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87225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자기학


1. 유전율이 각각 ℇ1, ℇ2인 두 유전체가 접해 있다. 각 유전체중의 전계 및 전속밀도가 각각 E1, D1 및 E2, D2 이고, 경계면에 대한 입사각 및 굴절각이 θ1, θ2일 때 경계조건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88%

2. 권수가 200회이고, 자기인덕턴스가 20mH인 코일에 2A의 전류를 흘리면 쇄교 자속은 몇 WbT 인가?(2006년 08월)
     가. 2×10-2
     나. 4×10-2
     다. 2×10-4
     라. 4×10-4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LI=N파이
파이=LI/N 을 계산하면 20×10^-3/200 답은 2×10^-4
3번
[해설작성자 : ㅎㄱㅇㅎㄱㅎㅈ]

[추가 오류 신고]
위에 분 해설대로 답은 3번인데 오류인것같네요
[해설작성자 : 한전 산기준비중]

[추가 오류 신고]
위에 분 해설대로 답은 3번인데 오류인것같네요
[해설작성자 : ㅇㅅㅇ]

[오류신고 반론]
정답은 틀리지 않았습니다. 쇄교자속을 묻는 것은 'N파이'를 묻는 것으로서 LI만 곱하는게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멋쟁이꿈나무]

[오류신고 반론]
쇄교자속 ℓ=LI
20×10^-3×2 = 0.04    
[해설작성자 : 찐호]

3. 그림과 같은 정전용량이 C0[F]되는 평행판 공기콘덴서의 판면적의 2/3 되는 공간에 비유전율 εs인 유전체를 채우면 공기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몇 F 인가??(2007년 03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81%

4. 진공 중에 미소 선전류 I ㆍ dl[A/m]에 기인된 r[m]떨어진 점 P에 생기는 자계 dH[A/m]를 나타내는 식은?(2010년 03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0%

5. 한변의 길이가 l[m]되는 정사각형 도체 회로에 전류 I[A]를 흘릴 때, 회로의 중심점의 자계의 세기는 몇 [AT/m] 인가?(2005년 03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1%

6. 10-5Wb와 1.2×10-5Wb의 점자극을 공기중에서 2cm 거리에 놓았을 때 극간에 작용하는 힘은 약 몇 N인가?(2016년 05월)
     가. 1.9×10-2
     나. 1.9×10-3
     다. 3.8×10-2
     라. 3.8×10-3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자계에서의 쿨롱의 힘 F = 6.33 * 10^4 * (m1*m2/r^2)
위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하면 F = 0.019[N] = 1.9*10^-2[N]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ㅎㄱ]

자계에서의 쿨롱의 힘 F = 6.33 * 10^4 * (m1*m2/r^2)
= 6.33 * 10^4 * (10^-5*1.2*10^-5 / 0.02^2)
= 1.9*10^-2
[해설작성자 : 성중]

7. 유전률 ε[F/m], 고유저항 ρ[Ωㆍm]의 유전체로 채운 정전용량 C[F]의 콘덴서에 전압 V[V]를 가할 때 유전체 중에 발생하는 열량은 시간 t 초간에 몇 cal 가 되겠는가?(2005년 08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유전체    RC=e*입실론
C=e*입실론/R
열량 0.24V제곱t/R
저기에 C를 대입하면 1번
[해설작성자 : 엔네네눼]

8. 자성체의 스핀(Spin)배열상태를 표시한 것중 상자성체의 스핀의 배열상태를 표시한 것은?(단, 표시는 스핀 자기(磁氣)모멘트의 크기와 방향을 표시한 것임)(2008년 05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② -> 반자성체
③ -> 반강자성체
④ -> 강자성체
[해설작성자 : ㅎㄱ]

9. 극판의 면적 S=10cm2, 간격 d=1mm의 평행판 콘덴서에 비유전율 εs=3인 유전체를 채웠을 때 전압 100V를 인가하면 축적되는 에너지는 약 몇 J 인가?(2019년 03월)
     가. 0.3×10-7
     나. 0.6×10-7
     다. 1.3×10-7
     라. 2.1×10-7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축적되는 에너지)W[J] = 1/2    * C * V ▶ 1/2 * ( εs * ε0 * S / d ) * V^2 ▶
1/2 * ( 8.855 * 10^-12 * 3 * 10 * 10^-4 / 1 * 10^-3 ) * 100^2 = 1.32825 * 10^-7[J]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10. 자기 인덕턴스 0.05H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매초 500A의 비율로 증가할 때 자기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몇 V 인가?(2019년 04월)
     가. 2.5
     나. 25
     다. 100
     라. 1000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v=L*di/dt=0.05*500/1=25

[추가 해설]
인덕턴스 1H = 1A의 전류에 대한 자속이 1 WB인 경우
문제에서 0.05H 임. 1A의 전류에 대한 자속이 0.05WB 이라는 뜻.
여기서 전류가 매초 500A씩 증가하므로
자기유도기전력 = 전류초당 증가율 × 인덕턴스를 하면됨
0.05 × (500/1) = 25
[해설작성자 : 크림슈]

자유력 = 전초증(500/1) X 인덕턴스(0.05) = 25
[해설작성자 : 성중]

유도 기전력 e
= -L.(di/dt)
= -o,05*(500/1)
= 25
[해설작성자 : 성중]

11. 표면 전하밀도 ± σ[C/m2]으로 대전된 도체 내부의 전속밀도는 몇 [C/m2]인가?(2005년 03월)
     가. σ
     나. ε0E
     다.
     라. 0

     정답 : []
     정답률 : 45%

12. 정현파 자속으로하여 기전력이 유기될 때 자속의 주파수가 3배로 증가하면 유기 기전력은 어떻게 되는가?(2015년 03월)
     가. 3배 증가
     나. 3배 감소
     다. 9배 증가
     라. 9배 감소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E=wnSB , w(오메가) = 2*PI*f이므로 유기 기전력은 주파수에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공부중]

E = 4.44fNΦ
[해설작성자 : 200613 산기화이팅]

13. 역자성체 내에서 비투자율 μs는?(2011년 06월)
     가. μs ⨠ 1
     나. μs > 1
     다. μs < 1
     라. μs = 1

     정답 : []
     정답률 : 77%

14. 권선수가 400회, 면적이 9π cm2인 장방형 코일에 1A의 직류가 흐르고 있다. 코일의 장방형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속밀도가 0.8 Wb/m2 인 균일한 자계가 가해져 있다. 코일의 평행한 두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축으로 할 때 이 코일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약 몇 N·m 인가?(2019년 04월)
     가. 0.3
     나. 0.5
     다. 0.7
     라. 0.9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자계 안에서 코일이 받는 힘!

T = ΦNIcosθ
    = BSNIcosθ
    = 자속밀도 × 면적 × 권수 × 전류 × cosθ
    = 0.8 × 9π × 400 × 1 × cos 0 (면과 평행함 = 0)
    = 0.9
[해설작성자 : 19년 3회차 22일남은 수험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9파이 cm^2 이므로 9파이 x 10^-4    입니다.
[해설작성자 : 대학생]

고로 9파이 다음 10-4승이 붙어야됨 0.9047정도나옴
[해설작성자 : 아재]

T = nBILsin@
     = 400*0.8*1*9ㅠ*10^-4*sin90
     = 0.9
[해설작성자 : 성중]

15. 벡터 A=i+4j+3k와 벡터 B=4i+2j-4k는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2005년 08월)
     가. 평행
     나. 면적
     다. 접근
     라. 수직

     정답 : []
     정답률 : 71%

16. v[m/s]의 속도로 전자가 B[Wb/m2]의 평등 자계에 직각으로 들어가면 원운동을 한다. 이때의 각속도 w[rad/s]와 주기 T[sec]에 해당되는 것은? (단, 전자의 질량은 m, 전자의 전하량은 e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0년 03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T=2π/ω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로렌츠의 힘 문제입니다. (전하가 평등 자장에 수직 입사하여 원 운동할 때의 힘. )
구심력 F=q(v x B), 원심력 F=mv^2/r    -> 이 두 힘은 원운동이기에 같기 때문에 구심력=원심력으로 두고 원운동반경 r을 구하세요.

그 후 각속도w= v/r로 계산하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17. 다음의 멕스웰 방정식 중 틀린 것은?(2014년 05월)
     가.
     나.
     다. divB=0
     라. divD=p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rotH = i+dD/dt    (암페어의 주회적분 법칙)
2. rotE = -dH/dt     (페러데이 법칙은 rot E = -dB/dt)
3. div B =0    (고립전하는 없다)
4. div D = p (가우스 법칙)

18. 진공 중에서 어떤 대전체의 전속이 Q 이었다. 이 대전체를 비유전율 2.2 인 유전체 속에 넣었을 경우의 전속은?(2013년 06월)
     가. Q
     나. ℇQ
     다. 2.2Q
     라. 0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속은 전하량에 영향을 받습니다.
[해설작성자 : 댜니]

19. 진공 중에 같은 전기량 +1C의 대전체 두 개가 약 몇 m 떨어져 있을 때 각 대전체에 작용하는 반발력이 1N인가?(2015년 03월)
     가. 3.2×10-3
     나. 3.2×103
     다. 9.5×10-4
     라. 9.5×104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F=1/4πε*Q1Q2/r2
여기서 진공중 1/4πε = 9*10의9승 이므로
루트를 씌어주면 약 9.5*104이 나옵니다
9*10의9승*(1*1/(9.5*104)2)=1
[해설작성자 : 자격증 준비중]

F[N] = 9 * 10^9 * Q / r^2 ▶ r[m] = √( 9 * 10^9 * Q / F ) ▶ √( 9 * 10^9 * 1 / 1 ) * 10^-4 = 9.486832 * 10^4[N]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0. 정전계 내에 도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가. 도체 표면은 등전위면이다.
     나. 도체 내부에는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 도체 내부의 유도전계는 외부전계와 크기는 같다.
     라. 도체에 전하를 대전시킬 수 없어 전하는 모두 도체 표면에만 존재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전계 내에 도체가 놓이면 도체 내부에는 전기력선이나 전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계의 세기는 0이 된다.
[해설작성자 : 김지호]

2과목 : 전력공학


21. 어떤 콘덴서 3개를 선간전압 3300[V],주파수 60[Hz]의 선로에 △로 접속하여 60[kVA]가 되도록 하려면 콘덴서 1개의 정전 용량은 약 몇 [μF]로 하여야 하는가?(2005년 08월)
     가. 4.87
     나. 9.74
     다. 14.61
     라. 19.48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C=60*10^3/3*377*3300^2 해주시면 4.87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무야호]

Q[kVA] = 3 * 2π * f * C * V^2 ▶ C[μF] = Q / 3 * 2π * f * V^2 ▶ 60 * 10^3 / 3 * 2π * 60 * 3300^2 = 4.871592[μF]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2. 정삼각형 배치의 선간거리가 5m이고, 전선의 지름이 1cm인 3상 가공 송전선의 1선의 정전용량은 약 몇 μF/km 인가?(2018년 08월)
     가. 0.008
     나. 0.016
     다. 0.024
     라. 0.03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선로 정전용량 C는

     0.02413                                    반지름r과 선간거리D는 모두 m 기준이고 문제에선
ㅡㅡㅡㅡㅡㅡㅡ 입니다.            반지름을 cm로 줬으니 10^ -2승을 해줘야 합니다.
log10 * D/r                                

log10 * 5/0.5 * 10^ -2 를 하면 3이 나오게 되고

0.02413 / 3 = 약 0.008 입니다.

