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858758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목재이학


1. 목재의 각 방향에 따른 수축률의 크기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6년 10월)
     1. 접선방향>방사방향>섬유방향
     2. 접선방향>섬유방향>방사방향
     3. 섬유방향>방사방향>접선방향
     4. 방사방향>섬유방향>접선방향

     정답 : []
     정답률 : 82%

2. 목재의 비열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인자는?(2016년 10월)
     1. 수종
     2. 밀도
     3. 함수율
     4. 춘재 및 추재 구성정도

     정답 : []
     정답률 : 68%

3. 목재에 반복하여 하중을 가하면 기계적 성질이 저하하여 비교적 작은 하중에도 마지막에는 파괴되는데 이 때의 응력은?(2012년 09월)
     1. 탄성한도
     2. 비례한도
     3. 피로한도
     4. 항복점

     정답 : []
     정답률 : 80%

4. 시험재의 전건무게가 1000g이고 건조 중에 시험재의 무게가 1300g일 때 건조 중 함수율은 얼마인가?(2012년 09월)
     1. 20%
     2. 25%
     3. 30%
     4. 35%

     정답 : []
     정답률 : 90%

5. 목재의 수축과 팽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가 수축 또는 팽윤 될 때에 세포내강의 용적도 함께 비례하여 변한다.
     2. 목재의 수축과 팽윤은 길이방향,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낸다.
     3. 정상적인 수축과 팽윤은 섬유포화점 이하의 함수율에서 결합수의 감소 또는 증가에 따라서 발생한다.
     4. 찌그러짐과 같이 수축 이방성에 따른 건조결함은 섬유포화점 이상의 높은 함수율에서도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수축과 팽윤에도 세포 내강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고준호]

6. 목재 함수율을 측정하는 원리와 측정법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2013년 09월)
     1. 목재 중의 수분을 분리하는 방법 – 전건법(全乾法)
     2. 목재 중의 수분을 분리하는 방법 – 추출법(抽出法)
     3. 목재 내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방법 – 습도법(濕度法)
     4. 목재 내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방법 – 전기식 수분계(電氣式 水分計)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기식 수분계 : 목재 내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고준호]

7. 목재의 수축과 팽윤이 가장 큰 방향은?(2017년 08월)
     1. 방사방향
     2. 목리방향
     3. 섬유방향
     4. 접선방향

     정답 : []
     정답률 : 77%

8. 생재비중이 0.65인 목재의 최저함수율은?(2017년 08월)
     1. 약 35%
     2. 약 46%
     3. 약 54%
     4. 약 65%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생재비중 S 일때 최저함수율
100 * (1-S/S)
[해설작성자 : 대환재]

9. 수분에 의한 목재치수의 변화를 계산하는 데 이용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수축률
     2. 상대습도
     3. 평형함수율
     4. 생재함수율

     정답 : []
     정답률 : 46%

10. 목재가 함유하는 수분으로 세포내강이나 세포간극 등의 공극에 액상으로 존재하는 것은?(2017년 08월)
     1. 흡착수
     2. 자유수
     3. 화학수
     4. 결합수

     정답 : []
     정답률 : 86%

11. 6cm×6cm의 횡단면에 7000kgf의 하중이 작용하여 16cm이던 목재가 15.97cm로 압축되었다. 이때 이 목재의 탄성계수(kgf/cm2)는?(2016년 10월)
     1. 약 87500
     2. 약 103700
     3. 약 233330
     4. 약 525000

     정답 : []
     정답률 : 52%

12. 목재의 진비중은 실질 용적의 측정에 사용하는 치환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헬륨가스 사용시의 진비중의 값은?(2013년 09월)
     1. 1.30
     2. 1.46
     3. 1.60
     4. 1.70

     정답 : []
     정답률 : 75%

13. 소리 방사에 중요 성질인 음파저항(W)을 나타내는데 틀린 것은 어느 식인가? (단, ρ = 밀도, V = 음속, E = 탄성계수임 )(2004년 08월)
     1. W = ρV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14. 진비중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치환물질 중 진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물질은?(2016년 10월)
     1.
     2. 벤젠
     3. 헬륨
     4. 톨루엔

     정답 : []
     정답률 : 67%

15. 목재의 열전도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2.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3.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4. 섬유주향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5%

16. 다음 목재의 강도 중에서 강도가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것은?(2003년 08월)
     1. 종압축강도
     2. 종인장강도
     3. 휨강도
     4. 전단강도

     정답 : []
     정답률 : 71%

17. 목재의 유전율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목재의 함수율이 높을수록 유전율은 커진다.
     2. 목재의 함수율이 높을수록 유전율은 작아진다.
     3. 목재의 함수율과 유전율은 무관하다.
     4. 전건상태에서 유전율은 가장 높다.

     정답 : []
     정답률 : 74%

18. 3,000g의 목재를 온도 20℃에서 80℃까지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은? (단, 이 목재의 비열은 0.2665 ca/g·℃ 이다.)(2013년 09월)
     1. 15,990 cal
     2. 47,970 cal
     3. 79,950 cal
     4. 91,280 cal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열량 = 열용량 x 온도변화량 = (비열 x 질량) x 온도변화량
-> 0.2665 x 3000g x 60 = 4797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목재의 열분해(熱分解) 및 착화(着火)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8월)
     1. 자유수는 100℃에서 끓기 시작하나, 결합수는 함수율에 따라 달라 함수율 20 % 일 때 101℃, 10 % 일 때 106℃에서 끓는다.
     2. 목재수분(자유수와 결합수)은 목재온도의 상승을 늦추고 열분해를 지연시킨다.
     3. 습윤목재는 건조목재에 비해 높은 온도에서 열분해(pyrolysis)가 일어난다.
     4. 목재는 약 273℃에서 산소공급이 충분하면 착화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20. 목재의 응력-변형률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비례한계와 탄성한계는 기본적으로 같은 개념이다.
     2. 목재 파괴 시의 응력을 파괴응력 또는 항복 응력이라 한다.
     3. 모든 물체는 외력이 작용하면 변형이 수반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은 완전히 회복된다.
     4. 비례한계는 응력과 변형간의 직선관계가 성립되는 한계점을 말하고, 비례한계 내에서 응력이 제거되면 변형은 순간적으로 회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2과목 : 목재해부학


21. 제재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만들어지는 목리는?(2019년 04월)
     1. 사주목리
     2. 나선목리
     3. 파상목리
     4. 교착목리

     정답 : []
     정답률 : 64%

22. 다음은 교주목리 가운데 하나로써 열대산 목재에서 주로 관찰되고 있는 목리의 명칭은?(2004년 08월)

    

     1. 교차목리
     2. 사주목리
     3. 나선목리
     4. 교착목리

     정답 : []
     정답률 : 74%

23. 침엽수재에만 존재하는 가도관은?(2004년 08월)
     1. 섬유상 가도관
     2. 방사 가도관
     3. 주위상 가도관
     4. 도관상 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62%

24. 방사공재 수종에 해당하는 것은?(2017년 08월)
     1. 잣나무
     2. 가시나무
     3. 굴참나무
     4. 느티나무

     정답 : []
     정답률 : 37%

25. 활엽수재를 해부학적으로 식벽할 때 주요 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방사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74%

26. 조재로부터 만재로 이행이 점진적이며 연송류에 속하는 주종은?(2018년 08월)
     1. 곰솔
     2. 잣나무
     3. 소나무
     4. 리기다소나무

