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39584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콘크리트공학


1. 수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수중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시멘트가 물에 씻겨서 흘러나오지 않도록 트레미나 콘크리트 펌프를 사용해서 타설하여야 한다.
     2.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완전히 물막이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속은 50mm/s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일반 수중 콘크리트는 수중에서 시공할 때의 강도가 표준공시체 강도의 1.2~1.5배가 되도록 배합강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4. 수중 콘크리트의 비비는 시간은 시험에 의해 콘크리트 소요의 품질을 확인하여 정하여야 하며, 강제식 믹서의 경우 비비기 시간은 90~180초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표준공시체 강도의 0.6~0.8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방법(KS F 2414)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시험 중에는 실온(20±3)℃로 한다.
     2. 블리딩 시험은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40mm 이하인 경우에 적용한다.
     3. 최초로 기록한 시각에서부터 60분 동안 10분마다, 콘크리트 표면에 스며 나온 물을 빨아낸다.
     4. 콘크리트를 블리딩 용기에 채울 때 콘크리트 표면이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30±3)mm 높아지도록고른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장자리에서 (30±3)mm 낮아지도록 고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일반 콘크리트의 계량 및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계량은 현장 배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2. 혼화제를 녹이는 데 사용하는 물이나 혼화제를 묽게 하는 데 사용하는 물은 단위구향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
     3.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그 최소 시간은 강제식 믹서일 때에는 1분 30초 이상일 표준으로 한다.
     4.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3배 이상 계속하지 않아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4. 다음 중 콘크리트의 작업성(woekavbility)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일정한 슬럼프의 범위에서 시멘트량을 줄인다.
     2.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반죽의 온도상승을 막아야 한다.
     3. 입도나 입형이 좋은 골재를 사용한다.
     4. 혼화재료로서 AE제나 분산제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시멘트량을 줄이면 유동성이 떨어지므로 작업이 힘들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반죽의 온도상승을 막아야한다.
입도나 입형이 좋은 골재를 사용한다.
혼화재료로서 AE제나 분산제를 사용한다.

5. AE 콘크리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콘크리트의 블리딩과 수밀성이 증대된다.
     2. 감수제를 병용하면 워커빌리티의 개선에 더욱 효과적이다.
     3. 모난 골재나 입도가 좋지 못한 골재 등 보통 콘크리트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빈배합의 콘크리트일수록 연행되는 공기량은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50%

6. 시방배합에서 규정된 배합의 표시 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잔골재율
     2. 물-결합재비
     3. 슬럼프 범위
     4. 잔골재의 최대치수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해설작성자 : 원트에가자]

7. 그림과 같이 양단이 구속된 큰크리트보에 건조수축 변형률 ε=sh=0.00015 만큼 발생할 경우 콘크리트에 생기는 인장응력은? (단,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Ec=2.1×104 MPa 이다.)(2008년 05월)

   

     1. 0 MPa
     2. 1.62 MPa
     3. 3.15 MPa
     4. 6.30 MPa

     정답 : []
     정답률 : 58%

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그라우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팽창성 그라우트의 팽창률은 0~10%를 표준으로 한다.
     2. 블리딩률은 5%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3. 팽창성 그라우트의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는 20MPa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4. 물-결합재비는 45%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블리딩률 0%
[해설작성자 : KKK]

9. 콘크리트 치기에 있어서 유의사항과 관계가 먼 것은?(2003년 03월)
     1. 콘크리트치기 도중 블리딩수가 있을 경우 그 물을 제거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친다.
     2. 콘크리트 치기의 1층 높이는 진동기의 성능을 고려하여 1m 정도로 한다.
     3. 2층 이상으로 나누어 콘크리트를 치는 경우 아래층이 굳기 시작하기 전에 윗층의 콘크리트를 친다.
     4. 콘크리트의 자유낙하 높이는 가능한 낮게 하며 수직으로 떨어 뜨린다.

     정답 : []
     정답률 : 53%

10. 일정량의 공기연행제를 사용할 때 공기량이 증대되는 경우로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2. 슬럼프가 작을수록
     3.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을수록
     4. 단위 잔골재량이 작을수록

     정답 : []
     정답률 : 23%

11.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균열에 대한 시공상의 대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단위시멘트량을 적게 한다.
     2. 1회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줄인다.
     3. 수축이음부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내부온도를 낮춘다.
     4. 기존의 콘크리트로 새로운 콘크리트의 온도에 따른 이동을 구속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9%

12.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3년 09월)
     1. 단위 시멘트량이 큰 콘크리트일수록 성형성이 좋다.
     2. 온도가 높을수록 슬럼프는 감소된다.
     3. 둥근 입형의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는 모가 진 부순모래를 사용한 것에 비해 워커빌리티가 나쁘다.
     4. 일반적으로 플라이 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13. 매스콘크리트에서 균열유발줄눈의 간격은 얼마를 기준으로 하는가?(2008년 05월)
     1. 4~5m
     2. 5~8m
     3. 8~10m
     4. 10~75m

     정답 : []
     정답률 : 29%

14. 단위 AE제량이 동일한 경우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단위시멘트량을 증가시키면 공기량은 적게 된다.
     2. 플라이애시를 혼합하면 공기량은 증가한다.
     3. 온도가 저하되면 공기량은 증가한다.
     4. 조강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면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경우보다 공기량은 적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23%

15. 콘크리트의 비파괴 시험 중 초음파법에 의한 균열깊이를 평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T-법
     2. Pull-out 법
     3. Tc-To
     4. BS법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Pull- out 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추정 방법
[해설작성자 : lynnkyu]

16. 골재의 절대용적이 700ℓ인 콘크리트에서 잔골재율이 40%이고, 잔골재의 표건밀도가 2.65g/cm3이면 단위 잔골재량은 얼마인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장 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5년 05월)
     1. 1,113kg/cm3
     2. 984.6kg/cm3
     3. 742kg/cm3
     4. 722.4kg/cm3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장 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7.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재료를 계량할 때 1회 계량분에 대해 허용오차 기준으로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물은 1% 이하로 한다.
     2. 시멘트는 1% 이하로 한다.
     3. 혼화제는 3% 이하로 한다.
     4. 골재는 2%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8. 초음파 탐상에 의한 콘크리트 비파괴 시험의 적용 가능한 분야로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3월)
     1. 콘크리트 두께 탐상
     2. 콘크리트의 균열 깊이
     3.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 탐상
     4. 콘크리트 내의 철근 부식 정도 조사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콘크리트를 통과하는 초음파진동의 속도와 파형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강도 깊이 공극등을 검사한다
[해설작성자 : 헤이즈]

19. 일반콘크리트 배합설계 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하는 경우, 압축강도 시험에 사용하는 공시체는 재령 며칠을 표준으로 하는가?(2021년 03월)
     1. 7일
     2. 14일
     3. 21일
     4. 28일

     정답 : []
     정답률 : 85%

20. 한중(寒中)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재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물-시멘트비는 원칙적으로 60% 이하로 한다.
     2. 시멘트는 냉각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시 직접 가열하여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3. 골재는 시트 등으로 덮어서 동결이 방지되도록 저장해야 한다.
     4. 한중콘크리트에는 AE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2과목 : 건설시공 및 관리


21. 다음은 PERT/CPM 공정관리 기법의 공기 단축 요령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비용경사가 최소인 주공정부터 공기를 단축한다.
     2. 주공정선(C.P)상의 공정을 우선 단축한다.
     3. 전체의 모든 활동이 주공정선(C.P)화 되면 공기 단축은 절대 불가능하다.
     4. 공기 단축에 따라 주공정선(C.P)이 복수화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전체의 모든 활동이 주공정선화 되어도 전주공정선에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une7476]