반지름으로 계산하기가 불편 하시면 2D/지름 으로 계산해주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23. 배전선로의 전기방식 중 전선의 중량(전선비용)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전기방식은? (단, 배전전압, 거리, 전력 및 선로손실 등은 같다고 한다.)(2011년 03월)
     가. 단상 2선식
     나. 단상 3선식
     다. 3상 3선식
     라. 3상 4선식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전선의 중량(전선비용)이 가장 적게 소요=3상4선식
[해설작성자 : 내일 합격할거야]

24. 저압 뱅킹(Banking)배전방식이 적당한 곳은?(2005년 05월)
     가. 농촌
     나. 어촌
     다. 부하 밀집지역
     라. 화학공장

     정답 : []
     정답률 : 75%

25. 수전용 변전설비의 1차측에 설치하는 차단기의 용량은 어느 것에 의하여 정하는가?(2011년 08월)
     가. 수전전력과 부하율
     나. 수전계약 용량
     다. 공급측 전원의 단락용량
     라. 부하설비 용량

     정답 : []
     정답률 : 79%

26. 공통 중성선 다중접지방식인 22.9[kV]계통에 있어서 사고가 생기면 정전이 되지 않도록 선로 도중이나 분기선에 보호 장치를 설치하여 상호 보호 협조로 사고 구간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각 종 개폐기의 설치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2008년 03월)
     가. 변전소 차단기 → 섹셔너라이저 → 리클로저 → 라인퓨즈
     나. 변전소 차단기 → 리클로저 → 라인퓨즈 → 섹셔너라이저
     다. 변전소 차단기 → 섹서너라이저 → 라인퓨즈 → 리클로저
     라. 변전소 차단기 → 리클로저 → 섹셔너라이저 → 라인퓨즈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리클로저는 변전소쪽에, 섹셔너라이저는 부하쪽에 설치
[해설작성자 : Jacky]

27. 송전선로의 후비 보호 계전 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가. 주 보호 계전기가 그 어떤 이유로 정지해 있는 구간의 사고를 보호한다.
     나. 주 보호 계전기에 결함이 있어 정상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구간 사고를 보호한다.
     다. 차단기 사고 등 주 보호 계전기로 보호할 수 없는 장소의 사고를 보호한다.
     라. 후비 보호 계전기의 정정값은 주 보호 계전기와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후비 보호 계전 방식은 주 보호 계전기로 보호할 수 없을 경우 백업하는 역할입니다.
예를 들어 100A의 과전류가 흘렀을 때 주 부호 계전기의 차단 시작 값이 110A 이면 주 보호 계전기가 차단을 하지 못합니다.
이를 대비해 차단 시작 값이 90A인 후비 보호 계전기를 설치하여 주 부호 계전기가 차단하지 못한 사고를 백업해줍니다.
이 때문에 두 계전기의 정정값은 서로 다르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28. 원자로 내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외부로 끄집어내기 위한 열매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08년 03월)
     가. 반사체
     나. 감속재
     다. 냉각재
     라. 제어봉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열에너지를 외부로 끄집어내기 = 열의 흡수
그러므로 답은 냉각제
[해설작성자 : 채유링]

29. 지중 케이블에서 고장점을 찾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가. 머리 루프(Murray loop)시험기에 의한 방법
     나. 메거(Megger)에 의한 측정 방법
     다. 수색 코일(Search coil)에 의한 방법
     라. 펄스에 의한 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71%

30.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2012년 03월)
     가. 전자 유도 장해가 경감된다.
     나. 지락 중에도 계속 송전이 가능하다.
     다. 지락 전류가 적다.
     라. 선택 지락 계전기의 동작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소호코일은 페테르젠 코일이라고도 하며, 대지 정전용량과 공진시켜 접지하므로, 접지사고시 소호가 신속하고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애가 적지만 시설비가 비싸다. 또한 지락사고는 무효분만 존재하므로 선택지락 계전기 동작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하윙]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은 직접접지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호리액터 - 지락전류 작음=>선택지락계전기 동작 안좋음, 대신 전자유도 장해경감
직접접지 - 지략전류 큼 => 선택지락계전기 동작 좋음, 대신 전자유도 장해증가
[해설작성자 : 하나]

31. 3상 3선식에서 전선의 선간거리가 각각 1m, 2m, 4m로 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등가선간거리는 몇 m인가?(2014년 05월)
     가. 1
     나. 2
     다. 3
     라.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도체 등가선간거리 D = 3√(D1* D2* D3) = 2 [m]
[해설작성자 : aaaff]

= 3^루트(1*2*4)
= 2
[해설작성자 : 성중]

등가선간거리)D[m] = 3√( D1 * D2 * D3 ) ▶ 3√( 1 * 2 * 3 ) = 2 [m]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2. 설비용량 600kW, 부등률 1.2, 수용률 60%일 때의 합성 최대전력을 몇 kW 인가?(2019년 03월)
     가. 240
     나. 300
     다. 432
     라. 833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설비용량x수용률)/부등률
[해설작성자 : 기원]

600X0.6 / 1.2 = 3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240mm2, 강심알루미늄연선의 20℃에서 1km당 저항은 0.120Ω이다. 이 전선의 50℃에서의 저항은 몇 Ω 인가? (단, 30℃에서의 저항온도계수는 0.00385이다.)(2002년 03월)
     가. 0.124
     나. 0.134
     다. 0.152
     라. 0.212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R2=R1[1+α(T2−T1)]
R2= 0.120[1+0.00385×(50−20)]=0.120[1+0.00385×30]=0.120[1+0.1155]=0.120×1.1155
    ≈0.13386Ω/km
[해설작성자 : 신죠오 사사게요] <-- [관리자 입니다. 심장은 소중하게 간직하세요.]

34. 중성점 접지방식 중 비접지 방식을 직접접지 방식과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가. 지락 전류가 적다.
     나. 보호계전기 동작이 확실하다.
     다. 1선 지락시 통신선 유도장해가 적다.
     라. 과도안정도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49%

35. 가공 선로에서 이도를 D[m]라 하면 전선의 실제 길이는 경간 SS[m]보다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2017년 03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L = S+(8D^2/3S)
L = 전선의 실제길이
S = 경간의 길이
D = 이도
즉, 전선의 실제길이는 S 와 (8D^2/3S) 차이가 나게된다.
[해설작성자 : 구전공 ㅃㅇㅃ]

36. 피뢰기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가. 충격방전 개시 전압이 낮을 것
     나. 상용 주파 방전 개시 전압이 높을 것
     다. 방전 내량이 작으면서 제한 전압이 높을 것
     라. 속류 차단 능력이 충분할 것

     정답 : []
     정답률 : 54%

37. 설비 A가 150kW, 수용률 0.5, 설비 B가 250kW, 수용률 0.8일 때, 합성 최대전력이 235kW이면 부등률은 약 얼마인가?(2014년 08월)
     가. 1.10
     나. 1.13
     다. 1.17
     라. 1.22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부등률 = (수용가A최대전력 + 수용가B최대전력) / 합성최대전력
수용가A최대전력 = 150 * 0.5 = 75kW
수용가B최대전력 = 250 * 0.8 = 200kW
부등률 = (75+200) / 235 = 1.17
[해설작성자 : 준비중]

38. 3상 1회선 전선로에서 대지정전용량을 Cs[F/m], 선간 정전용량을 Cm[F/m]이라 할 때, 작용정전용량 Cn[F/m]은?(2011년 06월)
     가. Cs + Cm
     나. Cs + 2Cm
     다. Cs + 3Cm
     라. 2Cm + Cm

     정답 : []
     정답률 : 80%

39. 연간 전력량 E[kWh], 연간 최대전력 W[kW]인 경우의 연부하율은?(2003년 08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39%

40. 중성점 고저항접지방식의 평행 2회선 송전선로의 지락 사고의 차단에 사용되는 계전기는?(2002년 03월)
     가. 선택접지계전기
     나. 역상계전기
     다. 거리계전기
     라. 과부하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59%

3과목 : 전기기기


41. 동기 발전기에 앞선 전류가 흐를 때 옳은 것은?(2007년 08월)
     가. 감자 작용을 받는다.
     나. 증자 작용을 받는다.
     다. 속도가 상승한다.
     라. 효율이 좋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6%

42. 부하 전류가 50[A] 일 때, 단자 전압이 100[V]인 직류 직권 발전기의 부하 전류가 70[A] 로 되면 단자 전압은 몇[V]가 되겠는가? (단, 전기자 저항 및 직권계자 권선의 저항은 각각 0.1[Ω]이고, 전기자 반작용과 브러시의 접촉 저항 및 자기 포화는 모두 무시한다.)(2009년 03월)
     가. 110
     나. 114
     다. 140
     라. 154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부하 전류가 50[A] 일 때 유기기전력 E = V+Ia(Ra+Rf) = 110[V]
부하 전류가 70[A] 일 때 유기기전력 E70/E50 = 70/50 = 1.4, ∴ E = 1.4*110 = 154[V]

부하 전류가 70[A] 일 때 단자전압 V = E70-Ia(Ra+Rf) = 154-70*0.2 = 140[V]
[해설작성자 : Jacky]

부하 전류가 50[A] 유기기전력)E[V] = V + Ia( Ra + Rf ) ▶ 100 + 50( 0.1 + 0.1 ) = 110[V]
I : I' = E : E' ▶ E'[V] = ( I' / I ) * E ▶ ( 70 / 50 ) * 110 = 154[V]
부하 전류가 70[A] 유기기전력)E[V] = V + Ia( Ra + Rf ) ▶ V[V] = E - Ia( Ra + Rf ) ▶ 154 - 70( 0.1 + 0.1 ) = 140[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3. 임피던스 강하가 5%인 변압기가 운전중 단락되었을 때 그 단락 전류는 정격전류의 몇 배인가?(2007년 05월)
     가. 20
     나. 125
     다. 30
     라. 35

     정답 : []
     정답률 : 71%

44. 직류기에서 전기자 반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보상권선의 전류방향은?(2013년 08월)
     가. 전기자 전류의 방향과 같다.
     나. 전기자 전류의 방향과 반대이다.
     다. 계자 전류의 방향과 같다.
     라. 계자 전류의 방향과 반대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보상권선 주자극편의 전기자에 상대하는 면에 있는 슬롯 안에 설치한 권선으로 상대하는 전기자 권선의 전류와
반대방향으로 전류를 통해서 거기에 따라 자극편 아래 부분의 전기자 반작용을 상쇄하는 작용을 한다
[해설작성자 : 강원근병장]

45. 전압이나 전류의 제어가 불가능한 소자는?(2018년 03월)
     가. SCR
     나. GTO
     다. IGBT
     라. Diode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SCR은 전압 조정하여 제어 가능
2. GTO는 전류를 조정하여 제어 가능
3. IGBT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BJT와 mosfet의 장점을 결합한 것임. 따라서 전압 제어 가능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

46. 비례 추이가 되지 않는 것은?(2003년 08월)
     가. 토크
     나. 전류
     다. 저항
     라. 역률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비례 추이가 가능한 특성 :    1차전류 , 2차 전류 , 역률 , 동기와트
비례추이가 불가능한 특성 : 출력, 2차 동손(저항) , 효율
[해설작성자 : 문답가자 전산기 ㄱㄱ ]

47. 일반적으로 전철이나 화학용과 같이 비교적 용량이 큰 수은 정류기용 변압기의 2차측 결선방식으로 쓰이는 것은?(2018년 08월)
     가. 3상 반파
     나. 3상 전파
     다. 3상 크로즈파
     라. 6상 2중 성형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6상2중성형=Y-Y결선
[해설작성자 : 화이팅!]

