m3
     2. 950m3
     3. 1050m3
     4. 1525m3

     정답 : []
     정답률 : 42%

48. GPS측량의 시스템 오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1월)
     1. 위성 시준 오차
     2. 위성 궤도 오차
     3. 전리층 굴절 오차
     4. 위성시계오차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 GPS 오차
- 위성 시계 오차 (0~1.5m): GPS 내장 시계의 부정확성으로 발생.
- 위성 궤도 오차 ((1~5m): 위성궤도 정보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발생.
- 전리층 굴절 오차 (0~30m): 약 350km 고도상에 집중적으로 분포된 자유전자와 신호와의 간섭 현상으로 발생. 고의 잡음 제거 이후 가장 큰 오차요인
- 대류권 굴절 오차 (0~30m): 고도 50km 까지의 대류층에서 위성 신호 굴절 현상으로 발생, 측정값 및 반송파 위상 측정값 모두 지연형태로 발생.
- 다중 경로 오차 (0~70m): 직접 수신된 전파 이외에 부가적으로 지형지물에 의해 반사된 전파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 차분기법에 의해 상쇄되지 않는 오차다.
- 사이클 슬립 : GPS 반송파 위상 추적 회로에서 반송파 위상값을 순간적으로 놓침으로 인해 발생
[해설작성자 : 아싸루비아]

49. 사진측량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6년 10월)
     1. 동체 측정이 가능하다.
     2. 접근이 곤란한 대상물의 측정이 가능하다.
     3. 목적에 따라 축척 변경이 용이하다.
     4. 정량적인 해석만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0%

50. 인공 입체시하는 경우 대상물이 과장되어 보이는 정도를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7월)
     1. 팽창감
     2. 과고감
     3. 확장고
     4. 여색 입체시

     정답 : []
     정답률 : 47%

51. 단곡선 설치에서 곡선의 시점(B.C)까지의 추가 거리가 450.25m이었을 때 시단현(ℓ1)의 길이는?(2011년 10월)
     1. 0.25m
     2. 9.75m
     3. 10.25m
     4. 19.75m

     정답 : []
     정답률 : 35%

52. 측량용역을 측량업자에게 도급주는 자를 무엇이라 하는가?(2002년 07월)
     1. 발주자
     2. 측량업자
     3. 도급업자
     4. 수급인

     정답 : []
     정답률 : 39%

53. 측량성과의 고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2년 01월)
     1. 측량의 규모
     2.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3.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4. 측량실시자의 성명

     정답 : []
     정답률 : 32%

54. 일반측량을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없는 것은?(2004년 10월)
     1. 측량노선의 길이가 10km 이상인 수준측량
     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3. 측량실시 지역의 면적이 1km2미만인 지형측량
     4. 촬영지역의 면적이 1km2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정답 : []
     정답률 : 38%

55. 중앙지명위원회의의 위원장은 누구가 되어야 하는가?(2008년 07월)
     1. 국토해양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대한측량협회장
     4. 행정안전부차관

     정답 : []
     정답률 : 65%

56. 측량계획기관에 대한 정의로서 올바른 것은?(2005년 01월)
     1.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2.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3. 기본측량 및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4.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정답 : []
     정답률 : 50%

57. 무단으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2003년 07월)
     1.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30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40%

58. 중앙종거에 의한 단곡선설치에서 최초 중앙종거 M1은? (단, 곡선반지름 R=300m, 교각 I=120°)(2015년 07월)
     1. 40m
     2. 80m
     3. 150m
     4. 300m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중앙종거M1공식은 곡선반지름*cos교각/4 로 계산해서 1번이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M1 공식은 반지름x(1-cos 2분의 I') 이므로 3번이 맞습니다
4분의 I'는 M2공식 입니다~!
[해설작성자 : 최강수공]

59. 경계선을 3차 포물선으로 보고, 지거의 세구간을 한 조로 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은?(2015년 07월)
     1. 심프슨 제1법칙
     2. 심프슨 제2법칙
     3. 심프슨 제3법칙
     4. 심프슨 제4법칙