22. 콘크리트 포장 이음부의 시공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18년 04월)
     1. 슬립폼(slip form)
     2. 타이바(tie bar)
     3. 다우월바(dowel dar)
     4. 프라이머(Peimer)

     정답 : []
     정답률 : 74%

23. 아래의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3점시간법을 적용하여 activity time을 결정하면? (조건: 표준값 =6시간,낙관값 =3시간, 비관값 =8시간)(2009년 03월)
     1. 4.3시간
     2. 5.2시간
     3. 5.8시간
     4. 6.8시간

     정답 : []
     정답률 : 60%

24. 다음 절토 단면도에서 길이 30m에 대한 토량은?(2007년 09월)

    

     1. 6030m3
     2. 5700m3
     3. 6600m3
     4. 6300m3

     정답 : []
     정답률 : 50%

25. 옹벽의 안정상 수평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경제성과 시공성을 고려할 경우 가장 적합한 방법은?(2021년 03월)
     1. 옹벽의 비탈경사를 크게 한다.
     2. 옹벽 배면의 흙을 포화시킨다.
     3. 옹벽의 저판 밑에 돌기물(shear key)을 만든다.
     4. 배면의 본바닥에 앵커 타이(Anchor tie)나 앵커벽을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옹벽의 안정상 수평 저항력을 더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기초 밑면에 돌기물(key)을 만들면 가장 효과적이다.
[해설작성자 : 원트에가자]

26.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심빼기 발파공법의 명칭은?(2012년 09월)

    

     1. 스윙컷
     2. 벤치컷
     3. 번컷
     4. 피라미드컷

     정답 : []
     정답률 : 65%

27. 아스팔트 초장의 전압 끝손질에 이용되는 로울러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7년 09월)
     1. macadam roller
     2. tandem roller
     3. tire roller
     4. 피견인식 roller

     정답 : []
     정답률 : 55%

28. 어느 토공현장에서 흙의 운반거리가 60m, 불도저의 전진속도 40m/min, 후진속도 60m/min, 1회의 압토량 2.5m3, 기어 변속시간 0.25분이고, 작업효율 0.65일 때 불도저의 시간당 작업량을 본바닥 토량으로 구하면? (단, 토질은 보통토, 평탄지로 토량의 변화율 C=0.9, L=1.25이다.)(2015년 05월)
     1. 27.3m3/h
     2. 28.4m3/h
     3. 38.6vm3/h
     4. 42.4m3/h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60 * 2.5 * (1/1.25) * 2.5 / (60/40 + 60/60 + 0.25) = 28.36 으로 정답 28.4m^3/h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농공농공]

29. 아스팔트 포장면이 거북등 모양의 균열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2013년 06월)
     1. 노반 지지력이 부족한 경우
     2. 포장 시 전압이 부족한 경우
     3. 아스팔트 혼합물을 지나치게 가열한 경우
     4. 골재와 아스팔트의 결합력이 부족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59%

30.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은?(2009년 03월)
     1. 말뚝의 재하시험
     2. 정역학적 공식
     3. 동역학적 공식
     4. 허용지지력 표로서 구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88%

31. 아래에서 설명하는 심빼기 발파공은?(2018년 09월)

    

     1. 노 컷
     2. 벤치 컷
     3. 스윙 컷
     4. 피라미드 컷

     정답 : []
     정답률 : 70%

32. 흙댐(earth dam)에 관한 설명 중에서 잘못된 것은?(2008년 05월)
     1. 비교적 높은 댐의 축조가 가능하다.
     2. 기초지반이 비교적 견고하지 않아도 시공이 가능하다.
     3. 성토재료의 구입이 용이하며 경제적이다.
     4. 지진 등의 자연 재해에 비교적 취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44%

33. PERT 와 CPM의 차이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PERT의 주목적은 공기단축, CPM은 공비절감이다.
     2. PERT는 작업중심의 일정계산이고 CPM은 결합점 중심의 일정계산이다.
     3. PERT는 3점시간 추정이고 CPM은 1점시간 추정이다.
     4. PERT의 이용은 신규사업, 비반복사업에 이용되고 CPM은 반복사업, 경험이 있는 사업에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34. 암거의 배열방식 중 인접한 높은 지대에서 배수지구로 스며드는 침투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구역둘레에 배수암거를 매설하는 방식은?(2014년 03월)
     1. 빗식
     2. 자연식
     3. 어골식
     4. 차단식

     정답 : []
     정답률 : 57%

35. 아스팔트 포장에서 과도한 아스팔트의 사용 또는 혼합물의 부적절한 공극으로 인해 아스팔트표층으로 아스팔트가 올라와 표면에 아스팔트 막을 형성하는 현상은 무엇인가?(2003년 05월)
     1. 소성변형
     2. 라벨링
     3. 블리딩
     4. 함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암거의 배열방식중 1개의 간선집수거 또는 집수지거로 될수 있으며 많은 흡수거를 합류시키게 배치한 방식은?(2003년 08월)
     1. 차단식
     2. 자연식
     3. 빗식
     4. 어골식

     정답 : []
     정답률 : 71%

37. 댐의 그라우팅(grout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커튼 그라우팅(curtain groutin)은 기초 암반의 변형성이나 강도를 개량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2. 콘솔리데이션 그라우팅(consolidation grouting)은 기초 암반의 지내력 등을 개량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3. 콘택트 그라우팅(contact grouting)은 시공이음으로 누수 방지를 위하여 실시한다.
     4. 림 그라우팅(rim grouting)은 콘크리트와 암반사이의 공극을 메우기 위하여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커튼 그라우팅은 기초암반에 침투하는 물을 차수할 목적으로 시공
콘택트 그라우팅은 암반위에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와 암반부의 사이의 공극 충진을 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림 그라우팅은 차수대를 연장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으로 차수 그라우팅에 준하여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0.6m3의 백호(back hoe) 한 대를 사용하여 20,000m3의 기초 굴착을 할 때 굴착일수는? (단, 백호의 사이클 타임 : 26sec, 디퍼 계수 : 1.0, f : 0.8, E : 0.6, 1일 운전시간 8시간)(2010년 05월)
     1. 63일
     2. 68일
     3. 72일
     4. 80일

     정답 : []
     정답률 : 60%

39. Vibro flotation 공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지반을 균일하게 다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짐 후에는 지반 전체가 상부구조를 지지할 수 있다.
     2. 깊은 곳의 다짐이 불가능하다.
     3. 지하수위의 고저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공할 수 있다.
     4. 공기가 빠르고 공사비가 싸다.

