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91010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주상복합건물에서 주거공간인 상층부의 벽식구조시스템과 상업시설로 활용되는 저층부의 라멘 골조 시스템이 연결된 부분에 원활한 하중 전달을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시스템은?(2015년 06월)
     1. 코아
     2. 아웃리거
     3. 전이층
     4. 가새 튜브

     정답 : []
     정답률 : 75%

2. 다음 중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건축물 중요도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연면적 1,000m2 미만인 위험물저장시설은 중요도(1)에 해당한다.
     2. 연면적 1,000m2 이상인 소방서는 중요도(특)에 해당한다.
     3. 연면적 3,000m2 이상인 학교는 중요도(특)에 해당한다.
     4. 연면적 5,000m2 이상인 운수시설은 중요도(1)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3. 기초 및 지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점토질 지반은 강한 점착력으로 흙의 이동이 없고 기초 주변의 지반반력이 중심부에서의 지반반력보다 크다.
     2. 샌드드레인 공법은 모래질 지반에 사용하는 지반개량 공법으로, 모래의 압밀침하현상을 이용하여 물을 제거하는 공법이다.
     3. 슬러리월 공법은 가설 흙막이벽뿐만 아니라 영구적인 구조 벽체로 사용할 수 있다.
     4. 평판재하시험은 지름 300mm의 재하판에 지반의 극한 지지력 또는 예상장기설계하중의 3배를 최대 재하하중으로 지내력을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 철근콘크리트 깊은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비선형 변형률 분포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2. 스트럿-타이모델에 따라 설계한다.
     3. 순경간이 부재 깊이의 2배 이하인 부재를 깊은보로 정의한다.
     4. 깊은보의 최소 휨인장철근량은 휨부재의 최소철근량과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5.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배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기둥에서 철근의 피복 두께는 40mm 이상으로 하며, 주근비는 1% 이상 6% 이하로 한다.
     2. 보에서 주근의 순간격은 25mm 이상이고 주근 공칭지름의 1.5배 이상이며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기둥에서 나선철근의 중심간격은 25mm 이상 75mm이하로 한다.
     4. 보에서 깊이 h가 900mm 를 초과하는 경우, 보의 양 측면에 인장연단으로부터 h/2 위치까지 표피철근을 길이 방향으로 배근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6.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철골부재의 이음부 설계 세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응력을 전달하는 필릿용접 이음부의 길이는 필릿 사이즈의 10배 이상이며, 또한 30mm 이상이다.
     2. 겹침길이는 얇은 쪽 판 두께의 5배 이상이며, 또한 25mm 이상 겹치게 한다.
     3. 응력을 전달하는 겹침이음은 2열 이상의 필릿용접을 원칙으로 한다.
     4. 고장력볼트의 구멍 중심 간 거리는 공칭직경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 기본등분포 활하중의 저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 면적이 36m2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2. 기둥 및 기초의 영향면적은 부하면적의 4배이다.
     3. 부하면적 중 캔틸레버 부분은 영향면적에 단순 합산한다.
     4. 1개 층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는 0.6보다 작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4%

8. 현장재하실험 중 콘크리트구조의 재하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하나의 하중배열로 구조물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데 필요한 효과(처짐, 비틀림, 응력 등)들의 최댓값을 나타내지 못한다면 2종류 이상의 실험하중의 배열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재하할 실험하중은 해당 구조부분에 작용하고 있는 고정하중을 포함하여 설계하중의 85%, 즉 0.85(1.2D+1.6L) 이상이어야 한다.
     3. 처짐, 회전각, 변형률, 미끄러짐, 균열폭 등 측정값의 기준이 되는 영점 확인은 실험하중의 재하 직전 2시간 이내에 최초 읽기를 시행하여야 한다.
     4. 전체 실험하중은 최종 단계의 모든 측정값을 얻은 직후에 제거하며 최종 잔류측정값은 실험하중이 제거된 후 24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읽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9.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전단마찰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전단마찰철근이 전단력 전달면에 수직한 경우 공칭전단강도 Vn=Avffyμ로 산정한다.
     2. 보통중량콘크리트의 경우 일부러 거칠게 하지 않은 굳은 콘크리트와 새로 친 콘크리트 사이의 마찰계수는 0.6으로 한다.
     3. 전단마찰철근은 굳은 콘크리트와 새로 친 콘크리트 양쪽에 설계기준항복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시켜야 한다.
     4. 전단마찰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10.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변단면을 갖는 보에서, A지점의 단면에 발생하는 최대 휨응력은? (단, 보의 폭은 20mm로 일정하다.)(2019년 06월)

    