     정답 : []
     정답률 : 45%

27. 다음 중 활엽수의 식별에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생각되는 것은?(2003년 08월)
     1. 목섬유의 크기
     2. 방사가도관의 존재 유무
     3. 횡단면상의 도관 배열
     4. 방추형 방사조직

     정답 : []
     정답률 : 54%

28. 비대생장을 시작한 2차사부와 2차목부의 조직에 있어 수간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향한 배열순서가 맞는 것은?(2013년 09월)
     1. 2차목부 – 형성층 - 1차사부
     2. 1차목부 – 형성층 - 2차사부
     3. 2차목부 – 형성층 - 2차사부
     4. 1차목부 – 형성층 – 1차사부

     정답 : []
     정답률 : 40%

29. 타일로시스(tylosis)와 타일로소이드(tylosoid)의 차이점은?(2017년 08월)
     1. 목부와 사부
     2. 심재와 변재
     3. 피층과 재부
     4. 활엽수와 침엽수

     정답 : []
     정답률 : 75%

30. 나선비후가 관찰되는 수종은?(2013년 09월)
     1. 주목
     2. 소나무
     3. 향나무
     4. 오리나무

     정답 : []
     정답률 : 49%

3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특수형의 방사조직은?(2016년 10월)

    

     1. 타일세포
     2. 책상세포
     3. 초상세포
     4. 쇄상세포

     정답 : []
     정답률 : 55%

32. 성숙재와 비교하였을 때 미성숙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만재율이 적다.
     2. 연륜폭이 좁고 비교적 균일하다.
     3. 위연륜이나 응력재의 출현이 적다.
     4. 죽은 옹이가 나타나거나 옹이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6%

33. 세포벽 층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두꺼운 층은?(2013년 09월)
     1. 일차벽(P)
     2. 이차벽 외층(S1)
     3. 이차벽 중층(S2)
     4. 이차벽 내층(S3)

     정답 : []
     정답률 : 70%

34. 목재가 터지는 현상 중에서 건조시킬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마구리 할렬(end check)
     2. 심렬(heart check)
     3. 표면할
     4. 할렬

     정답 : []
     정답률 : 59%

35. 다음 목재 중 비교적 나비가 넓어서 육안으로도 방사조직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은?(2013년 09월)
     1. 향나무
     2. 참나무류
     3. 버드나무
     4. 포플러류

     정답 : []
     정답률 : 55%

36. 침엽수재 형성층의 방추형 시원세포가 성숙해서 된 목부세포는?(2016년 10월)
     1. 방사유세포
     2. 방사가도관
     3. 수평수지구
     4. 축방향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43%

37. 활엽수재에서 횡단면에 한 층 또는 여러 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는 축방향 유조직이 관콩과 관계없이 동심원상 또는 집신 상으로 길게 연속하여 1열 또는 여러 개의 열로 이루어진 띠를 나타내는 것은?(2018년 08월)
     1. 수반 유조직
     2. 산재 유조직
     3. 종말상 유조직
     4. 독립대상 유조직

     정답 : []
     정답률 : 49%

38. 수선 유세포와 관계있는 것은?(2003년 08월)
     1. 촉단 방향으로 뻗쳐 있는 세포 요소이다.
     2. 횡적으로 양분을 공급한다.
     3. 박막 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4. 목재의 수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39. 활엽수에서 목부유세포의 배열 중 수반 유세포는?(2004년 08월)
     1. 종말상(terminal)
     2. 절선상(metatracheal)
     3. 산점상(difuse)
     4. 익상형(Aliform)

     정답 : []
     정답률 : 40%

40. 침엽수재의 세포에서 생성되는 결정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은행나무의 결정
     2. 잣나무의 3각 결정
     3. 전나무의 4각 주상 결정
     4. 솔송나무의 플라코소이드

     정답 : []
     정답률 : 35%

3과목 : 목재화학


41. 활엽수재 리그닌의 C6-C3 단위당 작용기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2016년 10월)
     1. 카르보닐기
     2. 벤질알코올기
     3. 페놀성수산기
     4. 메톡실기

     정답 : []
     정답률 : 64%

42.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추출을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탈리그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8월)
     1. 염소 Monoethanolamine법
     2. 황산염법
     3. 과초산법
     4. 아염소산염법

     정답 : []
     정답률 : 46%

43. 리그닌 분석용 시료로 사용되는 탈지시료는 어떤 유기용매로 처리한 것인가?(2004년 08월)
     1. 에틸알콜
     2. 에틸알콜-벤젠 혼합액
     3. 벤젠
     4. 아세톤

     정답 : []
     정답률 : 80%

44. 탄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동물의 가죽을 부드럽게 하는데 쓰인다.
     2. 침엽수와 활엽수에서 모두 발견된다.
     3. 가수분해형 탄닌은 C6-C3-C6의 골격을 갖고 있다.
     4. 단백질 석회와 반응하여 물에 불용성 침전을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71%

45. 셀룰로오스 화학구조와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방향족 화합물
     2. 글루코시드 결합
     3. 환원성 말단기
     4. 비환원성 말단기

     정답 : []
     정답률 : 63%

46.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용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8월)
     1. 도료
     2. 화약
     3. 필터
     4. 라텍스

     정답 : []
     정답률 : 62%

47. 목재(木材)에서 탈(脫) Lignin 을 야기시키는 방법으로 염소 Monoethanolamine 법을 최초로 시도한 사람은?(2003년 08월)
     1. Freudenberg
     2. Timell
     3. Klason
     4. Masonite

     정답 : []
     정답률 : 34%

48. 다음 중 Lignan의 용도로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살충제
     2. 항산화제
     3. 제초제
     4. 발근촉진제

     정답 : []
     정답률 : 68%

49. 셀룰로오스 분자의 비환원성 말단 OH 기는 글루코오스의 몇 번 탄소에 결합되어 있는가?(2018년 08월)
     1. C1
     2. C2
     3. C3
     4. C4

     정답 : []
     정답률 : 52%

50. 다음 중 수목의 심재(heartwood)화 현상과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유세포의 죽음
     2. 추출 성분의 감소
     3. 전분의 소실
     4. 효소 활성의 일시적 증가

     정답 : []
     정답률 : 70%

51. 셀룰로오스의 기본구성 단위인 셀로비오스(cellobiose)에는 몇 개의 수산기가 존재하는가?(2017년 08월)
     1. 1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73%

52. 셀룰로오스의 산화반응에서 있어서 C2와 C3사이를 개열시키면서 dialdehyde형 구조를 새로 형성시키는 산화제는?(2016년 10월)
     1. 과산화수소
     2. 이산화염소
     3. 이산화질소
     4. 과요오드산

     정답 : []
     정답률 : 63%

53. 목재 중에 존재하는 방향족 화합물을 옳게 조합한 것은?(2016년 10월)
     1. 리그닌, 펙틴, 리그난
     2. 리그닌, 리그난, 탄닌
     3. 리그닌, 테르펜, 리그난
     4. 리그닌, 펙턴, 탄닌

     정답 : []
     정답률 : 49%

54. 어떤 용기 중에 다음과 같은 셀룰로오스 시료가 혼합되어 있다. 이 셀룰로오스의 는 약 얼마인가?(2016년 10월)

    