     정답 : []
     정답률 : 68%

60. 측량심의회의 구성원에 적당하지 않은 사람은?(2004년 02월)
     1. 측량에 관한 학식이 있는 자
     2. 관계행정기관의 공무원
     3. 국립지리원장
     4. 건설교통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14%


정 답 지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551133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전방교회법과 후방교회법을 겸한 방법으로 기지의 두 점 중 한 점에 접근하기 곤란한 경우에 기지의 두 점을 이용하여 미지의 한 점을 구하는 방법은?(2002년 04월)
     1. 측방교회법
     2. 전진법
     3. 방사법
     4. 삼각법

     정답 : []
     정답률 : 73%

2. 평판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현장에서 직접 대상물의 위치를 관측하여 축척에 맞게 평면도를 그리는 측량이다.
     2. 대단위 지역의 지형도 측량에 많이 사용한다.
     3. 복잡한 지형이나 시가지, 농지 등의 세부 측량에 이용할 수 있다.
     4. 현장에서 측량이 잘못된 곳을 발견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57%

3. 어떤 거리의 관측값으로 부터 표준편차 ± 0.034m구했을 때 단일 관측값의 확률오차는 얼마인가?(2002년 01월)
     1. ± 0.023m
     2. ± 0.034m
     3. ± 0.046m
     4. ± 0.068m

     정답 : []
     정답률 : 30%

4. VLBI로 어느 거리를 세 구간으로 나누어 관측한 결과 구간별 확률오차가 각각 ± 0.001m, ± 0.004m, ± 0.007m 라면 전 거리에 대한 오차는 얼마인가?(2003년 07월)
     1. ± 0.001m
     2. ± 0.003m
     3. ± 0.008m
     4. ± 0.015m

     정답 : []
     정답률 : 42%

5. 한 점을 중심으로 6개의 삼각형으로 구성된 유심 삼각망의 조건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2월)
     1. 관측각의 수는 18개이다.
     2. 삼각점의 수는 8개이다.
     3. 변의 수는 12개이다.
     4. 중심각의 수는 6개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6. 평판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5년 10월)
     1. 내업이 적다.
     2. 정확도가 높다.
     3. 현장에서 바로 작도가 된다.
     4. 측량의 과실을 발견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85%

7. 그림에서 DE측선의 방위는 얼마인가?(2016년 01월)

   

     1. N 34°35'E
     2. N 26°10'W
     3. S 44°30'E
     4. N 49°00'E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30'-95'25'=34'35'
180'-60'45'=119'15'     119'15'+34'35'+180"=333'50'
360'-333'50'=26'10'                 75'10'-26'10'=49'
방위로 표현하면 49'는 90'보다 작기 때문에 그대로 가져다쓴다
[해설작성자 : 측량신]

49'00' -> 1상한
따라서 N49'00'E 이다.
[해설작성자 : 과기고 건설과]

CD방위각에서 180'가 아닌 이전 방위각인 34'35'을 사용하면 됩니다 그 이유는 교각이 아니라 편각이기 때문에 180'에서 빼줄 필요가 없는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히어로오오오]

8. 평판을 측점에 세우는데 필요한 3조건이 아닌 것은?(2003년 07월)
     1. 구심
     2. 표정
     3. 이심
     4. 정준