48. 직류 분권 발전기가 있다. 극당 자속 0.01[Wb], 도체수 400, 회전수 600[rpm]인 6극 직류기의 유기기전력은 몇 [V]인가? (단, 병렬 회로수는 2이다.)(2008년 07월)
     가. 100
     나. 120
     다. 140
     라. 16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직류기의 유기기전력 P = PZøN/60a = 6*400*0.01*600/60*2 = 120[V]
[해설작성자 : Jacky]

49. 3상 동기 발전기에서 그림과 같이 1상의 권선을 서로 똑같은 2조로 나누어서 그 1조의 권선 전압을 E[V], 각 권선의 전류를 I[A]라 하고 2중 Y형(double star)으로 결선한 경우 선간전압[V], 선전류[A], 피상전력[W]은?(2010년 07월)

    

     가. 3E, I, 5.19EI
     나. √3E, 2I, 6EI
     다. E, 2√3I, 6EI
     라. √3E, √3I, 5.19EI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병렬이여서 2I다 라고 외우면 편함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지그재그형 회로면 무조건 5.19EI
일반적인 회로면 6EI
Y형이면 전압을 루트 3배
델타형이면 전류를 루트 3배 해주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50. 3상 유도전동기의 원선도를 작성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가. 구속 시험
     나. 무부하 시험
     다. 슬립 측정
     라. 저항 측정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원선도 작성하면 무구저를 기억해주세요
무부하 시험
구속 시험
저항 시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220V, 50kW인 직류 직권전동기를 운전하는데 전기자 저항(브러시의 접촉저항 포함)이 0.05Ω이고 기계적 손실이 1.7kW, 표유손이 출력의 1%이다. 부하전류가 100A 일 때의 출력은 약 몇 kW인가?(2018년 03월)
     가. 14.5
     나. 16.7
     다. 18.2
     라. 19.6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50kw×100/227.2-0.5kw-1.7kw)×0.99=19.60kw
[해설작성자 : お口に]

Ec=V-RaI=220-0.05*100=215
P=EcI=215*100=21.5Kw
P’=P-기계적손실-(P*출력)=21.5-1.7-(21.5*0.01)=19.585
[해설작성자 : Jacky]

P=E.Ia (220-100*0.05)*100*10-3승=21.5Kw
출력*표유손출력=50*0.01=0.5Kw
21.5-1.7-0.5=19.3Kw
[해설작성자 : 초급전기]

52. 전기자 저항이 0.4[Ω]이며, 단자 전압이 200[V], 부하 전류가 46[A], 계자 전류가 4[A]인 직류 분권 발전기의 유기 기전력은 몇[V]인가?(2009년 03월)
     가. 180
     나. 220
     다. 225
     라. 240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기기전력)E[V] = V + IaRa ▶ V + ( I + If )Ra ▶ 200 + ( 46 + 4 ) * 0.4 = 220[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3. 부하에 관계없이 변압기에 흐르는 전류로서 자속만을 만드는 것은?(2004년 05월)
     가. 1차전류
     나. 철손전류
     다. 여자전류
     라. 자화전류

     정답 : []
     정답률 : 58%

54. 직류 분권전동기 운전 중 계자 권선의 저항이 증가할 때 회전속도는?(2018년 08월)
     가. 일정하다.
     나. 감소한다.
     다. 증가한다.
     라. 관계없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직류기에서 주자속파이는 계자전류와 비례하고 파이는 회전속도와 반비례합니다.
계자저항이 증가하면 계자전류는 감소하고 주자속도 감소하게되죠 회전속도는 증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광안리 불주먹 석이]

55. 직류기의 전기자 권선 중 중권 권선에서 뒤피치가 앞피치보다 큰 경우를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05월)
     가. 진권
     나. 쇄권
     다. 여권
     라. 장절권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앞피치>뒤피치 : 여권
앞피치<뒤피치 : 진권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56. 어떤 직류 전동기의 유기전력이 200V, 매분 회전수가 1200rpm으로 토크 16.2kg∙m를 발생하고 있을 때의 전류는 약 몇 A 인가?(2007년 05월)
     가. 60
     나. 80
     다. 100
     라. 120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T = 0.975*(P/N) = 0.975*(EcI/N)[Kg∙m] 에서
I = NT/0.975*Ec = 1200*16.2/0.975*200 = 99.69[A] ≒ 100[A]
[해설작성자 : Jacky]

57. 변압기의 누설 리액턴스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2002년 05월)
     가. 철심의 단면적을 크게한다.
     나. 코일의 단면적을 크게한다.
     다. 권선을 동심 배치한다.
     라. 권선을 분할하여 조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58. 다음 유도 전동기 기동법 중 권선형 유도전동기에 가장 적합한 기동법은?(2011년 08월)
     가. Y-△ 기동법
     나. 기동 보상기법
     다. 전전압 기동법
     라. 2차 저항법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권선형 유도 전동기
1. 2차 저항 기동법
2. 게르게스법
[해설작성자 : 폴리텍 화이팅]

59. 변압기에서 1차 측의 여자 어드미턴스를 Y0라고 한다. 2차 측으로 환산한 여자 어드미턴스 Y0′을 옳게 표한한 식은? (단, 권수비를 a라고 한다.)(2020년 06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N1/N2=V1/V2=I2/I1=√(Z1/Z2)=√(Y2/Y1)
Y2/Y1=a2 ∴Y2=a2Y1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60. 다음은 무슨 회로인가?(2004년 08월)

    

     가. 배전압 정류 회로
     나. 다이오드 특성 측정 회로
     다. 전파 정류 회로
     라. 반파 정류 회로

     정답 : []
     정답률 : 28%

4과목 : 회로이론


61. 어떤 제어계의 임펄스 응답이 sin t 일 때에 이 계의 전달함수를 구하면?(2003년 05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6%

62. 전달함수 응답식 C(s)=G(s)=R(s)에서 입력함수를 단위 임펄스 δ(t)로 가할 때 계의 응답은?(2011년 08월)
     가. C(s) = G(s)δ(s)
     나. C(s) = G(s)/δ(s)
     다. C(s) = G(s)/s
     라. C(s) = G(s)

     정답 : []
     정답률 : 65%

63. 주기적인 구형파의 산호는 그 주파수 성분이 어떻게 되는가?(2003년 05월)
     가. 무수히 많은 주파수의 성분을 갖는다.
     나. 주파수 성분을 갖지 않는다.
     다. 직류분만으로 구성된다.
     라. 교류합성을 갖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6%

64. 비정현파 기전력 및 직류의 값이 , 이라면 전력[W]은?(2003년 05월)
     가. 763.2
     나. 776.4
     다. 785.8
     라. 795.6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P1[W] = V1 * I1 * cosθ ▶ ( 100 / √2 ) * ( 20 / √2 ) * cos30˚ = 866.0254[W]
P3[W] = V3 * I3 * cosθ ▶ -( 50 / √2 ) * ( 10 / √2 ) * cos60˚ = -125[W]
P5[W] = V5 * I5 * cosθ ▶ ( 20 / √2 ) * ( 5 / √2 ) * cos45˚ = 35.3553[W]
P0[W] = P1 + P3 + P5 ▶ 866.0254 + ( -125 ) + 35.3553 = 776.3807[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5. 전류 i = 30sinωt + 40sin(3ωt+45°)[A] 의 실효값은 몇 [A] 인가?(2008년 05월)
     가. 25
     나. 25√2
     다. 50
     라. 50√2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루트(30/루트2)제곱+(40/루트2)제곱=25루트2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66. 그림에서 a, b 단자에 200[V]를 가할때 저항 2[Ω]에 흐르는 전류 I1[A]는?(2004년 05월)

    

     가. 40
     나. 30
     다. 20
     라. 1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전체저항 = 2.8 + ( 2 * 3 / 2 + 3) = 4[Ω]
전체전류 = V / R ▶ 200 / 4 = 50[A]
I1에 흐르는 전류 = (3 / 2 + 3) * 50 = 30[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7. R = 15[Ω], XL= 12[Ω], XC = 30[Ω]이 병렬로 접속된 회로에 120[V]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면 전원에 흐르는 전류는 몇 [A] 인가?(2009년 07월)
     가. 5
     나. 7
     다. 10
     라. 22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저항에 흐르는 전류 Ir = V/R 120/15 = 8[A]
유도성 리액턴스에 흐르는 전류 Ix = V/jXL = 120/j12 = -j10[A]
용량성 리액턴스에 흐르는 전류 Ic = V/jXc = 120/-j30 = j4[A]
I = Ir+Ix+Ic = 8-j10+j4 = 8-j6 = 10∠-36.87[A]
[해설작성자 : Jacky]

저항에 흐르는 전류 Ir = V/R 120/15 = 8[A]
유도성 리액턴스에 흐르는 전류 Ix = V/jXL = 120/j12 = -j10[A]
용량성 리액턴스에 흐르는 전류 Ic = V/jXc = 120/-j30 = j4[A]
I = 루트(8^2+(-10+4)^2) = 10[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8. 다음과 같은 왜형파 교류전압, 전류의 전력은 몇 [W]인가?(2005년 08월)

    

     가. 750
     나. 1000
     다. 1299
     라. 1732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00/루트(2) * 20/루트(2) * cos60 + 50/루트(2) + 10/루트(2) = 750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9. 무손실 분포정수 선로에서 인덕턴스가 1[μH/m]이고, 정전 용량이 400[pF/m]일 때, 특성 임피던스는 몇[Ω]인가?(2009년 07월)

    

     가. 25
     나. 30
     다. 40
     라. 5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특성임피던스=루트 (1*10^-6)/(400*10^-12)=50 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 정태]

70. 다음이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7월)

    

     가. 노오튼의 정리
     나. 중첩의 원리
     다. 키리히호프의 법칙
     라. 테브난의 정리

     정답 : []
     정답률 : 60%

71. 인덕턴스가 각각 5H, 3H인 두 코일을 모두 dot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직렬로 연결하고 인덕턴스를 측정하였더니 15H이었다. 두 코일간의 상호 인덕턴스(H)는?(2019년 04월)
     가. 3.5
     나. 4.5
     다. 7
     라. 9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모두 dot 방향 = 가동접속
15 = L1 + L2 + 2M
2M = 7, M = 3.5
[해설작성자 : 200425산기]

바로 Dot convention (점 규약)을 통해
M의 부호를 결정할 수 있어요.
M을 상호인덕턴스
M = L- L1 -L2 / 2
     = 15-5-3 / 2
     = 3.5
[해설작성자 : 성중]

72. 대칭 좌표법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각상에 공통인 성분을 표시하는 것은?(2018년 08월)
     가. 영상분
     나. 정상분
     다. 역상분
     라. 공통분

     정답 : []
     정답률 : 70%

73. 그림과 같은 회로에 대한 서술에서 잘못된 것은?(2008년 07월)

    

     가. 이 회로의 시정수는 0.1초이다.
     나. 이 회로의 특성근은 -10이다.
     다. 이 회로의 특성근은 +15이다.
     라. 정상 전류값은 3.5[A]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시정수 r = L/R = 2/20 = 0.1초
특성근 -R/L =    -20/2 = -10
정상전류 I = E/R = 70/20 = 3.5[A]
[해설작성자 : Jacky]

74.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i1 = Im sin ω t일때, 개방된 2차 단자에 나타나는 유기기전력 e2 는 몇[V] 인가?(2004년 03월)

    

     가. ω MIm sin(ω t-90° )[V]
     나. ω MIm cos(ω t-90° )[V]
     다. -ω MIm cosω t [V]
     라. -ω MIm sinω t [V]

