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 유동자산 + 비유동 자산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은 비유동자산에 포함되지만 두 가지를 합친다해서 비유동자산이 되는 것이 아닌, <비유동자산 = 투자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기타비유동자산> 이렇게 되어야함.
그러므로 2번 답은 틀렸음. [해설작성자 : 기염둥이 뽀뽀기]
3.
다음 중 재무상태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2월)
1.
재무상태표 작성시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한다.
2.
재무상태표 작성시 부채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한다.
3.
자산과 부채는 유동성이 작은 항목부터 배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 현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부채, 자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95%
4.
다음 중 재무상태표상의 현금및현금성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2월)
1.
당좌예금
2.
타인발행수표
3.
가입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정기예금
4.
만기가 6개월 후에 도래하는 정기적금
정답 : [
4
] 정답률 : 77%
5.
다음 거래를 분개한 내용 중 (가)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미수금
2.
선급금
3.
선급비용
4.
가지급금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ㆍ 상품을 주문할 때 지급한 계약금은 선급금으로 회계처리한다. 그 후 상품을 인수하고 상품대금과 선급금과의 차액을 다음 달 말에 지급하기로 하였으므로, 차변에 상품, 대변에 선급금과 외상매입금으로 회계처리한다. ㆍ 선급비용은 상품대금이 아닌 비용 항목의 기간 미경과분을 인식할 때 사용하는 계정과목이다.
6.
다음 중 차량운반구의 취득원가에 포함시킬 수 없는 것은?(2020년 10월)
1.
매입 운송비용
2.
취득세
3.
자동차세
4.
취득관련 보험료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매입부대비용 그러니까 차량운반구 등을 구입할때 드는 비용은 구입하는 자산에 가산한다. 그러나 자동차세는 세금과공과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바라기]
7.
한공상사가 서울상사에 1,000,000원의 상품을 주문하고 계약금으로 현금 100,000원을 지급한 경우 각 회사가 인식할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한공상사, 서울상사)(2018년 02월)
1.
선급금, 선수금
2.
지급어음, 받을어음
3.
매입채무, 매출채권
4.
선급비용, 선수수익
정답 : [
1
] 정답률 : 85%
8.
다음 거래에 대한 회계처리로 올바른 것은?(2020년 06월)
1.
(차) 외상매출금 1,500,000원 (대) 상 품 1,500,000원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8%
9.
(주)한공상사는 2016년 1월 1일에 건물을 5,000,000원에 구입하고, 취득세 500,000원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2016년 12월 31일 결산 시 정액법에 의한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단, 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 500,000원, 결산 연 1회)(2016년 10월)
자산 = 유동자산 + 비유동 자산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은 비유동자산에 포함되지만 두 가지를 합친다해서 비유동자산이 되는 것이 아닌, <비유동자산 = 투자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기타비유동자산> 이렇게 되어야함.
그러므로 2번 답은 틀렸음. [해설작성자 : 기염둥이 뽀뽀기]
3.
다음 중 재무상태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2월)
1.
재무상태표 작성시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한다.
2.
재무상태표 작성시 부채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한다.
3.
자산과 부채는 유동성이 작은 항목부터 배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 현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부채, 자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95%
4.
다음 중 재무상태표상의 현금및현금성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2월)
1.
당좌예금
2.
타인발행수표
3.
가입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정기예금
4.
만기가 6개월 후에 도래하는 정기적금
정답 : [
4
] 정답률 : 77%
5.
다음 거래를 분개한 내용 중 (가)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미수금
2.
선급금
3.
선급비용
4.
가지급금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ㆍ 상품을 주문할 때 지급한 계약금은 선급금으로 회계처리한다. 그 후 상품을 인수하고 상품대금과 선급금과의 차액을 다음 달 말에 지급하기로 하였으므로, 차변에 상품, 대변에 선급금과 외상매입금으로 회계처리한다. ㆍ 선급비용은 상품대금이 아닌 비용 항목의 기간 미경과분을 인식할 때 사용하는 계정과목이다.
6.
다음 중 차량운반구의 취득원가에 포함시킬 수 없는 것은?(2020년 10월)
1.
매입 운송비용
2.
취득세
3.
자동차세
4.
취득관련 보험료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매입부대비용 그러니까 차량운반구 등을 구입할때 드는 비용은 구입하는 자산에 가산한다. 그러나 자동차세는 세금과공과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바라기]
7.
한공상사가 서울상사에 1,000,000원의 상품을 주문하고 계약금으로 현금 100,000원을 지급한 경우 각 회사가 인식할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한공상사, 서울상사)(2018년 02월)
1.
선급금, 선수금
2.
지급어음, 받을어음
3.
매입채무, 매출채권
4.
선급비용, 선수수익
정답 : [
1
] 정답률 : 85%
8.
다음 거래에 대한 회계처리로 올바른 것은?(2020년 06월)
1.
(차) 외상매출금 1,500,000원 (대) 상 품 1,500,000원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8%
9.
(주)한공상사는 2016년 1월 1일에 건물을 5,000,000원에 구입하고, 취득세 500,000원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2016년 12월 31일 결산 시 정액법에 의한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단, 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 500,000원, 결산 연 1회)(2016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