     1. =870, =330
     2. =330, =870
     3. =450, =420
     4. =420, =450

     정답 : []
     정답률 : 43%

55. 함수율이 10%인 목분 시료 2g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더니 0.03g의 추출물이 얻어졌다. 이 시료의 유기용매 추출물의 함량은 얼마인가?(2016년 10월)
     1. 1.37%
     2. 1.47%
     3. 1.57%
     4. 1.67%

     정답 : []
     정답률 : 40%

56. Xylan을 산소, 알칼리 등으로 반응시켰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Aldonic acid 말단기 생성
     2. 가용성 유기산 생성
     3. 중합도 상승
     4. Uronic acid 의 탈리

     정답 : []
     정답률 : 36%

57. 메톡실기 정량에서 티오항산나트륨 표준액의 적정량(T)이 20mL이고, 티오황산나트륨의 규정농도가(N)가 1/50이며, 시료의 절건량(S)이 2g 일 때 메톡실기의 양은?(2013년 09월)
     1. 0.1%
     2. 1.0%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30%

58. 17.5% NaOH용액으로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초산으로 중화하면 셀룰로오스 일부가 침전된다. 이 셀룰로오스를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9월)
     1. α-셀룰로오스
     2. β-셀룰로오스
     3. γ-셀룰로오스
     4. Alkali 셀룰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69%

59. 셀룰로오스를 가수분해하였을 때 얻어지는 glucose 중량의 이론치는?(2017년 08월)
     1. 77%
     2. 88%
     3. 111%
     4. 144%

     정답 : []
     정답률 : 80%

60. 알돈산(aldonic aci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산소, 알칼리 처리한 셀룰로오스의 산 가수분해 시주로 생성된다.
     2. 알도오스(aldose)의 C1 탄소가 산화되어 카르복실기(-COOH)로 된 것을 뜻 한다.
     3. 알도오스(aldose)의 마지막 탄소(C5 혹은 C6)가 산화되어 카르복실로 된 것을 뜻한다.
     4. 알칼리에 의한 펄프제조 시 알돈산이 생성되면 peeling off반응이 억제 혹은 정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4과목 : 임산제조학


61. 함수율이 60%인 소나무 관재의 무게가 2500g이다. 건량기준 함수율 12%가 되게 건조하려면 시험재의 무게는 몇 g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야 하는가?(2016년 10월)
     1. 1700g
     2. 1750g
     3. 1800g
     4. 1850g

     정답 : []
     정답률 : 48%

62. 다음은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를 짝지워 놓은 것이다. 이중 잘못된 것은?(2004년 08월)
     1. 요소계, 폴리비닐알코올
     2. 에폭시수지, 아크릴 수지
     3. 폐놀계, 네오프렌
     4. 멜라민계, 니트로셀룰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40%

63. 띠톱제재의 경우를 기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D는 거치직경, L은 축간거리)(2003년 08월)
     1. 안정되고 좋은 능률을 내려면 L/D 값이 1에 가깝고 d가 큰 것이 좋다
     2. 보통 톱의 두께 t는 D의 1/1,000을 초과하지 않는다.
     3. 긴장응력은 현재 30kg/mm2가 표준으로 되어 있다.
     4. 보통 하부거차를 구동시키는데 톱은 보통 40-50m/s의 주속도로 주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64. 목재 접착제의 성능에 관한 인자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농도
     2. 분자구조
     3. 표면장력
     4. 퇴적시간

     정답 : []
     정답률 : 58%

65. 목재절삭에 이써서 임계절삭각은 절삭저항의 배분력이 정(plus)에서 부(minus)로 변하는 절삭각을 나타내는데 그 값의 범위는?(2018년 08월)
     1. 30° 전후
     2. 40° 전후
     3. 50° 전후
     4. 60° 전후

     정답 : []
     정답률 : 55%

66. 제지공정 중 고해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섬유의 유연성을 부과한다.
     2. 피브릴화할 때에는 선상 고해라고 한다.
     3. 섬유를 절단하는 것은 유리상 고해라고 한다.
     4. 물과 혼합아여 고해기에 의해 기계적으로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67. 파아티클 보오드의 제조는 목재 자원의 집약적 이용과 목재의 특성을 살려서 만든 것이다. 그 특성에 맞지 않는 것은?(2004년 08월)
     1. 목적 하는대로 크기, 비중(강도)을 자유로이 할 수 있다.
     2. 방향에 의한 수축팽창의 차가 거의 없다.
     3. 단열성, 방음성이 합판보다 높다.
     4. 가공이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66%

68. 합성수지 접착제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경화성 수지(B)의 종류가 잘못 나열한 것은?(2017년 08월)
     1. A : 아크릴수지, B : 멜라민수지
     2. A : 초산비닐수지, B : 페놀수지
     3. A : 염화비닐수지, B : 에폭시수지
     4. A : 요소수지, B : 폴리아미드수지

     정답 : []
     정답률 : 59%

69. 회전형 단편 절삭기(Rotary lathe)가 구비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장치가 있어야 한다.
     2. 인력이 적게 들고 가급적 자동화되어야 한다.
     3. 원목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절삭 속도가 일정해야 한다.
     4. 원목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절삭각은 변동 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70. 펄프표백 중 염소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9월)
     1. pH2 이하로 반응시킨다.
     2. 리그닌을 저분자화 또는 염소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3. 물과 반응하여 아염소산을 만들기 위함이다.
     4. 낮은 온도에서는 대체로 20~60분으로 반응이 완료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71. 목재의 제재방법에서 접선단면 제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정목판을 얻을 수 있다.
     2.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제재가 수월하다.
     3.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품질이 떨어진다.
     4. 나이테에 접선방향 또는 방사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제재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72. 접착제의 습윤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접착제의 응집력이 클수록 좋다.
     2. 피착제 표면에서 접촉각이 클수록 좋다.
     3. 접착제 분자와 피착제 표면 사이에 인력이 강할수록 좋다.
     4. 고체표면에 액체인 접착제가 밀접하게 접촉되는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73. 섬유판의 원료로 적합한 목재의 비중은?(2016년 10월)
     1. 0.1 ~ 0.2
     2. 0.4 ~ 0.6
     3. 0.8 ~ 1.0
     4. 1.2 ~ 1.4

     정답 : []
     정답률 : 66%

74. 발형치진(swage set)에 가장 관계되는 것은?(2004년 08월)
     1. 옛날부터 사용되어온 치진이다.
     2. 둥급톱에 주로 사용된다.
     3. 작은 띠톱에 주로 사용된다.
     4. 제재용 띠톱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75. 천연건조적월은 일일평균온도가 25℃이상인 날짜가 연속해서 며칠 이상일 때를 말하는가?(2016년 10월)
     1. 15일
     2. 20일
     3. 25일
     4. 30일