     정답 : []
     정답률 : 75%

9. 다음 배각법의 장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각을 읽을 때 생기는 오차를 1/n로 줄일 수 있다.
     2. 버어니어로 읽을 수 있는 최소눈금보다 작은 각을 측정할 수 있다.
     3. 높은 정밀도로 측정각을 얻을 수 있다.
     4. 단각법 보다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10. 트래버스 측량의 폐합오차 조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컴퍼스법칙은 각관측의 정확도가 거리관측의 정확도 보다 좋은 경우에 사용된다.
     2. 트랜싯법칙은 각관측과 거리관측의 정밀도가 서로 비슷한 경우에 사용된다.
     3. 컴퍼스법칙은 폐합오차를 각 측선의 길이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4. 트랜싯법칙은 위거 및 경거의 폐합오차를 각 측선의 위거 및 경거의 크기에 비례 배분하여 조정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11. 트래버스 측량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트래버스측량은 측선의 거리와 그 측선들이 만나서 이루는 수평각을 측정하여 각 측선의 위거와 경거를 계산하고 각 측점의 좌표를 구한다.
     2. 개방트래버스측량은 종점이 시점으로 돌아오지 않는 형태의 측량으로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측량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3. 폐합트래버스측량은 종점이 시점으로 되돌아와 합치하여 하나의 다각형을 형성하는 측량으로 트래버스 측량중에 정확도가 가장 높다.
     4. 결합트래버스측량은 기지점에서 출발하여 다른 기지점으로 연결하는 측량으로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대규모 지역의 측량에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폐합트래버스는 결합 트래버스보다 정확도가 낮으며, 소규모 측량에 이용되는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트래버스 측량의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10월)
     1. 경계 측량
     2. 노선 측량
     3. 지적 측량
     4. 종ㆍ횡단 수준 측량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트래버스측량의 용도
- 장애물이 많은 지역(삼림지대,시가지)
- 선형이 좁고 긴 지역(도로,수로,철도)
- 경계측량, 삼림측량, 노선측량, 지적측량 등에 응용
[해설작성자 : 자격증 시험 일주일 남음]

13. 트래버스 측량의 컴퍼스법칙과 트랜싯법칙에 대한 설명 및 경거, 위거의 오차조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1월)
     1. 컴퍼스법칙은 각측량과 거리측량의 정밀도가 대략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2. 트랜싯법칙은 각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조정한다.
     3. 컴퍼스법칙은 각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조정한다.
     4. 트랜싯법칙은 거리측량보다 각측량 정밀도가 높을 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14. 트래버스 측량에서 어떤 두 점의 위치관계를 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좌표는?(2007년 01월)
     1. 구면좌표
     2. 극좌표
     3. UTM 좌표
     4. 평면직각좌표

     정답 : []
     정답률 : 77%

15. 삼각형 세변이 각각 a=43m, b=46m, c=39m로 주어질 때 각 a는?(2015년 07월)

    

     1. 51°50‘ 41“
     2. 60°06‘ 38“
     3. 68°02‘ 41“
     4. 72°00‘ 26“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제2cos법칙
cosA=b^2+c^2-a^2/2bc
[해설작성자 : 김건공생]

16. 축척 1:100으로 평판측량을 할 때, 앨리데이드의 외심거리 e=20mm에 의해 생기는 허용 오차는?(2011년 07월)
     1. 0.2mm
     2. 0.4mm
     3. 0.6mm
     4. 0.7mm

     정답 : []
     정답률 : 67%

17. 우리나라의 기본 수준 측량의 1등 수준 측량에 대한 수준점은 보통 얼마마다 설치되어 있는가?(2008년 02월)
     1. 100~500m
     2. 2~4km
     3. 10~15km
     4. 50~60km

     정답 : []
     정답률 : 56%

18. 트래버스 측량의 결과로 배면적을 고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2%

19. 표준길이보다 2㎝ 가 긴 30m 테이프로 A, B 두 점간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1000m 이었다면 AB간의 정확한 거리는?(2006년 10월)
     1. 999.00 m
     2. 999.33 m
     3. 1000.00 m
     4. 1000.67 m

     정답 : []
     정답률 : 54%

20. 수준점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3년 01월)
     1. 어떤 점에서 중력방향에 직각인 점
     2. 어떤 점에서 지구의 중심방향에 수직인 점
     3. 어떤 면상의 각점에서 중력의 방향에 수직한 곡면
     4. 기준면에서부터 어떤 점까지의 연직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표시한 점

     정답 : []
     정답률 : 68%

2과목 : 임의 구분


21. 방위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9월)
     1. 임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2. 지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3. 자북(磁北)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4.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22. 어느 측점에서 데오드라이트를 설치하여 A, B 두 지점을 3배각으로 관측한 결과, 정위 126° 12‘ 36“, 반위 126° 12’ 12”를 얻었다면 두 지점의 내각은 얼마인가?(2011년 10월)
     1. 126° 12‘ 24“
     2. 63° 06‘ 12“
     3. 42° 04‘ 08“
     4. 31° 33‘ 06“