     정답 : []
     정답률 : 30%

40. 국내 도로 파손의 주요 원인은 소성변형으로 전체 파손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소성변형의 억제방법 중 하나로 기존의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 대신 상대적으로 큰 입경의 골재를 이용하는 아스팔트 포장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05월)
     1. SBS
     2. SBR
     3. SMA
     4. SMR

     정답 : []
     정답률 : 70%

3과목 : 건설재료 및 시험


41. 잔골재의 내구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황산나트륨에 의한 안정성 시험을 할 경우 조작을 5번 반복 했을 때의 잔골재의 손실질량 백분율의 한도는 일반적으로 얼마인가?(2007년 03월)
     1. 20%
     2. 12%
     3. 10%
     4. 5%

     정답 : []
     정답률 : 47%

42. 면이 원칙적으로 거의 사격형에 가까운 것으로, 4면을 쪼개어 면에 직각으로 측정한 길이가 면의 최소 변의 1.5배 이상인 석재는?(2020년 09월)
     1. 사고석
     2. 견치석
     3. 각석
     4. 판석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견치석은 특별히 다듬어진 석재로서, 앞면의 모양이 정사각형에 가깝고, 각뿔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길이는 앞면의 길이에 비해 1.5배 이상, 뒷면 너비는 앞면의 1/16 이상, 이맞춤(接端, 合端) 너비는 1/5 이상, 허리치기(胴落)의 평균깊이는 1/10 정도로 해야하며 1개의 무게는 보통 70∼100kg이다.
[해설작성자 : 하루하루]

43. 도폭선에서 심약(心藥)으로 사용되는 것은?(2017년 09월)
     1. 흑색화약
     2. 질화납
     3. 뇌홍
     4. 면화약

     정답 : []
     정답률 : 53%

44. 다음 중 컷백 아스팔트(Cut back Asphal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비교적 연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적당한 휘발성 용제를 가하여 점도를 저하시켜 유동성을 좋게 한 것
     2. 아스팔트를 고온 가루로 만든 다음 에멀션화제를 사용하여 물에 분산시켜 만든 것
     3. 고체상태의 아스팔트를 인화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적당한 유동성을 갖도록 녹인 것
     4. 액체 상태의 아스팔트에 모래를 섞은 것

     정답 : []
     정답률 : 42%

45. 다음 중 시멘트의 성질과 이를 위한 시험의 연결이 바른 것은?(2008년 09월)
     1. 응결시간 - 비카트(Vicat)침에 의한 시험
     2. 비중 - 블레인(Blaine)공기 투과장치에 의한 시험
     3. 안정도 - 길모어(Gillmore)침에 의한 시험
     4. 분말도 -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시험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블레인공기 투과장치: 분말도
길모어침: 응결시간
오토클레이브: 시멘트 안정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블론(blown) 아스팔트와 스트레이트(stratight) 아스팔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블론 아스팔트보다 연화점이 낮다.
     2.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블론 아스팔트보다 감온성이 적다.
     3. 블론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유동성이 적다.
     4. 블론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방수성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연화점이 낮아서 온도에 대한 감온성이 크다
[해설작성자 : 아동확대범]

47. 아래 시험 결과에서 굵은 골재의 마모감량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56%
     2. 47%
     3. 35%
     4. 32%

     정답 : []
     정답률 : 50%

48. 암석 전체의 체적에 대한 공극의 비율을 공극률(porosity)이라고 한다. 다음 암석 중 일반적으로 공극률이 가장 큰 것은?(2010년 05월)
     1. 화강암
     2. 사암
     3. 응회암
     4. 대리석

     정답 : []
     정답률 : 56%

49. 다음 중 골재의 조립률을 구하는데 사용되는 표준체의 크기가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40mm
     2. 10mm
     3. 1.5mm
     4. 0.3mm

     정답 : []
     정답률 : 69%

50.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실리카 퓸(silica fume)을 사용한 경우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2년 03월)
     1.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저항성, 수밀성이 향상된다.
     2. 알칼리 골재반응의 억제효과가 있다.
     3. 내화학약품성이 향상된다.
     4. 단위수량과 건조수축이 감소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51. 다음 토목섬유 중 폴리머를 판상으로 압축시키면서 격자 모양의 형태로 구멍을 내어 만든 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늘린 것으로 연약지반 처리 및 지반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것은?(2018년 03월)
     1.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2. 지오그리드(geogrids)
     3. 지오네트(geonets)
     4. 웨빙(webbings)

     정답 : []
     정답률 : 75%

52.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서 수공구조물공사의 호안용 모르터블럭의 압축강도시험은 현품으로 몇 매마다 실시 하는가?(2003년 03월)
     1. 2000매
     2. 3000매
     3. 4000매
     4. 5000매

     정답 : []
     정답률 : 22%

53. 특수시멘트 중 벨라이트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수화열이 적어 대규모의 댐이나 고층건물들과 같은 대형 구조물공사에 적합하다.
     2.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동일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단위수량 및 AE제 사용량의 증가가 필요하다.
     3. 장기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다.
     4. 고분말도형(고강도형)과 저분말도형(저발열형)으로 나누어 공업적으로 생산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유동성이 증대되어 단위수량 및 AE제 등의 흡착력이 줄어들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증가가 필요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아래는 잔골재의 입도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값은?(2021년 09월)

    

     1. ±0.1
     2. ±0.2
     3. ±0.3
     4. ±0.4

     정답 : []
     정답률 : 62%

55. 역청제의 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 안정도시험은 굵은골재 최대입경 얼마 이하의 가열 혼합물에 대하여 적용하는가?(2005년 03월)
     1. 10mm
     2. 15mm
     3. 20mm
     4. 25mm

     정답 : []
     정답률 : 32%

56. 아스팔트의 침입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온도 25℃로 일정한 조건에서 100g의 표준침이 3mm 관입했다면, 이 재료의 침입도는 얼마인가?(2007년 09월)
     1. 3
     2. 6
     3. 30
     4. 60

     정답 : []
     정답률 : 73%

57.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흑색화약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5년 03월)
     1. 황(S), 목탄(C), 초석(KNO3)의 미분말을 혼합한 것이다.
     2. 색은 흑회식이며, 밀도는 1.5~1.8g/cm3정도이다.
     3. 충격 또는 가열(260~280℃정도)에 의해 폭발한다.
     4. 폭발력이 강하여 위험하고 수중에서도 폭발시킬수 있어 수중폭파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수중폭파에 적합한 것은 다이너마이트.
[해설작성자 : 록구]

58. 콘크리트용 골재의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알칼리골재 반응은 반응성 있는 골재에 의해 콘크리트에 이상팽창을 일으켜 거북등 모양의 균열을 일으키는 것이다.
     2. 콘크리트의 팽창량에 미치는 영향은 시멘트 중의 Na2O량과 K2O량의 비 및 반응성 골재의 특성에 의해 달라진다.
     3. 알칼리골재 반응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플라이애시시멘트를 사용하여 억제할 수 있다.
     4. 알칼리골재 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시멘트에 포함되어 있는 총 알칼리량을 높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알칼리 골재반응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멘트 중의 알칼리량을 0.6%이하로 줄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원트에가자]

59. 토목공사의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서 노체의 현장밀도 시험은 층다짐시 2차선기준으로 층별 몇m 마다 시행 하는가?(2004년 09월)
     1. 350m
     2. 450m
     3. 550m
     4. 650m

     정답 : []
     정답률 : 30%

60.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부순 굵은골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부순 굵은골재는 모가 나 있기 때문에 실적률이 적다.
     2. 동일한 물-시멘트비인 경우 강자갈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압축강도가 10% 정도 낮아진다.
     3. 콘크리트에 사용될 떄 작업성이 떨어진다.
     4. 동일 슬럼프를 얻기 위한 단위수량은 입도가 좋은 강자갈보다 6~8%정도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동일한 물-시멘트비인 경우 강자갈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의 부착이 좋기 때문에 부순 굵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압축강도가 크다.
[해설작성자 : 잠자는 푸우]

61. 그림과 같은 정수 중에 있는 포화토의 A-A'면에서의 유효응력은?(2004년 03월)

    

     1. 12.2t/m2
     2. 16.0t/m2
     3. 1.22t/m2
     4. 1.60t/m2

     정답 : []
     정답률 : 59%

62. 체적이 V=5.83cm3인 점토를 건조에서 건조시킨 결과 무게는 WS=11.26g이었다. 이 점토의 비중이 GS=2.67이라고 하면 이 점토의 수축한계값은 약 얼마인가?(2013년 03월)
     1. 28%
     2. 24%
     3. 14%
     4. 8%