     정답 : []
     정답률 : 65%

76. 합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넓은 면적의 판재를 만들 수 있다.
     2. 결점부위를 인위적으로 분산, 제거할 수 있다.
     3. 목재의 강도 및 물리적 성질의 이방성을 크게 할 수 있다.
     4. 접착제를 선택하여 용도에 따른 내구성과 내수성을 갖출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77. 크라프트 펄프화에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활성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활성알칼리의 백분율이다.
     2. 황화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Na2S의 백분율이다.
     3. 총약품은 용액 중에 존재하는 총 Na 염을 가리킨다.
     4. 가성화도는 활성알칼리에 대한 Na2O의 백분율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78. 파티클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파티클 길이가 두께에 비하여 큰 재료가 제작에 유리하다.
     2. 폐목질 자원 등을 기계적으로 파쇄 및 삭편화하여 제작한다.
     3. 경제적인 제조를 위하여 포플러나 사시나무류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4. 파티클보드 원료는 가급적 원료수종의 비중이 낮고 압축도가 1보다 큰 것을 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79. 요소소지 접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임의로 중량이 가능하다.
     2. 빛깔이 무색이거나 투명한 편이다.
     3. 경화 과정에서 용적 수축이 거의 없다.
     4. 옥내용 합판, 집성재, 파티클보드 제조 등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80. 백탄의 제조에 관한 기술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숯가마를 만들어 그 가마 밖에서 불을 꺼서 만든 것
     2. 숯가마를 만들어 그 가마 안에서 불을 끈 것
     3. 퇴적한 숯가마에서 만든 것
     4. 숯가마를 만들어 그 안에서 고온도로 구은 것

     정답 : []
     정답률 : 37%

81. 목재방충제에 요구되는 성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인축에 대해 약해, 자극성 및 악취가 없는 것
     2. 약제의 적용범위가 한정적이며 단일해충에 유효 할 것
     3. 화학적 안정과 잔류효과가 클 것
     4. 인간의 생활환경내에서 사용되므로 안전성이 요구되는 것

     정답 : []
     정답률 : 79%

82. 다음의 곤충류 중 국내 고건축물에 피해를 가장 많이 주고 있는 종류는?(2004년 08월)
     1. 바구미과(Curculionidae)
     2. 하늘소과(Cerambycidae)
     3. 가루나무좀과(Lyctidae)
     4. 빗살수염벌레과(Anobiidae)

     정답 : []
     정답률 : 52%

83. 단판 길이 방향의 팽윤을 감소시켜 측면 팽윤을 억제하는 공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직교적층
     2. 가교결합
     3. 피복 처리
     4. 용적 처리

     정답 : []
     정답률 : 63%

84. ZnCl2로 방부처리시 철의 부식을 방지하지 위하여 첨가하는 약제는?(2003년 08월)
     1. 중크롬산칼륨
     2. 플루오르화칼륨
     3. 아비산
     4. 황산동

     정답 : []
     정답률 : 27%

85. 다음 방부제 중 수용성 방부제가 아닌 것은?(2004년 08월)
     1. CCA
     2. ACC
     3. 크레오소오트유
     4. CCB

     정답 : []
     정답률 : 69%

86. 미처리재의 팽창율이 10 % 이고 처리재의 팽창율이 4% 라면 내팽창효과(AE)는 얼마인가?(2004년 08월)
     1. 4 %
     2. 6 %
     3. 60 %
     4. 125 %

     정답 : []
     정답률 : 49%

87. 수용성 방부제가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A-1
     2. ACQ-1
     3. CUAZ-2
     4. CuHDO-3

     정답 : []
     정답률 : 54%

88.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7년 08월)

    

     1.
     2. 유충
     3. 성충
     4. 번데기

     정답 : []
     정답률 : 69%

89. 목재의 연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열분해는 초기에 정도가 심하다.
     2. 목재의 연소에는 착화가 착염보다 먼저 일어난다.
     3.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180℃ 정도에서 분해가 시작된다.
     4. 목재 조성분의 열분해에 있어서 리그닌이 가장 먼저 분해되기 시작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90. 목재를 분해하는 미생물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3년 09월)
     1. 목재를 열화시키는 생물에는 미생물뿐이며, 목재를 열화시키는 미생물은 대부분 진균에 속한다.
     2. 목재의 연부후(sotf rot)란 자낭균 및 불완전균에 의한 부후를 말하며, 냉각탑이나 땅에 접하는 목재와 같이 담자균이 생육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한 환경에서 목재가 부후된다.
     3. 목재는 유기물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균에 의해 침해를 받으나, 목재 성분 중 리그닌을 분해하는 균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4. 진균류에서는 자낭균만이 목재를 분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91. 주입된 수지액을 중합, 경화시키는 방법은 방사선을 이용하는 조사중합법과 촉매가열법의 화학중합법이 있다. 이 두 방법의 특징이 잘못 기술된 것은?(2003년 08월)
     1. 방사선조사법은 단면이 큰나무를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2. 방사선조사법은 침투도가 작다.
     3. 촉매가열법은 목재내부에 열이 가득차기 쉽다.
     4. 촉매가열법은 수지액의 가사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50%

92. 바다에 오랫동안 잠긴 목재를 인양했을 때 주로 관찰될수 있는 부후 미생물은?(2018년 08월)
     1. 협기성 세균과 담자균
     2. 연부후균과 백색부후균
     3. 협기성 세균과 연부후균
     4. 호기성 세균과 갈색부후균

     정답 : []
     정답률 : 56%

93. 목재부후균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목재 방부 처리
     2. 건조 목재 사용
     3. 목재의 자외선 노출 억제
     4. 목재의 토양 접촉 사용 방식

     정답 : []
     정답률 : 48%

94. 약제 주입 전 실시하는 자상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약제의 침투깊이와 주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2. 목재표면에 존재하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한다.
     3. 처리목재 내에서 약제의 균일한 분포를 달성하기위해 실시한다.
     4. 난주입 수종에 방부처리를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95. 금속화목재(metalized wood)란?(2003년 08월)
     1. 목재의 표면에 Sn을 피복처리한 것이다.
     2. 목재의 공극내에 합금을 용해, 주입시켜 고화한 것이다.
     3. 목재의 공극내에 Bi 50% + Al 31.2% + Sn 20%를 용해 주입시켜 냉각 고화한 것이다.
     4. 목재의 표면에 Bi 50% + Pb 31.2% + Sn 18.8%를 용해시켜 피복처리한 개질 목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96. 목재를 방부처리하는 주요 목적은?(2018년 08월)
     1. 변색 방지
     2. 물리적 강도 증가
     3. 균류에 의한 피해 방지
     4. 불에 대한 저항성 증가

     정답 : []
     정답률 : 67%

97. 곰팡이(mold)류의 침입으로 목재가 받는 가장 큰 영향은?(2003년 08월)
     1. 압축강도
     2. 변색
     3. 비중
     4. 수축팽윤

     정답 : []
     정답률 : 77%

98. 목재의 치수안정을 위해 분자구조 단위 사이에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치수안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2016년 10월)
     1. 가교결합
     2. 피복처리
     3. 직교적층
     4. 열안정화처리

     정답 : []
     정답률 : 40%

99. 뉴질랜드에서 수입하는 라디에타소나무재가 토양에 접촉되는 토목용으로 사용될 경우 예상 내용 연소가 가장 짧은 것은?(2019년 04월)
     1. 뤼핑법
     2. 충세포법
     3. 표면처리법
     4. 감압주입법

     정답 : []
     정답률 : 52%

100. 방충제 중 호흡독에 속하지 않는 약제는?(2013년 09월)
     1. sulfuryl fluoride
     2. dichlorbenzene
     3. methyl bromode
     4. pentachlorophenol

     정답 : []
     정답률 : 39%


정 답 지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858758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목재이학


1. 목재의 각 방향에 따른 수축률의 크기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6년 10월)
     1. 접선방향>방사방향>섬유방향
     2. 접선방향>섬유방향>방사방향
     3. 섬유방향>방사방향>접선방향
     4. 방사방향>섬유방향>접선방향