     정답 : []
     정답률 : 45%

75. 전달 함수의 성질 중 틀린 것은?(2008년 07월)
     가. 어떤 계의 전달 함수는 그 계에 대한 임펄스 응답의 라플라스 변환과 같다.
     나. 전달 함수 P(s)인 계의 입력이 임펄스 함수(δ함수)이고 모든 초기값이 0이면, 그 계의 출력 변환은 P(s)와 같다.
     다. 계의 전달 함수는 계의 미분 방정식을 라플라스 변환하고 초기값에 의하여 생긴 항을 무시하면 와 같이 얻어진다.
     라. 어떤 계의 전달 함수의 분모를 0으로 놓으면 이것이 곧 특성 방정식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76. 전달함수 을 갖는 요소가 있다. 이 요소에 w=2[rad/sec]인 정현파를 주었을 때 |G(jw)| 를 구하면?(2015년 05월)

    

     가. 8
     나. 6
     다. 4
     라. 2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G(jw) = I 20/(3+2jw) Iw=2 = I 20/√(3^2+4^2) l = 4
[해설작성자 : Jacky]

20/3+2=4
[해설작성자 : 초급전기]

S에 4넣고

3    4 루트 = 5         5분의 20    = 4
[해설작성자 : 야 전기]

77. 다음 회로에서 S를 닫은 후 t=2초 일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약 몇 [A]인가?(2010년 03월)

    

     가. 3.7
     나. 4.6
     다. 5.2
     라. 6.3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i(t)= E/R(1-e^(R/L)*t)에서 t가 2s이므로
10/1(1-e^(-1/2)*2= 10(1-e^-1)= 6.32A
[해설작성자 : 푸힝]

78. 각 상의 임피던스 Z=6+j8Ω인 평형 △ 부하에 선간전압이 220V인 대칭 3상 전압을 가할 때의 선전류[A] 및 전력[W]은?(2015년 08월)
     가. 17A, 5620W
     나. 25A, 6570W
     다. 57A, 7180W
     라. 38.1A, 8712W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선전류I= 루트3*(220/루트(6^2+8^2))*루트3=38.1
상전류I2=220/루트(6^2+8^2)=22
전력 W=3*I^2*R=3*22^2*6=8712
[해설작성자 : 작은 하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첫번째 틀렸어요
실수하신 거 같아요 재가 수정할게요
루트3     X    220/10    이에요
10 이 어떻게 나오냐면    루트(6^2+8^2)    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까리하네]

[오류신고 반론]
첫 번째분 해설이 맞습니다. P=3Ip^2R
루트3은 선간전압, 선간전류일 떄 그냥 3은 상전압, 상전류일 떄 사용해주는 겁니다. 그리고 [까리하네]님처럼 전압으로 하시려면
P=3*(V/Z)^2*R로하시면 나옵니다.
오류신고 시 정확한 근거로 신고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오류신고 반론]
※△결선 = Ip(상전류) = √3 * IL(선전류), Vp(상전압) = VL(선간전압)
선전류)I[A] = Vp / Z ▶ [ 220 / √( 6^2 + 8^2 ) ] * √3 = 38.105[A]
전력)P[W] = 3 * ( V^2 * R / R^2 + Z^2 ) ▶ 3 * ( 220^2 * 6 / 6^2 + 8^2 ) = 8712[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79.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4단자 정수는 어떻게 되는가?(2013년 08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ABCD| = | 1 Z1 0 1 | | 1 0 1/Z2 1 |하면 나옵니다.

80. 그림의 4단자 회로에서 단자 ab에서 본 구동점 임피던스 Z11[Ω]과 구동점 임피던스 Y11[s]는?(2002년 05월)

    

     가.
     나. 3 + j4, 0.211 + j0.037
     다.
     라. 2 + j4, 0.211 + j0.037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Z11= Z1+Z2 = 3+j4
Y11= (R2+R3)/R1R2+R2+R3+R3R1=(j4+2)/3*j4 + j4*2 + 2*3 =1/4.6+j0.8
[해설작성자 : 나니가스키]

81. 사용전압이 22.9[kV]인 가공 전선이 삭도와 제 1차 접근 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가공 전선과 삭도 또는 삭도용 지주 사이의 이격거리는 최소 몇[m]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전선으로는 특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한다고 한다.)(2010년 03월)
     가. 0.5
     나. 1
     다. 2
     라. 2.12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삭도와 제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제3종 특별고압 보안공사에 의한 것.
이 격 거 리
35,000V 이하인 것 : 2m (전선이 특별고압 절연전선인 경 우는 1m, 케이블인 경우는 50cm)

35,000V를 넘고 60,000V 이하의 것 :2m

60,000V를 넘는 것 : 2m에 사용 전압이 60,000V를 넘는 10,000V 또는 그 단수마다 12cm를 더한 값.
[해설작성자 : 777]

82. 특별고압 옥외 배전용 변압기를 시설하는 경우, 특별고압 측에는 일반적인 경우에 개폐기와 또한 어떤 것을 시설하여야 하는가?(2004년 08월)
     가. 과전류차단기
     나. 방전기
     다. 계기용변류기
     라. 계기용변압기

     정답 : []
     정답률 : 56%

83.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지 않아야 할 곳은?(2016년 03월)
     가. 수용가의 인입선 부분
     나. 고압 배전선로의 인출장소
     다. 직접 접지계통에 설치한 변압기의 접지선
     라. 역률조정용 고압 병렬콘덴서 뱅크의 분기선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설치안해도 되는 장소
시험용 변압기 , 접지선
[해설작성자 : 현민아시험잘봐라]

접지선, 중성선, 접지측 전선 시설 불가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84. 지중 전선로의 매설 방법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가. 관로식
     나. 인입식
     다. 암거식
     라. 직접 매설식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지중전선로 매설 방식 : 관로식,암거식,직매식(직접매설식)
관로식 - 깊이 1m이상
직매식 - 깊이 0.6m이상(하중이 있으면 1.2m)
[해설작성자 : 하나]

85.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현관등으로 백열 전등을 설치할 때에는 타임 스위치를 설치하여 몇 분 이내에 소등되는 것이어야 하는가?(2010년 05월)
     가. 1
     나. 2
     다. 3
     라. 5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현관등으로 백열 전등을 설치할 때에는 타임 스위치를 설치하여 3분이내에 소등되어야 한다.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 타임 스위치하면 3분으로 외우기)
[해설작성자 : 재훈]

주택/아파트 -> 3분
호텔/병원 -> 1분
[해설작성자 : 참두부]

86.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에 과부하 보호장치의 시설을 생략할 수 없는 경우는?(2014년 08월)
     가. 전동기가 단상의 것으로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5A 이하인 경우
     나. 전동기가 단상의 것으로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경우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20A 이하인 경우
     다. 전동기 운전 중 취급자가 상시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시설하는 경우
     라. 전동기의 정격 출력이 0.75kW인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정격 출력이 0.2kw 전동기
[해설작성자 : 참두부]

1번에 과전류 차단기는 16A이하인 경우 입니다
[해설작성자 : 귀엽게 봐주세용]

87.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에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는 최소 몇 [cm]이상으로 하면 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8년 07월)
     가. 30
     나. 60
     다. 80
     라. 10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 : 0.6[m],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 1.2[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 : 0.6[m],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 1.0[m]

개정후!!
[해설작성자 : msy0]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8. 고압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가공지선은 지름 몇 [mm] 이상의 나경동선을 사용하여야 하는가?(2012년 05월)
     가. 2.6
     나. 3.0
     다. 4.0
     라. 5.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고압 4 나경동선
특고압 5 나경동선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89.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 전선의 세기(인장하중)는 몇 % 이상 감소되지 않아야 하는가?(2018년 08월)
     가. 10
     나. 15
     다. 20
     라. 25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전선 인장하중 나오면
20%이상 감소X (80%이상 유지)
[해설작성자 : 중앙고 전기박사]

90.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 통신선의 높이는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상 몇 [m]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08년 03월)
     가. 3.5
     나. 4.5
     다. 5.5
     라. 6.5

     정답 : []
     정답률 : 66%

91. 154kV 가공전선을 사람이 쉽게 들어갈 수 없는 산지(山地)에 시설하는 경우 전선의 지표상 높이는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8년 08월)
     가. 5.0
     나. 5.5
     다. 6.0
     라. 6.5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사람의 출입이 어려운 곳 5m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특고 전선의 높이-
35kV 초과 ~ 160kV 미만 : 6m (산지일 경우 5m)
160kV 초과 : 6+0.12n(n은 단수)(산지일 경우 5+0.12n)
[해설작성자 : 중랑구 섹시가이]

92. 금속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금속덕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의 합계는 덕트 내부 단면적의 몇 [%]이하이어야 하는가?(2013년 03월)
     가. 20
     나. 30
     다. 40
     라. 5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금속 덕트에 넣는 전선의 단면적의 합계는 덕트 내부 단면적의 20% (전광 표시 장치, 출퇴근 표시등, 제어 회로 등의 배전선만을 넣는 경우는 50%) 이하 일것
[해설작성자 : 명지전문대 전기과 34대 학생회장]

93. 154kV 가공전선로를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사용전선의 단면적은 몇 mm2 이상의 경동연선 이어야 하는가?(2018년 08월)
     가. 35
     나. 50
     다. 95
     라. 15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00kv 미만= 55mm^2
100kv이상 300kv미만 = 150mm^2
300kv 이상 = 200mm^2
[해설작성자 : 원종사]

94. 케이블 트레이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가. 금속재의 것은 내식성 재료의 것이어야 한다.
     나. 케이블 트레이의 안전율은 1.25 이상이어야 한다.
     다. 비금속제 케이블 트레이는 난연성 재료의 것 이어야 한다.
     라. 전선의 피복 등을 손상시킬 돌기 등이 없이 매끈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케이블 트레이 안전율 1.5

95. 아크가 발생하는 고압용 차단기는 목재의 벽 또는 천장, 기타의 가연성 물체로부터 몇 [m] 이상 이격하여야 하는가?(2017년 05월)
     가. 0.5
     나. 1
     다. 1.5
     라. 2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크 이격거리
고압: 1미터
특고압: 2미터(화재 우려X: 1미터 가능)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96.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 사이에 시설하는 보호망에서 보호망을 구성하는 금속선 상호간의 간격은 가로 및 세로를 각각 몇 [m] 이하로 시설하여야 하는가?(2012년 05월)
     가. 0.75
     나. 1.0
     다. 1.25
     라. 1.5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금속망 1.5X1.5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97. 나전선의 사용제한에 관한 사항으로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전선으로 나전선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는?(2010년 03월)
     가. 금속 덕트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나. 버스 덕트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다. 애자 사용 공사에 의하여 전개된 곳에 전기로용 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라. 라이팅 덕트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나전선 사용제한 공사 금속덕트 공사
[해설작성자 : 문갱]

98.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과 금속제외 울타리가 교차하는 경우 교차점과 좌, 우로 몇 m 이내에 개소에 제1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단,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0년 06월)
     가. 25
     나. 35
     다. 45
     라. 55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동일출판사 22년도 책 현재 이문제 나옵니다 책에는 페이지 1078 94번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99. 발전기, 변압기, 조상기, 모선 또는 이를 지지하는 애자는 단락전류에 의하여 생기는 어느 충격에 견디이어야 하는가?(2002년 08월)
     가. 기계적 충격
     나. 철손에 의한 충격
     다. 동손에 의한 충격
     라. 열적 충격

     정답 : []
     정답률 : 61%

100.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기가 생긴 경우에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때에는 제3종접지 공사의 접지 저항값을 몇 [Ω]까지 허용할 수 있는가? (단, 자동 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는 30[mA] 이다.)(2005년 05월)
     가. 10
     나. 100
     다. 300
     라. 500

     정답 : []
     정답률 : 25%


정 답 지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87225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자기학