     정답 : []
     정답률 : 37%

63. 흐트러진 흙은 자연상태의 흙에 비해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투수성이 크다.
     2. 전단강도가 낮다.
     3. 밀도가 낮다.
     4. 압축성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36%

64. 말뚝의 부주면마찰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부주면마찰력이 작용하면 지지력이 증가한다.
     2. 연약지반에 말뚝을 박은 후 그 위헤 성토를 한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3. 연약한 점토에 있어서는 상대변위의 속도가 느릴수록 부주면마찰력은 크다.
     4. 부주면마찰력은 말뚝 주변 침하량이 말뚝의 침하량보다 클 때 아래로 끌어내리는 마찰력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부주면마찰력이 작용하면 지지력 감소
2. 연약지반에 말뚝을 박은 후 그 위에 성토를 한 경우 발생
3. 연약한 지반에서 주로 발생
[해설작성자 : rangrang]

65. 다음 그림과 같은 Sampler에서 면적비는 얼마인가?(2008년 03월)

    

     1. 5.97%
     2. 14.62%
     3. 5.80%
     4. 14.80%

     정답 : []
     정답률 : 53%

66. 점성토에 대한 압밀배수 삼축압축시험 결과를 p - q diagram에 그린 결과, kf - line의 경사각 α는 20°이고 절편 m은 3.4㎏/㎝2이었다. 이 점성토의 내부마찰각(ø) 및 점착력 (C)의 크기는?(2005년 03월)
     1. ø = 21.34°, C = 3.65㎏/㎝2
     2. ø = 23.54°, C = 3.71㎏/㎝2
     3. ø = 21.34°, C = 9.34㎏/㎝2
     4. ø = 23.54°, C = 8.58㎏/㎝2

     정답 : []
     정답률 : 5%

67. 다음 그림에서 분사현상에 대한 안전율을 구하면?(2010년 09월)

    

     1. 1.01
     2. 1.33
     3. 1.66
     4. 2.01

     정답 : []
     정답률 : 67%

68. 그림에서 안전율 3을 고려하는 경우, 수두차 h를 최소 얼마로 높일 때 모래시료에 분사현상이 발생하겠는가?(2009년 08월)

    

     1. 12.75cm
     2. 9.75cm
     3. 4.25cm
     4. 3.25cm

     정답 : []
     정답률 : 41%

69. 그림과 같은 20x30m 전면기초인 부분보상기초 (partially compensated foundation)의 지지력 파괴에 대한 안전율은?(2016년 03월)

    

     1. 3.0
     2. 2.5
     3. 2.0
     4. 1.5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에 15000 이 아니라 150000임
2022 한솔 건설재료시험기사4주완성 필독서 5-13p 61번
[해설작성자 : 뚀아]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15000 이 맞습니다. 시험지 사진 그대로 활용한 자료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저 사진은 t으로 표시되어있어서 15,000t이 맞고
한솔은 kn으로 표시되어있어서 150,000 이 맞습니다.
단위때문에 표시된 숫자가 다를뿐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기부리기]

70.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강도정수 결정에 적합한 삼축압축시험의 종류는?(2021년 03월)

    

     1. 비압밀 비배수시험(UU)
     2. 비압밀 배수시험(UD)
     3. 압밀 비배수시험(CU)
     4. 압밀 배수시험(CD)

     정답 : []
     정답률 : 66%

71. 도로지반의 평판재하실험에서 1.25mm 침하될 때 하중강도가 2.5kg/cm2일 때 지지력계수 K는?(2004년 03월)
     1. 2kg/cm3
     2. 20kg/cm3
     3. 1kg/cm3
     4. 10kg/cm3

     정답 : []
     정답률 : 65%

72. 어떤 모래층의 공극비(e)는 0.2, 비중(Gs)은 2.60이었다. 이 모래가 Quick - Sand - action이 일어나는 한계 동수경사(ic)는 다음 중 어느 값인가?(2005년 05월)
     1. 1.33
     2. 0.95
     3. 0.56
     4. 1.80

     정답 : []
     정답률 : 52%

73. 다음은 흙시료 채취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교란의 효과는 소성이 낮은 흙이 소성이 높은 흙보다 크다.
     2. 교란된 흙은 자연상태의 흙보다 압축강도가 작다.
     3. 교란된 흙은 자연상태의 흙보다 전단강도가 작다.
     4. 흙시료 채취 직후에 비교적 교란 되지않은 코어(core)는 부(負)의 과잉간극수압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38%

74. 100% 포화된 흐트러지지 않은 시료의 부피가 20.5cm3 이고 무게는 34.2g이었다. 이 시료를 오븐(Oven) 건조 시킨 후의 무게는 22.6g 이었다. 간극비는?(2019년 03월)
     1. 1.3
     2. 1.5
     3. 2.1
     4. 2.6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 물의 중량
     Ww=W-Ws=34.2-22.6=11.6
2) 물의 부피(1은 포화 상태이므로)
     VW=Ww/PW=11.6/1=11.6
3) 토립자의 부피
     Vs=V-Vw=20.5-11.6=8.9
4) 공극비
     e=Vw/Vs=11.6/8.9=1.3
[해설작성자 : isio1]

75. 수직방향의 투수계수가 4.51×10-8m/sec이고, 수평방향의 투수계수가 1.6×10-8m/sec 인 균질하고 비등방(非等方)인 흙댐의 유선망을 그린 결과 유로(流路)수가 4개이고 등수두선의 간격수가 18개 이었다. 단위길이(m)당 침투수량은? (단, 댐의 상하류의 수면의 차는 18m이다.)(2017년 09월)
     1. 1.1×10-7m3/sec
     2. 2.3×10-7m3/sec
     3. 2.3×10-8m3/sec
     4. 1.5×10-8m3/sec

     정답 : []
     정답률 : 44%

76.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 지반에서 표준관입시험을 한 결과 N치는 10이었다. 이 모래의 내부 마찰각을 Dunham의 공식으로 구하면?(2014년 05월)
     1. 21°
     2. 26°
     3. 31°
     4. 36°

     정답 : []
     정답률 : 68%

77. 사면파괴가 일어날 수 있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흙 중의 수분의 증가
     2. 과잉간극수압의 감소
     3. 굴착에 따른 구속력의 감소
     4. 지진에 의한 수평방향력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과잉간극수압은 연약지반의 압밀시 발생하는 현상임.
[해설작성자 : 몰라.]

78. 두께 2㎝의 점토시료에 대한 압밀시험에서 전압밀에 소요되는 시간이 2시간이었다. 같은 시료조건에서 5m 두께의 지층이 전압밀에 소요되는 기간은 약 몇 년인가? (단, 기간은 소수 2자리에서 반올림함.)(2003년 05월)
     1. 9.3년
     2. 14.3년
     3. 12.3년
     4. 16.3년

     정답 : []
     정답률 : 17%

79. 최대주응력이 10t/m2, 최소주응력이 4t/m2일 때 최소주응력 면과 45˚를 이루는 평면에 일어나는 수직응력은?(2016년 05월)
     1. 7t/m2
     2. 3t/m2
     3. 6t/m2
     4. 4√2t/m2

     정답 : []
     정답률 : 35%

80. sand drain 공법에서 sand pile을 정삼각형으로 배치할 때 모래기둥의 간격은?(단, pile의 유효지름은 40cm이다.)(2015년 03월)
     1. 35cm
     2. 38cm
     3. 42cm
     4. 45cm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정삼각형이면 1.05d
[해설작성자 : 백백백]


정 답 지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39584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콘크리트공학