     정답 : []
     정답률 : 82%

2. 목재의 비열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인자는?(2016년 10월)
     1. 수종
     2. 밀도
     3. 함수율
     4. 춘재 및 추재 구성정도

     정답 : []
     정답률 : 68%

3. 목재에 반복하여 하중을 가하면 기계적 성질이 저하하여 비교적 작은 하중에도 마지막에는 파괴되는데 이 때의 응력은?(2012년 09월)
     1. 탄성한도
     2. 비례한도
     3. 피로한도
     4. 항복점

     정답 : []
     정답률 : 80%

4. 시험재의 전건무게가 1000g이고 건조 중에 시험재의 무게가 1300g일 때 건조 중 함수율은 얼마인가?(2012년 09월)
     1. 20%
     2. 25%
     3. 30%
     4. 35%

     정답 : []
     정답률 : 90%

5. 목재의 수축과 팽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가 수축 또는 팽윤 될 때에 세포내강의 용적도 함께 비례하여 변한다.
     2. 목재의 수축과 팽윤은 길이방향,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낸다.
     3. 정상적인 수축과 팽윤은 섬유포화점 이하의 함수율에서 결합수의 감소 또는 증가에 따라서 발생한다.
     4. 찌그러짐과 같이 수축 이방성에 따른 건조결함은 섬유포화점 이상의 높은 함수율에서도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수축과 팽윤에도 세포 내강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고준호]

6. 목재 함수율을 측정하는 원리와 측정법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2013년 09월)
     1. 목재 중의 수분을 분리하는 방법 – 전건법(全乾法)
     2. 목재 중의 수분을 분리하는 방법 – 추출법(抽出法)
     3. 목재 내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방법 – 습도법(濕度法)
     4. 목재 내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방법 – 전기식 수분계(電氣式 水分計)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기식 수분계 : 목재 내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고준호]

7. 목재의 수축과 팽윤이 가장 큰 방향은?(2017년 08월)
     1. 방사방향
     2. 목리방향
     3. 섬유방향
     4. 접선방향

     정답 : []
     정답률 : 77%

8. 생재비중이 0.65인 목재의 최저함수율은?(2017년 08월)
     1. 약 35%
     2. 약 46%
     3. 약 54%
     4. 약 65%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생재비중 S 일때 최저함수율
100 * (1-S/S)
[해설작성자 : 대환재]

9. 수분에 의한 목재치수의 변화를 계산하는 데 이용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수축률
     2. 상대습도
     3. 평형함수율
     4. 생재함수율

     정답 : []
     정답률 : 46%

10. 목재가 함유하는 수분으로 세포내강이나 세포간극 등의 공극에 액상으로 존재하는 것은?(2017년 08월)
     1. 흡착수
     2. 자유수
     3. 화학수
     4. 결합수

     정답 : []
     정답률 : 86%

11. 6cm×6cm의 횡단면에 7000kgf의 하중이 작용하여 16cm이던 목재가 15.97cm로 압축되었다. 이때 이 목재의 탄성계수(kgf/cm2)는?(2016년 10월)
     1. 약 87500
     2. 약 103700
     3. 약 233330
     4. 약 525000

     정답 : []
     정답률 : 52%

12. 목재의 진비중은 실질 용적의 측정에 사용하는 치환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헬륨가스 사용시의 진비중의 값은?(2013년 09월)
     1. 1.30
     2. 1.46
     3. 1.60
     4. 1.70

     정답 : []
     정답률 : 75%

13. 소리 방사에 중요 성질인 음파저항(W)을 나타내는데 틀린 것은 어느 식인가? (단, ρ = 밀도, V = 음속, E = 탄성계수임 )(2004년 08월)
     1. W = ρV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14. 진비중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치환물질 중 진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물질은?(2016년 10월)
     1.
     2. 벤젠
     3. 헬륨
     4. 톨루엔

     정답 : []
     정답률 : 67%

15. 목재의 열전도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2.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3.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4. 섬유주향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5%

16. 다음 목재의 강도 중에서 강도가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것은?(2003년 08월)
     1. 종압축강도
     2. 종인장강도
     3. 휨강도
     4. 전단강도

     정답 : []
     정답률 : 71%

17. 목재의 유전율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목재의 함수율이 높을수록 유전율은 커진다.
     2. 목재의 함수율이 높을수록 유전율은 작아진다.
     3. 목재의 함수율과 유전율은 무관하다.
     4. 전건상태에서 유전율은 가장 높다.

     정답 : []
     정답률 : 74%

18. 3,000g의 목재를 온도 20℃에서 80℃까지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은? (단, 이 목재의 비열은 0.2665 ca/g·℃ 이다.)(2013년 09월)
     1. 15,990 cal
     2. 47,970 cal
     3. 79,950 cal
     4. 91,280 cal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열량 = 열용량 x 온도변화량 = (비열 x 질량) x 온도변화량
-> 0.2665 x 3000g x 60 = 4797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목재의 열분해(熱分解) 및 착화(着火)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8월)
     1. 자유수는 100℃에서 끓기 시작하나, 결합수는 함수율에 따라 달라 함수율 20 % 일 때 101℃, 10 % 일 때 106℃에서 끓는다.
     2. 목재수분(자유수와 결합수)은 목재온도의 상승을 늦추고 열분해를 지연시킨다.
     3. 습윤목재는 건조목재에 비해 높은 온도에서 열분해(pyrolysis)가 일어난다.
     4. 목재는 약 273℃에서 산소공급이 충분하면 착화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20. 목재의 응력-변형률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비례한계와 탄성한계는 기본적으로 같은 개념이다.
     2. 목재 파괴 시의 응력을 파괴응력 또는 항복 응력이라 한다.
     3. 모든 물체는 외력이 작용하면 변형이 수반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은 완전히 회복된다.
     4. 비례한계는 응력과 변형간의 직선관계가 성립되는 한계점을 말하고, 비례한계 내에서 응력이 제거되면 변형은 순간적으로 회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2과목 : 목재해부학


21. 제재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만들어지는 목리는?(2019년 04월)
     1. 사주목리
     2. 나선목리
     3. 파상목리
     4. 교착목리

     정답 : []
     정답률 : 64%

22. 다음은 교주목리 가운데 하나로써 열대산 목재에서 주로 관찰되고 있는 목리의 명칭은?(2004년 08월)

    

     1. 교차목리
     2. 사주목리
     3. 나선목리
     4. 교착목리

     정답 : []
     정답률 : 74%

23. 침엽수재에만 존재하는 가도관은?(2004년 08월)
     1. 섬유상 가도관
     2. 방사 가도관
     3. 주위상 가도관
     4. 도관상 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62%

24. 방사공재 수종에 해당하는 것은?(2017년 08월)
     1. 잣나무
     2. 가시나무
     3. 굴참나무
     4. 느티나무

     정답 : []
     정답률 : 37%

25. 활엽수재를 해부학적으로 식벽할 때 주요 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방사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74%

26. 조재로부터 만재로 이행이 점진적이며 연송류에 속하는 주종은?(2018년 08월)
     1. 곰솔
     2. 잣나무
     3. 소나무
     4. 리기다소나무