1. 유전율이 각각 ℇ1, ℇ2인 두 유전체가 접해 있다. 각 유전체중의 전계 및 전속밀도가 각각 E1, D1 및 E2, D2 이고, 경계면에 대한 입사각 및 굴절각이 θ1, θ2일 때 경계조건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88%

2. 권수가 200회이고, 자기인덕턴스가 20mH인 코일에 2A의 전류를 흘리면 쇄교 자속은 몇 WbT 인가?(2006년 08월)
     가. 2×10-2
     나. 4×10-2
     다. 2×10-4
     라. 4×10-4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LI=N파이
파이=LI/N 을 계산하면 20×10^-3/200 답은 2×10^-4
3번
[해설작성자 : ㅎㄱㅇㅎㄱㅎㅈ]

[추가 오류 신고]
위에 분 해설대로 답은 3번인데 오류인것같네요
[해설작성자 : 한전 산기준비중]

[추가 오류 신고]
위에 분 해설대로 답은 3번인데 오류인것같네요
[해설작성자 : ㅇㅅㅇ]

[오류신고 반론]
정답은 틀리지 않았습니다. 쇄교자속을 묻는 것은 'N파이'를 묻는 것으로서 LI만 곱하는게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멋쟁이꿈나무]

[오류신고 반론]
쇄교자속 ℓ=LI
20×10^-3×2 = 0.04    
[해설작성자 : 찐호]

3. 그림과 같은 정전용량이 C0[F]되는 평행판 공기콘덴서의 판면적의 2/3 되는 공간에 비유전율 εs인 유전체를 채우면 공기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몇 F 인가??(2007년 03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81%

4. 진공 중에 미소 선전류 I ㆍ dl[A/m]에 기인된 r[m]떨어진 점 P에 생기는 자계 dH[A/m]를 나타내는 식은?(2010년 03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0%

5. 한변의 길이가 l[m]되는 정사각형 도체 회로에 전류 I[A]를 흘릴 때, 회로의 중심점의 자계의 세기는 몇 [AT/m] 인가?(2005년 03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1%

6. 10-5Wb와 1.2×10-5Wb의 점자극을 공기중에서 2cm 거리에 놓았을 때 극간에 작용하는 힘은 약 몇 N인가?(2016년 05월)
     가. 1.9×10-2
     나. 1.9×10-3
     다. 3.8×10-2
     라. 3.8×10-3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자계에서의 쿨롱의 힘 F = 6.33 * 10^4 * (m1*m2/r^2)
위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하면 F = 0.019[N] = 1.9*10^-2[N]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ㅎㄱ]

자계에서의 쿨롱의 힘 F = 6.33 * 10^4 * (m1*m2/r^2)
= 6.33 * 10^4 * (10^-5*1.2*10^-5 / 0.02^2)
= 1.9*10^-2
[해설작성자 : 성중]

7. 유전률 ε[F/m], 고유저항 ρ[Ωㆍm]의 유전체로 채운 정전용량 C[F]의 콘덴서에 전압 V[V]를 가할 때 유전체 중에 발생하는 열량은 시간 t 초간에 몇 cal 가 되겠는가?(2005년 08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유전체    RC=e*입실론
C=e*입실론/R
열량 0.24V제곱t/R
저기에 C를 대입하면 1번
[해설작성자 : 엔네네눼]

8. 자성체의 스핀(Spin)배열상태를 표시한 것중 상자성체의 스핀의 배열상태를 표시한 것은?(단, 표시는 스핀 자기(磁氣)모멘트의 크기와 방향을 표시한 것임)(2008년 05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② -> 반자성체
③ -> 반강자성체
④ -> 강자성체
[해설작성자 : ㅎㄱ]

9. 극판의 면적 S=10cm2, 간격 d=1mm의 평행판 콘덴서에 비유전율 εs=3인 유전체를 채웠을 때 전압 100V를 인가하면 축적되는 에너지는 약 몇 J 인가?(2019년 03월)
     가. 0.3×10-7
     나. 0.6×10-7
     다. 1.3×10-7
     라. 2.1×10-7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축적되는 에너지)W[J] = 1/2    * C * V ▶ 1/2 * ( εs * ε0 * S / d ) * V^2 ▶
1/2 * ( 8.855 * 10^-12 * 3 * 10 * 10^-4 / 1 * 10^-3 ) * 100^2 = 1.32825 * 10^-7[J]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10. 자기 인덕턴스 0.05H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매초 500A의 비율로 증가할 때 자기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몇 V 인가?(2019년 04월)
     가. 2.5
     나. 25
     다. 100
     라. 1000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v=L*di/dt=0.05*500/1=25

[추가 해설]
인덕턴스 1H = 1A의 전류에 대한 자속이 1 WB인 경우
문제에서 0.05H 임. 1A의 전류에 대한 자속이 0.05WB 이라는 뜻.
여기서 전류가 매초 500A씩 증가하므로
자기유도기전력 = 전류초당 증가율 × 인덕턴스를 하면됨
0.05 × (500/1) = 25
[해설작성자 : 크림슈]

자유력 = 전초증(500/1) X 인덕턴스(0.05) = 25
[해설작성자 : 성중]

유도 기전력 e
= -L.(di/dt)
= -o,05*(500/1)
= 25
[해설작성자 : 성중]

11. 표면 전하밀도 ± σ[C/m2]으로 대전된 도체 내부의 전속밀도는 몇 [C/m2]인가?(2005년 03월)
     가. σ
     나. ε0E
     다.
     라. 0

     정답 : []
     정답률 : 45%

12. 정현파 자속으로하여 기전력이 유기될 때 자속의 주파수가 3배로 증가하면 유기 기전력은 어떻게 되는가?(2015년 03월)
     가. 3배 증가
     나. 3배 감소
     다. 9배 증가
     라. 9배 감소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E=wnSB , w(오메가) = 2*PI*f이므로 유기 기전력은 주파수에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공부중]

E = 4.44fNΦ
[해설작성자 : 200613 산기화이팅]

13. 역자성체 내에서 비투자율 μs는?(2011년 06월)
     가. μs ⨠ 1
     나. μs > 1
     다. μs < 1
     라. μs = 1

     정답 : []
     정답률 : 77%

14. 권선수가 400회, 면적이 9π cm2인 장방형 코일에 1A의 직류가 흐르고 있다. 코일의 장방형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속밀도가 0.8 Wb/m2 인 균일한 자계가 가해져 있다. 코일의 평행한 두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축으로 할 때 이 코일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약 몇 N·m 인가?(2019년 04월)
     가. 0.3
     나. 0.5
     다. 0.7
     라. 0.9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자계 안에서 코일이 받는 힘!

T = ΦNIcosθ
    = BSNIcosθ
    = 자속밀도 × 면적 × 권수 × 전류 × cosθ
    = 0.8 × 9π × 400 × 1 × cos 0 (면과 평행함 = 0)
    = 0.9
[해설작성자 : 19년 3회차 22일남은 수험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9파이 cm^2 이므로 9파이 x 10^-4    입니다.
[해설작성자 : 대학생]

고로 9파이 다음 10-4승이 붙어야됨 0.9047정도나옴
[해설작성자 : 아재]

T = nBILsin@
     = 400*0.8*1*9ㅠ*10^-4*sin90
     = 0.9
[해설작성자 : 성중]

15. 벡터 A=i+4j+3k와 벡터 B=4i+2j-4k는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2005년 08월)
     가. 평행
     나. 면적
     다. 접근
     라. 수직

     정답 : []
     정답률 : 71%

16. v[m/s]의 속도로 전자가 B[Wb/m2]의 평등 자계에 직각으로 들어가면 원운동을 한다. 이때의 각속도 w[rad/s]와 주기 T[sec]에 해당되는 것은? (단, 전자의 질량은 m, 전자의 전하량은 e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0년 03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T=2π/ω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로렌츠의 힘 문제입니다. (전하가 평등 자장에 수직 입사하여 원 운동할 때의 힘. )
구심력 F=q(v x B), 원심력 F=mv^2/r    -> 이 두 힘은 원운동이기에 같기 때문에 구심력=원심력으로 두고 원운동반경 r을 구하세요.

그 후 각속도w= v/r로 계산하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17. 다음의 멕스웰 방정식 중 틀린 것은?(2014년 05월)
     가.
     나.
     다. divB=0
     라. divD=p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rotH = i+dD/dt    (암페어의 주회적분 법칙)
2. rotE = -dH/dt     (페러데이 법칙은 rot E = -dB/dt)
3. div B =0    (고립전하는 없다)
4. div D = p (가우스 법칙)

18. 진공 중에서 어떤 대전체의 전속이 Q 이었다. 이 대전체를 비유전율 2.2 인 유전체 속에 넣었을 경우의 전속은?(2013년 06월)
     가. Q
     나. ℇQ
     다. 2.2Q
     라. 0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속은 전하량에 영향을 받습니다.
[해설작성자 : 댜니]

19. 진공 중에 같은 전기량 +1C의 대전체 두 개가 약 몇 m 떨어져 있을 때 각 대전체에 작용하는 반발력이 1N인가?(2015년 03월)
     가. 3.2×10-3
     나. 3.2×103
     다. 9.5×10-4
     라. 9.5×104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F=1/4πε*Q1Q2/r2
여기서 진공중 1/4πε = 9*10의9승 이므로
루트를 씌어주면 약 9.5*104이 나옵니다
9*10의9승*(1*1/(9.5*104)2)=1
[해설작성자 : 자격증 준비중]

F[N] = 9 * 10^9 * Q / r^2 ▶ r[m] = √( 9 * 10^9 * Q / F ) ▶ √( 9 * 10^9 * 1 / 1 ) * 10^-4 = 9.486832 * 10^4[N]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0. 정전계 내에 도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가. 도체 표면은 등전위면이다.
     나. 도체 내부에는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 도체 내부의 유도전계는 외부전계와 크기는 같다.
     라. 도체에 전하를 대전시킬 수 없어 전하는 모두 도체 표면에만 존재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전계 내에 도체가 놓이면 도체 내부에는 전기력선이나 전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계의 세기는 0이 된다.
[해설작성자 : 김지호]

2과목 : 전력공학


21. 어떤 콘덴서 3개를 선간전압 3300[V],주파수 60[Hz]의 선로에 △로 접속하여 60[kVA]가 되도록 하려면 콘덴서 1개의 정전 용량은 약 몇 [μF]로 하여야 하는가?(2005년 08월)
     가. 4.87
     나. 9.74
     다. 14.61
     라. 19.48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C=60*10^3/3*377*3300^2 해주시면 4.87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무야호]

Q[kVA] = 3 * 2π * f * C * V^2 ▶ C[μF] = Q / 3 * 2π * f * V^2 ▶ 60 * 10^3 / 3 * 2π * 60 * 3300^2 = 4.871592[μF]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2. 정삼각형 배치의 선간거리가 5m이고, 전선의 지름이 1cm인 3상 가공 송전선의 1선의 정전용량은 약 몇 μF/km 인가?(2018년 08월)
     가. 0.008
     나. 0.016
     다. 0.024
     라. 0.03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선로 정전용량 C는

     0.02413                                    반지름r과 선간거리D는 모두 m 기준이고 문제에선
ㅡㅡㅡㅡㅡㅡㅡ 입니다.            반지름을 cm로 줬으니 10^ -2승을 해줘야 합니다.
log10 * D/r                                

log10 * 5/0.5 * 10^ -2 를 하면 3이 나오게 되고

0.02413 / 3 = 약 0.008 입니다.