     정답 : []
     정답률 : 40%

23. A점의 지반고가 105.60m 일 때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기계고 1.46m , AB의 수평거리 125m)(2006년 10월)

    

     1. 12.67m
     2. 28.37m
     3. 33.27m
     4. 48.37m

     정답 : []
     정답률 : 34%

24. 트래버스 측량의 폐합오차 조정에서 트랜싯 법칙을 적용하는 경우는?(2004년 10월)
     1. 오차를 각 측선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할 때 적용한다.
     2. 각 측량의 정밀도가 거리 측량의 정밀도보다 높을 때 적용한다.
     3. 각 측량의 정밀도와 거리 측량의 정밀도가 동일할 때 적용한다.
     4. 각을 1'독으로 1배각 관측하고, 변을 30m 쇠줄자로 1cm까지 측정할 경우에만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25. 일반적으로 측량에서 사용하는 거리를 의미하는 것은?(2008년 07월)
     1. 수직거리
     2. 경사거리
     3. 수평거리
     4. 간접거리

     정답 : []
     정답률 : 70%

26. 다음 그림의 하천 교호수준측량의 결과를 가지고 A, B 두 지점의 지반고 차를 구하면?(2003년 07월)

    

     1. 0.8 m
     2. 1.0 m
     3. 1.6 m
     4. 2.2 m

     정답 : []
     정답률 : 48%

27. 그림과 같은 사변형에서 조건식의 총 수는?(2004년 02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 : []
     정답률 : 70%

28. 그림에서 B점의 좌표 (XB ,YB)로 옳은 것은?(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A=(200,300)
Xb=200+100*cos60=250
Yb=300+100*sin60=386.6=387
[해설작성자 : 최하늘빛]

29. 다음 중 교호수준측량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오차는?(2002년 07월)
     1. 빛의 굴절에 의한 오차와 시준오차
     2. 관측자의 원인에 의한 오차
     3. 기계오차
     4. 표척의 연결부 오차

     정답 : []
     정답률 : 50%

30. 평판을 세우는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2013년 01월)
     1. 중심맞추기
     2. 방향맞추기
     3. 수평맞추기
     4. 축척맞추기

     정답 : []
     정답률 : 80%

31. 거리측량의 경중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측량거리 및 기타조건은 같다.)(2011년 07월)
     1. 경중률은 관측 횟수에 반비례한다.
     2. 경중률은 관측 횟수에 비례한다.
     3. 경중률은 관측 횟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4. 경중률은 관측 횟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32. 다음 중 삼각측량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2년 04월)
     1. 삼각측량은 넓은 지역의 측량에 편리하다.
     2. 조건식이 적어 계산 및 방법이 편리하다.
     3. 1등 삼각측량의 평균 변의 길이는 30km 정도이다.
     4. 삼각점은 시통이 잘 되어야하고 후속 측량에 이용되므로 조망이 좋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33. 사변형 삼각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2년 07월)
     1. 노선측량 등의 골조측량에 적합하다.
     2. 넓은 지역의 측량에 적합하다.
     3.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고 기선 삼각망 등에 사용된다.
     4. 측량이 신속하고 경비가 적게 소요되므로 하천측량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65%

34. 수준측량에서 그 점의 표고만을 구하고자 표척을 세워 전시를 취하는 점은?(2005년 10월)
     1. 이기점
     2. 기계고
     3. 지반고
     4. 중간점

     정답 : []
     정답률 : 57%

35. 1/500의 축척도면을 만들기 위한 거리측량 작업에서 제도가 가능한 한도가 0.2mm라고 하면 실제 측량을 할 때 몇 cm 까지 눈금을 읽으면 되는가?(2005년 10월)
     1. 2cm
     2. 5cm
     3. 10cm
     4. 15cm

     정답 : []
     정답률 : 56%

36. 단곡선에서 I=60˚, 곡선반경 R=500m일 때 곡선길이는?(2002년 07월)
     1. 500.0m
     2. 729.3m
     3. 523.5m
     4. 587.5m

     정답 : []
     정답률 : 53%

37. 등고선의 성질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2년 01월)
     1. 한 등고선은 반드시 도면안이나 밖에서 서로 폐합된다.
     2.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의 지형이 아닌 곳에서 교차한다.
     3. 최대의 경사는 반드시 등고선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4. 등고선은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다.