     정답 : []
     정답률 : 45%

27. 다음 중 활엽수의 식별에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생각되는 것은?(2003년 08월)
     1. 목섬유의 크기
     2. 방사가도관의 존재 유무
     3. 횡단면상의 도관 배열
     4. 방추형 방사조직

     정답 : []
     정답률 : 54%

28. 비대생장을 시작한 2차사부와 2차목부의 조직에 있어 수간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향한 배열순서가 맞는 것은?(2013년 09월)
     1. 2차목부 – 형성층 - 1차사부
     2. 1차목부 – 형성층 - 2차사부
     3. 2차목부 – 형성층 - 2차사부
     4. 1차목부 – 형성층 – 1차사부

     정답 : []
     정답률 : 40%

29. 타일로시스(tylosis)와 타일로소이드(tylosoid)의 차이점은?(2017년 08월)
     1. 목부와 사부
     2. 심재와 변재
     3. 피층과 재부
     4. 활엽수와 침엽수

     정답 : []
     정답률 : 75%

30. 나선비후가 관찰되는 수종은?(2013년 09월)
     1. 주목
     2. 소나무
     3. 향나무
     4. 오리나무

     정답 : []
     정답률 : 49%

3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특수형의 방사조직은?(2016년 10월)

    

     1. 타일세포
     2. 책상세포
     3. 초상세포
     4. 쇄상세포

     정답 : []
     정답률 : 55%

32. 성숙재와 비교하였을 때 미성숙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만재율이 적다.
     2. 연륜폭이 좁고 비교적 균일하다.
     3. 위연륜이나 응력재의 출현이 적다.
     4. 죽은 옹이가 나타나거나 옹이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6%

33. 세포벽 층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두꺼운 층은?(2013년 09월)
     1. 일차벽(P)
     2. 이차벽 외층(S1)
     3. 이차벽 중층(S2)
     4. 이차벽 내층(S3)

     정답 : []
     정답률 : 70%

34. 목재가 터지는 현상 중에서 건조시킬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마구리 할렬(end check)
     2. 심렬(heart check)
     3. 표면할
     4. 할렬

     정답 : []
     정답률 : 59%

35. 다음 목재 중 비교적 나비가 넓어서 육안으로도 방사조직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은?(2013년 09월)
     1. 향나무
     2. 참나무류
     3. 버드나무
     4. 포플러류

     정답 : []
     정답률 : 55%

36. 침엽수재 형성층의 방추형 시원세포가 성숙해서 된 목부세포는?(2016년 10월)
     1. 방사유세포
     2. 방사가도관
     3. 수평수지구
     4. 축방향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43%

37. 활엽수재에서 횡단면에 한 층 또는 여러 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는 축방향 유조직이 관콩과 관계없이 동심원상 또는 집신 상으로 길게 연속하여 1열 또는 여러 개의 열로 이루어진 띠를 나타내는 것은?(2018년 08월)
     1. 수반 유조직
     2. 산재 유조직
     3. 종말상 유조직
     4. 독립대상 유조직

     정답 : []
     정답률 : 49%

38. 수선 유세포와 관계있는 것은?(2003년 08월)
     1. 촉단 방향으로 뻗쳐 있는 세포 요소이다.
     2. 횡적으로 양분을 공급한다.
     3. 박막 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4. 목재의 수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39. 활엽수에서 목부유세포의 배열 중 수반 유세포는?(2004년 08월)
     1. 종말상(terminal)
     2. 절선상(metatracheal)
     3. 산점상(difuse)
     4. 익상형(Aliform)

     정답 : []
     정답률 : 40%

40. 침엽수재의 세포에서 생성되는 결정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은행나무의 결정
     2. 잣나무의 3각 결정
     3. 전나무의 4각 주상 결정
     4. 솔송나무의 플라코소이드

     정답 : []
     정답률 : 35%

3과목 : 목재화학


41. 활엽수재 리그닌의 C6-C3 단위당 작용기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2016년 10월)
     1. 카르보닐기
     2. 벤질알코올기
     3. 페놀성수산기
     4. 메톡실기

     정답 : []
     정답률 : 64%

42.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추출을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탈리그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8월)
     1. 염소 Monoethanolamine법
     2. 황산염법
     3. 과초산법
     4. 아염소산염법

     정답 : []
     정답률 : 46%

43. 리그닌 분석용 시료로 사용되는 탈지시료는 어떤 유기용매로 처리한 것인가?(2004년 08월)
     1. 에틸알콜
     2. 에틸알콜-벤젠 혼합액
     3. 벤젠
     4. 아세톤

     정답 : []
     정답률 : 80%

44. 탄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동물의 가죽을 부드럽게 하는데 쓰인다.
     2. 침엽수와 활엽수에서 모두 발견된다.
     3. 가수분해형 탄닌은 C6-C3-C6의 골격을 갖고 있다.
     4. 단백질 석회와 반응하여 물에 불용성 침전을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71%

45. 셀룰로오스 화학구조와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방향족 화합물
     2. 글루코시드 결합
     3. 환원성 말단기
     4. 비환원성 말단기

     정답 : []
     정답률 : 63%

46.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용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8월)
     1. 도료
     2. 화약
     3. 필터
     4. 라텍스

     정답 : []
     정답률 : 62%

47. 목재(木材)에서 탈(脫) Lignin 을 야기시키는 방법으로 염소 Monoethanolamine 법을 최초로 시도한 사람은?(2003년 08월)
     1. Freudenberg
     2. Timell
     3. Klason
     4. Masonite

     정답 : []
     정답률 : 34%

48. 다음 중 Lignan의 용도로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살충제
     2. 항산화제
     3. 제초제
     4. 발근촉진제

     정답 : []
     정답률 : 68%

49. 셀룰로오스 분자의 비환원성 말단 OH 기는 글루코오스의 몇 번 탄소에 결합되어 있는가?(2018년 08월)
     1. C1
     2. C2
     3. C3
     4. C4

     정답 : []
     정답률 : 52%

50. 다음 중 수목의 심재(heartwood)화 현상과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유세포의 죽음
     2. 추출 성분의 감소
     3. 전분의 소실
     4. 효소 활성의 일시적 증가

     정답 : []
     정답률 : 70%

51. 셀룰로오스의 기본구성 단위인 셀로비오스(cellobiose)에는 몇 개의 수산기가 존재하는가?(2017년 08월)
     1. 1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73%

52. 셀룰로오스의 산화반응에서 있어서 C2와 C3사이를 개열시키면서 dialdehyde형 구조를 새로 형성시키는 산화제는?(2016년 10월)
     1. 과산화수소
     2. 이산화염소
     3. 이산화질소
     4. 과요오드산

     정답 : []
     정답률 : 63%

53. 목재 중에 존재하는 방향족 화합물을 옳게 조합한 것은?(2016년 10월)
     1. 리그닌, 펙틴, 리그난
     2. 리그닌, 리그난, 탄닌
     3. 리그닌, 테르펜, 리그난
     4. 리그닌, 펙턴, 탄닌

     정답 : []
     정답률 : 49%

54. 어떤 용기 중에 다음과 같은 셀룰로오스 시료가 혼합되어 있다. 이 셀룰로오스의 는 약 얼마인가?(2016년 10월)

    