     1. 25N/mm2
     2. 36N/mm2
     3. 48N/mm2
     4. 50N/mm2

     정답 : []
     정답률 : 25%

11. 지진력에 저항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21MPa 이상이어야 한다.
     2. 지진력에 의한 휨모멘트 및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 골조에 사용하는 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까지 허용된다.
     3. 강재를 제작한 공장에서 계측한 실제 항복강도가 공칭항복강도를 120MPa 이상 초과해야 한다.
     4. 실제 항복강도에 대한 실제 극한인장강도의 비가 1.25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12. 콘크리트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강도설계법에서 파괴 시 극한 변형률을 0.005로 본다.
     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한다.
     3. 할선탄성계수(secant modulus)는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초기 선형 상태의 기울기를 뜻한다.
     4. 압축강도 실험 시 하중을 가하는 재하속도는 강도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9%

13. 강구조에 사용되는 강재의 탄성영역에서 전단응력의 전단변형도에 대한 비례상수를 전단 탄성계수라 한다. 사용되는 강재의 탄성계수(E)가 2.0×105N/mm2이며 포아송비()가 0.25라 할 때 전단탄성계수(G) 값은 얼마인가?(2015년 06월)
     1. 80,000N/mm2
     2. 120,000N/mm2
     3. 160,000N/mm2
     4. 200,000N/mm2

     정답 : []
     정답률 : 65%

14.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중량이 동일한 건물의 밑면전단력을 산정할 때,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다음 중 어떠한 경우인가?(2016년 06월)
     1.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2.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3.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4.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정답 : []
     정답률 : 60%

15. 지진력저항시스템을 성능설계법으로 설계하고자 할 때, 내진등급별 최소성능목표를 만족해야 한다. 내진등급 I의 최소성능목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건축구조기준의 설계스펙트럼가속도에 대해 기능수행의 성능수준을 만족해야 한다.
     2. 건축구조기준의 설계스펙트럼가속도의 1.2배에 대해 인명안전의 성능수준을 만족해야 한다.
     3. 건축구조기준의 설계스펙트럼가속도의 1.2배에 대해 붕괴방지의 성능수준을 만족해야 한다.
     4. 건축구조기준의 설계스펙트럼가속도의 1.5배에 대해 인명안전의 성능수준을 만족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16. 보통중량콘크리트 파괴계수를 고려할 때, 단면 폭 b 및 단면 높이 h인 직사각형 콘크리트 단면의 휨균열 모멘트 Mcr 의 값은? (단,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이며, 처짐은 단면 높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2019년 06월)
     1. Mcr = 0.105bh2√fck
     2. Mcr = 0.205bh3√fck
     3. Mcr = 0.305bh2√fck
     4. Mcr = 0.405bh3√fck

     정답 : []
     정답률 : 46%

17.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인장을 받는 SD500 D22 표준 갈고리를 갖는 이형철근의 기본 정착길이 ℓhb는 철근 지름 db의 몇 배인가? (단, 일반중량콘크리트로 설계 기준압축강도 fck=25MPa이고, 도막은 없다.)(2019년 02월)
     1. 19배
     2. 24배
     3. 25배
     4. 40배

     정답 : []
     정답률 : 66%

18. 강구조 접합부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접합부의 설계강도를 35kN으로 한다.
     2. 높이 50m인 다층구조물의 기둥이음부에 마찰접합을 사용한다.
     3. 응력 전달 부위의 겹침이음 시 2열로 필릿용접한다.
     4. 고장력볼트(M22)의 구멍중심 간 거리를 60mm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19.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 제시하는 철근 배치 간격 제한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동일 평면에서 평행하는 철근 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25mm 이상,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상단과 하단에 2단 이상으로 배치된 경우 상하 철근은 동일 연직면 내에 배치되어야 하고, 이때 상하 철근의 순간격은 25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나선철근 또는 띠철근이 배근된 압축부재에서 축방향철근의 순간격은 40mm 이상, 또한 철근 공칭지름의 1.5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2개 이상의 철근을 묶어서 사용하는 다발철근은 이형철근으로, 그 개수는 5개 이하이어야 하며, 이들은 스터럽이나 띠철근으로 둘러싸여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20.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서는 응력교란영역에 해당하는 구조부재에 스트럿-타이 모델(strut-tie model)을 적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스트럿-타이 모델을 구성하는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절점(node)
     2. 하중경로(load path)
     3. 타이(tie)
     4. 스트럿(strut)

     정답 : []
     정답률 : 69%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91010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주상복합건물에서 주거공간인 상층부의 벽식구조시스템과 상업시설로 활용되는 저층부의 라멘 골조 시스템이 연결된 부분에 원활한 하중 전달을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시스템은?(2015년 06월)
     1. 코아
     2. 아웃리거
     3. 전이층
     4. 가새 튜브