     정답 : []
     정답률 : 55%

38. 스타디아 측량을 할 때 표척이 기울어 졌다면 이 때 발생하는 오차는?(2002년 07월)
     1. 승정수 값이 틀리게 된다.
     2. 가정수 값이 틀리게 된다.
     3.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4. 거리와 높이가 틀리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39. 노선 측량의 실측 단계에서 행하여지는 주요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2월)
     1. 지형 측량
     2. 노선의 도상 선정
     3. 중심선 측량
     4. 종·횡단 측량

     정답 : []
     정답률 : 52%

40. 지형도에 이용되는 등고선의 설명 중 틀리는 것은?(2004년 02월)
     1. 등고선은 도면내 또는 도면외에서 반드시 폐합한다.
     2. 등고선 간격은 지표면상의 경사가 급한 경우에는 넓고 완경사인 경우에는 좁다.
     3. 등고선은 일반적으로 교차하지 않으나 절벽이나 동굴에서는 교차할 수 있다.
     4. 동일 등고선상에 있는 모든 점의 표고는 같다.

     정답 : []
     정답률 : 70%

41. 클로소이드 곡선에서 곡률 반지름 R=100m, 곡선길이 L=36m일 때 클로소이드 매개변수 A의 값은?(2008년 07월)
     1. 50m
     2. 60m
     3. 80m
     4. 100m

     정답 : []
     정답률 : 49%

42. 곡선 반지름 R=250m의 원곡선 설치에서 ℓ=15m에 대한 편각은?(2015년 07월)
     1. 2°51‘ 53“
     2. 1°43‘ 08“
     3. 1°06‘ 24“
     4. 1°57‘ 3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 정답 내용 수정요청

2. 1°43‘ 08“ -> 2. 1°43‘ 80“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08이 맞습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3. 아래 그림과 같이 지거 간격 3m로 각 지거(y1~y7)를 측정하였다. 사다리꼴 공식에 의한 면적은? (단, y1=1.5m, y2=1.2m, y3=2.5m, y4=3.5m, y5=3.0m, y6=2.8m, y7=2.5m)(2013년 01월)

    

     1. 43m2
     2. 44m2
     3. 45m2
     4. 46m2

     정답 : []
     정답률 : 54%

44. 등고선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07년 07월)
     1. 동일 등고선상에 있는 각점은 모두 같은 높이이다.
     2.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어느 경우라도 교차하거나 만나지 않는다.
     3. 등경사 지면에 대한 등고선은 양 등고선 간의 간격이 같은 정도로 작아진다.
     4. 지표면의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등고선의 간격이 넓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46%

45. 양단면의 면적이 A1=65m2, A2=27m2, 정중앙의 단면적이 Am=45m2이고 길이 L=30m일 때, 각주 공식에 의한 체적은?(2004년 10월)

    

     1. 1,060m3
     2. 1,260m3
     3. 1,360m3
     4. 2,040m3

     정답 : []
     정답률 : 42%

46. 단곡선 설치에 필요한 명칭과 기호로 짝지어진 상태가 잘못된 것은?(2004년 02월)
     1. 곡선시점 : B.C.
     2. 장현 : T.L.
     3. 곡선길이 : C.L.
     4. 곡선 종점 : E.C.

     정답 : []
     정답률 : 61%

47. 그림과 같은 측량결과를 얻었다. 이 지형의 토공량을 구한 값은?(2002년 01월)

    