1. 수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수중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시멘트가 물에 씻겨서 흘러나오지 않도록 트레미나 콘크리트 펌프를 사용해서 타설하여야 한다.
     2.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완전히 물막이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속은 50mm/s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일반 수중 콘크리트는 수중에서 시공할 때의 강도가 표준공시체 강도의 1.2~1.5배가 되도록 배합강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4. 수중 콘크리트의 비비는 시간은 시험에 의해 콘크리트 소요의 품질을 확인하여 정하여야 하며, 강제식 믹서의 경우 비비기 시간은 90~180초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표준공시체 강도의 0.6~0.8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방법(KS F 2414)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시험 중에는 실온(20±3)℃로 한다.
     2. 블리딩 시험은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40mm 이하인 경우에 적용한다.
     3. 최초로 기록한 시각에서부터 60분 동안 10분마다, 콘크리트 표면에 스며 나온 물을 빨아낸다.
     4. 콘크리트를 블리딩 용기에 채울 때 콘크리트 표면이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30±3)mm 높아지도록고른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장자리에서 (30±3)mm 낮아지도록 고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일반 콘크리트의 계량 및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계량은 현장 배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2. 혼화제를 녹이는 데 사용하는 물이나 혼화제를 묽게 하는 데 사용하는 물은 단위구향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
     3.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그 최소 시간은 강제식 믹서일 때에는 1분 30초 이상일 표준으로 한다.
     4.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3배 이상 계속하지 않아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4. 다음 중 콘크리트의 작업성(woekavbility)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일정한 슬럼프의 범위에서 시멘트량을 줄인다.
     2.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반죽의 온도상승을 막아야 한다.
     3. 입도나 입형이 좋은 골재를 사용한다.
     4. 혼화재료로서 AE제나 분산제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시멘트량을 줄이면 유동성이 떨어지므로 작업이 힘들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반죽의 온도상승을 막아야한다.
입도나 입형이 좋은 골재를 사용한다.
혼화재료로서 AE제나 분산제를 사용한다.

5. AE 콘크리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콘크리트의 블리딩과 수밀성이 증대된다.
     2. 감수제를 병용하면 워커빌리티의 개선에 더욱 효과적이다.
     3. 모난 골재나 입도가 좋지 못한 골재 등 보통 콘크리트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빈배합의 콘크리트일수록 연행되는 공기량은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50%

6. 시방배합에서 규정된 배합의 표시 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잔골재율
     2. 물-결합재비
     3. 슬럼프 범위
     4. 잔골재의 최대치수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해설작성자 : 원트에가자]

7. 그림과 같이 양단이 구속된 큰크리트보에 건조수축 변형률 ε=sh=0.00015 만큼 발생할 경우 콘크리트에 생기는 인장응력은? (단,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Ec=2.1×104 MPa 이다.)(2008년 05월)

   

     1. 0 MPa
     2. 1.62 MPa
     3. 3.15 MPa
     4. 6.30 MPa

     정답 : []
     정답률 : 58%

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그라우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팽창성 그라우트의 팽창률은 0~10%를 표준으로 한다.
     2. 블리딩률은 5%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3. 팽창성 그라우트의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는 20MPa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4. 물-결합재비는 45%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블리딩률 0%
[해설작성자 : KKK]

9. 콘크리트 치기에 있어서 유의사항과 관계가 먼 것은?(2003년 03월)
     1. 콘크리트치기 도중 블리딩수가 있을 경우 그 물을 제거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친다.
     2. 콘크리트 치기의 1층 높이는 진동기의 성능을 고려하여 1m 정도로 한다.
     3. 2층 이상으로 나누어 콘크리트를 치는 경우 아래층이 굳기 시작하기 전에 윗층의 콘크리트를 친다.
     4. 콘크리트의 자유낙하 높이는 가능한 낮게 하며 수직으로 떨어 뜨린다.

     정답 : []
     정답률 : 53%

10. 일정량의 공기연행제를 사용할 때 공기량이 증대되는 경우로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2. 슬럼프가 작을수록
     3.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을수록
     4. 단위 잔골재량이 작을수록

     정답 : []
     정답률 : 23%

11.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균열에 대한 시공상의 대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단위시멘트량을 적게 한다.
     2. 1회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줄인다.
     3. 수축이음부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내부온도를 낮춘다.
     4. 기존의 콘크리트로 새로운 콘크리트의 온도에 따른 이동을 구속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9%

12.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3년 09월)
     1. 단위 시멘트량이 큰 콘크리트일수록 성형성이 좋다.
     2. 온도가 높을수록 슬럼프는 감소된다.
     3. 둥근 입형의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는 모가 진 부순모래를 사용한 것에 비해 워커빌리티가 나쁘다.
     4. 일반적으로 플라이 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13. 매스콘크리트에서 균열유발줄눈의 간격은 얼마를 기준으로 하는가?(2008년 05월)
     1. 4~5m
     2. 5~8m
     3. 8~10m
     4. 10~75m

     정답 : []
     정답률 : 29%

14. 단위 AE제량이 동일한 경우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단위시멘트량을 증가시키면 공기량은 적게 된다.
     2. 플라이애시를 혼합하면 공기량은 증가한다.
     3. 온도가 저하되면 공기량은 증가한다.
     4. 조강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면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경우보다 공기량은 적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23%

15. 콘크리트의 비파괴 시험 중 초음파법에 의한 균열깊이를 평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T-법
     2. Pull-out 법
     3. Tc-To
     4. BS법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Pull- out 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추정 방법
[해설작성자 : lynnkyu]

16. 골재의 절대용적이 700ℓ인 콘크리트에서 잔골재율이 40%이고, 잔골재의 표건밀도가 2.65g/cm3이면 단위 잔골재량은 얼마인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장 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5년 05월)
     1. 1,113kg/cm3
     2. 984.6kg/cm3
     3. 742kg/cm3
     4. 722.4kg/cm3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장 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7.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재료를 계량할 때 1회 계량분에 대해 허용오차 기준으로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물은 1% 이하로 한다.
     2. 시멘트는 1% 이하로 한다.
     3. 혼화제는 3% 이하로 한다.
     4. 골재는 2%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8. 초음파 탐상에 의한 콘크리트 비파괴 시험의 적용 가능한 분야로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3월)
     1. 콘크리트 두께 탐상
     2. 콘크리트의 균열 깊이
     3.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 탐상
     4. 콘크리트 내의 철근 부식 정도 조사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콘크리트를 통과하는 초음파진동의 속도와 파형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강도 깊이 공극등을 검사한다
[해설작성자 : 헤이즈]

19. 일반콘크리트 배합설계 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하는 경우, 압축강도 시험에 사용하는 공시체는 재령 며칠을 표준으로 하는가?(2021년 03월)
     1. 7일
     2. 14일
     3. 21일
     4. 28일

     정답 : []
     정답률 : 85%

20. 한중(寒中)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재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물-시멘트비는 원칙적으로 60% 이하로 한다.
     2. 시멘트는 냉각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시 직접 가열하여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3. 골재는 시트 등으로 덮어서 동결이 방지되도록 저장해야 한다.
     4. 한중콘크리트에는 AE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2과목 : 건설시공 및 관리


21. 다음은 PERT/CPM 공정관리 기법의 공기 단축 요령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비용경사가 최소인 주공정부터 공기를 단축한다.
     2. 주공정선(C.P)상의 공정을 우선 단축한다.
     3. 전체의 모든 활동이 주공정선(C.P)화 되면 공기 단축은 절대 불가능하다.
     4. 공기 단축에 따라 주공정선(C.P)이 복수화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전체의 모든 활동이 주공정선화 되어도 전주공정선에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une7476]