     1. =870, =330
     2. =330, =870
     3. =450, =420
     4. =420, =450

     정답 : []
     정답률 : 43%

55. 함수율이 10%인 목분 시료 2g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더니 0.03g의 추출물이 얻어졌다. 이 시료의 유기용매 추출물의 함량은 얼마인가?(2016년 10월)
     1. 1.37%
     2. 1.47%
     3. 1.57%
     4. 1.67%

     정답 : []
     정답률 : 40%

56. Xylan을 산소, 알칼리 등으로 반응시켰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Aldonic acid 말단기 생성
     2. 가용성 유기산 생성
     3. 중합도 상승
     4. Uronic acid 의 탈리

     정답 : []
     정답률 : 36%

57. 메톡실기 정량에서 티오항산나트륨 표준액의 적정량(T)이 20mL이고, 티오황산나트륨의 규정농도가(N)가 1/50이며, 시료의 절건량(S)이 2g 일 때 메톡실기의 양은?(2013년 09월)
     1. 0.1%
     2. 1.0%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30%

58. 17.5% NaOH용액으로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초산으로 중화하면 셀룰로오스 일부가 침전된다. 이 셀룰로오스를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9월)
     1. α-셀룰로오스
     2. β-셀룰로오스
     3. γ-셀룰로오스
     4. Alkali 셀룰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69%

59. 셀룰로오스를 가수분해하였을 때 얻어지는 glucose 중량의 이론치는?(2017년 08월)
     1. 77%
     2. 88%
     3. 111%
     4. 144%

     정답 : []
     정답률 : 80%

60. 알돈산(aldonic aci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산소, 알칼리 처리한 셀룰로오스의 산 가수분해 시주로 생성된다.
     2. 알도오스(aldose)의 C1 탄소가 산화되어 카르복실기(-COOH)로 된 것을 뜻 한다.
     3. 알도오스(aldose)의 마지막 탄소(C5 혹은 C6)가 산화되어 카르복실로 된 것을 뜻한다.
     4. 알칼리에 의한 펄프제조 시 알돈산이 생성되면 peeling off반응이 억제 혹은 정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4과목 : 임산제조학


61. 함수율이 60%인 소나무 관재의 무게가 2500g이다. 건량기준 함수율 12%가 되게 건조하려면 시험재의 무게는 몇 g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야 하는가?(2016년 10월)
     1. 1700g
     2. 1750g
     3. 1800g
     4. 1850g

     정답 : []
     정답률 : 48%

62. 다음은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를 짝지워 놓은 것이다. 이중 잘못된 것은?(2004년 08월)
     1. 요소계, 폴리비닐알코올
     2. 에폭시수지, 아크릴 수지
     3. 폐놀계, 네오프렌
     4. 멜라민계, 니트로셀룰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40%

63. 띠톱제재의 경우를 기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D는 거치직경, L은 축간거리)(2003년 08월)
     1. 안정되고 좋은 능률을 내려면 L/D 값이 1에 가깝고 d가 큰 것이 좋다
     2. 보통 톱의 두께 t는 D의 1/1,000을 초과하지 않는다.
     3. 긴장응력은 현재 30kg/mm2가 표준으로 되어 있다.
     4. 보통 하부거차를 구동시키는데 톱은 보통 40-50m/s의 주속도로 주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64. 목재 접착제의 성능에 관한 인자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농도
     2. 분자구조
     3. 표면장력
     4. 퇴적시간

     정답 : []
     정답률 : 58%

65. 목재절삭에 이써서 임계절삭각은 절삭저항의 배분력이 정(plus)에서 부(minus)로 변하는 절삭각을 나타내는데 그 값의 범위는?(2018년 08월)
     1. 30° 전후
     2. 40° 전후
     3. 50° 전후
     4. 60° 전후

     정답 : []
     정답률 : 55%

66. 제지공정 중 고해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섬유의 유연성을 부과한다.
     2. 피브릴화할 때에는 선상 고해라고 한다.
     3. 섬유를 절단하는 것은 유리상 고해라고 한다.
     4. 물과 혼합아여 고해기에 의해 기계적으로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67. 파아티클 보오드의 제조는 목재 자원의 집약적 이용과 목재의 특성을 살려서 만든 것이다. 그 특성에 맞지 않는 것은?(2004년 08월)
     1. 목적 하는대로 크기, 비중(강도)을 자유로이 할 수 있다.
     2. 방향에 의한 수축팽창의 차가 거의 없다.
     3. 단열성, 방음성이 합판보다 높다.
     4. 가공이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66%

68. 합성수지 접착제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경화성 수지(B)의 종류가 잘못 나열한 것은?(2017년 08월)
     1. A : 아크릴수지, B : 멜라민수지
     2. A : 초산비닐수지, B : 페놀수지
     3. A : 염화비닐수지, B : 에폭시수지
     4. A : 요소수지, B : 폴리아미드수지

     정답 : []
     정답률 : 59%

69. 회전형 단편 절삭기(Rotary lathe)가 구비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장치가 있어야 한다.
     2. 인력이 적게 들고 가급적 자동화되어야 한다.
     3. 원목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절삭 속도가 일정해야 한다.
     4. 원목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절삭각은 변동 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70. 펄프표백 중 염소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9월)
     1. pH2 이하로 반응시킨다.
     2. 리그닌을 저분자화 또는 염소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3. 물과 반응하여 아염소산을 만들기 위함이다.
     4. 낮은 온도에서는 대체로 20~60분으로 반응이 완료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71. 목재의 제재방법에서 접선단면 제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정목판을 얻을 수 있다.
     2.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제재가 수월하다.
     3.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품질이 떨어진다.
     4. 나이테에 접선방향 또는 방사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제재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72. 접착제의 습윤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접착제의 응집력이 클수록 좋다.
     2. 피착제 표면에서 접촉각이 클수록 좋다.
     3. 접착제 분자와 피착제 표면 사이에 인력이 강할수록 좋다.
     4. 고체표면에 액체인 접착제가 밀접하게 접촉되는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73. 섬유판의 원료로 적합한 목재의 비중은?(2016년 10월)
     1. 0.1 ~ 0.2
     2. 0.4 ~ 0.6
     3. 0.8 ~ 1.0
     4. 1.2 ~ 1.4

     정답 : []
     정답률 : 66%

74. 발형치진(swage set)에 가장 관계되는 것은?(2004년 08월)
     1. 옛날부터 사용되어온 치진이다.
     2. 둥급톱에 주로 사용된다.
     3. 작은 띠톱에 주로 사용된다.
     4. 제재용 띠톱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75. 천연건조적월은 일일평균온도가 25℃이상인 날짜가 연속해서 며칠 이상일 때를 말하는가?(2016년 10월)
     1. 15일
     2. 20일
     3. 25일
     4. 30일