반지름으로 계산하기가 불편 하시면 2D/지름 으로 계산해주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23. 배전선로의 전기방식 중 전선의 중량(전선비용)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전기방식은? (단, 배전전압, 거리, 전력 및 선로손실 등은 같다고 한다.)(2011년 03월)
     가. 단상 2선식
     나. 단상 3선식
     다. 3상 3선식
     라. 3상 4선식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전선의 중량(전선비용)이 가장 적게 소요=3상4선식
[해설작성자 : 내일 합격할거야]

24. 저압 뱅킹(Banking)배전방식이 적당한 곳은?(2005년 05월)
     가. 농촌
     나. 어촌
     다. 부하 밀집지역
     라. 화학공장

     정답 : []
     정답률 : 75%

25. 수전용 변전설비의 1차측에 설치하는 차단기의 용량은 어느 것에 의하여 정하는가?(2011년 08월)
     가. 수전전력과 부하율
     나. 수전계약 용량
     다. 공급측 전원의 단락용량
     라. 부하설비 용량

     정답 : []
     정답률 : 79%

26. 공통 중성선 다중접지방식인 22.9[kV]계통에 있어서 사고가 생기면 정전이 되지 않도록 선로 도중이나 분기선에 보호 장치를 설치하여 상호 보호 협조로 사고 구간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각 종 개폐기의 설치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2008년 03월)
     가. 변전소 차단기 → 섹셔너라이저 → 리클로저 → 라인퓨즈
     나. 변전소 차단기 → 리클로저 → 라인퓨즈 → 섹셔너라이저
     다. 변전소 차단기 → 섹서너라이저 → 라인퓨즈 → 리클로저
     라. 변전소 차단기 → 리클로저 → 섹셔너라이저 → 라인퓨즈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리클로저는 변전소쪽에, 섹셔너라이저는 부하쪽에 설치
[해설작성자 : Jacky]

27. 송전선로의 후비 보호 계전 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가. 주 보호 계전기가 그 어떤 이유로 정지해 있는 구간의 사고를 보호한다.
     나. 주 보호 계전기에 결함이 있어 정상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구간 사고를 보호한다.
     다. 차단기 사고 등 주 보호 계전기로 보호할 수 없는 장소의 사고를 보호한다.
     라. 후비 보호 계전기의 정정값은 주 보호 계전기와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후비 보호 계전 방식은 주 보호 계전기로 보호할 수 없을 경우 백업하는 역할입니다.
예를 들어 100A의 과전류가 흘렀을 때 주 부호 계전기의 차단 시작 값이 110A 이면 주 보호 계전기가 차단을 하지 못합니다.
이를 대비해 차단 시작 값이 90A인 후비 보호 계전기를 설치하여 주 부호 계전기가 차단하지 못한 사고를 백업해줍니다.
이 때문에 두 계전기의 정정값은 서로 다르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28. 원자로 내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외부로 끄집어내기 위한 열매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08년 03월)
     가. 반사체
     나. 감속재
     다. 냉각재
     라. 제어봉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열에너지를 외부로 끄집어내기 = 열의 흡수
그러므로 답은 냉각제
[해설작성자 : 채유링]

29. 지중 케이블에서 고장점을 찾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가. 머리 루프(Murray loop)시험기에 의한 방법
     나. 메거(Megger)에 의한 측정 방법
     다. 수색 코일(Search coil)에 의한 방법
     라. 펄스에 의한 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71%

30.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2012년 03월)
     가. 전자 유도 장해가 경감된다.
     나. 지락 중에도 계속 송전이 가능하다.
     다. 지락 전류가 적다.
     라. 선택 지락 계전기의 동작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소호코일은 페테르젠 코일이라고도 하며, 대지 정전용량과 공진시켜 접지하므로, 접지사고시 소호가 신속하고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애가 적지만 시설비가 비싸다. 또한 지락사고는 무효분만 존재하므로 선택지락 계전기 동작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하윙]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은 직접접지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호리액터 - 지락전류 작음=>선택지락계전기 동작 안좋음, 대신 전자유도 장해경감
직접접지 - 지략전류 큼 => 선택지락계전기 동작 좋음, 대신 전자유도 장해증가
[해설작성자 : 하나]

31. 3상 3선식에서 전선의 선간거리가 각각 1m, 2m, 4m로 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등가선간거리는 몇 m인가?(2014년 05월)
     가. 1
     나. 2
     다. 3
     라.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도체 등가선간거리 D = 3√(D1* D2* D3) = 2 [m]
[해설작성자 : aaaff]

= 3^루트(1*2*4)
= 2
[해설작성자 : 성중]

등가선간거리)D[m] = 3√( D1 * D2 * D3 ) ▶ 3√( 1 * 2 * 3 ) = 2 [m]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2. 설비용량 600kW, 부등률 1.2, 수용률 60%일 때의 합성 최대전력을 몇 kW 인가?(2019년 03월)
     가. 240
     나. 300
     다. 432
     라. 833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설비용량x수용률)/부등률
[해설작성자 : 기원]

600X0.6 / 1.2 = 3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240mm2, 강심알루미늄연선의 20℃에서 1km당 저항은 0.120Ω이다. 이 전선의 50℃에서의 저항은 몇 Ω 인가? (단, 30℃에서의 저항온도계수는 0.00385이다.)(2002년 03월)
     가. 0.124
     나. 0.134
     다. 0.152
     라. 0.212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R2=R1[1+α(T2−T1)]
R2= 0.120[1+0.00385×(50−20)]=0.120[1+0.00385×30]=0.120[1+0.1155]=0.120×1.1155
    ≈0.13386Ω/km
[해설작성자 : 신죠오 사사게요] <-- [관리자 입니다. 심장은 소중하게 간직하세요.]

34. 중성점 접지방식 중 비접지 방식을 직접접지 방식과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가. 지락 전류가 적다.
     나. 보호계전기 동작이 확실하다.
     다. 1선 지락시 통신선 유도장해가 적다.
     라. 과도안정도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49%

35. 가공 선로에서 이도를 D[m]라 하면 전선의 실제 길이는 경간 SS[m]보다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2017년 03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L = S+(8D^2/3S)
L = 전선의 실제길이
S = 경간의 길이
D = 이도
즉, 전선의 실제길이는 S 와 (8D^2/3S) 차이가 나게된다.
[해설작성자 : 구전공 ㅃㅇㅃ]

36. 피뢰기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가. 충격방전 개시 전압이 낮을 것
     나. 상용 주파 방전 개시 전압이 높을 것
     다. 방전 내량이 작으면서 제한 전압이 높을 것
     라. 속류 차단 능력이 충분할 것

     정답 : []
     정답률 : 54%

37. 설비 A가 150kW, 수용률 0.5, 설비 B가 250kW, 수용률 0.8일 때, 합성 최대전력이 235kW이면 부등률은 약 얼마인가?(2014년 08월)
     가. 1.10
     나. 1.13
     다. 1.17
     라. 1.22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부등률 = (수용가A최대전력 + 수용가B최대전력) / 합성최대전력
수용가A최대전력 = 150 * 0.5 = 75kW
수용가B최대전력 = 250 * 0.8 = 200kW
부등률 = (75+200) / 235 = 1.17
[해설작성자 : 준비중]

38. 3상 1회선 전선로에서 대지정전용량을 Cs[F/m], 선간 정전용량을 Cm[F/m]이라 할 때, 작용정전용량 Cn[F/m]은?(2011년 06월)
     가. Cs + Cm
     나. Cs + 2Cm
     다. Cs + 3Cm
     라. 2Cm + Cm

     정답 : []
     정답률 : 80%

39. 연간 전력량 E[kWh], 연간 최대전력 W[kW]인 경우의 연부하율은?(2003년 08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39%

40. 중성점 고저항접지방식의 평행 2회선 송전선로의 지락 사고의 차단에 사용되는 계전기는?(2002년 03월)
     가. 선택접지계전기
     나. 역상계전기
     다. 거리계전기
     라. 과부하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59%

3과목 : 전기기기


41. 동기 발전기에 앞선 전류가 흐를 때 옳은 것은?(2007년 08월)
     가. 감자 작용을 받는다.
     나. 증자 작용을 받는다.
     다. 속도가 상승한다.
     라. 효율이 좋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6%

42. 부하 전류가 50[A] 일 때, 단자 전압이 100[V]인 직류 직권 발전기의 부하 전류가 70[A] 로 되면 단자 전압은 몇[V]가 되겠는가? (단, 전기자 저항 및 직권계자 권선의 저항은 각각 0.1[Ω]이고, 전기자 반작용과 브러시의 접촉 저항 및 자기 포화는 모두 무시한다.)(2009년 03월)
     가. 110
     나. 114
     다. 140
     라. 154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부하 전류가 50[A] 일 때 유기기전력 E = V+Ia(Ra+Rf) = 110[V]
부하 전류가 70[A] 일 때 유기기전력 E70/E50 = 70/50 = 1.4, ∴ E = 1.4*110 = 154[V]

부하 전류가 70[A] 일 때 단자전압 V = E70-Ia(Ra+Rf) = 154-70*0.2 = 140[V]
[해설작성자 : Jacky]

부하 전류가 50[A] 유기기전력)E[V] = V + Ia( Ra + Rf ) ▶ 100 + 50( 0.1 + 0.1 ) = 110[V]
I : I' = E : E' ▶ E'[V] = ( I' / I ) * E ▶ ( 70 / 50 ) * 110 = 154[V]
부하 전류가 70[A] 유기기전력)E[V] = V + Ia( Ra + Rf ) ▶ V[V] = E - Ia( Ra + Rf ) ▶ 154 - 70( 0.1 + 0.1 ) = 140[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3. 임피던스 강하가 5%인 변압기가 운전중 단락되었을 때 그 단락 전류는 정격전류의 몇 배인가?(2007년 05월)
     가. 20
     나. 125
     다. 30
     라. 35

     정답 : []
     정답률 : 71%

44. 직류기에서 전기자 반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보상권선의 전류방향은?(2013년 08월)
     가. 전기자 전류의 방향과 같다.
     나. 전기자 전류의 방향과 반대이다.
     다. 계자 전류의 방향과 같다.
     라. 계자 전류의 방향과 반대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보상권선 주자극편의 전기자에 상대하는 면에 있는 슬롯 안에 설치한 권선으로 상대하는 전기자 권선의 전류와
반대방향으로 전류를 통해서 거기에 따라 자극편 아래 부분의 전기자 반작용을 상쇄하는 작용을 한다
[해설작성자 : 강원근병장]

45. 전압이나 전류의 제어가 불가능한 소자는?(2018년 03월)
     가. SCR
     나. GTO
     다. IGBT
     라. Diode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SCR은 전압 조정하여 제어 가능
2. GTO는 전류를 조정하여 제어 가능
3. IGBT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BJT와 mosfet의 장점을 결합한 것임. 따라서 전압 제어 가능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

46. 비례 추이가 되지 않는 것은?(2003년 08월)
     가. 토크
     나. 전류
     다. 저항
     라. 역률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비례 추이가 가능한 특성 :    1차전류 , 2차 전류 , 역률 , 동기와트
비례추이가 불가능한 특성 : 출력, 2차 동손(저항) , 효율
[해설작성자 : 문답가자 전산기 ㄱㄱ ]

47. 일반적으로 전철이나 화학용과 같이 비교적 용량이 큰 수은 정류기용 변압기의 2차측 결선방식으로 쓰이는 것은?(2018년 08월)
     가. 3상 반파
     나. 3상 전파
     다. 3상 크로즈파
     라. 6상 2중 성형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6상2중성형=Y-Y결선
[해설작성자 : 화이팅!]