     1. 525m3
     2. 950m3
     3. 1050m3
     4. 1525m3

     정답 : []
     정답률 : 42%

48. GPS측량의 시스템 오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1월)
     1. 위성 시준 오차
     2. 위성 궤도 오차
     3. 전리층 굴절 오차
     4. 위성시계오차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 GPS 오차
- 위성 시계 오차 (0~1.5m): GPS 내장 시계의 부정확성으로 발생.
- 위성 궤도 오차 ((1~5m): 위성궤도 정보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발생.
- 전리층 굴절 오차 (0~30m): 약 350km 고도상에 집중적으로 분포된 자유전자와 신호와의 간섭 현상으로 발생. 고의 잡음 제거 이후 가장 큰 오차요인
- 대류권 굴절 오차 (0~30m): 고도 50km 까지의 대류층에서 위성 신호 굴절 현상으로 발생, 측정값 및 반송파 위상 측정값 모두 지연형태로 발생.
- 다중 경로 오차 (0~70m): 직접 수신된 전파 이외에 부가적으로 지형지물에 의해 반사된 전파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 차분기법에 의해 상쇄되지 않는 오차다.
- 사이클 슬립 : GPS 반송파 위상 추적 회로에서 반송파 위상값을 순간적으로 놓침으로 인해 발생
[해설작성자 : 아싸루비아]

49. 사진측량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6년 10월)
     1. 동체 측정이 가능하다.
     2. 접근이 곤란한 대상물의 측정이 가능하다.
     3. 목적에 따라 축척 변경이 용이하다.
     4. 정량적인 해석만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0%

50. 인공 입체시하는 경우 대상물이 과장되어 보이는 정도를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7월)
     1. 팽창감
     2. 과고감
     3. 확장고
     4. 여색 입체시

     정답 : []
     정답률 : 47%

51. 단곡선 설치에서 곡선의 시점(B.C)까지의 추가 거리가 450.25m이었을 때 시단현(ℓ1)의 길이는?(2011년 10월)
     1. 0.25m
     2. 9.75m
     3. 10.25m
     4. 19.75m

     정답 : []
     정답률 : 35%

52. 측량용역을 측량업자에게 도급주는 자를 무엇이라 하는가?(2002년 07월)
     1. 발주자
     2. 측량업자
     3. 도급업자
     4. 수급인

     정답 : []
     정답률 : 39%

53. 측량성과의 고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2년 01월)
     1. 측량의 규모
     2.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3.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4. 측량실시자의 성명

     정답 : []
     정답률 : 32%

54. 일반측량을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없는 것은?(2004년 10월)
     1. 측량노선의 길이가 10km 이상인 수준측량
     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3. 측량실시 지역의 면적이 1km2미만인 지형측량
     4. 촬영지역의 면적이 1km2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정답 : []
     정답률 : 38%

55. 중앙지명위원회의의 위원장은 누구가 되어야 하는가?(2008년 07월)
     1. 국토해양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대한측량협회장
     4. 행정안전부차관

     정답 : []
     정답률 : 65%

56. 측량계획기관에 대한 정의로서 올바른 것은?(2005년 01월)
     1.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2.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3. 기본측량 및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4.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정답 : []
     정답률 : 50%

57. 무단으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2003년 07월)
     1.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30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40%

58. 중앙종거에 의한 단곡선설치에서 최초 중앙종거 M1은? (단, 곡선반지름 R=300m, 교각 I=120°)(2015년 07월)
     1. 40m
     2. 80m
     3. 150m
     4. 300m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중앙종거M1공식은 곡선반지름*cos교각/4 로 계산해서 1번이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M1 공식은 반지름x(1-cos 2분의 I') 이므로 3번이 맞습니다
4분의 I'는 M2공식 입니다~!
[해설작성자 : 최강수공]

59. 경계선을 3차 포물선으로 보고, 지거의 세구간을 한 조로 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은?(2015년 07월)
     1. 심프슨 제1법칙
     2. 심프슨 제2법칙
     3. 심프슨 제3법칙
     4. 심프슨 제4법칙

     정답 : []
     정답률 : 68%

60. 측량심의회의 구성원에 적당하지 않은 사람은?(2004년 02월)
     1. 측량에 관한 학식이 있는 자
     2. 관계행정기관의 공무원
     3. 국립지리원장
     4. 건설교통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1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551133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62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61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60 DIAT 정보통신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59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358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57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356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355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54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7
5353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52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9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351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8월1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50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434921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551133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34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03956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47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46 9급 지방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2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4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44 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671597)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343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5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8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79 Next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