22. 콘크리트 포장 이음부의 시공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18년 04월)
     1. 슬립폼(slip form)
     2. 타이바(tie bar)
     3. 다우월바(dowel dar)
     4. 프라이머(Peimer)

     정답 : []
     정답률 : 74%

23. 아래의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3점시간법을 적용하여 activity time을 결정하면? (조건: 표준값 =6시간,낙관값 =3시간, 비관값 =8시간)(2009년 03월)
     1. 4.3시간
     2. 5.2시간
     3. 5.8시간
     4. 6.8시간

     정답 : []
     정답률 : 60%

24. 다음 절토 단면도에서 길이 30m에 대한 토량은?(2007년 09월)

    

     1. 6030m3
     2. 5700m3
     3. 6600m3
     4. 6300m3

     정답 : []
     정답률 : 50%

25. 옹벽의 안정상 수평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경제성과 시공성을 고려할 경우 가장 적합한 방법은?(2021년 03월)
     1. 옹벽의 비탈경사를 크게 한다.
     2. 옹벽 배면의 흙을 포화시킨다.
     3. 옹벽의 저판 밑에 돌기물(shear key)을 만든다.
     4. 배면의 본바닥에 앵커 타이(Anchor tie)나 앵커벽을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옹벽의 안정상 수평 저항력을 더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기초 밑면에 돌기물(key)을 만들면 가장 효과적이다.
[해설작성자 : 원트에가자]

26.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심빼기 발파공법의 명칭은?(2012년 09월)

    

     1. 스윙컷
     2. 벤치컷
     3. 번컷
     4. 피라미드컷

     정답 : []
     정답률 : 65%

27. 아스팔트 초장의 전압 끝손질에 이용되는 로울러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7년 09월)
     1. macadam roller
     2. tandem roller
     3. tire roller
     4. 피견인식 roller

     정답 : []
     정답률 : 55%

28. 어느 토공현장에서 흙의 운반거리가 60m, 불도저의 전진속도 40m/min, 후진속도 60m/min, 1회의 압토량 2.5m3, 기어 변속시간 0.25분이고, 작업효율 0.65일 때 불도저의 시간당 작업량을 본바닥 토량으로 구하면? (단, 토질은 보통토, 평탄지로 토량의 변화율 C=0.9, L=1.25이다.)(2015년 05월)
     1. 27.3m3/h
     2. 28.4m3/h
     3. 38.6vm3/h
     4. 42.4m3/h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60 * 2.5 * (1/1.25) * 2.5 / (60/40 + 60/60 + 0.25) = 28.36 으로 정답 28.4m^3/h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농공농공]

29. 아스팔트 포장면이 거북등 모양의 균열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2013년 06월)
     1. 노반 지지력이 부족한 경우
     2. 포장 시 전압이 부족한 경우
     3. 아스팔트 혼합물을 지나치게 가열한 경우
     4. 골재와 아스팔트의 결합력이 부족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59%

30.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은?(2009년 03월)
     1. 말뚝의 재하시험
     2. 정역학적 공식
     3. 동역학적 공식
     4. 허용지지력 표로서 구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88%

31. 아래에서 설명하는 심빼기 발파공은?(2018년 09월)

    

     1. 노 컷
     2. 벤치 컷
     3. 스윙 컷
     4. 피라미드 컷

     정답 : []
     정답률 : 70%

32. 흙댐(earth dam)에 관한 설명 중에서 잘못된 것은?(2008년 05월)
     1. 비교적 높은 댐의 축조가 가능하다.
     2. 기초지반이 비교적 견고하지 않아도 시공이 가능하다.
     3. 성토재료의 구입이 용이하며 경제적이다.
     4. 지진 등의 자연 재해에 비교적 취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44%

33. PERT 와 CPM의 차이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PERT의 주목적은 공기단축, CPM은 공비절감이다.
     2. PERT는 작업중심의 일정계산이고 CPM은 결합점 중심의 일정계산이다.
     3. PERT는 3점시간 추정이고 CPM은 1점시간 추정이다.
     4. PERT의 이용은 신규사업, 비반복사업에 이용되고 CPM은 반복사업, 경험이 있는 사업에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34. 암거의 배열방식 중 인접한 높은 지대에서 배수지구로 스며드는 침투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구역둘레에 배수암거를 매설하는 방식은?(2014년 03월)
     1. 빗식
     2. 자연식
     3. 어골식
     4. 차단식

     정답 : []
     정답률 : 57%

35. 아스팔트 포장에서 과도한 아스팔트의 사용 또는 혼합물의 부적절한 공극으로 인해 아스팔트표층으로 아스팔트가 올라와 표면에 아스팔트 막을 형성하는 현상은 무엇인가?(2003년 05월)
     1. 소성변형
     2. 라벨링
     3. 블리딩
     4. 함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암거의 배열방식중 1개의 간선집수거 또는 집수지거로 될수 있으며 많은 흡수거를 합류시키게 배치한 방식은?(2003년 08월)
     1. 차단식
     2. 자연식
     3. 빗식
     4. 어골식

     정답 : []
     정답률 : 71%

37. 댐의 그라우팅(grout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커튼 그라우팅(curtain groutin)은 기초 암반의 변형성이나 강도를 개량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2. 콘솔리데이션 그라우팅(consolidation grouting)은 기초 암반의 지내력 등을 개량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3. 콘택트 그라우팅(contact grouting)은 시공이음으로 누수 방지를 위하여 실시한다.
     4. 림 그라우팅(rim grouting)은 콘크리트와 암반사이의 공극을 메우기 위하여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커튼 그라우팅은 기초암반에 침투하는 물을 차수할 목적으로 시공
콘택트 그라우팅은 암반위에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와 암반부의 사이의 공극 충진을 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림 그라우팅은 차수대를 연장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으로 차수 그라우팅에 준하여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0.6m3의 백호(back hoe) 한 대를 사용하여 20,000m3의 기초 굴착을 할 때 굴착일수는? (단, 백호의 사이클 타임 : 26sec, 디퍼 계수 : 1.0, f : 0.8, E : 0.6, 1일 운전시간 8시간)(2010년 05월)
     1. 63일
     2. 68일
     3. 72일
     4. 80일

     정답 : []
     정답률 : 60%

39. Vibro flotation 공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지반을 균일하게 다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짐 후에는 지반 전체가 상부구조를 지지할 수 있다.
     2. 깊은 곳의 다짐이 불가능하다.
     3. 지하수위의 고저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공할 수 있다.
     4. 공기가 빠르고 공사비가 싸다.

     정답 : []
     정답률 : 30%

40. 국내 도로 파손의 주요 원인은 소성변형으로 전체 파손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소성변형의 억제방법 중 하나로 기존의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 대신 상대적으로 큰 입경의 골재를 이용하는 아스팔트 포장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05월)
     1. SBS
     2. SBR
     3. SMA
     4. SMR

     정답 : []
     정답률 : 70%

3과목 : 건설재료 및 시험


41. 잔골재의 내구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황산나트륨에 의한 안정성 시험을 할 경우 조작을 5번 반복 했을 때의 잔골재의 손실질량 백분율의 한도는 일반적으로 얼마인가?(2007년 03월)
     1. 20%
     2. 12%
     3. 10%
     4. 5%

     정답 : []
     정답률 : 47%

42. 면이 원칙적으로 거의 사격형에 가까운 것으로, 4면을 쪼개어 면에 직각으로 측정한 길이가 면의 최소 변의 1.5배 이상인 석재는?(2020년 09월)
     1. 사고석
     2. 견치석
     3. 각석
     4. 판석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견치석은 특별히 다듬어진 석재로서, 앞면의 모양이 정사각형에 가깝고, 각뿔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길이는 앞면의 길이에 비해 1.5배 이상, 뒷면 너비는 앞면의 1/16 이상, 이맞춤(接端, 合端) 너비는 1/5 이상, 허리치기(胴落)의 평균깊이는 1/10 정도로 해야하며 1개의 무게는 보통 70∼100kg이다.
[해설작성자 : 하루하루]