     정답 : []
     정답률 : 65%

76. 합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넓은 면적의 판재를 만들 수 있다.
     2. 결점부위를 인위적으로 분산, 제거할 수 있다.
     3. 목재의 강도 및 물리적 성질의 이방성을 크게 할 수 있다.
     4. 접착제를 선택하여 용도에 따른 내구성과 내수성을 갖출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77. 크라프트 펄프화에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활성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활성알칼리의 백분율이다.
     2. 황화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Na2S의 백분율이다.
     3. 총약품은 용액 중에 존재하는 총 Na 염을 가리킨다.
     4. 가성화도는 활성알칼리에 대한 Na2O의 백분율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78. 파티클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파티클 길이가 두께에 비하여 큰 재료가 제작에 유리하다.
     2. 폐목질 자원 등을 기계적으로 파쇄 및 삭편화하여 제작한다.
     3. 경제적인 제조를 위하여 포플러나 사시나무류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4. 파티클보드 원료는 가급적 원료수종의 비중이 낮고 압축도가 1보다 큰 것을 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79. 요소소지 접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임의로 중량이 가능하다.
     2. 빛깔이 무색이거나 투명한 편이다.
     3. 경화 과정에서 용적 수축이 거의 없다.
     4. 옥내용 합판, 집성재, 파티클보드 제조 등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80. 백탄의 제조에 관한 기술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숯가마를 만들어 그 가마 밖에서 불을 꺼서 만든 것
     2. 숯가마를 만들어 그 가마 안에서 불을 끈 것
     3. 퇴적한 숯가마에서 만든 것
     4. 숯가마를 만들어 그 안에서 고온도로 구은 것

     정답 : []
     정답률 : 37%

81. 목재방충제에 요구되는 성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인축에 대해 약해, 자극성 및 악취가 없는 것
     2. 약제의 적용범위가 한정적이며 단일해충에 유효 할 것
     3. 화학적 안정과 잔류효과가 클 것
     4. 인간의 생활환경내에서 사용되므로 안전성이 요구되는 것

     정답 : []
     정답률 : 79%

82. 다음의 곤충류 중 국내 고건축물에 피해를 가장 많이 주고 있는 종류는?(2004년 08월)
     1. 바구미과(Curculionidae)
     2. 하늘소과(Cerambycidae)
     3. 가루나무좀과(Lyctidae)
     4. 빗살수염벌레과(Anobiidae)

     정답 : []
     정답률 : 52%

83. 단판 길이 방향의 팽윤을 감소시켜 측면 팽윤을 억제하는 공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직교적층
     2. 가교결합
     3. 피복 처리
     4. 용적 처리

     정답 : []
     정답률 : 63%

84. ZnCl2로 방부처리시 철의 부식을 방지하지 위하여 첨가하는 약제는?(2003년 08월)
     1. 중크롬산칼륨
     2. 플루오르화칼륨
     3. 아비산
     4. 황산동

     정답 : []
     정답률 : 27%

85. 다음 방부제 중 수용성 방부제가 아닌 것은?(2004년 08월)
     1. CCA
     2. ACC
     3. 크레오소오트유
     4. CCB

     정답 : []
     정답률 : 69%

86. 미처리재의 팽창율이 10 % 이고 처리재의 팽창율이 4% 라면 내팽창효과(AE)는 얼마인가?(2004년 08월)
     1. 4 %
     2. 6 %
     3. 60 %
     4. 125 %

     정답 : []
     정답률 : 49%

87. 수용성 방부제가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A-1
     2. ACQ-1
     3. CUAZ-2
     4. CuHDO-3

     정답 : []
     정답률 : 54%

88.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7년 08월)

    

     1.
     2. 유충
     3. 성충
     4. 번데기

     정답 : []
     정답률 : 69%

89. 목재의 연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열분해는 초기에 정도가 심하다.
     2. 목재의 연소에는 착화가 착염보다 먼저 일어난다.
     3.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180℃ 정도에서 분해가 시작된다.
     4. 목재 조성분의 열분해에 있어서 리그닌이 가장 먼저 분해되기 시작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90. 목재를 분해하는 미생물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3년 09월)
     1. 목재를 열화시키는 생물에는 미생물뿐이며, 목재를 열화시키는 미생물은 대부분 진균에 속한다.
     2. 목재의 연부후(sotf rot)란 자낭균 및 불완전균에 의한 부후를 말하며, 냉각탑이나 땅에 접하는 목재와 같이 담자균이 생육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한 환경에서 목재가 부후된다.
     3. 목재는 유기물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균에 의해 침해를 받으나, 목재 성분 중 리그닌을 분해하는 균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4. 진균류에서는 자낭균만이 목재를 분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91. 주입된 수지액을 중합, 경화시키는 방법은 방사선을 이용하는 조사중합법과 촉매가열법의 화학중합법이 있다. 이 두 방법의 특징이 잘못 기술된 것은?(2003년 08월)
     1. 방사선조사법은 단면이 큰나무를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2. 방사선조사법은 침투도가 작다.
     3. 촉매가열법은 목재내부에 열이 가득차기 쉽다.
     4. 촉매가열법은 수지액의 가사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50%

92. 바다에 오랫동안 잠긴 목재를 인양했을 때 주로 관찰될수 있는 부후 미생물은?(2018년 08월)
     1. 협기성 세균과 담자균
     2. 연부후균과 백색부후균
     3. 협기성 세균과 연부후균
     4. 호기성 세균과 갈색부후균

     정답 : []
     정답률 : 56%

93. 목재부후균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목재 방부 처리
     2. 건조 목재 사용
     3. 목재의 자외선 노출 억제
     4. 목재의 토양 접촉 사용 방식

     정답 : []
     정답률 : 48%

94. 약제 주입 전 실시하는 자상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약제의 침투깊이와 주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2. 목재표면에 존재하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한다.
     3. 처리목재 내에서 약제의 균일한 분포를 달성하기위해 실시한다.
     4. 난주입 수종에 방부처리를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95. 금속화목재(metalized wood)란?(2003년 08월)
     1. 목재의 표면에 Sn을 피복처리한 것이다.
     2. 목재의 공극내에 합금을 용해, 주입시켜 고화한 것이다.
     3. 목재의 공극내에 Bi 50% + Al 31.2% + Sn 20%를 용해 주입시켜 냉각 고화한 것이다.
     4. 목재의 표면에 Bi 50% + Pb 31.2% + Sn 18.8%를 용해시켜 피복처리한 개질 목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96. 목재를 방부처리하는 주요 목적은?(2018년 08월)
     1. 변색 방지
     2. 물리적 강도 증가
     3. 균류에 의한 피해 방지
     4. 불에 대한 저항성 증가

     정답 : []
     정답률 : 67%

97. 곰팡이(mold)류의 침입으로 목재가 받는 가장 큰 영향은?(2003년 08월)
     1. 압축강도
     2. 변색
     3. 비중
     4. 수축팽윤

     정답 : []
     정답률 : 77%

98. 목재의 치수안정을 위해 분자구조 단위 사이에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치수안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2016년 10월)
     1. 가교결합
     2. 피복처리
     3. 직교적층
     4. 열안정화처리

     정답 : []
     정답률 : 40%

99. 뉴질랜드에서 수입하는 라디에타소나무재가 토양에 접촉되는 토목용으로 사용될 경우 예상 내용 연소가 가장 짧은 것은?(2019년 04월)
     1. 뤼핑법
     2. 충세포법
     3. 표면처리법
     4. 감압주입법

     정답 : []
     정답률 : 52%

100. 방충제 중 호흡독에 속하지 않는 약제는?(2013년 09월)
     1. sulfuryl fluoride
     2. dichlorbenzene
     3. methyl bromode
     4. pentachlorophenol

     정답 : []
     정답률 : 3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858758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8 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1월18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27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7494289)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26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25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4739130)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2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보건행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223 <h2>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15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222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550899)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21 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20 축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19 제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18 비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1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17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216 방송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8587588)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14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7558916)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13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6966433)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12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211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2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10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10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209 <h2>전자출판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74455)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Board Pagination Prev 1 ...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 289 Next
/ 289