48. 직류 분권 발전기가 있다. 극당 자속 0.01[Wb], 도체수 400, 회전수 600[rpm]인 6극 직류기의 유기기전력은 몇 [V]인가? (단, 병렬 회로수는 2이다.)(2008년 07월)
     가. 100
     나. 120
     다. 140
     라. 16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직류기의 유기기전력 P = PZøN/60a = 6*400*0.01*600/60*2 = 120[V]
[해설작성자 : Jacky]

49. 3상 동기 발전기에서 그림과 같이 1상의 권선을 서로 똑같은 2조로 나누어서 그 1조의 권선 전압을 E[V], 각 권선의 전류를 I[A]라 하고 2중 Y형(double star)으로 결선한 경우 선간전압[V], 선전류[A], 피상전력[W]은?(2010년 07월)

    

     가. 3E, I, 5.19EI
     나. √3E, 2I, 6EI
     다. E, 2√3I, 6EI
     라. √3E, √3I, 5.19EI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병렬이여서 2I다 라고 외우면 편함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지그재그형 회로면 무조건 5.19EI
일반적인 회로면 6EI
Y형이면 전압을 루트 3배
델타형이면 전류를 루트 3배 해주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50. 3상 유도전동기의 원선도를 작성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가. 구속 시험
     나. 무부하 시험
     다. 슬립 측정
     라. 저항 측정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원선도 작성하면 무구저를 기억해주세요
무부하 시험
구속 시험
저항 시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220V, 50kW인 직류 직권전동기를 운전하는데 전기자 저항(브러시의 접촉저항 포함)이 0.05Ω이고 기계적 손실이 1.7kW, 표유손이 출력의 1%이다. 부하전류가 100A 일 때의 출력은 약 몇 kW인가?(2018년 03월)
     가. 14.5
     나. 16.7
     다. 18.2
     라. 19.6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50kw×100/227.2-0.5kw-1.7kw)×0.99=19.60kw
[해설작성자 : お口に]

Ec=V-RaI=220-0.05*100=215
P=EcI=215*100=21.5Kw
P’=P-기계적손실-(P*출력)=21.5-1.7-(21.5*0.01)=19.585
[해설작성자 : Jacky]

P=E.Ia (220-100*0.05)*100*10-3승=21.5Kw
출력*표유손출력=50*0.01=0.5Kw
21.5-1.7-0.5=19.3Kw
[해설작성자 : 초급전기]

52. 전기자 저항이 0.4[Ω]이며, 단자 전압이 200[V], 부하 전류가 46[A], 계자 전류가 4[A]인 직류 분권 발전기의 유기 기전력은 몇[V]인가?(2009년 03월)
     가. 180
     나. 220
     다. 225
     라. 240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기기전력)E[V] = V + IaRa ▶ V + ( I + If )Ra ▶ 200 + ( 46 + 4 ) * 0.4 = 220[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3. 부하에 관계없이 변압기에 흐르는 전류로서 자속만을 만드는 것은?(2004년 05월)
     가. 1차전류
     나. 철손전류
     다. 여자전류
     라. 자화전류

     정답 : []
     정답률 : 58%

54. 직류 분권전동기 운전 중 계자 권선의 저항이 증가할 때 회전속도는?(2018년 08월)
     가. 일정하다.
     나. 감소한다.
     다. 증가한다.
     라. 관계없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직류기에서 주자속파이는 계자전류와 비례하고 파이는 회전속도와 반비례합니다.
계자저항이 증가하면 계자전류는 감소하고 주자속도 감소하게되죠 회전속도는 증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광안리 불주먹 석이]

55. 직류기의 전기자 권선 중 중권 권선에서 뒤피치가 앞피치보다 큰 경우를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05월)
     가. 진권
     나. 쇄권
     다. 여권
     라. 장절권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앞피치>뒤피치 : 여권
앞피치<뒤피치 : 진권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56. 어떤 직류 전동기의 유기전력이 200V, 매분 회전수가 1200rpm으로 토크 16.2kg∙m를 발생하고 있을 때의 전류는 약 몇 A 인가?(2007년 05월)
     가. 60
     나. 80
     다. 100
     라. 120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T = 0.975*(P/N) = 0.975*(EcI/N)[Kg∙m] 에서
I = NT/0.975*Ec = 1200*16.2/0.975*200 = 99.69[A] ≒ 100[A]
[해설작성자 : Jacky]

57. 변압기의 누설 리액턴스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2002년 05월)
     가. 철심의 단면적을 크게한다.
     나. 코일의 단면적을 크게한다.
     다. 권선을 동심 배치한다.
     라. 권선을 분할하여 조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58. 다음 유도 전동기 기동법 중 권선형 유도전동기에 가장 적합한 기동법은?(2011년 08월)
     가. Y-△ 기동법
     나. 기동 보상기법
     다. 전전압 기동법
     라. 2차 저항법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권선형 유도 전동기
1. 2차 저항 기동법
2. 게르게스법
[해설작성자 : 폴리텍 화이팅]

59. 변압기에서 1차 측의 여자 어드미턴스를 Y0라고 한다. 2차 측으로 환산한 여자 어드미턴스 Y0′을 옳게 표한한 식은? (단, 권수비를 a라고 한다.)(2020년 06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N1/N2=V1/V2=I2/I1=√(Z1/Z2)=√(Y2/Y1)
Y2/Y1=a2 ∴Y2=a2Y1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60. 다음은 무슨 회로인가?(2004년 08월)

    

     가. 배전압 정류 회로
     나. 다이오드 특성 측정 회로
     다. 전파 정류 회로
     라. 반파 정류 회로

     정답 : []
     정답률 : 28%

4과목 : 회로이론


61. 어떤 제어계의 임펄스 응답이 sin t 일 때에 이 계의 전달함수를 구하면?(2003년 05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6%

62. 전달함수 응답식 C(s)=G(s)=R(s)에서 입력함수를 단위 임펄스 δ(t)로 가할 때 계의 응답은?(2011년 08월)
     가. C(s) = G(s)δ(s)
     나. C(s) = G(s)/δ(s)
     다. C(s) = G(s)/s
     라. C(s) = G(s)

     정답 : []
     정답률 : 65%

63. 주기적인 구형파의 산호는 그 주파수 성분이 어떻게 되는가?(2003년 05월)
     가. 무수히 많은 주파수의 성분을 갖는다.
     나. 주파수 성분을 갖지 않는다.
     다. 직류분만으로 구성된다.
     라. 교류합성을 갖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6%

64. 비정현파 기전력 및 직류의 값이 , 이라면 전력[W]은?(2003년 05월)
     가. 763.2
     나. 776.4
     다. 785.8
     라. 795.6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P1[W] = V1 * I1 * cosθ ▶ ( 100 / √2 ) * ( 20 / √2 ) * cos30˚ = 866.0254[W]
P3[W] = V3 * I3 * cosθ ▶ -( 50 / √2 ) * ( 10 / √2 ) * cos60˚ = -125[W]
P5[W] = V5 * I5 * cosθ ▶ ( 20 / √2 ) * ( 5 / √2 ) * cos45˚ = 35.3553[W]
P0[W] = P1 + P3 + P5 ▶ 866.0254 + ( -125 ) + 35.3553 = 776.3807[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5. 전류 i = 30sinωt + 40sin(3ωt+45°)[A] 의 실효값은 몇 [A] 인가?(2008년 05월)
     가. 25
     나. 25√2
     다. 50
     라. 50√2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루트(30/루트2)제곱+(40/루트2)제곱=25루트2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66. 그림에서 a, b 단자에 200[V]를 가할때 저항 2[Ω]에 흐르는 전류 I1[A]는?(2004년 05월)

    

     가. 40
     나. 30
     다. 20
     라. 1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전체저항 = 2.8 + ( 2 * 3 / 2 + 3) = 4[Ω]
전체전류 = V / R ▶ 200 / 4 = 50[A]
I1에 흐르는 전류 = (3 / 2 + 3) * 50 = 30[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7. R = 15[Ω], XL= 12[Ω], XC = 30[Ω]이 병렬로 접속된 회로에 120[V]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면 전원에 흐르는 전류는 몇 [A] 인가?(2009년 07월)
     가. 5
     나. 7
     다. 10
     라. 22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저항에 흐르는 전류 Ir = V/R 120/15 = 8[A]
유도성 리액턴스에 흐르는 전류 Ix = V/jXL = 120/j12 = -j10[A]
용량성 리액턴스에 흐르는 전류 Ic = V/jXc = 120/-j30 = j4[A]
I = Ir+Ix+Ic = 8-j10+j4 = 8-j6 = 10∠-36.87[A]
[해설작성자 : Jacky]

저항에 흐르는 전류 Ir = V/R 120/15 = 8[A]
유도성 리액턴스에 흐르는 전류 Ix = V/jXL = 120/j12 = -j10[A]
용량성 리액턴스에 흐르는 전류 Ic = V/jXc = 120/-j30 = j4[A]
I = 루트(8^2+(-10+4)^2) = 10[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8. 다음과 같은 왜형파 교류전압, 전류의 전력은 몇 [W]인가?(2005년 08월)

    

     가. 750
     나. 1000
     다. 1299
     라. 1732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00/루트(2) * 20/루트(2) * cos60 + 50/루트(2) + 10/루트(2) = 750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9. 무손실 분포정수 선로에서 인덕턴스가 1[μH/m]이고, 정전 용량이 400[pF/m]일 때, 특성 임피던스는 몇[Ω]인가?(2009년 07월)

    

     가. 25
     나. 30
     다. 40
     라. 5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특성임피던스=루트 (1*10^-6)/(400*10^-12)=50 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 정태]

70. 다음이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7월)

    

     가. 노오튼의 정리
     나. 중첩의 원리
     다. 키리히호프의 법칙
     라. 테브난의 정리

     정답 : []
     정답률 : 60%

71. 인덕턴스가 각각 5H, 3H인 두 코일을 모두 dot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직렬로 연결하고 인덕턴스를 측정하였더니 15H이었다. 두 코일간의 상호 인덕턴스(H)는?(2019년 04월)
     가. 3.5
     나. 4.5
     다. 7
     라. 9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모두 dot 방향 = 가동접속
15 = L1 + L2 + 2M
2M = 7, M = 3.5
[해설작성자 : 200425산기]

바로 Dot convention (점 규약)을 통해
M의 부호를 결정할 수 있어요.
M을 상호인덕턴스
M = L- L1 -L2 / 2
     = 15-5-3 / 2
     = 3.5
[해설작성자 : 성중]

72. 대칭 좌표법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각상에 공통인 성분을 표시하는 것은?(2018년 08월)
     가. 영상분
     나. 정상분
     다. 역상분
     라. 공통분

     정답 : []
     정답률 : 70%

73. 그림과 같은 회로에 대한 서술에서 잘못된 것은?(2008년 07월)

    

     가. 이 회로의 시정수는 0.1초이다.
     나. 이 회로의 특성근은 -10이다.
     다. 이 회로의 특성근은 +15이다.
     라. 정상 전류값은 3.5[A]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시정수 r = L/R = 2/20 = 0.1초
특성근 -R/L =    -20/2 = -10
정상전류 I = E/R = 70/20 = 3.5[A]
[해설작성자 : Jacky]

74.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i1 = Im sin ω t일때, 개방된 2차 단자에 나타나는 유기기전력 e2 는 몇[V] 인가?(2004년 03월)

    

     가. ω MIm sin(ω t-90° )[V]
     나. ω MIm cos(ω t-90° )[V]
     다. -ω MIm cosω t [V]
     라. -ω MIm sinω t [V]