43. 도폭선에서 심약(心藥)으로 사용되는 것은?(2017년 09월)
     1. 흑색화약
     2. 질화납
     3. 뇌홍
     4. 면화약

     정답 : []
     정답률 : 53%

44. 다음 중 컷백 아스팔트(Cut back Asphal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비교적 연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적당한 휘발성 용제를 가하여 점도를 저하시켜 유동성을 좋게 한 것
     2. 아스팔트를 고온 가루로 만든 다음 에멀션화제를 사용하여 물에 분산시켜 만든 것
     3. 고체상태의 아스팔트를 인화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적당한 유동성을 갖도록 녹인 것
     4. 액체 상태의 아스팔트에 모래를 섞은 것

     정답 : []
     정답률 : 42%

45. 다음 중 시멘트의 성질과 이를 위한 시험의 연결이 바른 것은?(2008년 09월)
     1. 응결시간 - 비카트(Vicat)침에 의한 시험
     2. 비중 - 블레인(Blaine)공기 투과장치에 의한 시험
     3. 안정도 - 길모어(Gillmore)침에 의한 시험
     4. 분말도 -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시험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블레인공기 투과장치: 분말도
길모어침: 응결시간
오토클레이브: 시멘트 안정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블론(blown) 아스팔트와 스트레이트(stratight) 아스팔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블론 아스팔트보다 연화점이 낮다.
     2.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블론 아스팔트보다 감온성이 적다.
     3. 블론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유동성이 적다.
     4. 블론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방수성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연화점이 낮아서 온도에 대한 감온성이 크다
[해설작성자 : 아동확대범]

47. 아래 시험 결과에서 굵은 골재의 마모감량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56%
     2. 47%
     3. 35%
     4. 32%

     정답 : []
     정답률 : 50%

48. 암석 전체의 체적에 대한 공극의 비율을 공극률(porosity)이라고 한다. 다음 암석 중 일반적으로 공극률이 가장 큰 것은?(2010년 05월)
     1. 화강암
     2. 사암
     3. 응회암
     4. 대리석

     정답 : []
     정답률 : 56%

49. 다음 중 골재의 조립률을 구하는데 사용되는 표준체의 크기가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40mm
     2. 10mm
     3. 1.5mm
     4. 0.3mm

     정답 : []
     정답률 : 69%

50.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실리카 퓸(silica fume)을 사용한 경우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2년 03월)
     1.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저항성, 수밀성이 향상된다.
     2. 알칼리 골재반응의 억제효과가 있다.
     3. 내화학약품성이 향상된다.
     4. 단위수량과 건조수축이 감소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51. 다음 토목섬유 중 폴리머를 판상으로 압축시키면서 격자 모양의 형태로 구멍을 내어 만든 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늘린 것으로 연약지반 처리 및 지반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것은?(2018년 03월)
     1.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2. 지오그리드(geogrids)
     3. 지오네트(geonets)
     4. 웨빙(webbings)

     정답 : []
     정답률 : 75%

52.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서 수공구조물공사의 호안용 모르터블럭의 압축강도시험은 현품으로 몇 매마다 실시 하는가?(2003년 03월)
     1. 2000매
     2. 3000매
     3. 4000매
     4. 5000매

     정답 : []
     정답률 : 22%

53. 특수시멘트 중 벨라이트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수화열이 적어 대규모의 댐이나 고층건물들과 같은 대형 구조물공사에 적합하다.
     2.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동일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단위수량 및 AE제 사용량의 증가가 필요하다.
     3. 장기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다.
     4. 고분말도형(고강도형)과 저분말도형(저발열형)으로 나누어 공업적으로 생산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유동성이 증대되어 단위수량 및 AE제 등의 흡착력이 줄어들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증가가 필요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아래는 잔골재의 입도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값은?(2021년 09월)

    

     1. ±0.1
     2. ±0.2
     3. ±0.3
     4. ±0.4

     정답 : []
     정답률 : 62%

55. 역청제의 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 안정도시험은 굵은골재 최대입경 얼마 이하의 가열 혼합물에 대하여 적용하는가?(2005년 03월)
     1. 10mm
     2. 15mm
     3. 20mm
     4. 25mm

     정답 : []
     정답률 : 32%

56. 아스팔트의 침입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온도 25℃로 일정한 조건에서 100g의 표준침이 3mm 관입했다면, 이 재료의 침입도는 얼마인가?(2007년 09월)
     1. 3
     2. 6
     3. 30
     4. 60

     정답 : []
     정답률 : 73%

57.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흑색화약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5년 03월)
     1. 황(S), 목탄(C), 초석(KNO3)의 미분말을 혼합한 것이다.
     2. 색은 흑회식이며, 밀도는 1.5~1.8g/cm3정도이다.
     3. 충격 또는 가열(260~280℃정도)에 의해 폭발한다.
     4. 폭발력이 강하여 위험하고 수중에서도 폭발시킬수 있어 수중폭파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수중폭파에 적합한 것은 다이너마이트.
[해설작성자 : 록구]

58. 콘크리트용 골재의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알칼리골재 반응은 반응성 있는 골재에 의해 콘크리트에 이상팽창을 일으켜 거북등 모양의 균열을 일으키는 것이다.
     2. 콘크리트의 팽창량에 미치는 영향은 시멘트 중의 Na2O량과 K2O량의 비 및 반응성 골재의 특성에 의해 달라진다.
     3. 알칼리골재 반응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플라이애시시멘트를 사용하여 억제할 수 있다.
     4. 알칼리골재 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시멘트에 포함되어 있는 총 알칼리량을 높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알칼리 골재반응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멘트 중의 알칼리량을 0.6%이하로 줄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원트에가자]

59. 토목공사의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서 노체의 현장밀도 시험은 층다짐시 2차선기준으로 층별 몇m 마다 시행 하는가?(2004년 09월)
     1. 350m
     2. 450m
     3. 550m
     4. 650m

     정답 : []
     정답률 : 30%

60.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부순 굵은골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부순 굵은골재는 모가 나 있기 때문에 실적률이 적다.
     2. 동일한 물-시멘트비인 경우 강자갈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압축강도가 10% 정도 낮아진다.
     3. 콘크리트에 사용될 떄 작업성이 떨어진다.
     4. 동일 슬럼프를 얻기 위한 단위수량은 입도가 좋은 강자갈보다 6~8%정도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동일한 물-시멘트비인 경우 강자갈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의 부착이 좋기 때문에 부순 굵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압축강도가 크다.
[해설작성자 : 잠자는 푸우]

61. 그림과 같은 정수 중에 있는 포화토의 A-A'면에서의 유효응력은?(2004년 03월)

    

     1. 12.2t/m2
     2. 16.0t/m2
     3. 1.22t/m2
     4. 1.60t/m2

     정답 : []
     정답률 : 59%

62. 체적이 V=5.83cm3인 점토를 건조에서 건조시킨 결과 무게는 WS=11.26g이었다. 이 점토의 비중이 GS=2.67이라고 하면 이 점토의 수축한계값은 약 얼마인가?(2013년 03월)
     1. 28%
     2. 24%
     3. 14%
     4. 8%

     정답 : []
     정답률 : 37%

63. 흐트러진 흙은 자연상태의 흙에 비해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투수성이 크다.
     2. 전단강도가 낮다.
     3. 밀도가 낮다.
     4. 압축성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36%