     정답 : []
     정답률 : 75%

2. 다음 중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건축물 중요도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연면적 1,000m2 미만인 위험물저장시설은 중요도(1)에 해당한다.
     2. 연면적 1,000m2 이상인 소방서는 중요도(특)에 해당한다.
     3. 연면적 3,000m2 이상인 학교는 중요도(특)에 해당한다.
     4. 연면적 5,000m2 이상인 운수시설은 중요도(1)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3. 기초 및 지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점토질 지반은 강한 점착력으로 흙의 이동이 없고 기초 주변의 지반반력이 중심부에서의 지반반력보다 크다.
     2. 샌드드레인 공법은 모래질 지반에 사용하는 지반개량 공법으로, 모래의 압밀침하현상을 이용하여 물을 제거하는 공법이다.
     3. 슬러리월 공법은 가설 흙막이벽뿐만 아니라 영구적인 구조 벽체로 사용할 수 있다.
     4. 평판재하시험은 지름 300mm의 재하판에 지반의 극한 지지력 또는 예상장기설계하중의 3배를 최대 재하하중으로 지내력을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 철근콘크리트 깊은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비선형 변형률 분포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2. 스트럿-타이모델에 따라 설계한다.
     3. 순경간이 부재 깊이의 2배 이하인 부재를 깊은보로 정의한다.
     4. 깊은보의 최소 휨인장철근량은 휨부재의 최소철근량과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5.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배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기둥에서 철근의 피복 두께는 40mm 이상으로 하며, 주근비는 1% 이상 6% 이하로 한다.
     2. 보에서 주근의 순간격은 25mm 이상이고 주근 공칭지름의 1.5배 이상이며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기둥에서 나선철근의 중심간격은 25mm 이상 75mm이하로 한다.
     4. 보에서 깊이 h가 900mm 를 초과하는 경우, 보의 양 측면에 인장연단으로부터 h/2 위치까지 표피철근을 길이 방향으로 배근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6.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철골부재의 이음부 설계 세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응력을 전달하는 필릿용접 이음부의 길이는 필릿 사이즈의 10배 이상이며, 또한 30mm 이상이다.
     2. 겹침길이는 얇은 쪽 판 두께의 5배 이상이며, 또한 25mm 이상 겹치게 한다.
     3. 응력을 전달하는 겹침이음은 2열 이상의 필릿용접을 원칙으로 한다.
     4. 고장력볼트의 구멍 중심 간 거리는 공칭직경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 기본등분포 활하중의 저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 면적이 36m2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2. 기둥 및 기초의 영향면적은 부하면적의 4배이다.
     3. 부하면적 중 캔틸레버 부분은 영향면적에 단순 합산한다.
     4. 1개 층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는 0.6보다 작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4%

8. 현장재하실험 중 콘크리트구조의 재하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하나의 하중배열로 구조물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데 필요한 효과(처짐, 비틀림, 응력 등)들의 최댓값을 나타내지 못한다면 2종류 이상의 실험하중의 배열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재하할 실험하중은 해당 구조부분에 작용하고 있는 고정하중을 포함하여 설계하중의 85%, 즉 0.85(1.2D+1.6L) 이상이어야 한다.
     3. 처짐, 회전각, 변형률, 미끄러짐, 균열폭 등 측정값의 기준이 되는 영점 확인은 실험하중의 재하 직전 2시간 이내에 최초 읽기를 시행하여야 한다.
     4. 전체 실험하중은 최종 단계의 모든 측정값을 얻은 직후에 제거하며 최종 잔류측정값은 실험하중이 제거된 후 24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읽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9.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전단마찰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전단마찰철근이 전단력 전달면에 수직한 경우 공칭전단강도 Vn=Avffyμ로 산정한다.
     2. 보통중량콘크리트의 경우 일부러 거칠게 하지 않은 굳은 콘크리트와 새로 친 콘크리트 사이의 마찰계수는 0.6으로 한다.
     3. 전단마찰철근은 굳은 콘크리트와 새로 친 콘크리트 양쪽에 설계기준항복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시켜야 한다.
     4. 전단마찰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10.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변단면을 갖는 보에서, A지점의 단면에 발생하는 최대 휨응력은? (단, 보의 폭은 20mm로 일정하다.)(2019년 06월)

    