     정답 : []
     정답률 : 45%

75. 전달 함수의 성질 중 틀린 것은?(2008년 07월)
     가. 어떤 계의 전달 함수는 그 계에 대한 임펄스 응답의 라플라스 변환과 같다.
     나. 전달 함수 P(s)인 계의 입력이 임펄스 함수(δ함수)이고 모든 초기값이 0이면, 그 계의 출력 변환은 P(s)와 같다.
     다. 계의 전달 함수는 계의 미분 방정식을 라플라스 변환하고 초기값에 의하여 생긴 항을 무시하면 와 같이 얻어진다.
     라. 어떤 계의 전달 함수의 분모를 0으로 놓으면 이것이 곧 특성 방정식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76. 전달함수 을 갖는 요소가 있다. 이 요소에 w=2[rad/sec]인 정현파를 주었을 때 |G(jw)| 를 구하면?(2015년 05월)

    

     가. 8
     나. 6
     다. 4
     라. 2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G(jw) = I 20/(3+2jw) Iw=2 = I 20/√(3^2+4^2) l = 4
[해설작성자 : Jacky]

20/3+2=4
[해설작성자 : 초급전기]

S에 4넣고

3    4 루트 = 5         5분의 20    = 4
[해설작성자 : 야 전기]

77. 다음 회로에서 S를 닫은 후 t=2초 일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약 몇 [A]인가?(2010년 03월)

    

     가. 3.7
     나. 4.6
     다. 5.2
     라. 6.3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i(t)= E/R(1-e^(R/L)*t)에서 t가 2s이므로
10/1(1-e^(-1/2)*2= 10(1-e^-1)= 6.32A
[해설작성자 : 푸힝]

78. 각 상의 임피던스 Z=6+j8Ω인 평형 △ 부하에 선간전압이 220V인 대칭 3상 전압을 가할 때의 선전류[A] 및 전력[W]은?(2015년 08월)
     가. 17A, 5620W
     나. 25A, 6570W
     다. 57A, 7180W
     라. 38.1A, 8712W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선전류I= 루트3*(220/루트(6^2+8^2))*루트3=38.1
상전류I2=220/루트(6^2+8^2)=22
전력 W=3*I^2*R=3*22^2*6=8712
[해설작성자 : 작은 하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첫번째 틀렸어요
실수하신 거 같아요 재가 수정할게요
루트3     X    220/10    이에요
10 이 어떻게 나오냐면    루트(6^2+8^2)    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까리하네]

[오류신고 반론]
첫 번째분 해설이 맞습니다. P=3Ip^2R
루트3은 선간전압, 선간전류일 떄 그냥 3은 상전압, 상전류일 떄 사용해주는 겁니다. 그리고 [까리하네]님처럼 전압으로 하시려면
P=3*(V/Z)^2*R로하시면 나옵니다.
오류신고 시 정확한 근거로 신고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오류신고 반론]
※△결선 = Ip(상전류) = √3 * IL(선전류), Vp(상전압) = VL(선간전압)
선전류)I[A] = Vp / Z ▶ [ 220 / √( 6^2 + 8^2 ) ] * √3 = 38.105[A]
전력)P[W] = 3 * ( V^2 * R / R^2 + Z^2 ) ▶ 3 * ( 220^2 * 6 / 6^2 + 8^2 ) = 8712[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79.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4단자 정수는 어떻게 되는가?(2013년 08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ABCD| = | 1 Z1 0 1 | | 1 0 1/Z2 1 |하면 나옵니다.

80. 그림의 4단자 회로에서 단자 ab에서 본 구동점 임피던스 Z11[Ω]과 구동점 임피던스 Y11[s]는?(2002년 05월)

    

     가.
     나. 3 + j4, 0.211 + j0.037
     다.
     라. 2 + j4, 0.211 + j0.037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Z11= Z1+Z2 = 3+j4
Y11= (R2+R3)/R1R2+R2+R3+R3R1=(j4+2)/3*j4 + j4*2 + 2*3 =1/4.6+j0.8
[해설작성자 : 나니가스키]

81. 사용전압이 22.9[kV]인 가공 전선이 삭도와 제 1차 접근 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가공 전선과 삭도 또는 삭도용 지주 사이의 이격거리는 최소 몇[m]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전선으로는 특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한다고 한다.)(2010년 03월)
     가. 0.5
     나. 1
     다. 2
     라. 2.12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삭도와 제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제3종 특별고압 보안공사에 의한 것.
이 격 거 리
35,000V 이하인 것 : 2m (전선이 특별고압 절연전선인 경 우는 1m, 케이블인 경우는 50cm)

35,000V를 넘고 60,000V 이하의 것 :2m

60,000V를 넘는 것 : 2m에 사용 전압이 60,000V를 넘는 10,000V 또는 그 단수마다 12cm를 더한 값.
[해설작성자 : 777]

82. 특별고압 옥외 배전용 변압기를 시설하는 경우, 특별고압 측에는 일반적인 경우에 개폐기와 또한 어떤 것을 시설하여야 하는가?(2004년 08월)
     가. 과전류차단기
     나. 방전기
     다. 계기용변류기
     라. 계기용변압기

     정답 : []
     정답률 : 56%

83.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지 않아야 할 곳은?(2016년 03월)
     가. 수용가의 인입선 부분
     나. 고압 배전선로의 인출장소
     다. 직접 접지계통에 설치한 변압기의 접지선
     라. 역률조정용 고압 병렬콘덴서 뱅크의 분기선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설치안해도 되는 장소
시험용 변압기 , 접지선
[해설작성자 : 현민아시험잘봐라]

접지선, 중성선, 접지측 전선 시설 불가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84. 지중 전선로의 매설 방법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가. 관로식
     나. 인입식
     다. 암거식
     라. 직접 매설식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지중전선로 매설 방식 : 관로식,암거식,직매식(직접매설식)
관로식 - 깊이 1m이상
직매식 - 깊이 0.6m이상(하중이 있으면 1.2m)
[해설작성자 : 하나]

85.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현관등으로 백열 전등을 설치할 때에는 타임 스위치를 설치하여 몇 분 이내에 소등되는 것이어야 하는가?(2010년 05월)
     가. 1
     나. 2
     다. 3
     라. 5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현관등으로 백열 전등을 설치할 때에는 타임 스위치를 설치하여 3분이내에 소등되어야 한다.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 타임 스위치하면 3분으로 외우기)
[해설작성자 : 재훈]

주택/아파트 -> 3분
호텔/병원 -> 1분
[해설작성자 : 참두부]

86.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에 과부하 보호장치의 시설을 생략할 수 없는 경우는?(2014년 08월)
     가. 전동기가 단상의 것으로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5A 이하인 경우
     나. 전동기가 단상의 것으로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경우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20A 이하인 경우
     다. 전동기 운전 중 취급자가 상시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시설하는 경우
     라. 전동기의 정격 출력이 0.75kW인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정격 출력이 0.2kw 전동기
[해설작성자 : 참두부]

1번에 과전류 차단기는 16A이하인 경우 입니다
[해설작성자 : 귀엽게 봐주세용]

87.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에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는 최소 몇 [cm]이상으로 하면 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8년 07월)
     가. 30
     나. 60
     다. 80
     라. 10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 : 0.6[m],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 1.2[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 : 0.6[m],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 1.0[m]

개정후!!
[해설작성자 : msy0]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8. 고압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가공지선은 지름 몇 [mm] 이상의 나경동선을 사용하여야 하는가?(2012년 05월)
     가. 2.6
     나. 3.0
     다. 4.0
     라. 5.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고압 4 나경동선
특고압 5 나경동선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89.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 전선의 세기(인장하중)는 몇 % 이상 감소되지 않아야 하는가?(2018년 08월)
     가. 10
     나. 15
     다. 20
     라. 25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전선 인장하중 나오면
20%이상 감소X (80%이상 유지)
[해설작성자 : 중앙고 전기박사]

90.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 통신선의 높이는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상 몇 [m]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08년 03월)
     가. 3.5
     나. 4.5
     다. 5.5
     라. 6.5

     정답 : []
     정답률 : 66%

91. 154kV 가공전선을 사람이 쉽게 들어갈 수 없는 산지(山地)에 시설하는 경우 전선의 지표상 높이는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8년 08월)
     가. 5.0
     나. 5.5
     다. 6.0
     라. 6.5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사람의 출입이 어려운 곳 5m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특고 전선의 높이-
35kV 초과 ~ 160kV 미만 : 6m (산지일 경우 5m)
160kV 초과 : 6+0.12n(n은 단수)(산지일 경우 5+0.12n)
[해설작성자 : 중랑구 섹시가이]

92. 금속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금속덕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의 합계는 덕트 내부 단면적의 몇 [%]이하이어야 하는가?(2013년 03월)
     가. 20
     나. 30
     다. 40
     라. 5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금속 덕트에 넣는 전선의 단면적의 합계는 덕트 내부 단면적의 20% (전광 표시 장치, 출퇴근 표시등, 제어 회로 등의 배전선만을 넣는 경우는 50%) 이하 일것
[해설작성자 : 명지전문대 전기과 34대 학생회장]

93. 154kV 가공전선로를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사용전선의 단면적은 몇 mm2 이상의 경동연선 이어야 하는가?(2018년 08월)
     가. 35
     나. 50
     다. 95
     라. 15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00kv 미만= 55mm^2
100kv이상 300kv미만 = 150mm^2
300kv 이상 = 200mm^2
[해설작성자 : 원종사]

94. 케이블 트레이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가. 금속재의 것은 내식성 재료의 것이어야 한다.
     나. 케이블 트레이의 안전율은 1.25 이상이어야 한다.
     다. 비금속제 케이블 트레이는 난연성 재료의 것 이어야 한다.
     라. 전선의 피복 등을 손상시킬 돌기 등이 없이 매끈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케이블 트레이 안전율 1.5

95. 아크가 발생하는 고압용 차단기는 목재의 벽 또는 천장, 기타의 가연성 물체로부터 몇 [m] 이상 이격하여야 하는가?(2017년 05월)
     가. 0.5
     나. 1
     다. 1.5
     라. 2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크 이격거리
고압: 1미터
특고압: 2미터(화재 우려X: 1미터 가능)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96.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 사이에 시설하는 보호망에서 보호망을 구성하는 금속선 상호간의 간격은 가로 및 세로를 각각 몇 [m] 이하로 시설하여야 하는가?(2012년 05월)
     가. 0.75
     나. 1.0
     다. 1.25
     라. 1.5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금속망 1.5X1.5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97. 나전선의 사용제한에 관한 사항으로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전선으로 나전선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는?(2010년 03월)
     가. 금속 덕트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나. 버스 덕트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다. 애자 사용 공사에 의하여 전개된 곳에 전기로용 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라. 라이팅 덕트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나전선 사용제한 공사 금속덕트 공사
[해설작성자 : 문갱]

98.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과 금속제외 울타리가 교차하는 경우 교차점과 좌, 우로 몇 m 이내에 개소에 제1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단,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0년 06월)
     가. 25
     나. 35
     다. 45
     라. 55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동일출판사 22년도 책 현재 이문제 나옵니다 책에는 페이지 1078 94번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99. 발전기, 변압기, 조상기, 모선 또는 이를 지지하는 애자는 단락전류에 의하여 생기는 어느 충격에 견디이어야 하는가?(2002년 08월)
     가. 기계적 충격
     나. 철손에 의한 충격
     다. 동손에 의한 충격
     라. 열적 충격

     정답 : []
     정답률 : 61%

100.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기가 생긴 경우에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때에는 제3종접지 공사의 접지 저항값을 몇 [Ω]까지 허용할 수 있는가? (단, 자동 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는 30[mA] 이다.)(2005년 05월)
     가. 10
     나. 100
     다. 300
     라. 500

     정답 : []
     정답률 : 2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87225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기산업기사, 기출문제, 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04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제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503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502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501 전파전자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006644)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500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8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872250)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498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497 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496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495 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494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493 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492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491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49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857144)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489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9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488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487 9급 지방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486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485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94 Next
/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