64. 말뚝의 부주면마찰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부주면마찰력이 작용하면 지지력이 증가한다.
     2. 연약지반에 말뚝을 박은 후 그 위헤 성토를 한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3. 연약한 점토에 있어서는 상대변위의 속도가 느릴수록 부주면마찰력은 크다.
     4. 부주면마찰력은 말뚝 주변 침하량이 말뚝의 침하량보다 클 때 아래로 끌어내리는 마찰력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부주면마찰력이 작용하면 지지력 감소
2. 연약지반에 말뚝을 박은 후 그 위에 성토를 한 경우 발생
3. 연약한 지반에서 주로 발생
[해설작성자 : rangrang]

65. 다음 그림과 같은 Sampler에서 면적비는 얼마인가?(2008년 03월)

    

     1. 5.97%
     2. 14.62%
     3. 5.80%
     4. 14.80%

     정답 : []
     정답률 : 53%

66. 점성토에 대한 압밀배수 삼축압축시험 결과를 p - q diagram에 그린 결과, kf - line의 경사각 α는 20°이고 절편 m은 3.4㎏/㎝2이었다. 이 점성토의 내부마찰각(ø) 및 점착력 (C)의 크기는?(2005년 03월)
     1. ø = 21.34°, C = 3.65㎏/㎝2
     2. ø = 23.54°, C = 3.71㎏/㎝2
     3. ø = 21.34°, C = 9.34㎏/㎝2
     4. ø = 23.54°, C = 8.58㎏/㎝2

     정답 : []
     정답률 : 5%

67. 다음 그림에서 분사현상에 대한 안전율을 구하면?(2010년 09월)

    

     1. 1.01
     2. 1.33
     3. 1.66
     4. 2.01

     정답 : []
     정답률 : 67%

68. 그림에서 안전율 3을 고려하는 경우, 수두차 h를 최소 얼마로 높일 때 모래시료에 분사현상이 발생하겠는가?(2009년 08월)

    

     1. 12.75cm
     2. 9.75cm
     3. 4.25cm
     4. 3.25cm

     정답 : []
     정답률 : 41%

69. 그림과 같은 20x30m 전면기초인 부분보상기초 (partially compensated foundation)의 지지력 파괴에 대한 안전율은?(2016년 03월)

    

     1. 3.0
     2. 2.5
     3. 2.0
     4. 1.5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에 15000 이 아니라 150000임
2022 한솔 건설재료시험기사4주완성 필독서 5-13p 61번
[해설작성자 : 뚀아]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15000 이 맞습니다. 시험지 사진 그대로 활용한 자료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저 사진은 t으로 표시되어있어서 15,000t이 맞고
한솔은 kn으로 표시되어있어서 150,000 이 맞습니다.
단위때문에 표시된 숫자가 다를뿐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기부리기]

70.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강도정수 결정에 적합한 삼축압축시험의 종류는?(2021년 03월)

    

     1. 비압밀 비배수시험(UU)
     2. 비압밀 배수시험(UD)
     3. 압밀 비배수시험(CU)
     4. 압밀 배수시험(CD)

     정답 : []
     정답률 : 66%

71. 도로지반의 평판재하실험에서 1.25mm 침하될 때 하중강도가 2.5kg/cm2일 때 지지력계수 K는?(2004년 03월)
     1. 2kg/cm3
     2. 20kg/cm3
     3. 1kg/cm3
     4. 10kg/cm3

     정답 : []
     정답률 : 65%

72. 어떤 모래층의 공극비(e)는 0.2, 비중(Gs)은 2.60이었다. 이 모래가 Quick - Sand - action이 일어나는 한계 동수경사(ic)는 다음 중 어느 값인가?(2005년 05월)
     1. 1.33
     2. 0.95
     3. 0.56
     4. 1.80

     정답 : []
     정답률 : 52%

73. 다음은 흙시료 채취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교란의 효과는 소성이 낮은 흙이 소성이 높은 흙보다 크다.
     2. 교란된 흙은 자연상태의 흙보다 압축강도가 작다.
     3. 교란된 흙은 자연상태의 흙보다 전단강도가 작다.
     4. 흙시료 채취 직후에 비교적 교란 되지않은 코어(core)는 부(負)의 과잉간극수압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38%

74. 100% 포화된 흐트러지지 않은 시료의 부피가 20.5cm3 이고 무게는 34.2g이었다. 이 시료를 오븐(Oven) 건조 시킨 후의 무게는 22.6g 이었다. 간극비는?(2019년 03월)
     1. 1.3
     2. 1.5
     3. 2.1
     4. 2.6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 물의 중량
     Ww=W-Ws=34.2-22.6=11.6
2) 물의 부피(1은 포화 상태이므로)
     VW=Ww/PW=11.6/1=11.6
3) 토립자의 부피
     Vs=V-Vw=20.5-11.6=8.9
4) 공극비
     e=Vw/Vs=11.6/8.9=1.3
[해설작성자 : isio1]

75. 수직방향의 투수계수가 4.51×10-8m/sec이고, 수평방향의 투수계수가 1.6×10-8m/sec 인 균질하고 비등방(非等方)인 흙댐의 유선망을 그린 결과 유로(流路)수가 4개이고 등수두선의 간격수가 18개 이었다. 단위길이(m)당 침투수량은? (단, 댐의 상하류의 수면의 차는 18m이다.)(2017년 09월)
     1. 1.1×10-7m3/sec
     2. 2.3×10-7m3/sec
     3. 2.3×10-8m3/sec
     4. 1.5×10-8m3/sec

     정답 : []
     정답률 : 44%

76.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 지반에서 표준관입시험을 한 결과 N치는 10이었다. 이 모래의 내부 마찰각을 Dunham의 공식으로 구하면?(2014년 05월)
     1. 21°
     2. 26°
     3. 31°
     4. 36°

     정답 : []
     정답률 : 68%

77. 사면파괴가 일어날 수 있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흙 중의 수분의 증가
     2. 과잉간극수압의 감소
     3. 굴착에 따른 구속력의 감소
     4. 지진에 의한 수평방향력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과잉간극수압은 연약지반의 압밀시 발생하는 현상임.
[해설작성자 : 몰라.]

78. 두께 2㎝의 점토시료에 대한 압밀시험에서 전압밀에 소요되는 시간이 2시간이었다. 같은 시료조건에서 5m 두께의 지층이 전압밀에 소요되는 기간은 약 몇 년인가? (단, 기간은 소수 2자리에서 반올림함.)(2003년 05월)
     1. 9.3년
     2. 14.3년
     3. 12.3년
     4. 16.3년

     정답 : []
     정답률 : 17%

79. 최대주응력이 10t/m2, 최소주응력이 4t/m2일 때 최소주응력 면과 45˚를 이루는 평면에 일어나는 수직응력은?(2016년 05월)
     1. 7t/m2
     2. 3t/m2
     3. 6t/m2
     4. 4√2t/m2

     정답 : []
     정답률 : 35%

80. sand drain 공법에서 sand pile을 정삼각형으로 배치할 때 모래기둥의 간격은?(단, pile의 유효지름은 40cm이다.)(2015년 03월)
     1. 35cm
     2. 38cm
     3. 42cm
     4. 45cm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정삼각형이면 1.05d
[해설작성자 : 백백백]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39584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395843)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94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779105)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393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92 스포츠경영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91 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90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89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88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8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역사회간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86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85 9급 국가직 공무원 노동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8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8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82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81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80 9급 지방직 공무원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2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79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78 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77 수능(화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1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76 침투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79 Next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