     1. 25N/mm2
     2. 36N/mm2
     3. 48N/mm2
     4. 50N/mm2

     정답 : []
     정답률 : 25%

11. 지진력에 저항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21MPa 이상이어야 한다.
     2. 지진력에 의한 휨모멘트 및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 골조에 사용하는 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까지 허용된다.
     3. 강재를 제작한 공장에서 계측한 실제 항복강도가 공칭항복강도를 120MPa 이상 초과해야 한다.
     4. 실제 항복강도에 대한 실제 극한인장강도의 비가 1.25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12. 콘크리트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강도설계법에서 파괴 시 극한 변형률을 0.005로 본다.
     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한다.
     3. 할선탄성계수(secant modulus)는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초기 선형 상태의 기울기를 뜻한다.
     4. 압축강도 실험 시 하중을 가하는 재하속도는 강도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9%

13. 강구조에 사용되는 강재의 탄성영역에서 전단응력의 전단변형도에 대한 비례상수를 전단 탄성계수라 한다. 사용되는 강재의 탄성계수(E)가 2.0×105N/mm2이며 포아송비()가 0.25라 할 때 전단탄성계수(G) 값은 얼마인가?(2015년 06월)
     1. 80,000N/mm2
     2. 120,000N/mm2
     3. 160,000N/mm2
     4. 200,000N/mm2

     정답 : []
     정답률 : 65%

14.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중량이 동일한 건물의 밑면전단력을 산정할 때,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다음 중 어떠한 경우인가?(2016년 06월)
     1.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2.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3.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4.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정답 : []
     정답률 : 60%

15. 지진력저항시스템을 성능설계법으로 설계하고자 할 때, 내진등급별 최소성능목표를 만족해야 한다. 내진등급 I의 최소성능목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건축구조기준의 설계스펙트럼가속도에 대해 기능수행의 성능수준을 만족해야 한다.
     2. 건축구조기준의 설계스펙트럼가속도의 1.2배에 대해 인명안전의 성능수준을 만족해야 한다.
     3. 건축구조기준의 설계스펙트럼가속도의 1.2배에 대해 붕괴방지의 성능수준을 만족해야 한다.
     4. 건축구조기준의 설계스펙트럼가속도의 1.5배에 대해 인명안전의 성능수준을 만족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16. 보통중량콘크리트 파괴계수를 고려할 때, 단면 폭 b 및 단면 높이 h인 직사각형 콘크리트 단면의 휨균열 모멘트 Mcr 의 값은? (단,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이며, 처짐은 단면 높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2019년 06월)
     1. Mcr = 0.105bh2√fck
     2. Mcr = 0.205bh3√fck
     3. Mcr = 0.305bh2√fck
     4. Mcr = 0.405bh3√fck

     정답 : []
     정답률 : 46%

17.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인장을 받는 SD500 D22 표준 갈고리를 갖는 이형철근의 기본 정착길이 ℓhb는 철근 지름 db의 몇 배인가? (단, 일반중량콘크리트로 설계 기준압축강도 fck=25MPa이고, 도막은 없다.)(2019년 02월)
     1. 19배
     2. 24배
     3. 25배
     4. 40배

     정답 : []
     정답률 : 66%

18. 강구조 접합부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접합부의 설계강도를 35kN으로 한다.
     2. 높이 50m인 다층구조물의 기둥이음부에 마찰접합을 사용한다.
     3. 응력 전달 부위의 겹침이음 시 2열로 필릿용접한다.
     4. 고장력볼트(M22)의 구멍중심 간 거리를 60mm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19.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 제시하는 철근 배치 간격 제한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동일 평면에서 평행하는 철근 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25mm 이상,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상단과 하단에 2단 이상으로 배치된 경우 상하 철근은 동일 연직면 내에 배치되어야 하고, 이때 상하 철근의 순간격은 25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나선철근 또는 띠철근이 배근된 압축부재에서 축방향철근의 순간격은 40mm 이상, 또한 철근 공칭지름의 1.5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2개 이상의 철근을 묶어서 사용하는 다발철근은 이형철근으로, 그 개수는 5개 이하이어야 하며, 이들은 스터럽이나 띠철근으로 둘러싸여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20.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서는 응력교란영역에 해당하는 구조부재에 스트럿-타이 모델(strut-tie model)을 적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스트럿-타이 모델을 구성하는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절점(node)
     2. 하중경로(load path)
     3. 타이(tie)
     4. 스트럿(strut)

     정답 : []
     정답률 : 6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91010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214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213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7
212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304940)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1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10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7
209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08 9급 국가직 공무원 직업상담심리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0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06 자동차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05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910103)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03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5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202 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8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01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00 침투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199 수능(화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1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198 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197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196 9급 지방직 공무원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2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Board Pagination Prev 1 ...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 279 Next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